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학교체육복의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초, 중, 고등학생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hysical Education (PE) Uniforms - Target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investigated students’ opinions and design preferences to physical education (PE) uniform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PE uniforms for the following purposes: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PE uniforms; present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E uniforms help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life; and propos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E uniforms. PE uniforms shall be developed with the components of uniforms, symbolism,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The symbolism of PE uniforms expresses the affiliations of people wearing them and makes them have a sense of affiliation. The functionality presents convenience in students’ physical activities and intramural/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aesthetics reflects the aesthetically sophisticated sport wear trend in PE uniform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E uniforms was organized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and investigating students’ opinions and design preferences to PE uniforms. There were differences in students’ opinions and preferences to PE uniforms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ent group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addition, there were clear gender-differences in the same student group. An effort might be required to reflect students’ preferences because PE uniforms which students had currently worn at school had been manufactured without the reflection of students’ opinions.

KEYWORD
학교체육복 , 학교체육복의 선호 , 학교체육복 개발 방향
  • 1. 서 론

    최근 우리 사회 저변으로부터 체육 활동이 여가 생활과 건강을 위하여 큰 역할을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체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체육을 단순히 신체의 운동 능력을 증진시키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활동으로만 여기지않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개인의 자아실현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하나의 문화생활로 받아들이고 있다. 성장기 아동과 청소년들의 신체활동은 인성과 사회성, 자아정체성 정립, 체력과 건강 증진 등과 더불어 인성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있어 학교 체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심각해지는 학교 폭력, 왕따 등과 같은 청소년의 문제 행동들을 해결하고 행복한 학교를 만드는데 체육 활동의 역할을 새롭게 받아들이게 됐다. 특히 정부는 입시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학교 폭력, 게임 및 인터넷 중독 등 청소년 일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과 후 스포츠학교, 토요스포츠데이, 학교 스포츠클럽 개설, 체육수업 시수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Lee, 2013).

    학교체육복은 초, 중, 고등학교의 체육 수업 시간에 착용하여 체육활동을 잘 할 수 있도록 입는 옷으로 교칙에 의하여 학교별로 디자인을 규정해 두고 있으며 계절에 맞게 동복과 하복으로 착용하게 하고 체육활동을 위한 의복이지만 교복과 함께 다른 과목의 수업에서도 활용하고 있다. 중, 고등학교 교복이 자율화를 거쳐 다시 교복 지정 등의 과정을 겪었듯이 학교체육복 역시 일괄 구입을 금지시키고 특정 상품의 체육복 구입을 금지시키기도 하는 과정을 거쳐 학교에 따라 지정된 학교체육복을 착용하게하기도 하고 자유롭게 착용하게하기도 하고 있다. 학교체육복의 자율화는 사치 조장과 위화감 조성 등 갖가지 부작용을 낳을 수 있으며 학교의 소속을 나타내는 유니폼으로서의 역할을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학교체육복은 학생들의 패션눈높이에 맞지 않게 디자인이 촌스럽고 기능적으로도 사제 운동복 보다 훨씬 못하다는 문제점은 오래전부터 지적되어 왔었다(Silent Zone, 1997). 학교 체육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요즘, 학생들로 하여금 체육 활동에 적극 참여하게하기 위해서는 스포츠 전문 브랜드의 스포츠웨어가 갖는 기능성을 갖추면서도 학교의 소속을 나타내는 유니폼으로서의 역할도 담당할 뿐 아니라 교외에서도 즐겨 입을 수 있도록 디자인 측면에서도 세련된 학교체육복을 연구하고 디자인할 필요가 있다.

    학교체육복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초등학생의 학교체육복의 착용실태와 기능성 만족도 연구(Cho, 2010), 여자고등학생의 학교체육복 개선을 위한 착용실태 및 여유량 조사(Jeong, 2010), 여자고등학생의 학교체육복 착용실태 조사(Jeong & Kang, 2010), 유치원 체육복 추구이미지에 관한 연구(Han, 2006), 국민학교 체육복의 색채 고찰(Chung, 1990), 여고체육복의 온열 생리적 착용감에 관한 연구(Park, 1993) 등이 있으며 학교체육복의 디자인과 관련한 연구는 오래되었기도 하고 수적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및 중, 고등학교 남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체육복에 대한 의견과 디자인 선호 경향을 설문조사하여 학교 단위별 및 성별에 따른 학교체육복의 개발 방향을 제안함으로써 학교체육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아울러 학교생활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학교체육복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첫째, 학교체육복의 구입, 착용, 개선, 만족 등 학교체육복에 대한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을 조사 분석한다. 둘째, 학교체육복의 디자인 선호 경향을 형태, 색상, 문양과 소재 등을 중심으로 조사 분석한다. 셋째, 조사 분석한 학교체육복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과 디자인 선호 경향을 바탕으로 학교체육복의 개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2.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부산 시내에 거주하며 학교 체육복을 사용하고 있는 초등학생, 중학생 그리고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초등학생은 고학년인 5~6학년에 한하였다. 2013년 10월에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였으며 2013년 11월과 12월 사이에 본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단위별로 각각 250부씩 총 7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한 718부의 자료들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Table 1은 조사대상자들의 학생 단위별 남녀 인원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2.2. 조사내용

    조사내용으로는 학교체육복의 구입, 착용과 개선에 대한 의견, 현재 사용 중인 학교체육복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선호하는 학교체육복 디자인의 특성 등을 설문 조사하였다. 학생들이 선호하는 학교체육복의 구체적인 부분 형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추동용 학교체육복으로 활용 가능한 칼라 형태, 앞여밈 형태, 소매 형태, 바지단 형태들을 도식화로 제시하였다.

       2.3. 분석방법

    자료의 분석은 SPSS Ver. 21을 이용하여 각 문항에 대한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학교체육복의 구입, 착용과 개선, 그리고 선호하는 디자인 특성에 대하여 남녀 성별을 구분을 하지않고 초, 중, 고등학교 3개 집단 간의 차이를 먼저 교차분석하고, 그 다음 초, 중, 고등학생 집단별로 각각 남녀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현재 사용 중인 학교체육복에 대한 만족도에 대하여는 먼저 초, 중, 고등학생 집단별로 남녀 구분 없이 전체 점수와 표준편차를 구하고 3개 학생 집단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F-검정을 실시하였고 3개 학생 집단 각각에 대하여 남녀 집단의 평균 점수 및 표준 편차를 구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3. 결과 및 논의

       3.1. 학교체육복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Table 2는 학생들이 학교체육복을 필요로 하는 이유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초, 중, 고등학생의 세 집단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며 전체 조사대상자 718명의 68.7%가 ‘학교체육복은 체육 활동에 편리하기 때문에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교복 대신 필요하다’가 17.8%였고 그 외 ‘학교 소속임을 나타낸다’(11.6%), ‘학생들의 정서에 도움이 된다’(1.5%), ‘필요 없음’(0.4%) 등으로 나타났다. 초, 중, 고등학생 집단 모두 학교체육복이 체육 활동에 편리하여 필요하다는 비율이 높으나 초등학생들은 학교체육복이 학교 소속임을 나타내어 필요하다는 비율이 23.8%로 중학생(6.3%), 고등학생(4.3%) 보다 높은 반면, 중, 고등학생들은 학교체육복이 교복 대신에 필요하다는 비율이 중학생 20.1%, 고등학생 32.3%로 초등학생(1.6%)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의 경우, 교복을 착용하지 않기 때문에 학교체육복이 학교의 단체복으로서 소속감을 갖게 하지만 중, 고등학생들의 경우는 이미 교복이라는 학교 소속을 나타내는 단체복이 있어서 학교의 소속감을 갖기 위하여 학교체육복이 필요하다고 여기지 않으며 중, 고등학생들은 교복을 타이트하게 입는 경향이 있어 활동성이 좋은 학교체육복을 교복 대신으로 착용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여고생을 대상으로 한 Jeong(2010)의 연구에서도 체육시간 이외에 학교체육복을 활용하는 이유로 활동의 편리함과 기후변화에 따른 보호 목적을 볼 수 있었다. 초, 중, 고등학생 집단별로 남녀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초등학생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중, 고등학생의 두 집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 고등학생 집단의 경우 ‘체육 활동에 편리하다’에 응답한 비율이 여학생 보다 남학생이 더 높았고 ‘교복 대신에 필요하다’에 응답한 비율은 남학생 보다 여학생이 더 높았다. 초등학생들은 학교체육복을 체육 활동에 편하고 학교 소속임을 나타내기 때문에 필요하다고 하였으나 중, 고등학생들은 학교체육복을 체육 활동에 편리하고 교복 대신에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남학생 보다는 여학생들이 더욱 학교체육복을 교복 대신에 필요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2.] Reasons that PE uniforms are needed

    label

    Reasons that PE uniforms are needed

    Table 3은 학생들이 학교체육복을 구성하는 중요 요인에 대하여 중복 응답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초, 중, 고등학생의 세 집단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며 초등학생과 중학생 집단은 학교체육복의 중요 요인을 디자인 >활동성 >소재 >색상 > 사이즈 >가격 >세탁의 편리성 순으로 답하였으며 고등학생 집단은 디자인 >소재 >활동성 >색상 >사이즈 >가격 >세탁의 편리성 순으로 평가하여 소재를 활동성 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 중, 고등학생 세 집단 모두 남녀 성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남학생들은 활동성을, 초등학교 여학생들은 디자인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여겼으며 중학교 남학생들은 디자인(61.5%)과 활동성(60.7%)을 거의 같은 비율로 중요하게 여겼으며 중학교 여학생들은 디자인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 고등학생 집단은 남녀 학생 집단 모두 디자인>소재>활동성의 순으로 중요하다고 하였다.

    [Table 3.] Important factors of PE uniforms

    label

    Important factors of PE uniforms

    Table 4는 현재 사용 중인 학교체육복에 대하여 학생들이 느끼는 만족도를 ‘아주 만족한다’, ‘만족한다’, ‘그저 그렇다’, ‘만족하지 않는다’, ‘아주 만족하지 않는다’ 등의 5단계로 조사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고 학생 집단별로 남, 녀 성별에 따른 차이를 t-값으로 검정하고 다시 성별을 구분하지 않고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집단에 따른 차이를 F-값으로 검정한 결과이다. 세 그룹의 학생집단 모두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집단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착용하고 있는 학교체육복에 대하여 고등학생들은 3.34, 중학생들은 2.95, 초등학생들은 2.89로 ‘그저 그렇다’인 3점을 기준으로 약간 낮거나 높게 평가하여 그 만족도가 높은 편이 아니며 고등학생들에 비해 초등학생들의 만족도가 조금 더 낮게 나타났다.

    [Table 4.] Satisfaction with PE uniforms in use

    label

    Satisfaction with PE uniforms in use

    Table 5는 학교체육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어떤 기능들을 추가하기를 원하는가에 대하여 중복 응답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초, 중, 고등학생의 세 집단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며, 초등학생들은 체육복에 추가되길 원하는 기능으로 활동성보강소재 >탈취기능 >수납기능 >방수기능 >무릎보호기능 >팔꿈치보호기능 >옆선여유량보충 >탈부착가능내피 순으로 원하였으며 중학생들은 활동성보강소재 >탈취기능 >수납기능 >방수기능 >옆선여유량보충 >탈부착가능내피 >무릎보호기능 >팔꿈치보호기능 순으로 원하였고 고등학생들은 탈취기능 >활동성보강소재 >탈부착가능내피 >수납기능 >옆선여유량보충 >방수기능 >무릎보호기능, 팔꿈치보호기능 순으로 원하였다. 전체적으로는 학교체육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활동성이 좋은 소재, 탈취, 방수 등과 같은 학교체육복 소재의 기능적 측면이 보강되기를 원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이어 보온을 위한 탈부착 내피, 수납, 필요시 보충할 수 있는 상하의 옆선의 여유분 등과 같은 의복 구성적 측면에 대한 보완을 원하는 비율이 높았고 그다음으로는 체육 활동 중 일어나기 쉬운 부상으로부터 무릎이나 팔꿈치를 보호하는 기능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학생 집단별로는 학교체육복의 목적에 맞게 초등학생, 중학생들은 활동성이 보강된 소재 사용에 대하여 보완을 원하는 비율이 높았던 반면에 고등학생들은 탈취기능이 있는 소재 사용에 대하여 보완을 원하는 비율이 높았다. 고등학생일수록 호르몬 분비에 의한 남성, 여성 특유의 체취가 강하게 나고 이에 대하여 학생들이 신경을 쓰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체육복의 탈취 기능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초등학생 집단을 제외하고 중, 고등학생 집단에서는 남녀 성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남학생들은 활동성보강소재 >탈취기능 >방수기능 >수납기능 >무릎보호기능 >옆선여유량보충 >팔꿈치보호기능 >탈부착가능내피의 순으로, 증학교 여학생들은 활동성보강소재 >탈취기능 > 수납기능 >탈부착가능내피 >방수기능 >옆선여유량보충 >무릎보호기능 >팔꿈치보호기능>의 순으로 학교체육복에 추가되길 원하였으며 남학생들이 소재의 방수기능에 대한 요구가 높은 반면 여학생들은 탈부착가능내피에 대한 요구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남학생들은 탈취기능 >활동성보강소재 >탈부착가능내피 >수납기능 >옆선여유량보충 >방수기능 >팔꿈치보호기능 >무릎보호기능 >의 순으로, 여학생들은 탈부착가능내피 >탈취기능 >활동성보강소재 >수납기능 >옆선여유량보충 >방수기능 >무릎보호기능 >팔꿈치보호기능 >의 순으로 기능들이 추가되길 원하였으며 남학생들은 탈취기능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반면 여학생들은 탈부착가능내피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여자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Jeong(2010)의 연구에서도 교복 대신에 체육복을 활용하는 이유로 긴팔상의의 경우 ‘추워서(51.4%)’가 가장 높았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 학교체육복의 보온 기능을 높여줄 수 있는 탈부착내피에 대한 요구가 높은 집단이 여고생이라는 것과 일맥상통한다고 보여진다.

    [Table 5.] Additional functions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PE uniforms

    label

    Additional functions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PE uniforms

    Table 6은 학교체육복의 디자인을 남녀 성별에 따라 구분하기를 원하는 가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초, 중, 고등학생 세 집단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생 집단별로 남녀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교체육복 디자인의 남녀 성별에 따른 구분을 원하는 비율이 초등학생들은 50.8%로 가장 높았으며 중학생들은 32.2%이며 고등학생들은 18.3%로 낮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남녀 구분이 되던, 되지 않던 상관없다고 한 비율은 초등학생 32.8%, 중학생 45.6%, 고등학생 61.3%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은 학교체육복에서도 남녀의 구분을 나타내기를 원하는 경향이나 중, 고등학생들은 의복에 의한 남녀 구분에 의미를 두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Table 6.] Hope for the different types of PE uniforms by sex

    label

    Hope for the different types of PE uniforms by sex

       3.2. 학교체육복의 선호하는 디자인 특성

    3.2.1. 학교체육복 디자인의 중요 요소

    Table 7은 학생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학교체육복 디자인의 요소에 대하여 중복 응답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초, 중, 고등학생의 세 집단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며 초등학생 집단은 활동에 편리한 디자인 >세련된 디자인 >학교를 나타내는 디자인 >스포츠웨어 유행을 반영한 디자인>세탁 등 관리가 편리한 디자인>기능성을 강조한 디자인 순으로, 중, 고등학생 집단은 활동에 편리한 디자인 >세련된 디자인 >스포츠웨어 유행을 반영한 디자인 >기능성을 강조한 디자인 >세탁 등 관리가 편리한 디자인 >학교를 나타내는 디자인의 순으로 중요하다고 하였다. 학교체육복 디자인의 중요 요소에 대하여 초, 중, 고등학생 그룹 모두 활동에 편리한 디자인인 기능성과 세련된 디자인인 심미성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으나 초등학생 집단이 학교를 나타내는 디자인인 학교체육복의 상징성을 중요하게 여긴 반면 중, 고등학생들은 학교체육복의 상징성에 큰 의미를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체육복이 학교 소속임을 나타내기 때문에 필요하다고 응답한 초등학생들의 비율은 높았고 중, 고등학생들의 비율은 낮았던 결과와도 일맥상통한다. 초, 중, 고등학생 세 집단 모두에서 남녀 성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 집단에서 남학생들은 여학생들에 비해 기능성을 강조한 디자인을 중요하게 여기는 비율이 높았고 여학생들은 세탁 등 관리가 편리한 디자인인 체육복의 관리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비율이 높았다. 중, 고학생 집단에서는 학교체육복의 심미성 중에서도 남학생들은 스포츠웨어 유행을 반영한 디자인을 중요하게 여기고 여학생들은 세련된 디자인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7.] Important factors of the design of PE uniforms

    label

    Important factors of the design of PE uniforms

    3.2.2. 학교 체육복의 형태

    Table 8은 학생들이 선호하는 학교체육복의 형태적 특징 중 실루엣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초, 중, 고등학생 세 집단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며 초등학생 집단은 약간의 여유가 있는 실루엣(77.9%) >몸에 딱 딱 맞는 실루엣(17.2%) >헐렁한 실루엣(4.9%), 중학생 집단은 약간의 여유가 있는 실루엣(67.0%) >몸에 딱 맞는 실루엣(23.4%) >헐렁한 실루엣(9.6%), 고등학생 집단은 약간의 여유가 있는 실루엣(66.0%) >몸에 딱 맞는 실루엣(23.4%) >헐렁한 실루엣(10.6%) 순으로 선호하였다. 초등학생 집단에 비해 중, 고등학생 집단은 약간의 여유가 있는 실루엣을 선호하는 비율이 줄어든 반면 몸에 딱 맞는 실루엣을 선호하는 비율이 늘어났다. 중학생 집단을 제외하고 초등학생, 고등학생 집단별로 남녀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남학생들 84.5%인 거의 대부분이 약간의 여유가 있는 실루엣을 선호한 반면에 여학생들은 약간의 여유가 있는 실루엣을 70.4% 선호하였고 남학생들(11.6%)에 비해 몸에 딱 맞는 실루엣을 선호하는 비율이 높아 23.5%였다. 고등학생 집단에서는 여유가 있는 실루엣을 선호하는 남학생의 비율이 53.2%로 여학생의 74.5% 보다 낮았고 몸에 딱 맞는 실루엣을 선호하는 비율은 남학생(44.7%)이 여학생(9.2%) 보다 높았으며 여학생들의 경우 헐렁한 실루엣을 선호하는 비율이 16.3%로 남학생의 2.1%보다 높았다. 남학생들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몸에 딱 맞는 실루엣을 선호하는 비율이 증가하였고 여학생들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여유분이 많은 실루엣의 학교체육복을 선호하였으며 이는 학교체육복을 교복 대신 편하게 착용하려는 경향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8.] Preferred silhouette of PE uniforms

    label

    Preferred silhouette of PE uniforms

    Table 9는 추동복용 학교체육복으로 사용 가능한 부분 형태를 구체적인 도식화로 제시하고 선호하는 형태에 대하여 중복 응답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상의의 부분 형태로는 칼라 4 종류, 앞여밈 4 종류와 소매 2종류 그리고 하의의 부분 형태로는 바지단 3종류에 대하여 각각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Table 9.] Preferred details of PE uniforms

    label

    Preferred details of PE uniforms

    상의의 칼라 형태에 대하여 초, 중, 고등학생 세 집단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나 초, 중 고등학생 집단별로는 남녀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은 셔츠칼라형(36.5%) >스탠드칼라형(29.5%) >시보리형(26.6%) >칼라없는형(7.4%)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중학생은 셔츠칼라형(38.5%) >스탠드칼라형(22.6%) >시보리형(20.9%) >칼라없는형(18.0%) 순으로 선호하였고 고등학생은 셔츠칼라형(51.5%) >스탠드칼라형(23.4%) >시보리형(15.7%) >칼라없는형(9.4%)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세 집단 모두 셔츠칼라형의 선호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상의의 앞여밈 형태에 대하여 초, 중, 고등학생의 세 집단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며 초등학생 집단은 전체지퍼형(54.5%) >여밈없음(24.2%) >반지퍼형(16.0%) >반단추(5.3%), 중학생 집단은 전체지퍼형(61.5%) >여밈없음(20.5%) >반지퍼(13.8%) >반단추(4.2%), 고등학생 집단은 전체지퍼형(94.0%) >반지퍼형(3.0%) >반단추(1.7%) >여밈없음(1.3%)의 순으로 선호하였다. 모든 집단에서 전체지퍼형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며 특히 고등학생 집단에서의 선호도가 매우 높았다. 초, 중 고등학생 세 집단 모두 남녀 간에도 유의적인 차이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 집단에서 남학생들은 여학생들에 비해 전체지퍼형을 선호하는 비율이 다소 낮은 반면 반지퍼형을 선호하는 비율이 높았고 중학생 집단에서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전체지퍼형을 선호하는 비율이 다소 낮은 반면 여밈없는 형을 선호하는 비율이 높았고 고등학생 집단에서 여학생들 거의 대부분인 97.9%가 전체지퍼형을 선호하였다.

    상의의 소매 형태에 대하여 초, 중, 고등학생 세 집단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며 초등학생 집단은 라그란슬리브형(51.6%) >셋인슬리브형(48.4%), 중학생 집단은 라그란슬리브형(53.6%) >셋인슬리브형(46.4%), 고등학생 집단은 셋인슬리브형(69.8%) >라그란슬리브형(30.2%)의 순이어서 초등학생, 중학생 집단은 라그란슬리브형을 선호하는 비율이 높았고 고등학생 집단은 셋인슬리브형을 선호하는 비율이 높았다. 초, 중학교 집단별로는 남녀 간에도 유의적인 차이는 있으나 고등학교집단의 남녀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 집단에서 남학생은 셋인슬리브형(58.1%)을, 여학생은 라그란슬리브형(62.6%)을 선호하였다. 중학생 집단에서 남학생은 셋인슬리브형(53.1%)을, 여학생은 라그란슬리브형(61.5%)을 선호하였다.

    하의의 바지단 형태에 대하여 초, 중, 고등학교의 세 학생 집단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며 초등학생 집단은 시보리단(41.8%) >옆지퍼단(36.9%) >일자단(21.3%), 중학생 집단은 옆지퍼단(46.4%) >시보리단(40.6%) >일자단(13.0%), 고등학생 집단은 옆지퍼단(46.0%) >일자단(28.1%) >시보리단(26.0%) 순으로 선호하였다. 초, 고등학생 집단별로는 남녀 간에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나 중학생 집단의 남녀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 집단의 남학생은 옆지퍼단(52.3%) >시보리단(33.1%) >일자단(14.6%), 여학생은 시보리단(49.5%) >옆지퍼단(39.4%) >일자단(11.0%) 순으로 선호하였다. 초등학생 남녀 및 여자중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것은 시보리단이며 남자 중학생, 남녀 고등학생이 가장 선호하는 것은 옆지퍼단이었다.

    3.2.3. 학교체육복의 색상 및 문양

    Table 10은 선호하는 학교체육복의 배색수를 조사한 결과이다. 선호하는 학교체육복의 배색수에 대하여 초, 중, 고등학생 세 집단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며 초등학생 집단이 선호하는 배색수는 2가지가 55.7%로 가장 높으나 3가지를 선호하는 비율도 33.2%로 다른 집단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 중학생 집단이 선호하는 배색수는 2가지가 61.9%로 가장 높으며 3가지를 선호하는 비율은 18.8%로 초등학생들에 비해 2가지 배색수를 선호하는 비율은 높고 3가지 배색수를 선호하는 비율은 낮았다. 고등학생 집단은 초등학생과 중학생 집단들에 비해 2가지 배색수를 선호하는 비율이 82.1%로 더욱 높았고 3가지 배색수를 선호하는 비율은 각각 8.5%로 매우 낮았다. 초, 중학생 집단별로 남녀 학생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고등학생 집단의 남녀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고등학생은 2가지 배색수를 선호하는 비율이 72.3%, 여자고등학생은 2가지 배색수를 선호하는 비율이 88.7%로 더욱 높았다.

    [Table 10.] Preferred coloring types of PE uniforms

    label

    Preferred coloring types of PE uniforms

    Table 11은 선호하는 학교체육복의 색상과 문양에 대하여 중복 응답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선호하는 색상에 대하여 중복 응답하게 한 결과, 초, 중, 고등학생 남녀 6개의 집단 중 한 집단에서라도 10% 이상의 선택을 받은 11가지 색상을 선정하였으며 이들 11가지 색상 각각에 대하여 초, 중, 고등학생 남녀 6개 집단 간의 유의차를 검정하였다. 흰색과 초록색을 제외한 9가지 색상에 대하여 6개 학생집단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조사대상자들이 선호하는 색상은 검정색으로 전체 조사대상자의 64.2%가 선호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흰색 38.0%, 회색 33.4%로, 선호하는 비율이 높은 색상의 3위까지가 무채색이었다. 이어서 유채색인 파랑색 25.6%, 노랑색 18.9%, 빨강색 15.5%, 베이지색 13.6% 순이었으며 학교체육복의 색상으로 유채색 보다는 검정색을 비롯한 무채색에 대한 선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검정색에 대한 선호도는 여자고등학생(86.5%) >남자고등학생(74.5%) >남자중학생(61.5%) >남자초등학생(55.8%) >여자중학생(52.3%) >여자초등학생(52.2%) 순이었으며 검정색을 선호하는 비율은 여자고등학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채색에 대하여서는 초등학생들은 노랑색을 선호하는 비율이 비교적 높으나 중학생들은 노랑색보다 파랑색을 선호하였으며 고등학생들의 경우는 노랑색을 거의 선호하지 않고 파랑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Chung(1990)의 연구에서는 학교체육복의 희망 색상으로 무채색의 흰색을 가장 선호하였고 다음으로 노랑, 노랑연두, 연두를 선호하였으며 그다음으로는 바다색과 파랑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고생을 대상으로 한 Jeong(2010)의 연구에서는 학교체육복의 희망 색상으로 남색계열(40.7%), 회색계열(27.5%), 검정색(19.0%)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1.] Preferred colors and patterns of PE uniforms

    label

    Preferred colors and patterns of PE uniforms

    선호하는 문양에 대하여 중복 응답하게 한 결과, 초, 중, 고등학생 남녀 6개의 집단 중 하나의 집단에서라도 10% 이상 선택을 받은 7가지 문양을 선정하였으며 이들 7개 문양 각각에 대하여 초, 중, 고등학생 남녀 6개 집단 간의 유의차를 검정하였다. 7개 문양 모두에 대하여 6개 학생 집단 간의 유의적 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조사대상자의 51.1%가 문양이 없는 무지를 선호하였으며 학교 로고(40.1%), 스트라이프(36.4%), 애니메이션캐릭터(12.5%), 체크(12.4%), 동물(12.1%), 도토(10.6%)의 비율로 선호하였으나 초등학생 집단은 무지 보다 학교로고(남:51.9%, 여:51.3%)를 선호하는 비율이 높았다.

    3.2.4. 학교체육복 소재의 중요 성능

    Table 12는 학교체육복 소재의 중요한 성능에 대하여 중복 응답하여 조사한 결과이다. 학교체육복 소재의 중요 성능에 대하여 초, 중, 고등학생 세 집단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으며 초등학생 집단은 활동성(78.3%)>촉감(50.8%)>인체무해성(44.3%)>보온성(32.8%)>세탁성(21.3%)>방수성(18.9%)>흡습성(10.2%)>통기성(9.4%) 순으로, 중학생들은 활동성(68.2%)>보온성(49.8%)>촉감(38.9%)>인체무해성(24.7%)>통기성(22.6%)>흡습성(20.9%)>방수성(17.6%)>세탁성(12.6%) 순으로, 고등학생들은 활동성(75.3%)>보온성(60.9%)>촉감(46.4%)>통기성(28.1%)>세탁성(20.4%)>흡습성(17.4%)>인체무해성(16.2%)>방수성(7.7%) 순으로 평가하였다. 초, 중, 고등학생의 세 집단 모두 학교체육복 소재의 중요한 성능으로 활동성을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으나 그다음으로 초등학생들은 소재의 촉감이나 인체무해성을 중요하게 여긴 반면 중, 고등학생들은 소재의 보온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교체육복 소재의 중요 성능에 대하여 초등학생 집단의 남녀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중, 고등학생 집단의 남녀 성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중학생들의 경우 활동성>보온성>촉감까지의 순위는 남녀가 같으나 그 다음으로는 남자중학생들은 흡습성>인체무해성>방수성>통기성>세탁성의 순으로, 여자중학생들은 인체무해성>통기성>흡습성>세탁성>방수성의 순으로 평가하였다. 고등학생 집단에서도 활동성>보온성>촉감>통기성까지의 순위는 남녀가 같으나 그 다음으로는 남자고등학생들은 흡습성>인체무해성>세탁성>방수성의 순으로 여자고등학생들은 세탁성>인체무해성>흡습성>방수성의 순으로 평가하였다. 중, 고등학교 남학생들은 여학생들에 비해 체육 활동으로 땀을 많이 흘리며 땀을 흡수하고 배출하는데 필요한 소재의 성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12.] Preferred material performances of PE uniforms

    label

    Preferred material performances of PE uniforms

       3.3. 학교체육복의 개발 방향

    학교체육복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과 선호 경향을 분석 고찰한 앞항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체육복의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학교체육복은 학생들의 체육 활동과 학교생활의 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성을 갖추도록 개발한다. 설문조사에 의하면 초, 중, 고등학생 집단 모두 활동에 편리한 디자인인 기능성을 학교체육복의 중요요소로 꼽았으며 현재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학교체육복은 헐렁한 트레이닝복 형태로 만족도가 높지 않고 부분 형태에 대한 개선뿐만 아니라 학교체육복으로 교복을 대신하는 기능도 갖추기를 원하였다. 학생들은 학교체육복이 체육 활동을 위해 필요할 뿐 아니라 교복 대신에 착용한다고 하였으며 활동에 편리한 디자인, 기능성을 강조한 디자인, 세탁 등 관리가 편리한 디자인과 같은 학교체육복의 기능적인 측면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단체복의 기능성은 유니폼을 매일 착용하고 활동한다는 측면에서 기능적이어야 하며, 착용자의 작업내용, 활동량, 계절적인 문제, 위생적인 측면 등을 고려하여 활동 시 경쾌함을 주어야 한다는 개념이다(Moon & Ham, 2011). 즉 학교체육복의 기능적인 부분은 착용 주체인 학생들의 신체 특징과 성장에 따른 변화, 체육 활동과 학교 생활 그리고 위생적인 관리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신체 치수에 충실한 사이즈 스펙을 설정하고 체육 활동과 학교생활에서의 활동 시의 주된 동작을 고려하여 패턴을 설계하며 학교체육복의 개선을 위해 보완되기를 원하였던 기능들인 체육 활동 시 무릎이나 팔꿈치 등을 보호하는 기능, 체육 활동에 용이한 주머니의 수납 기능, 필요시 여유량을 보충할 수 기능과 보온용으로 탈부착 가능한 내피 등등을 배려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또한 학생들의 활동을 용이하게 하고 땀과 같은 분비물의 배출 및 흡수가 좋으며 아울러 세탁 관리가 용이한 소재를 사용한다.

    둘째, 학교체육복은 학생들의 미적인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세련되고 트렌디한 디자인으로 심미성을 갖추도록 개발한다. 설문조사에 의하면 학교체육복을 구성하는 여러 요인 중에서 초, 중, 고등학생들 모두 디자인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으며 세련된 디자인과 스포츠웨어유행을 반영한 디자인과 같은 학교체육복의 심미성을 중요하게 평가하였다. 심미성은 보는 사람에게는 즐거움을 주고 착용자인 학생들은 세련되고 아름답다고 느끼는 만족감을 갖게 하여 자신의 역할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학교체육복의 미적인 부분은 착용 주체인 학생들의 신체 미와 디자인 선호 경향, 학교체육복의 목적에 적합한 세련됨 그리고 스포츠웨어의 트렌드를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신체의 미적인 특징을 살려 날씬해 보이기를 원하거나 건장하게 보이기를 원하는 등 학생들의 신체에 대한 미적인 만족감을 높이도록 디자인한다. 학교체육복은 체육 활동의 활동적인 이미지 뿐만 아니라 교내외 활동에서 학생 신분에 적합한 단정한 이미지로 디자인하며 학생, 교사, 학부모가 모두 관여하는 단체복이므로 이들의 선호 경향을 적절히 고루 반영하도록 한다. 학교체육복은 체육 활동을 위한 스포츠웨어이므로 스포츠웨어의 트렌드를 반영하여 유행에 뒤처지지 않도록 세련되게 디자인한다.

    셋째, 학교체육복은 학생들을 위한 단체복이므로 학생들의 소속을 나타낼 수 있는 상징성을 갖추도록 개발한다. 상징성은 유니폼이 개인적인 미보다는 통일된 의식의 집단을 형성하게 되므로 통일된 형태, 색조, 옷차림 등으로 그 집단의 사무나 행동을 나타내는 경향이다(Moon & Ham, 2011). 설문조사에 의하면 초등학생들은 학교체육복이 필요한 이유로 학교 소속을 나타냄을 중요하게 여겼으나 중, 고등학생들은 학교 소속을 나타내는 것을 그다지 중요하게 여기지 않았다. 그러나 학교체육복은 단체복이므로 착용자의 소속을 표현하고 착용자로 하여금 소속감을 갖게 하는 기능을 갖추어야 하므로 학생 집단에 따라 통일된 집단을 상징하는 표현 방법을 달리 하여 개발하여야 하겠다. 문양으로 학교 로고를 선호하는 초등학생의 경우는 학교 로고를 활용하는 직접적인 방법으로 학교를 나타낼 수도 있지만 학교 로고를 선호하지 않는 중, 고등학생들의 경우는 학교를 상징하는 색상이나 혹은 다른 디자인 요소들을 활용하여 중, 고등학생들의 미적인 만족감을 높이면서 소속 학교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착용자인 학생들의 학교체육복에 대한 의견과 선호 경향을 반영하여 개발한다. 초, 중, 고등학생들의 학생 집단에 따라 학교체육복에 대한 견해가 다르고 선호 경향도 서로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나 학생들의 의견과 선호 경향을 반영하지 않고 제작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학생들이 착용하는 학교체육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생각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학교체육복을 성별에 따라 구분하는 문제에 대하여, 초등학생들은 성별에 따라 학교체육복의 디자인이 다르기를 원하였으므로 학교체육복의 색상, 문양, 형태 등에서 가시적으로 남녀 구별이 확연히 드러나도록 디자인한다. 반면에 중, 고등학생들은 성별에 다른 구별을 원하지 않는 비율이 높았으므로 중 고등학생들을 위해서는 남녀 같은 디자인으로 하되 남녀의 차이가 확연한 신체 치수와 형태의 특징을 반영하여 신체 적합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개발한다. 학교체육복의 선호하는 형태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학교체육복의 실루엣은 약간 여유있는 것을 선호하였고 칼라, 앞여밈, 소매와 바지단 등 부분 형태에 대해서는 학생집단은 물론 성별에 따라 다양한 선호도를 보여주었으므로 학교체육복은 약간 여유 있는 실루엣으로 디자인하되 세부적인 형태는 학생 집단 및 성별에 따른 선호를 반영하여 디자인한다. 선호하는 색상에 대해서는 배색수로 2개를 사용하기 원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검정색을 비롯한 무채색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며 유채색 중에는 초등학생들은 노랑색을, 중, 고등학생들은 파랑색을 선호하였으므로 학교체육복의 색상은 초, 중, 고등학생 집단에 따라 다른 선호 경향을 반영하여 2~3가지 색을 사용하여 복잡하지 않게 배색한다. 선호하는 문양에 대해서, 초등학생은 학교로고를 선호하는 비율이 높았으나 중, 고등학생들은 무지를 선호하는 비율이 높았으므로 초등학생을 위한 학교체육복에 학교 로고를 문양으로 활용하고 아울러 학교를 상징하는 효과도 함께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며 중, 고등학생들을 위해서는 특별한 문양 없이 디자인한다. 초, 중, 고등학생 집단 모두 학교체육복 소재의 중요한 성능으로 활동성을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였으므로 학교체육복의 소재는 학생들의 활동에 불편함이 없고 입었을 때 촉감이 좋아 인체에 무해하며 성장기 학생들의 생리적 현상에 적합한 통기성, 흡습성을 갖추며 교복 대신 착용할 때를 고려하여 보온성도 좋은 소재를 선택한다.

    4. 결 론

    본 연구는 학교체육복을 사용하는 부산지역 초등학교 5~6학년 및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학교체육복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과 디자인 선호 경향을 설문조사하고 분석하여 학생들의 학교체육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학교체육복에 대한 의견으로는, 초, 중, 고등학생 집단 모두 체육 활동에 편리하여 학교체육복이 필요하다고 점에는 이견이 없었으나 초등학생들은 학교 소속임을 나타내어서, 중, 고등학생들은 교복 대신으로 필요하다고 하였다. 현재 착용하고 있는 학교 체육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편이 아니었으며 특히 초등학생 집단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편이었다. 학교체육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재의 활동성, 탈취, 방수 기능 등이 보완되기를 원하였다. 학교체육복의 요인으로 디자인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으며 디자인의 요소로는 활동에 편리한 디자인인 기능성과 세련된 디자인인 심미성 등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 성별에 따른 학교체육복의 구분을 원하는 비율이 초등학생 집단에서는 높았으나 중, 고등학생 집단에서는 낮았다.

    둘째, 학교체육복의 선호하는 디자인 특성으로, 학교체육복의 실루엣은 초, 중, 고등학생 남녀 집단 모두 약간의 여유가 있는 것을 선호하였으며 칼라, 앞여밈, 소매와 바지단 등 부분 형태에 대해서는 학생집단은 물론 성별에 따라 다양한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학교체육복의 배색수로 초등학생 집단은 3가지, 중, 고등학생 집단은 2가지를 선호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무채색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며 유채색 중에는 초등학생들은 노랑색을, 중, 고등학생들은 파랑색을 선호하였다. 학교체육복의 문양으로 초등학생은 학교로고를, 중, 고등학생들은 무지를 선호하는 비율이 높았다. 학교체육복 소재의 중요한 성능으로 초, 중, 고등학생 세 집단 모두 활동성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

    셋째, 학교체육복의 개발 방향으로는, 학교체육복은 학생들의 체육 활동과 학교생활의 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성을 갖추며 학생들의 미적인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세련되고 트렌디한 디자인으로 심미성을 갖추고 단체복으로서 학생들의 소속을 나타낼 수 있는 상징성을 갖도록 개발하며 그리고 개발하고자 하는 학교체육복의 착용 주체인 학생 집단의 의견과 선호 경향을 반영하여 개발하여야 한다.

    학교체육복은 교사, 학생 및 학부모가 같이 결정하는 단체복으로 학생 개개인의 선호를 모두 반영할 수 없으며 학교 소속의 전체 학생들이 착용하게 되므로 적절한 가격을 유지해야하며 제작업체의 상황까지 고려해야 하므로 학생들의 디자인 선호만을 반영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그러나 학교체육복을 직접 착용하는 것은 학생들이므로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방향으로 학교체육복을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조사 지역이 부산에 한정되어 있으며 조사 대상을 학생으로 국한시켜 분석한 점이다. 학교체육복에 대한 의견과 선호 경향은 실제 착용자인 학생들의 의견이 우선적이겠지만 학교체육복을 선정, 주관하는 교사와 학생들의 의생활을 관리하는 학부모의 의견도 반영되어야 하므로 앞으로 이에 대한 보완과 조사 지역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학교체육복에 대한 전체 학생들의 의견과 선호 경향으로 해석하는 데는 신중을 기해야 하겠지만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학교체육복의 개발에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차후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학교체육복 개발 방향에 준하여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학교생활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학교체육복을 개발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 1. Cho Y. J. 2010 Study on terms of use and functional satisfaction of school physical training uniform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Vol.16 P.81-89 google
  • 2. Chung B. K. 1990 A study about the colour of sportwear of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3. Han G. H. 2006 A study on the image to be promoted for preschoolers' sportswear [Journal of Fashion Business] Vol.10 P.194-206 google
  • 4. Jeong H. I. 2010 A survey on the physical training uniform in girl's high school in terms of use and margin in size.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5. Jeong H. I., Kang Y. S. 2010 A survey on the physical training school uniform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60 P.67-85 google
  • 6. Lee H. G. A story of the lost schoolyard google
  • 7. Moon M. O., Ham Y. J. 2011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the kindergarten uniform design for the par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ol.13 P.686-694 google
  • 8. Park J. H. 1993 A study on the thermal comfort of high school - Sports wear.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ogle
  • 9. Kyunghyang Shinmun google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Survey subjects
    Survey subjects
  • [ Table 2. ]  Reasons that PE uniforms are needed
    Reasons that PE uniforms are needed
  • [ Table 3. ]  Important factors of PE uniforms
    Important factors of PE uniforms
  • [ Table 4. ]  Satisfaction with PE uniforms in use
    Satisfaction with PE uniforms in use
  • [ Table 5. ]  Additional functions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PE uniforms
    Additional functions to improve satisfaction with PE uniforms
  • [ Table 6. ]  Hope for the different types of PE uniforms by sex
    Hope for the different types of PE uniforms by sex
  • [ Table 7. ]  Important factors of the design of PE uniforms
    Important factors of the design of PE uniforms
  • [ Table 8. ]  Preferred silhouette of PE uniforms
    Preferred silhouette of PE uniforms
  • [ Table 9. ]  Preferred details of PE uniforms
    Preferred details of PE uniforms
  • [ Table 10. ]  Preferred coloring types of PE uniforms
    Preferred coloring types of PE uniforms
  • [ Table 11. ]  Preferred colors and patterns of PE uniforms
    Preferred colors and patterns of PE uniforms
  • [ Table 12. ]  Preferred material performances of PE uniforms
    Preferred material performances of PE uniforms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