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중국도시화 수준에 대한 종합분석- 주성분분석과 군집분석을 중심으로 - Comprehensive Measure of Urbanization Development Level in China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중국도시화 수준에 대한 종합분석- 주성분분석과 군집분석을 중심으로 -

In this paper, urbanization development level index system was constructed, urbanization development levels of 31 provinces (cities) in Chin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factor and cluster analytic approach, the whole country was divided into three region levels. The result indicates: there are obvious regional differences in urbanization development level around China, they are much higher in eastern costal regions than in central and western regions, and they show an enlarging trend; Beijing, Shanghai and Tianjin have apparent advantages in urbanization development level and they pull the urbanization development level of China higher.

KEYWORD
도시화 수준 , 지표체계 , 군집 분석 , 인구성격
  • Ⅰ. 서 론

    최근 수십 년 동안 중국경제발전에 따라 시장화와 도시화가 빠르게 진척되었다. 중국 도시화비율은 1981년 18.1%에 2012년 51.3%으로 상승하여 연 평균 약 1%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중국의 사회 각 방면의 개발과 발전이 지속되었지만 중국의 도시화의 부정적인 측면도 있다. 인구밀집현상으로 인한 교통 혼잡, 쓰레기처리 및 공공위생관리가 힘들어지며 치안관리의 어려움도 가중된다. 지금껏 인류가 경험한 도시화의 전형적인 문제점들이다. 중국은 선진 국가들이 겪은 부작용을 최대한 줄이며 도시화를 달성하고자 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구식 도시화를 탈피하여 중국의 현실에 맞는 새로운 발상의 도시화 모델을 만들어 나가려는 것이다.

    2012년 말까지 중국의 도시화 율은 51.3%에 달해 이미 전문학자들이 정의한 도시화 가속발전단계에 진입했다. 그러나 도시화는 비단 농촌인구의 도시이전만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경제구조, 생활방식, 지역경관 등 종합적 과정까지 포함해야 한다. 중국의 도시화 율이 전체적으로 50% 이상을 넘어섰지만 각 지역마다 도시화 진행과정이 다르고 지역별 발전격차가 커서 여전히 대부분의 지역이 이 수준보다 낮다. 따라서 어떻게 도시화발전수준의 다차원 평가 지표체계를 수립하고 각 지역의 도시화발전수준을 종합적으로 측정하느냐는 도시화 발전 전략을 과학적으로 수립하여 과학적이고, 정상하고 질서 있는 도시화발전을 추진하는데 있어 중요한 이론적 의의와 현실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 볼 때 요컨대 중국학자의 도시화에 관한 토론은 상대적으로 늦은 편이나 발전 속도는 빠른 편이다. 연구 내용은 도시화 속도 위주에서 점차 도시화 수준으로 전환되고 있다. 연구 방법의 다양화, 과학화, 정확화. 도시화는 인구, 경제, 사회, 문화, 환경 등 다방면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변환 과정이자 인류 사회가 전통사회에서 문명사회로 전환하고 변천하는 과정이다.

    도시화수준에 대한 연구는 그 내용에 대한 다른 이해의 기반 위에 구축되는 것이고, 도시화 수준의 내용에 대해 어떻게 범위를 확정하느냐가 직접적으로 이 문제의 연구 범위와 연구 내용을 결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 수준의 외연과 내용에 대해 명확한 범위를 확정 지어 도시화 수준 분석의 기본 틀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시화수준 연구에 관한 방향은 다음에 있다. 첫째, 도시화 이론을 근거로 하여 중국 도시화 발전 현황을 결합하여 도시화 수준의 내용과 외연에 대하여 명확하게 범위를 확정 짓는다. 이러한 기반에서 체계적인 이론 분석 틀을 구축하여 도시화 수준 문제를 연구한다. 둘째, 과학적인 도시화 수준 지표 체계를 구축하여 중국 각 지역의 도시화 수준을 평가한다.

    Ⅱ. 이론적 논의

       1. 도시화에 대한 이론적 논의

    1) 도시화의 개념

    도시화는 고전적 정의가 Eldridge의 것을 들 수 있는데 도시화는 인구집중의 진행과정을 의미한다. Davis에 의하면 도시지역에 살고 있는 총인구의 비율을 도시화라고 했다. 현대적 정의가 도시화란 도시의 발전과 그 발전에 따른 주변의 취락내지는 지역의 변화과정을 말한다. 도시 발전과 도시화는 별개의 개념으로 파악되기 쉬우나, 도시화는 도시세력이 외연적으로 파급되어 주변의 농촌지역이 도시적 취락으로 변화되어가는 과정과 도시 자체가 보다 도시적인 요소를 더해가는 과정, 즉 도시 발전의 과정을 포함한다(박종화·윤대식·이종열, 2013). 사실 도시화 자체의 내포된 의미는 매우 풍부하고, 학자마다 인식이 다르다. 사람들은 종종 다른 각도에서 공통점도 있지만 다른 점도 있는 여러 정의를 제시한다.

    학자들에 의하면, 도시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끊임없이 늘어나는 추세이다.(劉小平, 1996). 도시화가 가장 본질적으로 함축하고 있는 의미는 2차와 3차 산업이 도시로 집중되고, 농촌인구가 도시로 이동함으로써 도시(城鎭) 수가 증가하고, 도시 규모가 확대됨과 동시에 도시로 물질문명, 생활 방식이 이동하는 과정을 수반하는 것으로 정의되고 있다(范永春, 1997). 도시화는 농촌인구가 도시로 이동 및 집중되고 도시의 숫자와 규모가 끊임없이 증가하고 확대되는 현상을 가리킨다(王如松, 1998). 도시화의 본질은 경제 발전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 방식이 농촌 생활에서 도시 생활로 업그레이드 전환되는 과정을 가리킨다(劉勇, 2001). 루이스 비르트는 학자 별로 내린 정의에서 도시화가 추진됨에 따라 거주민들의 도시화에 대한 인식도 더 깊이 있고 전면적임을 알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이런 것들 모두 기술적 정의일 뿐 아직 실증적 정의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며, 전반적으로 도시화의 내용을 밝히지도 못한다고 보았다. 도시화를 분업이 끊임없이 심화되고, 산업 구조가 조정됨으로 인해 자원이 도시에서 확장되던 중 끊임없이 우위의 위치를 얻어 사회가 자연, 원시, 낙후의 농업 문명에서 현대 공업과 서비스 경제 위주의, 완벽한 도시 기반 시설과 공공 서비스 시설이 표지가 되는 현대 도시 문명으로 전환하는 과정이라고 정의했다.

    도시화의 목표는 무엇인가? 도시화 비율이라는 이 지표의 증가를 추구하는 것일까 아니면 단순하게 경제 성장이 목표일까? 사실 그 근본 목표는 인구 도시화에 있다: 한편으로는 거주민의 삶의 질을 제고시키고자 함이고 또 한편으로는 생활하는 곳이 어디든, 일하는 곳이 어디든 상관없이 모두 현대 문명을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완전한 도시화의 정의는 당연히 외적 표현은 수적인 확장이어야 하고, 내적인 표현은 질의 제고이어야 한다. 도시화의 수적 확장은 도시화 수준의 높낮이가 전제이며, 그것이 거주민의 삶의 질의 제고에 필요한 물질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동시에 도시화 수준의 높낮이 역시 도시화의 속도를 결정한다. 다른 조건이 동일한 상황에서 다른 도시화 수준이 다른 도시화 수적 확장과 성장 속도를 가져올 것이다. 도시화는 수적 측면의 도시화 확장을 포함할 뿐 아니라 질적 측면의 제고도 포함하는 수와 질의 통일이다.

    2) 중국 도시화의 특징

    앞에서 중국도시화가 여러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도시화의 정의를 중심으로 중국도시화의 특징을 살펴본다.

    첫째, ‘토지의 도시화’ 가 ‘인구의 도시화’ 보다 우선시되었다. 도시건설구역의 면적 증가속도가 도시인구 증가속도를 크게 웃돌았다. 중국의 도시핵심 용적률은 선진국에 크게 뒤쳐져 있으면서 도시인구의 1인당 토지점유면적은 선진국보다 훨씬 크다. 결국 도시화는 창의적인 아이디어 창출의 기회가 아니라 부동산개발 붐으로 변질되었다(우징렌, 2014).

    둘째, 중국의 도시화에 가장 큰 특징은 대도시 성장이 정체되어있고 각 지역이 경쟁적으로 초대형도시 건설에 열을 올렸다. 그러다 보니 도시의 전문화 수준이 매우 낮은, 판에 박힌 듯 동질화된 도시들이 급증했다. 소도시는 얼마 안 되는 반면 인구500만 이상의 특대형 도시가 지나치게 많아졌는데 이런 도시들은 일반적으로 운영효율이 매우 낮다. (우징렌, 2014).

    셋째, 이농(離農)은 모든 나라의 산업화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다. 농촌인구가 도시로 유입해 저임금노동에 종사하면서 제조업이 발전하기 시작하는 것도 일반적이다. 도시화 과정 속의 도시는 농촌에서 변천해왔지만 농촌 지역 사람들의 주거나 활동 방식과는 또 다른 제도 안배이다. 인류 사회 도시화의 과정은 인류 거주 제도 안배가 앞의 형식에서 뒤의 형식으로 점차 변천하는 과정이다. 두 세기 넘게 세계 도시화 과정 추진과 발전은 인류 사회 구조와 생활 방식의 변화였다.

    3) 도시화수준에 대한 정의

    도시화수준의 범위 설정이 광범위하여 거의 모든 도시화의 각종 요소를 전부 안에 포함하고 있다. 다시 말해 현재 연구는 도시화 수준의 내용에 대해 명확히 범위 설정을 하지 않았다. 도시화 질의 내용을 명확히 확정하기 위하여 우리는 도시화와 도시 발전 두 가지 개념의 구별과 연계를 도시화 수준에 끌어들여 내용과 외연의 범위를 확정하였다. 이렇게 명확한 규칙이 있어 우리는 어떤 것이 도시화 수준의 내용에 속하는지 뚜렷이 파악할 수 있었다. 도시화 수준은 주로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다.

    첫째, 도시화의 과정에서 보면 도시화 수준은 도시 경제가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공공 서비스 공급이 충족되는 것을 가리킨다. 도시는 경제가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성장해야 거주민의 수입 수준이 향상되고, 소비재의 종류와 수도 증가하고, 삶의 질이 제고된다. 공공 서비스는 21세기 공공 행정과 정부 개혁의 핵심 이념이다. 인류 사회 경제와 사회의 끊임없는 발전에 따라 현대 에는 정부 존재의 최대 목표가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서비스는 정부의 기본 이념이 되었고, 사회 대중을 위해 서비스하는 공공 서비스 정신이 정부의 공공 관리 활동을 관통하고 있다.

    둘째, 도시화의 결과에서 보면 도시화 수준은 도시화가 가져온 인간 생활 방식의 변화와 환경의 개선을 가리킨다. 도시 생활방식은 도시의 특정 주민생활 조건이 거주민의 주민생활에 미치는 특수한 영향으로 형성된 생활 방식을 가리킨다. 생활 방식의 변화는 도시화 수준의 중요한 발현이다. 도시화 과정은 깊고, 전 방위적인 변혁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거주민의 전체적인 소양이 끊임없이 향상된다. 농촌 인구가 도시로 이전한 후, 도시 문명이 끊임없이 농촌으로 전파되었고 사람들의 생활 방식, 습관, 행동 방식, 사상 관념, 전체적인 소양 등의 측면에서 모두 변화가 일어났다. 이로 인해 도시는 농촌과 다른 생활 방식이 형성되었다. 생활방식의 변화가 도시화 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깊다. 따라서 생활 방식의 도시화는 도시화 수준의 제고에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인류가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전 세계의 도시화 진행 과정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사람들은 높은 삶의 질을 추구하였고, 점점 더 많은 인구가 도시에 모여 살고, 생활환경 구축 문제가 점차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다. 따라서 생활환경은 도시화 수준과 관계가 밀접하며 도시화 수준의 향상은 틀림없이 도시 거주민에게 편리하고, 쾌적하고, 건강한 생활과 업무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2. 선행연구

    도시화는 도시화의 수적 증가에 대한 요구도 있고 질에 대한 규정도 있는 수량과 질의 통일이다. 그러나 오랫동안 도시화 연구에 관한 핵심 문제는 도시화 수적 증가에 집중되었다. 거의 모든 학자들이 도시화의 수적 문제를 도시화의 전체 내용으로 삼았고, 도시화 수준의 제고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李曉靜, 2009). 연구자들은 현실에서 도시병(都市病)과 환경오염 등과 같은 문제가 나타난 후에야 도시화 수준 문제에 관한 연구를 전개하였다. 지금은 더 이상 단순히 도시화 비율의 제고를 연구 대상으로 삼지 않고, 도시화 진행 과정에서 나타난 각종 문제를 도시화 분석에 포함시키고 있다. 도시화 수준 문제에 관한 연구는 그 내용에 대한 다른 이해의 기반 위에서 정립되어 어떻게 도시화 수준의 내용에 대해 범위를 정하느냐가 직접적으로 이 문제의 연구 시각, 범위 및 내용을 결정한다. 기존 문헌에서 보면 도시화 수준에 대한 범위 확정에는 주로 두 가지 관점이 존재하고 있다: 하나는 생태 도시, 도시 거주민의 삶의 질, 인구 도시화 질 등의 측면에서 도시화의 내용을 체현하는 것으로 우리는 협의(狹義)의 도시화 수준이라고 일컫는다. 또 다른 관점은 더욱 광의(廣義)적 시각에서 도시화 수준에 대한 범위를 확정하는 것이다.

    협의의 도시화 수준에서 보면 그것은 도시화의 어떤 각도에서 도시화의 수준을 반영하는 것이다. Laura A.Blanciforti(1996)는 생활 원가 각도에서 출발하여 미국 플로리다 주의 도시 농촌 생활 원가를 대비하여 분석하였다. Jane Todorovic과Steve Wellington(2000)은 거주민이 자신이 생활하는 도시에 대한 태도와 바람을 이용하여 사람들의 삶의 질을 반영하였다. Vicente Royuela와 Jordi Surinachd(2004)는 삶의 질은 생활 원가와 수익이라고 가설한 함수를 통해 삶의 질과 도시 규모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Luis Delfim Santos와 Isabel Martions(2006)은 높은 삶의 질은 낮은 생활 원가에서 나온다고 여겼고, 자연 환경, 생활환경, 경제 환경 및 사회 환경 네 가지 측면의 요소를 포함하는 모형을 설계하여 포르투갈 도시화 수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광의적 도시화 수준을 정의한 연구, 劉欣(2003)은 도시화 수준의 내용은 4가지 기본 함축적 의미로 요약할 수 있다고 보았다. 첫째, 도시화 진행 과정 중 “사람”의 삶의 질 현황을 반영하여 도시화 인구의 의·식·주 행위 목표를 평가하는 것이다. 둘째는 도시화 체계의 발전을 촉진하는 “동력”, 즉 경제 발전 수준이다. 셋째는 도시화 발전의 내적 기구, 즉 사회, 경제, 정치 영역의 협조 발전을 체현하는 것이다; 넷째는 도시화 발전이 각기 다른 단계에서 드러난 발전의 “공평성”이다. 즉 일부 주민의 이익을 희생시킴으로써 도시화 진행 과정을 가속화할 수 없다. 劉素冬(2006)은 도시화 수준이란 도시 자원을 희생하지 않는 도시화 진행 과정 속의 도시의 힘이 점차 강화되고, 도시 거주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도시 환경과 도시 기반시설이 한층 더 개선되는 것을 가리킨다고 여겼다. 余暉(2010)는 도시화 수준이란 도시화 진행 과정 중 도시화 비율과 도시 각 요소의 조화로운 발전 문제라고 보았다. 그것이 반영하는 것은 농촌 인구가 도시 인구로, 농촌이 도시로 전환되는 과정이고, 그 중에는 사람들의 도시 사상, 관념, 생활 방식의 전환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그것이 내포하고 있는 것은 두 가지 각도에서 고려해볼 수 있다. 하나는 경제 발전 수준이다. 구체적인 것은 경제 규모, 경제 효율 등의 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다. 두 번째는 도시화 기능 발전 수준이다. 도시화 진행 과정 중 중요한 점은 “사람”의 생존과 삶의 질이다. 따라서 도시화 비율은 반드시 도시화 기반 시설의 수용 능력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王德利(2010)는 도시화 발전 수준의 함축적 의미를 다음과 같이 보았다. 첫째는 도시화 도시 경제, 사회, 환경 등 도시 형태 측면의 경쟁력이다. 둘째는 도시화 발전의 조화성이다. 즉, 도시화 발전의 발현인 사회, 경제, 환경 등 영역의 내재적 기구의 “조화성”을 포함하며, 도시화 발전의 공평성도 포함한다. 셋째는 도시화 지속 가능 발전 수준, 즉 도시화의 지속 가능한 발전 능력이다.

    최근 중국에 많은 학자들이 이론분석을 기초로 실증적인 각도에서 도시화수준의 종합적 측정에 대해 탐색을 해왔다. 張斌(2007), 趙湿洲(2007)와 劉建國, 劉宇(2012) 등은 요인분석법을 이용해 도시화 평가 지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요인 점수를 통해 도시화 수준을 가늠하였다. 陳明星(2009)은“도시화 수준이 한 국가나 지역의 사회 경제적 발전 수준의 중요한 지표임에 틀림없으나 중국의 급속한 도시화 진행과정은 수많은 심각한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이는 현재 단일 도시화 지표로 도시화 발전 수준을 고찰하는 것과 일정한 관계가 있다”고 분석했다. 華中과 牛慧恩(2003)은 경제, 인구, 사회, 생태 네 가지 분야에서 지표 체계를 수립하여 도시화 문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范紅杰과 馬岺(2012)은 도시 인구 비중, 비농업산업 취업자 비율, 농촌 거주민 1인당 평균 순수입과 1인당 GDP 등 4개 지표를 이용하고 주성분분석과 Scheffe분석비교를 통해 하복성(河北省)도시화의 전반적 발전 트렌드와 지역 간 격차에 대해 분석하였다. 車曉翠 등(2012)은 지린성(吉林省) 도시화 수준의 허구 현상을 타겟으로 삼아 인구, 경제, 공간, 사회 4가지 측면에서 종합 도시화 수준의 측정 지표체계를 구축하고 표준편차법과 선형가중법을 이용해 지린성(吉林省) 종합 도시화 수준의 지역별 차이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牛文元(2009)은 도시 발전 동력시스템, 도시 발전 품질시스템, 도시 발전 공공서비스시스템으로 구성된 중국의 신형 도시화 지표체계를 구축한 것은 현재로선 비교적 완벽한 신형 도시화에 평가시스템이다. 李明秋, 郞學彬(2010)은 도시 발전의 질, 도시화 효율 및 도시와 농촌이 일원화 구현 정도 등, 세 가지 측면에서 도시화의 평가지표체계를 구축하였다. 李紅波, 張小林(2011)은 자원집약화, 도시와 농촌의 총괄화, 도시 현대화 세 가지 측면에서 신형 도시화 수준에 대해 평가하였다.

    중국의 도시화는 급격한 발전과 도시화 이론에 대한 연구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도시화 평가에 쓰이는 지표도 날로 완벽해지고 있다. 아울러 중국 국내학자들이 중국에서 오랫동안 존재해왔던 이원경제구조를 근거로 도시와 농촌의 격차 분야에 지표를 추가했다. 그러나 국내외를 막론하고 복합지표법을 사용하여 도시화 수준을 계산할 때 일부 눈에 띄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지표 선택 분야의 임의성이 강하고, 차이성이 크고, 보편 적용성은 떨어진다는 점 등이다. 따라서 국내외적으로 아직까지 간결하고 체계적이고, 권위적이면서도 보편성을 갖춘 도시화 수준 평가 지표체계가 마련되지 않았다.

       3. 분석의 틀

    학자마다 도시화 수준의 내용에 대한 이해는 모두 다소 차이가 있다. 이 때문에 우리는 도시화 수준의 구체적 범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가 없다. 다시 말하면 어떻게 도시화 수준의 높낮이를 평가할 것인가에 대해 말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즉, 도시화 수준의 내용과 외연의 정확한 범주 확정이 도시화 수준 문제의 연구 중점이 될 것이라는 것이다. 현재 많은 학자들이 이미 경제 성장, 거주민 생활, 생태 환경 등 각각의 측면에서 상응한 이론과 실증 연구를 펼치고 있으나 이러한 문제를 단일한 이론의 테두리에 포함시켜 연구 분석을 하지 않아 여전히 체계적인 도시화 수준 이론 분석 틀이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화 수준의 이론 분석 틀을 구축하고 이 기반 위에서 상응한 분석을 해야 한다.

    이 연구는 중국의 도시화 이론에 대한 연구 심도가 깊어짐에 따라 도시화 평가에 쓰이는 지표도 날로 완벽해지고 있다. 아울러 중국 국내학자들이 중국에서 오랫동안 존재해왔던 이원경제구조를 근거로 도시와 농촌의 격차 분야에 지표를 추가했다. 그러나 국내외를 막론하고 복합지표법을 사용하여 도시화 수준을 계산할 때 일부 눈에 띄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지표 선택 분야의 임의성이 강하고, 차이성이 크고, 보편 적용성은 떨어진다는 점 등이다. 따라서 국내외적으로 아직까지 간결하고 체계적이고, 권위적이면서도 보편성을 갖춘 도시화 수준 평가 지표체계가 마련되지 않았다. 본 논문은 도시화의 함축적 의미에 기반을 두고 인구 발전, 경제 발전, 사회 공정성, 생활의 질, 환경 최적화 다섯 가지 측면에서 도시화 발전 수준 평가 지표체계를 구축한다. 첫째 인구성장이란 도시의 기초이다. 인구성장은 인구규모, 구민소질, 인구구조와 사회, 경제, 환경 간에 관계가 저급부터 고급으로 운동하는 과정이다. 인구성장은 도시인구의 비중, 도시2-3차 산업에 취업자 수가 전체취업자수에서 차지하는 비중, 도시인구밀도, 총 4개 항목의 지표를 포함한다. 둘째 경제발전이란 중국에 도시화수준이 높다는 점이 중국 경제를 이끌 요인이 된다. 경제을 이끌면 도시화수준이 높아지게 된다. 경제발전은 지역 평균GDP, 도시주민 평균소득, 도시2-3차 산업 증가치가 GDP에서 차지는 비중, 당해 실제이용 투자액, 도시 고정자산 투자액이 사회 고정투자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 총 5개 항목의 지표를 포함한다. 셋째 사회 공정성이란 도시주민에게 평등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공공서비스의 우열여부는 주민생활수준에 큰 영향을 끼친다. 사회 공정성은 공공버스 보유량, 휴대폰 사용자수, 인터넷 사용자수, 의료인원수, 고등교육 졸업자수, 총5개 항목의 지표를 포함한다. 넷째 국민생활의 질이란 도시화를 통해서 주민의 삶의 질을 제고시키고자 함이고 또 한편으로는 생활하는 곳이 어디든, 일하는 곳이 어디든 상관없이 모두 현대 문명을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국민생활의 질은 주민의 연간 평균소비지출, 평균거주면적, 사회소비품 평균매출액, 주민의 교육문화와 오락서비스의 평균지출, 총 4개 항목의 지표를 포함한다. 다섯째 환경최적화이란 생활환경은 도시화 수준과 관계가 밀접하며 도시화 수준의 향상은 틀림없이 도시 거주민에게 편리하고, 쾌적하고, 건강한 생활과 업무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환경최적화는 도로의 평균면적, 공공녹지의 평균면적, 도시 녹화율, 생활오수 처리율, 공업고체폐기물 이용률, 생활 쓰레기 무공해 처리율, 총 5개 항목의 지표를 포함한다. 1995년부터 2011년까지의 패널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고 주성분분석 – 군집 분석법을 사용하여 전국 31개 성(省)의 도시화 발전 수준에 대한 통계 분석을 진행하고 전국을 3개 구역 등급을 구분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중국의 지역 도시화 발전 격차가 두드러져 동부 연해 지역 도시화 수준이 중서부 지역보다 월등히 높고, 격차 또한 확대 추이를 보였다; 베이징, 상하이, 텐진의 도시화 수준 우위가 두드러져 전국 도시화 수준을 끌어올렸다.

    III. 도시화발전수준 평가의 지표체계와 분석방법

       1. 도시화 평가의 지표체계 수립

    도시화 발전의 의미에 따라 도시화에 기반을 두어 인구 발전, 경제 발전, 사회 공정성, 생활의 질, 환경 최적화 다섯 가지 측면에서 도시화발전수준 평가의 지표체계를 수립하였다. 이 체계는 도시화의 발전의 규모와 발전의 질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였고, 총 24개 항목의 지표를 포함하고 있다.

    [<표1>] 도시화 평가의 지표체계

    label

    도시화 평가의 지표체계

       2. 패널데이터 출처

    1996년부터 2012년까지 전국 각 지역의 패널데이터를 선택하였다.

    데이터출처는<중국통계보고서>(1996-2012),<중국환경연감>(1996-2012), <중국고정자산투자통계연감>(1997-1999, 2003-2011)이다. 데이터가 부족한 지역은 평균값 삽입이나 회귀방법을 사용하여 보충했다. 데이터 결함이 적은 경우 국부 평균값 삽입법을 사용하여 부족한 데이터 인접 연도의 평균값을 취했다. 데이터 결함이 큰 경우는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그에 대한 롤링 예측을 진행하였다.

       3. 연구대상

    1996년부터 2012년까지의 패널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고 주성분분석 – 군집 분석법을 사용하여 전국 31개 성(省)의 도시화 발전 수준에 대한 통계 분석을 진행하고 전국을 3개 구역 등급을 구분하였다. 본 연구대상인 전국 총 31개 성(省)이 모든 포함하고 지역별 성(省)인구 및 성(省)면적에 대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또 중국도시연간에서 누락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4. 주성분분석 - 군집 분석법

    이 지표체계는 총 4개의 1급 지표, 24개의 2급 지표가 있어 수량이 많은 편이다. 지표 간 상관성이 존재하면 최종 평가 결과가 부정확해질 수 있으므로 평가를 진행하기 전 먼저 주성분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크기 감소 처리를 하고 지표 구조를 간소화하여 문제 분석을 더욱 객관적이고, 효과적이고, 평가모델을 더욱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했다; 그 후 이를 기반으로 군집 분석을 진행하고 구역 등급을 구분하였다. 주성분 – 군집 분석법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표 값의 비차원화(non-dimensionalization) 처리

    각 지표 값의 통일된 규격은 데이터 유형과 다른 것이다. 데이터가 더욱 강한 일치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일차 데이터에 대해 비차원화 처리를 해야 한다. 이 글의 지표가 모두 편익형 지표인 것을 고려하여 아래와 같은 처리 방법을 채택하였다:

    설정:i는 제i번 평가 구역(지표층)의 번호이며, i=1,2,3...m; k는 제k번 평가 지표(가변층)의 번호이며, k=1,2,3...n; 즉 Vik는 제i번 평가구역 중에 제k번 지표의 평균값이다.

    image

    ( i=1,2,3...m; k=1,2,3...n) 비차원화 처리를 거친 후 표준화 행렬을 구한다.

    둘째, 비차원화 후에 두 지표 간에 관련 계수를 계산하고 관련 계수 행렬 R을 구한다.

    셋째, 관련 계수 행렬의 고유근(characteristic root) λj(j = 1,2,3,...n)을 계산한다.

    넷째, 고유근λj(j의 공헌도(Contribution rate)Pj을 계산하고, 누계의 공헌도(cumulative Contribution rate)을 계산한다; 누계의 공헌도를 의 원칙을 근거로 주성분 개수 와 상응하는 특징 벡터 행렬A을 확정 짓는다. 주성분은 Fj(j = 1,2,3,...k)로 기록하고 최종 종합 점수의 가중 치 벡터α, 즉 을 계산한다.

    다섯째, 방정식에 따라 종합점수 F=α1F1 + α2F2 + ... + αkFk을 계산하고 종합 점수를 근거로 군집분석을 진행하여 구역등급을 구분한다.

    Ⅳ. 중국도시화발전 수준의 분석

       1. 요인 분석

    본 논문은 주성분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공통요인을 추출하고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시화 발전 수준 평가 지표 체계 데이터를 계산하여 행렬 특정값(matrix Eigenvalue), 공헌 비례값(Contribution ratios) 및 누계 공헌 비례값(cumulative contribution ratios )을 구했다.

    <표2>에서 특징 값이 1보다 큰 것은 앞의 3개 공통요인뿐이지만 네 번째 공통요인의 특징 값이 1에 근접하고 그 누계 분산 공헌율이 89.975%에 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 4개의 공통요인은 일차 변수 89.975%의 정보량을 해석함과 동시에 추출한 4개 요인에 대해 일차 요인 부하 행렬을 구축하고 분산 최대화 직각 회전방법을 이용해 부하 행렬에 대한 요인 회전을 진행하였다. 회전 후 추출한 4개의 요인은 차례대로 F1,F2,F3,F4이며 회전 후 얻은 요인 행렬은 <표 4>에 보이는 바와 같다.

    [<표2>] 주성분 고유근, 분산 공헌도와 초기 요인 행렬 종합표

    label

    주성분 고유근, 분산 공헌도와 초기 요인 행렬 종합표

    표3의 요인로딩행렬에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알 수 있다.

    [<표3>] 회전분석 후 요인로딩행렬

    label

    회전분석 후 요인로딩행렬

    첫째, F1은 1인당 평균 GDP, 1인당 평균 재정지출, 직원 평균 월급, 도시인구 비중에 있어 비교적 큰 부하 계수가 있었다. 이 요인이 주로 도시 인구와 경제 발전 수준을 반영하는데 그 공헌도는 47.36%에 달했다;

    둘째, F2는 도시2, 3차 산업 증가치 비중, 1인당 평균 사회 상품 소매판매총액, 만 명당 의료기관 병상 수, 만 명당 의료기관의 인원수, 만 명당 자동차 보유대수에 있어서 비교적 큰 부하 계수가 있었다. 이 요인은 주로 한 도시의 사회 공정성과 국민 생활 발전 수준을 반영하는데, 그 공헌도가 25.19%이다.

    셋째, F3는 도시 주민 1인당 평균 연간 소비지출, 1인당 도로면적에 있어서 비교적 큰 부하 계수가 있었고, 도시에 1인당 평균 재정 지출에서의 부하 계수도 높은 편이었다. 이 요인은 한 도시의 인프라 투입과 국민 생활 발전 상황을 반영하는데, 이 요인의 공헌도가 10.28%이었다.

    넷째, F4는 1인당 평균 공용 녹지 면적에 있어 비교적 큰 하중이 있었는데 이 요인은 해당 도시의 생태 환경 상황을 반영하며 이 요인의 공헌도는 8.45%이다.

    공통요인점수(Common Factor score)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다.

    image

    중합요인점수:

    image

    [<표4>] 공통 요인점수 및 종합 점수

    label

    공통 요인점수 및 종합 점수

    요인점수 분석(표4)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2. 유형에 따라 군집분석

    도시화수준에 대한 등급을 한층 더 구분하고 요인 분석으로 얻은 점수 순위를 검증하여 전국 각 지역 도시화 발전의 규칙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종합 점수를 근거로 신속한 유형 취합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SPSS11.5 통계프로그램 중 유형 취합 분석 모듈을 이용하여 유형 취합 과정을 진행하였다. 또한 유형 취합 결과를 근거로 지역 등급을 구분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표5에 나와 있다.

    [<표5>] 전국 도시화 발전 수준 종합 평가

    label

    전국 도시화 발전 수준 종합 평가

    <표 5>에서 전국 대부분 지역은 제3유형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군집 결과는 아래와 같은 점을 설명하고 있다:

    V. 분석결과

    도시화 발전 수준 평가지표 체계수립을 통해 중국 31개 지역의 1996년부터 2012년까지의 도시화 발전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고, 측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지역 간 불균형발전과 성장차이 존재

    도시화 발전 수준 종합측정 결과 중국의 도시화 발전 수준의 고저에 있어 극명한 지역차를 보였다. 동부지역의 높은 도시화 수준, 우수한 지리적 우위와 높은 경제 발전 수준이 도시화 과정을 촉진시켰다; 서부 지역 중 구이 저우, 깐수, 쓰촨의 발전 수준은 전국 평균 수준과 격차가 컸다. 이를 통해 대외개방 수준이 높은 지역의 도시화 수준이 높고, 우수한 지리적 위치와 양호한 경제적 기반이 동부지역의 도시화 과정을 촉진시켰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광동, 장쑤, 산둥, 저장, 랴오닝, 푸젠 등 연해지역의 경제력이 강한 성의 복사작용을 통하여 중부지역 성의 발전을 먼저 주도하고, 그 다음 순차적으로 이를 중서부 지역으로 전달하여 전국 전체를 발전시켜야 한다. 또한 중서부 지역은 해당 지역의 자원 우위를 충분히 활용하고, 대외개방 강도와 투자도입 강도를 높이고, 해당 지역의 경제 발전을 촉진함으로써 도시화 과정을 추진해야 한다.

       2. 지역 간 격차의 심화

    베이징, 상하이, 톈진의 도시화 발전 수준이 두드러졌고, 지역 간 격차는 점차 확대되는 양상을 보였다. 종합측정 결과 1995년부터 2011년까지 베이징, 상하이, 톈진 세 개 직할시의 경제 발전 수준이 전국 선두를 차지하였고 이와 상응하여 도시화 발전 수준 역시 전국 최상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구이저우와 간쑤의 종합 점수는 낮았다. 거의 20여 개 성과 자치구의 발전 수준이 전국 평균 수준을 하회하고, 지역 간 차이가 현저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요인분석을 통한 결과 베이징과 톈진은 도시 인프라 분야에서 발전을 가속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보면 전국 31개 성의 도시화 수준이 차이가 있었고, 점차 확대되는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 발전 수준이 높은 지역의 시설조건과 생활수준이 높아 도시화 발전에 유리하다는 것을 설명해준다. 따라서 도시화 발전 수준이 낮은 지역은 경제발전과 산업구조 업그레이드를 가속화하여 경제를 선순환 발전하도록 하고, 산업구조의 도시화 전환을 추진하여 타 지역과의 격차를 좁혀야 한다.

       3. 지역 간 도시화 발전 수준 격차 심화

    동부 지역의 도시화 발전 수준이 중서부 지역을 훨씬 앞섰는데, 이는 이 지역 내 인구증가에 따른 도시화 진행 과정의 가속화 때문이기도 하고 중서부 지역 인구가 해당 지역으로 이전하여 생겨난 것이기도 하다; 중서부 지역의 도시화 진행과정은 상대적으로 완만하고, 인구의 외부 유출까지 겹쳐 이 지역 인구의 도시화 진행 과정을 더욱 더디게 하였다. 이 두 가지의 공통 작용으로 중서부 도시화 진행과정의 불균형이 초래되었다.

    따라서 중서부 지역의 제한적인 경제 수준에서 도시와 농촌 발전의 '이원화'를 타파하고 도시· 농촌 간 총체적인 발전을 이룩해야 한다. 정부 부처는 정책과 재정 투입에 있어 도시화 수준이 낮은 지역에 주력하고, 동시에 지역별 산업특징, 지리적 우위, 자원 우위 등에 따라 다른 발전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인재 유치 관련 정책을 제정하여 인력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는 것도 도시화 수준을 강화하는 전략 중 하나이다. 특히 중서부 지역은 현지 실정에 맞게 독특한 우위를 십분 활용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대대적인 자주혁신능력 강화, 과학 기술력이 높은 산업 확충, 현대 서비스업 발전 가속화, 집약형 고효율 생산 구현, 지역 실정에 맞는 특색 산업 발전 등의 조치이다.

    ⅤI. 결 론

    첫째, 도시화의 수준, 즉 생활의 질이다. 도시화 수준의 향상 과정이란 주민이 소비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종류와 수는 점점 많아지지만, 생활 코스트는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과정을 말한다. 이 과정에는 교육, 주거, 취업, 안전, 환경 등 다양한 분야가 포함되며, 더 구체적으로는 도시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경제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성장, 공공 서비스의 공급 그리고 도시화 결과로 나타나는 주민생활방식의 변화 및 생태환경 개선 등이 포함된다.

    둘째, 1996~2012년 중국 도시화 수준은 기본적으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1996~2003년간 도시화 수준은 일정한 속도로 상승했고, 2003~2012년 동안은 비교적 빠르게 향상되는 추세를 보였다. 기간별 구체적인 도시화 수준 지수의 변화와 생활 방식 관련 지수의 변화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추세를 보인다. 이를 통해 생활방식이 변하면서 도시화 수준도 함께 변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이 중국의 생활방식이 매우 양호한 상태에 접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는 단지 기존의 기초적인 수준보다 상대적으로 발전했음을 설명하는 것으로, 관련 지수인 종합평가 수치의 향상으로 나타난다. 도시화 수준 향상에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은 생태환경의 개선으로 이는 최근 중국 국가정책방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현재 중국의 도시환경보호 및 생태건설사업이 전반적으로 성과를 보이기 시작했으나, 이는 중국 도시의 생태환경이 매우 양호한 상태에 놓여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환경문제가 점점 더 많은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으며 과거에 비해 다소 개선되었음을 의미할 뿐이다. 현재 중국은 공업화, 도시화가 급속도로 발전하는 단계를 겪고 있으며, 자원 소비가 매우 크고 오염배출 문제가 심각한 편이다. 생태 환경을 개선하여 도시화 수준을 높이는 것이 미래 경제·사회 발전에 시급한 문제가 되었다. 공공서비스는 도시화 품질 지수를 상승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지만 도시화 수준에 대한 기여도는 점차 축소되고 있다.

    셋째, 도시화 수준이 동부에서 서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추세가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2012년 중국 각지의 도시화 수준 수치 및 단계별로 구분된 도시의 수를 살펴보면, 현재 중국의 도시화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지 않고 도시화 수준이 우수하고 양호한 도시는 적은 반면 도시화 수준이 떨어지는 도시가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중국의 도시화 확대 추진 및 도시화 수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의 분포는 계속해서 이와 같은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張 斌 (1999) ?現代城市更新? google
  • 2. 趙 顯洲 (1999) ?現代建築理論? google
  • 3. 劉 建國, 劉 宇 (1985) ?城市規劃? google
  • 4. 陳 明星 (1997) ?都市化進程? google
  • 5. (2000) ?現代建築與民族文化? google
  • 6. (2000) ?城市空間? google
  • 7. 車 曉 (1989) ?城市化對中國社會與經濟的影響?. google
  • 8. 牛 文元 (2001) ?曆史城市保護學導論? google
  • 9. 沈 玉麟 (1989) ?外國城市建設史? google
  • 10. 顧 孟潮 (1989) ?城市學與山水城市? google
  • 11. 安 ?? (2009) 中?大都市?膨?病的?生?社?影?[J]. [??社?科?] Vol.4 P.5-12 google
  • 12. 安 ??, ? ?蓉 (2010) ?域政策手段比?及我??域政策手段完善方向[J]. [江淮??] Vol.3 P.36-40 google
  • 13. 安 ??, 任 媛 (2009) “十一五”以?我??域???展的新???新特点[J]. [?展?究] Vol.9 P.9-14 google
  • 14. 安 ?? (2010) “十二五”?期我??域政策?整?究[Z]. google
  • 15. 母 ?英 (2005) 省? "行政?????”????域???展[J]. [重?工商大???] Vol.12 P.52-56 google
  • 16. 潘 家?, 魏 后? (2010) 中?城市?展?告[C]. google
  • 17. 白 永秀 (2010) 后改革?代的??:城???社?一?化[J]. [???家] Vol.8 P.84-89 google
  • 18. 白 先春 (2004) 我?城市化?程的?量分析????究[D]. google
  • 19. ? 志?, 胡 ?? (2011) 我?科技投入???增??系的??分析[J]. [山???] Vol.1 P.16-20 google
  • 20. ? 成 (2007) 中??政支出???究[C]. google
  • 21. ? 秀山, ? ?? (2010) ?北地???增?的?力??和可持?性分析[J]. [社?科??刊] Vol.4 P.121-125 google
  • 22. ? 佳?, ? 群慧, ? 宏武 (2006) 中?地?工?化?程的?合?价和特征分析[J]. [???究] Vol.6 P.4-15 google
  • 23. ? 小? (2009) 中???增??量的?度[J]. [?量??技????究] Vol.6 P.75-86 google
  • 24. 柴 文佳, 王 立? (2011) 城市化?量?究?述[J]. [?代交?] Vol.3 P.48-49 google
  • 25. ? 强, ? ?? (2006) 城市?展?量?价: ?角?指??系[J]. [同?大???(社?科?版)] Vol.6 P.40-46 google
  • 26. 郭 志? (1999) 社???方法―SPSS?件?用[M]. google
  • 27. (2005) 建立中?城市化?量?价?系及?用?究[J]. [???究] Vol.7 P.15-19 google
  • 28. ? 朝林 (199) ??全球化?中?城市?展[M] google
  • 29. 高 佩? (1991) 中外城市化比??究[M]. google
  • 30. 斯 巴根, 李 同昇, 周 朝, 周 杜? (2011) 基于空?功能的?域整??展?合?价??地理[J]. [??地理] Vol.3 P.360-365 google
  • 31. ? 肇?, ? ?援 (2001) ??外生?城市?究?述[J]. [城市??] Vol.1 P.59-66 google
  • 32. 何 文?, ? 柏盛, ? 志梅, 基 于 (2009) “?型社?” ?角的城市化?量?究以湖南?例[J]. [??理????] Vol.6 P.118-121 google
  • 33. ? 昌政, ? 海 (2001) BP人工神???主成分分析??模型及?用[J]. [?量??技????究] Vol.9 P.104-106 google
  • 34. ? ?林, ? 天? (2009) 中?地?以上城市城市化?量特征及空?差?[J]. [地理?究] Vol.11 P.1508-1514 google
  • 35. 侯 萃萃 (2010) ?北地?城市化?量?究[D]. P.5 google
  • 36. ? ??, 李 ?固, ? 馨 (2009) ?春市蔓延机理??控路??究[J]. [地理科??展] Vol.28 P.76-84 google
  • 37. 侯 ?英 (2008) 中?城市化?程?空差?分析[M]. google
  • 38. ? ?, 安 虎森 (2004) ?域???[M]? google
  • 39. ? 芳, ? 盛和, 袁 弘 (2007) 北京城市蔓延的?度?分析[J]?. [地理??] Vol.6 P.649-658 google
  • 40. ? ?? (2003) 中?城市化?量的因子分析[J]?. [山西??] Vol.11 P.9-10 google
  • 41. 江 泓, ? 四? (2009) 生?、?制?特色消亡―“空?生?” ?角下的城市特色危机[J]. [城市???刊] Vol.4 P.40-45 google
  • 42. 李 明秋, ? ?彬 (2010) 城市化?量的?涵及其?价指??系的?建[J]. [<中??科>] Vol.12 P.182-186 google
  • 43. ? 天? (2010) 中?地?以上城市化?量特征及空?差?分析[DJ]. P.102 google
  • 44. 都 沁?, 于 ? (2001) 城市化水平?价的指??系?究[J]. [????策] Vol.3 P.21 google
  • 45. 杜 ?? (2007) 秦皇?城市化??及可持??展?究[C]. google
  • 46. 杜 ?, ? ?? (2005) ?代?合?价方法?案例精?[M]. google
  • 47. 代 和治, ? 兆德 (1998) ?合指?法及其在?度中?省城城市化水平中的?用[J]. [城市??] Vol.4 P.21-24 google
  • 48. ? ??, ? 璟 (2005) ?中地?城市化水平地域差?及影?因素分析[J]. [?代??科?] Vol.1 P.99-102 google
  • 49. 段 杰, 李 江V (1999) 中?城市化?程的特点、?力机制及?展背景[J]. [??地理] Vol.12 P.79-83 google
  • 50. 董 ?? (2005) ?俊玲. 城市化?量若干??初探[J]. [台?新?角] Vol.6 P.199-201 google
  • 51. 樊 ? (2010) 武良成.城市化: 一系列公共政策的集合着眼于城市化的?量[M]. google
  • 52. 박 종화, 윤 대식, 이 종열 (2013) 「도시행정론(이론과 정책)」 google
  • 53. 우 징렌 (2014) 「전면적 개혁심화와 신형도시화」. google
  • 54. Riggs F. W. (1957) “Agraria and Industria, Toward a Typology of Comparative Administration” in Toward the Comparativ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on. google
  • 55. Heng Guizhen, Lee Sang-Yup (2009) The Welfare Outlet of China's Rural Elders : Analysis of the Rural Endowment’s Socialization. [?한국비교정부학보?] Vol.13 P.291-302 google
  • 56. Amos Jr O. M. (1988) Unbalanced Regional Growth and Regional Income Inequality in the Latter Stages of Development[J]. [Regional Science and Urban Economics] Vol.4 P.549-566 google cross ref
  • 57. Aschauer P, J. (1985) Greenwood. Macroeconomic Effects of Fiscal Policy [J]. [Carregie-Roches? ter Conference Series on Public Policy] Vol.23 P.91-138 google cross ref
  • 58. Arrow Kenneth J. (1962) The Economic Implications of Learning by Doing[J] [Review of Economic Studies] Vol.29 P.73-155 google cross ref
  • 59. Barro R. J., Sala-i-Martin X. (2003) Economic Growth[M]. google
  • 60. Barro Robert J. (1991) Economic Growth in a Cross Section of Countries[J].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Vol.106 P.40-43 google cross ref
  • 61. Barro Robert J. (1990) Macroeconomics. google
  • 62. Barro Robert J. (1990) Government Spending in a Simple Model of Endogenous Growth. [Journal of Political Economics] Vol.98 P.103-125 google cross ref
  • 63. BaumoI William J. (1986) Productivity Growth, Convergence, and Welfare: What the Long-Run Data Show.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76 P.1072-85 google
  • 64. Carlino G A., Mills L. O. (1993) Are the US Regional Incomes Converging? A Time Series Analysis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Vol.32 P.335-346 google cross ref
  • 65. Aschauer David Alan (1988) The Equilibrium Approach to Fiscal Policy. [Journal of Money, Credit, and Banking] Vol.20 P.41-62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그림1> ]  분석의 틀
    분석의 틀
  • [ <표1> ]  도시화 평가의 지표체계
    도시화 평가의 지표체계
  • [ ] 
  • [ <표2> ]  주성분 고유근, 분산 공헌도와 초기 요인 행렬 종합표
    주성분 고유근, 분산 공헌도와 초기 요인 행렬 종합표
  • [ <표3> ]  회전분석 후 요인로딩행렬
    회전분석 후 요인로딩행렬
  • [ ] 
  • [ ] 
  • [ <표4> ]  공통 요인점수 및 종합 점수
    공통 요인점수 및 종합 점수
  • [ <표5> ]  전국 도시화 발전 수준 종합 평가
    전국 도시화 발전 수준 종합 평가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