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서울시 공공도서관 강좌교육 운영 현황 및 특징에 관한 분석* Analysis of Status and Features for Lecture-type Programs of the Public Libraries in Seoul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서울시 공공도서관 강좌교육 운영 현황 및 특징에 관한 분석*

This study aims to evaluate status and features of lecture-type programs run by public libraries in Seoul. It is examined the current state and features of lecture-type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for recent 6 years and also examined the topic, the target user specific trends and their changes based on this featu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lecture-type programs were decreased and,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s were operated with a specific target users for each of them. The lecture-type programs were analyzed by subject categories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subjects. It is concluded that careful planning and operations required for lecture-type programs since they could provide a good opportunity for the library with the potential users of it.

KEYWORD
공공도서관 , 문화행사 , 도서관프로그램 , 강좌교육 , 교육문화프로그램
  •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공공도서관은 당대의 지식 문화가 집약되어 존재한다는 이유 때문에 과거와 현재를 미래로 잇는 인류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존재이다.

    그래서 많은 학자들이 도서관을 표현할 때 반드시 사회 속에서 존재해야 함을 강조했으며 현재의 도서관은 사회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패러다임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지적하면서 사회의 발전이 이루어질수록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위상이 더욱 중요해짐을 역설했다.

    이런 이유 때문에 공공도서관은 사회·문화적 발전을 유도해야 한다는 역할론적 주장(조찬식 2008)을 바탕으로 학계와 현장 모두에서 공공도서관의 핵심 업무 중 하나가 지역사회 구성원의 요구에 적합한 문화행사를 기획하고 운영하는 것이라 강조(안인자, 황금숙 2008)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주장에 힘입어 현재 많은 공공도서관이 연령대, 주제별로 다양한 교육문화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주민들의 문화적 격차 해소와 교육·복지 기능의 제공이라는 역할도 함께하고 있다(이혜윤, 이지연 2014).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강좌교육은 공공도서관이 기획하고 운영하는 많은 문화행사 중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의 한 연구에 따르면 서울시에서 최근 6년간(2008년부터 2013년) 운영된 문화행사를 운영형식별로 분석한 결과 강좌형의 문화행사가 총 문화행사 중 28퍼센트의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정미 2014). 이는 문화행사 10번 중 3번은 강좌형으로 운영된다는 의미로 공공도서관의 업무에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 및 교육 프로그램 전반에 대해서는 다양한 형태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으나 강좌형태의 교육프로그램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는다. 공공도서관에서 기획, 운영되는 강좌교육에 대해 좀 더 면밀히 살펴보고 그 흐름을 이해한다면 이후 공공도서관의 강좌교육을 설계하고 운영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며 전체 문화행사나 교육 프로그램과의 균형잡힌 설계를 통한 도서관 운영 효율성을 높임과 동시에 나아가 잠재적 도서관 이용자의 참여까지도 이끌어낼 수 있는 첫 걸음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강좌교육의 기획 및 운영 실태에 대해 주목하고 최근 몇 년간 현장 도서관에서 기획 · 운영된 강좌교육이 다룬 주제와 이용자 대상을 면밀히 살펴보고 지난 몇년 동안의 변화 양상은 어떠한지 살펴봄으로써 공공도서관 강좌교육의 현황과 특징을 밝혀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유형별 분석과 향후 전망을 고찰한 이정미(2014)의 연구를 참고로 하여 동일기간 서울시 공공도서관에서 운영된 문화행사 중 강좌형 교육의 형태로 기획 · 운영되었다고 보고된 데이터를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강좌교육 데이터는 주제별, 대상이용자별로 그 운영 현황을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필요한 경우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전체 문화행사 속 유형별 변화와 본 연구의 강좌형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에서 볼 수 있는 유형별 변화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그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1.2 연구목적 및 연구질문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도서관에서 기획·운영된 강좌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최근 6년간의 강좌교육 개설 자료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의 강좌교육 현황 및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연구질문은 다음과 같다.

    연구질문 1. 서울시 공공도서관에서 최근 6년간 기획 · 운영된 강좌교육의 현황은 어떠한가?연구질문 2. 서울시 공공도서관에서 최근 6년간 기획 · 운영된 강좌교육의 주제별, 대상이용자별 변화 추세는 어떠한가? 연구질문 3. 서울시 공공도서관에서 최근 6년간 기획 · 운영된 강좌교육의 현황과 변화 추세를 바탕으로 한 강좌교육의 특징은 무엇인가?

       1.3 용어 정의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유사한 용어를 조금씩 다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게 되는 몇 가지 개념의 명확성을 위해 다음과 같이 조작적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 문화행사: 공공도서관에서 기획 · 운영되는 이용자 대상의 모든 프로그램, 즉 이벤트성 행사, 특강형태의 교육, 참여형 프로그램 등 지속적이고 일반적인 업무 이외의 모든 이용자대상 한시적 행사는 문화행사의 범주에 포함한다. 교육문화프로그램, 평생교 육강좌, 문화강좌 등은 모두 문화행사의 형태 중 하나로 이해한다. ∙ 강좌교육: 문화행사의 운영형식 중 하나로 강좌형, 즉 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모든 문화행사를 의미한다.

    이러한 조작적 정의에 덧붙여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 포함된 선행연구 분석에서는 해당 연구에서 사용된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지만 본 연구의 용어에 대한 조작적 정의에 따라 이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연구 유형

    유네스코의 『공공도서관 선언문』 전문에서 명시하고 있는 것처럼 교육문화 프로그램 전반을 포함하는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는 논란의 여지없이 공공도서관의 중요한 업무 중 하나이다(UNESCO 1994).

    공공도서관 문화행사라는 주제를 연구하는 유형은 상당히 다양한 분포를 가지나 그 중 특징적인 연구유형을 살펴보면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의의나 유형, 현황분석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고전적인 연구들(김홍렬 2004; 황금숙 외 2008; 조찬식 2008; 장우권 외 2014; 이정미 2014)에서부터 사회변화에 적응하고 대처해 공공도서관의 생존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공공도서관 특성화방안과 연결된 문화프로그램연구(홍희경 2008; 장우권 2009; 안인자, 박미영 2011) 또는 문화프로그램과 도서관 이용에 관한 이용자의 만족도 또는 도서관 이용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도현주 2008; 심혜정 2013; 이혜윤, 이지연 2014)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첫 번째 유형의 연구 중 조찬식(2008)과 이정미(2014)는 모두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 현황을 분석하였는데, 조찬식(2008)은 서울시 공공도서관에서 진행되는 문화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웹페이지 및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보고 바람직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이정미(2014)는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면서 이를 주제별, 대상이용자별, 운영형식별로 나누어 최근 6년간의 운영 현황과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향후 전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유형의 연구 중 홍희경(2008)의 연구는 6개 지역 7개 공공도서관의 특성화 사례를 살펴보고 조사한 사례를 유형별로 분석 · 평가하였으며 이에 따른 문제점을 확인한 후 공공도서관 특성화의 발전방안을 자료의 효율적 이용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역할을 바탕으로 지역의 다양한 문화자원을 이용하게끔 함으로써 지역문화발전에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와 더불어 장우권(2009)은 전남지역 농어촌 지역을 대상으로 공공도서관이 지역문화 콘텐츠를 관리하고 활용하는 실태를 살펴봄과 동시에 이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안인자와 박미영(2011)은 공공도서관의 다문화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써 공공도서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특성화 프로그램의 하나로써 다문화 프로그램을 해외사례와 비 교분석함으로써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다문화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유형의 연구들은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가 지역의 특성에 발딛고 서야함을 이야기하는 동시에 이를 통한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역할을 강화시키기 위한 토대 연구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문화프로그램과 도서관 이용에 관한 이용자의 만족도 또는 도서관 이용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들을 포함하는 마지막 경향의 연구 중 도현주(2007)의 경우 서울시 강서지역의 공공도서관과 문화센터를 대상으로 문화프로그램 이용자를 분석한 가운데 이들의 문화프로그램 만족도와 충성도를 다각도에서 비교 ·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경우 개설된 문화프로그램과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용자의 관계적 함수를 밝히고자 했다는데 논문의 의의가 있다고 여겨진다. 최근의 연구로 심혜정(2013)의 연구와 이혜윤, 이지연(2014)의 연구가 있다. 심혜정(2013)은 광주광역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문화프로그램 이용실태와 만족도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 생기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혜윤과 이지연(2014)의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라 이용자들의 도서관 이용도나 관심도가 달라지는지 또는 이용성에 일정한 패턴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 공공도서관의 교육문화프로그램 참여여부와 참여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라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방식이나 이용패턴에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밝혀냈다. 이 세 번째 연구경향은 위에서 제시한 두 연구경향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최근에 재조명되고 있는 연구 경향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에 관한 연구들은 앞서 살펴본 세 가지 특징적인 연구 경향들 이외에도 다양한 주제와 방향으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들은 도서관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로 이해되어야 한다.

       2.2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와 강좌교육

    공공도서관 문화행사는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연구자들이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역할이나 이를 위한 문화행사 또는 교육문화프로그램이라는 이름의 서비스 기획과 운영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를 진행해왔다.

    교육문화프로그램이란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문화강좌와 문화행사를 통칭하는 개념(이혜윤, 이지연 2014)으로 문화행사의 교육적 기능을 강조하기 위한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것이며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교육적 기능은 김홍렬(2004)의 연구에서도 이미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것으로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문화행사가 단순한 문화 활동의 의미를 더 나아가 교육적 가치를 더욱 강조하고 있다는 의미일 수도 있을 것이다.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운영되는 문화행사를 유형별로 분석하고 각각의 유형별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최근의 연구로는 공공도서관과 지역사회기관의 문화프로그램을 비교하는 가운데 문화행사의 유형을 세부 구분한 감미아와 이지연(2013)의 연구와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 운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화행사 전반의 유형을 분석한 연구(이정미 2014)가 있다.

    문화행사 전체의 유형을 구분하는 연구 이외에 특정 주제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즉,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특정 유형을 대상으로 좀 더 면밀한 분석을 진행한 연구들도 존재한다.

    이애란(2010)은 공공도서관이 운영하는 평생교육 강좌에 대해 면밀히 분석한 가운데 이의 성과와 한계, 평가에 대해서까지 언급했는데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중 주제로는 평생교육 관련, 운영형식으로는 강좌형에 대해 집중 조명하였다. 청소년이라는 특정 이용자그룹을 대상으로 제공되는 문화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 프로그램들의 유형별 특성을 밝히고자 한 연구(김종성, 엄미진 2010)도 있는데 이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을 살펴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나 어떠한 주제를 가지고 해당 프로그램이 운영되는지, 운영상의 특징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서는 살펴보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노인대상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이명희와 김미초의 연구(2010)는 노인이라는 대상 이용자의 그룹별 특화나 특성분석과 더불어 그에 맞는 프로그램을 분석하고자 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여겨진다. 기인영과 강순애(2013)의 경우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실태를 조사하고 그 만족도를 확인하는 것을 초점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유형을 독서프로그램, 문화프로그램, 향토문화강좌라는 다소 모호한 구분으로 나누고 있었다는 것과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주제별 접근이 없다는데 있어 다소 아쉬운 부분이 존재하는 연구이다. 특정 지역 공공도서관의 교육문화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최흥식, 서진순 2009)의 경우 전북지역 공공도서관의 교육문화프로그램을 주제별로 접근해 분석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이혜윤과 이지연(2014)의 최근 연구의 경우 공공도서관의 교육문화프로그램 참여도와 도서관 이용과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가운데 공공도서관 교육문화 프로그램을 7개 주제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연구이다.

    최근의 한 연구에서 주목할 점은 타 연구에서 명확히 제시하지 않았던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유형을 특정 기준에 따라 나누어 제시(이정미 2014)했다는 것이다. 이 연구에 따르면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는 주제별, 이용자별, 운영형식별이라는 세 가지 구분기준으로 나눌 수 있으며 해당 연구에서는 이 기준을 적용해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 현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유형 구분(주제별, 대상이용자별, 운영형식별 구분)은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강좌교육 운영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는 본 연구의 자료를 주제별, 대상이용자별로 살펴보기에 유용하다고 판단하여 본 연구의 강좌교육에 대한 주제별, 대상이용자별 분석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앞서 훑어본 바에 따르면 공공도서관 문화행사를 주제별 또는 대상이용자별 구분에 속하는 한두 가지를 강조해 살펴본 연구들이 있긴 하지만 그 수가 많지 않다. 또한 운영형식별 구분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살펴본 연구 또한 그 수가 많지 않을 뿐더러 강좌형인지 관람형인지, 또는 행사형인지 이 구분들에 속하는 문화행사들의 세부적 특징이나 현황은 어떠한지 등에 대해 살펴본 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문제제기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화 행사의 다양한 유형 중 운영형식별 구분에서 강좌형으로 개설되는 문화행사만을 대상으로 그 운영 현황 및 세부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특정 유형의 문화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의 연구 유형과 내용을 정리하면 <표 1>과 같다.

    [<표 1>] 특정 유형의 문화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

    label

    특정 유형의 문화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

    3. 서울시 공공도서관 강좌교육 운영 현황 및 특징

       3.1 강좌교육 분석 기준

    2절에서 검토한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강좌교육 운영 현황을 분석하는데 있어 문화행사 유형을 주제별, 대상이용자별, 운영형식별이라는 세 가지 구분기준을 사용해 분석한 이정미(2014)의 구분기준을 바탕으로 강좌교육 운영 현황을 살펴보았다. 해당 연구에서 사용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유형구분은 내용분석을 통해 주제별, 대상이용자별, 운영형식별로 문화행사의 유형을 구분한 것인데 본 연구는 운영형식별 구분에서 강좌교육형이라는 특정 운영형식의 문화행사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선행연구의 주제별, 대상이용자별 구분기준만을 참고로 활용하여 서울시 공공도서관 강좌교육의 운영 현황을 살펴보았다. 주제별 구분과 이용자별 구분을 간단히 소개하면 주제별 구분은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 독서교육프로그램, 시민체험교육프로그램, 예술교양교육프로그램, 정보화교육프로그램, 체육건강교육프로그램이라는 여섯 가지 프로그램으로 구분되며 대상이용자는 행사에 참여하는 대상이용자를 특성에 따라 나누어 놓은 분류로서 가족, 기타, 성인, 어르신, 어린이, 유아, 전체, 중고생, 학부모의 아홉 가지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이용자 구분은 선행연구의 구분을 그대로 적용했으며 이 중 유아는 미취학아동을 대상으로 하며, 어린이는 초등학생으로 하여 유아와 어린이를 구분하고, 어르신은 6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성인과 어르신을 구분함으로써 이용자 대상의 구분을 좀 더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주제별 구분에서 전체 문화행사에서는 볼 수 없었으나 본 연구의 특징상 강좌교육 현황 자료에서 자주 나타났던 창의력, 학습법, 논술 교육 등은 독서교육프로그램의 범주에 포함하였으며 암산, 수학, 과학 학습등과 같이 실질적인 교과 학습 관련 강좌교육은 정보화 교육프로그램의 범주에 포함시켰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선행연구의 구분기준과 그 세부사항과 더불어 본 연구에서 추가한 구분 몇 가지 세부사항은 <표 2>에서 제시된 바와 같다.

    [<표 2>] 문화행사의 유형별 구분기준

    label

    문화행사의 유형별 구분기준

       3.2 조사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도서관에서 기획 · 운영된 강좌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며 이는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공공도서관 강좌교육 운영 현황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데이터는 서울특별시 서울열린데이터광장1)에서 제공하는 공공도서관 교육강좌 개설 자료를 바탕으로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최근 6년간 53개 도서관, 2,148건의 교육강좌 개설자료를 바탕으로 각 강좌에 대해 주제별, 대상이용자별로 내용분석을 진행했다. 중복된 강좌교육이나 그 내용을 명확히 알 수 없는 데이터를 제외하고 총 2,121건의 강좌교육 개설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원 데이터는 SPSS 22를 사용해 분석했으며 이후 엑셀프로그램을 사용해 각종 그래프를 작성하였다.

       3.3 현황 및 특징

    2008년부터 2013년 말까지의 서울시 53개 공공도서관의 강좌교육 운영 총 건수는 2,121건이었으며 2008년 846건, 2009년 357건, 2010년 373건, 2011년 252건, 2012년 132건, 2013년 161건으로 2008년부터 2012년까지는 2009년과 2010년 2년 동안 유사한 수를 보이나 6년의 변화를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그 수가 급격히 감소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가 2013년 소폭 증가했으나 그 증가량은 미미하다고 판단된다. 전반적으로 2008년과 비교했을 때 2013년의 강좌교육 운영 건수는 5분의 1 수준에 머물러 숫자적 측면에서 단편적으로 판단할 때 상당한 감소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6년간의 강좌교육개설 건수의 변화는 <그림 1>에서 볼 수 있다.

    주제별, 대상이용자별로 구분해 살펴본 6년간의 서울시 공공도서관 강좌교육 현황은 3.3.1부터 3.3.2에 도표와 함께 제시하였다.

    3.3.1 주제별 운영 현황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최근 6년간의 강좌교육 운영 현황을 주제별로 살펴본 결과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프로그램은 독서교육프로그램으로 총 33.7%(715건)를 차지했다. 예술교양교육프로그램이 28.2%(598건)로 뒤를 이어갔으며 다소 낮은 비율로 정보화교육프로그램(25.1%, 533건)이 그 뒤를 이었다. 시민체험교육프로그램은 7.8%(166건),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은 4.3%(91건)로 나타났으며 체육건강교육프로그램은 0.8%로 단 18건인 것으로 나타났다(<표 3> 참조).

    [<표 3>] 최근 6년간 강좌교육의 주제별 현황

    label

    최근 6년간 강좌교육의 주제별 현황

    이는 최근 6년간 개설된 강좌교육을 주제별로 보았을 때 독서교육프로그램과 예술교양교육프로그램, 정보화교육프로그램이 90%에 육박하는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 시민체험교육프로그램, 체육건강교육프로그램의 경우 전체 강좌교육의 10%를 조금 넘는 비율로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연도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독서교육프로그램은 매년 일정한 비율 이상을 유지하고 개설되었으며 예술교양교육프로그램 또한 연도별 변화는 다소 있었으나 그 비율상 25-30%의 비율을 유지하면서 개설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것은 정보화교육프로그램의 변화비율로 2008년 30.3%의 개설 비율이던 것이 2009년 20.7%대로 급감 후 2010년 23.6%, 2011년 28.6%를 보여 초반 4년간은 꽤 많은 비율로 유지되다가 2012년과 2013년은 각각 14.4%와 14.9%로 급격히 감소된 비율로 개설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의 경우 2008년 3.2%로 시작하여 2009년 4.8%로 다소 증가되었으나 2010년 2.1%로 떨어졌다가 2011년부터 2013년까지는 각각 4.0%, 7.6%, 11.8%를 차지하며 급격히 증가하여 개설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시민체험교육프로그램과 체육건강교육프로그램은 전체 강좌교육 안에서의 비율도 미미하였으며 그 변화 추이도 비율상으로 보아 별다른 특이사항이 있다고 볼 수 없었다.

    주제별 교육프로그램들의 최근 6년간 연도별 변화 추세는 <표 4>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표 4>] 연도별 강좌교육의 주제별 개설 현황 변화(2008년-2013년)

    label

    연도별 강좌교육의 주제별 개설 현황 변화(2008년-2013년)

    3.3.2 대상이용자별 운영 현황

    최근 6년간 강좌교육의 개설 현황을 대상이용자별로 살펴본 결과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이용자는 성인과 어린이로 각각 36.4%(772건)와 30.8%(653건)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체 강좌교육에서 67.2%를 차지하는 상당한 비율이다. 뒤를 이어 유아, 학부모, 기타, 중고생, 어르신, 전체, 가족 순이었는데 각각의 비율은 유아(11.3%, 240건), 학부모(8.2%, 173건), 기타(6.1%, 129건), 중고생(2.4%, 50건), 어르신(1.8%, 38건), 전체(1.7%, 37건), 가족(1.4%, 29건)인 것으로 나타났다(<표 5> 참조).

    [<표 5>] 최근 6년간 대상이용자별 강좌교육 총 현황

    label

    최근 6년간 대상이용자별 강좌교육 총 현황

    대상이용자별로 살펴본 연도별 강좌교육 운영의 변화 추세는 흥미로운 결과로 나타났다. 그 변화비율을 살펴보면 학부모를 대상이용자로 하는 강좌교육의 비율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었으며 성인,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강좌교육은 계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대상이용자별로 본 강좌교육의 개설 현황과 변화 추세는 <표 6>에 연도별로 기술하였다.

    [<표 6>] 연도별 강좌교육의 대상이용자별 개설 현황 변화(2008년-2013년)

    label

    연도별 강좌교육의 대상이용자별 개설 현황 변화(2008년-2013년)

    학부모를 대상이용자로 하는 강좌교육은 2008년부터 2013년까지 6년간 4.6%(39건), 7.6%(27건), 6.2%(23건), 7.5%(19건), 19.7%(26건), 24.2%(39건)와 같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었으며 기타 대상이용자의 변화 추세는 조금 특이해서 2008년 2.7%(23건)를 시작으로 2009년 5.6%(20건), 2010년 4.8%(18건), 2011년 8.7% (22건), 2012년 6.8%(9건)이던 것이 2013년 23%(37건)로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었다.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 성인 대상이용자 강좌교육의 경우 2008년 42.7%(361건)를 시작으로 매년 36.7%(131건), 37.8%(141건), 34.1%(86건), 22%(29건)와 같이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2013년에는 14.9%(24건)로 급감하였다. 유아대상 강좌교육도 그 감소 추세를 뚜렷이 했는데 2008년에는 13.8%(117건)이던 것이 2009년 14.6%(52건), 2010년 10.2%(38건), 2011년 9.9%(25건), 2012년 4.5%(6건)로 감소하고 2013년에는 1.2%의 비율로 단 2건의 유아 대상 강좌교육이 이루어졌음을 볼 수 있었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강좌교육의 비율 또한 그 변화추세는 볼 수 있었으나 특정한 증가 또는 감소추세라고 단정하는 것은 무리라고 판단된다.

    3.4 분석 결과에 따른 평가2)

    최근 6년간 서울시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진 강좌교육 개설 현황을 주제별, 대상이용자별로 살펴본 결과는 앞서 3.2에서 본 바와 같다. 이를 바탕으로 서울시 공공도서관 강좌교육 운영 현황 및 특징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몇가지 주목할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강좌교육 개설 수의 현저한 감소이다. 강좌교육 개설은 2008년 846건이던 것이 2013년에는 161건으로 약 5분의 1 이상의 수준으로 급감했다. 이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분석할 수 있겠으나 전체적인 문화행사의 수가 2012년까지는 감소 경향을 보이다가 2013년 들어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봤을 때3) 문화행사 자체의 감소경향이라고 보기도 어려울 것이다. 이는 오히려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운영형식별 현황에서 관람관객형이 감소하고 참여체험형이 매년 급증하고 있는 추세와 함께 생각해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자료를 통해서는 명확히 볼 수 없었으나 본 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와 비교해보았을 때 문화행사 전체의 비율에서 참여체험형의 증가와 함께 관람관객형 뿐 아니라 강좌형의 문화행사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부분이다.

    둘째, 강좌교육의 대상이용자 현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대상이용자별 강좌교육 개설 현황을 살펴보면 “성인”과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강좌교육의 비율이 67.2%로 나타났는데 이는 선행연구에서 전체 문화행사의 대상이용자가 “성인”과 “어린이”, “전체”를 합쳐 74%, 그 중 “전체”를 대상이용자로 하는 문화행사가 29%인 것을 봤을 때 전체 문화행사의 경우 “성인”과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문화행사와 함께 “전체” 즉, 이용자 대상을 정하지 않은 전체의 참여를 독려하는 문화행사의 경우가 상당히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으나 강좌교육의 경우 “성인”과 “어린이”라는 일반적이고 대표적인 도서관 이용자 그룹이 역시나 다른 이용자 그룹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로 강좌교육의 대상이 되고 있었다. 이는 문화행사 전반을 살펴봤을 때와 비교되게 강좌교육은 특정한 이용자 대상을 정해놓고 해당 그룹의 이용자를 초점으로 하는 강좌교육이 기획 · 운영되고 있다고 여겨지는 부분이다.

    셋째, 주제별 강좌교육에서 독서교육프로그램과 예술교양교육프로그램은 일정하게 높은 비율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정보화교육프로그램은 감소추세,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은 증가추세에 있음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전체 문화행사의 주제별 현황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독서교육프로그램과 예술교양교육프로그램이며 이 두 주제의 교육프로그램은 강좌교육에서도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일관적인 모습이었다. 그러나 선행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문화행사 전체에서 정보화교육프로그램은 비록 워낙 다른 교육프로그램에 비해 낮은 비율이기는 하나 2013년 들어 전년도에 비해 두 배이상의 비율로 증가했음을 볼 수 있었고 스마트폰이나 모바일, 첨단 컴퓨팅과 같은 새로운 정보기술 교육프로그램이나 영어회화 등의 세부주제를 다룬 것으로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 살펴본 강좌교육의 현황에서 정보화교육프로그램의 경우 2008년부터 4년 동안은 20-30% 정도의 비율을 유지하던 것이 2012년과 2013년 들어 14%, 14.9%로 급감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선행연구와 완전히 상반되는 결과라 할 수 있어 그 이유가 상당히 흥미롭게 생각되는 부분이다. 선행연구의 결과와 본 연구의 결과가 상반되게 나타나는 이유를 수치 결과와 함께 분석해보면 전체 문화행사에서 정보화교육프로그램의 비율은 최근 들어 많은 증가를 보였으나 강좌교육에서는 그 비율이 상당히 줄어든 것은 유추하건데 최근 개설 · 운영되는 정보화교육프로그램은 그 자체의 비율이나 숫자가 줄어들었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정보화교육프로그램의 상당 부분이 강좌교육의 형태로 이루어지지 않고 참여체험형 등 다른 부분의 운영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닐까 판단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그 세부주제들이 스마트폰이나 모바일, 첨단 컴퓨팅과 같은 새로운 정보기술 교육프로그램이나 영어회화 등과 같은 주제임을 봤을 때 최근 들어 이루어지는 정보화교육의 운영형태는 상당 부분 강좌교육의 형태를 지양하고 참여체험형과 같은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을 것이라 여겨지는 부분이다.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의 경우 강좌교육의 비율을 살펴보면 약간의 혼돈은 있으나 전반적으로 지속적인 증가 수치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이 특별한 변화 추세를 볼 수 없었던 것을 미루어보아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은 전체 문화행사에서 일정한 비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들어 그 운영방식에서 강좌교육의 형태가 증가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시민체험교육프로그램과 체육건강교육프로그램의 경우에도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전체 문화행사에서는 그 비율 증가가 뚜렷이 나타났으나 강좌교육의 형태로 개설되는 비율에 있어서 별 다른 특징을 볼 수 없었다. 이는 시민체험교육프로그램과 체육건강교육프로그램은 전체적으로 봤을 때 증가추세이나 그 운영형식이 강좌교육형이라기 보다는 다른 참여체험형이나 행사형 등으로 개설되고 있을 것이라 판단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최근 6년간 개설․운영된 공공도서관의 강좌교육은 “전체”나 “기타” 등의 모호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다기보다 “성인”, “어린이” 등과 같이 특정 대상이용자를 명확히 제시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강좌교육이 다루는 주제를 살펴보면 도서관이 다루는 대표적 주제로서 독서교육프로그램과 예술교양교육프로그램은 문화행사뿐 아니라 강좌교육이라는 운영형식 안에서 살펴봤을 때도 상당한 비율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과 시민체험교육프로그램, 체육건강교육프로그램의 경우 전반적으로 해당 주제에 대한 관심은 높아가고 있으며 공공도서관의 경우 강좌교육의 형태보다는 참여체험형이나 행사형 등과 같은 이용자와의 상호작용, 직접 참여가 이루어지는 운영형태로 관심주제에 대한 이용자 참여를 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강좌교육을 생각했을 때 참여자의 직접적인 참여보다는 강사가 주도적으로 특정 주제에 대해 준비하고 발표를 진행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는 강사에게는 특정 주제를 특정 시간동안 책임져야 하기 때문에 부담이겠으나 반대로 이용자에게는 특정 문화행사 참여에 있어서 가질 수 있는 심적, 물리적 참여의 부담이 다른 운영형태의 문화행사와 비교했을 때 적을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이는 또한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 기획자에게 있어서는 현재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잠재적 이용자에게 가장 적은 부담으로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기에 적합한 형태의 문화행사라고도 생각될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강좌교육 형태의 문화행사는 어떠한 주제로 어떠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할 것인지 세밀하게 고민하고 준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그림 2>에서 <그림 5>는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뒷받침하는 자료 분석 결과를 도식화해서 나타낸 것이다.

    <그림 2><그림 4>는 본 연구에서 살펴본 공공도서관 강좌교육 주제의 연도별 변화와 대상이용자의 연도별 변화를 도식화한 것이며 <그림 3><그림 5>는 연도별 전체 문화행사의 주제별 변화(<그림 3>)와 연도별 전체 문화행사의 운영형식별 변화(<그림 5>)로서 본 연구의 자료 분석에 있어 전체 문화행사 현황과의 비교분석에 사용된 선행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 도식으로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뒷받침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재인용하여 덧붙였다.

    4.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도서관에서 기획 · 운영된 강좌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 특징을 알아보고자 서울시 공공도서관 최근 6년간 개설한 강좌교육 자료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의 강좌교육 현황 및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강좌교육 현황은 어떠하며 주제별, 대상이용자별 변화 추세와 그 변화 추세를 바탕으로 한 강좌교육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은 본 연구의 초점인 강좌교육에 대한 자료 분석 결과와 더불어 선행연구인 문화행사 전반에 대한 자료 분석 결과를 함께 통합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에 따르면 최근 6년간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강좌교육 개설 수는 현저히 감소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이는 선행연구와 비교했을 때 전체적인 문화행사의 수가 급감하는 등의 모습을 볼 수 없었기 때문에 문화행사 전반이 다 감소했다고 볼 수 없는 부분으로 운영형식에 있어 참여체험형의 증가와 상반되는 모습으로 관람관객형 뿐 아니라 강좌형의 문화행사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강좌교육의 대상이용자는 전체 문화행사의 대상이용자와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전체 문화행사의 74%가 대상이용자가 성인과 어린이, 전체를 초점으로 하는 반면 강좌교육의 경우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1.7%로 극히 적고 총 비율의 67.2%가 성인과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체 문화행사와는 달리 강좌교육은 특정한 이용자 대상이 명확하게 제시되어 기획 · 운영된다고 판단했다.

    주제별로 강좌교육의 현황을 살펴본 결과 독서교육프로그램과 예술교양교육프로그램은 일정하게 높은 비율을, 정보화교육프로그램은 감소 추세를,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은 증가추세를 볼 수 있었으며 이러한 통계 결과를 바탕으로 독서교육프로그램과 예술교양교육프로그램은 전체 문화행사와 강좌교육이라는 운영형식 안에서도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주제별 강좌교육과 문화행사 전반에 대한 특징을 분석, 결과로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잠재적 이용자에게 강좌교육의 참여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잠재적인 이용자를 도서관으로 불러들이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으리라 여겨지므로 강좌교육의 세심한 기획과 운영이 요구되는 시기라 판단했다.

    이 연구는 강좌교육의 분석에 있어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자료를 활용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나 또한 서울시 공공도서관 만을 대상으로 분석했다는 자체적인 한계가 이 연구의 제한점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강좌교육을 보고된 강좌교육의 타이틀을 바탕으로 분석한 만큼 현장 강좌에서 다뤄진 내용에 대해서는 실제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한계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부분은 추후 후속연구에서 좀 더 질적인 부분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분석할 때 보완될 부분이라 여겨진다.

참고문헌
  • 1. 감 미아, 이 지연 2013 공공도서관과 지역사회기관의 문화프로그램 비교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4 P.197-215 google
  • 2. 기 인영, 강 순애 2013 수원시 공공도서관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운영개선을 위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4 P.341-362 google
  • 3. 김 종성, 엄 미진 2010 공공도서관 청소년 프로그램의 유형별 특성과 발전 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1 P.39-56 google
  • 4. 김 홍렬 2004 지역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문화 및 교육적 기능 확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5 P.339-360 google
  • 5. 도 현주 2008 『문화프로그램 이용자의 만족도 및 충성도 분석: 서울시 강서지역 공공도서관과 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google
  • 6. 심 혜정 2013 『광주광역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이용자 만족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google
  • 7. 안 인자, 박 미영 2011 공공도서관 다문화프로그램 사례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5 P.279-301 google cross ref
  • 8. 안 인자, 황 금숙 2008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지원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2 P.325-344 google cross ref
  • 9. 이 명희, 김 미초 2010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노인대상 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노인종합복지관과 비교하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1 P.91-107 google
  • 10. 이 애란 2010 공공도서관 평생교육 강좌에 대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1 P.273-294 google
  • 11. 이 정미 2014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 유형 분석 및 향후 전망에 대한 고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5 P.131-152 google cross ref
  • 12. 이 혜윤, 이 지연 2014 공공도서관 교육문화프로그램 참여와 도서관 이용의 관계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Vol.31 P.277-297 google cross ref
  • 13. 장 우권 2009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콘텐츠의 관리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 지역의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3 P.271-292 google
  • 14. 장 우권, 박 성우, 여 진원 2014 공공도서관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8 P.345-367 google cross ref
  • 15. 조 찬식 2008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실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2 P.171-188 google cross ref
  • 16. 최 흥식, 서 진순 2009 전북지역 공공도서관 교육문화프로그램 분석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P.227-242 google
  • 17. 홍 희경 2008 『도서관 특성화의 현황과 발전방안 모색』. 석사학위논문 google
  • 18. 황 금숙, 김 수경, 박 미영 2008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현황 분석과 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9 P.219-244 google
  • 19. 1994 Public Library Manifesto google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특정 유형의 문화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
    특정 유형의 문화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
  • [ <표 2> ]  문화행사의 유형별 구분기준
    문화행사의 유형별 구분기준
  • [ <그림 1> ]  최근 6년간 강좌교육 개설 현황 (수치 정보)
    최근 6년간 강좌교육 개설 현황 (수치 정보)
  • [ <표 3> ]  최근 6년간 강좌교육의 주제별 현황
    최근 6년간 강좌교육의 주제별 현황
  • [ <표 4> ]  연도별 강좌교육의 주제별 개설 현황 변화(2008년-2013년)
    연도별 강좌교육의 주제별 개설 현황 변화(2008년-2013년)
  • [ <표 5> ]  최근 6년간 대상이용자별 강좌교육 총 현황
    최근 6년간 대상이용자별 강좌교육 총 현황
  • [ <표 6> ]  연도별 강좌교육의 대상이용자별 개설 현황 변화(2008년-2013년)
    연도별 강좌교육의 대상이용자별 개설 현황 변화(2008년-2013년)
  • [ <그림 2> ]  공공도서관 강좌교육 주제의 연도별 변화
    공공도서관 강좌교육 주제의 연도별 변화
  • [ <그림 3> ]  전체 문화행사 주제의 연도별 변화 (가족생활, 시민체험, 정보화, 체육건강교육)
    전체 문화행사 주제의 연도별 변화 (가족생활, 시민체험, 정보화, 체육건강교육)
  • [ <그림 4> ]  공공도서관 강좌교육 대상이용자의 연도별 변화 (기타, 성인, 어린이, 유아, 학부모)
    공공도서관 강좌교육 대상이용자의 연도별 변화 (기타, 성인, 어린이, 유아, 학부모)
  • [ <그림 5> ]  전체 문화행사 운영형식의 연도별 변화
    전체 문화행사 운영형식의 연도별 변화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