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used by cultural environment, the fruit skin stain results in serious damages to pear fruit. Particularly susceptible to this damage, ‘Niitaka’ pear accounts for 82% of pear cultivation in Korea and many farmers growing the pear trees have suffered economic losses due to fruit skin stai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fferent treatments of ‘Niitaka’ pear during growing period on the occurrence of fruit skin stain.
The treatments in the field included gibberellin (GA) paste, spraying with amino acid tree fertilizer, functional bagging, and coating of the inner paper bag with agents. The relationships between tree vigor, mineral nutrition concentration and fruit skin stain occurrence were also investigated. The fruit skin stain symptoms occurred from young fruit (May 25) until harvest. There was no exposed fruit flesh. The occurrence of fruit skin stai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normal tree (shoot length 110 cm), as well as using GA paste treatment, and bagging in calcium and lime sulfur coated bags. However, spraying with amino acid tree fertilizer made no difference in comparison to control. In addition, bags in which the inner paper was coated with lime sulfur and soybean oil resulted in chemical injury to the fruit skin caused by bagging. The K concentration of shoot wood and fruit skin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Also, there were lower T-N, K concentration of leaf.
These results suggest that occurrence of fruit skin stain in ‘Niitaka’ pear fruits during the growing period can be reduced by GA paste and bagging in calcium and lime sulfur coated bags. The symptoms of chemical injury to the fruit skin caused by bagging in lime sulfur and soybean oil coated inner paper were different compared to skin stain occurring in fruit during the growing period.
배 ‘신고’는 과실품질이 우수하여 우리나라 배 재배면적의 85%를 차지하는 수출 유망품종 이다. 그런데 배 과피에 그을음과 같은 얼룩무늬증상이 발생하여 상품성의 저해요인으로 인한 수출저해 및 농가소득에 크게 문제되고 있다(Kim
따라서, 본 연구는 배과피얼룩과 발생 경감을 위하여 과피얼룩과 발생과 관련 가능성이 있는 지베렐린 도포와 아미노산 수체살포 및 기능성 봉지를 괘대하여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수세와 수체 무기성분 농도와 과피얼룩과 발생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본 실험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3년간 경기도 이천시 대월면 소재 배 과수원에 식재된 ‘신고’ 15년생으로 주당 100개∼150개 착과된 나무를 시험수로 사용하였다.
배나무 수세별 처리는 수세가 약한 나무(평균 신초장 80cm)와 수세가 정상인 나무(평균 신초장 110cm)를 구분하여 적숙기에 수확하여 과피얼룩과를 조사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처리별 3반복 반복당 1주로 하였으며 주당 무작위로 50과를 선정하여 배 과피에 얼룩증상과를 심, 중, 약으로 구분하여 수확시에 조사하였다.
지베렐린 처리는 지베렐린 도포제(유효성분 2.7%, 아리스타, 한국)를 만개 후 40일에 1과당 25mg을 과경에 도포한 후 6월 25일(만개 55일)에 인쇄 2중 봉지(겉지: 인쇄지, 속지: 황색지, 리제이텍, 한국)를 괘대한 후 수확 시에 과피얼룩과 및 과실품질을 조사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처리별 3반복 반복당 1주로 하고 주당 30과를 처리하였다. 조사방법은 과실 크기가 비슷한 과실을 반복당 무작위로 50과를 선정하여 배과피 얼룩과를 수확시 조사하였다. 과실품질은 반복당 5과를 무작위로 선발하여 시험에 이용하였으며 경도는 과피를 제거한 후 과실경도계(FT30, Wagner, Greenwich CT, USA)로 조사하여 N으로 환산하여 표시하였으며, 가용성고형물(SSC)은 굴절당도계(Atago, N1 type, Japan)로 측정하여 °Brix로 표시하였다. 과피색은 색차계(CR-300, Minolta, Osaka, Japan)를 이용하여 과실의 중앙부 2지점을 측정하여 Hunter L, a, b 값으로 나타내었다.
아미노산 처리는 만개 55일후에 인쇄 2중 봉지를 괘대한 후 아미노산 액제(농가 자가 제조, 한국)를 100배로 희석하여 수확 50일 전부터 7일 간격으로 6회를 수체에 충분히 살포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처리별 3반복 반복당 1주로 하고 주당 50과로 하였다. 조사방법은 반복별로 무작위 50과를 선정하여 배 과피에 발생한 얼룩증상의 발생정도를 심, 중, 약으로 구분하여 수확 시 육안 조사하였다.
기능성봉지 처리는 황색 2중 봉지(리제이텍, 한국), 인쇄 2중 봉지(내지: 5% 칼슘코팅, 엠원예기술연구소, 한국), 필터가 봉지 입구에 부착된 2중 봉지(대성봉지, 한국), 신문 2중 봉지 (리제이텍, 한국)를 만개 55일 후에 괘대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처리별 3반복 반복당 1주로 하고 주당 50과로 하였다. 조사방법은 처리별로 배 수확 시에 배 과피에 발생한 얼룩과 발생률을 2007년과 2008년에 걸쳐 반복당 무작위 50과를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배과피얼룩과의 발생지수는 병반 크기를 조사하여 0(무)∼4(심) 등급으로 조사하였다.
봉지코팅제 종류별 처리는 봉지 내에 유황 2g을 투입한 봉지, 석회유황합제 액제(Ca: 7.2%, S: 8.8%) 20mL, 콩기름 원액 20mL, 에폭시 수지액 10% 20mL, 요소 수지액 10% 20mL, 석유 원액 20mL, 칼슘(OS-Ca, 12%액) 20mL을 회색 2중 봉지 안쪽에 코팅한 후 완전히 건조한 봉지를 각각 만개 후 55일에 괘대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처리별 3반복 반복 당 1주로 하고 주당 50과로 하였다. 조사방법은 반복별로 무작위 50과를 선정하여 상기 방법으로 과피얼룩과 발생정도를 수확 시에 육안 조사하였다.
분석용 시료 채취는 수확 시에 과육을 제거한 과피, 지상에서 1.5m 높이에 있는 신초 중간 부위의 수피 및 목질부, 엽을 빙초산 0.3%액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80∼90℃ dry oven에서 7∼10일 동안 건조한 후 20mesh로 분쇄하였다. T-N 농도는 준비된 시료 500mg에 진한 황산 12mL을 첨가하고 분해촉진제(K2SO4+CuSO4) 2알을 넣고 360℃에서 1시간 분해한 후, Kjeldahl 자동 분해장치(Kjeltec auto 1035 analyzer system, Hoganas, Hoganas, Sweden)으로 측정하였다. P 농도는 상기 ternary 용액으로 분해한 액을 vanadate법으로 발색시킨 후 uv/vis spectrophotometer(Gilford 260, Oberlin, Ohio, USA)으로 측정하였다. K, Ca 및 Mg 농도는 시료 500mg을 ternary 용액(HNO3:H2SO4:HClO4=10:1:4)에 10mL 넣고 220℃에서 1시간 동안 분해한 후 원자흡광분광도계(AA-670, Shimadzu, Kyoto, Japan)으로 분석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실시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SAS 9.1(SAS Institute Inc., Cary, NC., USA)이용하여 Duncan 다중검정 및 t-test로 처리 간 유의성(p<0.05)을 분 석하였다.
>
수세, 지베렐린 및 아미노산 비료와 배과피얼룩 발생
수세별 배과피얼룩과 발생률을 조사한 결과를 Table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균 신초장이 80cm으로 수세가 약한 나무는 발생률이 30.2%로 정상나무에 비하여 높았다. 수세가 약한 나무에서 배과피얼룩 증상의 발생 정도별로 조사한 결과, 중간 정도의 발생률이 13.9%로 약하거나 심한과실에서 나타났다. Table 2.는 지베렐린 과경 도포제 처리 후 배과피 얼룩과 발생에 대한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무처리 16.7%에 비하여 지베렐린 과경 도포제 처리에서 6.9% 로 나타나 과피얼룩과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과중은 현저하게 증가하였지만, 과실의 경도, 가용성고형물 및 과피색(Hunter L, a, b)에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일부 연구자들이 의심했던 것과는 달리 지베렐린 도포제에 의해 과피얼룩과 발생에 영향을 주었다. 아미노산 수체살포에 의한 과피얼룩과 발생을 조사한 결과(Table 3)는, 아미노산 액제 6회 수체살포는 무처리보다 발생률이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어 아미노산을 살포하여도 과피얼룩과 발생을 조장하지 않았다. 지베렐린 도포에 의한 과피얼룩과 발생이 감소된 이유는 무처리에 비해 과중이 증가하였고, 과피 조직 세포에 흡수된 지베렐린이 세포 비대에 영향을 주어 상대적으로 과피의 표면적이 커서 나타난 결과로 생각되지만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였다.
Occurrence of fruit skin stain at harvest on ‘Niitaka’ pear fruit as influenced by tree vigor degree in 2007
Occurrence of fruit skin stain and fruit quality at harvest on ‘Niitaka’ pear fruit as influenced by gibberellin(GA) paster treatment in 2007
Occurrence of fruit skin stain at harvest on ‘Niitaka’ pear fruit as influenced by tree-spray of anino acid fertilizer in 2007
기능성 봉지 종류에 따른 배과피얼룩과 발생을 조사한 결과(Table 4), ′07년에는 황색 2중 봉지(내지 황색, 외지 황색) 괘대에 비하여 칼슘이 코팅된 봉지는 5.5% 발생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필터가 부착된 봉지 및 신문 2중 봉지와는 차이가 없었다. ′08년에는 황색 2중 봉지가 다른 봉지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이 발생하였다. 발생 지수는 처리 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과중, 경도, 당도 및 과피색에서도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봉지 코팅제 처리에 의한 배과피얼룩과 발생을 조사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봉지내 유황가루 2g 투입한 처리, 콩기름 코팅 봉지, 석유 원액 코팅봉지에 비하여 석회유황합제 코팅봉지가 13.4%로 가장 낮은 발생률을 보였다. 발생 정도별로는 심하게 발생한 과실은 Urea 수지 코팅 봉지 및 칼슘코팅봉지가 다른 봉지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았다. 발생 정도가 중간 및 적게 발생한 과실은 석회유황합제 코팅봉지가 가장 낮게 발생하였다. Yun
Occurrence of fruit skin stain and fruit quality at harvest on ‘Niitaka’ pear fruit as influenced by bagging kinds in 2007 and 2008
Occurrence of fruit skin stain at harvest on ‘Niitaka’ pear fruit as influenced by coating agent coated bag in 2007
코팅제 처리된 봉지 및 아미노산 수체 살포에 의해 나타난 얼룩 증상을 수확 시에 보면(Fig. 1), 석회유황합제 코팅이 된 봉지는 과점부위에 흑갈색의 반점이 진하게 발생하였으며 유황가루 투입된 봉지에서도 유사한 증상을 발생하였다. 콩기름이 코팅된 봉지는 과점부위에 갈색의 반점이 진하게 발생하였다. 아미노산(자가제조)비료 수체살포는 봉지 입구를 통하여 약액이 흘러내려 봉지 내에서 그 부분이 건조되어 흔적이 남아 있었으며 봉지 외부에도 부정형의 반점이 남아 있었다. 그러나 과육에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이러한 증상(석회유 황합제, 콩기름 코팅 봉지)들은 배과피얼룩 증상과 전혀 다른 모습을 나타내어 얼룩이 아니라 처리된 코팅제에 의해 약해로 생각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석회유황합제가 코팅된 봉지 및 유황가루 투입 봉지는 유황으로 인하여 고농도의 가스가 발생하여 과점 부위에 피해를 준 것으로 생각되며 콩기름이 코팅된 봉지의 약해는 원액이 직접 과피에 묻어 나타난 결과로 생각되었다. 따라서 과피얼룩과 발생균은 Nam
식물체 부위별 무기성분 농도에 의한 배과피얼룩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Table 6) 과피얼룩과 발생된 주변의 신초 목질부의 P 농도는 정상 부분보다 높았으나 K 농도는 낮았다. 그러나 T-N, Ca 및 Mg 농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배과피얼룩이 발생된 수피에서는 무기성분 T-N 농도는 낮고 K 농도는 높았으나, 엽내에서는 T-N 및 K 농도가 낮았다. 얼룩이 발생된 과피의 무기성분 K 농도는 높았으나, T-N, P, Ca, Mg 농도에는 큰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Lim
Mineral nutrition concentration per dry weight of shoots, leaf and fruit skin at harvest in frequently appeared fruit skin stain of ‘Niitaka’ pear orchard
‘신고’배에서 나타나는 과피얼룩과 발생을 경감하기 위하여 생육기 동안 몇 가지를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과피얼룩 증상은 유과기(5월 25일)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수확 시까지 나타났으며 과육에는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과피얼룩과 발생은 수세가 정상적인 나무, 지베렐린 과경 도포 처리에서 현저하게 낮았으나, 아미노산 수체살포는 큰 차이가 없었다. 봉지에서는 칼슘이 코팅된 봉지 및 석회유황합제가 코팅된 봉지에서 과피얼룩과 발생이 낮았다. 봉지 내지에 석회유황합제 및 콩기름 도포는 과피얼룩이 아닌 약해를 유발시켰다. 과피얼룩 발생과의 수피 및 과피는 K 농도가 높았으나 엽에서는 T-N 및 K 농도는 오히려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