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Active-Active 방식의 웹서버 이중화 방법에 관해 연구하였다. Rsync과 crontab을 이용하여 웹서버간에 주기적인 복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동일한 상태를 유지시켰다. 로드밸런싱서버가 웹서버를 교대로 실행하여 부하를 분산하고, 빠른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였다. 또한 임의의 웹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또 다른 웹서버에 의해 서비스가 계속 유지되도록 하였다.
In this paper we researched on the Duplication Techniques for Active-Active Web Servers. Rsync and crontab utilities make copy periodically between web servers and maintain the same status. Load Balancing Server makes web servers load balanced and fast servicing by executing web servers alternatively. Even though one web server stops due to some critical errors, the remaining web server can take over and provide services continuously.
웹 서버는 오늘날의 정보통신과 정보인프라의 중심에 있으며, DNS 서버와 더불어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핵심 서버이므로 이의 신뢰성과 무결성 향상을 위한 연구는 중요하다. 시스템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오류발생을 사전에 완전히 배제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므로 주로 오류가 발생했을 때 이에 대처하는 결함내성(fault tolerance)의 방법으로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1].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결함내성을 위해서는 시스템의 중요 요소를 중복시켜 하나의 요소에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중복된 다른 요소가 이를 대체하여 서비스를 계속 유지시키는 이중화 방식을 채택한다. 이중화(Duplication, Duplex) 방식은 어느 한 쪽만이 동작하다가 장애 발생 시 다른 한 쪽이 동작을 이어가는데, Active-Standby 이중화와 Active-Active 이중화 방식이 있다[2].
Active-Standby 이중화는 Master-Slave 형태의 이중화로 평상시에는 1차 웹서버가 메인 서버로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2차 웹서버는 1차 서버의 장애를 대비한 보조 서버이다. 2차 웹서버는 평상시에 메인 서버로부터 주기적으로 정보를 받아 1차 웹서버와 동일한 상태를 유지시킨다. 기존의 Master-Slave 형태의 이중화 방식은 master와 slave의 설정이 별개이기 때문에 문제 발생 시 서비스 복구가 지연될 수 있고, 파일들의 동기화 지연으로 인한 문제가 잦다. 그래서 1, 2차 웹 서버를 동일하게 구성하고 디렉토리 경로 내의 모든 파일을 rsync 로 동기화시키는 Active-Active 방식의 이중화가 더 적절하다[3].
이에 본 논문에는 고속의 채널을 통해 동작계열과 대기계열이 완전 동일상태를 유지하고 문제 발생시 빠른 계열변경(fail-over)이 가능하고, 빠른 서비스 응답과 로드 밸런싱을 지원하는 Active-Active 방식의 웹서버 이중화 방법으로 채택하였다. 1, 2차 웹서버는 항상 동일 상태를 유지하며 실행 가능한 상태에 있으며, 임의의 웹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또 다른 웹서버에 의해 서비스가 계속 유지되어 사용자는 웹서버 장애를 전혀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계속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한다.
Active-Active 방식의 이중화는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요청 시에 서비스 요청을 받아들이는 로드 밸런싱 서버가 다이렉트 라우팅에 의해 1, 2차 웹서버를 교대로 실행하여 부하를 분산하고, 빠른 서비스 응답이 이루어진다. 이는 Master 형태로 동작하는 2대의 웹서버를 네트워크적으로 분리된 곳에 분산 배치하여 실행한다. 웹서버 이중화를 위한 기존 Active-Standby 방식과 본 연구의 Active-Active 방식의 비교는 표 1과 같다.
웹 서버 이중화 방식의 비교
본 연구에서는 웹서버의 이중화를 위해 리눅스 가상서버를 이용하였고, 이중화시스템은 로드밸런싱서버, 웹서버1, 웹서버2로 구성된다. 웹서버를 웹서버1과 웹서버2로 이중화하고, 로드밸런싱서버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을 받아들여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스케쥴링하여 웹서버1과 웹서버2가 교대로 실행되도록 한다.
Active-Active 방식의 웹서버 이중화를 위해 Rsync와 crontab을 이용하여 웹서버 간에 주기적인 복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동일한 상태를 유지시켰다. 평상시에는 두 대의 웹서버가 동시에 Active 상태로 부하를 나누어 교대로 실행하고, 두 대의 웹서버 중 임의의 웹서버에 장애가 생겨 서비스가 어렵게 되면 나머지 웹서버가 서비스를 유지하여 이용자는 웹서버 장애를 전혀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계속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를 시험하였다.
본 장에서는 웹서버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웹서버 이중화(Duplication) 구축방법에 관해 연구하였다. 리눅스 가상서버를 이용하여 웹서버를 Active-Active 방식으로 이중화하여 서버의 부하를 분산하고, 서버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웹서버 이중화를 위해 리눅스 가상 서버(LVS: Linux Virtual Server)를 이용하였고, 웹서버를 Active-Active 방식으로 이중화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웹서버 이중화를 위해 리눅스 가상서버(LVS: Linux Virtual Server)를 이용하였다. 이는 적은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웹서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중화 방법이다[4].
리눅스 가상 서버란, 한대의 서버로 증가하는 인터넷 사용자를 서비스하기가 힘들어 지면서 고가용성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 리눅스 머신을 로드 밸런싱 해주는 운영시스템이다. 만약 하나의 노드에서 처리량이 너무 많아 서비스가 어려울 경우 간단히 하나의 노드를 병렬로 추가하여 부하를 분산 하는 것을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리눅스 가상서버를 이용하여 웹 서버를 이중화하여 서버의 부하를 분산하고, 응답시간을 줄이고, 서버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을 로드밸런싱 서버가 받아들여 이중화된 웹서버로 다이렉트 라우팅하여 라운드-로빈(round-robin) 방식으로 교대로 서비스하도록 하였다.
다이렉트 라우팅 라운드-로빈 방식은 로드밸런싱서버로 들어오는 요청 패킷들을 차례대로 실제 서버에 할당하는 방식이다.
웹 서버를 RS1과 RS2로 이중화하고, 로드밸런싱 서버는 사용자의 서비스 요청을 받아들여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스케쥴링하여 RS1과 RS2가 교대로 서비스되어지도록 한다.
로드밸런싱 서버와 실제 웹 서버에 가상 IP 주소를 부여하여 서로 공유하도록 하고, 클라이언트가 가상 IP로 서비스를 요청하면 로드밸런싱 서버가 실제 웹 서버로 다이렉트 라우팅하여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실행되도록 한다.
웹서버 이중화 시스템의 구조는 그림 1과 같다. 웹서버 이중화시스템은 로드밸런싱서버(LBS), 웹서버1(RS1), 웹서버2(RS2)로 구성된다. 시험환경을 위해 각 서버에는 리눅스 OS(kernel-2.6.18 -238.el5)를 설치하고, RS1 (121.174.8.100), RS2 (121.174.8.101), LBS(121.174.8.102) IP 주소를 할당하고, LBS는 가상 IP(121.174.8.103)를 추가로 할당하였다.
그리고 DNS 주소변환을 위해 RS1은 1차 네임서버, RS2는 2차 네임서버 환경을 구축하여 네임서버를 이중화하였다.
웹 서버 이중화를 위한 로드밸런싱 서버의 구축과 웹서버 구축에 대해 연구하였다. 로드밸런싱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접속요청을 웹서버로 분배하여 부하를 분산하고, 웹서버의 이중화로 하나의 웹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웹서버에 의해 지속적인 서비스가 제공된다.
로드밸런싱 서버의 설치와 환경 설정은 다음과 같다.
로드밸런싱 서버에 리눅스 가상서버 관리를 위한 유틸리티 ipvsadm을 다운로드한 후 설치한다.
# yum install ipvsadm
물리 LAN 카드에 IP 121.174.8.102를 부여하고, 가상 IP 121.174.8.103을 할당한다.
# ifconfig eth0:0 121.174.8.103 netmask 255.255.255.0 up// eth0는 121.174.8.102
네트워크 재시작 시 자동 설정이 되도록 ifcfg-eth0:0 파일 생성한 후, 아래와 같이 내용을 입력한다.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0
/etc/sysctl.conf 파일의 환경변수를 설정한 후, 그림 2 와 같이 ipvsadm 명령을 실행하여 로드밸런싱 서버의 실행환경을 설정하나. 스케쥴링 방식은 라운드로빈으로 하고, 웹서버의 IP를 스케쥴링 리스트에 추가한다.
로드밸런싱 서버의 설치 및 환경설정이 끝나면 아래 명령으로 로드밸런싱 서버를 실행한다.
# /etc/rc.d/init.d/network restart
웹서버의 이중화 구축을 위해 먼저 웹서버에 아파치 설치와 환경설정을 한 후, DNS 주소변환을 위한 서버 설정과 가상호스트 설정으로 도메인주소(www.maze 76.com)로 이중화 웹서버를 교대로 접근 가능하도록 하였다.
Active-Active 방식의 이중화는 구조상 두 서버는 IP 외에는 차이가 없으므로 웹서버2는 기본적으로 웹서버1의 프로그램 설치와 환경설정과 동일하다. 웹서버1의 IP는 121.174.8.100이고, 웹서버2의 IP는 121.174.8.101 이다.
웹서버1과 웹서버2에 아파치 웹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압축을 풀고, 아래 명령을 따라 컴파일하고 설치한다.
# wget http://ftp.daum.net/apache/httpd/httpd-2.2.19.tar.gz
# tar xvfz httpd-2.2.19.tar.gz
# cd httpd-2.2.19
# ./configure --enable-so --prefix=/usr/local/apache
# make // 웹서버 컴파일
# make install // 웹서버 설치
웹서버 설치가 완료되면 이중화 시험을 위해 웹서버1과 웹서버2에 각각 인덱스 페이지를 아래와 같이 만든다.
# vi /usr/local/apache/htdocs/index.html
앞의 2.2.1절에서와 같이 웹서버1의 물리 LAN 카드에 IP 121.174.8.100을 부여하고, 가상 IP 121.174.8.103을 설정한다. 네트워크 재시작시 자동설정이 되도록 ifcfg-eth0:0 파일을 생성한다.
# ifconfig lo:0 121.174.8.103 netmask 255.255.255.0 up
웹서버2도 동일한 방식으로 IP 121.174.8.101을 부여하고, 가상 IP 121.174.8.103을 설정한 후, 자동설치 설정을 한다.
가상 IP 설정으로 인해 발생가능한 ARP 문제 해결을 위해 ARP에 대한 응답 없음으로 추가 설정한다.
# vi /etc/sysctl.conf
# sysctl -p // sysctl.conf 설정 적용
도메인주소(www.maze76.com) 입력시 가상 IP(121.174.8.103)로 주소변환 되도록 DNS 서버를 그림 4와 같이 설정한다.
DNS 서버 역시 이중화하여 NS와 NS2가 1분 단위로 동기화시킴으로 NS2는 별도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3].
# vi /etc/resolv.conf
# cd /var/named
# vi maze76.com.zone
아파치 웹서버의 가상호스트(Virtualhost) 기능을 이용하여 가상 IP(121.174.8.103)로 웹페이지 접근이 가능하도록 웹서버1과 웹서버2를 그림 5와 같이 설정한다.[5-6]
# vi /usr/local/apache/conf/httpd.conf
웹서버와 네임서버의 설치 및 환경설정이 끝나면 아래 명령으로 웹서버와 네임서버를 실행한다.
# /etc/rc.d/init.d/named restart
# /usr/local/apache/bin/apachectl restart
이중화의 경우에는 어떻게 양측의 데이타를 동일하게 유지시킬 것인지, 또 장애시 얼마나 빨리 계열을 변경하여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할 것인지가 중요하다. 본 장에서는 구축한 1, 2차 웹 서버 간 동기화로 매 분 주기적인 복사에 의해 동일한 상태가 유지되는지를 시험하였고, 1차 웹 서버가 오류로 인해 정지되더라도 2차 웹 서버가 대신하여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는지를 시험하였다.
클라이언트가 www.maze76.com을 반복 접속했을때 로드밸런싱 서버가 www1.maze76.com과 www2.maze76.com을 교대로 실행하여 로드 밸런싱 기능을 수 행하는지를 시험하였다. 그리고 웹서버 2대 중 한 대를 중지시키더라도 살아 있는 서버로 접속이 이루어져 서비스의 연속성이 보장되는지를 시험하였다.
클라이언트가 로드밸런싱 서버를 거치지 않고 www1.maze76.com, www2.maze76.com을 다이렉트로 접속할 경우 각각의 웹 서버를 통해 직접 서비스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ipvsadm 명령을 내렸을 때 연결설정 카운터(ActiveConn)와 연결해제카운터(InActConn)는 변화가 없었다.
반면, 클라이언트가 가상 IP(www.maze76.com)로 로드밸런싱 서버에게 연속해서 접속요청을 하면 로드밸런싱 서버가 www1.maze76.com과 www2.maze76. com 두 대의 웹서버를 교대로 실행하고, ipvsadm 명령을 통해서도 ActiveConn과 InActConn이 교대로 증감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대의 웹서버 중 임의의 웹서버에 장애가 생겨 서비스가 어렵게 되면 나머지 웹서버가 서비스를 유지하여 이용자는 웹서버 장애를 전혀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계속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를 시험하였다.
이를 위해 웹서버2를 아래와 같이 강제로 정지시킨 후, www.maze76.com을 접속한 후 F5를 눌러 새로 고침을 반복하면(웹브라우저의 캐시에서 읽어오지 않도록) www2.maze76.com으로 연결을 시도하지만 장애로 인해 응답이 없으면 www1.maze76.com으로 전환되어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service network stop // 웹서버2 강제정지
Active-Active 방식의 웹서버 이중화를 위해 웹서버 간에 rsync와 crontab을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복사하여 동일한 상태를 유지시킨다. 평상시에는 두 대의 웹서버가 동시에 Active 상태로 부하를 나누어 교대로 실행하고, 하나의 웹서버가 장애로 인해 정지되더라도 나머지 웹서버가 계속해서 서비스를 지속하게 된다.
Rsyn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웹서버1과 웹서버2를 동기화시킨다. Rsync는 전체를 복사한 이후 변경된 부분만을 추가로 업데이트하기 때문에 두 서버의 파일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동기화시키기 위한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이다[7-8].
웹서버 간 동기화를 위한 쉘프로그램은 그림 9와 같다. 이는 두 서버의 지정 디렉토리(/usr/local/apache/ htdocs)를 비교하여 동일상태를 유지시키고, 웹서버1에서 웹페이지 삭제시 웹서버2에서도 삭제되도록 --delete 옵션을 사용한다.
# cd scheduled_job
# vi web_sync.sh
crontab 명령은 주기적으로 어떤 프로그램을 수행시키는데 사용된다. crontab 명령을 이용하여 웹서버 동기화 스크립트(web_sync.sh)를 1 분마다 실행시켜 웹서버간에 동일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동기화하였다.
# chmod 700 web_sync.sh
# crontab -e
웹서버1의 웹페이지(index.html)를 수정한 후 1분 뒤 웹서버2의 웹페이지(index.html)가 동일하게 변경된 것을 그림 10과 같이 확인하였다. 즉, 웹서버1의 웹페이지를 수정, 생성, 삭제시 웹서버2에도 동일한 웹페이지가 수정, 생성, 삭제되어 웹서버 동기화가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vi /usr/local/apache/htdocs/index.html
본 논문에서는 웹서버의 신뢰성과 무결성 향상을 위한 웹서버의 이중화 구축방법에 관해 연구하였다. 웹서버를 이중화하고 리눅스 가상서버를 이용하여 로드밸런싱 하여 빠른 서비스 응답과 웹서버의 결함내성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rsync를 이용하여 웹서버 간의 빠른 동기화를 이루어 클라이언트의 접속 요청에 임의의 웹서버가 서비스할 수 있는 Active-Active 방식의 웹서버 이중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웹서버 이중화시스템은 로드밸런싱서버, 웹서버1, 웹서버2로 구성된다. 이중화시스템 구축을 위해 로드밸런싱서버에 가상 IP를 할당한 후, 웹서버1과 웹서버2에도 동일한 가상 IP를 설정하였다. 가상서버 관리유틸리티 ipvsadm을 이용하여 로드밸런싱서버의 웹서버 스케쥴링 방식을 라운드로빈으로 하고, 웹서버1과 웹서버2를 스케쥴링 리스트에 추가하였다.
DNS 주소변환을 위한 네임서버 설정과 웹서버의 Virtual Host 설정으로 사용자가 웹서버이름(www.maze76.com)으로 접속요청 시 가상 IP로 접속요청이 이루어지고, 로드밸런싱서버는 이를 받아들여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스케쥴링하여 웹서버1과 웹서버2가 교대로 실행하는 것을 웹서버 로드밸런싱 시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rsync와 crontab을 이용하여 웹서버 간에 분 단위로 주기적인 복사를 하여 동일한 상태를 유지시켜 Active-Active 방식의 웹서버 이중화를 이루었다. 웹서버1과 웹서버2는 항상 동일 상태를 유지하며 실행 가능한 상태에 있으며, 임의의 웹서버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또 다른 웹서버에 의해 서비스가 계속 유지되어 사용자는 웹서버 장애를 전혀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계속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을 웹서버 결함내성 시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웹서버 이중화시스템 구축을 위한 절차를 실제 예를 통해 상세히 기술함으로써 웹서버 개발자와 관리자의 신뢰성 있는 웹서버 구축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웹서버의 사양이나 실제 부하 등에 대한 고려는 하지 않고 라운드로빈 방식의 웹서버 스케쥴링을 하였다. 향후 이를 고려한 연구를 계속하여 좀 더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웹서버 이중화 시스템 구축이 이루어지도록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