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Trends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Eco Fashion Design 에코패션디자인의 변화추이와 디자인 특성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Trends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Eco Fashion Design
KEYWORD
eco fashion design , design characteristic , eco fashion brands
  • 1. 서 론

    지금의 시대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과 각종 자연재해, 구제역 사태, 일본의 대지진으로 인한 방사능 오염 등 심각한 환경위기를 맞고 있다. 환경파괴로 인한 생존권에 대한 위협으로 환경보호와 인간 및 자연의 안전과 보존에 대한 관심은 전세계적으로 더욱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녹색 성장과 친환경 정책은 국내 뿐 아니라 미국의 녹색뉴딜정책, 일본의 저탄소 성장 정책 등 선진국을 주도로 전 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 다. 패션에서도 친환경 에코디자인은 더 이상 한시적인 트렌드가 아닌 생활화되고 있다. 친환경 에코시장 규모는 북미, 서유 럽, 일본 등이 세계 환경시장의 81.6%를 차지하고 있으며, 개발도상국 시장 규모는 1993년 7.8%에서 2010년 18.4%로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국내 에코패션은 친환경 소재 개발과 친환경 시스템 구축에 집중되거나 일부 제품에만 편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또한 친환경 시장이 확대되고 성장함에 따라 표면적으로만 환경친화적 정책이나 친환경이미지를 내세우는 제품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세계 환경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에코패션브랜드가 활성화 되고 있는 미국, 영국, 캐나다 등의 선진국을 중심으로 에코패션디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에코패션브랜드가 활성화되기 시작한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에코패션디자인의 변화추이를 분석하고 시즌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아직까지 유·아동복과 이너웨어에 편중되어 있고 다양한 에코패션브랜드가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국내 에코패션이 나아가야할 발전적 미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고감각의 소비자 취향을 만족시키는 고감도 에코패션디자인의 제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 이론적 배경

       2.1. 에코패션디자인

    패션에서의 에코디자인 경향은 1980년대 중반 프리미에르 비죵(Premier Vision)에서 환경보호를 염두에 두고 자연소재에 대해 논의되면서 이를 계기로 자연을 연상시키는 색채와 천연섬 유를 사용함으로써 시작되었다(Han & Kim, 1999). 에코패션디자인의 선행연구는 뉴에코, 에콜로지, 그린, 지속가능, 웰빙, 로하스, 자연주의, 민속주의, 원시주의, 오가닉, 환경친화, 사회윤리적 디자인, 다기능 디자인, 감량화 디자인, 재디자인에 관한 연구로 진행되어 왔다. 자연주의(Naturalism) 복식은 인간 본래의 체형을 변형하거나 과장하지 않은 실루엣을 가지며 천연의 소재와 자연의 색을 사용하고 자연의 형상을 모티프로 한다(Kim, 1995). 에콜로지 패션은 자연을 찬미하고 자연에 동화하려는 경향을 패션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현대 패션에서 자연지향 룩의 총칭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내추럴 룩(Natural look)으로 표현되기도 한다(Kim, 2006). 오가닉 디자인(Organic Design)이란 자연의 기본 원리를 연구하여 디자인 전개과정에 그 원리와 체계를 응용하여 디자인 결과에 총체적인 유기체론과 생태학적 관점의 사고를 디자인에 적용하여 표현한 것이다(Kim, 2010). 민속주의 디자인은 인종의, 민족의, 민족 특유의, 소수민족의 등 을 뜻하는 에스닉에서 알 수 있듯이 각 나라의 민속의상 그 자체와 염색, 직물, 자수 등에서 영향을 받은 패션을 말한다 (Seo, 2003). 원시주의(Primitivism)에 대해 Kim(1995)은 20세기 초 예술에서 자연으로의 복귀, 즉 원시적 삶 속에 관념적으로 내재한 이상적 우월성을 내포하는 것이라고 하였으며, 원시 주의는 자연이나 자연적인 것을 인간적 가치의 기준에서 보는 입장이라고 하였다. 환경친화 디자인(Environmentally Friendly Design) 혹은 친환경 디자인이란 생태학적 디자인(Ecological Design), 그린디자인(Green Design) 등의 개념과 맥락을 같이 하면서 자연의 속성과 인간의 본성에 닿은 자연친화적이며 인간친화적인 디자인을 포괄한다(Bae, 2008). 그린디자인(Green Design)이란 제품을 구성하는 재료가 타제품보다 자원절약에 상당한 기여를 했거나 공해의 감소에 상당한 기여를 하는 디자인을 의미한다(Henion, 1976). 감량화 디자인(Reduce Design)은 감소화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그린디자인의 3R 원리에서 절감의 특성을 지닌 디자인을 의미한다. 재디자인(Redesign)은 제품의 재상품화로부터 부품 단계에서의 재이용, 원재료로 환원하여 재가공하는 소재의 재활용, 그리고 산업 폐기물의 재자 원화까지 자연의 순환이용 등 모든 분야에 걸친 개념이다(Bae, 2008). 다기능 디자인(Multifunctional Design)이란 형태가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사물에 융통성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변경, 대처할 수 있게 하여 자연의 유효이용기간을 연장시켜 폐기물을 줄이는 것이다(Bae, 2008). Fuad-Luke(2002)는 지속가능한 디자인(Sustainable Design)이란 장기적인 안목에서의 경제, 사회, 환경의 웰빙에 주력하는 디자인이라고 정의하였다. 웰빙(well-being)이란 영한사전에서 복지, 안녕, 행복 (welfare)을 뜻한다고 기술되어 있으며, Park(2004)은 웰빙이란 건강의 신체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측면까지 관심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삶의 질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로하스(LOHAS)는 건강, 환경, 사회정의, 자기발전과 지속가능한 삶에 가치를 두는 의식과 소비관, 이를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 이들의 라이프스타일을 포함해 삶과 연관된 모든 가치들을 포괄하는 개념이다(Park & Cho, 2009). 사회윤리적 디자인(Social Ethical Design)은 사회적 문제 해결방안, 균등한 발전 및 분배에 대한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서 21세기 친환경 디자인을 할 때 최우선 고려해야 할 점이다(Bae, 2008). 뉴에코디 자인이란 1990년대 초반 순수 자연이미지의 에콜로지가 1990년대 후반 이후 기술적인 측면과 자연적인 측면을 인간적인 감성으로 융합하는 뉴 에콜로지 경향으로 연구된 것이다(Seo, 2005). 따라서 에코패션디자인은 지구의 생태 유지를 위한 환경친화적인 패션제품 개발과 그에 관련되는 모든 디자인 과정을 총칭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즉 에코패션디자인은 인간을 비롯한 자연과 사회 사이의 관계를 생태학적 관점에서 고려하여 패션제품의 총 라이프 사이클을 통해 자원과 에너지의 효율적인 사용과 환경보존과 유지에 관여하는 통합적인 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2.2. 에코패션디자인의 시대적 변천

    패션은 그 자체로 독립성을 띄는 것이 아니라 당시의 패션트렌드와 인간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에코패션디자인 연구의 시대적 흐름을 이해하려면 그 시대의 전반적인 사회문화적 배경을 통하여 패션트렌드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자연주의와 환경친화에 대한 연구가 나타나기 시작한 1990년대 중반의 시기는 전 세계적으로 환경오염에 대한 위기감이 확산된 시기이다. 따라서 패션트렌드에서 에 콜로지 의식이 더욱 고조되어 자연환경과 동양적인 감각이 새로운 스타일로 표현되어 나타났다. 1990년대 후반의 시기는 세계적인 경제침체와 더불어 세기말에 대한 위기의식과 새로운 세기에 대한 희망이 공존하는 시기이다. 패션트렌드에서는 자연회귀적이고 복고적인 움직임이 가시화되어 세기말의 이미지가 고전적이고 내추럴한 이미지로 표현되었다. 에코패션디자인 연구는 자연주의와 환경친화에 대한 주제가 주로 다루어졌다. 새로운 밀레니엄을 맞이한 2000년에는 생물학적인 과학의 발전 속에서 과거문명에 대한 향수로 자연주의 복고무드가 패션에서 나타났다. 에코패션디자인 연구에서도 새로운 세기의 영향으로 에콜로지를 새롭게 해석한 뉴에콜로지 연구로 나타났다. 2000년대 초반의 시기인 2001년은 9·11테러사건 등으로 전세계가 혼란과 두려움에 휩싸인 가운데, 패션에서는 인간적인것에 대한 갈망이 고조되어 전통에 대한 향수로 나타났다. 이 시기의 에코패션디자인 연구는 자연주의 연구가 나타나고 있다. 2003년은 바이러스성 전염병인 사스(SARS)에 대한 공포와 이라크전의 발발로 안전을 추구하고 자연으로의 회귀 경향이 나타난 시기이다. 이로 인해 자연주의가 더 세분화되고 발전되어 오가닉과 에코패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또한 이 시기는 IT 기술의 생활 속 침투가 확산되어 뉴에코 패션에 대한 연구도 나타나게 되었다. 2000년대 중반의 시기는 국제 정세의 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세계 경제가 회복되고 IT 기술을 바탕으로 한 과학발전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패션에서는 웰빙트렌드가

    등장하게 되었고 에코패션디자인 연구도 2004년에 웰빙에 대한 연구가 등장하여 2007년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또한 이 시기는 자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재생 및 대체 에너지 산업이 발아된 시기이다. 이에 따라 2006년과 2007년에는 그린공정에 대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는 그린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특히 2006년부터의 시기는 세계 각국의 친환경정책 추진과 녹색성장정책이 본격화되기 시작한 시기이며, 선진국을 중심으로 세계 각국에서 에코패션브랜드가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패션트렌드에서는 자연의 모방을 통한 유기적인 내추럴과 웰빙 감각의 에코디자인, 자연과 하이테크 감성의 공존과 에코감성 등이 나타났다. 에코패션디자인 연구에서도 이 같은 영향으로 한층 진보된 에코디자인과 친환경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특히 웰빙 개념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로하스 패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상의 에코패션디자인 연구의 트렌드를 정리하면 Fig. 1과 같다.

    3. 연구방법

    에코패션디자인의 변화추이와 디자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에코디자인 관련 웹사이트 www.inhabit.com, 에코패션디자인 관련 글로벌 인터넷 웹사이트인 www.ecofashionworld.com, www.ecouterre.com을 통해 인지도 있는 에코패션브랜드 172개 중에서 사진을 수집하였다. 사진자료의 선정기준은 에코패션브랜드임을 밝히거나 다른 기관·단체의 의해 확인된 것, 홈페이지에 연도별, 시즌별 컬렉션 사진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사진자료의 선정

    [Table 1.]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eco fashion design

    label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eco fashion design

    기준에 의해 2006년 F/W부터 2010 F/W까지 에코패션브랜드 172개 중 12개의 에코패션브랜드(Stewart and Brown, Leila Hafzi, SANS, Linda loudermilk, Thieves, Eko lab, Rebe, Apiece apart, Ryann, Araks, Art.23, Loyale, Clothing)로부터 총 1185장을 수집하였다. 디자인 분석기준은 선행연구(Kim, 2007; Lee, 2006; Lee & Lee, 2008)를 참고로 하여 형태, 색채, 재질, 무늬로 살펴보았다(Table 1). 실루엣은 사각형(boxy, straight, empire, H-line, slim), 삼각형(A-line, trapeze, trumpet, V-line, Y-line, T-line, wine-glass), X형 실루엣(fitted, hourglass, princess line, fit and flare, bell), 기타(bustle, mermaid, 부정형, 혼합형)로 크게 구분하였다. 디테일은 종류가 많아 주름 디테일인 셔링과 개더를 셔링·개더로, 주름잡은 가장자리 장식인 프릴과 러플을 프릴·러플로, 의복에 덧붙인 장식인 아플리케와 패치워크를 아플리케·패치워크로 묶어서 살펴보았다. 색의 종류는 유채색, 무채색, 조합색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유채색은 먼셀의 10가지 색상(R, YR, Y, YG, G, BG, B, PB, P, RP)과 에코패션디자인에서 많이 나타나는 아이보리, 베이지, 갈색의 세 가지 색을 더하여 총 13가지 색상으로 살펴보았다. 색조는 화려한 톤(vivid, strong), 밝은 톤(very pale, pale, bright), 수수한 톤(light, light grayish, grayish, dull), 어두운톤(deep, dark), 복합톤으로 살펴보았다. 소재는 수집된 사진으로 분석하기가 어려워 재질로 분석하였으며, 하드(hard), 소프트(soft), 브릴리언트(brilliant), 트렌스페어런트(transparent) 재질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둘 이상의 재질이 함께 사용된 경우는 복합재질로 살펴보았다. 에코패션디자인의 이미지 분석기준은 에코패션디자인 선행연구(Kim & Lee, 2010)를 참고로 하였다. 그 결과 자연스러움과 편안함의 추구하는 자연적 이미지, 장식을 절제한 최소의 미를 표현한 모던 이미지, 복고주의적 경향과 여성스러움이 표현된 로맨틱, 문화적이고 지역적인 요소가 표현된 에스닉, 자연과 환경보호를 위한 재활용과 재순환적인 이미지인 빈티지, 유행에 민감하지 않은 클래식, 건강한 삶을 위한 스포티브, 첨단 기술의 발달로 복합적인 기능성이 나타나는 멀티이미지의 8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두가지

    이상의 이미지가 나타나는 것은 복합 이미지로 하여 살펴 보았다. 자료 분석은 내용분석방법과 PASW 18.0을 이용한 빈 도분석, 백분율, 교차분석, 독립성 검정의 통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4. 결과 및 고찰

       4.1. 연도에 따른 에코패션디자인의 변화추이

    연도에 따른 형태는 모든 연도에서 사각형 실루엣이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X자형 실루엣, 삼각형 실루엣의 순으 로 나타났다(Fig. 2). 연도에 따른 형태의 변화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2006년은 사각형, 2007년에서 2009년은 X자 형과 복합형, 2010년은 사각형과 삼각형 실루엣이 부각되어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2007년과 2009년 사이에 여성스러운 X자형 실루엣과 독특한 디자인의 복합 실루엣이 특징적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연도에 따른 디테일 변화는 Fig. 2와 같다. 전반적인 디테일 변화는 2006년 드레이프, 2007년 셔링개더와 프릴러플, 2008년과 2009년은 셔링개더와 턱, 2010 년은 셔링개더와 드레이프 장식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드레이프 장식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2006년을 제외한 모든 연도에서 셔링개더디테일을 많이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 외에 2007년은 프릴러플 장식으로 여성스럽고 귀엽게 표현하였으며, 2008년과 2009년은 부분적인 턱 장식으로, 2006년과 2010년은 드레이프 장식으로 여성스럽고 우아하게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연도에 따른 디테일 변화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2006년은 드레이프, 2007년은 프릴러플, 아플리케/패치워크, 슬릿, 2008 년은 셔링개더, 바인딩, 슬릿, 2009년은 셔링개더, 턱, 프릴러플, 2010년은 드레이프, 바인딩, 슬릿, 드로스트링 장식이 부각되어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4.1.2. 연도에 따른 색채의 변화추이

    연도에 따른 색채의 변화추이는 색채와 톤으로 살펴보았으며,

    전반적인 색채 변화는 Fig. 4와 같다. 2006년은 주황, 청록, 아이보리, 2007년은 아이보리, 검정, 회색, 2008년부터 2010년은 검정색과 흰색이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시간이 흐를수록 무채색이 많이 사용됨을 알 수 있다. 연도에 따른 색채 변화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2006년은 주황, 청록, 아이보리, 2007년은 아이보리, 회색, 2008년은 흰색, 회색, 청록, 2009년 은 보라, 청록, 2010년은 검정, 흰색이 부각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2006년과 2009년에는 유채색이 특징적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연도에 따른 톤 변화를 Fig. 5에서 살펴보면 모든 연도에서 복합톤이 두드러지게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색채에서 유채색과 무채색의 조합이 많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복합톤 다음으로 나타난 톤은 2006년부터 2009년까지는 밝은 톤, 2010년은 화려한 톤과 밝은 톤이 나타나 에코패션디자인은 밝은 톤의 사용이 많음을 알 수 있다. 밝은 톤이 많이 나타난 것은 아이보리를 중심으로 한 에크루 색상의 사용이 많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연도에 따른 톤 변화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났으며, 2006년은 복합톤, 수수한 톤, 밝은 톤이, 2007년은

    복합톤, 밝은 톤이, 2008년은 화려한톤, 2009년은 밝은 톤, 화려한 톤, 어두운 톤, 수수한 톤이, 2010년은 복합톤이 부각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복합톤이 우세한 가운데, 2006년과 2007년은 밝고 수수한 톤이 특징적으로 나타났으며, 2008 년과 2009년에 화려한 톤이 특징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특히 2009년은 다양한 톤이 많이 사용되었다. 연도에 따른 배색 특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1.3. 연도에 따른 소재의 변화추이

    연도에 따른 소재의 변화추이는 재질특성과 무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전반적인 연도에 따른 재질 변화를 살펴보면, 2006년, 2007년, 2010년은 복합 재질과 소프트 재질이, 2008년은 소프트 재질과 하드 재질이, 2009년은 복합 재질과 하드 재질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복합 재질이 사용된 가운데 2008년과 2009년은 하드 재질이 많이 나타났으며, 그 외의 연도에는 소프트 재질이 많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디테일 특성과 연관지어 분석해보면,

    2008년과 2009년은 디테일 특성에서 턱 장식이 많이 나타났기 때문에 하드 재질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2006년과 2010년은 드레이프가 많이 나타남으로써 소프트 재질이 두드러지게 사용된 것으로 이해된다. 연도에 따른 재질 변화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2006년과 2007년에 복합, 소프트 재질이, 2008년에 소프트, 하드 재질이, 2009년에 하드, 트랜스페어런트, 브릴리언트 재질이, 2010년에 복합, 브릴리언트 재질이 부각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에코패션디자인의 재질은 시간이 흐를수록 소프트 재질에서 하드재질, 트랜스페어런트 재질, 브릴리언트 재질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연도에 따른 무늬 변화를 Fig. 7 에서 살펴보면, 모든 연도에서 민무늬가 많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2006년은 꽃무늬와 기하학 무늬, 2007년과 2009년은 꽃무늬, 2008년과 2010년은 기하학 무늬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연도에 따른 무늬 변화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2006년에 민무늬, 꽃, 기하학무늬, 2007년에 민무늬, 식물무늬, 2008 년에 기하학, 꽃, 식물무늬, 2009년 꽃, 기하학, 동물무늬, 2010 년에 기하학 무늬가 부각되어 나타났다. 연도에 따른 무늬양식은 2006년과 2010년은 기하학적 표현, 2007년과 2008년은 양식적

    표현, 2009년은 사실적 표현이 부각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연도에 따른 무늬 변화는 2006년과 2010년은 기하학 무늬가, 2007년과 2008년은 식물무늬가 양식적으로 표현되었으며, 2009년은 꽃무늬와 동물무늬가 사실적으로 표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Table 2.] The characteristics of eco fashion design by years

    label

    The characteristics of eco fashion design by years

    4.1.4. 연도에 따른 패션이미지의 변화추이

    연도에 따른 패션이미지의 변화추이를 Fig. 9에서 살펴보면, 2006년, 2008년, 2009년은 자연적 이미지가, 2007년, 2010년은 멀티 이미지가 많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전반적인 패션이 미지는 자연적 이미지와 멀티 이미지가 많이 나타났으나, 2007년부터 2009년까지는 로맨틱 이미지 또한 많이 나타났으며, 갈수록 빈티지 이미지도 증가하였다. 연도에 따른 패션이미지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2006년은 자연적, 스포티브, 멀티 이미지, 2007년은 멀티, 자연적, 에스닉 이미지, 2008년은 자연적, 빈티지, 로맨틱 이미지가 부각되어 나타났다. 또한 2009년은 로맨틱, 클래식, 에스닉 이미지가, 2010년은 멀티, 빈티지, 모던, 스포티브 이미지가 부각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2006년부 터 2008년까지는 자연적 이미지가 부각되어 나타나다가 2008년부터 2009년에는 로맨틱 이미지가 부각되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연도에 따른 에코패션디자인의 변화추이를 정리하면 Table 2와 같다.

       4.2. 시즌별 에코패션디자인의 특성 차이

    4.2.1. 시즌에 따른 형태의 특성 차이

    시즌에 따른 형태는 Fig. 10과 같다. 두 시즌 모두 사각형

    실루엣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X자형, 삼각형 실루엣 순으로 나타났다. 시즌에 따른 형태의 특성은 교차분석 결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시즌에 따른 디테일 특성은 Fig. 11과 같으며, 시즌 모두 셔링개더와 턱 디테일이 우세하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시즌에 따른 디테일 특성의 차이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S/S 시즌은 셔링개더, 드레이프, 프릴러플 디테일이, F/W 시즌은 턱, 아플리케/패치워크, 바인딩, 드로스트링, 슬릿 디테일이 부각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S/S 시즌의 경우, 여성스러운 디테일이 부각되었으며, F/W 시즌의 경우 다양한 디테일 장식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4.2.2. 시즌에 따른 색채의 특성 차이

    시즌에 따른 색채의 변화추이는 색채와 톤으로 살펴보았으며, 전반적인 색채 변화는 Fig. 12와 같다. S/S 시즌에는 검정 색, 회색, 흰색의 무채색과 빨강, 파랑과 청록의 유채색이 많이 나타났으며, F/W 시즌에는 검정색, 회색의 무채색과 아이보리 색의 유채색이 많이 나타났다. 시즌에 따른 색채 변화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S/S 시즌은 회색, 흰색, 빨강, 파랑,

    청록의 색상이, F/W 시즌은 검정색, 아이보리, 보라, 갈색이 부각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S/S 시즌에는 흰색과 회색 등 밝은 무채색과 빨강, 파랑, 청록 등의 유채색 중심으로, F/W 시즌에 는 검정색의 무채색과 보라, 갈색 등의 유채색이 특징적으로 나 타났다. 시즌에 따른 톤과 배색 특성은 Fig. 13,14와 같다. 시즌에 따른 전반적인 색조는 S/S 시즌에 복합톤, 밝은톤, 화려한 톤이, F/W 시즌에 복합톤, 밝은 톤, 수수한 톤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시즌에 따른 색조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S/S 시즌에 복합톤, 밝은톤, 화려한 톤이, F/W 시즌에 수수한 톤, 어두운 톤이 부각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시즌별 색채는 S/S 시즌에는 밝고 화려한 톤이 많이 나타나고 F/W 시즌에는 수수한 톤이 많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시즌에 따른 배색 특성은 S/S 시즌과 F/W 시즌 모두 콘트라스트 배색과 악센트 배색이 우세하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시즌에 따른 배색 특성은 유 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S/S 시즌에는 콘트라스트, 악센트, 세퍼레이션, 그라데이션 배색이, F/W 시즌에는 톤온톤, 콤플렉스 배색이 부각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S/S 시즌이 F/W시즌에 비해 다양한 배색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4.2.3. 시즌에 따른 소재의 특성 차이

    시즌에 따른 소재의 특성 차이는 재질과 무늬로 살펴보았으며, 시즌에 따른 재질은 Fig. 15와 같다. S/S 시즌과 F/W 시즌 모두 복합 재질과 소프트 재질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시즌에 따른 재질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S/S 시즌에 트랜 스페어런트와 브릴리언트 재질이, F/W 시즌에 복합, 소프트, 하드, 브릴리언트 재질이 부각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S/S 시즌에 시폰과 같은 비치는 재질과 광택이 나는 재질이 주로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으며, F/W 시즌에 다양한 재질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시즌에 따른 무늬는 S/S 시즌에 민무늬와 꽃무늬가, F/W 시즌에 민무늬와 기하학 무늬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Fig. 15). 시즌에 따른 무늬 또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S/S 시즌에 꽃무늬, 기하학무늬, 동물무늬가, F/W 시즌에 민무늬, 식물무늬가 부각되어 나타났다. 시즌에 따른 무늬의 무늬양식은 S/S 시즌에 양식적 표현이, F/W 시즌에 기하학적 표현이 우세하게 나타났다(Fig. 16). 시즌에 따른 무늬 양식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S/S 시즌에 양식적, 기하학적, 사실적

    표현이, F/W 시즌에 추상적 표현이 부각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무늬는 S/S 시즌에 꽃무늬가 양식적 표현으로 많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으며, F/W 시즌에 민무늬가 많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무늬가 있을 경우 기하학 무늬나 식물무늬가 추상적 표현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4.2.4. 시즌에 따른 패션이미지의 특성 차이

    시즌에 따른 패션이미지의 특성 차이는 Fig. 17과 같다. S/S 시즌에는 자연적, 로맨틱, 멀티 이미지가, F/W 시즌에는 멀티, 자연적, 빈티지 이미지가 많이 나타났다. 이는 따뜻한 S/S 시즌의 특성상 원피스 드레스를 중심으로 한 로맨틱 이미지가 나타났으며, F/W 시즌에는 레이어드 스타일로 인하여 빈티지 이미지가 많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시즌에 따른 패션 이미지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S/S 시즌에는 자연적, 로맨틱, 스포티브, 복합 이미지가, F/W 시즌에는 멀티, 빈티지, 클래식, 모던, 에스닉 이미지가 부각되어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이상의 시즌에 따른 에코패션디자인의 특성을 정리하면 Table 3

    [Table 3.] The characteristics of eco fashion design by season

    label

    The characteristics of eco fashion design by season

    같다.

    5.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는 에코패션브랜드가 활성화되기 시작한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에코패션디자인의 변화추이를 분석하고 시즌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코패션디자인의 연도에 따른 변화추이는 2006년부터 2008년까지는 자연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2008년부터 2009년 까지는 로맨틱 이미지를 중심으로, 2010년은 빈티지, 멀티, 모던 이미지 등의 다양한 이미지로 변화함에 따라 형태, 색채, 소재도 같이 변화함을 알 수 있다. 자연적 이미지와 스포티브이 미지가 부각되었던 2006년은 스트레이트와 슬림 실루엣이 부각되어 나타났으며, 유채색의 소프트 소재를 사용하여 드레이프 디테일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2007년은 자연적 이미지와 여성스러운 에스닉 이미지가 부각됨으로써 프린세스 실루엣 을 중심으로 한 X자형의 형태가 부각되고 아이보리색과 회색의 색채가 부각되어 나타났다. 소재는 소프트 재질과 하드 재질이 부각되었으며, 여성스러운 프릴러플 디테일이 특징적으로 사용됨을 알 수 있다. 무늬는 없거나 식물무늬가 양식적으로 표현되었다. 2008년과 2009년은 로맨틱 이미지가 부각됨으로써 아워글라스 실루엣을 중심으로 한 X자형 실루엣과 셔링개더의 디테일이 특징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색채는 2008년에는 흰색이나 회색의 무채색과 청록색이, 2009년은 보라색과 청록 색의 유채색이 사용되었고 재질은 소프트 재질이나 로맨틱 이미지를 부각시켜줄 트렌스페어런트와 브릴리언트 재질이 사용 됨을 알 수 있다. 무늬 또한 로맨틱 이미지에 따라 꽃무늬가 부각되었는데 2008년은 양식적 표현으로, 2009년은 사실적 표현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2010년은 빈티지, 멀티, 모던, 스포티브 이미지 등 다양한 이미지가 부각되어 나타났는데 형태는 슬림 실루엣의 사각형과 트레페즈 실루엣의 삼각형 실루엣이 부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다양한 이미지가 나타남으로써 디테일에 있어서도 드레이프, 바인딩, 드로스트링 등 다양한 디테 일이 부각되었으며, 재질도 복합 재질이 부각되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색채는 검정색과 흰색의 무채색으로 절제되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와 같이 에코패션디자인의 변 화추이는 패션이미지의 변화에 따라 디자인의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시즌에 따른 에코패션디자인의 특성 차이를 살펴본 결과, S/S 시즌의 자연적, 로맨틱 이미지와 F/W 시즌의 빈티지, 클래식 이미지를 중심으로 디자인의 차이가 나타났다. S/S 시즌은 피트앤플레어의 X자형 실루엣과 슬림 실루엣을 중심으로 여성스러운 디테일이 부각되어 나타났다. 색채에 있어서 밝은 톤과 화려한 톤을 사용해 S/S 시즌을 표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재질은 여성스러운 트랜스페어런트, 브릴리언트 소재가 부각되어 나타났으며 꽃무늬, 동물무늬 등이 양식적, 혹은 사실적으로 표현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 특성을 통해 로맨틱 이미지가 나타날 뿐 아니라 자연적이고 활동성있는 스포티브 이미지로 부각되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F/W 시즌은 스트레 이트와 H라인의 사각형 실루엣과 아워글라스의 X자형 실루엣이 특징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디테일은 다양한 장식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색채는 검정색을 중심으로 하여 아이보리, 갈색 등이 수수한 톤과 어두운 톤으로 부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재질은 복합 재질이 부각되어 나타났으며, 무늬는 없거나 식물무늬가 추상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에코패션디자인은 패션트렌드의 영향을 받으며 연도별 변화를 보이며, 시즌별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국내의 에코패션을 상품화하기 위한 변화추이를 살펴보고 디자인 방법적 접근과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에코패션디 자인의 개발 방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고감각의 소비자 취향을 만족시키는 고감도 에코패션디자인의 제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에코 패션제품에 대한 인지도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문헌
  • 1. Bae J. Y. (2008) A study on environmentally friendly fashion design. google
  • 2. Fuad-Luke A. (2002) Eco design : The sourcebook. google
  • 3. Han S. W., Kim Y. I. (1999) Ecological image in fashion during the early period of 199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3 P.296-306 google
  • 4. Henion K. E. (1976) Ecological marketing. google
  • 5. Kim J. H. (1995) A comparative study on naturalism and primitivism in modern fashion. google
  • 6. Kim J. Y. (2007) study on the sensible design of the compound fashion image google
  • 7. Kim S. B., Lee K. H. (2010) A study on classification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co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ol.12 P.555-563 google
  • 8. Kim Y. I. (2006) Look: 9 Eyes for the fashion. google
  • 9. Kim Y. K. (2010) A study of organic fashion design according to change in to change in the paradigm of the digital age. google
  • 10. Lee E. R. (2006) A study of fashion sensibility index though analysis of korean women's wearing. google
  • 11. Lee K. H., Lee E. R. (2008) Fashion design plus conception. google
  • 12. Park H. W, Cho M. Y. (2009) The characteristics of 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LOHAS) Fashion by Design Typ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3 P.1575-1589 google cross ref
  • 13. Park M. Y. (2004) study on the tendency of fashion style in the Wellbeing culture. google
  • 14. Seo H. S. (2005) Eco fashion design within the framework of system·chaos. google
  • 15. Seo M. J. (2003) A study on the conceptual thesis of eco-fashion design & a practical process in user's participations.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Fig. 1. ]  Trend of the eco fashion design.
    Trend of the eco fashion design.
  • [ Table 1. ]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eco fashion desig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eco fashion design
  • [ Fig. 2. ]  The Changes in the silhouette of Eco fashion design from 2006 to 2010.
    The Changes in the silhouette of Eco fashion design from 2006 to 2010.
  • [ Fig. 3. ]  The Changes in the detail of Eco fashion design from 2006 to 2010.
    The Changes in the detail of Eco fashion design from 2006 to 2010.
  • [ Fig. 4. ]  The Changes in the color of Eco fashion design from 2006 to 2010.
    The Changes in the color of Eco fashion design from 2006 to 2010.
  • [ Fig. 5. ]  The Changes in the tone of Eco fashion design from 2006 to 2010.
    The Changes in the tone of Eco fashion design from 2006 to 2010.
  • [ Fig. 6. ]  The Changes in the texture of Eco fashion design from 2006 to 2010.
    The Changes in the texture of Eco fashion design from 2006 to 2010.
  • [ Fig. 7. ]  The Changes in the pattern of Eco fashion design from 2006 to 2010.
    The Changes in the pattern of Eco fashion design from 2006 to 2010.
  • [ Fig. 8. ]  The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pattern of Eco fashion design from 2006 to 2010.
    The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pattern of Eco fashion design from 2006 to 2010.
  • [ Fig. 9. ]  The Changes in the fashion image of Eco fashion design from 2006 to 2010.
    The Changes in the fashion image of Eco fashion design from 2006 to 2010.
  • [ Table 2. ]  The characteristics of eco fashion design by years
    The characteristics of eco fashion design by years
  • [ Fig. 10. ]  The form of season.
    The form of season.
  • [ Fig. 11. ]  The detail of season.
    The detail of season.
  • [ Fig. 12. ]  The color of season.
    The color of season.
  • [ Fig. 13. ]  The tone of season.
    The tone of season.
  • [ Fig. 14. ]  The color combination of season.
    The color combination of season.
  • [ Fig. 15. ]  The texture of season.
    The texture of season.
  • [ Fig. 16. ]  The texture combination of season.
    The texture combination of season.
  • [ Fig. 17. ]  The fashion image of season.
    The fashion image of season.
  • [ Table 3. ]  The characteristics of eco fashion design by season
    The characteristics of eco fashion design by season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