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문헌정보학 교재개발방법 제안 및 실제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LIS Textbooks
  • 비영리 CC BY-NC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의 주요 교과목에 대한 교재개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교재개발 절차를 매우 자세하게 제시함으로써 다른 교과목의 개발 시 참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재개발절차는 1) 주요 교과목의 주교재 조사 · 분석, 2) 직무분석결과로부터 교과내용 도출, 3) 자문위원 평가 및 의견반영, 4) 최종 교재목차를 장, 절, 항 수준까지 제안 등이다. 연구결과로 제안된 교재목차는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서비스론, 도서관경영론, 정보조직론, 정보검색론, 도서관실습 교과목에 대한 것이다. 모든 과목에 대해 장, 절까지 제안하고 있으며, 세부 내용에는 해당 장, 절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내용을 모두 나열함으로써 교수자의 재량에 따라 선택하여 교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ore course textbooks in the LIS field. The process of textbook development proposed in this study can also be a useful reference for developing the textbooks for other, non-core courses. The textbook development procedure used was as follows; 1)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main textbooks of LIS core courses domestically and abroad, 2) deriving optimal curriculum content from job analysis results, 3) gathering comment and feedback from professors teaching core courses, 4) proposing a final, three-tiered table of contents for an optimal textbook. The textbook table of contents propos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relates to the core subjects of: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formation Services, Library Management, Information Organization, Information Retrieval, and Library Fieldwork. We suggested chapter and section levels for all subjects, and list all of the details that should be dealt with in each section; instructors are then able to select from these options at their discretion.

KEYWORD
문헌정보학 , 교재개발 , 강의교재 , 교재개발절차 , 핵심교과목
  • 1. 서 론

    교과과정은 대학 교육에 있어 매우 핵심적인 부분에 해당하며, 이를 통해 해당 학과에서 목표로 하는 인재를 양성해 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는 교육학 분야에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각 학문분야에서 수행되고 있는 것이다.

    문헌정보학계에서도 다른 학문분야와 마찬가지로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는 여러 연구자에 의해 수행되어 왔다. 이러한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는 문헌정보학 교육의 질 향상 및 일관성 유지를 위한 것이며, 특히 졸업 후 자동으로 부여되는 자격증 획득을 위한 것이었다. 교과과정 연구에서는 교재연구 또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교과과정에서 교재는 수업의 핵심적인 자료이며, 학생들이 가장 많이 참조하는 교육 가이드가 되기 때문이다.

    교재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교과내용에 대한 연구에 비해 교재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김형균, 박행모1998). 즉 교과내용에 대한 연구는 핵심교과목 개발 연구, 새로운 교과목의 개발 연구, 특정 교과목의 교과내용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 연구 등은 문헌정보학 분야에서도 상당히 진행되었지만, 교재개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특히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교재개발이 더욱 절실히 필요한 이유는 각 대학의 졸업생들이 어떠한 검정 절차 없이 각 대학에서 일정 학점 이상 취득만 하면 자격증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격증 소지자의 전공 능력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표준화된 교재개발이 필요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전공교과목 또는 교재내용을 표준화함으로써 사서교사 및 사서공무원 채용시험 및 승진시험 등 시험내용의 표준화를 통해 학교 간 격차 해소 및 시험경쟁의 공정성을 확보할 필요도 있다(노동조 2009).

    교과과정 분석연구에 의하면, 몇몇 대학의 경우 핵심교과목임에도 불구하고 필수로 지정하지 않아 졸업생이 문헌정보학의 핵심개념을 알지 못한 채 졸업하는 경우도 있음을 알 수 있다(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1; 곽동철, 심경, 윤정옥 2009; 노동조 2009). 이로 인해 분류목록 과목이나 유사과목을 한 과목도 이수하지 않은 채 졸업하는 학생이 있을 수 있으며, 현장에서 다른 전공 학생과 차별화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물론 본 연구에서 교재개발 과정을 소개하고 교재목차를 제시하더라도, 이 결과를 그대로 활용할 수는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한 보다 발전된 연구 또는 다른 접근방법에 의해 교재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될 때 교육의 질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의 주요 교과목에 대한 교재개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교재개발 관련 선행연구에서 수행되었던 연구방법을 기반으로 주요 교과목의 교재목차를 개발한다. 또한 다른 교과목의 개발에 참조할 수 있도록 본 연구에서는 수행된 교재개발 절차를 매우 자세하게 제시하고자 한다.

    문헌정보학의 핵심 교과목에 대한 교재목차 및 각 교재목차에 포함될 내용을 제시한 본 연구 결과는 각 과목담당자들에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전국 문헌정보학 교육 내

    용의 일관성을 높이는데 조금이나마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 선행 연구

    교재개발과 관련된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에는 그다지 많지 않으나 다른 분야에서는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장에서는 교육학과 문헌정보학 분야의 교재개발 연구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김형균과 박행모(1998)는 교육에서 교재 또는 교재연구는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그 중요성에 비하여 연구가 부족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들은 교재개발방법으로 관련 문헌을 고찰하고, 해당 교육과에 재직하는 교수 4명으로부터 질문내용과 문장진술에 대한 예비조사와 타당도를 검증 받은 질문지에 의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과교육을 위한 교재의 종류와 교재활용실태를 파악하였고, 실과교육 교재개발 필요성에 대한 인식정도와 교재개발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주제는 다르지만 이와 유사한 연구로 김정미(2008)는 중등학교 고전시가 지역교재를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했고, 이준기(2010)는 관광가이드를 위한 한국어 교재개발 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배순영(2006)은 학교 소비자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재개발 연구를 수행했고, 이평화(2004)는 전통생활문화 중심의 실과 교재개발 연구를, 한국교육개발원에서는 직장내 성차별 관행 및 인식개선을 위한 교재개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외 정정길(1996)은 정보통신 전문교육훈련을 위한 강좌 및 교재개발에 관한 연구를, 한경구(1995)는 인류학 문헌교재의 개발연구를, 김정미(2008)는 부산 중등학교 고전시가 지역 교재개발 연구를, 심경호(2007)는 해외 한국문학연구 진흥을 위한 교재개발방법에 대한 연구를, 배종언(1999)은 영어교육과 문학 교재 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는 등 분야별 교재개발 연구가 상당 수 수행되고 있다.

    최유현, 문대형, 이진우(2006)는 창의적 문제해결 중심의 기술교과교육의 지향과 실천은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하고, 기술교과 교육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 접근의 학습 과정 철학에 바탕을 둔 교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분석대상은 창의적 문제해결 중심의 대표적인 학습교재와 관련 사이트에 소개된 학습활동 등이다. 학습활동 분석도구는 학습활동 분석양식과 Screening Matrix이다. 이 연구에서는 총 198개의 학습활동을 분석하고 이를 위한 자료의 참신성 및 창의적 사고의 풍부성과 자료의 풍부성 및 실현가능성을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창의적 문제해결 중심으로 48개의 학습활동을 학습교재 개발에 활용할 우수 학습활동으로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교재개발방법론에 대한 연구로 나승일 등(2001)은 ISD를 적용한 전문대학의 모듈식 교재개발 모형에 대해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ISD(교수체제개발, Instructional System Development)는 교수를 하나의 체제로 보고 교수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하여 교육환경분석, 학습자분석, 요구분석 등에 의한 체계적인 교수설계를 통하여 교수체제를 만드는 과정이다. 그는 ISD의 개념 및 특징, 모형, 적용사례 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교육과학부(2007)에서 제시한 ‘대학교재개발프로그램’을 보면, 개발단계는 1) 현재의 교육과정 분석, 2)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설정, 3) 프로그램 개발 방법 및 개발, 4) 프로그램 구현팀 운영, 5) 프로그램 감시 등의 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코디네이터도 지정해 놓고 있다. Nazarova와 Gospodarik(2006)는 교육교재개발 전략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우선순위 지도(map)를 설정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Branscome (2005)은 미국 음악교육의 국가표준을 개발하기 위해 미국 음악교육교재의 개발을 역사적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미국은 음악교육의 표준화를 위해 NAfME(National Association for Music Education)가 1994년에 9개의 표준교과 내용을 채택하였다. 이러한 표준을 채택하게 된 배경은 1980년부터 제기된 교육의 질 저하와 일관성 부족에 대한 비판 때문이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적 개혁을 한 결과로 개발된 것이다.

    한편 문헌정보학 분야에서는 김종성(2006)이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내용과 교육의 전략적 강조점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는 사서교사 교육체계와 내용이 부실하다고 주장하였으며,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의 영역을 도서관 운영, 독서영역, 교수학습영역으로 나누어 확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상의 선행연구를 보면 문헌정보학 분야에서는 교재개발과 관련된 연구가 거의 없는 반면. 외국을 포함한 다른 주제분야에서는 1900년대부터 일찍이 수행되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으며, 매우 세부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재개발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상당수 수행되고, 다른 분야에서는 활발하게 적용하고 있으나 문헌정보학에는 이러한 모형들을 다양하게 적용하여 교재를 개발한 사례가 거의 없었다.

    3. 연구설계 및 방법론

       3.1 교재의 개념 및 유형

    본 연구에서 사용된 교재의 개념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교재는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직된 교육내용 및 이를 담고 있거나 전달하는 매체이고, 교수용 보조자료, 수업매체, 교육매체, 교육자료, 교재교구, 시청각자료라는 용어로도 사용한다(나승일 외 2000).교재의 광의의 의미는 교육내용을 담은 자료와 그 교육내용을 전달하는 기재를 모두 포함하고, 협의로는 교육내용만을 담은 자료이다(이용환 1991).

    [<표 1>] 교재의 유형

    label

    교재의 유형

    교재의 유형은 인쇄된 교재, 시청각 교재, 그리고 조작적 교재로 구분되며, 고등교육기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인쇄된 교재이다 (Finch and Chunkilton 1999). 인쇄된 교재는 밑줄 긋기, 이동편의성, 경제적인 특성이 있으나 입체적 체험이나 직접 경험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시청각교재나 조작적 교재를 보조로 활용함으로써 학습자의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3.2 강의교재 개발절차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 주요 전공과목의 표준교재내용을 개발하기 위해서 <그림 1>과 같은 연구절차를 거쳤다. 각 과정의 내용은 <그림1>과 같다.

       3.2.1 국외 강의교재 수집·분석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주요 교과목을 개설한 국외 대학들의 강의계획서를 수집하였다. 강의에서 주로 채택하고 있는 주교재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3.2.2 국내 강의교재 수집·분석

    국외와 마찬가지로 국내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된 주요 교과목의 강의계획서를 수집하고, 강의계획서에서 채택하고 있는 주교재 중 2건 이상 채택되고 있는 교재를 분석하였다. 가장 많이 채택하고 있는 교재에 대한 내용을 주로 입력하고 나머지 교과내용을 통합하였으며, 장, 절,항에 각각 3점, 2점, 1점을 부여하였다.

       3.2.3 직무분석

    직무분석을 한 후 직무내용을 교과목별로 그룹핑하였으며, 그룹핑된 업무를 다시 직무별로 나열한 후 강의교재에 들어가야 할 부분을 과목별로 추출하였다.

       3.2.4 교재내용 개발

    국내·외 교재내용 분석결과, 직무분석에서 도출된 내용을 기반으로 해당 교과목에서 반드시 다루어야 할 내용을 교재목차로 개발하였다. 가능하면 국내·외 강의계획서 및 직무분석에 공통으로 출현하는 내용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3.2.5 자문위원 평가 및 의견반영

    교과목별로 자문위원을 선정하였으며, 개발 된 교재목차에 대한 자문을 받은 후 자문위원의 의견을 반영하여 교재목차를 수정․보완하였다. 이견이 있는 경우 연구진이 재조정하여 반영하였다.

    4. 결 과

       4.1 국외자료분석

    교재목차 개발을 위해 해당 교과목에서 교재로 사용하고 있는 자료들을 수집하고자 하였으며, 따라서 국외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강의계획서에 나타난 주요교재를 수집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도의 ‘전문사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목 정비방안 연구’에서 선정하였던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의 28개 대학을 대상으로 모든 문헌정보학과의 홈페이지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많은 대학에서 학과 홈페이지에 강의계획서를 탑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과 홈페이지에서 강의계획서의 입수가 가능한 대학을 본 연구의 자료 수집 대상 대학으로 선정하였다. 영국과 호주 대학의 경우 일부 교과목이 학과 홈페이지에 수록되어 있었으나, 그 수가 미미하여 본 연구의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자료 수집 대상 대학은 최종적으로 11개교로 결정되었다. 한편, 선정된 모든 대학이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인 6개 과목 전체의 강의계획서를 수록하지 않고, 각 대학은 일부 과목들만 수록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해 선정된 서구권 대학과 수집된 강의계획서의 과목명은 <표 2>와 같다.

    <표 2>를 보면 본 연구를 위해 선정된 국외 대학은 미국 대학 9개, 캐나다 대학 2개였고, 학과유형은 해당 대학의 학과명이 문헌정보학 중심(Library & Information Science), 정보학중심(Information Science), 그리고 다른 학문과의 통합(Communication, Media, Archival 등)으로 표기된 것을 참고하여 구분되었다. <표2>를 보면 선정된 국외 대학의 문헌정보학 중심 대학 3개, 정보학 중심 대학 5개, 영역통합 대학3개로 나타났다.

    [<표2>] 조사 대상 선정대학과 교과목

    label

    조사 대상 선정대학과 교과목

    수집된 강의계획서를 과목별로 보면 문헌정보학 5건, 정보조직론 11건, 정보검색론 7건, 정보서비스론 12건, 도서관경영론 4건, 도서관실습 3건이었다. 강의계획서로부터 6개의 과목에

    대해 과목별 주요 교재를 파악하여 표로 작성하였으며, 주요 교재의 목차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과목별로 목차의 장, 절, 항을 표로 작성하였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생성된 각각의 표들은 본 연구의 결과 도출에 필요한 국내 대학 종합강의계획서의 교재, 국외 대학 종합강의계획서의 교재, 직무분석 내용의 비교·통합 과정에서 사용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면 관계상 여러 과목 중에서 정보서비스론에 대한 교재목차를 분석한 내용을 사례로 제시하고자 한다. 정보서비스 교재목차 분석을 위해 6권의 주교재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교재의 목차에 공통적으로 기술된 키워드들은 없었으나, 주목할 만한 키워드들은 가상 레퍼런스 인터뷰, 참고질문 답변하기, 레퍼런스 2.0, 미래 정보서비스 등이 있다(<부록 1> 참조).

    A: Kay Ann Cassell and Uma Hiremath. 2011. Reference and Information Services in the 21st Century, Second Edition Re-vised.New York: Neal-Schuman. B: Radford, Marie L., and R. David Lankes, eds. 2010. Reference Renaissance: Current and Future Trends. New York: Neal-Schuman. C: Kovacs, D. 2007. The virtual reference handbook: interview and information delivery techniques for the chat and email environments, London: Facet Publishing D: Steiner, Sarah K., and M. Leslie Madden. 2008. The Desk and Beyond: Next Generation Reference Services. Chicago: ACRL. E: Ross, C. S. 2009. Conducting the Reference Interview, 2nd ed. New York: Neal-Schuman. F: Bopp, R. E.; Smith, L. C. 2011.Reference and information services: An introduction. Englewood, CO: Libraries Unlimited.

       4.2 국내자료분석

    선행연구(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1)에서 제안된 핵심 교과목에 대한 교재목차를 개발하기 위해서 국내에서 운영되고 있는 핵심 교과목에 대한 강의계획서를 수집하였다. 조사대상은 4년제와 2년제의 39개 문헌정보학과이다. 조사는 전화와 이메일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공문에는 문헌정보학과의 교과내용 표준화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리고 협조를 부탁하였다. 공문과 전화, 그리고 이메일 방법으로 강의계획서 수집을 요청하였고, 해당 과목을 맡고 있는 강사와 학과장의 허락을 받은 강의계획서만을 수집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 39개의 문헌정보학과 중 25개의 학과가 응답하여 64.1%의 응답률을 보였다.

    총 6개 분야의 강의계획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각 과목에 대한 분석대상 건수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 이유는 해당 과목이 개설되어 있지 않았거나, 강의계획서에 수집허락이 안된 과목은 수집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문헌정보학개론과 정보서비스론의 경우 응답한 25개 대학에 모두 개설되어 있고, 도서관실습은 13개의 대학에 개설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목별 분석대상 강의계획서 건수는 <표 3>과 같다.

    [<표 3>] 과목별 분석대상 건수

    label

    과목별 분석대상 건수

    수집된 강의계획서에서 각 과목별 주요 교재를 파악하여 표로 작성하였다. 주요 교재의 목차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과목별로 목차의 장, 절, 항을 표로 작성하였으며, 장, 절, 항에 각각 3점, 2점, 1점의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개발된 교재목차 중 정보서비스론의 경우를 보면, 교재목차 부분에서는 교재중에서 2곳 이상의 대학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만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교재는 박준식의 정보서비스론이고, 다음으로 노옥순의 참고봉사와 참고정보원으로 나타났다. 교재목차에 대한 총정리를 함에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교재의 모든 목차를 전체적으로 입력하고 나머지 두 교재의 내용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교재목차를 분석하였다. 총 3계층까지 분석하였으며, 장, 절, 항에 각각 3, 2, 1점의 점수를 부여하여 가중치를 주었다.

    이를 기반으로 <표 4>, <부록2>와 같은 교재목차가 완성되었다. 표에서는 보는 바와 같이 정보서비스론의 경우 참고면담이 67건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탐색과 해답(65건), 정보서비스의 평가(53건), 인터넷정보서비스(44건)순으로 나타났다.

    A: 박준식. 2011. 정보서비스론.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B: 박준식. 2007. 정보서비스론.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C: 노옥순. 2000. 참고봉사와 참고정보원.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표 4>] 정보서비스론 교재 통합 목차

    label

    정보서비스론 교재 통합 목차

       4.3 직무분석결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 직무분석 방법은 작업자 중심 직무분석 방법의 하나인DACUM이다. 데이컴(DACUM)은 ‘Developing A Curriculum’의 약자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선행 단계에서 필요한 직업과 직무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직무분석의 한 방법이다. 데이컴은 교육과정 개발 방법의 하나인 SCID(Systematic Curriculum & Instructional Development)의 다섯 단계 중 일부를 포함한다.

    본 절의 목적은 관종별 사서의 직무분석을 통하여 교과과정을 도출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교과과정을 도출하는 것이다. 하지만 도서관 관종별 직무분석 하나만 해도 워낙 큰 작업이며, 또한 동일한 사람이 동일한 시기에 각 관종별 직무분석과 교과과정을 개발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는 일은 용이한 일이 아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연구된 직무분석과 교과과정 분석자료를 활용하고자 한다.

    현재 공공도서관 사서직에 관하여는 2008년 DACUM법에 의해 직무분석이 된 상태이며 2011년 SCID(Systematic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Development)법에 따라 교과과정이 개발된 상태이다(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1). 대학도서관 사서직에 관하여는 2009년 설문지법에 의하여 직무모형을 개발하여 책무(duty)와 그 하부구조인 작업(task)이 개발된 상태이며, 2011년에 KJ 기법을 사용하여 교과과정을 개발하였다. 학교도서관 사서직에 관하여는 2003년 DACUM법에 의해 직무분석이 되고, 2011년 SCID법에 따라 교과과정이 개발된 상태이다. 나아가 2011년에 사서임용을 위한 8개 교과목이 추가 도출되어 기 도출된 교과과정에 추가적으로 보완된 상태이다. 주제전문 사서직에 관하여는 2008년과 2009년 ACUM법에 의해 직무분석을 하고 SCID법에 따라 교과과정이 개발된 상태이다. 전문도서관 사서직에 관하여는 직무분석 및 교과과정 연구가 없는 상태이지만 이용자들의 대부분이 전문연구자들이라는 점을 볼 때 대학도서관의 직무분석과 교과과정 연구 결과를 보완적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사용되는 관종별 사서직 직무분석과 교과과정 선행연구를 정리하면 <표 5>와 같다.

    [<표 5>] 관종별 사서직 직무분석 선행연구와 교과과정 연구

    label

    관종별 사서직 직무분석 선행연구와 교과과정 연구

    기존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공공도서관 사서

    를 위한 7개의 교육코스가 개발된 바 있으며, 그 중에서 ‘정보서비스론’은 사서가 행하는 정보서비스, 정보활용교육, 작은도서관운영, 이용자연구 업무를 대변하는 교육단위이다. 이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지식은 ‘1. 이용자연구, 2. 공공도서관운영론, 3. 대출업무, 4. 정보봉사론, 5. 참고정보원, 6. 정보활용교육, 7. 고문헌관리, 8. 디지털콘텐츠제작론, 9. 색인초록작성법, 10. 디지털콘텐츠의이해, 11. 저작권법, 12. 정보소외계층봉사, 13. 특수자료제작론, 14. 이동도서관운영, 15. 도서관협력, 16. 순회문고운영’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요구되는 기능은 ‘17. 대출증발급기활용방법, 18. SMS서비스활용, 19.품의서작성방법, 20. 정보검색능력, 21. 의사소통능력, 22. 원문이미지구축시스템활용능력, 23.MARC입력능력, 24. 서버운영능력, 25. 홈페이지활용능력, 26. e-book뷰어활용능력, 27. 특수자료제작기법, 28. 대출반납처리능력’으로 분석되었다. 내용은 <표 6>과 같다.

    [<표 6>] 공공도서관 사서 정보서비스 업무를 위한 교육내용

    label

    공공도서관 사서 정보서비스 업무를 위한 교육내용

    주제전문사서를 위한 정보서비스 작업과 교육 세부내용은 <표 7>과 같다.

    [<표 7>] 주제전문사서의 정보서비스 작업과 교육 세부내용

    label

    주제전문사서의 정보서비스 작업과 교육 세부내용

    직무분석을 통하여 개발된 도서관 관종별 정보서비스 업무내용과 교육내용은 <표 8>과 같다.

    [<표 8>] 정보서비스 업무를 위한 직무분석 기반의 관종별 교육내용 도출

    label

    정보서비스 업무를 위한 직무분석 기반의 관종별 교육내용 도출

    위의 5개 관종을 종합하여 재배열한 내용은 <표 9>와 같다.

    [<표 9>] 정보서비스 업무를 위한 직무분석 기반의 교과내용 도출

    label

    정보서비스 업무를 위한 직무분석 기반의 교과내용 도출

    결론적으로 정보서비스 업무를 위한 교과내용은 <표 10>의 11개 소항목으로 종합할 수 있다.

    [<표 10>] 정보서비스론 교과내용: 직무분석기반 분석

    label

    정보서비스론 교과내용: 직무분석기반 분석

       4.4 최종 교재목차

       4.4.1 정보서비스론

    정보서비스론의 최종 교재목차는 국내외 교재목차 분석결과와 직무분석결과를 통합하여 장, 절까지 제안하고 있으며, 세부 내용에는 해당 장, 절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내용을 모두 나열함으로써 교수자의 재량에 따라 선택하여 교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종목차의 최상위 개념은 정보서비스의 의의, 정보서비스론의 철학과 발전, 참고면담과 가상참고면담, 정보의 탐색과 결과, 인터넷정보서비스, 협력망과 서비스, 정보안내서비스, 이용자교육, 정보서비스의 평가, 정보서비스의 조직과 관리, 참고사서, 참고 정보원의 의의와 개발, 참고정보원의 유형, 정보 서비스의 미래 등으로 제안하고 있다(<표 11>참조).

    [<표 11>] 정보서비스론 최종 교재목차

    label

    정보서비스론 최종 교재목차

    위 내용을 보았을 때 정보서비스의 이론과 방법론에 대한 부분과 참고정보원에 대한 부분으로 크게 구분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가상참고 면담이나 인터넷정보서비스, 협력망과 서비스 등은 비교적 새로운 개념으로 제안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4.4.2 문헌정보학개론

    문헌정보학개론의 최종 교재목차도 국내외 교재목차 분석결과와 직무분석결과를 통합하여 장, 절까지 제안하고 있으며, 세부내용에는 해당 장, 절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내용을 모두 나열함으로써 교수자의 재량에 따라 선택하여 교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종목차의 최상위 개념(장의 수준)은 지식정보사회, 정보와 정보원, 문헌정보학과 학문계통, 정보전문직, 도서관사, 도서관· 정보센터, 관종별 도서관의 유형 및 기능, 장서개발과 관리, 정보자료조직, 정보서비스, 디지털도서관, 정보검색과 데이터베이스, 도서관협력, 도서관정책과 정보윤리로 나타났다(<표 12> 참조). 위 내용을 보았을 때 문헌정보학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매우 핵심적인 내용들이 추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표 12>] 문헌정보학개론 최종 교재목차

    label

    문헌정보학개론 최종 교재목차

       4.4.3 정보조직론

    정보조직론의 최종 교재목차도 국내외 교재목차 분석결과와 직무분석결과를 통합하여 장, 절까지 제안하고 있으며, 세부 내용에는 해당 장, 절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내용을 모두 나열함으로써 교수자의 재량에 따라 선택하여 교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종목차의 상위 개념은 분류의 이해, 자료분류표의 유형과 선정, 한국십진분류법, 듀이십진분류법, 기타 주요 문헌분류법, 청구기호의 이해와 적용, 목록의 이해, 목록 규칙과 목록기술, 서지관계유형과 표목, 전거제어와 주제명목록, MARC의 이해, 한국목록규칙과 KORMARC, 영미목록규칙과 MARC21, RDA와 메타데이터로 제안되었다(<표 13> 참조). 전체 교재목차를 보았을 때 이론 중심으로 제안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RDA와 메타데이터에 관한 내용도 도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13>] 정보조직학 최종 교재목차

    label

    정보조직학 최종 교재목차

       4.4.4 정보검색론

    정보검색론의 최종목차의 최상위 개념(장의수준)에는 정보검색의 개요, 정보표현, 색인어(검색언어), 정보검색기법과 질의표현, 정보검색모형, 정보검색시스템, 특수정보의 검색, 정보검색과 이용자, 정보검색의 평가, 검색과 인공

    지능, 색인 및 시소러스, 텍스트요약(초록), 텍스트문헌클러스터링, 검색인터페이스, 소셜탐색 등이다. 위 내용을 보았을 때 과거의 정보검색이론에서 다루지 않았던 새로운 개념들, 예를 들어 소셜탐색, 인공지능, 특수정보검색 등이 포함된 것을 알 수 있다(<표 14> 참조).

    [<표 14>] 정보검색론 최종 교재목차

    label

    정보검색론 최종 교재목차

       4.4.5 도서관경영론

    도서관경영론의 최종 교재목차의 최상위 개념(장의 수준)은 도서관경영환경의 변화, 도서관과 경영관리이론, 도서관의 경영자원, 경영계획, 도서관마케팅, 예산편성과 관리, 조직의 형성과 관리, 인적자원의 계획과 관리, 도서관구성원 교육, 물질자원관리, 지휘의 원리와 응용,

    통제의 이해, 도서관평가, 도서관경영의 미래 등이다(<표 15> 참조).

    [<표 15>] 도서관경영론 최종 교재목차

    label

    도서관경영론 최종 교재목차

       4.4.6 도서관실습

    도서관실습의 최종 교재목차의 최상위계층에는 도서관실습개요, 도서관실습 사전 준비, 도서관 자료의 수집, 도서관 자료의 정리, 도서관 자료의 이용, 도서관 자료의 관리,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운영, 도서관의 운영, 도서관의 시설, 이용자 응대서비스, 실습보고 및 보고서 작성 등이 나타났다(<표 16> 참조).

    [<표 16>] 도서관실습 최종 교재목차

    label

    도서관실습 최종 교재목차

    5.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문헌정보학의 주요 교과목에 대한 교재개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즉 선행연구에서 수행되었던 연구방법을 기반으로 주요 교과목의 교재목차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교재개발 절차를 매우 자세하게 제시함으로써 다른 교과목의 개발에도 참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교재개발을 위해 수행한 절차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강의교재를 수집· 분석하였다. 국내외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된 주요 교과목의 강의계획서를 수집하고, 강의계획서에서 채택하고 있는 주교재를 분석하였다. 가장 많이 채택하고 있는 교재에 대한 내용을 주로 입력하고 나머지 교과내용을 통합하였으며, 장, 절, 항에 각각 3점, 2점, 1점을 부여하였다.

    둘째, 직무분석결과로부터 교과내용을 도출하였다. 직무분석을 한 후 직무내용을 교과목별로 그룹핑하였으며, 그룹핑된 업무를 다시 직무별로 나열한 후 강의교재에 들어가야 할 부분을 추출하였다.

    셋째, 교재내용을 구체적으로 개발하였다. 국내· 외 교재내용 분석결과, 직무분석에서 도출된 내용을 기반으로 해당 교과목에서 반드시 다루어야 할 내용을 교재목차로 개발하였다. 가능하면 국내·외 강의계획서의 교재내용 및 직무분석에서 공통으로 출현하는 내용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넷째, 자문위원 평가 및 의견을 반영하였다. 교과목별로 자문위원을 선정하였으며, 개발된 교재목차에 대한 자문을 받은 후 자문위원의 의견을 반영하여 교재목차를 수정· 보완하였다. 이견이 있는 경우 연구진이 재조정하여 반영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의 최종 교재목차는 국내의 교재목차 분석결과와 국외의 교재목차 분석결과를 통합하여 장, 절까지 제안하고 있으며, 세부 내용에는 해당 장, 절에서 다루어질 수 있는 내용을 모두 나열함으로써 교수자의 재량에 따라 선택하여 교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과목별 특징 및 연구결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정보학개론의 최종 교재목차의 최상위 개념(장의 수준)은 지식정보사회, 정보와 정보원, 문헌정보학과 학문계통, 정보전문직, 도서관사, 도서관· 정보센터, 관종별 도서관의 유형 및 기능, 장서개발과 관리, 정보자료조직, 정보서비스, 디지털도서관, 정보검색과 데이터베이스, 도서관협력, 도서관정책과 정보윤리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조직론의 경우 분류의 이해, 자료분류표의 유형과 선정, 한국십진분류법, 듀이십진분류법, 기타 주요 문헌분류법, 청구기호의 이해와 적용, 목록의 이해, 목록규칙과 목록기술, 서지관계유형과 표목, 전거제어와 주제명목록, MARC의 이해, 한국목록규칙과 KORMARC, 영미목록규칙과 MARC21, RDA와 메타데이터로 제안되었다.

    셋째, 정보서비스의 최종목차의 최상위 개념은 정보서비스의 의의, 정보서비스론의 철학과 발전, 참고면담과 가상참고면담, 정보의 탐색과 결과, 인터넷정보서비스, 협력망과 서비스, 정보 안내서비스, 이용자교육, 정보서비스의 평가, 정보서비스의 조직과 관리, 참고사서, 참고정보원의 의의와 개발, 참고정보원의 유형, 정보서비스의 미래 등으로 제안하고 있다.

    넷째, 정보검색론의 경우 정보검색의 개요, 정보표현, 색인어(검색언어), 정보검색기법과 질의표현, 정보검색모형, 정보검색시스템, 특수정보의 검색, 정보검색과 이용자, 정보검색의 평가, 검색과 인공지능, 색인 및 시소러스, 텍스트요약(초록), 텍스트문헌클러스터링, 검색인터페이스, 소셜탐색 등이다.

    다섯째, 도서관경영론의 경우 도서관경영환경의 변화, 도서관과 경영관리이론, 도서관의 경영자원, 경영계획, 도서관마케팅, 예산편성과 관리, 조직의 형성과 관리, 인적자원의 계획과 관리, 도서관구성원 교육, 물질자원관리, 지휘의 원리와 응용, 통제의 이해, 도서관평가, 도서관경영의 미래 등이다.

    여섯째, 도서관실습의 경우 도서관실습개요, 도서관실습 사전 준비, 도서관 자료의 수집, 도서관 자료의 정리, 도서관 자료의 이용, 도서관자료의 관리, 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운영, 도서관의 운영, 도서관의 시설, 이용자 응대서비스, 실습보고 및 보고서 작성 등이다.

    본 연구결과는 교재내용의 표준화를 통해 핵심 교과목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수준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일관성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할 것이다. 또한 각종 시험에서 공정성을 확보하는데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교재개발과 관련하여 최초로 수행된 본 연구는 기초 연구에 지나지 않으며, 이후 다양한 관점의 연구자에 의한 보다 발전된 교재개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 1. 곽 동철, 심 경, 윤 정옥 2009 사서자격제도 개선 방안 도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3 P.193-213 google
  • 2. 김 정미 2008 『부산 중등학교 고전시가 지역 교재 개발 연구』. 석사학위논문 google
  • 3. 김 종성 2006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내용과 교육의 전략적 강조점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17 P.135-159 google
  • 4. 김 형균, 박 행모 1998 교육대학교의 실과교육 교재개발 및 운용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1 P.691-699 google
  • 5. 나 승일, 이 용환, 정 철영, 이 해선, 김 준영 2001 ISD를 적용한 전문대학의 모듈식 교재 개발 모형 연구 [『한국농업교육학회』] Vol.33 P.83-115 google
  • 6. 노 동조 2009 한국의 문헌정보학 교육을 위한 표준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3 P.451-468 google
  • 7. 노 영희, 안 인자, 최 상기 2011 전문사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목 정비방안 연구 google
  • 8. 노 영희, 안 인자, 최 상기 2012 『 2011 한국문헌정 보학 교과과정』 google
  • 9. 노 영희, 안 인자, 최 원태 2009 『 2009 한국문헌정 보학 교과과정』 google
  • 10. 노 영희, 안 인자 2009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대한 변화분석 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Vol.40 P.429-450 google
  • 11. 노 영희, 최 원태 2004 『 2004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google
  • 12. 노 영희, 최 원태 2005 『 2005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google
  • 13. 노 영희, 최 원태 2006 『 2006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google
  • 14. 노 영희, 한 미경 2007 『 2007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google
  • 15. 박 선주, 김 정랑, 김 철, 전 동렬 2000 교원양성대학의 컴퓨터교육 교재개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4 P.72-82 google
  • 16. 배 순영 2006 『학교 소비자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재개발』, 정책자료 06-01 google
  • 17. 배 종언 1999 “영어교육과 문학” 교재 개발을 위한 연구 [『영미문학교육』] Vol.3 P.255-271 google
  • 18. 신 형욱 1999 외국어 수업을 위한 교재 개발의 원칙 [『외국어 교육』] Vol.5 P.253-272 google
  • 19. 심 경호 2007 해외 한국문학연구 진흥을 위한 교재개발의 방법 [『한국어문학 국제학술 포럼 제2차 국제학술대회』] google
  • 20. 이 용환 1991 교재연구의 학문적 성격구명을 위한 연구 [성곡논총『성곡논총』] Vol.22 P.1576-1616 google
  • 21. 이 준기 2010 『관광 가이드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google
  • 22. 이 평화 2004 『전통생활문화 중심의 실과 교재 개발 연구』. 석사학위논문 google
  • 23. 정 정길 1996 정보통신 전문교육훈련을 위한 강좌 및 교재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신. 95-12 google
  • 24. 최 유현, 문 대영, 이 진우 2007 기술교과의 창의적 문제해결 중심 학습 교재개발을 위한 학습 활동 분석과 선정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0 P.217-235 google
  • 25. 한 경구 1995 인류학 문헌 교재의 개발 [『한국문화인류학』] Vol.27 P.327-344 google
  • 26. Branscome Eric 2005 “A Historical Analysis of Textbook Development in American Music: Education and the Impetus for the National Standards for Music Education.” [Art Education Policy Review] Vol.107 P.13-20 google cross ref
  • 27. Finch C.R., Crunkilton J.R. 1999 Curriculum Development in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google
  • 28. 2002 Core Competencies and Music Librarians google
  • 29. Nazarova T. S., Gospodarik Iu. P. 2006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xtbook.” [Russian Education and Society] Vol.47 P.86-102 google
  • 30. Noh Younghee, Ahn In-Ja, Choi Sang-Ki 2012 “A Study of Changes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with Evaluation of Its Practicality.”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Vol.38 P.348-364 google cross ref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교재의 유형
    교재의 유형
  • [ <그림1> ]  문헌정보학 전공과목 교재 개발 절차
    문헌정보학 전공과목 교재 개발 절차
  • [ <표2> ]  조사 대상 선정대학과 교과목
    조사 대상 선정대학과 교과목
  • [ <표 3> ]  과목별 분석대상 건수
    과목별 분석대상 건수
  • [ <표 4> ]  정보서비스론 교재 통합 목차
    정보서비스론 교재 통합 목차
  • [ <표 5> ]  관종별 사서직 직무분석 선행연구와 교과과정 연구
    관종별 사서직 직무분석 선행연구와 교과과정 연구
  • [ <표 6> ]  공공도서관 사서 정보서비스 업무를 위한 교육내용
    공공도서관 사서 정보서비스 업무를 위한 교육내용
  • [ <표 7> ]  주제전문사서의 정보서비스 작업과 교육 세부내용
    주제전문사서의 정보서비스 작업과 교육 세부내용
  • [ <표 8> ]  정보서비스 업무를 위한 직무분석 기반의 관종별 교육내용 도출
    정보서비스 업무를 위한 직무분석 기반의 관종별 교육내용 도출
  • [ <표 9> ]  정보서비스 업무를 위한 직무분석 기반의 교과내용 도출
    정보서비스 업무를 위한 직무분석 기반의 교과내용 도출
  • [ <표 10> ]  정보서비스론 교과내용: 직무분석기반 분석
    정보서비스론 교과내용: 직무분석기반 분석
  • [ <표 11> ]  정보서비스론 최종 교재목차
    정보서비스론 최종 교재목차
  • [ <표 12> ]  문헌정보학개론 최종 교재목차
    문헌정보학개론 최종 교재목차
  • [ <표 13> ]  정보조직학 최종 교재목차
    정보조직학 최종 교재목차
  • [ <표 14> ]  정보검색론 최종 교재목차
    정보검색론 최종 교재목차
  • [ <표 15> ]  도서관경영론 최종 교재목차
    도서관경영론 최종 교재목차
  • [ <표 16> ]  도서관실습 최종 교재목차
    도서관실습 최종 교재목차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