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소양인체질병증 임상진료지침: 흉격열병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Soyangin Diseas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hest-Heat congested (Hyunggyeok-yeol) Symptomatology
ABSTRACT
소양인체질병증 임상진료지침: 흉격열병
Objectives

This research was proposed to present Clinical Practice Guideline(CPG) for Soyangin Disease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CM) ; Chest-Heat congested(Hyunggyeok-yeol) Symptomatology.

Methods

This CPG was developed by the national-wide experts committee consisting of SCM professors. First, collection and organization of literature related to SCM such as Donguisusebowon, Text book of SCM, Clinical Guidebook of SCM and Fundamental research to standardize diagnosis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was performed. Secondly, journals related to clinical trial or Human complementary medicine of SCM were searched. Finally, 4 articles were selected and included in CPG for Chest-Heat congested(Hyunggyeok-yeol) Symptomatology of Stomach Heat-based Interior Heat disease in Soyangin disease.

Results & Conclusions

CPG of Chest-Heat congested(Hyunggyeok-yeol) symptomatology in Soyangin disease includes classification, definition and standard symptoms of each pattern. Chest-Heat congested(Hyunggyeok-yeol) symptomatology is classified into mild and moderate pattern by severity. Chest-Heat(Hyunggyeok-yeol) symptomatology Mild pattern is classified into Chest-Heat congested(Hyunggyeok-yeol) initial pattern and Chest-Heat congested(Hyunggyeok-yeol) advanced pattern. And Chest-Heat congested (Hyunggyeok-yeol) moderate pattern is classified into Clear Yang Failure of Stomach(Weguck-cheongyang Bulsagnseung) pattern (Upper wasting-thirst(Sangso) pattern), Clear Yang Failure of Large Intestine (Daejang-cheongyang Bulsangseung) pattern (Middle wasting-thirst (Jungso) pattern).

KEYWOR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CM) , Clinical Practice Guideline , Soyangin , Hyunggyeok-yeol symptomatology
  • I. 緖 論

    少陽人 病證은 脾受寒表寒病과 胃受熱裏熱病의 表裏病으로 구분된다. 少陽人 裏病에 해당되는 胃受熱裏熱病은 胸膈熱病과 陰虛午熱病의 順逆病으로 구분되는데, 병증의 중등도에 따른 구분이다. 胸膈熱病은 順病으로 輕重證으로 분류되고, 陰虛午熱病은 逆病으로 險危證으로 구분된다. 胸膈熱病은 身熱, 胸煩悶燥, 大便燥, 渴而多飮, 多汗出 등을 특징으로 하는 병증으로 강력한 胃熱 형성이 주요한 병리로 작용하는 胸膈熱病輕證과 胃熱의 폭주는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大腸局淸陽의 不能上升이 주요한 병리로 작용하는 胸膈熱病重證으로 분류된다.

    소양인 병증분류 및 정의와 관련하여 이 등1, 곽 등2, 송 등3-4, 황 등5, 이 등6의 선행연구가 있었다. 또한, 신 등7의 병증 진단 알고리즘 개발 연구 등 조금 더 표준화되고 객관적인 방법으로 소양인 병증을 접근하려는 시도들이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선행 연구만 가지고서는 표준화된 소양인 병증 분류 및 흉격열병의 진단, 정의, 치료 등 임상진료지침을 작성하기에는 부족한 측면이 많았다. 이에 2012년부터 각 대학교 사상체질의학과 교수들을 중심으로 임상진료지침 개발작업을 시행하였다.

    사상체질병증 임상진료지침(Clinical Practice Guideline; CPG) 개발작업의 결과로서 少陽人 胃受熱裏熱病 중 胸膈熱病에 관한 임상진료지침을 개발하였다. 여기에서는 흉격열병 임상진료지침을 개발하기 위한 과정과 흉격열병 분류, 표준증후 및 임상진료지침의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II. 硏究對象 및 方法

       1. 문헌검색

    본 연구는 少陽人 胸膈熱病 표준증후 및 임상진료지침(CPG)을 작성하기 위하여 『東醫壽世保元⋅辛丑本』, 사상의학 교과서8, 사상체질과 임상편람9, 사상체질의학의 진단표준화를 위한 기반 연구(KIOM 보고서)10 및 少陽人 胸膈熱病 관련 논문 등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및 정리 작업이 이루어졌다. 논문을 검색하기 위하여 각 학회1)의 학회지를 창간호부터 수기 검색을 하였으며, 온라인 검색도 실시하였다. 온라인 검색은 각 학회의 홈페이지와 전통의학정보포털(http://oasis.kiom.re.kr)을 활용하였다. 국외 논문의 경우 pubmed와 Cochrane library를 통하여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임상시험 혹은 임상연구(clinical trial or Human complementary medicine) and 임상 혹은 인간(Clinical or Human)을 사용하였다.

       2. 문헌평가 및 자료추출

    문헌의 1차 선택은 총 17종의 한의학 학술지에서 온라인과 수기로 검색한 논문 12,653편과 국외 database를 검색한 논문 41편에 대하여 질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중 In vivo, In vitro, 문헌고찰 논문을 제외한 1,004편의 임상논문을 1차적으로 대상으로 하였다. 그 후 임상진료지침 각각의 위원들이 신뢰성 있고, 학문적 가치가 높은 논문을 대상으로 최종적으로 사상체질과 관련된 논문 25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25편의 논문 중 소양인 병증과 관련 없는 논문 16편을 제외하였다. 나머지 9편의 논문 중 胸膈熱病과 관련없는 논문 3편과 적은 표본수를 가진 논문 1편, 잘못된 디자인으로 구성된 논문 1편을 제외한 4편의 논문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11-14 (Figure 1, Table 1).

    [Table 1.] Characteristics of Trials

    label

    Characteristics of Trials

       3. 임상진료지침 작성

    『東醫壽世保元⋅辛丑本』에 실린 내용 가운데 少陽人 胸膈熱病 관련 내용을 정리하여 표준증후2)를 작성하였으며, 사상의학 교과서, 사상체질과 임상편람, 사상체질의학의 진단표준화를 위한 기반 연구(KIOM 보고서) 및 少陽人 胸膈熱病 관련 논문 등을 참조하여 임상진료지침(CPG) 표준보고 가이드라인에 준하여 작성하였다. 근거수준과 권고수준은 2013년 한의학연구원(KIOM) 한의임상진료지침 개발팀 권고안을 따랐다.

    III. 結 果

       1. 胸膈熱病 Chest-Heat congested (Hyunggyeok-yeol) symptomatology

    개론

    胸膈熱病은 身熱, 胸煩悶燥, 大便燥, 渴而多飮, 多汗出 등의 증후를 특징으로 하는 병증으로 大腸局의 淸陽이 胃局 및 頭面四肢로 상승하지 못하고 胃局에 강력한 熱氣가 형성되어 발생한다.

    1) 胸膈熱病輕證 Chest-Heat congested (Hyung gyeok-yeol) mild pattern

    개론

    胸膈熱病輕證은 胸膈熱病初證, 胸膈熱病尤證으로 구분된다. 急病에 해당되며, 小便赤의 증후를 특징으로 하는 병증으로 大腸局의 淸陽이 胃局 및 頭面四肢로 상승하지 못하고 胃局에 강력한 熱氣가 형성되어 발생한다.

    (1) 胸膈熱病初證 Chest-Heat congested (Hyung gyeok-yeol) initial pattern

    서론

    少陽人 胸膈熱病輕證에서 大便秘燥(1일 이하), 微惡寒의 증후를 특징으로 하는 병증으로, 大腸局의 淸陽이 胃局 및 頭面四肢로 상승하지 못하고 胃局에 熱氣가 형성되어 발생한다.

    외국의 권고사항: 없음

    근거

    胸膈熱病初證의 진단은 胸膈熱病의 주요 증상인 身熱3), 胸煩悶燥4), 大便燥5), 渴而多飮6), 多汗出, 胸膈熱病輕證의 急病 양상7)과 주요 증상인 小便赤8), 胸膈熱病初證의 주요 증상인 大便秘燥(1일 이하)9), 微惡寒10)11)의 증상이 필수적이다. 치료는 淸胃熱을 원칙으로 하며, 荊防瀉白散 등을 활용한다. 그 외에 胸膈熱病初證을 치료하기 위해 淸胃熱을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정신적 안정을 위해 정신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8-10.

    알레르기 비염 환자 22례 가운데 소양인 9례에 荊防瀉白散으로 치료하여 콧물, 재채기, 코막힘의 증상의 호전을 보았다11.

    국내의 권고사항

    1. 胸膈熱病初證은 身熱, 胸煩悶燥, 大便燥, 渴而多飮, 多汗出, 急病 양상, 小便赤, 大便秘燥(1일 이하), 微惡寒을 주증상으로 한다. (근거수준 III, 권고수준 B) 2. 치료는 荊防瀉白散 등을 활용한다. (근거수준 III, 권고수준 B) 3. 알레르기 비염 환자로서 소양인의 경우에 荊防瀉白散을 활용할 수 있다. (근거수준 III, 권고수준 C) 4. 胸膈熱病初證을 치료하기 위해 淸胃熱을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정신적 안정을 위해 정신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 (근거수준 IV, 권고수준 C)

    (2) 胸膈熱病尤證 Chest-Heat congested (Hyung gyeok-yeol) advanced pattern

    서론

    少陽人 胸膈熱病輕證에서 大便秘燥(1일 이상), 譫語 및 頭面部 및 眼, 耳, 鼻, 口舌部 熱證과 皮膚의 紅, 腫, 熱, 痛 등의 심한 熱證의 증후를 특징으로 하는 병증으로, 大腸局의 淸陽이 胃局 및 頭面四肢로 상승하지 못하고 胃局에 강열한 熱氣가 형성되어 발생한다.

    외국의 권고사항: 없음

    근거

    胸膈熱病尤證의 진단은 胸膈熱病의 주요 증상인 身熱, 胸煩悶燥, 大便燥, 渴而多飮, 多汗出, 胸膈熱病輕證의 急病 양상과 주요 증상인 小便赤, 胸膈熱病尤證의 주요 증상인 大便秘燥(1일 이상)12), 譫語13) 및 頭面部 및 眼, 耳, 鼻, 口舌部熱證과 皮膚의 紅, 腫, 熱, 痛 등의 심한 熱證14)의 증상이 필수적이다. 치료는 淸胃熱을 원칙으로 하며, 地黃白虎湯15)16) 등을 활용한다. 그 외에 胸膈熱病尤證을 치료하기 위해 淸胃熱을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정신적 안정을 위해 정신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8-10.

    국내의 권고사항

    1. 胸膈熱病尤證은 身熱, 胸煩悶燥, 大便燥, 渴而多飮, 多汗出, 急病 양상, 小便赤, 大便秘燥, 譫語 및 頭面部 및 眼, 耳, 鼻, 口舌部熱證과 皮膚의 紅, 腫, 熱, 痛 등의 심한 熱證을 주증상으로 한다. (근거수준 III, 권고수준 B) 2. 치료는 地黃白虎湯 등을 활용한다. (근거수준 III, 권고수준 B) 3. 胸膈熱病尤證을 치료하기 위해 淸胃熱을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정신적 안정을 위해 정신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 (근거수준 IV, 권고수준 C)

    2) 胸膈熱病重證 Chest-Heat congested (Hyung gyeok-yeol) moderate pattern

    개론

    胸膈熱病重證 胃局淸陽不上升證(上消證), 大腸淸陽不上升證(中消證)이 해당된다. 緩病에 해당되며, 小便數而少의 증후를 특징으로 하는 병증으로 胃局의 淸陽이 頭面四肢로 상승하지 못하거나 大腸局의 淸陽이 胃局으로 상승하지 못하여 頭面四肢 또는 胃局에 熱氣가 형성되어 발생한다.

    (1) 胃局淸陽不上升證(上消證) Clear Yang Failure of Stomach (Weguck-cheongyang Bulsangseung) pattern (Upper wasting-thirst (Sangso) pattern)

    서론

    少陽人 胸膈熱病重證에서 舌赤唇紅, 舌上赤裂 및 面赤의 증후를 특징으로 하는 병증으로, 胃局의 淸陽이 頭面四肢로 상승하지 못하여 頭面四肢에 熱氣가 형성17)되어 발생한다.

    외국의 권고사항: 없음

    근거

    胃局淸陽不上升證(上消證)의 진단은 胸膈熱病의 주요 증상인 身熱, 胸煩悶燥, 大便燥, 渴而多飮, 多汗出, 胸膈熱病重證의 緩病 양상18)과 주요 증상인 小便數而少, 舌赤唇紅19), 舌上赤裂20) 및 面赤의 증상이 필수적이다. 치료는 淸胃熱을 원칙으로 하며, 凉膈散火湯 등을 활용한다21). 그 외에 胃局淸陽不上升證(上消證)을 치료하기 위해 淸胃熱을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정신적 안정을 위해 정신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8-10.

    당뇨병 환자 5명에게 凉膈散火湯을 투여하여 小便頻數, 渴而多飮 등의 증상이 호전되었고, 혈당, 혈압 등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12. 급성기 중풍환자 83례에 凉膈散火湯을 2주간 투여하여, 중풍진행억제, 유의한 수준의 운동기능 호전 등을 보았다13. 아토피 피부염 43명을 대상으로 치료 경과를 평가하였다. 소양인의 분포비율이 79%로 가장 높았으며, 이 가운데 凉膈散火湯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치료효과는 비교적 양호하으며, 소양인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서 결막염의 과거력 비율이 높았고, 수면장애가 심하였고, 감정의 변화로 인한 증상의 악화가 있었고, 凉膈散火湯으로 치료 후 높은 증상 호전도를 보였다14.

    국내의 권고사항

    1. 胃局淸陽不上升證(上消證)은 身熱, 胸煩悶燥, 大便燥, 渴而多飮, 多汗出, 緩病, 小便數而少, 舌赤唇紅, 舌上赤裂 및 面赤을 주증상으로 한다. (근거수준 III, 권고수준 B) 2. 치료는 凉膈散火湯 등을 활용한다. (근거수준 III, 권고수준 B) 3. 胃局淸陽不上升證(上消證)을 치료하기 위해 淸胃熱을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정신적 안정을 위해 정신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 (근거수준 IV, 권고수준 C) 4. 당뇨병 환자로서 소양인에게 凉膈散火湯을 활용할 수 있다. (근거수준 IV, 권고수준 C) 5. 급성기 중풍환자로서 소양인에게 凉膈散火湯을 활용할 수 있다. (근거수준 IV, 권고수준 C) 6. 소양인 아토피 피부염 환자에게 凉膈散火湯을 활용할 수 있다. (근거수준 IV, 권고수준 C)

    (2) 大腸淸陽不上升證(中消證) Clear Yang Failure of Large Intestine (Daejang-cheongyang Bulsang seung) pattern (Middle wasting-thirst (Jungso) pattern)

    서론

    少陽人 胸膈熱病重證에서 消穀善飢, 善食而瘦, 癰疽, 眼病, 鼓脹의 증후를 특징으로 하는 병증으로, 大腸局의 淸陽이 胃局으로 상승하지 못하여 胃局에 熱氣가 형성22)되어 발생한다.

    외국의 권고사항: 없음

    근거

    大腸淸陽不上升證(中消證)의 진단은 胸膈熱病의 주요 증상인 身熱, 胸煩悶燥, 大便燥, 渴而多飮, 多汗出, 胸膈熱病重證의 緩病 양상과 주요 증상인 小便數而少, 消穀善飢23)24), 善食而瘦25), 癰疽26), 眼病27), 鼓脹28)의 증상이 필수적이다. 치료는 淸大腸熱을 원칙으로 하며, 忍冬藤地骨皮湯29) 등을 활용한다. 그 외에 大腸淸陽不上升證(中消證)을 치료하기 위해 淸大腸熱을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정신적 안정을 위해 정신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8-10.

    국내의 권고사항

    1. 大腸淸陽不上升證(中消證)은 身熱, 胸煩悶燥, 大便燥, 渴而多飮, 多汗出, 緩病, 小便數而少, 消穀善飢, 善食而瘦, 癰疽, 眼病, 鼓脹을 주증상으로 한다. (근거수준 III, 권고수준 B) 2. 치료는 忍冬藤地骨皮湯 등을 활용한다. (근거수준 III, 권고수준 B) 3. 大腸淸陽不上升證(中消證)을 치료하기 위해 淸大腸熱을 목적으로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시술 및 처치를 병행하며, 정신적 안정을 위해 정신요법을 시행할 수 있다. (근거수준 IV, 권고수준 C)

       2. 胸膈熱病 표준증후

    연구된 내용을 바탕으로 소양인 胸膈熱病 표준증후를 작성하였다 (Table 2).

    [Table 2.]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 of Chest-Heat Congested (Hyunggyeok-yeol) Symptomatology in Soyangin Disease

    label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 of Chest-Heat Congested (Hyunggyeok-yeol) Symptomatology in Soyangin Disease

    IV. 考察 및 結論

    본 임상진료지침에서 설정한 소양인 胸膈熱病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우선 소분류에 胸膈熱病輕證과 胸膈熱病重證으로 분류하였고, 이 중 胸膈熱病輕證은 胸膈熱病初證과 胸膈熱病尤證으로 세분류하고, 胸膈熱病重證은 胃局淸陽不上升證(上消證)와 大腸淸陽不上升證(中消證)으로 세분류하였다. 胸膈熱病輕證의 경우, 便秘의 지속기간(1일)과 동반되는 全身熱證의 강도를 기준으로 다시 初證과 尤證으로 구분하였고, 胸膈熱病重證의 경우, 消渴病 병증모델 가운데 大腸局淸陽의 상승장애 정도에 따라 上消와 中消로 구분하되, 大腸局淸陽의 上升之力이 보다 떨어진 中消證을 보다 重證으로 분류하였다.

    胸膈熱病 표준증후 및 임상진료지침(CPG)은 동의수세보원 신축본, 사상의학 교과서, 사상체질과 임상편람, 사상체질의학의 진단표준화를 위한 기반 연구(KIOM 보고서) 및 少陽人 胸膈熱病 관련 논문 등을 참조하여 집필위원 내부 회의에서 초안을 작성한 다음 전체 집필위원 회의를 통한 의견을 반영하여 여러 차례 집필위원 내부회의를 통한 의견수렴, 합의, 수정 등의 과정을 거쳐서 완성하였다. 최종적으로 전문 자문위원의 승인을 통하여 결정되었다.

    胸膈熱病의 공통증상은 身熱, 胸煩悶燥, 大便燥, 渴而多飮, 多汗出이다. 身熱은 發熱과 자각적열감(頭面部 및 眼, 耳, 鼻, 咽舌部 熱證과 皮膚의 紅, 腫, 熱, 痛 등의 熱證)을 포괄하는 증상이다. 大便燥는 便軟이나 泄瀉가 아닌 건변을 의미한다. 胸煩悶燥는 胸悶, 心煩, 不得眠 등의 증상을 포괄한다 (Table 2).

    胸膈熱病輕證은 身熱, 大便秘燥, 小便赤의 증후를 표준증후로 한다. 胸膈熱病은 胃局에 형성된 강력한 熱氣로 便秘가 발생하는데 胃熱의 형성정도에 따라 변비지속기간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를 바탕으로 胸膈熱病輕證의 輕重을 구분한다 (Table 2).

    胸膈熱病輕證 중 胸膈熱病初證은 大便秘燥(1일 이하), 微惡寒의 증후를 특징으로 하는 병증으로 身熱, 胸煩悶燥, 大便燥, 渴而多飮, 多汗出, 急病 양상, 小便赤 등이 표준증후 이다. 微惡寒은 熱多寒少의 양상으로 惡寒이 간간히 가볍게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강력히 형성된 胃熱로 口乾渴이 심하게 발생하며, 이어 냉수를 다음하게 된다. 胃熱의 폭주가 발생하는 胸膈熱病輕證에서는 口臭까지 발생한다. 胸膈熱病尤證은 身熱, 胸煩悶燥, 大便燥, 渴而多飮, 多汗出, 急病양상, 小便赤, 大便秘燥(1일 이상), 譫語 및 頭面部 및 眼, 耳, 鼻, 口舌部 熱證과 皮膚의 紅, 腫, 熱, 痛 등의 심한 熱證을 주증상으로 한다. 譫語는 揚手擲足 轉輾其身 및 發狂, 譫語, 動風의 증상을 포괄한다. 심한 熱證 등은 背癰, 癰疽, 脣腫, 纏喉風, 咽喉病, 陽毒發斑, 流注丹毒, 黃疸, 頭目口鼻牙齒之病 등을 포괄한다.

    胸膈熱病重證의 경우는 消渴病 병증 모델 가운데 大腸局淸陽의 상승장애 정도에 따라 上消와 中消로 구분하되, 大腸局淸陽의 上升之力이 보다 떨어진 中消證을 보다 重證으로 분류한다. 胸膈熱病重證은 身熱, 大便秘燥, 胸煩悶燥, 渴而多飮, 小便數而少의 증후를 특징으로 하는 병증이다. 胃局淸陽不上升證(上消證)은 舌赤唇紅, 舌上赤裂 및 面赤, 盜汗 등이 표준증후이다. 胃局淸陽이 頭面四肢로 상승함이 충분치 못하여 발생하는 上消의 경우, 呑酸, 嘈囃, 噯氣, 惡心이 동반할 수 있다(Table 2). 또한 수면 중 頭面部를 중심으로 盜汗이 발생가능하며, 이는 胃局淸陽의 頭面四肢 불상승의 결과로 인하여 발생한다. 大腸淸陽不上升證은 身熱, 大便秘燥, 胸煩悶燥, 渴而多飮, 消穀善飢, 善食而瘦, 癰疽 眼病 등이 표준증후이다. 胃熱치성으로 식욕 항진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데 大腸局淸陽이 胃局으로 상승함이 충분치 못하여 발생하는 中消의 경우, 식욕의 향상이 뚜렷하게 발생한다.

    이번 연구는 다양한 임상연구를 기반으로 임상지침 권고안이 마련되었어야 하나 참고한 논문은 5편으로 비교적 적고 사용된 처방은 두 처방이었다. 그래서 이 권고안이 전문가의 합의와 동의수세보원 등의 원서를 기반으로 작성되어 한계점이 있다. 치료 또한 임상현장에서 사용되는 침, 뜸, 부항, 기공, 등의 다양한 시술 처치 등의 권고사항이 없는 것도 앞으로 연구해 나가야 할 부분이다. 앞으로 다양한 임상연구들이 이 임상지침을 통하여 좋은 연구들이 나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 1. Lee SK, Song IB 1999 The study about the Discourse on the Constitutional Symptomatologies of Sasangin on the Donguisusebowon [J Sasang Constitut Med.] Vol.11 P.1-26 google
  • 2. Kwak CK, Sohn EH, Ju LE, Koh BH, Song IB 2004 The Study about the consept of exterior disease and interior disease of Sasangin Constitutional Symptoms and Diseases [J Sasang Constitut Med.] Vol.16 P.1-11 google
  • 3. Song IB 1996 The basic principle of treatment according to the symptomatology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J Sasang Constitut Med.] Vol.8 P.1-16 google
  • 4. Song IB 1998 A study on the symptomatology and pharmacology of Sasang Constitutions [J Sasang Constitut Med.] Vol.10 P.1-14 google
  • 5. Hwang MW, Koh BH 2009 The Study on the Pathology of Soyangin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SCM) [J Sasang Constitut Med.] Vol.21 P.1-16 google
  • 6. Lee EJ, Song IB 1996 A study on Exterior-Interior symptomatologies of Soyangin and Soeumin [J Sasang Constitut Med.] Vol.8 P.43-56 google
  • 7. Shin SW, Lee EJ, Koh BH, Lee JH 2011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agnosis Algorithm of Soyangin Symptomatology [J Sasang Constitut Med.] Vol.23 P.294-303 google
  • 8. 2012 The revised and enlarge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google
  • 9. 2010 The Clinical Guide Book for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The Literature 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P.229-247 google
  • 10. Koh BH 2008 Fundamental research to standardize diagnosis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google
  • 11. Hwang KS 1993 Sasang medical treatment for allergic rhinitis patients [J of Korean Oriental Medicine] Vol.14 P.414-417 google
  • 12. Jung SI, Kim W 2002 Clinical study about diabetes mellitus patients administration of Yangkyuksanwha-tang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Vol.16 P.1308-1313 google
  • 13. Choi DJ, Ryu SH, Jung WS, Moon SK, Cho KH, Kim YS 2004 The clinical efficacy of Yangkyuksanwha-tang on acute stroke [J Korean Oriental Med.] Vol.25 P.111-116 google
  • 14. Gu DM 2002 A clinical study based 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on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J Sasang Constitut Med.] Vol.14 P.69-77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Figure 1. ]  Selection of articles included in clinical guideline for Chest-Heat congested (Hyunggyeok-yeol) symptomatology in Soyangin disease
    Selection of articles included in clinical guideline for Chest-Heat congested (Hyunggyeok-yeol) symptomatology in Soyangin disease
  • [ Table 1. ]  Characteristics of Trials
    Characteristics of Trials
  • [ Table 2. ]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 of Chest-Heat Congested (Hyunggyeok-yeol) Symptomatology in Soyangin Disease
    Classification and Definition of Chest-Heat Congested (Hyunggyeok-yeol) Symptomatology in Soyangin Disease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