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o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hildcare Teachers and Infants
ABSTRACT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his research examined how childcare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affects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s and infan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388 childcare teachers from childcare centers at C, P, and S district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looking at the awareness level of the childcare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and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s and infants, the awareness of the coaching competency was above average, and the awarenes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s and infants was high. Second, a high correlation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childcare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and the interaction level of the childcare teachers and infants.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observe the effect of the childcare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o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s and infants. It was found that the childcare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s and infants. The variables that had significance were implementation competency, conversational competency, and consciousness competency; also, as the level of coaching competency increased, the level of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infants increased as well.

KEYWORD
보육교사 , 코칭역량 , 영아 , 상호작용
  • Ⅰ. 서론

    최근 저출산 대책으로 실시하고 있는 무상보육정책 등으로 많은 영유아들이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으며, 영유아중 특히 만 0세 ~2세까지의 영아들은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발달의 기초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때 영아를 위하여 교사는 양육자로서의 역할, 기본 신뢰 형성의 대상자로서의 역할, 다양한 자극요인들을 제공하여 제 영역에서의 발달을 촉진하는 발달 촉진자로서의 역할 등 매우 광범위하고,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일생의 중요한 영아기를 어린이집에서 성장하는 영아들에게 보육의 질을 좌우하는 변인은 보육교사이며, 교사의 역량은 중요한 변인이 될 것이다. 교사가 영유아의 개별적 차이와 흥미를 얼마나 잘 파악하고 있으며 이에 적합한 경험을 바람직한 상호작용을 통해 지속적으로 제공하느냐는 보육의 질은 물론, 영유아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22].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은 보육의 질에 많은 영향을 주며, 영아와의 효율적인 상호작용은 교사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자질 중의 하나이다[29]. 언어로 표현하는 능력이 제한적인 영아는 울음이나 행동, 얼굴 표정 등으로 자신의 요구를 표현하는데 이때 보육교사는 영아의 다양한 의사표현 방식을 파악하여 민감하게 반응해야 한다[22]. 영아기의 초기적 경험은 인간의 전 생애에 걸쳐 결정적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31].

    이와 같이 보육현장에서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다. 교사-영아 상호작용이란, 보육교사와 영아와의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행동이라 할 수 있다[40].

    보육현장에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는 상호작용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인이 교사[12]라고 보고하고 있으며, 근무경력 3년 이상의 교사들이 교사-영아 상호작용 과정에서 교사의 반응적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고 있다[24]. 또한, 개인적 교수 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수준도 높다고 보고되고 있으며[26], 교사와 영유아가 상호작용하는 수준이 높을수록 영유아는 긍정적인 정서표현을 많이 하였다고 보고하고 있다[11].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은 보육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간이 타고난 무한한 잠재력을 계발하기 위해서는 특히 어릴 적부터 가정과 사회에서 민감성과 목적성을 지니고 아이들을 양육하고, 교육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27]. 또한,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보육교사의 역할과 교사와 영아와의 관계는 시대가 요구하는 방향으로의 대전환이 필요하다. 지식과 경영, 비전과 전략들이 기존의 세대가 예측할 수 없는 속도와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차세대들이 경쟁력을 갖추어 각각의 영역에서 정상을 정복하며 탁월한 리더로서의 삶을 실현하기 위하여 교사-영아의 새로운 관계정립 및 보육과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됨은 필요충분조건이 되었다[5]. 이러한 능력을 갖추는데 도움을 주는 한 방법이 코칭이라 할 수 있다. 교사-영아의 질 높은 상호작용을 위해 최근 연구되고 있는 코칭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코칭이란 조직 구성원에게 답을 주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경청하고 질문하며 격려하는 활동으로 잠재능력을 일깨워 개인과 조직에 성과를 극대화하는 의사소통기법의 한 가지라 할 수 있다[34]. 교사와 영아간의 코칭 기법은 의사소통 방식으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21세기가 요구하는 리더십 있는, 긍정적 성향을 지닌 영아를 길러내는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4].

    최근 연구되고 있는 코칭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자기주도 학습에 코칭을 적용한 연구[2]와 어린이집에서 유아의 성폭력예방 교육에 코칭을 적용한 연구들[21, 25]이 있으며, 유아 코칭이 주도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는 연구가 있다[16]. 또한 다양한 부모 코칭 기술을 제공함으로서 부모가 능동적, 부모실천적인 역할을 실행하였다는 연구와[19], 부모와 자녀관계에 코칭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3] 등 다양한 코칭 관련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아울러 보육현장에서 코칭을 적용한 상호작용 관련 연구는 Yang[39]의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분석이라는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한편, 코칭역량을 적용한 연구를 살펴보면 부모가 유아에게 코칭을 적용하여 독서를 지도할 경우 독서능력이 향상되었다는 부모코칭 역량에 관한 연구[33], 관리자의 코칭역량 향상으로 부하직원들 업무성과가 향상되었다는 연구들[10, 18, 30, 32], 그 외 리더의 코칭리더십이 조직효율성에 영향을 주었다는 연구[8] 등이 있다. 그러나 보육분야에 코칭역량을 적용한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역량이 보육교사의 보육헌신에 영향을 미친다는 JU[14]의 연구 외에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와 같이 교사-영아 상호작용 관련하여 코칭역량 요인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교사의 코칭역량 관련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영아반 보육교사의 코칭역량 향상을 위해 연구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코칭역량과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보육교사의 코칭역량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에 관계가 있는가?

    셋째,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가?

    Ⅱ. 이론적 배경

       1. 코칭 및 코칭역량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 학자들이 정의하여 온 코칭의 개념을 살펴보면 몇 가지 관점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리더의 코칭 역할을 어디에 초점을 두느냐에 따라 촉진자, 지도자, 파트너의 역할로 개념을 다르게 볼 수 있다. 첫째, 코치가 코칭 받는 사람을 촉진하는 관점에서 “구성원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개인의 잠재능력을 깨우는 것”으로[38] 정의한 개념이 있고, 둘째, “개인의 능력을 함양시켜 봄으로써 개인과 조직 모두의 목표를 성취 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것”과 Flaherty[7]은 코칭 받는 사람을 지도하는 역할에 초점을 두어 정의한 개념이 있다. 셋째, “개인이나 팀이 과거 자신들의 성과 수준을 능가 할 수 있도록 권한을 위임하여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형성하는 것” 과 Evered와 Selman[6]은 코치와 코칭 받는 사람의 파트너십에 초점을 두어 정의한 개념이 있다. 따라서 코칭은 구성원들의 더 높은 성과를 올릴 수 있도록 하는 리더들의 행동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지배적이며 리더십 차원에서의 새로운 교육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다[18 재인용, 36] 또한, 코칭은 무한한 인간의 가능성을 믿고 자기 스스로 더 나은 발전을 실현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지지하는 것을 추구한다[4].

    코칭역량이란 특정직무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식, 기술, 태도 및 가치 등의 내재적 특성을 통해 표출되는 행동으로 내재적 특성과 행동특성을 포함한다. 코칭역량에 대하여 학자들은 다음과 같이 다양한 정의를 하고 있다[33 재인용]. ICF[13]는 모든 분야의 전문 코치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을 기초 세우기, 관계의 공동구축,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기, 학습촉진과 효과적인 목표달성의 4개 그룹 11가지 역량으로 분류·제시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핵심역량의 정의와 이 역량들이 어떤 행동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한 행동지표도 함께 제시하고 있다. Law 등[23]은 코칭에 필요한 역량을 공감, 친절한 성격, 모호성에 대한 인내력, 인식, 외교적수완, 촉진스킬, 학습스킬, 인터뷰스킬, 경청스킬, 변화관리 10가지를 제시하고 있으며, Wenzel[37]은 인지능력, 적극성, 사회성, 공감, 이슈 분석, 용기를 이끌어내기, 경청, 관계형성으로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코칭역량의 하위 영역으로 실행역량, 의사소통역량, 관계역량, 의식역량의 4개 하위영역으로 구분하였다[15].

    첫째, 실행역량이란 교사-영아 관계에서 구체적인 코칭기술과 관련된 것으로 코칭방법과 방안에 관련한 것이다. 보육교사가 자신의 역할을 파악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는 자세는 물론 그에 따른 기술을 말한다.

    둘째, 의사소통역량이란 교사-영아 상호작용하는 관계에 있어서 필요한 교사의 역량을 의미한다. 즉 보육교사는 영아의 언어적 행동 외에 비언어적 행동과 영아의 특성, 기질을 파악하는 기술을 가져야 한다.

    셋째, 관계역량이란 보육교사가 영아와 관계를 맺기 위해서 교사 자신보다는 영아를 우선하고, 보육에 대한 자신감을 필요로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의식역량이란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을 위해 가져야 할 의식으로 자신이 원하지 않는 결과가 나오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영아의 가능성을 바라봐주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2. 상호작용 및 교사 -영아 상호작용

    상호작용이란 유기체가 사물이나 사람과 주고받는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으로, 진정한 의미에서 상호작용은 사람과의 상호작용 즉, 대인관계 속에서 사람과 주고받는 상호작용이다[20]. 인간과의 상호작용은 의사소통을 위한 표현 행동이 나타나는 영아기에서부터 시작된다. 최초의 상호작용은 영아가 양육자에게 울기, 응시하기, 미소 짓기 등으로 자신의 호기심, 욕구 등을 표현하는 행동을 시작하는 것으로,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은 보육교사와 영아와의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보여주는 행동이라 할 수 있다[40].

    보육교사는 영유아의 일상적 양육과 보육활동을 수행하는 동안 영유아와 적절한 상호작용 및 적합한 교수전략을 사용하여 영유아의 발달과 학습을 촉진하여야 한다. 또한 보육교사는 활동의 내용과 상황 등에 따라 교사 주도적 접근법과 영유아 주도적 접근법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보육활동을 진행함으로써 교수법이 효과적으로 사용되도록 하여야 한다[22]. 따라서 영아를 돌보는 보육교사는 영아와의 상호작용에서 애정적이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여 영아가 신뢰감을 형성하도록 도와야 한다. 또한 영아의 발달이 같은 시기에 같은 방법으로 같은 단계를 거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영아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영아의 개인차에 맞추어 영아를 양육해 주어야 한다[9]. 또한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은 영아를 정서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그것은 영아기가 세상에 대한 기본적인 신뢰감 형성과 양육자와의 애착형성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므로, 교사의 계속적인 정서적 지원을 통해 영아의 발달을 적절하게 도울 수 있기 때문이다[29].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시, P시, S시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유의표집 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한 결과 390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한 설문지 중 부분 미응답 설문지 2부를 제외한 총 388부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보육교사의 특성을 살펴보면 Tabel 1과 같다.

    [〈Table 1〉] Demography of Childcare Teachers

    label

    Demography of Childcare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88명의 영아반 보육교사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이들의 일반적 사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령은 30대가 46.1%로 가장 많았고, 40대 이상이 33.2%였다. 학력은 2·3년제 대학 졸업자가 42.5%로 가장 많았고 4년제 이상이 30.4%, 고등학교 졸업자가 27.1%로 나타났다. 결혼 여부는 기혼자가 72.9%로 미혼자의 27.1%에 비하여 기혼자가 45.8% 더 많았다.

    보육경력은 1-3년이 31.2%로 가장 많았고, 4-6년이 26.5%, 7년 이상이 25.0%, 1년 미만이 17.3%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유형은 가정 어린이집이 41.8%로 가장 많았고 민간 어린이집이 39.9%로 나타났다. 급여는 121-160만원이 62.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121-160만원이 26.0%이었다.

       2. 측정도구

    1) 코칭역량

    코칭역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Jung과 Shin[15]의 부모코칭역량 측정도구를 재구성 하여 사용하였다.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코칭전문가와 보육전문가 및 교수 3인이 내적타당도를 검토 하였으며 예비조사를 통해 수정ˑ보완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코칭역량 측정도구는 실행역량 8문항, 의사소통역량 4문항, 관계역량 2문항, 의식역량 2문항으로 총 1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에 대해 Likert식 5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코칭역량 수준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산출된 신뢰도는 Cronbach’s ɑ .92로 높은 신뢰도 계수를 나타내었다.

    2) 교사-영아 상호작용

    교사-영아 상호작용을 검사하기 위한 도구는 Martha Abbott-Shim과 Annette Sibley[1]에 의해 개발된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이하 APECP 라고 칭함)를 참고하여 Kang[17]이 만든 ‛한국판 유아교육프로그램 평가척도’ 중에서 영아기 프로그램(교사-영아간 상호작용)을 Hang[12]이 5점 척도로 수정하여 사용한 Likert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교사-영아 상호작용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Cronbach’s ɑ는 .89이다.

       3. 자료 분석 방법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18.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는 Cronbach’s ɑ 을 사용하였다. 코칭역량과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에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s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코칭역량이 보육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Ⅳ. 연구 결과

       1. 보육교사의 코칭역량,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수준

    코칭역량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인식수준은 Tabel 2와 같다. 보육교사의 코칭역량 수준은 5점 척도에서 3.94점으로 보통이상의 수준이었다. 하위 영역별로 의식역량이 4.14점으로 가장 높았고 의사소통역량이 3.96점, 관계역량이 3.91점, 실행역량이 3.77점 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영아 상호작용은 4.09점으로 상호작용 수준이 높았다. 하위 영역 중 적극적인 활동 참여가 4.26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4.14점 순이었고, 교사의 긍정적 태도가 3.99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서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에 관하여 살펴보면 의식역량이 가장 높음을 볼 수 있는데 이 결과의 시사점은 영아반 보육교사들은 영아의 의도, 상태를 파악하고 비언어적 표현에 대한 관심 및 영아의 특성 및 성향을 파악하는 역량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Table 2〉] Awareness of Childcare Teacher's Coaching Competence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label

    Awareness of Childcare Teacher's Coaching Competence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그리고 교사-영아 상호작용에서 가장 높은 하위 영역은 적극적인 활동 참여로, 영아들이 안전하고 적극적인 탐색을 할 수 있는 놀이 공간 및 보육실이 마련되어 있고 또래와 교사와 함께 즐거운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2. 보육교사의 코칭역량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간의 상관관계

    보육교사의 코칭역량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간의 관련성을 알아본 결과는 Tabel 3과 같다.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보육교사의 코칭역량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은 (r=.725, p<.01)로 높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이 높을수록 교사-영아 상호작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칭역량의 하위요인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행 역량은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r=.610, p<.01)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교사-영아 상호작용 전체와의 상관은 (r=.702, p<.01)로 나타났으며, 긍정적인 상호작용, 교사의 언어적 모델링, 반응적인 교사, 적극적인 활동 참여, 교사의 긍정적 태도 순으로 높은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Table 3〉] Correlation of Childcare Teacher's Competen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label

    Correlation of Childcare Teacher's Competen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둘째, 의사소통역량은 긍정적인 상호작용(r=.550, p<.01)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교사-영아 상호작용 전체와의 상관은 r=.639(p<.01)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상호작용증진, 교사의 언어적 모델링, 적극적인 활동참여, 반응적인 교사, 교사의 긍정적 태도 순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관계 역량은 긍정적인 상호작용(r=.508, p<.01)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교사-영아 상호작용 전체와의 상관은 r=.567(p<.01)로 나타났으며, 적극적인 활동 참여, 사회적 상호작용증진, 반응적인 교사, 교사의 언어적 모델링, 교사의 긍정적 태도 순으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넷째, 의식역량은 적극적인 활동참여(r=.523, p<.01)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교사-영아 상호작용 전체와의 상관은 r=.522(p<.01)로 나타났으며, 긍정적인 상호작용, 사회적 상호작용증진, 반응적인 교사, 교사의 긍정적인 태도, 교사의 언어적 모델링 순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코칭역량 전체와 교사-영아 상호작용 하위변인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긍정적 상호작용(r=.634, p<.01)에서 가장 높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적극적 활동 참여(r=.623, p<.01), 사회적 상호작용증진(r=.615, p<.01), 반응적인 교사(r=.582, p<.01), 교사의 언어적 모델링(r=.549, p<.01), 교사의 긍정적 태도(r=.546, p<.01) 순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3.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이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코칭역량의 하위 영역인 실행역량, 의사소통역량, 관계역량, 의식역량을 독립변수로, 교사-영아 상호작용을 종속변수로 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앞서 다중공선성의 가중성을 파악하기 위해 변수들 간의 상관계수를 살펴본 결과, VIF는 10이하(1.65~2.21), TOL는 0.1이상(.45~.61)을 보여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야기시키지 않음으로 회귀분석을 위한 기본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 결과는 Tabel 4와 같다.

    [〈Table 4〉]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to Interaction of Teacher-infants

    label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to Interaction of Teacher-infants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회귀식의 유용성을 판단하기 위한 F의 유의확률 p값이 .000으로 회귀식은 의미가 있었다.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실행역량(β=.416, p<.001), 의사소통역량(β=.252, p<.001), 의식역량(β=.117, p<.01)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을 구성하는 하위요인 중 실행역량, 의사소통역량, 의식역량이 높을수록 교사-영아 상호작용이 높아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의 설명력은 56.2%로 나타났다.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코칭역량, 교사-영아와의 상호작용의 인식수준을 살펴보고, 영아 보육의 질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의 코칭역량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와 논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코칭역량과 교사-영아의 상호작용 인식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 보육교사의 코칭역량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인식 수준 모두 보통이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육교사의 코칭역량 인식수준은 3.94점으로 보통이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의 하위변인 중 의사소통역량, 의식역량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영아반 보육교사의 의사소통역량이 높다는 것은 영아의 현재 행동을 통해 영아의 상태와, 언어적 표현뿐만 아니라 의도, 감정, 정황 등 비언어적 표현까지도 주의를 기울이고 있으며 여러 특성 및 성향에 맞추어 세심하게 보육하기 위한 교사의 태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인식수준은 4.09점으로 평균이상의 높은 인식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코칭역량과 관련한 선행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인해 보육교사의 코칭역량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인식수준이 높아진다는 관련 선행연구를 찾아볼 수는 없었다. 하지만, 상호작용과 관련한 연구에서 찾아보면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있어서 교사 주도적으로 개입하고 시작하기보다는 관찰을 통해 영아의 신호와 표현을 민감하게 해석하여 시기적절하게 반응하는 것이 중요하며, 영아의 발달에 도움이 된다는 Stern[35]과 Lee[28]의 연구 결과를 지지해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보육교사의 코칭역량과 교사-영아와의 상호작용 간에 관계에 대한 분석결과, 보육교사의 코칭역량과 교사-영아 상호작용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이 높을수록 교사-영아 상호작용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린이집 원장의 코칭역량이 보육교사의 보육헌신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를 살펴본 JU[14]의 연구에서 보육교사가 어린이집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코칭역량을 높게 인식 할수록, 스스로 동기가 부여되어 보육 업무에 헌신한다는 연구결과와 맥락을 같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코칭역량과 관련한 하위변인 별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보육교사는 영아반 담임으로 보육하면서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노력 하고 있으며, 적극적인 활동 참여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영아반 보육교사의 역할이 사회적인 상호작용 증진을 위해 노력해야 하고, 자신의 입장 보다 영아를 더 우선시하며 민감하게 보살피고 반응하며, 언어적인 모델링이 되어 믿고 지지하며 기다려 주어야 하는 상황임을 시사하고 있다. 실행역량이 높다는 것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서 코칭방법과 방안에 관련하여 보육교사가 자신의 역할을 파악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는 자세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질 높은 상호작용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의사소통역량이 높다는 것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서 보육교사는 영아의 언어적 행동 외에 비언어적 행동과 영아의 특성뿐만 아니라 기질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관계역량이 높게 나타난 것은 보육교사가 영아와 좋은 관계를 맺기 위해서 교사 자신보다는 영아를 우선하고, 보육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보육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의식역량이 높게 나타난 것은 보육교사가 보육활동 중에 자신이 원하지 않는 결과가 나오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영아의 가능성을 바라봐주는 자세를 갖추고 영아를 인정하고, 지지하며 기다려주는 보육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칭역량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실행역량, 의사소통역량, 의식역량이 높을수록 교사-영아 상호작용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코칭역량과 관련한 선행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인해, 보육교사 코칭역량의 하위변인인 실행역량, 의사소통역량, 의식역량이 높을수록 상호작용이 높아진다는 관련 선행연구를 찾아볼 수는 없었다. 하지만 유사한 연구에서 살펴보면 부모-자녀의 코칭역량을 다룬 Shin[33]의 연구에서 부모 코칭역량이 유아의 독서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부모 코칭역량에 관한 Shin[33]의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방법이 개방적이고 자기 주도적이며 능동적인 주체로 만드는 부모 코칭역량이 높을수록 유아기의 독서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볼 때 본 연구의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뒷받침해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에 따라 교사-영아 상호작용 수준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교사는 코칭역량을 개발하고 점검하여 미래의 주역인 영아가 긍정적인 사고를 가진 바른 인격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질 높은 상호작용 실천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족복지의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면 저출산 문제가 심각한 현 시점에서 출산율 향상을 위하여, 또한 출산 후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와 가족의 양육 역량을 극대화하고, 어린 영아를 보육하는 교사들과의 소통과 상호작용을 위하여 다양한 복지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그 중에서 강점 중심으로 자녀와 가족의 역량을 극대화하고,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코칭 교육이 실시될 필요가 있다. 정부차원에서 가족과 복지기관, 보육현장에서 코칭 조직문화를 확산하고, 코칭 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의 지원책 마련이 필요하다. 즉, 교사 코칭 교육뿐만 아니라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코칭 교육이 지속적으로 실시되어 코칭 문화가 정립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실천적 함의로는 영유아의 양방향 상호작용, 정서적인 안정, 타인에 대한 신뢰감을 형성 할 수 있도록 교사와 부모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상호작용 코칭 교육이 건강가정지원센터, 육아종합지원센터 등에서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이처럼 코칭을 통한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한다면 영유아의 권리 향상과 아동복지증진, 궁극적으로 부모와의 관계개선을 통한 가족복지 증진에도 기여할 것이다.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살펴보면,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코칭역량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관한 최근까지의 선행연구가 미비하여 보육교사의 코칭역량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있게 논의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특성을 가진 교사들을 대상으로 코칭역량과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관한 질적 분석 그리고 교사와 영아의 코칭 상호작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그 적용을 통한 효과분석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Abbott-Shim M., Sibley A. (1987)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google
  • 2. Cho K. O.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coaching program for low-income child. google
  • 3. Do M. H., Chae K. S. (2006) A basic study on coaching application for relationship of parents-children. [Parent Education Research] Vol.3 P.69-89 google
  • 4. Do M. H., Jung M. H., Kim E. J. (2011) Personality coaching. google
  • 5. Do M. H., Lee S. H., Kang K. J., Kim J. A. (2012) Coaching approach of childcare teacher-infant interaction. [Coaching Research] Vol.5 P.5-20 google
  • 6. Evered. A. D., Selman J. C. (1989) Coaching and the art of management. [Organizational Dynamics] Vol.18 P.16-32 google cross ref
  • 7. Flaherty J. (1999) Coaching: Evoking excellence in others. google
  • 8. Go M. E., Kim K. Y., Lee S. M. (2012) A study on influence of coaching leadership on self-esteem of members and organization-efficiency. [Tour Research Journal] Vol.26 P.63-180 google
  • 9. (2002) New approach for childcare teacher's education. (B. K. Cho, J. M. Lee Trans.) google
  • 10. Han H. J. (2006) A study on managerial coaching competency required for line manager. google
  • 11. Hestense L., Kontos S., Bryan Y. (1993)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in child care centers varying in qualit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Vol.8 P.295-303 google cross ref
  • 12. Hong G. M. (1997)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teacher-infant/toddler: according to the quality of infant/toddler care environment. google
  • 13. (2008) ICF: International coach federation. google
  • 14. JU E. J. (2012)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oaching competency of childcare factility directors of childcare teachers on childcare devotion. google
  • 15. Jung D. H., Shin W. E. (2012) Examination of parent coaching competence building factors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Focusing on parents with infants. [Korea Infant Education & Childcare Administration Research] Vol.16 P.179-208 google
  • 16. Jung H. H. (2006) Application of tales with successful people's life-story for enhancement of activeness in early child coaching. google
  • 17. Kang S. H. (1994) Assessment profile for early childhood programs. google
  • 18. Kim E. J. (2011) Worker's awareness level on their director's coaching competency and its effectiveness on satisfaction at work and focusing toward work. google
  • 19. Kim J. H. (2010) Parent coaching program using anneargram and its effect on mother's childcare stress. google
  • 20. Kim J. Y. (1996) Infant's linguistic, non-linguistic interactions toward different subjects and genders. google
  • 21. Kim S. C. (2008) Leadership coaching program's effectiveness on th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iency and satisfaction at work. google
  • 22. (2013) Evaluation and validation of childcare centers. google
  • 23. Law H., Ireland S., Hussain Z. (2007) The psychology of coaching, mentoring and learning. google
  • 24. Lee J. E. (2012)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childcare efficacy and knowledge on infant development to interac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infant. google
  • 25. Lee K. J. (2011) The effectiveness of the child sexual violence prevention coaching programs for children into the children's sexual knowledge and the ability of coping with sexual matters and violences. google
  • 26. Lee K. M. (2013)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and teaching creativity on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infant. google
  • 27. Lee S. H. (2008) Wonderful cheering: Coaching. google
  • 28. Lee S. H. (2011) Analysis on interaction of infant-teacher and teacher's sensitiveness at play time of class under 2 years old. [Korea Education Research] Vol.28 P.163-189 google
  • 29. Park C. O., Ku S. Y., Lee O. I. (2010) Theory and fact of infant-teacher interactions. google
  • 30. Park S. Y. (2010) Badminton instructor's awareness differences on coaching competency. google
  • 31. Park Y. M. (2008) Childcare teacher's knowledge on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 and interaction behaviors. google
  • 32. SeonWoo M. R. (2009) Examining coaching competency's factors and developing evaluation tools. google
  • 33. Shin W. E. (2011) Structural model analysis on related factors of early child's ability to read: Parent coaching competency, early child's multiple intelligence and crystallized intelligence. google
  • 34. Song Y. S. (2007) Leader's way. google
  • 35. Stern D. N. (2002) The first relationship Infant and mother. google
  • 36. Stowell S. (1986) Leadership and coaching. google
  • 37. Wenzel. L. H. (2000) Understanding managerial coaching: The role of manager attributes and skills effective coaching. google
  • 38. Whitmore J. (2002) Coaching leadership for outcome enhancement. (Y. S. Kim Trans.) google
  • 39. Yang S. Y. (2011) The analysis of the coaching program's effects on childcare teachers and infant's interactions. google
  • 40. Yim O. H. (2006) Relationship between child's interaction and childcare teacher's principle and efficacy.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Demography of Childcare Teachers
    Demography of Childcare Teachers
  • [ 〈Table 2〉 ]  Awareness of Childcare Teacher's Coaching Competence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Awareness of Childcare Teacher's Coaching Competence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 [ 〈Table 3〉 ]  Correlation of Childcare Teacher's Competen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Correlation of Childcare Teacher's Competency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 [ 〈Table 4〉 ]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to Interaction of Teacher-infants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to Interaction of Teacher-infants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