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우리나라 논 이용 조류 현황 Status of Birds Using a Rice Paddy in South Korea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본 연구에서 문헌 조사를 통하여 우리나라에서 논을 이용하는 조류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논을 이용하는 조류는 논의 본답, 논둑, 저수지 또는 관개 수로에서 번식, 휴식 또는 취식을 하는 조류로 정의하였다. 1980년대 이후부터 출판된 자료에 따르면, 논을 이용하는 조류는 총 47과 279종이었다. 도요 물떼새과(18%), 매, 수리 및 올빼미과의 맹금류(12%), 오리과 (11%)의 조류가 논을 주로 이용하였다. 논 이용 조류 중 절반은 겨울철에 건답을 이용하였으며, 39.4%는 봄이나 가을 또는 여름에 습답을 이용하는 종이었다. 논 의존도는 오리류, 백로류 및 도요류가 높았다. 수면성오리 개체군은 지난 12년 동안 감소한 반면에 두루미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높은 논 의존도를 갖는 멸종위기종은 두루미, 재두루미, 검은목두루미, 흑두루미, 개리, 흰이마기러기와 따오기였다. 논은 다수의 멸종위기종을 포함하여 다양한 조류에게 사계절 내내 중요한 서식지로 제공되고 있다.


BACKGROUND:

Rice paddies not only produce food but also provides wildlife habitats. Although more than half agricultural land of South Korea is rice paddy, 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rice paddy ecosystem. We investigated a status of bird using a rice paddy in South Korea using published data.

METHODS AND RESULTS:

Birds using a rice paddy have been defined as birds which breed, rest or forage on rice paddy, bank, reservoirs or irrigation ditches. According to the publication from 1980s, birds using a rice paddy were total 47 families 279 species. Scolopacidae and Charadriidae (18%), Falconidae, Accipitridae and Strigidae (12%) and Anatidae (11%) used a rice paddy. Half of bird species using a rice paddy visited a dried rice paddy during the winter and 39.4% of them used a flooded rice paddy in spring, autumn or summer. Dependency on a rice paddy was high in ducks, egrets, cranes, and shorebirds. Population of dabbling ducks has decreased for last 12 years while cranes have increased.

CONCLUSION(S):

Rice paddies provide both migratory and terrestrial birds including endangered species for habitate all through the year in Korea.

KEYWORD
Habitat use , Rice paddy , Waterbirds
  • 서 론

    논은 식량자원을 생산하는 농경지의 역할 뿐만 아니라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가치로도 주목 받고 있다(Elphick, 2010).벼가 자라는 동안 담수 되는 논은 습지에 서식하는 다양한 수서생물(Han et al., 2010a; Han et al., 2011)과 새들에게 취식지와 번식지가 된다(Fujioka et al. 2001; Elphick, 2010; Nam et al. 2012). 현재 우리나라에서 논 생태계는 식물(74종), 양서⋅파충류(24종), 어류(23종), 갑각류(41종), 패류(87종), 곤충류(230종 이상), 환영동물(4종이상), 편형동물(7종 이상) 등이 서식한다(Han et al., 2010a; Han et al., 2011; Kim et al., 2011; Han et al., 2012). 논 생태계에서 조류(birds)의 위치는 상위 포식자로서 하위 영양단계의 변화상을 반영하기 때문에(Jefferies, 2000) 논의 건강성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종으로써 많이 연구되어 왔다. 반면에 국내에서는 농경지를 이용하는 종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우리나라의 논에서 관찰된 조류에 대한 문헌 자료를 통하여 우리나라 논 생태계를 이용하는 조류의 종목록을 작성하고, 논 이용 조류의 분류군별 논 의존도, 이용 시기 등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우리나라의 논 이용 조류 현황은 1960년대부터 출간된 국내외 학회지, 도감과 서적 등을 참고하였다. 종목록은 한국조류학회의 조류목록을 기준으로 하였다(The Ornithological Society of Korea, 2010). 논 이용 조류의 범위는 전국의 논, 논둑, 논 주변의 저수지, 수로에서 번식하거나 취식, 휴식을 하는 종으로 제한하였으며 시기적으로는 연중뿐만 아니라 특정기간(번식, 월동, 통과기) 동안에 논에서 관찰되는 종을 모두 포함하였다. 논에 서식하는 조류 목록을 토대로 조류의 논 이용시기와 논 의존도, 보호종 여부 등을 살펴보았다. 논의 의존도는 Fujioka 등(2010)의 분류를 따랐으며 Won과 Kim(2012), Lee 등(2002)의 문헌자료를 참고로 하였다. 월동시기에 논에 의존하는 수조류의 개체군 변동은 국립환경과 학원과 국립생물자원관에서 매년 실시했던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와 학술논문의 자료를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두루미류의 개체군 변동은 겨울철 조류동시센서스에서 2005년부터 2012년까지 철원평야, 연천, 임진강, 강화도, 낙동강하류, 남한강, 한강하구, 한강하류, 영종도, 아산호, 간월호, 장항해안, 유부도, 영암호, 동진강, 강진만, 여자만, 순천만, 사천만, 주남저수지, 우포, 황강, 구미 해평, 낙동강하구 등에서 수행된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겨울철 조류 동시센서스 자료는 논과 주변 서식지까지 포함하여 조사된 결과이므로 지역에 따라서는 갯벌에서 관찰한 개체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

    결과 및 고찰

      >  논 서식 조류종 현황

    국내외 문헌자료를 통해 논 습지에 서식하는 것으로 기록된 조류는 철새와 텃새를 합쳐서 총 47과 279종이었다(Fig. 1, Table 1). 논을 이용하는 조류종은 도요⋅물떼새과(49종, 18%)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매⋅수리⋅올빼미과를 포함하는 맹금류(34종, 12%), 오리과(31종, 11%), 멧새과(19종, 7%), 백로과(17종, 6%), 할미새과(16종, 6%)의 조류 순이었다. 그 외에 뜸부기과(9종), 솔딱새과(8종), 두루미과(7종), 지빠귀과(6종), 저어새과(4종), 제비과(4종) 조류 등이 있었다(Fig. 1).

    [Table 1.] 279 species (including subspecies) of birds using a rice paddy in South Korea (L: low; M: moderate; H: high; PH: post harvest season; AL: all year around; GR: rice growing season; I: Korean endangered birds Class I; II: Korean endangered bird Class II; EN: endangered; VU: vulnerable; CR: critically endangered; LC: least concern)

    label

    279 species (including subspecies) of birds using a rice paddy in South Korea (L: low; M: moderate; H: high; PH: post harvest season; AL: all year around; GR: rice growing season; I: Korean endangered birds Class I; II: Korean endangered bird Class II; EN: endangered; VU: vulnerable; CR: critically endangered; LC: least concern)

      >  조류의 논 이용 시기와 논 의존도

    추수 후에 논에 도래하는 겨울철새가 52.0%로 가장 많았고, 벼가 자라는 동안 물이 있는 논에 도래하는 나그네새나 번식 종도 많은 비율(39.4%)을 차지했다. 논에 서식하는 조류의 먹이는 습답과 관개수로에 서식하는 어류와 수서무척추동물이며, 건답에서는 추수 후 낙곡으로 알려져 있다. 과(family)별로 시기적 논 이용을 살펴보면 도요⋅물떼새과, 백로과, 뜸부기과 조류의 경우 봄, 가을의 통과 시기나 여름 번식기에 물을 댄 논을 이용하였다. 장다리물떼새(Himantopus himantopus)는 논을 번식지로 이용하는 종으로 서산 간척지 등지에서 90년대 후반부터 번식이 확인된 바 있다. 월동 조류인 두루미과 7종과 맹금류, 오리과와 솔딱새과 및 멧새과의 조류는 추수가 끝난 후부터 건답을 이용하였다(Fig. 2). 논 의존도가 높은 조류는 청둥오리(Anas platyrhynchos),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 쇠오리(Anas crecca), 쇠기러기(Anser albifrons)등과 황로(Bubulcus ibis)와 중백로(Ardea alba modesta), 재두루미(Grus vipio), 검은목두루미(Grus grus), 흑두루미(Grus monacha), 두루미(Grus japonensis) 등이 있었다(Fig. 3). 그 밖에 댕기물떼새(Vanellus vanellus), 민댕기물떼새(Vanellus cinereus), 호사도요 (Rostratula benghalensis), 꺅도요(Gallinago gallinago)등과 제비(Hirundo rustica), 귀제비(Cecropis daurica) 등도 논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종이었다. 논과 산림지역이 넓은 철원에는 조롱이(Accipiter gularis), 새매(A. nisus), 황조롱이(Faco tinnunculus), 검독수리(Aquila chrysaetos), 흰죽지수리(A. heliaca) 등의 맹금류가 겨울철에 도래한다(Yoo et al., 2012).

      >  논 생태계를 이용하는 주요 조류의 개체군 변동

    1999년부터 2012년까지 겨울철 동시센서스 결과에 따르면 청둥오리, 흰뺨검둥오리, 쇠오리, 고방오리 등 수면성 오리의 개체수가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Choi et al., 2012). 청둥오리는 연간 개체군 변화율이 10%에 이르며 흰뺨검둥오리는 6.6% 감소하였다(NIBR, 2012). 수면성 오리류의 월동 개체군 감소는 비단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Kasahara and Koyama, 2010) 및 동아시아(Li et al., 2009), 세계 개체군(Birdlife International, 2012)도 유사한 감소 추세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국내의 월동 개체군 감소는 먹이원과 서식지의 감소가 원인일 것으로 보인다(Yoo et al., 2008).

    재두루미(Grus vipio) 개체군은 증가추세에 있지만 2009년 이후 연간 변동을 보이고 있다. 철원지역의 재두루미 증가는 겨울철 기온이 증가하여 눈이 덮이지 않는 논이 늘어나면서 남하하지 않고 남는 무리가 늘어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Yoo et al., 2011). 흑두루미는 꾸준한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두루미는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증가하다가 최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Yoo et al., 2011). 두루미류의 개체군 변동은 낙곡의 양, 방해요인, 기온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새는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에 자연상태에서 번식하는 개체군은 절멸한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월동하는 철새로만 우리나라에 드물게 도래한다(Won and Kim, 2012). 우리나라의 황새 개체군 절멸의 원인으로는 습지의 감소와 남획, 서식지 오염 등이 알려져 있다(Kwak et al., 1980). 황새는 1970년대에 우리나라의 야생 개체군은 절멸한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월동하는 철새로만 드물게 도래한다(Won and Kim, 2012). 황새는 번식기간 동안 논을 비롯한 하천, 수로 등의 습지에서 취식을 하므로(Won, 1981) 재도입을 위해서는 논의 역할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  국?내외 멸종위기 조류의 논 의존도

    논에 서식하는 조류 중 보호종은 총 46종으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동물(환경부령 제 457호 5월 31일 공포, 61종)의 75%가 논을 서식지로 이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Table 1). IUCN Red List(IUCN, 2012)에 기재되어 있는 멸종위기종(CR, EN, VU) 중에서 논에서 관찰된 조류는 총 21종이었다. 멸종위기야생동물 I급이면서 IUCN Red List에서도 위기종으로 분류된 종은 두루미, 황새(Ciconia boyciana), 넓적부리도요(Eurynorhynchus pygmeus), 노랑부리백로, 저어새 등 5종이었다. 멸종위기야생동물 II급이면서 IUCN Red List에 위기종으로 기록된 종은 흰죽지수리(Aquila heliacal), 흰이마기러기(Anser erythropus), 흑두루미, 항라머리검독수리(Aquila clanga), 재두루미, 알락꼬리마도요(Numenius madagascariensis), 무당새(Emberisz sulphurata), 따오기(Nipponia nippon), 느시(Otis tarda), 검은머리촉새(Emberiza melanocephala), 개리(Anser cygnoides) 등 총 11종이었다. 논에 대한 서식지 의존도가 높으면서 국내 보호종(멸종위기동물 I급과 II급)에 해당하는 종은 두루미, 재두루미, 검은목두루미, 흑두루미 등 두루미류와 개리, 흰이마기러기, 따오기 등 7종이다. 두루미류의 생존을 위해서는 겨울철 논의 보호와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참고문헌
  • 1. 2012 IUCN Red List of Birds google
  • 2. Choi Y.S., Hur W.H., Kim S.H., Kang S.G., Kim J.H., Kim H.J., Son J.S., Park J.Y., Yi J.Y., Kim C.H., Kang J.H., Han S.H 2012 Population trends of wintering ducks in Korea [Kor. J. Orni.] Vol.19 P.185-200 google
  • 3. Elphick C.S. 2010 Why Study Birds in Rice Fields? [Waterbirds] Vol.33 P.1-7 google
  • 4. Fujioka M., Armacost Jr J.W., Yoshida H., Maeda T. 2001 Value of fallow farmlands as summer habitats for waterbirds in a Japanese rural area [Ecol. Res.] Vol.16 P.555-567 google cross ref
  • 5. Fujioka M., Lee S.D., Kurechi M., Yoshida H. 2010 Bird use of rice fields in Korea and Japan [Waterbirds] Vol.33 P.8-29 google cross ref
  • 6. Han M.S., Kang K.K., Na Y.E., Bang H.S., Kim M.H., Jung M.P., Lee J.T., Hong H.K., Yoon D.-U. 2010 Aquatic invertebrate in paddy ecosystem of Korea P.1-524 google
  • 7. Han M.S., Na Y.E., Bang H.S., Kim M.H., Kang K.K., Lee J.T., Hong H.K. 2011 Aquatic fish, amphibians and reptiles in paddy ecosystem of Korea P.1-98 google
  • 8. Han M.S., Kang K.K., Kim M.H., Na Y.E., Bang H.S., Kim M.R., Hong H.K. 2012 Crustaceans and bivalves in paddy ecosystem of Korea P.1-179 google
  • 9. Jefferies R.L. 2000 Allochthonous inputs: integrating pouplation changes and food-web dynamics P.19-22 google
  • 10. Han M.S., Kim M.H., Bang H.S., Na Y.E., Lee D.B., Kang K.K. 2011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diving beetles (Dytiscidae) in Korean paddy ecosystem [Korean J. Environ. Agric.] Vol.30 P.209-215 google cross ref
  • 11. Kasahara S., Koyama K. 2010 Population trends of common wintering waterfowl in Japan: participatory monitoring data from 1996 to 2009 [Orni. Sci.] Vol.9 P.23-36 google cross ref
  • 12. Kim M.H., Na Y.E., Bang H.S., Han M.S., Kang K.K., Hong H.K., Kim S.J. 2011 Aquatic plants and plants on the bank in paddy ecosystem in Korea google
  • 13. Lee W.S., Park C.R., Rhim S.J., Hur W.H. 2002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in Mangyeong river area [Kor. J. Eco.] Vol.25 P.61-67 google cross ref
  • 14. Li Z.W.D., Bloem A., Delany S., Martakis G., Quintero J.O. 2009 Status of waterbirds in Asia-results of the Asian Waterbird Census:1987-2007 P.1-376 google
  • 15. Nam H.K., Choi S.H., Choi Y.S., Yoo J.C. 2012 Patterns of Waterbirds Abundance and habitat use in rice fields [Korean J. Environ. Agric] Vol.31 P.359-367 google cross ref
  • 16. 2012 The National census of wintering waterbirds google
  • 17. 2012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2.2 google
  • 18. Won P.O. 1981 Illustrated flora & fauna of Korea: Vol. 25 Avifauna google
  • 19. Won P.O., Kim H.J. 2012 The birds of Korea P.1-945 google
  • 20. Yoo S.H., Kim I.K., Kang T.H., Yu J.P., Lee S.W., Lee H.S. 2008 Wintering bird community in Cheonsu Bay and the relationship with food resources [Kor. J. Env. Eco.] Vol.22 P.301-308 google
  • 21. Yoo S.H., Lee K.S., Kim J.H., Park C.H. 2011 Long-term monitoring result and factors of the wintering crane's population change in Cheorwon, Korea-historic change and impact assessment of weather change by the MODIS [Kor. J. Orni.] Vol.18 P.59-71 google
  • 22. Yoo S.H., Lee K.S., Park C.H. 2012 Raptor's community changes in Cheorwon, Korea [Kor. J. Orni.] Vol.19 P.133-140 google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279 species (including subspecies) of birds using a rice paddy in South Korea (L: low; M: moderate; H: high; PH: post harvest season; AL: all year around; GR: rice growing season; I: Korean endangered birds Class I; II: Korean endangered bird Class II; EN: endangered; VU: vulnerable; CR: critically endangered; LC: least concern)
    279 species (including subspecies) of birds using a rice paddy in South Korea (L: low; M: moderate; H: high; PH: post harvest season; AL: all year around; GR: rice growing season; I: Korean endangered birds Class I; II: Korean endangered bird Class II; EN: endangered; VU: vulnerable; CR: critically endangered; LC: least concern)
  • [ ] 
  • [ ] 
  • [ ] 
  • [ ] 
  • [ ] 
  • [ ] 
  • [ ] 
  • [ Fig. 1. ]  Avian families using a rice paddy in South Korea.
    Avian families using a rice paddy in South Korea.
  • [ Fig. 2. ]  Seasons of using a rice paddy in major 10 avian family groups of South Korea (AL: all year around; GR: rice growing season; PH: post harvest season).
    Seasons of using a rice paddy in major 10 avian family groups of South Korea (AL: all year around; GR: rice growing season; PH: post harvest season).
  • [ Fig. 3. ]  Proportion (%) of species according to dependency on a rice paddy in major 10 avian family groups using a rice paddy of South Korea.
    Proportion (%) of species according to dependency on a rice paddy in major 10 avian family groups using a rice paddy of South Korea.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