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Female Adolescents’ Awareness of Health Harmfulness and Skinny Jeans Purchasing Behavior: Focus on the Effect of Appearance-Relative Behavior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Female Adolescents’ Awareness of Health Harmfulness and Skinny Jeans Purchasing Behavior: Focus on the Effect of Appearance-Relative Behavior
KEYWORD
adolescents(청소년) , appearance-relative behaviors(외모관련행동) , awareness of health harmfulness(건강유해성) , clothing purchasing behaviors(의복구매행동) , clothing restraint(구속의복) , skinny jeans(스키니 진)
  • 1. 서 론

    현대사회로 오면서 의복의 기능은 인류 초기의 신체를 보호해 주는 역할에서 자신을 표현하고 개성을 표출하며 개인화된 생활양식을 나타내는 역할로 변모하였다. 인간의 행동과 심리에 미치는 의복의 영향은 어느 연령층에서나 중요하나, 청소년기에는 그 영향이 특히 더 크다(Horn & Gurel, 1981; Kim, 2007). 그 이유는 청소년들이 신체적으로 급격한 성장을 거치면서 사춘기 호르몬 분비로 이차성징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이성에게 관심이 많아지고 자연스럽게 본인의 외모에 신경을 쓰게 되기 때문이다.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자신과 타인을 외모로 비교평가하고 의상이나 몸치장에도 관심을 갖게 된다 (Hurlock, 1976). 경제성장과 더불어 소득수준이 향상되면서 청소년들은 과거와는 다르게 의복으로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며 다양하게 욕구를 표출하며 의복문화의 주체가 되었다. 이와 같이, 환경과 영양의 변화로 청소년들의 성장이 빠르게 이루지면서 청소년들의 의복선택은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최근 사회전반에 확산된 외모지상주의로 인해 청소년들은 대중매체에서 보이는 연예인들의 모습을 자신의 체형, 패션, 전체적인 외모를 평가하기 위한 비교기준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기준과 자신을 비교해서 차이가 적으면 안정감을 느끼고 차이가 크면 심리적 불안을 느끼고 있다. 이로 인해 아무 생각 없이 TV 속 스타 모습을 따라가면서 이상적인 외모만을 추구하다가 자신의 체형을 보정하거나 유행을 따르기 위해 자신의 신체에 맞지 않고 몸에 꼭 조이는 의복을 착용하여 건강장해를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Shin, 2006). 신체를 압박하는 의복의 종류를 ‘구속성 의복’ 혹은 ‘압박의류’라고도 하며 여성의 브래지어, 거들 등의 화운데이션류의 체형보정 속옷뿐만 아니라 겉옷 중에서도 신체를 압박하는 의복이 이에 속한다(Shim & Choi, 1994). 최근 구속성 의복의 겉옷 중 하나인 스키니 진(Skinny Jeans)은 성인 뿐 아니라 여자 청소년들 사이에서도 관심과 구매가 증가하고 있다(“Wearing skinny jeans”, 2011). 그러나 스키니 진은 의복에 여유분이 거의 없어 혈액순환 장해와 하복부에 압력을 가해 소화불량, 변비, 생리불순 등의 증상을 야기해 여성의 건강에 장해가 될 수 있다(Na & Lee, 2010). 이러한 구속성 의복은 한창 성장 중인 청소년들의 신체를 압박하여 성장을 저해하고 올바른 체형을 형성하는데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자신의 신체이미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구속성 의복 착용이 증가함에 따라 성인을 대상으로 한 구속성 의복에 대한 연구들은 진행되고 있으나(Na & Lee, 2010)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다소 미흡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구속성 의복, 특히 스키니 진 구매행동에 대하여 살펴보고 청소년들의 의복선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변인으로 외모관련행동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편, 2007년도 기술·가정 개정 교육과정에서 청소년들의 흥미와 요구에 부합되는 내용으로 교육내용이 바뀌면서, 학생들의 선호도가 높은 ‘의복선택과 착용’ 단원에서 의복이 청소년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육 내용이 부족하게 편성되어 청소년들의 의복선택에 있어서 건강에 대한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구속성 의복 착용시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어느 정도로 지각하고 있는지, 건강유해성 지각 정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최종목적은 여자 청소년 소비자들의 외모관련행동, 스키니 진의 건강유해성에 대한 지각정도 및 의복구매행동 분석을 통하여 청소년의 소비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청소년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스키니 진 제품 생산과 판매전략 수립시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제안하는데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구속성 의복으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청소년들의 발육 및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청소년들의 건강을 고려한 의생활 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일반적으로 발달심리학적 측면에서 보면 청소년기란 아동기가 끝나는 약 12세부터 23,4세까지로, 사춘기를 기점으로 하여 이후 약 10년간을 포함하는 시기지만 통상적으로 13-18세의 중고등학생을 청소년이라 일컫는다(Kim & Rhee, 2001). 청소년기는 아동에서 성인으로 이행하는 과도기로 급격한 신체적 변화와 독립성의 확보, 적절한 성적(性的) 적응, 친구관계의 협조와 동일시, 직업의 선택 및 도덕관의 체득 등 자아주체성을 형성하게 되므로 인간발달에 있어서 결정적인 시기이며, 개인의 사회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시기로 사회참여에 필요한 가치, 태도, 기능을 개발해 나가게 된다(Chung, 2003). 청소년 소비자는 소비자 발달단계에서 연령이나 생활 주기를 중심으로 분류된 유형의 하나로 그들만의 생활양식과 소비 특성을 갖는 10대 소비자이다. 이에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인 여자 중고등학생 청소년들과 관련하여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외모관련행동, 구속성 의복 및 의복으로 인한 건강유해성에 대한 지각, 의복구매행동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겠다.

       2.1. 외모관련행동

    현대인들은 외모가 타인에게 자신을 인식시키고 좋은 이미지로 받아들이게 하는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함에 따라 과거에 비해 이상적인 외모를 갖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남녀노소 구분 없이 외모관리에 과감하게 투자하고 있다. 외모란 다차원적으로 정의되며 사람의 외모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로 신체적 특성, 체격, 체중, 얼굴 모습, 의복과 액세서리, 화장, 건강상태, 체취 등을 포함한다(Chung, 2003; Kim et al., 2006). 사람들은 자신의 실제모습에 대한 객관적 인식과는 관계없이 미에 대한 이상형을 규정하고 이상형과 자신의 모습을 비교하면서 외모꾸미기에 노력한다. 특히 청소년들의 외모에 대한 만족은 또래와의 비교 혹은 매스미디어에 나오는 이상형과의 비교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Jang & Song, 2004), 청소년들이 갖는 자기외모에 대한 평가는 많이 접하는 대중매체를 통하거나 기존 사회적 가치관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Richards et al., 1990).

    청소년들은 외모에 관심이 많고 추상적인 개념보다는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의복과 외모로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으려고 하는 경향이 있어서 의복과 외모에 대한 흥미가 높다(Ryan, 1966). 청소년기에는 가치관과 자아가 불확실하며 자신을 매력적이라고 생각하는 대상의 관심을 끌기 위하여 외모나 의복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가치를 두며 이에 외모, 체형, 패션, 헤어, 장신구 등에 관심이 급격하게 증가한다. Lee(2003)의 연구에서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을 외모관심, 체중관심, 신체만족, 신체수정요구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관심, 체중관심, 신체 수정요구도가 높고 신체만족도가 낮았다. 또한 청소년들은 보통 동료집단에 동조하고 집단과 다르게 평가되는 것을 피하려고 하며, 이를 위한 동조 수단 중 하나로 의복이나 매력적인 외모를 사용하여 사회의 기대와 역할에 적응하고 집단에 소속되려고 노력한다(Kim, 2001).

    청소년들은 이상적인 외모에 도달하기 위하여 외모, 체중, 의복 등에 관심을 가지면서 사회적으로 선호되는 외모를 유지하고자 한다. 이에 몇몇 연구자들이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에 관한 연구로 외모관심, 의복관심, 유행관심, 피부 및 헤어관리,몸매·체중관리 등을 진행하여 왔다(Hong, 2002; Song, 2011). 그러나 앞서 외모에 대한 정의를 고찰한 바와 같이, 외모에는 외모관심, 의복, 체형관리 뿐만 아니라 건강이 포함되며, 최근 소비트렌드인 웰빙을 추구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 또한 외모의 중요한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건강미인’이라는 말이 유행할 정도로 현대인들은 외모관리를 위해 의복과 체형관리 뿐만 아니라 건강한 몸을 유지하려고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외모, 체형, 의복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을 추가하여 좀 더 포괄적인 외모관련행동을 조사하고자 한다.

       2.2. 구속성 의복과 건강유해성 지각

    구속성 의복은 우리의 신체를 압박하여 동작의 자유를 제한하는 의복으로 브래지어, 거들 등 몸매를 보정하는 화운데이션류를 말한다. 이밖에 몸을 꼭 조이는 티셔츠, 스키니 진, 골반바지, 레깅스 등의 의류품목과 넥타이, 벨트 등 지나치게 몸을 타이트하게 조이는 액세서리도 구속성 의복에 포함된다. 체형보정 속옷과 같은 구속성 의복은 일상생활 중에 착용하게 되면 체지방, 체중감소, 체형 변화에서 긍정적인 결과로 나타나 비만여성들에게 좋은 영향을 준다(Kim & Song, 2010). 그러나 Shim and Choi(1991)의 연구에 의하면, 인체의 생리적 측면에서 의복이 인체에 가하는 구속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피부온도가 현저히 저하하는 반응이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측면에서는 구속에 대한 감각이 둔화되는 상반적인 반응을 나타내어 인체의 구속에 대한 영향의 심각성이 상실되어져 버릴 우려가 있어 연구자들은 구속성 의복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최근 균형 잡힌 아름다운 비율의 체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많은 여성들이 날씬하게 보이기 위해 타이트한 옷을 선호하고 있어, 한국건강관리협회(Lee, 2010)는 지나치게 몸을 조이는 옷이 건강을 해칠 수 있음을 경고하였다. 인체에 여유분이 없는 청바지와 같은 슬랙스 착용시, 하지부가 받는 구속압은 근육피로와 혈류순환장해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장시간 착용 시 인체에 구속을 가해 근육의 피로 증가와 순환장해로 부종을 유발할 수 있다(Shim & Choi, 1994). 이와같이 구속성 의복은 몸매를 보정하여 아름답게 보이기 위하여 입기 시작하였지만 심미성, 유행성 등을 지나치게 따르다 보니 인체를 지나치게 압박하여 생활 활동에 지장을 주고 건강에 해를 미칠 수 있다.

    구속성 의복의 하나인 스키니 진은 2005년부터 젊은 층을 중심으로 착용되어 유행하기 시작하였으며 스키니(skinny)란 단어의 유래는 ‘스킨(skin)’으로 피부처럼 몸에 딱 달라붙는다는 의미이며 스키니 진은 몸매가 드러나게 몸에 타이트하게 피트되는 청바지이다(Yoon, 2007). 청소년들은 날씬함을 미의식의 기준으로 여기고 매우 마른 체형을 여자의 이상형으로 선호하며 남녀의 이상적인 신체상을 비교해볼 때 남자보다 여자의 신체에 대해 훨씬 더 마른 체형을 이상적인 체형으로 선호한다 (Lee, 2000). 이러한 이유로 여자 청소년들은 날씬하면서 건강한 체형을 넘어서 마른 신체이미지를 위해 몸에 꽉 끼는 의복을 장시간 동안 착용하고 있어 청소년들의 건강이 우려되고 있다. 성장이 끝나지 않은 청소년들에게는 성인보다 인체에 더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구속성 의복 착용에 대한 청소년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구속성 의복 착용시 건강유해성에 대하여 어느 정도 지각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건강유해성 지각 정도와 외모관련행동, 스키니 진 구매행동과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 살펴보도록 하겠다.

       2.3. 의복구매행동: 의복추구혜택과 착용만족도

    의복구매행동이란 소비자가 사회 문화적인 환경요인과 개인적 욕구 등의 동기에 따라 필요로 하는 의류제품을 지각하고, 정보를 탐색한 후 제품을 평가, 선택하는 과정을 거쳐 구매, 구매 후 행동을 하는 등의 의사결정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신적, 육체적 행동 과정을 의미한다(Lim, 1992). 의복구매행동과 관련된 변수들에는 구매동기, 정보탐색, 선호정보원유형, 제품평가속성 및 제품추구혜택, 점포선택, 구매시기, 구매빈도, 구매가격, 의복 불만족 요인과 같은 구매 후 행동 등이 있다(Ju & Chung, 1999; Shon & Park, 2001; Kim, 2005). 본 연구에서는 스키니 진 의복구매행동의 중요변수로, 의복추구혜택과 착용만족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의복추구혜택은 의복을 선택할 때 추구하는 혜택(benefit)으로, 혜택이란 특정제품의 속성과 관련하여 주관적으로 느끼게 되는 요구와 욕구로서 제품사용과 관련하여 소비자들이 원하는 주관적 보상이나 긍정적 결과를 말한다(Park, 2001). Chung (2003)은 남녀 고등학생 대상으로 의복추구혜택을 조사하였으며 심미성, 유행성, 유명상표 추구, 경제성의 네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청소년들의 의복추구혜택을 조사한 결과, 유행성에 대한 추구혜택은 학년이 낮을수록 그리고 예능계, 상업계, 인문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Bae, 1994), 대중매체에 민감한 청소년들은 의복 구매시 유행성에 대한 추구혜택을 중요시 생각하고 있었다(Seong, 1997). 자아존중감은 심미성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자아존중감이 높은 청소년들은 심미성에 대한 추구혜택이 높은 경향이 있으며(Han, 2002),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거나 수입이 많은 청소년 집단이 심미성을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Bae, 1994). 한편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스키니 진 구매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을 조사한 결과, 심미성과 착용성을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Kweon et al., 2010).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스키니 진 구매 시 스키니 진 제품의 속성과 관련하여 어떠한 긍정적인 결과를 얻고자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한 의복추구혜택인 심미성, 유행성, 실용성과 함께 스키니 진이라는 구속성 의복의 특성을 고려하여 활동성과 건강위생성을 추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소비자는 제품을 구매, 사용한 후 만족 혹은 불만족을 경험하게 된다. 만족과 불만족은 차기의 구매의사결정에, 혹은 사용자의 구전으로 인해 다른 사람의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Lee et al., 2010). 따라서 의복구매결정에 있어서 의복의 착용 후 만족도는 의복구매행동의 매우 중요한 변인이다. 여대생들의 스키니 진 착용만족감을 조사한 Na and Lee(2010)에 의하면, 스키니 착용하였을 때 보행과 착탈의 시, 장시간 착용하고 앉아 있을 경우 느끼는 불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스키니 진과 같은 구속성 의복은 장시간 착용시 불편함이 증가되고, 이는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착용시 만족감이 높아야 제품선호도가 향상될 것이다. 특히 성장중에 있는 청소년들의 건강한 몸을 유지하기 위한 적합한 의복 착용을 통한 만족도 향상은 어느 연령대보다도 중요하다. 최근 대중매체를 통해 스키니 진의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하여 많은 소비자들이 인식하게 되었으며 이는 착용자로 하여금 심리적 만족감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스키니 진을 착용할 때 활동하거나 입고 벗을 때, 장시간 착용시 느끼는 불만족과 만족의 정도를 조사하고 이러한 스키니 진 착용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3. 연구방법 및 절차

       3.1. 연구문제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여자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이 스키니 진의 건강유해성 지각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연구문제 2. 여자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이 스키니 진 구매 시 고려하는 의복추구혜택과 착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연구문제 3. 여자 청소년들의 스키니 진에 대한 의복추구혜택 및 건강유해성 지각이 착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3.2. 측정도구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Chung(2003), Jhun(2003), Kim(2010), Maeng(2008)의 연구를 참고로 하여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건강유해성 지각에 관한 문항은 스키니 진과 같은 구속의복이 신체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하여 얼마나 잘 알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으로 Na and Lee(2010)의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8문항을 사용하였다. 스키니 진 구매시 고려하는 의복추구혜택에 관한 문항은 Zhang(2011), Kweon et al.(2010), Park(2001)의 연구를 참고하였으며, 스키니 진의 착용만족도 문항은 Kim(2003), Na and Lee(2010)의 연구에서 사용한 문항을 바탕으로 수정하여 개발하였다. 외모관련행동, 스키니 진의 건강 유해성 지각, 스키니 진 구매시 의복추구혜택 및 착용만족도의 응답으로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의 5점 리커트식으로 측정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각각 외모관련행동, 건강유해성 지각, 의복추구혜택, 착용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3.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본 연구의 예비조사는 2011년 7월 말에서 8월 초까지 경기도 분당 소재 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예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본조사를 위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본조사는 2011년 8월 15일부터 9월 15일까지 서울 및 경기도 분당 소재 중·고등학교 4곳에 재학 중인 여자 중학생 205명과 여자 고등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방문 및 우편을 통하여 배부하고 수거하였다. 총 410부 설문지 중 408부가 회수되었으며 이중 응답내용이 불성실한 것을 제외한 총 386부(중학생 188부, 고등학생 198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WIN 18.0을 사용하였으며, 통계방법으로는 첫째, 외모관련행동, 스키니 진 구매시 의복추구혜택을 요인분석을 하여 차원을 밝히고, 각 요인별 내적 일관성 확인을 위해 Cronbach's alpha 값을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다음, 여자 중·고등학생의 외모관련행동과 건강유해성 지각정도, 스키니 진 구매시 추구혜택 및 만족도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이 스키니 진 착용시 건강유해성 지각정도와 스키니 진 구매시 추구혜택 및 착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건강유해성 지각과 스키니 진 구매시 추구혜택이 스키니 진 착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4. 연구결과 및 논의

       4.1. 관련변인의 하위차원 규명

    4.1.1. 여자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의 하위차원

    여자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 하위차원을 알아보기 위하여 총 18문항에 대하여 주성분분석과 Varimax 회전법에 의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문항의 내용 검토 후 요인과 문항 내용이 부합되지 않고 신뢰도를 저해하는 한 문항을 제거하여 요인분석을 다시 실시하였다(Table 1). 요인화한 범주 내에서 각 속성들 사이에 상호신뢰도를 갖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신뢰도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측정변인의 Cronbach's alpha 계수가 0.64이상으로 만족할 만한 신뢰도를 보였다(Hair et al., 1998).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은 총 4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으며 각 요인은 포함된 속성의 의미를 고려하여 명명하였다. 요인 1은 사람들과 유행하는 옷 이야기하기를 좋아하고 유행하는 옷 및 패션제품 코디에 대한 관심이 많으며 패션잡지를 즐겨본다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패션관심’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2는 체중변화에 민감, 비만에 대한 우려, 체형유지를 위한 다이어트 경험과 관련 있는 문항들을 포함하고 있어 ‘체형관심’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3은 외모로 눈에 뛰고 싶어 하며 외모 가꾸기에 노력하고 본인의 차림새에 민감하다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외모관심’으로, 요인 4는 건강을 위해 식사에 신경 쓰고 정기적인 운동 및 충분한 수면을 하며 친환경제품 사용과 같은 문항으로 ‘건강관심’으로 명명하였다. 이와 같이, 현대사회의 청소년들은 건강 또한 외모관련행동 중 한 요인으로 생각하고 있

    [Table 1.] Factor analyses for female adolescents’ appearance-relative behavior

    label

    Factor analyses for female adolescents’ appearance-relative behavior

    었다. 패션관심은 고유치 5.44로 전체분산의 32%를 설명하는 차원으로,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 중 의복에 대한 관심이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연구를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1.2. 여자 청소년들의 스키니 진 구매 시 추구혜택의 하위 차원

    스키니 진 구매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의복추구혜택에 대한

    [Table 2.] Factor analyses for female adolescents’ clothing benefits of skinny jean

    label

    Factor analyses for female adolescents’ clothing benefits of skinny jean

    16개 문항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Table 2), 총 5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요인별 Cronbach’s alpha 계수가 0.65이상으로 나타나 내적일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각 요인은 포함된 속성의 의미를 고려하여 명명하였으며, 요인 1은 통기성 및 땀 흡수 우수성과 피부자극이 없어야 한다는 등의 문항으로 ‘건강 위생성’이라고 명명하였다. 요인 2는 스키니 진 착용으로 인해 날씬해 보이고 다리가 길어 보이며 체형을 커버 할 수 있다는 내용의 문항으로 ‘심미성’이라고 명명하였다. 요

    [Table 3.]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redicting the effects of female adolescents’ appearance-relative behaviors on their awareness of health harmfulness of skinny jeans

    labe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redicting the effects of female adolescents’ appearance-relative behaviors on their awareness of health harmfulness of skinny jeans

    인 3은 유행 타지 않으며 구김이 적고 세탁의 용이성에 대한 문항으로 ‘실용성’으로, 요인 4는 입었을 때 활동적이고 착용이 편하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활동성’으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요인 5는 유명한 브랜드 제품, 돋보이는 디자인, 유행을 반영한 스타일과 같은 제품의 유행 추구에 대한 내용으로 ‘유행추구’로 명명하였다. Zhang(2011)은 일반 청바지의 의복중요속성으로 관리적 속성, 심미적 속성, 상징적 속성을 제시하였으 며, Park and Park(2009)은 일반 청바지 구매시 평가기준으로 심미적 기준, 상표의 명성 및 유행 반영의 내용을 포한한 외재적 기준, 품질성능적 기능을 제시하였다. 앞서 선행연구에서 고찰한 일반 청바지 구매시 제품의 중요속성들은 본 연구에서 도출된 스키니 진 구매시 추구혜택에서 심미성, 실용성, 유행추구의 요인과 내용상 일치하나, 이 세 요인들 외에 스키니 진이 착용시 몸에 타이트하게 붙는다는 제품 특성으로 인해 활동성과 건강위생성이 스키니 진 구매시 의복추구혜택으로 추가 제시될 수 있음을 밝혔다.

       4.2. 여자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이 스키니 진의 건강유해성 지각정도에 미치는 영향

    여자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에 대한 전체 응답 결과, 전반적인 외모관심(평균=3.56)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 체형관심(평균=2.98), 패션관심(평균=2.93), 건강관심(평균=2.85)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스키니 진의 건강유해성 지각정도의 전체 응답을 살펴본 결과(평균=2.68), 5점 척도의 평균인 3점보다 다소 낮게 나타나 청소년들은 스키니 진과 같은 구속의복이 건강에 미치는 해에 대해서 많이 인지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청소년들은 전반적으로 구속성 의복이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지각하고 있지 않는 경향이 다소 있었으므로 건강에 미치는 의복의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에 대한 정보를 교과과정에 부가해야 할 것이다.

    여자 중·고등학생들의 외모관련행동이 스키니 진의 건강유해성에 대한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Table 3),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 요인들 중에서 체형관심만이 구속성 의복의 건강유해성에 대한 지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체형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구속성 의복의 건강유해성에 대한 지각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유행스타일이 몸에 타이트하게 붙는 의복형태로 전개되면서 체형에 대한 관심이 많은 여학생일수록 좀 더 신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몸을 구속하는 의복을 선호하면서도(Cho & Koh, 2001; Chung, 2003), 한편으로는 이러한 구속성 의복이 자신의 건강에 해를 끼침을 직접 경험함에 따라 구속성 의복의 건강에 대한 악영향에 대하여 더 많이 지각하게 됨을 예측할 수 있겠다.

       4.3. 여자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이 스키니 진 의복추구혜택 및 착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여자 청소년들의 스키니 진 구매시 의복추구혜택에 대한 전체 응답 결과, 심미성(평균=3.50)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건강위생성(평균=3.39), 실용성(평균=3.34), 활동성(평균=3.19), 유행추구(평균=3.00) 순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은 스키니 진 구매시 심미성을 가장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스키니 진 추구혜택의 다섯 요인 모두 5점 척도의 3점 이상으로 여자 청소년들은 스키니 진 구매시 추구혜택에 대하여 꼼꼼하게 파악하여 구매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스키니 진 착용시 만족도(평균=3.35)는 5점 척도의 3점보다 조금 높게 나타나 스키니 진을 입었을 때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자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이 스키니 진 구매 시 고려하는 의복추구혜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Table 4), 스키니 진 의복추구혜택 중 건강위생성에 대하여, 건강관심은 정적 영향을, 외모관심은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스키니 진 구매시 건강위생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나, 반면 외모관심이 높을수록 건강위생성을 덜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미성에 영향을 미치는 외모관련행동 요인을 살펴본 결과, 외모관심, 체형관심, 패션관심 순으로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이는 여자 청소년들이 전반적인 외모, 체형과 패션에 관심이 높을수록 심미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의미하며, 외모관심, 신체매력 및 체중관심과 같은 신체이미지 꾸미기에 관심과 노력을 더 많이 할수록 의복을 통해 자기표현을 추구한다는 선행연구(Nam et al., 2009)의 연구와 일맥상통하다.

    스키니 진 구매시 추구혜택 중 실용성에는 패션관심과 함께 건강관심이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이는 패션관심과 건강관심이 높을수록 구김이 적고 세탁이 쉬우며 유행을 타지 않는 실용성을 중요하게 생각함을 의미한다. 활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외모관련행동으로는 패션관심, 외모관심(-), 건강관심 순으

    [Table 4.]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redicting the effects of female adolescents’ appearance-relative behaviors on clothing benefits of skinny jeans

    labe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redicting the effects of female adolescents’ appearance-relative behaviors on clothing benefits of skinny jeans

    로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패션과 건강에 대하여 관심이 많을수록 활동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자신의 외모 전반에 대한 관심이 많을수록 활동성은 오히려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관련행동이 스키니 진 구매혜택 중 유행추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패션관심과 건강관심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패션과 건강에 대하여 관심이 많은 여학생일수록 스키니 진 구매혜택 중 유행추구를 더 중요시 여기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 응답자들 자신의 외모에 대하여 관심이 많을수록 스키니 진 구매 시 건강위생성과 활동성을 염두에 두지 않았으며 패션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수록 심미성, 실용성, 유행추구, 활동성을 모두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Table 5.]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redicting the effects of female adolescents’ appearance-relative behaviors on their satisfaction wearing skinny jeans

    labe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redicting the effects of female adolescents’ appearance-relative behaviors on their satisfaction wearing skinny jeans

    같이 청소년들의 외모, 체형, 패션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건강에 관한 관심 역시 의복구매 시 고려하는 추구혜택에 영향을 미치므로 청소년기에 건강과 관련된 의생활 교육을 실시하여 올바른 의복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할 것이다.

    여자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이 스키니 진 착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Table 5), 여자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 중 패션관심 변인만이 스키니 진 착용시 만족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자 중고등학생들은 패션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스키니 진을 착용하였을 때 만족감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스키니 진이 현재 유행하고 있는 패션 아이템이기 때문에 청소년들이 패션에 대한 관심이 건강, 전반적인 외

    [Table 6.]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redicting the effects of female adolescents’ clothing benefits of skinny jeans on their satisfaction wearing skinny jeans

    labe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redicting the effects of female adolescents’ clothing benefits of skinny jeans on their satisfaction wearing skinny jeans

    모, 체형 등의 다른 외모관련행동 요인보다 스키니 진 착용시 심리적 만족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4.4. 여자 청소년의 스키니 진 의복추구혜택 및 건강유해성 지각이 착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여자 청소년 소비자들의 스키니 진 구매 시 고려한 의복추구혜택이 스키니 진의 착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위생성, 심미성, 실용성, 활동성, 유행추구를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스키니 진의 착용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6). 스키니 진 구매시 추구혜택 중 심미성, 건강위생성은 스키니 진의 착용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성은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의복 구매 시 활동성을 추구할수록 착용만족도가 높은 반면 심미성과 건강위생성을 더 많이 추구하는 여학생일수록 착용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학교뿐만 아니라 학원 등 생활 활동이 많은 시기이기 때문에 청소년들은 입고 벗기 편하거나 활동하는데 불편함이 없는 의복혜택을 추구하므로 이에 따라 착용만족도도 향상됨을 예측할 수 있다.

    스키니 진의 건강유해성에 대한 지각정도가 착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유해성에 대한 지각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스키니 진의 착용만족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Table 7), 여자 청소년들의 스키니 진 착용에 대한 건강유해성 지각 정도가 착용만족도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이 스키니 진 착용으로 인해 건강에 해를 끼치는 것에 대하여 이미 경험하고 인지하였기 때문에 스키니 진의 착용만족도가 떨어지게 된 것으로 설명할 수 있겠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스키니 진 착용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스키니 진의 날씬하게 보이고 다리가 길어보이게 하는 의복의 시각적 효과는 유지하되, 스키니 진 착용시 건강에 해가 되지

    [Table 7.] Simple regression analyses predicting the effects of female adolescents’ awareness of health harmfulness on their satisfaction wearing skinny jeans

    label

    Simple regression analyses predicting the effects of female adolescents’ awareness of health harmfulness on their satisfaction wearing skinny jeans

    않는 패턴 및 스트레치 소재 등을 사용한 상품개발에 노력하고 이러한 스키니 진 상품에 대한 정보제공을 전략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5.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여자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 스키니 진에 대한 건강유해성 지각 및 구매행동에 대한 일반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이 건강유해성 지각 정도와 스키니 진 구매시 추구혜택 및 착용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스키니 진을 착용하였을 때 청소년들의 착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스키니 진과 같은 구속성 의복의 겉옷류에 대한 청소년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전략적 제언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구속성 의복이 청소년 건강을 저해할 수 있음을 인지시키고 성장 중인 청소년들의 발육과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여자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패션관심, 체형관심, 외모관심, 건강관심의 네 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외모관련행동 중 자신의 전반적인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스키니 진 구매시 추구혜택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건강위생성, 심미성, 실용성, 활동성, 유행추구의 다섯 차원이 추출되었다. 여자 청소년 응답자들은 스키니 진 구매시 심미성을 가장 중요시 여기며 그 다음 건강 위생성, 실용성, 활동성, 유행추구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심미성, 건강위생성, 실용성, 활동성 등의 구매혜택을 강화한 상품 전략으로 청소년 소비자의 구매를 유도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 여자 청소년들의 구속성 의복이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경향이 있었으며, 스키니 진 구매시 추구혜택 중에서 건강위생성보다는 심미성을 더 추구한다는 응답결과를 고려해 보았을 때, 구속의복을 장시간 착용시 나타나는 여자 청소년들의 생리적 장애 및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한 정보제공 및 교육이 필요하다. 여자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이 스키니 진 착용시 건강유해성 지각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체형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스키니 진을 입었을 때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에 대하여 더 잘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외모관련행동이 스키니 진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여자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의 하위차원들이 스키니 진 구매시 의복구매혜택과 착용만족도과 같은 의복구매행동에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여자 청소년들의 경우 자신의 신체에 중요성을 부가하고 열중하게 되어 구체적으로 의복을 통해 이상적인 신체모습을 이루려는 방향과 기대가 설정되기 때문에 외모관련행동은 의복구매행동에 영향을 주게 된다(Cho & Koh, 2001).

    외모관련행동이 스키니 진 구매혜택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스키니 진 구매시 건강위생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반면 외모관심이 높을수록 건강위생성을 덜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 체형과 패션에 관심이 높을수록 심미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며, 패션관심과 건강관심이 높을수록 실용성을 중요시 여겼다. 패션과 건강에 대하여 관심이 많을수록 활동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자신의 외모관심이 높을수록 활동성은 오히려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고, 패션과 건강에 대하여 관심이 많은 여학생일수록 스키니 진 구매혜택 중 유행추구를 더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요약해 보았을 때, 자신의 외모에 대하여 관심이 많을수록 스키니 진 구매 시 건강위생성과 활동성을 염두에 두지 않았으며 패션에 대한 관심이 높은 청소년 소비자들은 심미성, 실용성, 유행추구, 활동성을 모두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여자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에 따라 의복구매혜택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청소년 소비자들의 외모관련행동을 기준으로 한 고객 세분화를 통해 제품 및 마케팅 전략을 차별적으로 구상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외모관련행동에 건강에 대한 관심을 추가하여 살펴보았으며 건강관심과 같은 요인이 구속성 의복의 의복구매혜택의 중요 영향변인임을 새로이 밝혔다.

    여자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이 스키니 진 착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패션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스키니 진을 착용하였을 때 만족감이 높게 나타났으므로 패션관심이 높은 청소년을 일차적 목표고객으로 하여 제품판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스키니 진 구매시 추구혜택이 착용시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의복 구매 시 활동성을 추구할수록 착용만족도가 높은 반면 심미성과 건강위생성을 덜 중요하게 생각하는 여학생일수록 착용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여자 청소년들은 스키니 진 착용에 대한 건강유해성에 대하여 많이 알수록 착용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들을 위한 스키니 진 제품 개발 시, 활동하기 편안하고 건강에 해가 되지 않는 디자인 및 패턴, 그리고 소재 등을 고안하여 스키니 진 착용만족도를 극대화함으로써 청소년 소비자를 소구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몇 가지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서울과 분당 소재의 인문계 여자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이 있으므로 연구의 대표성 문제를 줄이기 위해 타 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후속연구 진행이 요구된다. 또한 성별, 연령별, 가계소득이나 라이프 스타일 등의 다른 인구통계적 혹은 사회심리적 요인에 따른 청소년들의 외모관련행동과 의복구매행동의 차이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Bae S. (199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clothing behaviors for a group of high school girls google
  • 2. Cho S. M., Koh A. R. (2001)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body images on clothing benefits sought: the comparison of age difference in female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5 P.1227-1238 google
  • 3. Chung J. Y. (2003) The body management behaviors and clothing benefits sought according to body cathexis and appearance interest of high school students google
  • 4. Hair J. F., Anderson R. L., Tatham W. C.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 google
  • 5. Han M (2002) A study on clothing behavior according to self-esteem factors of adolescents google
  • 6. Hong J. Y. (2002) A study on the appearance satisfaction and appearance making behavior of boys and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google
  • 7. Horn M. J., Gurel L. M. (1981) The second skin (3rd ed.) google
  • 8. Hurlock E. B. (1976) The psychology of dress google
  • 9. Jang S., Song M. (2004) Relationship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11 P.115-133 google
  • 10. Jhun Y. (2003) The use of visual media and social values with the clothing attitudes and bodily attitudes of teenaged girls google
  • 11. Ju S., Chung M. (1999) The apparel purchasing behavior of adolescent groups segmented by their brand ori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3 P.230-241 google
  • 12. Kim A., Lee S. G., Koh A. (2006) Effects of media involvement, body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preteen boys and gir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30 P.1538-1549 google
  • 13. Kim E. (2003) The consumer practice and the evaluation of blue jean wear putting on google
  • 14. Kim H. (2007) A study on the clothing attitudes and clothing-buying behavior of adolescents google
  • 15. Kim J. (2001) A study on the body cathexi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of high school girls google
  • 16. Kim J. M. (2010) Awareness and wearing of functional fabrics related with health and exercise life of silver generation google
  • 17. Kim N., Rhee K. C. (2001) A study on the adolescent consumers’ behavior conformity in brand choice: Focus on casual wea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Vol.39 P.253-269 google
  • 18. Kim S. (2005) The mediate effect of gender on the differences of consumers grouped by the level of fashion intere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55 P.33-46 google
  • 19. Kim T., Song M. (2010) Effect of wearing compression clothing on body shap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ol.12 P.233-239 google
  • 20. Kweon S. A., Sohn B. H., Park S. E. (2010) A study on wearing condition and demanding on improvement in skinny jean of college wom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14 P.111-121 google
  • 21. Lee H. S., Ahn K. H., Ha Y. W. (2010) Consumer Behavior: Marketing Strategic Approach google
  • 22. Lee I. S. (2010) Keeping a healthy body in your youth until eighty years old: Don’t make your body tight [The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Vol.34 P.12-13 google
  • 23. Lee M. (2000) The effect of TV media on body images, clothing behaviors and star-entertainer imitation behaviors google
  • 24. Lee M. H. (2003) A Study of Appearance Behavior and Lifestyle of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7 P.1101-1111 google
  • 25. Lim S. J. (1992) Study on the clothing behavior of Korean college women: Concentrating on the clothing behavioral and sociopsychological factors google
  • 26. Maeng L. S. (2008) The influence of clothing color preference of adolescents on the self expression desire and fashion interest google
  • 27. Na Y. J., Lee D. W. (2010) Clothing pressure sensation and discomfort experience of skinny jean [Journal of Korean Living Science] Vol.19 P.655-665 google
  • 28. Nam S., Lee E., Hwang H. (2009) Clothing buying model according to the adolescent consumers’ body image and selfesteem: Focused on absorption in mass media and perception of BMI differences [Consumption Culture Study] Vol.12 P.123-145 google
  • 29. Park H. (2001)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of adolescents according to clothing pursuit benefit google
  • 30. Park N., Park J. (2009) Purchasing behavior and evaluative criteria of jeans consumer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Vol.17 P.548-560 google
  • 31. Richards M. H., Boxer A. W., Petersen A. C., Albrecht R. (1990) Relation of weight to body image in pubertal girls and boys from two communities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6 P.313-321 google cross ref
  • 32. Ryan M. S. (1966) Clothing: A study in human behavior google
  • 33. Seong K. Y. (1997) A study on the specificity of adolescence’ clothing behaviors and the relationship subscales google
  • 34. Shim B. J., Choi S. H. (1991) Studies on garment restraint(I): Change of skin temperature by continuous restraint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Vol.29 P.13-25 google
  • 35. Shim B. J., Choi S. H. (1994) Studies on garment restraint(IV): Effect of slacks restraint on lower extrem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18 P.387-394 google
  • 36. Shin J. Y. (2006) A study on the foundation education and wearing of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google
  • 37. Sohn M., Park H. (2001)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of adolescent groups according to shopping ori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ol.25 P.1179-1190 google
  • 38. Song Y. (2011) Adolescents’ purchasing behavior of hair-care products google
  • 39. 2011 Wearing skinny jeans, harmful effects of pregnancy google
  • 40. Yoon J. (2007) Female college students’ jean pants style: with a focus on skinny jean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Vol.9 P.189-201 google
  • 41. Zhang G. (2011) Jean design developmen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jean prefer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Factor analyses for female adolescents’ appearance-relative behavior
    Factor analyses for female adolescents’ appearance-relative behavior
  • [ Table 2. ]  Factor analyses for female adolescents’ clothing benefits of skinny jean
    Factor analyses for female adolescents’ clothing benefits of skinny jean
  • [ Table 3. ]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redicting the effects of female adolescents’ appearance-relative behaviors on their awareness of health harmfulness of skinny jean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redicting the effects of female adolescents’ appearance-relative behaviors on their awareness of health harmfulness of skinny jeans
  • [ Table 4. ]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redicting the effects of female adolescents’ appearance-relative behaviors on clothing benefits of skinny jean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redicting the effects of female adolescents’ appearance-relative behaviors on clothing benefits of skinny jeans
  • [ Table 5. ]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redicting the effects of female adolescents’ appearance-relative behaviors on their satisfaction wearing skinny jean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redicting the effects of female adolescents’ appearance-relative behaviors on their satisfaction wearing skinny jeans
  • [ Table 6. ]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redicting the effects of female adolescents’ clothing benefits of skinny jeans on their satisfaction wearing skinny jean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predicting the effects of female adolescents’ clothing benefits of skinny jeans on their satisfaction wearing skinny jeans
  • [ Table 7. ]  Simple regression analyses predicting the effects of female adolescents’ awareness of health harmfulness on their satisfaction wearing skinny jeans
    Simple regression analyses predicting the effects of female adolescents’ awareness of health harmfulness on their satisfaction wearing skinny jeans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