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실시간 낙동강 흐름 예측을 위한 유역 및 수체모델 결합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onal Forecasting of the Nakdong River Flow with a Combined Watershed and Waterbody Model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실시간 낙동강 흐름 예측을 위한 유역 및 수체모델 결합 적용 연구

A combined watershed and receiving waterbody model was developed for operational water flow forecasting of the Nakdong river. The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Fortran (HSPF) was used for simulating the flow rates at major tributaries. To simulate the flow dynamics in the main stream, a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EFDC was used with the inputs derived from the HSPF simulation. The combined models were calibrated and verified using the data measured under different hydrometeological and hydraulic conditions. The model results were generally in good agreement with the field measurements in both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The 7-days forecasting performance of water flows in the Nakdong river was satisfying compared with model calibration results. The forecasting results suggested that the water flow forecasting errors were primarily attributed to the uncertainties of the models,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and water release at the hydraulic structures such as upstream dams and weirs. From th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the combined watershed-waterbody model could successfully simulate the water flows in the Nakdong river. Also, it is suggested that integrating real-time data and information of dam/weir operation plans into model simulation would be essential to improve forecasting reliability.

KEYWORD
EFDC model , HSPF model , Nakdong River , Water flow forecasting
  • 1. Introduction

    수질예보는 현재의 수질을 분석하고 향후 기상 및 오염원 등의 변화에 따른 장래 수질을 미리 예측하여 물 사용자와 시설관리자, 정책결정자 등에게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을 말한다. 현업 수질예보(Operational Water Quality Forecasting)는 기상, 홍수예보 등과 달리 아직까지 보편화되어 있지는 않으나, 수질예보의 유용성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관심을 받아 왔다. 최근에는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과 대용량 자료의 전송・저장기술, 수치모델, 초고속 연산시스템 등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네델란드, 덴마크, 미국 등 일부 수질관리 선진국을 중심으로 수질예보가 성공적으로 시행되고 있다(Kim, 2011; Seo and Choi, 2007).

    한편 국내에서는 2009년 말부터 4대강살리기사업이 추진되었으며, 하도 준설과 다기능 보 설치 등 다양한 사업 시행으로 인해 하천환경이 크게 변화하였다. 수심과 저수용량, 체류시간이 증가하였으며, 다기능 보와 상류 댐 및 저수지 운영을 통해 하천 유량의 인위적 조절 기능이 확대되었다. 또한 친수활동 공간 확대 등을 계기로 일반 국민들의 수질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었다. 환경부에서는 이러한 물관리 여건변화에 대응한 선제적 수질관리를 위해 수질예보제를 도입하였으며, 2012년 1월부터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본류 구간을 대상으로 향후 7일간의 수온과 클로로필-a 농도에 대한 수질예보를 시행 중에 있다.

    하천의 조류발생은 유역으로부터의 영양물질 유입뿐만 아니라 체류시간, 유속, 국지적 정체 등과 같은 수리적 특성과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영양물질이 충분할 경우 체류시간이 긴 대형 하천의 중하류 구간, 수심이 깊고 유속이 느린 가둬진 하천 등에서 부유성 조류가 우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홍수 강도, 기간, 시기, 빈도 등은 조류 종류와 생체량에 영향을 미친다(Hilton et al., 2006).

    따라서 일주일 이내의 단기수질예보는 대부분 관측자료와 수치모델을 이용한 실시간 수질예측을 기반으로 수행되는데, 정확한 수질예측을 위해서는 수체의 흐름 해석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한강, 낙동강 등 대규모 하천에서의 흐름 모의를 위해서는 하류단 수위와 함께 최상류유역 및 지류로부터 유입되는 유량자료가 필요하며, 최근에는 각 소유역별 특성 및 강우 분포 등을 반영한 유량 예측을 위해 강우-유출모델이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Kang et al., 2011). 즉, 대규모 하천에서의 실시간 수질예측을 위해서는 유역-수체모델 결합 적용을 통한 실시간 흐름 예측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질예보를 위한 기반 연구로서 낙동강 본류의 흐름 예측을 위하여 유역 및 수체모델을 결합 적용하였으며, 주요 지류의 유량과 본류 수위측정자료를 이용하여 모델 재현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재현성이 검토된 유역-수체 통합 모델의 운용을 통한 낙동강 지류 유량 및 본류 흐름의 실시간 예측결과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업 수질예보를 위한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2. Materials and Methods

       2.1. 연구대상지역

    낙동강 유역은 한반도 남동부(동경 127° 29' ~ 129° 18', 북위 35° 03' ~ 37°13')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이 23,817.3 km2로 우리나라 국토면적의 약 24%를 차지하고 있다. 낙동강은 본류 구간을 포함하여 반변천, 내성천, 감천, 금호강 등 지류 국가하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류구간의 길이는 400.7 km에 이른다(Fig. 1).

    2009년부터 시행된 낙동강살리기사업으로 안동댐하류에서 하구둑에 이르는 낙동강본류 총 334.2 km 구간에서 4.4억m3에 이르는 퇴적토가 준설되었으며, 고정보, 가동보, 어도, 소수력발전소로 구성된 다기능보가 8개 건설되었다. 낙동강에 건설된 다기능보의 주요 제원은 Table 1에 제시한 바와 같으며, 준설 및 보 건설을 통해 낙동강 본류 구간의 저수용량이 약 6.7억m3 증가되었다(MOCT, 2009).

    [Table 1.]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multi-purpose weirs in the Nakdong river (MOCT, 2009)

    label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multi-purpose weirs in the Nakdong river (MOCT, 2009)

       2.2. 모델 적용

    2.2.1. 유역 모델 적용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본류 구간으로 유입되는 유량 예측을 위해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을 적용하였으며, Shin et al. (2013)에 제시된 선행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수행되었다. HSPF 모델은 1970년대 후반 U.S.EPA에서 개발한 준분포형 유역모델로 다양한 규모의 유역에 대해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수문 및 수질반응을 모의 가능하며, 특히 투수지역과 불투수지역, 수체에 대한 모의 모듈이 각각 포함되어 있어 다양한 토지이용형태가 혼재된 대규모 낙동강 유역에 적용하기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모델에 대한 상세 설명은 Bicknell et al. (2001)에 제시되어 있다.

    낙동강 유역에 대한 HSPF 모델 적용을 위해 유역경계도, 하천도, 수치고도모델, 토지피복도 등의 자료를 바탕으로 전체 유역을 232개 소유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를 동일한 기상 및 유출특성을 갖는 32개 segment로 그룹화하였다. 소유역 및 segment 구분 결과와 기상, 오염원, 댐 방류 및 취수에 대한 입력자료 구축, 저수지 모의 방법 등은 Shin et al. (2013)에 상술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HSPF 모델의 재현성 검토를 위해 본류 3개와 지류 10개 지점을 대상으로 2008년부터 2010년까지의 유량측정자료를 이용하여 모델 보정을 수행한 바 있으며, NSE(Nash-Sutcliffe coefficient of efficiency, Nash and Sutcliffe, 1970), % Difference (ASCE, 1993), RMSE (Root Mean Squence Error)를 사용하여 모델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용한 최신 자료를 활용하여 모의 기간을 2012년까지 확장하였으며, 2012년 각 지류의 말단에 위치한 환경부 수질측정망 지점에서 8일 간격으로 측정된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모델 검증을 수행하였다. 모델 검증시에도 보정시와 동일한 통계지표를 사용하였으며, % Difference 값을 이용한 모델 재현성 평가는 Donigian (2000)에서 제시한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였다(Table 2).

    [Table 2.] General calibration/validation target for HSPF application (Donigian, 2000)

    label

    General calibration/validation target for HSPF application (Donigian, 2000)

    2.2.2. 수체모델 적용

    EFDC (Environmental Fluid Dynamic Code)는 1990년대 초반 미국 버지니아해양연구소에서 개발한 3차원 수리・수질모델로 현재는 U.S.EPA에 의해 개발・관리되고 있다(Hamrick, 1992). EFDC 모델은 개발 이후 지금까지 하천, 호수, 하구, 해역에서의 수리 및 수질 거동 해석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최근 4대강 본류, 새만금호, 대청호, 용담호, 경인아라뱃길 등에 적용된 바 있다(Kim et al., 2012; Kim, 2011; Min et al., 2011; Park, Shin et al., 2012; Park, Kim et al., 2012; Seo et al., 2012; Shin et al., 2012, Yoon et al., 2011). EFDC 모델의 유동해석을 위한 지배방정식은 수평방향(x, y) 운동량방정식, 수직방향(z) 운동량방정식, 연속방정식, 밀도 상태방정식, 물질수송방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방정식에 대한 설명은 Tetra Tech, Inc. (2007)에 상술되어 있다. EFDC 모델은 수평방향으로는 직각 또는 직교곡선좌표계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연직방향으로는 시그마좌표계를 사용한다. 직교곡선좌표계는 만곡이 심한 낙동강 본류의 하도 형태를 표현하기 용이하고, 시그마좌표계는 상하류 수위차이가 100m에 이르는 낙동강 본류 구간을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 다. 또한 EFDC 모델은 Mass conservation scheme을 사용한 마름/젖음 상태(wet/dry condition) 처리가 가능하여 낙동강 등 국내 하천과 같이 계절에 따른 유량변동이 심한 수체에 대해 안정적 모의가 가능하다.

    한편 EFDC 모델에는 수리구조물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나 상하류 수위차에 따라 정의된 유량을 전달하는 간단한 방법이 사용되며, 따라서 낙동강에 건설된 보와 같이 고정보, 가동보, 소수력발전 등으로 구성된 복합적 수리구조물 운영에 따른 흐름 변화를 모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NIER(2011a)는 EFDC 모델을 기반으로 4대강 다기능 보의 구조 및 가동방식을 현실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보 모듈을 추가 개발하였다. 보 모듈에서는 수리구조물 종류를 고정보, 가동보, 어도, 소수력발전소로 구분하고, 각 구조물을 통한 흐름 발생시 통과유량을 산정하기 위한 식을 추가하였다(NIER, 2011a; Na et al., 2013).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본류의 실시간 흐름 모의를 위해 수정된 EFDC 모델을 적용하였다.

    대상구간은 안동조정지댐 하류부터 하구둑까지 약 330 km에 이르는 낙동강 본류 구간이며, 사업 전후 실폭하천 및 제방경계, 하상고 분포, 다기능보의 위치와 규모 등을 고려하여 수표면 격자망을 구성하였다(Fig. 2). 총 격자수는 10,914개이며, 폭방향 격자크기는 38~380 m (평균 133 m), 상하류방향 격자크기는 24~466 m (평균 149 m)이다. 사업전・후 하천단면자료를 이용하여 낙동강 본류의 하상고(Bottom elevation)를 재현하였으며, 그 결과 10,914개의 격자에서의 하상고 분포는 4대강사업 이전 -19.5~94.4m, 사업 이후 -25.8~96.3 m로 분석되었다.

    낙동강 본류 구간에 대해 구성된 모델 격자망을 바탕으로 EFDC 모델을 수행하였으며, 모의 기간은 다양한 하천지형 및 수리구조물 운영 조건에 대한 모델 재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4대강사업 시행 이전인 2009년 1월 1일~12월 31일, 사업 시행 이후인 2012년 1월 1일~12월 31일을 대상으로 하였다. 낙동강 EFDC 모델의 유입경계조건은 최상류 안동조정지댐 방류 및 표준유역 이상의 규모를 갖는 25개 지류, 해당 구간으로 직접 방류되는 수질 TMS (Tele-Monitoring System) 설치대상 규모 이상의 점오염원 19개를 포함하여 설정하였으며, 대상구간 내에 위치한 10개 취수장을 유출경계조건으로, 하구언 수위를 하류경계조건으로 설정하였다. 2012년 모의시에는 8개 다기능 보에 대해 고정보, 가동보, 소수력발전소 등 각 구조물별로 경계조건을 추가로 구성하였다. 지류 경계조건에 대한 유량입력자료는 재현성이 검토된 HSPF 모델의 시단위 모의 결과를 연계하였으며, 점오염원 방류량은 환경부 전국오염원조사자료의 일평균자료를 사용하였다. 댐방류량 및 하구언 수위는 국토교통부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에서 제공하는 시단위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취수량은 상수도통계에 제시된 연평균자료를 사용하였다. 기상자료는 모델적용구간에 인접한 안동, 대구 등 7개 기상관측소의 시단위 관측자료를 이용하였다. 2012년 모의시 적용된 다기능 보에서의 경계조건은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제공하는 시단위 수위측정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구조물별 방류자료를 참고하였다.

       2.3. 실시간 낙동강 본류 흐름 예측

    2012년 1월부터 주 2회(월, 목요일) 시행되는 낙동강 수질예보시 본 연구에서 구축된 유역-수체 통합 모델을 이용하여 지류 유량과 본류 흐름 변화를 실시간으로 예측하였다. 재현성이 검토된 HSPF를 이용하여 향후 7일간의 지류유량 변화를 예측하였으며, 최상류 및 25개 지류 유량에 대한 예측 결과를 EFDC 모델에 연계하여 향후 7일간의 본류 흐름 변화를 실시간으로 예측하였다. 실시간 예측시 기상・수문 등 관측자료와 기상예측자료 수집 및 품질관리, 유역 및 수체모델의 입력자료 구성 등을 위해 국립환경과 학원에서 현업 수질예보를 위해 개발・운영 중인 수질예보시스템을 이용하였다(NIER, 2011b). 수질예보시스템에서는 기상청의 기상관측자료, 국토교통부의 댐・보 운영자료 및 수위측정자료, 환경부의 수질 TMS 운영자료 등이 실시간 연계되며, 이들 자료에 대한 품질관리를 거친 후 예보시점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 모의 시점부터 예보시점까지의 모델입력자료를 갱신한다. 향후 7일간의 예측을 위한 모델입력자료 생성을 위해서는 예보일을 기준으로 전일 일평균자료를 사용하며, 점오염원의 경우 이상치 및 결측치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일주일 평균자료를 사용하였다.

    한편 예측기간 동안의 기상입력자료는 기상청에서 매일 21시 기준으로 생산・제공하는 전지구예보모델(GDAPS, Glob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과 지역예보모델(RDAPS, Regional DAPS) 결과를 자동 연계하여 활용하였으며, 이들 자료를 이용한 기상자료 입력 방법은 Shin et al. (2012)에 제시하였다.

    3. Results and Discussion

       3.1. 유역모델 재현성 검토 결과

    낙동강 유역에 적용된 HSPF 모델의 재현성 검토를 위해 모델 보정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모델 보정 결과는 Shin et al. (2013)에 제시되었으며, 모델 보정시와 동일한 지점을 대상으로 수행된 유량 검증 결과를 Fig. 3에 제시하였다.

    모델 검증 기간에 대한 % difference는 황강을 제외한 모든 지점에서 20% 이하로 나타났다. 보정 결과에 비해 모의 값과 실측값 간의 편차가 다소 커진 경향이 있으나, 양호(‘Fair’) 수준 이상을 보였다. NSE는 황강을 제외한 지점에서 0.50~0.92로 보정 결과와 비교할 때 황강과 미천, 위천지점에서 모의값과 실측유량값 간의 유의성이 다소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RMSE는 2.5~42.6 m3/sec으로 보정시와 유사한 수준의 정밀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황강지점에서 모의값과 실측값 간의 유의성이 매우 낮으며, 특히 실측값에 비해 과소 평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전체 유역면적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합천댐의 방류량이 과소 평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Shin et al. (201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구축된 낙동강 HSPF 모델에서는 댐에 의한 인위적 유량 조절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방류량 실측자료를 이용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방류량이 FTABLE (Function table)에 의해 산정된 방류량에 비해 큰 경우 저수용량의 지속적 감소가 발생하게 되므로 모델에서 산정된 방류량을 이용되도록 설정하였다. 2012년 5월부터 7월까지 합천댐 상류유역의 유출량이 댐 방류량 실측값에 비해 적게 모의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댐 방류량으로 실측값을 적용할 경우 저수용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실측 값보다 적은 FTABLE에 의한 산정값이 적용되었다. 즉 HSPF 모델에서 모의된 합천댐 방류량이 실측값보다 과소평가되었고, 그 결과로 황강 유량 또한 과소 평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황강과 같이 하천 유량에 대한 댐방류량의 비율이 높은 유역에서 유량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댐 제원 및 운영 자료를 이용한 보다 정확한 물수지 분석이 필요하며, 또한 댐 유입량에 대한 추가적인 보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3.2. 수체모델 재현성 검토 결과

    낙동강 본류에 적용된 EFDC 모델의 재현성 검토를 위해 2009년 1월부터 12월까지의 자료를 모델 보정에,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의 자료를 모델 검증에 이용하였다.

    수위에 대한 모델 보정을 위해 국토교통부 수위관측소의 시간별 관측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모델 보정시 적용된 주요계수는 Table 3에 제시하였다. 낙동강 본류 구간을 포함하는 중권역별 대표지점에 대한 보정 결과를 Fig. 4에 제시하였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수원 지점을 제외한 7개 지점에서는 모의값이 실측값과 적절히 일치하였으며, % difference는 20% 이하로 양호한 수준이나 하류로 갈수록 다소 편차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들 7개 지점에서 MAE(Mean Absolute Error) 0.08~0.28m, RMSE 0.15~0.38 m로 적용 모델은 실측값을 비교적 정확히 모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들 지점에 대한 NSE는 0.35~0.95, 결정계수는 0.82~0.96으로 실측값의 경향성을 잘 재현하였으며, 특히 여름철 집중 강우시 급격한 수위변화도 잘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수원 지점에서는 모의값과 실측값이 큰 차이를 보였으나, 이 지점에서의 수위관측자료가 연중 대부분의 기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는 등 신뢰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3.] Values of major coefficients for the hydrodynamic simulation

    label

    Values of major coefficients for the hydrodynamic simulation

    보정된 EFDC 모델의 예측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8개 보지점에서의 시단위 수위관측자료를 이용하여 모델 검증을 실시하였다. Fig.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정시에 비해 재현성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다기능보 운영에 따른 연중 수위변동을 비교적 잘 재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MAE 0.11~0.42 m, RMSE 0.18~0.75 m, NSE 0.60~1.00, R2 0.76~1.00, % Difference 0.1~5.0%). 위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적용된 EFDC 모델은 상이한 하천환경에서 발생하는 흐름을 잘 재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3.3. 수질예보를 위한 실시간 낙동강 본류 흐름 예측 평가

    2013년 5월 20일, 23일, 27일 낙동강 수질예보시 재현성이 검토된 HSPF 모델을 이용한 병성천 유량 예측결과를 지상기상관측소 상주지점의 일강우량에 대한 실측 및 수치 예보모델 예측결과와 함께 Fig. 6에 제시하였다. Shin et al.(2013)에 제시된 바와 같이 주요 지류의 유량 예보결과는 양호한 정확도를 보이나, 모델보정결과와 비교할 때 정확도가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수질예보시 지류 유량 예측결과의 정확도는 운용예보모델 자체의 정확도와 함께 기상예측자료의 불확실성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보대상기간인 2013년 5월 20일부터 6월 3일까지 병성천 유역에서는 실제 5월 27일과 28일에 걸쳐 약 45 mm의 강우가 내렸으며, 반면 수질예보시 사용된 기상예측결과에서는 강우시기 및 강우량에서 관측값과 많은 차이를 보였다. 5월 20일 예보시에는 28일과 29일에 약 40 mm의 강우가 예측되었으며, 해당 강우의 영향으로 28일 유량이 약 18 m3/sec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5월 23일 예보시에는 27일과 28일 강우량이 5 mm 미만에 불과하여 병성천 유량이 무강우시와 거의 변동이 없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2013년 2분기 병성천 유량예보결과를 환경부 유량측정자료와 비교한 결과, RMSE 15.3 m3/sec, % Difference 81.7%, NSE-10.84로 나타났으며, 실측기상자료를 이용한 유량모의결과에 비해(RMSE 1.5 m3/sec, % Difference -20.1%, NSE 0.88) 정밀도와 적합도 등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2013년 5월 20일, 23일, 27일 수질예보시 HSPF 모델의 유량예측결과는 EFDC 모델에 자동 연계되며, EFDC 모델을 이용한 상주보 수위예측결과를 Fig. 7에 제시하였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 수위예측결과는 실시간 수위변화를 잘 반영하고 있으며, 다만 예보기간 동안 보 운영상황이 변동되는 경우 수위예측결과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상주보 수위는 5월 25일 20시부터 전도수문 개방으로 관리수위 47.0 m 이하까지 하강하였으며, 28일부터는 강우에 따른 유입량 증가 영향으로 다시 47.0 m 이상 상승・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5월 20일 예보시 상주보 수위는 최근 실측수위인 47.1 m가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설정되었으며, 결과적으로 25일 이후 전도수문 개방에 따른 수위 하강 효과가 미반영되어 이 기간에는 실측 값에 비해 높게 예측되었다. 5월 27일 예보시에는 최근 수위 하강 효과를 반영하여 예보기간동안 46.8 m가 계속 유지되는 것으로 설정되었으며, 실제 예보기간동안 유입량 증가에 따른 수위증가효과가 미반영되어 실측값에 비해 낮게 예측되었다. 2013년 2분기 수질예보시 상주보 수위예측결과를 보 운영자료와 비교한 결과, RMSE 0.14 m, % Difference 0.03%, R2 0.32로 나타났으며, 실제 보 운영자료를 이용한 수위모의결과에 비해(RMSE 0.13 m, % Difference 0.11%, R2 0.60) 정밀도와 적합도가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수질예보시 본류 흐름 예측결과는 예보모델의 재현성, 지류 유량예측결과의 정확도와 함께 향후 보 운영 상황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4.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본류 구간의 실시간 흐름 예측을 위하여 유역모델 HSPF와 수체모델 EFDC 모델을 결합 적용하였다. 낙동강 전체 유역을 대상으로 HSPF 모델을 적용하여 지류 유량을 모의하였으며, 모델 검증 결과 대부분 지류에서 실측유량을 비교적 잘 재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댐 방류량이 전체 유량을 좌우하는 지류의 경우 댐 제원 및 운영자료 분석을 통해 보다 정확한 FTABLE 작성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댐 유입량 모의에 대한 정확도 향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낙동강 본류 흐름 모의를 위해 안동조정지댐부터 하구언까지 EFDC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최상류와 25개 지류 경계조건에 대한 유량자료는 HSPF 모델 결과와 연계하였다. 실측수위자료를 이용한 모델 재현성 검토 결과, 낙동강에 적용된 EFDC 모델은 상이한 기상과 유량, 수리구조물 운영 조건에서 발생하는 흐름 변화를 잘 재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재현성이 검토된 HSPF와 EFDC 모델을 이용하여 현업 수질예보시 낙동강의 지류 유량과 본류 흐름 변화를 실시간으로 예측하였다. 그 결과, HSPF 모델을 이용한 지류 유량예측결과는 예보모델의 재현성과 함께 기상예측자료의 불확실성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HSPF 모델과 연계한 EFDC 모델 운영 결과, 본류 흐름예 측결과의 정확도는 운용모델의 재현성과 함께 실제 다기능 보 운영 상황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단기 수질예보시 본류 흐름 예측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서는 유역-하천 통합 모델의 재현성 재고와 함께 댐과 다기능보 등 수리구조물에 대한 단기운영계획 반영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향후 예보운영결과가 장기간 축적되면 예보모델, 기상예측자료, 댐과 보 운영계획의 불확실성이 전체 예측오차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예측 정확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 1. 1993 ASCE Task Committee on Definition of Criteria for Evaluation of Watershed Models [Irrigation Drainage Engineering] Vol.199 P.429-442 google
  • 2. Bicknell B. R., Imhoff J. C., Kittle Jr. J. L., Jobes T. H., Donigian Jr. A. S. 2001 HSPF Version 12 User's manual, AQUA TERRA Consultants P.49-69, 133-136, 152-161 google
  • 3. Donigian Jr. A. S. 2000 HSPF Training Workshop Handbook and CD. Lecture #19.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Issues, Slide #L19-22, EPA Headquarters, Washington Information Center [Presented and prepared for U.S. EPA] google
  • 4. Hamrick J. M. 1992 A Three-Dimensional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mputer Code, Theoretical and Computational Aspects google
  • 5. Hilton J., O’Hare M., Bowes M. J., Jones J. I. 2006 How Green is My River? A New Paradigm of Eutrophication in River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Vol.365 P.66-83 google
  • 6. Kang H., Jang J. H., Ahn J. H., Kim I. J. 2011 Numerical Estimation of Nakdong River Flows Through Linking Watershed and River Flow Models [Journal of Water Resources Associations] Vol.44 P.577-590 google
  • 7. Kim D. W., Chung E. G., Kim K. 2012 Application of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EFDC in Geum River [Proceedings of the 2012 Spring Co-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P.782-783 google
  • 8. Kim K. 2011 Water Quality Forecasting System for Preventive Water Quality Management after 4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Future Eco] Vol.16 P.38-41 google
  • 9. Kim S. J., Seo D. I., Ahn K. H. 2011 Estimation of Proper EFDC Parameters to Improve the Reproductability of Thermal Stratification in Korean Reservoir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s] Vol.44 P.741-751 google
  • 10. Min J. H., Na E. H., Kang M. R., Kim K. 2011 Spatially Distributed Modeling of Flow and Algal Dynamics in a Dam-Controlled River System [Abstract H51I-1314 presented at 2011 Fall Meeting] google
  • 11. 2009 Master Plan for the 4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google
  • 12. Na E. H., Min J. H., Shin C. M., Chung E. G., Kim K., Song Y., Cho J. 2013 A 3-D Hydrodynamic Modeling Study for the River System Controlled by Multi-purpose Weirs [Proceedings of the 2013 Co-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P.P-124 google
  • 13. Nash J. E., Sutcliffe J. V. 1970 River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10 P.282-290 google
  • 14. 2011 Development of 3-D, Time-Variable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for the Water Quality Forecasting google
  • 15. 2011 Development of Water Quality Forecasting System google
  • 16. Park L. J., Shin C. M., Shin K. S., Min J. H., Na E. H. 2012 Analysing Impacts of Gwangju WWTP Effluents Quality in Youngsan River [Proceedings of the 2012 Spring Co-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P.750-751 google
  • 17. Park N. S., Kim S. S., Jung S. A., Kim J. O., Kim D. H., Kang M. S. 2012 Modelling the Dispersion Behavior of Conservative Pollutants within Daechung Dam using EFDC-Hydro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ol.26 P.705-712 google
  • 18. Seo D. I., Kim M. A., Ahn J. H. 2012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17 P.95-102
  • 19. Seo I. W., Choi N. J. 2007 Water Quality Modeling and Water Quality Forecasting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Vol.55 P.57-84 google
  • 20. Shin C. M., Na E. H., Lee E. J., Kim D. G., Min J. H. 2013 Operational Hydrological Forecast for the Nakdong River Basin Using HSPF Watershed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29 P.212-222 google
  • 21. Shin Y. R., Jung J. Y., Choi J. H., Jung K. W. 2012 Hydrodynamic Modeling of Saemangeum Reservoir and Watershed using HSPF-EFDC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s] Vol.28 P.384-393 google
  • 22. 2007 The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Theory and Computation Vloume 1: Hydrodynamics and Mass Transport P.10-12 google
  • 23. Yoon J. H., Seo D. I., Jung S. A. 2011 Application of EFDC for Simulation of Salinity Dynamics in Gi-waterway [Proceedings of the 2011 Spring Co-Conference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P.181-182 google
이미지 / 테이블
  • [ Fig. 1. ]  Location of the Nakdong river and the weirs (▲).
    Location of the Nakdong river and the weirs (▲).
  • [ Table 1. ]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multi-purpose weirs in the Nakdong river (MOCT, 2009)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multi-purpose weirs in the Nakdong river (MOCT, 2009)
  • [ Table 2. ]  General calibration/validation target for HSPF application (Donigian, 2000)
    General calibration/validation target for HSPF application (Donigian, 2000)
  • [ Fig. 2. ]  Numerical grid system with main boundary conditions and locations of water level monitoring sites (●) in the study area.
    Numerical grid system with main boundary conditions and locations of water level monitoring sites (●) in the study area.
  • [ Fig. 3. ]  Comparison of simulated and observed flow rates at major tributaries for model verification (Simulation period: January to December 2012).
    Comparison of simulated and observed flow rates at major tributaries for model verification (Simulation period: January to December 2012).
  • [ Fig. 4. ]  Model calibration results of the surface water elevation (Calibration period: January to December 2009).
    Model calibration results of the surface water elevation (Calibration period: January to December 2009).
  • [ Table 3. ]  Values of major coefficients for the hydrodynamic simulation
    Values of major coefficients for the hydrodynamic simulation
  • [ Fig. 5. ]  Model verification results of the surface water elevation (Verification period: January to December 2012).
    Model verification results of the surface water elevation (Verification period: January to December 2012).
  • [ Fig. 6. ]  Operational 7-days forecasting results of flow rates in the Byungsung stream.
    Operational 7-days forecasting results of flow rates in the Byungsung stream.
  • [ Fig. 7. ]  Operational 7-days forecasting results of water levels in the Sangju Weir.
    Operational 7-days forecasting results of water levels in the Sangju Weir.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