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A Study on Space Organization for the Hybrid Library* - An Application to the Central Library of Kyushu University - 하이브리드도서관을 위한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일본 큐슈대학 중앙도서관의 적용 사례 -
  • 비영리 CC BY-NC
ABSTRACT

It’s getting popularized to collect information connecting web sites with massive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and advanced search engines. Users can handle digital materials like E-book wherever the internet is available and they will demand digital information increasingly. This study analyzes literature investigation, statistics analyses of the attached library of Kyushu University, drawings and field investigation to suggest a new model of a library which handles traditional paper-formed materials and digital-formed materials at one place with growing importance of digital materials. It results that a library performs a important role like a learning space and functions as a sociocultural communication space. Also it shows that it is required to basically reinvestigate the role of ‘space’ in the library with a great importance of digital materials.In the hybrid library combined with subjects and reorganized at one place, One-stop services like library materials and manpower can be provided for users staying at the same area.


인터넷을 통해서 수집할 수 있는 정보가 방대해지고 검색엔진이 고도화되면서 웹을 사용해서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전자책 등 디지털 자료는 인터넷이 가능한 곳에서는 어디서든지 이용할 수 있으며 디지털 정보에 대한 수요는 더욱 더 늘어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자료의 중요성과 비중이 커짐에 따라 전통적인 종이 자료와 디지털 자료의 모두를 한 공간에서 다루는 새로운 도서관의 모델을 제안하기 위해 문헌조사, 큐슈대학 부속도서관의 각종 통계자료 분석, 도면 및 현장조사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도서관은 자료의 제공 이외에도 학습의 장소, 커뮤니티를 위한 사람들의 교류의 장소 등 사회?문화적 역할도 중요하며, 또한 디지털 자료의 비중이 커지면서 도서관 “공간”의 역할에 대하여 근본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었다. 도서관의 공간을 매체의 형태와는 관계없이 주제 중심으로 하나의 공간에 재구성하는 하이브리드도서관에서는 이용자가 동일한 지역에 체류하면서도서관자료나 인적서비스 등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KEYWORD
Space Organization , Library Construction , Hybrid Library , University Library , Kyushu University Library , Learning Commons
  • 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대학도서관은 대학에 있어서 교육?연구의핵심 기반시설로서 대학교육에 필요한 각종정보자료를 수집?조직화?보존하여, 이용자의 연구?교육?학습을 위한 요구에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도서관은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

    cation Technology)의 발달로 디지털화, 인터넷 등 정보환경에 익숙한 이용자의 정보 요구의 변화와 정보자료 및 정보이용 형태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야 하며, 이러한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도서관의 이용환경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는 대부분의 도서관이 열람실의 공간구성을 도서관자료의 형태를 기준으로 개가열람실, 참고도서, 신문열람실, 연속간행물실, 인터넷 살롱, Cute Commons1) 등으로 구분하여 왔다. 그러나 전자자원의 비중이 높아지고 도서관환경의 변화에 따라 그 동안의 도서관자료의 형태 중심에서 주제 중심으로 한 공간구성을 통해 이용자들이 도서관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변화가 필요하다. 특히, 새로 건립하는 도서관의 경우에는 오픈 스페이스 기반의 모든 자료를 망라하는 주제중심의 공간구성이 바람직하다.

    1990년 초반 미국의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정보환경 및 이용자의 서비스 요구변화에대응하기 Information Commons가 도입되었다(정미경 2008, 110). Information Commons는기술과 디지털자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Information Commons의 개념에 교육과 협업을 강조하는, 즉 Information Commons의 개념을 포괄하는 Learning Commons로 발전하고 있다(York University Libraries 2010). 그러나 Learning Commons의 경우도 도서관 전체의 공간 중에서 하나의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하나의 공간에서 인쇄 자료와 디지털 자료 등 주제 중심으로 통합된 이용자 서비스의 공간구성이라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환경의 변화와그에 따른 이용자들의 정보서비스에 대한 요구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서관의 모든 자

    료의 통합을 기본으로 하며, 여기에 정보기술을 결합하여 이용자의 연구와 학습, 그리고 개인과 그룹별 커뮤니케이션 공간 등 이용자가 동일한 지역에 체류하면서 도서관자료와 인적 서비스 등을 원스톱 서비스로 제공받을 수 있는 하이브리드도서관의 모델을 제안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1.2 연구의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일본 큐슈대학 중앙(문계)도서관(九州大? 中央(文系)圖書館; 이하 큐슈대학 중앙도서관)을 대상으로 하였다. 큐슈대학은 『큐슈대학부속도서관이전계획(九州大?附屬圖書館移轉計劃)』에 따라 이토지구(伊都地區)로 부속도서관 중 이계도서관(理系圖書館)은 2009년에 이전하여 운영하고 있고, 중앙도서관은 2017년까지 이전 예정에 있다(九州大?附屬圖書館 2007, 3). 따라서 도서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이용자의 요구변화를 반영하여 기존의 도서관에 대한 공간구성을 검토해 봄으로써 새로 건립하는 중앙도서관의 건축계획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 큐슈대학 부속도서관의 각종 통계자료 분석, 도면 및 현장조사 등을 통해 도서관의 공간구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주 층인 2층과 3층에 자료의 주제 중심으로 전통적인 종이 자료와 디지털 자료를 하나의 공간에 통합 배치하여 이용자 중심의 원스톱 서비스 하이브리드도서관의 새로운 공간구성 모델을 제안하였다.

    1)큐슈대학 중앙도서관의 Cute Commons는 일종의 Learning Commons로 참고도서열람실을 리뉴얼해서 만들었다. 주요 기능은 학부 학생의 학습 장소, 수업과의 제휴 장소, 자유 참가형 이벤트 장소 등 새로운 학습 장소이다.       2다양한 스타일로 학습과 수업 이용이 가능하도록, 이용자 스스로 테이블과 의자를 자유롭게 레이아웃을 할 수 있다. 특히 그룹에 의한 토론을 할 수 있는 장소가 주목적으로 도서관 자료, e자원에의 액세스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있다. 더불어 유통성을 살려 각종 이벤트를 개최할 수 있는 이용자 간의 교류의 장소를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는 소음 등의 문제로 주요 기능이 제한을 받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독립된 공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출처: ラ?ニングコモンズ(??)の運用について(案). 2009. 10. 28).

    2. 도서관의 환경변화와 건축물로서의평가 지침

    도서관 환경의 변화는 사회?문화적 환경변화, 도서관 환경의 변화,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는 도서관으로의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도서관의 건축계획에서는 이러한 환경의 변화에 도서관시설이 기능적으로 충족되어야 하며, 건축계획과 설계과정에는 이러한내용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2.1 사회?문화적 환경의 변화

    도서관 건축은 사회적, 문화적 환경의 변화

    에 따라 새로운 기능을 수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변화되어 왔다. 새로운 형식의 시설의 등장은 시대적?사회적 현상과 분리해서 생각할수 없다. 따라서 건축물은 순수한 형태나 추상적인 공간으로만 이해할 수 없으며 그 건축물은 사회적?건축적 해석을 필요로 한다. 그 사유는 건축물이 내재적인 자율적 원리에 의해서만 구축된 것이 아니라 당대의 사회적, 문화적, 기술적 환경들 속에서 구축되었기 때문이다(임호균 2007, 16).

    정보 전달 및 저장 체계의 디지털화와 멀티미디어화는 현대 다원적 사회의 정보혁명이야기한 변화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산업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의 변화는 도서관 서비스의 패러다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최근 온라인데이터베이스를 축으로 한 정보제공과 도서관 협력을 통한 각종 자료의 제공은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로 가고 있다.

    정보 개념의 변화와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는 미국을 중심으로 기존의 대학도서관의 서비스영역의 공간구성에 Information Commons를 도입하는 등 큰 변화를 가져왔다. 한편 정부에서도 정보 전달 및 저장 매체의 디지털화에 적합한 도서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000년 『도서관정보화종합계획』을 수립하여 전국의 공공도서관에 디지털자료실을 설치하였고(유병장 2009, 9) 국립중앙도서관은 2009년 Information Commons 기반의 디지털도서관을 새로 건립하였다(국립중앙도서관 2010).따라서 현대의 다원적인 사회에서 대학도서관의 공간구성은 이러한 새로운 정보환경 및 이용자의 요구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도서관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2.2 기술적 환경의 변화

    2.2.1 디지털 정보기술의 발달 및 정보매체의증가

    디지털 정보기술의 발달로 정보가 양적으로 대량화되고 다양한 형태를 띠면서 정보 전달 및 저장 매체가 디지털화, 멀티미디어화 되고

    있다. 그 동안 인쇄자료 중심의 정보 전달 및 저장 매체가 CD, 컴퓨터 파일, DB, DVD, e-Book, e-Learning, e-Journal, VOD, 웹 DB 등 디지털 및 미디어자료로 다양화되고 각종 정보자료들이 온라인 데이터베이스화 및멀티미디어화 되고 있다.

    한국 대학도서관의 전체 자료구입비 중에서 전자정보 구독비의 비율은 2002년도 14.6%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5년도 22.1%를 정점으로 20%대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2007년 전자정보 구독비 중에서 전자저널 구독비 비율이 50.8%, 웹 DB 구독비 비율이 38.5%등으로 전자정보 구독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8, 33).

    <그림 2>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RISS의 학술정보 이용현황을 살펴보면 학술정보의 검색건수, 원문이용 건수가 매년 크게 증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디지털 및 멀티미디어자료에 대한 열람환경 및 배가에 관한 논의가 한창이다. 예를 들면 여행에 관한 자료인 도서?연속간행물을 디지털 및 멀티미디어자료와 함께배가를 하고 열람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면 같은 주제에 대한 모든 자료를 통합하여 열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열람환경은 디지털 및 멀티미디어자료의 열람에 필요한 기기의 설치 위치 및 공간에 대한새로운 문제를 수반하고 있다(Lux, Claudia 2002, 29).

    그러나 인터넷 기반의 통신기술의 발달로도서관 환경이 인쇄매체 중심의 전통적인 도서관 서비스에 디지털도서관 서비스가 가미된 하이브리드도서관으로 진화될 것이고 새로운 정보기술(IT)의 발달로 상호대차서비스, 분담목록 등 협력형 도서관서비스가 증가되어 도서관 건축계획 시에는 이에 따른 공간구성계획이 적정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2.2.2 유비쿼터스 환경에 따른 도서관의 변화

    유비쿼터스 환경은 지금처럼 책상 위 PC의 네트워크화뿐만 아니라 장소와 상관없이 자유롭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통신 환경으로 인해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도서관을 방문할 필요성은 점차 감소되고 있고, 2010년 4월 iPad의 등장(KT경제경영연구소 2010)은 이를 더욱 가속화 할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미국의 주요 대학도서관들은 책이 없는 디지털도서관의 설립을 앞다퉈 추진하고 있다(서울경제 2010).

    이와 같이 유비쿼터스 사회로의 진입은 정보이용자의 정보이용 형태가 변화되고 있다. 그러나 도서관은 여전히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도 물리적 장소로서 중요한 공간이며 실물 자료와 전자 자료를 모두 제공하는 거의 유일한기관이기 때문에 이러한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공간의 설계와 서비스가 요구된다(차미경2006, 340-341). 따라서 도서관에서는 이에 적합한 분야별 디지털 정보원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유비쿼터스 정보공간에서 실시간으로 생산되는 정보를 수집?가공하여 도서관이용자가 정보의 품질을 신뢰할 수 있도록 하여 전 세계의 지식정보에 접근하고 이용하는 관문으로서 도서관의 역할을 강화하는 등 도서관 서비스의 영역을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2.3 건축물로서의 도서관의 평가 지침

    2.3.1 환경의 변화와 도서관 건축

    대학서관은 대학의 학술연구 기반시설로서 이용자의 연구 및 교육?학습 등을 위한 이용요구에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대학도서관은 사회?문화적 환경, 도서관 환경, 도서관 기능 등의 변화에 따라 변해야 하고 공간구성 등 시설도 이러한 변화에 기능적으로 충족되어야 한다. 도서관 건물은 단순한 건물이 아니라 도서관 기능을 담는 그릇이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의 목적과 기능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입지 및 방위, 동선, 규모 및 공간구성 등이 합리적이고 경제적이며 융통성, 간단성, 접근성, 확장성, 다양성, 안락성, 안전성 등을 두루 갖추어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와 정보전달 매체의 변화, 도서관 환경의 변화 등 다양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2.3.2 입지

    도서관을 어디에 건립하느냐는 어떠한 건물로 하는지 보다 몇 배 더 중요하다(日本ファイリ二グ 1998, 24). 한국의 2007년도 독서진흥에 관한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공공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 학생의 경우 ‘도서관이 집에서 멀다’가 38.2%로 가장 높았고(국립 중앙도서관 2007, 85), 일본의 도심지 공공도서관에 있어서 이용자들의 도서관 선택이유로 첫 번째가 접근성을 들고 있다(박인규 2002,86). 공공도서관과 마찬가지로 대학도서관도 도서관의 입지를 어디에 정하느냐는 도서관의 이용률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의 생활동선이 접해있고 사람들의 이동이 많고, 교통이 편리하여 한 사람이라도 많이 이용할 수 있는 물리적으로 이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차미경 2006,341)가 최적의 입지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향후 확장을 위하여 여유 있는 장소가 좋다.

    도서관의 방위는 열람실의 경우는 햇볕이 직접 들어오지 않아 안정되고 편안하게 열람을 할 수 있고 자료의 보존에 유리한 북쪽, 동쪽 등을 향하도록 하고 가능하면 햇볕이 직접 들어오는 남쪽과 서쪽은 피하는 것이 좋다. 태양의 직사는 책을 위해서도 독서를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남쪽과 서쪽의 전면 유리 벽등은 햇볕의 차단에도 부담이 크고, 에어컨 가동에도 고비용이 든다(日本ファイリ二グ 1998,25).

    부지의 형태는 장방형의 대지가 바람직하며 다양한 접근계획을 위하여 2면의 도로에 인접한 부지로서 어느 도로에서든지 접근 및 출입이 용이하며, 지형이 평탄한 대지거나 지형이평탄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를 이용한 계획이 가능한 장소가 좋다. 휠체어용 주차 스페이스는 비 오는 날의 이용도 고려하여 설치하고 장래의 증축이 필요하다면 처음부터 그것을 계획에 반영해서 도서관의 위치를 결정하여야 한다.

    2.3.3 동선

    도서관의 동선계획은 크게 외부 동선계획과 내부 동선계획으로 구분할 수 있다. 외부 동선계획은 이용자 동선, 관리자 동선 등 보행자 동선과 이용자 차량 동선, 서비스 차량동선 등차량동선으로, 그리고 내부 동선계획은 각 층간을 연결시켜주는 수직 동선과 각 층에서 원활한 흐름을 이룰 수 있도록 해주는 수평 동선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동선계획에는 장애인의 용이한 접근성을 확보해야 하며 동선 간에 상호 교차하지 않도록 계획되어야 한다(유병장 2009, 34-35).

    대학도서관의 동선은 대상에 따라 이용자, 직원, 상호대차 등 도서관자료의 이동을 위한 동선 등 3가지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이용자의 동선과 직원의 동선은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하며 가능한 짧게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호간의 교차를 피하기 위해서 동선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출입구를 계획하는 것이 좋다(김창언, 김종환, 김진원 2008, 639). 모든 공간의 동선계획은 업무처리의 효율성과 자료접근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수립하여야 한다(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기준작성특별위원회 2003, 18).

    2.3.4 규모 및 공간

    도서관의 규모는 해당 도서관의 기능, 자원의 수준, 장서의 크기, 이용 가능한 공간, 타도서관과의 근접성 등에 달려 있다. 그리고 이러한 요소들은 대학마다, 건물계획에 따라 크게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대학도서관이 필요로 하는 공간에 관한 보편적인 기준을 설정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도서관의 적정 규모는 그 도서관 전체가 예상하는 자료계획과 이용 예측 등에 기초를 두어 각 스페이스에 필요한 면적을 산출해 이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효율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규모로 시설내부의 여러 시설이나 설비의규모가 그 시설 전체규모에 적당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稙松貞夫 1999, 29).

    도서관에서 공간계획은 이제 전통적인 공간 구성 방식에 대한 생각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거의 모든 사람들은 정보를 검색할 때 우선 먼저 웹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학술연구는 일반적으로 디지털로 바뀌어가고 있다. 연구자, 교수 및 학생들은 디지털로 정보를 검색하고 찾고 처리한다. 그들이 도서관에서 정보를 찾을 때 종이 자료의 이용은 갈수록 더 줄어들게 될 것이다(National Library of the Netherlands 2010). 따라서 도서관을 새로 건립하거나 리모델링할 때에는 우선적으로 열람실에 물리적 자료와 디지털 자료를 어떻게 배치하는 것이 이들 자료의 특성이 강화되어 이용자들에게 도움이 되고 편리하게 이용될 것인가를 생각해야 한다.

    앞으로 도서관의 공간구성은 종이 자료와 디지털 자료를 두는 서가군과 열람석, 그리고 IT기반의 개인 및 그룹별로 구분된 다양한 학습공간, 휴식 및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 보존서고, 전시공간, Information desk, Service desk, 상호대차 공간, 사무?작업 공간, 로비, 출입구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특히, 대학도서관은 학술연구의 기반시설이므로 연구,교육, 학습 등이 서로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고 이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시설을 갖추도록 하여야 한다.

    도서관 내부의 공간구성은 미래를 위한 공간과 향후 변경가능성을 감안하여 계획되어야 한다. 독일도서관협회는 도서관 구조의 중요한 기본원칙 중의 하나로 “각 도서관에 제대로 교육받은 책임자급 전문사서인력의 배치, 적절한 도서관 봉사를 위해서는 기능적으로 설계된 건물과 공간의 배치” 등을 제시하고 있다(Lux, Claudia 2002, 21). 그리고 공간계획은 가독성과 가변성이 있도록 중첩된 층간의 열린 구조로 계단과 메자닌에 의한 공간으로 하고, 평면계획은 오픈플랜(open-plan)으로 가구 등에 의하여 영역을 구분하는 것이좋다. 또한 열람자들이 자유롭게 자료를 찾고가까운 곳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기능적인 가구의 배치를 통해서 다양한 열람자들의 욕구를 해결하는 것도 바람직하다(임호균 2007,37-39).

    그리고 도서관의 규모와 공간계획에는 서가 간격도 고려되어야 한다. 휠체어를 이용하는이용자를 위하여 이용자가 많은 개가열람실의 서가 간격은 2.1~2.4m가 되어야 한다(稙松貞夫 1999, 36).

    3. 큐슈대학 부속도서관 운영현황 및중앙도서관 공간구성 분석

       3.1 큐슈대학 부속도서관 운영현황 분석

    <그림 3> 큐슈대학 부속도서관의 1일 평균도서관 이용자수는 2005년, 2006년에 조금증가하다 현재는 정체 상태에 있고 중앙도서관은 완만하게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자료의 디지털화와 컴퓨터, 인터넷 사용이 증가하면서 교수, 학생 등 이용자의 정보접근에 대한 새로운 선택권이 주어지면서 도서관을 이용하는 수가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을 알 수있다.

    도서관이 정보를 축적하고 보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제 이용자가 단순히 정보를 검색하거나 대출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도서관을 찾아오는 것은 아니다. 이용자가 정보를 얻고 조용한 공간을 찾기 위해 도서관을 찾아오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 외에도 동료들과 커피를 한잔하기 위해, 그리고 커뮤니티를 위해서이다(Albanese 2004; 정미경 2008, 111 재인용). Information Commons를 설치한 후 도서관 이용률의 조사에 따르면 Westminster대학 Giovale도서관의 경우 약 20%(Malenfant 2006, 282; 정재영 2007, 204 재인용), Indiana대학도서관의 경우 약 20%, Iowa대학도서관의 경우 약 15%(Albanese 2004, 32-33; 정재영 2007, 204 재인용), New Orleans의Loyola대학 도서관의 경우 13.8%(Albanese 2003, 34-36; 정재영 2007, 204재인용), 그리고 Western Ontario대학의 King’s College도서관의 경우 420%의 기록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다(King’s College

    Library Wins Award 1998, 150-151; 정재영 2007, 204 재인용). 큐슈대학 중앙도서관의 경우에도 2010년 발행 예정인 연보에 따르면, 2009년 Cute Commons를 설치하고, 2010년에는 PC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1일 평균 이용자수가 2008년보다 6.9%가 증가되었다.

    <그림 4> 대출책수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는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중앙도서관의 경우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대출책수가 2005년부터 증가한 것은 2004년까지는 중앙도서관, 의학도서관, 예술공학도서관, 치쿠시(筑紫)도서관, 롯폰마쓰(六本松)도서관 등 5개관의 도서관이 있었으나, 2005년에 이계도서관(현재는 이토도서관), 문계합동도서실 등 2개관이 증가한 것에 그 원인을 찾을 수가 있다.

    그러나 <그림 5> 정보검색서비스의 검색횟수는 2005년을 기점으로 급격하게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이용자들이 학습과 연구에 필요한 정보를 책보다는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자료에 의존하는 경향이

    점차 강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6>잡지의 수입종류 수를 분석해 보면, 2005년부터 인쇄매체보다 전자저널의 비중이 높아지기 시작하여 2008년에는 71.4%를 차지하고 있다.

    <그림 7> 전자저널의 이용건수 분석에서도 2007년을 기점으로 폭발적으로 증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술잡지는 대부분 전자저널로 대체될 것으로 보인다.

    <그림 8> 자료 구입비의 분석에서 2006년에는 잡지?신문비가 39%로 가장 많았고, 전

    자저널 등 32%, 도서비 29% 순이었다. 그러나 2008년도에 들어와서는 전자저널 등 47%, 도서비 31%, 잡지?신문비 22% 등으로 전자자료에 대한 자료 구입비가 거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앞으로 그 비중은 더욱 증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림 9> 레퍼런스서비스 건수는 2003년을 지나서부터 점차 감소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질문의 형태는 사서들의 전문적인 지식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소재조사, 이용지도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큐슈대학 중앙도서관의 경우는 레퍼런스데스크가 2층에 있어 3층을 이용하는 이용자에게는 큰 불편을 줄 것으로 보이며, 2층에 레퍼런스데스크가 있는 것은 2층 홀에 설치되어있는 정보 살롱(情報サロン)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정보검색에 관한 기술적인 질문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추측이 된다.

    따라서 레퍼런스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새로운 정보기술의 변화와 이에 따른 이용자의 요구변화에 대응하는 레퍼런스데스크의 배치, 사서들의 레퍼런스서비스의 태도 변화, 서비스 설계나 계획 시 이용자의 의견 반영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큐슈대학 레퍼런스서비스 현황조사에 따르면 IT와 관련된 질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기술 및 인터넷의 발달로 이용자는 인쇄매체보다는 전자매체를 선호하는 것을 알수 있다. 열람테이블 이용현황 조사에서도 개가열람실의 이용률은 약 20~55%인데 비하여 정보 살롱은 90%를 넘어서고 있다(김은자2010).

    도서관은 이용자들이 모든 도서관장서와 디지털도서관에 쉽게 접근하도록 해야 한다. 물리적 장서와 디지털 장서는 서로를 강화하지만 디지털 장서는 분명히 더 빠르게 증가할 것이다(National Library of the Netherlands 2010). 큐슈대학의 통계분석과 네덜란드 국립도서관의 2010-2013년 전략계획에서 알 수 있듯이 학술자료 중심의 대학도서관에서 디지털자료의 비중은 더욱 높아질 것이다. 도서관은 사람과 정보를 연결해 주는 곳이다. 이용자가 오지 않는 도서관은 존립 목적을 상실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전통적인 물리적 장서 중심의 열람실의 공간구성에서 인쇄매체와 디지털매체가 융합하는 주제 중심의 새로운 공간구성을 고려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고 할 수 있다.

       3.2 큐슈대학 중앙도서관의 공간구성 분석

    3.2.1 개요

    큐슈대학 중앙도서관은 5층 건물로써 연면적은 13,668㎡(九州大學附屬圖書館 2006, 10),

    본 연구는 큐슈대학 중앙도서관을 연구 대상으로 하이브리드도서관의 모델을 실현하는 안을 구상하였다. 큐슈대학 부속도서관은 모두 7개의 도서관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중앙도서관은 큐슈대학을 대표하는 종합 도서관이다. 큐슈대학에서 진행하고 있는 이토캠퍼스로의 이전계획에 의해 2017년까지 중앙도서관을 이토지구로 옮기게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 중앙도서관의 공간을 하이브리드도서관으로 재구성하는 것을 시도해,그 결과가 새롭게 건립되는 중앙도서관의 건축계획에 하나의 모델을 제공하는 것을 의도하였다.

    대학도서관은 대학의 학술연구 기반시설로서 이용자의 연구 및 교육?학습 등을 위한 이용 요구에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대학도서관은 사회?문화적환경, 도서관 환경, 도서관 기능 등의 변화에따라 변해야 하고, 공간구성 등 시설도 이러한 변화에 기능적으로 충족되어야 한다. 도서관 건물은 단순한 건물이 아니라 도서관 기능을 담는 그릇이다. 따라서 대학도서관의 목적과 기능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입지 및 방위, 동선, 규모 및 공간구성 등이 합리적이고 경제적이며 융통성, 간단성, 접근성, 확장성,다양성, 안락성, 안전성 등을 두루 갖추어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와 정보전달 매체의 변화, 도서관 환경의 변화 등 다양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큐슈대학 부속도서관의 이용현황 분석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향후 종이 자료의 이용은 더욱 감소하고 디지털 자료의 이용은 크게 증가할 것이다. 도서관은 사람과 정보를 연결해주는 곳이다. 이용자가 없는 도서관은 존립 목적을 상실하게 된다. 정보통신기술(ICT)을 고도로 이용하게 된 현재, 그리고 앞으로 도서관은 종래의 틀에 얽매이지 않고 이용자의 요구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의 전통적인 물리적 장서 중심으로한 열람실의 공간구성에서, 인쇄 자료와 디지털 자료의 이용을 융합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주제 중심의 자료나 서비스를 통합해 이용자에게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공간구성인 하이브리드도서관의 모델이, 도서관에 있어서 이용자의 정보서비스를, 그리고 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을 최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1. 2007 『2007년도 독서진흥에관한 연차보고서』 google
  • 2. 김 창언, 김 종환, 김 진원 2008 『건축계획?설계론』 google
  • 3. 2008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09-2013』 google
  • 4. 박 인규 2002 도심지 공공도서관에 있어서 도서관이용 행동구조에 관한 연구 [國會圖書館報] Vol.39 P.63-91 google
  • 5. 2010 [지구촌 So Hot!] 美 전자도서관 속속 설립… 책 없는 도서관 는다 5월 20일 google
  • 6. 유 병장 2009 『사서의 참여여부가 공공도서관건립에 미치는 영향 연구』 google
  • 7. 임 호균 2007 『공공도서관 공간체계의 변화와특성에 관한 연구: 프랑스 미디어테크를중심으로』 google
  • 8. 정 미경 2008 학교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2 P.109-146 google
  • 9. 정 재영 2007 대학도서관의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Commons) 적용 모형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8 P.201-221 google
  • 10. 차 미경 2006 유비쿼터스 시대 도서관 공간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17 P.325-343 google
  • 11. RISS 한국학술 정보이용현황 google
  • 12. 2003 『2003년판 한국도서관기준』 google
  • 13. 애플 iPad 공개…미디어 시장에도 근본적 변화 유발 가능. 『2010년2월 2주차 주간동향』 google
  • 14. 金 銀子 2010 ?書館??テ?ブルの利用頻度に影響を及ぼす要因に?する?究[Ⅰ]- 公共?書館及び大??書館利用者の行動調査を中心に [九州大?附??書館?究開?室年報 2009/2010] google
  • 15. 2005 『九州大學附屬?書館要覽 2004/2005』 google
  • 16. 2006 『九州大屬附屬?書館要覽 2005/2006』 google
  • 17. 2006 『九州大學附屬?書館年報 2005』 google
  • 18. 2007 『九州大學附屬?書館年報 2006』 google
  • 19. 2007 『九州大學附屬?書館移轉計劃 2007』 google
  • 20. 2008 『九州大學附屬?書館年報 2007/2008』 google
  • 21. 2009 『九州大學附屬?書館年報 2008/2009』 google
  • 22. 稙松 貞夫 1999 建築から?書館をみる google
  • 23. 1998 公共?書館の計劃と建設の手引 google
  • 24. Albanese Andrew Richard 2004 2007 “CampusLibrary 2.0.” 재인용: 정재영 대학도서관의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적용 모형 연구 [Library Journal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129 / 38 P.30 / 201-33 / 221 google
  • 25. Albanese Andrew Richard 2004 / 2008 “CampusLibrary 2.0.” 재인용: 정미경 학교도서관의Information Commons 도입에 관한 연구 [Library Journal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129 / 42 P.30 / 109-33 / 146 google
  • 26. Albanese Andrew Richard 2003 / 2007 “DesertedNo More.” 재인용: 정재영 대학도서관의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적용 모형 연구 [Library Journal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128 / 38 P.34 / 201-36 / 221 google
  • 27. Davis Marry Ellen 1998 / 2007 “King’s CollegeLibrary Wins Award.” 재인용: 정재영 대학도서관의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 적용 모형 연구 [College & ResearchLibraries New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9 / 38 P.150 / 201-151 / 221 google
  • 28. Lux Claudia 2002 독일 도서관의 구조와 새로운 경향 『남산도서관 개관 80주년 기념강연회 발표집』 P.5-44 google
  • 29. Malenfant Chuck 2006 / 2007 “The informationCommons as a Collaborative Workspace.” 재인용: 정재영 대학도서관의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적용 모형 연구 [Reference Service Review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4 / 38 P.279 / 201-286 / 221 google
  • 30. National Library of the NetherlandsStrategic Plan 2010-2013 google
  • 31.
이미지 / 테이블
  • [ Fig 1 ]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도서관의 기능변화
    사회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도서관의 기능변화
  • [ Fig 2 ]  RISS의 학술정보 이용현황
    RISS의 학술정보 이용현황
  • [ Fig 3 ]  1일 평균 이용자수(1Day Number of users)
    1일 평균 이용자수(1Day Number of users)
  • [ Fig 4 ]  대출책수(Circulation-Items)
    대출책수(Circulation-Items)
  • [ Fig 5 ]  정보검색서비스의 검색횟수(Databases searches)
    정보검색서비스의 검색횟수(Databases searches)
  • [ Fig 6 ]  잡지수입종류 수(Current Journals Title)
    잡지수입종류 수(Current Journals Title)
  • [ Fig 7 ]  전자저널의 이용건수(e-Journals downloads)
    전자저널의 이용건수(e-Journals downloads)
  • [ Fig 8 ]  자료 구입비(Expenditures for library materials)
    자료 구입비(Expenditures for library materials)
  • [ Fig 9 ]  레퍼런스 건수(Reference transactions)
    레퍼런스 건수(Reference transactions)
  • [ Fig 10 ]  3층 배치도
    3층 배치도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