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본 학과 졸업생의 학교 성적과 국시 성적을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본 학과의 6개 연도 졸업생 185명의 학교 성적과 국시 성적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성별과 졸업 연령 등에 따라 학교 성적과 국시 성적에 차이가 있는지 평가하며, 학교 성적의 여러 세부항목 가운데 국시성적을 가장 적절히 예측할 수 있는 주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본 학과 졸업생의 학년 평점 및 종합시험 점수는 국시 필기 점수와, 1~3학년의 학년 평점 및 종합시험 점수는 국시총점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2학년의 학년 평점이 국시 필기 점수와, 2차 종합시험 점수가 국시 총 점수와 상관성이 가장 높았다. 졸업 총평점이 높거나, 여학생이거나, 졸업 연령이 낮은 졸업생이 국시 필기 점수가 의미 있게 높았으나 국시 실기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차 종합시험 점수가 국시 총점수와 상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바, 4학년 2학기에 최종적으로 시행하는 종합시험 점수가 국시 성적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주된 요인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4년 전체의 졸업 평점이 우수하더라도 국시실기 점수에는 그 영향이 없었으며, 국시 실기와 직접 관련이 있는 4학년의 학년 평점은 오히려 국시 실기 점수와 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또한 국시 실기 점수와 이에 해당하는 학교 교과목 평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학교 성적으로 국시 필기 점수는 신뢰성있게 예측할 수 있으나 국시 필기 점수는 그렇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일개 학교의 사례라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학교 교육과 국시가 상치되지 않아야 한다면 치위생학 교육과 치과위생사 국시의 연계성에 관련하여 심층적인 연구가 더욱 활발히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aimed to define the predicting factor account for the Korean Dental Hygienist Licensing Examination (KDHLE) by analyzing the academic grade score and the KDHLE score. The subjects included 185 graduates (2007, 2009, 2011~2014 graduates). The ratio of successful applicants of the subjects was 99.2%. The academic grade scores were calculated to grade point average, the KDHLE was scoring marks out of 300 (200 of written examination score and 100 of performance evaluation score)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graduation grades and comprehensive examination score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KDHLE written examination scores (correlation coefficient=0.612), and KDHLE total score (correlation coefficient=0.258). First~third grade score and comprehensive examination score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KDHLE total scores (p<0.05). Especially, there are the highest correlated between second comprehensive examination scores and KDHLE total scores (correlation coefficient=0.455), the last score in time sequence is the important factors account for the KDHLE total score. Bu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grade score and KDHLE performance evaluation scor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for determine the reason. The results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econd grade score and the average score of comprehensive examination were the main predicting factors account for the KDHLE total score, the explanatory power was 31.6%. Our results show that KDHLE total and written examination scores are predicted by the academic grade score reliably, but not the KDHLE performance evaluation score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hygiene education and KDHLE.
우리나라에서 치과위생사 면허를 취득하려면 대학에서 3년 이상의 치위생학 교육과정을 이수한 졸업생(또는 이듬해 2월 이전에 졸업이 확인된 예정자)이 한국보건의료인국가 censing Examination, KDHLE; 이하 국시)에 합격해야 한다1). 치위생학 교육은 대학마다 교육목표와 환경 등이 다를 수 있으므로 그 내용이나 성과가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치위생학 교육을 마친 치위생(학)과 졸업생은 대학별로 지식이나 술기 등의 평균적인 역량 수준에 편차가 있을 수 있으며, 개별 대학 내에서는 학생 개인별로 학교 성적에 차등이 있게 마련이다. 하지만 치위생학 교육이 이런 상이점에도 불구하고 치과위생사 양성이라는 최소한의 책무를 담보하려면 해당 학교 졸업생의 역량이 국시에서 요구하는 최소 기준선에 도달해야 한다. 국시는 개별 대학의 교육적 수월성을 평가하거나 인증하는 제도가 아니며, 응시자 개인의 학업 수준을 차등적으로 평가하는 경쟁적 선발시험도 아니다. 치과위생사를 포함한 모든 보건의료인의 국시는 단지 응시자 개인이 해당 직종의 일반적인 업무 수행에 꼭 필요한 최소한의 역량을 갖추었는지 여부를 합격 또는 불합격만으로 판별하는 절차이다. 즉 국시는 응시자 가운데 보건의료인의 최소 기준에 미달한 사람이 있는지 확인하여 가려내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시는 그 시행 취지와 개념이 학교의 교육과정이나 성적평가와 차이가 있다.
학교의 치위생학 교육이 치과위생사 국시를 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국시의 영향력이 학교의 치위생학 교육을 압도하고 있어 오히려 국시가 치위생학 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규정하고 강제하는 측면이 더 크다. 이러한 상황은 다른 보건의료직종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으며, 국시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선진적으로 개선이 된다면 대학 교육의 발전적인 변화를 효과적으로 이끌어갈 수도 있다. 그 좋은 사례가 의사 국시이다.
현행의 치과위생사 국시가 과연 적절한지에 대해 여러 비판적 의견이 있을 수 있다. 우리나라의 치과위생사 국시는 실기시험의 방식이 일부 조정된 것을 제외하곤 1999년 이후 현재까지 15년 동안 그 틀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치위생학의 발전과 사회의 변화된 요구에 제대로 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줄곧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국시 합격률 등의 결과가 곧 치위생학 교육의 충실성 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치과위생사 국시의 결과는 치위생학교육의 최종 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정량적 지표이기 때문에 그 현실적인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학교의 치위생학 교육이 이러한 기본 책무를 달성하지 못한 채 교육의 질적 수준이나 다양성 등을 언급하기 어렵다.
Y-대학교 치위생학과(이하 본 학과)에서는 2002년 학과 설립 이후, 치위생학의 세부전공 영역(교양, 생명의과학, 치의학의 세 가지 영역을 제외한 치위생학의 고유 영역)을 바탕으로 새로운 통합교육과정을 구축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하지만 이 통합교육과정은 치의학의 교과목으로 세분되어 있는 현행 치과위생사 국시와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초창기 졸업생의 국시 준비에 내부적인 혼란을 겪었다. 새롭게 시도되는 치위생학 세부전공 영역의 통합교육과정이 성공적으로 안착하려면 일단은 졸업생의 국시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이 없어야 하는 것이 기본적인 선결 과제였다. 하지만 그동안 본 학과에서는 축적된 자료의 미비와 노력의 부족으로 이러한 문제에 대해 구체적인 검토를 하지 못하였다.
의사 국가고시의 경우 Objective Structures Clinical Examination (OSCE)을 도입하고, R형의 문제 유형을 추가하는 등 국가고시의 틀이 변화를 겪으면서 국가고시와 학업성적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가 다수 존재한다2,3). 또한 간호사 국가고시의 경우에도 타당도를 평가하는 연구에서 국시 성적은 학업 성적을 반영해야 타당성이 높다고 평가하여 이들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바 있다4). 그러나 치위생분야에서는 국시 성적과 학업 성적 간의 상관성을 조사한 연구가 드물고, 일개 년도의 졸업생을 대상으로 일부 대학에서 조사한 연구가 전부이다5).
이 연구는 본 학과에서 구축한 치위생학 세부전공 영역의 통합교육과정을 거친 졸업생의 학교 성적과 국시 성적을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졸업생의 성별과 졸업 연령, 졸업 연도 등에 따라 학교 성적과 국시 성적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 둘째, 본 학과 졸업생의 학교 성적이 국시 성적과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셋째, 졸업생의 학교 성적 가운데 국시 성적을 가장 적절히 예측할 수 있는 주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재학생의 학업 및 국시 지도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 연구는 본 학과를 졸업한 총 1∼9회까지의 전체 졸업생 307명 가운데 6개 연도(2007년, 2009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의 졸업생 18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해당 6개 연도의 전체 졸업생은 201명이지만 전적 대학에서 이미 치과위생사 면허를 취득한 편입생 16명은 이 연구의 대상에서 제외하였고, 제41차 국시의 실기 불합격자 2명(2014년도 졸업생)은 이에 포함시켰다. 아울러 본 학과에서 4학년 2학기에 실시하는 종합시험 점수와 국시 성적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7년도와 2009년도를 제외한 4개 연도 졸업생(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127명의 종합시험 성적과 이들의 국시 성적을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자 185명의 6개 연도 국시 합격률은 평균 99.2%였으며, 해당 연도의 전국 국시 합격률은 평균 88.6%였다.
본 학과의 6개년도 졸업생 185명의 4년간 학교 성적과 이들의 국시 성적(제34차 국시, 제36차 국시, 제38차 국시[2010년], 제39차 국시[2011년], 제40차 국시[2012년], 제41차 국시[2013년] )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학과 졸업생의 학교 성적 4.3점 만점의 평균평점, grade point average (GPA; 이하 평점)은 학과 교과목 평점, 학년 평점, 종합시험 점수, 졸업 총평점의 네 가지 세부항목으로 각각 구분하였다. 본 학과 졸업생의 국시 성적(300점 만점의 점수)은 국시 필기 점수, 국시 실기 점수, 국시 총점수의 세 가지 세부항목으로 각각 구분하였다(Table 1).
[Table 1.] Classification of Aspects of Academic Grade Scores and KDHLE Scores
Classification of Aspects of Academic Grade Scores and KDHLE Scores
1) 본 학과 졸업생의 성별과 졸업 연령, 졸업 연도에 따라 학교 성적과 국시 성적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2) 본 학과 졸업생의 졸업 총평점과 국시 성적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으며, 학년 평점이 국시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학과 교과목 평점과 국시 성적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3) 국시의 종별(필기, 실기)과 그 과목(필기의 5개 과목)을 기준으로 본 학과의 교과목을 선별적으로 재분류하였고(Table 2), 국시의 필기 및 실기에 해당하는 학과 교과목 평점은 학점의 가중치에 따라 보정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Table 2.] Classification of Our Dental Hygiene Program's Subjects with Respect to Subjects of KDHLE
Classification of Our Dental Hygiene Program's Subjects with Respect to Subjects of KDHLE
4) 본 학과의 종합시험은 국시 필기시험과 동일한 형식(200개 문항, 200점 만점)으로 2회에 걸쳐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학과 졸업생의 종합시험 점수가 국시 성적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고, 종합시험 점수가 국시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5) 본 학과 졸업생의 4년간 학교 성적 가운데 국시 성적을 예측할 수 있는 주된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본 학과 졸업생의 학교 성적과 국시 성적은 윈도우용 통계 프로그램 IBM SPSS Statistics 20.0 (IBM Co., Armonk, NY,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표시하고,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학교 성적과 국시 성적은 independent t-test와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학교 성적과 국시 성적이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국시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성적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각각 시행하였다.
본 학과 6개 연도 졸업생의 학교 성적 자료는 2014년 3월 Y-대학교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IRB No. YWDR-14-9-011), 학교 당국에 공문을 요청하여 취득하였다. 본 학과 6개 연도 졸업생의 국시 성적은 4학년 재학 중에 이미 응시자의 개별적인 사전동의를 매년 얻어 국시원으로부터 공식적인 자료를 확보하고 있는 상태였으며, 이 자료의 연구 활용에 관련하여 Y-대학교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본 학과 졸업생의 학교 성적과 국시 성적 자료는 전산처리 시에 피험자의 비밀을 보호할 수 있도록 성별과 졸업 연령, 입학 연도, 졸업 연도를 제외한 나머지 개인정보는 입력하지 않았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졸업 총평점과 국시 필기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국시 실기 점수와 국시 총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휴학이나 유급 등의 사유가 없이 4년 만에 졸업한 23세 이하의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하여 졸업 총평점과 국시 필기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국시 필기의 5개 과목 가운데 <구강위생학개론>과 <치과임상학>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졸업 연도에 따라 졸업 총평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졸업 연도에 따라 국시 필기 점수와 국시 실기 점수 및 국시 총점수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으나 일정한 경향은 없었다(p<0.05). 졸업 총평점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에 비하여 국시 필기 점수와 국시 총점수도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국시 실기 점수에는 차이가 없었다(Table 3).
[Table 3.] Student's School Grades and KDHLE Scores with Respect to General Characteristics
Student's School Grades and KDHLE Scores with Respect to General Characteristics
1) 학년 평점, 졸업 총평점 및 종합시험 점수와 국시 성적의 상관성
4학년을 제외한 1, 2, 3학년의 학년 평점 및 종합시험 점수가 국시 총점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2차 종합시험 점수가 상관계수 0.455로서 국시 총점수와 상관성이 가장 높았다(p<0.05).
학년 평점과 1차, 2차 종합시험 점수는 국시 필기 점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상관계수는 2학년 평점이 0.607로 가장 높았다(p<0.05). 학년 평점 사이의 상관성이 높았으며, 2학년 평점과 3학년 평점의 상관계수가 0.617로 가장 높았다. 졸업 총평점과 국시 필기 점수의 상관계수는 0.612로 나타났다. 또한 1학년 평점 및 4학년 평점은 국시 실기 점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다른 세부항목의 학교 성적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p<0.05; Table 4).
Correlation between Each of Students' Each Academic Year's GPA, Graduation GPA, Comprehensive Examination Scores and KDHLE Scores
2) 학과 교과목 평점과 국시 성적의 상관성
학과 교과목 평점은 국시 필기 과목의 <치과임상학> 점수가 그 상관성이 가장 높았으며(0.523), 이와 더불어 <의료관계법규>와 <구강생물학개론> 및 <치과방사선학개론> 점수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이에 비하여 학과 교과목 평점과 국시 필기 과목의 <구강위생학개론> 점수, 학과 교과목 평점과 국시 실기 점수는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Table 5).
[Table 5.] Correlation between Major GPA and KDHLE Scores
Correlation between Major GPA and KDHLE Scores
3) 국시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성적의 요인
앞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시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성적의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1, 2, 3학년의 학년 평점, 그리고 종합시험 점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종합시험 점수는 1회와 2회 모두 국시 성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그의 평균점수를 회귀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2학년 평점과 종합시험 평균점수가 국시 총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그 설명력은 31.6%로 나타났다(Table 6). 또한 국시 필기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졸업생의 성별, 졸업 연령, 학년 평점, 그리고 종합시험 평균점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2학년과 3학년의 학년 평점, 그리고 종합시험 평균점수가 국시 필기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그 설명력은 52.0%로 나타났다(Table 7).
[Table 6.] Aspects of Academic Grades that Affect KDHLE Total Scores
Aspects of Academic Grades that Affect KDHLE Total Scores
[Table 7.] Aspects of Academic Grades that Affect KDHLE Written Examination Scores
Aspects of Academic Grades that Affect KDHLE Written Examination Scores
치과위생사 국시는 학교 교육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국시에 관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한국보건의료인 국가시험원에서 시행한 몇몇 정책연구가 있었을 뿐6,7), 치위생학 교육의 구체적 성과 가운데 하나인 졸업생의 학교성적을 국시 성적과 연계한 실증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개 연도의 관련 자료를 사용하여, 본 학과 졸업생의 학교 성적과 국시 성적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학교 성적은 국시 성적과 높은 상관관계에 있을 개연성이 크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도 졸업 총평점이 높은 학생이 국시 필기 점수와 국시 총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졸업 총평점이 낮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낮을 뿐 아니라 학업에 대한 성실성도 담보하기 어려울 것이므로 학교성적이 낮은 학생들이 국시 성적에서도 저조한 결과를 낸 것은 당연한 결과일 수도 있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졸업 총평점은 물론이고 국시 필기 점수도 모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의과대학 졸업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일부 연구의 결과와 유사하다8). 하지만 남녀 차이는 학교 및 국시의 성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례도 있으므로3,9) 이는 일반화하기 어려운 경향으로 여겨진다. 치위생학 교육기관은 전통적으로 여학생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고10), 일부 대학은 남학생의 입학을 제한하기도 한다. 그러나 4년제 치위생학과가 신설되면서 남학생의 입학률이 높아져 이들이 졸업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로 면허를 취득한 남자 치과위생사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11), 본 학과의 경우에도 남학생의 수가 입학 정원의 20%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따라서 치위생학과 남학생의 학업과 국시 지도가치위생학 교육의 새로운 과제로 등장하고 있으며, 이들의 역할과 사회 진출과 관련하여 적극적인 관심과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졸업 총 평점과 국시 필기 성적은 상관계수 0.612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일개 의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나타난 상관관계보다는 적은 수준이었으나2),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에서 나타난 0.392보다는 큰 수치였다4). 그러나 졸업 총 평점과 국시 총 점수와는 0.258의 상관계수를 나타내어 학교 성적과 국시 실기 점수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졸업 연령은 학교생활의 연속성을 뜻하는 지표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7∼8세 무렵에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고등학교를 거쳐 대학에서 4년의 학업을 마친 학생은 23세 이하이고, 재수나 휴학, 유급이나 군 복무 등의 사유로 학교생활에 공백 기간이 있으면 24세 이상에 대학을 졸업한다. 이 연구에서 졸업 연령이 23세 이하인 졸업생은 졸업 총평점은 물론이고 국시 필기 점수가 유의하게 높아, 이는 낮은 연령의 학생이 국시 성적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는 기존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3).
이상의 연구 내용을 요약하면 졸업 총평점이 높거나, 여학생이거나, 졸업 연령이 낮은 졸업생은 국시 필기 점수가 의미 있게 높았으나, 반면에 국시 실기 점수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성적 괴리는 본 학과의 실기 교육이 지식 교육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했거나, 국시 실기에 제도적 또는 운영상의 문제가 있거나, 아니면 양자 모두에 그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이 연구에서 본 학과 졸업생의 학년 평점과 종합시험 점수는 국시 필기 점수와, 4학년을 제외한 1, 2, 3학년의 학년평점 및 종합시험 점수는 국시 총점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2학년의 학년 평점이 국시 필기 점수와, 2차 종합시험 점수가 국시 총점수와 상관성이 가장 높았다. 국시 필기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 2학년의 학년 평점이 성별, 연령, 학년평점, 종합시험 점수와 비교하였을 때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의학과 졸업생의 본과 학년별 성적과 국시 성적의 관련성을 평가한 연구에서도 본과 2학년 성적이 합격자와 불합격자 사이에서 가장 많은 차이가 난다고 보고한 바 있다12). 하지만 이러한 현상은 고학년으로 갈수록 학교 성적이 국시 성적과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는 일부 연구와 차이가 있었다2). 본 학과의 1학년은 학생들은 비교적 시간이 여유롭고, 교양 교과목 중심으로 구성된 데 비하여 2학년부터는 수업시간이 늘어나고 본격적으로 전공교과목을 학습하게 되어 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적응도에 변화가 일어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2학년 시기에는 구강생물학의 일부 과목과 함께 임상치위생학과 치주학, 치과재료학, 방사선학 등 국가고시와 직접 관련이 있는 과목을 학습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2학년 평점은 종합 시험 점수와 함께 국시필기 점수와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학과의 경우, 4학년 과정은 임상치위생학의 대상자 실습과 치과임상학의 병원 실습으로 대부분 이루어지기 때문에 국시 성적과 상관성이 적고 타 학년 평점과도 상관성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학과 교과목 평점은 국시 필기의 <구강위생학개론> 과목을 제외한 나머지 과목의 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국시 필기의 <구강위생학개론> 과목은 치위생학의 세부전공에 해당하는 영역으로서, 본 학과에서는 이를 몇 개의 통합교과목으로 운영하고 있다. 즉 본 학과의 통합교과목은 강의를 포함하여 대상자 실습, 15곳 정도의 외부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지역사회 현장 실습과 보건교육 실습, SPSS 활용법, 역학조사 및 실험 논문의 작성, 치위생 증례의 발표와 분석 등 실무 중심의 실습교육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교육과정의 내용이 국시 필기의 <구강위생학개론> 과목에서 출제되는 문항의 내용과 적지 않은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상이점으로 인하여 국시 필기의 <구강위생학개론> 과목의 점수와 이에 해당하는 학과 교과목 평점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졸업 직전에 마지막으로 치르는 2차 종합시험 점수가 국시 총점수와 상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바, 이는 국시를 앞두고 그간의 학업을 정리한 성과로서 당연한 귀결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4학년 2학기에 최종적으로 시행하는 종합시험 점수가 국시 성적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주된 요인일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 주목할 사항은 4년 전체의 졸업 평점이 우수하면 국시 필기 점수와 국시 총점수도 유의하게 높은 데에 반하여 국시 실기 점수에는 그 영향이 없었다는 점이다. 아울러 국시 실기와 직접 관련이 있는 4학년 평점은 오히려 국시 실기 점수와 반대의 양상을 보였을 뿐 아니라, 학교 교과목 평점도 국시 실기 점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국시 실기에 해당하는 본 학과의 교과목은 임상치위생학이다. 임상치위생학은 총 6학기에 걸쳐 진행되는 대단위 통합교과목으로, 학생들은 이 교과목을 통하여 국시 실기의 평가 항목 이외에도 대상자의 건강/구강건강에 대한 사정, 판단, 계획, 수행, 평가 등의 치위생과정을 바탕으로 개별 대상자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미충족 욕구를 파악하여 윤리적 판단, 비판적 의사결정, 근거중심의 치위생처치 등의 다양하고 통합적인 중재법을 익히게 된다. 그러나 국시 실기의 경우에는 이러한 포괄적 내용 가운데 일부에 불과한 치주기구 사용 술기(치석 탐지 및 치석 제거)만을 4분의 짧은 시간 안에 제한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식과 내용의 차이로 인하여 임상치위생학의 학과 교과목 평점이 국시 실기 점수와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학교의 치위생학 교육과정을 성실히 마친 졸업생은 치과위생사 국시에 어렵지 않게 합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학교 성적이 우수한 졸업생은 국시 성적은 물론이고 치과위생사 면허 취득 이후의 실무 역량도 이에 상응하게 우수해야 할 것이다. 즉 학교 성적과 국시 성적, 국시 성적과 실무 역량은 서로 괴리가 없거나 그 간극이 가능한 적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은 수년 전부터 의학이나 치의학, 간호학, 공학 등의 교육계에서 큰 흐름을 이루고 있는 성과바탕교육(outcome-based education)의 근본 취지이기도 하다. 그러나 현행 치과위생사 국시는 필기시험에 문제해결형에 비해 단순한 지식암기형의 문항이 지나치게 많고, 실기시험의 경우에도 그 형식과 내용도 극히 한정되어 있어 예비치과위생사가 갖추어야 할 실무 역량을 평가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2000년대에 접어들어 우리나라에도 4년제 치위생학과가 개설됨으로써 치위생학 교육의 질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현재의 치위생학 교육은 치위생과정의 도입과 적용, 이에 기반을 둔 통합교육과정의 구축, 치위생패러다임에 따른 치위생학 세부전공 교과목의 정립 등의 혁신을 통하여 그간 치의학적 교육체계를 답습하던 구태에서 벗어나 자신의 고유한 정체성을 찾아가고 있다. 치위생학 교육은 이러한 자기 혁신을 지속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국시도 이러한 방향성을 지지하고 향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국시가 학교 교육의 형식과 내용에 미치는 영향력은 지대하다. 따라서 국시의 형식과 내용이 선진적으로 개선이 되지 않는 한 치위생학 교육은 계속 정체할 가능성이 크다. 치과위생사 국시의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주도해야 할 책임이 있는 주체는 바로 치위생학 교육계 자신이다. 따라서 치위생학 교육계가 국시의 방향성과 질을 선도하는 문제는 치위생학 교육 50주년이라는 역사적 전환기에 즈음하여 치위생학 교육계가 안고 있는 중대하고 긴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