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A Study on the Role of the Regional Central Library for Activatingthe Regional Public Libraries in Jeollabukdo*
  • 비영리 CC BY-NC
ABSTRACT
A Study on the Role of the Regional Central Library for Activatingthe Regional Public Libraries in Jeollabukdo*

본 연구는 개정된 새 도서관법에 의한 지역대표도서관의 역할 규명을 위한 것으로, 특정 지역을 선 정하여 그 지역대표도서관이 해당 지역 공공도서관 발전 도모를 위해 필요한 역할을 중심으로 진행되 었다. 연구에서는 지역대표도서관의 본질적 기능과 해당 지역의 현장 사서들의 인식 및 환경적 요인을 바탕으로 하여 지원적 역할과 협력적 역할을 찾고자 하였다. 그 결과 협력적 역할로는 5개 지역의 특 성화된 지역거점도서관의 활용으로, 지원적 역할로는 전북지역 지식정보원의 구축에 의한 교육 및 문 화행사의 지원 등을 도모하도록 한다.

KEYWORD
Regional Central Library , Regional Hub Library , Regional Public Libraries , PublicLibrary Cooperation
  • 1. 서 론

    2007년 개정도서관법 시행령이 발표되고 그 실현이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지역 공 공도서관의 발전에 견인적 역할이 되는 부분 은 지역대표도서관에 관한 구체적 내용을 포 함하고 있는 제22조와 23조이다. 이 법의 제 정과 그 시행령의 발효는 지역의 중앙관 설립 으로 지역 및 국가적 도서관 발전을 효율적으 로 도모하고자 함이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이 를 통해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발전에 가장 저 해되는 주요인으로 지적되는 공공도서관 행정 의 이원화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의 도를 간과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지역대표도서관이 갖는 이와 같 은 주요 기능을 주시하여 지역대표도서관 설 립 혹은 지정의 추진현황을 살펴보고 특히 지 역내 공공도서관 발전에 효율적인 역할을 수 행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 의도에서 출발 되었다. 새 도서관법에 포함되어 있는 지역대 표도서관법의 설립/지정과 관련하여 각 지역 에 따라 그 실현의 진척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 가 있다. 그러나 광역의 모든 지역에서 이의 실현에 대한 관심과 노력은 반드시 조속하게 진행되어야 하며, 동시에 지역내 공공도서관 의 역할을 효율적인 방향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규명하고자 함에 본 연구의 필요성을 둔다.

    따라서 본 연구의 근본이 되는 목적은 새 도서관법이 제정되고 그 시행령이 발표된 이후 2년이 지난 지금에 이르기까지 지역대표도 서관의 본격적인 운영방향을 구체화하지 못하 고 있는 각 지역별 현실을 감안하여 이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그리하여 공공도 서관을 비롯하여 각 지역의 전 관종을 대상으 로 하는 도서관의 새로운 발전방향을 모색하 며 지역별로 차별화된 지역대표도서관의 역할 을 규명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 대표도서관 역할을 규명하며 현재 지역대표도 서관 운영 조례를 다른 지역에 비해 다소 신속 하게 제정하고 그 실현에 대해 노력하고 있는 지역이 그 대상이 된다. 사례 대상의 특정 지역에 대해서는 광역의 공간적 범위에서 공공 도서관의 전반적 현 상황을 검토하고 그로부 터 도출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향에서 지역대표도서관의 역할을 규명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일차적으로 공공도 서관에 대한 지역대표도서관이 수행해야 할 역할을 찾고자 함에는 현재 우리나라의 도서 관 발전에서 심각한 저해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공공 도서관의 이원화된 행정체계를 중시 하기 때문이다. 지역대표도서관의 기본적인 기능과 역할은 새 도서관법에서 제정하고 있 는 바를 근거로 할 것이나 구체적 시행 내용으 로는 각 지역의 인구적, 지리적 상황에 따른 환경적 요인에 따라 차별화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의 진행과정은 먼저 새 도서 관법과 도서관정보정책기획단에서 발표한 국가 도서관발전계획을 기초로 하여 지역대표도서관의 역할을 규명하고, 해당 지역의 도서관 현황 을 검토한 결과와 공공도서관 협력 담당 사서 로부터 확인된 지역대표 도서관이 수행해야 할 주요 과제에 대한 인식내용을 참조할 것이다.

    2. 지역대표도서관의 설립과 현황

       2.1 지역대표도서관의 설립 배경

    전 세계적으로 본 지역대표도서관의 개념은 작은 정부의 실현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따라 서 지방화 개념이 먼저 발달된 국가에서 그 시 작이 출발되었으며 미국의 경우 지역대표도서 관의 설립 역사는 1800년대로까지 거슬러 간 다. 특히 미국이 공공도서관의 대표적 발전국 이 될 수 있었던 것에는 연방정부 수준에서 제 정한 도서관봉사 및 기술법(Library Service and Technology Act)에 의해서이다. 이 법 에서는 지방정부가 지역대표도서관에 대한 재 정적 지원을 하도록 하였으며, 이의 작용에 의 해 지역도서관 협력 시스템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Schneider 2002, 142). 우리나라 역시 지역의 균형발전과 정보격차 의 해소라는 명제에서 시작된 지역대표도서관 건립계획은 새로이 제정된 도서관법 4장 제22 조와 23조에 의해 법제화되었다. 새 도서관법 에서는 정부 및 각 지방정부의 책임 하에 도서 관정책의 수립과 추진을 의무화시킴으로써 국 가적 수준에서 도서관발전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국가적 수준의 대표도서관은 국립중앙도서관으로 하 여금 수행하도록 하며, 각 지역별 광역 수준에 서는 지역대표도서관을 설치하여 해당 지역의 도서관시책을 수립하여 광역지방단체 수준에 서 도서관이 포함된 문화행정을 위한 지방분 권의 주체가 되도록 하였다. 이는 곧 지방자치 단체가 주역이 되는 지역공공 도서관의 발전을 유도하고자 한 의도에서 출발된 것이다.

    2007년에 전면 개정된 새 도서관법에서는 광역자치단체에서 지역대표도서관의 지정 또 는 설립을 주체적으로 진행시키도록 하였으며 그해 6월에 지역대표도서관 표준조례가 배포 되고 2009년 5월 현재 7개의 광역지역자치단 체에서 지역대표도서관 설치 조례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법적 근거에 따라 지역대표도 서관 운영이 실행되고 있으며 과거 국립중앙 도서관에서 지정한 전국 16개 광역대표도서관 지역 중 4개 지역에서 설립 또는 지정에 의해 현재 지역대표도서관을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광역의 지역별 중앙도서관 개 념이 구체적으로 시작된 것은 법률 제7060에 제정된 지방분권특별법의 개혁과제로 부터이 다. 이에 따르면 광역의 대표도서관은 지역 균 형발전의 실현도구로 활용되며 또한 지식정보 시스템의 광역 도서관 네트워크의 거점으로서 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지정되어 있다. 오늘 날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유용성을 지니 는 사회적 장치로서의 주요 의미를 지니게 된 공공도서관은 정보?문화?교육을 위한 사회적 조직체로서의 주체가 되어 핵심적인 지역문화기관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지방화시대의 주요 과제인 지역간 차별화 철폐를 실현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그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2.2 국내 지역대표도서관의 추진 현황

    2009년 5월 말 현재 우리나라에는 총 590 개관에 달하는 공립공공도서관이 설립 운영되 고 있으며 이 중 대구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지방단체소속의 도서관 수가 교육 청소속의 도서관 수를 앞서고 있다. 따라서 1997년에 구성되어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 로 운영되는 전국도서관협력망의 지역 대표관 16개관 중 11개관이 교육청 소속의 공공도서 관으로 지정되어 있다. 2원제 행정단위간 공 공도서관 협력활동은 대체로 소극적 현상에 있으며 도서관법 전면 개정에 의한 새 도서관 법 제정 이후 이의 현상은 더욱 두드러지는 경 향에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국내의 공공도서관 상황에서 지역대표도서관의 운영을 통해 각 지자체 차원에서의 도서관 협력활동을 보다 효율적으로수행할 것을 기대하고 있으나 2009년 5월 말현재까지 지역별로 본 지역대표도서관의 설립또는 지정의 진행 수준은 그리 높지 않은 편이다. 지역대표도서관의 운영계획을 보면, 광역이나 기초 자치단체 소속 혹은 교육청 소속의기존 도서관 중 어느 한 개관을 지정하거나 신규 건립 또는 지정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표 1] 지역대표도서관 지정 현황 및 내용(2009. 5. 현재)

    label

    지역대표도서관 지정 현황 및 내용(2009. 5. 현재)

    한편, 2009년 5월 말 현재 새 도서관법에 의 해 지역대표도서관의 지정과 그 운영에 관한 지 역 조례를 확정 발표한 지역은 서울을 비롯하여 7개 지역1)이며, 지역대표도서관의 지정이 확정 된 지역은 부산, 인천, 대전 및 제주도 등 4개 지역에 불과하다. 그 외의 지역은 기존의 공공 도서관 협력망에서 지역대표관으로 지정된 도 서관이 지역대표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 로 기대되고 있으나 실제로는 업무진행은 거의 없다. 과거 공공도서관협력망의 지역대표도서 관이 지정된 국내 16개 지역에 대한 현 지역대 표도서관 지정 현황은 <표 1>;과 같다.

       2.3 해외 지역대표도서관의 현황

    지역대표도서관 개념은 지방자치제의 정착 과 궤를 같이 하는 것으로써, 지방자치제의 시 작이 빨랐던 외국의 경우가 우리나라에 비해 비교적 그 시행의 역사가 오래된다. 뿐만 아니 라 공공도서관의 발전도 빨랐던 미국의 경우 (Schneider 2002)에는 이미 1900년대 초엽 에 관종별의 지역도서관간 협력활동이 있었 다. 미국의 지역도서관 협력체제는 州 정부의

    재정적 지원 정책을 입법화하여 지방정부가 주도로 전 관종을 통괄하는 협력적 활동을 수 행하도록 한다. 주지사가 임명한 위원으로 구 성된 도서관 위원회가 주립도서관의 커뮤니티 를 대표하고, 주립도서관과 공공도서관 프로그 램의 정책 및 운영에 관하여 조언하고 추천하 는 책임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정부적 차원에서 의 정책에 의해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영국의 경우(Powell 1994)에는 예산절감의 목적보다 도서관 이용확대의 목적에서 시작된 지역대표도서관의 개념은 학생들을 위한 중앙 도서관 (Central Library for Students) 체제 의 형성이 동기가 되었다. 이후 기존의 협력체제 는 국립중앙도서관 체제로 합병되어 Regional Library Bureaux에서 국가적 차원의 상호대 차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오늘에 이르기까 지 영국의 지역도서관 협력활동은 공공도서관이 주축이 되어 대학도서관을 비롯하여 다른 교육적 기능을 갖는 도서관들 뿐 아니라 심지어 전문도 서관까지 포함하여 자원을 공동 관리하고 있다.

    한편 호주의 지역대표도서관은 각 지방정부 의 지원하에 6개 주와 2개의 자치 기구가 독립적 으로 운영되는 체제를 유지한다. 州 도서관법에 의해 수서 예산을 할당하며 지방정부에 소속된 도서관 내의 효율적인 인프라 체제와 중앙으로 조정된 州 전역의 교환시스템을 가동한다. 이에 따라 도서관자료의 구매와 州 전역의 온라인목 록 및 도서관상호대차 시스템인 중앙집중화로 인해 지리적 위치와 무관하게 대민봉사를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공공도서관 협력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하기위해 봉사자문단팀을 운영하여 대민봉사에 필요한 마케팅과 컨설팅 업무를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비해 인접국가로서는 비교적 빨리 지방자치제가 활성화된 일본에서의 지역대표도서관 운영은 도도부현(道都府?)2)의 지방정부에서 예산을 지원하고 그 감독 하에 주로시정촌립도서관과 공민관 도서실을 대상으로한다. 내에 소재하는 공공도서관과 시정촌교육위원회 및 공민관과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광역한 상호대차사업을 운영하며 특히 학교도서관과 대학도서관과의 연대를 강화하고 공공도서관 뿐 아니라 대학도서관과 전문도서관의 직원연수회를 책임지고 있다. 지역대표도서관 간 업무에는 다소 차이는 있으나 오카아먀현립도서관에서는 향토정보를 위한 전자도서관「디지털오카야마대백과」를 구축하고 국립국회도서관과의 연대에 의해 ? 외에 소재하는 도서관에 대한 지원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1) 서울, 부산, 광주, 대전광역시 및 경기, 전북, 제주도 등 7개 지역에서 지역대표도서관 조례를 발표하였다

    3. 전라북도 공공도서관 현황과 문제점

       3.1 전라북도 환경적 현황

    지역대표도서관이 수행해야 할 지역공공도서관에 대한 지역의 중앙관으로서 협력 및 지원업

    무의 내용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봉사대상 지역에 대한 인구적?사회적?경제적?지리적 내용을 포함한 환경적 현황을 파악해야 함이 요청된다. 이를 통해 해당 지역의 현 실태에 적정한 지원과 협력 사업으로 행정과 예산 등의 낭비를 줄일 뿐 아니라 업무 수행의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는 기 초적 자료로서의 활용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현황의 내용은 2000년 도 후반기3)의 상황이며 조사의 방법은 각 지 역별 행정자료를 활용하고 미진한 부분에 대해서는 직접 관계 공무원과의 전화문의에 의 한 답변 내용을 바탕으로 하였다.

    3.1.1 인구 및 사회적 현황

    전라북도 지역의 인구 및 사회적 현황을 파 악하기 위해서는 시·군을 대상으로 하여 외 국인 비율과 연령대별 비율로 나타내고(<표 2>; 참조), 아울러 외국인 및 연령대별 비율을 2004년도에 이어 2007년도를 각각 조사하여 그 변화의 추이를 나타내었다(<표 3>; 참조).

    [표 2] 전라북도 인구현황

    label

    전라북도 인구현황

    [표 3] 연령대별 인구비율

    label

    연령대별 인구비율

    우리나라 전국의 인구현황을 보면, 고령자 비율은 2008년 3월 현재 10% 수준에 있으며 이에 비해 전북지역의 고령자 비율은 2003년 에 이미 11.8% 수준, 2006년에는 16.3% 수 준으로 전국 평균에 비해 고령자 비율이 매우 높은 수준에 있다. 현재 전북은 김제시와 완주 군을 제외한 전 시도의 인구가 이미 초고령화 사회에 돌입하고 있어, 현 추세를 감안하면 전 북은 향후 10년 후, 65세 이상의 평균 노령인 구는 20% 이상의 증가를 예상하게 된다. 외국 인의 상황은 2003년 0.4%에서 2006년에는 0.7% 수준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전북의 농가지역에는 외국여성과의 결혼에 의 한 다문화가정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2) 일본에서는 42개의 도도부현에서 62개의 현립도서관을 지원 운영한다.      3) 항목에 따라 확인된 통계자료의 기준연도에 다소의 차이가 있다.

    3.1.2 산업 및 경제적 현황

    전북지역의 산업과 경제적 상황은 경제활동 의 인구통계를 조사하였으며 이로부터 경제자 립도의 수준을 파악하여 그 현황을 <표 4>;, <표 5>;에 나타 내었다. 조사내용은 2007년도 말 현황이며 이를 통해 지역대표도서관이 수 행해야 할 역점적 사업을 구상할 수 있을 것으 로 본다.

    전북지역 농가인구의 수준은 38.7%로 전국

    [표 4] 전라북도 산업별 현황

    label

    전라북도 산업별 현황

    [표 5] 전라북도 재정자립도 현황

    label

    전라북도 재정자립도 현황

    평균 농가인구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며 경 제적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산업별 현황은 사 회간접자본과 기타 서비스 분야의 산업인구가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광공업과 농림, 어업 분야의 순이다. 전북의 재정자립도는 14.9% 의 수준으로서, 현재 우리나라의 평균 재정자 립도 54.4%에 비해 극히 빈약한 경제적 상황 임을 알 수 있다(<표 5>; 참조).

       3.2 전라북도 공공도서관 현황

    3.2.1 공공도서관의 일반적 현황

    특정 지역의 중앙관으로서 지역대표도서관 이 수행해야 할 기본적 기능을 비롯하여 지역 공공도서관에 대한 지원 및 협력사업을 계획하 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도서관 현황에 대한 실태 파악이 중요한 기초적 자료가 될 것이다. 따라서 전북지역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현황으 로는 시?군별 도서관 수를 현재 우리나라의 공 공도서관 발전 저해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행 정이원제의 운영체제를 비교하기 위해 행정소 관별 상황을 포함시켰으며(<표 6>; 참조), 아울 러 공공도서관의 시설 현황을 지자체 및 교육 청 소속으로 각 각 구별하여 나타내었다(<표 7>; 참조). 그리고 공공도서관 범주시설에 대한 현황은 별도의 표로 나타내었다(<표 8>; 참조).

    전북지역의 공공도서관 수는 2009년 6월말 현재 작은도서관을 포함하여 총 92개관이다. 이 중 작은도서관을 제외한 공립공공도서관은 42개관으로 행정 소관별로는 시·군 소관 25

    [표 6] 공공 및 작은도서관 현황 (2009. 6 기준)

    label

    공공 및 작은도서관 현황 (2009. 6 기준)

    [표 7] 공공도서관시설 현황(지자체 소속 및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

    label

    공공도서관시설 현황(지자체 소속 및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

    개관과 교육청 소관 17개관이며 이외 사립 공 공도서관이 3개관이 더 추가 된다. 1관당 봉사 대상 인구수의 기준은 전국 평균 8만 6천명에 비해 4만 8천명으로써, 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사서 1인당 봉사대상 인구는 전국 평균은 1만9천명에 비해 전북의 봉사대상 인구는 2만1천명으로써, 봉사의 효 율성에 있어서는 저조한 수준일 것으로 판단된 다. 장서 확보율에 있어서는 전국 평균(1.01 권)에 비해 다소 높은 수준(1.21권)이나 도서관 이용자 수는 전국 평균(30만8천명)의 57% 에 해당되는 수준(17만6천명)으로써, 매우 저 조한 수준에 있어, 이용자 상승을 위한 도서관 측의 노력이 필요함을 말해 준다.

    3.2.2 공공도서관 범주시설 현황

    공공도서관 범주시설이란 주민 밀착형 도서 관으로서 지역의 주민과 가장 가까이에서 이 용할 수 있는 작은도서관과 장애인도서관 및 문고 등을 포함한 도서관 시설이다. 과거에는 특수도서관 혹은 전문도서관으로 분류하였으나 개정 도서관법에서는 이들을 공공도서관 범주시설로 명시하여 지방 자치단체에서 지원 하도록 하였다. 전북지역에서 이에 포함되는 작은 도서관과 문고는 각각 총 47개관과 129 개소인데, 전주시, 군산시, 익산시에 집중되어 있다. 이 외에 범주시설에 포함되는 장애인도 서관과 교도소도서관 및 어린이도서관은 총 5 개관으로써 그 현황은 아래 <표 8>;과 같다.

    3.2.3 전라북도의 환경적 현황에 따른 공공도 서관의 문제점

    이상과 같이 조사된 현 전라북도의 환경적상황을 보면, 농가 인구는 전국의 수준에 비해

    [표 8] 전북 공공도서관 범주시설 현황

    label

    전북 공공도서관 범주시설 현황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인 반면 전통적 1차 산 업의 수준은 타 시도에 비해 상대적 낙후성을 초래하고 있다. 이로부터 야기된 산업기반의 취약성에 따라 취업률이 낮으며 취업을 위한 전출에 따른 젊은 층의 인구감소에 비해 노령 인구와 외국인의 증가라는 현상을 가져왔다. 또한 경제성이 낮은 산업구조와 전국에 비해 빈약한 재정자립도 및 한정된 예산은 문화기 반시설에 대한 투자를 어렵게 하여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처해 있는 전북도 및 14개 시·군의 경제자립도가 전국 평균에 크게 밑도는 상황은 결과적으로 공공도서관의 건립과 지원 부분을 어렵게 하고 있다. 뿐 만 아니라 전북 지역의 공공도서관 발전이 전국 평균에 비해 낮은 수준을 면치 못하게 하는 이유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 과거 작은도서관과 유사 시설인 구심문고 및 마을문고 등의 대부분이 지속적이고 충분한 운영지원을 받지 못함으로써 관리 소홀로 인해 무용지물이 되거나 명맥만 유지하고 있으며,

    - 교육청 산하 공공도서관의 경우, 대부분 소규모이거나 복합시설로서 운영실적이 저조하며 지역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 과의 협력 프로그램의 미개발과 상호 교 류가 미흡하고,

    - 도서관 용도의 시설이 아닌 일반 건물을 리모델링하여 도서관으로 이용하는 경우 에는 도서관으로서의 적합성이 떨어지고 노후화되어 있으며,

    - 도서구입비 수준에서만 예산이 지원되는 열악한 재정의 교육청 산하 공공도서관은 교육프로그램 운영과 문화행사 등 일반 사업비의 지원이 시급한 상황이다.

    4. 지역 공공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지 역대표도서관의 역할

       4.1 지역대표도서관의 본질적 기능

    개정 도서관법에서 제시한 지역대표도서관 의 기본적인 기능은 각 지역을 광역으로 대표 하는 중앙관으로서의 역할이다. 특히 중시되 는 역할은 해당 지역을 대표하는 정보센터의 수준에서 각 지역의 시·도 단위에서 종합적 인 자료를 수집·정리·보존하여 그 지역의 공공도서관 지원과 협력에 필요한 사업 수행 이다. 이를 위한 주요 업무로는 도서관 업무에 관한 조사·연구 및 지역의 자료수집 지원과 이관된 자료를 보존 제공하며 국립중앙도서관 의 자료 수집 활동이나 도서관 협력사업 등의 지원이 포함된다. 즉 국립중앙도서관은 국가 적 수준에서, 지역대표도서관의 광역 지역의 수준에서 중앙관으로서의 독자적 기능과 협력 적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지역대표도서관은 설립 주체로 보면 지역의 공립 공공도서관이나 그 기능면에서는 해당 지역의 공공도서관 뿐 아니라 타 관종의 도서관을 대표하는 수준에서의 역할이다. 이 결과, 지역대표도서관은 설립 주체별이 아닌 범위에서 지역별 지식 문화유산을 총괄적으로 수집 보존하여 그 이용을 가능하도록 하는 중 앙관으로서의 기능을 중시한다. 이 기능을 수 행하기 위해 대표도서관의 기능에는 도서관법 제26조를 통해 그 지역의 간행물에 대한 납본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국가대표 도서관이 국가적 규모(영역) 에서 납본권을 가지는 것과 동일한 의미에서 지역 수준의 납본기능을 가지게 된다. 그 지역 에서 발행하는 자료에 대한 납본권에 의해 자 료의 수집과 보관 및 협력체계에서도 주체적 역할을 유지 하여 지역 정보자료에 대한 아카 이빙과 접근의 수월성을 도모하도록 하였다.

    뿐만 아니라 지역대표도서관은 설립 주체별 이 아닌 해당 지역을 광역으로 대표하는 정보 센터로서, 현재 우리나라의 공공도서관 발전 에 큰 저해요인이 되고 있는 운영주체의 이원 화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역할도 중시하고 있 다. 지역대표도서관의 기능을 총체적으로 보 면 도서관정책 기능을 비롯하여 지역의 각 도 서관에 대한 지원과 협력 기능 및 자료보존 기 능 등을 수행하도록 법적 수준에서 제도화하 고 있다. 이와 같은 기본적 기능을 보다 효율 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부차 적 기능을 포함하여 지역 대표도서관의 본질적 기능으로 중시되고 있다.

    - 주민자치문화의 정책 주체로서 광역자치 단체의 공공도서관 정책수립과 집행

    - 시?도 단위의 도서관협력 사업추진의 주체와 행정적 지원

    - 지역협력네트워크 유지

    - 지역도서관의 특성화 개발

    - 협동정보봉사의 시행

       4.2 지역 공공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한 역할

    본 연구에서는 특정 지역의 대표도서관이 수행해야 할 지역 공공도서관을 위한 역할상 내용을 찾기 위해서 기본적으로는 개정된 새 도서관법과 2007년 5월에 발표된 국가도서관 발전계획에 그 이론적 바탕을 둔다. 그리고 실 무적 활동내용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 역의 공공도서관 현황으로부터 규명된 문제점 을 해결할 수 있는 내용과 현장 사서들의 의견 을 참고로 그 방향을 찾고자 한다. 먼저 도서 관법에 명시된 지역대표도서관이 수행해야 할 지역 공공도서관의 활성화를 위한 주요 내용 은 전술된 본질적 기능에서 제시된 대로 지역 의 중앙관으로서 요구되는 협력과 지원 사업 을 들 수 있다. 이에 덧붙여 행정의 이원화로 부터 야기되는 발전의 저해요인을 제거하는 데 필요한 대표도서관으로서의 역할을 포함시 킬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이원 제 행정체계는 공공도서관의 발전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지적되며 지역대표도서관의 역 할에 의해 이 문제가 해소 될 것은 현장의 사서 들로부터 확인되는 기대사항(김홍렬 2009, 128) 이기도 하다.

    4.2.1 지역대표도서관의 협력 역할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전북지역은 농가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농촌지역으로서 현재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일반적 현상을 경험하고 있는 대표적 지 역이다. 따라서 지역대표도서관은 해당 지역 의 중앙관으로서, 지역 공공도서관에 대한 협 력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도 서관의 기반구축을 통해 각 단위도서관 현장 의 의견을 수렴하고 이로부터 일관된 도서관 정책의 마련과 그 시행이다. 이를 위한 근본적 인 바탕에는 농촌지역의 급격한 인구감소로 인한 이용률 저하에 대처할 수 있는 장기발전 계획의 수립과 아울러 농촌지역의 주요 과제 인 정주계획에 지원이 되는 공공도서관의 역 할에 대한 중시가 필요하다.

    지역 공공도서관에 대한 협력 업무를 원활 하게 수행하기 위한 실무적 기초 사업으로는 협력망의 구축이 필요하며 현 전북지역의 27 개 단위공공도서관을 위한 효율적인 구축모델 로는 4개의 지역거점도서관4)을 두어 대표도서 관과 각 단위도서관 간의 중간 역할을 수행하 도록 한다. 지역거점도서관을 지정하는 개념은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별 특수 집서에 의해 특성화된 분담수서의 실시와 전문봉사까 지를 고려한다면 오늘날 지역 공공도서관에 대 해 기대하게 되는 지역주민의 정보요구 해결에 좋은 지원적 역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지역거점도서관의 중개에 의한 각 지역의 공공도서관간 협력활동을 통해 지역 의 공공도서관이 무엇보다 중시해야 할 향토자 료의 수집과 지역 문화의 콘텐츠 발굴작업은 지역대표도서관이 국립중앙도서관에 대해 협력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사업이다. 이 외에 도 전북지역의 인구적 현황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노인인구와 다문화가정의 증가에 따른 교 육 문화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은 지역대표도 서관을 중심으로 한 해당 지역의 거점도서관간 협력에 의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전 북의 각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지역거점도서관 의 유형은 다음과 같이 계획할 수 있으며 각 거점도서관별의 분담수서를 위해서는 자료구 입비의 10% 수준5)을 유지하도록 한다.

    - 제1거점도서관(전주지역) : 지역문화·향 토음식 관련

    - 제2거점도서관(군산·익산지역) : 해양산 업·교통·관광 관련

    - 제3거점도서관(무주·진안) : 임업·산림· 농업 관련

    - 제4거점도서관(순창지역) : 장류·인삼· 과일 관련

    4.2.2 지역대표도서관의 지원 역할

    지역대표도서관이 수행해야 할 지역 공공도서관에 대한 지원역할에 있어서는 지역정보화를 비롯한 도서관정보화의 미진에 대한 지원

    과 지역문화의 발굴 및 보존 사업이 있으며 분 담수서의 전제가 되는 상호대차의 원활한 운 영지원이 포함된다. 또한 지역의 지식정보격 차 해소를 위한 방안을 지원하며 지금까지 국 립중앙도서관에서 전담하고 있는 직원교육의 지역화가 필요하다. 뿐 만 아니라 도서관교육 을 비롯하여 지방자치단체와 중복되어 남발되 고 있는 문화행사도 지원 사업에 포함시켜 보 다 효율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현재 전북지역을 비롯한 대부분의 지역공공도서관은 도서관정보화사업의 추진 지역을 제외한 도서관에는 디지털자료실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설치된 도서관은 정보통신의 보안이나 디지털 장비의 세분화에 따른 전문 인력의부재와 디지털자료실 운영에 필요한 예산부족으로 정보서비스의 질적인 저하를 초래하고있는 실정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이버도서관의 설치에 의해 업로드 된 MARC의 통제및 관리 지원과 국립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현재 전국의 공공도서관이 공동으로 운영하는KOLIS-NET을 이용한 공동목록 활용에 필요한 지원사업도 고려할 수 있다.

    지역문화 콘텐츠의 발굴과 보존을 위해서는지역 납본제도에 의해 관련 자료를 수집하고,이의 공동보존에 의한 지원은 지역중앙관으로서 대표도서관이 수행해야 할 역할이다. 지역고유의 지식자원을 개발하고 지역 문화인프라의 구축을 통해 지역 공공도서관의 주요 사업에 포함되는 지역문화의 교육과 문화행사를효율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은 전북지역 현장사서들이 대표도서관에 대해 가장 높은 수준의 희망 사항(김홍렬 2009, 123)에 대한 대응이기도 하다.

    지역의 중앙관인 지역대표도서관이 이와 같은 지원적 역할을 수행하는 방법으로는 도내지식정보원으로서의 사이버백과(가칭 : KACHI-NET6))를 구축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한편, 지식정보격차와 지역 문화의 소외계층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작은도서관의 건립과 지원도 이와 연계되는 지원사업으로서 지역대표도서관이 책임져야 할 주요 과제이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실시하고 있는“책바다”의 전 국가적 상호대차 업무에 대해서는 전북지역의 전 관종을 망라한 상호대차협정의 체결로 지자체와 도교육청 및 지역 소재의 대학도서관을 연계하는 상호대차네트워크(가칭: JOY-NET7))의 구축을 통해 대표도서관이 지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이는 지역 고유의 지식자원으로 구축된 특화된 인프라 구축과 더불어 최근 실시되고 있는국립중앙도서관의 협동참고봉사(CDRS)를 지원하는 지역별 역할에도 활용될 수 있는 일환이 된다.

    그리고 무엇보다 지역 공공도서관간 협력활동의 부족 현상에 대한 주원인으로 지적되는‘운영주체 간의 협력 미흡’(김홍렬 2009, 126)

    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은 운영주체를초월한 지역대표도서관이 수행해야 할 지원적역할이라 하겠으며 이는 곧 지역대표도서관설립과 운영을 새 도서관법에서 강조한 이유에 대한 책임이기도 하다.

    4) 이는 개정도서관법 이전의 지역대표관 개념의 도서관을 의미한다.      5) 이 비율은 도서관장기발전계획에서 제시한 분담수서를 위한 자료구입비 수준이다.      6) 이는 소식을 전하는 새를 상징되는 까치를 의미한 가칭이다.      7) Jeonbuk old and young 의 acronym으로 전북지역 모든 성인 및 젊은이를 대상으로 한다는 뜻의 가칭이다.

    5. 결론

    공공기관의 지역사회에 대한 효율적 역할수행을 위해 오늘날 현대적 개념에서 합의되는 요건으로는 주민들과 신뢰적이고 우호적인관계를 형성하고, 변화에 대해서는 주민들과호흡을 같이 하며, 지역사회의 단체들과 함께더불어 일할 수 있는 협조 등을 꼽는다. 개정된 새 도서관법에서는 지역대표도서관의 설립과 운영에 관한 조항을 제정하여 지역별로 차별화된 효율적 지역대표도서관의 역할을 기대하며 이로부터 지역 주민의 향상된 문화생활까지 확보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오늘날 이와 같이 달라지는 공공기관에 대한 새로운 개념에 의해 특정 지역의대표도서관이 수행해야 할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지역 주민의 문화적 경제적 삶의 질이 향상되는 데에 지역의 공공도서관이 보다 더 효율적인 영역을 확보하고자 한 의도에서 출발되었다. 특정 지역의 선정은 타 지역에 비해일찍이 지역대표도서관의 조례를 제정하고 문화도시의 건설에 노력하는 등 지역대표도서관에 대한 발전 의지를 보다 강하게 갖고 있다고판단되는 전북지역으로 하였다. 그리하여 지역대표도서관의 본질적 기능과 국내의 대표도서관 진척 상황을 검토하고 해당 지역의 환경적 현황 분석과 지역의 현장 사서들로부터 습득된 인식도를 바탕으로 지역 공공도서관 발전을 위해 전북지역대표도서관이 수행해야 할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대표도서관의 역할 중 특히공공도서관에 관련된 내용으로 제한하였다.이는 새 도서관법에 의한 지역대표도서관의설립 주체를 지방정부의 책임아래 두고 있어,초기 단계인 현 시점에서는 자연히 제한 없는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공공도서관의 성격에 일차적으로 집중되기 때문이다. 또한 국내의 지역대표도서관 추진 현황을 보면, 16개광역 지역 중 4개 지역에만 대표도서관이 운영되며 관련 조례를 발표한 지역도 7개 지역에 불과한 초기 수준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대상이 된 전북지역 또한 타 지역에 비해 비교적 빠른 조례 준비 등 지역대표도서관 운영에대한 높은 관심에 비해 아직 그 지정이나 설립이 시행되지 못한 상황이다8). 따라서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지역대표도서관의 지정 혹은설립 계획이 보다 시급히 실현되기를 기대하며 다음과 같은 대표적인 사항을 전북의 지역대표도서관 역할로 제시하고자 한다.

    ○ 공공도서관 운영주체의 일원화 논의를위한 기구 구성을 통해 이원화된 공공도서관의 운영체제로부터 기인되는 문제점을 최소화한다. 이 기구(가칭/ 전라북도 지역공공도서관운영 일원화를 위한 협력 기구)는 전라북도와전라북도교육청의 기관을 중심으로 학계, 도서관계, 도서관 관련 단체 등을 망라하여 구성한다. 향후 지역대표도서관에서 추진하는 협력 사업에 98.9%의 기관이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가지고 있음은 지역대표도서관의 역할에대한 현장 사서들의 기대를 반영하는 것이며도내 공공도서관발전을 위한 정책 마련을 가장 시급한 사업으로 요구하고 있는 것(김홍렬2009, 127) 또한 전북의 지역공공도서관 발전을 위해 선결되어야 할 우선 사항임을 말해준다.

    ○ 도내 지식정보원으로서의 사이버백과를구축하고 이의 활용을 통해 지역 특성을 고려한 지역 단위의 실무자교육 및 축제와 문화행사를 효율적으로 운영한다. 이는 향후 지역대표도서관에서 추진하는 협력사업 중 가장 참여하고 싶은 사업으로 ‘교육 및 문화프로그램협력’(김홍렬 2009, 129)이라는 지적에 대한대응과 더불어 지역대표도서관의 주요 지원역할을 위한 방안이 될 수 있다. 지역대표도서관이 갖는 지역 납본권과 공동보존 업무를 통해 확보된 자원을 도내의 통합된 지식정보원으로 구축함으로써 국립중앙관에서 시행하는CDRS업무에 대한 지역 단위에서의 지원 사업으로도 병행할 수 있는 이중의 활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

    ○ 주민밀착형의 작은도서관, 공사립문고 및범주시설의 도서관에 대한 지원을 확충한다.이는 지역의 공공도서관 발전을 비롯하여 지역 주민의 정보격차해소 방안을 위한 지원역할로서, 모든 지역 대표도서관이 감당해야 할주요 사업이다. 특히 전북지역은 여러 환경적여건으로 인해 이러한 영역의 지원을 보다 많이 필요로 하는 지역이다. 이를 위해서는 인력·운영을 위한 예산 지원과 도서구입비 지원, 운영지침의 수립 및 제공 외에도 이용환경의 개선을 위한 장·단기적 방안을 수립해야한다.

    ○ 경제적 활동이 가능한 노인 및 결혼이 민에 따른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특별 교육·문화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 전북지역의 인구적 상황에 따르면 노인인구의 증가와다문화가정의 증가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공공도서관이 수행해야 할 주요 역할은 모든 농촌지역의 현 과제인 정주환경의 정착에도 그 활용이 기대된다. 그리고 이의 효율적인 시행은 지역대표도서관의 협력적이고 지원적인 역할로 부터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8) 대표도서관을 의도하여 신설된 도립의 도서관이 대표도서관으로서의 수준에 미달된 규모로써 미인정된 상태이다.

참고문헌
  • 1. 2005 공공도서관 도서관 협 력망 운영실태 자료집 google
  • 2. 김 세훈 2008 지역대표도서관 기반조성 및 운영 활성화 방안 google
  • 3. 김 세훈, 심 효정 2008 지역대표도서관 설립 및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9 P.319-337 google
  • 4. 김 홍렬 2009 지역대표도서관의 역할 및 추진방향에 관한 사서들의 인식연구 [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P.115-132 google
  • 5. 남 영준 2007 공공도서관의 이론적 상호협력과 그 가능성에 대한 소고 [도서관연구] Vol.24 P.117-145 google
  • 6. 남 영준, 김 규환, 남 태우 2008 공공도서관 협력 업무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2 P.177-192 google
  • 7. 2008 도서관발전종합 계획(안) google
  • 8. 동양의 도서관사 google
  • 9.
  • 10. 전북통계 google
  • 11. 정 현태 2006 지방분권과 지역대표도서관의 역할 [도서관문화] Vol.47 P.39-48 google
  • 12. Powell Bridget, Brian Burch 1994 The Changing Role of the Regional Library Systems [Interlending & Document Supply] Vol.22 P.22-26 google cross ref
  • 13. Schneider Tina A 2002 Academic libraries and regional library systems: how do they stand today?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Vol.28 P.141-146 google cross ref
  • 14.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지역대표도서관 지정 현황 및 내용(2009. 5. 현재)
    지역대표도서관 지정 현황 및 내용(2009. 5. 현재)
  • [ 표 2 ]  전라북도 인구현황
    전라북도 인구현황
  • [ 표 3 ]  연령대별 인구비율
    연령대별 인구비율
  • [ 표 4 ]  전라북도 산업별 현황
    전라북도 산업별 현황
  • [ 표 5 ]  전라북도 재정자립도 현황
    전라북도 재정자립도 현황
  • [ 표 6 ]  공공 및 작은도서관 현황 (2009. 6 기준)
    공공 및 작은도서관 현황 (2009. 6 기준)
  • [ 표 7 ]  공공도서관시설 현황(지자체 소속 및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
    공공도서관시설 현황(지자체 소속 및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
  • [ 표 8 ]  전북 공공도서관 범주시설 현황
    전북 공공도서관 범주시설 현황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