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정책분야 주제가이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Policy Areas Subject Guide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정책분야 주제가이드 개발에 관한 연구*

This study developed the subject guide by policy areas for advancement of policy information service, designed the system for constructing the policy-related resources, and tried to construct policy information resources on a trial basis. For the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policy areas subject guide, first, we divided the aggregated materials into top 9 types, and subdivided into 19 types. Second, we constructed the policy contents for subject guide service, based on BRM classification system which is functional classification of government. Third, a total of 6,305 were build in accordance with 133 BRM subject guide. As a result, it is sai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y subject guide developed by this study, were verified by constructing the experimental data.

KEYWORD
정책정보 , 주제가이드 , 정책정보서비스 , BRM 분류체계 , 정책정보원
  • Ⅰ. 서 론

    전통적으로 도서관은 서지정보 제공을 통해 이용자를 지원해 왔다. 정보 생산처의 증가와 정보매체의 다양화로 인한 기하급수적 정보량 증가라는 환경에서 특정 주제 분야의 주요 정보원을 선택·제공하는 것은 이용자에게 정보접근을 위한 시간과 수고를 줄여주는 서비스로 인식될 수 있다.

    주제별 정보제공은 도서관에서 다양한 내용과 용어를 가지고 발전하였다. 1973년 Stevens 등에 의해 ‘주제가이드(subject guide)란 도서관 정보의 지도와 같은 것으로, 특정 주제에 대해 이제 막 관심을 가지고 자료를 검색하고자 하는 도서관 이용자를 위한 정보의 위치 표지(Information locator)라 할 수 있다’라고 처음으로 언급되었다(Stevens et al 1973, 41).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도서관 환경이 변화하고 주제가이드의 형식과 콘텐츠가 변화하면서 연구가이드(research guides), 연구도구(research tools), 전자도서관가이드(electronic library guides or e-guides), 웨블리오그라피(webliographies), 주제포털(subject portals) 등의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Tchangalova, Feigley 2008). 문헌정보학용어사전에서는 ‘특정 주제에 관한 안내로서 주제나 분류번호를 기록한 나무판이나 마분지로서 서가에 걸어두는 것’을 주제안내(topic guide/subject guide/class guide)라 정의하고 있으며 주제서지(subject bibliography)를 ‘어떤 특정한 주제에 관련된 문헌을 수록한 서지로 전문서지, 특정주제서지 혹은 주제목록이라고도 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일본도서관정보학회의 문헌정보학 용어 사전에 따르면 주제문헌안내(subject guide)는 ‘어느 특정분야나 테마의 연구나 조사를 시작하고자 하는 학생 연구자, 도서관인 등을 대상으로 하여, 그 분야나 테마의 연구법이나 연구 동향, 기본 문헌, 주요 잡지, 이차 자료, 문헌 탐색 방법이나 도서관 이용법 등을 해설한 참고 도서’로 정의하였다(일본도서관정보학회 2011). 이처럼 ‘주제(subject)’는 도서관의 정보제공 서비스의 중요한 기준이라고 볼 수 있다. 정보의 종류나 형태가 다양해지면서 주제별 서지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의 명칭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왔으며 혼용되고 있다.

    특히 대학도서관은 타 관종의 도서관에 비해 주제가이드 서비스를 일찍 시작하였으며, 국내외를 불문하고 짧은 시간에 많은 대학으로 확산되었다. 주제가이드가 특정 주제 분야에 관심을 가진 이용자를 위한 서비스라는 개념에서 대학도서관에서의 주제가이드 서비스 활성화는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특정 주제 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도서관에서는 연구 문제해결을 지원하기 위한 주제가이드 서비스가 필요하다. 주제가이드의 성공적인 서비스를 위해서는 주제 대상과 분야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이용자의 요구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책정보서비스의 고도화를 위한 정책 분야별 가이드를 개발하고 관련 정보원 구축을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며, 이를 기반으로 시범적으로 정책정보원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국내외 정책정보서비스 관련 사례를 조사·분석함으로써 정책 분야별 가이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둘째, 콘텐츠 구축 및 가이드 개발을 위한 자료 유형 분석과 메타필드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즉, 파악된 정책정보자료 유형에 적합한 메타필드를 설계하고자 하였으며, 유형별로 기존 정보제공 기관의 메타필드 분석과 정책정보제공서비스에 적합한 특수 메타필드를 추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셋째, 정책정보자료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구축을 위한 정책 분야별 가이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개발된 가이드를 기반으로 실제로 데이터를 실험적으로 구축함으로써 가이드의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주제가이드

    가. 주제가이드의 기능

    현재 주제가이드 서비스는 온라인 형태의 주제전문서비스로 연구지원 및 학술자료 이용가이드로서의 역할을 지향하고 있다. 내용은 주제별 단행본 및 신착도서, 참고도서, 데이터베이스, 저널, 학위논문, 특허, 통계, 관련 웹사이트, 블로그나 전자책, 참고문헌 관리도구 등의 주제정보에 접근포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특정분야 주제의 콘텐츠 변화에 대한 신속하고 융통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 주제가이드의 장점

    이용자 측면에서의 주제가이드 서비스는 검색 전략 수립법이나 검색 기법 숙지와 같이 검색환경에 불편을 느끼는 이용자에게 추천·제시된 정보에 직접 접근이 가능한 URL을 제공하여 이용의 편리를 도모할 수 있다. 최상기(2004)는 수집된 정보자원들이 주제전문가에 의해 평가, 분류, 기술되어 검색엔진 검색 결과보다 고품질의 정보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이 주제별 가이드의 장점이라하였고, 이미화(2009)와 박희숙(2011)은 텍스트만 제공되는 단조로움을 벗어나 동영상 및 웹페이지와 같이 다양한 매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는 것, 주제 분야에서 이용되는 인기자원에 대한 접근과 연관 주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는 것이 온라인 주제가이드의 장점이라 하였다. 최상희(2010)는 사서의 관점에서 이용자의 참고질의에 대해서만 응답하는 수동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연구 방법과 주제 선정과 같은 연구 활동에 대한 교육과 효율적 연구 수행을 지원할 수 있는 능동적인 정보전문직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수단으로 주제가이드의 장점을 언급하였다.

    3) 주제가이드 연구 동향

    국내외를 막론하고 주제가이드 서비스는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는 학문분야나 학과와 같이 이용자가 요구하는 주제 분야가 명확하며, 주제가이드에 대한 수요가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대학도서관이 아닌 주제가이드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예는 LC의 VRS(Virtual Reference Shelf)이다. VRS에서는 일반적인 주제의 참고자료와 뉴스, 통계, 사전을 비롯하여 의회도서관의 목적에 맞게 정치학과 정부의 참고정보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주제가이드 서비스에 대한 연구 또한 대학도서관에 치중되어 있다. Dunsmore(2002)는 경영대학도서관의 주제가이드 서비스 현황에 대해 연구했으며, 최상희(2010)는 북미와 국내 대학도서관의 주제가이드 현황 파악과 개발을 위한 주요 특징을 도출하였다. 김수정(2012)은 국내 대학도서관 웹사이트 분석을 통해 온라인주제가이드 현황 분석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함연금과 박준식(2007)은 중국 “985 프로젝트”에 입선된 38개 대학도서관의 가상참고서가 구축현황에 대해 조사하고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2. 정책정보

    가. 정책정보의 정의

    정책은 미래지향적인 행동 계획이며, 계획 작성에 필수적인 것은 환경, 체제, 정책에 관련된 사람들에 관한 정책정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결정과정에 요구되는 정보인 정책정보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다.

    Rappaport(1975)는 정책정보란 정책 결정에 쓸모가 있도록 구성된 자료를 말하며, 모든 목표지향적 지식의 생존을 위해 필수 불가결한 것이라 하였다.

    강신택(1976)은 정책정보를 정책 형성에 있어서 사용되는 자료 및 지식이라고 정의하였으며, 이대영(1984, 261)은 정책정보란 정책결정에 쓸모가 있도록 처리된 자료를 포함하여 집행, 평가 등 정책 전 과정에서 항상 요구되는 자료라고 정의하였다.

    최봉기(1981, 161)는 정책결정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뿐만 아니라 정책결정의 전 과정을 통하여 항상 요구되는 정보라고 하였다. 이는 정책정보가 정책 과정에서의 상황분석이나 대안 발명을 위한 분석, 평가 및 미래 예측을 위해 요구되기 때문이다. 또한, 정책집행과정 중의 통제 및 수정에 필요함과 동시에 정책의 성과평가를 위해서도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국가기록원 ‘정책정보시스템’에서는 정책정보를 ‘국가의 모든 정책과정에서 필요로 하고 요구되는 정보, 정책의 분석·결정·집행·평가를 위한 모든 정책 환경에 관한 정보, 정책 문제와 정책수단에 관한정보, 국민의 의견과 반응에 대한 정보, 정책효과와 정책통계에 관한 정보 등을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정책정보의 주요생산자로 정부기관, 국책연구기관, 국내외 민간연구기관 및 단체, 주요 국제기구 등을 제시하였으며 정책정보의 출처(sources)가 다양한 만큼, 각각의 단체들로부터 생산되는 정책 자료나 정보가 매우 다양하다고 하였다.

    종합적으로 정책정보는 ‘정책결정자가 정책입안, 정책 결정, 정책 평가 등 정책 전 과정에 필요로 하는 정보와 연구자 및 일반 국민 등이 국내는 물론 세계의 정책에 대해 알고자 할 때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주로 정책 전 과정의 결과물인 산출물 중심의 정책자료를 정책정보로 한정할 수 있다(홍현진, 노영희 2007, 41). 정책정보에는 지방행정기관의 회의록, 자치단체의 단기계획, 예산의 개요, 결산분석, 각종 통계, 백서, 보고서 등이 포함된다.

    나. 정책정보의 범위

    정책정보는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논리적 기준에 따라 주제별, 유형별, 생산기관별 정책정보 등으로 분류하거나 서비스 대상에 따라 일반인을 위한 정보, 사업 및 비영리단체 종사자를 위한 정보, 공무원을 위한 정보, 외국인을 위한 정보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 기준에 따라서는 유형정보(문서, 도서, 도면, 사진, 필름, 테이프, 디스크 등)와 무형정보(구두진술, 회의 내용 등)로 나눌 수 있다.

    홍현진과 노영희(2007, 42-43)의 연구에서는 정책정보의 수집 및 서비스 범위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ㆍ정책을 입안하거나 정책을 집행하고 성과를 평가하는 모든 부처에서 발행되는 모든 자료 : 국내외 정부간행물, 국내외 정책홍보자료 ㆍ정책관련 유관기관 및 연구자가 발간한 자료 : 연구논문 및 연구제안, 정책관련 보고서 ㆍ정책정보 관련 웹문서 : 정부부처 웹 사이트, 정책정보 생산 기관 웹 사이트, 정책정보를 담고 있는 기관이나 단체·개인 홈페이지 ㆍ정책정보 관련 데이터베이스 : 국내외 정책관련 데이터베이스, 국내외 정책정보 관련 부처의 서지 데이터베이스

    국가기록원 ‘정책정보시스템’에서는 정보의 유형을 각 정부기관들의 업무 수행과정에서 생성되는 각종 통계 및 분석자료, 국책연구기관과 민간연구기관들의 정책연구보고서, 정책분석자료, 선진국 정책사례 및 해설자료와 각종 국제기구들이 발간하는 세계경제, 무역, 산업 동향 보고서 등으로 나누고 있다.

    다. 정책정보의 요건과 기능

    정책정보는 정책결정·집행·평가를 위한 목표설정과 수단의 선택에 판단 근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책정보로서의 요건이나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대영(1984)은 정책정보가 갖추어야 할 요건을 적시성, 정확성, 명확한 전달성, 보완성, 적절성 등으로 제시하였으며, 그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1>] 정책정보의 요건

    label

    정책정보의 요건

    정책정보의 기능은 정책과정에 따라 제시될 수 있으며(홍현진, 노영희 2007), 정책과정에는 정책결정단계, 정책집행단계, 정책평가단계가 있다.

    [<표 2>] 정책과정 단계별 정책정보의 기능

    label

    정책과정 단계별 정책정보의 기능

    Ⅲ. 연구설계 및 절차

    본 연구는 정책 분야별 가이드라인 개발 및 정보원 구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분석방법, 웹사이트사례 조사 및 분석을 통한 벤치마킹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정책정보자료 유형별 메타필드 설계 및 정책정보 주제별 콘텐츠 DB를 구축하였다. 연구과정을 도식화 하면 다음 <그림 1>과 같다.

      >  가. 문헌조사방법

    정책정보자료 관리 및 정책정보서비스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와 주제별 정보안내서비스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도 조사 및 분석하였다.

      >  나. 벤치마킹을 위한 웹사이트 사례조사 및 분석

    국내외 정책정보서비스 관련 사례를 조사·분석함으로써 정책 분야별 가이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 주요 분석대상은 국내의 경우 국립중앙도서관 디브러리의 ‘정책정보포털’, ‘PRISM’ 및 각 기관에서 운영 중인 정책정보서비스 시스템 등이다. 해외의 경우 USA.gov의 ‘공무원을 위한 주제별 정보서비스’, US GPO의 ‘정보배포서비스’, GOV.UK의 ‘Knowledge Network Program’ 등이다.

    첫째, 국내외 정책정보서비스 기관의 웹사이트 조사를 통해 정책정보서비스 내용과 구조, 분류 체계를 조사·분석하였다.

    둘째, 국내 정부부처와 국책연구소 웹사이트의 정보제공서비스 메뉴 조사를 통해 산출물 관리 및 제공정보 유형, 그리고 메타필드를 분석하였다.

      >  다. 콘텐츠 구축 및 가이드 개발을 위한 자료 유형 분석과 메타필드 설계

    콘텐츠 구축 및 가이드 개발을 위한 자료 유형 분석과 메타필드를 설계하였다. 첫째, 정부, 공공기관, 정당 등이 정책 개발 및 수행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자료를 적시에 제공하기 위해 정책정보 자료의 유형을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둘째, 파악된 정책정보자료 유형별로 적합한 메타필드를 설계하고자 하였으며, 유형별로 기존 정보제공 기관의 메타필드 분석과 정책정보제공서비스에 필요한 특수한 메타필드를 추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라. 주제별 가이드 서비스 방안 마련 및 내용 개발

    정책 분야별 가이드 개발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총 4단계의 프로세스를 거쳤다.

    첫째, 가이드 개발을 위한 벤치마킹 사례를 조사하고 내용을 분석하였다.

    둘째,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고, 주제별 정책정보자료 가이드의 구조를 설계하였다. 주제별로 수집된 자료 분석을 통해 정보정책자료의 중점 정보유형과 메타필드를 식별하고 주제별 정보길잡이(Pathfinder)와 정책분야 정보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이드 메뉴를 설계하였다.

    셋째, 이를 기반으로 정책분야별 가이드를 개발하였으며, 보완된 BRM 주제에 대한 설명 제공, 각 유형의 특징 소개, 메타필드에 근거한 콘텐츠 리스트와 링크가 포함되었다.

    넷째, 정책 분야별 콘텐츠를 구축하였다. 구축 건수는 BRM 3단계 기반 총 133개 주제를 기반으로 하여 133개의 가이드를 개발하고 총 6,305건의 콘텐츠를 실험적으로 구축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가이드의 실험적 구축과정에서 발견된 경험적 검증을 통해 정책 분야 주제가이드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Ⅳ. 국내외 정책정보제공사이트 사례조사

    국내외 정책정보제공사이트를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써 국내 정책정보시스템 구축의 발전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특히 본 연구의 정책분야 주제가이드를 개발함에 있어서 기존 사이트의 장단점 분석을 통한 최적의 가이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례로 조사되는 국내외 정책정보제공사이트를 선정함에 있어 국외의 사례는 정책정보관련 연구논문에서 주로 대표적인 사례로서 언급되고 있는 사이트들이며, 국내의 경우 정책정보를 제공하는 거의 모든 사이트를 대상으로 포함시키고자 하였다.

       1. 국내 사례

    가. 국립중앙도서관 ‘정책정보포털’

    국립중앙도서관 ‘정책정보포털’은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 생산되는 디지털 정책정보의 통합검색 환경을 마련하고, 정책정보공유협의회를 통한 정보자원의 공동 활용으로 공직자의 정책수립활동을 지원하며, 일반 국민에게 정책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보서비스 대상은 일반인이며, 서비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정보공유협의회를통해수집된다양한디지털정책정보의통합검색기능을제공한다. 둘째, 최신 정책자료 및 정책이슈에 대한 관련 분야 정보원을 제공한다. 셋째, 국내외 정부기관 및 국제기구, 국제회의 등 참고정보원을 제공한다. 넷째, 정부기관정책정보전문사서들이함께만들어가는검색노하우및정책용어사전을제공한다.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정책정보포털의 메뉴 구성은 다음과 같다.

    [<표 3>] 정책정보포털 메뉴구성

    label

    정책정보포털 메뉴구성

    나. 국가기록원 ‘정책정보’

    국가기록원 ‘정책정보’는 정부의 주요정책정보에 대한 종합적인 검색 활용 서비스를 제공한다. 공무원의 업무처리에 필요한 기초 행정자료나 중간관리자 및 정책결정자의 의사결정을 돕는 각종 정책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류, 정리하여 언제 어디서나 활용 가능하도록 구축된 사이트이며, 양질의 정책정보 확보 및 정보의 종합적 관리와 대국민 원스탑 서비스 제공이 목적이다. 주로 제공하는 정책정보로는 국가기록원이 수집하는 정부간행물 중 연구조사보고서와 사업보고서에 해당하는 내용들이다.

    ‘정책정보’는 정책관련 정부간행물, 동북아자료, 해외영인자료, 국제기구 기탁자료로 나누어 제공하고 있으며, 정책정보DB 소개에서 정부기관DB, 학술DB, OASIS로 구분하여 서비스한다. 그 외에 정책포커스와 정책정보 길라잡이, 사서추천정책자료, 정부기관자료실 소개와 같은 부가 정보도 제공한다. 검색은 정부가 수행하는 업무를 기능별로 28개 분야로 나누어 BRM기반 검색과 동시에 생산기관별 검색을 지원한다.

    국가기록원의 주요 임무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기록물 수집 및 체계적 보존·관리를 위하여 30년 이상 보존 가치를 지닌 기록물과 국가적으로 중요한 민간 및 해외소재기록물을수집하고, 수집된 기록물을 과학적으로 보존·관리하고 있다.

    둘째, 대국민 기록정보를 제공하여 지식정보사회를 선도한다.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기록물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전국적인 열람서비스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온라인콘텐츠 및 포털서비스 등 다양한 형태로 기록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셋째, 기록문화 확산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기록관리의 중요성을 알리고, 국민과 함께 기록문화 조성을 위하여 백일장, 기록문화 탐방, 출판물 발간 등 기록과 관련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넷째, 환경변화에 부응한 기록관리 정책·제도 운영과 각급 기관의 협력·지원사을 추진한다. 정부 3.0, 지식정부 등 행정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법령 및 제도개선을 추진하고 효율적 기록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각 기관의 기록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협력·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즉, 국가기록원에서는 기록물 관리에 관한 기본정책을 수립하고 제도를 개선하며, 공공기록물이나 주요 민간·해외 기록물을 수집·보존하고 평가한다. 또한 기록정보자원의 편찬과 콘텐츠 구축 등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고 대통령기록물의 보호와 보존, 활용을 위해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국가기록원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는 기록물검색, 기술계층검색, 주제별 검색, 해외기록물 제공, 기록관리 관련기관 제공, 무료법률상담, 다양한 기록물관련 소식전달 등이 있다.

    다. 안전행정부 ‘프리즘(PRISM)’

    안전행정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정책연구정보서비스인 ‘프리즘(PRISM, Policy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 Management)’은 공정하고 투명한 정책연구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예산낭비를 최소화하고 연구의 품질과 활용도를 높일 목적으로 서비스되고 있다. 정책연구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연구보고서의 품질을 높이고, 정책정보 공동활용을 통해 보다 나은 정책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정책연구용역이 프리즘을 통해 국민, 연구수행자, 기관이용자에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정책연구검색’ 메뉴에서는 주제별 검색, 행정기관 및 각 시·도와 같은 출처별 검색, 진행 연구과제검색을 지원하고 있으며, ‘정책연구정보’ 메뉴에서는 기관별로 정보를 분류하여 수집·제공하고 있다.

    라. 대한민국국회 ‘입법조사처’

    ‘입법조사처(NARS: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는 ‘입법 및 정책과 관련된 사항을 조사·연구하고 관련 정보 및 자료를 제공하는 등 입법정보서비스와 관련된 의정활동을 지원하는 입법조사처를 둔다.’는 국회법 제22조의 3항에 의거하여 설립되었다. 입법 및 국가의 중요 정책과 관련된 사항을 전문적으로 조사·연구하여 국회의원 및 위원회에 제공하고, 국회의원의 의정활동을 지원하여, 국회의 입법 및 정책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2007년 설립된 국회 소속의 전문적인 입법·정책 조사분석기관이다. 입법조사처의 주요 업무로는 국회의원 및 위원회의 입법조사요구에 대한 신속한 회답업무와 국가의 주요 현안이 될 수 있는 입법 및 정책과제를 사전에 예측하여 조사·분석하는 업무가 있다. ‘입법조사처’의 메뉴구성은 다음과 같다.

    [<표 4>] ‘입법조사처’의 메뉴구성

    label

    ‘입법조사처’의 메뉴구성

    마. 서울문화재단 ‘문화정책’ 정보서비스

    ‘문화정책’ 정보서비스는 서울문화재단의 정책자료와 타기관의 정책자료 등 문화정책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울문화재단 사이트 내의 웹페이지이다. 문화정책 자료로서 재단의 사업성과, 연구결과물, 발간물 등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정책연구 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 국내외 주요 문화정책 관련자료를 수집하여 제공하고 있다.

    이 외에도 문화정책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시도문화재단대표자회의, 문화정책위원회, WCCF(World Cities Culture Forum)의 문화정책세미나 소개와 세미나자료정보를 제공한다. ‘문화정책’ 정보서비스의 메뉴구성은 다음과 같다.

    [<표 5>] ‘문화정책’ 정보서비스의 메뉴구성

    label

    ‘문화정책’ 정보서비스의 메뉴구성

    바. 한국정보문화진흥원 ‘공공데이터포털’

    ‘공공데이터포털’은 안전행정부의 공공정보정책과에서 주관하고 있으며, 한국정보화진흥원이 공공데이터포털과 공공정보활용지원센터를 위탁운영하는 형태로 서비스되고 있다.

    정부는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이라는 국정과제를 기반으로 공공데이터 개방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소통하는 투명한 정부, 일 잘하는 유능한 정부, 국민 중심의 서비스 정부라는 세 가지 추진과제를 바탕으로 서비스되고 있다.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공공정보를 국민에게 개방하고 이를 국민들이 편리하고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공공데이터포털’에서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ㆍ공공데이터와 Open API 검색: 데이터 및 Open API 공유자원의 검색 및 활용 신청, 공공데이터 논문, 백서, 저서 등 관련자료를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데이터셋 등 다양한 유형으로 제공 ㆍ공공백서: 정부부처 및 산하기관에서 발행하는 공공백서 ㆍ테마정보: 테마별 전문가가 선정한 최신 이슈 및 테마 관련 지식들을 제공 ㆍ공공정보 개방현황: 지역별, 분류체계별, 제공기관별, 활용방법별 공공정보 개방현황 제공 ㆍ공공정보 제공 및 중계 신청: 개방 가능한 공공정보를 제공기관에 신청 또는 제공기관이 공공데이터포털에 중계 신청 ㆍ상담서비스: 사용자들의 문의사항에 대한 전문컨설팅, 1:1상담서비스 ㆍ개발자LAB: 개발자가이드 및 활용사례 제공

    ‘공공데이터포털’의 메뉴구성은 다음과 같다.

    [<표 6>] ‘공공데이터포털’의 메뉴구성

    label

    ‘공공데이터포털’의 메뉴구성

    사. 교육과학기술부 ‘교육정보디지털도서관’

    ‘교육정보디지털도서관(Education Digital Library)’은 교육과학기술부와 시·도 교육청 자료실에서 제공하는 정보서비스이다. 교육과학기술부와 시·도교육청에서 소장하고 있는 자료를 통합하여 검색 할 수 있으며, ‘교육정보디지털도서관’에서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자료에 한하여 원문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제공하고 있다.

    ‘교육정보디지털도서관’에서는 교육과정 관련내용(교육과정 이론 및 정책, 유아·초등교육과정, 중등교육과정, 고등교육과정 등), 대학입시, 인적자원개발, 주요업무계획 및 통계, 국회질의답변, 정책연구과제, 해외출장 및 연구보고서, 학위논문(석·박사), 연구보고서, 대학교육과정 등의 주제로 나누어 교육정보에 대한 자료들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웹자원통합검색에서는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의 자료, 국내외 전자저널, 유관기관자료, NDSL과 같은 지식정보포털에 대한 메타검색을 지원하고 있다.

    아.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네트워크 정보센터’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네트워크 정보센터’는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교육연구기관, 기타 교육관련 기관 간의 교육정책 관련공동연구, 정보공유 및 교육정책의 수립과 추진을 지원하는 협력센터이다. ‘교육정책네트워크 정보센터’를 통해 국가교육발전에 기여하여 국가교육정책의 수립과 합리적 추진을 위한 실질적인 협력망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교육정책네트워크 정보센터’는 교육부와 교육청, 관련 연구기관간의 균형적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교육청과 현장의 교육개선 역량강화와 전문성을 제고하고 교육관련 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통합성, 즉시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운영되고 있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로는 교육과 관련한 정책동향, 법령정보, 언론동향, 교육입법동향 등의 교육정책동향과 교육데이터베이스, 교육정책포럼, 해외교육동향, 인성교육 활성화지원 등이 있다.

    ‘교육정책네트워크 정보센터’의 메뉴구성은 다음과 같다.

    [<표 7>] ‘교육정책네트워크 정보센터’의 메뉴구성

    label

    ‘교육정책네트워크 정보센터’의 메뉴구성

       2. 국외 사례

    가. ‘USA.gov’

    ‘USA.gov(The U.S. Government’s Official Web Portal)’는 미국의 정부정보 게이트웨이로서 부처간 갈등 및 예산부족과 같은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서비스이다. 우리나라에서 정책 정보서비스의 단일화 된 창구를 모색함에 있어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USA.gov’는 미국정부의 행정서비스 및 커뮤니케이션 일반사무행정부에 의해 경영된다. 이 사이트는 미국국방부로부터 의해 예산을 지원받아 ‘FirstGov.gov’라는 이름으로 운영되다가, 2002년 미국의 전자정부법을 통해 법적으로 의무화되어 2007년 공식적으로 ‘USA.gov’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USA.gov’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ㆍ‘USA.gov’의 정책에 합당하다고 생각되는 정부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의 링크 제공 ㆍ웹 접근성, 프라이버시 및 보안문제에 대한 정책 가이드라인 제공 ㆍ웹페이지를 통해 대중에게 공개 가능한 데이터를 이용자 편의에 맞게 파일로 형성하여 제공 ㆍ입법, 사법, 행정부 부처 등 미연방정부 웹페이지에 대한 검색서비스를 제공하고 정부 웹사이트에 쉽게 연결이 가능한 링크 제공 ㆍ이용자 형태 및 주제별 디렉토리를 제공하고, 하나의 창구를 통해 모든 민원서비스를 해결하는 역할

    ‘USA.gov’의 메뉴구성은 다음과 같다.

    [<표 8>] ‘USA.gov’의 메뉴구성

    label

    ‘USA.gov’의 메뉴구성

    나. US ‘GPO’

    미국정부 인쇄국인 ‘GPO(US Government Printing Office)’는 미국 국무부와 다른 연방기관의 공식 출판물 등을 발간, 배포를 단일화하는 기관으로서 미의회가 국민들의 정부 활동정보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1813년 설립되었다.

    GPO에서 제공하는 연방디지털시스템(FDsys)은 연방정부의 공식 출판물을 온라인에서 무료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FDsys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서 및 간행물 검색이 가능하다. FDsys에서는 고급검색 기능을 제공하여 필요로 하는 정보를 빠르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의회위원회, 날짜, 작성자, 컬렉션 등에 대한 검색을 할 수 있다.

    둘째, 문서와 간행물에 대한 메타데이터 접근이 가능하다. 표준 XML형식으로 정부간행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셋째, 다양한 형식의 문서 및 출판물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하나의 파일을 다운로드 하거나 압축파일이 함께 묶인 콘텐츠와 메타데이터를 함께 다운로드 할 수 있다.

    FDsys에서는 연방정부정보에 대한 50가지 컬렉션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정부 정보는 디지털 서명이 된 PDF문서로 제공한다. 연방규정코드, 의회기록, 의회보고서, 의회문서, 의회법안 등 개별적인 주제검색도 지원하고 있다.

    다. ‘GovSpot’

    ‘GovSpot’은 1999년부터 서비스를 실시하였으며 웹에 존재하는 미국의 정부 관련 자원을 수집하여 정부정보를 찾는 모든 사람들이 한 곳에서 정부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GovSpot’의 강점은 일반 대중들이 쉽게 정부정보에 접근 가능하도록 카테고리별로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과 통합검색이 가능하다는 점, 다양한 주제의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GovSpot’의 메뉴구성은 다음과 같다.

    [<표 9>] ‘GovSpot’의 메뉴구성

    label

    ‘GovSpot’의 메뉴구성

    라. 영국 국가기록원 ‘The National Archives’

    영국 ‘국가기록원(The National Archives)’은 영국정부의 공식 아카이브 사이트이다. 공공부분과 관련된 정보 출판국 등의 사무실과 통합하여 천년 이상된 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영국 국가기록원의 메뉴구성은 다음과 같다.

    [<표 10>] ‘영국 국가기록원(The National Archives)’의 메뉴구성

    label

    ‘영국 국가기록원(The National Archives)’의 메뉴구성

    마. ‘Gov.uk’

    ‘Gov.uk’는 영국의 정부정보를 제공하는 홈페이지로 초기 ‘Direct.gov’라는 이름으로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자국민들에게 디지털 서비스와 공공부분의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12년 ‘Gov.uk’로 변경되었다. 24개의 부서 331개의 공공 기관의 웹사이트가 ‘Gov.uk’에 병합되었으며, 정책, 공지사항, 출판물, 통계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Gov.uk’는 서비스를 크게 두 가지 분류로 나누어 각 부서별 서비스 정보와 부서별 출판물 및 정책정보를 제공한다.

    영국의 정부 출판물과 통계자료 등은 부서별, 주제별, 발행물 유형별 등으로 나누어 키워드 검색이 가능하며 부서정책 또한 주제별, 부서별 검색이 가능하다. Gov.uk의 메뉴구성은 다음과 같다.

    [<표 11>] ‘Gov.uk’의 메뉴구성

    label

    ‘Gov.uk’의 메뉴구성

    바. ‘Australia.gov.au’

    ‘Australia.gov.au’는 호주 정부의 정책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공식 게이트웨이 사이트이다. 이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자료들은 대부분 외부에서 제작되었거나 저장된 사이트들이며 저작권 또한 각 부처에 있다. ‘Australia.gov.au’는 게이트웨이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정부간행물이나 출판물 등을 직접 구매할 수 없으나 이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표 12>] ‘Australia.gov.au’의 메뉴구성

    label

    ‘Australia.gov.au’의 메뉴구성

    또한 ‘Australia.gov.au’는 통합검색과 출판물검색을 제공하고 있으며 총 800개가 넘는 호주정부 웹사이트의 정보 및 서비스로의 링크를 제공하고 있다.

    Australia.gov.au의 메뉴구성은 다음과 같다.

    사. ‘www.gov.au’

    ‘www.gov.au’는 호주주정부, 지방정부의 전체 사이트를 연결하는 온라인 링크 액세스 게이트이다. 이 사이트는 총 10개의 카테고리로 나누어 링크를 제공하면서 호주의 모든 정부정보와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3. 사례 분석 결과 및 시사점

    국내외 정책 분야 주제정보 웹사이트 분석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 대상에 맞는 서비스 고도화이다. 대부분의 정책정보 제공 사이트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정보 제공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주제 분류가 포괄적이다. 실무자와 연구자를 위한 서비스의 병행이 필요하다. 정책 정보를 필요로 하는 정책 입안자 및 국책연구 기관 연구자에게 적합한 기능적이고 세분화된 분류 체계를 적용해야 한다. 또한 정책 입안과 정책 연구에 활용도가 높은 정보자료의 유형 개발 및 식별을 통해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웹 사이트마다 분산되어 있는 자료를 포괄할 수 있는 웹사이트의 필요성이다. 국내의 경우 연구보고서, 정부기관 산출물이 각기 다른 사이트에 수집되어 제공되고 있으며, 기관별(입법, 문화정책, 공공데이터, 교육정보 등)로 발간물 제공 서비스가 산재되어 있다. 물론 기관별로 발간자료를 제공하는 것은 주제에 적합한 메뉴구성과 같은 이용자 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정책 입안자와 연구자가 하나의 사이트에서 검색을 통해 유형과 관련 주제의 제한 없이 필요 정보의 존재 유무를 식별할 수 있는 서비스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자료의 접근성 향상이다. 현재 산재되어 있는 정책정보 제공 사이트 내 원문에 직접 접근할 수 있도록 원문을 연결하기 위한 URL 확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기관별 협조 체계도 고려해야 한다.

    Ⅴ. 정책분야 주제가이드 개발과 실험 구축

       1. 정책정보 자료유형 및 유형별 메타필드

    가. 정책정보 자료유형

    정책정보서비스를 위한 주제가이드 구축을 위해 먼저 문헌조사와 기존 주제별 가이드를 서비스하고 있는 정책정보서비스 제공기관과 대학도서관 주제별 가이드 사이트, 주제별 길잡이(pathfinder) 서비스를 제공하는 타 기관 홈페이지를 벤치마킹하여 주제별 가이드 내에 포함되어야 하는 공통적인 콘텐츠 유형을 결정하였다.

    자료유형의 도출은 주제가이드 서비스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도서관의 주제가이드,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정책정보포털’, 국가기록원의 ‘정책정보시스템’의 자료 유형 분류, 미국의 ‘GPO’와 영국의 ‘GOV.UK’의 자료 유형 구분, 그리고 정책정보서비스 자료 유형을 제시한 홍현진과 노영희(2007)의 논문 등을 총체적을 참조하여 정책서비스에 적합한 자료 유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정책정보서비스 자료유형 중 상위 유형은 9개이며, 세부 유형은 총 19개이다. 구축의 편의를 위해 유형코드도 함께 개발하였다. 상위 유형은 A-I까지이며, 세부 유형은 숫자로 표시하며 최종 유형코드는 상위 유형 알파벳과 세부 유형 숫자를 결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표 13>] 정책정보서비스 자료유형 및 유형코드

    label

    정책정보서비스 자료유형 및 유형코드

    Web DB의 세부 유형 중 ‘웹정보’는 입력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위키형, 블로그형, 일반형, 웹진, SNS으로 도메인화 하여 코드로 구분하였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14>] 웹정보유형 및 자료유형코드

    label

    웹정보유형 및 자료유형코드

    나. 정보원 유형별 메타필드

    최종 결정된 19개 세부유형에 따라 유형별 콘텐츠 식별에 적합한 메타필드를 개발하였다. 구축작업의 효율성을 위해 19개 유형에서 도출된 메타필드를 모두 반영한 통합 메타필드를 개발하고, 각 유형별 필수 및 선택 필드 옵션을 구분하였다.

    [<표 15>] 유형별 메타필드

    label

    유형별 메타필드

    통합된 메타필드는 총 17개로 유형구분(A1-I3), 국내외 자료 구분(0/1), 자료명, 저자, 발행기관, 발행년, 등록번호, 소개, URL, 권호정보, 회의명, 장소, 주최, DB소개, 국가코드, 첨부파일, 사이트유형이다. 이 중 DB소개는 국제기구에서 운영하는 관련 DB가 존재하는 경우 DB 명을 기입하는 필드이며. 첨부파일은 Web DB 사용 매뉴얼 PDF가 존재하는 경우 PDF링크를 입력하는 필드이다. 다음은 유형별 메타필드 요구사항을 정리한 것이다.

    자료 유형에 따라 통합된 메타 필드에서 필수필드와 선택필드에서 언급되지 않은 필드에는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2. 주제별 콘텐츠의 실험적 구축

    가. 정보자료 선정원칙

    정책정보 주제가이드 콘텐츠를 구축함에 있어서 내용, 형식, 최신성 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콘텐츠 선정원칙을 두고 실험적 구축을 하고자 하였다.

    첫째, 각 주제분야의 대표정책 자료를 선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BRM 3단계주제를 다룬 정책관련 자료를 우선 선정하고 정책관련 자료가 없을 경우, 주제명과 일치하거나 BRM 상위 주제명과 일치하는 콘텐츠를 차선으로 선정한다.

    둘째, 기존에 서비스되고 있는 정책정보서비스 사이트를 참고하도록 한다.

    셋째, 전문가 추천 자료를 우선 입력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넷째, 각 주제 분야의 최신발간자료를 우선적으로 선정한다.

    즉 정책분야 가이드 실험 구축 시 BRM을 기준으로 어떤 콘텐츠가 정책정보 이용자의 업무 지원에 적합한 콘텐츠인지 판단하고 구축할 것인지를 고려하였다.

    이용자의 정보원 접근을 지원하는 측면에서 콘텐츠 선정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도서나 보고서와 같이 서지정보로 콘텐츠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이용자가 검색한 다음 세종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의 자료 상태를 파악해 접근할 수 있도록 위 두 도서관의 소장 자료를 우선으로 선정한다. 해외자료의 경우 LC 정보를 우선한다.

    둘째, 국가기록원, 국회도서관 등과 같은 정책관련 참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정보원을 콘텐츠로 선정한다.

    셋째, 해당 주제 분야 정부기관의 홈페이지와 자료실의 소장 자료를 콘텐츠로 선정한다.

    넷째, 주제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학도서관의 정보원 중 적합 분야에 대한 정보원을 콘텐츠로 선정한다.

    다섯째, 신뢰할 수 있는 유형별 정보원 모음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콘텐츠로 선정한다. 예를 들어, 국내 법령 정보의 경우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 모든 콘텐츠를 선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해외 법령 정보의 경우 ‘세계법제정보센터’의 정보원을 콘텐츠 선정 시 고려하였다. 정책연구보고서 자료의 경우 정책연구 아카이빙 사이트인 ‘PRISM’을 참고하고, 통계 정보의 경우 ‘e-나라정보’와 ‘국가통계포털’을 참고정보원으로 고려하였고, 해외자료의 경우 ‘Gov.uk’와 같은 정부자료 아카이브 사이트를 참고정보원으로 활용하였다.

    여섯째, 네이버와 구글 등과 같은 포털 사이트 검색 자료를 콘텐츠로 선정한다.

    나. 실험적 구축방법 및 내용

    최종 결정된 BRM분류체계를 기준으로 가이드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를 구축하기로 결정하였다. 최종 확정된 BRM 서비스 주제 단계는 3단계이며 총 133개 주제 분야로 가이드 구축범위를 확정하였다. 주제별 가이드 콘텐츠 구축작업은 다음 <그림 2> 와 같은 절차에 따라 이루어졌다.

    다. 주제별 가이드 작업지침 개발

    콘텐츠 구축 대상 가이드 범위, 유형, 메타필드를 결정한 후 콘텐츠 구축작업 담당자간의 작업변경사항에 대한 정확한 커뮤니케이션과 주요 정보원 검색을 지원하기 위한 가이드 작업지침을 개발하였다. 주제가이드 작업지침의 주요 내용은 작업파일과 주제별 유형에 대한 설명, 콘텐츠 구축 기술 원칙, 작업 주의사항 등을 포함시켜 구축의 일관성과 작업 효율성을 확보하였다.

    커뮤니케이션의 최신성 유지를 위한 주제별 가이드의 갱신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 메타필드 형식에서 유형별 필수 입력사항의 변경이 발생한 경우 갱신한다. 둘째, 실제 구축 작업 진행 중 발생하는 기술 원칙 변경 사항과 파일 형식 변경 사항을 갱신한다. 셋째, 콘텐츠 구축 작업 담당자에 의해 추가로 발견되는 정보원은 지속적으로 추가하여 갱신한다.

    라. 주제별 가이드 콘텐츠의 실험적 구축

    주제가이드에 적합한 콘텐츠를 구축하는 구축자는 선행 절차에서 결정·개발된 원칙을 숙지하고 가이드 개발지침을 준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구축을 진행하였다. 주제별 가이드는 콘텐츠 구축 담당자의 의견이 융통성이 있게 반영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콘텐츠 구축은 실제 서비스를 위한 콘텐츠 이관 및 구축이 아니라 정책 주제에 따른 유형을 제안하고 유형별 샘플 데이터를 선정하여 구축하는 것이다. 따라서 콘텐츠 구축 작업은 해당 주제의 모든 유형의 자료를 찾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그러나 주제 특정성이 강해 국외자료나 특정 유형의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국내 자료나 상위 주제 콘텐츠로 대체하거나 생략하였다.

    133개 주제분야의 19개 유형별 콘텐츠 구축건수는 다음과 같다.

    [<표 16>] 유형별 구축건수

    label

    유형별 구축건수

    마. 콘텐츠 검증

    구축된 주제별 가이드 콘텐츠는 형식과 내용에 대한 검증 절차를 거쳤다. 콘텐츠 검증의 주체는 2명으로, 정책정보서비스 담당자 1인과 주제별 정보원 강의를 담당하고 있는 교수 1인이다.

    첫째, 형식 검증은 필수입력 메타필드와 선택입력 메타필드의 입력 완전성과 정확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입력시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필드는 자료유형 필드와 국내외 구분 필드 등이다.

    둘째, 메타필드 내용 적합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내용 검토는 선정 콘텐츠가 가이드 지침의 선정 우선순위 반영 여부와 실제 선정된 콘텐츠의 주제 적절성을 검증하는 것과 더불어 접근 URL 링크 연결의 오류 및 정확성 등을 체크하였다.

       3. 경험적 검증 결과

    본 연구에서는 콘텐츠를 실험적으로 구축한 후 발견된 경험적 검증 결과를 정리하였다. 경험적 검증결과 콘텐츠 구축 시 발견된 애로사항과 구축 건수에 영향을 준 요인인 주제요인과 유형요인을 도출함으로 정책 분야에 대한 주제가이드 개발의 실효성을 검증하고 이 후 정책정보 주제가이드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구축하는 과정에서 참고가 될 수 있다. 경험적 검증 내용을 분석해 보면 도출된 결과들은 수정과 보완을 통해 해결이 가능한 것 들이며, 이는 정책 분야 주제가이드 개발이 정보 제공 서비스 향상이라는 실효성을 입증한 것이다.

    가. 콘텐츠 실험 구축 시 애로사항

    정책분야 주제별 가이드 콘텐츠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애로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알고 있는 주제 전문가가 콘텐츠를 선정하지 않을 경우 정책 정보 콘텐츠의 검색과 선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더불어 해외 정보제공 기관에 대한 배경지식이 부족한 경우에도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된다.

    둘째, 정책정보를 제공하는 기관이 분산되어 있고, 주제와 관련된 자료를 생산하는 정부 부처 홈페이지나 자료실에서 검색을 실행했을 때 정보원은 존재하나, 사이트 자체의 URL 분실 혹은 오류가 나타나 관련정보자료를 링크시키는 데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셋째, 국외 자료의 경우 이용자가 실제로 사용하는 어휘를 숙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제어 검색 시 이용자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를 적절하게 선정하지 않을 경우 적합 콘텐츠의 누락이 발생 할 수 있었다. 가령, 국정홍보를 사전에 검색했을 때, 'government public relation'라고 나오지만 이용자가 실제로 많이 사용하는 용어는 'public relations'였다. 사전과 실제 사용 어휘와의 괴리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정책정보 전문 이용자 중심의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국가 단위 기관의 전문적이고 총괄적인 활동이 절실히 요구된다. 즉, 정책분야 주제가이드를 통해 지속적으로 이용자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정책정보 콘텐츠의 전문성 있는 가치 판단을 통한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지역 단위나 부처 단위의 정책정보의 서비스는 이용자의 정보 접근의 불편함을 초래하기 때문에 일원화된 정보 접근 창구가 필요하다.

    나. 구축건수에 영향을 준 요인

    133개 BRM 주제 분야별 가이드 콘텐츠로 구축·검증된 콘텐츠는 총 6,305건이다. 구축건수에 영향을 준 요인의 주제별 요인과 유형별 요인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주제특정성이 구축에 영향을 준 주제는 새만금과 행복도시, 사행산업, 국정홍보와 우정, 통일과 남북교류, 지방세와 지방재정 등이 있다.

    첫째, 새만금과 행복도시는 특정 지역에 국한된 주제이다. 특히 행복도시의 경우 향후 콘텐츠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현재 생산된 콘텐츠 자체가 적어 구축 건수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이두 주제는 해외자료 선정에 해당 자료가 전무하기 때문에 상위 주제인 지역 개발관련 콘텐츠를 선정하여 구축하였다.

    둘째, 사행산업 주제의 원래 의미는 부정적인 내용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지만 국내정책 자료의 경우 도박, 중독, 예방, 치료 등과 같이 BRM의 상위개념인 ‘관광’의 측면에서의 정책 자료보다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보건복지’ 측면의 정책 자료에 편중되어 있었고, 해외 자료의 경우 산업 측면의 정책 자료가 부족하여 구축 작업 시 콘텐츠 선정 판단에 어려움이 있었다.

    셋째, 국정홍보 및 우정 관련 주제는 관련 정부부처의 통폐합으로 소속이 바뀐 관계로 정책 콘텐츠 검색과 정확성 판단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 콘텐츠 구축을 진행하는 과정에서도 해양경찰 및 소방방재와 관련된 부처의 통폐합이 발표되었다. 이런 관련 부처의 통폐합은 현재 부처 홈페이지에서 선정하여 작업한 URL 링크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선정 판단에 어려움이 있었다. 실제 구축과정에서 콘텐츠 자체는 검색되었으나 서비스하던 부처 사이트가 통폐합되어 URL이 변경되거나 존재하지 않는 페이지로 연결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다른 자료로 대체하거나 구글이나 네이버 등에서 관련 파일이 존재하는 타 사이트를 찾아 링크로 연결한 경우가 있었다.

    넷째, 통일과 남북교류 주제는 새만금과 행복도시와 같은 맥락에서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라는 대한민국의 상황적 특수성 때문에 국외 자료를 선정하는데 있어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다섯째, 지방세와 지방 재정의 경우, 주제 분류의 유사성으로 인해 관련 콘텐츠를 검색한 후 어떤 주제로 포함시켜야 하는지 판단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이 주제 관련성이 높은 경우에는 주제별 구축 담당자의 판단에 의해 상위 개념이라고 판단되는 주제에 관련 콘텐츠를 포함시켰다.

    위와 같이 주제에 따른 문제에 영향을 주는 것은 정책정보 분류의기준이 되는 BRM이다. 실험구축을 통해 발견된 문제점에 대한 보완 방안으로는 실효성 있는 BRM의 개선이다. 더불어, 콘텐츠 유형에 따른 문제는 앞서정해 놓은 콘텐츠의 내용, 유형, 최신성에 관한 선정기준이 특정 주제에 따라 적합한 콘텐츠를 선정하기에 모호한 점이 존재하기 때문이며, 장기적으로 정책정보콘텐츠 구축을 위한 선정기준의 개발이 요구된다.

    유형별 구축 건수에 영향을 준 것은 국내외 자료 포함여부이다. 일반도서, 주요저널, 주요 아티클, 사전 및 백과사전, 편람, 보고서, 회의 및 세미나자료, 통계자료, Web DB, 웹정보, 유관기관, 관련학회는 해당 유형별로 국내외 자료를 모두 포함하여 구축하였고, 국제기구, 국제기구자료, 외국정부기관, 외국정부간행물관리기관, 외국정부간행물, 해외법령자료는 국외 콘텐츠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내법령자료의 경우 국내 콘텐츠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앞선 유형들보다 구축건수가 적다는 차이가 있다.

    콘텐츠 구축에 영향을 준 유형은 사전 및 백과사전과 학회, 국제기구, 외국정부기관, 통계자료, Web DB와 웹정보, 유관기관과 관련학회이다.

    첫째, 사전 및 백과사전, 학회의 경우 주제특정성이 강하거나 주제가 세분된 분야 콘텐츠의 경우 해당 사항이 없는 경우가 발생하여 상위 개념의 용어사전을 선정하거나 구축하지 못했다.

    둘째, 국제기구의 경우 사전 및 백과사전과 마찬가지로 주제특정성이 강하거나 주제가 세분화된 분야는 관련 국제기구를 찾기 어려워 마찬가지로 상위 개념의 업무를 담당하는 기구를 선정하거나 비워두었다.

    셋째, 외국정부기관의 경우 주제특정성에 따라 정부기관을 찾을 수 없거나 국내 행정조직과의 차이로 콘텐츠 선정 판단의 어려움이 있었다. 관련 외국정부기관의 주제 범위가 너무 넓거나 다수의 외국정부기관이 한 주제에 해당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넷째, 통계자료의 경우 통계지표를 활용한 보고서 자료도 통계자료로 포함 시킬 것인지에 대한 선정 기준의 모호함에 대한 문제가 있었다.

    다섯째, Web DB와 웹정보 유형 중 웹사이트의 경우 검색된 콘텐츠가Web DB에 더 적합한지, 웹정보에 적합한지 판단하기 어려웠다. 유관기관과 관련학회는 서로간의 업무 경계가 애매하여 정의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 구축자의 개인 성향에 따라 동일한 선정 기준 적용이 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보완하기 위해서는 이용자인 정책 분야 연구자들과 서비스를 담당하는 정책 분야 전문 사서간의 지속적이고 심도 깊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BRM과 유형별 콘텐츠 선정 기준을 보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정부부처와 국책연구소의 정보서비스센터와 정책전문도서관 간 의사소통 기구나 조직을 별도로 구성하는 방안, 정기적으로 정책전문도서관이 이용자에게 직접 의견수렴을 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는 방안, 정부 부처 직원과 국책연구소 연구원을 자문위원으로 위촉하여 BRM 조정이 필요한 경우 자문을 받는 방안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다.

    Ⅵ. 결론 및 제언

       1. 결론

    정책정보에 대한 요구 증가는 무엇보다 정책 개발, 실행, 평가 환경의 변화에서 나타나고 있다. 국가의 미래지향적인 발전을 위한 정책을 개발하기 위해, 정책결정자는 공정하고 내실 있는 연구를 통한 정부 정책 수립 진행을 선호하게 되었다.

    따라서 정책 개발과 실행 및 평가 전반에서의 정책정보 협조 체제가 요구된다. 또한 조직 내외에 있는 지식을 업무수행이나 문제해결을 위해 활용할 수 있도록 정책정보를 축적하고 공유하는 체제를 갖추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정책정보제공서비스 현황을 분석해 보았을 때, 정책정보제공시스템 산재와 제공자료의 중복문제, 정책정보자료의 체계적 관리의 부족문제, 검색의 단순성, 부가 정보와 개인 맞춤형 기능과 같은 고도화된 정보서비스 부족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전문적인 정책정보 제공에 많은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책정보서비스의 고도화를 위한 정책 분야별 가이드를 개발하고 관련 정보원 구축을 위한 지침을 개발, 이를 기반으로 시범적으로 정책정보원을 구축하였다. 경험적 검증을 통해 구축 과정상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그러나 경험적 검증과정을 통해 발견된 결과는 해결 가능한 문제이거나 주제가이드 서비스 자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아니었다. 즉, 정책정보분야의 주제가이드 구축의 실효성은 검증되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9개의 정책정보 유형(세부 19개)과 유형별 메타필드를 개발하였다.

    둘째, 주제별 가이드의 구축을 위한 정보 구조를 설계하고, 콘텐츠 선정과 관련하여 형식의 일관성과 이용자 접근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선 선정 원칙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구축작업 지침을 개발하였다.

    셋째, 최종 결정된 BRM 분류체계를 기준으로 133개의 정책 분야의 총 6,305건의 콘텐츠를 구축하였다.

    넷째, 구축을 통한 경험적 검증 결과를 도출하여, 정책분야 서비스에 있어서의 주제별 가이드 구축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한편, 본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 및 연구결과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하고 정확한 정책정보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마련된 유형별 정책정보자료의 메타필드 체제를 향후 정책정보자료 구축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완료된 정책관련보고서뿐만 아니라 정책입안이나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정보자료 수집이 가능하다. 구체적인 메타필드 체제를 준수하여 정확한 정보원 확보가 용이하며, 구축 기준을 근거로 관련 기관과의 커뮤니케이션이 명확해지며 업무협조가 용이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정책정보서비스의 이용이 활성화 될 것이다. 정책 입안자나 정책 연구자들에게 세종도서관이 정책정보서비스 전문기관으로의 인식 제고에 영향을 줄 것이다. 주제가이드를 통한 주제 정보의 집중을 통해 이용자는 정부부처나 국책연구소 각각의 홈페이지를 직접 방문해야하는 불편함과 정보자료의 중복 관리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행정·정책분야 정보콘텐츠 통로로 국립세종도서관 정책정보서비스의이용 기대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더불어 정책개발 연구나 정책 실행 및 평가와 같은 업무에 실무자가 당장 필요로 하는 양질의 참고 정보자료가 실무 활용에 적합한 업무 주제 분류인 정부기능분류체계(이하 BRM)에 의해 관리되기 때문에, 체계적인 정보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정부부처의 정책 브레인인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가 향상될 것이고 이를 통한 이용 활성화가 예상된다. 마지막으로, 정보접근성을 강화를 통한 이용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획득할 수 있는 정보의 내용을 미리 파악하여 효율적인 검색 전략을 구상할 수 있으며, 가이드를 통하여 정보 접근의 장벽을 낮추어 정보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 실무자에 최적화된 신규 서비스 개발을 도모할 수 있다. 주제전문성이 강화된 정책정보제공을 통해 정책분야의 고도화에 기여할 수 있다. 개인화, e-mail push 서비스와 같은 새로운 부가서비스 기획 및 실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콘텐츠의 창출이 가능하다. 소속 기관 공무원과 연구원 등 특정 이용자의 업무 성향 및 정보 활용 행태 등과 수집된 정보를 융합하여 새로운 패턴의 정보자료를 개발할 수 있다.

    넷째, 정책정보자료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구축된 정책분야 주제가이드를 통해 정책정보자료 개발 및 제공서비스와 관련한 중장기발전계획 수립의 기본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개발된 주제가이드 작업지침을 통해 외주 작업 지침 및 평가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정책정보자료 유형 파악정보와 유형별로 설계된 메타필드 체제를 기반으로 향후 정책정보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작업에 대해 전문기관 용역 진행 시 사업관리가 용이하다.

       2. 제언

    정책정보서비스 개선을 위한 선행연구조사, BRM 분류체계 개선, 그리고 실제로 정책정보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문제점과 시사점으로부터 우리나라 정책정보서비스 개선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과제 및 개선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대한 정책정보의 구축 및 일원화된 정책정보서비스 창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GPO를 비롯한 국외의 정책정보제공사이트를 보면 구축된 정보원의 양이 방대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오랜 기간 동안 개선과 보완과정을 통해 끊임없이 분류체계를 개선하면서 정보원을 구축해 온 결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책정보를 제공하는 기관이 일원화되어 있지 않고, 여러 기관에서 각자 제공하고 있어 이용자들의 혼란을 가중시키고, 전체적인 정책정보제공 효율성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국립세종도서관을 중심으로 모든 종류의 정책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하고, 지속적인 구축작업을 통해 정책정보량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올릴 수 있도록 해야하며, 정책정보시스템에 대한 대국민서비스도 수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정책정보분류체계(BRM)의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기능분류체계인 BRM을 기반으로 하여 정책관련 정보원을 구축하는 것을 제안하였고, 실제로 이를 기반으로 정책정보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향후 콘텐츠 기반 서비스 향상을 위해 기능기반의 분류체계를 보완하기 위해 수집되는 정보원을 기반한 BRM 분류체계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한다.

    셋째, 정책정보 관련기관간의 협력을 위한 방안과 구체적인 조직이 필요하다. 정책정보원을 구축함에 있어 관련기관간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정책정보는 정책정보를 생산하는 정책입안자나 국책연구소 연구원들이 정보의 생산자이면서 이용자이다.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정책정보가 관련 기관에서 생산되고 있으나 이러한 정보원들이 현재의 정책정보시스템에서 전혀 수집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구축된 정책정보 콘텐츠의 검증에 정책 정보전문가의 참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국책연구소 자료실 및 정부부처 자료실 등의 관련자들을 위촉하여 정책정보를 협력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체제를 만들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주제별 가이드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정보서비스기관의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주제가이드가 정보시스템 이용자의 검색 피로도를 줄이고 정보에 직접적인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지만, 대학도서관의 주제가이드를 연구한 선행연구들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콘텐츠 구축 이후의 교육과 홍보 미비가 주제가이드 서비스의 이용활성화의 저해 요인이 된다. 따라서 콘텐츠 구축만큼 교육과 홍보에 대한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강 신택 1978 『정책학개론』 google
  • 2. 김 수정 2012 대학도서관 온라인 주제가이드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Vol.29 P.165-189 google
  • 3. 박 희숙 2011 지식공유플랫폼을 활용한 Subject Guides 서비스 사례: LibGuides 및 LibAnswer를 중심으로 [『제48회 도서관대회 KSLA 세미나』] google
  • 4. 이 대영 1984 『정책학개론』 google
  • 5. 이 미화 2010 강의별학술 정보페이지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Vol.27 P.137-163 google
  • 6. 오 동근 2011 『문헌정보학 용어 사전』 google
  • 7. 최 봉기 1981 정책정보의 기능과 가치평가 [『한국행정학보』] Vol.15 P.157-172 google
  • 8. 최 상기 2004 웹 학술정보의 주제게이트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15 P.177-194 google
  • 9. 최 상희 2010 대학도서관 온라인 연구지원 가이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Vol.27 P.229-248 google
  • 10. 홍 현진, 노 영희 2007 『국립중앙도서관 정책정보서비스 운영 및 발전방안 연구』 google
  • 11. Dunsmore. C. A. 2002 “Qualitative Study of Web-mounted Pathfinders Created by Academic Business Libraries.” [Libri] Vol.52 P.137-156 google
  • 12. Rappaport Alfred 1975 Information for Decision-making: Quantitative and Behavioral Dimensions google
  • 13. Stevens Charles H. 1973 “Library Pathfinders: a New Possibility for Cooperative Reference Service.” [College & Research Libraries] Vol.31 P.40-46 google
  • 14. Tchangalova N., Feigley A. 2008 “Subject Guides: Putting a New Spin on an Old Concept.” [Electronic Journal of Academic and Special LibrarianShip] Vol.9 P.80-88 google
  • 15. LC VRS Home page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정책정보의 요건
    정책정보의 요건
  • [ <표 2> ]  정책과정 단계별 정책정보의 기능
    정책과정 단계별 정책정보의 기능
  • [ <그림 1> ]  연구절차 및 연구방법
    연구절차 및 연구방법
  • [ <표 3> ]  정책정보포털 메뉴구성
    정책정보포털 메뉴구성
  • [ <표 4> ]  ‘입법조사처’의 메뉴구성
    ‘입법조사처’의 메뉴구성
  • [ <표 5> ]  ‘문화정책’ 정보서비스의 메뉴구성
    ‘문화정책’ 정보서비스의 메뉴구성
  • [ <표 6> ]  ‘공공데이터포털’의 메뉴구성
    ‘공공데이터포털’의 메뉴구성
  • [ <표 7> ]  ‘교육정책네트워크 정보센터’의 메뉴구성
    ‘교육정책네트워크 정보센터’의 메뉴구성
  • [ <표 8> ]  ‘USA.gov’의 메뉴구성
    ‘USA.gov’의 메뉴구성
  • [ <표 9> ]  ‘GovSpot’의 메뉴구성
    ‘GovSpot’의 메뉴구성
  • [ <표 10> ]  ‘영국 국가기록원(The National Archives)’의 메뉴구성
    ‘영국 국가기록원(The National Archives)’의 메뉴구성
  • [ <표 11> ]  ‘Gov.uk’의 메뉴구성
    ‘Gov.uk’의 메뉴구성
  • [ <표 12> ]  ‘Australia.gov.au’의 메뉴구성
    ‘Australia.gov.au’의 메뉴구성
  • [ <표 13> ]  정책정보서비스 자료유형 및 유형코드
    정책정보서비스 자료유형 및 유형코드
  • [ <표 14> ]  웹정보유형 및 자료유형코드
    웹정보유형 및 자료유형코드
  • [ <표 15> ]  유형별 메타필드
    유형별 메타필드
  • [ <그림 2> ]  주제별가이드 콘텐츠 구축절차
    주제별가이드 콘텐츠 구축절차
  • [ <표 16> ]  유형별 구축건수
    유형별 구축건수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