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사서교사의 자아상 검사 도구 개발과 자아상 분석*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easurement Tool and Analysis of Self Images for Teacher Librarians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사서교사의 자아상 검사 도구 개발과 자아상 분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easurement tool for self-image of the teacher librarian by semantic differential meaning scale and to analyse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self-image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eacher librarians have regarded themselves as friendly, planned, sensitive and cooperative persons as well as persons with discernmen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some negative self-images such as partial, poor and uninfluential persons plus disregarder and a reserved persons. The educational career of teacher librarians’ background has influence on evaluation area of the self-image. This result shows that senior teacher librarians’ role performance as a adviser or a leader is very important. So mediator role of KLA and KSLA has to be reinforced to beat the exchange and collaboration between the senior and the junior teacher librarians. It is necessary to appoint the teacher librarians obligatorily in oder to feel their professional security and sense of achievement, also to appreciate expertise of them through role clarification among the human resources of the school library.

KEYWORD
사서교사 , 자아상 , 의미변별법 , 학교도서관
  • 1. 서 론

       1.1 연구 필요성

    자기주도 학습과 자원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교 교육과정 운영과 교수법이 학교도서관의 정보관리지식은 물론 정보활용능력과 밀접하게 연계되면서 사서교사의 자격과 교육적 역할이 강조되는 추세이다(ASLA 2000).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듯 『학교도서관 지침』(IFLA and UNESCO 2002)에서는 보조직원으로 사서교사를 대체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분명히 밝히면서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인쇄자료 중심의 전통적인 학교도서관이 미디어센터와 자원기반 학습을 위한 환경으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국내 학교도서관에 대한 정책과 제도는 사서교사의 배치와 역할에 대해서 여전히 불분명한 상태이다. 특히 2003년~2007년에 진행된 『학교도서관활성화사업』에서는 사서교사 배치보다는 겸임사서교사 활용, 담당교사 지정, 계약제 사서 배치, 순회사서 및 도우미 활용 등 다양한 전담인력 확보 방안이 시행되었다(교육인적자원부 2002, 14). 『학교도서관활성화사업』 전 · 후의 학교도서관 담당 인력자원의 변화를 보면, 2002년에 164명에 불과하던 사서교사 수가 2007년에 537명으로 늘어나고, 2011년 현재 753명으로 증가하였다. 반면에 2002년에 880명 수준이던 계약직 사서는 2007년에 2,552명으로 다시 2011년 현재 4,641명(문화체육관광부 2012, 63)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이 전문사서 등 전문인력 부족(이희수 2002, 35-36)이라는 정책 개발 단계에서의 현장 의견이나, 정책 시행 1년 이후 실시한 사업 평가에서 학교장과 담당교사들이 바라는 가장 시급한 개선책이 전문사서교사의 임용배치(변우열 외 2003, 46-51)라는 요구를 외면한 결과이다. 비전문가에 의한 학교도서관 운영의 확대는 『학교도서관진흥법』(법률 제8852호)에서 정한 사서교사 배치에 관한 임의조항이 여전히 한 몫을 하고 있다.

    학교도서관의 역할 수행에 적합한 사서교사 배치가 뒷받침되지 못하면서 사서교사 스스로자신의 역할과 직무 범위에 대한 공통된 인식을 갖추는 것이 어렵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으로 교육공동체 구성원들이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일관성 없는 경험을 하거나 사서교사의 존재 가치에 대한 혼란을 초래하였다(정진수 2008, 298-299). 즉 사서교사의 경우 사서교사 스스로 전문가로서의 내적 신념이 일반화되지 못한 상황이다. 또한 학교 공동체 구성원이 사서교사에 대해서 갖는 가치와 태도, 인상이나 느낌 등이 학교도서관의 변화에 맞추어 제대로 정립되지 않았다.

    자기 자신의 직무나 역할에 대하여 긍정적인 지각을 가지는 것은 전문적인 교과 지식이나 단순한 기술 이상으로 교수자의 역량을 최대한 신장시킬 수 있는 자원이다(이학주 2000, 200). 또한 사서교사의 성공은 학교도서관에서 수행하는 서비스에 의해서 달라질 수 있으나, 성공여부는 자신에 대한 믿음과 자신의 일에 대한 믿음으로 평가된다(Prostano and Prostano 1999, 29). 따라서 사서와 교사의 이중적 역할 수행에서 제도와 정책의 한계에 직면해있는 사서교사의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교사상 정립을 위한 경험적인 자료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1.2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의미변별법(semantic differential meaning scale)을 이용하여 사서교사의 시각에서 자신의 자아상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개인별 특성과 자아상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사서교사가 긍정적인 자아상을 개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사서교사의 자아상

    일반적으로 자아상이란 ‘나는 누구인가?’ 또는 ‘자신을 어떻게 느끼는가?’에 대한 개인의 느낌이나 생각을 의미한다(조수재 2006, 4). 그러나 자아상은 자아를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인식하는 면과 자신에 대한 느낌과 관련지어 인식하는 면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각 개인이 ‘나’를 어떻게 보느냐 하는 것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타인이 ‘나’를 어떻게 보는가에 대한 본인의 생각이나 느낌이 개인의 자아상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 특히 교사자신의 시각에서 본 자아상은 교사의 의사결정과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불확실한 교수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반성적 사고의 발달과 학생의 교사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준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임승렬 2003, 317). 따라서 사서교사의 자아상이란 사서교사가 자기 스스로를 지각하는 이미지나 모습 그리고 교육 공동체 구성원 간에 상호작용 과정에서 받아들이고 있는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이라고 할 수 있다.

    교사의 자아상 내지 교사상에 대한 관심은 교사의 권위가 실추되고 있는 교육 환경에서 스스로 자신의 모습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고, 교사의 자아존중감이 학생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끼친다는 측면에서 비롯되었다. 사서교사의 경우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배치가 제도적으로 제한된 상태에서 사서와 실기교사(사서) 등 학교도서관에 둘 수 있는 다른 자격을 갖춘 인적자원과의 직무가 불분명하다. 또한 시 · 도교육청 단위로 추진 중인 학교도서관 실무사나 사서 실무사 등 무기 계약직의 확대 정책 속에서 전문직으로서의 위기감은 물론 교육적 역할을 두고 담당교사와의 경쟁도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부정하고 있는 이러한 국내 상황은 사서교사와 보조직원의 자격과 역할을 분명히 구분하고 있는 『학교도서관 선언』 (IFLA/UNESCO 1998)이나 『학교도서관 지침』(IFLA/UNESCO 2002)과 같은 국제 기준의 취지와는 맞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사서교사 제도를 유지하고 있는 미국과 호주 등의 관련 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교수자로서의 역할과도 많은 차이가 있다. 미국의 학교도서관 기준(AASL/AECT 1998)에서는 사서교사의 역할을 교사, 교수 파트너, 정보전문가 그리고 프로그램 경영자로 명시하고 있다. 그리고 호주는 사서교사의 전문성 기준(ALIA 2009)에서 사서교사를 ‘도서관과 정보의 효과적인 운영과 평생학습인 양성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학교 공동체의 비전을 지원하고 수행하는 전문가’로 정의하고 있다.

    이처럼 사서교사가 교사나 교수 리더로서의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정보활용능력을 거의 모든 교과와 통합할 수 있도록 다른 교사들을 돕고, 학교나 지역 교육위원회에 참가하여 학습 정보원, 정보활용능력, 공학기술 그리고 학생의 정보 요구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기 때문이다(Sonnon 2009). 교과교사와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Brown and Sheppard 1998)에서도 사서교사는 교사와 동일하게 교사로서의 자아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장과 동료교사들로부터 교사로서 인정받기 위해서는 교수자로서의 역할을 보여줄 수 있는 자원기반학습 수행 능력을 갖추어야 한 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국내의 경우 사서교사의 자아상에 대한 연구는 주로 동료 교사, 학부모 그리고 학생이 생각하는 사서교사에 대한 이미지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도에 대한 연구(박경래 2005; 유길호 2006)와 학부모의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도 연구(장석영 2008)를 보면, 학무모와 일반교사의 경우 사서교사의 존재 가치에 대해서는 상당히 우호적이다. 그러나 사서교사를 교수 파트너보다는 시간적 여유가 많고, 어렵지 않은 업무를 수행하는 자료 관리자나 제공자의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다. 학생의 사서교사에 대한 이미지에 대한 연구(서영민 2005)를 보면, ‘사서직을 정적이고 단순한 업무가 반복되는 지루한 직업’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사서교사는 일반교사와는 달리 수업을 하지 않고 학생을 도와주는 존재’로 여기고 있다. 특히 고등학생의 경우 학부모와 마찬가지로 사서교사가 선호하는 직업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서교사가 배치된 경우 ‘자료의 선정과 제공, 독서교육, 정보제공 및 제공에 도움을 주는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자기 인식을 보면 (신승주 2007), 교수-학습이론과 적용 방법에 숙달하고 교과교사와 대등한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여기고 있지만, 독서지도나 도서관 이용지도에 비해서 협동수업에 대한 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사서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정진수 2008)에서도 도서관 운영에 대한 역할에 비해서 교사로서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직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정도를 보면(김성준 2009), 학교도서관 경영과 교육영역에 높은 전문성을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양성과정에서는 정보검색과 자료 조직 등의 과목을 보다 많이 이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이 사서교사의 자아상에 대한 연구는 교과교사나 학부모, 학생이 생각하는 이미지에 연구와 전문성에 대한 인식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서교사의 교수자로서의 전문성이 사서직 내에서조차 확립되지 못한 상황에서 의사결정과 교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서교사 자신의 시각에서 본 자아상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2.2 의미변별법

    의미변별법은 1950년대 미국 일리노이 대학에서 Osgood과 그의 동료들이 다양한 사물, 인간, 사상 등 추상적 대상에 대한 개념의 의미를 정의적 특성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한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각 개념의 의미와 관련된 양극적인 뜻을 가진 형용사군을 활용한다. 즉 양극 의 형용사(예: 순진하다-불순하다) 사이를 5단계나 7단계로 나누어 놓은 척도에서 피험자로 하여금 어떤 개념이 양극적인 뜻을 가진 형용사 중에서 어느 정도로 생각되는지 표시하게 함으로써 피험자가 갖고 있는 개념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다(임상직 2003, 5). 이를 통해서 특정개인이나 집단이 하나의 개념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가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지각의 측정뿐만 아니라 태도나 가치 등을 측정하는 유용한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임승렬 2003, 321).

    의미변별법에 의한 교사의 자아상 측정에 대한 연구로는 박경숙 (1974), 이학주 (2000), 임승렬 (2002) 등이 있다. 우선 박경숙 (1974)은 40쌍 의 형용사(<표 1> 참조)를 사용하여 5점 척도로 ‘선생의 이미지’를 측정하였다. 측정에 사용한 형용사는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 21명이 가장 많이 자유연상 한 ‘선생’이라는 단어에 대한 형용사 21쌍과, 1964년에 장동환이 ‘한국어의 의미론적 구조’에서 제시한 한국어의 의미 차원6개 요인 중 부하량이 0.5 이상인 형용사 24쌍이다. 이 중에서 자유연상 결과와 중복된 형용사는 5쌍이다.

    [<표 1>] 선생(교사)의 자아상 검사를 위한 형용사군(박경숙)

    label

    선생(교사)의 자아상 검사를 위한 형용사군(박경숙)

    이학주 (2000)는 박경숙 (1974)의 연구에서 사용한 40쌍의 형용사를 사용하여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개별적 요인 특성(성별, 경력별, 학교 급별)에 따른 자아상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가 스스로에 대하여 갖고 있는 이미지는 전체적으로 긍정적이기는 하지만, 능력보다는 인격적인 면에 훨씬 강한 지지를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경향은 여교사, 초등학교 교사, 경력이 많은 교사 그리고 중 · 소도시에 근무하는 교사에게서 보다 강하게 나타났다.

    임승렬 (2002)은 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치원교사 25명이 자유연상으로 추출한 형용사 32쌍과 박경숙 (1974)이 연구원을 대상으로 자유연상 기법을 적용하여 개발한 21쌍의 형용사를 이용하여 전문가 검토 작업과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한 검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45쌍의 형용사로 구성된 5점 척도의 유치원 교사의 자아상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요인 분석결과 나타난 유치원 교사의 4가지 자아상 요인은 교사의 사회적 평가, 교사의 태도, 교사의 자질, 교사의 역할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개인적 배경 변인에 따른 자아상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경력이 많을수록 부정적인 자아상을 갖고 있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자아상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경원 등 (2006)은 이학주 (2000)의 의미변별 척도를 수정 적용하여 38쌍의 형용사로 특수학교 교사의 자아상을 측정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자아상의 영역을 활동, 평가, 능력, 자질, 역할 등 5개로 구분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자유 연상법을 통해서 교사의 자아상 검사 도구가 개발되었으며, 자아상을 구성하는 요인과 개인별 특성에 따른 분석이 교사 군별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의미변별법에 의한 자아상 검사 도구 개발 및 측정 방법

       3.1 의미변별법에 의한 자아상 검사 도구 개발

    사서교사의 자아상 검사 도구 개발은 ‘예비연구-적합성 검토-신뢰도 검증’과정(<그림 1> 참조)을 거쳐서 이루어졌다. 예비 연구는 ○○대학 교육대학원에 재학 중인 사서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예비 연구 대상자에게 ‘사서교사를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과 ‘사서교사와 관련해서 떠오르는 단어’를 자유롭게 연상하여 적도록 한 후, 함께 읽어가면서 사서교사의 자아상 관련 형용사 44개 쌍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형용사는 먼저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 형용사를 먼저 추출하고 국어사전을 활용하여 각 형용사의 상대적 개념을 가진 형용사를 찾은 다음 ‘긍정적-부정적’ 개념을 가진 형용사 쌍을 설계한 후, 현직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국어학 전문 교사 1인의 자문 및 검토를 거쳐서 완성하였다. 다음으로 문헌정보학 전문가 1인, 예비 연구대상 사서교사 20명과 함께 선택한 형용사의 적합성 정도를 검토하였다. 이 과정에서 ‘순진하다-불손하다, 어렵다-쉽다, 복잡하다-단순하다, 공격적이다-방어적이다’ 등 의미가 불분명하거나 다른 형용사와 의미가 중복되는 4쌍의 형용사를 제외시켰다. 끝으로 40개의 형용사 쌍을 박경숙 (1974)의 4가지 요인(평가요인, 능력요인, 정신적 · 사변적요인, 활동성 요인)과 임경원 등 (2006)이 활용한 5개 영역(능력 · 평가 · 역할 · 활동 · 평가 · 자질)을 참고하여 구분하고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렇게 의미변별법을 활용하여 개발한 40쌍의 형용사 쌍과 신뢰도 검증 결과(Cronbach’s α=.947)를 정리하면 <표 2>와 같다.

    [<표 2>] 의미변별법을 활용한 사서교사 자아상 검사 도구용 형용사 쌍 및 신뢰도 검증 결과

    label

    의미변별법을 활용한 사서교사 자아상 검사 도구용 형용사 쌍 및 신뢰도 검증 결과

    본 연구에서는 사서교사의 자아상을 측정하기 위해서 개발한 의미변별법(형용사 쌍)의 문항을 다음 <표 3>과 같이 Likert 5점 척도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점수가 높을수록 부정적인 경향을 나타낸다.

    [<표 3>] 의미변별법의 문항 구성(예)

    label

    의미변별법의 문항 구성(예)

       3.2 연구 대상 및 측정 방법

    개발한 사서교사 자아상 검사 도구를 적용하기 위하여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의 도움을 얻어 16개 시 · 도교육청 소속 사서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2012년 9월 1일부터 9월 31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사서교사는 140명으로 70%의 회수율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서교사의 자아상을 구성하는 요인과 개인별 특성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교사 개인별 배경 변인(<표 4> 참조)을 경력, 근무지, 근무학교 급 그리고 학교 설립 형태로 구분하였다.

    [<표 4>] 자아상 분석을 위한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

    label

    자아상 분석을 위한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

    회수된 설문지 중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아상 각 문항(형용사쌍)에 대해서는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기술통계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 특성에 따른 자아상 영역 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T-Test와 One Way Anova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은 유의수준 p<.05, p<.01, p<.001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WIN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4. 자아상 측정 결과

       4.1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특징

    자아상 측정에 참여한 140명의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특징을 살펴보면(<표 5> 참조), 우선 경력 5년 이상 10년 미만의 사서교사의 비율 이 62.9%로 가장 높고, 학교 급별로는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경우가 4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근무학교의 소재지는 시 · 군지역이 34.3%, 학교 유형별로는 국 · 공립학교 근무자가 81.4%를 차지했다.

    [<표 5>]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특성

    label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특성

       4.2 영역별 기술 통계량 분석

    사서교사의 자아상 검사 영역별 기술통계량 분석 결과(<표 6> 참조), 평균값이 2.09인 것으로 나타나 매우 긍정적인 자아상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보면, 사서교사는 스스로를 ‘친절하고 계획적이며 섬세하고 협조적일 뿐만 아니라 분별력을 갖추고 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불공평하고 초라하며 영향력 없고 무시당할 뿐만 아니라 비활동적’이라고 여기는 부정적인 자아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역별로는 능력(M=1.81)과 자질(M=1.91)에 대한 자아상이 높은 반면, 활동(M=2.06), 평가(M=2.22) 그리고 역할(M=2.37)영역의 자아상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측정 문항별로는 활동 영역의 ‘친절한- 불친절한’(M=1.56)과 능력 영역의 ‘계획적인- 충동적인’(M=1.57) 문항의 자아상이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평가영역의 ‘후련한- 답답한’(M=2.98) 문항이 매우 낮은 자아상을 보였다. 영역별 평가 문항별로 가장 긍정적인 자아상을 보인 항목을 살펴보면, 평가 영역은 ‘섬세한- 둔한’(M=1.69), 역할 영역은 ‘협조적인- 비협조적인’(M=1.75) 그리고 자질 영역에서는 ‘분별력 있는 - 분별력 없는’ (M=1.79) 항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6>] 사서교사의 자아상 검사 영역별 기술통계량 분석 결과

    label

    사서교사의 자아상 검사 영역별 기술통계량 분석 결과

    한편 영역별로 가장 낮은 자아상을 보인 문항은 능력 영역 ‘공평한- 불공평한’(M=2.09), 활동 영역 ‘우아한- 초라한’(M=2.87), 역할 영역 ‘영향력 있는- 영향력 없는’(M=2.89), ‘존경받는- 무시당하는’(M=2.88), 자질 영역 ‘활동적인- 비활동적인’(M=2.16)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4.3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자아상 차이 분석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능력 영역에 대한 자아상(<표 7> 참조) 평균 점수를 비교한 결과, 교육경력이 15년 이상(M=1.63)된 사서교사가 가장 긍정적이고, 경력 5년에서 10년 미만(M=1.98)의 사서교사가 가장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 학교별로는 고등학교(M=1.88)에 근무하는 사서교사의 자아상 평균 점수가 긍정적인 반면에 중학교(M=2.01)에 근무하는 사서교사가 다소 부정적이었다. 소재지별로는 특별시(M=1.83)에 비해서 광역시(M=2.01)에 근무하는 사서교사의 자아상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학교 설립 유형별로는 사립학교(M=1.81)에 근무하는 사서교사의 능력에 대한 자아상이 국 · 공립학교(M=1.93)에 비해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로 유의미한 차이(p<.05)는 나타나지 않았다.

    [<표 7>]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능력 영역>에 대한 자아상 차이 검증 결과

    label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능력 영역>에 대한 자아상 차이 검증 결과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평가 영역에 대한 자아상(<표 8> 참조)은 교육경력 15년 미만 까지는 상대적으로 부정적(M=2.18~2.29)이지만, 경력 15년 이상(M=1.59)을 넘어서면서 매우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변화(p<.05)가 나타났다. 근무학교별로는 초등학교(M=2.19)에 근무하는 사서교사의 자아상이 가장 긍정적이고, 소재지별로는 특별시(M=2.06) 그리고 학교 설립 유형별로는 사립학교(M=2.09)에 근무하는 사서교사의 자아상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는 나타나지 않았다.

    [<표 8>]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평가 영역>에 대한 자아상 차이 검증 결과

    label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평가 영역>에 대한 자아상 차이 검증 결과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활동 영역에 대한 자아상(<표 9> 참조)은 경력 15년 이상(M=1.68)된 사서교사의 자아상이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급별로는 중학교(M=2.02), 소재지별로는 특별시(M=2.01)에 근무하는 사서교사의 자아상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학교의 설립 유형별로는 국·공립학교와 사립학교(M=2.06)가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는 나타나지 않았다.

    [<표 9>]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활동 영역>에 대한 자아상 차이 검증 결과

    label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활동 영역>에 대한 자아상 차이 검증 결과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역할 영역에 대한 자아상(<표 10> 참조) 역시 경력 15년 이상(M=1.86)된 사서교사가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급별로는 초등학교(M=2.31), 소재지별로는 특별시(M=2.27) 그리고 학교 설립 유형별로는 사립학교(M=2.31)에 근무하는 사서교사의 자아상이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는 나타나지 않았다.

    [<표 10>]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역할 영역>에 대한 자아상 차이 검증 결과

    label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역할 영역>에 대한 자아상 차이 검증 결과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자질 영역에 대한 자아상은(<표 11> 참조), 경력 15년 이상(M=1.61)된 사서교사의 자아상이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급별로는 초등학교(M=1.83), 소재지별로는 시 · 군 이하 지역(M=1.84)에 근무하는 사서교사의 자아상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 설립 유형별로 는 동일한(M=1.91) 자아상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는 나타나지 않았다.

    [<표 11>]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자질 영역>에 대한 자아상 검증 결과

    label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자질 영역>에 대한 자아상 검증 결과

    5. 결론 및 제언

       5.1 결론

    의미변별법을 활용한 사서교사의 자아상 검사 결과 교과교사와 학부모 및 학생이 생각하고 있는 사서교사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도 불구하고, 사서교사 스스로는 매우 긍정적인 자아상(M=2.09)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사서교사는 자신을 ‘친절하고 계획적이며 섬세하고 협조적일 뿐만 아니라 분별력을 갖추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불공평하고 초라하며 영향력 없고 무시당할 뿐만 아니라 비활동적’이라고 여기는 부정적인 자아상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사서 교사는 능력과 자질 영역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하고 있지만, 활동, 평가, 역할과 관련해서는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자아상의 검증결과, 교육경력이 사서교사 스스로 자신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하는 평가 영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경력이 15년이 넘어서면서 긍정적인 자아상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근무학교, 소재지 및 학교 설립 유형 등 나머지 배경 변인은 자아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상적인 점은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교육경력 15년 이상 된 사서교사가 평가 영역 이외에 능력, 활동, 역할, 자질 등 전 영역에 걸쳐서 평균 1점대의 매우 긍정적인 자아상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특별시에 근무하는 사서교사의 경우 능력, 평가, 활동 및 역할 영역에 대한 자아상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근무학교 급별로는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사서교사가 평가, 역할, 자질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자아상을 보였다. 학교 유형별로는 국 · 공립학교에 비해서 사립학교에 근무하는 사서교사가 능력, 평가, 역할 영역에서 긍정적인 자아상을 보이고 있다.

       5.2 제언

    교육 경력 15년 이상 된 사서교사의 평가 영역에 대한 자아상이 높다는 점은 사서교사 상호 간의 교류의 필요성과 선배 사서교사의 조언자내지는 리더로서의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상호교류와 선배 사서교사의 리더십의 중요성은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가 처해 있는 내 · 외적 환경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문헌정보학계 내적으로는 그 동안 지속된 학교도서관의 침체로 인해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사서교사 양성 영역이 크게 정체되어 왔고, 『학교도서관활성화사업』 등으로 상황이 바뀌고 있는 현재까지도 개선의 조짐은 별로 나타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김종성 2006). 또한 외부적으로는 무자격 비정규직의 확대 배치와 자격 유형 간 역할 구분이 혼재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회적으로는 존경을 받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교수자로서의 역할 제한으로 전문직의 자율성마저도 일부 침해받고 있는 실정이다(송기호 2010).

    사서교사의 상호 교류 정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2012년도 전국도서관운영평가 결과상의 직무관련 연구 모임 참여율을 살펴보면, 10점 만점에 3.3점으로 겨우 33%의 도달률을 보이고 있다(대통령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2013, 205). 따라서 긍정적인 자아상을 가진 선배 사서교사와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자아상을 가진 후배 사서교사의 교류와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한국도서관협회나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의 중재자로서의 역할이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들 기관이 사서교사 관련 협의회 운영과 직무연수를 개발할 때에는 권역별, 학교 급별로 통합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사서교사용 교원능력개발 평가지표별로 설계한 맞춤형 연수과목에 대한 사서교사의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송기호 2011)를 보면, 사서교사는 주로 교육정보봉사 영역과 관련된 연수과목을 핵심 업무로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용 콘텐츠 개발과 수업용 자료 개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규 사서교사가 교육 현장에서 기대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긍정적인 자아상을 가질 수 있도록 사서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 교육정보봉사 영역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사서교사의 배치를 의무화하여 안정적인 수급 계획을 마련함으로써 사서교사가 직업적 안정감과 성취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학교 도서관진흥법』을 개정하여야 한다. 또한 사서교사, 사서, 실기교사(사서) 등 학교도서관에 두는 인적자원의 자격 유형에 따른 명확한 역할 구분을 통해서 전문성을 인정하는 제도적 뒷받침도 뒤따라야 하겠다.

참고문헌
  • 1. 2002 『좋은 학교도서관 만들기: 學校圖書館活性化綜合方案』 google
  • 2. 2010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09년도 추진실적』 google
  • 3. 국가법령정보센터. [online] google
  • 4. 권 은경 2007 사서교사의 전문성이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경상북도 학교도 서관의 운영 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28 P.247-276 google
  • 5. 김 성준 2009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 · 정보학회지』] Vol.40 P.249-270 google
  • 6. 김 종성 2006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내용과 교육의 전략적 강조 점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17 P.135-159 google
  • 7. 2012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11년도 시행계획 추진실적(중앙행정기관)』 google
  • 8. 2013 『2012 전국도서관운영 평가 결과보고서』 google
  • 9. 박 경래 2005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google
  • 10. 박 경래 1974 意味辨別法에 의한 ‘선생’의 이미지 測定 [『한국교육』] Vol.1 P.61-73 google
  • 11. 박 화윤, 최 인숙, 천 은영 2003 예비 유아교사의 자아상태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Vol.34 P.339-355 google
  • 12. 변 우열 2003 『2003년도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 평가』 google
  • 13. 유 길호 2006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google
  • 14. 서 영민 2005 『사서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google
  • 15. 송 기호 2009 학교도서관 기준의 사명과 비전에 나타난 핵심 가치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 · 정보학회지』] Vol.40 P.225-247 google
  • 16. 송 기호 2010 사서교사의 허약한 직업적 존재감 실태와 출구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 · 정보학회지』] Vol.41 P.317-337 google
  • 17. 송 기호 2011 사서교사의 맞춤형 심화연수 프로그램용 연수과목에 대한 선호도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5 P.163-183 google
  • 18. 신 승주 2007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자기 인식: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google
  • 19. 이 병기 2008 『학교도서관경영통론』 google
  • 20. 이 학주 2000 미변별법으로 측정한 교사의 자아상 [『한국교사교육』] Vol.17 P.183-205 google
  • 21. 이 희수 2002 『학교도서관 활성화 대책 수립 계획 연구』 google
  • 22. 임 경원 2006 특수학교 교사의 자아상: 의미 변별척도의 적용 [『정서 · 행동장애연구』] Vol.22 P.213-233 google
  • 23. 임 상직 2003 『의미변별법에 의한 초등 학교장의 이미지 분석』. 석사학위논문 google
  • 24. 임 승렬 2003 유치원교사의 자아상(self-image) 검사도구개발과 자아상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P.315-332 google
  • 25. 장 동환 1964 한국어의 의미론적 구조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논문집』] Vol.9 P.191-206 google
  • 26. 장 석경 2008 『학부모의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google
  • 27. 정 진수 2008 초등학교 사서교사의 역할 인식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3 P.281-306 google
  • 28. 조 수재 2006 『초등학교 교사의 자아상과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상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google
  • 29. 한 윤옥 2001 전문직으로서의 사서교사에 대한 사회문화적 전망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5 P.211-234 google
  • 30. 홍 정원 2008 『일반교사의 정규직 사서교사와 계약직 사서에 대한 인식도 차이』. 석사학위논문 google
  • 31. 2009 Standards of professional excellence for teacher librarians. [online] google
  • 32. 2000 Policy Statement-School Library Bill of lights. [online] google
  • 33. Jean Brown, Sheppard Bruce 1998 “Teacher-librarians: Mirror images + the spark.”. [online] [Emergency Librarian] Vol.25 google
  • 34. 1998 School Library Manifesto. [online] google
  • 35. 2002 School Library Guidelines. [online] google
  • 36. Prostano Emanuel T., Prostano Joyce S. 1999 The School Library Media Center google
  • 37. David Sannon 2009 “Teacher-Librarians are Instructional Leaders.” [Medium] Vol.33 P.33-34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선생(교사)의 자아상 검사를 위한 형용사군(박경숙)
    선생(교사)의 자아상 검사를 위한 형용사군(박경숙)
  • [ <그림 1> ]  의미변별법을 활용한 자아상 검사 도구 개발 절차
    의미변별법을 활용한 자아상 검사 도구 개발 절차
  • [ <표 2> ]  의미변별법을 활용한 사서교사 자아상 검사 도구용 형용사 쌍 및 신뢰도 검증 결과
    의미변별법을 활용한 사서교사 자아상 검사 도구용 형용사 쌍 및 신뢰도 검증 결과
  • [ <표 3> ]  의미변별법의 문항 구성(예)
    의미변별법의 문항 구성(예)
  • [ <표 4> ]  자아상 분석을 위한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
    자아상 분석을 위한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
  • [ <표 5> ]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특성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특성
  • [ <표 6> ]  사서교사의 자아상 검사 영역별 기술통계량 분석 결과
    사서교사의 자아상 검사 영역별 기술통계량 분석 결과
  • [ <표 7> ]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능력 영역>에 대한 자아상 차이 검증 결과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능력 영역>에 대한 자아상 차이 검증 결과
  • [ <표 8> ]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평가 영역>에 대한 자아상 차이 검증 결과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평가 영역>에 대한 자아상 차이 검증 결과
  • [ <표 9> ]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활동 영역>에 대한 자아상 차이 검증 결과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활동 영역>에 대한 자아상 차이 검증 결과
  • [ <표 10> ]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역할 영역>에 대한 자아상 차이 검증 결과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역할 영역>에 대한 자아상 차이 검증 결과
  • [ <표 11> ]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자질 영역>에 대한 자아상 검증 결과
    사서교사의 배경 변인별 <자질 영역>에 대한 자아상 검증 결과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