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일부 지역 치위생과 학생의 과민성 장 증후군과 수면의 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Sleep Quality of Dental Hygiene Students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일부 지역 치위생과 학생의 과민성 장 증후군과 수면의 질에 관한 연구

This research aimed to understand the relevance between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and sleep quality for dental hygiene students in certain areas. It was conducted on 344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in Jeollabuk-do from May to September 2013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57.6% of the IBS bowel movement conditions were mixed type, 10.5% constipation type, 7.6% uncategorized, and 6.1% diarrhea type. For sleep quality based on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ird years were 11.45, second years 10.90, and first years 9.53 (p=0.034). The sleep qua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as the years increased, and even for IBS (p=0.026), it was low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difference in sleep quality based on IBS presence, habitual sleep efficiency, sleeping pill dosage (p=0.043), and day time functional disorder (p=0.007)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lower sleep quality than the control group. For difference in sleep quality based on IBS bowel movement condition, mixed type was the highest for sleep disturbance at 6.86, constipation type was 1.00 for habitual sleep efficiency, constipation type was 1.42 for subjective sleep quality, uncategorized type was 0.15 for sleeping pill dosage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ay time functional disorder, constipation type was the highest at 2.61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2).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sleep quality was positive.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we learned that for IBS, sleep quality becomes lower as the year increases, and functional disorder was observed during day time due to low sleep quality. Education on IBS symptoms is needed, adequate stress management method to alleviate symptoms and prevention programs for correct diet must be developed to enhance sleep quality.

KEYWORD
Dental hygiene students , Irritable bowel syndrome , Sleep quality
  • 서 론

    과민성 장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은 배변 습관, 장 습관의 변화이며 비정상적인 배변 및 복부 불편감과 관련되어 복통을 특징으로 나타내는 기능성 장 질환으로 신체적 변화 없이 복통, 설사, 변비 등으로 나타나는 만성적인 질환이다1). IBS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병률이 증가하고, 수면장애를 비롯하여 사회생활을 하는 데 지장을 주어 삶의 질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최근에는 학업이나 취업 등의 문제로 스트레스가 많은 젊은 연령층에서 늘어나고 있다2,3).

    IBS의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우울, 불안 등 심리적인 측면에서 다양하게 보고되어 있지만4) 정확한 발생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고 원인의 하나로 여성을 들기도 하며 우리나라에서는 IBS의 유병률이 약 100명 중 7명이 보고되어 있으며, 여성에서 유병률이 높다고 보고되어 있다5).

    우리나라 여대생의 경우 불규칙한 식생활과 취업, 이성친구, 용돈 등 많은 이유로 스트레스를 겪고 있고 특히, 여대생의 경우 과거에 비해 학력이 높아짐과 더불어 자기 성취를 위한 직업을 갖기를 희망하여 미래에 대한 스트레스가 일상 스트레스 범위 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6). Kim7)의 서울시 여대생들의 생활스트레스를 조사한 연구 결과를 보면 여대생에서 일반 남자대학생에 비해 스트레스가 더 높고 음주, 흡연 등에 자유롭게 노출되면서 많은 건강상의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주로 소화불량, 변비 등을 호소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2011년 국민영양건강조사8)에서도 19세 이상 성인에서 28.7%가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19∼29세가 34.9%로 가장 많이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19∼29세 여성에서 40.6%로 전 연령층과 성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Moon 등9)의 서울시내 여대생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요인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에서도 낮은 학점, 과중한 학업부담으로 과반수의 학생이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본 연구대상자인 치위생과 학생 역시 재학 중 치과위생사 면허를 취득하기 위한 국가고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고 Jung 등10)은 보고하였다. 이렇듯 스트레스는 수면장애, 전신피로, 소화불량, 변비 등 만성적인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학생들은 학업, 취업, 이성문제 등의 스트레스로 인해 수면장애를 겪고 있으며 여대생의 경우 수면장애가 더 높다고 보고하고 있다9). 밤 동안의 수면장애는 낮 동안의 일상생활을 하는 데 많은 지장을 주어 전신 피로감 등을 계속적으로 느끼게 된다. IBS가 영향을 미치는 삶의 질에는 수면장애가 보고되어 있으며11), 또한 Lee12)의 연구결과에서 IBS를 가진 여성은 심리적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에 있어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치위생과 학생들은 학업과 취업진로 및 취업문제 등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고, 이 시기에는 이러한 스트레스를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과 함께 자신의 건강을 책임지고 건강한 삶을 계획해야 할 시기이다13). 따라서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에게 나타나는 스트레스 원인 증상 중의 하나인 IBS의 유병률과 유형을 파악하고 수면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건강한 치과위생사가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13년 5월부터 9월까지 전라북도 소재 3개 전문대학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학과장에게 연구의 취지를 설명한 후 승인을 받아 치위생과 학생들이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360부의 설문지 중 결과분석이 가능한 344부를 최종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2. 연구도구

    1) IBS 측정도구

    연구대상자가 경험하는 IBS는 Lee14)가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의 취지에 맞게 연구자가 일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 도구에는 IBS에 관한 사항 1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IBS를 사정하는 조사도구는 Longstreth 등15)의 로마 기준 III를 바탕으로 하였다. 로마기준 III에 따라 과민성 증후군 관련 문항 중 2개 이상의 기준을 만족시키는 경우 IBS 대상자로 분류하였으며, 대상자 중 배변양상증상에 따라 설사형, 변비형, 혼합형 및 미분류형 IBS 유형으로 소분류 하였다.

    2) 수면의 질 측정도구

    연구대상자의 수면의 질 정도는 Buysse 등16)이 개발한 도구를 Youn11)이 번역한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취지에 맞게 연구자가 일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이 도구에는 주관적인 수면의 질(1문항), 습관적 수면효율성(2문항), 수면방해(9문항), 수면제 복용(1문항), 낮 시간의 기능장애(2문항)에 관한 문항으로 총 5개 영역, 1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의 점수는 “전혀 어려움이 없다” 0점에서 “아주 어렵다” 3점으로 영역별로 0∼3점으로 점수화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수면의 질 정도가 낮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는 Cronbach’s α=0.791이었다.

       3. 분석 및 통계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IBS의 배변양성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과 배변양상유형에 따른 수면의 질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을 위해 Scheffe test를 사용하였다. 또한 수면의 질 하위요인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치위생과 1학년 35.2%, 3학년 34.0%, 2학년 30.8% 순이었으며, 운동은 하지 않는 경우가 72.1%로 나타났다. 음주는 “예”가 68.3%, 흡연은 “아니오”가 98.0%로 조사되었다(Table 1).

    [Table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label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2. IBS의 배변양상유형

    IBS는 로마기준 III에 의해 분류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 344명 중 IBS로 분류된 수는 281명이며 81.7%로 높게 나타났다. IBS의 유형은 혼합형이 57.6%로 가장 높았으며 변비형 10.5%, 미분류형 7.6%, 설사형 6.1% 순으로 나타났다(Table 2).

    [Table 2.]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Each Bowel Movement Condition (N=344)

    label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Each Bowel Movement Condition (N=344)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3). 수면의 질은 학년(p=0.034), IBS (p=0.02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IBS일 경우 수면의 질이 낮았다.

    [Table 3.] Sleep Quality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label

    Sleep Quality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4. IBS 유무에 따른 수면의 질 차이

    IBS 유무에 따른 수면의 질 차이는 IBS일 경우 습관적 수면효율성(p=0.043), 수면제 복용(p=0.043) 및 낮 시간 기능장애(p=0.007)에서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Table 4). IBS일 경우 대조군에 비해 습관적 수면효율성(0.83점), 수면제 복용(0.06점), 낮 시간 기능장애(2.17점)의 점수가 높아 수면의 질이 낮았다.

    [Table 4.] Difference in Sleep Quality Based on Presence of Irritable Bowel Syndrome

    label

    Difference in Sleep Quality Based on Presence of Irritable Bowel Syndrome

       5. IBS의 배변양상유형에 따른 수면의 질 차이

    연구대상자의 배변양상유형에 따른 수면의 질 차이는 낮 시간 기능장애가 변비형이 2.6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12). 수면방해의 경우 혼합형이 6.86으로 가장 높았고, 습관적 수면효율성은 변비형이 1.00, 주관적 수면의 질 또한 변비형이 1.42로 가장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Table 5).

    [Table 5.] Difference in Sleep Quality Based on Bowel Movement Condition of Irritable Bowel Syndrome

    label

    Difference in Sleep Quality Based on Bowel Movement Condition of Irritable Bowel Syndrome

       6. 수면의 질 하위요인의 상관관계

    수면의 질 하위요인인 수면방해, 습관적 수면효율성, 주관적 수면의 질, 수면제 복용 및 낮 시간 기능장애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Table 6과 같다. 수면방해는 습관적 수면효율성, 주관적 수면의 질, 수면제 복용 및 낮 시간 기능장애와 정적 상관관계(r=0.20∼0.62)를 가지고 있고, 습관적 수면효율성은 주관적 수면의 질, 수면제 복용 및 낮 시간 기능장애와 정적 상관관계(r=0.20∼0.42)를 가지고 있으며, 주관적 수면의 질은 수면제 복용과 낮 시간 기능장애와 정적 상관관계(r=0.45∼0.91)를 가지고 있으며, 수면제 복용은 낮 시간 기능장애와 정적 상관관계(r=0.58)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6.] Correlation between Sub Factors of Sleep

    label

    Correlation between Sub Factors of Sleep

    고 찰

    본 연구는 IBS의 유병률이 젊은 여성층에서 높다는 기존연구3)를 바탕으로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IBS의 정도를 분석하고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와 IBS와 수면의 질을 파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IBS는 복통과 복부팽만감 및 가스가 차는 증상을 호소하는 질환으로 이러한 증상은 호전과 악화가 반복되는 만성적 질환으로 대상자의 일상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IBS를 갖고 있는 사람의 건강상태는 일반인보다 낮았으며, 삶의 전반적인 영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17,18). 위의 연구를 통해 IBS는 복통과 복부 불쾌감뿐만 아니라 수면, 삶의 질 등의 정신, 사회적인 면에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 IBS는 로마기준 III에 의해 분류된 것으로, 본 연구에서 대상자 344명 중 281명(81.7%)이 IBS로 나타났고 IBS의 배변양상유형별로 살펴보면 혼합형이 57.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Youn11)의 3년제 간호학과 여대생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에서 혼합형이 55.7%, Lee14)의 IBS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에서 혼합형 73.6%로, 혼합형이 가장 높게 나타난 본 연구 결과와 비슷했다. 하지만 Lee19)의 우리나라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혼합형이 44.0%로 가장 많았으나, 이중 여대생의 경우는 변비형이 47.9%로 가장 높아 본 연구결과와 상이하게 나타났다.

    수면은 인간의 생리적 기능으로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IBS를 가진 대상자들은 낮은 수면의 질을 호소하는데, 갑작스런 복통이나 배변증상이 밤 동안의 수면방해를 초래하여 낮 동안의 일생생활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20). 본 연구결과 수면의 질은 학년(p=0.034)과 IBS (p=0.02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3학년 11.45점, 2학년 10.90점, 1학년 9.53점으로 학년이 높을수록 수면의 질이 낮았다. 이는 Youn11)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에서 IBS에서 수면의 질이 낮았다는 연구결과와 같았고 학년별로는 유의성이 없었다는 결과와는 상이하나 Tsai와 Li21)의 연구에서 학년에 따른 수면의 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와는 일치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1학년에서 다른 학년에 비해 수면의 질이 더 낮았다는 결과와는 상반된 결과이다. 이러한 이유는 본 연구 대상자인 치위생과 학생들은 학과 특성상 일반 대학생에 비해 학년이 올라갈수록 전공 시수의 증가, 임상실습, 국가고시준비 등으로 인하여 학업과 전공에 맞는 취업선택을 위한 스트레스로 인한 결과로 생각된다. 또한 IBS에서 10.94점, 정상인 경우 9.11점으로 IBS에서 수면의 질 정도가 낮아 IBS가 있는 치위생과 학생은 수면의 질이 낮음을 알 수 있다. IBS 유무에 따른 수면의 질 하위요인에서는 습관적 수면효율성(p=0.043), 수면제 복용(p=0.043), 낮 시간 기능장애(p=0.007)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IBS 여대생에서 낮 동안의 일상생활에 방해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Youn11), Lee12) 및 Elsenbruch 등22)의 연구결과와 같았지만 Youn11)의 연구에서 습관적 수면 효율성과 수면제 사용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는 결과와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선행연구결과들은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나 상이한 부분이 나타난 것은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IBS와 수면의 질과 관련된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와 절대적으로 비교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IBS 배변양상유형에 따른 수면의 질 차이는 낮 시간 기능장애가 변비형이 2.6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혼합형 2.16점, 설사형 2.14점, 미분류형 1.65점 순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p=0.012) 변비형인 경우 낮은 수면의 질로 인해 낮 시간 피로감에 의한 기능장애를 가장 많이 경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수면방해의 경우 혼합형에서 6.86점으로 가장 높아 수면의 질이 가장 낮았고, 습관적 수면효율성과 주관적 수면의 질은 변비형이 1.42점으로 가장 높아 수면의 질이 가장 낮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이는 Youn11)과 Lee14)의 IBS 배변 유형과 수면의 질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다는 연구결과와 같다. 그러나 Burr 등23)의 연구에서는 변비형이 설사형보다 코르티졸과 카테콜라민의 수치가 수면 중 유의하게 높고 주관적 수면의 질도 변비형이 설사형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변비형에서 주관적 수면의 질이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수면의 질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든 하위영역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수면제 복용은 낮 시간 기능장애(r=0.58)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수면제를 복용하는 경우 낮 시간 기능장애와 관련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수면제를 복용하는 경우 연구대상자가 수면장애를 인지하고 있는지 여부와 인지된 장애를 해결하기 위한 어떤 노력을 하는지 알 수는 없으나 수면장애를 호소하는 IBS 대상자에게 수면장애 관리를 위한 수면제 처방과 약리기전에 대한 올바른 정보제공과 교육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결과 IBS가 있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수면의 질은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치위생과 학생들의 좀더 나은 학교생활 적응과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올바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IBS의 증상완화와 수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개발 및 보건 중재가 필요하다고 보여지며,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건강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본 연구대상자를 일부 지역에 국한된 모집단에서 편의추출하였고 단면적 조사연구로서 전체 치위생과 학생을 대표한다고 할 수 없으며,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무리가 있다.

참고문헌
  • 1. Kang HW, Jung HK 2011 Pathophysiology and diagnosi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Korean J Med] Vol.5 P.491-498 google
  • 2. Park HJ, Lim SY 2009 Frequency of irritable bowel syndrome, entrance examination, stres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among adolescent women [J Korean Acad Fundam Nnurs] Vol.2 P.171-180 google
  • 3. Hwang SY, Choi CH, Rhie SY 2006 The frequency and related factor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n health check up subjects [JNM] Vol.2 P.136-143 google
  • 4. Pace F, Molteni P, Bollani S 2003 Inflammatory bowel disease versus irritable bowel syndrome: a hospital-based, case-control study of disease impact on quality of life [Scand J Gastroenterol] Vol.10 P.1031-1038 google
  • 5. Ji SW, Park HJ, Choi JP, Lee TH, Lee DY, Lee SI 2003 Validation of Rome II criteria for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in Kn patients [Korean J Gastroenterol] Vol.3 P.183-189 google
  • 6. Min SH, Oh HS, Kim JH 2004 Dietary behaviors and perceived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Vol.2 P.158-169 google
  • 7. Kim KH 2000 The rel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nutrient intake satus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Vol.4 P.387-397 google
  • 8. 2011
  • 9. Moon IO, Kim YH, Lim HJ 2004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related with stres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orean Public Health Res] Vol.1 P.79-84 google
  • 10. Jung EJ, Yoon MS, Youn HJ 2012 A study on stressors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J Dent Hyg Sci] Vol.2 P.131-137 google
  • 11. Youn JH 2005 A study on IBS stress perceived by college women and their dietary habit and sleeping qua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12. Lee YS 2002 Explorative study on anxiety, depression and sleep disturbance in women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13. Kwon SS, Moon HJ 2012 A study of the psychosomatic selfreported symptom of dental hygiene students [J Dent Hyg Sci] Vol.12 P.413-421 google
  • 14. Lee JM 2002 Relationship between symptom severity, sleep quali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15. Longstreth GF, Thompson WG, Chey WD, Houghton LA, Mearin F, Spiller RC 2006 Functional bowel disorders [Gastroenterology] Vol.5 P.1480-1491 google
  • 16. Buysse DJ, Reynolds CF, Monk TH, Berman SR, Kupfer DJ 1989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 Vol.28 P.193-213 google
  • 17. Park MJ, Choe MA, Kim KS 2005 The review on characteristics, pathophysiology and risk factor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Korean J Rehabil Nurs] Vol.2 P.129-138 google
  • 18. Heitkemper MM, Cain KC, Shulman R, Burr RL, Poppe A, Jarrett ME 2011 Subtype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based on abdominalpain/discomfort severity and bowel pattern [Dig Dis Sci] Vol.7 P.2050-2058 google
  • 19. Lee SH 2003 The prevalence of characteristic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n Korean popul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oogle
  • 20. Fass R, Fullerton S, Tung S, Mayer EA 2000 Sleep disturbances in clinic patients with functional bowel disorders [Am J Gastroenterol] Vol.5 P.1195-2000 google
  • 21. Tsai LL, Li SP 2004 Sleep patterns in college students, gender and grade differences [J Psychosom Res] Vol.2 P.231-237 google
  • 22. Elsenbruch S, Thompson JJ, Jamish MJ, Exton MS, Orr WC 2002 Behavioral and physiological sleep characteristics in women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Am J Gastroenterol] Vol.9 P.2306-2314 google
  • 23. Burr RL, Jarrett ME, Cain KC, Jun SE, Heitkemper MM 2009 Catecholamine and cortisollevels during sleep in women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Neurogastroenterol Motil] Vol.11 P.1148-1197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 [ Table 2. ]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Each Bowel Movement Condition (N=344)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Each Bowel Movement Condition (N=344)
  • [ Table 3. ]  Sleep Quality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Sleep Quality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 [ Table 4. ]  Difference in Sleep Quality Based on Presence of Irritable Bowel Syndrome
    Difference in Sleep Quality Based on Presence of Irritable Bowel Syndrome
  • [ Table 5. ]  Difference in Sleep Quality Based on Bowel Movement Condition of Irritable Bowel Syndrome
    Difference in Sleep Quality Based on Bowel Movement Condition of Irritable Bowel Syndrome
  • [ Table 6. ]  Correlation between Sub Factors of Sleep
    Correlation between Sub Factors of Sleep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