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A Study on Curricula for Training of Specialist in Textile Design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A Study on Curricula for Training of Specialist in Textile Design
KEYWORD
in-depth interview , textile design , curriculum subject , college
  • 1. 서 론

    우리나라의 섬유산업은 과거 소품종 대량 생산체제를 중심으로 국가 경제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하면서 발전해왔다. 최근에는 각종 과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디자인 고부가가치를 강조하는 상품개발과 다양한 소비자 취향을 고려한 다품종 소량 생산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하지만 세계화와 더불어 중국 등 개발도상국들의 섬유산업이 급성장하면서 국내 섬유시장을 위협하고 있으며, 섬유선진국들의 고품질 상품의 국내 유입이 활발해지면서 상품의 경쟁력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디자인이 곧 상품이며 국제 경쟁력의 지표가 되는 오늘날 섬유산업의 선진화를 위해서는 의류나 섬유제품에서 상품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텍스타일 디자인의 발전은 매우 중요하다. 패션산업에서 텍스타일 디자인은 스타일 및 실루엣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개발되고 있다. 원단의 설계(직, 편물)와 써피스(surface), 패턴(pattern), 텍스쳐(texture) 등의 전형적인 분야를 비롯하여 믹스미디어(mixed media) 소재, 신소재에 대한 연구 등 산업 전반으로 점차 확대되고 있다(Kwon, 2009). 산업과 경제의 급속한 발달에 따른 일련의 생활양식의 변화로 의상의 외형적 형태에만 의존해 왔던 소비자들의 패션 취향과 욕구가 갈수록 고급화, 다양화 되어감에 따라 어패럴 제품에 있어서도 그 상품의 품질과 가치 및 패션이미지에 텍스타일 디자인이 결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Kwon, 1994).

    텍스타일 디자인은 패션디자인, 소재개발과 더불어 섬유산업의 선진화에 중요한 분야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선진국에 비해 비즈니스가 활발하지 못하고, 중요성을 제대로 평가받지 못해 각종 지원에서 제외되고 있으며,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시스템도 타 분야에 비해서 부족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섬유 산업은 그동안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방식 위주의 생산형태에 따라 독자적 디자인 개발과 투자보다는 주문에 의한 대량 생산에만 의존해 왔으며 디자인을 담당하는 텍스타일 디자인 스튜디오는 인력부족으로 인해 효율적인 디자인 창작이 힘들었다. 대다수의 디자이너들이 외국 디자인을 그대로 모방하기에 급급하여 독창적인 디자인을 개발하거나 색채연구, 트렌드 분석, 상품화 기획, 마케팅 등의 분야까지 종합하여 기획하는 능력이 부족하였다.

    차별화된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미래 섬유산업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책임 있게 수행할 수 있는 창의성과 인성을 가진 인재양성이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우리나라 텍스타일디자인 교육은 각 대학마다의 독특한 전문성이나 특성을 찾아볼 수 없었고, 이론위주의 수업이 주를 이루었기 때문에(Lee & Lee, 2007b) 전문가가 되기 위한 창조적 능력을 키우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텍스타일 디자인에 대한 통합적인 시각과 경험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국내 섬유, 패션산업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중요 분야라고 할 수 있는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는 패션 마케팅, 패션 디자인, 의복 구성 등 패션관련 타 교육 분야와 비교해서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1990년대 중반이후 일부 연구가 있었고, 최근 들어 다시 분석되고 있는 경향이다.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Kim, 1994; Kim, 2001; Lee, 1996; Lee & Lee, 2007b)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의 문제점으로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교육과정 개발이 부족하고, 산업체와의 긴밀한 연계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체 실무자의 일대일 면접과 함께 국내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 학과의 교과목 분석을 통해 현재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국내 대학의 교육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텍스타일 디자인 개념 및 특징

    텍스타일(textile)이란 말은 '짜다'라는 라틴어의 텍세레(texere)에서 유래된 것으로 봉제품을 형성하기 위한 소재로 섬유(fiber) 또는 직물(fabric)을 뜻한다. 텍스타일 디자인은 직물 또는 편물의 조직과 표면에 무늬(motif) 또는 색상(color)을 부여하여 새로운 시각적 이미지를 창출하여 보다 아름답고 창조적인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직물 설계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Lee and Lee(2007b)는 텍스타일 디자인을 천이나 종이 위에 표현하고자 하는 형태나 색상의 변형을 장식하거나 직물을 짜는 것 등을 포괄하는 의미로서 모든 종류의 섬유디자인을 총칭하는 것이라고 했다. 최근 들어서 텍스타일디자인은 전형적인 적용분야에서 더 나아가 산업전반에서의 적용영역이 확대되어 소재, 재료 디자인의 분야도 포함하고 있다(Kwon, 2009).

    텍스타일 디자인은 제품 제조기술에 따라 크게 사염디자인, 직조디자인, 편물디자인, 날염디자인, 자수디자인으로 분류되며(Kwon, 1994), Kwon(2009)은 텍스타일 디자인을 용도에 따라 어패럴, 인테리어, 액세서리로 분류하기도 하였다. 최근 들어 다양한 기법이 복합 적용되는 경우가 많아서 기법 분류를 위한 견해의 차이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분류되고 있다. 텍스타일 디자인을 구성하는 요소는 디자인 상에 나타낼 사물의 형태인 패턴과 그 패턴의 성격을 좌우하게 될 색감, 그리고 그 패턴과 색채를 구체적, 시각적으로 표현하게 될 재료라고 할 수 있다. 패턴, 색채, 재료를 이용하여 고부가가치 상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디자인의 예술성과 어떠한 방법으로 그려야 제품으로 생산되어 나올 수 있을 것인가 하는 가공성, 그리고 유행의 흐름에 맞춰 잘 팔리는 디자인을 생산할 수 있는 시장성이 골고루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Kwon, 1994). 최근 들어 환경문제가 부각됨에 따라 디자인의 환경성도 보다 중요한 요소로 확산되고 있는데,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인한 환경의 영향, 또는 가공 및 그 가공 제품의 폐기 및 처분에 따른 환경오염의 측면도 미리 예측하여 디자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처럼 텍스타일 디자인은 예술 행위라는 측면과 사회 경제적 구조라는 두 측면이 맞물려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잘 조율하여 상품을 제작할 수 있는 텍스타일 디자인 전문 인력의 양성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색채 트렌드에서부터 완제품 트렌드의 유행 경향을 잘 파악하고 소비자의 취향을 분석하여 생산 가능한 디자인을 아름답게 기획할 수 있는 디자이너 배출을 위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2.2.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관련 선행연구

    패션, 의류 관련학과 교육에 대한 연구들은 국내 패션, 의류학과의 교육 및 전체 교과과정에 대한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Doh et al., 1994; Kim, 2000; Ku et al., 1999; Lee et al., 1993; Rha et al., 2008), 패션마케팅(Lee & Lee, 2007a; Lee & Park, 2007), CAD 및 의복구성(Choi, 1993; Hong & Lee, 2011; Kim & Lee, 1999), 패션디자인(Choi, 2011; Park, 2005), 패션코디네이션(Jo, 2001), 의류소재(Ju, 2011)에 중점을 두어 세부 분야에 대한 교과과정을 분석한 연구들도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급변하는 국내외 환경에 부응하고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패션, 의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서 대부분 교과과정의 현황을 분석하고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나, 텍스타일 디자인에 초점을 맞추어 교과과정을 분석한 연구들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 선행연구들이 많지는 않지만 1990년대 중반 이후 일부 연구가 있었고, 최근들어 다시 분석되고 있는 경향이다.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로 Kim(1994), Lee(1996), Lee and Lee(2007b)의 연구가 있고, 텍스타일 디자인의 세부 전공으로 니트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Kim, 2011)가 있으며, 국외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로 Char(1999), Choo(1997), Kim(2001), Kwon(2009)의 연구가 있다.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에 관한 연구 중에서 Lee(1996)는 우리나라 4년제와 2년제 대학 중에서 섬유디자인 관련학과를 중심으로 각 학교의 교과과정 및 이론과 산업관련 과목 구성비중 등을 구체적으로 나타냈으며, 섬유디자인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과과정의 구성에 있어 4년제 대학보다 2년제 대학에서 실용학문의 비중이 높았으며, 2년제 대학은 한 학기에 배정된 교과목이 많아서 한정된 짧은 기간 내에 전문적인 교과내용을 교육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고 밝혔다. Lee and Lee(2007b)는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학과의 개설현황을 알아보고 각 대학별 전공 교과목을 염색, 직조, 조형, CAD, 패턴디자인, 텍스타일재료, 프린팅, 패션 디자인, 현장실습, 마케팅, 자수디자인, 니트 디자인으로 구분하여 학점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4년제와 2년제 대학의 전공 교과목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교육은 미적 감각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 디자인 교육과 섬유 각 분야에 대한 실기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었으나 각 대학마다의 독특한 전문성이나 특성을 찾아볼 수 없다는 문제점을 제시했다. 우리나라 니트 산업의 국제경쟁력 향상을 위한 니트 디자인 교육을 연구한 Kim(2011)은 우리나라에서의 니트 디자인 관련 전문교육은 패션, 텍스타일 선진국에 비해 역사가 짧고 니트 교육 전문가와 전문 교육기관이 많지 않아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선행 연구들의 분석결과 국내 대학의 이론위주 교육과정이 문제가 되며, 산업체와의 연계가 필요다고 지적하고 있으므로 전문적인 텍스타일 디자이너 인력양성을 위해서는 산업체 실무자의 인식 및 요구사항을 심층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국내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의 문제점을 찾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체 실무자들의 면접을 통한 국내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에 대한 견해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텍스타일 디자인으로 특화된 국내 4년제, 2년제 대학의 교과과정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3. 연구 방법

       3.1. 연구 문제

    첫째, 국내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 업체실무자들의 면접을 통한 국내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에 대한 견해(문제점 및 극복방안)를 조사한다.

    둘째, 업체실무자들의 면접내용을 바탕으로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학과의 현황 및 교과과정을 분석한다.

       3.2.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1단계 연구로 국내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 업체실무자들의 면접을 통한 국내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에 대한 견해(문제점 및 극복방안)를

    [Table 1.] Characteristic of respondents

    label

    Characteristic of respondents

    알아보기 위해서 최소 1년 이상의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 업무경력을 가진 실무자 6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을 실시하였다(Table 1). 질문 내용으로는 1. 현재 텍스타일 산업에 대한 견해(긍정적 부분 및 부정적 부분) 2. 국내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의 문제점 및 극복방안으로 구성되었다.

    2단계 연구로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학과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현재 섬유 및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이 독립 전공으로 개설되어 있는 총 19개 대학(4년제 12개, 2년제 7개) 20개 학과 및 전공을 선정하였다. 학교 선정기준으로는 첫째, 학과 및 전공명칭에 섬유 디자인 또는 텍스타일 디자인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와 둘째, 학과 및 전공명칭에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교과과정이 섬유 및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과목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경우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4년제와 2년제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학과의 교과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각 대학의 학과 혹은 전공의 홈페이지에 게시되어 있는 교과과정 및 교과목 해설을 참고하였고, 홈페이지의 자료수집이 어려운 경우 우편이나 팩스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각 대학의 교과과정은 2012년 개설 교과목을 기준으로 하였고, 교직과목과 교양과목은 제외하였다. 학과계열 및 소속대학의 분류는 Rha et al.(2008)의 분류를 참고하였으며 교과목 분류는 Lee and Lee(2007b)의 연구를 참고하여 추가 구성하였다.

    4. 결과 및 논의

       4.1. 산업체 실무자 면접 결과

    4.1.1. 텍스타일 디자인산업에 대한 견해

    텍스타일 디자인산업 종사자들의 텍스타일 디자인산업에 대한 견해를 알아본 결과 긍정적 견해와 부정적 견해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업체의 텍스타일 디자인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텍스타일 디자인이 어패럴뿐만 아니라 홈패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어 텍스타일 디자인산업의 발전가능성이 높다고 인식하였다.

    아는 분들은 한 달에 디자인만 뭐 몇천만원대를 사세요. 해외로 수출하는 원단업체들인데, 외국 디자인 스튜디오들이 한국 공항에 도착하자마자 그 업체로 다 가는 거죠. 막 사주니까. (DTP studio department manager)

    패턴에 대한 수요는 우리나라에도 굉장히 많습니다. 우리나라에 영국이나 유럽의 저희 같은 디자인 회사들이 들어와요. (Home textile CEO)

    어패럴의 경우 최근 텍스타일 디자인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구요. 디자인의 고갈과 다양한 디자이너 브랜드의 등장으로 인해 각 브랜드별 시즌 컨셉을 텍스타일의 디자인으로부터 보여 주고 있습니다. 홈패션의 경우에도 다양한 패턴의 디자인 뿐만 아니라 레이저 컷, 변형된 위빙, 레이스 등 그 활용 범위를 넓혀 가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 모든 것을 포함한 다양하고 깊이 있는 원단 개발로 인해 패션섬유 산업에서 텍스타일 디자인의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고 볼 수 있죠. (Women's wear textile studio textile designer)

    반면, 부정적 견해로는 텍스타일 디자인 또는 디자인 스튜디오에 대한 이해도가 학생뿐만 아니라 텍스타일 디자인이 적용되는 산업체 실무자들 모두 낮다는 점, 소비자별, 브랜드별 시장의 특성과 상관없이 외국 디자인을 카피하는 등의 획일화된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이 많다는 점, 전문 인력이 부족하다는 부분, 디자인 보호 정책이 부족한 점으로 나타났다.

    텍스타일 디자인이 원단 뿐만 아니라 제품들, 페이퍼도 그렇고 많은 곳에서 적용이 되는데 텍스타일 디자인이 그렇게 많은 곳에 적용이 된다는 이해도도 좀 작구요, 어패럴 쪽 브랜드에 계신 분들도 텍스타일 디자인에 대한 이해도가 너무 낮으세요. (DTP studio department manager)

    우리는 이미 그런 독창성이나 이런걸 다 잃어버렸죠. 이제 문제가 된 게 무엇이냐 하면 카피하는거 있잖습니까. (Home textile CEO)

    업체에서 의뢰하는 많은 디자인이 무작정 트렌드에 쫓아가는 경향이 많고, 기존의 브랜드 자체의 개발 디자인보다 매 컬렉션 명품 브랜드의 변형된 디자인을 요구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Women's wear textile studio textile designer)

    카피위주의 디자인 같은 경우는 전망이 낮아질 수밖에 없어요. 글로벌화 되고 사이트를 검색을 하면 노출되어 있고, 지구 반대쪽에 디자인이 금방 오픈이 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그러한 것들로써는 오래 생명력을 가지지 못하구요. (Textile & material planning studio Textile designer)

    텍스타일 디자이너들이 많이 없다 보니까, 전문가가 아닌, 텍스타일 디자인 전문가가 아닌 다른 분들한테 의뢰를 하고 다른 분들이 하다 보니까 조금.. 텍스타일 디자인을 전공한 사람들이 해야 될 일들을 많이 잃어버리고 있는 것 같아요. (DTP studio department manager)

    업체들이 와서 보고 간단한 건 눈으로 찍어가니까..이제는 그래요. 그래 베낄려면 베껴라.. 그런 거는 어쩔 수 없습니다. 우리가 디자인 전체를 다 의장해서 팔 수도 없는 거고.. (Home textile CEO)

    4.1.2. 국내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의 문제점

    1) 상업적인 디자인에 대한 이해 부족

    국내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의 문제점으로 학생들의 상업적인 디자인에 대한 이해 부족을 지적했다. 국내 대학의 경우 졸업작품전을 중심으로 하여 예술적, 감성적인 부분위주로 디자인 교육이 진행되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학생들이 실제로 취업을 해서 시장성 있는 디자인개발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교육과정에 있어서 실무경력의 교육 담당자가 필요하다고 지적하였으며, 상업적인 디자인에 대한 교육은 인턴을 직접 받아서 가르친다는 업체의 응답도 있었다. 예술적인 측면과 상업적인 측면의 조화는 직접 실무를 경험해보지 못하고는 적정선을 찾기가 힘들다는 것이 산업체 실무자들 대부분의 의견이었다. 산학연계를 통한 인턴십 프로그램의 수업과정을 개발하거나 산업체 경력자를 초빙하여 실무에 적합한 디자인 교육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산업체 실무중심의 인력양성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너무 학생들이 상업적인 디자인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해서, 어떻게 해야지 상업적인 디자인이 되는지 너무 많이 모르는 것 같아요. 실무를 하다 보니까 실무쪽으로 접목을 시키다 보면 좀 갭이 있는 것 같아요. 마랑고니 같은 경우는 업체 경력이없거나, 실무에서 일하지 않으면, 강의도 할 수가 없거든요. 왜냐면 트렌드는 매번 바뀌고, 요즘에는 특히 트렌드 자체가 없을 정도로 너무 빨라요...그냥 수업 자체가...상업적인 것과 너무 떨어져 있다 보니까 학생들이 실무에 가서는... (DTP studio department manager)

    실질적으로 팔릴 수 있는 디자인이 어떤 디자인인가... 그런 것들에 관한 교육이 좀 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창조적인 생각과 감성을 가지고 풀기는 상업적으로 풀어내야 되지 않습니까. 저희 같은 경우는 우리가 디자이너가 필요하기 때문에 학교로부터 인턴을 받아요. 그래도 우리하고 3개월 하고 보내면 훨씬 낫게 된다는 거죠. (Home textile CEO)

    업체인의 눈? 그런거요. 실제 사용 할 수 있는 디자인을 디자인해보고 접목시켜보는 그런 것들이 부족해요. 물론 대학 졸업 작품전 때 해보긴 하지만 각각의 수업에서 기말고사 중간고사 때 제품을 제출 하긴 하지만... 그래도 좀 더 실용적인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고 봐요. (Home textile designer)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발상/표현, 직물/복식사/미술사, 조형, 색채 분야에 대한 교육을 받은 후 학생들이 예술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고 갈 것인지 상업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고 갈 것인지에 따라서 교육내용과 방법이 달라져야 해요. (Textile & material planning studio Textile designer)

    2) 문양 디자인에 집중된 교육 시스템

    산업체 실무자들은 텍스타일 디자인을 가르치고 있는 국내 대학의 경우 텍스타일 전반에 대한 내용보다는 주로 문양 디자인에 집중된 교육을 하고 있어 실무적용 시 한계점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따라서 국내 대학의 교육을 받은 학생들의 경우 주로 소재 디자인, 소재 직조법, 후가공 등 소재 특성이나 용도별 분류에 따라 텍스타일 디자인의 적용을 다르게 하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은 소재의 종류와 가공법에 따라서 문양의 색상이나 텍스쳐 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적용되는 분야도 각각 다르다. 따라서 소재별, 용도별 분류를 고려하여 실무에 근접한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에 대한 논의 및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어떤 디자인이 자카드 디자인...프린트 디자인으로 적용이 되고, 뭐 이런 디자인은 홈에 더 맞을 것 같다. 어패럴에 더 맞을 것 같다 라는 것을 교육 과정에서 배우다보면, 학습이 되다 보면 본인들이 그러니까, 학생들 자체도 졸업을 하고 나서 ‘내가 막연히 그냥 어디를 가야겠다’, ‘여기를 너무 가고 싶다.’ 라기 보다, 교육을 받으면서 본인한테 맞는 쪽이 있는 것 같아요. 너무나도 다양하게 많은데, 그런 것을 모르다 보니까, 어느 쪽으로 방향을 가야 할지 모르고.. 대학교 2학년부터 그런 과정들이 전문화 되어서 들어갈 수 있다면, 훨씬 더 좋을 것 같아요. (DTP studio department manager)

    문양만 들어가는게 텍스타일 디자인은 아니에요. 원래는 소재 디자인도 가르쳐야 되고 물론 섬유공학과 보다는 빈도가 약하겠지만 소재 디자인을 하려면 소재 직조법도 알아야 되요..그리고 후가공 같은 것도..소재 디자인에 들어가요. (Home textile CEO)

    텍스타일이 패턴만 있는 것이 아니거든요. 패턴이 기본이 되어서 자카드라는 영역도 나오고, 패턴 또한 섬유에다가 찍고, 천이 만들어지는 것은 실이고... 소재잖아요. 소재에 대한 어떤 그러한 것들을.. 소재라든지 텍스타일, 논 우븐이라던지 굉장한 다양한 머테리얼에 대한 분석이나 그러한 것들을 체험할 수 있는 시간들을 통해야지... (Textile & material planning studio textile designer)

    3) 창의성 개발과 디자인 표현 능력 부족

    우리나라 학생들의 경우 손재주와 감각적으로 사물을 보는 눈이 뛰어남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부분을 자기만의 색깔로 표현해 낼 수 있는 디자인 표현 능력이나 응용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는 이를 키워줄 수 있는 창의성 개발과 디자인 전개 능력 및 기획력을 키워줄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따라서 학생들이 특정 이미지에서 영감을 받고 그것을 문양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감성관련 교육을 꾸준히 해주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하나의 이미지나 사물을 보고 확산적인 사고를 하고 그것을 일차원적으로 적용하여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법이나 재료 등을 활용하여 디자인으로 표현해낼 수 있는 능력을 만들어 내야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들은 미적 감각과 조형적 감각 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실무진의 경우 디자인에 필요한 기술적인 부분보다 이러한 부분들이 텍스타일 디자이너로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언급하였다. 즉, 창의성 개발 및 디자인 표현 능력 함양을 위해서는 대학의 정규과정을 통해서 미적 감각과 미술적인 기본기를 충실히 익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학년에서 트레이닝하여 고학년 프로젝트과정에 응용하는 방법으로 매 학년마다 필수 교과목으로의 지정이 필요할 것이다.

    그 이미지에서 어떤 영감을 받아서 문양을 만들어야 될지 몰라요...텍스타일 디자인 하는 사람들은 이미지를 보고 영감을 받아서 문양을 개발해야 되는데, 그런 트레이닝이 안 되다 보니까, 안 되는 거죠. 그것을 어떻게 필을 받아 어떻게 개발을 해야 되는지에 대한 트래이닝이 전혀 안 되어 있어요. 분석도 안 되고, 깊이도 없고. 그러니까 애들한테 트렌드의 이미지에 대해 설명하면서 트렌드의 네임, 그런 통하는 이름들 있잖아요. 의사들도 통하는 의학용어가 있듯 우리끼리 통하는 게 있는데 전달이 안 된다니까요. 그럴만한 감성관련 교육이나 프로그램도 없고. (DTP studio department manager)

    창의성이라던지 사물을 다른 시각으로 본다던지 그러한 것들도 훈련이거든요. 그리고 거꾸로 생각하기. 보이지 않는 것을 들여다보기.. 그런 것을 표현하기. 이런 것들은 아주 중요한 것인데, 가시적인 것, 비주얼적인 것. 이런 것만 포커스를 두다보니까.. 디자인이 획일화 된다고 해야 하나요? (Textile & material planning studio textile designer)

    우리나라 디자이너들의 장점이 뭐냐면 굉장히 잔머리가 좋아요. 잔머리가 좋고 손재주도 좋은데 깊이가 없습니다. 우리나라 디자이너들은 그런 부분이 굉장히 부족하죠. 어떤 기술적인 것들을 하기에 앞서 그런 것들에 대한 수업이 필요하다는 거죠. 이미지, 발상 등. 예로 저희가 이번에 인턴 4명을 교육시키면서 디자인을 하고나서 항상 디자인 제안서를 쓰라고 그랬어요. 니가 뭣 때문에 이런 디자인을 할 수 있게 되었느냐.. 근데 학생들은 그게 안 익숙한 거죠. (Home textile CEO)

    4) 디자인개발에 필요한 응용력과 리서치 분석력 부족

    텍스타일 디자인은 하나의 디자인을 통해 어패럴, 홈패션, 가전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즉, 상품 컨셉과 타겟 마켓의 특징 등을 고려하여 디자인을 응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 분야의 상품 컨셉을 이해하고 적용 가능한 모티브를 수집, 분석하여 디자인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많은 참고자료 조사와 반복적인 작업, 각 단계별 협력을 통한 통합 프로젝트 체험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부분은 대학 교육에서 필수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하는 부분이라고 실무자들의 대부분이 언급하였으며, 자료수집, 상품기획, 컨셉개발, 텍스타일 디자인개발, 최종상품 제작 등의 모든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직접 진행하여 경험해 보는 것이 중요한 만큼 산업체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장기적인 프로젝트를 시행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고학년에서의 프로젝트 참여가 활성화되기 보다는 저학년부터 관련 교과목들의 연계를 통해 단계별로 통합할 수 있는 부분이 필요할 것이다.

    식물, 곤충, 동물, 사물, 자연현상 그리고 사회현상 등 모든 것 이 모티브가 될 수 있고 그것을 표현 할 수 있는 것이 텍스타 일 디자인 분야인데... 그러기 위해서는 많은 것들을 보고 경험 하는 것이 중요해요. 학교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쌓을 수 있도 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봐요. (Women's wear textile studio textile designer)

    응용력 이런 것들이 부족하다 보니까, 하나의 컬렉션을 진행하기 위해서 하나의 컨셉 하에 많은 디자인들을 응용하고 또 응용하고 해서 거기서 셀렉하고 또 셀렉하고 그래야 되는데, 한국 학생들은 딱 그 주제, 컨셉하에 디자인 하나를 개발하고 나면 더이상 응용이 안 되는 거예요. (DTP studio Department manager)

    전통문양 디자인인데 그것을 뽑아서 사이즈는 어떻게 하고, 어떻게 모디파이 시키면 또 멋있는 디자인이 나올까? 따보기 전까지는 모르니까 그냥 도상에서 앉아서 이렇게도 한번 해보고 저렇게도 해보고.. 이러한 능력들이.. (Women's wear textile company textile designer)

    애들한테 트렌드 컬러 색깔 만들어라 하면요 한 컬러 딱 칠해 놓고 그냥 가만히 있어요..그래서 내가 그래요...너 정말 프로구나...나는 그 컬러 만들려면 칩을 한 50개는 만들어 놓고 고르는데...애들이 그 방법을 모르는 거죠. (Home textile CEO)

    모든 의류나 가전제품 심지어 자동차나 건물외곽에도 사용 될만큼 텍스타일의 범위가 확장되고 있는데 상업적으로 어떻게 접목시키나? 어떤 아이디어를 더 첨가 하느냐? 하는 사고의 전환에 따라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고 보는데.. 좀 부족하죠. (Home textile designer)

       4.2.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학과 현황 및 분류

    4.2.1.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학과 현황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학과 개설현황을 알아보고 분류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조사된 총 19개 대학의 20개 학과 및 전공의 분포를 정리하면 Table 2와 같다.

    2012년 현재 국내 4년제 대학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학과 개설현황을 보면 12개 대학의 13개 학과 및 전공에서 텍스타일 디자인을 하나의 독립된 학과로 지정하고 있으며, 2년제 대학

    [Table 2.] Current state of colleges textile design-related departments in Korea

    label

    Current state of colleges textile design-related departments in Korea

    텍스타일 디자인학과 개설현황을 보면 7개 학교의 학과 및 전공에서 텍스타일 디자인을 하나의 독립된 학과로 지정하고 있다. 1995년 총 12개 대학(Lee, 1996), 2006년 총 17개 대학(Lee & Lee, 2007b)에서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학과가 개설되었음을 봤을 때 2012년 현재 텍스타일 디자인학과의 수가 총 19개 대학으로 소폭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텍스타일 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텍스타일 특성화에 대한 관심이 다소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4년제와 2년제 대학의 분포를 살펴보면 1995년 4년제 6개 대학, 2년제 6개 대학(Lee, 1996), 2006년 4년제 14개 대학, 2년제 3개 대학 이였던 것이 2012년 4년제 12개(13개 학과/전공) 대학, 2년제 7개 대학으로 그 구성이 변화하였다. 2006년과 비교하여 4년제 대학은 2개 대학이 줄어든 반면 2년제 대학은 4개 대학이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전체적인 구성으로 봤을 때 4년제 대학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텍스타일 디자인이 보다 전문적인 영역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4년제 대학에서의 깊이 있는 교육이 중요시 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지만(Lee & Lee, 2007b), 4년제 대학에 비교해서 2년제 대학의 수가 늘어나고 있는 현상은 능력과 실용주의 직업사회화에 따른 직업 인력양성 및 중견기술 인력양성의 중요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역별로 분포된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학과 개수는 Table 3과 같이 4년제 대학의 경우 서울 5개(25%), 경기 2개(10%),

    [Table 3.] Regional distribution of textile design-related departments

    label

    Regional distribution of textile design-related departments

    대전 1개(5%), 대구 1개(5%), 경북 1개(5%) 경남 1개(5%), 부산 2개(10%) 학과로 나타났으며, 2년제 대학의 경우 서울 3개(15%), 경기 3개(15%), 대구 1개(5%) 학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텍스타일 디자인학과들이 서울 및 경기권과 경상남북권에 집중되어 있으며, 특히 서울 및 경기권에 보다 많이 집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4.2.2.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학과의 분류

    전국 4년제, 2년제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학과를 Rha et al.(2008)의 분류를 참고하여 계열별로 분류해 본 결과 Table 4와 같이 나타났다.

    4년제 대학의 경우 예술&디자인 계열 12개(98%), 패션 계열 1개(2%)로 분류되고, 2년제 대학의 경우 자연과학 계열 1개(14%), 예술&디자인 5개(72%), 패션 계열 1개(14%)로 분류되어 4년제, 2년제 모두 예술과 디자인 소속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의 경우 초기 섬유공예, 응용미술과 등에서 시작되어 후에 섬유/텍스타일 디자인학과로 분리 개편되어 명칭을 변경한 경우가 많은 것이 영향을 미쳤으리라 생각된다. 과거 우리나라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은

    [Table 4.] Classification of textile design-related departments

    label

    Classification of textile design-related departments

    공예학과나 응용미술학과, 산업디자인학과 등에서 교과 과정의 일부분으로 공예중심적인 교육이 이루어졌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깨닫고 졸업 후 사회와 산업계의 요구와 필요성에 바로 적응할 수 있는 전문 디자인 인력을 양성해 내기위한 차별화되고 독립된 텍스타일 디자인학과들이 많아졌다.

    4년제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학과들은 예술&디자인 계열 내에서도 예술, 예술문화, 조형예술, 조형디자인, 디자인, IT/디자인, 미술, 예체능 대학으로 다양하게 명칭이 분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학과/전공 명칭의 경우 섬유, 텍스타일 디자인의 명칭이 기본적으로 들어가면서도 코디, 코디네이션, 예술, 조형, 미술 등의 용어를 같이 사용하여 소속대학에 따라 학과/전공 명칭이 차별화되어 있었다.

       4.3.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과과정 구성 분석

    4.3.1.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과목 분류 및 구성

    교과목의 세부분류는 선행연구(Lee & Lee, 2007b)에 나타난 분류기준을 참고하여 연구자들이 예비조사와 토의를 거쳐 수정하였으며, 교과목 명칭과 실제 수업 내용은 각 학과의 사정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

    전국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학과의 교과목 분류 및 구성을 나타낸 Table 5를 살펴보면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과목은 기초 분야, 텍스타일 디자인 분야, 직조 분야, 염색/프린팅 분야, 마케팅 분야, 산학 협동 분야, 기타 총 7개로 분류되었다. 기초 분야의 경우 발상/표현, 직물/복식사, 조형, 색채, 의복구성, 일러스트레이션, 텍스타일 소재 분야가 포함되어 있다. 텍스타일 디자인의 경우 평면 디자인, 입체 디자인, 패턴 디자인, CAD/Digital, 완제품 디자인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직조의 경우 직조 기법, 니트, 타피스트리, 자수 분야를 포함하고 있고, 염색/프린팅의 경우 디지털 프린팅, 실크스크린, 염색 기법 분야로

    [Table 5.] Proportion of the curriculum subjects in textile design-related departments

    label

    Proportion of the curriculum subjects in textile design-related departments

    구성되어 있다. 마케팅의 경우 정보분석/소재기획, 완제품 기획, 광고/프로모션, 마케팅/머천다이징 분야를 포함하고 있고, 그 외 산학연계 및 기타 분야가 있다.

    교과목 분류에 따른 구성 비율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평면, 입체, 패턴, CAD/디지털, 완제품 디자인을 포함한 텍스타일 디자인 분야의 총 학점은 637학점으로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학과의 전체 교과목 중에서 31.9%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텍스타일 디자인 분야 중에서 평면 디자인의 경우 써피스 디자인, 기초평면(디자인) 등의 교과목을 포함하고 있고(2.1%), 입체 디자인의 경우 섬유 예술, 텍스타일 아트 등의 교과목을 포함하고 있으며(7.9%), 패턴 디자인은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 전통문양 디자인 등을 포함하고 있다(8.9%). CAD/디지털 디자인은 디지털 섬유 디자인, 컴퓨터 직물, 텍스타일 CAD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6.0%), 완제품 디자인은 인테리어 텍스타일 디자인, 패브릭 텍스타일 디자인 등의 교과목을 포함하고 있다(7.0%).

    두 번째 높은 비중을 차지한 분야는 발상/표현, 직물/복식/미술사, 조형, 색채 분야를 포함한 기초과목 분야로 총 536학점으로 26.9%를 차지했다. 발상/표현은 발상과 표현, 디자인 발상, 기초표현기법 등의 교과목을 포함하고 있고 총 32학점으로 1.6%의 낮은 비율을 보였다. 직물/미술사 분야는 텍스타일 디자인사, 공예사, 디자인 문양사, 복식미학 등 이론 과목이 대부분을 구성하였다(5.5%). 조형 분야는 기초조형, 섬유조형, 섬유입체조형 등의 교과목을 포함하고 있고(3.2%), 색채 분야는 색채실기, 색채표현, 색채학 등 이론과 실기 과목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4.4%). 의복구성/과학 분야는 드레이핑, 패턴 메이킹 등의 교과목을 포함하고 있으며(3.2%), 일러스트레이션 분야는 패션드로잉,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소묘 등의 패션분야의 기초를 교육하는 교과목을 포함하고 있다(7.4%). 텍스타일 소재 분야는 섬유소재 연구, 직물분석, 섬유재료 등 주로 직물을 분해하고 성질의 특성을 알아보는 교과목으로 이론과 실기 과목 모두를 포함하고 있으며 총 31학점으로 1.6%의 낮은 비율을 보였다.

    세 번째 높은 비중을 차지한 분야는 디지털 프린팅, 실크스크린, 염색 기법을 포함한 염색/프린팅 분야로 총 학점은 308학점으로 15.3%를 차지했다. 염색/프린팅 분야 중에서 디지털 프린팅은 섬유 프린팅, 프린팅 디자인 등의 교과목을 포함하고 있고(10.1%), 실크스크린은 대부분 실크스크린의 명칭을 쓰며(2.7%), 염색기법은 염색표현기법, 자연염색 등의 교과목을 포함하고 있다(2.5%).

    정보분석/소재기획, 완제품 기획, 광고/프로모션, 마케팅/머천 다이징을 포함한 마케팅 분야의 총 학점은 273학점으로 13.6%를 차지하였고 트렌드분석 방법론, 텍스타일 상품기획, 전시기 획, 텍스타일 마케팅, 텍스타일 머천다이징 등의 교과목을 포함하고 있다(1.6%). 그 외에 직조 기법, 니트, 타피스트리, 자수를 포함한 직조 분야의 총 학점은 127학점으로 6.4%를 차지했고, 직조 분야 중에서는 자수 분야가 총 14학점으로 0.7%의 아주 낮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현장실습/산학연계, 기타 분야의 총 학점은 각각 73학점(3.6%), 45학점(2.3%) 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와 같이 국내 텍스타일 디자인 관력학과에서는 텍스타일 소재 및 발상/표현 분야의 교과목 비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공 및 신소재 관련 교과목과 직조 분야 중에서도 자수 관련 분야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앞서 산업체 실무자들의 면접결과 텍스타일 디자인은 그림을 그리는 것만이 아니라 섬유 소재의 특성에 맞는 제직, 편직, 염색, 가공, 날염 등을 바탕으로 전통적인 기법과 새로운 과학기술을 접목시키고 감성과 감각을 더하여 섬유소재를 만들어 내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타일 디자이너는 섬유 소재에 대한 기초지식 없이 시장성 있는 텍스타일 디자인을 창출해 낼 수 없으며,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그것을 표현해 내는 능력이 없다면 창의적인 디자인을 고안해 내기가 힘들 것이다. 따라서 전국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학과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반영하여 교과목 구성의 비율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필드스터디, 현장실습 등과 같이 산학연계를 위한 교과목의 비중은 비교적 낮지 않은 것으로 보여 실무중심의 교육을 위해 학교에서도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무중심의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직접 실무프로세스 및 업체환경을 경험해 볼 수 있는 산학협동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일회성이 아닌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산업체 실무자들의 의견을 반영해야할 것이다.

    4.3.2. 지역에 따른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과목별 평균 학점수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과목별 평균 학점수를 지역에 따라 비교한 Table 6을 살펴보면 전국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학과의 전공 교과목별 평균 학점은 4.00학점으로 나타났고, 지역별로 경남 지역의 대학이 5.48학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경기 지역의 대학이 5.10학점, 대구 지역의 대학이 5.08학점, 부산 지역의 대학이 4.38학점, 경북 지역의 대학이 4.24학점, 대전 지역의 대학이 4.04학점, 서울 지역의 대학이 3.48학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Ju(2011)의 의류소재 관련 교과목을 분석한 연구와 비교해 봤을 때 대학 지역별 의류소재 관련 교과목 구성이 수도권 대학에서 가장 낮게 나타난 것과 유사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분석은 교직과 교양을 제외한 텍스타일 디자인학과에서 개설된 모든 전공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기존의 선행연구들과 비교해서 학점의 구성과 편성비율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전국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과목별 평균 학점수를 살펴보면 염색/프린팅 분야 중에서 디지털 프린팅이 10.10학점으로 가장 높았고, 텍스타일 디자인 분야 중에서 패턴 디자인 분야가 8.90학점, 입체 디자인 분야가 7.85학점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는 반면 직조 분야 중에서 직조 기법 분야 1.20학점, 니트 분야 1.30학점, 타피스트리 분야 3.15학점, 자수 분야 0.70학점으로 낮은 비율을 보였다. 마케팅 분야 중에서 트렌드를 분석하고 소재를 기획하는 정보분석/소재기획 분야의 경우 1.65학점으로 광고/프로모션 분야가 6.65학점인 것과 비교하여 낮게 나타났으며 텍스타일 소재에 대한 기초 지식과 이해를 돕는 텍스타일 소재 분야도 1.55학점으로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미술, 디자인과 관련된 분야의 평균 학점수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소재를 직접 제작하는 직조 분야와 소재의 이해, 기획 등과 관련된 분야의 평균 학점수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나 전공 교과목의 비율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지역에 따른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과목별 평균 학점수를 구체적으로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서울은 직조 분야 중에서 니트 분야의 평균 학점수가 3.25학점으로 전국 평균 1.30학점보다 높았으며, 전국에서 유일하게 니트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음을 알 수 있어 타 지역의 텍스타일 디자인학과에서 니트 관련 교과목의 개설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텍스타일 정보분석/소재기획과 완제품을 기획하는 마케팅 분야에서도 비교적 높은 평균 학점수를 나타내고 있어 비즈니스 측면을 강조한 전공개설의 분포를 볼 수 있다. 경기 지역은 직조 분야 중에서 타피스트리 분야의 평균 학점수가 33.6학점으로 전국 평균 3.15학점보다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직조 기법에 대한 분야도 1.8학점으로 전국 평균 1.20 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나 직조 기법 및 타피스트리 분야가 특성화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전은 발상/표현, 직물/복식/미술사, 조형, 색채 분야의 평균 학점이 전국보다 높게 나타나 텍스타일 디자인에 필요한 기초 지식, 활용에 대한 교과목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디지털 프린팅, 염색 기법과 같은 염색/프린팅 분야의 평균 학점수도 전국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텍스타일 디자인 교과목의 분포가 다양하지 못하여 텍스타일 디자인

    [Table 6.] Average number of credits in textile design-related departments according to region

    label

    Average number of credits in textile design-related departments according to region

    분야의 경우 평면, CAD/디지털 디자인 분야와 타피스트리 분야를 제외한 직조 분야, 염색/프린팅 분야에서는 실크스크린 분야, 마케팅 분야에서는 정보분석/소재기획, 완제품 기획 분야, 그 외에 현장실습/산학연계 분야의 개설이 부족한 것으로 보여 기존 교육과정에서 탈피해 좀 더 세분화, 다양화된 교과목 개설과 구성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대구는 텍스타일 디자인 분야 중에서 입체, 패턴, CAD/디지털 디자인 분야의 평균 학점수가 각각 14.5, 12.5, 9.5학점으로 전국 평균 7.85, 8.90, 6.00학점 보다 높게 나타나 소재 응용에 대한 교과목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완제품 기획, 광고/프로모션, 마케팅/머천다이징과 같은 마케팅 분야의 평균 학점수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타 지역에 비해서 현장 실습/산학연계 평균 학점수가 매우 높게 나타나 실무 중심의 교육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경북 지역은 대전과 비슷하게 텍스타일 디자인 교과목의 분포가 다양하지 못한 반면 디지털 프린팅의 평균 학점수가 30학점으로 전국 평균 10.10학점에 비해 높게 나타난 것이 특징이고, 반면에 정보분석/소재기획, 완제품 기획, 광고/프로모션, 마케팅/머천다이징과 관련된 마케팅 분야의 교과목 개설은 아주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경남 지역은 발상/표현, 직물/복식/미술사, 조형, 색채 분야의 평균 학점이 전국보다 높았으며, 텍스타일 소재 분야의 학점이 타 지역과 비교해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은 입체, 패턴, CAD/디지털 디자인의 평균학점수는 높은 반면 완제품 디자인의 교과목 개설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텍스타일 디자인을 응용하여 인테리어 디자인, 어패럴 디자인, 액세서리 디자인 등과 같은 완제품 디자인 교과목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종합적으로 지역에 따른 텍스타일 디자인 교과목별 평균 학점수를 비교해본 결과 현재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은 미적, 조형적 감각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 디자인 교육과 섬유 각 분야에 대한 실기교육으로 텍스타일 디자이너를 양성하고 있지만 지역별로 위치한 대학마다 부족한 교과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에게 있어 텍스타일 디자인과 관련된 다양한 교과목을 접하는 것은 진로선택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발상/표현, 직물/복식사/미술사, 조형, 색채 분야에 대한 교육을 받은 후 학생들이 예술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고 갈 것인지 상업적인 부분에 중점을 두고 갈 것인지에 따라서 교육내용과 방법이 달라져야 한다는 산업체 실무자들의 의견이 있었다. 따라서 각 대학들은 학생들 본인이 진로방향을 선택하고 그에 필요한 교과목을 다양하게 접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에 대한 논의와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3.3. 국내 4년제와 2년제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과과정 비교 분석

    국내 4년제와 2년제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과과정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t-test를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4년제와 2년제 학교의 교과목 학점에는 교과목 종류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년제 대학의 경우 2년제 대학에 비해서 완제품 텍스타일 디자인, 텍스타일 소재, 직조 기법, 정보분석/소재기획 분야를 다룬 교과목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4년제 대학의 경우 텍스타일 디자인에 필요한 소재의 이해와 가공 및 직물을 짜는 방법 등에 대한 교과목인 직조 기법과 관련하여 텍스타일 디자인의 작업성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완제품 텍스타일 디자인, 트렌드 분석과 정보리서치 및 텍스타일 디자인에 필요한 소재를 기획하는 정보분석/소재 기획 분야의 교과목과 관련하여 텍스타일 디자인의 시장성에 대해서도 중점을 두고 있다.

    2년제 대학의 경우 4년제 대학에 비해서 입체 텍스타일 디자인, 실크스크린, 의복구성/과학 분야를 다룬 교과목의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2년제 대학은 디자인, 예술, 조형과 관련하여 텍스타일 디자인의 심미성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4년제 대학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Table 7.]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of subject credits between 4-year and 2-year colleges in Korea

    label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of subject credits between 4-year and 2-year colleges in Korea

    그 외의 교과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그 중에서 발상/표현, 직물/미술사, 조형, 색채와 같은 기초교과목의 경우는 4년제와 2년제 대학 모두에서 학점의 비중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상/표현과 관련된 교과목의 경우 4년제와 2년제 대학 모두 학점 평균이 다른 교과목에 비해서 낮게 나타났는데, 디자인 기법교육에 관한 과목은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지만 이미지 발상, 독창성 강화 교육 등의 교과목은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직조 분야 중에서도 니트, 타피스트리, 자수를 다룬 교과목의 경우에는 학점평균이 다른 교과목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4년제, 2년제 대학 모두에서 이와 관련된 교과목의 개설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5. 결 론

    본 연구는 국내 섬유, 패션산업에서 허리 축을 담당하고 있는 중요 분야인 텍스타일 디자인에 대한 대학의 교육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텍스타일 디자인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한 결과 국내 텍스타일 디자인 교육의 문제점으로 상업적인 디자인에 대한 이해 부족, 문양 디자인에 집중된 교육 시스템, 창의성 개발과 디자인 표현 능력 부족, 디자인개발에 필요한 응용력과 리서치 분석력 부족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관력학과들 대부분이 서울 및 경기권과 경상남북권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과목 분류 및 구성을 분석한 결과 텍스타일 소재 및 발상/표현 분야의 교과목 비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공 및 신소재 관련 교과목과 직조 분야 중에서도 자수 관련 분야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넷째, 지역에 따른 국내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과목별 평균 학점수를 분석한 결과 서울은 직조 분야 중에서 니트 분야의 평균 학점수가 높았고, 경기 지역은 직조 분야 중에서 타피스트리 분야의 평균 학점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대전은 발상/표현, 직물/복식/미술사, 조형, 색채 분야로 구성된 기초 과목의 평균 학점이 높은 편인 반면, 텍스타일 디자인 교과목의 분포가 다양하지 못했다. 대구는 텍스타일 디자인 분야 중에서 입체, 패턴, CAD/디지털 디자인 분야와 현장실습/산학연계 분야의 평균 학점수가 타 지역에 비해서 높았다. 경북 지역은 디지털 프린팅 분야의 평균 학점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마케팅 분야의 교과목 개설은 아주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 지역은 텍스타일 소재 분야의 학점이 타지역과 비교해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부산은 완제품 디자인의 교과목 개설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국내 4년제와 2년제 대학의 텍스타일 디자인 교과과정을 비교 분석한 결과 2년제 대학의 경우 4년제 대학에 비해서 입체 텍스타일 디자인, 실크스크린, 의복구성/과학 분야를 다룬 교과목의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체 실무자들의 면접 결과 학생들의 창의성 및 디자인 표현능력의 부족이 큰 문제점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학과 교과과정을 분석한 결과 텍스타일 소재 및 발상/표현 분야의 교과목 비중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기초교과목에 대한 구성 비율에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기존에 개설되어 있는 발상/표현과 관련된 교과목들은 실무적용에 있어서 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를 분석하고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그에 따른 디자인 개발과 제안서를 작성, 이미지북 제작 등 추상적인 것이 아닌 실제 적용 가능한 교과목 구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창의성 관련 교육은 업체 취업 시 디자인 도용 및 카피와 관련된 기초적인 인식형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기 때문에 기초교과목으로 저학년에 단기적인 교육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학년별 단계적으로 꾸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학생들의 디자인 발상을 상품으로 현실화 시킬 수 있도록 텍스타일 디자인학과의 각 수업 간 융합 또한 고려해봐야 할 것이다.

    둘째, 실무중심의 인력양성을 하기위해서는 학생들의 상업적인 디자인에 대한 이해와 소재별, 용도별 분류를 고려한 전문적인 교육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타일 디자인은 창의성 및 예술성 측면과 시장성을 잘 조화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즉, 창의력을 살려서 디자인 개발을 하여 이를 시장에서 잘 팔릴 수 있는 제품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 저학년부터 예술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갈 것인지 상업적인 부분을 중심으로 갈 것인지에 대한 결정과 함께 진로결정에 따른 교육과정을 달리해야 할 것이다. 또한 소재 및 용도에 따라서 텍스타일 디자인의 적용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세부적이고 통합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국내 텍스타일 디자인 관련학과 교과과정을 분석한 결과 텍스타일 소재분야 교과목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인테리어, 어패럴, 홈 텍스타일 등 완제품 디자인과 관련된 교과목은 비교적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기초분야인 텍스타일 소재분야의 교과목 개설 증원이 필요한 것은 물론이고 관련교과목 간의 연계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완제품 디자인은 텍스타일 적용 분야가 다양한 만큼 그에 적용될 수 있는 디자인은 무엇이며 소재는 어떤 것인지 등 관련 정보들의 통합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셋째, 섬유, 패션산업의 환경변화에 맞는 교과목 개설이 요구된다. 새로운 소재 및 신기술이 발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공 및 신소재 관련 교과목을 개설한 학교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패션, 소재 분야에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디자인 분야에서 지적재산권에 대한 법정분쟁 및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관련 교과목의 개설현황은 볼 수 없어 이와 관련된 새로운 교과목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학생들의 창의성이 결여되는 이유는 텍스타일 디자인 산업의 전반적인 문제인 디자인 카피와도 연관성이 있다. 업계에서 문양 및 디자인 카피가 관행적으로 이루어지고 학생들은 텍스타일 디자인 자체에 대한 가치인식조차 제대로 성립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산업체 실무자들의 면접 분석과정에서 밝혀졌다. 따라서 전국 텍스타일 디자인관련 전공을 보유한 학과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반영하여 지적재산권, 특허, 디자인 리소스의 활용 및 각종 디자인 관련 데이터베이스 수집 등과 연계된 교과목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텍스타일 디자인의 전공기초과목과 응용, 전공심화과목 등 다양한 교과목과 실무능력의 향상을 위한 산학연계, 프로젝트 등의 교과목이 증가하고는 있으나, 일회성 또는 취업과 잘 연계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다. 산학협력이 잘되면 실무에 대한 이해도가 있고 진로선택의 폭도 넓어질 수 있다. 졸업생의 경우에 국한되어서 실행되기 보다는 저학년 때부터 장기적 프로젝트로 산학연계가 될 수 있다면 산업체와 학생 모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각 학교별 교과목 학점의 평균을 비교하여 제한된 분석을 하였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교과목수, 이론과 실기의 비중 등 좀 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교과목을 분류하는 과정에 있어 각 학교에서 명시해놓은 교과목 내용에 대한 설명을 중점으로 분류하여 교과목 명칭과 내용에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참고문헌
  • 1. Char I. S. (1999) A study on the textile design for the global marke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Vol.28 P.27-36 google
  • 2. Choi H. J. (1993) The trends of computer aided design in the clothing and textiles programs in U.S.A. colleges & universi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17 P.638-647 google
  • 3. Choi K. H. (2011) A comparative study on fashion design education in Europe and Korea-Focus on the educational cases in the UK, France, Italy and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5 P.1199-1214 google cross ref
  • 4. Choo T. G. (1997) A study on fashion and textile design education in the U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33 P.55-71 google
  • 5. Doh K. H., Choi K. S., Lee J. O., Jo C. (1994) A study on the education of fashion for the development of apparel industr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Vol.23 P.225-248 google
  • 6. Hong S. A., Lee J. H. (2011)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university;s curriculum in the field of clothing construction for activating fashion busin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5 P.1399-1408 google cross ref
  • 7. Jo I. S. (2001) Positive study of dressers' curriculums. google
  • 8. Ju J. A. (2011) Practical use of educational content on materials in the fashion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6 P.432-442 google cross ref
  • 9. Kim H. S. (1994) A study on the problems in the textile design education in Korea : centering on the printing design. google
  • 10. Kim H. S. (2001) A study on textile education for textile industry in advanced textile countries.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ol.3 P.161-172 google
  • 11. Kim H. Y. (2000) A study on the students perception of curriculum in clothing and textile studies: - Based on the sample of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students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Vol.50 P.81-95 google
  • 12. Kim S. D. (2011) A study on knit design education for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nit indust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Vol.12 P.75-85 google
  • 13. Kim S. H., Lee S. J. (1999) The present situations of the apparel CAD education in clothing departments in domestic colle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ol.1 P.26-33 google
  • 14. Ku Y. S., Kim J. W., Park K. A., Park K. H., Choo T. G. (1999) Analysis of fashion curriculum in 4-year colleges : Cross-national comparison of Korea, USA, UK, Japan, & Hong Kong.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ol.37 P.19-32 google
  • 15. Kwon O. J. 1994 What is the textile design?. Fashion Today, 4 P.82-83 google
  • 16. Kwon S. H. (2009) A study on textile design education in the U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Vol.10 P.27-37 google
  • 17. Lee H. K. (1996) A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 of the education related to textile design. google
  • 18. Lee H. Y., Lee J. H., Chung K. Y. (1993) A study on the curriculum for the related clothing. [Natural Science] Vol.4 P.117-132 google
  • 19. Lee J. W., Lee S. J. (2007b) A study on the textile design education of college in Korea.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ol.19 P.149-162 google
  • 20. Lee Y. R., Lee M. Y. (2007a) A comparison between the fashion marketing field in university curricula and in resear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Vol.57 P.123-139 google
  • 21. Lee S. H., Park S. K. (2007) A globalization-Focus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 in fashion marketing area - Comparison of Korean and U.S. graduate school's fashion marketing curricul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1 P.420-432 google cross ref
  • 22. Park T. Y. (2005) A study on the situations of fashion design Education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9 P.585-594 google
  • 23. Rha S. I., Kwon H. S., Lee J. S. (2008) Analysis of the major curriculum of fashion-related cours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Vol.12 P.54-66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Characteristic of respondents
    Characteristic of respondents
  • [ Table 2. ]  Current state of colleges textile design-related departments in Korea
    Current state of colleges textile design-related departments in Korea
  • [ Table 3. ]  Regional distribution of textile design-related departments
    Regional distribution of textile design-related departments
  • [ Table 4. ]  Classification of textile design-related departments
    Classification of textile design-related departments
  • [ Table 5. ]  Proportion of the curriculum subjects in textile design-related departments
    Proportion of the curriculum subjects in textile design-related departments
  • [ Table 6. ]  Average number of credits in textile design-related departments according to region
    Average number of credits in textile design-related departments according to region
  • [ Table 7.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of subject credits between 4-year and 2-year colleges in Kore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of subject credits between 4-year and 2-year colleges in Korea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