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유아과학수업의 효과적 컨설팅을 위한수업분석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The preliminary validation of an analysis instrument for use in evaluatingthe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science lessons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유아과학수업의 효과적 컨설팅을 위한수업분석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This study presents the preliminary steps taken to develop an instrument to be used in evaluating science lessons by checking to be sure all of the elements deemed necessary for good early childhood science lessons are present.

First, the elements of a good science lesson were gathered after much research in the field. These consisted of twenty-seven elements for planning design and twenty-nine elements for the science lesson. Second, these elements were evaluated by 5 experts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10 kindergarten teachers who serve as science class consultants. Third, finally after evaluating the validity by the 10 teacher consultants, an analysis tool of science class was developed consisting of fifty-six elements.

The resulting validity by 5 experts and 10 teachers was above average. The test was also showed 3.6-4.7 highly. Through the individual interview, analysis Instruments to kindergarten science class was evaluated useful tool.

In the future, study investigating the practical effects of analysis Instruments to kindergarten science class is needed.

KEYWORD
유아과학수업 , 수업컨설팅 , 수업분석도구
  • Ⅰ. 서 론

    21세기에 들어서며 세계 각국에서는 상당한 교육개혁이 진행되고 있으며, 교육개혁의 방향은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국가 경쟁력의 원천인 인적자원 확보와 개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신은수, 박은혜, 2012). 우리나라의 경우도 초, 중, 고등학교뿐만 아니라 유치원까지 포함하여 교원능력 개발 평가제도의 실시를 통한 우수교원 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교육과학기술부(2009)에서는 ‘유아교사의 수업 전문성 제고 방안’을 마련하여 교실수업의 질 개선을 통한 유아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강조하고 있다.

    교사의 수업을 변화시키는 것은 단순한 일이 아니다. 수업은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으며 매우 역동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Gagne, Wager, Golas, Keller, 2005), 수업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수업에 대한 전문적인 시각과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곽영순, 2004; Hudson, 2002; Hudson & Skamp, 2002).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 교사의 수업 질 개선 및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수업컨설팅이 주목받고 있다. 수업 컨설팅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수업의 질 향상으로서(전제상, 2007), 교사의 자발적인 수업문제 제기를 통해 자신의 수업에 대한 평가와 반성적 성찰을 유도함으로써 교실수업 질 개선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이화진, 오상철, 홍선주, 2007; 진동섭, 김도기, 2008; 황혜정, 2013). 수업 컨설팅은 실제 수업현장으로 들어가 수업이 갖는 다양한 상황적 요인을 고려하여 교사들이 가진 수업 문제를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현장에서 실행가능한 해결책을 교사와 수업 컨설턴트가 함께 고민하고 실행하는 현장중심의 접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이상수, 강정찬, 이유나, 오영범, 2012).

    교사의 교실수업 개선을 통해 수업 전문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수업컨설팅은 초, 중,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활성화 되고 있다. 학교 현장 교사들의 수업능력 발달 및 교과교육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다양한 접근과 프로그램으로 수업컨설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최승현 외, 2008; 한국교육개발원, 2011), 특히 수업컨설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수업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을 표준화하거나(이유나 외, 2012), 체계적인 수업컨설턴트 교사훈련을 강조하고 있다(이화진 외, 2007). 이들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실제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실천적인 수업컨설팅 모형을 제시하고, 수업컨설팅이 교사에게 수업기술의 전문성 향상,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흐름과 더불어 유아교육 분야에도 수업컨설팅에 대한 다양한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유치원 수업컨설팅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크게 실태분석 연구(김호, 2011; 이은숙, 2013; 장영순, 2013; 최민희, 2012)와 효과검증 연구(김정례, 2012; 임승렬, 윤지영, 2012; 장소연, 2012; 장영순, 2013; 전호숙, 2009; 황혜정, 2012)로 구분되며, 최근 유치원 교사의 수업컨설팅 경험을 토대로 그 내용과 의미를 찾는 질적연구(김안나, 2013; 송정원, 2008; 서혜정, 윤경옥, 2013)와 특정 교과영역의 PCK(교수내용지식)를 기반으로 한 컨설팅 연구(임승렬, 윤지영, 2012) 등 다양한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들 연구 중 유아교육 현장의 특정 교과영역에 대한 수업컨설팅으로 과학, 음악, 이야기나누기, 극놀이 등에 대한 컨설팅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초기 단계의 시도에 불과하며, 특히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가장 어려워하고 기피하는 교과목 중의 하나인 과학수업(안부금, 2002; 유은영, 조형숙, 2011)에 대한 컨설팅 필요성은 더욱 절실하다고 할수 있다(황혜정, 2013). 또한 많은 교사들이 컨설팅 받고싶은 분야는 특정 과목과 관련하여 수업실행과 관련된 실제적 측면을 선호한다(김호, 2011)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유아과학수업의 실제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접근방법으로의 컨설팅이 필요함을 시사 받을 수 있다.

    수업 컨설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수업분석이 필수적이다. 수업분석이란 수업의 문제점이나 그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 수업현상을 분석하는 것(이상수 외, 2012)으로서 일정한 체계적인 틀을 가지고 수업을 분석하고 개선안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와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조벽, 2011; 천호성, 2008). 올바른 수업분석 없이는 수업문제의 진단, 원인규명, 해결책에 대한 효과적인 컨설팅이 어려우므로 교사의 수업개선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분석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수업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적절한 수업분석 도구가 필요하다(김난희, 2013). 즉, 수업 컨설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체계화된 수업분석 도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현재 수업분석 도구는 초, 중등학교의 교사를 대상으로, 영역별로 세분화된 분석도구들이 활용되고 있다. 이용숙(2006)과 천호성(2007)은 수업컨설팅에서 다양한 수업분석도구를 활용한 수업관찰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수업컨설팅의 구체적인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수업컨설팅을 실천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이상수 등(2012)은 학교 현장의 수업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수업에 대한 전문적인 시각과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수업컨설턴트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수업분석 시 활용할 수 있는 수업일관성 분석도구, 수업구성 분석도구, 수업명료성 분석도구, 동기유발전략 분석도구, 수업분위기 분석도구, 비언어적소통 분석도구, 수업매체설계 분석도구 등 다양한 수업분석도구를 개발한 바 있다.

    그러나 유치원 수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도구 개발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유아과학수업에 적합한 분석도구 개발도 필요한 실정이다. 물론 유아과학수업 컨설팅 시 기존에 연구된 과학활동 평가도구를 활용할 수 있지만 이들 도구들은 대부분 과학활동 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영역의 평가를 다루거나(김현진, 2007), 수업평가 및 분석문항이 애매모호하여 정확하게 교사의 어떤 부분을 평가하고 분석하고자 하는지 파악하기 힘든 경향이 있었으며, 교사의 수업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 할 수 있는 도구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유아과학 수업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과 도구가 필요하지만, 과학수업 컨설팅 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과학수업 계획안과 수업 실행에 초점 맞추어 구체적인 수업분석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수업 분석도구는 유아교육 현장의 교사들에게 과학수업에 도움이 되는 구체적 지침과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설턴트들로 하여금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수업분석을 가능하게 하여 효과적인 수업컨설팅을 통한 수업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과학 수업분석 도구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둘째, 유아과학 수업분석 도구의 타당도는 어떠한가?

    Ⅱ. 연구 방법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현장의 과학수업 컨설팅에 활용할 수 있는 수업분석 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림 1과 같이 3단계의 절차를 거쳐 연구가 진행되었다.

       1. 1차 수업분석도구 개발

    1차 과학수업 분석도구는 실제 과학수업을 위한 계획(안)과 실행 두 부분으로 나누어 개발되었다. 유아교육 현장의 과학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의 실제적 과학수업에 필수적인 과학수업 계획안 작성과 이에 근거한 과학수업 실행이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접근되어야 한다(Korthagen, 2001; Levin & Ammon, 1992)는 전제하에 수업분석도구를 계획(안)과 실행 두 개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계획과 실행이 분리되기 보다는 계획단계인 계획 설계와 실행단계인 수업실행이 유기적이며 순환적인 관계 하에 역동적 상호작용이 필요하다(Gunter, Estes, Schwab, 2003)는 것을 전제로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이 단계에서는 문헌 분석을 통하여 수업분석의 준거와 기준, 그리고 수업분석도구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저를 탐색하였다.

    1) 자료 수집

    먼저, 계획(안) 분석 준거 및 기준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시한 문헌연구는 먼저, 국내문헌으로 ‘유아과학수업 계획안’을 기준으로 ‘유아교육과정’, ‘유아과학’, ‘과학수업’, ‘계획안’, ‘과학내용’, ‘과학방법’, ‘활동’, ‘유아’, ‘발달적 적합성’, ‘통합성’, ‘수업설계’, ‘일관성’ 등을 병렬조합으로 입력하여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으며, 외국문헌은 ‘young children science lesson plan’을 기준으로 ‘young children science’, ‘lesson consulting’, ‘lesson anlysis tool’, ‘science contents’, ‘early childhood curriculum’, ‘teaching’, ‘lesson consistency’ 등의 단어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또한 유아과학수업 실행 분석준거와 기준은 ‘유아과학수업’, ‘과학교수방법’, ‘도입’, ‘전개’, ‘마무리’, ‘수업절차’ 등과 같은 핵심어로 국내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으며, ‘children sciencing’, ‘science teaching method’, ‘lesson procedure’, ‘assessment’ 등의 단어를 통하여 외국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이처럼 핵심단어를 병렬조합해서 관련문헌을 추출하는 방법은 문헌 선택 시 주관적 판단 개입을 최소화시켜 문헌의 신뢰성을 높일뿐만 아니라 짧은 시간에 필요한 자료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조인수, 이윤미, 2011).

    최종적으로 계획(안) 및 실행 분석준거 및 기준 도출을 위해 수집한 선행연구는 총 67편이었으나 본 연구와 직접적으로 관련 없는 13편을 제외하고 총 54편이 분석자료로 활용되었으며, 이 중 국내문헌은 34편, 외국문헌은 20편이 분석자료로 활용되었다.

    2) 분석준거 및 기준 추출

    (1) 수업 계획(안)

    과학수업 계획(안)을 위한 분석 영역과 준거들은 문헌검토를 통해 도출되었다. 특히 4가지 분석영역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1)에서 제시한 ‘과학과 수업전문성(수업 평가) 기준’ 중 수업계획에 해당하는 전문적 지식(영역 1)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과학교육내용에 대한 이해, 학생에 대한 이해 이해를 참고하여 도출하였고, 지식과 실천의 연계(영역 2)에서 일관된 수업설계를 참고하여 각각 도출하였다(임찬빈, 곽영순, 2006). 이를 토대로 유아과학수업 계획안 작성을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관련된 영역, 과학교육 내용과 관련된 영역, 유아의 이해와 관련된 영역, 수업설계 및 수업 일관성과 관련된 영역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내용과 문헌출처는 표 1과 같다.

    [<표 1>] 유아과학수업 분석 도구(계획안) 개발의 문헌 출처

    label

    유아과학수업 분석 도구(계획안) 개발의 문헌 출처

    (2) 수업 실행

    과학수업 실행에 대한 분석준거 및 기준은 실제 유아교육 현장에서 과학수업이 이루어지는 구체적 절차에 따라 도입, 전개, 정리의 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관련 내용을 추출하였다. 변영계(2005)주삼환(1999)에 의하면 수업 절차 중 도입은 수업의 목표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는 단계이며, 전개는 학습과제의 내용을 유아들에게 제시하고 다양한 수업방법을 사용하여 수업목표 달성을 위한 교수학습활동을 전개하는 단계이고 정리는 목표달성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근거하여 각 수업단계별 관련내용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내용과 문헌출처는 표 2와 같다.

    [<표 2>] 유아과학수업 분석 도구(실행) 개발의 문헌 출처

    label

    유아과학수업 분석 도구(실행) 개발의 문헌 출처

    이상의 관련 문헌분석을 통하여 과학수업 계획(안) 분석준거 27개, 수업실행 분석준거 29개를 도출하였다.

       2. 2차 수업분석도구 개발 : 전문가 검토

    문헌분석을 통해 도출된 유아과학수업 분석준거 및 기준이 타당한 이론적 기반을 바탕으로 개발되었는지, 과학수업 계획(안)과 실행에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들이 적절하게 선정되었는지 등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과학교육 및 교육방법 전문가와 유아과학수업 컨설턴트 경험이 있는 교사에 의해 검토가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1차 개발된 수업분석도구에 대한 타당도와 도구의 개선안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2차 수업분석도구를 개발하였다.

    전문가 검토는 유아과학교육 전문가 3인, 교육방법 및 수업설계 전문가 2인, 유아과학수업 컨설턴트 경험이 있는 교사 10인 총 15인에 의해 실시되었다. 이들 중 유아과학교육 전문가 3인은 유아교육 박사학위 소지자로서 대학에서 10∼20년간 유아과학수업을 강의하고 관련 저서를 집필한 경험이 있는 전문가였으며, 교육방법 및 수업설계 전문가 2인은 교육공학 박사학위 소지자로서 교육방법, 수업설계, 수업컨설팅 관련 강의와 연구를 주도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전문가였다. 또한 유아과학수업 컨설턴트 교사 10인은 유아교육 현장의 15∼25년 정도의 경력교사로서 유아과학수업의 계획과 실행에 관심을 가지고 30시간 이상의 유치원수업 컨설턴트 양성과정을 이수한 현장수업 전문가들이다.

    전문가 검토 조사지는 1차 개발된 분석도구의 개선안에 대해 질문하는 반구조화된 개방형 설문지와 분석도구의 타당도를 묻는 Likert 평정 척도지였다. 먼저 개방형 설문지는 문헌분석을 통하여 개발된 분석도구의 분석영역 및 세부적인 분석요소에 대한 적절성 및 통합, 삭제, 재분류, 재진술, 추가 내용 등과 수업 분석 도구 전체의 체계성이나 분석의 타당성에 대한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지를 사용함으로써 전문가의 의견 범위가 축소될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이고 수업분석도구의 개선안을 충실히 반영하고자 하였다. Likert 평정 척도지는 1차 개발된 과학수업 계획(안) 분석준거 27개, 수업실행 분석준거 29개에 각각에 대하여 각 항목의 타당도를 ①에서 ⑤까지 해당하는 곳에 표시해 주기를 요구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이상의 내용으로 구성된 설문지와 평정척도지는 5인의 전문가들에게는 각각 미리 유선과 면대면으로 내용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후 본인들이 원하는 방식의 우편이나 메일로 배부 및 회수하였으며, 10인의 교사들은 유사 지역별 2∼4명의 교사들을 본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설문지 기술 및 작성방법을 설명한 후 배부하였으며 회수 역시 우편이나 메일로 이루어졌다. 설문지 배부와 회수에 소요된 기간은 약 2주가량되었다.

    자료 분석은 1차 개발된 분석도구의 개선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정리하였으며, 과학수업 계획(안) 분석준거 27개, 수업실행 분석준거 29개 각각에 대한 타당도를 1점에서 5점 척도로 환산하여 평균을 산출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계획(안) 분석도구의 개선안은 4개로 나타났으며 그 중 2개 요소는 삭제(‘유아의 사전지식을 고려한 활동선정인가?’는 내용 선정 시 고려사항으로 중복되므로 삭제, ‘수업내용 선정 시 과학적 지식이나 개념을 반영하였는가?’는 객관적인 과학적 지식보다는 주제 관련 과학지식이라는 표현이 더 적절하며 이 역시 중복되므로 삭제)하였으며, 2개 요소는 수정하여 재진술(‘과학활동이 STS 요소를 반영하는가?’는 용어의 어려움으로 인해 ‘과학활동이 유아의 생활과 관련성이 있는가?’로 수정, ‘확인 가능한 외현적 행동적 용어로 목표가 기술되었는가?’는 모든 과학활동이 일률적인 목표진술이 불가능하므로 ‘수업목표가 목표달성 여부 확인 시 유아들이 대답할 수 있는 형태로 기술되어 있는가?’로 수정)하였다. 한편 실행 분석도구의 개선안은 3개 도출되었는데 모두 수정 및 재진술(‘목표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는 도입인가?’는 도입 단계 자체보다는 교사가 수업 중 그에 대한 인식을 정확하게 하는가가 더 중요하기 때문에 ‘도입은 목표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는 단계임을 인식하고 있는가?’로 재진술, ‘도입단계에서부터 목표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는가?’는 ’수업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바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는가?’로 재진술, ‘직접적인 탐색의 기회를 제공하는가?’는 그 다음 요소와 중복되며 탐색 초반에는 자유로운 탐색을 강조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자유롭고 직접적인 탐색기회를 제공하는가?’로 수정 및 재진술)이 필요하였다.

    이상의 전문가 검토 과정을 통하여 과학수업 계획(안) 분석준거 25개, 수업실행 분석준거 29개가 2차 분석도구로 개발되었다.

       3. 최종 수업분석 도구의 개발

    2차 개발된 수업분석 도구를 유치원 현장의 과학수업 분석 및 컨설팅에 실제 적용한 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반영하여 도구를 수정, 보완한 후 최종적인 수업분석 도구를 개발하였다.

    1) 연구 참여자

    수업분석도구의 적용 및 평가는 2차 수업분석도구 개발에 참여한 유치원 과학수업 컨설팅 경험이 있는 교사 10인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들 교사는 유아교육 현장의 15∼25년 정도의 경력교사로서 실제 유아과학수업에 대한 컨설팅을 3회 이상 실시한 경험과 전문 유치원수업 컨설턴트 양성과정을 이수한 현장수업 전문가들로써 구체적인 배경은 표 3과 같다.

    [<표 3>] 최종 수업분석도구 개발을 위한 사용성 평가 및 심층면담 연구대상자

    label

    최종 수업분석도구 개발을 위한 사용성 평가 및 심층면담 연구대상자

    최근 유아교육 현장의 효율적 장학의 한 형태로 수업컨설팅이 주목받으면서 각 시도 교육지원청 및 유아교육진흥원 주최의 다양한 수업전문가 과정 또는 수업컨설턴트 양성과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연수에 참여하는 교사 비율이 사립유치원교사보다 공립유치원교사가 훨씬 높은 편이며, 사립유치원보다 공립유치원에서 수업컨설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김호, 2011).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수업컨설팅 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분석도구 개발을 위해서는 수업컨설턴트로서 경험과 특히 유아과학수업 컨설팅 경험이 있는 교사가 필요하며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대다수 병설유치원 교사들이 연구대상자로 선정되었다.

    2) 수업분석 도구의 적용 및 평가

    수업분석 도구의 적용에 참여할 컨설턴트 교사 10인은을 대상으로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한 후 1회씩 실제 유아과학수업 분석도구를 활용한 컨설팅을 실시하였다. 컨설턴트 교사들에게 수업분석도구 사용 시 분석준거에 대한 일치여부를 표시하게 할 뿐만 아니라 수업의 역동성을 염두에 두어 맥락과 근거를 함께 기술하도록 요구하였다. 이를 반영한 수업분석도구의 기본 틀은 표 4와 같다.

    [<표 4>] 수업분석도구 틀

    label

    수업분석도구 틀

    이상과 같은 수업분석도구를 활용하여 과학수업 컨설팅을 실시한 후 그 경험에 대해 교사 개별로 사용성 평가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먼저, 교사 개별로 과학수업 컨설팅 후 과학수업 분석도구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 평가는 “국제표준화기구(ISO, 1991)에 의하면 사용성이란 특정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특정한 사용자들에 의해 어떤 제품을 사용할 때 특정한 맥락의 사용에서 효과성, 효율성, 그리고 만족도에 대한 것”(Crowther 외, 2004)이라는 전제 하에 김난희(2013)가 대학수업 분석도구 개발과정에서 도구의 타당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한 사용성 평가 문항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사용성 평가도구의 요소에는 여러 가지가 포함될 수 있지만 대표적으로 유용성, 사용성, 효과성을 들 수 있다(Crowther 외, 2004). 유용성(usefulness)은 수업분석도구를 사용하는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속성이며, 사용성(usability)은 편리성이라고도 하며 도구를 사용하는 과정이 편리하고 최소의 노력으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속성이다. 또한 효과성(effectiveness)은 도구를 통해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속성(김난희, 2013)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분석도구는 유아교육 현장수업컨설턴트들의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활용이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볼 때 이 세 가지 요소가 충족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사용성 평가도구를 활용하였다.

    분석도구의 사용성 평가 후 이루어진 교사 개별 심층면담에서는 실제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적용 할 때의 강점, 약점, 개선점뿐만 아니라 그 외 수업분석도구 및 적용에 대한 교사의 생각이나 의견을 자유롭게 이야기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수업목표와 절차, 교수방법, 상호작용, 활동내용, 교육과정과의 관련요소 등이 어떻게 유기적으로 발휘되는지에 대한 의견을 묻는 내용을 포함시킴으로써 각각의 분석 문항뿐만 아니라 분석도구 전체의 체계성이나 분석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면담방식은 질문 항목에 대한 일정한 순서 없이 대화의 흐름과 상황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교사가 속한 유치원에서 1인당 약 1시간 30분가량 이루어졌다.

    3) 자료 분석

    사용성 평가는 분석도구의 유용성 3문항, 사용성 3문항, 효과성 2문항으로 구성된 평가지를 사용하였으며 총 8개 문항 각각을 5점 척도로 표시한 후 1점에서 5점 척도로 환산하여 평균을 산출하였다.

    심층면담 자료는 교사면담 내용을 처음부터 끝까지 녹음 한 후 전사한 자료들로써 녹음 내용의 전사본을 1차적으로 읽으면서 각각의 분석 준거들이 과학수업 계획(안) 측면과 실행 측면에서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가에 초점을 두고 내용분석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분석 도구의 유용성, 사용성, 효과성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사용성 평가의 3개 영역별 특징과 보완될 내용을 중심으로 분류한 후 유사한 내용끼리 묶어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4) 수업분석 도구의 수정

    유아교육 현장의 수업컨설턴트들의 수업분석 도구 적용 및 평가를 통해 계획(안) 분석도구의 개선안이 1개, 실행 분석도구의 개선안이 1개 도출되었으며, 이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적인 수업분석도구를 개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유아과학수업 분석도구 개발

    1) 개발 원칙

    본 연구의 목적인 유아과학수업 분석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원칙은 앞서 제시한 문헌분석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첫째, 유아과학수업 분석도구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유아교육과정에 근거하며, 그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교과부, 2012)를 기준으로 삼았다.

    둘째, 유아의 발달적 적합성을 분석도구 개발의 주요 원칙으로 삼았다. 분석도구에 유아의 발달적 특성, 수준과 흥미, 관심, 이해수준 등을 중요하게 반영하였다.

    셋째, 과학수업의 통합적 계획 및 운영을 전제로 분석도구를 개발하였다

    넷째, 수업설계에 대한 교육학적 원리(수업목표, 내용, 방법, 매체, 평가 등)를 고려하였으며, 특히 수업 일관성 원리를 비중있게 반영하였다.

    다섯째, 수업분석도구의 계획과 실행은 서로 분리되기보다 계획단계인 계획 설계와 실행단계인 수업실행이 유기적이며 순환적인 관계 하에 역동적 상호작용이 필요하다(Gunter, Estes, Schwab, 2003)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여섯째, 과학수업을 위한 내용교수지식(교수전략에 대한 지식, 학습자에 대한 지식,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 평가에 대한 지식)을 고려하여 개발하였다.

    일곱째, 구성주의 과학교수방법 실천이 가능하도록 관련 요소를 반영하였다.

    여덟째, 좋은 과학수업의 특성을 반영하였다(조형숙, 유은영, 2011; 최승현 외, 2008; Danielson, 1996). 구체적으로 유아중심수업, 총체적 수업, 통합적 및 직접적 경험, 사회적 상호작용, 구성주의적 관점 적용 등과 같은 좋은 과학수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개발하였다.

    아홉째, 과학수업 분석 준거는 수업분석 활동의 내용, 범위, 영역 또는 방향이 제시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큰 범주의 영역과 하위 범주의 요소로 구성된다.

    열번째, 계획(안) 분석도구는 계획안을 토대로 분석하고 실행분석도구는 실제수업을 관찰한 후 각 요소별로 ○,△,×로 평정하고 수업이 이루어지는 역동성을 고려하여 맥락 및 근거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도록 구성하였다

    열 한번째, 수업분석 도구의 수월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개발하였다.

    2) 분석도구 개발

    과학수업 분석도구는 실제 수업을 위한 계획(안)과 실행 두 부분으로 개발되었다

    (1) 계획(안)

    계획(안)분석도구는 과학수업 계획 시 고려해야 할 요소나 구체적인 계획안 작성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를 중심으로 보다 큰 범주의 영역을 먼저 도출하고 그에 따른 하위범주의 세부적인 분석요소들을 도출하여 구성하였다. 그 결과 표 4에 제시된 바와 같이 활동선정, 수업목표, 주요내용, 교육과정 관련요소, 교수학습방법, 수업자료 및 매체, 평가의 7개 영역별로 총 25개의 요소가 최종적으로 도출되었다.

    특히 7개 영역은 누리과정 교사용지도서에 제시된 일일교육계획안 양식 및 과학활동의 구성요소 뿐만아니라 초,중등학교의 계획안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구성요소(교과부, 2012; 장명덕, 2006; 양찬호 외, 2014)에 근거하여 선정되었다.

    (2) 수업 실행

    수업실행 분석 도구는 실제 과학수업이 실행되는 도입, 전개, 정리 3단계의 절차를 영역으로 선정한 후 그에 따른 세부적인 분석요소들을 도출하여 구성하였다. 그 결과 표 5에 제시된 바와 같이 도입에 대한 7개 분석 요소, 전개에 대한 17개 분석요소, 마무리에 대한 5개 분석요소가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

    [<표 5>] 계획(안) 분석도구의 타당도

    label

    계획(안) 분석도구의 타당도

       2. 유아과학수업 분석도구의 타당도

    1) 전문가 검토

    (1) 계획(안) 분석도구

    유아과학수업 계획(안) 분석도구의 7개 영역별 타당도는 평균 3.5∼4.6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5개 각 요소별 타당도는 표 5와 같다.

    (2) 수업실행 분석도구

    유아과학수업 실행 분석도구의 3개 영역별 타당도는 평균 3.7∼4.6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9개 각 요소별 타당도는 표 6과 같다.

    [<표 6>] 수업실행 분석도구의 타당도

    label

    수업실행 분석도구의 타당도

    전문가 검토를 통해 수업분석 도구 개발에 반영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요소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타당도 평균이 3.5 이하인 것은 제외시켰다

    둘째, 분석요소의 의미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간략하게 재기술하였다.

    셋째, 의미가 비슷하거나 중복되는 요소는 삭제 또는 통합하였다.

    이상의 전문가 의견을 반영한 결과, 계획(안) 분석 요소 29개 중 3개와 실행 분석 요소 32개 중 2개를 제외시켰으며, 그 외 2∼3개 요소는 수정 및 통합시켰다.

    2) 분석도구 적용 결과

    전문가 검토를 거쳐 수정, 보완된 수업분석 도구를 유치원 현장의 과학수업 분석 및 컨설팅에 실제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성 평가와 교사 심층면담이 이루어졌다.

    (1) 사용성 평가 결과

    과학수업 분석도구에 대한 3개 영역별 총 8문항으로 이루어진 사용성 평가 결과는 표 7과 같다.

    [<표 7>] 수업분석 도구의 사용성 평가 결과

    label

    수업분석 도구의 사용성 평가 결과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성 평가 결과, 5명의 수업컨설턴트의 전체 평균은 4.36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분석도구의 유용성에 대한 결과는 하위 3문항 중 “과학수업 실행 분석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는가?”, “과학수업 계획(안) 및 실행을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 할 수 있는가?”는 각각 4.4, 4.8로 매우 높게 나타난 반면, “과학수업 계획(안) 분석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는가?”는 3.8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분석도구의 사용성에 대한 결과는 하위 3문항 중 “과학수업 계획안 및 실행을 분석하는데 편리한가?”와 “과학수업분석 준거 및 기준이 구체적이고 명확한가?”는 각각 4.3, 4.5로 높게 나타난 반면 “과학수업분석 준거 및 기준이 이해하기 쉬운가?”는 3.8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과학수업 분석도구의 효과성에 대한 결과는 “과학수업 계획(안) 및 실행을 분석하는데 도움이 되는가?”와 “과학수업의 질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가?”가 각각 4.5, 4.8로 높게 나타났다.

    (2) 교사 면담 결과

    2차 개발된 수업분석 도구를 유치원 현장의 과학수업 분석 및 컨설팅에 실제 적용한 후 10명의 컨설턴트 교사 개별로 심층 면담한 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수업 분석도구는 몇 가지 유용한 측면이 나타났다.

    첫째, 과학수업을 분석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근거와 기준을 제시하였다.

    둘째, 수업진행 순서와 수업분석 순서의 일치로 수업분석도구를 보다 수월하게 활용할 수 있다.

    셋째, 컨설턴트로서 교사의 과학수업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넷째, 컨설턴트로서 수업을 보고 분석할 수 있는 안목과 능력을 길러 줄 수 있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유아교육 현장의 과학수업 컨설팅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분석 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업분석의 준거가 되는 수업 설계 원리와 수업실행 구성요소를 탐색한 후 이를 토대로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과학수업의 효과적인 컨설팅을 위한 계획(안) 분석도구는 활동선정, 수업목표, 수업내용, 교육과정 관련요소, 교수학습방법, 수업자료 및 매체, 평가의 7개 영역별로 총 25개의 요소가 최종적으로 도출되었으며, 수업실행 분석도구는 도입, 전개, 마무리 3단계의 절차별로 총 29개의 요소가 선정되었다. 이러한 수업분석 요소는 초, 중등 학교의 과학수업 평가 시 고려해야 할 요소와 일관성을 가지며(임찬빈, 곽영순, 2006), 최근 교사의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보다 체계적인 과학수업을 위해 초중고등학교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수업요소이기도 하다(이화진 외, 2007; 장명덕, 2006; 정한호, 2009; 최승현 외, 2008).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과학수업 계획 및 실행 분석도구는 수업분석의 준거가 되는 유아교육과정, 과학교육내용, 유아발달 이해, 수업설계 및 실행 원리의 4가지 요소를 실제 수업이 진행되는 구체적 절차나 순서와 연결시켜 실제 유아교육 현장 교사들과 컨설턴트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계획안 작성 절차 및 수업 진행 순서별로 세부적으로 분석요소들을 제시하여 수업을 분석하는 순서와 수업을 진행하는 순서를 일치시킴으로써 보다 수월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김난희, 2013). 수업컨설턴트는 과학 계획안 및 실행을 항목별로 순서대로 관찰 한 후 체크리스트(○, ×, △)로 평정하고 그 근거를 항목별로 기술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분석문항 선정 시 좋은 수업(유은영, 조형숙, 2011; Danielson, 1996)에 대한 의견, 즉 유아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수업, 발달에 적합한 수업, 학습자 중심 수업, 총체적 수업, 통합적 경험 및 직접적 경험 수업, 사회적 상호작용 수업, 구성주의적 관점 적용 수업 등 좋은 수업의 조건을 반영함으로써 수업컨설턴트가 수업분석을 할 때 좋은 과학수업을 위한 교수활동이 무엇인지 판단할 수 있도록 그 기준을 구체적으로 제공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좋은 수업의 기준에 비추어 초중등학교뿐만 아니라 대학의 수업분석도구를 개발하고 적용한 결과, 수업분석도구의 타당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수업분석이 이루어졌다는 연구결과(김난희, 2013; 이명제, 2007; 이혁규 외, 2012; 이응주, 2012; 최승현 외, 2008;)에 근거하여 현장의 수업컨설턴트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수업 분석도구의 타당도 검토 결과, 대부분의 문항이 평균 3.3에서 4.6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 전체적으로 분석문항의 내용이 유아과학수업 컨설팅 시 분석도구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사실은 계획과 실행 모두에서 유아의 발달적 특성 반영에 대한 요소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다른 영역에 비해 쉽게 파악하기 어렵거나 분석이 애매하거나 어려운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효과적인 교수 계획 및 실행을 위해 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적합한 내용 및 목표, 수준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안내가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므로(김희진, 2008; 권은주, 최윤정, 2010; 임승렬, 2009), 학습내용의 계열화 및 위계화 제시(이성희 외, 2012)가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실제 유아교육 현장의 과학수업 컨설팅 및 수업분석에 적용한 후 실시한 사용성 평가 결과, 11명의 수업컨설턴트의 전체 평균은 4.36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과학수업 분석도구를 직접 적용한 컨설턴트 교사들과의 심층면담 결과, 과학수업 분석도구는 컨설팅 시 과학수업을 분석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근거와 기준의 역할을 한다는 점, 수업진행 순서와 분석의 순서가 일치하여 수월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점, 컨설턴트가 효과적으로 교사의 과학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 컨설턴트로서 수업을 보고 분석할 수 있는 안목과 능력을 길러 줄 수 있다는 점 등이 장점으로 제시되었다. 선행연구에서도 수업분석의 준거가 포괄적이면 그 결과도 피상적이고 형식적이 될 수 있으며, 수업 개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수업분석의 준거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천호성, 2008)고 강조하고 있다. 또한 노석구, 최선영(2007)은 초등과학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과학수업 컨설팅에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지침이 제시되어 있는 컨설팅 매뉴얼 사용이 현장 교사의 수업에 대한 질적 개선에 도움이 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효과적인 과학수업 컨설팅을 위한 수업분석 도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과학수업분석 준거는 문헌연구와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하여 도출한 것으로 바람직한 유아과학수업의 기준을 제시한다.

    둘째, 구체적인 수업분석 준거와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수업컨설턴트로 하여금 체계적인 수업분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수업컨설팅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개발된 수업분석 도구는 유아교육 현장의 과학수업을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하여 수업의 전문성과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논의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유치원 수업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준거와 기준이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므로 컨설턴트들이 쉽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수업분석도구들이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수업컨설팅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는 연구도 더불어 필요하다. 특히 기존에 개발된 초,중등교육과 차별화되는 유아교육의 상황을 효과적으로 반영한 다양한 수업분석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유아과학 수업분석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나 훈련을 받지 못해 수업분석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수 및 훈련이 필요하며, 아울러 전문성을 갖춘 유치원 수업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유아과학수업과 관련된 계획 및 실행에 초점 맞추어 분석도구를 개발하였지만 추후 유아의 참여도나 환경적 측면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분석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 1. 곽 은순 (2011) 경력교사의 유치원 수업평가기준 탐색: 질적 접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8 google
  • 2. 곽 영순 (2004) 과학과 수업 평가 기준 개발. [한국지구과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 P.35-45 google
  • 3. 권 은주, 최 윤정 (2010) 체계적인 모의수업 과정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사고변화 분석: 유치원 하루 일과 모의수업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Vol.30 P.57-83 google
  • 4. (200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총론. google
  • 5. (2011) 3주기 교원양성기관평가편람 google
  • 6. (2012a)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google
  • 7. 김 난희 (2013) 좋은수업활동을 위한 수업분석도구 개발. google
  • 8. 김 안나 (2013) 유치원교사가 경험한 수업컨설팅의 의미.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P.347-366 google
  • 9. 김 정례 (2012) 이야기나누기 질 향상을 위한 그룹컨설팅 실행연구. google
  • 10. 김 호 (2011) 유치원수업컨설팅 현황 및 교사의 요구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8 P.257-280 google
  • 11. 김 희진 (2008) 유치원일일교육계획안에 나타난 연령별 교육활동분석 [교육과학연구] Vol.39 P.195-215 google
  • 12. 김 현진 (2007) 유아교사의 과학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 개발. google
  • 13. 금 미숙 (2012) 수준별 유아수업 설계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google
  • 14. 변 영계 (2005) 수업장학과 수업분석. google
  • 15. 서 혜애, 신 성현 (1998) 미국의 과학교육기준 개발 [과학교육] Vol.412 P.53-61 google
  • 16. 서 혜정, 윤 경옥 (2013) 컨설팅 장학에서 컨설턴트의 역할과 유치원교사의 경험에 대한 의미. [유아교육학논집] Vol.17 P.137-164 google
  • 17. 송 정원 (2008) 유치원교사의 수업장학 경험의 이해. google
  • 18. 신 은수, 박 은혜 (2012) 2011 국제표준교육분류(ISCED)에 의한 유아교육단계의 교원제도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P.265-282 google
  • 19. 신 은수, 안 경숙, 김 은정, 안 부금 (2007) 생활과 환경 중심의 유아과학교육 google
  • 20. 안 부금 (2003) 협동적 개념도 전략이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과 태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3 P.119-143 google
  • 21. 안 부금 (2002)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과학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google
  • 22. 오 숙현 (2004) 유아 교수-학습계획안 작성 및 실태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1 P.49-79 google
  • 23. 이 기숙, 이 현숙 (2003) 국가수준 유치원교육과정에 따른 유치원 수준 교육과정 편성 [운영 현황] Vol.23 P.43-67 google
  • 24. 이 명제 (2007) 초등학교 과학수업평가를 위한 탐구능력기반 지표 개발. [공주교대논총] Vol.44 P.55-68 google
  • 25. 이 상수, 강 정찬, 이 유나, 오 영범 (2012) 체계적 수업분석을 통한 수업컨설팅. google
  • 26. 이 성희, 박 은혜 (2012) 유치원교사의 교육과정 계획, 실행, 평가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P.319-353 google
  • 27. 이 은숙 (2013) 유치원교사의 컨설팅 장학에 대한 인식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google
  • 28. 이 유나, 강 정찬, 오 영범, 이 상수 (2012) 수업컨설팅 인식 및 요구조사에 기초한 수업컨설팅의 과제. [교육공학연구] Vol.28 P.729-755 google
  • 29. 이 응주 (2012)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적용한 과학수업 분석도구 개발. google
  • 30. 이 용숙 (2007) 수업 컨설팅의 방향 [열린교육실행연구] Vol.10 P.3-29 google
  • 31. 이 화진, 오 상철, 홍 선주 수업컨설팅 지원프로그램 및 교과별 내용교수법 개발 연구 google
  • 32. 이 혁규, 이 선경, 김 향정, 박 형빈 (2012) 초등학교 수업지도안 특성 분석. [초등교육연구] Vol.25 P.1-29 google
  • 33. 임 승렬, 윤 지영 (2012) 음악수업 컨설팅을 통한 유아교사의 변화. [음악교육연구] Vol.41 P.257-278 google
  • 34. 양 찬호, 이 지현, 노 태희 (2014) 중등예비과학교사들의 수업계획에서 나타나는 특징. [과학교육연구] Vol.34 P.187-195 google
  • 35. 임 승렬 (2009) 유아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의 실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 P.11-36 google
  • 36. 임 찬빈, 곽 영순 (2006) 수업평가 매뉴얼 : 과학과 수업평가 google
  • 37. 장 명덕 (2006)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수업계획안 작성. [초등과학교육] Vol.25 P.191-205 google
  • 38. 장 소연 (2012) 유아과학교수 개선을 위한 컨설팅 장학 연구. google
  • 39. 장 영순 (2013) 유치원 수업컨설팅에 대한 인식 및 실행과정에 관한 연구. google
  • 40. 전 제상 (2009) 다원적 교원평가제의 일원화 가능성 및 방안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P.387-410 google
  • 41. 전 호숙 (2009) 유치원교사의 극활동 컨설팅 장학 연구. google
  • 42. 정 용부, 오 성숙 (2007) 교과교재연구 및 지도법. google
  • 43. 정 한호 (2009a)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설계 실태연구. [교육공학연구] Vol.25 P.157-191 google
  • 44. 조 벽 (2012) 조벽 교수의 수업컨설팅. google
  • 45. 조 인수, 이 윤미 (2011) 특수학급 수업실행 구성요인에 따른 조사도구 개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0 P.221-247 google
  • 46. 조 형숙, 유 은영 (2011) 과학교수 효능감이 높은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좋은 과학 수업의 의미 연구 [유아교육연구] Vol.31 P.333-359 google
  • 47. 진 동섭, 김 도기 (2008) 컨설팅 장학의 개념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Vol.23 P.1-25 google
  • 48. 주 삼환 (1999) 학내동료장학방법. [교육발전논총] Vol.20 P.47-65 google
  • 49. 천 호성 (2008) 수업컨설팅을 통한 교실수업연구 [사회과교육] Vol.47 P.109-134 google
  • 50. 최 민희 (2012) 유치원교사의 컨설팅장학 인식과 활성화방안 연구. google
  • 51. 최 승현, 강 대현, 곽 영순, 장 경순 (2008) 교과별 교수내용 지식연구(Ⅱ): 중등 초임교사 수업 컨설팅을 중심으로. google
  • 52. (2011) 수업컨설팅장학 활성화 방안. 2011 교육정책네트워크 교육현장 순회 토론회 자료집 P.1-86 google
  • 53. 황 의명, 조 형숙 (2001) 탐구 능력 증진을 위한 유아과학교육 google
  • 54. 황 혜정 (2012) 유치원교사의 과학활동 수업 컨설팅 실행과정과 교수실제 변화. google
  • 55. Althoues R. (1987) Investigating Science with Young Children. google
  • 56. Bitner B. L. (1993) ACT science, C-base science, college science hours, and Predictor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ttitude toward the teaching of science. google
  • 57. Borich G. D. (2000) Effective Teaching Methods. google
  • 58. Bowman B. T. (1995)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challenge: supporting young children and family. [Young children] Vol.51 P.30-34 google
  • 59. Bransford J. D., Donovan M. S. (2005) Scientific Inquiry and How People Learn. In J. D. Bransford, & M. S. Donovan(Eds.). How students learn: History, mathematics, and science in the classroom (pp.397-420). google
  • 60. Bredekamp S., Rosegrant T. (1992) Reaching Potentials : Appropriate curriculum and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Volume I. google
  • 61. Carlgren I. (1999) Professionalism and teachers.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Vol.31 P.43-56 google cross ref
  • 62. Chaille C., Britain L. (2003) The young Child As Scientist: A Constructivist Approach To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google
  • 63. Crowther M, S,, Keller C, C,, Waddoups G, L. (2004) Improving the quality and effectiveness of computer-mediated instruction through usability evaluation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nal Technology] Vol.35 P.289-303 google cross ref
  • 64. Danielson C. (1996) Enhancing Professional Practice: A Framework For Teaching. google
  • 65. Dick W., Carey L., Carey J. O. (2009)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google
  • 66. Gagne R. M., Wager W, W,, Golas K. C., Keller J. M. (2005) Principles of instructional design. google
  • 67. Gallenstein N. L. (2003) Creative Construction Of Mathematics and Science Concepts in Early Childhood. google
  • 68. Gronlund G. (2006) Make Early Learning Standards Come Alive. google
  • 69. Gunter M. A., Estes T. H., Schwab J. (2003) Instruction : A Models Approach. google
  • 70. Harlan J. D., Rivkin M. S. (2004) Science Experiences For The Early Childhood Years: An integrated affective approach. google
  • 71. Howe A. C. (2002) Engaging Children in Science. google
  • 72. Hudson P. (2002) Mentors and modeling primary science teaching practices. [Electronic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ol.7 P.1-23 google
  • 73. Hudson P., Skamp K. (2002) Mentoring preservice teachers of primary science [The Electronic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ol.7 P.1-23 google
  • 74. Inagaki K. (1992) Piagetian and post-piagetian conceptions of development and their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Vol.7 P.115-133 google cross ref
  • 75. Kamii C., Devries R. (1978) Physical Knowledge in Preschool Education: Implications or Piaget’s Theory. google
  • 76. Korthagen F. A. J. (2001) Linking Practice and Theory: The Pedagogy of Realistic Teacher Education. google
  • 77. Levin B. B., Ammon P. (1992) The development of beginning teachers’ pedagogical thinking: A Longitudinal analysis of four case studies. [Teacher Education Quarterly] Vol.19 P.95-45 google
  • 78. Martin D. J. (2000)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google
  • 79. Martin D. J. (2009) Constructing Early preparation of Teachers in Science and Mathmathics : Preservice Teacher’s Attitude and Beliefs. [Science Education] Vol.77 P.593-610 google
  • 80.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 google
  • 81. Piaget J. (1970) The envelopment of thought: Equilibration of cognitive structures. google
  • 82. Saunders W. L. (1992)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Implications and Teaching strategies for scienc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Vol.92 P.136-141 google cross ref
  • 83. Schickedanz J. A. (1994)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chool reform: Consideration of some philosophical barriers. [Journal of Education] Vol.176 P.29-47 google
  • 84. Sc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Vol.15 P.4-14 google cross ref
  • 85. Shawer S. (2009) Classroom-level curriculum development: EFL teachers as curriculum- developers, curriculum-makers and curriculum-transmitt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Vol.29 P.1-12 google
  • 86. Sowell E. J. (2000) Curriculum-An Integrative Introduction. google
  • 87. Vygotsky L. (1978) Vygotskty and Education: Instructional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f Sociohistorical Psycholory. google
  • 88. Vygotsky L.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google
  • 89. Wheatley G. H. (1991) Constructivist Perspectives on Science and Mathematics Learning. [Science Education] Vol.75 P.9-21 google cross ref
  • 90. Williams C. L., Kamii C. (1986) How do children learn by handling objects? [Young Children] Vol.41 P.23-26 google
  • 91. Yager R. E. (1991) The constructivist Learning Model: Towards real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Science Teacher] Vol.58 P.52-57 google
  • 92. Yager R. E., Tamir P. (1993) STS Approach: Reasons, Intension, Accomplishment, and Outcomes. [Science Education] Vol.77 P.637-658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그림 1] ] 
  • [ <표 1> ]  유아과학수업 분석 도구(계획안) 개발의 문헌 출처
    유아과학수업 분석 도구(계획안) 개발의 문헌 출처
  • [ <표 2> ]  유아과학수업 분석 도구(실행) 개발의 문헌 출처
    유아과학수업 분석 도구(실행) 개발의 문헌 출처
  • [ <표 3> ]  최종 수업분석도구 개발을 위한 사용성 평가 및 심층면담 연구대상자
    최종 수업분석도구 개발을 위한 사용성 평가 및 심층면담 연구대상자
  • [ <표 4> ]  수업분석도구 틀
    수업분석도구 틀
  • [ <표 5> ]  계획(안) 분석도구의 타당도
    계획(안) 분석도구의 타당도
  • [ <표 6> ]  수업실행 분석도구의 타당도
    수업실행 분석도구의 타당도
  • [ <표 7> ]  수업분석 도구의 사용성 평가 결과
    수업분석 도구의 사용성 평가 결과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