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Research on the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and Fitness of Sizing System for Summer School Uniform 중·고등학생의 여름용 교복 만족도 및 치수적합성에 관한 연구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Research on the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and Fitness of Sizing System for Summer School Uniform
KEYWORD
school uniform , satisfaction , sizing system
  • 1. 서 론

    근래 인기리에 방영되었던 TV 드라마를 보면, 「드림하이」, 「꽃보다 남자」, 「공부의 신」, 「아름다운 그대」에게 등 많은 작품들이 학교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이들 드라마 속 연기자들은 교복을 착용하고 출연하였다. 이러한 방송의 영향을 크게 받는 연령층은 청소년층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의복은 어느 연령층에나 인간의 행태와 심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만 특히 청소년기는 다른 연령층보다 외모 및 패션에 대하여 관심이 높은 시기이므로 드라마 속 스토리에도 관심이 있지만 등장하는 주인공이 입는 교복에 대한 관심이 높으며, 그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원래 교복의 착장 목적은 학생이 학교에서 생활하거나 또 통학할 때 입도록 학교에서 제정한 유니폼으로서, 단체생활을 원활히 하고 학생에게 면학의식을 갖게 하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만든 것이다. 그러므로 개인마다의 패션성을 중시하기보다는 신분과 소속감을 불러일으키는 수단이 주요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학교마다 이러한 역할 및 특징을 표현하고자 스타일, 소재, 색채를 통일시켜서 각 학교 이미지와 부합하는 디자인으로 아름다움과 상징성을 표현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과거에 비해 학교마다 개성을 표현하는 교복디자인 선택이 활발해 짐에 따라 청소년기의 감성과 심미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다양하게 제안 되어 지고 있으며. 디자인에 있어 과거보다 스커트의 길이는 짧아지고 패턴 또는 디테일이 화려해진 것이 특징이다.

    요즘의 교복은 청소년들에게 하나의 패션아이템으로 인식되어 중·고등학생들에게 시각적으로 정서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교복을 착용하는 학창 시절, 청소년들은 신체적 성숙이 현저하여 2차 성징이 나타나게 되고 이성에 대해 눈을 뜨게 되며 여러 가지 스트레스를 외부로 표출하게 되는데 하루 평균 최소 10시간 이상, 장시간동안 교복을 착장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중·고등학생들의 정서, 심리 및 활동은 많은 제약을 받는다고 본다. 그러므로 디자인, 봉제 등이 정해진 상태로 중학교 시기 3년, 고등학교 시기 3년을 통제된 조건하에 착장해야 하는 교복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감과 치수적합성은 매우 중요하다(Lee, 2006).

    1991년 대기업 교복 브랜드가 출현하면서 교복은 기성복 시장으로 진입하게 되었으며 이후 여러 대기업 및 중소기업의 출현으로 교복업체간 과다경쟁이 시작되었다. 현재 국내 교복시장의 80%는 E사, I사, S사, SL사 등의 4개 브랜드가 점유하고 있으며, 작년 마케팅워즈 자료에 따르면 특히 E사와 I사의 시장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ark, 2011). 그러나 교복 업체들은 대기업 중심으로 각기의 치수체계를 가지고 있어 동일 치수라고 하더라도 착장시 만족도와 치수적합성은 다소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Kim & Kim, 200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녀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현재 시판, 착용되고 있는 여름용 교복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 조사 및 신체 변화가 빠른 청소년기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치수적합성에 대한 연구를 행하여 개인의 교복 만족도를 최대로 높이고 동시에 팽창하는 교복업체의 경쟁에 보다 생산 효율성과 시장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중·고등학생들이 착용하는 교복은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그들의 심리적, 육체적 동작 및 활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져 오고 있다. 청소년기의 의복만족도는 특히 긍정적인 자아개념과 자신감을 갖게 하는데 도움이 크므로 많은 선행연구들에서도 교복만족도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Lee(2001)도 지적하였듯이 감수성이 예민하고 심미적인 것에 특히 관심이 많은 청소년 시기에 교복에 대한 디자인, 컬러, 활동성이 만족하지 못할 경우 정서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청소년기의 교복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중요하다고 언급하였다.

    Lee et al.(2009)은 동복 교복착용에 대해 중·고등학생의 착용 실태와 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중학생은 고등학생에 비해 디자인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 반면,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활동성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Koo et al.(2009)은 여고생 여름용 교복 블라우스의 착용감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여고생의 여름용 블라우스는 원가 절감을 위해 소재의 제한과 외관에 치중한 나머지 성장기 여고생들의 생활동작을 커버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름용 교복 블라우스에 대해 디자인 측면이나 기능적 측면에서 불만족과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labe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Kim(2001)은 제주지역 여고생의 교복변형과 치수만족도 및 교복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성장기와 성장완료기의 경계점에 있는 여고생과 성장이 완료된 성인 여성의 체형과는 뚜렷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여고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복 제조업체의 경우 제품 생산 시 이러한 형태 및 치수의 특징을 반영, 차별화하여 의복치수적합성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Kim and Kim(2001)은 교복제작업체의 치수체계가 신장, 가슴둘레, 허리둘레를 일률적으로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되어 있으며, 업체마다 각각의 제품치수를 정하고 있어 동일 호칭을 착장하더라도 업체마다의 실제 제품치수는 다르므로 교복구입 후 개별 변형이 많아짐을 설명하였다.

    교복 만족도에 관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착용 교복에 대한 디자인 치수, 교복의 사회·심리적인 측면을 토대로 이루어졌다. 여름용 교복 착용에 대한 중·고등학생의 교복 만족도와 치수적 합성에 대한 차이를 제대로 파악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실제 착용하고 있는 여름용 교복에 대해 상의, 하의의 교복만족도 및 치수적합성을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를 실시, 조사 분석에서 나타난 교복 문제점을 파악한 후 교복 구성 설계와 교복업계에 보다 높은 의복만족도와 치수 적합도가 높은 교복 제작을 가능하도록 하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3. 연구방법

       3.1. 연구문제

    본 연구에서 다룬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착용하고 있는 여름용 교복에 대해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별 교복만족도 평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둘째,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경우 교복 만족도에 학령별 유의차가 있는지 파악한다.

    셋째, 현재의 여름용 교복에 대해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별 치수적합성 평가가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넷째,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경우 여름용 교복의 치수적합성에 학령별 유의차가 있는지 살펴본다.

       3.2. 조사대상

    연구대상자는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 2, 3학년생으로 2011년 6월에 D광역시 소재 남녀 중·고등학교 각 3개 학교 씩을 임의로 선정하여 1,192명을 조사하여 불충분한 자료를 제외한 총 1,153명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각 집단별 표본의 수는 다음의 Table 1과 같다. 남자 중학생 261명, 여자 중학생 343명, 남자 고등학생 292명, 여자 고등학생 257명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3.3. 측정 방법 및 측정 항목

    중학생과 고등학생이 착용하는 교복 여름용 중에서 상의, 하의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예비 조사한 후 수정,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색, 소재, 디자인, 활동성에 관한 만족도 4문항, 치수적합성에 관한 10문항을 5점 Likert 척도법으로 구성하였다.

    평가방법은 교복을 착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학생 스스로가 평가하여 설문지 질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교복 착용의 만족도에 대하여 응답 평균값의 수치가 1에 가까울수록 ‘매우 불만족하다’, 3에 가까울수록 ‘보통이다’, 5에 가까울수록 ‘매우 만족한다’를 나타낸다. 그리고 치수적합성의 경우 평균값의 수치가 1에 가까울수록 ‘매우 짧다’, ‘작다’, 또는 ‘좁다’에 가까운 응답이며, 3에 가까우면 치수적합도가 매우 잘 맞음을 의미하고 5에 가까울수록 ‘매우 길다’, ‘크다’, ‘넓다’의 치수 적합성을 의미한다. 치수적합성을 살펴본 항목으로는 Fig. 1에 나와 있는 것처럼 상의 교복에 대해서는 전체 길이, 전체 폭, 소매길이, 소매통, 진동둘레, 목둘레 등 여섯 항목의 치수적합성을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하의 교복에 대해서는 전체 길이, 바지 폭,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 등 네 항목에 대한 치수적합성을 응답하도록 하였다.

       3.4. 자료분석

    연구대상자 총 1,153명에 대한 조사를 토대로 본 연구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Win. 17.0을 이용하였으며, 각 문항별 신뢰도를 살펴보고자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여 크론바하 알파의 값이 0.72~0.83으로 나타나 응답에 있어 내적 일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항목별로 기술통계량인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집단 유의차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학령별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성별로 유의차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학년별 유의차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일원분산분석(ANOVA) 및 사후검증으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4. 결과 및 고찰

       4.1. 교복 만족도 평가

    4.1.1. 성별 비교

    Table 2는 여름용 교복에 대한 상의(블라우스 또는 셔츠) 및 하의(스커트 또는 바지)의 색, 소재, 디자인, 활동성 각각에 대한 교복 만족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남학생과 여학생으로 구분하여 나타낸 것이다.

    전반적으로 남학생들에 비해 여학생들의 여름용 교복에 대한 만족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용 교복의 상의에 대해 여학생이 착용하는 블라우스에 대한 만족도를 색, 소재, 디자인, 활동성 측면에서 평가할 경우 전체 평균은 3.209인데 비해 남학생은 셔츠에 대한 만족도 전체 평균은 3.517로 나타났다.

    여름용 교복 하의에 대해서는 여학생들이 착용하고 있는 스커트에 대한 만족도는 3.174로 나타난 반면 남학생들이 착용하고 있는 하의 교복 바지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 평균이 2.901로 나타나 상의와 하의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는 현재의 교복에 대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교복만족도를 색, 소재, 디자인, 활동성에 대해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현재 중·고등학생들이 착용하고 있는 여름용 교복에서 성별 유의차가 나타난 항목은 상의에 대해서는 ‘디자인 만족도’로 나타난 반면 하의에 대해서는 ‘디자인 만족도’와 ‘활동성 만족도’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 상의 블라우스의 디자인 만족도는 3.445로 나타난 반면 남학생의 셔츠 디자인 만족도는 3.064로 나타났으며, 하의에 대해서는 남학생의 바지 디자인 만족도가 2.786, 활동성 만족도가 2.751로 나타나서 ‘보통이다’의 3보다 낮은 점수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반면 여학생의 경우 하의 스커트에 대한 평가에서는 디자인 만족도는 3.245, 활동성 만족도는 3.147로 응답해 남학생에 비해 디자인 만족도와 활동성 만족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2.] Satisfaction of summer school uniform by sexuality

    label

    Satisfaction of summer school uniform by sexuality

    하의 교복에 대해 남학생이 착용하는 바지보다 여학생들이 착용하는 스커트의 디자인과 활동성이 훨씬 나은 것으로 인식하였다. 고등학교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들의 교복만족도가 높았다는 Lee(1996)의 선행연구의 결과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요즘 남학생들이 과거에 비해 처음 구입 시 교복 형태에 대해 불만족하기 때문에 또래 집단에서 유행하는 스타일로 변형하는 행태가 잦은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여고생을 대상으로 교복만족도를 조사하여 상징만족도, 관리만족도, 활동만족도에 비해 심미적 불만족을 가장 크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Ryu et al.(2011b)의 선행연구와는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활동성과 디자인 만족도가 다소 높게 나타나 요즘의 청소년들은 실용성도 중요하게 생각하는 동시에 패션성도 강조되는 스타일을 추구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4.1.2. 학령별 비교

    Table 3은 중학생과 고등학생들이 여름용 교복에 대한 상의

    [Table 3.] Satisfaction of summer school uniform by school age

    label

    Satisfaction of summer school uniform by school age

    및 하의에 대해서 색, 소재, 디자인, 활동성 각각에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는가를 조사한 결과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평균값이 1에 가까울수록 불만족을 나타내며, 3은 보통이다, 5에 가까울수록 교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여름용 교복에 대한 만족도를 학령별로 전체 평균값을 비교하면 중학생의 경우 상의 교복만족도는 2.959, 하의 만족도는 2.996인데 비해 고등학생은 상의 만족도 3.331, 하의 만족도 3.160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중학생에 비해 고등학생의 교복 여름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색, 소재, 디자인, 활동성 각각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상의 교복에 대해서는 ‘소재 만족도’, ‘디자인 만족도’, ‘활동성 만족도’에 있어 모두 학령별 유의차가 나타났으며, 하의에 대해서는 ‘디자인 만족도’ 및 ‘활동성 만족도’에 있어 중학생과 고등학생들의 교복만족도의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겨울용 교복을 대상으로 교복만족도를 살펴본 Lee(2006)의 선행연구와 비교하면, 겨울용의 경우 학년별 유의차가 나타난 항목이 상의에 대해 ‘색 만족도’, ‘디자인 만족도’, ‘활동성 만족도’이었으며, 겨울용 하의는 ‘색 만족도’ ‘활동성 만족도’에 있어 학령별 유의차가 나타나 겨울용과 여름용의 교복만족도에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그리고 중학생의 경우 고등학생에 비해 소재, 디자인 및 활동성에 대한 평균값이 낮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고등학생들의 여름용 교복의 만족 정도에 비해 중학생 여름용 교복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거에 비해 관심도 연령이 낮아진 것과 신체 성장발달이 중학생이 더욱 빨라서 활동성에 대한 만족도가 고등학생에 비해 낮은 것으로 보인다.

    여름용 교복에 대한 연구에서 중학생의 경우에는 상, 하의 만족도에 큰 차이가 없으나,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상의 만족도에 비해 하의 만족도가 낮아 특히 남학생 교복 바지의 디자인 및 활동성을 고려하여 제작하는 것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Lee(2006)의 겨울용 관련 선행연구와 비교 시 흥미로운 점은 동복 아이템 중에서 특히 재킷에 대해 고등학생들이 중학생들에

    [Table 4.]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Duncan test on the satisfaction of summer school uniform by school age

    label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Duncan test on the satisfaction of summer school uniform by school age

    비해 재킷 불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름용을 조사한 본 연구에서는 상의 셔츠에 대해 중학생의 불만족이 고등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겨울용과 여름용에 대한 교복 만족도의 약간의 차이가 있음을 보인다.

    그러나 Lee et al.(2004)의 선행연구와는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현재 중학생과 고등학생 교복의 경우, 치수를 통합 설정하여 작은 치수는 중학생용, 큰 치수는 고등학생용으로 사용하고 있어 교복 선택 시에 치수에 대한 불만족이 중, 고등학생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중학생들의 경우, 기준 길이에 비해 가슴둘레 및 허리둘레에 기준을 두어 교복을 구입하게 되면 길이가 짧다고 평가하며, 신장에 맞추어 구입하게 되면 너비 또는 둘레 항목이 큰 교복으로 평가한 것이다.

    Table 4는 중학생 및 고등학생의 여름용 교복에 대한 색, 소재, 디자인, 활동성에 관한 학년별 유의차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일원분산분석을 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교복만족도에 있어서 학년별 유의차가 나타난 항목은 중학생의 경우 상의에 있어서는 디자인과 활동성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생은 소재, 디자인, 활동성으로 나타났다. 하의에 대해서는 중학생, 고등학생

    [Table 5.] Sizing system of summer school uniform

    label

    Sizing system of summer school uniform

    모두 디자인과 활동성에 있어 학년별 유의차가 나타났다.

       4.2. 교복 치수적합성 평가

    4.2.1. 성별 비교

    교복의 치수적합성은 착용자의 외관은 물론 동작용이성 및 운동 기능적 착용감에 직결되는 요소이므로 이에 대한 평가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우선 교복업체에서 사용하는 기준 부위와 치수 체계를 Table 5에 나타내었다. 현재 교복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치수는 부위별로 약간씩의 차이가 있으며, 이는 착장자의 치수적합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기준부위는 가슴둘레와 허리둘레를 사용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남학생 교복과 여학생 교복의 치수체계의 차이가 있으며, 각 브랜드마다 기준 부위에 따른 치수체계의 차이가 있어 교복 구매시 치수만으로 구매를 하기에 어려움이 있음을 볼 수 있다. 교복 생산업체에서 보다 착장자의 치수 맞음새와 만족도를 고려하여 동일 치수체계를 가지고 디자인한다면, 소비자의 입장에서 구매가 용이해 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able 6은 여름용 교복 착용 시 중·고등학생들의 치수적합성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상의(셔츠 또는 블라우스)에 대해 길이, 품, 소매길이, 소매통, 진동둘레, 목둘레 등 6항목의 치수적합성을, 여름용 하의(바지 또는 스커트)에 대해 길이, 폭,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등에 관한 4항목의 치수적합성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남학생과 여학생 응답을 성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의에 대한 치수적합성 전체의 평균은 남학생은 3.301, 여학생은 2.954로 나타났으며, 하의에 대한 치수적합성 전체에 대한 평균은 남학생은 3.553, 여학생은 3.143으로 나타났다. 응답 결과를 보면 현재 여름용 교복에 있어서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의 여름용 하의 교복이 치수적합성이 우수하였다. 남학생 여름용 교복 상의, 하의가 실제 착용 시 치수에 대해 약간 크거나 넓은 것으로 인식하는 데 비해 여학생의 여름용 교복의 전반적 치수적합성은 매우 양호함을 나타내고 있다.

    각 항목별 구체적 치수적합성을 살펴보면, Table 5에 나타나듯이, 여름용 교복 상의에 있어 전체 길이와 품에 있어 성별 유의차가 나타났으며, 하의에 있어서도 전체 길이와 폭에 있어 성별 유의차가 나타났다. 상의에 있어 품은 남학생이 3.797, 여학생은 3.097로 나타나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다. 여름용 교복의 경우 남학생 셔츠의 품이 넓음을 의미한다. 하의에 있어서는 전체 길이에 대해 남학생 3.425, 여학생 3.054로 나타났으며, 하의 전체 폭은 남학생은 3.985, 여학생은 3.315로 나타나 상의와 마찬가지로 하의에 있어서도 남학생의 교복 치수가 실제 착용 시 전체 길이와 폭이 길고 넓다고 응답한 것이다.

    학창시절의 대부분의 시간을 교복을 착장하는 중·고등학생들이 치수적합성에 있어 차이가 있으므로 이는 교복수선 또는 변형으로 이어질 것으로 여겨진다.

    치수적합성에 관한 Kim and Kim(2001)의 선행연구 결과와 비교하면, 여중생들의 의복착용실태조사를 통해 치수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크다’고 응답한 경우가 대부분의 부위에서

    [Table 6.] Fitness of sizing system on summer school uniform by sexuality

    label

    Fitness of sizing system on summer school uniform by sexuality

    40~50% 정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복 치수가 전체적으로 크게 설정되어 불만족스러운 것으로 응답한 것과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이는 10여년 전의 교복 형태가 다소 커서 많은 학생들이 불만족을 느낀 부분을 교복 업계에서 수정, 보완하여 최근 디자인의 경우 여학생 교복은 치수적합성이 매우 높아진 것으로 사료된다.

    10여 년 전의 여학생 교복의 치수적합성 연구결과에서는 불만족스럽게 인식하고 있는 항목으로 재킷의 경우에는 허리둘레, 어깨너비, 소매길이였으며 스커트의 경우에는 스커트 길이,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여학생의 조사결과 상의에 대한 치수적합도는 길이 2.564, 품 3.097, 소매길이 3.014, 소매폭 2.968, 진동둘레 3.042, 목둘레 3.038로 응답하여 치수적합성이 매우 향상되었음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치수적합성에 있어 3점에 가까운 것으로 응답하여 긍정적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최근 발표된 Ryu et al.(2011a)의 선행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또한 교복 바지 구입 시 바지통과 바지 길이를 중요하게 고려해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나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같은 기본적 부위보다 전체적 스타일을 나타내는 부위의 맞음새를 민감하게 고려한다고 지적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동일한 연구결과가 나타나 교복설계 시 바지의 경우에는 바지통 및 바지 길이에 대한 치수적합성을 더욱 유의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여학생의 응답결과를 살펴보면 대다수의 항목에 있어서는 3점에 가까운 응답을 하여 치수적합성에 긍정적 응답을 하였으나, 상의 길이 항목에 대해서는 전체 길이가 다소 짧다, 하의 폭 항목에 대해서는 다소 넓다고 응답하여 앞서 살펴본 교복만족도에 있어 ‘디자인 만족도’에는 만족하지만 치수 적합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 결과 차이가 있었으므로 향후 여학생 여름용 교복 상의 및 하의 제작 시 반영되어 교복 만족도 및 치수적 합성을 높이는데 고려할 사항이라고 생각된다.

    4.2.2. 학령별 비교

    Table 7은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교복 여름용 착장시 인지하는 치수적합성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상의에 대한 길이, 품, 소매길이, 소매통, 진동둘레, 목둘레 등 6항목의 치수적합성 및 하의에 대한 길이, 폭,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등에 관한 4항목의 치수적합성의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나타낸 것이다.

    중학생의 경우, 여름용 교복에 대해 상의의 치수적합성 전체 평균은 3.278, 하의의 치수적합성 전체 평균은 3.494인데 비해 고등학생은 상의 치수적합성의 전체 평균이 3.089, 하의 전체 치수적합성 평균이 3.086으로 나타나 치수적합성 측면에서 중학생에 비해 고등학생이 더욱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은 이미 중학교 시절을 통해 교복 착용의 경험이 있으므로 초등학생을 벗어나 교복을 처음 착용하는 중학생 집단과 차이가 나타남을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항목별 중학생 및 고등학생의 응답에 있어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난 항목은 상의에 있어서 전체 길이, 전체 품, 소매길이, 소매폭, 진동둘레로 나타났으며, 하의에 대해서는 전체 길이와 품으로 나타났다.

    상의의 경우, 중학생은 길이 평균이 3.210, 고등학생은 2.954, 상의 품의 경우 중학생은 3.451, 고등학생은 3.227, 소매길이에 대해서는 중학생 3.355, 고등학생 2.969로 나타났으며 소매통에 있어서 중학생은 3.269, 고등학생은 3.168, 진동둘레의 경우 중학생 3.387, 고등학생 3.103으로 응답하여 고등학생의 치수적합성이 훨씬 좋은 것으로 보여진다. 예전의 교복에 비해 현재 시판 중인 교복은 상의의 길이가 짧아지고 품이 다소 타이트하게 디자인 되어 착용하는 학생들의 응답은 과거에 비해 치수적 합성에 있어 보다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반면 하의의 경우에는 전체 길이에 대해 중학생은 3.457, 고등학생은 2.948, 하의 폭에 대해 중학생은 3.945, 고등학생은

    [Table 7.] Fitness of sizing system on summer school uniform by school age

    label

    Fitness of sizing system on summer school uniform by school age

    3.212로 응답하였다. 중학생은 고등학생에 비해 길이가 다소 길다고 인식하고 폭에 대해 넓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Lee et al.(2004)의 선행연구 결과에 있어서 재킷길이, 소매길이, 바지 길이, 셔츠 길이, 셔츠 소매길이는 짧게, 셔츠의 목둘레는 작게, 소매통은 좁게 느낀다고 응답한 결과와 다소 차이를 보인다. 이는 기성복 디자인이 피트감 있는 스타일이 많아 이에 익숙해진 것으로 여겨 교복의 경우에도 작게 좁게 느끼는 감의 치수적합성의 평균이 딱 맞게 입는 것을 기준으로 변화하였음을 의미한다고 여겨진다.

    Kim(1996)의 선행연구에 따르면 남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교복의 치수 맞음새를 조사한 결과 한 치수 보다 크게 구입하는 경향을 지적하였는데, 본 연구에 나타난 중학생들의 치수적합성도 한 치수 큰 치수를 구매하기 때문에 고등학생들보다는 치수적합성에서 낮은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Lee(1996)와 Chung et al.(2007)의 연구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청소년기 남학생의 성장은 만 11세에 서서히 이루어져 만 12세에 신체치수의 평균값이 커지기 시작하였으며, 대체로 13~14세 보다 12~13세에 빠른 성장을 보인다고 밝혔으며, 남자 중학생의 경우 성장량의 유의적 차이가 있음을 언급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고등학생에 비해 중학생의 치수적합성의 차이가 있어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난 것이라 여겨진다.

    고등학생에 비해 중학생은 연령증가에 따른 신체치수의 변화가 현저하여 보통 입학시점 한 두 치수 큰 교복을 구입하여 착용한 결과 교복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와 치수적합성이 고등학생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중학생의 경우 급격한 성장을 하는 시기인데 반해 고등학생 시기에는 완만한 성장곡선을 이루기 때문에 학령별로 신체적 발달과 특징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경우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교복치수는 큰 차이가 없이 제작,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Table 8.]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Duncan test on the fitness of summer school uniform sizing system by school age

    label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Duncan test on the fitness of summer school uniform sizing system by school age

    Ryu et al.(2011a)의 선행연구 결과를 보면, 남자 중학생의 급격한 신체성장을 고려할 때 장기적 착용이 요구되는 교복의 경우 착용기간 중 치수적합성이 계속 변화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교복 제작업체에서는 고려해야 할 주요사항이라 언급하였다. 또한 Lee et al.(2004)의 연구에서 언급된 바와 마찬가지로 교복업계에서는 치수의 기준 대부분을 고등학생의 신체적 특징이 반영된 치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중학생들의 경우에는 기준 길이에 비해서 가슴둘레와 허리둘레가 크게 나타나고 신장에 맞는 교복을 고르게 되면 너비와 둘레항목은 큰 치수를 구입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둘레 항목에 기준을 두어 교복을 구매하게 된다면 길이 부위는 짧게 되어 너비와 길이 모두가 적합한 치수를 고르는 데는 한계가 있다.

    Table 8은 중학생 및 고등학생의 여름용 상, 하의 교복에 대한 치수적합성에 관한 학년별 유의차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일원분산분석을 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치수적합성에 대해 학년별 유의차가 나타난 항목은 상의에 있어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길이, 폭, 소매길이, 소매폭, 진동둘레로 나타났으며, 하의에 대한 치수적합성 평가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길이와 폭에 대하여 학년별 유의차가 나타났다.

    최근 다양한 브랜드의 교복들은 헐렁하게 입지 않고 가능하면 타이트하게 입으려는 청소년의 심리적 요구를 적극 반영한 디자인과 기능성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과거 10여년 전의 교복만족도 및 치수적합성과 비교할 때 많이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남자 중학생의 경우에는 상의 및 하의에 있어 교복만족도와 치수적합성에 있어 불만족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이를 반영한 교복 제작이 더욱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5. 결 론

    자신의 외모와 패션에 관심이 높고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성장기 청소년들은 이시기에 대부분의 생활을 학교에서 보내기 때문에 다른 의복에 비해 교복을 장시간 착용하고 있어서 교복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교복에 대한 만족도는 소속감과 유대감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심리적 안정과 동작활동성에 많은 영향을 끼치므로 본 연구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치수적합성과 교복 만족도를 높여 착용자 중심의 교복생산이 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남녀별, 학령기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여름용 교복에 대해 중·고등학생의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성별 유의차가 나타난 항목은 상의 블라우스와 셔츠에 대해서는 디자인 만족도, 하의 팬츠와 스커트에 대해서는 디자인 만족도와 활동성 만족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의 디자인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과거에 비해 남학생들의 패션에 대한 관심도가 크게 증가하였음을 시사하였다.

    둘째, 여름용 교복에 대한 중·고등학생의 만족도에 대하여 학령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상의 교복에 대해서는 소재, 디자인, 활동성에 있어서 하의 교복에 대해서는 디자인과 활동성에 대한 만족도에 있어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에 비해 고등학생의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 중학생들의 교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세심한 조사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셋째, 중·고등학생들이 착용하는 여름용 교복의 치수적합성을 조사한 결과, 최근 매우 향상되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성별 유의차가 나타난 항목은 상의와 하의 모두에 있어서는 전체 길이와 품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름용 교복의 치수적합성에서는 고등학생의 치수적합성이 훨씬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령별 유의차가 나타난 항목은 상의에 있어서는 전체 길이, 전체 품, 소매길이, 소매 폭, 진동둘레로 나타났으며, 하의에 있어서는 전체 품과 전체 길이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특징 및 차이를 잘 반영한 착용자 중심의 교복설계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D광역시 지역의 남녀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행해졌기에 연구 결과를 전국적으로 확대 해석하여 일반화 하는 데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교복에 관한 치수적합성 및 만족도 향상을 위하여 지속적 연구수행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 1. Chung E. S., Suh D. A., Lee Y. W. (2007) A study on design of girls' school uniform since 1996.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57 P.17-31 google
  • 2. Kim H. J. (2001) A study on the alternation and size, uniforms satisfaction of girls high school students' uniforms in Jeju. google
  • 3. Kim H. R. (1996) A study on the sizing system for the school uniforms. google
  • 4. Kim I. S., Kim. D. H. (2001) A study on fitness of middle school girls uniform size in consideration of growt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5 P.315-326 google
  • 5. Lee H. J. (2006)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fitness of sizing system and satisfaction for fall and winter school uniform.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4 P.48-63 google
  • 6. Lee J. M., Lee J. R., Koo Y. S. (2009) Comparison of actual status and satisfaction of school uniform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Industry] Vol.11 P.753-763 google
  • 7. Lee K. M., Choi H. S., Kang Y. S. (2004) A study on sizing system for the school uniforms of middle-school boy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8 P.112-121 google
  • 8. Lee S. E. (2001) High school students' body images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uniform. google
  • 9. Lee S. H. (1996) School uniform satisfactions, clothing interests and self-concepts of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google
  • 10. Park H. N. 2011 Marketing wars on school uniform markets before new semester. google
  • 11. Ryu E. J., Choi H. S., Lee K. H. (2011a) A study on the wearing conditions of middle school boys' unifor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5 P.1175-1187 google cross ref
  • 12. Ryu S. I., Park K. S., Kim H. K. (2011b) A study on alteration behavior by high school girl students' satisfaction for school unifor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5 P.442-454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 [ Fig. 1. ]  Sizing schematization of summer school uniform ; (a) Upper garment ① length ② width ③ length of sleeve ④ width of sleeve ⑤ armhole ⑥ neck size, (b) Lower garment ① length ② width ③ waist ④ hip.
    Sizing schematization of summer school uniform ; (a) Upper garment ① length ② width ③ length of sleeve ④ width of sleeve ⑤ armhole ⑥ neck size, (b) Lower garment ① length ② width ③ waist ④ hip.
  • [ Table 2. ]  Satisfaction of summer school uniform by sexuality
    Satisfaction of summer school uniform by sexuality
  • [ Table 3. ]  Satisfaction of summer school uniform by school age
    Satisfaction of summer school uniform by school age
  • [ Table 4. ]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Duncan test on the satisfaction of summer school uniform by school age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Duncan test on the satisfaction of summer school uniform by school age
  • [ Table 5. ]  Sizing system of summer school uniform
    Sizing system of summer school uniform
  • [ Table 6. ]  Fitness of sizing system on summer school uniform by sexuality
    Fitness of sizing system on summer school uniform by sexuality
  • [ Table 7. ]  Fitness of sizing system on summer school uniform by school age
    Fitness of sizing system on summer school uniform by school age
  • [ Table 8. ]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Duncan test on the fitness of summer school uniform sizing system by school age
    Analysis of variance(ANOVA) and Duncan test on the fitness of summer school uniform sizing system by school age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