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가온 재배 시 ‘피오네’ 포도(Vitis vinifera × V. labrusca)의 엽과비에 따른 과실 특성 Fruit Characteristics Based on Leaf to Fruit Ratio in ‘Pione’ Grapevine (Vitis vinifera × V. labrusca) during Cultivation with Heating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BACKGROUND:

Defoliation in grapevine cultivation is practically used to improve light environment within the canopy and thereby fruit quality. Effects of defoliation in five-year-old ‘Pione’ grapevine during cultivation with heating were investigated to find out optimum ratio of leaf area to fruit cluster weight (L/F).

METHODS AND RESULTS:

The grapevines were defoliated with berry-thinning 20 days after full bloom to provide various levels of L/F. At harvest, total leaf area values of fruit bearing branches were between 0.23 and 0.60m2. With increasing L/F, soluble solids and anthocyanin contents curvilinearly increased (R2=0.76**). At L/F over 0.6m2/kg, soluble solids content (SSC) leveled off. With increasing L/F, titratable acidity (TA) linearly decreased (R2=0.87**), but the ratio of SSC to TA linearly increased (R2=0.86**). Anthocyanin conten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SC and the ratio of SSC to TA (R2=0.80** and 0.82**, respectively). When total leaf area per fruit bearing branch was maintained 0.40m2, soluble solids and anthocyanin contents linearly decreased (R2=0.79** and 0.85**, respectively), but TA linearly increased with increasing fruit cluster weight (R2=0.70**). Fruit was low in quality when the L/F was below 0.6m2/kg.

CONCLUSION:

L/F is recommended to be maintained at least 0.6m2/kg in ‘Pione’ ' grapevine during cultivation with heating to produce higher-quality fruits.

KEYWORD
Anthocyanin content , Cultivation with heating , Grapevine , Leaf to fruit ratio
  • 서 론

    과수는 수관 전체적으로 잎이 너무 많으면 영양 생장이 증가하고, 반대로 잎이 너무 적으면 잠재 광합성능이 감소하여 과실의 수량과 품질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Poni et al., 2008). 이는 과실 품질과 수량은 착과량과 엽면적 간의 균형에 좌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Kliewer and Dokoozlian, 2005; Poni et al., 2006, 2008; El‐Razek et al., 2010). 실제 포도 재배에 있어서 적정 엽면적 유지를 위해 전정을 통한 적엽 처리로 과실 수량과 품질 향상을 도모하고 있는데 착립 정도에 따라 과방중의 편차가 커 착과량이 많을수록 당도가 감소하고 착색이 나빠지므로 적엽 처리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적립 처리를 병행하고 있다.

    적엽이나 적립 처리에 의해 포도 과실의 품질이 향상되는 것은 수관 내 광의 환경 변화와 관계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Haselgrove et al., 2000; Spayd et al., 2002; Dardeniz et al., 2008; Kobayashi, 2009; Chorti et al., 2010; Jaakola and Hohtola 2010). 수광량이 많은 과실이 수관에 의해 수광량이 적은 과실보다 총 가용성 고형물 함량과 안토 시아닌 함량이 높고 적정 산도가 낮은 것을 볼 수 있다(Ferree et al., 2004; Santesteban and Royo, 2006; Prajitna et al., 2007; El‐Razek et al., 2010). 한편 포도의 품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인 안토시아닌 함량은 고온보다는 저온에서 축적이 촉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Haselgrove et al., 2000; Mori et al., 2005; Yamane et al., 2006; Poudel et al., 2009; Jaakola and Hohtola, 2010), 포도 과실이 광에 직접 노출된 경우에는 주변 온도에 무관하게 안토시아닌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도 있다(Spayd et al., 2002).

    조기 출하를 위해 포도를 가온 시설에서 재배하는 경우는 광 환경이 불량하고 온도가 높아 당 함량이 감소하고 착색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과립이 크고 당도가 높은 흑색계 '피오네' 품종의 경우는 이러한 현상이 심한데(Shiraishi et al., 2012),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초 전정에 평덕식 수형으로 관리하던 재배 방식을 단초 전정을 한 후 신초의 길이와 신초당 엽수를 동일하게 관리하는 개량 일문자 수형으로 변경하여 재배하고 있다. 개량 일문자 수형은 광 환경 개선과 함께 착과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가온 재배를 하고 있는 '피오네' 포도 품종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적정 엽과비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온 시설에서 재배되는 '피오네' 포도 품종의 엽과비에 따른 과실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여 착색 증진과 과실 품질 향상을 위한 적정 엽과비 수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식물 재료 및 재배 관리

    본 연구는 경상북도 김천시 봉산면에 위치한 가온 재배 시설에서 개량 일문자형으로 관리하고 있는 5년생 '피오네'(Vitis vinifera × V. labrusca) 포도 품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포도나무의 재식 거리는 2 × 6m이고 줄기의 높이는 1.6m이며, 결과모지는 단초 전정을 실시하여 관리하였다. 1월 20일부터 가온을 실시하여 주/야간의 최저 기온을 16/8℃로 유지하였으며, 발아기 이후에 17/12℃로 조절하였다. 가온 재배 기간 동안에 낮 최고 기온이 30℃ 이상인 경우에 는 천창을 개폐하여 시설 내 과도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였다. 만개기는 4월 7일이었는데, 포도의 착립 증진을 위해 만개 3일 후에 지베렐린(GA3) 25mg/L와 forchlorfenuron 3mg/L용액을 과방에 1차 처리하였고, 과실 비대를 위해 만개 13일 후에 2차 침지 처리를 하였다. 수확 20일 전에는 각 처리구의 결과지 기부로부터 3cm 위치에 1cm 너비로 환상 박피를 실시하여 과실의 성숙 촉진을 도모하였다(Yamane and Shibayama, 2006).

      >  엽과비 수준 설정

    만개 후 20일경에 적엽 처리를 실시하여 결과지당 7, 9, 11, 13, 15엽이 되도록 하였다. 엽과비(m2/kg)는 수확 시 결과지당 과방중이 500‐750g인 것을 대상으로 결과지의 총 엽면적을 측정하여 과방중에 대한 엽면적 비율로 표시하였다.

    수확 시 다양한 과방중이 형성되도록 만개 후 20일경에 과립 수가 45, 55, 65, 75, 85, 95, 105개가 되도록 적립 처리를 하여 착과량이 과실 품질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때 신초는 전개된 잎 11매를 확보하고 개화 2일 전에 적심처리를 하였는데 과실 수확 시 결과지 길이는 대부분 120cm 내외였다.

      >  과실 특성 조사

    만개 후 80일경인 6월 26일에 과실을 수확하였으며, 과방중, 가용성 고형물 함량, 유기산 함량, 당산비, 안토시아닌 함량을 조사하였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휴대용 굴절 당도계(N‐1E, Atago C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Brix 값으로 표시하였고, 유기산 함량은 적정 산도로 0.1N NaOH 수용액의 적정량을 이용하여 100g당 주석산의 함량으로 환산하여 %농도로 나타내었다. 당산비는 산 함량에 대한 가용성 고형물 함량의 비율 값으로 표시하였다. 안토시아닌은 각 과방별로 10개의 과립에서 직경 10mm의 껍질 절편 10개를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이 절편을 50%(v/v) 아세톤 용액에 담근 후 4°C 냉장고에서 24시간 동안 안토시아닌을 침출하였다. 안토시아닌 함량은 자외선/가시광선 분광 광도계(UV‐2501PC, Shimadzu Cor., Kyoto, Japan)를 사용하여 538nm에서 측정한 흡광도를 이용하여 Koeppen과 Basson(1966)이 제시한 수식으로 계산하였다.

      >  통계 처리

    변수 간의 회귀 및 상관은 SigmaPlot 10.0(Systat Software, Inc., San Jose, CA,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참고문헌
  • 1. Bikash D., Jindal P.C. 2002 Dynamics of anthocyanin and sugar accumulation in grape berry [Ind. J. Plant Physiol.] Vol.7 P.86-87 google
  • 2. Castellarin S.D., Gambetta G.A., Wada H., Shackel K.A., Matthews M.A. 2011 Fruit ripening in Vitis vinifera: Spatiotemporal relationships among turgor, sugar accumulation, and anthocyanin biosynthesis [J. Exp. Bot.] Vol.62 P.4345-4354 google
  • 3. Chorti E., Guidoni S., Ferrandino A., Novello V. 2010 Effect of different cluster sunlight exposure levels on ripening and anthocyanin accumulation in 'Nebbiolo' grapes [Am. J. Enol. Vitic.] Vol.61 P.23-30 google
  • 4. Dardeniz A., Yildirim I., Gokbayrak Z., Akcal A. 2008 Influence of shoot topping on yield and quality of Vitis vinifera L. [Afr. J. Biotechnol.] Vol.7 P.3628-3631 google
  • 5. Edson C.E., Howell G.S., Flore J.A. 1995 Influence of crop load on photosynthesis and dry matter partitioning of Seyval grapevines. III. Seasonal changes in dry matter partitioning, vine morphology, yield, and fruit composition [Am. J. Enol. Vitic.] Vol.46 P.478-485 google
  • 6. El­Razek E.A., Treutter D., Saleh M.M.S., El­Shammaa M., Fouad A.A., Abdel­Hamid N., Abou­Rawash M. 2010 Effect of defoliation and fruit thinning on fruit quality of 'Crimson Seedless' grape [Res. J. Agric. Biol. Sci.] Vol.6 P.289-295 google
  • 7. Ferree D.C., Scurlock D.M., Steiner T., Gallander J. 2004 'Chambourcin' grapevine response to crop level and canopy shade at bloom [J. Am. Pomol. Soc.] Vol.58 P.135-141 google
  • 8. Gambett G.A., Matthews M.A., Shaghasi T.H., McElrone A.J., Castellarin S.D. 2010 Sugar and abscisic acid signaling orthologs are activated at the onset of ripening in grape [Planta] Vol.232 P.219-234 google
  • 9. Guidoni S., Allara P., Schubert A. 2002 Effect of cluster thinning on berry skin anthocyanin composition of Vitis vinifera cv. Nebbiolo [Am. J. Enol. Vitic.] Vol.53 P.224-226 google
  • 10. Haselgrove L., Botting D., van Heeswijck R., Høj P.B., Dry R.R., Ford C., Iland P.G. 2000 Canopy microclimate and berry composition: The effect of bunch exposure on the phenolic composition of Vitis vinifera L. cv. Shiraz grape berries [Aust. J. Grape Wine Res.] Vol.6 P.141-149 google
  • 11. Hirano K., Murakami M., Okamoto G. 1994 Effect of leaf area on fruit quality of seedless 'Pione' grapes during ripening [ASEV Jpn. Rep.] Vol.5 P.27-34 google
  • 12. Jaakola L., Hohtola A. 2010 Effect of latitude on flavonoid biosynthesis in plants [Plant Cell Environ.] Vol.33 P.1239-1247 google
  • 13. Kliewer W.M., Dokoozlian N.K. 2005 Leaf area/crop weight ratios of grapevines: Influence on fruit composition and wine quality [Am. J. Enol. Vitic.] Vol.56 P.170-181 google
  • 14. Kobayashi S. 2009 Regulation of anthocyanin biosynthesis in grapes [J. Jpn. Soc. Hort. Sci.] Vol.78 P.387-393 google
  • 15. Koeppen B.H., Basson D.S. 1966 The anthocyanin pigments of Barlinka grapes [Phytochemistry] Vol.5 P.183-187 google
  • 16. Matsumoto K., Kim B.K., Oahn V.T.K., Seo J.H., Yoon H.K., Park M.K., Hwang Y.S., Chun J.P. 2007 Comparison of sugar compositions and quality parameters during berry ripening between grape cultivars [Kor. J. Hort. Sci. Technol.] Vol.25 P.230-234 google
  • 17. Mori K., Sugaya S., Gemma H. 2005 Decreased anthocyanin biosynthesis in grape berries grown under elevated night temperature condition [Sci. Hort.] Vol.105 P.319-330 google
  • 18. Motomura Y. 1993 14C­assimilate partitioning in grapevine shoots: Effects of shoot pinching, girdling of shoot, and leaf­halving on assimilates partitioning from leaves into clusters [Am. J. Enol. Vitic.] Vol.44 P.1-7 google
  • 19. Poni S., Bernizzoni F., Civardi S. 2008 The effect of early leaf removal on whole­canopy gas exchange and vine performance of Vitis vinifera L. 'Sangiovese' [Vitis] Vol.47 P.1-6 google
  • 20. Poni S., Casalini L., Bernizzoni F., Civardi S., Intrieri C. 2006 Effects of early defoliation on shoot photosynthesis, yield components, and grape composition [Am. J. Enol. Vitic.] Vol.57 P.397-407 google
  • 21. Poudel P.R., Mochioka R., Beppu K., Kataoka I. 2009 Influence of temperature on berry composition of interspecific hybrid wine grape 'Kadainou R-1' (Vitis ficifolia var. Gnaebu × V. vinifera 'Muscat of Alexandria') [J. Jpn. Soc. Hort. Sci.] Vol.78 P.169-174 google
  • 22. Prajitna A., Dami I.E., Steiner T.E., Ferree D.C., Scheerens J.C., Schwartz S.J. 2007 Influence of cluster thinning on phenolic composition, resveratrol, and antioxidant capacity in Chambourcin wine [Am. J. Enol. Vitic.] Vol.58 P.346-350 google
  • 23. Santesteban L.G., Royo J.B. 2006 Water status, leaf area, and fruit load influence on berry weight and sugar accumulation of cv. 'Tempranillo' under semiarid conditions [Sci. Hort] Vol.109 P.60-65 google
  • 24. Shiraishi M., Fujishima H., Chijiwa H., Muramoto K. 2012 Estimates of genotypic and yearly variations on fruit quality and functional traits for tetraploid table grape breeding [Euphytica] Vol.185 P.243-251 google
  • 25. Spayd S.E., Tarara J.M., Mee D.L., Ferguson J.C. 2002 Separation of sunlight and temperature effects on the composition of Vitis vinifera cv. Merlot berries [Am. J. Enol. Vitic.] Vol.53 P.171-182 google
  • 26. Yamamoto K., Takahashi K., Takata K. 1992 Techniques of improving grape quality by girdling [Kinki Chugoku Agric. Res.] Vol.83 P.38-42 google
  • 27. Yamane T., Shibayama K. 2006 Effects of trunk girdling and crop load levels on fruit quality and root elongation in 'Aki Queen' grapevines [J. Jpn. Soc. Hort. Sci.] Vol.75 P.439-444 google
  • 28. Yamane T., Jeong S.T., Goto­Yamamoto N., Koshita Y., Kobayashi S. 2006 Effects of temperature on anthocyanin biosynthesis in grape berry skins [Am. J. Enol. Vitic.] Vol.57 P.54-59 google
  • 29. Zheng Y., Tian L., Liu H., Pan Q., Zhan J., Huang W. 2009 Sugars induce anthocyanin accumulation and flavanone 3­hydroxylase expression in grape berries [Plant Growth Regul] Vol.58 P.251-260 google
이미지 / 테이블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