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A Study on Pattern Development of Men's Slim-fit Dress Shirt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A Study on Pattern Development of Men's Slim-fit Dress Shirt
KEYWORD
men's apparel , slim-fit , dress shirts , slim-fit dress shirt pattern
  • 1. 서 론

    남성 셔츠시장은 2006년부터 시작된 슬림핏 트렌드를 시작으로 2010년부터 어번 캐주얼(Urban casual)과 비즈니스 캐주얼(Business casual)의 강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Kim & Yum, 2010). 이제까지 셔츠시장의 메인 고객 이였던 40~50대는 마인드 에이지가 낮아져 ‘맨슈머’, ‘꽃중년’ 등의 신조어(Gwon, 2012)와 함께 중년층의 슬림화 추세를 가속화 시키고 있으며, 여기에 새로운 고객층으로 20~30대 젊은 층이 유입되었다. 20~30대 젊은 층은 자기 외모를 가꾸고 자유로운 사고 속에서도 자신만의 라이프스타일을 확고히 해 새로운 소비층으로 주목 받고 있는 실정이며 (“Fashion power consumption”, 2010), 이들은 서구화된 체형과 함께 키, 허리둘레 비율이 더 날씬해져 슬림핏 트렌드와 잘 맞아 떨어지고, 다양하고 세계화된 패션 트렌드를 적극적으로 수용, 편안함 보다는 멋을 치중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Cho, 2007).

    이러한 새로운 소비층의 등장과 슬림핏 트렌드는 드레스 셔츠 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닥스셔츠’는 좀 더 광범위한 스타일에 어깨와 허리라인을 살린 ‘카나비 셔츠’를 출시하였고 (Moon, 2012), ‘에스티듀퐁’은 바디라인을 돋보이게 해주는 스키니핏에 가격대도 기존 ‘에스티듀퐁’보다 1~2만원 정도 낮춘 ‘D-Man Series’를 런칭했다(“In view men's”, 2012). ‘레노마셔츠’는 젊은 브랜드로 리뉴얼, 캐주얼 셔츠 강화 및 뉴슬림 라인을 개발하였고, ‘예작’은 젊은층을 겨냥한 ‘스키니핏’, ‘스타 일핏’과 중년층의 슬림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한 ‘젠틀핏’을 전개하면서 가벼운 니트 편직물과 알티마(Altima)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이 강조된 제품들을 출시하였다. ‘웅가로 셔츠’는 이번 시즌 슬림 제품인 ‘스타일 핏’을 출시하여 셔츠시장 내에서 입지를 탄탄하게 다져가고 있다(Moon, 2012).

    이와 같이 대부분의 셔츠 브랜드들이 젊어진 소비자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타깃층을 낮춰 컨셉을 리뉴얼하거나, 세컨드 라인을 출시하고(“In view men's”, 2012; “Menswear, looking to”, 2012; “In view men's”, 2013), 타깃층 보다 젊은 모델을 광고에 등장시켜 젊은 이미지를 강조하는 등 젊은 감성을 주축으로 한 변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로 가디스컬렉션’은 30대 소비자층을 타깃으로 재정비한 4p mix 를 전개하고, ‘빨질레리’는 슬림라인인 풀라인의 확대로 젊은 고객 유입을 증가시켰다(“Menswear, looking to”, 2012). 이와 같이 많은 셔츠 브랜드들이 20~30대의 젊은 소비자뿐만 아니라 40대의 연령층까지 무난하게 소화 할 수 있도록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이는 Cho(2008)의 연구에서 현재 남성 소비자들이 요구하는 패션의 핵심이 실제 나이보다 젊어 보이고자 하는 ‘Look Young’의 경향이라고 제시한 것과 맞아떨어진다.

    남성복 시장에서는 다양한 제품으로 변화하는 시장에 대처하고 있는데, ‘제스’는 초 슬림라인인 X라인 반팔셔츠를 출시하여 70%이상의 판매고를 올렸고(Lee, 2010), ‘예작’은 슬림핏 제품의 판매율이 80%에 달할 정도로 인기를 모으고 있으며, ‘루이까또즈 셔츠’, ‘피에르가르뎅 셔츠’는 전체 물량의 35%이상을 슬림핏 제품으로 구성하고 있다(Moon, 2012).

    이러한 트렌드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타깃층의 특성이 반영된 제품의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타깃층이 트렌드에 민감한 20~30대일 경우, 소비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소비자의 요구뿐만 아니라 신체적 특징까지 반영한 제품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데(Cho, 2008), 현재까지 진행 된 드레스 셔츠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착용실태에 관한 연구(Kim & Choi, 2006; Lim, 2001), 원형 개발에 관한 연구(Hwang & Lee, 2002; Sung & Yang, 2006), 체형별 남성 드레스 셔츠 패턴 연구(Jang, 2007) 등이 진행되었고, 슬림핏 트렌드가 반영된 남성복 연구로는 주로 슬림핏 재킷원형 개발에 관한 연구(Cho, 2007; Kim, 2009; Sung & Yang, 2011)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슬림핏 트렌드가 반영되어 연구 개발된 드레스 셔츠 및 여유량, 맞음새등의 차이를 나타내는 슬림핏 드레스 셔츠 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슬림핏 드레스 셔츠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은 20~30대 영 어덜트 층 남성을 대상으로 슬림핏 드레스 셔츠의 제품 스타일과 사이즈 스펙, 착의 실태, 구매 실태, 제품 맞음새 및 선호 디자인을 파악하였고(Kim & Jang, 2012),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용 드레스 셔츠 패턴들을 수집하고, 선정한 패턴들의 특징을 비교 분석 및 착의 평가를 통하여 패턴 개발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 둘째, 연구자의 선행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20~30대 영 어덜트 층 남성의 평균체형을 대상으로 한 슬림핏 드레스

    [Table 1.] Subject's body size (Unit : cm)

    label

    Subject's body size (Unit : cm)

    셔츠 패턴을 개발하여 교육현장 및 산업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2.1. 피험자 선정

    본 연구의 피험자는 사이즈 코리아에서 제시하는 ‘제6차 인체 치수조사’ 20~30대 영어덜트층 남성의 평균 사이즈 ±S.D범위에 속하는 3명으로 의도 표집 하였다. 인체측정 항목은 길이 3항목, 둘레 4항목으로 총 7항목으로 나타내었으며, 피험자들은 7항목 모두 ±S.D범위 안에 속하도록 의도 표집하였다. 인체 측정항목과 측정치수는 Table 1과 같다.

    인체 측정 시 Martin 인체측정기를 사용하였고, 보조용구로는 줄자를 사용하였으며, 직접측정 시, 사이즈코리아 표준인체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2.2. 교육용 드레스 셔츠 패턴 비교 분석 및 착의 평가

    2.2.1. 교육용 패턴 비교 분석

    슬림핏 드레스 셔츠 패턴 개발을 위해 드레스 셔츠 패턴 개발에 관한 선행연구들(Hwang & Lee, 2003; Jang, 2007;Sung & Yang, 2006)에서 비교 패턴으로 사용된 패턴들을 토대로 교육용 드레스 셔츠 패턴 8가지를 수집하였고, 8개의 패턴을 중합시킨 후 그 중에서 여유량이 지나치게 많아(예: 뒤판에 턱이 들어간 디자인) 비교가 불가능한 4개의 패턴을 제외한

    [Table 2.] Slim-fit dress shirts pattern size (Unit : cm)

    label

    Slim-fit dress shirts pattern size (Unit : cm)

    [Table 3.] Characteristics of fabric

    label

    Characteristics of fabric

    N패턴(Nam & Lee, 1996), H패턴(Huh, 2001), E패턴(Lee, 2011), C패턴(Choi, 2008)을 선정하였다. 패턴 분석을 위하여 같은 사이즈를 적용하여 제도 하였으며, 적용한 사이즈는 Table 2와 같다.

    2.2.2. 비교 패턴 착의 평가

    선정된 4개의 비교 패턴으로 실험복을 제작하여 의도 표집한 3명의 피험자에게 각각 착의 시킨 후 평가 하였고, 실험 원단의 물성은 Table 3과 같다.

    착의 평가 항목은 외관 평가와 맞음새 평가를 합해 총 30개항목으로 구성하였고, 외관 평가의 경우 각 문항별로 매우좋다(5점), 좋다(4점), 보통이다(3점), 나쁘다(2점), 매우 나쁘다(1점)의 5점 평점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를 사용하였고, 맞음새 평가문항의 경우 매우작다(1점), 약간작다(3점), 적당하다(5점), 약간 크다(3점), 매우크다(1점)의 항목을 사용하였다. 외관 평가의 경우 점수가 높을수록 외관이 우수함을 의미하고, 맞음새의 경우 ‘적당하다’의 빈도수가 높을수록 맞음새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착의 평가 평가자는 의복에 대한 지식을 갖춘 의복구성학 전공자 8명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PASW Statistics 18을 이용하였으며, 외관 평가항목에서는 각각의 비교패턴 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살펴보고, 패턴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 검증으로 Duncan-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평가자간의 항목별 측정치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맞음새 평가 항목에서는 빈도분석과 Chi-square Test를 실시하였다.

       2.3. 슬림핏 드레스 셔츠 패턴 개발

    2.3.1. 연구 패턴 설계

    연구 패턴 설계를 위해 산업현장에서의 패턴들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의 선행연구에서(Kim & Jang, 2012) 여러 브랜드의 드레스 셔츠 사이즈를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결과로 얻은 드롭치와 가슴둘레, 허리둘레의 여유량을 패턴 설계시 참고로 하였고, 비교 패턴의 착의 평가 결과 가장 우수한 점수를 받은 패턴을 토대로 각 비교 패턴들의 장점들과 연구자의 선행연구 디자인 선호도 결과를 반영하여 슬림핏 드레스 셔츠 패턴을 1차 설계하였다. 1차 설계 후 착의·보정을 통해 2차 패턴을 설계하였고 2차 착의·보정상태를 검토 후 연구 패턴을 완성하였다.

    2.3.2. 연구 패턴 착의 평가

    완성된 연구 패턴이 적합한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외관 및 맞음새 평가를 실시하였다. 착의 평가는 앞서 선정한 피험자 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 패턴 실물제작 물성과, 평가방법 및 평가단은 비교 패턴의 착의 평가와 동일하게 하였다.

    결과 분석은 연구 패턴과 비교 패턴에 대한 평가항목별 점수의 평균, 표준편차, 전체 평균 점수를 산출하여 비교하였고, T-test를 실시하였다.

    외관 및 맞음새 평가와 더불어 비교 패턴과 연구 패턴 실험복을 피험자 3명에게 착장시켜 동작평가를 실시하였다. 동작평가의 평가 항목은 드레스 셔츠를 입고 취할 수 있는 6문항에 대하여 실시하였고, 실험복을 착장한 피험자들이 동작을 취한 뒤 편안함의 정도에 대해 직접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매우 좋다(5점), 좋다(4점), 보통이다(3점), 나쁘다(2점), 매우나쁘다(1점)로 5점 평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결과로 해석 하였으며, 비교 패턴과 연구 패턴을 같이 정리하여 비교 패턴과 연구 패턴에 대한 평가 결과를 비교하기 쉽도록 하였다.

    3. 결과 및 논의

       3.1. 교육용 드레스 셔츠 패턴 비교 분석 및 착의 평가

    3.1.1. 교육용 패턴 비교 분석

    슬림핏 드레스 셔츠 패턴 개발을 위해 현재 교육용으로 쓰이고 있는 패턴을 수집하여 그 중 디자인과 여유량이 슬림핏 셔츠에 가장 유사한 4가지 패턴(N패턴, H패턴, E패턴, C패턴)을 선정 하였다. 각 패턴별 수식 비교와 실측치수는 Table 4와 같다.

    바디스의 경우 등길이는 E패턴과 N패턴은 키/4의 수식을 사용하였고, N패턴은 1 cm의 여유를 포함하고 있었다. C패턴은 키/7.5×2-1의 수식을, H패턴은 수식이 아닌 고정 치수를 사용하고 있었다. 엉덩이길이는 대부분 키를 기준으로 하는 수식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E패턴이 N패턴보다 여유가 1 cm 작았다. 셔츠길이에서는 C패턴이 키를 7.5로 나누는 비율 식을 사용하는 특이점을 보였다. 진동깊이는 E패턴, N패턴, H패턴은 가슴둘레를 기준으로, C패턴은 키를 기준으로 한 수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겨드랑앞벽사이길이는 대부분 가슴둘레를 기준으로 하는 수식을 하용하고 있었고, 겨드랑뒤벽사이길이는 수식에서 여유량 차이만 나타났다. 겨드랑너비는 E패턴과 N패턴만 사용하고 있었는데, 수식은 같고 여유량에서 1 cm 차이가 나타났다. 앞목너비와 앞목깊이, 뒷목너비는 N패턴과 C패턴은 목둘레를 기준으로, E패턴과 H 패턴은 가슴둘레를 기준으로 한 수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N패턴과 C패턴의 치수가 E패턴과 H패턴보다 1~2 cm 정도작은 치수를 나타내었고, 비교 패턴들의 칼라 맞음새 평가 항목 결과(Table 7)에서 N패턴과 C패턴이 E패턴과 H패턴보다 높은 점수로 평가되었는데, 이를 통해 목너비 및 목깊이 항목은 목둘레를 기준으로 설계했을 때 맞음새가 더 좋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소매의 경우 소매길이는 모든 원형이 고정치를 사용하고 있었고, 앞, 뒤 진동둘레(AH)는 E패턴과 H패턴은 전체AH을 기준으로, N패턴은 앞AH 길이와 뒤AH 길이를 각각 사용하고 있었다. 소매산높이는 C패턴과 E패턴은 고정 치수를, N패턴과 H패턴은 AH을 기준으로 수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소매산 높이는 H패턴이 가장 낮고, 소매통도 제일 넓어 여유가 넉넉한 소매 패턴을 나타내는 특이점을 보였다.

    [Table 4.] Comparison and analysis of dress shirts pattern drafting (Unit = cm)

    label

    Comparison and analysis of dress shirts pattern drafting (Unit = cm)

    셔츠 칼라의 경우 전체길이를 설정하는 방식에서 N패턴만앞 낸단분을 포함하지 않은 수식을 사용하였다. 칼라스탠드 분량과 칼라폭은 칼라 디자인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대부분 7 cm의 라폭을 사용하였다.

    비교패턴 4가지의 몸판, 소매, 칼라의 중합도는 각각 Fig. 1과 같다.

    3.1.2. 비교 패턴 착의 평가

    각 비교 패턴을 현재 드레스 셔츠 시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신축성이 없는 혼방직물(면 70%, 폴리에스터 30%)로 실물 제작 후 피험자 3명에게 착의시켜 착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 패턴 착의 평가 결과에 대한 평가자 간 신뢰도 검정을

    [Table 5.] Duncan-test result of comparison patterns in the appearance questions

    label

    Duncan-test result of comparison patterns in the appearance questions

    실시하였고, 신뢰도 평가 결과 모든 항목에서 0.85 이상의 점수를 얻어 착의 평가에 대한 착의실험 측정치를 신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착의 평가는 외관 평가 및 맞음새 평가를 실시하였고, 외관 평가 항목은 5점 평점 리커트 척도로 평가하였다. 분산분석 및 Duncan-test에 의한 외관 평가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외관 평가 결과 전체적 외관, 앞 중심선, 앞 어깨 요크라인선, 앞 진동 둘레선, 소매의 전체적 외관 등 총 5개 항목에서 유의차가 나타났다. 유의차가 나타난 항목을 위주로 살펴보면 전체적 외관과 앞 중심선 모두 N패턴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앞어깨요크라인선의 위치는 앞 요크 폭을 2.5 cm로 적용한 N패턴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후검정 결과에서도 가장 독립적인 성향을 띄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진동둘레선은 진동깊이와 겨드랑앞벽사이길이의 실측 치수가 가장 작은 N패턴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Table 6.] Duncan-test result of comparison patterns in the Fit questions - Bodice

    label

    Duncan-test result of comparison patterns in the Fit questions - Bodice

    소매의 전체적 외관은 N패턴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옆선 항목에서는 E패턴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E패턴이 허리선에서 앞판 2.6 cm, 뒤판 3.5 cm, 엉덩이선에서 앞판 1 cm, s뒤판 1.8 cm로 다른 패턴에 비해 바디라인의 곡률을 가장 많이 반영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칼라의 전체적인 외관은 N패턴과 H패턴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외관 평가의 전체 평균은 패턴마다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패턴이 평균 3.7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C패턴이 3.2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비교 패턴 별 맞음새 평가 항목과 분산분석 및 Duncan-test에 의한 평가 결과는 Table 6,Table 7과 같다. 맞음새 평가 결과 겨드랑앞벽사이길이, 앞 가슴둘레, 앞 허리둘레, 겨드랑뒤벽사이길이, 뒤 가슴둘레, 뒤 허리둘레, 뒤 엉덩이둘레, 뒤판 셔츠길이, 소매통, 손목둘레, 소매트임 길이, 칼라 사이 폭 등 총13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Table 7.] Duncan-test result of comparison patterns in the Fit questions - Sleeve, Collar

    label

    Duncan-test result of comparison patterns in the Fit questions - Sleeve, Collar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항목 별로 살펴보면 겨드랑앞벽사이와 앞 가슴둘레는 E패턴이 두 항목 모두 가장 높게, C패턴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C패턴이 겨드랑앞벽사이길이 21.2 cm, 겨드랑뒤벽사이길이 21.2 cm로 여유량이 많아 나타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앞 허리둘레, 앞 엉덩이둘레는 N패턴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허리둘레의 여유량이 N패턴은 4 cm, C패턴은 5 cm로 나타났는데, 평가 결과를 통해 4 cm의 여유량이 가장 좋은 평가를 얻었다. 또한, N패턴의 허리둘레-엉덩이둘레의 드롭치가 1.5 cm, C패턴의 드롭치가 1.3 cm로 나타나 C패턴의 실루엣보다 N패턴의 허리에서 엉덩이까지의 실루엣이 더 좋게 평가됨을 알 수 있었다. 겨드랑뒤벽사이, 뒤가슴둘레는 N패턴이 가장 높게, C패턴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겨드랑

    [Table 8.] Wearing images of comparison patterns

    label

    Wearing images of comparison patterns

    앞벽사이와 앞 가슴둘레는 여유량이 가장 적은 E패턴의 맞음새가 우수하게 나타난 결과와 비교 할 수 있다.

    앞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 겨드랑뒤벽사이, 뒤가슴둘레는 활동시 여유량이 많이 필요한 부분인데, E패턴보다 여유가 1 cm정도 더 많은 N패턴이 활동하기에도 더 편하고, 몸에 꽉 끼는 느낌이 없어 우수하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뒤 허리둘레는 E패턴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H패턴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E패턴이 뒤판 중심 다트량 1.5~2 cm, 뒤 허리선에서 여유줄임 분량 3.5 cm로 여유량 줄임이 많아 슬림 한 실루엣이고, H패턴의 여유량이 가장 많아 나타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뒤 엉덩이둘레는 N패턴과 E패턴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뒤판 셔츠길이는 C패턴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C패턴이 키에 따른 비율식을 사용하여 피험자의 신체에 가장 알맞은 비율로 적용되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소매통은 N패턴이 가장 높게, C패턴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N패턴의 소매산의 치수가 2 cm 가량 더 길었으며, 소매통이 비교적 슬림한 핏을 나타내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손목둘레는 H패턴이 가장 높게, E패턴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E패턴의 손목둘레 여유량이 많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외관 평가와 맞음새 평가 결과 가슴둘레의 여유량이 2.7 cm, 허리둘레의 여유량이 4 cm, 엉덩이둘레의 여유량은 2 cm를 가진 N패턴의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가장 높게 평가된 N패턴을 최종 비교 패턴으로 선정하였고, 항목별로 평균점수가 높게 나타난 패턴의 장점을 반영하여 패턴 설계 시 기초 자료로 활용하였다.

    드레스 셔츠 비교 패턴별 착의 모습은 Table 8과 같다.

    뒤판에서는 N패턴이 가장 군주름 없이 깔끔한 실루엣으로 나타났고, H패턴은 여유량이 많아 넉넉한 실루엣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C패턴이 뒤판 셔츠길이 항목에서 가장 좋게 평가 되었는데, 착의 모습에서 다른 패턴들은 모두 엉덩이를 완전히 덮는 길이이지만, C패턴은 엉덩이를 살짝 덮는 길이로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이는 키를 기준으로 비례수식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고정치를 사용한 다른 패턴에 비해 피험자의 신체에 가장 적절한 길이가 적용되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E패턴은 뒤판 엉덩이둘레 부분의 비교적 부족한 여유량으로 군주름이 많이 발생 한 것을 볼 수 있다.

    4개의 비교패턴 중에서 N패턴이 전체적으로 군주름이 가장 적고, 매끄러운 실루엣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비교패턴들의 외관 평가와 맞음새 평가 결과에서 N패턴이 가장

    좋게 평가된 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3.2. 슬림핏 드레스 셔츠 패턴 개발

    3.2.1. 연구 패턴 개발 및 수정, 보완

    연구 패턴에 반영된 드레스 셔츠의 디자인은 연구자의 선행연구(Kim & Jang, 2012) 결과 가장 높은 디자인 선호도가 나타난 디자인이며 Table 9와 같다.

    연구 패턴은 1차, 2차 수정 및 보완과정을 거쳐 완성되었으며 가로 허리선, 목 너비, 목 깊이, 어깨 경사, 뒤 허리다트 등 총 5항목을 수정하였다.

    가로 허리선은 1차 패턴에서 착의 시 허리의 여유분량이 부족하고, 암홀 제도 시 폭이 너무 좁아 암홀 실루엣이 자연스럽지 않아서 가슴둘레/4+2.5 cm에서 여유량을 앞판, 뒷판에 각각 0.5 cm씩 추가하여 가슴둘레/4+3 cm로 수정하였다.

    목 너비와 목 깊이는 앞판 뒤판 모두 여유가 부족하게 나타나 1차 패턴에서 너비는 뒷목너비에서 0.5 cm를 추가하였고, 높이는 앞목깊이에서 0.5 cm를 추가하였다.

    어깨 경사는 20°에서 15°로 완만하게 수정하였고, 뒤 허리

    [Table 9.] Final designs applied into developing the pattern

    label

    Final designs applied into developing the pattern

    다트는 허리에서 엉덩이까지의 슬림 한 실루엣을 살리기 위해 다트 폭은 0.5 cm 추가하고, 길이는 밑단선까지 연장하였다.

    3.2.2. 연구 패턴 제도법

    완성된 연구 패턴과 제도법은 Fig. 2와 같다. 연구 패턴과 최종 비교 패턴의 제도법 비교는 Table 10과 같으며, 연구 패턴 설계 시 슬림핏 트렌드와 소비자 디자인 선호도(무다트, 뒤판 원다트, 세미와이드 칼라)를 반영하였다.

    연구 패턴의 몸판 패턴은 비교 패턴에 비해 진동깊이, 겨드랑앞벽사이길이, 겨드랑뒤벽사이길이에 0.5~1 cm 여유가 더 있어 팔의 활동 시 당김이나 불편함이 없도록 하였으며, 슬림한 실루엣을 위해 옆선의 허리부분에 다트를 추가하였으며 허리라인을 1 cm 높게 설정하여 전체적으로 날씬하고 슬림해 보이는 시각적 효과를 표현하였다. 뿐만 아니라, 엉덩이선에서는 비교패턴에 비해 0.7 cm 정도의 여유를 더해 신체의 곡률을 반영하여 설계하였다.

    소매 패턴의 경우 비교 패턴의 소매길이가 짧아 그 점을 보완하여 연구패턴의 소매길이를 설정하였다.

    칼라의 경우 앞서 비교 패턴들의 맞음새 평가 결과 목둘레를 기준으로 설계된 패턴들이 더 우수하게 평가되었기 때문에 목둘레부분은 목둘레를 기준으로하는 패턴식을 설계하였다.

    [Table 10.] Comparison and analysis of comparison pattern and researched pattern (Unit : cm)

    label

    Comparison and analysis of comparison pattern and researched pattern (Unit : cm)

    세미와이드 칼라는 비교 패턴의 칼라에 비해 스탠드분량이높고, 칼라 폭도 크기 때문에 이 점을 고려하여 비교 패턴보다 목깊이와 목너비에서 0.5 cm 정도 여유량을 더해 착용시 편안함을 추구하였다. 칼라부분의 경우 칼라가 작고 답답해 보인다는 피험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스탠드 분량은 3.5 cm, 칼라너비는 7.3 cm로 설계하였으며, 3차례의 수정작업을 통하여 목둘레에 가장 알맞은 곡률이 적용되도록 설계하였다. 연구 패턴과 최종 비교 패턴인 N패턴의 중합도는 Fig. 3과 같다.

    연구 패턴을 실물 제작하여 착의한 모습과 최종 비교 패턴(N패턴)과의 비교 모습은 Table 11과 같다.

    3.2.3. 연구 패턴 착의 평가

    완성된 연구 패턴의 우수함과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교 패턴과 같은 실험원단으로 실물 제작하여 의복 구성학 전공자 8명의 평가자들을 통하여 외관 및 맞음새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 패턴 착의 평가와 같은 항목으로 평가하였고, 신뢰도분석 결과 모든 항목에서 0.85의 높은 점수를 얻어 착의 평가 결과를 신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교 패턴인 N패턴과 연구 패턴의 외관 평가는 ‘적당하다’의 빈도수를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과 Chi-square Test를 실시하였고, 비교 패턴과 연구 패턴의 외관 평가 결과는 Table 12와 같다. 외관 평가 결과

    [Table 11.] Wearing images of comparision pattern and researched pattern

    label

    Wearing images of comparision pattern and researched pattern

    옆면의 앞뒤 밸런스, 옆선의 수직, 소매의 전체적 외관, 칼라의 전체적인 외관 등 총 4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항목 위주로 살펴보면 옆면의 앞뒤 밸런스는 연구 패턴의 빈도는 좋음(87.5%)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 반면, 비교 패턴의 빈도는 좋음(50.0%), 보통(50.0%)로 고르게 나타나 연구 패턴이 더 우수하게 평가됨을 알 수 있다. 옆선의 수직은 연구 패턴의 빈도는 좋음 87.5%, 비교 패턴은 좋음 50.0%로 연구 패턴의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소매의 전체적외관은 연구 패턴의 경우 매우 좋음(18.8%)과 좋음(75.0%)항목에서 빈도가 나타났고, 비교 패턴의 경우 좋음(62.5%)과 보통 (37.5%)의 항목에 빈도가 나타나 연구 패턴이 더 우수하게 평가됨을 알 수 있었다. 칼라의 전체적인 외관은 연구 패턴은 매우 좋음(18.8%), 좋음(75.5%)항목에서 빈도가 나타나고, 비교패턴은 좋음(50.0%)과 보통(50.0%)항목에 빈도가 나타나 연구 패턴이 더 우수하게 평가됨을 알 수 있다.

    평가자들이 평가한 연구패턴과 비교패턴의 맞음새를 비교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13과 같다.

    유의차가 나타난 항목을 위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바디스의 경우 앞 허리둘레는 연구 패턴의 평균이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는 가슴둘레와 허리둘레의 드롭치가 연구 패턴은 2.7 cm, 비교 패턴은 2.5 cm로 연구패턴의 드롭치가 더 커서 가슴에서 허리로 이어지는 실루엣 곡률이 더 크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앞판 셔츠길이 역시 연구 패턴이 더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이는 연구 패턴 제도 시 앞판 셔츠길이를 뒤판 길이보다 1 cm 짧게 차이를 주어 제도하였는데, 비교 패턴은 앞판 셔츠길이와 뒤판 셔츠길이를 동일하게 적용하였기 때문에 나타나는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앞판 전체 평균은

    [Table 12.] Results of chi-square analysis with comparison pattern and researched pattern and in the appearance questions

    label

    Results of chi-square analysis with comparison pattern and researched pattern and in the appearance questions

    연구 패턴의 앞판 맞음새가 더 우수하게 나타났고, 유의한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뒤 허리둘레에서 유의한 차이가나타났는데, 연구 패턴이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는 뒤 허리둘레에서 여유량이 연구 패턴은 뒤판 다트로 인해 1.5 cm로 슬림한 실루엣으로 나타나고, 비교 패턴은 여유량이 4.3 cm로 적용되어 나타나는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소매의 경우 소매트임 길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연구 패턴에 적용 된 소매트임 길이 12 cm가 더 우수하게 평가됨을 알 수 있었다.

    칼라 항목에서 가장 유의한 차이가 많이 나타났는데, 목둘레의 전체적 여유는 연구 패턴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연구 패턴의 목둘레 여유량은 1.6 cm, 비교 패턴의 여유량은 4 cm로 연구 패턴의 여유량이 더 작아 목둘레에 잘 맞아 맞음새가 더 높게 평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칼라밴드의 폭은 연구 패턴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연구 패턴에 적용된 칼라밴드 폭의 분량인 3.5 cm가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칼라사이 폭에서도 연구 패턴이 우수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연구 패턴이 8.5 cm, 비교 패턴이 6 cm로 연구 패턴에 세미 와이드칼라를 적용하여 트렌드를 반영하였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칼 라 맞음새 평균에서는 연구 패턴이 더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음새 항목의 전체 평균에서도 연구 패턴이 더 우수하게 평가되었고, 유의한 차이가 있는

    [Table 13.] T-test result of researched pattern and comparison pattern in the fit questions

    label

    T-test result of researched pattern and comparison pattern in the fit questions

    [Table 14.] Result of movement evaluation

    label

    Result of movement evaluation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 패턴과 연구 패턴의 동작평가 평균비교 결과는 Table14와 같으며, 신뢰도 분석 결과 0.88의 높은 점수를 얻어 동작 평가 결과를 신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동작 평가 결과 모든 항목에서 연구 패턴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으며, 동작평가에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비교 패턴보다 우수하게 평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착의 평가와 동작 평가 결과를 통해 연구 패턴이 슬림핏 드레스 셔츠패턴으로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4. 결 론

    본 연구는 25~35세 영 어덜트 층 남성을 대상으로 슬림핏드레스 셔츠의 제품 스타일과 사이즈 스펙, 착의 실태, 구매 실태, 제품 맞음새 및 선호 디자인을 연구자의 선행연구를 통해 파악하였고(Kim & Jang, 2012), 교육용 패턴을 수집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착의 평가와 동작 평가를 통해 연구 패턴을 완성하였으며, 슬림핏 드레스 셔츠 패턴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슬림핏 드레스 셔츠 패턴 개발을 위해 현재 교육용으로 쓰이고 있는 패턴을 수집하여 그 중 디자인과 여유량이 슬림핏셔츠에 가장 유사한 4가지 패턴(N, H, C, E)을 선정하였으며, 각 패턴별 제도법을 분석하였다. 패턴 별 드레스 셔츠를 실물 제작하여 착의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외관 평가에서는 총 5개 항목, 맞음새 평가에서는 총 13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외관 평가 3.75, 맞음새 평가 4.27로 가장 점수가 높게 평가된 N패턴을 최종 비교 패턴으로 선정하였다.

    비교 패턴 착의평가 결과 좋은 점수를 얻은 패턴과 항목, 디자인 선호도를 반영하여 앞판 무다트, 뒤판 원다트, 세미 와이드 칼라로 연구 패턴을 개발하였다. 연구 패턴 설계에 적용된 최종 설계식은 셔츠길이(키/2-12), 등길이(키/4), 진동깊이(가슴둘레/4+1), 가로 기준선 가슴둘레/4+3, 겨드랑뒤벽사이길이(가슴둘레/6+5), 겨드랑앞벽사이길이(가슴둘레/6+4), 뒤목너비(목둘레/6+1=◎), 뒤목높이(◎/3), 앞목너비(◎-0.5), 앞목깊이(◎+1.5)와 같다.

    완성된 연구 패턴과 최종 비교 패턴과의 착의 평가결과 외관 평가 평균 4.06, 앞판 맞음새 평균 4.85, 뒤판 맞음새 평균 4.47, 소매 맞음새 평균 4.47, 칼라 맞음새 평균 4.81로 연구패턴의 평균점수가 더 우수하게 나타났고, 유의한 차이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동작 평가 결과도 연구 패턴의 평균이 모든 항목에서 더 높게 나타나 슬림핏 드레스 셔츠 원형으로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슬림핏 드레스 셔츠 패턴을 개발하고, 슬림핏 트렌드가 반영된 교육용 원형 및 산업현장에서 사용 가능한 패턴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살펴보면, 본 연구의 대상은 25~35세 영 어덜트층을 대상으로 한정하고 있어 좀 더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한 슬림핏 드레스 셔츠 원형 개발이나 연령별 체형에 따른 패턴개발, 사이즈에 따른 그레이딩 등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피험자가 3명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좀 더 많은 표집을 대상으로 한 외관·맞음새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 1. Cho R. H. (2008) Establishment of the suitable basic slim fit jacket pattern for man age 18~24. google
  • 2. Choi Y. L. (2008). Men's classic pattern. google
  • 3. 2010 Fashion power consumption AA2030 homme'. [Fashionbiz] P.44-46 google
  • 4. Gwon J. E. 2012 The men who open eyes for fashion, sundries market is growing. [Fashionchanel] P.142-148 google
  • 5. Huh D. J. (2001) Industrial pattern designing (men's wear). google
  • 6. Hwang Y. M., Lee J. R. (2002) A study on the pattern and grading rule for dress Shir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7 P.48-59 google
  • 7. 2012 ‘In view Men's wear’. [Fashionchanel] P.208-209 google
  • 8. 2013 ‘In view Men's wear’. [Fashionchanel] P.182-183 google
  • 9. Jang S. E. (2007) A study on a menAAs dress shirt pattern by somatotype for mass customization system. google
  • 10. Kim C. L., Yum H. J. (2010) An analysis of trend and design characteristics on the korea men's business casua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60 P.16-27 google
  • 11. Kim D. H., Jang J. A. (2012) The actual wearing conditions and preferences for domestic men's slim-fit dress shirts .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ol.14 P.983-991 google cross ref
  • 12. Kim K. H., Choi J. M. (2006) The wearing practices and subjective fabrics preferences for spring and fall dress shirts of male office worker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4 P.299-309 google
  • 13. Kim M. Y. (2009). The patternmaking of menAAs slim-fit jacket : focusing on men in the 30's. google
  • 14. Lee H. S. (2011) The products development of Men's sports wear. google
  • 15. Lim H. W. (2001) A study on the consumer's actual condition and size spec for dress shirt. google
  • 16. Lee S. W. 2010 Slim silhouette short-sleeved shirt is popular. [Fashionchanel] P.180-181 google
  • 17. 2012 Men'swear, looking to step it up for the change. [Fashionchanel] P.54-55 google
  • 18. Moon B. H. 2012 Shirts store is moving. [Fashionchanel] P.86-89 google
  • 19. Nam Y. J., Lee H. S. (1996) The study of men's wear. google
  • 20. Sung O. J., Yang J. E. (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hirts pattern for middle aged menBBs body shap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0 P.1550-1559 google
  • 21. Sung O. J., Yang J. E. (2011) Development of pattern in casual slim-fit jacket for middle-aged men.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Vol.32 P.381-392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Subject's body size (Unit : cm)
    Subject's body size (Unit : cm)
  • [ Table 2. ]  Slim-fit dress shirts pattern size (Unit : cm)
    Slim-fit dress shirts pattern size (Unit : cm)
  • [ Table 3. ]  Characteristics of fabric
    Characteristics of fabric
  • [ Table 4. ]  Comparison and analysis of dress shirts pattern drafting (Unit = cm)
    Comparison and analysis of dress shirts pattern drafting (Unit = cm)
  • [ Fig. 1. ]  Overlapping figures of comparison shirt patterns; (a) bodice, (b) sleeve, (c) collar.
    Overlapping figures of comparison shirt patterns; (a) bodice, (b) sleeve, (c) collar.
  • [ Table 5. ]  Duncan-test result of comparison patterns in the appearance questions
    Duncan-test result of comparison patterns in the appearance questions
  • [ Table 6. ]  Duncan-test result of comparison patterns in the Fit questions - Bodice
    Duncan-test result of comparison patterns in the Fit questions - Bodice
  • [ Table 7. ]  Duncan-test result of comparison patterns in the Fit questions - Sleeve, Collar
    Duncan-test result of comparison patterns in the Fit questions - Sleeve, Collar
  • [ Table 8. ]  Wearing images of comparison patterns
    Wearing images of comparison patterns
  • [ Fig. 2. ]  Development pattern; (a) bodice, (b) sleeve, (c) collar.
    Development pattern; (a) bodice, (b) sleeve, (c) collar.
  • [ Table 9. ]  Final designs applied into developing the pattern
    Final designs applied into developing the pattern
  • [ Table 10. ]  Comparison and analysis of comparison pattern and researched pattern (Unit : cm)
    Comparison and analysis of comparison pattern and researched pattern (Unit : cm)
  • [ Fig. 3. ]  Overlapping figures of comparison pattern and researched pattern; (a) bodice, (b) sleeve, (c) collar.
    Overlapping figures of comparison pattern and researched pattern; (a) bodice, (b) sleeve, (c) collar.
  • [ Table 11. ]  Wearing images of comparision pattern and researched pattern
    Wearing images of comparision pattern and researched pattern
  • [ Table 12. ]  Results of chi-square analysis with comparison pattern and researched pattern and in the appearance questions
    Results of chi-square analysis with comparison pattern and researched pattern and in the appearance questions
  • [ Table 13. ]  T-test result of researched pattern and comparison pattern in the fit questions
    T-test result of researched pattern and comparison pattern in the fit questions
  • [ Table 14. ]  Result of movement evaluation
    Result of movement evaluation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