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The Clinical Analysis on 32 Cases of Herniated Lumbar Disc Patients according to Lumbar CT scan. Lumbar Spine CT 촬영한 요각통 환자 32례의 치료경과 분석
  • 비영리 CC BY-N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oriental medicine treatment on lumbar disc herniation.

Subjects and Methods

The clinical analysis was done on 32 cases of patients with lumbar disc herniation diagnosed by lumbar CT scan. Patients who admitted in Cheongju Oriental Medicine Hospital from April 2007 to April 2008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sex, age, the period of disease, condition on admission, the symptom on admission, Admission day, the treatment efficacy at discharge day.

Results

1. The forties was the most, the acutest phase the most, the day of 8-14 days the most.

2. Multiple bulging disc in 37.5% of CT scan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a single HNP was 28.1%.

3. Almost 81% patients showed effective efficacy under VAS 3 at discharge day.

4. Single bulging and herniated disc were more short admission days than multiple bulging and herniated disc.


KEYWORD
Disc herniation , CT scan , Clinical analysis
  • I. 서론

    요각통은 요부 및 하지에 나타나는 동통의 총칭으로 이는 단순히 증상을 표현할 뿐 어떤 특정병명이나 증후군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1). 요통을 취급하는 학자들은 인간이 일생동안 요통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은 없다고 할 정도로 흔하다. 요통은 신체 뒤쪽의 제 12늑골과 후장골릉 사이의 통증을 지칭하며 또 양측하지의 방산통과 함께 신경증상도 포함하는 광범위한 통증의 집합체로 정의한다2).

    서양 의학적으로는 척추와 이에 속한 부속조직에서 발생되는 원인과 우리 몸의 다른 장기에 의해서 생긴 질환이 하부요추에 연관통을 일으키는 경우나 심인성의 원인에 의해서 국소통, 방산통, 척수신경근통, 2차성 근 경련에 의한 4가지형으로 나타나는 모든 동통으로 규정하며 따로 요각통을 구분하지 않고 있다. 요각통의 치료는 수술적 치료와 보존적 치료로 대별 할 수 있으나 주로는 보존적 치료가 이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수술요법이 다양화 되면서 수술환자도 증가하는 추세이다3,4).

    한의학에서는 요통의 원인에 대하여 《素問 · 病能論》5)에서 "少陰脈貫腎絡肺 今得肺脈 腎爲之病 故腎爲腰痛之病也"라 하였으며, 巢6)는 "少陰傷腎, 風寒着腰, 役用傷腎, 墜墮傷腰, 寢臥濕地" 등으로, ?7)은 腎虛, 瘀血, 濕痰 등으로, 許8)는 腎虛, 痰飮, 食積, 挫閃, 瘀血, 風, 寒, 濕, 濕熱, 氣 등 10種으로 분류하였다.

    요통은 일생에 80~90%의 사람들이 경험하며9), 수술요법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이 시기에 보다 객관적인 예후 판단을 위한 근거 제시는 미흡한 실정이며, 단순 X-선, CT 및 MRI를 활용한 보존적 치료 사례가 발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한방 보존적 치료에 대한 분석은 현재까지 발표된 사례가 적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대전대학교 청주한방병원에 요각통을 주소로 2007년 4월부터 2008년 4월까지 입원 치료한 환자 32예의 CT 결과에 따른 예후를 분석하여 약간의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II. 관찰대상 및 방법

       1. 관찰대상

    2007년 4월 1일부터 2008년 4월 30일까지 대전대학교 청주한방병원 침구과에 요각통을 주소로 입원하였던 환자 중 L-Spine CT 판독결과 정상 판정을 받은 환자, 기왕력으로 척추, 추간판질환이 있었던 환자를 제외하고 4일이상 입원한 환자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방법

    본원에 입원치료 하여 L-Spine CT 검사를 받은 32명의 환자를 성별 및 연령별 분포, 병력기간별 분포, 입원당시 상태별 분포, 임상증상별 분포, 입원 기간별 분포, 요추부 CT 소견별 분포, 요추부 CT 소견별 퇴원 시 치료 성적(VAS), CT 소견에 따른 입원 기간으로 나누어 관찰하고 치료 성적을 분석하였다.

       3. 치료 방법

    (1) 침구치료

    ① 침치료 방법

    요각통의 치료혈을 김10)등의 분류방법에 따라 膀胱經型, 膽經型, 中間型, 混合型 등으로 분류하여 시술하였고 최11), 이12)등의 보고에 따라 요각통에 응용빈도가 높은 경혈들을 선용하여 다음과 같이 기본 취혈하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隨證加減하였다.

    基本取穴: 腎兪(BL23), 氣海兪(BL24), 大腸兪(BL25), 關元兪(BL26)(兩側), 環跳(B30), 委中(BL40), 承山(BL57), 崑崙(BL60)(患側)

    a) 膀胱經型: 基本取穴 + 承扶(BL36), 殷門(BL37), 承筋(BL56), 或 膀胱正格(患側)

    b) 膽經型: 基本取穴 + 風市(GB31), 陽陵泉(GB34), 絶骨(B39), 或 膽正格(患側)

    c) 中間型: 基本取穴 + 承扶(BL36), 殷門(BL37), 風市(GB31), 陽陵泉(GB34)(患側)

    d) 混合型: 基本取穴 + 承扶(BL36), 承筋(BL56), 風市(GB31), 陽陵泉(GB34), 絶骨(GB39)

    ② 시술방법

    鍼(동방침구제작소에서 제작된 0.25 mm × 30 mm규격의 鍼)治療는 一日 2回, 留鍼시간은 25분하면서 전침(SONOTRON PGN-300N, Neomyth Co., Korea)을 양측 신수와 관원수에 부착하여 15-30-60 Hz을 5초씩 통전하고 1초씩 쉬게 하는 자극을 1 cycle로, 하루 1회 15분간 자극하였다. 또한, 留鍼시간동안 腰部에 적외선을 조사하였다.

    (2) 약물치료

    약물치료는 입원초기에는 標本緩急의 원리에 따라 活血通絡, 止痛消散, 行氣血의 療法으로 痛症緩和에 중점을 두었고 후기에는 强筋骨, 補肝腎, 益氣補血의 本治法에 따라 辨證施治하였다.

    (3) 물리치료

    1日 1回요부에 T.E.N.S, 부항요법을 시행하였다.

    (4) 훈증치료

    훈증치료기(SKIN KOREA, Model KES-650)에 약물(갈근, 강활, 계지, 목과, 박하, 애엽 각 2 g)을 분쇄하여 티백에 넣고 15분씩 환부에 훈증하였고 1日 1回시행하였다.

       4. 분류기준 및 평가방법

    1) 병력기간 분류기준

    병력기간은 채13)의 분류방법을 채용하여 발병 후 1주 이내는 최급성기, 1주~1개월 기간은 급성기, 1개월~6개월기간은 아급성기, 6개월 이상은 만성기로 각각 분류하였다.

    2) 환자의 입원당시 상태 판정기준

    입원당시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자 채13)의 방법을 채용하여 동통과 활동제한에 따라 5단계로 구분하였다.

    ① Grade 0: 동통이 전혀 없으며 정상적 활동 가능함.

    ② Grade I: 경도의 동통이 있으며, 안정시에는 동통이 없으나 활동시 동통이 나타남.

    ③ Grade II: 중등도의 동통이 있는 경우로 동작의 제한은 없으나 동통으로 불편한 상태.

    ④ Grade III: 심한 동통이 있는 경우로 동작시 동통으로 활동이 제한되며 조심스럽게 움직일 수는 있는 상태.

    ⑤ Grade IV: 극심한 동통이 있는 상태로 동작시 동통이 심하며, 자력으로 움직이기 어려운 상태.

    III. 성적

       1. 성별 및 연령별 분포

    성별 분포는 남자가 19례(59.4%), 여자가 13례(40.6%)로서 남녀의 비는 1.46 : 1(소수점 셋째자리 반올림) 이었다.

    연령별 분포는 40대가 13례(40.6%), 30대가 11례(34.4%), 60대가 4례(12.5%), 20대가 2례(6.3%), 50대와 70대가 각 1례(3.1%)의 순이었다(Table 1).

       2. 병력기간별 분포

    병력기간별 분포는 최급성기 환자가 17례(53.1%), 급성기 환자가 8례(25%), 아급성기 환자가 7례(21.9%)의 순이었다(Table 2).

       3. 입원당시 상태별 분포

    입원당시 상태별 분포는 Grade III가 17례(53.1%), Grade IV가 9례(28.1%), Grade II가 6례(19%)의 순이었다(Table 3).

       4. 임상증상별 분포

    입원당시 단순히 요통만 호소한 환자는 2례(6.3%) 이었다. 요통 외에 호소한 증상으로는 우하지인통이 18례(56.3%), 좌하지인통 9례(28.1%), 양하지인통 3례(9.4%)의 순이었다(Table 4).

       5. 입원 기간별 분포

    입원 기간은 8~14일이 12례(37.5%), 1~7일이 7례(21.9%), 15~21일이 5례(15.6%), 22~28일과 36일 이상이 각각 3례(9.4%), 29~35일이 2례(6.3%)의 순이었으며 평균 입원일수는 16일 이었다(Table 5).

       6. 요추부 CT 소견별 분포

    전산화 단층촬영(CT)에 근거한 소견별 분포는 Multiple Bulging Disc가 12례(37.5%), 단일 H.N.P가 9례(28.1%), 단일 Bulging Disc가 5례(15.6%), Bulging Disc & H.N.P가 4례(12.5%), Multiple H.N.P가 2례(6.3%)의 순이었다(Table 6)(Fig.1).

       7. 요추부 CT 소견에 따른 입원 기간

    요추부 CT 소견에 따른 입원 기간 분포는 Multiple Bulging Disc가 8~14일이 6례, 36일 이상이 2례, 1~7일과 15~21일, 22~28일, 20~35일이 각각 1례 이었으며, 단일 H.N.P가 8~14일이 4례, 1~7일이 2례, 15~21일과 22~28일, 29~35일이 각각 1례 이었으며, 단일 Bulging Disc가 1~7일이 2례, 8~14일과 15~21일, 22~28일이 각각 1례 이었으며, Bulging Disc & H.N.P가 15~21일이 2례, 1~7일과 36일 이상이 각각 1례 이었으며, Multiple H.N.P가 1~7일과 8~14일이 각각 1례이었다(Table 7).

       8. 요추부 CT 소견별 퇴원시 치료 성적

    요추부 CT 소견별 퇴원시 통증호전 정도를 VAS로 측정하였을 때 분포는 Multiple Bulging Disc에서 VAS 2, 3이 각각 4례, VAS 1이 2례, VAS 6, 7이 각각 1례 이었으며, 단일 Bulging Disc에서 VAS 2가 3례, VAS 3, 5가 각각 1례 이었으며, 단일 H.N.P에서 VAS 2가 4례, VAS 3이 3례, VAS 1, 5가 각각 1례 이었으며, Multiple H.N.P에서 VAS 5, 7이 각각 1례 이었으며, Bulging Disc & H.N.P에서 VAS 2, 3이 각각 2례 이었다(Table 8).

    IV. 고찰

    요통은 임상에서 비교적 흔하게 볼 수 있는 증상 중 하나로 일생동안 거의 모든 사람의 50~80% 정도가 요통을 겪으며 그중에서 40%정도는 하지방산통을 동반한다고 한다14).

    요각통이란 요부에서 요천관절 및 천장관절가지의 부위에 이어 하지에 나타나는 동통의 총칭으로 《黃帝內經素問 氣交變大論》5)에 "藏水不足 ...民病腹滿 身重濡泄 寒瘍流水 腰?痛發"이라 표현되었고, 巢6)의 《腰脚痛十候論》 중 "腰脚疼痛候"로 요각통이 기술된 이래, 腰?疼痛 腰連?痛 腰腿痛 腰脚痛 腰脚疼痛 등으로 표현되었다15).

    서양 의학적으로 요통 및 하지방산통의 가장 흔한 원인은 요추추간판탈출증이며 추간판의 팽윤이나 수핵의 탈출로 후종인대가 신장되어 경막신경을 자극하거나 추간공을 통해 척추강내로 들어가는 도중에 압박이나 자극을 받게 되면 통증이 나타나는데 수핵의 protrusion이 척추관의 중앙부로 빠져나오면 요통을 일으키고 외측으로 나오면 좌골신경통을 일으킨다15-17).

    요각통의 치료에는 보존적 요법과 수술적 요법이 있으며, 보존적 요법으로는 침상안정, 견인치료, 물리치료, 신경차단술, 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입, 소염진통제 투여 등의 방법이 있다. 수술적 요법은 6~12주의 보존적 요법의 결과 효과가 없고, 신경증세가 점점 심해지거나 추간판 탈출 및 척추관 협착이 심하여 방광 및 괄약근 혹은 하지에 마비를 초래하는 경우 및 견딜 수 없는 통증이 있을 때 적용된다18). 하지만 수술적 요법에 대한 적응증에 대한 정확한 기준에 대한 논란이 많은 실정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사실로는 보존적 요법만으로도 80% 이상 호전을 얻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19), 수술적 요법을 시행할 경우의 비용 및 후유증 등을 고려할 경우 보존적 요법의 중요성이 높다고 할 수 있으며, 한의학에서는 요각통을 침구치료, 한약치료, 추나치료, 약침치료, 한방물리요법 등의 보존적 방법을 활용하여 치료하여왔다.

    본 증례에서는 한의학의 일반적인 요각통 치료법인 標本緩急의 원리에 따라 최급성기에는 活血通絡, 止痛消散, 行氣血의 療法으로 통증완화에 중점을 두었고 통증이 완화된 후에는 强筋骨, 補肝腎, 益氣補血의 本治法으로 한약치료를 하였으며, 앞선 보고들에서 다빈도로 사용된 치료혈을 사용하여 通經活絡하여 진통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11,12).

    본 연구에서 관찰하여 얻은 바는 다음과 같다.

    성별 분포는 남자가 19례(59.4%), 여자가 13례(40.6%)로서 남녀의 비는 1.46 : 1이었다. 연령별 분포는 40대가 13례(40.6%), 30대가 11례(34.4%), 60대가 4례(12.5%), 20대가 2례(6.3%), 50대와 70대가 각각 1례(3.1%)의 순으로 나타나 비교적 사회 활동이 왕성한 연령층에 다발하는 양상을 보였다(Table 1).

    병력기간별 분포는 최급성기 환자가 17례(53.1%), 급성기 환자가 8례(25%), 아급성기 환자가 7례(21.9%)의 순이었다. 50%이상 환자가 발병 1주 이내에 내원하였으며 급성 요각통의 주요원인이 추간판의 변화로 인해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Table 2).

    입원당시 상태별 분포는 Grade III가 17례(53.1%), Grade IV가 9례(28.1%), Grade II가 6례(19%)의 순이었다.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조사 하였기에 일상 활동에 상당한 제한을 받고 있는 상태인 Grade III, IV의 환자가 대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이전의 보고들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20,21)(Table 3).

    임상증상별 분포는 우하지인통이 18례(56.3%), 좌하지인통 9례(28.1%), 양하지인통 3례(9.4%), 요통만을 호소한 경우는 2례(6.3%)의 순이었다(Table 4).

    입원 기간별 분포는 8~14일이 12례(37.5%), 1~7일이 7례(21.9%), 15~21일이 5례(15.6%), 22~28일과 36일 이상이 각각 3례(9.4%), 29~35일이 2례(6.3%)의 순이었으며 평균 입원일수는 16일이었다. 이는 1~14일 구간이 가장 빈도가 높다는 과거 보고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20-23)(Table 5).

    전산화 단층촬영에 근거한 소견별 분포는 Multiple Bulging Disc가 12례(37.5%), 단일 H.N.P가 9례(28.1%), 단일 Bulging Disc가 5례(15.6%), Bulging Disc & H.N.P가 4례(12.5%), Multiple H.N.P가 2례(6.3%)의 순이었다(Table 6).

    요추부 CT 소견에 따른 입원 기간 분포는 Multiple Bulging Disc가 8~14일이 6례, 36일 이상이 2례, 1~7일과 15~21일, 22~28일, 20~35일이 각각 1례 이었으며, 단일 H.N.P가 8~14일이 4례, 1~7일이 2례, 15~21일과 22~28일, 29~35일이 각각 1례 이었으며, 단일 Bulging Disc가 1~7일이 2례, 8~14일과 15~21일, 22~28일이 각각 1례 이었으며, Bulging Disc & H.N.P가 15~21일이 2례, 1~7일과 36일 이상이 각각 1례 이었으며, Multiple H.N.P가 1~7일과 8~14일이 각각 1례이었다. 소견에 관계없이 8~14일 정도의 입원 기간이 가장 많았으며, Bulging Disc 보다는 H.N.P가 있을 경우, 단일 Bulging Disc 소견보다는 복합부위 소견이 입원 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복합부위 H.N.P의 입원 기간이 단일 부위에 비해 입원 기간이 짧은 경향은 단일 부위에 비해 통증의 호전도가 떨어져 추후 수술적요법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Table 7).

    요추부 CT 소견별 퇴원시 통증호전 정도를 VAS로 측정하였을 때 분포는 Multiple Bulging Disc에서 VAS 2, 3이 각각 4례, VAS 1이 2례, VAS 6, 7이 각각 1례 이었으며, 단일 Bulging Disc에서 VAS 2가 3례, VAS 3, 5가 각각 1례 이었으며, 단일 H.N.P에서VAS 2가 4례, VAS 3이 3례, VAS 1, 5가 각각 1례 이었으며, Multiple H.N.P에서 VAS 5, 7이 각각 1례 이었으며, Bulging Disc & H.N.P에서VAS 2, 3이 각각 2례 이었다. 소견에 관계없이 81%이상의 환자가 퇴원시 VAS 3이하로 통증이 호전된 경과를 보였으며, 단일 부위에 비해 복합부위의 병변의 경우가 퇴원시에도 VAS 5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Table 8).

    V. 결론

    대전대학교 청주한방병원에 요각통을 주소로 2007년 4월부터 2008년 4월까지 입원치료한 환자 32예의 Lspine CT 영상 판독 소견에 따른 예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대상 환자는 40대의 환자가 가장 많았으며, 증상 발생 후 1주 이내에 가장 많이 내원하였고, 평균 입원 기간은 약 2주(1~14일)가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2. CT scan상 Multiple bulging disc가 37.5%로 가장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단일 H.N.P가 28.1%로 많았다.

    3. 퇴원시 CT결과에 관계없이 약 81%가 VAS3이하의 호전을 보였다.

    4. CT결과에 따른 퇴원시 입원 기간를 비교하였을 때 복합부위 보다는 단일 부위의 추간판 변화가 있을 때 입원 기간이 단축되었다.

    [Table 1] Distribution of Sex and Age

    label

    Distribution of Sex and Age

    [Table 2] Distribution of the Period of onset

    label

    Distribution of the Period of onset

    [Table 3] Distribution of Patient condition on Admission

    label

    Distribution of Patient condition on Admission

    [Table 4] Distribution of Symptoms

    label

    Distribution of Symptoms

    [Table 5] Distribution of Admission Days

    label

    Distribution of Admission Days

    [Table 6] Distribution of Disc type on L-spine CT

    label

    Distribution of Disc type on L-spine CT

    [Table 7.] Distribution of Admission Days on Disc type

    label

    Distribution of Admission Days on Disc type

    [Table 8.] Result of Treatment According to Disc type

    label

    Result of Treatment According to Disc type

참고문헌
  • 1. Kim KY, Park BM 1977 Causes and Management of Low Back Pain [J Korean Orthop Assoc] Vol.12 P.1-8 google
  • 2. 나 창수, 이 언정, 황 우준, 원 진숙 1997 두면 척추 사지병의 진단과 치료 P.141 google
  • 3.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1993 Orthopedics P.375-380 google
  • 4. 이 문호, 전 종휘, 허 인삼 1986 내과학 P.31 google
  • 5. 裵 秉哲譯 1994 今釋黃帝內經素問 P.397-582 google
  • 6. 巢 元方 1992 巢氏諸病源候論 P.45-46 google
  • 7. ? 延賢 1993 萬病回春 P.309 google
  • 8. 許 俊 1966 東醫寶鑑 P.278-281 google
  • 9.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2001 Neurosurgery P.457-468 google
  • 10. 김 재규, 최 용태 1988 요추간판 탈출증의 침치료 효과에 대한 임상적 관찰 [경희의학] Vol.4 P.425-431 google
  • 11. 최 익선, 최 용태 1978 요통증의 침구치료에 관한 문헌적 고찰 [경희대한의대논문집] Vol.1 P.159-187 google
  • 12. 이 윤호 1977 요각통의 침구치료와 치험예 [월간행림] Vol.2 P.22-24 google
  • 13. 채 우석, 김 양식 1989 요척추증으로 인한 요통의 전침 효과에 관한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Vol.6 P.113-128 google
  • 14. Song Bong-Keun, Jeong In-Seok, Kim Joong-Ki 2000 Efficency of Simultaneous Administration of Herb Medicine and NSAIDs in Herniated Lumbar Intervertebral Disc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Vol.21 P.1-6 google
  • 15. 1995 동의재활의학과학 P.323-407 google
  • 16. Choi JR 1993 Back Pain of Muscular Origin [J Korean Pain Society] Vol.6 P.83-95 google
  • 17.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1998 Neurosurgery P.398-403 google
  • 18. Chae SJ, Kim NO, Park YC, Son SS 2001 Comparison of the Improvement of Subjective Symptoms between Body Acupuncture Group 48 Constitution Acupuncture Group [J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Vol.18 P.48-55 google
  • 19. Shvartsman L, Weingarten E, Sherry H, Levin C, Persaud A 1992 Persaud A Cost-effectness analysis of extended conservative theraphy versus surgival intervention in management of HIVD [spine] Vol.17 P.176-182 google cross ref
  • 20. 이 병렬, 안 병철, 박 동석 1995 요추 추간판 탈출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Vol.12 P.364-379 google
  • 21. 전 재관, 한 상원 1996 요통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Vol.13 P.181-190 google
  • 22. Park KW, Lee H, Lee BR 1999 The Clinical Study on the Stability of the Lumbosacral angle of the Patient suffering from Low back pain [J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Vol.16 P.41-55 google
  • 23. Lee Eun-Kyoung, Choi Eun-Hee, Lee Ji-Eun, Jeon Ju-Hyun, Lee Sung-Hwan, Lee Jae-Min, Kim Yeon-Mi, Kwak Byung-Min, Yang Gi-Young, Kim Young-I 2008 The Clinical Study on 137 Cases of Herniated Lumbar Disc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ociety] Vol.25 P.127-138 google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Distribution of Sex and Age
    Distribution of Sex and Age
  • [ Table 2 ]  Distribution of the Period of onset
    Distribution of the Period of onset
  • [ Table 3 ]  Distribution of Patient condition on Admission
    Distribution of Patient condition on Admission
  • [ Table 4 ]  Distribution of Symptoms
    Distribution of Symptoms
  • [ Table 5 ]  Distribution of Admission Days
    Distribution of Admission Days
  • [ Table 6 ]  Distribution of Disc type on L-spine CT
    Distribution of Disc type on L-spine CT
  • [ Fig. 1 ]  Lumbar CT scan
    Lumbar CT scan
  • [ Table 7. ]  Distribution of Admission Days on Disc type
    Distribution of Admission Days on Disc type
  • [ Table 8. ]  Result of Treatment According to Disc type
    Result of Treatment According to Disc type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