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디지털 환경 기반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urriculum Design based on Digital Environment for the Private Certificates of Reading Instruction
  • 비영리 CC BY-NC
ABSTRACT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로 인해 독서의 전반적인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디지털 환경 기반에서 효과적인 독서지도를 수행할 수 있는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교육과정을 새롭게 마련하고자 추진되었다. 이를 위해 디지털 환경으로 변화된 독서 패러다임에 대한 고찰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국내 외 주요 교육과정 사례에 대한 심층적 검토와 분석을 통해 특장점을 모색한 후, 독서지도 분야 전문가들에 대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의견수렴과 검증 작업을 거쳐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디지털 환경 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교육과정은 디지털 환경으로 변화된 독서지도의 주요 기능 및 목적을 달성하고 이를 독서지도 현장에서 제대로 적용시킬 수 있도록 6가지의 교육영역, 21가지의 교과목, 82가지의 교과내용으로 각각 구성되어 설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urriculum for the private certificates of reading instruction newly which can perform a reading instruction effectively in digital environment as the digital technology has changed the overall paradigm of reading. The curriculum for the private certificates of reading instruction was designed and proposed finally through deriving the implications over an study of the changes about reading paradigm in digital environment, searching the features and benefits over an in-depth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urriculum practices for training reading specialist, collecting the opinions and verification work over a Delphi survey of experts in the field of reading instruction. The finally developed curriculum consists of 6 kinds of training area, 21 kinds of subject and 82 kinds of training course content respectively to achieve the main function and purpose of the changed reading instruction in digital environment and in order to train reading specialist capable of applying properly them in reading instruction field.

KEYWORD
독서지도 , 독서교육 , 독서지도 전문가 , 교육과정 , 디지털 환경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자기주도적 학습이 중시되는 지식정보사회에서는 학습자가 스스로 정보를 선택하여 문제 해결을 추구하는 문제해결능력과 독서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기존의 전통적인 관점에서의 단순한 읽기나 독해 위주로서의 독서의 관점이 아니라 정보를 해석, 분석, 종합하는 일련의 정보능력 과정으로서 독서를 통하여 교과의 학습능력을 제고 시킨다는 점에서 모든 학습 영역에서 독서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공교육 현장에서 독서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지도자는 사서와 교사 집단으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등 각종 민간영역에서 독서교육 또는 독서지도를 담당하는 지도자는 독서지도 민간자격을 소지한 전문가 집단으로 각각 나누어 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의 독서교육 및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은 국가기관이나 공인된 공교육 기관이 아니라 각종 민간기관에서 다양한 독서지도 관련 자격과정을 운영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민간기관에서 독서지도 관련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시도는 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라는 곳에서 시작하였고, 현재는 각 대학의 평생교육원, 한국독서학회 등 다양한 민간기관들에서 양성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민간기관의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은 공적으로 입증할만한 교육과정의 신뢰성에는 일부 한계가 있고, 교육프로그램의 운영과정에서 본래의 취지에서 벗어나 영리적인 방향으로 흐리기 쉽다는 우려도 있어 자칫 독서지도 및 교육의 질적 저하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에 민간기관이 배출하고 있는 독서지도 전문가가 제대로 된 교육과정과 프로그램으로 바람직한 양성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지 점검하고 그 개선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디지털 기술에 의한 환경 변화는 독서를 하는 사람들에게 읽기와 쓰기 양식, 독서태도 등 많은 부분에 있어서 변화를 가져다주고 있다. 그동안 전통적으로 문자가 중심을 이루던 독서환경에서 한 번의 클릭만으로도 엄청난 양의 정보를 검색을 통해서 읽어내는 디지털 독서형태로 변모함에 따라, 이제 인터넷상의 웹사이트나 파일 형태의 전자출판물을 포함하여 ‘수많은 정보와 지식을 담고 있는 독서자료를 분석, 종합, 추론, 판단하는 능동적이며 주체적인 사고 과정’으로서의 독서가 자리잡고 있다(고수진 2007, 14). 이런 독서의 제반 환경 및 개념이 전반적으로 바뀌는 독서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독서지도에서도 디지털 환경에 기반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필요로 하고 있다.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 제대로 적용시킬 수 있는 새로운 독서 지도 교육과정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환경으로 변화되고 있는 독서매체, 독서개념 및 독서 방식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와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련된 연구와 검토는 아직까지 미흡한 상황이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독서지도 및 교육 현장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교육과정들은 이러한 점들에 대한 충분한 논의나 성찰이 없이 디지털 독서환경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과 고찰을 통해 디지털 환경에 제대로 대처하고 적용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새롭게 설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현재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독서지도 민간자격 중에서 한국전문대학문헌정보과교육협의회에서 주도적으로 관여하여 거의 유일하게 문헌정보학적 기반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한국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에 개설된 ‘어린이독서지도사’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개선함으로서, 디지털 환경의 도서관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바람직한 독서지도 전문가의 양성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내용을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첫째, 현재의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도출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운영되고 있는 독서지도 관련 민간자격의 종류 및 운영현황을 조사·분석한다. 둘째, 디지털 환경에서의 독서 패러다임 변화를 정의하고 분석하여, 디지털 환경에 맞는 새로운 독서지도 전략을 구성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셋째,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국내⋅외의 주요 교육과정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새로운 독서지도 민간자격 교육과정을 개발하기위한시사점을 도출하고 설계과정에 반영한다. 넷째, 이론적 토대와 도출된 시사점, 우수사례 분석 등을 통해 디지털 환경 기반에서 적용할 수 있는 독서지도 민간자격 교육과정 설계 최초안을 제시한다. 다섯째, 독서지도 분야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수렴 및 검토 과정을 거쳐, 최초로 고안된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디지털 환경 기반 교육과정 설계안을 검증하고 수정한다.

    본고는 위에서 열거한 본 연구의 내용을 수행하기 위해서 문헌조사, 사례조사, 델파이 조사 등 아래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하여 심층적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독서지도의 개념 및 필요성을 제대로 정의하고 국내⋅외 독서지도 및 독서교육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를 파악하고자 각종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둘째, 현재 우리나라에서 독서지도 관련 자격을 수여하는 단체는 어떤 것이 있고, 그 운영 현황은 어떻게 되는 지 등을 고찰하기 위하여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종류, 현황에 대한 관련 문헌 및 인터넷 사이트 등을 검토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디지털 환경에서의 독서 매체 및 개념의 변화, 독서방식의 변화, 디지털기반 독서전략에 대한 정의 및 분석을 위하여 다양한 선행연구 및 문헌을 조사하고 검토하였다. 넷째, 현행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 및 시사점 도출을 위해 국내 외 교육과정의 주요 사례를 문헌 및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조사 분석하였다. 다섯째, 제시된 독서지도 민간자격 교육과정 설계안의 적절성 및 타당성 평가를 통해 객관적인 검증 및 수정을 할 수 있도록 독서지도 분야의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특히 델파이 조사는 교육목표나 방향의 설정, 교육과정의 수립 등과 같이 여러 전문가들이 중지를 모으고, 여러 상이한 견해들을 조율⋅수렴하여 합의된 의견을 도출할 필요가 있을 때 자주 사용한다(최병모, 김정호, 이준혁 2005, 56). 본 연구에서는 ‘독서지도 민간자격’과 관련된 교육과정 및 방법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독서지도 민간자격 부여를 위한 교육과정의 기본방향과 주요 내용을 탐색하는 데에는 무리가 따른다고 판단되어 연구의 목적을 가장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방법으로 델파이 조사 방법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델파이 조사는 전 단계 연구 과정에서 수행된 문헌연구 분석 결과에 따라 개발된 교육영역, 교과목 및 교과내용을 기초로 하여 그 적절성을 평가하고, 내용적 타당성과 함께 제시된 교육영역, 교과목, 교과내용들이 계층적으로 적절한 그룹에 구분되거나 그룹핑 되었는지에 대한 적절성을 주로 검증하도록 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선행연구

    지금까지 독서지도와 관련된 연구는 주로 독서지도의 효과, 독서지도 실태, 독서지도 방안 등에 집중되어 수행되어 왔었고, 독서지도 전문가와 관련된 연구는 독서지도 분야 전문가 양성 및 자질, 교육프로그램분석 등 관련된 점을 중심으로 아주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아래에서는 본 연구와 밀접하게 관련된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 및 교육과정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이삼형, 박희찬, 정옥년(2001)은 ‘독서교육 전문가 역할과 양성’이라는 연구를 통하여 독서교육 전문가의 역할, 자질 및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독서교육 전문가의 역할을 세가지 범주로 분류하고 독서교육 전문가에 필요한 아홉 가지 자질을 제시하였다.

    이정희(2003)는 독서지도사 양성기관의 프로그램을 대학교 부설 사회교육원, 민간단체의 두범주로 나누어 양성과정의 전반적인 현황을 살펴보고, 각 양성기관과 수강자 및 독서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교육실태 및 요구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독서지도사 양성 프로그램 운영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명희(2007)는 미국 19개 문헌정보학 대학원의 독서교육 관련 교과목의 내용 구성과 우리나라 32개 대학 문헌정보학과의 독서교육 관련 교과목의 운용상태를 조사⋅분석하여 대학 문헌정보학과의 사서교사 양성 과정과 관련한 독서교육 관련 교과목의 운용 체계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변우열(2008)은 독서교육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자질을 살펴보고, 미국, 일본, 우리나라의 독서 교육 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특징 및 교과과정을 각 각 비교하여 독서교육 지도자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 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미국의 독서교육 지도자 양성프로그램은 교육학과 국어교과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문해교육을 중시하고 있으며, 일본은 독서교육의 학문적 체계를 중시하고 여러 가지 독서활동을 강조하며, 독서교육과 관련된 인접학문을 강조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는 국어교과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읽기와 독해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분석하였다. 그래서 독서교육 지도자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독서의 3요소인 독자, 독서자료, 지도자를 중심으로 하고, 여기에 이론과 철학을 포함시키고, 교육경험과 실습을 강조하며, 독서교육과 관련이 있는 인접학문을 포괄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이만수(2009)는 독서교육에 관련하여 자격을 수여하고 있는 민간단체를 조사하고 그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를 통해, 독서교육 관련 민간자격의 교육과정들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독서교육과 관련하여 자격을 수여하는 민간단체가 지나치게 많고, 수여되는 자격증도 주로 민간자격으로서 독서지도사, 논술지도사, 독서치료사, 독서코치 등으로 나눌 수 있음을 밝히고, 독서교육과 관련된 자격증 수여는 민간자격이라도 통합 관리하는 주체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백혜림(2013)은 특정 독서 분야의 교육과정을 수료하고 자격증까지 취득하는 독서관련 자격증 교육과 사서직의 독서전문가로서의 전문성 신장과의 상관성을 조사하여, 독서관련 자격증 교육을 활용한 독서전문가로서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주로 살펴본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과 관련된 연구의 연장선에서 본 연구는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국내․외의 주요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디지털 기술로 변화되고 있는 독서환경을 고찰하여 현재의 디지털 독서환경 기반에서 새롭게 요구되는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교육과정을 설계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2. 독서지도의 개념 및 필요성

    가. 독서지도의 개념

    독서지도는 독서교육과 흔히 혼용하여 사용되는 데, 때에 따라서는 독서지도와 독서교육을 구분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독서지도는 광의적인 개념으로는 독서에 의한 인간 형성이라는 의미로 독서교육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며, 협의적인 개념으로는 독서교육의 방법론과 그 실천적 접근을 중심으로 해서 인간형성을 위한 독서하는 태도, 지식, 기술, 능력, 흥미, 습관의 형성 및 개발의 지도를 말한다(양재한, 김수경, 김석임 2013, 73). 즉 개개 아동이 당면하고 있는 생활 현실과 관련하여 그들의 모든 인식 능력의 발달에 비추어 가면서 독서활동을 통하여 사물을 보고, 느끼고, 생각하는 방법을 기르고 배우게 하는 독서교육의 실천적 활동을 의미한다.

    광의적인 개념의 독서지도는‘초보단계의문자지도 및 독해 지도에서 부터 도서의 선택과 효과적인 독서 기술 지도에 이르기까지 글과 책을 다루는 모든 행위’를 그 범주에 포함시킨 개념이며, 협의적인 개념에서의 독서지도란 독서에 의한 인간 교육의 방법론과 그 실천적 접근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한 범주 중 문자의 해독과 독해를 중심으로 한 ‘읽기 지도’ 또는 ‘독해 지도’를 제외한 범주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학자에따라서는상기한두개념중전자를‘독서교육’, 후자를 ‘독서지도’로 구분하여 정의를 내리는 이도 있지만, 독서지도가 가지고 있는 기능을 보면 언제, 어디서, 어떻게, 어떤 자료를 어떠한 발달 단계에 있는 사람이 어떠한 목적의 필요에 따라서 독서하는 것이 좋은 것인가의 방법⋅기술에 관한 지도만이 아니라 그러한 지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려면 읽어서 이해하고 비판하는 기능을 포함한 독서 활동의 지도, 즉 독해기능에 관한지도까지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독서지도’는 ‘독서교육’의 하위 개념이 아니라 동등 개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손정표 2010, 89-90). 독서지도의 의의는 한마디로 개인이 당면하고 있는 현실 생활과 관련하여 그들의 모든 인식 능력의 발달에 비추어 가면서 독서 활동을 통하여 사물을 보고, 느끼고, 생각하는 방법을 기르고 배우게 하는 독서를 통한 인간교육의 실천적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나. 독서지도의 필요성

    고도로 발달된 인쇄문화 속에서 생활하고 있는 현대인들은 싫든 좋든 간에 독서와 동떨어진 생활을 해나가기 어렵다. 향상된 생활을 기대하고 자신의 충실한 생활을 추구하려한다면 무엇보다 생활경험을 풍부하게 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독서를 통한 경험 확장이 필요한 것이다. 비록 학교 교육에서 국어교육을 받았다고 해서 누구나 제대로 된 독서를 지속적으로 추구한다고 볼 수 없다. 또한 독서를 지속적으로 많이 한다고 해서 반드시 올바른 독서를 한다고 말할 수도 없다. 특히 현대사회에서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매체들의 등장으로 전통적인 독서의 저해요인도 다양해져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시점에서 올바른 독서태도와 습관, 독서 방법과 기술의 습득으로부터 건전한 독서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계획적이고 의도적인 독서지도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청된다.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독서지도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이 열거할 수 있다(손정표 2010, 91).

    ① 올바른 독서 습관을 기르고 스스로 독서하는 태도를 기른다. ② 정보의 홍수 속에서 독서자료 선택의 능력을 기르고 독서 흥미의 편향을 막고 균형잡힌 독서를 할 수 있다. ③ 성장 과정에 필요한 이해력과 감상력을 증진시켜 독서 효과를 높인다. ④ 독서를 통한 사고력 증진과 실질적인 응용능력을 기른다. ⑤ 독서문제아를 사전에 예방하고 치료하여 인성 교육과 생활 지도의 효과적인 방법이 된다.

       3. 독서지도 민간자격 종류 및 현황

    현재 우리나라에서 발행되고 있는 독서지도 민간자격1)은 그 종류와 발급기관이 상당히 다양한 실정이다. 먼저 자격증의 종류로는 독서지도사, 어린이독서지도사, 미국교과영어독서지도사, 미술독서지도사, 북라이크 독서지도사, 브레인창의독서지도사, 서양고전독서지도사, 성품독서지도사, 쑥쑥영어독서지도사, 아동독서지도사, 어린이영어독서지도사, 영어독서지도사, 영어동화독서지도사, 유아독서지도사, 융합몰입독서지도사, 융합몰입영어독서지도사, 재능독서지도사, 진로독서지도사, 창의독서지도사, 통합독서지도사, 학습만화독서지도사등을 들 수 있다. 학계에서 논란은 있으나 유사 자격증인 논술지도, 독서코칭 등의 관련 자격까지 포함하면 그 종류는 훨씬 더 늘어나는데, 논술지도 관련 자격증의 종류로는 논술지도사, 역사논술지도사, 토론논술지도사, 방과후독서논술지도사, 독서논술지도사, 몬테쏘리독서논술지도사, 중등논술지도사, 논리논술지도사, 중등통합논술지도사, 독서코칭 관련 자격증의 종류로는 독서코칭지도사, 독서코칭상담사, 독서코칭전문가, 독서코치, 책놀이독서코치지도사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의 주 대상인 독서지도 민간자격증의 종류와 그 자격관리단체를 정리하면 아래 <표 1>과 같다(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표 1>]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종류 및 자격관리기관 현황

    label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종류 및 자격관리기관 현황

    독서지도사는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 평가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학생들에게 체계적인 독서지도를 통해 책의 내용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을 심어주는 교사의 역할을 하며, 독서교육에 대한 학습상담 및 교육적 자문을 수행하기도 한다. 현재 독서지도의 대상 및 주제에 따라 영어독서지도사, 진로독서지도사, 유아독서지도사 등으로 세분화가 이루어지고 있기도 하다. 독서지도사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국가자격시험 등을 통해서가 아니라 민간자격취득을 통해서 가능하다. 현재 다수의 민간기관에서 별도의 응시자격과 검정기준을 가지고 독서지도사 자격시험을 시행하고 있다. 2014년 7월 현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민간자격관리운영센터에 등록된 독서지도사 민간자격증 발급 기관은 114개소에 이르고 있다. 발급기관마다 독서지도사의 성격과 활용도가 다르고 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육내용 구성도 제각각의 특성에 맞게 이루어지고 있다.

    유사자격이라고 할 수 있는 논술지도사는 아동과 학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글쓰기 지도, 토론 및 표현 기법, 문학과 신문사설 분석, 논술교육 등을 가르치고 지도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현재 논술지도의 주제 및 대상에 따라 역사논술지도사, 과학논술지도사, 중등논술지도사 등으로 세분화가 이루어지고 있기도 하다. 독서지도사와 마찬가지로 논술지도사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국가자격시험 등을 통해서가 아니라 민간자격 취득을 통해서 가능하다. 현재 다수의 민간기관에서 별도의 응시자격과 검정기준을 가지고 논술지도사 자격시험을 시행하고 있다. 논술지도사가 진출하는 분야로는 관련 사설학원을 운영하거나 논술강사 또는 초등학교 특기적성 교사 등으로 활동할 수도 있다. 2014년 7월 현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민간자격관리운영센터에 등록된 논술지도사 민간자격증 발급 기관은 130개소에 이르고 있다.

    독서코칭지도사는 독자가 효율적으로 책을 읽고 그 내용을 효과적으로 이해한 후에 삶에 적용할 수 있도록 독서를 매개로 코칭을 받는 사람의 잠재력을 최대로 끌어 올리기 위한 코칭 스킬과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전문가이다. 독서코칭은 독자가 당면한 많은 문제들속에서 책을 통해서 스스로 판단하고 헤쳐 나갈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돕는 것으로, 책을 읽고 과거와 현재, 미래의 문제들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함으로써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는 역량을 기르도록 돕기 위한 독서법 콘텐츠다. 독서지도사와 마찬가지로 독서코칭지도사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국가자격시험 등을 통해서가 아니라 민간자격 취득을 통해서 가능하다. 현재 다수의 민간기관에서 별도의 응시자격과 검정기준을 가지고 독서코칭지도사, 독서코칭전문가, 독서코치 등의 자격시험을 시행하고 있다. 2014년 7월 현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민간자격관리운영센터에 등록된 독서코칭지도사 민간자격증 발급 기관은 12개소에 이르고 있다. 독서코칭전문가는 독서의 과정을 통해 당면 문제 등을 해결해나가도록 돕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독서교육전문가로 꼽히고 있다.

    Ⅲ. 디지털 환경에서의 독서

       1. 독서매체 및 개념의 변화

    가. 독서매체의 변화

    현대 사회 미디어 환경의 핵심은 디지털 기술이라고 할수 있고, 이런 디지털 기술에 기반한 현재의 독서환경은 무엇보다도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조성으로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미디어 환경이 급속히 변화하면서 말과 문장에 기반하던 정보의 내용과 정보 전달 방식이 이전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말과 문장에 기반하던 정보 전달이 점차 디지털 방식에 기대면서 문자보다는 영상과 소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정보 자체가 문자에서 시청각적인 것으로 변화함에 따라 우리가 정보를 대하는 태도가 바뀌게 되고 디지털 정보처리 방식에 의해 정보에 접근해 가는 방법 또한 달라지고 있다(최병우2000, 31). 문자, 영상, 동영상, 음성(음향) 등이 다매체 환경에서 디지털 통신 기술과 결합하여 자유롭게 교환되고, 또한 대중미디어를 통해 이용됨으로써 문자보다는 시청각적인 코드가 중심을 이루는 형태의 정보가 증가하게 되었다. 이는 전통적으로 문자가 중심을 이루던 독서환경에 적지 않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즉, 디지털 다매체 환경에서 독자들은 읽기 보다 보기를 지향하게 된다. 디지털 미디어 환경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 정보는 전통적인 독서 매체였던 인쇄물의 선형적, 순차적 구성 형태를 벗어나, 정보의 홍수 속에서 필요한 정보를 보다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적 대안을 강구하게 된다(김미량 2000, 66).

    이러한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결과론적으로 독서 매체의 확장을 가져왔다. 즉 책으로 대표되던 인쇄매체는 물론, 소리, 음성, 그래픽, 애니메이션, 비디오, 동영상 등 여러 유형의 매체가 통합되는 환경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디지털 환경에서의 새로운 개념의 독서환경은 하이퍼텍스트, 하이퍼미디어, 멀티미디어 등의 세가지 개념으로 대표되며 이 개념들이 통합적으로 적용된 새로운 독서공간을 웹이라고 할 수 있다(김미량 2000, 70). 하이퍼텍스트, 멀티미디어, 하이퍼미디어는 매체와 매체 사이의 다양한 상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상호작용적 특성과 여러 가지 코드가 통합적으로 구현되는 복합적 특성과 밀접하게 관련되며 웹은 디지털 정보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호 연결되는 정보 네트워크적 특성과 관련된다. 이러한 현상과 특성들은 독서매체가 인쇄매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디지털미디어로 확장되는 계기를 가져왔으며 비선형적인 읽기라는 새로운 독서방식의 출현을 가능하게 하였다.

    나. 독서 개념의 변화

    독서는 전통적으로 문자화된 글을 읽는 것을 가리켜 왔다. 그러나 오늘날의 다매체 환경에서의 독서는글을해독하는단순한차원을넘어서는정보이해능력이요구되고있으며, 정보를 받아들이는 통로 또한 글이나 책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그래서 독서를 단순히 문자의 해독수준에서 이해하기 보다는 정보처리 과정과 내용처리 과정을 함께 고려하여 그 사회가 요구하는 지적 정보 습득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새롭게 정의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현대의 독서 개념은 이제 인터넷상의 웹사이트나 파일 형태의 전자출판물을 포함하여 ‘수많은 정보와 지식을 담고 있는 독서자료를 분석, 종합, 추론, 판단하는 능동적이며 주체적 인사고 과정’으로 정리할 수 있다(고수진 2007, 14).

    오늘날 변화하고 있는 독서의 개념을 크게 세가지 관점으로 정리하자면, 첫째, ‘문자중심의 독서에서 시청각 중심의 독서로 변화’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는 디지털 시대에 여러가지 코드가 동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즉 디지털 미디어가 지닌 멀티미디어적 속성과 직결된다. 하나의 화면 속에 문자와 영상, 소리, 음악, 음향, 동영상 등이 함께 공존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는 독서는 문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것에서 벗어나 시각과 청각 모두를 활용하는 새로운 형식의 독서로 변화할 수 밖에 없다. 둘째, ‘심화형 독서에서 확산형 독서로의 변화’를 말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미디어가 지닌 하이퍼텍스트적인 속성에 기인한다. 독자는 글을 읽으면서 마음가는대로 얼마든지 하이퍼링크 함으로써 텍스트를 순차적으로 읽지 않고 하이퍼텍스트상의 여기저기를 옮겨다니면서 비순차적으로 여러 자료들을 함께 읽는 확산형 독서를 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일방형 독서에서 양방형 독서로의 변화’이다. 이는 디지털 미디어가 지닌 상호작용적인 속성에 기인한 것이다. 기존에는 작자의 글을 주어진대로 받아 들이기만 하는 일방향적인 독서가 일반적이었지만,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진 디지털 미디어가 보편화되면서 작자와 자유롭게 소통하면서 작자의 글쓰기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기도하고 작자의 도움을 받으면서 글을 읽을 수도 있는 양방향적인 독서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최병우 2006, 63).

       2. 독서방식의 변화

    독서방식 즉, 읽기의 방법은 시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인다. 역사적으로 읽기는 ‘음독’에서 ‘묵독’을 거쳐 ‘시청각으로 읽기(영상미디어 감상)’와 ‘반응적 읽기(인터넷 읽기)’의 단계로 변화해 왔다(최병우, 2006). 과학기술의 발달로 사진이 등장하고 영화나 비디오 등이 새로운 미디어로 등장하자 전통적인 독서 방식에 덧붙여 등장한 것이 ‘시청각으로 읽기’이다. 이는 영상 미디어를 보고 시청각을 동원하여 그 내용을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영상미디어는 책에 비해 읽기의 과정이 매우 수동적이며 인간의 상상력이나 사고력을 약화시킨다는 비판도 있는 한편, 인간의 지각을 긴장시켜 비판적인 사고력을 촉진시켜 준다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Benjamin 1983, 58). 어느 것이건 기술 상상력을 동원하여 내용을 이해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읽기 방식과는 구별된다. 그리고 ‘반응적으로 읽기’는 문자, 영상, 음향, 음악, 음성, 동영상 등이 디지털 기술에 의해 복합적으로 구현된 디지털미디어를 통하면서 이루어지는 독서방식이다. 즉 디지털미디어 이용자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중첩시킴으로써 새로운 의미를 찾아가게 되는데, 이때는 기존의 읽기 방식과는 달리 미디어에 반응하며 사유하는 방식으로 읽기의 과정이 변화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양상들을 감안하여 디지털 환경의 영향으로 바뀐 독서방식을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는 읽기보다 보기를 지향한다는 점이다. 이는 지속적인 사색이 필요한 읽기보다는 시청각적인 감각에 의존하는 보기 위주의 독서경향과 직결된다. 둘째는 선형적인 읽기에서 비선형적인 읽기 방식으로 변화하는 점을 들 수 있다. 하나의 정보에 대해 수많은 관련된 자료를 연결시켜 하이퍼링크를 통해 자유자재로 필요한 정보를 검색해 가면서 텍스트를 읽어나가는 것이 디지털미디어 환경에서 가능해진 것이다. 셋째는 진지한 글 읽기에서 빠르고 가벼운 글 읽기로의 변모를 들 수 있다. 이는 앞의 두 가지 독서 방식, 즉 보기를 지향하고 비선형적인 읽기 방식으로 변화하는 양상의 자연스러운 결과라고 볼 수가 있겠다. 따라서 지적 긴장을 수반해야 하는 진지한 글 읽기는 인쇄매체인 책에 의존하게 되고,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는 정보를 확인하는 수준의 빠르고 가벼운 독서가 주류를 이루는 경향을 띠게 되는 것이다(최병우 2000, 33).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독서지도 민간자격에 대한 교육과정은 디지털 기술로 변화된 이러한 오늘날의 독서 패러다임을 제대로 분석⋅검토하여, 궁극적으로 디지털 기반환경에서 효과적인 독서지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그 시사점을 <그림 1>에서와 같이 설정하고자 한다.

       3. 디지털 기반 독서전략

    디지털 기반 독서는 시⋅공간적 제한을 극복하도록 도와줌으로써 독자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하이퍼텍스트와 하이퍼링크를 통해서 필요한 자료의 검색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독서의 필수적인 요소인 배경지식을 전통적인 독서에서보다 디지털 기반 독서에서 훨씬 많이 축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디지털 기반 독서는 필요한 배경 지식과 간접 체험을 극대화하도록 독서의 계기나 동기를 부여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주체적이며 능동적으로 독서 행위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디지털 기반의 독서 또한 문자 해독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전통적인 독서 전략을 디지털 기반에서 그대로 활용할 수도 있겠지만,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독서전략을 제대로 차별화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기반의 새로운 독서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

    최영임(2014)은 ‘웹 기반 독서전략 모형 연구’에서 다수의 이용자가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웹 기반 독서전략 모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디지털 기반 독서전략 모형 구축에 대한 이론적 기초의 마련과 함께 독서교육 현장에서의 응용을 활성화하려는 목적을 가진다고 밝히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웹 기반의 접근 독서 패러다임에서 기존의 독서 전략보다 더 효과적이거나 강조되어야 할 전략들을 소개하고 있는데, 이는 이용자가 원하는 자료를 검색하여 분석한 뒤 적절한 자료를 읽고 자신의 느낌이나 감상을 글쓰기를 통하여 정리하며, 다른 사람들과의 평가를 통하여 내면화되는 과정에서 각 단계별로 필요한 전략들을 말한다. 결과적으로, 웹이나 디지털 기반에서 효과적인 독서를 위해 독서의 궁극적인 목적을 주요 키워드로 삼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6가지 요소를 추출하여 최종적인 웹 기반 독서전략 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있는데, 그 상세한 구성 요인은 아래 <표 2>와 같다.

    [<표 2>] 웹 기반 독서전략 구성 요인(최영임 2014, 52)

    label

    웹 기반 독서전략 구성 요인(최영임 2014, 52)

    Ⅳ.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 교육과정 사례 분석

       1. IRA의 독서지도 전문가 기준

    IRA(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국제독서협회)는 이미 1960년대에 독서지도 전문가가 갖추어야 할 기본자질, 양성 프로그램, 교육과정 및 지도법 등을 포괄하는 「독서지도 전문가에 대한 기준(Standards for Reading Professionals)」을 제시하고 있고, 그 이후 여러 차례 개정이 이루어졌었는데 가장 최근의 개정판이 2010년에 개정된 기준이다. IRA에서는 독서지도 전문가에 대하여 학교나 지역의 독서 능력을 향상시키는 목적을 가진 전문가로서, 독서지도 교육, 독서코칭 및 학교 독서프로그램을 선도하는 임무를 가진다고 적시하고 있다. 특히 독서지도 전문가는 독서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위한 교사의 역할, 학교나 지역 단위 독서 및 문해 프로그램의 독서/문해 코치 또는 코디네이터의 역할, 이러한 점들이 조합된 복합 역할 등을 수행한다. 이러한 역할을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보자면, 첫째 학교는 물론 지역 사회에서 독서 부진아를 위해 집중적인 보충교육을 수행하는 교사의 역할을 수행한다. 둘째, 교사들에게 학생들의 학습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지도 프로그램을 개선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수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것의 실천을 지원하여 교사들의 전문성을 개발하는데 기여하는 독서 코치 혹은 문해 코치 역할을 수행한다. 셋째, 지역이나 학교의 독서 및 문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도하고, 평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독서지도 코디네이터 역할을 수행한다.

    IRA는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에 대해서는 독서지도 전문가에 대한 기준(Standards for Reading Professionals) 의 ‘기준 2. 교육과정과 지도법’에서 다루고 있는데, 그것을 정리하면 아래 <표 3>과 같다.

    [<표 3>] IRA(국제독서협회)의 ‘교육과정 및 지도법’ 기준(IRA 2010)

    label

    IRA(국제독서협회)의 ‘교육과정 및 지도법’ 기준(IRA 2010)

       2. ALSC의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미국도서관협회의 어린이도서관 분과에서는 교육 과정 중의 하나로서 ‘독서지도 및 아동 도서(Reading Instruction and Children’s Books)’를 운영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는 주로 어린이도서관사서들에게 독서지도를 위한 다양한 방법론에 대한 이해와 학생들의학년별 수준에 맞는 독서자료를 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어린이들이 읽을 필요가 있는 책, 연속간행물, 웹사이트, 기타 자료들을 평가하는 법을 교육한다. 사서들은 이 과정을 통하여 부모들에게 학년별 수준에 맞는 독서자료 선정에 대한 설명을 제대로 할 수 있고, 교사 및 어린이들과 보다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전략을 기를 수 있는 것이다. ALSC(미국도서관협회 어린이도서관분과 The Association for Library Service to Children)에서 개설하고 있는 ‘독서지도 및 아동도서(Reading Instruction and Children's Books)’의 교육과정은 아래와 같이 5가지 큰 범주의 교육영역으로 정리할 수 있다(ALSC 2014, Home Page).

    어린이 독서자료 선택 어린이 독서지도 방법 수준별 독서자료 도서관이용자의 읽기 지도 독서지도 주체별 지도방법

       3. 버지니아대학의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미국에서는 IRA(국제독서협회)의 ‘독서지도 전문가를 위한 기준(Standards for Reading Professionals(2010))’에 근거하여 각 주 및 대학별로 각기 차별된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 과정을 운영하고 있는데, 먼저 버지니아대학교 교육대학(University of Virginia, Curry School of Education)에서 운영하고 있는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을 살펴본다. 버지니아대학의 독서 지도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은 독서전문가(Reading Specialist) 자격의 교육을 위해 주정부에 의해 인가된 과정이다. 이 프로그램의 교육과정은 유치원에서 고등학교 3학년까지를 모두 지도할 수 있는 과정으로서 전체 30학점으로 운영되는데, 독서 분야의 24학점과 유사 분야의 6학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한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다.

    [<표 4>] 버지니아대학 독서지도 전문가 과정의 ‘교육과정’(University of Virginia 2014)

    label

    버지니아대학 독서지도 전문가 과정의 ‘교육과정’(University of Virginia 2014)

       4. 피츠버그대학의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교육대학(University of Pittsburgh School of Education)에서 운영하고 있는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은 대학원 석사과정과 자격 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IRA(국제독서협회)의‘독서지도 전문가를 위한 기준(Standards for Reading Professionals (2010))에 제시된 사항들을 따르고 있으며, 유치원생에서부터 고등학교 3학년 학생까지 전체를 지도할 수 있는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 과정이다. 본 과정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교사 자격이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선수과목으로 이수되어야 할 21학점과 본 과정의 24학점으로 전체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있다. 상세한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다.

    [<표 5>] 피츠버그대학 독서지도 전문가 과정의 ‘교육과정’(University of Pittsburgh 2014)

    label

    피츠버그대학 독서지도 전문가 과정의 ‘교육과정’(University of Pittsburgh 2014)

       5. 한국독서학회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한국독서학회는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을 위하여 2000년 후반부터 특별위원회를 구성하여 ‘독서 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자격규정과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실시하였고, 이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2003년 6월에 독서교육 전문가의 유형과 자격규정 그리고 표준 교육과정 및 운영지침을 제시하였다. 한국독서학회에서 규정하고 있는 독서교육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의 표준교육과정은 1, 2, 3급 지도자 과정 모두 120시간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교과목은 단계별로 7개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과정은 3급, 2급, 1급의 단계별 심화과정 형식으로 편성되어 있는데, 각 단계별 상세한 교육과정은 아래 <표 6>과 같다.

    [<표 6>] 한국독서학회의 독서교육 전문가 과정 ‘표준 교육과정’(한국독서학회 2014)

    label

    한국독서학회의 독서교육 전문가 과정 ‘표준 교육과정’(한국독서학회 2014)

       6. 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의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는 1992년 우리나라 최초로 독서지도전문가 양성과정을 개설한 후, 민간 영역에서 우리나라의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에 큰 기여를 해온 기관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에서는 현재 독서·토론·논술 분야의 다양한 전문가 양성과정을 운영하고 있는데, 특히 독서지도 전문가 과정은 어린이와 청소년의 독서지도를 담당하는 ‘독서지도사’와 유아기 아동의 독서지도를 담당하는 ‘유아독서지도사’로 구분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상세한 교육과정은 아래 <표 7>과 같다.

    [<표 7>] 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의 ‘독서지도사’ 교육과정(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 2014)

    label

    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의 ‘독서지도사’ 교육과정(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 2014)

       7. 한국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한국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에서는 전국 대학의 평생교육원을 통하여 학부모, 교사, 학부생이나 대학원생 등 독서지도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특히 2002년에 개설된 ‘어린이독서지도사’ 과정은 도서관에서의 전문적인 독서지도를 위한 사서-어린이-부모-전문가를 연결해줄 수 있는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한국전문대학문헌정보과교육협의회’ 차원에서 주도하여 개설된 자격 과정이다. 그 결과 현재 전국의 모든 전문대학 문헌정보과와 문헌정보학 전공이 있는 4년제 대학 몇개교에서 ‘어린이독서지도사’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현재 우리나라에 개설되어 있는 대다수의 독서지도 민간자격들이 어문학, 교육학 등의 학문적 기반위에서 설계되고 운영 중인데 반해서 거의 유일하게 ‘문헌정보학’의 학문적 기반으로 설계되고 운영되는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으로 꼽을 수 있다. 현재, 14개 교과목 총 120시간의 과정으로 구성되어진 상세한 교육과정은 아래 <표 8>과 같다.

    [<표 8>] 한국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의 ‘어린이독서지도사’ 교육과정(한국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 2014)

    label

    한국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의 ‘어린이독서지도사’ 교육과정(한국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 2014)

    Ⅴ. 디지털 환경 기반 교육과정 설계

       1. 최초안 설계

    먼저, 본 연구는 현재의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종류, 현황에 대한 분석 및 평가를 통해 기존의 민간자격 교육과정에서 개선해야할 점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이 개발되도록 시도하였다. 둘째, 디지털 환경에서의 독서매체 및 개념의 변화, 독서방식의 변화, 디지털기반 독서전략 등 디지털 환경에서의 독서 패러다임 변화를 정의하고 분석하여, 변화되고 있는 독서 패러다임 및 환경에 맞는 새로운 독서지도 전략에 중점을 두고 디지털 환경 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셋째,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국내·외 양성 프로그램의 교육과정 특히 IRA 기준 및 ALSC의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적극적으로 벤치마킹하여 국제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표준 교육영역과 교과목이 교육과정에 반영되도록 하였다. 이런 점을 종합하여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디지털 환경 기반 교육과정 개발을위해 1차로 제시된 교육과정 체계는 크게 교육순서, 교육영역, 교과목, 교과내용의 네 가지 요소로 설정하였다.

    네 가지 구성요소에 따라 구체적인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디지털 환경 기반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는데, 첫째, 교육순서와 교육영역은 문헌연구 및 사례분석 등에 기반하여 ‘정보리터러시, 발달단계와 독서교육, 독서자료, 독서 지도방법, 독서진단 및 치료, 독서평가, 독서환경 및 독서운동’의 순서대로 일곱 가지 순서와 영역을 설정하였다. 둘째, 각 교육영역에서는 영역별 성격을 고려하여 교과목을 설정하였는데, ‘정보리터러시’ 영역에서는 ‘리터러시 개념, 리터러시 능력, 리터러시 교육’을, ‘발달단계와 독서교육’ 영역에서는 ‘어린이 발달단계와 독서교육, 어린이 독서지도’를, ‘독서자료’ 영역에서는 ‘독서자료에 대한 이해, 독서자료의 활용, 디지털 자료에 대한 이해’를, ‘독서 지도방법’ 영역에서는 ‘읽기를 통한 독서지도, 독서토론을 통한 독서지도, 예술활동을 통한 독서지도, 쓰기를 통한 독서지도, 교과 독서교육, 독서문화 행사 만들기’를, ‘독서진단 및 치료’ 영역에서는 ‘독서문제의 진단, 독서치료, 어린이 독서클리닉, 책읽기를 통한 정신치료’를, ‘독서평가’ 영역에서는 ‘독서자료 평가, 독서력 평가’를, ‘독서환경 및 독서문화운동’ 영역에서는 ‘어린이 독서환경, 독서환경 개선을 위한 독서문화운동, 독서와 윤리’를 각 교과목으로 설정하였다. 셋째, 각 교육영역에 따라 설계된 교과목별로 2~6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교과내용을 구성하였는데, 총 23개의 교과목별 상세한 교과내용을 아래 <표 9>와 같이 설정하였다.

    [<표 9>]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디지털 환경 기반 교육과정 설계 최초안

    label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디지털 환경 기반 교육과정 설계 최초안

       2. 델파이 조사

    가. 델파이 조사의 방향 및 진행

    개발된 교육과정 설계 최초안의 타당성 및 신뢰성 제고 등 수정을 위해 독서지도 관련 전문가 집단 1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부가적으로 실시하여 설계 최초안을 보완하였다. 델파이 조사절차는 일반적인 여론조사와 협의회 방법의 장점을 결합시킨 연구방법으로 델파이 패널들은 절차가 반복되는 동안 피드백된 전 회차의 통계적 집단 반응과 소수의견 보고서를 참고하여 다음회에 자신의 판단을 수정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는 특징이 있다(이종성 2001, 37). 본 연구에서는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와 관련한 선행연구가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감안할 때, 보다 객관적이고 타당한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해서는 전문가 집단을 통한 의견수렴 연구방법인 델파이 조사는 매우 필요하다고 본다. 선행연구 및 사례분석 등을 통해 설계가 완료된 교육과정 설계 최초안에 관해 독서지도 전문가들의 의견을 유도하고 종합하여 집단적 견해로 정리해가는 일련의 절차를 통해 교육과정의 완결성과 타당성을 제고하고자 함이다.

    델파이 조사는 개발된 교육과정 설계 최초안의 구성요인 및 항목 비교표를 기초로 델파이 패널들이 각각의 교육순서, 교육영역, 교과목, 교과내용의 적절성을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내용적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델파이 패널이 제시한 합의결과에 따라, 최종적으로 본 연구를 위한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디지털 환경 기반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는 문헌연구 및 선행 교육과정 사례 분석 등을 통해 도출되었으며, 크게 2가지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첫째, 선행 연구 및 교육과정 분석으로부터 제시된 영역, 과목, 내용이 디지털 환경 기반 위에서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교육영역, 교과목과 교과내용으로서 적절한지를 리커트식 5점 척도에 따라서 평가하도록 하였다. 둘째, 교육순서대로 구성 된 교육영역, 교과목, 교과내용들이 계층적으로 적절한 그룹에 할당되었는지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또한 기존의 교육영역, 교과목, 교과내용에 대해 새롭게 추가시키거나 삭제 또는 변경할 부분이 있으면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 결과를 분석한 후 교육영역의 변경 및 삭제, 교과목 및 교과내용의 삭제⋅변경⋅추가 등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2차 델파이 조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별도로 교육영역 및 교과목의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하여‘교육영역 및 교과목별 중요도 평가 항목’을 추가하였다.

    나. 델파이 조사 패널 구성 및 조사 분석방법

    본 델파이 조사를 위한 패널은 독서지도 및 교육 관련 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대학교 교수 집단을 비롯하여 일선 독서교육 현장의 전문가 그룹, 일선 도서관에서 독서지도를 직접 담당하고 있는 도서관 사서 그룹 등 크게 3개 그룹 10명의 전문가로 구성하였다. 연구오차를 최소화하면서 최대한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델파이 패널의 수를 제시한 Dalkey(1981)의 연구에 따르면 최소한 10명 이상의 패널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Delbeoq와 Van 그리고 Gustafson(1995)의 연구 또한 델파이 패널은10명에서 15명이면 충분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델파이조사 패널 구성의 상세내용은 <표 10>과 같으며,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조사 착수에 앞서 전화와 E-mail로 연구개요와 필요성 및 목적을 설명한 후 참여 동의를 구하였다. 2014년 7월 21일부터 7월 28일까지 진행된 1차 조사와 2014년 8월 4일부터 8월 9일까지 진행된 2차 조사에서 똑같이 100%의 회수율을 보였다.

    [<표 10>] 델파이 조사 패널의 구성

    label

    델파이 조사 패널의 구성

    델파이 조사 분석 방법은 첫째, 교육영역, 교과목 및 교과내용의 적절성 평가, 둘째, 교육영역, 교과목 및 교과내용들이 계층적으로 적절한 그룹에 할당되었는지에 대한 서술식 의견 분석, 셋째, 교육영역, 교과목 및 교과내용에 대해 추가, 삭제 또는 변경할 부분에 대한 서술식 의견 분석 등 크게 3가지로 나누었다. 델파이 조사 설문지의 각 문항에 대한 적절성 평가는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기술통계량을 분석하였으며, 서술식 의견에 대해서는 제시한 의견을 정리하고 의견의 사유 및 동일의견 제시 인원수도 함께 분석하였다.

    1차, 2차 델파이 조사 전부 5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매회 평균이 4.0 이상이며 표준편차가 1.0 이하인 항목은 유지하기로 하였으며 이 때 서술식 의견도 함께 고려하여 삭제, 추가, 변경할 항목을 최종 결정하였다.

    다.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

    1) 1차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

    1차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 전반적으로 교과목을 수정 및 삭제하거나, 교과내용의 구체적인 내용을 수정하거나 추가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그 이유는 교육과정 설계 최초안의 교육영역이나 교과목의 구성, 할당 등 전체적인 틀은 대체로 적절한 것으로 검토하였고 각각의 교과내용은 수정⋅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여진다. 1차 델파이 조사의 종합 분석결과는 <표 11>과 같으며 이는 2차 델파이 조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었다.

    [<표 11>] 1차 델파이 조사 종합 결과

    label

    1차 델파이 조사 종합 결과

    2) 2차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

    2차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는 아래 <표 12>와 같은데 이를 종합해 보면, 교육과정 설계안을 검증하기 위한 6개 교육영역의 기술통계량은 모두가 1차 분석결과와 같이 4.0 이상의 평균값과 1.0 미만의 표준편차를 보였고, 교육영역 1개의 명칭을 수정 변경하고, 교과목 2개를 삭제하여 통합한 것 이외에는 별다른 큰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개의 교육영역을 수정하고, 2개의 교과목을 삭제한 것은 적절성평가결과와 서술식의견이거의 일치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부교과목의 경우 구체적인 교과내용을 수정하거나 추가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2차 델파이 조사 후 도출된 분석결과에 의해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디지털 환경 기반 교육과정의 구성에 대한 델파이 패널간의 의견 합치가 전반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표 12>] 2차 델파이 조사 종합 결과

    label

    2차 델파이 조사 종합 결과

    3) 교육영역 및 교과목별 중요도 평가 결과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특별히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각 ‘교육영역’ 및 ‘교과목’에 대한 중요도를 10점 척도에따라 평가하도록 하였는데, 델파이패널이 제시한 중요도평가를 분석한 결과는아래 <표 13>과 같다.

    [<표 13>] 델파이 패널의 교육영역 및 교과목별 중요도 평가 결과(종합)

    label

    델파이 패널의 교육영역 및 교과목별 중요도 평가 결과(종합)

    분석 결과 교육영역에서는 ‘독서자료’(9.1점)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독서지도 방법’(8.9점), ‘발달단계와 독서교육’(8.6점), ‘정보리터러시’(8.0점), ‘독서환경 및 독서문화운동’(7.3점), ‘독서진단 및 치료’(7.2점)의 순으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목에서는 ‘읽기를 통한 독서지도’(9.7점), 독서토론을 통한 독서지도(9.4점), 독서자료의 활용(9.2점), 독서자료에 대한 이해(9.1점), 쓰기를 통한 독서지도(9.0점)등의 순으로 나타나, 주로 ‘독서자료’ 및 ‘독서지도 방법’ 교육영역에 속한 교과목들이 높은 중요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델파이 패널의 교육 영역 및 교과목별 중요도 평가 결과는 본 연구를 통해 설계된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교육과정을 향후 일선 독서지도 현장에서 교육순서 결정, 교과 시수 설정 등의 교육체계 구성에 실제로 적용시키고자 할 때 적절한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 교육과정의 교육영역, 교과목, 교과내용의 변화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디지털 환경 기반 교육과정 설계는 교육영역, 교과목 및 교과내용은 선행 문헌연구 및 교육과정의 분석결과로부터 1차 델파이 조사, 2차 델파이 조사에 이르기까지 적지않은 변화가 있었다. 수정․보완된 내용은 전술한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에서 상세히 기술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교육영역 6가지, 교과목 21가지, 교과내용 82가지가 도출되었다. 연구 진행과정에서 발생한 교육영역, 교과목, 평가항목의 변화 결과는 <표 14>와 같다.

    [<표 14>] 교육과정 설계과정에서의 교육영역, 교과목, 교과내용의 변화

    label

    교육과정 설계과정에서의 교육영역, 교과목, 교과내용의 변화

       3. 최종안 제시

    가. 최종 교육과정의 설정

    앞서 제시한 문헌연구 분석결과와 이것을 바탕으로 수행한 1차, 2차 델파이 조사 분석결과를 통해 도출된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디지털 환경 기반 교육과정 설계 최종안의 교육영역, 교과목 및 교과내용은 아래 <표 15>와 같다.

    [<표 15>] 델파이 조사 결과 도출된 교육영역, 교과명, 교과내용

    label

    델파이 조사 결과 도출된 교육영역, 교과명, 교과내용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교육과정으로 설계된 최종안은 첫째, 변화된 디지털 독서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그림 2>와 같이 크게 6가지의 디지털 환경 기반 독서지도 교육과정의 기본영역을 설정하고, 둘째, 각 교육영역 하위요소로 21가지의 교과목을 구성하였다. 셋째, 21개 교과목은 전체 82가지의 하위 교과내용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실질적으로 각 교과목에 따른 구체적인 독서지도 내용 및 전략들로 짜여졌다.

    나. 교육과정의 주요 설계 방향

    디지털 환경은 그동안 전통적으로 문자가 중심을 이루던 독서환경에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는데, 이런 독서매체, 독서개념 및 독서방식이 전반적으로 바뀌는 독서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독서지도에서도 변화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제 독서는 정보활용능력에 기반한 효과적인 읽기 전략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보다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제대로 된 정보검색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며, 디지털 기반의 협력형 독서를 통하여 정보를 교환하고 비판·분석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문자 중심의 독서에서 시청각 중심의 독서, 심화형 독서에서 확산형 독서로, 일방형 독서에서 양방형 독서로 빠르게 변화하는 독서개념의 변화를 제대로 수용하고, 책으로 대표되던 인쇄매체는 물론 컴퓨터에 그래픽, 애니메이션, 소리, 말, 비디오, 동영상 등 여러유형의 매체가 통합되는 독서환경 구성을 제대로 담아낼 수 있는 디지털 기반의 독서지도를 위한 프로그램이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디지털 환경 기반 독서지도 교육과정의 주요 설계방향을 열거하자면(아래 <그림 3> 참조), 첫째, 디지털 환경 기반의 독서활동 속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독서지도 관련 문제들을 적절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계되었다. 둘째, 정보리터러시 교육과정을 도입하여 기존의 문학 읽기 등에 국한된 독서지도 전략이 아니라 디지털 환경 기반의 모든 자료들을 탐색, 수집, 분석, 평가할 수 있는 전략이 포함되도록 설정하였다. 셋째, 멀티미디어, 하이퍼텍스트, 하이퍼미디어, 웹 등 다양한 독서자료를 독서의 대상으로 확대하여 독서지도의 지평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구성하였다. 넷째, 그동안 독서지도 분야에서 이루어졌던 텍스트 위주의 읽기 및 쓰기 지도와 함께 다양한 장르, 관점, 미디어 및 통신기술을 통합하는 읽기 및 쓰기 지도가 독서지도 과정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반영하였다. 다섯째, 디지털 자료의 특성인 ‘개인화 및 저작, 멀티미디어, 상호작용, 연계기능’이 독서 행위에서 제대로 활용될 수 있도록 독서지도 과정에 포함되도록 구성하였다.

    Ⅵ.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로 인해 독서의 전반적인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디지털 환경에 제대로 적용시킬 수 있는 새로운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마련하고자 추진되었다. 특히 현재의 독서지도 및 교육 현장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독서지도 관련 민간자격의 교육과정 사례를 개선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디지털 환경으로 변화된 독서패러다임에 대한 고찰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국내⋅외 주요 교육과정 사례에 대한 심층적 검토와 분석을 통해 특장점을 모색한 후, 독서지도 분야 전문가들에 대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의견수렴과 검증 작업을 거쳐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디지털 환경 기반 교육과정을 새롭게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디지털 환경 기반 독서지도 교육과정의 설계는 주로 정보활용능력에 기반한 효과적인 읽기 전략을 통해 필요한 정보를 보다 쉽고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며, 디지털 기반의 협력형 독서를 통하여 정보를 교환하고 비판·분석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방향으로의 변화를 우선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다. 또한 문자 중심의 독서에서 시청각 중심의 독서 등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독서개념의 변화를 제대로 수용하고, 책으로 대표되던 인쇄매체는 물론 컴퓨터에 그래픽, 애니메이션, 소리, 말, 비디오, 동영상 등 여러 유형의 매체가 통합되는 독서환경 구성을 제대로 담아낼 수 있는 디지털 기반의 독서지도를 위한 교육과정이 최대한 반영되도록 설정하였다.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국내⋅외 주요 교육과정 사례에 대한 특장점 모색을 위해서는, 특히 IRA(국제독서협회) 기준 및 ALSC(미국도서관협회 어린이도서관분과)의 교육과정을 적극적으로 벤치마킹하여 국제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표준 교육영역과 교과목이 교육과정에 반영되도록 하였다. 또한 국내⋅외의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중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을 위한 우수사례로 인정받고 있는 버지니아대학, 피츠버그대학, 한국독서학회, 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 한국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의 교육과정 사례를 집중적으로 검토·분석하여, 우수한 교육과정 사례가 반영되도록 시도하였다.

    개발된 교육과정 설계 최초안의 타당성 및 신뢰성 제고 등 검증을 위해 독서지도 관련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부가적으로 실시하여 설계 최초안을 보완하였는데, 델파이 조사는 개발된 교육과정 설계 최초안의 구성요인 및 항목 비교표를 기초로 델파이 패널들이 각각의 교육순서, 교육영역, 교과목, 교과내용의 적절성을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내용적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2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독서지도는 독서치료 관점보다는 독서문제 진단에 따른 교정지도 관점중심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델파이 패널이 제시한 합의 결과에 따라 ‘책읽기를 통한 정신치료’, ‘어린이 정서문제와 독서치료’ 교과목 등 독서치료와 관련된 교과목 2개를 삭제하는 등각 교육영역, 교과목, 교과내용에 대한 수정, 삭제, 추가 작업을 거쳐 교육과정 설계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독서지도 교육과정은 변화된 디지털 독서 패러다임에 적극적으로 대비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디지털 환경 기반에서 효과적인 독서지도를 수행할 수 있는 교육과정으로 고안되었다. 독서지도의 주요 기능 및 목적을 핵심 요인으로 삼고 디지털 환경에서 변화된 독서 패러다임의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여, 독서지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영역 6가지, 교과목 21가지, 교과내용 82가지를 구성하여 최종적으로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또한 독서지도 민간자격에 대한 디지털 환경 기반 교육과정을 새롭게 설계하여 제시한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몇 가지 한계점과 개선점에 대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할 수 있겠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된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교육과정은 교육영역, 교과목 및 교과내용 만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교육이 치밀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의 목적, 교육내용, 교육대상, 교수학습 활동, 교수학습 방법, 교육자료, 교육 평가 등으로 구성된 교육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이명희 2007, 36). 그러므로 단순히 교과목과 교육내용만이 포함된 것이 아니라 향후 후속연구를 통해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이나 운영방식, 평가도구, 과제 등을 포괄하는 넓은 개념의 교육과정이 제시된다면, 실제 독서지도 교과목 수업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보다 완전한 형태의 교육과정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둘째, 독서지도의 교육과정은 어떤 특정 학문의 하위영역이 아니고 특정 활동의 일부분으로 취급해서도 안된다. 독서는 모든 학문 영역을 포괄하고, 모든 학습 활동을 위한 총괄적인 영역으로 보아야 한다(변우열 2008, 188). 그러므로 독서교육을 어문학이나 교육학 같은 특정 학문에 포함시키는 관점이 아니라 독서지도의 기초위에 각 학문이 존재한다는 관점에서 접근하여야 한다. 지금 현재의 대다수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교육과정은 어문학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읽기와 쓰기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독서자료도 다양한 주제분야의 자료를 포괄하지 못하고 문학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로 어문학의 심화영역인 글쓰기, 읽기, 논술 등이 강조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여 이제 독서지도는 읽기나 쓰기 위주의 어문학 관점의 지도에서 벗어나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해 나가야 한다. 그 확장된 전문성을 문학, 언어학, 문헌정보학, 교육학, 아동학, 심리학, 생리학, 상담학, 사회학 등이 통합된 영역에서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독서지도는 언어적인 측면은 문학이나 언어학에서, 주제적인 측면은 각 주제학문에서, 정보적인 측면은 문헌정보학의 영역이 서로 합쳐지는 통합된 영역으로 설정해야 한다.

    셋째, 그동안 우리나라 대다수 독서지도 전문가 양성을 위한 독서지도 민간자격들의 교육과정은 너무 문자를 읽고, 쓰는 지도, 즉 문자 리터러시에만 치우진 감이 있다. 오늘날 자라나는 세대는 책이라는 단편적인 매체에 머무르지 않고 태블릿 PC, 스마트폰, 스마트TV 등 여러 가지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방식의 독서를 즐기고 있고, 현재의 디지털 기반 환경에서 이런 독서 형태의 변화는 점점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디지털 환경에 기반하여 새롭게 제안된 본연구의교육과정에서도 반영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이제는 독서의 범위를 ‘수많은 정보와 지식을 담고 있는 독서자료를 분석, 종합, 추론, 판단하는 능동적이며 주체적인 사고 과정’으로 인지하여, 독서지도의 개념 또한 ‘문자 리터러시와 영상리터러시를 포괄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컴퓨터 및 미디어 리터러시의 수행능력, 그리고 사회적 맥락에서 네트워크화 된 사회의 생활기술로서의 네트워크 리터러시 등 디지털 리터러시를 모두 통합할 수 있는 방향’으로 확장시켜 나가야 한다.

참고문헌
  • 1. 고 수진 2007 『우리나라 독서교육제도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독서지도 전문인력 양성과정의 현황과 개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google
  • 2. 김 미량 2000 정보화 사회의 독서매체 확장을 위한 일고 [『독서연구』] Vol.5 P.65-81 google
  • 3. 백 혜림 2013 사서직의 독서전문가로서의 전문성 신장과 독서자격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경기도교육청 소속 사서를 중심으로 [『한국독서교육학회지』] Vol.1 P.21-50 google
  • 4. 변 우열 2008 독서교육 지도자의 자질과 양성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9 P.187-212 google
  • 5. 손 정표 2010 『신독서지도 방법론』 google
  • 6. 양 재한, 김 수경, 김 석임 2013 『어린이독서지도론』 google
  • 7. 이 만수 2009 독서교육 관련 민간자격 교육과정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P.181-202 google
  • 8. 이 명희 2007 독서교육 교과목의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문헌정보학과에서 제공되는 독서교육과목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18 P.23-44 google
  • 9. 이 삼형, 박 희찬, 정 옥년 2001 독서교육 전문가 역할과 양성 [『독서연구』] Vol.6 P.163-189 google
  • 10. 이 정희 2003 『독서지도사 양성과정 운영의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google
  • 11. 이 종성 2001 『델파이 방법론』 google
  • 12. 최 병모, 김 정호, 이 준혁 2005 학교 경제교육 방향 탐색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경제교육연구』] Vol.12 P.53-83 google
  • 13. 최 병우 2000 다매체 시대의 독서 [『독서연구』] Vol.5 P.25-44 google
  • 14. 최 병우 2006 전자매체 시대의 독자 [『독서연구』] Vol.16 P.55-75 google
  • 15. 최 영임 2014 웹 기반 독서전략 모형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5 P.41-57 google
  • 16. Benjamin Walter, 반 성완 2005 『발터벤야민의 문예이론』 google
  • 17. 2010 Standards for Reading Professionals google
  • 18. Dalkey N. C. 1981 The Delphi method: An experiment study of group option google
  • 19. Delbeoq A. L., Van A. H., Gustafson D. H. 1995 Group techniques for program planning: A guide to nominal group and Delpic process google
  • 20. 한국독서학회 ‘독서교육전문가 과정’ 홈페이지 google
  • 21.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민간자격 정보서비스’ 홈페이지 google
  • 22. 한국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 ‘자격검정’ 홈페이지 google
  • 23. 0000 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 ‘한우리캠퍼스’ 홈페이지 google
  • 24. ALSC Home Page google
  • 25. University of Pittsburgh. School of Education Home Page google
  • 26. University of Virginia. Curry School of Education Home Page google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종류 및 자격관리기관 현황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종류 및 자격관리기관 현황
  • [ <그림 1> ]  교육과정 설계시 반영할 디지털 환경변화 요인
    교육과정 설계시 반영할 디지털 환경변화 요인
  • [ <표 2> ]  웹 기반 독서전략 구성 요인(최영임 2014, 52)
    웹 기반 독서전략 구성 요인(최영임 2014, 52)
  • [ <표 3> ]  IRA(국제독서협회)의 ‘교육과정 및 지도법’ 기준(IRA 2010)
    IRA(국제독서협회)의 ‘교육과정 및 지도법’ 기준(IRA 2010)
  • [ <표 4> ]  버지니아대학 독서지도 전문가 과정의 ‘교육과정’(University of Virginia 2014)
    버지니아대학 독서지도 전문가 과정의 ‘교육과정’(University of Virginia 2014)
  • [ <표 5> ]  피츠버그대학 독서지도 전문가 과정의 ‘교육과정’(University of Pittsburgh 2014)
    피츠버그대학 독서지도 전문가 과정의 ‘교육과정’(University of Pittsburgh 2014)
  • [ <표 6> ]  한국독서학회의 독서교육 전문가 과정 ‘표준 교육과정’(한국독서학회 2014)
    한국독서학회의 독서교육 전문가 과정 ‘표준 교육과정’(한국독서학회 2014)
  • [ <표 7> ]  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의 ‘독서지도사’ 교육과정(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 2014)
    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의 ‘독서지도사’ 교육과정(한우리독서문화운동본부 2014)
  • [ <표 8> ]  한국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의 ‘어린이독서지도사’ 교육과정(한국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 2014)
    한국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의 ‘어린이독서지도사’ 교육과정(한국대학평생교육원협의회 2014)
  • [ <표 9> ]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디지털 환경 기반 교육과정 설계 최초안
    독서지도 민간자격의 디지털 환경 기반 교육과정 설계 최초안
  • [ <표 10> ]  델파이 조사 패널의 구성
    델파이 조사 패널의 구성
  • [ <표 11> ]  1차 델파이 조사 종합 결과
    1차 델파이 조사 종합 결과
  • [ <표 12> ]  2차 델파이 조사 종합 결과
    2차 델파이 조사 종합 결과
  • [ <표 13> ]  델파이 패널의 교육영역 및 교과목별 중요도 평가 결과(종합)
    델파이 패널의 교육영역 및 교과목별 중요도 평가 결과(종합)
  • [ <표 14> ]  교육과정 설계과정에서의 교육영역, 교과목, 교과내용의 변화
    교육과정 설계과정에서의 교육영역, 교과목, 교과내용의 변화
  • [ <표 15> ]  델파이 조사 결과 도출된 교육영역, 교과명, 교과내용
    델파이 조사 결과 도출된 교육영역, 교과명, 교과내용
  • [ <그림 2> ]  디지털 환경 기반 독서지도 교육과정의 영역
    디지털 환경 기반 독서지도 교육과정의 영역
  • [ <그림 3> ]  디지털 환경 기반 독서지도 교육과정의 주요 설계방향
    디지털 환경 기반 독서지도 교육과정의 주요 설계방향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