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The Clinical Effects of Carthami-Flos Pharmacopuncture on Posterior Neck pain of Menopausal Women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The Clinical Effects of Carthami-Flos Pharmacopuncture on Posterior Neck pain of Menopausal Women
KEYWORD
Carthami-Flos , Neck pain , Pharmacopuncture , menopause , VAS , NDI , MENQOL.
  • I. 서론

    현대사회에서 과학문명과 의료기술의 발달, 사회생활의 향상 등으로 여성의 평균수명이 늘어나는 반면 한국여성 평균 폐경 연령은 48-49세로 알려져 있어, 폐경 후의 삶도 여성에게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폐경과 관련된 건강상태가 여성의 삶의 질에 큰 문제점으로 대두 되고 있다1).

    갱년기 여성의 경우 혈관계, 근골격계, 비뇨생식계 및 뇌신경계 변화에 의해 여러 가지 증상에 노출되기 쉬우며2), 이 중 경항통은 에스트로겐의 저하에 의한 결합조직에서 교원질 소실에 따른 경추 유연성의 감소, 근육 내 혈행장애에 따른 혈허성 동통으로 인해 발생하여 갱년기 여성이 많이 호소하는 증상 중의 하나이다1,3).

    경항통이란 頸項의 肌肉, 筋脈이 堅强引痛하는 것으로4) 서양의학적으로는 경추증에 해당하며 연부조직의 손상에 의해 경부의 압통과 함께 통증이 대개 견갑부나 상지로 방사되거나 특정방향으로 목을 움직일 때 통증 등이 유발되어 운동제한을 나타나는 증상을 보이는 질환으로 약물 치료, 물리 치료, 안정치료, 동적 등척성 강화운동 등을 통해 치료한다5,6).

    한의학적으로 경항통은 項强, 頭痛, 强痛, 項强痛, 痺症 등의 범주에 속하며, 원인은 勞損, 스트레스, 復感風寒濕의 후유증, 선천적 기형, 外傷, 外感등으로 인하여 脈絡不通, 氣血運行不暢으로 발생하는데7), 消散瘀血, 疏利關節, 祛 風散寒, 舒筋活絡, 理氣止痛을 원칙으로 침구요법, 약물요법, 추나요법, 약침치료 등의 방법이 있다8).

    藥鍼療法은 환자의 체질, 질병 상태 등을 변증한 후 치료 경혈 및 체표 반응점에 특정 한약에서 정제 추출한 약물을 주사기로 일정량 주입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한방의료 행위로서, 자침과 약물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고, 치료효과가 빠를 뿐만 아니라, 난치병의 치료에 유용하다는 장점이 있다9).

    홍화(Carthami-Flos, 이하 CF) 약침은 活血通經, 散 瘀止痛의 효능이 있어10), 척추질환, 관절질환 연부조직 손상, 근육경결 등의 근골격 질환과 경통, 경폐, 월경불순 등의 부인과 질환에 쓰이고 있다9).

    CF 약침에 대한 연구 중 경항통11,12)에 관한 임상고찰이나 갱년기 여성에서 골다공증에 대한 실험보고13), 희발월경 14)에 대한 증례보고는 있었으나 갱년기 여성에 대한 경항통의 임상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2010년 12월 1일부터 2011년 5월 30일 까지 세명대 충주 한방병원에 입원한 40-60세의 여성 환자 중 경항통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침구치료에 겸하여 CF 약침 치료를 병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II.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자

    2010년 12월 1일부터 2011년 5월 30일까지 세명대 충주 한방병원에 입원한 45세 이상 60세 이하의 폐경 전 후 여성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무작위 배정 방법

    시술자 외의 배정자가 1번부터 20번까지의 번호표를 만들어 추첨방식으로 약침치료와 침치료를 병행하여 실시할 10례(Group A)와 침치료만 실시한 10례(Group B)를 배정하였다. 시술자는 환자 증상 유발 시 번호 순서에 배정된 시술을 시행하였다.

       3. 선정과 제외 기준

    45세 이상 60세 이하의 폐경 전후의 여성으로 악성질환에 의한 자궁적출 혹은 항암요법으로 인한 폐경, 과거 5년 이내의 암 과거력, 심장판막질환, 허혈성 심혈관 질환이 있거나 심혈관질환의 병력, 혈압조절이 잘 안되는 고혈압, 심부정맥 혈전증 또는 폐색전증, 활동성 간질환 혹은 담낭 질환,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 기증 항진증, 당뇨병, 6 개월 이내에 원인을 알 수 없는 질 출혈, 장기 이식, 정신과 적질환 등을 제외한 환자 중 불규칙한 월경주기를 호소하며 신경근성 통증 및 단순 방사선 검사 상 구조적 결함이 없고 기질적인 경추질환 없는 경항통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전에 모든 환자에게 침, 약침치료에 대해 설명했으며 치료에 동의하지 않은 환자는 제외하였다.

       4. CF 약침 제조방법

    대한약침학회(서울, Korea)에서 다음과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하였다. 홍화자를 기류시스템에 의해 불필요한 찌꺼기를 분리해 낸 후 깨끗한 씨는 박피기에 의해 껍질을 제거하고 껍질이 제거된 씨의 알맹이를 분쇄하였다. 분쇄된 알맹이는 스크루 프레스에 넣어 열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압력만 가해 기름성분을 추출했다. 이때 거친 찌꺼기는 bin에 저장되어 버려지고, 유제는 정치탱크에 보관하여 가라앉은 앙금은 제거한 상층액을 취했다. 3일 정도 햇빛이 들지 않은 선선한 곳에 보관한 뒤 3단계 여과과정(8㎛, 0.45㎛, 0.2㎛ 여과막)을 거침으로써, 멸균된 유제를 추출했다.

       5. 시술 방법

    5.1 시술자

    한의과 대학을 졸업하고 임상경험이 1년 이상인 한의사가 시술하였다.

    5.2 기구

    약침치료에 사용된 Syringe는 1회용 Syringe(1.0㎖, 26gauge, 화진메디칼, Korea)를 사용하였으며 근위취혈 침치료에 사용된 침은 직경 0.30mm, 길이 40mm인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된 호침(동방침구제작소, 한국)을 사용하였으며, 심도는 혈위에 따라 10-30mm로 선택적으로 시행하였으며 염전제삽의 수기법은 시행하지 않았다.

    5.3 군분류 및 처치

    5.3.1 약침치료와 침치료 병행 시술군(Group A, 이하 A군)

    약침 치료는 2일마다 1회 시술하며 1회 시술 시 수화조절법9)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풍지(GB20), 견정(GB21)을 양측 취혈하고 알콜 소독 후 CF 약침액을 0.05㎖씩 총 0.2㎖를 주입하였다. 침치료는 1일 1회 시술하며 1회 시술 시 경추통에 쓰이는 풍부(GV16), 대추(GV14), 천주 (BL11), 대저(BL10), 풍지(GB20), 견정(GB21), 천종 (SI11)8)을 양측 취혈한 후 침을 자입하였다.

    5.3.2 침치료 시술군(Group B, 이하B군)

    1일 1회 시술하며 1회 시술 시 경추통에 쓰이는 풍부 (GV16), 대추(GV14), 천주(BL11), 대저(BL10), 풍지 (GB20), 견정(GB21), 천종(SI11)8)을 양측 취혈한 후 침을 자입하였다.

    5.4 한방물리치료

    두 군 모두 동일하게 Hot pack, TENS, ICT를 주 6회 치료를 각각 10여 분간 경항부에 실시하였다.

    5.5 약물치료

    한약처방은 증상에 따라 여러 처방을 선별 사용하였으며 2첩을 3회에 나누어 먹도록 하였다.

       6. 연구방법

    6.1 평가자

    한의과 대학을 졸업하고 임상경험이 1년 이상인 한의사가 평가하였다.

    6.2 평가방법

    6.2.1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 scale, VAS)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통증의 객관화를 위해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 중의 하나로서, 통증이 없는 상태를 0 으로 하고 참을 수 없는 통증을 10으로 하여 표시해 놓고 환자가 숫자를 선택하게 하였다.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 중 하나로 적용이 쉽고 간단하며 수집이 편리하고 단기간의 변화에 따른 신뢰성도 비교적 좋다15).

    6.2.2 Neck Disability index (NDI)

    경추부 이상을 측정하는 가장 흔히 사용되는 설문 양식으로 처음에는 심한 경추 통증, 특히 편타성 손상 환자에서 일상생활의 제한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통증강도, 일상생활, 들어올리기, 읽기, 두통, 집중도, 일, 운 전, 수면, 여가생활의 10개 항목에 대하여 각각 6개의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어있다(0-5점). NDI 점수는 각 항목의 합계로 점수가 높을수록 경부 이상과 관련된 기능 장애가 큰 것을 나타낸다 (별첨 1)16).

    6.2.3 Menopause-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MENQOL)

    The menopause-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MENQOL)은 Hildich17) 등이 1992년 Kupperman's index를 보완하기 위해 만든 자기 기입식 문진양식으로 현재까지 발표된 갱년기 장애 평가 기준 중 갱년기 증상의 종류와 정도를 비교적 자세히 파악할 수 있다고 평가 되는 설문양식이다. 이것은 4개 영역으로 구성되며, 그 항목은 Vasomotor - 1~3(3항목), Psychosocial 4~10(7 항목), Physical - 11~26(16항목), Sexual - 27~29(3항 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MENQOL은 영역별로 점수 (Subscale)를 산정하며, 점수는 1-8점으로 계산하며 없다 (1점), 0(2점) ----- 6(8점)으로 각각 부여하였다. 4 영역의 subscale의 평균을 overall subscale score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overall subscale score로 치료 완결 전후 변화를 평가하였다 (별첨 2).

    6.3 치료 성적의 평가

    A군과B군 모두 치료 전과 치료 시작 후 30일째 치료가 종료한 시점에서 VAS, NDI 및 MENQOL을 측정하였다. 호전도는 치료 전후에 나타난 VAS, NDI 및 MENQOL의 차이로 구하였다.

       7. 통계처리방법

    통계처리는 SPSS(Statistical program for Social Science) Ver 12.0 for window를 이용하였다. Mann- Whitney U-test를 통해 호전도의 통계학적 차이를 검정하고 군간 평균연령 및 병력기간과 군간 발병 동기 차이 검정에는 피어슨의 카이제곱검정(Pearson;s chisquare test)을 사용하였고Wilcoxon signed rank test로 각 군별 치료의 유의성을 평가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 이하인 경우로 하였다.

    III.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1 연령분포 및 폐경 기간

    무작위 배정 결과 A군과 B군에 각각 10명씩 배정되었으며 평균연령은 51.7±5.86세와 52.4±3.83세로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폐경기간은 A군에서는 폐경기 중인 환자 3명(30.0%), 폐경된 지 1-2년 된 환자 3명 (30.0%), 폐경된 지 3-5년 된 환자 4명(40.0%)으로 나타났으며 B군에서는 폐경기 중인 환자 3명(20.0%), 폐경된 지 1-2년 된 환자 4명(40.0%), 폐경된 지 3-5년 된 환자 3명(30.0%)으로 나타났으며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able 1).

    [Table 1.] Distribution of Patients

    label

    Distribution of Patients

    1.2 병력기간별 분포

    A군과 B군의 평균 병력기간은 36.4±10.13일과 33.3 ±5.92일로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able 1).

       2. 치료성적평가

    2.1 VAS, NDI, MENQOL에서 각 군의 치료효과

    각 군별로 치료 전과 치료 후 30일째 치료가 종료한 시점의 VAS, NDI, MENQOL를 구하여 각각의 유의성을 검토한 결과 A군의 Z-score는 VAS에서 -2.829, NDI에 서 -2.810, MENQOL에서 -2.805 이었으며, B군의 Zscore는 VAS에서 -2.831, NDI에서 -2.840, MENQOL에서 -2.807로 모든 군이 VAS, NDI, MENQOL에 대해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Table 2, Fig. 1-3).

    [Table 2.] The Change of VAS, NDI and MENQOL in Each Group

    label

    The Change of VAS, NDI and MENQOL in Each Group

    2.2 VAS, NDI, MENQOL에서 두 군 간의 성적비교

    치료 전과 치료 후 30일째 치료가 종료한 시점에서 측정 한 두 군 간의 호전도를 비교한 결과 VAS 개선지수에서는 P-value 0.029, NDI 개선지수에서는 0.007, MENQOL 개선지수에서는 0.000으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able 3, Fig. 4, 5).

    [Table 3.] Comparisoin of VAS, NDI and MENQOL Improvement

    label

    Comparisoin of VAS, NDI and MENQOL Improvement

    IV. 고찰

    여성에 있어서 갱년기란 가임기말에 난소기능의 쇠퇴로 인해 생식기로부터 비생식기로의 전환기를 말하며, 중년기에서 노년기로 접어드는 시기로서, 이 시기에는 여성생리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월경이 폐지되고, 내분비학적, 신체적 및 정신적 변화가 일어나며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을 갱년기장애라고 한다18).

    갱년기 증후군은 난소기능의 저하요인, 여성의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 사회ㆍ문화적 요인, 여성의 성격에 따른 정신적 요인 등에 의해 장기간에 걸쳐 그 증상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며, 시기에 따라 급성, 아급성, 만성후유증으로 나눌 수 있다. 급성증상은 혈관운동장애와 심리적 문제가 동반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가장 흔한 증상은 안면홍조, 발한, 두통과 경항통이 있고 불면증, 실신, 심계항진이 나타나기도 한다. 아급성 증상은 비뇨생식기의 위축에 의한 증상과 교원질 소실에 의한 증상으로 나누어지며 이로 인하여 비뇨 생식기계의 기능 이상과 근골격계의 통증도 유발 될 수 있다. 만성 후유증은 골다공증과 심혈관계 질환을 들 수 있다19,20).

    이러한 갱년기 증후군에 대해 최3) 등은 이환기간이 길어질수록 혈관운동장애의 빈도는 줄어드는 반면 경항통, 요배통 등의 근골격계 증상과 근육통 등의 전신증상의 빈도는 증가한다고 하였고 이21)는 근골격계 증상 자체를 갱년기 증후군의 특유한 것으로 단정 짓기는 어려우나 갱년기 환자의 가장 흔하게 호소하는 증상이므로 갱년기 증후군의 치료에 있어서 근골격계 증상 치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경항부에는 통증에 예민한 조직들이 많으며 연부조직은 외상 수용성의 통증 자극이 가장 빈번하게 시작하는 부위이며 또한 근골격계의 기능적 손상이 일반적으로 잘 일어나는 부위이다. 여기에는 상피조직, 근육조직, 신경조직, 결합조직 등이 포함된다. 여기에 에스트로겐의 분비 저하로 결합조직에서 교원질이 빠져나가면 경추의 유연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경항통이 발생하거나 신경근과 경막초가 당겨지면서 혈행장애가 생기고 근육 내 노폐물 축적을 일으켜 이 또한 근육 내 혈행공급을 차단하면서 허혈성 통증에 의한 경항통을 유발하게 된다1,22,23).

    경항통은 경항부의 동통을 말하는 것으로, 서양의학적으로 경추증에 해당하는데, 경추증에 포함되는 질환들로서는 경부통을 동반한 경추증, 신경근증을 동반한 추간판탈 출증, 척추증성 추간판 탈출증, 경추증성 척수병증 등이 있으며, 이중 연부조직 손상에 의해 발생하는 경부통을 동반한 경추증이나 신경근증을 동반한 연성 추간판 탈출증 증상은 경부통과 더불어 상지부로의 연관통, 근육강직, 운동 장애, 두통, 연하곤란 등을 호소하며, 치료는 3-6주의 경추 보조기 온열요법, 전기치료, 진통제 등의 약물치료와 제한적으로 연성 보조기를 통한 안정치료도 사용하며 급성 동통이 완화된 후에는 동적 등척성 강화운동을 시행한다 6,22,24).

    한의학에서는 骨痺에 속하는 경추증(Cervical spondylosis) 이나 落枕등과 같은 질병이 주로 경항통을 발생시키며, 일상생활, 운동 중의 과도한 외력, 방법착오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跌撲, ?頭됨으로써 발생한다. 증상에 따라 경락변증을 구분하고 경항부의 경락에 氣血循環을 방해하는 外邪의 제거를 위해 消散瘀血, 疏利關節, 祛風 散寒, 舒筋活絡, 理氣止痛의 치료원칙을 제시하고 침구요법, 약물요법, 추나요법, 이학요법, 약침치료 등을 통해 치료하고 있다8,25). 다만 갱년기 여성의 경우 腎臟이 虛해지면 서 心肝脾등 다른 五臟에 파급되어 氣血津液이 부족하고 心火가 妄動하면서 氣機運行이 不暢하면 痰瘀가 互結하기 쉽기 때문에 消散瘀血, 疏利關節에 주안점을 둔 치료가 필요하다26).

    약침요법은 환자의 체질, 질병 상태 등을 변증한 후 치료 경혈 및 체표 반응점에 특정 한약에서 정제 추출한 약물을 주사기로 일정량 주입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한방의료 행위로서, 자침과 약물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고, 치료효과가 빠를 뿐만 아니라, 난치병의 치료에 유용하다는 장점이 있다9).

    홍화자(Carthami-Flos, 이하 CF)는 活血通經, 散瘀止 痛의 효능으로 經痛, 經閉, 跌撲損傷등에 사용할 수 있어 내과, 부인과, 외과, 상과의 活血方중에 자주 쓰이는 약물이며10), CF 약침은 경락장 약침 중 소모성 질환이나 퇴행성 질환에 활용되는 潤劑에 속하며 척추질환, 관절질환 연부조직 손상, 근육경결 등의 근골격 질환과 월경불순 등의 부인과 질환에 쓰이고 있다9).

    약침치료에서 수화조절법은 특정의 약침을 특정의 경혈에 시술하여 水火不交를 水火相交의 상태로 전환시키는 간단하면서도 전신 병증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두항부에서는 淸熱作用을 심, 흉부에서는 淸熱, 解鬱作用을, 상복부에서는 調理脾胃를, 하복부에서는 溫補元氣의 작용을 동시에 시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원인불명의 질환이나 자율신경 실조증, 만성질환, 부인과, 내과나 정신과 질환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임상응용이 가능한 치료 기술이다. 이중 上焦에 나타나는 熱症에는 풍지(GB20), 견정 (GB21)에 경락장약침의 윤제인 CF 약침이나 팔강약침의 황련해독탕 약침을 시술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9).

    CF 약침에 대한 연구 중 김11) 등과 장12) 등에 의해 경항통에 대한 임상적 효능을 보고한 임상고찰이나 갱년기 여성에서 골다공증에 대한 효능을 보고한 실험보고13), 희발월경 14) 치료에 응용한 결과 효능이 있었다는 증례보고는 있었으나 갱년기 여성에 대한 경항통의 임상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0년 12월 1일부터 2011년 5월 30일까지 세명대 충주 한방병원에 경항통으로 입원한 갱년기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CF 약침치료와 침치료를 병행하여 치료한 10례(A군)와 침치료만을 시행하여 치료한 10례(B군)를 비교 관찰하였다.

    A군과 B군의 평균연령은 51.7±5.86세와 52.4± 3.83세로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평균 병력기간은 36.4±10.13일과 33.3±5.92일로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A군에서는 교통사고 4례(40.0%), 과로 3례(30.0%), 별무동기 3례(30.0%)로 나타났으며 B군에서는 교통사고 2례(20.0%), 과로 3례(30.0%), 타박상 1 례(10.0%), 자세불량 1례(10.0%), 별무동기 3례 (30.0%)로 나타났으며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able 1).

    각 군의 호전도에 있어서 A군의 VAS, NDI, MENQOL에 대한 Z-score가 -2.829, -2.810, -2.805, B군의 VAS, NDI, MENQOL에 대한 Z-score가 -2.831, - 2.840, -2.807로 각 군의 처치가 모두 증상 호전에 유의한 도움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Table 2, Fig. 1-3).

    A군과 B군의 치료 성적을 비교해보았을 때 VAS 개선 지수에서는 P-value 0.029, NDI 개선지수에서는 0.007, MENQOL 개선지수에서는 0.000으로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able 3, Fig. 4,5).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갱년기 여성의 경항통 치료에 있어서 CF 약침 치료와 침치료 모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CF 약침 치료와 침치료를 병행하는 치료가 침치료 만을 시행하는 치료에 비해 통계적으로 좀더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모집단의 수가 충분하지 않고 약침과 침치료를 제외한 기타 치료에 있어서 통제되지 않은 면이 있으므로 모집단의 확대 및 통제에서 보완되면서 향후 CF 약침에 관해 더욱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V. 결론

    2010년 12월 1일부터 2011년 5월 30일까지 세명대 충주 한방병원에 경항통으로 입원한 갱년기 여성 환자를 대상으로 CF 약침치료와 침치료를 병행하여 치료한 10례 (A군)와 침치료 만을 시행하여 치료한 10례(B군)를 대상으로 비교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시각적 상사 척도(VAS), Neck Disability index (NDI)과 Menopause-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MENQOL)에서 A군과 B군 모두 유의한 치료효과를 나타내었다.

    2. A군과 B군의 치료성적 비교 결과 A군이 B군에 비해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  별첨 1

      >  별첨 2

    [Table 5.] * 다음에 나열되어 있는 증상 중 본인이 최근 한 달 동안 경험한 증상에 ○로 표시해주시고, 만약 경험한 증상이 있다면 각각의 증상들로 인해 본인이 겪은 괴로움의 정도를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label

    * 다음에 나열되어 있는 증상 중 본인이 최근 한 달 동안 경험한 증상에 ○로 표시해주시고, 만약 경험한 증상이 있다면 각각의 증상들로 인해 본인이 겪은 괴로움의 정도를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
  • 1. Lee JH 2000 A Study on Climacteric Symptoms in Korean Midlife Women. [The Journal of Korean menopause.] Vol.6 P.142-56 google
  • 2. Lee JA 2001 Relation of Lifestyle Factors to Menopausal Symptoms and Management of Middle-aged Women in Rural Area. [The Journal of Korean Maternal and Child Health.] Vol.5 P.83-96 google
  • 3. Choi JE 2002 The Clinical Analysis of the Symptoms and Characteristics on 50 Cases of Postmenopause syndromes.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and Gynaecology.] Vol.15 P.144-54 google
  • 4. 1995 The unabridged dictionary of Chinese medicine. P.1458 google
  • 5. Yoon TS, Moon JH, Shin JS 1987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Approach to Cervical Radiculoputhy. [The Journal of Oriental Rehabilitation] Vol.11 P.130-9 google
  • 6. 2006 Orthopaedics. P.583-4 google
  • 7. 2003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P.70-1 google
  • 8. 2008 Acupuncture and Moxibustion. P.59 google
  • 9. 2008 Phamacopuncturology. P.1 google
  • 10. 1998 Herbology. P.424-5 google
  • 11. Kim HE 2002 The clinical effect of Carthami- Flos Herbal Acupuncture in neck pain due to Soft tissue damage.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ociety] Vol.19 P.112-23 google
  • 12. Chang SY 2007 The clinical study of Herbal Acupuncture for neck pain caused by whiplash injury.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ociety] Vol.24 P.35-41 google
  • 13. Huang YL, Lee CH, Yook TH 1999 Effects of Semen Carthamus Tinctorius L.Aqua-acupuncture on the Experimental Osteoporosis.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ociety] Vol.16 P.485-95 google
  • 14. Yang SI, Kim KS 2005 A clinical study of two patient with oligomenorrhea treated Carthmi flos of Aqua-acupuncture. [Journal of Pharmacopuncture] Vol.8 P.107-13 google cross ref
  • 15. Heo SY 1999 Assessment of Pain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The Journal of East-West Medicine] Vol.24 P.17-29 google
  • 16. Song KJ 2009 Cross-Cultural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Neck Disability Index. [The Journal of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44 P.350-9 google
  • 17. Hildich JR 1996 A menopause-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Maturitas] Vol.24 P.161-75 google
  • 18. Choi YD 2001 The New Clinincal Obstetrics and Gynaecology. P.305-26 google
  • 19. 2002 Oriental Obstetrics and Gynaecology. P.222-48 google
  • 20. 1994 The Management of Menopause Woman. P.1 google
  • 21. Lee TG 2001 A Study on treatment about neuromyopathic symptoms of climacteric syndrome.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and Gynaecology] Vol.14 P.196-203 google
  • 22. Rene Cailliet , Park LJ 1996 Soft Tissue Pain and Disability. P.63-71 google
  • 23. Jeon JG, Lee HI 1998 The Clinical Effects of Posterior Neck pain. [The Journal of East-West Medicine] Vol.23 P.31-41 google
  • 24. Bogduk N 1999 Regional musculoskeletal pain The neck. Baillieres Best Practice and Research. [Clinical Rheumatology] Vol.13 P.261-85 google
  • 25. 1995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P.281-306 google
  • 26. Yang SW, Jang JB 2001 An investigation of literatures about menopausal disorders in oriental medicine. [Kyung Hee Medicine] Vol.17 P.49-57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Distribution of Patients
    Distribution of Patients
  • [ Table 2. ]  The Change of VAS, NDI and MENQOL in Each Group
    The Change of VAS, NDI and MENQOL in Each Group
  • [ Fig. 1. ]  The Change of VAS on Posterior Neck pain of Menopausal Women treated by Carthami-Flos Pharmacopuncture and Common acupuncture
    The Change of VAS on Posterior Neck pain of Menopausal Women treated by Carthami-Flos Pharmacopuncture and Common acupuncture
  • [ Fig. 2. ]  The Change of NDI on Posterior Neck pain of Menopausal Women treated by Carthami-Flos Pharmacopuncture and Common acupuncture
    The Change of NDI on Posterior Neck pain of Menopausal Women treated by Carthami-Flos Pharmacopuncture and Common acupuncture
  • [ Fig. 3. ]  The Change of MENQOL on Posterior Neck pain of Menopausal Women treated by Carthami-Flos Pharmacopuncture and Common acupuncture
    The Change of MENQOL on Posterior Neck pain of Menopausal Women treated by Carthami-Flos Pharmacopuncture and Common acupuncture
  • [ Table 3. ]  Comparisoin of VAS, NDI and MENQOL Improvement
    Comparisoin of VAS, NDI and MENQOL Improvement
  • [ Fig. 4. ]  Comparisoin of VAS and NDI Improvement on Posterior Neck pain of Menopausal Women treated by Carthami-Flos Pharmacopuncture and Common acupuncture
    Comparisoin of VAS and NDI Improvement on Posterior Neck pain of Menopausal Women treated by Carthami-Flos Pharmacopuncture and Common acupuncture
  • [ Fig. 5. ]  Comparisoin of MENQOL Improvement on Posterior Neck pain of Menopausal Women treated by Carthami-Flos Pharmacopuncture and Common acupuncture
    Comparisoin of MENQOL Improvement on Posterior Neck pain of Menopausal Women treated by Carthami-Flos Pharmacopuncture and Common acupuncture
  • [ Table 5. ]  * 다음에 나열되어 있는 증상 중 본인이 최근 한 달 동안 경험한 증상에 ○로 표시해주시고, 만약 경험한 증상이 있다면 각각의 증상들로 인해 본인이 겪은 괴로움의 정도를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다음에 나열되어 있는 증상 중 본인이 최근 한 달 동안 경험한 증상에 ○로 표시해주시고, 만약 경험한 증상이 있다면 각각의 증상들로 인해 본인이 겪은 괴로움의 정도를 표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