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수원시 공공도서관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운영 개선을 위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the Operation of Reading Culture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ublic Libraries in Suwon City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수원시 공공도서관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운영 개선을 위한 연구

With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functions of public libraries becoming revitalized according to social changes, there has been a development of reading cultural programs. This study researched the operating conditions of reading culture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ublic libraries in Suwon City for the past 5 years and presented the programs’ drawbacks and improvement plans drawn from surveys on user satisfaction. An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yielded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improvement: forming a consultative group with other managers of reading culture programs in Suwon’s public libraries, promoting using various media, forming a human resource pool to hire professional instructors, operating of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potential volunteers, expanding of the facilities for reading culture programs, and linking with the other folk culture and art organizations in order to develop classes folk culture and art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be used as a reference when operating conditions of reading culture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public libraries in Suwon City, and they will offer the opportunity to implement problems according to needs of participants.

KEYWORD
독서문화프로그램 ,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 수원시 공공도서관 , 독서문화프로그램 담당자 , 독서문화프로그램 참여자
  •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공공도서관은 단순히 필요한 자료만을 제공해주던 역할에서 벗어나 지역사회 구성원을 위한 정보 및 문화 그리고 평생교육센터로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에 부응하기 위해 공공도서관은 연령별, 계층별로 다양한 독서문화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어린이 교육에 대한 관심의 증대가 어린이 대상 프로그램에 관심으로 이어지면서 공공도서관에서의 어린이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수요가 증가하고 많은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었다. 이에 따라 공공도서관은 초등학교 학생들이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활동을 펼쳐 학습능력과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고 지식을 쌓을 수 있는 질 높은 독서문화프로그램은 물론이고 지역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수원시의 공공도서관들을 대상으로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고, 프로그램 담당자와 참여자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운영 방안 및 개선 사항과 수원의 역사성 있는 독서문화프로그램의 특성화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필자는 수원시 11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하여 최근 5년간 운영한 프로그램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문헌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기능 및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정의와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유형, 국내외 독서문화프로그램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둘째, 수원 지역사회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수원시 공공도서관의 운영현황과 수원시 공공도서관에서 실시하는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현황을 문헌자료를 통하여 실태분석을 하였다. 셋째, 수원시 공공도서관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운영 내용을 조사하기 위해 수원시 11개 공공도서관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담당 사서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기획(운영, 시설, 홍보), 평가 및 활성화 방안, 수원시 지역특성화 방안 및 담당자에 대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넷째,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이용자 만족도 분석을 위해 수원시 11개공공도서관의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각 도서관 당 20명의 초등학생에게 설문지 총 220부를 배포하고 조사하였다. 다섯째, 문헌조사와 설문조사의 분석을 종합하여 수원시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1.2 선행연구

    공공도서관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는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연구와 어린이서비스 및 독서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로 구분해서 검토하였다.

    첫째,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에 관련된 선행연구는 다음과 같다.

    심혜정(2013)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공공도서관 8개를 선정하고 문화프로그램 담당자와 참여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이용실태를 분석하고 문화프로그램 이용자 만족도 조사 통해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김수희(2009)는 제주지역 공공도서관에서 운영되는 문화프로그램에 대한 실태조사와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여기에서 문화프로그램 운영상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제주지역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지역적 특성화와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조찬식(2008)은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이론적 중요성을 살펴보고 현재 서울시 공공도서관에서 실시되는 문화프로그램을 분석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서울시 소재의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조사 ·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과 그 운영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도현주(2007)는 서울시 강서지역의 공공도서관과 지역문화센터에서 운영되고 있는 문화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문화프로그램 참여자에 대한 문화프로그램 설문조사를 통해 이용자의 만족도 및 충성도를 비교 · 분석하여 공공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둘째, 어린이서비스 및 독서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는 다음과 같다.

    박규언(2010)은 전라남도 39개 공공도서관의 아동 학습 프로그램의 실태를 조사하고 타지역 공공도서관과 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하여 전남지역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아동 학습 프로그램의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최정아(2010)는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및 동반하는 성인이용자의 이용 편의를 높이고, 이용자교육 담당사서의 이용자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에 도움이 되며, 공공도서관의 질 높은 어린이 이용자교육의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하는 목적으로 문헌연구와 이용자교육의 정의 및 내용과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교육의 유형을 살펴보고 외국사례를 비교 ·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현황조사를 위해 250개의 도서관을 선정하여 담당사서와 이용자 설문을 실시하였다.

    유송숙(2005)은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독서교육 프로그램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에서 실시하는 독서교육 프로그램 중 어린이 독서회에 참가하는 어린이와 지도교사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 조사를 수행하여 설문을 분석을 토대로 어린이 독서교육 활성화 방안에 대한 결론을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김규열(2004)은 서울 · 경기지역에서 어린이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활발한 도서관을 조사 대상으로 하여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고 그 도서관의 어린이실을 이용하고 있는 학생과 그 도서관에 근무하고 있는 사서에게 설문하여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고 나아가 학교교육과 연계하여 이용할 수 있는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홍성미(2004)는 공공도서관에서 실시하는 초등학생들의 행사를 통해 과연 얼마나 많은 이용자가 도서관으로 유인되는가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해 대전 운용도서관에서 개최한 행사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대출 실적, 학년별 참여 분포도 등을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Cerny 외(2006)는 어린이도서관 서비스의 사서의 핵심 업무 중 하나로 고객 그룹에 대한 지식을 꼽으며 퀸즈 도서관(Queens Library)의 『어린이 발달표(The Child Development Table)』를 제시하고 어린이들을 의 단계별로 물리적 성장과 학습 형태, 심리적 발달, 도서관 이용과 관련한 지침을 제공하였다.

    2. 이론적 배경

       2.1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초등학생 독서문화 프로그램

    오늘날 도서관 기능은 시대의 흐름과 상황에 따라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다. 과거의 도서관은 자료의 수집 및 정리, 보존같이 정적인 기능을 중점을 두었다면 현대의 도서관은 각종 문화 활동 및 평생교육 같은 문화적 기능이 점점 강화되고 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에서는 독서 및 문화, 예술에 관한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도서관의 모든 프로그램을 일컬어서 독서문화프로그램이라고 부르고 있다(황금숙 2008). 2006년 제정된 독서문화진흥법 제2조(정의)에서 ‘독서문화’에 대한 개념이 등장하였으며, “독서문화란 문자를 사용하여 표현된 것을 읽고 쓰는 활동을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정신적인 문화 활동과 그 문화적 소산을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독서문화프로그램은 독서에 문화를 수용하고 창조하는 활동의 일종으로 다양한 독서매체를 활용한 교육, 예술, 취미 활동 등 독서현상과 관련된 모든 영역의 종합적인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공도서관의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유형은 그 특성과 형태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구분할 수 있다. 국내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독서문화프로그램에 대한 조사에 의해 프로그램의 유형을 구분했을 때, <표 1>과 같이 프로그램을 크게 ‘문화강좌’, ‘독서교육 및 독서문화진흥 관련 활동’, ‘문화행사’로 구분하였다(문화관광부 2007).

    [<표 1>]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유형

    label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유형

    이러한 독서문화프로그램은 인격형성 초기단계에 있는 초등학생들로 하여금 문화적 욕구 및 창작 욕구를 충족시키며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평생교육의 시발점이자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기반이 될 것이다.

       2.2 국내외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사례

       2.2.1 국내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사례

    국내 공공도서관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독서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공공도서관의 초등학생 프로그램의 사례를 다음과 같이 조사하였다.

    첫째, 서울시립어린이도서관은 도서관을 견학하는 즐거운 도서관 체험, 인터넷 검색으로 정보를 찾는 인터넷정보사냥대회, 주말 프로그램인 책이랑 노는 토요일, 일일독서교실, 어린이극장 등이 있다. 그 밖에 전문 강사를 초빙하여 역사, 과학, 신문활용학습 등 어린이 문화교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도서관 모임인 어린이 독서회도 활성화 되어있다. 둘째, 광진정보도서관은 초등학생을 위한 독서교실, 독서캠프, 영어스토리텔링, 영어동화, 동화구연과 같은 독서교육활동과 찾아가는 음악회, 인형극, 빛그림 상영, 국악한마당 등 각종 문화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셋째, 노원어린이도서관은 사서들이 주제를 선택한 뒤 도서관 책을 활용하여 수업하는 ‘도서관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매년 여름방학마다 한 달 동안 어린이책시민연대 회원들이 동시 관련 수업을 진행하고 있고, 지역의 유학생들을 활용하여 생활이 어려운 아이들을 위해 영어를 가르쳐주는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넷째,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은 정보과학도서관이라는 특성에 맞게 과학탐구동산이나 생활과학교실 같은 과학위주의 프로그램을 특화하여 분기별로 운영하고 있었고, 여름 방학마다 초등학생을 위한 천문우주과학캠프를 운영하여 아이들의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었다. 다섯째, 목포시립도서관은 ‘한 책, 하나 된 목포’인 독서운동을 토대로 하여, 도서관 프로그램을 도서관 문화학교라 하고 독서교실, 놀이수학, 미술교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연중 실시하여 이용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다.

       2.2.2 국외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사례

    외국의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실태를 알아보고자 공공도서관 서비스가 가장 먼저 체계적으로 시작된 미국, 영국, 일본의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첫째, 로스앤젤레스 공공도서관은 사서들이 직접학교를 방문하여 학교 선생님과 함께 협력하여 학생들의 숙제를 도와주는 교육 프로그램과 방과 후 숙제를 도와주는 방과 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 여름방학에는 어린이를 위한 ‘Summer Reading’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매주 토요일에 전시 및 백일장 개최하여 어린이 및 부모를 위한 인형극 및 구연동화, 음악회, 연극, 마술 쇼 등과 같은 가족프로그램, 공연프로그램 및 전시프로그램을 상시 개최하고 있다. 둘째, 샌프란시스코 공공도서관은 학생들의 과제를 도와주는 ‘Online Homework Help’를 운영하여 매일 오후에 공공도서관 내에서 학교 과제를 도와주고 있으며, 매년 7~8월 ‘Summer Reading’ 프로그램을 0세부터 13세를 대상으로 운영하여 어려서부터 도서관과 친숙해 질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셋째, 버밍햄 중앙도서관은 매월 하루 어린이실에서 ‘Teenage Reading Group'을 운영하고 있는데, 10대들이 만나서 책을 읽고, 토론하기도 하고, 새로 나온 책을 고르는 법을 배우기도 하며, 서평도 쓰고, 인터넷을 통하여 작가나 다른 독서그룹에 글을 쓰는 활동을 한다. 또, ‘Homework Help Club’을 운영하여 초등학생이 스스로 자료를 찾아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교육시키고 있다. 넷째, 맨체스터 중앙도서관은 여름독서프로그램(Summer Reading Challenge)이 있어 여름방학 동안 초등학생들의 독서활동에 도움을 주고 있다. 그 밖에 휴일마다 풍선으로 동물 만들기, 만화 그리기, 거품 물감으로 그림그리기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초등학생을 위해 학교 숙제클럽을 운영하여 직원들이 학생들에게 책 찾기, 인터넷 사용 등을 도와주고 있다. 다섯째, 오사카 중앙도서관은 책의 즐거움을 알려주기 위해 이야기 들려주기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고, 정기적으로 영화와 인형극 개최한다. 또, 봄, 여름, 겨울방학에는 도서관책을 이용하여 초등학생을 위한 공작교실을 실시, 인형극 같은 공연을 운영한다. 그 밖에 어린이를 위한 테마 책 전시나 원화 전시 같은 전시 프로그램도 활성화되어 있다. 여섯째, 일본 국제어린이도서관은 과학놀이, 음악회 등의 행사와 아동문학 작가 등을 강사로 초빙하여 강연회를 개최하며, 어린이 책에 대한 워크샵을 개최하기도 한다. 특히, 매주 주말에는 스토리텔링과 북토크를 들려주는 행사가 개최되고 있어 어린이에게 도서관과 책의 세계와 친해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3. 수원시 공공도서관 현황 및 실태분석

       3.1 수원시 공공도서관 현황

    수원시는 <표 2>에 나타난 것처럼 어린이도서관을 포함하여 수원시청 소속 공공도서관 9개와 경기도교육청 소속 도서관 2개로 총 11개의 공공도서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표 2>] 수원시 공공도서관 현황

    label

    수원시 공공도서관 현황

       3.2 독서문화프로그램 실태분석

    2009년 1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실시한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들을 조사하였다.

    수원시 공공도서관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현황을 살펴보면 <표 3>과 같다. 이에 의하면 수원시 공공도서관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의 현황은 총 848개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독서프로그램은 325개로 38.3%, 문화프로그램은 505개로 59.6%, 향토문화강좌는 18개로 2.1%로 문화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운영하였다.

    [<표 3>] 독서문화프로그램 실태분석

    label

    독서문화프로그램 실태분석

    4. 자료수집 및 분석

       4.1 자료수집

    2013년 3월 25일부터 4월 12까지 수원시 11개 공공도서관 초등학생 프로그램 담당사서 11명과 각 도서관마다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생 20명씩 총 220명의 학생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사서에게 배포된 설문지는 11부(100.0%)가 회수되었고, 초등학생에게 배포된 220부의 설문지는 194부가 회수되어 회수율은 88.1%로 나타났고, 그 중 응답이 미비한 설문지 12부를 제외한 182부를 분석하였다.

    담당사서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 항목은 일반적 사항 7문항, 프로그램 기획(홍보, 시설, 운영) 14문항, 프로그램 평가 및 활성화 방안 3문항, 지역 특성화와 관련된 사항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원시 공공도서관 초등학생 독서문화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 조사항목은 일반적 사항과 이용자 만족도, 지역 특성화로 구분하고 일반적 사항의 참여자 관련 설문 4문항, 프로그램 참여 관련 7문항, 이용자만족도의 프로그램 내용 11문항, 도서관 시설 5문항 및 지역 특성화 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인 설문문항은 다음의 <표 4>, <표 5>와 같다.

    [<표 4>] 담당자 설문지 조사 항목

    label

    담당자 설문지 조사 항목

    [<표 5>] 참여자 설문지 조사 항목

    label

    참여자 설문지 조사 항목

    설문지 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첫째,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과 만족도에 대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기술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둘째,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성별, 학년별, 프로그램 참여자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집단 간의 차이 검증인 교차분석(X2 test)을 실시하고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다. 셋째,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참여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만족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고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다.

       4.2 담당자 대상 설문지 분석

       4.2.1 담당자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

    설문에 응답한 담당자 11명의 성별은 8명(72.7%), 남성이 3명(27.3%)이었다. 연령은 40대가 6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30대가 4명, 50대가 1명이었다. 담당자의 직급은 주로 7급이 많았고 8급 2명, 6급이 1명으로 나타났다(<표 6> 참조).

    [<표 6>] 담당자의 성별, 연령, 직급 분석

    label

    담당자의 성별, 연령, 직급 분석

    보유 자격증은 10명의 담당자가 2급 정사서 자격증을 소지하였고, 1명은 준사서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었다. 사서자격증 외에 독서치료사 자격증은 1명이 소지하고 있었다(<표 7> 참조).

    [<표 7>] 담당자의 자격증 분석

    label

    담당자의 자격증 분석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관련 교육 및 훈련에 참여한 경험을 묻는 질문에 국립중앙도서관 교육 및 세미나가 9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도에서 주관하는 교육 및 세미나가 5명, 타도서관 및 기관의 프로그램 견학과 도서관 내부의 사서직 연수가 각 3명로 조사되었다. 기타 의견으로 관련 교육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담당자가 1명 있었다.

       4.2.2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기획(홍보, 시설, 운영)에 관한 사항

    담당자에게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기획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 도서관에서 어떠한 시설을 갖추고 있는지 조사한 결과 강의실과 강당을 갖추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강의실과 강당 모두 갖추고 있는 도서관은 11개의 도서관 중 총 7개로 조사되었다.

    둘째, 유형별 프로그램 운영 경험에 대한 질문에 모든 담당자가 독서프로그램과 문화프로그램을 모두 운영해보았다고 응답하였다. 향토문화강좌는 5명(18.6%)이 운영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다(<표 8> 참조).

    [<표 8>] 유형별 독서문화프로그램 운영 경험

    label

    유형별 독서문화프로그램 운영 경험

    셋째, 공공도서관에서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운영 필요성에 대한 조사는 ‘독서와 도서관련 프로그램만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5명(45.5%)으로 가장 많았고 ‘반드시 운영해야 한다’ 3명(27.3%), ‘문화 활동 전반으로 확대 운영해야 한다’ 2명(18.2%), 기타가 1명(9.0%)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현재 도서관 프로그램이 문화센터의 프로그램과 큰 차이가 없으므로 도서관은 독서를 위한 프로그램만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넷째,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목적을 물어 본 결과, 초등학생의 ‘독서습관 형성’이 8명(26.8%)이었고, 어릴 때부터 ‘도서관 이용습관’을 길러주기 위한 것이 6명(20.0%)으로 나타났다. ‘학부모 사교육비 절감’은 응답한 담당자가 없었는데, 그 이유는 도서관 독서문화프로그램 같은 경우 학교 교육과정 위주로 진행되는 학원과는 운영 방식 및 내용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도서관의 독서문화프로그램에 참여했던 학생이라 하더라도 학원에 다니는 경우가 많았으므로 사교육비 절감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표 9> 참조).

    다섯째,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어느 집단의 요구를 가장 많이 반영하는지에 관한 설문에 담당자들은 ‘학부모들의 요구’가 10명(28.6%), ‘전년도 독서문화프로그램 반영’이 7명(20.0%), ‘담당사서의 견해’가 7명(20.0%), ‘타도서관 또는 문화기관 프로그램’이 4명(11.4%), ‘지역의 특성’이 4명(11.4%), ‘활용 가능한 강사의 확보’가 2명(5.7%), ‘예산’ 1명(2.9%) 순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 이유는, 초등학생 대상 독서문화프로그램 신청시 학부모들이 도서관에 방문하여 신청하는 경우가 많고, 그 학부모들 중에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다음은 ‘전년도 독서문화프로그램을 반영한다’는 응답이 많았는데, 이는 학부모나 참여자가 전년도 참여자에게 반응이 좋았던 프로그램을 다시 개설해 달라는 요구가 많았던데 기인한다.

    여섯째, 차기 년도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계획하는 경우 의사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람은 ‘담당직원’ 7명(63.3%)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상위 결재권자’ 3명(27.3%), ‘기타’ 1명(9.1%) 순으로 나타났다. ‘담당직원’의 의견이 높은 이유는 수원시 대부분의 도서관에 초등학생을 위한 독서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서가 모두 배치되어 있어서 프로그램의 운영을 자율적으로 주도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곱째, 프로그램의 주요 홍보 수단에 관한 질문에 ‘도서관 내 홍보물’, 도서관 홈페이지 등 ‘인터넷’이 각 11명(33.3%)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신문이나 방송 같은 각종 언론매체’를 통한 홍보가 9명(27.3%), ‘자원봉사자와 이용자들을 통해 주변사람들에게 홍보’한다는 응답이 2명(6.1%) 순으로 나타났다. 면담결과 ‘도서관 내 홍보물’과 ‘인터넷’이 큰 비중을 차지한 이유는, 초등학생 대상 독서문화프로그램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부모들이 도서관내 홍보물과 도서관 홈페이지를 주로 참고하여 프로그램을 신청하기 때문이다.

    여덟째, <표 10>을 보면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에 자원봉사자를 활용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활용하지 않는다’는 도서관이 7곳(63.6%)으로 ‘활용한다’는 4곳(36.4%)보다 많았다. ‘활용하지 않는다’는 이유에 대해서 물어본 결과, 7곳(63.6%)의 도서관 모두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자원봉사에 대한 지원자가 없다고 응답하였다. 반면에 ‘활용한다’는 도서관 4곳(36.4%)은 도서관 내부에서 운영되고 있는 독서동아리 등을 통해 동아리 구성원을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자원봉사자로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표 10>] 자원봉사자 활용 여부

    label

    자원봉사자 활용 여부

    아홉째,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당면한 문제는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의 어려움’이 12명(36.4%)으로 가장 많았고, ‘전담직원의 부족’이 7명(21.2%), ‘강사초빙의 어려움’ 5명(15.2%), ‘예산부족’ 4명(12.1%), ‘시설․자료의 부족’ 3명(9.1%), ‘이용자의 인식 부족’ 및 ‘기타’가 각각 1명(3.0%) 순으로 나타났다(<표 11> 참조). 사서와의 개별면담에서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의 어려움’이 가장 많다고 응답한 이유는 그 다음으로 가장 많이 응답한 ‘전담직원의 부족’과 연관시켜 생각해 볼 수 있다. 담당자들은 현재 각 도서관에 프로그램 전담직원이 있기는 하지만 기존 프로그램의 수가 많아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강사초빙의 어려움’이 문제점으로 나타난 이유는 실력이 검증된 강사는 제한된 도서관 예산으로는 초빙이 어려우며, 강사료가 상대적으로 낮은 강사들은 실력이 검증되지 않았거나 경력이 부족한 강사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이었다.

    [<표 11>]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운영 시 문제점

    label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운영 시 문제점

       4.2.3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평가 및 활성화에 관한 사항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담당자에게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평가 및 활성화에 관한 사항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이 도서관서비스에 있어 중요도를 조사했을 때 ‘비교적 중요하다’고 응답한 담당자가 7명(63.6%), ‘보통이다’ 3명(27.3%), ‘매우 중요하다’ 1명(9.1%)으로 나타났고 ‘별로 중요하지 않다’와 ‘전혀 중요치 않다’고 대답한 담당자는 없어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이 도서관이 수행하고 있는 서비스에서 대체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담당사서들은 인식하고 있다(<표 12> 참조).

    [<표 12>] 도서관 서비스 중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중요성

    label

    도서관 서비스 중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중요성

    둘째,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실시 후 평가 방법은 ‘참여 학생 의견조사’가 8명(40.0%)으로 가장 많았고, ‘담당사서의 참여 학생 반응 관찰’ 7명(35.0%), ‘참가인원수 조사’ 5명(25.0%)순으로 응답하였다. ‘참여 학생 의견조사’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종료 후 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고 ‘참여 학생 반응을 관찰’하는 방법은 초등학생 수업에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한다고 응답하였다. ‘참가인원수 조사’는 프로그램 시작 전에 출석체크를 하기 때문에 참가인원을 알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수원시 공공도서관 초등학생 독서문화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은 프로그램을 위한 ‘전문 강사 및 전문 운영 인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이 11명(35.5%)으로 가장 많았고, ‘프로그램을 다양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9명(29.0%), ‘담당사서를 위한 전문교육 훈련’이 7명(22.6%), ‘예산확보’가 3명(9.7%), ‘도서관장의 적극적인 관심’ 1명(3.2%)으로 나타났다(<표 13> 참조).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는, 전문 강사의 확보가 어려워 기존의 강사를 계속 활용할 수밖에 없었고, 프로그램의 수가 너무 많아 전담 직원 한명으로는 효율적인 운영에 어려움이 많다는 의견이 있었다.

    [<표 13>]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label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4.2.4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지역 특성화에 관한 사항

    수원시를 특성화할 프로그램에 대한 담당자들의 응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원시를 특성화 할 초등학생 독서문화 프로그램 계획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질문에서 ‘향토문화강좌의 내용’이라고 대답한 담당자가 6명(54.5%), ‘향토 문화자원 활용’이 3명(27.3%), ‘강사의 확보’가 2명(18.2%)로 나타났다. ‘향토문화강좌의 내용’은 주제에 따라 크게 수원의 역사, 인물, 문화재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담당자들은 어떤 주제의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운영할지 계획한다고 하였다. ‘향토 문화자원 활용’ 및 ‘강사의 확보’는 수원의 활용할 만한 문화자원을 프로그램과 연계하는 것이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수원지역에 대한 프로그램을 강의할 수 있는 강사를 확보하는 것도 프로그램 계획 시 고려의 대상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수원시를 특성화할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어떤 종류의 프로그램을 선호하는지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수원의 문화재’에 관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겠다는 응답이 8명(72.7%)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수원의 역사’ 2명(18.2%), ‘수원의 인물’ 1명(9.2%) 순서로 나타났다. ‘수원의 문화재’에 가장 많은 응답을 한 이유는 수원에 세계문화유산인 수원화성이 위치하고 있어 프로그램을 운영 할 때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운영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수원의 역사’는 우리 고장의 성립 배경 및 변천사에 대해 학생들이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는 담당자의 응답이 있었다. ‘수원의 인물’은 응답율이 가장 낮았으나 우리 고장과 관련된 인물인 정조, 정약용, 홍난파, 나혜석 등을 주제로 프로그램을 운영해보고 싶다는 의견이 있었다.

    그 밖에 수원시를 특성화할 고유의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에 관한 기타 의견으로 주 5일 수업을 이용하여 주말에 수원관련 문화재 탐방 같은 체험 프로그램 및 정조나 정약용, 수원화성에 대한 도서를 활용하여 현장을 답사하는 프로그램을 상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대답하였다. 그러나 수원학 관련 강사는 일반인 대상의 수업에 익숙해져 어린이 수원학 전문 강사를 구하기가 어렵다는 의견이 있었다.

       4.3 참여자 대상 설문지 분석

       4.3.1 참여자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

    수원시 공공도서관 초등학생 대상 독서문화 프로그램 참여자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다.

    수원시 11개 공공도서관 초등학생 독서문화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각 도서관 당 20명씩 총 2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그 중 194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미비한 설문지 12부를 제외한 182명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이 81명(44.5%), 여학생이 101명(55.5%), 저학년(1-3학년)이 96명(52.7%), 고학년(4-6학년)이 86명(47.3%)으로 나타났다(<표 14> 참조).

    [<표 14>] 참여자의 일반적 사항 분석

    label

    참여자의 일반적 사항 분석

       4.3.2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참여에 관한 사항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참여에 관한 사항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 대상 독서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어린이에게 프로그램의 참여 경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부모님께서 말씀하셔서’가 108명(59.3%)으로 과반수이상 응답하여 가장 많았고, ‘친구가 같이 가자고 해서’, ‘스스로 오고 싶어서’라고 답한 참여자가 각 23명(12.6%), ‘인터넷’ 9명(4.9%)의 순서였다. 이는 도서관을 방문하는 학부모의 프로그램 신청에 의해 초등학생들이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가 같이 가자고 해서’와 ‘스스로 오고 싶어서’ 도각 23명(12.6%)으로 프로그램 계획 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또한 ‘부모님께서 말씀하셔서’ 참여했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성별로는 남학생(64.2%)이며, 학년별로는 저학년(61.5%)이었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참여 경로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초등학교 저학년이 고학년보다 부모님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여학생의 경우 ‘본인이 선택해서’ 오거나 ‘학교 선생님의 말씀’으로 오는 경우가 남학생보다 많기 때문이며, 저학년이 부모님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이유는 연령이 낮을수록 스스로 선택하기 보다는 부모님이 의사결정을 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초등학생 대상 독서문화프로그램 참여이유에 대한 결과는 ‘책 읽는 것이 좋아서 참여했다’가 80명(44%)으로 가장 많았으나, ‘공부할 때 도움이 되기 위해 참여’했다는 응답이 78명(42.9%)으로 두 응답에 큰 차이가 없었다. ‘새로운 친구를 사귀기 위해 참여’했다 18명(9.9%), ‘기타’ 6명(3.3%)이었다(<표 15> 참조). 교차분석 결과 남학생과 여학생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남학생은 ‘공부할 때 도움이 되기 위해 참여’(55.6%)했다고 응답한 학생이 많았고, 여학생은 ‘책 읽는 것이 좋아서 참여’(54.5%)했다는 응답이 많았다. 저학년은 ‘공부할 때 도움이 되기 위해’라고 응답한 학생이, 고학년은 ‘책 읽는 것이 좋아서’라는 의견이 많아 성별, 학년별 프로그램의 참여 이유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참여 횟수는 ‘1회’가 52명(28.6%)으로 가장 많았고, ‘5회 이상’이 43명(23.6%), ‘2회’ 35명(19.2%), ‘3회’ 34명(18.7%), ‘4회’ 18명(9.9%) 순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은 ‘5회 이상’ 참여자 21명(25.9%)으로 가장 많았고, 여학생은 ‘1회’ 참여자(32.7%)가 가장 많으나 남학생의 경우, ‘1회’부터 ‘5회 이상’ 참여자가 ‘4회’ 참여자를 제외하고 비슷한 수준이었고, 여학생의 경우 ‘1회’ 참여자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5회 이상’이었으며, ‘2회’, ‘3회’, ‘4회’ 참여자는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프로그램에 처음 참여한 학생은 여학생이 더 많았으나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은 남학생임을 알 수 있다. 저학년 일수록 ‘1회’(34.4%) 참여자가 많았고 고학년일수록 ‘5회 이상’(30.2%) 참여가 많았는데, 학년이 고학년 일수록 ‘5회 이상’이 많은 것은 저학년부터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15>] 프로그램 참여 이유 분석

    label

    프로그램 참여 이유 분석

    넷째, 초등학생이 독서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할 경우 중요시 하는 것으로 응답자들은 성별, 학년의 차이 없이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114명(62.6%)을 가장 중시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도서관 위치 및 시설’이 25명(13.7%), ‘강사수준’이 22명(12.1%), ‘수강시간’이 21명(11.5%)순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내용 및 방법’의 응답자 중에 성별로는 여학생이 66.3%, 학년별로는 고학년이 64.0%로 응답율이 높았다(<표 16> 참조).

    다섯째, 독서문화프로그램을 독서프로그램, 문화프로그램, 향토문화강좌로 분류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초등학생이 어떤 유형의 프로그램에 관심을 보이는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모든 집단이 미술 및 만들기, 과학, 역사, 어학, 환경 및 취미와 같은 ‘문화프로그램’(54.5%)을 독서지도, 논술, 책놀이, 글쓰기, 동화구연 같은 ‘독서프로그램’(33.9%)보다 더 선호하였다(<표 17> 참조). ‘향토문화강좌’가 28명(11.6%)에 불과한 것은 ‘향토문화강좌’를 개설한 도서관의 수가 적은데서 연유한 것이다. 유형별 프로그램 선호도를 교차분석 한 결과 저학년과 고학년의 p 값이 0.034로 학년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저학년이 ‘독서문화프로그램’과 ‘문화프로그램’의 선호도가 높았고 고학년은 ‘향토문화강좌’의 선호도가 높았다.

    [<표 16>] 프로그램 참여시 선택 기준 분석

    label

    프로그램 참여시 선택 기준 분석

    [<표 17>] 유형별 프로그램 선호도 분석(중복응답)

    label

    유형별 프로그램 선호도 분석(중복응답)

    여섯째, 그 동안 참여했던 프로그램의 유형을 조사한 결과, ‘독서프로그램’에 129명(49.4%)이 참여한 것으로 응답하였고 ‘문화프로그램’은 119명(45.6%)으로 ‘독서프로그램’에 더 많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남학생은 ‘독서프로그램’(44.9%), ‘문화프로그램’(49.2%)으로, ‘문화프로그램’의 참여 경험이 더 많았고, 여학생은 ‘독서프로그램’(53.1%)의 참여 경험이 ‘문화프로그램’(42.7%)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나 남학생과 여학생 사이에 참여한 프로그램이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여학생 집단의 ‘독서프로그램’ 참여가 높은 이유는 ‘독서프로그램’에 참여이유와 연관시켜 생각할 수 있는데 여학생은 ‘책 읽는 것이 좋아서’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기 때문에 책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독서프로그램’에 더 많이 참여했다고 생각된다. 반면에 남학생의 경우 과학을 주제로 하는 프로그램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문화프로그램’에 더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초등학생에게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운영 시기는 언제가 가장 좋은지 조사하였다. ‘방학 중 평일’의 선호도가 65명(35.7%), ‘방학 중 주말’이 47명(25.8%), ‘학기 중 평일’이 45명(24.7%), ‘학기 중 주말’ 24명(13.2%), ‘기타’ 1명(0.5%)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분석해보면 초등학생들은 학기 중 프로그램보다 방학 중 프로그램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집단 간 분석 결과에서 학생의 프로그램 선호시기는 전체를 분석한 결과와 순서가 다르게 나타났으나 ‘학기 중 평일’이 29.6%, ‘방학 중 주말’이 28.4%, ‘방학 중 평일’이 27.2%로 세요소 간에 큰 차이는 없었다. 저학년은 방학 중 평일, 학기 중 평일의 선호도가 각 31.3%로 동일하였다.

       4.3.3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내용의 만족도

    독서프로그램과 문화프로그램 참여자의 집단간 만족도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서 초등학생에게 현재 참여하고 있는 독서문화프로그램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응답자 중 ‘독서프로그램 참여자’가 93명(51.1%), ‘문화프로그램 참여자’가 89명(48.9%)로 나타났다(<표 18> 참조).

    [<표 18>] 참여 프로그램 분석

    label

    참여 프로그램 분석

    수원시 공공도서관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성별과 학년별및 프로그램 참여자별로 어떤 차이가 있으며, 어떤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표 19>에 따라 살펴보았다.

    첫째, 성별에 따른 남학생의 점수가 높은 요인은 강사 만족도(4.26), 참여 만족도(4.26), 이해도(4.20), 창의성(4.11), 수업시간(4.10), 유익성(4.09), 흥미도(4.07), 참여 학생 수(4.04), 수강기간(4.01), 참여의향(4.00) 순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은 강사 만족도(4.32), 흥미도(4.29), 창의성(4.27), 이해도(4.25), 참여 만족도(4.22), 유익성(4.17), 수업시간(4.10), 참여의향(4.09), 수강기간(4.04), 참여 학생 수(3.98)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만족도에서 저학년은 강사만족도(4.34), 참여 만족도(4.28), 흥미도(4.27), 이해도(4.21), 유익성(4.17), 창의성(4.15), 수업시간(4.10), 참여의향(4.08), 수강기간(4.06), 참여 학생 수(4.02) 순으로 나타났다. 고학년은 이해도(4.24), 강사 만족도(4.23), 참여 만족도(4.19), 창의성(4.17), 흥미도(4.10), 유익성(4.09), 수업시간(4.09), 참여의향(4.01), 수강기간(3.99), 참여 학생 수(3.99)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참여자별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독서프로그램 참여자는 이해도(4.29), 강사 만족도(4.26), 참여 만족도(4.24), 유익성(4.17), 창의성(4.09), 참여의향(4.08), 수강기간(4.06), 흥미도(4.05), 수업시간(3.97), 참여학생 수(3.97) 순으로 나타났다. 문화프로그램 참여자는 강사 만족도(4.33), 수업시간(4.24), 참여 만족도(4.24), 창의성(4.21), 흥미도(4.17), 이해도(4.16), 유익성(4.09), 참여 학생 수(4.04), 참여의향(4.02), 수강기간(3.99) 순으로 나타났다.

    [<표 19>] 프로그램 내용 만족도 분석

    label

    프로그램 내용 만족도 분석

    이상과 같이 프로그램 내용의 만족도의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은 강사 만족도였고, 특히, 저학년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낸 것은 참여 학생 수로, 특히, 독서프로그램 참여자가 가장 만족스럽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이유는 저학년의 경우 강사와 상호작용이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며, 강사 만족도가 전체적으로 높은 이유는 각 도서관이 초등학생대상 독서문화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강사를 섭외하는 기준을 볼 때, 초등학생들이 프로그램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강사를 우선적으로 채용하기 때문에 학생들이 학교 선생님과는 달리 더 친근하고 편안하다고 평가한데 연유한 것으로 보인다. 독서프로그램의 참여 학생 수의 만족도가 낮은 이유는 문화프로그램보다 학생 수에 따라 수업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보이며, 전체적으로 참여 학생 수의 만족도가 낮은 것은 성별, 학년별 및 프로그램에 맞추어 참여학생을 모집하지 않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프로그램 내용 만족도를 집단별로 교차 분석한 결과 거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분석되었고, 독서프로그램과 문화프로그램 참여자 사이에 수업시간의 만족도에서만 유의수준 5%에 해당하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독서프로그램과 문화프로그램 사이에 실제적인 수업시간 길이는 큰 차이가 없으므로, 상대적으로 체험프로그램의 유형이 많은 문화프로그램의 수업시간 길이를 더 짧게 느껴 더 만족스러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3.4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도서관 시설의 만족도

    수원시 공공도서관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성별과 학년별 및 프로그램 참여자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표 20>에 따라 살펴보았다.

    [<표 20>] 도서관 시설 만족도 종합 분석

    label

    도서관 시설 만족도 종합 분석

    첫째, 성별에 따른 남학생의 점수가 높은 요인은 강의실 청결도(4.32), 편의시설(4.20), 시설 전반(4.19), 강의실 위치(4.10), 최적온도(4.04) 순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은 편의시설(4.28), 강의실 청결도(4.19), 강의실 위치(4.18), 시설 전반(4.11), 최적온도(3.99)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만족도에서 저학년은 편의시설(4.25),시설 전반(4.20), 강의실 위치(4.18), 강의실 청결도(4.18), 최적온도(4.00) 순으로 나타났다. 고학년은 강의실 청결도(4.33), 편의시설(4.23), 시설 전반(4.19), 강의실 위치(4.10), 최적온도(4.02)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그램 참여자별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독서프로그램 참여자는 편의시설(4.23), 강의실 청결도(4.18), 강의실 위치(4.16), 시설 전반(4.15), 최적온도(3.98) 순으로 나타났다. 문화프로그램 참여자 강의실 청결도(4.31), 편의시설(4.26), 시설 전반(4.24), 강의실 위치(4.12), 최적온도(4.04) 순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면 강의실 청결도와 편의시설은 모든 집단에서 만족스럽게 나타났고, 특히 강의실 청결도는 고학년에서, 편의시설은 여학생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최적온도는 모든 집단에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특히, 독서프로그램 참여자가 가장 만족스럽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강의실의 청결도는 고학년이 가장 청결하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편의시설의 경우 여학생의 만족도가 높은 이유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보다 편의시설을 자주 이용하여 편의시설에 대한 관심이 높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최적온도가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낸 이유는 최근 정부의 에너지절약 실천으로 실내온도를 정해진 기준에 맞추어 운영하기 때문에 당일 기온에 따라 온도의 조정이 어려워 최적온도의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도서관 시설 만족도를 집단별로 교차 분석하여 유의한지 분석한 결과는 모든 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분석되었다.

       4.3.5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지역특성화에 관한 사항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지역 특성화에 관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원시 공공도서관에서 초등학생 대상 독서문화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지역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지에 대한 사항을 조사하였다. 조사항목으로는 수원지역을 특성화 할 수 있는 문화프로그램 수강 경험, 선호하는 프로그램의 주제, 수원시 특성화 프로그램 참여 의향 등이 조사되었다. 그 결과 ‘수원시를 특성화한 초등학생 대상 독서문화프로그램을 수강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13명(7.1%)에 불과하였고, ‘수강한 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169명(92.9%)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분석 결과 성별, 학년별 차이 없이 수강 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많았다. 수원시 특성화 프로그램 수강경험을 학년별로 교차 분석한 결과 p값이 0.026으로 나타나 저학년과 고학년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분석되어 고학년이 향토문화강좌의 수강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시 특성화 프로그램에 참여해봤다고 응답한 초등학생들에게 참여한 프로그램을 조사 했을 때, ‘세계문화유산 화성바로알기’, ‘거중기 만들기’, ‘화성 북아트’, ‘우리 고장 이야기’, ‘정조이야기’, ‘수원에 관한 역사 수업’ 등 수원화성과 관련된 역사나 만들기 수업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둘째, 수원시를 특성화할 초등학생 독서문화 프로그램에 참여한다면 어떤 종류의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싶은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원의 역사’, ‘수원의 문화재’, ‘수원의 인물’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원시를 특성화할 독서문화프로그램을 개설한다면 참여할 의향이 있는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참여하겠다'고 응답한 어린이가 96.7%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참여하지 않겠다'고 응답한 어린이는 3.3%로 나타났다. ‘참여하지 않겠다'고 응답한 초등학생들의 이유는 학원 등으로 시간이 없어서, 바빠서, 흥미가 없어서 등으로 나타났다.

    5. 문제점 및 개선방안

    수원시 공공도서관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여 제기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담당자는 소속 도서관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독서문화프로그램 담당자들 사이에 정기적인 모임 및 온라인 협의체를 구성하여야 한다. 매년 늘어나는 프로그램으로 담당자들은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이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 상호 협력을 통하여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의 홍보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야한다. 도서관을 자주 찾지 않는 새로운 이용자를 끌어들일 수 있도록 방송, 지역신문, SNS 등 다양한 홍보활동이 필요하다.

    셋째, 전문 강사 채용을 위한 강사 인력풀을 구축하여한다. 독서문화프로그램 담당자들은 전문 강사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강사 인력풀을 구축한다면 전문 강사 채용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넷째, 독서문화프로그램을 위한 자원봉사자 모집을 위해 독서문화프로그램에 자원봉사를 활용하고 있는 도서관을 벤치마킹하거나 잠재적인 자원봉사자들을 위해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야한다. 또한 각 도서관의 동아리와 자원봉사 시스템을 연계하여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다섯째, 공공도서관의 독서문화프로그램을 위한 시설을 강당과 강의실에 국한시키지 말고 대규모의 독서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대규모 시설을 마련해야한다.

    여섯째, 사서 설문 결과 독서프로그램만 운영해야한다는 의견과는 달리 참여자의 설문 결과는 문화프로그램의 선호도가 높았다. 그 이유는 독서는 학습과 관련된 것이라는 인식 때문이었는데 독서프로그램에 대한 초등학생의 참여를 유발 시키도록 프로그램의 제목이나 주제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개발해야 한다. 또한 독서프로그램과 문화프로그램을 연계하여 초등학생에게 독서프로그램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독서문화프로그램의 내용이나 진행방식에 따라 참가 인원수를 조정하여 모집하여야 한다. 프로그램의 적정인원을 고려하지 않은 채 참여를 원하는 학생이 많다고 해서 다수의 학생을 모집한다면 프로그램의 질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참가 인원수의 조정이 필요하다.

    여덟째, 프로그램 운영 시 정해진 실내온도에 대한 안내를 충분히 하고 폭염 시 도서관 외부의 공원을 활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최적온도에 대한 불만을 줄여야 한다. 정부의 에너지 절약 실천으로 정해진 실내온도에 따라 프로그램을 운영 할 수밖에 없으므로 불만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홉째, 향토문화 강좌의 활성화를 위해 문화예술 정책 기관 및 향토문화예술단체와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하고, 향토문화강좌에 관심 많은 고학년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초등학생을 위한 수원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강사 채용 및 프로그램 운영을 연계하고 고학년을 대상으로 향토문화 강좌를 개발한다면 수원시 공공도서관의 향토문화강좌가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다.

    6. 결 론

    공공도서관은 사회적 변화에 따라 문화적 · 교육적 기능이 활성화 되면서, 이에 부응하기 위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다양한 독서문화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수요가 증가하기 시작하여 도서관은 초등학생이 학교 교육방식에서 벗어난 창의적인 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독서문화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지역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 11개 공공도서관에서 최근 5년 동안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원시 공공도서관의 초등학생 대상 독서문화프로그램은 최근 5년 동안 848개의 독서문화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그 중 북수원도서관과 경기평생교육학습관, 세 개의 어린이도서관이 프로그램의 운영횟수가 높았고, 향토문화강좌는 선경 도서관에서 가장 많이 운영하였다. 연도별로 독서프로그램은 2010년을 제외하고 계속 증가했으며, 문화프로그램 역시 계속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운영횟수는 매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 독서프로그램은 독서교실 및 독서지도를 가장 많이 운영하였으며, 문화프로그램은 미술 및 만들기, 과학, 역사가 많이 운영되고 있었다.

    둘째, 프로그램에 대한 기획 및 평가에 대한 분석으로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을 위한 도서관 시설은 강당 또는 강의실이 마련되어 있었다. 담당자들은 전반적으로 프로그램 운영에는 긍정적이었으나 독서프로그램만을 운영해야한다는 의견이 많았고, 어린이의 독서습관 향상과 도서관 이용습관을 위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프로그램 계획은 학부모 및 전년도 프로그램을 반영하여 담당자가 주도적으로 프로그램의 기획을 할 수 있었다. 홍보방법은 도서관 내부 홍보물과 인터넷을 통해 홍보하고 있었고,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및 전담직원 부족 등을 프로그램 운영 시 문제점이라고 생각하였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참여어린이 의견과 반응을 조사하여 판단하고 있었고,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 전문 강사와 전담직원의 확보가 시급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이용자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부모님 권유에 의해 참여한 학생이 많았고, 남학생은 공부할 때 도움이 되기 위해, 여학생은 책 읽는 것이 좋아서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프로그램의 내용 및 방법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었고, 선호하는 프로그램은 문화프로그램인 반면에 독서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더 많다고 조사되었다. 참여자들은 방학과 주말프로그램을 선호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의 프로그램 내용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강사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참여 학생 수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또한, 독서프로그램의 참여 선호도는 문화프로그램에 비해 낮았으나, 참여자의 프로그램 참여 후 조사한 흥미도는 독서프로그램이 문화프로그램보다 높았으며, 참여 만족도에서는 독서프로그램과 문화프로그램이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집단별 분석결과 수업시간 만족도에서 독서프로그램과 문화프로그램 참여자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도서관 시설은 강의실 청결도와 편의시설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최적온도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지역 특성화 프로그램은 대부분의 학생이 참여 경험이 없었으나 참여의향에는 긍정적으로 응답하였고, 향토문화강좌를 선호하는 학생은 고학년이 많았다. 학생들은 수원의 역사에 대해 가장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수원시 11개 공공도서관은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에 지역주민의 참여와 관심 뿐 만 아니라 참여자의 만족도도 매우 높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수원시 공공도서관의 초등학생대상 독서문화프로그램 운영 시 참고자료로 활용하고, 독서문화프로그램의 참여자의 요구에 맞게 문제점을 개선하고, 수원시 고유의 독서문화프로그램을 개발하며, 수원시 공공도서관의 다양한 주제의 실증적인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과천시정보과학도서관 google
  • 2. 광진정보도서관 google
  • 3. 경기도립중앙도서관 google
  • 4. 경기평생교육학습관 google
  • 5. 김 규열 2004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 경기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google
  • 6. 김 수희 2009 『제주지역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실태분석 및 이용자 만족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google
  • 7. 노원어린이도서관 google
  • 8. 도 현주 2007 『문화프로그램 이용자의 만족도 및 충성도 분석: 서울시 강서지역 공공도서관과 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google
  • 9. 로스앤젤레스공공도서관 google
  • 10. 맨체스터중앙도서관 google
  • 11. 목포시립도서관 google
  • 12. 2007 『도서관문화프로그램 지원방안 연구』 google
  • 13. 박 규언 2010 『전라남도 공공도서관 아동 학습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google
  • 14. 버밍햄 중앙도서관 google
  • 15. 샌프란시스코공공도서관 google
  • 16. 서울시립어린이도서관 google
  • 17. 수원시도서관사업소 google
  • 18. 수원시청 google
  • 19. 심 혜정 2013 『광주광역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이용자 만족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google
  • 20. 유 송숙 2005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독서교육 활성화를 위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google
  • 21. 오사카중앙도서관 google
  • 22. 일본국제어린이도서관 google
  • 23. 조 찬식 2008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실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2 P.171-188 google cross ref
  • 24. 최 정아 2010 『공공도서관 어린이 이용자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google
  • 25. 홍 성미 2004 『초등학생의 공공도서관 행사 참여도가 도서관 이용률에 미치는 영향: 대전광역시 용운 도서관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google
  • 26. 황 금숙 2008 바람직한 독서문화 진흥을 위하여 [『도서관문화』] Vol.49 P.35-43 google
  • 27. Cerny Rosanne, Markey Penny, Williams Amanda 2006 Outstanding Library Service to Children: Putting the Core Competencies to Work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유형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유형
  • [ <표 2> ]  수원시 공공도서관 현황
    수원시 공공도서관 현황
  • [ <표 3> ]  독서문화프로그램 실태분석
    독서문화프로그램 실태분석
  • [ <표 4> ]  담당자 설문지 조사 항목
    담당자 설문지 조사 항목
  • [ <표 5> ]  참여자 설문지 조사 항목
    참여자 설문지 조사 항목
  • [ <표 6> ]  담당자의 성별, 연령, 직급 분석
    담당자의 성별, 연령, 직급 분석
  • [ <표 7> ]  담당자의 자격증 분석
    담당자의 자격증 분석
  • [ <표 8> ]  유형별 독서문화프로그램 운영 경험
    유형별 독서문화프로그램 운영 경험
  • [ <표 9> ]  운영 목적
    운영 목적
  • [ <표 10> ]  자원봉사자 활용 여부
    자원봉사자 활용 여부
  • [ <표 11> ]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운영 시 문제점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운영 시 문제점
  • [ <표 12> ]  도서관 서비스 중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중요성
    도서관 서비스 중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중요성
  • [ <표 13> ]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초등학생 독서문화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 [ <표 14> ]  참여자의 일반적 사항 분석
    참여자의 일반적 사항 분석
  • [ <표 15> ]  프로그램 참여 이유 분석
    프로그램 참여 이유 분석
  • [ <표 16> ]  프로그램 참여시 선택 기준 분석
    프로그램 참여시 선택 기준 분석
  • [ <표 17> ]  유형별 프로그램 선호도 분석(중복응답)
    유형별 프로그램 선호도 분석(중복응답)
  • [ <표 18> ]  참여 프로그램 분석
    참여 프로그램 분석
  • [ <표 19> ]  프로그램 내용 만족도 분석
    프로그램 내용 만족도 분석
  • [ <표 20> ]  도서관 시설 만족도 종합 분석
    도서관 시설 만족도 종합 분석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