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A Study of the Expressions of the Silhouette in the Fashion Illustrations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A Study of the Expressions of the Silhouette in the Fashion Illustrations
KEYWORD
silhouette(실루엣) , fashion illustration(패션 일러스트레이션) , metaphorical fantasy(은유적 환상) , essential minimization(본질적 최소화) , anonymous representation(익명적 재현)
  • 1. 서 론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 중에는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대상을 표현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대상을 단순화 시켜 표현하는 경우도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표현 중의 하나인 실루엣 표현에 관한 연구이다. 실루엣은 빛에 의해 만들어지는 그림자를 말한다. 실루엣 표현은 실체를 구체적으로 표현하지 않기 때문에 보는 이에게 새로운 이미지를 연상시키기도 하며 때로는 실제 이미지보다 더 강렬하게 이미지를 전달하기도 한다.

    미술에서의 실루엣 표현은 초기에는 기록, 기억의 의미가 강했다. 실루엣 표현이 대중적으로 받아들여지게 된 것은 18세기 중엽이며 이 시기 실루엣 표현은 초상화 기법으로 도입되었다. 앞서 언급한 기록이나 기억의 개념 외에 실루엣은 19세기말 프랑스 회화에서 상징적인 표현이나 익명의 대중을 표현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이후 마티스의 페이퍼 컷팅 회화에서 다시 등장하여 예술의 하나의 기법이 되었으며 미국의 흑인 작가인 카라 워커는 검은색 실루엣을 이용하여 성에 대한 편견을 비판하는 작품을 제작하기도 했다. 또한 실루엣에 움직임을 부여하여 제작된 애니메이션은 내부가 보이지 않는 실루엣 표현으로 인해 보는 이에게 상상을 유발하면서 환상적인 세계를 보여주기도 했다.

    이처럼 실루엣은 하나의 기록을 위한 그림에서 예술기법으로 성장했으며, 패션일러스트레이션에서도 작가들마다 표현방법과 의미를 달리하며 시지각적인 임팩트를 형성하는 주요한 표현방법 가운데 하나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또한 보이지 않는 부분에 대한 감상자만의 지식과 경험이 더해져 각기 다양한 상상력을 발휘하게 하는 등 흥미로운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까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경우 실루엣 표현이 다양한 방법으로 소개되고 있지만 이에 관한 구체적인 사례 분류와 의미에 관한 논의는 없는 실정이다. 단지 단순화된 표현 기법의 하나로 실루엣 표현을 언급하거나(Kang & Kim, 2002), 현대화의 하나의 양상으로 단순하게 실루엣 표현을 언급한 연구(Sung, 2010) 등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서 실루엣이 가지는 표면적 특징에 초점을 두고 있어 다양한 의미 해석과 효과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예술 분야에서의 실루엣 표현을 통사적으로 고찰하고 그 속에서 형태적인 특징과 의미를 분석하여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한 후, 현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실루엣 표현을 해석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통해 실루엣 표현에 대한 감상자들의 인식을 새롭게 하고 패션 전공인들에게는 다양한 표현방법과 효과에 대한 교육적 지침 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으로서는 실증적인 고찰을 위해 실루엣 표현이 나타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1990년부터 현재까지를 대상으로 하며, 유명 패션 일러스트레이터들의 작품을 수록하고 있는 Nicholas(1994), Le Musees de la Ville de Paris (1995), Borrelli(2004a, 2004b), Dawber(2004a, 2004b), Klanten et al(2004), Robert and Hendrik(2005, 2008), Walton and Cogriantry(2008) 등의 서적의 일러스트레이터의 작품과 작가 개인 홈페이지, 광고에 활용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등 다양한 작품을 수집, 분류하여 그 특성을 고찰했으며 또한 그 표현이 가지는 의의를 분석했다.

    2. 실루엣에 대한 이론적 배경

       2.1. 실루엣의 개념 및 기원

    실루엣이라는 용어는 그림자를 의미하는 불어식 표현이다. 또한 실루엣은 18세기 무렵부터는 옆모습의 형태를 종이를 이용해 잘라 붙여 제작한 소형의 초상화를 말한다(Rutherford, 2009). 이 이름은 당시의 실루엣 장관(Etienne de Silhoutte, 1709-1767)이 제작 방법이 간단하여 경제적인 점을 감안해 실루엣화를 장려했다는 점이 고려되어 후에 실루엣이라 명명되었다고 한다. 이 후 실루엣은 모든 사물의 외곽선을 지칭하는 말이 되었고 현재는 인물 또는 사물의 외관을 대충 나타낸 그림을 가리키게 되었다. 특히 복식용어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에는 복장의 세부적인 부분의 디자인을 제외한 윤곽 또는 외형을 말한다(Yu, 2006).

    실루엣의 사실적인 표현은 석기시대의 동굴벽화들, 특히 프랑스와 스페인의 것들에서 처음 시작한 것으로 생각되는데, 근원은 구석기 시대와 고대 그리스와 에트루리아 도자기에 그려진 검정색의 프로필 초상화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에 관해서는 1806년 괴테가 동시대의 실루엣 표현과 고대의 재현을 연결시켜 인식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Rutherford(2009)에 의하면 가장 초기의 예술가는 기원전 600년경의 Dibutade라 할 수 있다고 한다. Dibutade는 자신의 딸이 사랑하는 이가 여행을 떠나기 전, 그를 기억하기 위해 촛불에 의해 벽에 만들어지는 프

    로필 초상을 선으로 그리자 그 위에 외곽선을 따라서 진흙을 덮어 그림으로 남겼다고 한다. 엄밀히 말하자면 Dibutade의 도자기에 프로필을 새기는 이러한 작업은 실루엣 초상의 시초적인 작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관해 Schama(2004)는 이 에피소드는 초상화가 어떤 존재의 부재중에 얼마나 그 사람을 생각나게 하는 매개체가 될 수 있는가를 이야기 해주는 테마라고 지적한다.

    촛불이나 등불을 활용한 초기의 기법은 17세기 유럽에서 널리 유행했다. 이 그림자 초상은 송아지 가죽이나 종이 등 여러 재료들에 그려졌으며 액자에 보관되었다. 1631년에는 처음으로 기계로 실루엣화를 그릴 수 있는 축도기가 개발되었으며 18세기에는 프랑스 사람에 의해 인상추적기가 발명되어 정확한 윤곽 드로잉을 기계로 수월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되었다. 1826년경에 검정색으로 처리된 종이가 개발되었으며 종이로 작업된 초상화가 보다 더 대중화되었다(Rutherford, 2009).

       2.2. 예술에 표현된 실루엣의 시대적 표현 특성

    2.2.1. 18세기-19세기

    18세기 독일의 문호 괴테(1749-1832)는 손가락 두 개를 들어올려 토끼의 머리를 만들어내어 친한 사이였던 콘스탄틴 남작의 실루엣(Fig. 1)을 표현했다(Jin, 2005). 덴마크의 동화 작가 안데르센(1805-1875)도 실루엣화를 즐겼다고 한다. 그의 문학적 상상력은 늘 조형적 상상력에서 기인했다. 그는 구상한 동화의 장면을 드로잉하거나 인형극의 형상을 바느질로 직접 만들기도 했으며 때로는 가위로 종이를 오려 상상하는 장면이나 무대를 실루엣 예술로 남겼다고 한다(Cho, 2008). 안데르센이 남긴 1000여 작품의 실루엣 작품들은 낭만적 판타지 세계를 보여준다.

    실루엣 표현은 옆 모습의 초상화가 성행한 18세기의 초상화를 통해 대중화된다. 실루엣으로 처리된 측면 초상화가 크게 유행한 시기는 1750년부터 1850년경까지이며 싼값에 신속히 초상화를 만들 수 있는 이점 때문에 흔히 가난한 자의 세밀화라 불렸다. 실루엣은 신고전주의 취향에 부합되어 인기가 상승했고 1800년 이후 다양한 기법이 개발되었다(Lee, 2002). 18세기에 제작된 측면 초상화를 수집한 카탈로그 레조네

    에서 Rutherford. E.는 다양한 기법으로 제작된 초상화를 수집하고 있다.

    그림으로 그린 ‘그림자’와 종이를 오려 만든 실루엣은 18세기의 유럽과 미국에서 개인적인 기념물로서 널리 유행했다(Kim, 2009). Fig. 2, Fig. 3과 같은 초상화가 제작되었는데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검정색으로 실루엣으로 처리된 경우와 화이트와 가까운 색으로 표현된 경우로 나타나고 있다. 초기의 측면 초상화의 제작 방식은 실루엣상의 화면을 오려내어 뒤에 종이를 대어 그림을 표현하는 형식이었다. 이와 같이 전통적 개념의 실루엣 표현은 블랙이나 화이트로 표현된 인물 옆면의 외곽 묘사를 의미함을 알 수 있다. Fig. 4와 같이 부분적으로 의상의 장식을 세밀하게 표현한 경우도 찾아볼 수 있다.

    19세기 중반에 은판사진법과 사진촬영술이 발전하면서 그림자 그림과 실루엣은 일종의 민예가 되었으며, 주로 길 가장자리나 간이식당, 시장 등지에서 뜨내기 미술가들에 의해 만들어졌다(Kim, 2009). 이렇게 19세기 후반까지 소박한 민예로 남아있던 실루엣 표현은 나비스와 세기말 프랑스 화가들에 의해 재조명되었다.

    나비스를 중심으로 한 프랑스 상징주의 화가들은 당시에 주류를 이루고 있었던 인상주의 화가들이 빛에 의해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표면의 변화에 주목했던 반면 내면에 대한 철학적인 면에 보다 더 관심을 가졌다. 대표적인 방법 중의 하나가 인물을 그림자, 즉 실루엣으로 처리하는 방법이다. 에밀 베르나르의 작품 (Fig. 5)에는 실루엣으로 표현된 남녀가 산책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으며 다리 아래가 음영으로 표현되어 있는 반면 그림자로 표현된 남녀의 묘사에는 그림자가 생략되어 있다.

    19세기말에는 인쇄기술의 발달로 컬러풀한 포스터가 많이 제작되게 되는데 빛은 문명, 근대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상징이 되었고 빛과 동시에 발생하는 그림자는 같은 맥락으로 해석될 수 있었다. 민속, 신화, 전설 속에서 인간 그림자는 영혼, 삶의 본질, 개인의 힘이라는 생각을 일반적으로 포함한다(Forgione, 1999). 19세기말 대중문화를 나타내는 포스터에는 이러한 그림자 표현이 적지 않게 나타난다. Fig. 6의 로트렉의 포스터와 같이 그림자로 표현된 익명의 도시인들이 대중문화를 즐기는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아르누보 시기에 나타난 포스터들은 이

    러한 실루엣 기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포스터에 필요했던 요구 사항이었던 간결함을 표현하기 위해 윤곽선과 실루엣이라는 방법으로 사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Chang, 2008).

    2.2.2. 20세기 이후

    1950년 이후 실루엣 표현을 입체적으로 회화에 도입한 마티스의 회화가 주목을 받는다. 이는 지금까지 실루엣이라 하면 흑백의 컬러로만 표현한 경우와는 달리 다양한 컬러의 색상으로 표현했으며 아카데미 회화 표현 방식으로 사용되지 않았던 종이를 잘라 표현한 점이 특이할 만하다. 마티스는 색종이를 가위로 오려 붙이는 작업에 몰두했으며 그의 작품(Fig. 7)은 콜라주의 형태를 띄고 있지만 마치 채색을 한 것과 같이 보이기도 한다. 붓이 아닌 가위로 그림을 그리는 시도를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마티스는 이러한 작업을 통해 인체를 단순하게 표현하고 있다(Cho, 2008). 프랑스 작가인 크리스티앙 볼탄스키의 작품, Fig. 8은 설치예술을 이용한 그림자놀이라 할 수 있다. Jin(2005)에 의하면 볼탄스키의 원래 목적은 덧없이 금방 사라지고, 실체가 없어 만질 수 없는 그런 작품을 만드는 것이었다고 한다.

    카라 워커(Kara Walker, 1969~)는 1994년에 뉴욕의 드로잉 센터에서 길이 50피트 높이 13피트의 전례에 없던 형식과 재료로 만든 큰 규모의 첫 번째 종이 실루엣 벽화 <남북 전쟁의 역사적인 로맨스는 그것이 한 흑인 여자 아이의 검은 허벅지와 심장 사이에서 일어난 순간 사라졌다>를 선보였다(Kim, 2009). Fig. 9는 작품의 일부이다. 미국의 흑인 작가인 워커는 검은색 실루엣을 자신 작업에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인종차별, 성에 대한 편견, 전형적인 것들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 등을 자신의 사회적 위치와 관련시켜 표현했다. Lee(2002)는 워커의 작품은 그 등장인물을 실루엣 표현을 이용하여 전부 흑인으로 표현하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으며, 미술에서 Low Art로 여겨졌던 실루엣을 미국의 인종차별적 금기를 공격하는 무기로 사용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지적한다.

    실루엣 미술의 기본적인 원칙들은 주로 20세기에 월트 디즈니와 로테 라이니거(Lotte Reiniger)가 그린 프린스 앤 프린세스와 같은 실루엣 애니메이션을 통해 지속된다. 초기 애니메이터 감독이었던 독일의 라이니거는 실루엣 이미지를 가져와 움

    [Table 1.]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silhouette art

    label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silhouette art

    직임을 부여해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했다. 라이니거는 당시의 아방가르드의 경향과 독일의 그림자극의 전통을 받아 실루엣 애니메이션을 처음으로 만들게 된다. 관절 부위를 조금씩 움직일 수 있게 만든 종이 인형을 빛이 투과하는 배경 위에 올려놓고 조금씩 움직임을 주어 애니메이션을 만들어냈다(Chang, 2008). Fig. 10의 아크메드 왕자의 모험은 실루엣 애니메이션 제작기법을 이용한 최초의 장편 애니메이션이다. 1926년 5월에 시사회를 갖고 7월에 프랑스에 개봉되어 대단한 반향을 일으켰다고 한다. 이 작품은 검은 종이를 섬세하게 재단하여 캐릭터를 만들고, 역광을 비춰 인물, 동물, 사물의 연기를 표현했다(Yoon, 2009). 실루엣 애니메이션에 쓰이는 실루엣 이미지는 그림자극의 인형 그림자처럼 실체가 있거나 컷아웃 애니메이션의 캐릭터처럼 실제 모습을 재현한 것이 아니라 사물이나 캐릭터의 그림자처럼 보이도록 의도적으로 실루엣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그림자극에서의 실루엣은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다양한 스토리와 모습을 상상하게 만든다. 또한 움직임을 부여한 애니메이션 작품은 보는 이를 환상의 세계로 이끈다.

    애니메이션에서 실루엣 이미지가 갖는 역할 중에 캐릭터의 그림자로서 어두운 내면을 표현하는 제 2의 자아를 나타내기도 한다. 보통 애니메이션에서는 그림자를 길게 드리워 불안한 상태를 표현하거나 도둑이나 악과 같은 나쁜 인물을 나타내고자 할 때 실루엣 이미지를 표현하기도 한다. 특히, 나 아닌 타자를 이질적이거나 낯선 존재를 표현하고자 할 때 의식적으로 그림자로 표현하기도 한다(Chang, 2008).

    지금까지 설명한 예술에 표현된 실루엣 표현은 시대 순으로 그 표현 특성을 Table 1에 정리했다.

    3.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실루엣의 표현유형

    본 연구에서는 미술사에 나타난 실루엣 표현의 의미를 고찰한 결과를 통하여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실루엣 표현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형태적인 유형을 분류한 다음 내용적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통사적으로 살펴본 미술에서의 실루엣의 형태가 주로 블랙과 화이트의 전통적 실루엣으로 나타난 데 반해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서는 전통적인 실루엣 표현 이외에도 다양한 컬러로 채색된 실루엣 표현이 많이 나타나는 특성을 보였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표현된 실루엣 표현의 내적 의미를 살펴보기에 앞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실루엣 표현을 흑백, 컬러, 패턴, 페이퍼, 라인 실루엣의 5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후 종합적으로 실루엣 표현이 나타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의미를 은유적 환상, 본질적 최소화, 익명적 재현의 세 개의 항목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3.1. 실루엣 표현 분류

    3.1.1. 흑백 실루엣(black & white silhouette)

    가장 먼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실루엣의 표현 유

    형의 하나로 흑백 실루엣을 들 수 있다. 흑백 실루엣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통적 개념의 실루엣 표현이다. 미술에 나타난 전통적 개념의 실루엣과는 달리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는 Fig. 11, Fig. 12와 같이 흑백의 실루엣이 함께 표현된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실루엣 표현은 미술사에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전통적인 실루엣 표현을 이어오고 있는 경우이다.

    3.1.2. 컬러 실루엣(color silhouette)

    앞서 언급한 블랙 앤 화이트 실루엣이 전통적인 실루엣 개념을 표현한 경우라면 지금부터 언급하는 실루엣 분류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서 나타나는 차별된 경우이다. 컬러 실루엣은 실루엣으로 처리된 형태를 블랙으로 처리하지 않고, 실루엣을 밝은 컬러로 채색한 경우로 말한다. Fig. 13의 Bo Lundbag의 작품에서와 같이 내추럴한 컬러로, 무채색인 블랙과 화이트가 아닌 채도가 있는 컬러로 채색된 경우를 말하며 Fig. 14의 Piet Paris의 작품과 같이 그러데이션을 주어 표현한 경우 등이 있다.

    3.1.3. 패턴 실루엣(pattern silhouette)

    컬러 실루엣이 흑백의 컬러 대신 채도가 있는 컬러로 실루엣을 채색한 경우라면 패턴 실루엣은 좀 더 다양한 컬러와 모티브 등으로 채색한 경우이다. 최근의 작품 중 이러한 패턴 실루엣의 방법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일러스트레이터로 카림 일리야(Kareem Iliya)를 들 수 있다. 일리야는 지금까지 W magazine, Marie Claire, 우리나라를 비롯한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일본 등에서 발간된 Vogue에 작품을 게재하면서 인기를 얻고 있다. 카림은 얼굴의 세부를 표현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Fig. 15와 같이 실루엣으로 표현한 얼굴 위에 독특한 컬러를 반복시켜 패턴화시켜 채색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뒷부분에 제시한 Fig. 28에서도 그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Fig. 16과 같이 옵아트를 연상시키는 패턴으로 컬러링하거나 Fig. 17과 같이 반복되는 타이포그래피로 면을 채우거나 Fig. 18과 같이 하나의 미술 작품과 같은 작품을 원패턴으로 채우는 경우를 들 수 있다.

    3.1.4. 페이퍼 실루엣(paper silhouette)

    18세기에 유행한 실루엣 초상화의 경우 실루엣 부분을 오려내고 그 뒷면에 다른 색상을 덧대어 프로필을 표현하였다면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의 경우는 얼굴 뿐 만 아니라 신체와 의상을 포함한 전체적인 실루엣을 페이퍼 컷팅의 기법으로 표현한 경우를 페이퍼 실루엣으로 분류하였다. Fig. 19의 경우와 같이 신체와 의복의 일부를 컷팅한 후 짙은 색의 종이를 뒤에 덧대어 실루엣을 표현한 경우와 Fig. 20의 경우와 같이 의상의 실루엣은 화이트로 표현하고 피부톤은 짙은 구리빛으로 처리하여 각각의 실루엣 표현을 페이퍼 컷팅 기법으로 표현한 경우 등으로 나타났다.

    3.1.5. 라인 실루엣(line silhouette)

    마지막으로는 페이퍼 실루엣과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라인 실루엣이다. 라인 실루엣은 실루엣이 되는 내부 형태를 채색하는 경우가 아니라 Fig. 21의 나이키 광고 일러스트레이션과 같이 외부를 채색함으로써 내부의 실루엣을 강조하는 방법과 Fig. 22와 같이 굵은 라인으로 실루엣을 표현하는 경우 등으로 나타났다.

       3.2. 실루엣 표현 해석

    여기에서는 예술 분야에서의 실루엣 표현을 통사적으로 고

    찰한 결과를 통해 현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실루엣 표현을 해석하고자 했다. 실루엣 표현을 통사적으로 고찰한 각각의 표현은 유희, 기록, 기억, 본질, 익명, 덧없음, 편견, 소외, 환상, 이질적 존재라는 의미를 내포했다. 이러한 표현 중에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표현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표현은 환상, 본질, 익명이라는 항목이었다. 이 각각의 항목을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도입되었을 때 나타나는 특성과 결부시켜 은유적 환상, 본질적 최소화, 익명적 재현이라는 항목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3.2.1. 은유적 환상

    앞서 예술에서 보여 졌던 실루엣이 가진 의미를 고찰한 내용 가운데 로테 라이니거의 실루엣 애니메이션을 다시 한 번 언급하면 그림자극이라는 장치는 캐릭터의 실제 모습을 제작하여 그림자로 보이게 하는 것이 아니라 그림자로 비춰질 부분을 예상하여 그림자로 제작하여 상영된다. 그림자극에서의 실루엣은 보는 사람들로 하여금 검게 그림자로 보이는 내면을 상상하도록 만든다. 이러한 그림자에 부여된 움직임은 스토리의 흐름을 보여주기에 유용하다.

    앞서 예술에서의 실루엣 표현에 나타난 그림자 중에서 애니메이션에 도입된 실루엣 표현에서 은유적 환상이라는 개념을 도출했다. 환상의 세계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은유적 표현으로 인해 간접적으로 제시하기 때문이다. 최근의 연구에서 환상이라는 표현은 판타스틱이라는 용어로 연구되어 지고 있다. 판타스틱이라는 단어는 ‘나타나 보이게 하다’, ‘착각을 주다’, 기이한 현상이 ‘나타나다’, ‘드러나다’라는 의미로써 시각적인 부분과 관련되어 있다. 프랑스어로 ‘fantastique’라는 형용사가 쓰이기 시작한 것은 중세부터이며 ‘귀신들린’, ‘공상적인’, ‘상상 속에서만 존재하는’, ‘유형의 존재의 흔적만을 지닌’, 환상담(일반적으로 요정이야기, 유령 이야기)을 가리킨다고 한다(Choi, 2003).

    이후, 18세기말 낭만주의의 대두로 시작된 판타스틱은 Choi(2009)의 연구에 의하면 인간의 내적 심상과 금기시된 영역의 해방에 대한 욕구 표현으로 나타났으며, 비현실적이고 초자연적인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판타스틱은 특히 비이성과 공포, 상

    상력을 토대로 한 고딕 소설을 통해 사회 전반적으로 억눌린 형식적 체제를 전복시키는 기능을 했다고 한다. 또한 판타스틱은 SF적 우성변이체, 투사분열에 의한 다중체 및 파편체, 신화적 이종복합체, 인격화된 의사유기체, 초자연적 경계의 비실체로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실루엣 이미지는 세부적인 표현이 생략됨으로 인해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선입견을 갖지 않고 실루엣 표현을 해석할 수 있도록 여지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실루엣 이미지를 일러스트레이션에 도입한 작품을 살펴보면, Fig. 23의 경우는 쌍둥이 모티브를 다중체의 형태를 통한 컬러 실루엣으로 모호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Fig. 24의 경우는 빅터 앤 롤프 컬렉션에서 보여준 파워풀한 블랙 의상과 블랙의 바디페인팅을 두께감이 느껴지는 블랙 실루엣을 통해 모호한 공포감을 전달하는 초자연적 형상을 은유화하여 표현했다. 이외에도 Fig. 25의 경우는 스포티브한 운동화 모티브를 패턴 실루엣으로 표현하여 기괴한 변신이나 돌연변이를 주제로 하는 판타스틱한 신체를 나타내거나 모호하면서도 신비로운 느낌을 주는 컬러 실루엣을 통해 비실체적 형상을 표현했다.

    3.2.2. 본질적 최소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작업에 도입된 실루엣 표현의 주요한 효과 중의 하나는 우리가 보는 대상을 단순화 시켜 본질적인 요소만을 축약하여 표현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는 것이다. 예술에서 단순화란 작가가 의식적으로 그렇게 되게 만드는 것으로써 대상 그 본연의 복합성을 그대로 재현하지 않고, 간결한 표현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뜻한다(Kim, 2010). 심리학 측면

    에서 게슈탈트주의자들은 모든 물리적 활동에 있어서 모든 심리적인 현상은 단순하고 균형적이며 규칙적인 체제로 향하고자 한다는 이론을 내세우며 인간의 시 지각은 어떠한 이미지든 주어진 조건이 허락하는 한 단순화하여 수용하려는 특성이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Arnheim, 1981).

    실루엣 표현 기법은 미니멀한 패션 이미지를 전달하기에 적합하다. 현대적인 도시의 세련되고 기능적이며, 차가운 패션이미지인 미니멀은 도시색인 무채색과 차가운 색상이 기본 컬러로 표현되며 예리하고 직선적인 표현으로 나타나는 게 특징이다. 미니멀은 모던한 이미지 중 하나이며, 단순함에서 더 나아가 최소한으로 억제된 생략의 표현법을 사용한다(Kim et al., 2001). 이러한 미니멀한 패션 이미지를 전달하는 데 유용한 것이 실루엣 표현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Fig. 26은 페이퍼 실루엣으로 인체를 가장 단순한 도형의 형태로 환원하여 극도로 절제된 형태로 나타난 미니멀 테마를 보여준다. Fig. 27은 신체를 대칭반복시키고 블랙과 화이트의 컬러를 대비시킨 후 그 위에 단순한 이너웨어를 실루엣만으로 표현해 본질적인 요소를 최소화하여 표현하고 있다. 블랙 혹은 화이트 실루엣은 의복과 통합된 신체의 아웃라인만으로 패션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이때는 의복의 이미지를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미니멀한 의복과 정적인 포즈를 통해 시각적인 주목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형이상학에서는 조형예술에 있어 단순성을 통찰에 입각해서 모든 것을 본질로 예속시키는 가장 현명한 정돈 상태라고 하였는데 이는 불필요한 부분들은 제외시켜야 비로소 본질을 볼 수 있다는 것으로 정의한다고 한다(Kim, 2010). 본 연구에서 수집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실루엣 표현 중에서는 패션 아이템을 부각시키기 위해서 신체를 단순화시켜 표현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즉, 중요한 부분을 강조시키기 위해 나머지 부분을 단순화시키는 경우라고 볼 수 있는데, 가장 중요한 속성인 패션 아이템을 부각시키기 위해 부수적인 신체를 단순화의 과정을 통해 축소시키는 것이다.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서의 본질이란 신체보다는 의상을 강조하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Fig. 28과 같이 루이비통의 광고 일러스트레이션

    에서 카림 일리야는 특유의 패턴 실루엣으로 추상적으로 표현된 인체와 함께 사실적으로 그린 핸드백을 배치함으로 인해 패션 아이템을 보다 더 부각시켜 표현하고 있다. Fig. 29의 경우는 파라솔과 핸드백으로 보이는 액세서리만을 강조하기 위해 신체가 단순화되어 실루엣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Fig. 30의 경우는 재킷만을 강조하기 위해 다른 패션 아이템이 실루엣 속으로 포함되고 있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Fig. 31과 같이 주요 패션 아이템 자체를 실루엣으로 처리하여 강조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러한 실루엣 표현은 앞 서 언급한 프랑스 상징주의 회화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중요한 속성을 가진 요소를 구체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그림자 실루엣에 포함시킴으로 인해서 본질적인 요소를 축약시키는 경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3.2.3. 익명적 재현

    앞서 19세기말의 로트렉의 포스터에서 대중문화를 소비하는 주체인 대중들이 검정색 실루엣으로 표현된 예를 살펴본 바와 같이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는 패션이라는 문화를 소비하는 익명의 사람들이 구체적인 얼굴 표현이 생략된 채 표현되고 있다. Fig. 32, Fig. 33과 같이 구체적으로 배경이 되는 장소가 어디인지를 확인할 수 없지만 도시적인 느낌이 나는 건축의 실루엣과 함께 다수의 도시인이 실루엣으로 처리되어 표현되어 있다. 또한 Fig. 34는 라인 실루엣 기법으로 얼굴의 형태가 실루엣으로

    [Table 2.] contents analysis of the silhouette expression

    label

    contents analysis of the silhouette expression

    표현되기 보다는 생략된 채 주변 부분의 컬러링으로 인해 부각되어 나타나고 있다. 유사하게 보이지만 이질적인 사람들의 얼굴 외곽선은 현대를 살아하는 다양한 인간상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실루엣 표현의 유형, 내용, 의의를 고찰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의 Table 2와 같다.

    4. 결 론

    미술에서의 실루엣 표현은 역사적으로 그 유래가 오래된 표현이지만 18세기 중엽의 초상화 기법에 도입되면서 그 표현기법이 대중화되었으며 19세기말 프랑스 회화에는 상징적인 표현 기법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실루엣 기법은 인체를 단순하게 표현하거나 실체를 만질 수 없는 그림자로 표현하여 덧없음을 표현하거나 흑인으로 살아가면서 느꼈던 편견이나 소외를 나타내기도 했으며, 그림자에 움직임을 부여하여 환상적인 표현으로 연출하는 등 다양화되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서 실루엣 표현을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수집하여 고찰한 결과,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실루엣 표현을 유형별로 흑백 실루엣, 컬러 실루엣, 패턴 실루엣, 페이퍼 실루엣, 라인 실루엣의 5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실루엣 표현을 은유적 환상, 본질적 최소화, 익명적 재현이라는 세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해석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서의 실루엣 표현은 판타스틱한 패션 이미지, 미니멀 패션 이미지를 연출하는 데 있어서 유용한 방법이며 패션 아이템을 강조해야 하는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고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패션 아이템 이외의 것을 실루엣으로 처리해 부각시키지 않음으로 인해 패션 아이템이라는 본질적인 요소를 강조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그리고 익명의 다수를 실루엣으로 처리해 특정인이 아닌 불특정 다수를 표현하고 있으며 이러한 실루엣으로 표현된 불특정 다수는 도시에서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패션 소비자를 표현함에 있어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실루엣 표현은 구체적인 이미지의 표현이 나타나지는 않지만 새로운 이미지를 연상시키며 실체 이미지보다 더 강렬한 인상을 심어주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서도 꾸준히 표현되는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현대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해석하는 하나의 척도로 실루엣 표현을 도입하여, 미술사에 나타난 실루엣 표현을 통사적으로 고찰하여 이론적인 토대를 마련한 후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을 분석한 연구로써 앞으로의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표현 분석을 위한 연구의 기초적인 학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참고문헌
  • 1. Arnheim R., Kim C. I (1981) Art and visual perception google
  • 2. Borrelli L. (2004a) Fashion illustration now. google
  • 3. Borrelli L. (2004b) Fashion illustration next. google
  • 4. Chang Y. I. (2008) Inner consciousness in the silhouette animation - focusing on 'princes and princesses' by michel ocelot. [Digital Contents and Culture Policy] Vol.3 P.87-99 google
  • 5. Cho W. Y. (2008) Study of modern people's neglect through silhouette image. google
  • 6. Choi J. H. (2009) The expression of fantastic body in fashion illustr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Vol.11 P.867-878 google
  • 7. Choi K. S. (2003) Fantasy google
  • 8. DawBer M. (2004a) Big book of fashion illustration. google
  • 9. DawBer M. (2004b) Imagemakers : cutting edge fashion illustration. google
  • 10. Forgione N. (1999) The shadow only: shadow and silhouette in late nineteenth-century paris. [Art Bulletin] Vol.81 P.490-512 google cross ref
  • 11. Jin J. K. (2005) Play, art and imagination. google
  • 12. Kang H. M. (2000) A Study of fashion illustration employing matisse paintings centered around simplicity of colors and shapes. google
  • 13. Kang H. M., Kim H. K. (2000) A study of fashion illustration centered around simplicity. [Design Forum] Vol.21 P.137-160 google
  • 14. Kim B. M. (2009) Study on the artistic world of kara walker. google
  • 15. Kim H. Y. (2010) Study on human body expression through deformation. google
  • 16. Kim E. K., Kim O. K., Han J. Y. (2001) Modern fashion. google
  • 17. Klanten R., Ehmann S., Meyer B. (2004) Wonderland. google
  • 18. (1995) Le dessin sous toutes ses coutures [Drawing of the all fashion styles]. google
  • 19. Lee J. Y. (2002) Expression of identity by the moderns through anonymous images. google
  • 20. Nicholas D. (1994) Fashion illustration today. google
  • 21. Robert K., Hendrik H. (2005) Illusive: contemporary illustration and its context. google
  • 22. Robert K., Hendrik H. (2008) Illusive 2: contemporary illustration and its context. google
  • 23. Rutherford E. (2009) Silhouette: the art of the shadow. google
  • 24. Schama S. (2004) Un natutal beauty [gardian, art section] Vol.16 google
  • 25. Sung K. S. (2010) Modernization of fashion illustr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Vol.10 P.87-106 google
  • 26. Walton R, Cogriantry J. (2008) The big book of illustration ideas: 2. google
  • 27. Yoon H. R. (2009) Shadow play and silhouette animation film. [Journal of the French Culture and Art] Vol.28 P.233-254 google
  • 28.
  • 29.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Fig. 1. ]  Johann Wolfgang von Goethe, count constantin, 1783.
    Johann Wolfgang von Goethe, count constantin, 1783.
  • [ Fig. 2. ]  Anonymous, unknown lady wearing hat with feathers, late 18th century.
    Anonymous, unknown lady wearing hat with feathers, late 18th century.
  • [ Fig. 3. ]  American school, unknown lady, early 19th century.
    American school, unknown lady, early 19th century.
  • [ Fig. 4. ]  James Hosley Whitecomb, a part of husband- and-wife pair, early 19th century.
    James Hosley Whitecomb, a part of husband- and-wife pair, early 19th century.
  • [ Fig. 5. ]  Emile Bernard, Iron bridge at Asnieres, 1887.
    Emile Bernard, Iron bridge at Asnieres, 1887.
  • [ Fig. 6. ]  Henri Toulouse- Lautrec, Moulin Rouge, 1891.
    Henri Toulouse- Lautrec, Moulin Rouge, 1891.
  • [ Fig. 7. ]  Henri Matisse, blue nude, 1952.
    Henri Matisse, blue nude, 1952.
  • [ Fig. 8. ]  Christian Boltanski, Angel,1984.
    Christian Boltanski, Angel,1984.
  • [ Table 1. ]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silhouette art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silhouette art
  • [ Fig. 9. ]  Kara Walker, cut, 1998.
    Kara Walker, cut, 1998.
  • [ Fig. 10. ]  Lotte Reiniger, the adventure of prince achmed, 1923-1926.
    Lotte Reiniger, the adventure of prince achmed, 1923-1926.
  • [ Fig. 11. ]  Yoko Ikeno, untitled, 1999.
    Yoko Ikeno, untitled, 1999.
  • [ Fig. 12. ]  Anja Kroencke, Lingerie, 1997.
    Anja Kroencke, Lingerie, 1997.
  • [ Fig. 13. ]  Bo Lundbag, technical : digital, 2004.
    Bo Lundbag, technical : digital, 2004.
  • [ Fig. 14. ]  Piet Paris, publisher contact number one-book cover, 2001.
    Piet Paris, publisher contact number one-book cover, 2001.
  • [ Fig. 15. ]  kareem Iliya, Slow Down, Get Fast- Nike Yoga, ca.2009.
    kareem Iliya, Slow Down, Get Fast- Nike Yoga, ca.2009.
  • [ Fig. 16. ]  Ito Keiji,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on a poolside 3, 1999.
    Ito Keiji, altered states of consciousness on a poolside 3, 1999.
  • [ Fig. 17. ]  lucy macleod, nyc style, 2003.
    lucy macleod, nyc style, 2003.
  • [ Fig. 18. ]  Chris Keegan, darfur(http://www.chriskeegan.co.uk).
    Chris Keegan, darfur(http://www.chriskeegan.co.uk).
  • [ Fig. 19. ]  Pierre- Louis Mascia, premiere classe, 2004.
    Pierre- Louis Mascia, premiere classe, 2004.
  • [ Fig. 20. ]  Maria Cardelli, wedding dress, ca.2007.
    Maria Cardelli, wedding dress, ca.2007.
  • [ Fig. 21. ]  touratier maxime, jump nike, 2000.
    touratier maxime, jump nike, 2000.
  • [ Fig. 22. ]  John Prikryl, bag program, 2005.
    John Prikryl, bag program, 2005.
  • [ Fig. 23. ]  shiv, the rorchaus test, 2003.
    shiv, the rorchaus test, 2003.
  • [ Fig. 24. ]  francois berthoud, black angel, Viktor & Rolf, 2001.
    francois berthoud, black angel, Viktor & Rolf, 2001.
  • [ Fig. 25. ]  Kerry Roper, a series of designs created for Nike Jordan, 2006.
    Kerry Roper, a series of designs created for Nike Jordan, 2006.
  • [ Fig. 26. ]  Anita Mrusek, sexy divas for squint magazine, ca.2012.
    Anita Mrusek, sexy divas for squint magazine, ca.2012.
  • [ Fig. 27. ]  Bertrand le pautremat, personal studies, 1993.
    Bertrand le pautremat, personal studies, 1993.
  • [ Fig. 28. ]  Kareem Iliya, bags: a lexicon of style, 1999.
    Kareem Iliya, bags: a lexicon of style, 1999.
  • [ Fig. 29. ]  Sophie Robert, illustration book agent 002, 2007.
    Sophie Robert, illustration book agent 002, 2007.
  • [ Fig. 30. ]  Francois Berthoud, ensemble de Gianni Versace, 1993.
    Francois Berthoud, ensemble de Gianni Versace, 1993.
  • [ Fig. 31. ]  Uwe Eger, feature for licht magazine, 2006.
    Uwe Eger, feature for licht magazine, 2006.
  • [ Fig. 32. ]  Anja Kroencke, New york city opera mailer young listeners campaign, 1999.
    Anja Kroencke, New york city opera mailer young listeners campaign, 1999.
  • [ Fig. 33. ]  Karine Faou, play at power station, ca.2000.
    Karine Faou, play at power station, ca.2000.
  • [ Fig. 34. ]  Dustin & Jemma Hostetler, studio sans nom for L'oreal, 2006.
    Dustin & Jemma Hostetler, studio sans nom for L'oreal, 2006.
  • [ Table 2. ]  contents analysis of the silhouette expression
    contents analysis of the silhouette expression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