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지역사회 협의체 중심의 지역아동센터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in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Community Network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Community Child Center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지역사회 협의체 중심의 지역아동센터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This study measures the effect of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community network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mmunity child center. The community networking were constructed of community health center, headquarters for community child center and school of dental hygiene in community. First, we were educated the student and teacher of community child center, separately. Community health center planned and evaluated the program, and school of dental hygiene ran the maintenance program once a month for 3 months and evaluated the program. The teacher of community health center were supported and monitored the children. The comparison was done in independent t-test of awareness, knowledge and behavior of children of community child center in both lower grades and upper grades and paired t-test of patient hygiene performance (PHP) index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As a result, PHP index and oral health knowledg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oral health program in lower grades and upper grades (p<0.001). The positive attitude for oral health about “Whatever I do, my tooth-will be decayed” increased more in upper grades better than lower grades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p<0.05). We suggest that oral health program based on community networking should be constructed for oral health promo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mmunity child center.

KEYWORD
Community child center , Community networking ,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 서 론

    취약계층의 아동은 가족해체와 더불어 사회경제적 양극화의 심화 등으로 사회, 문화, 교육, 보건 등 여러 측면에서 복합적으로 적절한 보호를 받지 못하는 실정이며, 취약계층 아동들의 건강은 사회적인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1). 아동 건강의 문제를 개별가족의 책임영역으로 국한시키게 되면 건강을 조성할 수 있는 환경과 건강책임 및 양육환경의 차이로 성장 후 건강불평등을 야기 시키고 더 나아가 특정 집단의 아동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권리를 침해당하게 되는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므로 취약계층 아동의 건강관리가 필요하다2).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사회 내 보호 및 아동복지서비스가 필요한 저소득 가정 및 가족 기능이 취약한 계층의 아동이 상시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되고 있는 아동복지시설의 한 유형으로 아동복지법3)에는 ‘지역사회 아동의 보호, 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의 제공, 보호자와 지역사회의 연계 등 아동의 건전 육성을 위하여 종합적인 아동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ʼ로 정의하고 있다. 2012년 지역아동센터 실태조사4)에 따르면 주로 취약계층 아동들이 이용하는 지역아동센터에서는 건강증진과 관련된 프로그램으로 단순한 식사 제공과 질병 치료 차원의 의료지원을 연계하고 있으며5) 극소수의 센터만이 건강교육, 질병예방, 영양 및 운동 등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Kim과 Lee6)는 아동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건강증진의 개념, 가치, 방법 등 전문적인 교육을 실시하여 건강에 유익하고 긍정적인 건강행위를 습득하여 건강습관을 형성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Jang5)은 취약계층의 아동의 경우 비 빈곤층 아동보다 사망률과 이환율이 높고, 물질적 빈곤과 아동의 신체적 건강상태 사이에 유의미한 상관성이 있으며, 불충분한 음식섭취를 함으로써 질병에 취약하므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Shin과 Jung7)은 대표적인 구강질환인 치아우식증은 사회적 소외계층일수록 빈발한다고 하였으며, Rye 등8)은 지역아동센터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구강건강수준이 매우 열악하다고 하였다. 또한 Han과 Hwang9)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하여 구강건강증진 향상에 대한 요구는 높으나, 아동들의 구강건강 상태는 매우 열악함을 보고하였다.

    Jung 등10)은 취약계층을 위해 우선 실시되어야 하는 구강보건사업으로는 지역아동센터에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치과의료 전문가에 의한 구강질병예방 서비스 이외에 불소치약을 이용한 올바른 칫솔질 실천이 우선적으로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Kim 등11)은 이러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실천 가능하고, 보다 많은 지역으로 보급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운영의 효율성과 실용가능성을 위해 자본, 시간, 재원, 인력 등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Shin 등12)은 지역아동센터 내 아동들에게 구강보건 지식 및 태도 변화와 구강관리능력 향상 및 구강건강생활 실천을 위해서는 전문가의 일부 개입과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계속적인 관심과 지도가 중요하다고 하였다.

    지역아동센터가 지역사회의 사회안전망의 사각지대에 있는 아동들에게 교육, 문화, 의료 및 복지 전반의 종합적인 아동복지 서비스를 제공하여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역아동센터 자체의 자원만으로 부족하므로 아동과 가족이 지역사회 차원의 공식적 및 비공식적 자원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의 연계와 조정이 매우 중요하다1).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조직간 정보제공, 자원교환, 공동사업 등의 내용 등을 상호 협력적 활동이나 지지적인 활동을 통하여 지역사회 자원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협의체 구축이 필요하다13). 또한 개인의 긍정적인 건강행동이 변화되고 유지되기 위해서는 이를 지지하는 사회적·물리적 환경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건강한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1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 아동의 구강건강증진과 구강건강생활 실천 활성화를 위해 일부 지역사회의 보건소와 지역사회 내 치위생학과 및 지역아동센터를 바른 구강건강생활 실천을 도모할 수 있는 협의체로 구성하여 운영한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이 취약계층 아동들의 구강건강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향후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계속구강관리와 구강건강생활 실천 활성화를 위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2년 9월부터 12월까지 강릉시 보건소에서 동 지역사회 지역아동센터협의회를 통해 강릉시 지역아동센터 구강건강증진 사업에 참여요청 공문을 발송하여 참여한 지역아동센터 20개소의 초등학생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중·고등학생 대상 지역아동센터와 드림스타트로 구분되어 지역아동센터 운영 성격이 다른 3개소를 제외하고, 총 17개의 지역아동센터에 등록된 초등학생 407명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보건소 내 집합교육과 1차 설문조사에 참여한 349명(85.7%) 중 지속적인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2차 설문조사와 구강위생검사를 완료한 150명(43.0%)의 아동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1) 지역사회 협의체 구성

    본 연구는 지역사회 내 보건소와 지역아동센터협의회, 그리고 치위생학과가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고 아동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지지적 환경을 마련하여 아동의 구강건강 행동의 변화를 유지·증진시키고자 하였다. 협의체의 각 역할은 Fig. 1과 같다.

    2) 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

    20개소 지역아동센터 교사를 대상으로 아동의 구강건강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사 스스로가 자신의 구강건강 증진을 위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치위생학과 교수 1인이 이론 및 실습교육을 전체 집합교육으로 1회 진행하였다. 교사교육이 완료된 후 4주 이내에 교육에 참여한 교사의 지도하에 각 지역아동센터 별 아동들을 대상으로 보건소 견학 및 구강보건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강보건교육은 이론교육과 실습교육으로 이루어졌으며 본 사업을 기획한 치과위생사 1인이 시행하였다.

    아동의 구강건강 행동이 변화 또는 유지될 수 있도록 지역아동센터별로 칫솔질 실천표를 부착하여 아동들이 매 식사 후 칫솔질을 실천한 후에 스티커를 붙이도록 지도하였으며, 칫솔질 실천을 위해 개별 칫솔과 치약을 배부하였다.

    지역아동센터 계속관리 프로그램은 협의체의 하나인 치위생학과 2, 3학년 학생들이 담당 지도교수 하에 교육훈련을 받은 후 월 1회씩 총 3회 지역아동센터를 방문하여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은 지역아동센터에서 칫솔질을 실천할 수 있는 지지적인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에 중점을 두었고, 방문 시마다 치아모형과 칫솔을 이용하여 칫솔질 및 치실 교육을 시행하였으며, 칫솔질 실천율을 확인한 뒤 아동들을 독려하였다. 교육자와 지역아동센터 아동간의 라포형성을 위해 소그룹 지도와 O, X 퀴즈 등 아동들의 관심을 증대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교육기간이 학기 중이어서 지역아동센터의 저녁식사 시간 후 방문하여 식사 후 칫솔질 실천을 독려하였고, 교사들이 아동들에게 칫솔질 실천을 지도할 수 있도록 확인 및 권고하였다.

    3) 조사자 교육훈련

    설문조사와 구강위생관리능력지수(patient hygiene performance [PHP] index)를 측정하는 조사자는 아동대상 교육자 1명을 포함하여 총 4명의 치과위생사로 구성하였으며, PHP 측정을 위한 사진교육 훈련을 2차례 진행하고, 모의환자 훈련을 3회 진행하여 조사자간 신뢰도를 Kappa value 0.9점 이상으로 확보하였다. 아동들의 구강건강행동 유지를 위한 방문교육은 치위생학과 2, 3학년으로 구성하여 센터별 담당자를 배치하였으며, 소그룹 교육 시 아동들과의 라포형성을 위해 월 1회씩 총 3회 방문하는 동안 교육자가 바뀌지 않도록 하고, 담당교수 지도 하에 교육내용과 방법을 숙지하도록 하였다.

    4)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평가

    프로그램 운영 전후 아동의 PHP index와 구강보건지식, 인식, 행동의 변화를 조사하여 프로그램 운영효과를 평가하였다. 설문지는 Jung 등10)이 개발한 설문문항의 일부를 수정 보완하였으며, 구강보건지식 8문항, 구강보건인식 3문항, 칫솔질 실천, 간식섭취 등 구강보건행동 9문항 등 총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들을 위해 구강보건지식 문항은 그림으로 표현하였으며, 초등학교 1, 2학년의 경우 조사자가 설문문항을 읽어주고, 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강보건지식 문항은 정답(1점)과 오답(0점)으로 구분하여 구강보건지식 점수를 산출하였고(최대 8점, 최소 0점), 각 문항별 바른 구강보건인식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매우 동의 및 동의함을 긍정적 인식으로, 전혀 동의 않음, 동의 않음을 부정적인 인식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사용된 설문문항의 내적신뢰도는 Cronbach’s α= 0.854이었다.

    PHP index의 변화는 아동에게 칫솔질을 하게 한 후 측정하였으며, 구강위생관리능력 점수가 낮을수록 치면세균막 관리를 잘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조사자가 아동의 구강 내에 치면착색제를 2∼3방울 떨어뜨린 후 아동이 직접 혀로(구강내 타액과 용액을 섞어) 치면에 바르도록 하였으며, 조사자가 치면 전체에 도포된 것을 확인한 후 펜라이트와 치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3. 통계분석

    수집한 자료는 SPSS version 20.0K for Windows 프로그램(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지역아동센터 고학년(4∼6학년)과 저학년(1∼3학년) 아동의 구강보건지식, 인식, 행동의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으로 비교하였고,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전후의 구강보건지식, 인식, 행동 변화정도와 구강위생관리능력 지수의 차이는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실시하였으며, 각 문항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Fisher의 정확 검정(Fisherʼs exact test)과 카이검정(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검정을 위한 유의수준(α)은 0.05이었다.

    결 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프로그램에 참여한 사람의 구성은 읍ㆍ면지역 지역아동센터 아동 41.3%, 동지역 지역아동센터 아동 58.7%가 참여하였으며, 남녀의 비율은 46.0%, 54.0%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학년별 대상자는 1학년이 10.0%로 가장 적고, 5학년이 20.7%로 가장 많이 참여하였다(Table 1).

    [Table 1.]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n=150)a

    label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n=150)a

       2. 구강보건지식의 비교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전 고학년에 비해 저학년의 구강보건지식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p< 0.05), 이는 프로그램 운영 후에서 동일한 양상을 나타냈다(p< 0.05). 또한 프로그램 운영 후 저학년과 고학년 구강보건지식 수준이 증가하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였다(p< 0.001, Table 2).

    [Table 2.] The Change of Oral Health Knowledge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label

    The Change of Oral Health Knowledge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3. 구강보건인식의 비교

    구강보건인식 문항 중 ‘내가 무엇을 하든지 치아우식증은 생길 것이다ʼ에 대한 인식은 프로그램 운영 전후 모두 긍정 적인 태도가 높았고, 이는 고학년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통 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Table 3).

    [Table 3.] The Change of Oral Health Attitude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a

    label

    The Change of Oral Health Attitude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a

       4. 구강보건행동의 비교

    탄산음료 섭취 비율은 프로그램 운영 전 저학년과 고학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프로그램 운영 후 고학년의 경우 주 1∼2회 섭취비율이 크게 변하지 않았으나 저학년의 경우 하루 1회 이상 섭취비율은 감소하고, 주 1∼2회 섭취비율이 증가하였으며,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프로그램 운영 후 탄산음료를 섭취하지 않는 비율이 다소 증가하였다. 과자 섭취 비율은 프로그램 운영 전 두 학년 모두 주 1∼2회 섭취비율이 높았으며, 프로그램 운영 후에도 동일한 양상을 보였지만(p<0.05), 저학년의 경우 프로그램 운영 후 먹지 않는 비율이 높아졌고, 고학년의 경우 먹지 않는 비율이 다소 감소하고, 주 1∼2회 섭취비율이 다소 증가하였다(Table 4). 하루 평균 칫솔질 횟수는 프로그램 운영 전-후와 학년별로 평균 2.3회 정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Table 5).

    [Table 4.] The Change of Oral Health Behavior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Eating a Snacka

    label

    The Change of Oral Health Behavior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Eating a Snacka

    [Table 5.] The Change of Frequency Toothbrushing a Day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label

    The Change of Frequency Toothbrushing a Day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5. 치면세균막지수 변화 비교

    PHP index의 변화는 프로그램 전에는 저학년에 비해 고학년이 치면세균막 관리 능력이 우수하였으나(p<0.05), 프로그램 운영 후에는 학년별의 차이가 없이 모든 학년에서 관리능력이 향상되었다(p<0.001, Table 6).

    [Table 6.] The Change of PHP Index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label

    The Change of PHP Index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고 찰

    아동의 건강습관은 부모의 물리적, 정서적, 사회적 건강수준 및 양육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나 습관은 아동기에 형성되므로 취약계층 아동에 대한 건강증진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은 보건정책으로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2). 또한 저소득층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치아우식 경험률 등 구강병 발병위험이 높기 때문에15) 건강뿐만 아니라 구강건강을 위한 포괄적 관리가 필요하다.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은 저소득층 및 가족기능이 취약한 가정으로, 복합적인 욕구와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 지역아동센터 자체의 인력, 자원, 프로그램으로는 아동의 욕구에 맞추어 다양하고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에 지역아동센터가 종합적인 서비스를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중심의 협의체 형성 및 구축이 필요하다13). Jung 등10)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취약계층 아동의 건강과 구강건강을 효과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이들의 구강건강에 관심을 지닌 민간, 학교, 공공기관 및 개인이 조직을 결성하여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에게 구강관리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올바른 방법의 칫솔질 실천을 포함한 자가 건강관리 능력을 획기적으로 키워주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Shin 등12)은 지역아동센터 내 아동이 지속적이고 올바른 구강건강생활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지식향상과 태도의 변화를 위한 방안으로 지역 내 치위생(학)과 또는 보건소와의 연계한 정기적인 전문가에 의한 구강보건교육과 교육매체 제공과 구강건강증진 실천에 대한 우수센터 및 우수 지도교사를 시상하는 등 지역아동센터 자체 동기부여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취약계층 아동의 구강건강증진과 구강건강생활 실천 활성화를 위해 일부 지역사회의 보건소와 지역사회 내 치위생학과 및 지역아동센터를 바른 구강건강생활 실천을 도모할 수 있는 협의체를 구성하여 사회적 및 물리적 지지환경의 변화를 통한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아동의 구강건강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전후 아동의 구강보건지식 수준을 평가한 결과,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에서 구강보건지식 수준이 증가하였고, 프로그램 운영 전과 후 모두에서 저학년보다 고학년에서 구강보건지식 수준이 높게 나타나 Kim 등16)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하였다. Shin 등12), Kim 등11) 및 Kim 등16)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구강건강증진 향상을 위해서는 단순히 이론적인 지식전달보다 학령기 아동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고, 만지고, 듣고, 이야기하며 알아가는 직접체험 형식의 참여형 프로그램이 구강보건교육 목표달성에 효과적이라고 언급하였다. 또한 단순히 아동들에게 집중한 구강보건교육보다는 아동과 함께 교사들의 구강보건 지식을 향상시키고 교사들에 의한 일상적인 구강보건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될 필요성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도 구강보건지식 수준이 교육 전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일회성 교육에 끝나지 않고 일정 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반복학습하고, 교육자와 아동간의 라포형성을 위해 소그룹으로 지도를 시행한 결과라고 판단된다. 그러나 저학년보다 고학년에서 구강보건지식 수준이 더 많이 향상되는 결과를 볼 때, 저학년의 아동을 교육할 때는 아동의 연령에 맞는 단어를 사용하고, 아동의 지적수준에 맞춘 능숙하고 다양한 접근방법이 구강보건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전후 아동의 구강보건인식 수준을 평가한 결과, 구강보건인식 문항 중 ‘내가 무엇을 하든지 치아우식증은 생길 것이다ʼ에 대한 인식은 프로그램 운영 전후 모두 긍정적인 태도가 높았고, ‘자신의 구강건강은 나의 책임이다ʼ라는 인식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가 높았다. 그러나 ‘간식으로 무설탕 음식을 선택하는 것ʼ에 대한 인식은 저학년과 고학년 모두 긍정적인 태도와 부정적인 태도의 비율이 비슷하였다. 지역아동센터 내 아동은 간식섭취에 대한 욕구가 크나 먹고 싶은 간식을 자주 먹지 못하므로 간식섭취에 대한 욕구가 항목에 반영했을 것이라는 Shin 등12)의 의견과 부합한다. 설탕은 치아우식증을 야기시키는 주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므로 무설탕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치아우식증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것을 감안한다면 아동들에게 설탕이 다량 함유된 음식섭취와 치아우식과의 연관성을 강조하는 교육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초등학생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우식치아가 적고, 구강건강증진행위를 잘 수행하며초등학생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우식치아가 적고, 구강건강증진행위를 잘 수행하며17) 자신의 구강건강인식이 높을수록 자신의 구강건강에 대한 자신감이 생겨 구강건강관리를 더욱 열심히 하게 되므로18) 구강건강생활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구강보건에 관한 긍정적인 인식이 필요하다.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구강건강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위해서는 계속구강관리를 통한 반복적인 교육과 행동 실천에 의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며16), 아동뿐만 아니라 아동을 지도하는 교사들에게도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전후 아동의 건강증진행위 수준을 평가한 결과 아동의 탄산섭취 비율과 과자 섭취 비율이 다소 감소하였다. 또한 하루 평균 칫솔질 횟수는 다소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이는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후 아동의 탄산음료 및 과자 섭취빈도가 감소하고, 칫솔질 실천 빈도가 높아진 Kim 등16)의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지역아동센터 내 교사들이 아동들의 동기유발을 위해서 아이들이 좋아하는 단 음식을 간식으로 제공할 수 있어12) 지역아동센터에서 아동에게 간식으로 제공하는 우식성 식품 섭취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비우식성 식품을 섭취해야 할 필요성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교사들에게도 우식성 식품과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들의 칫솔질 실천과 칫솔 세척 및 보관을 선생님들이 감독하고 지도하는 것뿐 아니라 선생님 스스로가 구강건강생활 실천의 모범이 될 수 있도록 교육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칫솔질 횟수에 대한 미미한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교사들에게 진행했던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자신들의 구강건강생활을 실천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며, 아동들에게 칫솔질 실천을 위한 사회적인 지지자로서 교육적인 효과를 거두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 운영 전후 PHP index의 변화는 프로그램 전에는 저학년에 비해 고학년이 치면세균막 관리능력이 우수하였으나, 프로그램 운영 후에는 학년별의 차이가 없이 모든 학년에서 관리능력이 향상되었었다. Jo와 Min19)은 반복적으로 개별 칫솔질 교습 후 치면세균막 관리점수가 향상되었고, Kim 등16)의 연구에서도 구강건강증진프로그램의 회차가 증가할수록 치면세균막 잔존율이 감소한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였으며 일회성의 교육이 아닌 반복적인 교육과 학습의 중요성을 재차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칫솔과 치약을 가지고 다니기 어려운 아이들을 위해 보건소에서 구강관리용품을 지원하였고, 칫솔질 실천표에 스티커 붙이기, 칫솔질 실천을 위한 관리 감독 등을 이용한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지지환경을 확보하였다. 지역아동센터가 아동의 구강건강증진 매개체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시설 개선 및 물품 지원 등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고, 교사들 스스로 올바른 구강건강행동 실천과 지도 감독의 역할을 수행한다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구강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20)과 부합한다.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구강건강생활 실천을 위해서 지역사회 내 다양한 자원들을 연계하여 협의체를 구성하여 지역아동센터의 열악한 물리적 사회적 환경을 개선한다면 효과적으로 구강건강증진행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강릉시 일부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일반화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종료될 때까지 꾸준히 참여하지 못하고 탈락한 아동이 많기 때문에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을 갖고 긍정적인 태도로 프로그램에 참여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지역아동센터, 보건소, 지역 내 치위생(학)과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구강건강생활 실천을 위해 협의체를 구성하여 사회적 및 물리적인 지지환경을 구성하여 접근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양적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에 대한 협의체 중심의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이 구강건강증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향후 지역아동센터의 구강건강증진 활성화방안 수립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들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내 다양한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협의체를 구성하여 사회적 물리적인 환경적인 지지를 마련하고, 지역아동센터 내에서 이루어지는 비정규 프로그램이 아닌 정규 프로그램에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을 포함시켜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Kong GS, Seo IH 2009 A study on the case management practices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 [Korea Fam Welf Assoc] Vol.14 P.155-178 google
  • 2. Yoon HS, Han YR 2008 The factors influencing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low-income vulnerable elementary studen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Vol.19 P.167-176 google
  • 3. 2014 The child welfare law-an enforcement ordinance 52-8 clause google
  • 4. 2012 National community child center survey P.83-88 google
  • 5. Jang YS 2012 Factors influenc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school-aged children on community child center [Korean Parents-Child Health J] Vol.15 P.51-59 google
  • 6. Kim SH, Lee JH 2008 Test of a hypothetical model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school-aged children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Vol.14 P.22-34 google
  • 7. Shin BM, Jung SH 2012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dental caries in Korea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36 P.144-152 google
  • 8. Rye JI, Kim YJ, Park JH 2013 An analysis of dental service items and dental fees in registered dentists [J Korean Acad Oral Health] Vol.37 P.31-40 google
  • 9. Han SJ, Hwang YS 2007 A study on the necessity of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children visiting local childcare centers: the case of Incheon [J Korean Acad Dent Hyg Educ] Vol.7 P.91-103 google
  • 10. Jung SH, Park YJ, Bae SM 2007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of community children care center throughout community based network P.73-90 google
  • 11. Kim HK, Bae SM, Shin SJ 2011 The comparion of effect in oral health education frequenc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a part of community child center [J Korean Acad Dent Hyg Educ] Vol.11 P.759-771 google
  • 12. Shin SJ, Ryu DY, Bae SM 2012 Evaluation on the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effect from some part of community child center [J Dent Hyg Sci] Vol.12 P.572-582 google
  • 13. Kim HS, Seo Y 2013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number of network organization, network continuity and service continuity of community child centers -focusing on Chonbuk province- [Korean J Child Stud] Vol.34 P.159-175 google
  • 14. McLeroy KR, Bilbeau D, Steakler A, Glanz K 1988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health promotion programs [Health Educ Quarterly] Vol.15 P.351-377 google
  • 15. Han SJ, Hwang YS, Yoo JS 2008 A study on oral health awareness, oral health behavior and dental caries among low socio-economic status children: the cases of local children’s center in Incheon [J Dent Hyg Sci] Vol.8 P.147-153 google
  • 16. Kim YJ, Kim SA, Choi EY 2013 Effect analysis of short-term oral health care on children at community care centers [J Korean Soc Dent Hyg] Vol.13 P.146-157 google
  • 17. Kim SK, Kim YS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dental health condition of primary school children [J Dent Hyg Sci] Vol.7 P.271-274 google
  • 18. Kim YN, Song YS, Choi EJ 2011 An analysis of the associated factors which influence DMFT index of the primary school children’s in Pocheon city [J Korean Soc Dent Hyg] Vol.11 P.111-124 google
  • 19. Jo MJ, Min KJ 2011 Effect of repeated directing tooth-brushing education on plaque control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Vol.11 P.2088-2092 google
  • 20. Shin SJ, Jang JY, Kim CH 2012 The oral health behaviors for children and teachers by teacher-supervised toothbrushing in community child center [J Dent Hyg Sci] Vol.12 P.572-582 google
이미지 / 테이블
  • [ Fig. 1. ]  Frame of network for oral health promotion.
    Frame of network for oral health promotion.
  • [ Table 1. ]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n=150)a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n=150)a
  • [ Table 2. ]  The Change of Oral Health Knowledge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The Change of Oral Health Knowledge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 [ Table 3. ]  The Change of Oral Health Attitude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a
    The Change of Oral Health Attitude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a
  • [ Table 4. ]  The Change of Oral Health Behavior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Eating a Snacka
    The Change of Oral Health Behavior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Eating a Snacka
  • [ Table 5. ]  The Change of Frequency Toothbrushing a Day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The Change of Frequency Toothbrushing a Day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 [ Table 6. ]  The Change of PHP Index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The Change of PHP Index after Oral Health Promotion Program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