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만족도와 수행경험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Clinical Satisfaction and Experience on Performance for Dental Hygiene Students
ABSTRACT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만족도와 수행경험과의 관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satisfaction and experience on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for the dental hygiene students. Dental hygiene students to 480 people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4 and analyzed by conducting a survey. The higher grad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experience for clinical test performance and clinical practice organization rather than the lower grade students. Also,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major for the higher grade students has been shown 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lower grade students. The factors that affecting the experience for clinical performanc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 were shown as grade, satisfaction for major and period for practice. In order to enhance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clinical performance for students, it should be established the system for practice manage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linical practice by relevant organizations. Also, the dental hygienist who is responsible for dental education should manage his/her practice for students actively. Meanwhile, the practice organization should improve and update the content of education through the consistent alliance with colleges continuously.

KEYWORD
Degree of clinical satisfaction ,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 Experience on performance
  • 서 론

    급변하는 사회 환경의 흐름에 따라 인간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삶의 질이 향상되고, 국민의 구강건강관리에 관심이 높아졌다. 치과 의료기술의 많은 발전으로 인하여 치과 치료는 더욱 다양화되고 전문화되어 가고 있다.

    구강에서 발생하는 질환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치과위생사의 역할이 강조되고 치위생업무가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치위생 교육과정 또한 실질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전문지식에 대한 이론을 겸비하고 임상에서 숙련된 치과위생사의 역할과 현장에서 보다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실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Lee1)에 의하면 임상실습 교육이란 강의실의 이론 교육을 보충, 통합하고 활용하여 기본 이론의 원리를 현장에서 응용함을 가능케 하며, 개인적 특성을 가진 환자들의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및 영적 보건 의료를 파악하여 간호를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함에 있으며, 의료팀과 협조하여 환자와 그 가족을 위한 직접 서비스와 자기관리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교육을 계획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임상실습 교육은 모든 교과의 통합체로서 학생이 습득한 지식을 보강 통합하도록 하여 지식, 기술, 태도면에 행위 변화를 주어 후일 정규 치과위생사로 근무할 때 치과위생사의 의무와 책임을 다하도록 하는 데 직접적인 도움이 되는 교육이 될 것이다2).

    따라서 임상을 통한 교육은 학생들의 요구 및 능력에 부합되는 임상실습 환경이 제공되어야 하며 대상자 중심의 보조를 제공할 수 있는 교육내용을 포괄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궁극적인 목표는 학생들이 그 교육과정을 수료한 후 능숙하고 세련된 그들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3).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임상실습 교육이 하나의 과학으로서 그리고 전문직으로서 인정받기 위해서는 실습에 임하는 학생들이 바른 생각과 자세를 가지고 행동하도록 이끌어 주어 치과위생사로서의 자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며4), 임상실습을 보다 만족스럽게 성취하기 위해서는 실습장의 환경요인을 계획하고 수정ㆍ보완하고,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경험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5).

    임상실습 경험은 학생들이 지식을 통합하고 전문적 역할을 사회화하고 전문적 가치를 습득하기 때문에 전문직 교육의 심장으로 묘사되고 있다6). 치위생 교육 역시 일반 교육과는 달리 학생으로 하여금 뚜렷한 이념과 목적 아래 최적의 복지 안녕을 위해 인간을 도우며 항상 실제와 이론 사이에 올바른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 전문교육이라는 점7,8), 임상실습의 질적인 향상과 국민의 구강건강 지킴이로서 직업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를 갖는 치과위생사를 양성해야 한다7). 그러므로 임상실습 교육과정을 통하여 실습에 대하 목적과 의미를 찾고 스스로 문제해결을 통하여 학생들이 자신감과 만족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치위생과 학생들은 임상실습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구강보건에 대한 중요성을 체험하여8) 치과 진료협조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하고 나아가 국민의 구강보건향상9-11)과 치과위생사로서의 자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임상실습기관의 만족도나 임상실습의 실태, 임상실습의 표준화 등의 조사연구가 이루어져 왔지만 임상에서의 기관형태에 따른 실습운영이 임상수행경험이나 실습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는 연구는 많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실습관련 특성이 기관별 전공만족도와 임상수행경험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임상 수행경험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임상실습 교육을 체계화시키고 이론과 실습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특히 졸업 후 진료결정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경기, 강원, 울산, 부산지역 치위생(학)과 재학생 중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2학년 227명, 3학년 189명, 4학년 64명으로 총 480명을 대상으로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얻어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학제 구분은 3년제 416명(86.7%)과 4년제 64명(13.3%)이었다.

       2. 연구방법

    자료 조사기간은 2014년 11월 3일부터 12월 24일까지 대상자에게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 연구 참여에 대한 익명성 보장, 자발적인 연구 참여 동의를 구두로 설명하고 협조 요청하였으며 서면 동의를 작성한 치위생(학)과 학생에게 설문지를 작성하게 한 후 회수된 500부 중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480부를 최종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구성은 총 80문항으로 일반적 및 실습관련 특성 17문항, 임상실습만족도12,13) 31문항, 임상수행경험14,15) 32문항으로 조사하였으며 각 문항은 ‘불만족한다’, ‘보통이다’, ‘만족한다’로 3점 Likert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임상수행경험과 임상실습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임상실습만족도는 전체 31문항으로 임상실습 내용은 과목별로 구분되어 있는지, 학교에서 강의 받은 이론적 지식이 원만하게 적용되었는지, 멸균과 소독에 관해 철저한지, 임상실습 지도자의 학생지도의 관심도, 실습내용이 잘 전달되는지, 평가방법에 대한 만족도, 교과목별로 실습에 대한 만족도, 실습시간의 적절성, 실습학생 수의 적절성, 실습 후 자신감 향상, 실습기회 제공 등에 관한 내용으로 설문문항의 내적신뢰도는 Cronbach’s α=0.950이었다. 임상수행경험은 전체 32문항으로 생징후 측정, 칫솔질 교육, 구강내ㆍ외 촬영, 구강위생보조용품설명, 이론적 지식 활용, 기구준비, 불소도포, 치아홈메우기, 근관치료준비, 치주낭 측정, 치석탐지, 알지네이트 인상채득, 치은압배, 석고사용, 정밀인상 채득, 구강외과 수술준비, 국소마취 준비, 교정용 브라켓 준비, 임플란트 수술준비, 기구의 멸균과 소독, 지대치 축조 등에 대한 내용으로 설문문항의 내적신뢰도는 Cronbach’s α=0.930이었다.

       3. 분석방법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ver. 20.0(IBM Co., Armonk, NY,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 및 실습관련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실습특성에 따른 기관별 임상실습만족도와 임상수행경험은 t-test와 one way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증을 위해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임상실습만족도와 임상수행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검정을 위한 유의수준(α)은 0.05였다.

    결 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및 실습관련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480명 중 학제는 3년제가 86.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여학생이 97.7%였다. 학년은 2학년이 47.3%, 3학년이 39.4%이며 주거형태는 자가가 61.7%로 가장 많았다. 실습관련 특성은 전공만족에서 ‘보통이다’가 62.5%로 가장 많았으며 ‘만족한다’가 31.9%였다. 실습기관은 치과대학병원이 24.5%, 치과의원이 33.3%였으며 실습만족에서는 ‘만족한다’가 68.7%로 가장 많았으며 ‘보통이다’가 26.5%였다. 실습기관 결정은 ‘학교에서 한다’가 52.7%, ‘학교와 학생이 결정’하는 경우가 34.0%였으며 실습기관 만족은 ‘만족한다’가 60.2%, 실습기간은 ‘적당하다’가 70.8%, 실습량 만족은 ‘만족한다’가 54.4%, ‘보통이다’가 39.4%였다. 실습지도는 전담치과위생사인 경우 80.0%, 전담교수인 경우가 12.5%였다(Table 1).

    [Table 1.] General and Practice Related Characteristics by Subjects (n=480)

    label

    General and Practice Related Characteristics by Subjects (n=480)

       2. 실습특성에 따른 기관별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실습만족도는 3점을 만점으로 평균은 1.70점으로 나타났으며, 실습특성별로 살펴보면 학년구분에서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은 4년제(2.30점)에서, 치과병ㆍ의원은 3년제(2.15점)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실습만족도는 종합병원 또는 대학병원에서 실습한 경우 ‘만족한다(1.48점)’가 점수가 높게 나타났고, 치과병원 또는 치과의원에서 실습한 경우 ‘만족한다(2.14점)’가 점수가 높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실습기관 결정에서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일 경우 학교와 학생이 공동으로 결정(1.62점)할 경우가 점수가 높았으며 치과병원이나 치과의원일 경우 학교에서 결정(2.18점)할 경우가 만족도가 높았다. 기관만족은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일 경우 ‘만족한다(1.44점)’가 점수가 높았으며 실습기간은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일 경우 ‘늘여야 한다(1.75점)’, ‘적당하다(1.49점)’가 점수가 높았다. 실습량 만족에서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에서의 실습량이 ‘만족한다(1.57점)’가 점수가 높았으며 실습지도는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에서는 전담치과위생사(1.31점)일 경우 점수가 높았으며 치과병원이나 치과의원일 경우 기관장(2.26점)과 전담치과위생사(2.09점)가 지도할 경우 점수가 가장 높았다(Table 2).

    [Table 2.] Degree of Clinical Practice by Organizations in Accordance with Practice Related Characteristics

    label

    Degree of Clinical Practice by Organizations in Accordance with Practice Related Characteristics

       3. 실습특성에 따른 기관별 임상수행경험

    임상수행경험은 3점을 만점으로 평균은 1.38점으로 나타났으며, 실습특성별로 살펴보면 학년구분에서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은 4년제(1.92점)에서, 치과병ㆍ의원은 3년제(1.76점)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치과병원이나 치과의원일 경우 2학년(1.83점)에서 점수가 가장 높았다. 전공만족에서는 치과병원이나 치과의원일 경우 ‘만족한다(1.87점)’가 점수가 높았다. 실습기관 결정에서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일 경우 학생(1.84점)이 기관을 결정할 경우가 점수가 높았으며 치과병원이나 치과의원일 경우 학교(1.76점)에서 결정할 경우가 점수가 높았다. 실습기간은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에서 ‘늘여야 한다(1.46점)’가 점수가 높았으며 실습량 만족에서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에서 ‘만족한다(1.21점)’가 점수가 높았다. 실습지도에서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에서 ‘전담교수(1.38점)’가 지도할 경우 점수가 높았으며 치과병원이나 치과의원에서는 ‘기관장(1.93점)’이나 ‘전담치과위생사(1.70점)’가 지도 할 경우 점수가 높았다(Table 3).

    [Table 3.] Experience of Clinical Test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Practice Related

    label

    Experience of Clinical Test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Practice Related

       4. 임상실습만족도와 임상수행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임상실습만족도와 임상수행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임상실습만족도에서는 전공만족(p<0.001), 실습기간(p<0.01)이 임상수행경험에서도 전공만족(p<0.001)과 실습기간(p<0.001)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Table 4, 5).

    [Table 4.] The Factor that Affecting Degree of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 Test Performance

    label

    The Factor that Affecting Degree of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 Test Performance

    [Table 5.] The Factor that Affecting Experience for Clinical Practice Test Performance

    label

    The Factor that Affecting Experience for Clinical Practice Test Performance

    고 찰

    치과위생사는 구강보건진료의 중견 관리자로서 치과 진료의 전반적인 치료내용과 방법을 모두 인지하고 술식에 필요한 약재와 기구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어야 하며 구강보건향상에 모든 업무의 내용을 포함시킬 수 있어야 한다15). 그러므로 치과위생사를 양성하는 교육기관16)은 치과위생사가 협동 구강보건 진료체계의 일부분으로서 직무를 능숙하게 처리해 낼 수 있는 질적 요건을 갖춘 전문기능인력을 양성하는 것이 주요한 과제일 것이다.

    설문조사 결과 학과 특성상 97.7%가 여학생이었다. 자택에서 거주하는 경우가 61.7%로 가장 많았으며 실습관련 특성에서 전공에 대한 만족은 ‘보통이다’가 62.5%로 가장 많이 응답하여 만족감을 높게 갖지는 못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실습관련 특성에서 실습기관은 치과대학병원(24.5%)보다 치과의원(33.3%)이 많았고, 실습 만족도는 ‘만족한다’가 68.7%로 응답하여 전공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이었지만 실습에 대한 만족도는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실습기간은 적당한 경우가 70.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실습기관의 결정은 대부분 학교에서 결정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실습기관에서의 실습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량의 만족도는 만족한다(54.4%)가 응답이 가장 많았고, 실습지도는 전담치과위생사가 지도를 담당하는 경우가 80.0%로 가장 높게 나타나 임상실습 대부분 전담치과위생사가 실습지도(교육)를 담당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위생사가 임상활동 현장의 실무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데 역점을 둔 체계적인 교육내용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활동현장에서 치과위생사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 학교교육과 활동 현장과의 격차를 최소한 줄일 수 있으면서 치과위생사의 주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17). 실습특성에 따른 기관별 임상실습 만족도는 3점을 만점으로 평균 1.70점이었고, 실습특성별 학년구분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전공만족도는 보통이거나 만족한다라고 응답해 기관별 차이 없이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실습만족도는 종합병원, 대학병원(1.48점)에서의 만족보다 치과병원, 치과의원에서의 실습만족도(2.14점)가 더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실습기관 결정은 치과병원, 치과의원일 경우 학교에서 결정을 하는 것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었고, 종합병원, 대학병원일 경우 학교와 학생이 공동으로 결정하는 데 만족도가 높았다. 기관만족도는 종합병원, 대학병원에서 실습하는 경우 만족도가 높았고. 실습량의 만족도 역시 종합병원, 대학병원에서 만족감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나. 기관의 유형이 클수록 실습량에 대한 만족도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지도 담당은 종합병원, 대학병원에서는 전담치과위생사가 가장 많았고, 치과병원, 치과의원에서는 기관장이 지도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별 임상수행경험에서는 3점을 만점으로 1.38점으로 나타났고, 실습특성별 학년 구분에서 종합병원, 대학병원은 4학년(1.92점)이 높았고, 치과병원, 치과의원(1.87점)보다 다소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임상수행경험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유의성이 있었다. 전공만족에서는 치과병원, 치과의원(1.87점)으로 만족한다라고 나타나 치과병원, 치과의원에서 전공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실습기관 결정에서는 종합병원, 대학병원은 학생(1.84점)이 기관을 결정하는 경우가 높게 나타났고, 실습기관은 종합병원, 대학병원에서 늘여야한다(1.46점)로 높게 나타나 추후 종합병원, 대학병원에서의 실습을 좀 더 많은 실습 배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실습량 만족에서는 종합병원, 대학병원에서 만족한다(1.21점)로 높게 나타나 치과병원, 치과의원에서 보다 더 만족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종합병원, 대학병원에 실습지도에서는 치과의원 기관장(1.93점), 전담치과위생사(1.70점) 종합병원, 대학병원에서 전담교수 지도(1.38점)로 치과의원 기관장이 지도하는 경우가 많아 실습전담치위생사가 실습지도에 대한 전문성과 교육시스템을 체계화 시킬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임상실습만족도와 임상수행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는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만족도가 높으며 임상수행 경험도 고학년일수록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에서의 만족도가 치과병원이나 치과의원에서 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Cha14)의 연구결과 전체적인 평가에서 대학병원이 가장 만족스러운 임상실습기관이라고 나타났지만 Park2)의 연구결과에서는 대학병원 치과에서의 임상실습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Kwon과 Lee18)가 치위생과 학생 26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임상기관별 취업순위가 종합병원치과를 가장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밖의 임상실습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Lee와 Kim19), Lee와Jeon20), Yang21), Kim와 Cho22) 등의 연구결과에서도 임상실습만족도와 수행 내용을 분석하여 임상교육과 학교교육의 연계성을 강조하였다.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일 경우 치과병원이나 치과의원에 비하여 기구를 비롯해 재료가 다양하고, 좀 더 포괄적인 진료를 함으로써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고 졸업 후 취업희망에서 대학병원 치과를 희망하는 것은 여러 가지 근무조건과 환경도 영향을 준다고 생각한다. 전문인을 양성하는 교육은 이론뿐만 아니라 현장에서의 적응력23)을 기르는 것 또한 중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각 학교의 교육과정운영에 현장실습의 비중과 실습일정과 기간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조사하지 못한 점과 지역제한이 있었던 것이 일반화하기 어려울 것으로 여겨진다. 치위생(학)과의 임상실습은 유능한 치과위생사를 양성하기 위한 필수적인 교과목이므로 실습현장에서의 만족도와 수행경험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적용된다. 그러므로 각 실습기관별 문제점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와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연구를 보완하여 이론 강의와 임상실습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문헌
  • 1. Lee YM 1991 Factors related to clinical laboratory students’ satisfaction of clinical clerkship. Unpublished mater’s thesis google
  • 2. Park JR 1991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ental hygiene and their attitude on clinical training. Unpublished mater’s thesis google
  • 3. Lee WH, Kim SS, Han SH, Lee SY, Kim KY 1995 The study for effect and application of utilization model for practice instructor, the work for improvement of education for clinical practice [J Korean Acad Nurs] Vol.25 P.581-596 google
  • 4. Park IS, Lee SH 2007 A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clinical training according to dental hygienist duties [J Dent Hyg Sci] Vol.7 P.295-300 google
  • 5. Lee SD 1996 The consideration of the improvement education system for dental hygiene department P.349-351 google
  • 6. Cabe MC 1985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in the clinical area. A challenge waiting to the met [J Korean Acad Soc Nurs Educ] Vol.5 P.225-257 google
  • 7. Kim JS 2008 The need for standardization of clinical practice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t Jeonbuk area. Unpublished mater’s thesis google
  • 8. Kang HS, Kim SJ, Kim YN 2013 An introduction to dental hygiene P.62-65 google
  • 9. Park JO 1967 The nursing for division of responsibility for students in first clinical practice [J Korean Acad Nurs] Vol.16 P.57-59 google
  • 10. Lee SS, Cho MS, Kim SA 1999 An analysis of the practices of dental hygienists in offering oral health education-in case of adult patients [J Korean Soc Sch Health] Vol.12 P.131-141 google
  • 11. Kim JH, Hong MH, Joung MA 2010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 level and quality of life study [J Korea Conver Soc] Vol.1 P.57-67 google
  • 12. Kim KE, Lee BY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for nursing students [Korea Content Assoc] Vol.14 P.885-896 google cross ref
  • 13. Kim YS 2010 Study of the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according to clinical training institut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14. Cha JA 2013 Correlation between for nursing students in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15. Choi E 2004 A study on degree of satisfaction on clinical practice of the students in the dental technology depar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16. Jang YJ, Kwon SB, Yang SK 2012 A study on the stressors of dental hygienists and student hygienists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by medical center type [J Dent Hyg Sci] Vol.12 P.682-688 google
  • 17. Kim YS 2000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regarding achivement of clinical practice in dental hygiene [J Korean Soc Sch Health] Vol.13 P.147-160 google
  • 18. Kwon HS, Lee HS 1991 Investigation of consciousness for dental hygiene students in college [Collections of Thesis in Masan Nursing and Health College] Vol.14 P.377-393 google
  • 19. Lee YA, Kim YS 2008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clinical practice and the performance confidence [J Dent Hyg Sci] Vol.8 P.353-359 google
  • 20. Lee JH, Jeon ES 2009 A study on causes of stress experienced by part student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during clinical training [J Dent Hyg Sci] Vol.9 P.137-143 google
  • 21. Yang JS 2000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dental hospital by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Acd Dent Health] Vol.24 P.205-216 google
  • 22. Kim SA, Cho MS 1997 The study and research for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clinical practice for the graduate and undergraduate of dental hygienetics [Collections of Thesis of Yeo-Ju College] Vol.14 P.97-99 google
  • 23. Moon SJ, Ku IY, Choi HY, Ka KH 2014 Study of on- and off-campus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major satisfaction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in some regions [J Aacd-Indu Tech] Vol.15 P.6793-6803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General and Practice Related Characteristics by Subjects (n=480)
    General and Practice Related Characteristics by Subjects (n=480)
  • [ Table 2. ]  Degree of Clinical Practice by Organizations in Accordance with Practice Related Characteristics
    Degree of Clinical Practice by Organizations in Accordance with Practice Related Characteristics
  • [ Table 3. ]  Experience of Clinical Test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Practice Related
    Experience of Clinical Test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Practice Related
  • [ Table 4. ]  The Factor that Affecting Degree of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 Test Performance
    The Factor that Affecting Degree of Satisfaction for Clinical Practice Test Performance
  • [ Table 5. ]  The Factor that Affecting Experience for Clinical Practice Test Performance
    The Factor that Affecting Experience for Clinical Practice Test Performance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