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이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과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ching portfolio activitie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self-efficacy and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 비영리 CC BY-NC
ABSTRACT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이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과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ing portfolio activities in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researcher analyzed the effects of teaching portfolio activitie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self-efficacy and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Subjects were 22 early childhood teachers(experiment group of 12, control group of 10) selected from a University in Jeon-buk Province and 62 children(experiment group of 32, control group of 30) on the 4 early childhood teachers’ classe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private variables and situation variables. For 15 weeks, 22 teachers participated in teaching portfolios activities. The Mathematics Teaching Self-Efficacy Test(2000) and The Mathematics Ability Test(2007) were used as both pre-test and post-test for the mathematics teaching self-efficacy and the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Sample t-test.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eaching portfolio activities affect positively mathematics teaching self-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mathemat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KEYWORD
티칭 포트폴리오 , 수학 교수효능감 , 수학적 능력
  • Ⅰ. 서 론

    교사의 교육에 대한 신념과 태도는 학습자들과 상호작용하는 시간을 할당하고, 특정 수업 방식을 선택하는 등의 교수행위와 교육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친다(정정희, 2001a; Luo, 2000; Moenikia & Babelan, 2010; Pajares, 1992). 또한 교사가 특정 교과 자체나 그 교과를 가르치는 것에 대해 갖는 태도는 교사의 교수실제와 연관되어 학생의 교과 관련 태도와 성취도에 영향을 미친다(김정은, 홍혜경, 2005; 조부경, 고영미, 2006).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에서도 교사의 신념, 태도 그리고 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김선, 장정애, 김미래, 2013; 김정주, 2003; 김향자, 이현옥, 허선자, 2004; 안진경, 김영실, 2005; 정정희, 2001b; 한종화, 2013; 홍희주, 정정희, 2013).

    교사의 교수효능감(teaching self-efficacy)은 교사 자신이 학습자의 성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 신념 정도를 의미하는데, 이는 교사의 교수 행위와 학습자의 성취도에 영향을 미친다(한종화, 2006, 2013). 교수효능감은 결과기대 효능감과 개인적 효능감의 두가지 요소로 나뉘는데, 결과기대 효능감(outcome expectancy)은 교육이 학습자의 학습 결과와 행동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인식하는 것이며, 개인적 효능감(self-efficacy expectancy)은 교사 자신이 학습자의 학습과 행동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자기 지각을 의미한다(Ashton, 1984; Luo, 2000).

    유아교사의 수학교육에 대한 신념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유아의 수학적 성취에 가장 일관성 있고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수학 교수효능감(mathematics teaching efficacy)이다. 수학 교수효능감(mathematics teaching efficacy)은 수학교수 시교사가 수학교수 상황을 극복하거나 수학교수 활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교사 자신이 유아의 수학 성취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믿는 신념의 정도를 의미한다(김정주, 2003; 조부경, 서소영, 2004).

    수학 교수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교수에 대해 강한 자신감과 책임감을 가지고 있으며, 학생의 행동과 교육적 성취에 강한 책임감을 느끼며 긍정적인 기대를 가지고 있어,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해 다양한 교수방법을 사용하거나 기대를 성취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한다(Ashton, 1984). 또한, 학습자들의 수행을 도와주고, 수업을 준비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Gibson & Dembo, 1984; Woolfolk, Rosoff, & Hoy, 1990). 최근의 연구에서 김형미(2010)는 수학 교수효능감이 높은 교사가 새로운 수학 교수방법을 시도 하고 수학교육에 자신감을 가지고 열정적으로 임할 뿐 아니라 수학교육에서 문제 상황에 직면하게 되더라도 지속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하였다.

    유아의 수학적 능력은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은실, 2014; 김소연, 김수영, 2012; 임주영, 2009; 정정희, 2001a).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은 수학교수 실제에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해 유아의 학업적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Coleman, Jussim, & Issac, 1991; Guskey, 1987; National Research Council, 1989). 우리나라 연구에서 정정희(2001a)는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수학적 사고능력이 높은 것을 밝혔으며, 임주영(2009)은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수학적 지식과 수학적 과정, 수학적 태도가 높다고 하였다. 최근 김소연과 김수영(2012)의 연구에서도 교사변인 중 수학 교수효능감과 유아 수학능력 간에 유의미한 상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고은실(2014)은 유아교사의 수학적 교수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수학적 성향을 밝혔는데, 수학적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수학적 성향 하위요인인 융통성, 자신감, 지속성, 자기점검, 적응성, 흥미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밝혔다. 이렇듯 유아의 수학적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 효능감을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National Research Council(1989)은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이 높을 때 유아의 수학활동과 유아의 수학적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질 높은 수학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을 강화시킬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반면, 교사들이 수학교수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와 신념을 갖게 되면 유아수학활동 시 부적절한 교수행위와 교육적 의사결정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해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적 성취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김정은, 홍혜경, 2005; 정정희, 2001a; 조부경, 고영미, 2006; Brady & Bowd, 2005; Luo, 2000; Pajares, 1992). 한편, 안진경과 김영실(2005)은 수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유아교사들이 유아수학교육의 내용에 관한 지식이 부족함으로 인해, 수학교육활동을 계획하고 진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한종화와 박찬옥(2004)은 유아교사들이 수학교수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하고, 유아들의 비형식적 수학지식을 효과적인 수학활동으로 연결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한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선, 장정애와 김미래(2013)의 연구에서와 같이 수학교수에 대한 유아교사의 부정적 태도와 신념의 원인을 낮은 수학 교수효능감으로 보고,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은 교사의 교수행위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통해 학습을 촉진시키고 실천적 지식을 형성시키는 데 효과적인 교사교육의 한 방법으로 활용되어왔으며(Gerogi & Crowe, 1998; Jackson, 1998), 전미교사교육인증위원회(National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Teacher Education: NCATE)는 교사교육을 위해 티칭 포트폴리오 활용을 권장하고 있다(김민정, 2006). 포트폴리오(portfolio)는 학습자의 학습과정, 목표, 노력, 태도, 교육활동, 성과물, 재능, 취미 등에 관련된 작품이나 기록물을 의도적으로 조직하여 모아둔 것이다(심현애, 김경연, 2013; Winsor & Ellefson, 1995). 티칭 포트폴리오 (teaching portfolio)는 교사의 반성과 실제 교육적 결과물을 결합시켜주는 것으로 시간에 따라 다양한 맥락에 걸친 성취도를 보여 주는 교사의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구조화된 자료 수집을 의미한다(심미자, 설양환, 2007). 따라서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교사들은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에 참여하면서 유아수학활동을 계획하고 운영하면서 느껴왔던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내용지식과 교수‧학습 방법 부족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고, 수학교수활동과 학습에 관한 자신의 신념과 실천적 지식을 정리하고 반성적 사고과정을 통해 수학 교수효능감이 향상될 것으로 생각된다.

    교사교육을 위해 티칭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예비교사들이 교수자로서의 성장과 변화, 교수전략 및 학습자요구 이해에 대한 반성 등을 통해 반성적 태도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티칭 포트폴리오가 사용되었다(Barton & Collins, 1993; Wood, 2000). 특히, 유아교사 교육과정에서 티칭 포트폴리오는 유아교사의 지식을 형성시 키고,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장려하며,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어왔다(손유진, 2005; 이현옥, 김정주, 2004; 임승렬, 2000, 2001).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티칭 포트폴리오에 관련된 연구로는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을 통해 예비교사 혹은 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수에 대한 자신감, 교수효율성 그리고 자기주도성의 향상을 밝힌 연구들이 있었다(김찬종, 2000; 박인옥, 2009; 심현애, 김경연, 2013; 안진경, 2006, 2011; 윤영배, 유준호, 2011; 이영주, 2010; 이은화, 심미자, 2007; 이현옥, 김정주, 2004; 하은옥, 허우정, 2006).

    한편, 유아수학 교사교육과정에서 수학적 실천 경험이나 새로운 교수방법을 통해 수학 교수효능감을 변화시킨 연구(안진경, 2006; 윤영배, 유준호, 2011; 이영주, 2010; 하은옥, 허우정, 2006; 한종화, 2006)들이 이루어져왔다. 그 중에서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연구(안진경, 2006; 윤영배, 유준호, 2011; 하은옥, 허우정, 2006)가 있었는데, 세 연구 모두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수업 전문성 개선을 통해 수학 교수효능감 향상을 목적으로 포트폴리오 활동을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으로 볼 수 있다. 활동은 반성적 저널쓰기, 수업사례 분석, 개념도 작성, NIE 활동, 수업비디오 시청 및 토의, 활동계획안 작성‧실행‧적용을 위한 협의회, 주제 토의 및 발표, 각자의 포트폴리오 공유 등이 있었고, 이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이 향상되었다. 위 연구결과들을 통해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사교육의 방법으로 티칭 포트폴리오 활용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최근 심현애와 김경연(2013)은 예비유아교사의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 경험이 수업설계 인식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은 수업설계 인식의 하위요인 중 수업설계의 이해, 수업목표의 진술, 수업활동의 계획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교수효능감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밝혀졌다. 그러나 아직까지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해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을 실시한 연구는 없었으며, 더욱이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키는 활동을 통해 유아의 수학적 능력 향상을 검증하는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교육의 일환으로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을 실시하고, 유아수학교 육과정 운영을 위한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을 통해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과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Ⅱ. 이론적 배경

       1. 티칭 포트폴리오의 개념

    티칭 포트폴리오는 교사가 일정기간에 걸쳐 다양한 학습 환경에서 자신의 학문적 노력 이나 교육적 성취정도를 보여주는 교수-학습활동의 증거를 교사의 반성적 사고를 통해 체계적으로 수집해 놓은 것이다. Shulman(1998)은 티칭 포트폴리오가 일반적인 포트폴리오와는 다르게 교사로서 전문성 개발에 대한 자아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고 하였다. 따라서 티칭 포트폴리오는 교사가 교수-학습과정의 수행활동에 대한 결과물이나 기억할만한 것을 단순하게 모아놓은 자료물이 아니라 그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다.

    최일선과 조운주(2007)는 티칭 포트폴리오가 교수지식과 기술, 전문적 발전과 실천에 대해 선별적이면서도 지속적인 증거를 제공한다고 하였고, 심미자와 설양환(2007)은 교사의 반성과 실제의 교육 결과물을 결합시켜준다고 보았다. 또한, 최미나, 노혜란과 김명숙(2005)은 교수자의 교수활동에 대한 능력, 노력, 성취를 보여줄 수 있는 교수업적의 실증적 자료들의 모음이자 교수활동에 대해 깊이 있게 숙고하고 반성해 보는 자기성찰과 학습자 및 동료 등 타인들과의 집단성찰을 통한 진술이 포함된 교수활동에 대한 총체적이고 실증적인 데이터베이스라고 정의하였다. 즉, 티칭 포트폴리오에는 교수자로서의 책임, 교육철학 및 업적 등의 교수자의 학문적 성취에 대한 증거가 포함되며, 교수와 학습에 대한 접근과 포함된 자료에 대한 성찰적 진술이 녹아져 있어서, 교사의 학습과 발달에 가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조용개(2008)는 티칭 포트폴리오의 기능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첫째, 교사들이 자신의 교수결과를 객관적으로 검토해 볼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해 줌으로써 교사로서 전문성과 교수력을 향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둘째, 교사들이 자신의 교수활동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특별하고 중요한 기회를 제공해 줌으로써 자신의 교수(teaching)가 어떻게 변화‧발달해 왔는지를 알 수 있게 하는 문서자료가 된다. 셋째, 티칭 포트폴리오를 통해 교수활동에 관한 전문성과 경험을 다른 교사들과 공유할 수 있어서, 다른 교사들에게 그 수업에 관한 생각과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수업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티칭 포트폴리오 활용 목적에 따라 교수용, 평가용, 취업용 포트폴리오로 나눌 수 있으며, 개발 목적에 따라 과정 포트폴리오, 산출 또는 결과 포트폴리오, 전시 또는 공개자료 포트폴리오로 나눌 수 있으며, 개발 형태에 따라 티칭 포트폴리오, 교과목 포트폴리오, 전문 포트폴리오, e-포트폴리오로 나눌 수 있다(조용개, 2008, 2009).

    본 연구에서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은 교육대학원에서 유아수학교육 강의를 수강하고 있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신들이 유아교육현장에서 가르치고 있는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수학활동을 계획하고 운영하면서 작성하게 하였다. 이에 유아교사 자신이 유아수학활동을 잘 운영하기 위해 수업에 관한 학습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티칭 포트폴리오의 기능을 띄며, 수업활동에 대한 성찰적인 기록물이라는 점에서 과정 포트폴리오로 볼 수 있다.

       2. 티칭 포트폴리오의 구성요소

    대학교수를 대상으로 한 티칭 포트폴리오의 구성요소로 Seldin(1997)은 3개 항목에 16개 구성요소를 제시했으며, 조용개(2009)는 5개 항목에 12개 구성요소를 선정했으며, 한양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이상선, 2005: 심현애, 김경연, 2013에서 재인용)에서는 6개 항목의 구성요소를 제시하였다.

    Seldin(1997)은 자신에 의해 수집되는 자료, 타인으로부터 제시되는 자료, 교수와 학생의 학습 결과물의 3개 항목을 선정했다. 첫째, 자신에 의해 수집되는 자료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는 교수진의 성찰적 진술, 교수 개인의 교수철학‧전략‧목적‧방법들에 대한 기술, 코스 실라버스, 프로그램 참여를 위한 특별 수업 기술, 교과과정 개정에 대한 기술, 교수 혁신과 그들의 효과성 평가, 자기 평가 결과 변화가 있다. 둘째, 타인으로부터 제시되는 자료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는 교실에서 교수를 관찰한 동료들로부터의 진술, 코스 실라 버스‧과제‧실행에 대한 시험과 학생평가, 효과성에 대한 전체적 등급 산출, 교수 (teaching) 평가 자료, 교수활동과 관련된 수상경력, CTL을 통한 교수개발활동에 대한 자료가 있다. 셋째, 교수(teaching)와 학생의 학습 결과물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는 학생들의 사전 및 사후 시험점수, 학생평가 기준에 근거해 교수가 코멘트한 학생 에세이의 예제, 코스 관련 학업에서 컨퍼런스 발표 또는 학생 저술이 있다(Seldin, 1997: 최미나, 2009에서 재인용).

    또한, 조용개(2009)는 자신으로부터 수집되는 자료에 교육철학, 수업목표, 수업계획, 수업방법, 수업자료를 포함시켰고, 타인으로부터 수집되는 자료에 학습성과자료, 수업평가 자료, 학습자 피드백, 수업관찰자료를, 자기반성자료에 수업실행분석과 수업평가분석을, 기타에 수업능력향상활동의 요소를 포함시켰다. 한양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이상선, 2005: 심현애, 김경연, 2013에서 재인용)는 My Philosophy, My Course, Teaching Clinic, My Know-how Bank, My Edu-Diary, With Students를 구성요소로 선정하였다.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를 선정한 연구에는 김민정(2006), 심현애와 김경연(2013)의 연구가 있었으며, 유아교사를 대상으로는 유수경과 황해익(2006)의 연구가 있었다. 김민정(2006)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e-포트폴리오 설계 및 활용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는데, 구성요소로 개인의 배경 소개, 이력서, 학습 및 교수 목표, 교수 철학, 예비교사로서의 교육경험과 기타활동 사항의 5가지 요소를 포함시켰다. 심현애와 김경연(2013)은 예비유아교사의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 경험이 수업설계인식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구성요소로 교육철학, 이력서, 학습자 분석 및 학습환경 분석, 단위 교수-학습지도안, 동료학습자 피드백, 수업시연 자가진단표,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 반성의 7가지 요소를 선정하였다. 유수경과 황해익(2006)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신의 티칭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키고 싶은 요소를 선택하도록 한 결과, 교수비디오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다음으로 학생들의 반응 및 결과물, 동료교사의 평가, 수업에 관련된 전반적인 수업자료, 학습지도안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아수학 교사교육과정에서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연구(안진경, 2006, 2011; 윤영배, 유준호, 2011; 하은옥, 허우정, 2006)에서는 학생이 수업 주제와 관련하여 수업한 내용이나 과제 등에 대한 증거자료를 자유롭게 모으거나, 학습 과정과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활동에 대해 검토하고 협의하는 과정이 포함되었다. 안진경(2006)은 포트폴리오를 적용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과 포트폴리오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활동의 구성요소로 반성적 저널쓰기, 수업사례 분석, 수업비디오 시청 및 토의, 활동계획안 작성‧실행‧적용을 위한 협의회, 주제 토의 및 발표, 각자의 포트폴리오 공유의 6가지 요소를 선정하였다. 또한, 하은옥과 허우정(2006)은 포트폴리오 활용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에 대한 신념과 수학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구성 요소로 저널쓰기, 동료 토의하기, 개념도 작성을 선정하였다. 윤영배와 유준호(2011)는 포트폴리오 활용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활동의 구성요소로 개념도 작성, 반성적 개인저널쓰기, 모둠별 토의 및 공동저널쓰기, 유아수학교구발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의 구성요소는 자신으로부터 수집되는 자료, 타인으로부터 수집되는 자료, 자기성찰자료, 기타 자료의 4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첫째, 자신으로부터 수집되는 자료에 교육철학, 교육이력, 교육목표, 교육계획안, 수업방법, 활동자료를 포함시켰다. 둘째, 타인으로부터 수집되는 자료에 유아의 수학활동참여 자료, 유아의 피드백, 동료교사의 수업참관 목록표를 포함시켰다. 셋째, 자기성찰자료에 수업실행 분석, 수업평가 분석, 강의내용 분석을 포함시켰고, 마지막으로 기타 자료에 수업능력 향상 활동을 포함시켰다.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을 통해 유아교사들은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바람직한 교육철학과 목표를 설정하게 되며,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내용지식을 갖고 유아를 위한 수학활동을 계획하고, 수업자료를 제작하고 수업을 운영하게 된다. 또한, 유아교사는 교수-학습 과정에서 얻은 결과물을 분석하고, 유아가 수학활동에서 나타내는 흥미와 참여도를 파악하고, 동료교사로부터 자신의 수업에 대한 피드백을 얻고, 자기 수업에 대한 성찰적 사고과정을 통해 수업을 개선하는 등의 교수행위를 하면서 자신의 수학 교수효능감이 증진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티칭 포트폴리오의 구체적인 활동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실시되는 유아수학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능력을 향상시키게 될 것이다.

       3.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과 유아의 수학적 능력간의 관계

    Bandura(1997)의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이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개념인 교수효 능감(teaching self-efficacy)은 교사 자신이 학습자의 성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 신념 정도로, 교사의 교수 행위와 학습자의 성취도에 예언력이 큰 변인이다(한종화, 2013). 수학 교수효능감은 수학 교수 결과기대 효능감과 개인적 수학 교수 효능감으로 구분된다. 수학 교수 결과기대 효능감은 수학교육의 행위가 유아의 수학성취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며, 개인적 수학 교수효능감은 교사 자신이 수학교육을 효과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인식하는 것이다(정정희, 2001a).

    수학 교수효능감이 높은 교사들은 감당하기 어려운 활동에 도전하고, 수학교육에서 문제 상황에 직면하게 될 때 이를 지속적으로 해결해 나간다(Smith, 1996). 또한 수학영역에 대한 높은 관심도, 태도 및 자신감으로 인해 교사 자신의 수학교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유아의 수학적 성취를 높인다(김정주, 2003; 한종화, 2013; 한종화, 박찬옥, 2004). 이렇듯 교사의 수학적 교수행동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은 수학 교수효 능감이다(Enochs & Riggs, 1995).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밝힌 연구 결과(김선, 장정애, 김미래, 2013; 김정주, 2003; 김향자, 이현옥, 허선자, 2004; 정정희, 2001b; 한종화, 2013; 홍희주, 정정희, 2013)에 따르면,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은 대학에서의 수학교육 과목 수강 유무, 교사의 경력, 수학활동 횟수, 수학교수 방법에 대한 연수경험, 교수만족도, 교사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수학 본질에 대한 신념, 수학적 지식, 수학교과교육학 지식, 수학교수실제, 수학에 대한 흥미나 태도, 수학불안감과 관련이 깊다.

    유아교사가 수학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유아수학교육 활동에 자신감과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수학적 교수행동을 하므로 유아의 수학활동과 유아의 수학적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National Research Council, 1989). 실제로 우리나라에서도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수준에 따른 유아의 수학적 능력과 수학적 성향의 정도를 밝힌 연구가 이루어져왔다(고은실, 2014; 임주영, 2009; 정정희, 2001a).

    정정희(2001a)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수학 교수효능감 정도를 알아보고,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과 아동의 수학적 사고능 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사들은 수학 교수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교사 자신이 수학교육을 효과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는 개인적 수학 교수효능감이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 교수효능감은 경력과 학력과 같은 일반적 특성보다 수학교육에 관한 배경지식, 수학에 관한 흥미도와 같은 요소 들이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수학적 사고능력이 높다는 것이 밝혀졌다.

    임주영(2009)의 연구에서도 교사의 기초변인에 따라 수학 교수효능감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수준에 따라 유아의 수학적 능력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학 교수효능감은 교사의 경력, 학력, 수학교육 교사연수 참여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수학적 능력의 하위 요인인 수학적 지식, 수학적 과정과 수학적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김소연과 김수영(2012)은 유아의 수학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개인, 가정환경과 교사 변인들 간의 인과 관계를 검증하였는데, 유아 개인변인(유아의 지능, 수학적 태도, 유아교육기관 외의 수학교육기간), 가정환경변인(가정의 SES, 유아 가정환경 자극정도인 HOME), 그리고 교사변인(학력, 경력, 수학 교수효능감)과 유아 수학능력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사교육에서 티칭 포트폴리오 활용이 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수에 대한 자신감, 교수효율성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김찬종, 2000; 박인옥, 2009; 이은화, 심미자, 2007; 심현애, 김경연, 2013)를 바탕으로, 유아수학 교사교육과정에서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수학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해당되는 유아교사의 교육철학, 유아수학교육의 목표, 유아수학교육의 내용지식, 수학교수실제, 수학에 대한 흥미와 태도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 설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이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정한 연구대상 유아교사는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에서 ‘유아수학교육’ 교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유아교육전공의 교육대학원 1학년 학생 22명이고, 이들은 모두 유아교육 현장에 종사하고 있는 유아교사이다. 유아수학교육 교과목을 수강하면서 티칭 포트폴리오를 작성하기를 희망하는 12명은 실험집단 교사로, 티칭 포트폴리오를 작성하지 않는 10명은 통제집단 교사로 구분하였다. 교수자는 두 집단의 학생들에게 ‘유아수학교육’ 강의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티칭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지의 유무만 다르게 하였다.

    본 연구의 두 번째 연구문제인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대상 유아를 선정하였다. 연구대상 유아교사의 개인 변인(경력, 연령, 수학 교수효능감)과 상황 변인(유아교육기관 유형, 근무지, 프로그램 유형, 유아의 연령)이 유사한 유아교사 가운데 티칭 포트폴리오를 작성하고 있는 유아교사와 작성하지 않는 유아교사를 각각 2명씩 선정하였다. 유아교사는 모두 생활주제에 따른 만 5세 누리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전북 G시의 어린이집 교사이며, 유아교사의 평균 경력(실험집단 8년, 통제집단 7년), 평균 연령(실험집단 41세, 통제집단 43세) 그리고 사전 수학 교수효능감 총점의 평균(실험집단 48.20, 통제집단 48.52)은 모두 유사하다.

    티칭 포트폴리오를 작성하고 있는 유아교사 학급의 유아들은 실험집단 유아 32명(남아 18명, 여아 14명)으로, 티칭 포트폴리오를 작성하지 않는 유아교사 학급의 유아들은 통제 집단 유아 30명(남아 17명, 여아 13명)으로 선정하였다.

       2. 연구도구

    1) 수학 교수효능감 검사도구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수학 교수효능감 검사도구는 Enochs, Smith와 Huinker(2000)의 수학 교수효능감 척도(MTEBI)이다. 정정희(2001b), 김정주(2003)안진경(2006)의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유아교육 전문가 2인의 안면타당도와 예비검사의 단계를 거쳤다. 수학 교수 결과 기대 효능감(MTOE) 11문항과 개인적 수학 교수효능감(PMTE) 1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 22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응답방식은 Likert식의 4점 평정척도로 ‘매우 그렇다(4)’에서 ‘전혀 그렇지 않다(1)’로 총점은 88점이고, 점수가 높을수록 수학 교수효능 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부정 문항은 역코딩하여 환산하였으며, 검사도구에 대한 신뢰도는 Cronbach의 α계수가 .95이며 하위 영역 간 Cronbach의 α계수는 .72~.86으로 나타났다. 수학 교수효능감 측정 도구의 문항내용은 표 1과 같다.

    [<표 1>] 수학 교수효능감 검사

    label

    수학 교수효능감 검사

    2) 유아 수학적 능력 검사도구

    유아의 수학적 능력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한 검사도구는 황해익과 최혜진(2007)이 제작한 유아그림수학능력 검사이다. 이 검사도구는 대수, 수와 연산, 기하, 측정의 4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있고, 총 60문항으로 각 문항의 점수는 각각 1점씩이며, 전체 60점 만점이다. 유아그림수학능력 검사도구의 신뢰도는 영역별 Cronbach ⍺는 .75에서 .85이고, 전체검사의 Cronbach ⍺는 .94이다.

    유아 수학적 능력 검사도구의 하위영역별 내용을 살펴보면 표 2와 같다.

    [<표 2>] 유아 수학적 능력 하위영역

    label

    유아 수학적 능력 하위영역

       3. 연구절차

    1) 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 선정

    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 선정을 위해 Seldin(2004)과 조용개(2009)의 분류방식에 따라 자신으로부터 수집되는 자료, 타인으로부터 수집되는 자료, 자기성찰자료, 기타 자료의 4개 항목으로 범주화하였다. 포트폴리오 활동 관련 선행 연구(김민정, 2006, 심현애, 김경연, 2013; 안진경, 2006, 2011; 유수경, 황해익, 2006; 윤영배, 유준호, 2011; 조용개, 2009; 하은옥, 허우정, 2006)를 참고하여 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를 선정하고, 유아교육의 특수성을 잘 반영하도록 수정하였다. 국내 교수학습센터의 전문가 2인과 유아교육 전문가 3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 및 내용은 표 3과 같다.

    [<표 3>] 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 및 내용

    label

    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 및 내용

    티칭 포트폴리오는 연구자가 제공한 바인더 양식에 문서 파일 형태를 출력한 인쇄자료 양식으로 작성했다. 자신으로부터 수집되는 자료에는 교육철학, 교육이력, 교육목표, 교육계획안, 수업방법, 활동자료, 타인으로부터 수집되는 자료에는 유아의 수학활동 참여자료, 유아의 피드백, 동료교사의 수업참관목록표, 자기성찰자료에는 수업실행 분석, 수업평가 분석, 강의내용 분석, 기타자료에는 수업능력 향상 활동이 포함된다.

    2) 예비 검사

    수학 교수효능감 검사도구의 적절성을 알아보기 위해, 2012년 2월 27일 연구대상이 아닌 유아교사 5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검사를 실시한 결과, 유아교사 들은 검사도구의 문항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없었고, 검사를 실시하는 절차, 시간 및 방법에 문제가 없어 본 연구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유아 수학적 능력 검사도구의 적절성과 절차의 신뢰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2년 2월 28일 본 연구의 실험 대상자가 아닌 만 5세 유아 남녀 각각 5명씩, 총 10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는 부모 상담실에서 개별검사로 실시하였다.

    3) 연구보조자 훈련

    유아 수학적 능력 검사를 실시한 2명의 연구보조자는 유치원 교사 경력이 있고 유아교육전공 석사과정 3학기에 재학하고 있는 자로 선정하였다. 검사도구에 대한 훈련 내용은 검사도구의 목적과 내용, 실시 방법, 점수 배점 등에 대한 것이다.

    4) 사전검사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수학교육’ 수업시간을 이용하여 10분 동안 수학 교수효능감 질문지를 사용하여 사점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유아의 수학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2012년 3월 5일부터 2012년 3월 9일까지 부모 상담실에서 유아 수학적 능력 검사를 개별검사로 실시하였다. 검사시간은 약 20분정도 소요되었다.

    5) 실험처치: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 실시

    실험집단 유아교사들은 유아수학교육 수업을 수강하면서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은 2012년 3월 5일부터 2012년 6월 15일까지 15주 동안 ‘유아수학교육’ 교과목 시간에 진행하였다.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 일정은 다음의 표 4와 같다.

    [<표 4>]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의 일정 및 내용

    label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의 일정 및 내용

    실험집단의 유아교사들은 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에 포함되는 활동에 참여하여 이를 작성하고 자신의 티칭 포트폴리오에 파일링하고 최종으로 제출하는 과정에 참여하였다. 반면, 통제집단 유아교사들은 관련 활동에 참여하였으나 티칭 포트폴리오를 작성하거나 파일링하는 과정에 참여하지 않았고, 활동 마무리 단계에서 대체 과제를 제출하였다.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의 구체적인 내용은 표 3의 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 및 내용에 소개된 바와 같다.

    6) 사후검사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의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이 끝난 후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 유아의 수학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2012년 6월 11일부터 2012년 6월 15일까지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는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이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과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별로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과 유아의 수학적 능력 검사의 사전검사 점수를 독립표본 t-검증하여 두 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유아 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과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있어서 동일한 집단으로 나타났고, 두집단 유아교사와 유아의 사후검사 점수를 독립표본 t-검증하였다.

    Ⅳ. 결과 및 해석

       1.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이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이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검사 점수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표 5와 같다.

    [<표 5>]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검사 점수간 차이에 대한 t 검증 결과

    label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검사 점수간 차이에 대한 t 검증 결과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학 교수효능감 사전검사 점수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44 p>.05). 하위요인인 수학 교수 결과기대 효능감(t=.55, p>.05), 개인적 수학 교수효능감(t=-1.22, p>.05)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수학 교수효능감에 있어서 동질적인 집단임을 의미한다.

    수학 교수효능감 점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수학 교수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7.60, p<.001).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수학 교수 결과기대 효능감(t=3.59, p<.01), 개인적 수학 교수효능감(t=7.52,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은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 수학 교수 결과기대 효능감과 개인적 수학 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수학적 능력 검사 점수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표 6과 같다.

    [<표 6>]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수학적 능력 검사 점수간 차이에 대한 t 검증 결과

    label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수학적 능력 검사 점수간 차이에 대한 t 검증 결과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학적 능력 사전검사 점수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65, p>.05). 하위요인인 대수(t=1.66, p>.05), 수와 연산(t=.55, p>.05), 기하(t=-1.75, p>.05), 측정(t=.55, p>.05)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수학적 능력에 있어서 동질적인 집단임을 의미한다.

    수학적 능력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수학적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4.05, p<.001).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대수(t=4.63, p<.001), 수와 연산(t=3.68, p<.001), 기하(t=2.94, p<.01), 측정 (t=2.61,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의 수학적 능력의 모든 하위 요인 대수, 수와 연산, 기하, 측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이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과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설정한 연구문제에 따라 밝혀진 결과를 기초로 논의하고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은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을 증진시켰으며, 수학 교수 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수학 교수 결과기대 효능감과 개인적 수학 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티칭 포트폴리오가 교사로서 전문성 개발에 대한 자아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Shulman(1998)의 주장과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이 교사들로 하여금 자신의 교수결과를 객관적으로 검토해 볼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해 줌으로써 교사로서 전문성과 교수력을 향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조용개(2008)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에 참여한 유아교사들이 수학교수 전문성과 교수력이 향상되어 다양한 수학교수 상황을 극복하거나 수학교수 활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고, 교사 자신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 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믿는 신념인 수학 교수효능감이 증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낮은 수학 교수효능감의 원인을 수학에 대한 불안감(김선, 장정애, 김미래, 2013), 수학교수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와 잘못된 신념(김정은, 홍혜경, 2005; 정정희, 2001a), 수학교육에 대한 내용지식 부족(안진경, 김영실, 2005), 유아들의 비형식적 수학지식을 효과적인 수학활동으로 연결시키는 실천적 지식 부족과 자신감 부족(한종화, 박찬옥, 2004) 등으로 보았다. 이에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전미교사교육인증위원회(NCATE)에서 권장하는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에는 유아교사의 교육철학, 유아수학교육의 목표, 유아수학교육의 내용지식, 수학교수실제, 수학에 대한 흥미와 태도 변인 등 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에 참여한 유아교사들의 수학 교수효능감이 향상된 이유는 유아교사들이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교육철학, 교육이력, 교육목표를 돌아보면서 기술하고, 교육계획안을 작성하고, 수업방법과 활동자료에 대해 검토하면서 자신의 수행에 대해 숙고할 기회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유아교사 자신의 수업에 대해 유아와 동료교사, 교수로부터 지속적인 피드백을 받고, 더불어 끊임없이 자신의 수업실행에 대해 분석하고 평가하면서, 수학교육에서 교사의 행위가 유아의 수학적 성취에 영향을 미치며, 자신이 수학교육을 효과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었음을 인식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즉, 본 연구의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은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 결과기대 효능감과 개인적 수학 교수효능감을 향상시켰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 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을 향상시켰다는 연구(심현애, 김경연, 2013)와 같은 결과이며,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을 향상시켰다는 연구(안진경, 2006; 윤영배, 유준호, 2011; 하은옥, 허우정, 2006)와 비슷한 맥락이다. 심현애와 김경연(2013)은 예비유아교사가 수업설계에 대해 배우고 수업설계에 따라 단계별로 실습해보면서 그 과정을 문서화해 가는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의 구성요소가 예비유아교사들의 수업설계에 대한 인식과 교수효능감과 같은 수업 전문성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이라고 하였는데, 본 연구의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에서도 자신으로부터 수집되는 자료, 타인으로부터 수집되는 자료, 자기성찰자료, 기타자료를 수집하고 선정하기 위한 활동에 참여하면서 수학 교수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연구와는 다르게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자신의 교육현장에서 유아를 위한 수학교육과정을 잘 운영하기 위해 유아수학활동을 계획하고, 검토하고, 재점검 및 개선하는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구조화된 실증적 자료를 수집하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또한,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이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라고 할 수 있겠다.

    둘째,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능력을 증진시켰으며, 수학적 능력의 모든 하위 요인 대수, 수와 연산, 기하, 측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 결과는 자신으로부터 수집되는 자료를 수집 및 작성하는 과정에서 유아교사들이 바람직한 교육철학을 갖고, 유아수학교육 목표를 설정하게 되었으며, 유아수학교육의 내용인 대수, 수와 연산, 기하 측정 등에 대한 지식을 갖고, 수학활동을 계획하고, 수학활동에 적합한 활동자료 제작 하고 수업을 운영하였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타인으로부터 수집되는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교수-학습과정에서 얻은 사진이나 활동결과물을 분석하고, 자신의 수업에 대한 피드백을 얻기 위해 유아의 흥미도와 참여도를 파악하고, 교사이자 동료학습자 그리고 교수로부터 자신의 수업에 대한 피드백을 얻으며, 자기 성찰적 사고를 통해 수업실행(수업목표, 계획, 방법, 자료), 수업평가(학습성과, 수업평가, 유아의 피드백, 수업관찰자료), 강의내용 등을 분석하고, 자신의 수업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면서 교사의 수학 교수 효능감이 높아졌고, 이로 인해 유아의 수학적 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은 수학교수 실제에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해 유아의 학업적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Coleman, Jussim과 Issac(1991)National Research Council(1989)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 교사들은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을 위해 수업을 준비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새로운 수학 교수방법을 시도하게 되었다. 특히, 수학 교수효능감이 높은 교사의 특징에 대한 연구(김형미, 2010; 김정주, 2003; 정정희, 2001a; 한종화, 2013; Ashton, 1984; Smith, 1996)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실험집단 유아교사들은 수학 교수효능감이 향상되면서 점차 수학교수에 대해 강한 자신감과 책임감을 가지고, 유아의 행동과 교육적 성취에 강한 책임감을 느끼며 긍정적인 기대를 가지고 있어, 교육목표 달성을 위해 다양한 교수방법을 사용하거나 기대를 성취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하였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수학적 사고능력이 높다는 연구 결과(김소연, 김수영, 2012; 임주영, 2009; 정정희, 2001a)들이 밝혀졌다. 특히,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이 높을 때 유아의 수학활동과 유아의 수학적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질 높은 수학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 효능감을 강화시킬 필요성이 크다는 주장(National Research Council, 1989)에 비추어볼 때, 본 연구의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이 매우 의미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개선사항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을 통해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이 향상되어 유아교사의 교수실제가 변화한다면, 이로 인해 유아의 수학적 능력이 향상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연구를 실시하였다. 지금까지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밝힌 연구가 없었다는 한계점을 고려할 때, 추후 연구에서는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교수실제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한 분석과 이 과정에서 유아의 수학적 능력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한 질적 분석이 요구되어진다. 또한, 유아 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과 유아의 수학적 능력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하려면 인과적 모형을 적용한 경로분석이 필요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두 변인간의 관계를 가정하고 연구를 시행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을 통해 변화된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과 유아의 수학적 능력간의 인과적 모형을 밝히는 양적연구가 시행되어야 하겠다.

    한편, 본 연구에서 실시한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이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해 실시되었다는 점에서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을 통해서만 유아의 수학적 능력이 향상 되었다고만 해석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그러나 본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에 참여한 12명의 유아교사 중 개인변인과 상황변인이 유사한 유아교사를 선정하고, 유아교육기관의 유형과 교육과정이 동일한 곳을 선정함으로써 유아의 수학적 능력 향상 요인을 통제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수학교육과정을 잘 운영할 수 있도록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을 통해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키고자 시도했다는 점과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을 증진시키는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을 통해 유아의 수학적 능력 향상을 검증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지금까지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이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과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수학교수 실제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교사 관련 변인으로 수학 교수효능감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유아수학교육 관련 수업전문성에 관련된 수학교과교육학 지식, 수학 본질에 대한 신념, 수학에 대한 태도 등 다양한 변인의 향상을 고려한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은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표적인 교수-학습 방법 중 하나이다. 앞으로의 연구에서 놀이 교수효능감, 과학 교수효능감 등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이 필요하겠다.

    셋째, 본 연구는 유아교육대학원에서 유아수학교육 강좌를 수강하는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여서 그 성실성과 적극성은 높았지만, 대학원 강좌의 특징 상 시간, 장소, 구성원 간의 관계 등 일반적인 교사연수와는 다른 한계점이 있었다. 유아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해 현직교사 연수에서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 관련 연수들이 시행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참고문헌
  • 1. 고 은실 (2014) 교사의 수학교수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수학적 성향. google
  • 2. 김 민정 (2006) e-포트폴리오의 설계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설계 기반 연구(Design-Based Research)의 관점으로. [교육공학연구] Vol.22 P.1-26 google
  • 3. 김 선, 장 정애, 김 미래 (2013) 예비유아교사의 수학불안감 및 수학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Vol.17 P.153-175 google
  • 4. 김 소연, 김 수영 (2012) 유아 수학능력과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분석. [유아교육연구] Vol.32 P.307-328 google
  • 5. 김 형미 (2010) 유치원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에 따른 수학교수 실제. google
  • 6. 김 정은, 홍 혜경 (2005) 인터넷 수학활동에 대한 교사의 개입유형이 유아의 수학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Vol.4 P.1-19 google
  • 7. 김 정주 (2003)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형성에 관한 연구. google
  • 8. 김 찬종 (2000) 포트폴리오 체제의 적용이 초등예비교사의 과학교수효능 신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0 P.183-192 google
  • 9. 김 향자, 이 현옥, 허 선자 (2004) 유치원 교사들의 수학교수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Vol.24 P.199-216 google
  • 10. 박 인옥 (2009) 초등학교 사회 수업에서의 포트폴리오 활용 사례 연구. [사회과교육] Vol.48 P.91-112 google
  • 11. 손 유진 (2005) 온라인 예비유아교사교육에서의 포트폴리오 활용에 따른 학습참여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P.177-198 google
  • 12. 심 미자, 설 양환 (2007) 예비교사의 교육정보화 능력 향상을 위한 e-티칭포트폴리오 활용 방안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3 P.309-329 google
  • 13. 심 현애, 김 경연 (2013) 예비유아교사의 티칭포트폴리오 활동 경험이 수업설계인식과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연구] Vol.19 P.227-251 google
  • 14. 안 진경 (2006)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한 유아수학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 및 포트폴리오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Vol.26 P.173-189 google
  • 15. 안 진경 (2011)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학습 포트폴리오 활용의 효과. [열린교육연구] Vol.19 P.169-184 google
  • 16. 안 진경, 김 영실 (2005) 수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교육과학연구] Vol.36 P.199-217 google
  • 17. 유 수경, 황 해익 (2006) 유아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 포트폴리오 적용 프로그램 개발.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P.219-248 google
  • 18. 윤 영배, 유 준호 (2011) 포트폴리오 활용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Vol.15 P.157-180 google
  • 19. 이 상선 (2005) 디자인공학부의 산학협력형 실습교과목에 표준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티칭 포트폴리오에 관한 사례 연구. [한경대학교 논문집] Vol.37 P.145-163 google
  • 20. 이 영주 (2010) 놀이를 활용한 유아수학교육 교육과정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과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영유아교육연구] Vol.13 P.5-15 google
  • 21. 이 은화, 심 미자 (2007) 대학 교수자에 있어 티칭 포트폴리오 작성 경험의 의미. [교육과정연구] Vol.25 P.121-146 google
  • 22. 이 현옥, 김 정주 (2004) 예비 유아교사들의 수업 자기효능감에 따른 포트폴리오 활용. [교육과학연구] Vol.35 P.187-203 google
  • 23. 임 승렬 (2000) 교사교육에서 포트폴리오 개발과 활용. [한국교원교육연구] Vol.17 P.315-335 google
  • 24. 임 승렬 (2001) 유아교사 평가의 새로운 접근. [유아교육연구] Vol.21 P.87-116 google
  • 25. 임 주영 (2009) 교사의 수학교수 효능감에 따른 유아의 수학적 능력의 차이. google
  • 26. 정 정희 (2001a)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에 따른 수학수업실제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Vol.22 P.225-241 google
  • 27. 정 정희 (2001b)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수준과 아동의 수학적 사고능력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Vol.6 P.97-116 google
  • 28. 조 부경, 고 영미 (2006)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 불안, 과학교수 실제 및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P.339-369 google
  • 29. 조 부경, 서 소영 (2004)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따른 과학 교수 실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1 P.622-634 google
  • 30. 조 용개 (2008) 교수력 향상을 위한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 전략. google
  • 31. 조 용개 (2009) 교수자의 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포트폴리오 개발 모형 및 평가준거안.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P.47-73 google
  • 32. 최 미나 (2009) 대학의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티칭포트폴리오의 개발 사례 연구. [교수학습개발연구] P.79-101 google
  • 33. 최 미나, 노 혜란, 김 명숙 (2005) 대학교육에서의 e-교수학습 포트폴리오 개념적 프레임웍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1 P.147-165 google
  • 34. 최 일선, 조 운주 (2007) 포트폴리오에 나타나 자기반성의미: 전문대학 유아교육실습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Vol.38 P.103-122 google
  • 35. 하 은옥, 허 우정 (2006) 포트폴리오 활용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에 대한 신념과 수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P.381-404 google
  • 36. 한 종화 (2006)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 효능감 증진을 위한 현직교사교육의 효과: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Vol.10 P.285-309 google
  • 37. 한 종화 (2013) 유아교사의 수학 본질에 대한 신념, 수학에 대한 태도, 수학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Vol.17 P.421-439 google
  • 38. 한 종화, 박 찬옥 (2004) 탐구중심 수학교육의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변화 탐색. [유아교육연구] Vol.8 P.141-173 google
  • 39. 홍 희주, 정 정희 (2013) 유치원 교사의 수학교수효능감 관련 변인들간의 관계 구조분석. [유아교육연구] Vol.33 P.110-133 google
  • 40. 황 해익, 최 혜진 (2007) 유아그림 수학능력 검사. google
  • 41. Ashton P. T.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35 P.28-32 google cross ref
  • 42. Bandura A. (1997) Self-efficacy. [Harvard Mental Health Letter] Vol.13 P.4-6 google
  • 43. Barton J., Collins A. (1993) Portfolios in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Vol.44 P.200-210 google cross ref
  • 44. Brady P., Bowd A. (2005) Mathematics anxiety a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fidence to teach mathematics and scienc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Vol.106 P.173-180 google
  • 45. Coleman L. M., Jussim L., Issac J, L. (1991) Black students’ reactions to feedback conveyed by white and black teacher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21 P.460-481 google cross ref
  • 46. Enochs L. G., Riggs L. M. (1995) The relationship of pupil control to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 self-efficacy outcome expectancy. [Science Education] Vol.79 P.63-75 google cross ref
  • 47. Enochs L. G., Smith P. L., Huinker D. (2000) Establishing factorial validity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Vol.100 P.194-202 google cross ref
  • 48. Gerogi D., Crowe J. (1998) Digital portfolios; A confluence of portfolio assessment and technology. [Teacher Education Quarterly] Vol.25 P.73-84 google
  • 49. Gibson S.,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construct valid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76 P.559-582 google cross ref
  • 50. Guskey T. R. (1987) Context variables that affect measure of teacher efficacy.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81 P.41-47 google cross ref
  • 51. Jackson D. (1998) Developing student generated computer portfolio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al Annual] Vol.2 P.698-700 google
  • 52. Luo F. J. (2000)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reform belief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aiwan. google
  • 53. Moenikia M., Babelan A. Z. (2010) A study of simple and multiple relations between mathematics attitude, academic motivation and intelligence quotient with mathematics achievement.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 Vol.2 P.1537-1542 google cross ref
  • 54. (1989) Everybody Counts: A report to the nation on the future of mathematics education. google
  • 55. Pajares F. (1992)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al research: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62 P.307-322 google cross ref
  • 56. Seldin P. (1997) The Teaching portfolio: A practical guide to improved performance and promotion/ tenure decisions google
  • 57. Shulman L. S. (1998) Teacher portfolio: A theoretical activity. In N. Lyons (ed.), With Portfolio in hand P.23-27 google
  • 58. Smith J. P. (1996) Efficacy and teaching mathematics by telling: A challenge for form.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Vol.27 P.387-402 google cross ref
  • 59. Winsor J. T., Ellefson B. A. (1995) Professional portfolios in teacher education: an exploration of their value and potential. [The Teacher Educator] Vol.31 P.68-74 google cross ref
  • 60. Wood A. L. (2000) Teaching portfolio: Tools for reflective teaching in inner-city teacher induction. In D. McIntyre & D. M. Byrd (Eds.), Research on effective models for teacher education. google
  • 61. Woolfolk A., Rosoff B., Hoy W. (1990)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d their beliefs about managing student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6 P.137-148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수학 교수효능감 검사
    수학 교수효능감 검사
  • [ <표 2> ]  유아 수학적 능력 하위영역
    유아 수학적 능력 하위영역
  • [ <표 3> ]  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 및 내용
    티칭 포트폴리오 구성요소 및 내용
  • [ <표 4> ]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의 일정 및 내용
    티칭 포트폴리오 활동의 일정 및 내용
  • [ <표 5> ]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검사 점수간 차이에 대한 t 검증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교사의 수학 교수효능감 검사 점수간 차이에 대한 t 검증 결과
  • [ <표 6> ]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수학적 능력 검사 점수간 차이에 대한 t 검증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수학적 능력 검사 점수간 차이에 대한 t 검증 결과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