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회도서관 이용자인 성도와 목회자를 대상으로 교회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조사 · 분석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은 교회도서관이 있는 교회, 소규모 마을문고 형태의 도서관이 있는 교회, 그리고 교회도서관이 없는 교회 등을 선정하고, 응답자는 해당 각 교회의 성도 100인을 무작위추출방법으로 선정하고 교회의 목회자는 10인을 추가하여 각 교회마다 110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배경 및 선행연구에 대한 조사에는 문헌적 연구방법을, 이용자의 인식 파악을 위해서는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률은 저조한 편이며, 도서관 역할에 대해서는 소규모 마을문고나 교회의 문서관, 기능에 있어서는 열람실, 독서실, 독서지도 등을 지적하였다. 사서의 도움 만족도나 필요성에 있어서는 리커트 척도의 3.5(5점 척도) 이상으로 긍정적이었다. 자료 구성은 목회자와 성도에게 필요한 종교관련 도서 위주를 선호하고, 교회도서관을 지역주민에게 개방하는 것은 매우 긍정적으로 찬성하며, 전도에도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향후 도서관이 없는 교회는 성도의 종교지식 함양과 전도의 효과를 위해 교회도서관 설치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study aims to study the user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the current church library services in Korea. 100 registered attendees and 10 priests, from three different groups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e survey. Three groups - the one with its own library, another with a community type library, and the other without church library - were compared. A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were executed, and the questionnaires of the survey for analysis in this research contained demographic information, usage of church library, mission and function of the church library, library space, librarians, collection, community services of the church library, and perception on the effect of the library’s community service on a specific religious activity (evangelism).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n church library service was relatively high (3.5 point on average, 5-point Likert scale), even though the frequency of using the church library service was relatively low. The study also found that users perceived the library as a community library or archives of the church, and study rooms and reading rooms as its major functions. It reveals that religious materials were preferred as the church library collection and the service of the church library to its community was perceived as being a effective and positive factor on evangelism. Applying church library service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n the religion and effective results of evangelism.
우리나라의 기독교는 유럽으로 부터 아메리카 대륙으로 전파된 개신교가 1885년 미국의 선교사 아펜셀러(Henry Gerhart Appenzeller 1858-1902)와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 1859-1916)에 의하여 우리나라에 전파된 지 130년이 되어가고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기독교인은 나라를 잃은 어려운 환경에서도 신앙을 지키며 꾸준히 증가하였지만 현재는 점차로 감소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런 현상은 국가로서 성립 때부터 기독교가 국교였던 기독교 선진국들, 특히 우리나라에 기독교 전파를 위해 선교사를 파송했던 미국의 경우에서 먼저 볼 수 있는데, 현재 대부분의 미국 교회들에 젊은 교인은 거의 없고 나이 많은 노인들만이 믿음생활을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교회운영을 위해 소수민족에게 자신들의 교회를 임대형식으로 대여하여 교회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마련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교인 수가 감소하는 현상은 우리나라의 교회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 점차 젊은이들이 감소함으로써 교회학교나 청년부 활동이 위축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교인의 수가 감소하는 원인은 다양하게 분석할 수 있겠으나 정확하게 제시한 연구나 근거는 찾을 수 없고, 다만 몇 가지 현상을 고려하면 그 이유를 추정할 수는 있을 것이다. 즉, 성인의 경우는 과거 외국에서의 선교활동으로 인한 테러와 선교사들의 부적절한 행동에 기인한 사회적 지탄, 그리고 한 연구에서 지적한 것과 마찬가지로
이렇게 교회가 성장하지 못하고 침체기에 들어서서 전도가 어려운 상황에서, 교회도서관이 교회학교의 어린 학생이나 청년들에게 학습의 장소 및 교회교육의 자료를 제공하며, 교인들에게 신앙성장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 목회자에게는 목회활동에 필요한 종교 관련 자료를 제공하며, 지역주민에게는 지역의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교회도서관을 개방한다면,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인 지역주민이 어울려 살면서 교회가 다시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도 있다고 본다. 따라서 우리나라 교회도서관을 실제로 운영하고 있는 교회의 이용자들이 교회도서관에 대해 어떤 인식을 하고 있는지와 교회도서관이 없는 교회의 교인들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분석하고, 그 결과를 향후 교회도서관 운영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회들의 교회도서관 운영에 대한 이용자(일반 성도와 목회자)들의 인식과 의견을 조사함으로써, 그들의 생각을 파악하여 바람직한 교회도서관의 운영이 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연구문제는 교인(성도 및 목회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교회 유형에 따라 교회도서관 이용 및 운영에 대한 인식(교회도서관의 형태, 역할, 기능, 도서관 공간, 자료, 사서 등)에 차이가 있는지와 지역주민과의 교회도서관 공동 이용이 전도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 하는지, 그리고 교회도서관 미설치 교회가 도서관을 설립할 경우 장서로서 필요한 도서를 기증할 의사가 있는지에 대한 것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선행연구 개관과 교회운영에 대한 조사 내용 및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문헌적 연구방법을 사용하고, 실제 교회도서관 이용자들의 인식과 생각을 확인하기 위해, 서울 지역에 있는 자기교회 자체의 교회도서관이 있는 교회, 지방자치단체의 도움으로 운영되는 교회내의 마을문고 형태의 교회도서관이 있는 교회, 그리고 대전지역에 있는 교회도서관이 없는 교회 등의 3가지 유형
연구범위로는 표본으로 선정한 우리나라 대형교회 및 중소규모 이하의 교회도서관 및 교회도서관 미설치 교회를 대상으로 교회도서관의 이용현황, 도서관의 필요성과 역할 및 기능, 활동내용, 사서(인력), 자료, 시설 및 공간 등에 대한 요구 및 만족도, 그리고 교회도서관의 개방에 대한 의견 등에 대해 조사 분석하여 도서관 운영에 반영할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회는 교인들이 속한 지역 및 국가에 따라 그 발전 양상이나 운영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교회도서관만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우리나라의 도서관학 및 문헌정보학 분야의 발전은 타 분야에 비해 출발이 늦었고, 특히 연구를 수행할 연구자 배출이 비교적 늦은 1960년대 중 후반에 시작한 것을 볼 때, 교회도서관 에 대한 연구로서 김남석(1973)이 교회도서관 설치에 중요성을 지적하고 제언한 것은 매우 선구자적 연구라 할 수 있겠다. 다음에 이어서 김창선(1978)의 연구에서 교회 선교활동에서의 종교서적 독서의 의의를 다뤄 교회도서관의 지향점을 밝힌 것이 비교적 초기의 연구라 할 수 있고, 정진식(1988)의 우리나라 교회도서관의 발전방안 연구가 그 뒤를 이은 연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시작으로 교회도서관에 대한 연구가 간간이 이루어 졌으나, 그동안 교회도서관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문헌정보학 분야의 다른 주제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연구되었다. 그 후, 교회교육 및 목회를 중심으로 교회도서관 발전방안을 연구한 정진식(1988), 교 회도서관의 발전방안에 연구한 장현운(1991)의 연구가 뒤를 이었다.
김명옥(2000a)은 교회도서관 및 도서관 운영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고, 문제점을 개선하여 교회도서관을 활성화하기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또한 김명옥(2000b)은 교회도서관 활성화에 필요한 규정 개발 연구를 실시하였고, 교회도서관의 기능에 대해 신학전문도서관, 공공도서관, 학교도서관, 어린이도서관, 박물관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제시하였다.
그 후로는 학위논문 발표가 이어졌다. 즉, 김미경(2004)은 교회도서관이 교인 및 지역사회의 관심과 문화욕구를 충족시켜야 한다고 하면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앙교육에 필요한 자료 제공, 독서지도 및 교육문화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제공, 사회복지시설을 지원해주는 봉사기관 역할 등을 수행해야 한다고 하였다. 염혜선(2005)은 27개 교회도서관을 조사하여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사서의 필요성, 다양한 형태의 자료비치, 자료선정을 위한 위원회 설치, 다양한 문화행사 및 프로그램 운영, 교회도서관간 협력, 특성화된 교회도서관 설립 등을 제언하였다. 곽지원(2005)은 경기도 평택지역의 55개 교회의 목회자를 대상으로 교회도서관에 대한 일반적 인식, 도서관 시설 및 자료현황, 도서관 개방에 대한 의견 등을 조사하고, 목회자에게 교회도서관의 필요성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도서관운영위원회가 필요성, 지역사회에 특화된 도서관 모형설계의 필요성, 프로그램의 점검 및 수정, 교회도서관 사서교육과정 개설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송성수(2009)는 교회도서관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서 교회교육에서의 교회도서관의 기능을 정리하고, 교회도서관이 나아갈 방향은 문화형성에 있다고 하였다.
최근의 연구로 이명희(2010)는 교회교육의 정상화와 기독교 문화 형성을 위하여 교회도서관의 현황과 문제점을 질문지법으로 조사하였는데, 교회도서관 설립은 5년 미만인 교회가 많고, 교회도서관은 시설, 자료구입비가 여전히 빈약하며, 전담사서의 배치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이 외 도서의 구성비, 많이 시행되는 프로그램 등을 조사하여. 교회도서관의 적극적인 설치와 자료구입예산의 확보, 비도서 자료의 다양한 구비, 도서관 홈페이지 정비 및 검색기능 강화, 전담직원의 확보, 교회 내 타 교육기관과의 협력, 지역사회와의 협력, 타 기관 도서관과의 상호협력을 주장하였다. 김희진(2013)은 경기도 지역 150개의 교회도서관의 운영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운영상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운영예산 확보, 전문인력 배치, 운영에 대한 전반적 정비, 지역 내 작은 도서관 및 공공도서관과의 협력 등을 제시하였다.
문헌정보학 분야가 아닌 연구로서는 목회자이며 교수인 조용훈(2013)은 지역교회의 문화사역 현실과 미래 과제를 주제로 연구하면서, ‘1990년대 들어 대형교회를 중심으로 교회도서관에 대한 관심이 도서관 설치로 이어졌다’고 지적하고, 교회도서관이 교회 사료관의 역할, 신앙교육과 상담에 필요한 자료제공 등에 목회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은 조용훈(2013)의 연구를 제외하고 모두 교회도서관의 운영 현황을 도서관운영자나 목회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문제점을 확인하고, 개선방안 또는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 측면에서 일반 성도
본 연구에서 조사·분석하기 위해 선정한 표본은 서론에서 밝힌 3개 유형의 교회들의 교인 중에서 무작위추출방법으로 각 교회의 성도 100명씩과 목회자 10명씩 총 330명이었다.
질문지 구성은 인구 사회학적특성 항목 3개항(5개 세부 항목), 도서관 이용현황, 도서관 기능 및 역할, 도서관자료, 사서, 공간에 관한 사항 및 도서관 개방에 대한 인식 등 16개 항, 총 19개 질문이었다.
조사 방법은, 교인들이 주일날 예배를 위해 교회에 올 때 질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하도록 하였는데, 각 교회의 사정에 따라 조사자가 직접 질문지를 배포하고 당일에 회수하는 방법(A교회), 며칠에 걸쳐 회수하는 방법(C교회), 그리고 조사자가 질문지를 배포하고 직접 회수할 수 없는 경우로 우편회수방법(B교회)을 이용하였다. 질문지의 회수율은 A교회가 97.3%(110명중 107명), B교회가 43.6%(110명중 48명), C교회가 95%(110명 중 105명)였다( <표 1> 참조). 조사 기간은 2014년 1월 13일부터 1월 29일까지였다.
응답자의 성별, 연령, 신분 분포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과정과 오류검토 작업을 거친 후, SPS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2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사후분석(LSD방법)등의 통계분석방법을 수행해서 연구결과를 도출했다.
분석은 질문 항목의 조사 내용에 따라 교회유형 및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나 빈도분석에 따른 기술통계를 중심으로 하였다.
응답자의 성별은 남성(38.5%)보다 여성(61,5%)이 월등히 많고, 연령대는 50대 이상이 가장 많으며 20대 이하가 가장 적었다. 신분은 일반 성도와 목회자의 비율이 약 9:1이었다.
자녀 현황은 초등학생과 청년이 가장 많았는데, 이것은 응답자 연령의 비율과 비교할 때 50대 이상 및 30-40대 연령층이 많은 것과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볼 수 있다(<표 2> 참조).
응답자의 자녀 현황
응답자의 약 2/3정도가 1-3Km 또는 5Km이상의 거리에 주거지가 있음을 알 수 있다(<표 3> 참조).
주거지에서 교회까지의 거리
이용 현황에는 교회도서관 이용 경험, 이용빈도,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 구성되어 있다. 교회 유형과 인구사회학적 특성들(성별, 연령, 신분, 교회와 주거지 거리)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교회 유형에 따라 교회도서관 이용경험에는 유의수준 0.001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교회도서관이 없는 교회의 응답자가 타 교회도서관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비율이 15.4%로, 교회도서관 있는 교회의 응답자는 자관 이용률이 78.5%, 마을문고 교회의 응답자의 이용률은 68.1%로 자관이 없는 교회의 이용자가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다(<표 4> 참조).
[<표 4>] 교회 유형에 따른 교회도서관 이용경험의 차이
교회 유형에 따른 교회도서관 이용경험의 차이
성별에 따른 교회도서관의 이용 경험은 큰 차이가 없으나, 여성이 남성보다 약간(7.6%) 높은 편이었다(<표 5> 참조).
성별에 따른 교회도서관 이용경험의 차이
연령에 따른 교회도서관 이용 경험에서는 40대가 이용경험이 가장 많으며, 무 경험자와의 차이도 가장 컸다. 기타 연령대에서는 비교적 큰 차이가 없었다(<표 6> 참조).
연령에 따른 교회도서관 이용경험의 차이
신분에 따른 교회도서관 이용경험의 차이에서도 두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목회자가 일반 성도보다는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7> 참조).
신분에 따른 교회도서관 이용경험의 차이
5) 주거지와 교회까지 거리에 따른 교회도서관 이용경험의 차이
주거지와 교회까지 거리에 따른 교회도서관 이용경험의 차이에서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이용 경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나서 의외의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이것은 교회도서관을 이용하는 빈도에서 보듯(<표 9> 참조) 1주에 1회 이용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볼 때, 거리에 상관없이 주일에만 이용하는 교인이 많은 결과로 해석할 수 있겠다(<표 8> 참조).
[<표 8>] 주거지와 교회까지 거리에 따른 교회도서관 이용경험의 차이
주거지와 교회까지 거리에 따른 교회도서관 이용경험의 차이
1) 교회도서관의 유무 또는 유형에 따른 이용 빈도의 차이
교회도서관의 유무와 유형에 따른 교회의 구분에서 이용 빈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교회도서관 이용 빈도는 전체적으로 주 1회이용(44.4%)이 가장 많으며, 그다음이 분기당 1회(31%)였다. 교회 유형에서는 교회도서관이 없는 교회의 이용자들이 가장 적게 이용한 것으로 나타나서(응답자의 26.7%), 교회에 도서관이 없는 것이 이용률 저조에 크게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표 9> 참조).
교회 유형별 교회도서관 이용 빈도
신분에 따라 교회도서관 이용 빈도의 차이는 유의수준 0.01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성도가 주1회 교회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 빈도의 비율(49.5%)이 목회자가 주1회 이용하는 빈도(6.7%)에 비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반대로 목회자는 월 1~2회 또는 분기별 1~2회 정도 이용하는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일반 성도는 예배를 위해 교회에 왔을때, 목회자는 평일에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겠다(<표 10> 참조).
신분에 따른 교회도서관 이용 빈도
교회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에 있어서 교회 유형에 따른 차이, 연령에 따른 차이, 신분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성별 및 거리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1) 교회 유형에 따른 교회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
교회 유형에 따라 교회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유의수준 0.001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교회도서관이 없는 교회의 응답자들의 이유 중 ‘교회도서관이 있는지 몰라서’인 비율이 67.7%로 교회도서관 있는 교회의 7.5%, 마을문고 있는 교회의 11.1%에 비해 상당히 높다. 교회도서관이 있는 교회의 이용자들은 ‘시간이 없어서’의 이유가 가장 높았다(<표 11> 참조).
[<표 11>] 교회 유형에 따른 교회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
교회 유형에 따른 교회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
연령에 따라 교회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유의수준 0.05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도서관이 있는지 몰라서’의 이유는 50대 이상(30.3%)을 제외한 다른 연령대가 주를 이루고 있고, ‘이용할 시간이 없어서’의 이유인 경우는 20대 이하가 43.5%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다(<표 12> 참조).
[<표 12>] 연령에 따른 교회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
연령에 따른 교회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
신분에 따라 교회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용자의 이유는 유의수준 0.001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즉, ‘도서관이 있는지 몰라서’의 이유는 주로 성도(43.9%)이었고, 목회자는 응답자의 19.0%(4명)이었는데 모두 C교회 목회자들이었다. ‘원하는 자료가 없어서’의 이유는 목회자(38.1%)들이었고, 성도는 3.2%에 불과했다(<표 13> 참조).
[<표 13>] 신분에 따른 교회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
신분에 따른 교회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
이 질문은 교회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회도서관 구분과 인구사회학적 특성들(연령, 신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1) 교회도서관 구분에 따른 교회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인식 차이
교회도서관의 유무와 유형에 따른 교회 도서관 역할에 대한 인식은 유의수준 0.001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교회도서관이 전형적인 일반도서관 형태의 역할이어야 한다는 인식은 교회도서관이 있는 교회의 이용자 비율이 29.8%로 다른 교회들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소규모 마을문고의 역할이어야 한다는 인식은 교회도서관이 없는 교회의 이용자(43.7%)와 마을문고 형태의 도서관이용자(46.4%)들이 주로 응답하였다.
또한, 전체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보면, 교회도서관이 소규모 마을문고 형태의 역할을 해야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24.7%), 교회의 문서관(24,7%), 전형적 도서관형태(21.0%) 순이었다(<표 14> 참조).
[<표 14>] 교회도서관 구분에 따른 교회도서관의 역할 인식
교회도서관 구분에 따른 교회도서관의 역할 인식
연령에 따른 인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20대 이하에서는 일반 도서관형태(29.1%), 30대에서는 어린도서관 형태(23.8%), 40대(36%)와 50대(42%)에서는 소규모 마을문고 형태의 역할을 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전체 평균에서는 1순위가 마을문고, 그 다음이 교회 문서관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인식 하였다(<표 15> 참조).
[<표 15>] 연령에 따른 교회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인식
연령에 따른 교회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인식
신분에 따른 구분에서 일반 성도와 목회자의 교회도서관 역할에 대한 전체적인 인식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교회도서관 역할에 대해 목회자나 성도는 모두 우선순위로 마을문고 형태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인식하나, 2순위에서 목회자는 어린이도서관의 역할을, 일반성도는 교회의 문서관 역할을 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표 16> 참조).
[<표 16>] 신분에 따른 교회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인식
신분에 따른 교회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인식
1) 교회의 유형에 따른 교회도서관 이용자의 교회도서관 필요기능에 대한 인식 차이
교회의 유형에 따라 교회도서관의 필요 기능중 ‘문화활동 주관 기능’에 있어서 유의수준 0.001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문화 활동 주관 기능의 경우 마을문고형태의 교회도서관이 있는 교회의 이용자(12.2%)와 교회도서관이 없는 교회의 이용자(14.1%)들이 교회도서관이 있는 교회의 이용자들(5.2%)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교회도서관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기능에 대해 교회의 유형에 따른 이용자들의 인식에서, 교회의 유형에 관계없이 모든 이용자들은 자료열람 기능을 지적하였고(24.8%), 그 다음이 어린이를 위한 독서지도(14.0%)를, 그 다음은 독서실 기능(12.8%)을 지적하였다(<표 17> 참조).
[<표 17>] 교회의 유형에 따른 교회도서관 이용자의 교회도서관 필요기능에 대한 인식
교회의 유형에 따른 교회도서관 이용자의 교회도서관 필요기능에 대한 인식
2) 연령에 따른 교회도서관 이용자의 교회도서관 필요기능에 대한 인식 차이
연령에 따른 기능의 차이에서도 교회 유형에 따른 인식의 차이와 마찬가지로 연령에 관계없이 가장 우선하는 기능은 자료열람 기능이었다. 그 다음으로 20대에서는 어린이를 위한 독서지도와 자료수집 기능을, 30대에서는 자료수집과 독서실 기능을, 40대에서는 어린이를 위한 독서지도를, 50대 이상에서는 독서실 기능을 지적하였다(<표 18> 참조).
[<표 18>] 연령에 따른 교회도서관 이용자의 교회도서관 필요기능에 대한 인식
연령에 따른 교회도서관 이용자의 교회도서관 필요기능에 대한 인식
3) 신분에 따른 교회도서관 이용자의 교회도서관 필요기능에 대한 인식 차이
신분에 따른 기능의 차이에서도 교회 유형에 따른 인식의 차이와 마찬가지로 신분에 관계없이 가장 우선하는 기능은 자료열람 기능이었다. 그 다음으로 성도나 목회자 모두 어린이를 위한 독서지도를 지윁함으로써, 교회의 역할이 어린이의 교회교육에 비중을 두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표 19> 참조).
[<표 19>] 신분에 따른 교회도서관 이용자의 교회도서관 필요기능에 대한 인식
신분에 따른 교회도서관 이용자의 교회도서관 필요기능에 대한 인식
교회도서관 이용 시 사서의 도움을 받은 경험·내용·만족도, 사서의 필요성, 사서도우미 참여 의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분적(사서의 도움 경험 유무, 사서의 도움 유형, 사서의 도움 만족도, 사서 필요성, 사서도우미 봉사에 대한 참여 의사 등)으로 교회유형과 인구사회학적 특성들(연령, 신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 2표본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교회의 유형에 따라 사서의 도움을 받은 경험은 유의수준 0.001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교회도서관이 없는 교회의 응답자 중 사서의 도움을 받은 경험이 있는 비율이 11.1%로 다른 교회들에 비해 현저하게 낮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는 사서의 도움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39.7%) 보다 없는 경우(60.3%)가 뚜렷하게 높음을 볼 때, 사서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적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결과는 도서관이 없는 교회의 이용자가 다른 교회를 이용한 사례가 포함되어 있어서 실제로는 사서의 도움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있는 경우가 약간 높은 편이었다(<표 20> 참조).
사서의 도움 경험 유무
연령에 따라 사서의 도움을 받은 경험은 유의수준 0.05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20대 이하에서 사서의 도움을 받은 경험이 있는 비율은 20.6%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현저하게 낮음을 알 수 있다(<표 21> 참조).
연령에 따른 사서의 도움 경험 유무
신분에 따라서는 목회자(54.2%)가 일반 성도(38.1%)보다 사서의 도움을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표 22> 참조).
신분에 따른 사서의 도움 경험 유무
이 질문은 복수응답이 가능한 질문이었는데, 전체적으로 ‘자료내용 안내’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신착자료 안내’, 그리고 다음으로 ‘도서관 이용안내’에 대한 도움이었다. 서비스 내용에 대한 도서관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표 23> 참조).
사서에게 받은 도움의 종류
3.4.3 사서의 도움에 대한 만족도, 사서 필요성, 사서도우미 봉사에 대한 참여 의사
사서의 도움에 대한 만족도(p<.05)와 사서의 필요성(p<.001)에 대한 교회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어떤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분석(LSD방법)을 실시한 결과 C교회(교회도서관 없는 교회)가 제일 낮아 B교회(마을문고 있는 교회)와 A교회(교회도서관 있는 교회) 집단과 차이가 있었다. 이 조사 결과는 교회도서관이 없는 교회의 성도가 타 교회도서관을 이용할 때, 사서의 도움을 제대로 받지 못하여 서비스의 만족도나 사서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회도서관에서 사서 도우미가 필요한 경우에 참여할 의사는 리커트 척도에서 평균 ‘3’점을 나타내어 약간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표 24>참조).
[<표 24>] 사서의 도움 만족도, 사서 필요성, 사서봉사 도우미 참여 의사
사서의 도움 만족도, 사서 필요성, 사서봉사 도우미 참여 의사
교회도서관의 공간에 대한 인식에서 ‘문화교실 공간’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교회 유형에 따라 유의수준 0.01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문화교실 공간’의 경우 교회도서관이 있는 교회 이용자들의 필요성 인식(4.4%)이 다른 교회 이용자들의 인식에 비해 약 1/2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기타 다른 공간들에 대한 인식은 큰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인 이용자들의 공간 필요성에서는 자료열람실(24.3%), 자료소장 공간(열람 포함, 18.5%)), 어린 자녀와 함께 열람하는 공간(17.0%), 독서실(16.9%) 순이었다(<표 25> 참조).
[<표 25>] 교회 유형에 따른 교회도서관 공간 필요성에 대한 인식
교회 유형에 따른 교회도서관 공간 필요성에 대한 인식
교회 유형과 인구사회학적 특성들(연령, 신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 및 2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3.6.1 교회 유형에 따른 교회도서관 자료 필요성에 대한 차이
교회 유형에 따라 교회도서관 자료의 필요성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회학교 교재를 제외한 모든 교회도서관 자료 필요성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목회 활동을 위한 전문 종교 도서(p<.05)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경우 B교회(마을문고, 3.85)가 제일 낮아 제일 높은 A교회(4.27)와 큰 차이가 있었다.
교리공부를 위한 종교도서와 신앙 교양도서는 모두 유의수준 0.001하에서 유의하였다. 즉, 세 집단이 모두 차이가 있었다. 두 종류의 도서에 대해 필요성을 높은 순으로 나열하면 A교회, C교회, B교회 순이었다.
성인을 위한 교양도서는 유의수준 0.001하에서 유의하였는데, A교회 이용자가 필요성을 가장 높게(4.02) 지적하였고, B교회(3.78), C교회(3.51) 순이었다.
청소년을 위한 교양도서는 유의수준 0.01하에서 유의하였는데, C교회가 제일 낮아(3.71) 제일 높은 A(4.12)와 큰 차이가 있었다.
어린이를 위한 일반도서는 유의수준 0.01하에서 유의하였는데, C교회가 제일 낮아(3.71), A교회(4.10) 및 B교회(4.07)와 큰 차이가 있었다.
이렇게 도서의 종류에 따라 도서관별로 필요성의 차이가 있는데, 신앙도서의 필요성은 A교회 이용자가 가장 높게, B교회 이용자들이 가장 낮게 지적하였고, 일반 교양도서의 필요성은 A교회 이용자들이 가장 높게, C교회 이용자들이 가장 낮게 지적하였다(<표 26> 참조).
[<표 26>] 교회 유형에 따른 교회도서관 자료 필요성에 대한 인식
교회 유형에 따른 교회도서관 자료 필요성에 대한 인식
3.6.2 신분에 따른 교회도서관 자료 필요성의 인식 차이
신분에 따라 교회도서관 자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2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교회학교 교재와 어린이를 위한 일반도서가 유의수준 0.05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목회자들이 일반 성도에 비해 어린이를 위한 도서와 교회학교 교재의 필요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정도로, 그리고 일반 교양도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지만 비교적 높게 지적하였다.
이와는 반대로 목회활동을 위한 전문도서의 경우는 오히려 일반 성도가 목회자에 비해 도서의 필요성을 높게 지적함으로써, 목회자들이 신앙적 도서를 많이 좀 더 볼 것을 기대하는 경향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겠다(<표 27> 참조).
[<표 27>] 신분에 따른 교회도서관 자료 필요성의 인식
신분에 따른 교회도서관 자료 필요성의 인식
3.7 지역주민이 교회도서관을 함께 이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
이 질문은 ‘교회도서관을 지역주민이 함께 이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 ‘지역주민이 함께 이용 시 전도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인식’과 ‘교회도서관이 없는 교회에 교회도서관 설치 시도서 기증 의사’로 구성되어 있다. 교회 유형과 인구사회학적 특성들(연령, 신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 및 2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3.7.1 교회 유형에 따른 지역주민이 함께 이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 차이 대한 인식
교회 유형에 따라 지역주민이 함께 이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일원배치분산분석 결과 교회도서관을 지역 주민과 함께 이용하는 것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전체적으로 개방에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전도에 도서관의 공동이용이 전도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즉, 전도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에서 B교회가 A교회와 C교회보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을 정도로 낮게 나타났다(<표 28> 참조).
[<표 28>] 교회 유형에 따른 지역주민이 함께 이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
교회 유형에 따른 지역주민이 함께 이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
3.7.2 연령에 따른 지역주민이 함께 이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 차이
연령에 따라 지역주민이 함께 이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 결과, 교회도서관을 지역주민과 함께 이용하는 것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유의수준 0.05하에서 유의하였다. 즉, 20대 이하의 연령대에서 지역주민과 함께 이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은 다른 연령대의 이용자들과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적으로는 매우 긍정적임(리커트 5점 척도에서 4.16)을 알 수 있다.
교회도서관의 개방이 전도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인식에서도 모든 연령대가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표 29> 참조).
[<표 29>] 연령에 따른 지역주민이 함께 이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
연령에 따른 지역주민이 함께 이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
3.7.3 신분에 따른 지역주민이 교회도서관을 함께 이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 차이
신분에 따라 지역주민이 함께 이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 차이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2표본 t-검정 결과, 교회도서관을 지역주민과 함께 이용하는 것에 대한 생각이 유의수준 0.01하에서 유의하다. 즉 목회자가 성도에 비해 지역주민에게 개방하는 것에 더 긍정적이었다. 기타 도서관의 개방이 ‘전도에 도움이 될 것이다’라는 생각에도 성도보다는 목회자가 더 긍정적이었다(<표 30> 참조).
[<표 30>] 신분에 따른 지역주민이 교회도서관을 함께 이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
신분에 따른 지역주민이 교회도서관을 함께 이용하는 것에 대한 인식
3.7.4 신분에 따른 교회도서관 설립 시 도서기증 의사에 대한 인식 차이
교회도서관이 없는 교회의 이용자들에게만 조사한 질문에서 신분에 따라 교회도서관 설립시 도서기증을 할 의사가 있는지에 대한 생각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두 집단 모두 평균 리커트 5점 척도에서 3.99 이상의 긍정적 생각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향후 교회가 도서관을 설립할때 도서구입비를 줄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표 31> 참조).
[<표 31>] 신분에 따른 교회도서관 설립 시 도서기증 의사에 대한 인식
신분에 따른 교회도서관 설립 시 도서기증 의사에 대한 인식
본 논문은 우리나라 교회에서 운영하는 교회도서관의 이용자와 교회도서관이 없는 교회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교회도서관의 유형별 및 이용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교회도서관 이용현황과 도서관 운영에 관련된 내용, 교회도서관의 개방에 대한 인식차이 등을 확인하기 위해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교인들의 교회도서관 이용경험은 51.2%로써 절반에 가까운 교인들이 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교회도서관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은 거리에 관계없이 이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특이한것은 거리가 멀수록 이용률이 높았다. 이것은 이용 빈도에서 나타난 것처럼 주 1회 이용이 가장 많은 것을 볼 때, 거리가 먼 곳의 교인이 주일날 예배 전 또는 후에 이용하는 경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 한다. - 자신의 교회에 교회도서관이 없는 교회의 교인들은 다른 교회에 교회도서관이 있는지도 모르는 경우가 응답자의 67.7%로서 매우 높았다. - 교회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교회도서관이 없는 교회의 교인을 제외하면 “시간이 없어서”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교회도서관이 있는 교회의 성도 중에서도 교회도서관이 있는지 모르는 경우가 43.9%나 되었다. - 교회의 역할에 대해서는 소규모 마을문고 형태, 교회의 문서관 및 일반적 도서관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목회자와 30대의 성도는 유독 어린이도서관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 교회의 기능에서는 자료열람, 독서지도, 문화활동 주관 순으로 지적하였다. - 사서의 도움 만족도나 사서의 필요성에서는 리커트 5점 척도에서 각각 3.96과 3.80을 나타내어 매우 긍정에 가까웠으나, 사서도우미로 봉사할 의사에 대해서는 3.0으로서 보통 정도를 나타냈다. - 도서관의 공간 필요성에서는 일반열람실, 자녀와 함께 열람하는 공간, 독서실을 지적하였다. - 자료의 구성에서는 목회자를 위한 종교도서를 포함한 신앙도서가 모두 리커트 5점 척도에서 4.1 이상을 나타냈고, 교양도서나 어린이 도서는 3.92와 3.93을 나타내서 큰 차이는 없으나 신앙관련 도서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도서의 종류에 따라 도서관별로 필요성의 차이가 있는데, 신앙도서의 필요성에 대해 도서관이 있는 교회 이용자가 가장 높게, 마을문고가 있는 교회의 이용자들이 가장 낮게 지적하였다. 일반 교양도서의 필요성도 도서관이 있는 교회 이용자가 가장 높게, 도서관이 없는 교회 이용자들이 가장 낮게 지적하였다. - 교회도서관을 지역주민과 함께 이용하는 것에 대한 생각은 리커트 5점 척도에서 4.16을 나타냈고, 신분에 따라서는 목회자가 4.58로 매우 긍정적이었다. 전도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생각은 3.88로 긍정적이긴 하나 도서관의 개방에 대한 생각보다는 약간 낮은 편이었다. - 교회도서관이 없는 교회에 도서관이 신설될 경우 도서를 기증할 의사에 대해서는 리커트 5점 척도에서 3.9 이상을 나타내어 매우 긍정적이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로 볼 때, 향후 우리나라 교회의 교회도서관들은 도서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홍보를 강화하고, 교회도서관의 역할에 대해 도서관뿐만 아니라 문서관의 역할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기능에 있어서도 어린이 및 청소년을 위한 독서지도나 독서실 기능도 적극적으로 확대해야 하며, 문화활동에 대한 프로그램의 개발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자료구성에서는 교회의 규모나 교인의 성향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신앙관련 도서와 교양도서의 장서구성 비율을 교인의 요구를 조사하여 적절히 구성해야 할 것이다.
서론에서 밝힌 바와 마찬가지로 기존의 교인들의 수가 감소하는 현실에서 교인들의 교회이탈 방지와 전도의 필요성에서라도 교회도서관의 운영에 좀 더 적극성을 가져야 하며, 교회도서관이 없는 교회는 조속히 도서관 설립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도서관 설립에 대해서는 조사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교회가 교회도서관을 설립하는 경우 교인들이 가지고 있는 도서를 기증할 의사가 매우 높음을 볼 때, 도서관 설립과 운영상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비용의 문제를 상당부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교회도서관 개방에 관해서는 ‘교회가 “폐쇄공동체”라는 비난을 받는 이유 중 하나를 교회 밖의 지역주민의 삶과는 유리되어 살아가는 모습’이라고 지적(이명희 2010)하는 현실에서, 교인들이 지역주민에게 적극적으로 교회도서관을 개방하려는 긍정적 생각을 가지고 있고, 전도에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은 향후 교회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