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A Study on a Method to Use Industrial and Technical Information in Process of R & D Project Planning*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Based on analysis of trend and development of industrial and technical information such as patents and scientific data, using industrial and technical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planning can be a important factor to reduce budget and opportunity cos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needs to collect and analyze industrial and technical information in planning of R&D project. To do it, this study examines definitions, needs and types of industrial and technical information for planning of R&D project. And the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ortance of use of industrial and technical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planning of R&D and performs case study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Lastly, this study investigates a method to analyze industrial and technical information for R&D planning and proposes the role of a library for R&D planning.


특허와 같은 지적재산권, 과학데이터와 같은 1차 정보 등의 산업기술정보에 대한 동향 및 발전방향에 대한 명확한 분석을 기반으로 실질적인 R&D 과제기획에서 산업기술정보의 활용은 R&D 과제에 투여되는 예산 및 기회비용의 절감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개발기획과정에서 산업기술정보의 수집 및 분석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획의 정의 및 필요성을 알아보고, 연구과제 기획을 위한 산업기술정보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연구개발 기획과정에서 이러한 산업기술정보 활용의 중요성에 대해 분석하고, 이 를 이용해 성공한 국내외 사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기획을 위해 활용되는 산업기술정보 분석기법을 분석하고, 연구기획을 위해 도서관이 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
R&D Planning , Industrial and Technical Information , Analytic Technique , Research Data , Patent Information
  • 1. 서 론

       1.1 연구배경

    우리나라 ’11년 정부연구개발예산은 전년대비 8.7%(11,888억 원) 증가한 14조 8,902억 원으로 편성되었다. 정부의 연구개발투자는 2000년 이후 큰 폭으로 증가해오고 있으며 이러한 적극적인 연구개발투자를 통해 과학 및 기술경쟁력의 기반은 크게 성장하였다. 정부연구개발 예산은 기본적으로 정부가 민간의 연구개발 활동을 보완하고 미래 핵심 기술의 선행적 개발과 시장실패가 나타날 수 있는 기술영역인 공공?복지 분야의 기술 등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과학 기술력이 국가 경쟁력과 경제성장, 국민복지를 좌우하는 중요한 전략적 요소로 등장하게 됨에 따라 국가적 차원에서 기술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정부연구개발 투자는 세계적으로 보편적 현상이 되고 있다(이장재, 엄익천 2010). 이처럼 정부연구개발에 대한 투자가 점차 증대됨에 따라 이에 대한 효율성 및 가치를 심도 있게 평가할 필요가 있으며 이런 점에서 국가연구개발의 전략적 기획은 중요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전략적 기획을 통하여 연구개발투자 방향을 국가전략 목표와 시장요구에 부합하도록 일관성 있게 수립하고, 집중과 선택을 통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현재 민관 연구개발 체계로 융복합화 시장요구를 신속히 연구개발에 반영하여 선진기술을 빠르게 따라잡는 데는 성공했지만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창의적이고 혁신적 기술과 제품을 만들어내는 데는 한계에 봉착했다. 여전히 국가연구개발 기획에 있어서 국가전략과 목표는 각 부처에서 수행하고 있는 국가 R&D 사업과 체계적으로 연계되어 있지 않으며, 관련부처의 참여정도 및 합의 도출이 미흡한 실정이다. 부처별로 이루어지는 기획과정의 개방성과 투명성의 수준이 낮아 부처간의 관련 전문가와 정보, 그리고 방법론 등의 공유 및 교류가 부족하고 전문가 집단의 경우 부처별로 폐쇄적으로 관리 및 동원되고 있는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기획 과정에 부여되는 시간과 인적 및 물적 재원이 많이 부족하여 짧은 기간에 한시적이면서 한정된 형태로 지원되는 경우가 많다. 무엇보다 연구 환경이 전문화, 복잡화 및 정보화되고 있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엘리트주의적 기획관 중심으로 기획이 주도됨으로써 수요자 중심이 아닌 공급자 중심에서 기획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획이 소수 전문가에 의해서만 좌우된다면 이해관계와 가치판단이 기획과정에 반영되어 다양한 연구개발이 어려워진다(이장재 2011).

    현재 우리나라는 R&D 3.0을 넘어 R&D 4.0으로 R&D 사업에 대한 접근 방식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 그동안 R&D 투자와 관련하여 정부의 과도한 서류 작성 요구 및 성공요구에 대한 부담감으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신진 연구인력들이 과감하게 연구에 대한 도전을 못해왔다. 이로 인해 구글, 애플 등과 같은 글로벌 기업이 개방, 혁신 및 창의를 R&D에 도입하여 초고속 성장을 하는 과정에서 국내 기업들은 추격형 R&D에만 의존하여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을 만들어내는 데 한계를 보이면서 위기론에 휩싸였다. 이에 따라 정부는 명확하고 핵심적인 과제 목표만 제시하여 민간 창의성 제고는 물론이고 도전적인 R&D에 대한 밑그림을 그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키로 하였다. 또한 글로벌 R&D 협력도 확대하여 해외 우수 인력과 R&D 협력으로 R&D 성과를 제고하고 국내 연구 인력의 경쟁을 통하여 연구역량을 동반 성장키로 했다. 이 밖에 대중소기업, 산학연이 상생 협력하는 R&D 생태계도 조성하여 대기업은 대형 과제 등 제한적인 때에만 과제를 주관하도록 하고 대기업이 주관해도 중견?중소기업의 참여 비중을 의무화해 이들의 혁신 능력을 제고하기로 했다(안수민 2012).

       1.2 연구 필요성 및 목표

    최근 연구개발이 대형화 되어가고 기술경쟁이 심화되면서 연구투자에 대한 효율성 향상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복연구를 방지하면서 연구생산성 제고를 위한 효율적인 연구수행을 위해 산업기술정보에 대한 명확한 분석과 효과적인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산업기술정보는 현재 기술의 수준이나 시장동향 및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정보들이다. 이러한 정보에 대한 명확한 분석과 활용을 통하여 현재 우리의 기술수준을 파악하고, 미래유망제품 및 기술을 파악할 수 있으며, 기존 보유기술 및 관련 산업정보와 함께, 특허동향에 대한 추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을 종합하여 연구개발기획에 반영할 수 있다면 한정된 연구개발자원의 효율적 배분이 가능하며, 중복투자를 지양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그리고 발굴된 기술을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사회적 기회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민관이 ‘창의적인 생각으로 기술혁신을 도전적으로 주도하고 상호 협력해 동반성장하는 방식’의 R&D 4.0은 2020년 국민소득 4만 달러, 무역 규모 2조 달러를 달성해 선진국 대열에 오르는 구심점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는 퍼스트 무버(first mover)로 자리 잡기 위해 시장선도형 R&D 전략이 필요하며 상호협력하는 공동 R&D 노력이 요구된다. 또한 협력대상의 범위도 국내에서 벗어나 국제적인 무대로 확대해야 한다. 즉 앞으로 R&D 체제에 창조적 기술 혁신체계를 과감히 도입하여 창의적이면서 혁신적인 기술과 제품을 내놓지 못한 현재의 R&D 체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특허, 표준 등과 같은 지적재산권, 과학데이터와 같은 1차 정보 등의 산업기술정보에 대한 동향 및 발전방향에 대한 명확한 분석을 기반으로 한 실질적인 R&D 과제의 기획 및 추진과정에서의 산업기술정보의 활용은 R&D 과제에 투여되는 예산 및 기회비용의 절감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구개발기획과정에서 산업기술정보의 수집 및 분석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획의 개념과 필요성을 알아보고, 연구과제 기획을 위한 산업기술정보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국가연구개발 기획과정에서 이러한 산업기술정보의 활용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이용해 성공한 국내외 사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기획을 위해 활용되는 산업기술정보 분석기법을 분석하고, 연구기획을 위해 도서관이 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1.3 선행연구

    최근의 연구개발환경과 관련된 변화는 연구개발과제 기획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과거에는 기획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미흡하여 기획을 하는데 있어서 형식적으로 진행이 이루어졌으며 연구사업의 경우도 크고 가시적인 결과를 내세울 수 있는 연구사업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오늘날 기획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초기 기획 단계에서 정보분석 및 활용을 최대한 수행하고 시간이 소요되더라도 전략적인 중요성을 지닌 연구사업을 먼저 수행하고자 한다. 또한 국가 연구개발자금의 효율적인 투자를 위해서 연구개발 추진 이전에 사업화 대상 항목에 대한 기술성, 시장성, 사업성 등에 관한 충분한 분석과 유관 산업기술정보의 획득 및 활용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고병열 외(2006)는 정보분석에 기반한 국가 R&D 기획활동의 현황 및 니즈를 분석하여 연구기획단계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였으며 선진적인 정보분석 체제 도입의 당위성을 도출하였다. 특히 정보분석 방법론의 개발 및 보급을 통한 사전조사활동의 확대, 전략적 정보의 모니터링 및 경쟁위원회의 의사결정 지원 체제의 강화, 미래 유망아이템 정보, 정보체제의 확립 등 기획정보 인프라의 확보, 이를 통한 전문가 후보군 수집/DB구축, 정보분석방법론을 통한 미래연구영역의 도출, 사회적 니즈를 포함한 미래이슈를 도출하는 과학적 프로그램의 뒷받침을 통한 상시적 중점연구영역 발굴 시스템 구축을 주장하였다. 이성옥(2009)은 종래 R&D 연구기획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정보분석 방법론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정보분석에 기반한 정보분석시스템을 개발하고 유망기술 탐색 사례분석을 통해 정보분석방법론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윤진효 외(2006)는 특허분석, 논문분석, 그리고 시장분석 등 세 가지 분석 방법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기존의 연구개발 방법론을 보완하고 기본적으로 시장에 근접한 연구개발 기획기법을 제시하였다. 문영호 외(2006)는 정보분석에 기반한 국가 R&D 기획강화를 위한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 정보분석 생태계의 개념을 도입하여 국가 R&D 기획 활동 및 정보분석 활동에 대한 현황을 진단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체계와 연계하여 5대 효율적 정보활용을 통한 국가 R&D 기획 강화전략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연구기획에 대한 연구는 정보분석 방법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기획 강화를 위한 전략이나 시스템 구축 및 기술적인 방법론 자체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정보분석방법론에서 활용되는 산업기술정보의 중요성과 이러한 정보활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산업기술정보의 수집 및 분석에 있어서 도서관과 사서의 역할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1)네이버 지식사전 .

    2. 이론적 배경

       2.1 기획의 정의 및 특징

    기획은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으로 어떤 대상에 대해 그 대상의 변화를 가져올 목적을 확인하고, 그 목적을 성취하는 데에 가장 적합한 행동을 설계하는 것을 의미한다.1) 즉 기획은 목표 향상과 상호관계, 그리고 집행과정의 체계적인 결정을 포함하는 의사결정 과정이라 할 수 있다. 기획(planning)은 때론 계획(plan)과 혼동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기획과 계획은 다른 개념이다. 기획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포함하는 방향성을 지닌 창조행위로 기획이 “What to do”라면 계획은 “How to do”에 해당된다. 기획은 어느 특정 분야에 국한된 기능이 아니며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생각을 창출하기 위한 지적작업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기획과정은 2단계, 즉 거시계획 창출과 계획 채우기 과정으로 구분된다. 전자는 예측 등에 의한 신중한 선택과 방향 설정이 포함되고 후자는 각종 계획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제안, 우선순위에 입각한 과제의 평가, 그리고 거시계획으로의 각종 과제들의 통합 등이 포함된다. 즉 예측을 통한 신중한 선택과 방향 설정부터 각종 계획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제안, 우선순위에 입각한 과제의 평가 및 각종 과제들의 통합을 위해서는 기획이 필요하다. 기획은 현재의 의사결정의 미래성을 다룸으로써 현재 이루어질 수 있는 업무 의사결정의 프레임워크, 관점, 범주 등을 정하기 위해 미래 대안들을 검토하고 업무에 중요한 문제점들을 예측하여 조직이 그를 조정하거나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연구기획은 위와 같은 기획의

    포괄적이고 총체적인 특징을 가지면서 연구개발(R&D) 분야에 대해 목표를 설정하여 이루어지는 기획이다. 연구기획은 크게 정책기획, 사업기획, 과제기획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먼저 정책기획은 국내외 시장 및 정책동향, 과학기술정책수요조사 등을 통해 분야별 R&D 전략을 도출하고 중장기 R&D 정책 및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범부처 국가 R&D 목표설정과 포트폴리오 구축 및 자원배분 계획, BT 분야에서는 국가기본계획에 해당하는 생명공학 육성기본계획 등이 있다. 다음으로 사업계획은 연구조직?연구관리?사업화 및 실용화?연구자원 소요 등에 관한 기획으로 각 해당 부처나 전문지원기관이 담당하며, 실무적 기획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의 목표설정과 자원관리 및 배분 등을 다루는데 21C 프론티어 사업 및 중기거점기술개발사업, 범부처 공동사업기획 등과 같은 것들이다. 마지막으로 과제기획은 가장 하위의 기획유형으로 상세한 정보분석이 이루어지는데 정부출연 연구원들에서 수행되는 기관고유사업에 대한 자체기획, 기업 자체사업이나 단위과제 기획형태로 수행된다(현병환 2011). 연구기획은 “정책-사업-과제의 계층구조를 갖는 R&D 활동이란 특수한 분야를 대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과 절차를 수립해 나가는 연속적인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기획의 영역은 내용적 측면에서의 R&D라는 특수성과 절차적 측면에서의 일반성이 혼재된 것으로 파악될 수 있다(이성옥 2009).

       2.2 공공부문에서 진행되는 연구과제기획

    공공부문에서의 연구과제기획은 정부의 R&D 기획과정에서 나타난다. 연구과제기획은 과학기술 목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 준비과정으로 일반적으로 기술의 획득을 목적으로 추진한다. 즉 정부, 민간기업 등 경제주체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를 설정하고, 그 목표를 체계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기술확보전략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일련의 의사결정 행위와 절차를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 계획이 수립되고 계획을 실천할 수 있는 수단과 방법 및 절차 등이 규정된다. 그리고 여기에 연구개발 역량, 기술예측, 인력과 재원의 동원 등 다양한 대안의 선택과정이 포함된다. 연구과제기획을 위해서는 먼저 기술 및 시장동향을 분석하여 과학기술 및 관련 정치, 경제, 사회적 측면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이나 개선사항을 인지해야 한다. 이렇게 문제점이나 개선사항이 인지되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적 목표를 설정한 다음에 해당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관련 자료 및 정보의 수집과 분석, 미래에 대한 전망, 과거 정책집행의 결과에 대한 평가를 통한 피드백 등을 진행한다. 이 과정에서 과학적 기획기법 및 미래 예측 방법론 등이 체계적으로 활용되며 다양한 정보 등이 이용된다. 목표설정과 관련자료 및 정보의 수집 분석과 미래에 대한 전망, 그리고 관련 기법과 방법론 및 다양한 정보 활용의 관계는 일방적 관계라기보다는 연속적인 순환과정이 이루어져 상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는 과학기술 분야는 물론 경제사회 및 인문사회 전문가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최적의 의사결정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게 되며 이러한 의사결정의 성과는 최적 전문가들의 참여와 관련기법과 방법론, 그리고 정보의 질에 좌우된다. 목표가 설정되고 관련 자료 및 정보의 수집과 분석 그리고 미래전망에 대한 내용이 수립되면 해당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중점 연구개발과제를 선정하고 자원을 배분하는 등의 추진체계를 설계하여 최적의 기술획득전략을 모색한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에 대한 탐색과 비교 검토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과학적 기법과 방법론, 그리고 다양한 정보가 활용되고 전문가의 합리적 의사결정이 매우 중요시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명확한 목표 하에 규범과 절차가 체계적으로 정립되고 기획단계별 연계성을 강화시켜, 연구개발 효율성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을 거친다(이장재 2011).

       2.3 연구과제기획에서 산업 ? 기술정보 활용의 필요성

    2.3.1 연구과제기획을 위한 산업기술정보 유형

    산업기술정보의 개념은 산업정보, 기술정보, 시장정보 등의 개념을 포괄하고 있으며, 이러한 개념은 용도와 목적, 이용주체 등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상범위 등도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넓은 의미에서 보면 산업전반에 대한 거시적 정보, 개별 산업에 대한 동향정보, 특정산업내에서의 관련 기업에 대한 동향, 개별상품에 대한 시장동향 및 전망 정보, 기업경영과 관련된 정보, 기술동향정보, 연구개발정보, 산업재산권 정보 등 매우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협의의 개념으로는 특정 산업 또는 기술에 대한 동향정보, 관련 기업정

    [표 1] 분야별 산업기술정보 유형

    label

    분야별 산업기술정보 유형

    보, 해당산업의 상품시장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산업기술정보를 분야별로 정리해보면 <표 1>과 같다.

    한편, 기업의 경우에 있어서 연구개발 기획 단계에서 신사업을 발굴하거나 기술로드맵을 작성한다. 신사업 발굴은 환경분석(메가트렌드 분석)을 통한 유망 아이템 후보군 발굴과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활동으로 이루어지며, 기술 로드맵 작성은 미래시장에서 요구되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규명하고 그에 필요한 핵심기술과 필요기술을 도출해 최적의 기술적 대안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시장지향 기술기획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국내에서는 신사업 발굴을 기획할 때 주로 해외예측기관의 발표 자료를 종합하는 방법 또는 전문가 위원회의 구성을 통한 정성적 접근방법 등이 주로 사용되며, 해외에서는 전문가 위원회의 활용이 매우 체계적인 것으로 파악되지만 정성적 접근이 중요시되는 점은 국내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다(박현우 외 2005).

    [표 2] 신사업 발굴 기획과정 중 정보니즈 및 정보의 종류

    label

    신사업 발굴 기획과정 중 정보니즈 및 정보의 종류

    2.3.2 연구개발기획에서의 산업기술정보 활용의 중요성

    미국 상무성의 보고에 의하면 개발 기술의 사업화에는 평균 6년의 기간과 개발비의 10~100배의 비용이 소요된다고 한다. 이와 같은 통계데이터는 과학기술을 개발하는 데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요구되며, 특히 새로운 기술의 경우 불확실성으로 인해 그 가치를 사전에 적절하게 예측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국가 연구개발 자금의 효율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연구개발 추진 이전에 사업화 대상에 대한 기술성, 시장성, 사업성 등에 관한 충분한 분석이 필요하며, 유관 산업기술정보의 획득 및 활용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최근에는 기술이 융복합화되고 기술혁신이 가속화되는 등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각 분야가 서로 복잡하고 다양하게 연관되어 상호연관성이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분야의 정보동향이나 실태를 파악해야 될 필요성은 더욱 높아졌다. 연구기획에 있어서 과거에는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보분석 및 활용이 미흡해 연구 개발 수행단계에서 다수의 문제 및 자원낭비와 같은 시행착오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초기 기획단계에서 정보분석 및 활용을 최대한 수행하여 연구개발의 불확실성과 이후 연구개발단계에서의 조정비용 및 재작업 시간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기회창출 및 R&D 성공 가능성의 증대를 위해 사전대응 중심의 기획활동을 해나가야 한다는 주장이 높아져 가고 있다. 특히, 기회포착을 위한 사전대응 등의 기획활동의 성패는 이를 지원하는 정보분석 및 활용능력에 따라 좌우된다. 즉, 지식지도,2) 사전타당성 분석 등 경쟁국가 및 경쟁자의 연구개발 성과 및 아이디어 관련 정보를 전략적으로 분석 및 활용하는 기능이 강화되어야 하며, 새로운 기회 창출 및 불확실성 등의 위험제거를 위한 연구동향/선행정보 분석, 경쟁기술 모니터링 정보, 미래유망기술/산업분석 정보 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특히, 과제 발굴 및 선정을 위해서는 개별 기술 분야에 대한 한정적 정보 이상의 다양한 분야가 비교 분석된 정보 및 자사 또는 자국의 전략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정보가 요구된다. <표 3>은 기획활동 유형에 따른 정보 활용 비중을 나타낸 것이다.

    최근의 산업 및 과학기술 활동은 온갖 정보와 지식에 둘러싸인 융합지식의 활용영역으로 지식과 융합 및 재창조와 과정을 겪으면서 진화하고 있다. 그러나 정보가 아무리 많아도 이러한 정보에서 새로운 지식을 찾아내지 못하면 문제해결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지식기술은 단지 시스템, 소프트웨어 그 자체가 아니고, 의사결정에 있어서 문제가 될 수 있는 정보과부하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고도로 세련

    [표 3] 기획활동 유형에 따른 정보활용 비중

    label

    기획활동 유형에 따른 정보활용 비중

    된 방법이다. 실질적으로 현명한 비즈니스 의사결정은 통찰력이 아니라 높은 수준의 고급 정보를 필요로 한다. 이미 너무 많은 지식이 넘쳐나고 있어 새로운 연구개발을 통해서 새로운 지식을 생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기존 지식을 활용하는 지식디자인, 지식에디터가 미래 산업경쟁력의 큰 흐름으로 다가오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정보와 지식을 융합하고 재창조하는 ‘지식기술적 방법’을 통해 창의적인 기술지식을 발굴함으로써 스마트한 기술지식을 효율적으로 창출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은 미래의 경쟁력을 좌우하게 된다. 따라서 연구개발기획 과정에서의 산업기술정보분석의 중요성은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으며 특히 과거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향후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분석은 앞으로 더욱 주목받을 것이다(문영호 2012).

    2)논문, 특허 등의 R&D 정보를 도식화하여, 기술의 변화, 수준 및 예측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방법.

    3. 연구과제기획의 산업기술정보활용사례

    연구과제기획과정에서의 산업기술정보의 중요성은 다양한 사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정량화된 수치로 제시되고 있다. 산업기술정보를 활용하여 연구의 효율성과 성공도를 높이고 있는 사례는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자연과학 및 공학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자연과학과 공학분야는 연구 및 기술개발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산업기술정보의 활용이 요구되며 최근의 특허, 국제표준, 논문 등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더욱 산업 기술정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이와 같은 흐름에 비추어 본 연구에서는 실증적인 연구과제기획과정에서 산업기술정보의 활용을 통하여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사례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와 국외를 기준으로 자연과학 및 공학분야의 대표적 사례를 선정하여 산업기술정보의 활용에 따른 정성적 및 정량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3.1 국내

    3.1.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선도적 원천기술개발 프로그램과 전략이 불명확하며 진취적이고 발전적인 경영진마인드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2002년도 정부의 기관평가에서 최하위 등급판정을 받았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연구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허분석과 논문분석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기관차원에서 지적재산권 교육과 3P분석3)에 대한 교육을 함께 진행하였으며 다양한 MOT기법4)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였다. 즉, 2005년부터 3억 원 이상의 기관 고유 사업에 대해서는 의무적으로 적용시켜 기획 과정에 특허분석을 활용 하도록 시행하였으며, 2006년부터 모든 기관 고유사업에 의무적으로 적용하도록 방침을 정하고 관련 교육을 강화하였다. 이와 같은 노력과 함께, 연구과제계획서 제출시에 특허맵 작성을 의무화하여 연구개발 방향과 전략을 제시하도록 하고 시행착오와 중복투자와 같은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추진한 결과 우수한 성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특허분석이 도입된 2006년 이후부터 기술이전 실적이 급속도로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기술이전 건수 또한 지속적으로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림 2>를 보면 2002년에 2건에 불과하던 기술이전 건수가 2007년 19건으로 증가하였으며, 계약액 또한 2003~2007년 사이 평균 증가율이 96%에 달한다. 연구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과정을 효율적으로 도입한 결과 불필요한 중복연구과 투입된 예산의 낭비를 절약하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현병환 2010).

    3.1.2 미생물 유전체활용 기술개발사업단

    미생물 유전체활용 기술개발사업단은 특허분석과 논문분석에 대한 중요성을 조기에 파악하여 기술분석, 제품분석, 경제성 분석을 포함한 3P분석을 기반으로 R&D 개념의 사업을 운영하며 연구결과가 사업화 및 산업체로 연결되어 적극적으로 산업에 활용될 수 있는 전략으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3P분석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정량적 성과는 1단계 대비 전체 논문 기준으로 볼 때 약 2배의 증가 추세를 보였고 1단계 대비 특허는 238%가 증가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연구비 대비 특허 등록 건수는 700% 증가라는 놀라운 성과를 기록하였다. 또한 2단계 3차년 산업화 과제 수 대비 기술이전율은 88.5%(23건)로 100억원이라는 동일한 과제비가 투입되었다고 가정하였을 때 과기부 3대 사업은 3.29%의 기술이전율을 보였고 특정연구사업은 1.42%의 기술이전율을 보인데 반해 미생물유전체사업은 8.19%라는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기술이전수는 1단계 대비 177% 증가된 23건이 되었고, 총 기술료는 1단계 대비 216% 상승한 39억4천300만 원이 되었다. 미생물유전체사업단은 특허분석과 논문분석을 활용한 과제분석을 통해 추진된 과제들에 대한 선택과 집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으며 연구과제의 성격에 맞는 방향 설정과 기획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집단연구 시스템에 의한 연구개발추진으로 인한 성과의 극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현병환 2010).

    3.1.3 삼성종합기술원

    삼성종합기술원은 1987~1997년까지 완료된 과제를 분석한 결과 과제성공률은 18%이며 실패한 과제의 원인은 사업화 실패, 개발중단, 기초이론 단계종료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혁신하기 위하여 4세대 R&D 체제로의 혁신을 단행하고 새로운 가치창출과 경쟁력있는 디자인 개발, 신사업 창출을 위해 6 sigma, 기술로드맵, 기술계통도, TRIZ, QFD등의 다양한 기법들을 관련 연구원들에게 교육 하였다. 또한 연구원 개개인들이 특정 분야의 전문가에만 머무는 것을 지양하고 모든 구성원들이 전 과정을 이해하고 몸소 수행할 수 있는 통합해결제공자(total solution provider)가 될 수 있도록 혁신을 감행하였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써 4년 만에 연구개발비가 1998년 당시 650억 원이었던 것이 2003년 2,490억 원으로 3.8배 증가하였고, 해외특허출원은 1998년 62건에서 2003년 771건으로 12.4배 증가, 아웃소싱 또한 1998년 당시 18억에서 2003년 308억원으로 17배 증가하였고 질적인 측면에서는 평균연구개발기간이 1998년 당시 32개월이었던것이 2002년에 이르러 23개월 수준으로 줄어들었으며 평균 시험 분석시간이 24.8일에서 2.5일로 감소되었고 과제 성공 확률 또한 18% 수준이었던 것이 61% 수준으로 비약적인 증가 추세를 보였다(현병환 2009).

       3.2 국외

    3.2.1 P&G

    P&G의 경우 최근 C&D(connect and development)제도를 도입하여 활용해왔으며, 이는 오픈 이노베이션의 가장 대표적인 성공사례이다. C&D는 P&G가 창안해 채택한 오픈 이노베이션 모델로써 “외부에서 개발된 지적재산권에 접근하고 내부에서 개발된 자산과 노하우를 외부에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C&D는 자사의 지적재산과 타인의 지적재산을 결합해서(connect) 더욱 뛰어난 제품을 개발(develop)하는 일종의 개방형 R&D방식이다. C&D의 주요 수단으로는 첫째, 10대 소비자 니즈 조사, 인접 분야들에 대한 조사, 기술게임위원회의 운영을 통한 사업 아이디어 발굴 등이 대표적이다. 둘째, 회사내부의 비공개 네트워크뿐 아니라 모두가 이용 가능한 공개네트워크를 동시에 운영함으로써 대학과 연구기관뿐만 아니라 개인들로부터 아이디어를 얻고 있으며, 공개 네트워크로는 NineSigma, InnoCentive, YourEncore, Yet2.com 등이 대표적이다. 셋째, 전 세계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얻은 제품과 아이디어들에 대해 내부적인 평가를 통해 선별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특정 제품 아이디어가 인정을 받게되면 내부의 외부사업개발팀이 참여하여 협상을 진행하며 P&G가 보유한 지적재산권을 제3자에게 라이선싱 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P&G는 지난 수년 간 외부에서 수많은 기술을 찾기 위해 노력해 왔는데 이는 기존의 내부지향형 R&D만으로는 시장이 원하는 혁신적인 상품을 만들 수 없다는 위기의식을 가졌기 때문이다. 기술 수명 주기가 빠른 산업에서는 예전처럼 R&D를 은밀하게 진행할 필요가 없으며 전세계 150만 명에 달하는 연구자 풀(pool)을 활용하여 혁신적 상품을 만들어 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탄생한 제품이 ‘전동칫솔’과 ‘프링글스 프린트’이다. 전동칫솔은 어느 외부 발명가가 자신의 ‘스핀 팝(spin pop)'이라는 자동사탕빨기기술을 활용한 전동칫솔 시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호의적인 반응을 보고 P&G에 해당 기술을 제공하였다. 이를 통해 P&G는 많은 비용이 들지도 않으면서 간단하지만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받아들여 타사에 비해 10% 정도 저렴한 전동칫솔을 출시했고 이는 오럴케어 부문의 시장확장 기반이 되었다. 또 하나의 사례로써 '프링글스 프린트'가 있다. P&G 연구팀은 밋밋한 감자칩 위에 그림을 그려 넣는다면 인기 상품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이와 같은 작업은 쉽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G의 R&D팀은 C&D를 활용하기로 결정하고 이에 대한 아이디어 요구서를 글로벌 기술 네트워크에 배포했는데 뜻밖에 이탈리아의 한조그마한 빵집에서 해당 문제를 해결해주었다. 이 조그마한 빵집에서는 식용잉크분무기술로 그림을 그린 빵을 만들어 왔고 P&G의 글로벌 네트워크가 이를 찾아내서 연락을 취한 것이다. 결국 거대한 식품기업 P&G가 이탈리아의 조그만 빵집의 기술을 받아들였고 이를 통해 탄생한 것이 ‘프링글스 프린트'다. 프링글스 프린트는 제품기획에서 출시까지 1년이 채 걸리지 않았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실제로 P&G의 연구개발비 비중은 지난 10년간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데 반해 수익성은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도입 초기인 2001년에는 29억 달러의 순 이익을 기록했으나 2006년에는 87억 달러로 3배가량 상승했다.

    3.2.2 IBM

    80년대 컴퓨터 산업을 주도하다가 미니컴퓨터의 도래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여 한때는 대표적인 실패 사례로 인용되던 IBM은 Fortune에 의해 90년대 가장 성공적으로 회생한 기업에 선정될 정도로 화려하게 부활하였다. 이러한 부활에는 R&D 역량의 제고에 있었다. 거스너 회장은 기술개발을 통해 경쟁사를 압도하는 제품을 개발하는 것을 경영의 가장 중요한 화두로 삼고 연구개발력 강화를 가장 중요한 목표로 두었다. 이러한 기술 개발의 궁극적인 목표는 사업화를 통한 고객 니즈 충족에 두었다. 이를 위해 IBM은 시장 변화를 감지하고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문가들의 미래 예측을 종합한 ‘글로벌 마켓 트렌드’라는 보고서를 만들어 주요 변화별로 진행되고 있는 기술 개발 추세를 면밀히 파악해 R&D 활동으로 연결시켰다. 그리고 R&D 인력이 자기중심적인 연구에 치우치지 않기 위해 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목표 선정을 하고 사업부와 연구소 사이의 간격을 줄여 연구원이 미래지향적인 정확한 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지속적인 연구개발 활동을 통한 업계 최강 특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현실적인 특허침해에 대해 전략적 라이선싱을 추진하였다. 핵심기술과 1등급 기술은 자사에서 사업화하고 주변기술과 2~3등급 기술은 타사에 이전하여 로열티 수입을 극대화 하는 등 전략적인 지식재산권 활용을 통해 기업 위기를 극복하였다. 현재 IBM은 로열티 수입이 1년에 3조가 넘는데, 주변기술과 2~3등급 기술은 타사로 이전

    [표 4] 산업기술정보분석을 통한 연구기획 혁신사례

    label

    산업기술정보분석을 통한 연구기획 혁신사례

    하여 매년 2조원 이상의 기술료 수입을 확보하고 있다. IBM은 서버, 소프트웨어, 미들웨어 판매부분 1위 업체로 전 세계 대규모 거래내역의 90% 이상이 IBM 소프트웨어에 의해 관리되고 있으며 연간 연구개발비로 약 50억 달러 이상을 투자하는 대표적 기술집약형 기업이다. 또한 ’08년 4,189개, ’09년 4,914개의 특허를 등록해 17년 연속 미국 내 최다 특허등록기업으로 조사 되었으며 이는 기존 경쟁사들의 특허등록 합계보다 많은 수치이다. IBM은 연구개발을 통해 업계 최강 특허포트폴리오를 만들어 기업 무형자산으로 활용하고 수익창출 및 비용절감을 위해 핵심기술 독자사업화 추진과 주변기술 라이선싱 추진을 통해 수익창출 및 비용절감 전략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3) 논문(Paper), 특허(Patent), 시장(Product) 동향에 대한 분석기법.      4)고객접점(MOT: Moment of Truth) 관리기법으로써 고객과 접하는 최초의 순간에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이론.

    4. 연구과제기획을 위한 도서관의 역할

       4.1 산업기술정보 활용의 필요성

    현대사회의 글로벌 경쟁체제의 심화에 따른 연구 개발환경은 점점 치열해지고 있다. 기술의 융합화에 따른 기술수명주기 단축으로 사전 연구기획의 중요성과 함께, 불확실성에 따른 위험을 회피함으로써 연구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획기법 도입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졌다. 무엇보다 최근 연구개발이 대규모 프로젝트화가 되어가면서 투자의 규모가 커지고 성과발생이 장기화됨에 따라 연구개발에 대한 위험부담이 커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복연구를 방지하면서 연구생산성 제고를 위한 효율적인 연구수행을 위해서는 기획수립과정에서 사전조사에 해당하는 특허나 논문, 시장에 대한 정보분석과 기술로드맵을 통한 전주기적 기획을 병행함으로써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EU의 경우 정보의 불충분으로 인해 이미 기술개발이 완료되었거나 특허가 이미 존재하는 연구개발과제를 지원해 200억 달러가 낭비되었다는 보고에 따라 선행 특허 조사결과보고서를 제출할 것을 의무화하였다. 일본은 R&D 단계의 불충분한 선행기술 조사로 총 470억 달러 규모의 연구개발투자가 낭비되었다는 연구가 나와 자체 연구기획 체제강화를 도모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SBIR(소형 비즈니스 창의 연구) R&D 지원을 필요로 하는 벤처나 중소기업에 특허 조사를 의무화하여 일반적인 제안서에 나와 있는 성공률을 향상시켰다. 이와 같은 변화에 따라 경쟁이 극심한 R&D 경쟁체제에서 기획이나 정책을 수행함에 있어 특허, 논문에 대한 조사 및 분석과 같은 선행과정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져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연구개발체제에서 특허 및 연구논문 등의 분석이 광범위하게 도입되지 못한 것이 현실이며 최근 특허 등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연구현장에서는 특허조사나 정보분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최근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국가 R&D 투자액과 과제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논문의 질적 수준을 반영해주는 SCI 인용지수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국가연구개발 사업이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이 미흡하다는 사실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사업별 특성을 반영한 연구와 대학?연구소?기업 및 해외기관 간의 공동 연구 강화가 필요 하다. 국가연구개발 투자액이 해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만큼 연구개발방향의 모색과 연구개발 기획의 과학화는 연구개발 효율성을 높이는데 있어서 필수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연구 개발기획기법을 정립해야 될 필요가 있다. 연구기획을 위해 기존에 사용하는 기법들로는 기술예측, 기술로드맵, 기술계통도, 기술영향평가, TRIZ 등이 있으며 이들 기법들은 각각의 특성을 지니며 다양한 연구기획에 활용되고 있다. 단선적이고 직관적 기획이 아닌 주기적이며 상시적 기술 및 산업정보에 대한 3P(paper, patent, product) 분석기법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보다 정확하고 사업별 성격에 부합한 연구개발 방향이나 추진방법, 평가방법 등이 제시되어야 한다(현병환 2010).

       4.2 연구과제기획 단계에서 산업기술정보 활용전략

    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정은 추진형태나 과정 등이 다양하고 많은 학자들이 기획과정의 활동을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어 정형화하기 어렵다. 그러나 일반적인 절차를 보면 먼저 전략적 목표를 설정한 후 내부 및 외부에 대한 환경 분석을 통하여 후보과제발굴을 위한 다양한 대안 검토 및 최적 대안을 선정하게 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세부실행계획을 작성한 후 실행계획에 따른 실천 및 모니터링 등을 수행한다. 첫 번째 단계인 전략적 목표는 국가 정책 목표 및 비전에 따라 설정하여 국가의 발전목표와 연계 및 장기계획과 연동하여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이러한 단계에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생각하여 국가경제 사회 수요와의 부합성, 정부지원의 타당성 및 지원 적시성을 검토한다. 두 번째 단계인 내부 및 외부 환경분석은 목표달성을 위한 대안을 도출하기 위해 연구개발 환경을 분석하여 현재까지의 연구개발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관련 기술의 발전방향에 대해 예측해보는 단계이다. 환경분석은 목표에 적합한 연구개발과제를 도출하는데 개략적인 방향을 제시해준다. 즉 해당기술과 관련된 산업에 대한 국내외 동향을 살펴보고 기술개발의 방향을 제시해준다. 또한 해당 기술과 관련된 국내외 기술개발의 동향과 선진국에서의 중점기술개발과제 등 기술개발의 방향을 전망해 볼 수 있다. 이렇듯 개발 대상기술과 관련된 연구개발 환경과 여건을 분석한 자료를 토대로 목표 달성을 위한 여러 가지 후보과제를 도출하고 도출된 대안들을 비교?검토한 후 최적의 대안을 결정한다. 이 단계에서는 연구개발과제의 규모, 연구개발 소요기간, 연구개발의 최종단계, 해당기술의 기술 수명주기상의 위치 등을 파악함으로써 연구개발 테마 혹은 대상에 대한 개략적 모습을 설정하며, 후보기술들에 대한 특허분석을 실시해 기존 특허와의 저촉여부를 파악해야 한다. 이를 통해 연구과제의 선정, 수행주체, 수행체계, 수행방법 등을 결정하고 최종 성과물에 대한 활용방안을 마련한다. 세부실행계획 단계에서는 개발기술에 대한 세부 연구개발과제의 도출방법을 정한다. 세부 추진과제의 도출 및 선정을 위해 제안요청서(Request For Proposal,이하 RFP) 작성 및 선정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것으로 대부분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은 RFP를 공고하고 후보과제를 응모하여 추진하는방식을 취한다(류영수 2005).

    연구개발과제 기획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환경분석 및 여건파악 단계이다. 이 단계는 연구과제를 선정하기 위한 사전절차로써 다양한 과학적 기법을 통해 산업기술정보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과제를 선정하게 된다. 산업기술정보는 기술문헌정보분석이나 특허정보분석을 통해 기술연관분석, 기술예측, 기

    [표 5] 문헌정보분석

    label

    문헌정보분석

    술로드맵, 사업화타당성 평가 등을 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문헌정보분석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계량적 정보분석 방법으로써 인용분석(citation analysis), 상호인용(co-citation)분석, 상관단어(co-word)분석 등이 있다.

    특허정보는 연구과제기획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중요한 산업기술정보라고 할 수 있다. 특허정보는 신기술에 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며, 모든 기술 분야에 걸쳐져 있다. 특허정보는 발명자의 소속 및 출원인 및 전유기술의 범위가 특정되어 있어, 타사의 권리회피로 중복연구투자를 방지하여 효율적 기술개발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연구자 및 기업과 권리화된 기술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공동연구 및 라이선싱을 진행시킬 수 있다. 보통 특허정보는 기술수준파악, 기술동향파악 및 기술예측의 최적 수단으로 응용될 수 있으며 특허정보를 통하여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연구개발테마를 선택하는 데도 활용될 수

    [표 6] 특허맵의 작성목적 및 활용방안

    label

    특허맵의 작성목적 및 활용방안

    있다. 한편, 출원된 특허정보를 가공하여, 그 분석결과를 그래프 등으로 시각화한 것이 특허맵이다. 출원된 특허자료를 검색, 수집하여, 기술동향, 출원인 동향 등을 그래프를 통해 시각적으로 보여줘 복잡하게 얽힌 기술이나 권리관계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그림 4>와 <표 6>에서는 특허맵의 작성목적 및 활용방안과 실질적으로 특허맵을 이용하여 특허정보분석 방법에 대한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4.3 도서관 사서와 연구기획자와의 협업방안

    최근 국가연구개발 사업에서 연구기획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연구개발 기획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기획에 참여하는 전문가들의 기획업무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경험 부족으로 기존의 기획체계 및 활용 인력의 한계점이 드러나고 있다. 무엇보다 기존의 기획 체계는 대부분 기술 전문가 위주로 이루어져 있어 기술의 시장성이나 국제성이 간과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불충분한 사전 정보수집 및 분석으로 인해 전략적 기획 기능이 약하며, 한정된 전문가 네트워크 그룹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여 심도있는 기획을 위한 충분한 사전조사 및 분석 작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리고 조사?분석기법이 매우 다양하고 전문적이며, 관련 자료들도 여러 곳에 산재해있어서 자료를 발굴하고 통합하기가 어려우며, 그 효율성도 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산업의 특성이나 미래가치를 잘 이해하고 기술의 시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경영전문가와 정보수집 및 분석을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정보전문가로서 사서의 참여가 필요하다. 전략적이고 심도있는 기획을 위해서는 해당 사업 및 기술과 관련된 광범위한 기술동향, 특허, 논문, 시장에 대한 사전조사와 분석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한 기획 프로세스 전반에 걸친 외부전문가의 활용은 전략적이고 심도있는 기획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그동안 연구기획자가 연구목표에 적합한 연구과제를 선출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진행하던 환경분석을 정보전문가인 사서와 협업하여 진행함으로써 효율성을 담보할 수 있다. 최근 웹의 등장으로 사서의 기능이 단순히 정보원을 수집하여 제공하는 업무로 한정되는 경향이 있으나 사서의 주요 역할 및 업무는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체계화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하는 일을 하는 정보전문가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서의 전문성을 살려서 연구기획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연구과제 기획단계에서 연구기획자와의 협업을 위한 사서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과제기획을 위한 체계적인 기술 정보분류를 수행한다. 현재 기술분류는 현재/미래의 기술이 아닌 선행적 기술 위주로 분류가 되어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과학기술의 흐름상 새롭게 등장하는 기술들을 적시에 반영하여 분류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정보분류에 대한 전문가로서 사서가 새롭게 등장하는 기술들을 파악하고 연구분야에 맞게 기술분류 작업을 진행한다면 향후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국가연구개발 사업에 있어서 연구기획업무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집 및 분석된 정보에 대한 체계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연구과제 도출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여 다양한 분석이 수행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후보과제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사전기술 기획이나 3P분석 등이 진행되는데 이러한 분석 작업을 위해서는 다양한 산업기술정보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과학기술예측자료는 상호 관련성이 큰 첨단 기술 분야의 장기계획수립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미래기술과제 선정에 기여한다. 또한 기술동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 표준화, 특허동향에 대한 정보가 요구된다. 이렇듯 연구과제기획을 위한 과학적 정보분석 기법에 적합한 정보 및 정보원을 사전에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시키고, 필요할 때마다 최신 정보자료들을 제공함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연구과제기획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해야 한다.

    셋째, 특허맵(patent map)이나 지식맵(knowledge map)을 구축함으로써 단순히 일차적인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역할에서 나아가 정보를 분석 및 가공하여 제공한다. 먼저 특허맵의 경우 특허분석을 위해 기술트리(기술분류)를 작성해 색인어를 설정함으로써 색인어를 통해 키워드 검색이 보다 용이하게 진행되게 한다. 나아가 수집된 자료는 필터링 과정을 반복하여 분석의 목적에 맞게 자료를 가공하고 이를 통하여 특허맵을 작성함으로써 연구기획자에게 제공한다. 특허맵을 작성하게 되면 연구자는 연구주제 또는 기술과 유사한 선행특허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유사 선행특허 가운데 연구주제와 관련성이 높은 중요 특허에 대해서는 대응방안 등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특허맵을 활용하게 되면 선행특허침해로 인한 로열티 지불 및 연구가 무산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구방향을 보다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게 도와준다. 따라서 특허맵을 작성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며, 특허맵을 작성할 수 있는 기반인 특허정보를 수집하여 체계적으로 편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게 된다면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개발하는 데 시간과 노력을 줄이면서 실질적인 연구업무에 층실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식맵5)은 연구영역을 분류하고 그 관계에 부가된 의미를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며 최신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연구영역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작성된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각 분야가 서로 복잡하고 다양하게 관련되어 학문의 상호관련성이 높아지면서 전혀 별개의 영역으로 무관심했던 분야의 정보나 동향 및 실태를 파악할 필요가 생겨났다. 이를 위해 탄생한 지식맵은 최신 연구분야와 전통적 학문분류간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서로의 연관성에 대한 암시를 준다. 또한 최신의 연구흐름과 각 연구영역에서 우수한 개인, 기관, 지역 혹은 국가를 나타내며, 연대기적 맵 시리즈를 사용해 지식 동향을 관찰하여 미래기술을 예측해볼 수 있다(윤문섭 외 2004). 현재 학문분류의 대표적인 방법은 KDC와 같은 전통적인 분류체계로써 단절된 형태의 지식분류법이다. 그러나 최근 학문 간의 융합이나 관계성이 높아짐에 따라 새로운 접근방법이 필요하며 이에 적합한 방법이 지식맵이다. 지식맵을 위해 이용되는 기법은 동시단어분석, 동시분류분석, 저널인용분석, 클러스터링 등이며 이는 사서들이 전문적으로 습득하고 수행하고 있는 분야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법들을 이용하여 사서들은 디지털 데이터들을 도식화하여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연구자들이 산업기술정보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즉, 사서들이 단순히 정보를 수집해서 제공하는 업무만으로는 변화하는 환경에 적절한 대응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연구개발에 필요한 최신의 산업기술정보를 수집하여 새로운 분류기준을 적용 및 체계화하고 나아가 이러한 정보를 과학적 기법을 활용해 분석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재가공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오늘날의 사서가 나아갈 역할이다.

    넷째, 연구자들이 논문분석을 할 수 있도록 논문연구에 활용되는 정보원을 제공하고, 이용하는 방법을 교육한다. 즉 기본적으로 단행본이나 학술지, 학술DB, 통계, 특허 등 연구에 활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산업기술정보를 특성에 따라 이용하는 방법 및 연구주제에 적합한 정보원을 선택하는 방법 등을 교육한다. 또한 학술적 글쓰기 방법이나 참고문헌 작성법 등의 인용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을 지원하여 연구자가 주요 정보의 서지사항을 스스로 관리하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표 7] 연구개발기획을 위한 도서관 및 주제전문사서 역할

    label

    연구개발기획을 위한 도서관 및 주제전문사서 역할

    5)지식맵: 논문 또는 특허자료에 있어서 키워드, 인용, 공동저술, 공동분류 등의 동시출현(Co-occurrence)에 숨어있는 데이터의 통계적 특성을 활용하여 분석한 지식구조를 시각적인 맵의 형태로 보여주는 방법.

       4.4 기대효과 및 도서관 위상제고 방안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의하면 연구자의 약 20%만이 자기가 원하는 정보의 85%를 획득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IBM의 보고서에 따르면 CEO 3명 중 2명이 의사결정을 할 때 핵심정보를 확보하지 못해 어려움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연구과제기획을 위해서는 적절한 정보확보와 분석이 필수적이다. 과거처럼 산업기술정보에 대해 제대로 된 사전조사 및 분석 없이 연구개발에 들어가게 되면 중복투자와 같은 예산낭비 요인이 발생하거나 특허침해로 인한 로열티 지급 및 연구중단의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연구개발과정에서 적절한 산업기술정보의 활용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산업기술정보의 적 절한 활용은 경제적으로 큰 부가가치를 낳을 수 있다. IBM의 경우 특허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현실적인 특허침해에 대한 전략적 라이선싱을 추진하여 로열티 수입을 극대화하고 있다. 즉, 특허정보를 이용하게 되면 중복투자와 같은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지만, 특허권 이전료와 같은 수익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거시적 시장흐름(mega trends)과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미래시장을 예측과정을 통하여 연구개발을 수행하게 되면 향후 기술이 사업화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게 되며 이는 창업이나 기술개발의 강한 동기요인으로 작용해 연구개발이 보다 활성화 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수 있다. 요컨대 기업의 관점에서 연구개발로 창출된 지식을 지적재산으로

    변화시키는 것은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논문이나 특허는 최신 기술을 연구하여 발표되는 정보자료로써 후발주자는 이보다 더 앞선 기술 및 이론적 연구를 수행할 수밖에 없으며 이와 같은 선순환적 요인을 통하여 창출되는 지식정보는 지속적인 학문과 기술의 발전을 촉진한다. 즉 선행 산업기술정보자료를 이용함으로써 더욱 발전된 연구개발을 촉진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타분야에 특허기술을 접목시켜 새로운 영역에서의 지식의 재창출도 기대해 볼 수 있다. 전 세계의 학술 논문과 특허를 분석해서 급부상하는 연구영역을 발굴하고 틈새 기술을 찾아내 경쟁기술과 흐름에 대한 분석과 함께, 미래의 경쟁자에 대한 파악, 미래의 유망기술과 혁신기술이 무엇이 될 지를 파악하기 위해 산업기술정보를 활용하여 새로운 트렌드를 발견하고 연구해야 된다.

    이와 같은 지식정보의 중요성과 환경적 요인 속에서 도서관 역시 산업기술정보의 확보와 서비스제공을 위한 기반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대학도서관의 대부분은 여전히 전통적인 학문에 초점을 맞춰 논문을 중심으로 하는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산학연 공동 연구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연구개발을 위한 정보서비스 개발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거시적 시장흐름에 대한 정보, 특허정보, 시장 예측정보나 전문가 암묵지에 대한 정보 등 연구개발에 필요한 산업기술정보를 도서관에서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 웹과 같은 또 다른 정보채널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웹에 산재한 정보는 너무 많아 이를 이용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서관은 연구개발에 필요한 산업기술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출 필요가 있다. 또한 앞서 제시한 대로 이러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주제전문사서를 양성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해 봐야 한다.

    전통적 도서관은 모든 정보의 집합소이자 유통채널로써 연구자들은 도서관을 통하여 관련정보를 확보함으로써 연구개발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도서관에서는 연구개발에 필요한 최신 산업기술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서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는 정보의 최신성에 따른 한계점과 함께, 최근의 연구개발은 과거처럼 기술에만 초점을 맞춰 진행되는게 아니라 시장 수요와 이용자의 요구에 맞춰 기획하고 연구하여 사업성을 평가받는다. 도서관이 정보영역의 중심이 되기 위해서는 학문적인 정보에만 국한하지 않고, SNS 정보, 시장정보, 특허정보, 기술정보 등 다양한 영역의 정보를 갖추어 이용자에게 통합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체계화된 시스템을 구축해야 된다. 또한 전 세계의 연구자와 국내 연구자와의 상호의사소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같이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봐야 한다. 연구자들이 소통할 수 있는 소셜네트워크를 구축을 통하여 보다 최신정보들을 교환하고 협업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5. 결론 및 제언

    현대의 연구개발 환경은 기술경쟁이 매우 치열해지고 기술의 수명주기 또한 매우 단축되었기 때문에 효율적인 연구기획이 더욱 중요해졌다. 따라서 연구현장에서의 연구생산성 향상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다양한 툴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먼저 연구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기술 및 산업 환경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적시에 연구개발 과정에 반영하는 ‘맞춤형 연구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툴 기반(특허, 논문, 시장분석 솔루션), 전문가 기반(연구자, 변리사?기술이전 전문가, 정보분석 전문가, 연구기획?관리전문가)과 정보 기반(정보수집, 정보분석, DB화)으로 구성된 인프라를 갖추어 R&D 사업 성격에 따라 주기적?상시적으로 지원하는 조직이 필요하다(현병환 2009). 국가 R&D 사업의 기획단계에서 연구자들이 참조할 수 있는 전략적 분석정보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에서 정보접근성, 정보처리역량의 한계 등으로 개별 참여자의 자체 노력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수준의 정보에 대해서는 도서관의 지원이 필요하다. 즉, 도서관은 최신의 산업기술정보를 신속하게 확보하여 도식화함으로써 연구자들이 보다 쉽게 이러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빠르게 변화하는 R&D 패러다임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교육과 지원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연구개발인력교육원(KISTEP 부설) 등의 기존 교육기관과 민간 연구조직을 포함해 다양한 영역에서 국가연구개발의 정책, 기획, 관리 및 지원, 평가, 확산과 관련된 내용 등에 대한 연구자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선진 기업들은 기술탐색과 사전검증을 전담하는 부서를 구축하고 있으며 독일의 BASF는 소재 관련 기술기업을 발굴하기 위해 20~30명의 지적재산권 전문가와 연구원 등으로 구성된 BASF Venture Capital과 Future Business 조직을 가동하고 있다. 우리도 연구 인력에 대한 특허교육 강화 등 교육프로그램을 지원해 지적재산권 인력을 육성하고 전문성을 강화하여, 기술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유사시 보호수단을 강구할 수 있는 지적재산권 전문 인력을 양성해야 한다(복득규 2012). 셋째, R&D에 대한 기술 분야별 및 기술단계별 특성에 맞는 기획 및 평가체제로의 보완이 필요하다. 사업에 대한 평가가 사업 특성에 맞지 않게 이루어지고 있어, 연구현장에서는 혼란이 초래되어 연구생산성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넷째, 외부의 기술이나 아이디어를 얻는 창구로써 인터넷 기반의 오픈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이용해야 한다. 오픈 네트워크를 통해 R&D의 문제점이나 필요한 기술들을 제공받으면서 세계 구석구석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접할 수 있는 강력한 유통구조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실제 다우 Agroscience는 연구개발의 성공률이 오픈 네트워크를 활용하면서 크게 높아졌다. R&D 담당 부사장인 Dan Kittle은 InnoCentive를 통해 자사 연구개발 일정의 주요결정시간을 절반으로 줄였고 이는 곧바로 비용의 감소로 이어졌다고 지적하고 있다. 외부에는 무한한 혁신의 여지가 산재해 있으며 따라서 외부와의 상호협력체제와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구축하여 활용해야 한다. 다섯째, 글로벌 지역 거점 연구소와의 협력을 통해 해당 지역의 대학이나 연구기관 혹은 기업의 인적 자원들이 가지고 있는 기술과 아이디어를 교류, 흡수하려는 노력 또한 중요하다. Microsoft나 IBM과 같은 기업들은 중국 등을 포함해 세계 각국에 자사의 연구센터를 설립, 운영하면서 현지 인력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흡수하고 있다. 또한 정부차원에서 개방형 해외 연구소를 운영해 중소기업의 Global R&D 지원을 체계화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에 개방하는 대기업과 정부의 해외연구소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을 국가 차원에서 지원해줌으로써 중소기업의 Global R&D를 확대하고 아울러 중소기업의 해외 R&D 센터 설립 및 운영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고 컨설팅해줄 수 있는 전담조직과 프로세스를 구축할 필요도 있다(김경연 2007). 마지막으로 대학 도서관과의 협업을 통해 산업기술정보에 대한 다양한 접근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이들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연구자들의 정보이용능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연구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보다 전문적인 주제전문사서를 양성함으로써 연구개발기획에 필요한 전문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도서관과의 협업은 연구개발기획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는데 드는 시간과 노력을 단축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 1. Google의 오픈 이노베이션 사례. google
  • 2. 고 병열, 이 준영, 박 진서, 박 선영, 문 영호 2006 국가R& D 기획단계에서 정보활용실태 비교분석. [『한국기술혁신학회 춘계학술대회』] P.195-206 google
  • 3. 고 정식 2009 지식재산권 중심의 기술획득전략 추진계획(안)』. google
  • 4. 2012 연구자 중심 성과관리 활용체계 구축 연구』. google
  • 5. 김 경연 2007 사례를 통해 본 오픈 이노베이션』. google
  • 6. 김 우용 2012 美 정부, 2억달러 규모 빅데이터 R&D 계획. google
  • 7.
  • 8. 류 영수 2005 주요 R&D 프로그램의 전략적 기획과정 및 활용기법 개발연구(Ⅱ)』. google
  • 9. 문 영호, 박 진서, 이 준영, 박 선영, 고 병열 2006 효율적 정보활용을 통한 국가 R& D 기획 강화전략. [『한국기술혁신학회 춘계학술』] P.179-194 google
  • 10. 문 영호 대용량 정보 분석과 지식기술. google
  • 11. 박 병원, 임 현, 이 태근, 황 기하, 유 지연, 정 혜윤, 김 위정 2007 기술동향예측 기획센터 설립을 위한 사전기획 연구』. google
  • 12. 박 현우, 홍 성화, 고 병열, 박 동운, 전 승표, 이 준영, 김 재우, 권 영일, 노 현숙, 손 중구 2005 』산업기술정보 유통체제 혁신방안 연구』. google
  • 13. 복 득규, 이 원희, 최 진영, 강 찬구 2012 한국기업의 Open&Global R&D 추진현황과 선도사례 분석』. google
  • 14. 2008 삼성 보도자료. “ ‘ C& D(Connect & Development)’ 혁신 전략으로 비즈니스 모델을 재 창조하라. google
  • 15. 안 수민 2012 [기획-R&D 4.0 시대를 연다(1)] 프롤로그, 창의?도전?소통?동반성장 R&D. google
  • 16. 엄 기용, 최 민석, 어 윤봉, 유 영신, 이 병남 2003 정보통신 기술로드맵 사례와 기술기획에서의 활용방안. [기술혁신연구] Vol.11 P.29-50 google
  • 17. 엄 익천 2012 2011년도 정부연구개발예산 현황 분석. google
  • 18. 윤 문섭 2004 국가연구개발의 전략기획을 위한 새로운 연구기획방법론 개발. google
  • 19. 윤 진효, 현 병환, 서 정해 2006 연구개발기획 방법론 연구. [『2006년 한국기술혁신학회 추계학술대회』] P.139-154 google
  • 20. 이 성옥 2009 R&D 연구기획 체계 개선을 위한 정보분석 모델에 관한 실증적 연구 google
  • 21. 이 장재, 엄 익천 2010 연구개발투자 확대. 전략적 투자 강화 한다. google
  • 22. 이 장재 2011 국가 기술기획의 현상과 과제. google
  • 23. 임 현 2009 미래전망과 유망기술발굴 기능고도화 google
  • 24. 임 현 2011 과학기술 미래예측 google
  • 25. 장 영재 2012 빅데이터시대 - 경영을 과학으로. google
  • 26. 현 병환 2009 지식재산정보 활용을 통한 R&D 효율화. 재정정책자료. R&D분야 토론주제2. google
  • 27. 현 병현 2010 3p 분석 이용해 국가연구개발 생산성 높인다 ①. google
  • 28. 현 병환 2010 3p 분석 이용해 국가연구개발 생산성 높인다 ② . google
  • 29. 현 병현 2010 3p 분석 이용해 국가연구개발 생산성 높인다 ③. google
  • 30. 현 병환 2011 생명공학 기획사례 google
  • 31. 황 기하 2008 기술로드맵의 활용 현황 및 향후 발전 전망. google
이미지 / 테이블
  • [ 그림 1 ]  정부의 R&D 기획수준
    정부의 R&D 기획수준
  • [ 표 1 ]  분야별 산업기술정보 유형
    분야별 산업기술정보 유형
  • [ 표 2 ]  신사업 발굴 기획과정 중 정보니즈 및 정보의 종류
    신사업 발굴 기획과정 중 정보니즈 및 정보의 종류
  • [ 표 3 ]  기획활동 유형에 따른 정보활용 비중
    기획활동 유형에 따른 정보활용 비중
  • [ 그림 2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기술이전 증가 추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기술이전 증가 추이
  • [ 표 4 ]  산업기술정보분석을 통한 연구기획 혁신사례
    산업기술정보분석을 통한 연구기획 혁신사례
  • [ 그림 3 ]  연구개발과제 기획 프로세스
    연구개발과제 기획 프로세스
  • [ 표 5 ]  문헌정보분석
    문헌정보분석
  • [ 그림 4 ]  특허맵을 이용한 특허정보분석
    특허맵을 이용한 특허정보분석
  • [ 표 6 ]  특허맵의 작성목적 및 활용방안
    특허맵의 작성목적 및 활용방안
  • [ 그림 5 ]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한 지식맵 구축 프로세스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한 지식맵 구축 프로세스
  • [ 표 7 ]  연구개발기획을 위한 도서관 및 주제전문사서 역할
    연구개발기획을 위한 도서관 및 주제전문사서 역할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