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대통령 측근 비리에 관한 언론 보도 연구* Crisis management in time of media partisanship : Media's discursive patterns in dealing with political scandals
  • 비영리 CC BY-NC
ABSTRACT
대통령 측근 비리에 관한 언론 보도 연구*

Korean society used to face political scandals interwind with the President. the highest political position. Such a huge scale of social costs including political skepticism owes much to both poor quality of governmental crisis management and growing partisanship of the media. This paper hopes to untangle the interactions between media and government in dealing with political crises.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three representatives cases including Hongil Kim, JeongA Shin, and Sangdeuk Lee differed by political regimes from 1998 to 2012 have been chosen. This paper, then, analyzed opinion articles related to such cases from the beginning to the middle and to the end.

It was found that the media's partisanship had much to do with discursive patterns divided into definition of event, articulation of causes and remedies. While the media's discourses were shifting in accordance with government's reactions, they took a positive part in reconstructing the nature and outcome of such crises as well.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crisis management in time of media partisanship will be helpful not only to contemplate the quality of crisis management but to shed a light on media's performance in dealing with social crises.

KEYWORD
레임덕 , 위기관리 , 정파성 , 미디어 담론 , 생애주기 , 사회구성주의 , 담론 정치 , 여론
  • 1. 문제 제기 : 재구성된 위기의 사회적 비용

    국내 언론이 형식적이나마 정부로부터 독립을 얻을 수 있었던 계기는 1987년의 6.29선언이었다.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하던 국민의 요구에 맞섰던 전두환 정권은 이 선언을 통해 언론에 대한 검열은 물론 언론의 자유를 가로막았던 많은 제도적 장벽을 제거했다. 민주화와 더불어 찾아온 언론의 자유는 곧이어 정권의 또 다른 변칙적 개입으로 퇴색했다. 1993년 최초의 문민정부를 이끌어낸 김영삼 전 대통령은 언론 장학생이라는 새로운 관행을 정착시켰고 언론과 정부의 밀월관계는 오히려 확대되었다. 국민이 쟁취한 언론의 자유라는 열매는 기득권을 가진 소수 언론인에 의해 독점되고 말았다. 언론이 무엇이어야 하는가라는 규범적 정체성은 1997년 외환위기를 통해 더욱 멀어졌다.

    분단으로 마무리된 전쟁과 달리 국제통화기금(IMF)의 관리를 받아야 했던 당시 위기의 물리적 흔적은 없다. 때마침 불어 닥친 디지털 혁명 역시 기존 언론에는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했다. 정부를 비롯해 대기업 위주의 광고주 영향이 증가하고, 대안언론의 등장으로 경쟁이 가속화 되면서 언론의 정체성 또한 혼란스러웠다. 그 과정에서 언론과 정부의 관계는 가장 예측하기 어려운 영역으로 변했다. 미디어 정책은 물론 광고 및 언론사에 대한 유‧ 무형의 지원을 결정하는 정부에 대한 언론의 태도는 이중적일 수밖에 없었다.

    정치권력은 정권 창출과 유지, 원활한 국정 운영을 위해 여론장악력을 가진 언론을 활용하고자 했고, 언론은 정치권력을 통해 자신들의 영향력을 유지하 고 경제적 이해 기반을 확보하고자 했다. 상호 이해관계의 합치에 따른 일종의 동반 관계가 정치권력과 언론 사이에 이루어졌다. 그러나 정권의 임기 말 이면 이러한 동반 관계는 흔들렸다. 언론은 대통령 친인척 또는 측근들의 권력형 비리를 빌미로 정권을 흔든다. 정부는 언론이 권력화 되어 권력을 길들 인다는 의심을 가졌고 그럼에도 정파적인 언론은 정부에 대한 감시라는 입장을 고수했다.

    언론이 대통령 측근 및 친인척 비리를 공론화 시키는 과정은 매번 유사했다. 정경유착 비리 의혹으로 시작한 수사는 수면 아래 있던 대통령 친인척, 측 근을 수면 위로 드러낸다. 언론의 역량이 측근 비리로 집중되어 신문지면과 방송 뉴스는 연루자들의 이름을 따 ‘게이트’ 혹은 ‘스캔들’을 만든다. 곧이어 언론은 측근비리 수사 결과를 둘러싼 사실과 해석들을 쏟아내고, ‘민심’을 대변하며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한다. 언론이 대변한 ‘국민의 뜻’에 대통령은 사과로 응답을 하지만 논란은 쉬이 누그러지지 않는다. 그 과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언론을 통해 다뤄져야 할 정당한 국민의 관심사는 뒷전으로 밀려난다. 게다가 정권 말기면 터지는 친인척 비리 사건을 둘러싸고 정부와 언론의 힘겨루기 과정을 통해 언론의 정파성은 강화되고 사태는 악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차기 권력에 오르고자 하는 세력은 사건을 교훈삼겠다고 약속하고 나름의 대책을 제시하지만 결과는 전과 다르지 않다. 정권마다 반복되는 대통령 측근 비리 사건을 사전에 관리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것일까? 사건이 이슈화 되는 것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면 정부의 입장에서 손실을 최소화 할 방법이 있지 않을까? 이 연구에서는 정권이 바뀌는 동안 유사한 성격의 사건에 대해 언론이 사건을 어떻게 비추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 공동체 입장에서 정부와 언론의 갈등 상황은 어떻게 이해 할 수 있으며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하는 것일까? 그 출발점은 권력형 비리의 사회적 재 구성 과정을 미디어 담론을 통해 분석하는데 있다.

    대통령 측근의 비리는 언론을 통해 전혀 다른 그 무엇으로 변형된다. 국민은 언론을 통해 이 사건에 대한 통념(conventional wisdom)을 강화하고, 집단적 태도를 형성하며, 무의식속에 집단적 기억을 저장한다. 이러한 재구성은 특정사건이 발생하고, 발전하고, 성장하며, 궁극적으로 소멸되는 전 과정에 걸쳐 이루어진다. 정파적인 언론은 또한 각자의 관점으로 이 사건을 다르게 재구성한다. 재구성된 현실은 여론에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정치 지형을 변화시 킨다. 이 연구는 이런 배경에서 정부의 위기 상황에 언론이 어떤 방식으로 개입하고 있으며 그 결과 위기의 재구성이 이루어지는가를 분석하고자 했다.

    측근비리를 둘러싼 사회적 비용을 감안할 때 위기관리의 정치학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정부는 물론 언론의 역할을 재조명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정부는 이를 통해 위기관리의 전개과정과 대응전략을 평가할 수 있고 언론 또한 이 연구를 통해 자신들이 미처 보지 못하는 위기의 재생산 구조를 이해할 수 있다. 2014년 한국은 반복되는 위기를 맞아 희생양을 만들고 불필요한 논쟁에 관심과 에너지를 쏟는 동안 정작 중요한 문제 해결책은 모색하지 못하고 있다. 위기의 본질은 가려지고, 진실은 다르게 구성되며, 국가공동체가 부담해야 할 사회적 비용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정치적 위기가 언론을 통해 재구성 되는 방식에 대한 이번 연구를 통해 권력형 비리를 원천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은 물론 이러한 위기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길 빈다.

    2. 이론적 논의

       1) 정부의 언론 관리 혹은 언론의 권력 감시

    언론과 정부는 단순히 대립적이거나 어느 한쪽이 우위를 점하고 있지 않다. 정부 관계자와 기자들은 취재현장에서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정보적 자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균형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Sigal, 1973; 최영재, 2008 재인용). 로네버거(Ronneberger)는 언론과 정부의 복잡하고 역동적인 상호적 관계(mutual relationship)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상호의존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정치체계와 언론 체계 가 그 존립과 유지를 위해 상호적인 기능관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주장한다(최경진, 2003, 재인용). 언론과 정치는 상호타협을 통해 공존하고 있는 것이다.

    반면, 오헤퍼넌(O'Heffernan, 1994)은 '상호 이용 모델(mutual exploitation model)'에서 정치는 언론을 도구화 하고 언론은 정치를 도구화함으로써 각자 자신의 체계를 유지하거나 강화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러한 모델로 언론과 정치권력의 관계를 단순히 단정 짓기에는 한계가 있다. 의회나 정당, 기업 등과 같이 조직의 이해관계에 유리한 이슈를 대중에게 전달하기 위한 미디어 전략, 이슈 관리 전략 등을 구사한다(Turk, 1986). 언론은 정치 조직이나 대통령의 홍보 전략에 협조하기도 하지만 대통령을 비판하고 감시하는 보도를 통해 언론의 권력 감시 기능을 수행한다. 정부와 언론은 경쟁과 협조, 갈등과 공생을 넘나드 는 관계를 형성하면서 각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언론과 정부 관계는 자유주의적 다원주의 시각과 비판적‧급진적 미디어 사회학의 시각에 의해 구분된다. 자유주의적 다원주의 시각에서는 언론 이 정부, 정치 엘리트와 같은 출처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공공의 이익을 위해 힘의 집중을 견제 할 수 있다고 보는 입장(Schudson, 1991; 김성해 외, 2011 재인용)이며, 비판적이고 급진적인 미디어 사회학에서는 언론이 정부와 같은 출처에 의존하며, 사회적 힘을 가진 집단에 의해 필연적으로 영향을 받게 된다 는 입장이다(Glasgow University Media Group, 1985).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미디어는 국가 권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알튀세르(Althusser, 1971)는 미디어가 국가권력을 대신하여 이데올로기를 강화하고 재생산 하는 일종의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로 간주하기도 한다. 나아가 허먼과 촘스키의 선전모델 (propaganda model)에서는 언론과 정부, 언론과 시장의 관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모델은 자본가 계급의 미디어 소유로 인해 언론은 국가와 더불어 언론으로부터도 통제를 받고 있고, 이를 통해 공공의 이익을 대변한다기보다 국가와 자본의 이해관계를 도모하는 것을 말한다. 알철(Altschull, 1984)은 언론이 권력의 대리인으로서 사회 내의 엘리트들의 영향력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에 언론은 특정 권력을 지지하려는 성향을 가진다고 말한다. 국내에서도 김승수(2000)는 대자본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주류 미디어가 국가는 물론 자본의 이데올로기적 도구로 기능한다는 점에 대해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윤영철(2000)은 언론과 정부의 관계는 정부의 성향, 언론이 처한 역사적‧환경적 맥락, 특수성과 언론 정책 등이 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정부와 언론의 관계는 국가와 언론이 처한 사회역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고 언론과 정부 각각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해당 국가의 미디어 정책과 미디어 활동 환경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정부와 언론의 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언론의 정파성은 한국의 특수한 사회적, 정치적 토대에서 성장한 정부의 통제와 회유, 권력에 대한 적극적 편승과 비판 등의 극단을 오간 국내 언론의 유산과 무관하지 않다. 정파성은 특정한 정치세력을 일방적으로 편드는 것 또는 특정 세력이 자신에게 유리한 관점, 가치, 기억 등을 편파적으로 전달하는 성 향을 의미한다. 예컨대 보수적인 신문은 새누리당을 중심으로 한 보수 세력의 편을 들고 진보적인 신문이 민주통합당 중심의 진보 세력을 편드는 정파성으로 인해 진실의 추구나 공정성, 객관성과 같은 언론 고유의 규범적 가치는 훼손될 수 있다(김동윤 외, 2013).

    위기상황은 조직화된 쟁점이 각각 미디어와 정부로 대립되어 대중에 드러나고 보도와 정부의 공식 발표라는 형식으로 정부와 언론은 상호 의견 교환 과정을 거친다. 새 정권이 들어설 때마다 초래되는 위기상황에 미디어는 어떠한 담론을 제시하는지, 정부는 잠재된 위험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고 언론과 어떤 방식의 관계를 정립해 나가야할지에 대한 물음에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

       2) 담론과 미디어: 언론의 위기담론 재구성

    (1) 위기 담론의 이해

    위기는 조직의 여러 측면에 걸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거나 잠재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큰 사건을 말한다. 위기는 하나의 잠재된 쟁점이 극대화 되어 위기로 드러나기까지 발생(origin stage), 조정과 확산(mediation&lification),조직화(organization)의 단계를 거친다. 조직이나 대중이 야기된 결과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발생한 위기는 미디어가 주목하여 보도함으로써 공공의 쟁점이자 조직의 위기를 불러일으키는 존재로 증폭된다(김인영 외, 2004). 위기와 관련해 이익을 극대화 하고자 하는 조직과 손해의 최소화를 위해 각 조직들은 개별화 되어있던 힘을 조직화 하게 된다. 이때 미디어는 자신 들이 취하는 입장을 ‘담론’을 통해 제시함으로서 그들의 영향력을 더욱 조직화하고자 한다.

    담론을 통해 위기관리를 살펴보는 과정은 담론이 갖는 특성에 기인한다. 담론의 특성으로는 첫째, 담론은 과학적 진리에 반하는 허위의식이 아니라 ‘과학적 언설’을 통해 구성된 ‘지식’으로서 진실효과를 가진다. 둘째, 모순과 억압적관계를 단순히 ‘은폐’하는 역할이 아니라 특정한 인식과 가치관을 기초로 현실을 인식하도록 할뿐만 아니라 적극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셋째, 경제적 생산양식 또는 지배계급에 의해 ‘결정’되고 ‘닫힌’것이 아니라, 다양한 세력과 경쟁을 통해 변할 수 있는 ‘유동적’이고 ‘열린’ 체계로 이해된다. 넷째, 그 결과로서 개별 주체는 담론에 의해 만들어지기도 하지만 그들 자신이 담론의 창조적 생산 자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이해된다(김성해 외, 2010; 이기형, 2006; 조영권,2006).

    담론으로서의 특성을 갖춘 다음에는 담론이 가진 구조를 파악해야 한다. 담론은 빙산 구조로서 가장 밑바닥 층에는 쉽게 드러나지 않는 다양한 가정 (presupposition)으로 조합된 세계관(world view) 또는 입장(position)이 위치한다. 그 위층에는 집약적 의미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핵심가치(core values)와 논리적 연관성을 가진 프레임이 놓이게 되고, 몇 단어로 집약되어 나타나는 ‘구호’(slogan)와 이미지 집합체인 ‘상징’(symbol)이 담론의 꼭대기 부분에 자리 잡는다(김성해 외,2007; 서덕희,2003). 이 구조를 통해 담론형성 과정을 거꾸로 밟아 가면 ‘과학적 언설’에서 드러난 ‘구호’와 ‘상징’을 통해 ‘핵심 가치’와 ‘논리적 연관성’을 파악하고 조합된 세계관과 입장을 파악해 볼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담론은 유동적이고 열린 체계이다. 때문에 수면 위로 드러나는 ‘구호’와 ‘상징’은 시기에 따라 변화한다. 이는 아래 단계에 있는 핵심가치와 논리적 연관성의 변화를 말하고, 결과적으로는 담론의 기저에 있는 세계관과 입장이 변화하고 있음을 뜻한다. 이는 담론이 가진 역사성이라는 특징 때문이다. 담론은 생명체처럼 태어나고, 다른 담론과 경쟁하며, 지배적 담론으로 성숙하는 과정을 거친 후, 강화되거나 소멸하는 생명주기(life cycle)의 과정을 거친다(김성해, 2013). 예를 들면, 이동후(2003)의 연구에서 반일담론에 대한 생명 주기에 대해 볼 수 있다. 반일담론은 해방 이후에 등장하여, 한민족의 정체성 강화를 목적으로 한 문화정책을 통해 확대‧성숙되고, 1990년대 외환위기와 김대중 정권의 화해 정책을 통해 약화되었다가, 고이즈미 일본 수상 의 신사참배 사건으로 다시 강화되는 생명주기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담론은 당대에 일반적인 상식으로 자리를 잡고 교과서, 정책 보고서를 비롯해서 학술 논문과 드라마, 소설 등에서 ‘보편적 진리’로 받아들여진다.

    마지막으로 담론은 특정한 정치적 효과와 목적을 위해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생산되고 유통된다(강명구, 1994; 이향진, 2003). 즉, 담론은 피지배계급의 동의를 얻거나, 우호적인 여론을 형성하거나, 반대세력에 대한 적대적 분위기를 조성하거나, 특정한 프로젝트에 대한 일반인들의 참여를 높이는 등의 정치 적 목적을 갖는다(김대영, 2003; 이승민, 2003; 홍성구, 2004). 정치적 목적으로 인한 담론은 특정한 ‘정치적 후원세력’과 무관하지 않다. 실제로 정치‧경제‧ 사회‧문화적으로 갈등과 대립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우 각 진영은 담론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과학정보, 신화, 이미지, 고정관념 등 다양한 자원을 동원한다(김성해 외, 2007).

    (2) 미디어 담론의 이해

    담론은 넓은 분야에서 다양하게 형성된다. 담론에 대한 분류는 일반적으로 누가 생산하고 소비하느냐에 따라 나눌 수 있다. 생산자를 기준으로 했을 때 정책담론(policy discourse), 기업담론(business discourse), 학술담론(research discourse) 등으로 구분할 수 있고, 소비자를 기준으로 할 경우, 담론의 대상자에 따라 전문가담론(special discourse), 공공담론(public discourse), 대중담론(mass discourse)으로 나누어진다. 그 중에서도 ‘미디어 담론(media discourse)’은 대중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공공담론’을 분석 대상으로 그 안에 내포된 ‘프레임, 특정한 입장, 사회적 실천들 및 핵심가치’ 등을 체계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의미한다. 대중매체는 다양한 의견과 주장이 논의되는 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정보들은 공정성과 균형성을 갖춘 전문지식 생산자들에 의해 만들어진다. 전문가 집단이 생산한 정보가 미디어를 통해 구성원들에게 쉽게 접할 수 있는 믿을만한 정보로 전달된다. 게다가 미디어에 의해 생산되는 담론은 사실에 대한 ‘취사,선택, 차별과 배제’를 통해 재구성 된 것일 뿐만 아니라 특정한 규범적 가치와 제도적 실천에 대한 함의를 담고 있다(김성해 외, 2007).

    반 다이크(van Dijk)는 뉴스 보도를 하나의 담론이라고 주장한다. 담론은 발화 주체, 발화 대상, 발화의 문맥 및 맥락 등으로 구성되며 이 작용을 통해 발 화의 텍스트 의미가 구성하거나 변화하게 된다. 또한 뉴스가 생산되는 사회적,정치적, 문화적 맥락뿐만 아니라 기자, 독자 및 시청자들의 심리적인 상황까지 다양하게 연계되어 있는 복합적 산물이고 뉴스의 의미가 수용자들의 해독화 과정에서 서로 다르게 표출된다(백선기, 2006, 재인용). 이처럼 담론은 한 가지 요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 사건을 둘러싼 주변의 여러 맥락에 따라 변화하게 되고 그 요소들을 고려해야 뉴스의 궁극적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미디어 담론에 대한 선행 연구는 이에 따라 텍스트를 맥락에서 파악하고 잠재적인 이데올로기를 밝혀내는 작업을 기본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가령, 백선기(2006)는 라보프(Labov)의 대화 속에서 나타나는 개인적인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 방법과 반 다이크의 뉴스 담론 분석 틀에 배경, 논평, 팔로우-업, 시간구조의 범주를 추가하여 만든 벨(Bell)의 기사 분석틀을 이용했다. 또한 김동윤(2011)은 노만 페어클라우와 우닥(Norman Fairclough & Wodak, 1997)에 의해 발전되어온 비판적 담론분석의 개념과 이론적 프레임에 기초를 둔 연구를 진행했다. 비판적 담론분석의 이론적, 방법론적 특징은 무엇보다 권력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대통령의 측근 비리는 언론을 통해 대중들에게 비춰진다. 언론보도를 통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키워드는 특정 시기에 담론을 형성하는 주도세력으로서 언론이 가진 특정 ‘구호’와 ‘상징’, ‘핵심 가치’를 대표하는 것으로 미디어 담론에 내포된 다양한 가정과 조합된 세계관, 입장이 어떠한지 살펴보는데 적합하다.

    3. 연구 방법 및 연구문제

       1) 분석사례 선정

    한국의 대통령은 5년 단임제다. 대통령 측근의 ‘권력형 비리’는 대통령의 도덕성과 국정운영 능력에 대한 오점으로 남아 임기 말 권력누수 현상인 ‘레임덕’을 초래하고, 그로 인한 국정운영 마비는 경제‧사회적 비용의 손실로 직결되는 등 큰 파급 효과를 가지고 있다. 정권마다 반복되는 현상에 대해 악순환 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는 문제제기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개선되는 모습은 보기 힘들다. 이로 말미암아 대통령의 임기 말 측근 및 친인척 비리 사건은 정부조직이 처한 위기상황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의 위기 상황으로서 문민정부 이후 정권마다 공통적으로 발생했던 대통령 측근 또는 친인척의 ‘권력형 비리’사건을 정권별로 한개씩 선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언론이 정권의 위기 상황을 어떻게 재구성하고 있는지를 ‘사건 생애주기’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각 정권별로 측근이나 친인척이 연루된 사건과 논란에 대한 대통령의 사과나 기자회견이 있었던 시점의 분석대상 사건은 다음과 같다.

    1) 아들 김홍일-김홍업-김홍걸 게이트 : 김대중 대통령 기자 간담회,2002.06.21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세 아들은 이른바 ‘홍삼(弘三)게이트’라 불리며 논란이 되었다. 김 전 대통령의 차남과 삼남, 홍업씨와 홍걸씨는 2002년 각각 청탁 대 가로 22억여 원을 받은 혐의와 ‘최규선 게이트’에 연루돼 구속됐다. 홍걸씨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특별보좌관이었던 최규선씨와 함께 체육복표사업자 선정 과정 등 각종 이권에 개입한 ‘최규선 게이트’에 개입한 혐의를 받았다. 장남인 홍일씨는 ‘나라종금 로비’ 수사 과정에서 1억5,000만 원을 받은 혐의로 불구속 기소 됐었다. 이에 김대중 전 대통령은 “자식들과 주변 인사들이 일으킨 사회적 물의에 무어라 사과를 드려야 할지 모르겠다”며 사과 성명을 발표하고 당시 여당인 새천년 민주당을 탈당하기도 했다.

    2) 비서실 실장 변양균-동국대 교수 신정아 스캔들 : 노무현 대통령 기자회견, 2007.09.11

    노무현 전 대통령의 비서실 정책실장으로 있던 변양균씨와 성곡미술관 큐레이터이자 동국대학교 조교수로 있던 신정아씨와의 부적절한 관계가 가십성 기사로 쏟아졌다. 발단은 동국대 장윤스님이 신정아씨의 가짜 학위 의혹을 제기하면서 파문을 무마하고, 신씨의 동국대 교수 임용 과정 및 광주 비엔날레 총감독 선임 과정에서 변양균 전 청와대 정책실장의 개입이 있었다는 의혹에서 시작되었다. 파문이 커지자 당사자들은 부인했지만, 이내 검찰 조사결과 사실로 드러나고 횡령 등의 혐의가 추가로 드러나 구치소에 수감되었다가 보석으로 풀려났다. 의혹이 불거질 당시 노무현 전 대통령은 한국PD협회 간담회 자리에서 “깜도 안되는 의혹이 춤추고 있다”, “언론에서 소설을 쓰고 있다”는 말로 언론을 자극해 문제를 키웠다는 평가와 함께 참여정부가 내세웠던 도덕 성과 친인척‧측근 관리 매뉴얼, 위기관리 시스템에 오점을 남기는 타격을 입게 되었다.

    3) 형 이상득-저축은행 비리 : 이명박 대통령 기자회견, 2012.07.27.

    이 전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전 의원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정권 초기부터 ‘상왕’, ‘영일대군’으로 불리며 국정 전반에 개입하여 ‘(대통령의) 형을 통하면 다 된다’는 만사형통(萬事兄通)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내기에 이르렀다. 이상득 전 의원의 저축은행 비리사건은 2012년 7월 불법 자금을 받은 혐의로 대한 민국 헌정사상 최초로 현직 대통령의 형이 구속된 사례로 꼽힌다. 사건은 이상득 전 의원이 2007년 10월 임석 솔로몬 저축은행 회장으로부터 정치자금 명목으로 현금 3억원, 12월 김찬경 미래저축은행 회장으로부터 저축은행 경영 관련 업무 청탁과 함께 3억원, 2011년 12월까지 코오롱그룹으로부터 운영경비 명목으로 모두 1억5,000만 원가량의 불법 정치자금을 수수한 혐의를 받았다. 정권 초 ‘도덕적으로 완벽한 정권’이라고 자신하던 이명박 전 대통령의 여섯 번째 대국민 사과가 있었다. 다음날 저축은행 비리 관련자이자 측근인 은진수씨를 모범수로 가석방 한 것을 두고 구설수에 올랐으며, 광복절을 앞두고 독도 방문 한 것을 두고 대국민 사과 직후 떨어진 지지도를 의식한 ‘정치 쇼’라고 비난 받기도 했다.

       2) 분석사례 수집

    [<표 1>] 언론별 대통령 친인척 및 측근 비리 사설?칼럼 수

    label

    언론별 대통령 친인척 및 측근 비리 사설?칼럼 수

    본 연구는 각 정권마다 공통적으로 발생했던 대통령 친인척과 측근들의 비리사건이 대두되고, 사회적 이슈로서 확대, 소멸되기까지의 과정에 이르면서 각 시기 언론에서 어떤 방식으로 사건을 재구성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때문에 분석 사례로 선정한 사건들을 중심으로 대통령이 직접 기자회견이나 대국민 담화를 통해 사건에 대한 입장 표명이나 사과를 발표한 날짜를 기준으로 하여 앞뒤로 한 달씩, 두 달을 자료수집 기간으로 정했다.

    추가적으로, 정권의 이념적 정체성과 언론의 정파성에 따른 영향력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사실을 전달이 위주인 스트레이트 기사보다는 언론의 정파성이 더욱 드러나는 의견지면의 사설과 칼럼을 조사 분석했다.

    분석자료 수집은 조선일보 홈페이지의 기사 검색 기능과 한국언론재단에서 구축한 종합뉴스 데이터베이스인 카인즈(www.kinds.or.kr)를 활용했다. 김대중 정권 시기에는 ‘김홍일, 김홍업, 김홍걸’, 노무현 정권 시기에는 ‘변양균, 신정아’, 이명박 정권시기에는 ‘이상득, 저축은행 비리’로 검색어로 사용했다. 그 결과 총 9개의 전국 종합 일간지(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문화일보, 서울 신문, 세계일보, 조선일보, 한겨레, 한국일보)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해 총 460개의 기사를 수집했다.

       3) 연구문제 및 분석방법

    본 연구는 정권 초에 잠재되어 있던 대통령의 측근 비리사건이 임기 말에 와서 드러나는 과정에 언론의 정파성과 정치적 세력화의 정도에 따라 사건이 어떻게 재구성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연구 아젠다와 연구 문제를 제시한다.

    설정한 연구 아젠다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수집한 대통령 측근 비리 사건의 사설과 칼럼을 바탕으로 내용 분석(contents analysis)을 실시했다. 사건이 시작되고 활발한 공론이 이루어지며 대통령의 사과로 이슈가 해소 되어가는 과정 속에서 미디어 담론의 변화를 보기 위해 ‘사건 생애 주기(Event Life Cycle)’를 이 주기에 맞추어 각 시기별로 언론에서 내세우는 가치, 또는 규정하고 있는 말들을 분석함으로써 미디어 담론 지형을 파악하고자 한다. 사건을 다룬 보도가 나오는 첫 2주는 태동기로서 ‘사건의 본질 규정을 둘러싼 해석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살펴보고 ‘사건의 해결 방식을 둘러싼 논쟁’에 대한 보도가 나오는 시기를 성장기로 설정했다. 대통령‧정부 차원에서 사과가 이루어지는 시점인 성숙기에는 ‘정부의 대응을 둘러싼 논쟁 또는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사건이 정리’되면서 ‘역사적 교훈을 두고 언론이 평가하는 방식’이 제시되고 있는 시기를 쇠퇴기 단계로 설정하였다.

    또한 담론 분석은 연구자의 주장에 부합하는 사실만을 주관적 또는 작위적으로 취사선택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따라서 객관적 관찰이 가능하며 제 3자를 통해 검증이 가능한 내용 분석을 통해 담론분석의 주요 근거를 제시하는 작업은 필연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담론 주도 세력이라 할 수 있는 언론의 보도의 출처, 개요 본문을 중심으로 중립적이거나 사실 위주의 서술을 제외한 ‘핵심 가치’와 ‘구호’, ‘상징’을 대표 할 수 있는 두드러진 표현, 단어 및 문장을 추출하여 정리했다.

    4. 연구 결과 및 해석

       1) 대통령 측근?친인척 비리사건 태동기에서의 미디어 담론 지형

    [연구문제 1]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해 수집한 분석 사례 중 첫 2주 동안 언론을 통해 보도 된 사설과 칼럼을 분석했다. 사건과 사건 관련자에 대한 언급을 바탕으로 사건에 대한 본질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표 2>] 사건의 태동기에 언론이 사건을 재구성하는 방식

    label

    사건의 태동기에 언론이 사건을 재구성하는 방식

    모든 언론사는 각 사건에 대해 표에서 보는 것과 같이 공통적인 평가를 하고 있다. 김대중 정권에서 있었던 ‘김홍일-김홍업-김홍걸 게이트’사건에 대해서는 “수상한 돈거래 정황”이 포착된 것을 두고 검찰의 엄중 수사를 바탕으로 한 진실 규명이 있어야 새 정치로 나아갈 수 있다고 언급했다. 더불어 검찰이 여당과 야당의 눈치를 보며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도록 여당과 야당, 검찰이 각자 본연의 임무에 충실히 다 해야 한다고 했다. 노무현 정권에서의 ‘변양균-신정아 스캔들’에 대해서도 검찰의 엄중한 수사를 요구하는 내용의 보도가 이어졌으며, 당사자들에게 의혹에 대한 직접 해명을 요구함으로써 ‘판’에 끌어들이려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의혹을 해소할 수 있는 주체로서 검찰이 언급 된 점은 이명박 전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전 의원이 연루 된 저축은행 비리’사건에서도 마찬가지로 드러난다. 이 사건에 대해 언론사들은 공통적으로 ‘정권의 도덕성’에 대해 강한 어조의 비판을 하고 있었고 ‘정권마다 되풀이 되는 연례 행사’가 어김없이 반복되었다는 자조 섞인 목소리도 내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태동기에서의 대통령 측근비리 사건은 ‘권력형 비리’에 대한 의혹을 둘러싸고 있는 여러 정황을 설명하는 한편, 검찰의 성실하고 엄정한 수사를 요구하고 있다. 흩어진 의혹들을 모아 판을 키우고 국민들로 하여금 ‘무엇에 대해 생각해야 할지’를 제시해 주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표 2>처럼 각 정권별로 사건의 태동기에 미디어 담론 지형을 분석한 결과만으로는 특정 언론사별로 어떤 담론 유형이 지배적이었는지 판단여부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언론의 정파적 특징을 파악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언론사별로 사건에 대한 규정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내용은 다음 <표 2-1>과 같다.

    [<표 2-1>] 사건의 태동기에 언론별 사건 재구성 방식의 차이점

    label

    사건의 태동기에 언론별 사건 재구성 방식의 차이점

    분석 결과, 김대중 정권의 측근비리사건을 두고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유독 고약해 보이는 권력형 부패(동아,2002.05.21)’라던가 ‘사회적 규범의 공황을 초래할 수 있는 엄청난 비리사건(동아,2002.05.21)’, ‘정권의 시녀로 전락한 검찰이 정권 부패의 원인(조선, 2002.05.19)’으로 규정짓고 있다. 비판의 원인이 되는 대상자는 김대중 전 대통령과 사건의 당사자인 세 아들, 감시기구로서 역할을 다하지 못한 검찰을 지목하고 있다. 한겨레 또한 ‘악취가 진동하는 비리 의혹(2002.05.22)’이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같이 했지만, 부패의 원인으로 ‘정치 자금의 투명성 확보 실패(2002.05.22)’로 인한 것으로 규정하는 차이를 가진다. 한편, 이 사건에 대해 경향신문에서는 ‘야당의 대선전략 차원의 공세(2002.05.30)’, ‘정권의 향방을 전제로 한 협박(2002.05.30)’ 으로 바라보기도 하고 ‘대통령 부부의 과도한 자식사랑이 빚어낸 필연(세계, 2002.05.22)’이라는 표현을 통해 정권에 대한 비판보다는 옹호에 가까운 모습을 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무차별적 비난과 근거 없는 폭로전은 자제(국민, 2002.05.25)’한 후 ‘권력 핵심들이 관여된 예민한 문제(서울, 2002.05.23)’로서 ‘월드컵과 상관없이 검찰의 역할을 제대로 할 것을 당부(문화, 2002.05.25)’하는 등 진상 규명이 이루어지기 전에 섣부른 판단에 대해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변양균-신정아 스캔들’ 사건에 대해서는 ‘신정아 사건에 변양균 실장의 개입 배경을 한 점 의혹 없이 밝혀야 한다(국민, 2007.08.25)’라던가 ‘비리구조에 권력까지 연루됐다면, 우리사회 도덕성은 회복되기 어렵다(서울, 2007.08.25)’는 보도처럼 ‘국민적 의혹에 대한 철저한 진상규명이 필요하다’는 전체적인 의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가짜 학위 파문의 불똥(경향, 2007.08.25)’으로 말미암은 사건이라는 의견을 통해 의혹을 축소해석 하는 경우가 있는가 하면, ‘대변인을 통해서는 의혹만 키울 뿐이니 당사자들이 직접 나서서 사살의 전후관계를 밝혀야(조선, 2007.08.24)’한다는 강한 어조의 비판 보도도 볼 수 있었다.

    이명박 정권시기 ‘이상득 전 의원의 저축은행 비리 연루 사건’에서는 이미 이전에 권력형 비리가 밝혀진 전례가 있고,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되어 오면서 비판적인 보도가 주를 이루었다. 특히, 정권 초기 이명박 전 대통령이 자신하며 했던 “도덕적으로 완벽한 정권”이라는 말을 인용하여 ‘역사상 가장 도덕적으로 완벽하게 망가진 정권임을 만천하에 확인시킨(한겨레, 2012.07.04)’ 사건이라던가, ‘도둑적으로 완벽한 정권’이라는 말로 비꼬아 비판하고 있다. 반면에 ‘이 대통령의 부주의로 인한 사건’이므로 ‘대통령은 국민 앞에 진솔한 사과만이 할 일(동아, 2012.07.04)’이라고 평가하거나 ‘미래지향적인 자세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노력해야 한다.(세계, 2012.07.04)’, ‘여야 대선주자들이 얻을 수 있는 값비싼 교훈(서울, 2012.06.30)’이라는 강도 약한 비판도 이루어졌다.

       2) 대통령 측근?친인척 비리사건 성장기에서의 미디어 담론 지형

    태동기에서는 공통적으로 ‘검찰의 엄중한 수사’가 사건 해결에 있어 선행되는 조건이어야 한다는 보도가 주를 이루었다. [연구문제 2]에 해당하는 사건의 성장기에서 미디어 담론 지형은 사건의 전말이 밝혀지기 시작하면서, 사건에 대한 평가와 구체적인 해결책과 해결방식에 대한 논쟁이 증폭된 것을 볼 수 있다. 그 결과는 아래 <표 3>과 같다.

    [<표 3>] 사건의 성장기에 언론이 사건을 재구성하는 방식

    label

    사건의 성장기에 언론이 사건을 재구성하는 방식

    김대중 정권을 둘러싼 측근들의 권력형 비리 사건들에 대해서는 차기 대선의 선거 분위기 전환을 위한 희생양으로 규정하면서 다른 측근비리 사건에 비해 비판의 정도가 약하다. ‘원칙과 정도’가 바탕이 된 수사를 통해 개선의 여지가 있으며, ‘결속을 이루고 정치적 변화를 실천으로 보여주기’를 기대하고 있다.

    ‘변양균-신정아 스캔들’에 대해 청와대 고위 공직에서 권력을 이용해 개인의 뒤를 봐줬다는 정황이 점차 밝혀지긴 했지만 여전한 의혹이 남아 있었다. 하지만 이 시기에 노무현 전 대통령이 한국 PD협회 간담회 중 이 의혹에 대한 언급으로 “깜도 안 되는 의혹들이 춤추고 있다”. “언론에서 소설을 쓰고 있는 것 같다”, “나한테 우호적이었던 진보신문들도 지금은 나를 조진다”는 등의 발언이 문제가 되었다. 때문에, 이 시기 측근 비리 의혹에 대한 평가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대통령이 안이한 시국 인식을 가지고 의혹을 키우고 있다’는 비난과 평가들이 줄이어 보도 됐다.

    ‘이상득 전 의원 저축은행 비리’사건을 두고 ‘권력 과시욕에서 비롯된 정권마다 되풀이 되는 악습’ 중 하나로 규정했다. 정권마다 되풀이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털어 내고가야 할 사건’으로서 확실한 문제의 해결을 강조했다. 그 방법으로는 대통령의 즉각적인 사과와 검찰의 철저한 수사를 요구하고 있다.

    사건의 성장기에는 태동기에 비해 언론의 정파성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사건의 진상규명이 점차 이루어짐에 따라 사건을 바라보는 문제 인식의 차이와 언론의 정파성으로 인해 드러나는 문제 해결방식의 차이가 뚜렷해지는 시기이다. 그 내용은 아래 <표 3-1>과 같다.

    [<표 3-1>] 사건의 성장기에 언론별 사건 재구성 방식

    label

    사건의 성장기에 언론별 사건 재구성 방식

    ‘선거분위기 전환을 위한 희생양’이라는 평가가 있는 김대중 전 대통령 세 아들의 권력형 비리 사건의 비판 강도는 상대적으로 약했다. 다만, 이 시기 ‘월드컵’이라는 국가적 행사를 치르는 동안 ‘정쟁(政爭) 활동 중단’이라는 국회방침에 대해 ‘김홍일-김홍업-김홍걸 게이트’를 조사하는 검찰이 사건 당사자들의 소환을 월드컵 이후로 미루는 것을 두고 검찰 조사가 정쟁활동이냐 아니냐를 둘러싼 논쟁이 많았다. 이에 언론은 ‘정쟁과 상관없이 권력형 비리는 누구라도 사정없이 단죄해야 한다(세계, 2002.06.18)’, ‘혐의가 드러났는데도 월드컵을 이유로 소환을 미루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한국, 2002.06.05)’는 말로 검찰의 수사를 주문했다. 게다가 비판의 대상은 ‘아들문제를 비롯해 권력 주변관리를 잘못한 김 대통령(동아, 2002.06.05)’과 ‘대통령의 아들로서 처신에 더욱 마음을 쓰지 못한 세 아들(한겨레, 2002.06.18)’로서 물의를 일으킨 것에 대해 대통령이 책임을 지고 사과 할 것을 촉구했다.

    ‘변양균-신정아 스캔들’의 사건 성장 시기에는 정작 이 사건보다는 “깜도 안되는 의혹”발언으로 비리당사자인 측근보다 더 많은 비난을 받았다. 변양균,신정아씨와 관련된 의혹은 수사 중이었으며 여전히 의혹으로 남아 있었지만,노무현 전 대통령은 ‘대통령이 임기 말이 다가오면서 정상적 비판에 대해 어깃장을 놓는 증상이 더 심해지고 있다(동아, 2007.09.05)’는 말과 함께 ‘대통령의 코드 인사는 제 식구 감싸기(세계, 2007.09.03)’를 하고 있다는 비판을 들어야 했다. 결과적으로, 이 사건의 원인은 대통령의 인사실패에서 비롯된 것이며 그 결과는 ‘역대 가장 깨끗하고 투명한 정권이라고 강조 해 온 정권이 역대 정권의 과오를 뒤밟는 꼴이 된다면 한국 정치의 비극(문화, 2007.09.03)’을 초래 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를 막기 위해 ‘지금부터라도 청와대를 비롯한 공직사회 기강을 다잡아야 한다(한겨레, 2007.09.11)’는 제언을 하고 있다.

    다음은, ‘5년마다 배역만 달리해 되풀이 돼온 대통령 일가의 부패 연속극을 지켜보는 현실(문화, 2012.07.12)’과도 같은 ‘이상득 전 의원 저축은행 비리’사건이다. ‘도둑적으로 완벽해졌다(서울, 2012.07.12)’는 비아냥과 ‘집권초에 무성하던 설(說)이 임기 말에 흑막이 걷혀 진상이 드러나는 꼴(세계, 2012.07.13)’이라는 비판이 일었다. 이 사건에 대한 해결방식으로 ‘검찰의 철저한 진상 규명’과 ‘성역 없는 수사’, ‘이명박 대통령의 진심어린 사과’가 이루어져야 한다는데 모든 언론이 궤를 함께 하고 있다. 하지만 그 원인에 대한 평가로서 ‘권력에 보험 든 두 사기꾼(동아, 2012.07.12)’, ‘대통령 주변에 있는 오물(汚物)(조선,2012.07.13)’들에게 있다고 보는 언론사도 있다. 더불어 ‘대통령 형님 뇌물 사건을 대선 판에 유리하게 써 먹으려 궁리만 하고 있는 세력(조선, 2012.07.14)’을 경계하고 ‘대선주자들이 친인척 관리 매뉴얼을 제시함으로써 국민적 신뢰를 얻어야 하는(서울, 2012.07.15)’계기가 되어야 한다고 당부하고 있다.

       3) 대통령 측근?친인척 비리사건 성숙기에서의 미디어 담론 지형

    사건의 성숙기에 접어들면 비로소 대통령이 대통령 측근 비리 사건에 대한 사과’를 한다. 정부 측의 공식적인 입장을 간담회나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하는 것은 그동안 미디어 담론전략에 대응해 표면으로 드러나는 정부의 공식적인 위기관리 전략 커뮤니케이션이다. 사건의 성숙기에서는 정부의 대응을 둘러싸고 이 대응에 대해 어떠한 평가들이 이루어지는가를 볼 수 있다. 그 내용은 아래 <표 4>와 같다.

    [<표 4>] 사건의 성숙기에 언론이 사건을 재구성하는 방식

    label

    사건의 성숙기에 언론이 사건을 재구성하는 방식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세 아들이 연루된 권력형 비리 사건이 태동기와 성장기를 거치면서 다른 정권의 권력형 비리에 대한 비판 수위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김대중 전 대통령의 공식사과를 기점으로 사건에 대한 비판의 정도가 오히려 강하게 이루어졌다. ‘새 정치로 가는 시험대’이자 ‘선거 분위기 전환을 위한 희생양’이라는 평가가 ‘현 정권 부패의 상징’이자 ‘대통령 아들이라는 신분을 이용해 국정을 농단 해 온 사건’으로 변했다. 월드컵이 끝나고, 6월 지방선거에서 여당인 민주당의 참패와 셋째아들 김홍걸씨의 구속,한나라당 대표 이회창 후보의 지지도가 상승하면서 ‘새로운 정치권력에 대한’기대효과 때문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성숙기의 ‘변양균-신정아 스캔들’은 권력형 비리에 대한 비판적 보도와 함께 노무현 전 대통령의 “깜도 안되는 의혹”발언을 논란 삼는 선에서 벗어나지 않는 모습이다. ‘거짓말을 해 온 변양균 전 정책실장’과 ‘경솔한 발언을 일삼는 대통령’이라는 평가가 참여정부의 국정운영 ‘시스템’에까지 확대시켜 비판하고 있고, 스캔들에 대한 진상규명도 ‘권력형 비리’보다는 ‘부적절한 관계’라는 선정성이 강한 소재를 보도주제로 삼고 있다.

    이미 여러 차례에 걸친 권력형 비리가 드러난 이명박 정권에 대해서는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힘든’ 지경에 이르렀다고 평가하고 있으며, 재임기간 중 여섯 번째 사과인 만큼 더 이상의 악습은 없길 바라고 있다. 세 정권에서 있었던 권력형 비리 사건에 대한 정부의 사과에 대해서는 공통적으로 ‘진정성 없음’을 꼬집고 있다. 그 원인으로 월드컵에 묻어가려는 태도, 대책과 반성 없이 입장표명으로만 그친 사과, 사과 다음날 비리사건에 연루된 또 다른 측근을 모범수로 가석방 신청 한 행동으로 각각 내세우고 있다. 다른 원인에서 비롯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반복되는 위기와 대통령이 위기에 대처하는 전략이 그리 효과적이지 못함을 방증하고 있다. 다음의 <표 4-1>에서는, 언론사별로 대통령 측근 비리 사건의 전말이 드러난 상황에서 대통령 또는 정부의 사과 전략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살펴 볼 수 있다.

    [<표 4-1>] 사건의 성숙기에 언론별 사건 재구성 방식

    label

    사건의 성숙기에 언론별 사건 재구성 방식

    이른바 ‘홍삼(弘三게이트)’라 불리는 이 사건에 대해 줄곧 우호적인 보도를 하고 있는 언론사는 경향신문과 한겨레다. 경향신문에서는 ‘반성과 사죄의 사과(2002.06.28)’라고 표현하고 있고 대통령의 사과를 계기로 ‘다른 정당과의 화합정치, 새롭고 큰 정치를 구현 하자(2002.06.28)’라고 하고 있다. 또 한겨레에서는 이번 사과를 계기로 ‘무죄여부를 떠나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것 자체가 국민들에게 엄청난 충격(2002.06.21)’이지만 ‘늦었지만 대통령이 직접 나서 사과를 하게 된 점은 긍정적(2002.06.23)’이라는 평가를 하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는 여전히 비판의 강도를 낮추지 않고 있다. ‘진위를 제대로 살피지 않고 아들들을 감싸기에만 급한(조선, 2002.07.01)’ 대통령의 ‘권력비리 문제에 대한 청산의지를 분명하게 밝히지 않은 사과 성명이 와 닿지 않는다(동아, 2002.06.22.)’고 비판한다.

    네 언론의 뚜렷한 정파성과 함께 또 하나 특징적인 것은 태동기와 성장기를 거치면서 중립적이거나 조심스러운 입장에 있던 언론사들이 성숙기에 오면서 특히 비판적인 보도를 늘려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는 점이다. ‘무차별적 비난과 근거 없는 폭로전은 자제’하고 ‘선거분위기 전환을 위한 희생양’이라던 국민일보가 ‘이번 비리 사건은 현 정권의 부패의 상징’이자 ‘대통령 아들이라는 신분을 이용해 국정을 농단한 사건(2002.06.23)’이라고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월드컵 기간과는 상관없이 정확한 진상규명이 필요’하다던 서울신문과 한국일보도 ‘당내 세력 간의 적자논쟁에 불씨가 되는 사건(서울, 2002.06.27)’이라 평가했고 대통령의 사과에 대해 ‘반성 없이 책임을 떠넘기려는 모습(서울, 2002.06.27)’, ‘권력이 스스로 부패하는 후진국형 정치풍토가 만연하다(한국,2002.06.22)’고 해설을 덧붙였다.

    다음으로,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는 모두다 비난 일색이다. 참여정부가 내세운 ‘도덕성’은 ‘거짓말’과 ‘무례함’, ‘상식 밖의 행동’들로 인해 무너졌고, 자부했던 ‘검증 시스템’은 ‘코드인사’, ‘제 식구 감싸기’라는 비난에 그 의미가 퇴색되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하소연대로 대통령의 국정운영능력을 평가절하하고 도덕성을 의심케 하는 등 언론이 “조지고 있는”모습을 그대로 볼 수 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사과를 한 다음날 이상득 전 의원이 논란이 되었던 저축은행 비리에 연루 되었던 또 다른 측근 은진수씨가 가석방 되면서 사과의 진정성에 의심을 받았다. “도덕적으로 완벽했던 정권”은 가고 “도둑적으로 완벽하다.”는 비난만 남았다. 다만 세계일보에서는 ‘대통령의 사과문에는 자신을 반성하고 남을 꾸짖지 않는 아픔이 묻어난 사과(2012.07.28)’ 라는 평가로 대통령의 인간적 대인배 성격을 묘사하고 있다.

       4) 대통령 측근?친인척 비리사건 쇠퇴기에서의 미디어 담론 지형

    마지막으로 쇠퇴기는 대통령의 사과로 인해 측근비리 사건의 마무리가 되는 단계다. 사건을 정리하고 평가가 이루어진다. 앞서 다뤄온 사건의 주요 의제는 축소‧소멸되고 경우에 따라 다른 문제로 확대‧재생산되어 역사적 교훈을 제시하고 있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 5>에서 제시된 바와 같다.

    [<표 5>] 사건의 쇠퇴기에 언론이 사건을 재구성하는 방식

    label

    사건의 쇠퇴기에 언론이 사건을 재구성하는 방식

    각 정권에 발생한 측근 비리 사건의 말미에는 ‘뒤숭숭한 공직사회 분위기’를 다잡고 ‘내부 정화시스템을 점검’하는 방법으로 수습 할 것을 제언하는 것이 공통적이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세 아들 비리 사건은 아들들의 처신 잘못으로 말미암은 전형적인 정경유착이 이루어졌다는 평가를 내리고 있다. ‘청정사회 건설을 표방’하고 출범한 정권에서 일어난 충격적인 비리로 인한 공적 자금 운용의 손실이 밝혀지면서 국정운영에 대한 국민의 신뢰회복을 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변양균 신정아 스캔들’에서는 신정아씨의 가짜학위 의혹에서부터 권력형 비리의 전말이 드러나는 과정에서 각종 비리가 가능했던 한국 사회를 꼬집어 비판하고 있다. 가짜 학위와 부적절한 권력남용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불공정 거래는 한국사회의 어두운 면을 여지없이 드러냈다. 하지만 권력형 비리라는 사건의 본질보다는 언론의 신정아씨 누드사진 게재와 검찰의 수사 압수수색 과정에서 드러난 두 사람간의 부적절한 전자우편 내용이 공개는 등 ‘가십성’기사와 ‘선정적’ 보도에 치우친 언론의 모습을 비판하는 시각이 존재한다.

    ‘이상득 저축은행 비리 사건’은 쇠퇴기에는 다른 정권에서와 마찬가지로 공직사회 기강의 재확립을 우선 제시 하고 있지만, 비리 관련자인 은진수씨의 가석방이 논란이 되면서 청와대와 이명박 전 대통령의 부적절한 처사였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비판들은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와 독도방문에 대해 여론을 의식한 ‘정치 쇼’라는 부정적 평가가 이루어지게 했다. 다른 정권에서와는 달리 차기 대선후보들에게 권력형 비리를 막기 위한 대책을 강구하도록 조언하는 보도가 많았다. ‘미래 세력’이 ‘현재 세력’을 반면교사 삼아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아래 <표 5-1>은 언론의 정파성에 따라 각 사건의 평가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표 5-1>] 사건의 쇠퇴기에 언론별 사건 재구성 방식

    label

    사건의 쇠퇴기에 언론별 사건 재구성 방식

    각 정권마다 사건의 책임이 어디에서 비롯되었는가의 문제가 가장 먼저 다뤄진다. 김대중 정권에서는 ‘무턱대고 친인척을 두둔하여 비리의 싹을 스스로 키운 셈(한국, 2002.07.19)’이라는 평가와 ‘여전히 반성과 자숙이 부족한 청와대(동아, 2002.07.10)’를 비판을 통해 알 수 있다. 더군다나 사건의 평가 부분에 있어 언론의 대립각을 살펴 볼 수 있다. ‘몇 가지 의문은 풀렸지만 그보다 몇 배 많은 새로운 의혹들이 생겨났다(2002.07.10)’는 조선일보를 비롯해 ‘대선승리를 위해 청산해야할 짐’이자 ‘대선을 겨냥한 힘겨루기식 정치의 산물(서울,2002.07.13)’ 이라는 비판적 시각이 존재한다. 정부의 대응에 대해 ‘책임을 전가하고 문제의 본질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한 대통령의 현실인식 문제(세계,2002.07.16)’도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다른 한편에서는 ‘외압 가운데서도 의지를 갖고 대통령 아들 비리를 밝혀낸 것’을 두고 ‘살을 도려내는 아픔을 견딘’ 사건이었다는 긍정적 평가도 존재했다.

    ‘변양균-신정아 스캔들’ 사건에 대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가 이루어짐을 볼 수 있다. 사회적 측면에서는 ‘우리사회의 허위의식을 고스란히 드러낸 사건(한국, 2007.09.29)’으로 평가하고 있고, 정치적 측면에 대해서는 ‘타당성 조사가 이루어진 후 예산 집행이 이루어져야(조선, 2007.09.22)’한다는 제도적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에서부터 참여정부의 ‘관료코드 인사’와 ‘도덕성’을 개선해야 한다는 보도가 주를 이룬다. 또, 대통령과 정부의 대응에 대해 ‘레임덕을 자초한 청와대의 자업자득(동아, 2007.10.01)’이라는 부정적인 반응과 ‘청와대 참모의 부적절한 처신과 책임감 부재를 반성하고 뉘우칠 때(한국, 2007.09.29)’라는 당부가 공존하고 있다. 부정적 평가 속에서도 ‘혼란스러움을 긍정의 에너지로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서울, 2007.09.25)’하다거나 ‘국민을 위해 헌신할 수 있는 전문가를 배치하여 난국을 헤쳐 나가자(경향, 2007.09.29)’는 보도로 정권을 옹호하는 평가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사건에 대한 책임이 대통령이나 정부, 사건 당사자들 외에 ‘검찰이 이미 이 사건의 성격을 신‧변 두 사람의 개인적 비리로 규정하고 있는데, 언론에서 오버 하고 있다(한겨레, 2007.09.29)’는 평가로 언론이 그 책임을 함께한다는 시각이 있는 것은 다른 정권에서는 볼 수 없는 점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명박 정권의 측근비리 사건에 대해서는 크게 은진수씨 가석방에 대해 사과의 진정성이 의심된다는 비판(서울, 한겨레, 한국)과 차기 대선 후보에 대한 반면교사로 삼을 것을 강조하는 것으로 이 사건을 평가하고 있다(경향, 국민, 동아, 문화, 세계).사건이 마무리 될 무렵 이명박 전 대통령의 독도 방문에 대해서는 ‘정부의 독도 상황관리 능력에 따라 대통령의 지지도 제고에 도움이 될 것(국민, 2012.08.14)’이라는 평가와 ‘반성모드를 유지하는 듯하더니 올림픽을 계기로 다시 대외활동에 나선다(한겨레, 2012.08.14)’는 평가가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5. 마무리

       1) 요약 및 함의

    국내 언론은 정체성 위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언론의 정파성은 모든 분야에 걸쳐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대통령의 친인척 비리 역시 예외가 아니다. 임기 말이면 어김없이 반복되는 측근비리로 인해 국민은 많은 비용을 지불하고 있으며 국가공동체 차원의 위기관리에 대한 관심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런 배경에서 대통령 측근비리가 언론을 통해 어떻게 재구성되고 있는가를 분석했다. 정부와 언론이 특정 위기를 둘러싸고 상호작용하는 전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위기관리를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대통령의 대국민 공식 발표나 연설 내용을 주제로 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다루거나, 대통령 측근 또는 친인척 비리에 대한 언론 보도를 분석한 선행 연구는 비교적 많았다. 대부분 정량적 방법을 이용한 프레임 분석이었고 언론의 정파성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매체를 선정하여 서로 비교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는 사건을 둘러싼 미디어 담론의 전반적인 양상을 파악하고자 정성분석을 시도했다.

    분석결과, 김대중 정권의 경우, 사건이 드러난 시기가 월드컵이라는 국민적 축제기간과 맞물려 그 비판의 수위가 그리 높지 않았지만 월드컵이 끝난 후 대통령의 사과와 맞물려 다시 거센 비판이 일었다. 노무현 정권에서는 권력형 비리 보다는 스캔들 자체의 선정성이 뉴스로 다뤄졌고 사건 성장기에 노무현 전 대통령의 발언으로 비판이 더욱 커진 것을 볼 때, 청와대 차원에서 좀 더 세밀한 위기관리 전략이 필요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이미 앞서 여러 사회적 갈등에 대해 다섯 번이나 사과를 했었던 만큼 사과 자체보다는 이후의 행보에 대한 신중함이 더 필요했을 것으로 본다. 대체로 기존의 연구에서 논의 되었던 것처럼 한국 언론이 각 언론의 이익에 상응하는 가치를 가지고 각 정파성에 따라 사건을 해석하는 방식과 사건의 원인을 두고 책임소재를 달리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반면, 언론사의 이익에 따른 정치적 정체성이 변화했던 경우가 존재하는 볼 수 있었는데, 한국 언론의 정파성과 그에 따른 담론 지형 또한 변화한 것을 파악 할 수 있었던 점은 의미 있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언론이 대통령 측근의 권력형 비리를 수면 위로 드러내는 과정에 시점이 대통령의 임기 말인 것은 차기 대선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 언론의 정치적 영향력 행사 의도가 있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언론의 ‘미래 권력’에 대한 정치적 세력화를 넓혀가는 작업의 일환이며, 의혹을 끄집어내고 레임덕으로 말미암은 대통령의 권력 누수는 국민들로 하여금 차기 대선 후보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게 한다. 대통령 임기 말, 언론에서 요구하는 의혹에 대한 대통령의 사과는 언론의 정치적 흔들기에 대해 대통령이 권력 누수를 인정하는 것을 방증하고 있다.

    대통령과 정부 차원에서는 정권 초기부터 언론에 책잡히지 않을 정도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한 측근 및 친인척 관리 매뉴얼을 마련하여 투명한 국정 운영을 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이다. 하지만 여의치 않았을 경우 위기상황에 대비한 장기적인 위기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 위기상황에서의 비공식적 채널을 통한 의혹 언급은 문제를 키우고 비난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참고삼아 예방주사를 맞는 것과 같이 태동기 때부터 꾸준한 위기관리가 필요함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의혹이 불거지기 전에 대통령 측에서 먼저 나서서 국정운영의 개혁의지를 보여주는 것이 대국민 사과라는 공식적 채널을 이용하는 것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으리라 판단 할 수 있다.

       2) 한계 및 후속 연구

    국내 전국 단위 일간지 9개 언론사 분석을 통해 대통령 측근 비리 사건에 대한 미디어 담론 지형을 살펴보았다. 따라서 언론이 사건을 어떻게 재구성하고 있으며 언론의 정파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대통령 측근 비리 사건이 표면상에 드러나기 이전의 위기관리 활동과 드러난 위기상황에서 정부 측의 대안 담론에 대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후속연구에서는 정부 측의 사전 위기관리 전략과 관리 실패요인을 분석하고, 대통령과 정부 측에서 언론 보도에 대한 대응책으로 어떠한 위기관리 전략을 구사했는지에 대해 이루어진다면 정부와 언론간의 담론경쟁 구도까지 파악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반복되는 위기상황에 대해 더 나은 대응책을 수립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정성적 분석으로만 이루어져 연구 방법의 객관성과 엄밀함이 한계로 지적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호 네트워크 분석(Semiotic Network Analysis)’ 등을 사용해 담론의 실제 구성 현황을 분석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연구 방법적 보완이 이루어진다면 정부와 언론이 위기상황에서 쟁점을 조직화하고 대립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구조가 밝혀지고, 효과적인 갈등 상황의 이해와 정부의 위기 관리전략 수립을 통해 대통령의 임기 말 정당한 국민의 관심사는 외면 받고 언론의 정치적 흔들기를 통해 국정 운영의 마비와 공공 정책의 소외 문제 같은 사회적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막는 실마리로서 참고 문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1. 강 명구 (1994) 경제뉴스에 나타난 경제위기의 현실구성에 관한 연구. [『언론과 사회』] Vol.3 P.92-131 google
  • 2. 강 명구, 박 상훈 (1997) 정치적 상징과 담론의 정치. [한국사회학] Vol.31 P.123-159 google
  • 3. 고 영신 (2007)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대통령 친인척 비리보도의 뉴스프레임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3 P.156-196 google
  • 4. 김 대영 (2003) 시민사회의 정치적 중립성에 관한 비판적 고찰. [동향과 전망] Vol.통권 P.41-69 google
  • 5. 김 성해 (2013) 동아시아 공동체와 담론전쟁: 한국 언론의 동북공정과 독도분쟁 재구성. [언론과사회] Vol.21 P.64-106 google
  • 6. 김 동윤, 김 성해, 유 용민 (2013) 의견지면을 통해 본 한국 신문의 정파성 지형:공정한 중재자인가, 편파적 대변자인가. [언론과학연구] Vol.13 P.75-122 google
  • 7. 김 성해, 강 희민, 이 진희 (2007) 한국의 구조적 전환과 미디어담론:외환위기 이후 영미식 주주중심 모델의 수용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Vol.15 P.39-85 google
  • 8. 김 성해, 김 동윤 (2009) 금융위기와 언론: 2008 글로벌 위기에 대한 각국 언론의 보도양상과 프레임. [언론과학연구] Vol.9 P.98-134 google
  • 9. 김 성해, 김 춘식, 김 화년 (2010) 위기 경고하기 혹은 위기 초대하기 : 언론이 재구성한 2008년 9월 위기설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Vol.통권 P.164-186 google
  • 10. 김 성해, 유 용민, 김 재현, 최 혜민 (2011) 리비아 사태와 글로벌 정보전쟁 : 24시간 영어뉴스 채널을 통해서 본 미디어 외교의 현장. [한국언론정보학보] Vol.통권 P.86-116 google
  • 11. 김 승수 (2000) 디지털 제국주의. google
  • 12. 김 영욱 (2005) PR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미디어 중심주의 극복 : 정보원, 미디어접근, 그리고 민주주의.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 P.296-331 google
  • 13. 김 인영, 허 경호 (2004) 정당 대변인 논평에 나타난 쟁점관리 메시지 특성 : 대통령 탄핵 정국을 중심으로.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P.58-103 google
  • 14. 백 선기 (2006) 인터넷 미디어의 ‘미국?이라크’전쟁 보도 경향과 담론 구조 :<오마이뉴스>보도의 시간구조와 담론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3 P.115-167 google
  • 15. 백 선기, 김 강석 (2009)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보도와 담론 및 그 이데올로기적 의미:기호네트워크 분석방법(SNA)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회 학술대회] P.483-503 google
  • 16. 서 덕희 (2003) “교실붕괴” 기사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Vol.6 P.55-89 google
  • 17. 윤 영철 (2000) 권력이동과 신문의 대북정책 보도: ‘신문과 정당의 병행관계’를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Vol.27 P.48-81 google
  • 18. 이 귀혜 (2007) 한국 대통령들의 위기 수사학에 관한 연구: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의 변호 전략 분석. [한국언론학보] Vol.51 P.62-90 google
  • 19. 이 기형 (2006) 담론분석과 담론의 정치학. [언론과 사회] Vol.14 P.106-145 google
  • 20. 이 동후 (2003) 국가주의 집합기억의 재생산. [언론과 사회] Vol.11 P.72-110 google
  • 21. 이 승민 (2003) 새만금 간척사업을 둘러싼 담론변화와 갈등구조 분석. [ECO] Vol.통권 P.46-93 google
  • 22. 이 향진 (2003) 북한-유럽연합 외교 정상화와 불량국가 미디어 담론.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26 P.83-112 google
  • 23. 조 영권 (2006) 미디어 정치담론 분석 방법론 연구-페어클라프의 비판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지방자치연구] Vol.11 P.19-41 google
  • 24. 최 경진 (2003) 한국의 정부와 언론의 갈등적 관계에 관한 일 고찰 : 참여정부의 언론정책적 행위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Vol.3 P.95-132 google
  • 25. 최 영재 2005) 언론의 정파성과 대통령 보도, 그리고 언론자유. [언론과 법] Vol.4 P.49-80 google
  • 26. 최 영재 (2008) 대통령의 수사와 언론보도, 지지도의 상관관계 : 노무현 대통령사례 시계열분석.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P.164-191 google
  • 27. 최 영재 (2011) 대통령 커뮤니케이션과 대통령 보도: 1948년-2008년 대통령과 언론 관계 분석. [언론과학연구] Vol.11 P.349-380 google
  • 28. 최 용주 (1996) 정치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언론과 정치의 상호 침투. [언론과 사회] Vol.11 P.6-33 google
  • 29. 홍 성구 (2003) 인터넷 신문의 성장과 언론질서의 변화: “오마이뉴스”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Vol.42 P.237-254 google
  • 30. Timothy E. (1998) Governing with the News: The News Media as a Political Institution. google
  • 31. Entman R.M. (1991) Framing: Towards clarification of a fractured paradigm. [Journal of Communication] Vol.43 P.51-58 google cross ref
  • 32. Fariclough N., Wodak R. (1997)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n Teun A. Van Dijk(Ed.) Discourse As Social Interaction. google
  • 33. (1994) A Mutual Exploitation Model of Media Influence in U.S Foreign policy. P.231-249 google
  • 34. Tuchmas G. (1978) Making News: A Study ing the Construction of Reality. P.19-20 google
  • 35. Turk Judy Vanslyke (1986) Public Relation's Influence on the News. [Newspaper Research Journal] Vol.7 P.15-27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언론별 대통령 친인척 및 측근 비리 사설?칼럼 수
    언론별 대통령 친인척 및 측근 비리 사설?칼럼 수
  • [ <표 2> ]  사건의 태동기에 언론이 사건을 재구성하는 방식
    사건의 태동기에 언론이 사건을 재구성하는 방식
  • [ <표 2-1> ]  사건의 태동기에 언론별 사건 재구성 방식의 차이점
    사건의 태동기에 언론별 사건 재구성 방식의 차이점
  • [ <표 3> ]  사건의 성장기에 언론이 사건을 재구성하는 방식
    사건의 성장기에 언론이 사건을 재구성하는 방식
  • [ <표 3-1> ]  사건의 성장기에 언론별 사건 재구성 방식
    사건의 성장기에 언론별 사건 재구성 방식
  • [ <표 4> ]  사건의 성숙기에 언론이 사건을 재구성하는 방식
    사건의 성숙기에 언론이 사건을 재구성하는 방식
  • [ <표 4-1> ]  사건의 성숙기에 언론별 사건 재구성 방식
    사건의 성숙기에 언론별 사건 재구성 방식
  • [ <표 5> ]  사건의 쇠퇴기에 언론이 사건을 재구성하는 방식
    사건의 쇠퇴기에 언론이 사건을 재구성하는 방식
  • [ <표 5-1> ]  사건의 쇠퇴기에 언론별 사건 재구성 방식
    사건의 쇠퇴기에 언론별 사건 재구성 방식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