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지역언론의 취재원 활용양상과 시민저널리즘 실천에 대한 고찰 Exploring the Uses of News sources and Civic Journalism Practices of Local Newspapers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지역언론의 취재원 활용양상과 시민저널리즘 실천에 대한 고찰

This study explored how much the local newspapers practiced the values of the civic journalism in terms of uses of news sources during the citizens' vote campaign periods related with administrative merge between Cheongju and Cheongwon in 2012. According to analysis, the local newspapers did not practice the values of civic journalism, in general, not adopting general citizens as news sources much. Regarding the news sources' salience, elite people were used more frequently than general citizens as news sources. Regarding the news sources' dominance, the lines of direct citation from elite sources were bigger than the lines of direct citation from general citizen sources. Most of related news stories were written by local reporters. Regarding the reporting of related information, episodic stories were bigger than thematic stories. Also, it seemed that E-mail was almost only communication cue with newspaper readers.

KEYWORD
지역언론 , 취재원 , 시민저널리즘 , 행정구역통합
  • 1. 도입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언론은 주민들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되는 행정구역통합과 같은 지역의 중요한 쟁점과 관련해서 주민의 의견이나 의제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등 공적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야 마땅하다. 이같은 공적 책무의 수행을 통해 언론은 공동체 구성원들에게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은 물론 담론과 참여를 촉진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그들의 공적 생활이 강화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공적 문제에 시민의 참여를 촉진시키는 일이야말로 언론의 본질적 역할이며 이를 통해 새로 탄생하는 자치단체 공동체는 물론 사회 전반적으로 민주주의가 더욱 성숙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동안 언론은 객관주의와 공정성 원칙에 집착한 엘리트주의 성향의 보도와 갈등, 위기, 스캔들에 집중된 보도행태로 인해 주민들의 공적 삶과 관련된 문제에 대해 해당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 예를 들어 지난 1998년과 2002년 지방선거 보도는 전반적으로 시민 취재원 보다는 엘리트 취재원 중심의 상의하달식 의제와 내용이 주를 이루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김정기, 2004). 또한 지난 2007년 경기도 하남시에서 추진됐던 주민소환제에 대한 보도를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김윤환‧최영, 2008) 해당지역 언론은 민주주의 가치의 고양과 구현, 정보의 공유와 참여의 확대, 현상 진단과 발전적 대안 모색 등의 측면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은 지역 사회의 갈등을 조정하고 관리함으로써 전체의 합의를 도출해 지역의 공동이익을 증진하고 주민들이 수긍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관점(윤영철, 1994)에서 보면 이같은 언론보도의 현실은 안타깝지 않을 수 없다.

    이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지난 2012년 6월 27일 주민 투표로 결정된 청주시‧청원군의 행정구역 통합 문제와 관련된 지역 언론의 보도가 당사자인 지역 주민들의 관점을 제대로 보도하고 있는지에 대해 시민저널리즘 맥락에서 취재원의 활용 양태를 실증적으로 고찰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지역 언론이 보여주고 있는 시민저널리즘 가치의 실천정도를 가늠하고자 한다. 시민저널리즘의 실천을 위한 핵심 구성요소 중 하나인 민주화(김윤환‧최영, 2008; 최영, 2002)는 보도과정에 시민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자함을 의미한다. 이는 엘리트 중심의 보도관행에서 벗어나 일반 시민을 저널리즘 실천 과정의 중심에 위치시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정기, 2004). 이같은 관점에서 보면 지역 언론이 지역쟁점에 대해 엘리트가 아닌 그동안 공동체 내에서 목소리를 내지 못했던 일반 시민을 가치 있는 정보의 주요 취재원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는 것은 꼭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온라인 저널리즘 확장 등 미디어 환경의 변화 속에서 전통적인 형태의 신문 언론이 시민저널리즘 가치 구현에 얼마나 매진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하는 측면에서도 의미를 두고자 한다. 이같은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기했다. 지역 언론은 청주‧청원 행정구역 통합 문제와 관련, 일반시민 취재원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참여시켰는지를 취재원의 현저성과 지배성 관점에서 고찰했다. 또한 내부필진에 의한 기사의 비중은 얼마나 되는지, 어떤 종류의 커뮤니케이션 기제가 채택됐는지, 이슈관련 정보제공 기사의 차이(심층보도 v. 일회성기사)는 얼마나 되는지를 분석했다. 결론에서는 지역언론이 행정구역 통합이라는 지역의 공적 문제를 결정하기 위한 주민투표 과정을 보도함에 있어 시민저널리즘이 지향하는 가치를 얼마나 적극적으로 보여주었는지에 대해 논의했다.

       2) 연구배경

    지난 2008년 정치권에서 지방행정구역 개편을 추진하기로 합의하면서 이에 대한 논의가 전국적인 관심사로 대두된 바 있다. 이후 정부가 자율통합 정책을 내세우면서 분위기가 더욱 고조되었다. 하지만 행정구역 개편은 사회간접 시설 확충을 통한 지역의 경쟁력 강화와 행정효율성 제고뿐만 아니라 자치단체의 기존 행정구역과 생활권역의 변화를 수반하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순탄하게 진척되지 못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구역 통합 문제는 주민들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관련돼 있기 때문에 충분한 논의와 합의가 전제되지 못할 경우 주민 간 갈등과 혼란이 발생하는 등 심각한 지역 쟁점으로 부각되곤 한다.1) 따라서 지방행정구역 개편 논의가 실제 현실화된 사례는 충청북도의 청주‧청원과 경상남도의 창원‧마산‧진해 통합 등 극히 일부에 불과했다. 특히 충청북도 청원군민들은 지난 2012년 6월 27일 주민투표를 통해 청주시와 청원군 두 자치단체의 행정구역 통합을 이루어 냈다. 이날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청주ㆍ청원의 행정구역 통합을 결정하기 위해 실시된 청원군 주민투표에 유권자 4만4190명(전체 12만240명)이 참여해 36.75%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찬성률은 78.58%(3만4725명)였다. 이에 따라 주민투표법이 정한 개표 기준인 투표율 33.3%와 과반 찬성 요건을 충족해 두 자치단체 간 행정구역 통합이 결정됐다.2) 통합 청주시는 2014년 7월1일 공식 출범하게 된다.

    1)청주‧청원 통합투표‧찬‧반‧입장은? 충북일보, 2012년 6월 19일 ◇통합 찬성 측의 주장-△중부권 최고의 핵심도시로의 비상 △통합시민들의 세금 부담은 줄고 혜택은 늘어남 △중복투자‧개발로 인한 예산절감으로 주민복지서비스 강화 △광역도시계획 수립과 추진에 따른 지역개발 촉진 ◇통합 반대 측의 주장-△청주시 부채를 청원군민들이 추가 부담 △심각한 공동화 현상 유발 △버스요금 단일화의 허구성 △행정 처리지연‧지방의원 불이익 발생  2)청주시는 주민투표 없이 2012년 6월 21일 시의회 만장일치 의결로 먼저 통합 의사를 확인했다. 이로써 두 자치단체는 미군정 치하였던 1946년 6월 1일 청주군이 청원군과 청주시로 나뉜 이후 66년 만에 다시 하나로 통합되게 됐다. 주민투표를 통해 기초자치단체끼리 행정구역을 통합한 것은 2004년 주민투표법 제정 이래 처음이다. 두 자치단체가 통합돼 새롭게 출범하는 통합 청주시의 인구는 83만명에 달해 인구규모에서 기초자치단체 중 7위가 된다. 동일 생활권인 청주시와 청원군은 1994년(1차), 2005년(2차), 2010년(3차) 세 차례 통합을 추진했으나 청원군민들과 군의회의 반대로 뜻을 이루지 못한 바 있으며 이번 4번째 시도로 두 자치단체의 통합이 성사됐다. 달걀 노른자위(청주)와 흰자위(청원) 형태인 이들 시‧군은 역사적으로 한 뿌리면서 동일 생활권에 속해있다. 청원군의 군청을 비롯한 20여 개 주요 행정기관이 모두 청주 시내에 위치해 있다.

    2. 문헌연구

       1) 시민저널리즘의 시작과 의미

    시민저널리즘(civic journalism)3)은 미국 조지아 주 콜럼버스의 지역신문 Ledger-Enquirer가 지난 1988년 초반 공동체 발전을 위한 의미있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시작됐다(Rosen, 1991). 5만천부를 발행하는 이 신문의 수석편집자잭 스위프트(Jack Swift)는 신문은 공동체에 깊은 관심을 가져야하며 필요할 경우 직접 나서 변화를 도모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Columbus Beyond 2000: Agenda for Progress라는 7부작 시리즈를 기획했다(Shepard, 1994). 13개월의 준비기간을 거친 이 시리즈물은 18만 콜럼버스 시민들이 향후 삶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조사했다. 당시 콜럼버스 시는 시민의 40%가 기능적으로 문맹이었으며, 무지와 가난이 팽배해 있었고 학교시스템은 인종차별을 용인하는등 전반적으로 극심한 어려움에 처해있었다. 신문은 5천달러의 예산을 들여 411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는 흑인과 백인간의 경제적 기회균등과 시 공원의 문제점에 대한 내용을 주로 다루었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빌리 윈(Billy Winn) 수석기자는 이후 공동체가 직면해 있는 문제가 무엇인지를 조사하기 위해 시민들을 대상으로 주관적인 관점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기도 했다. 이 기획 시리즈는 시가 직면해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민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학교예산증액, 공항확장, 수력발전소 정비와 같은 생활기반시설 개선과 실행 의제를 제시했다. 특히 잭 스위프트는 타운미팅을 보도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를 직접 후원하기도 했다.

    선거보도 문제와 관련된 시민저널리즘의 실행은 캔사스주 위치타 이글(The Wichita Eagle)의 데이비스 메리트(Davis Merritt)에 의해 시도됐다(이종수․김정기, 1997). 선거과정에서 언론이 유권자의 의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간주한 메리트는 1990년 주지사선거 보도에서 지역 주민들과 직접 관련 있는 이슈에 초점을 맞추고자 했다(Merritt, 1995; 김정기, 2004에서 재인용). 선거기획보도를 통해 유권자들에게 주지사선거와 관련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12개의 이슈를 선택하게 해 이 이슈들을 후보자들이 토론하게 한 후 그 내용을 보도했다. 이는 시민들로 부터 선거 이슈를 수집해 이를 집중보도함으로써 후보자들이 시민들의 관심사항을 공약에 반영하게 하고 시민들을 선거에 적극 참여하게 하려는 의도였다. 또한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샬롯 옵저버(The Charlotte Observer)는 선거보도에서 후보들의 캠페인 전략과 여론조작에 대한 보도를 줄이고 여론조사를 통해 유권자들이 관심있어 하는 경제와 세금, 범죄와 마약, 의료보험, 교육, 환경, 가족 등 지역사회의 주요 이슈를 선정해 보도 했다(김정기, 2004).

    이같은 노력을 통해 시민저널리즘은 기존 저널리즘과 논쟁을 벌이면서 다른 언론사로 확대됐다. 1990년대를 거쳐 2000년대 초반까지 미국에서 650여개 언론사가 시민저널리즘 프로젝트에 참여했는데(김정기, 2004) 참여 언론사의 대부분은 신문사였지만(Arant & Meyer, 1998) 다수의 민영 및 공영 텔레비전과 라디오도 이같은 언론개혁운동에 동참했다(Dinges, 2000; Potter & Kurpius, 2000). 2001년 미국에서 2만부 이상을 발행하는 전국의 일간지를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에 따르면 66응 제%가 시민저널리즘 혹은 이와 유사한 철학이나 수단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Campaign Study Group, 2001; Nip, 2006에서 재인용). 특히 시민저널리즘은 이후 미국 외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남미 지역의 국가들로 확산돼 갔다(Haas, 2006).

    이처럼 시민저널리즘은 애초 미국에서 언론인과 언론사, 주민과 지역공동체, 시민과 공공사안 간에 존재하는 심각한 간극에 대한 우려와 관련된 언론 개혁운동 차원에서 시작됐으며, 공공생활(public life)의 쇠퇴와 기존 저널리즘에 대한 회의 및 비판의식과 관련 있다. 특히 지난 1988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후보 진영 간 비방과 모략이 주를 이루었지만 언론은 이를 제대로 걸러내지 못했음은 물론 시민들의 요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즉 시민저널리즘 주창자들에 따르면 언론은 공공활동이 원활하게 돌아가도록 하는데 도움을 줘야함에도 불구하고(Rosen et al.,1997).선거보도 과정에서 맡은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함으로써 민주주의에 대한 회의와 언론에 대한 불신이 초래됐다는 인식이 확산됐다. 이러한 시각은 지난 1947년 허친스 위원회(Hutchins Commission)가 언론의 사회적 책임을 요구한 바 있지만 오늘날 미국 언론은 여전히 그 책무를 다하지 못함으로써 민주주의, 공동체, 그리고 언론이 위기에 처하게 됐다는 인식에 기초하고 있다(Massey, 1998).

    기존 언론의 보도관행에 대한 변화요구와 언론계의 자기성찰이 시민저널리즘의 태동으로 이어진 셈이다(Merritt, 1995). 시민저널리즘 주창자들은 미국 사회가 직면해 있는 문제의 일부는 언론 탓이며 언론은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일정 몫을 담당해야 한다고 간주했다(Heikkila & Kunelius, 1996). 즉 시민 저널리즘은 시민들이 공적 삶에 다시 참여토록 하는 보다 좋은 언론보도의 방안을 창조하고 정교화하는 일에 언론이 적극적으로 나서야한다고 보았다(about the pewcenter, www.pewcenter.org, 2013). 이 같은 형태의 언론개혁운동은 뉴저널리즘, 탐사저널리즘, 정밀저널리즘 등 이전의 저널리즘 운동과 달리 저널리즘의 기법뿐만 아니라 태도에 도전하고 있다(Heikkila & Kunelius, 1996). 즉 기존 언론의 새로운 관행을 구축하려는 기술적 시도가 아니라 공적 삶에 공중의 참여를 촉진시킴으로써 공동체 네트워크를 강화하는데 있어 언론의 역할을 강조 한다. 시민저널리즘 운동의 궁극적 목표는 미국에서 공민으로서 시민의 삶에 다시 활력을 불어넣어(Massey & Haas, 2002) 공공 토론과 공중의 민주적 참여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언론이 담당하는 것이다(Glasser, 1999). 따라서 시민저널리즘을 실천하고자 하는 언론은 선거기간동안 후보의 의제보다는 시민이 관심 갖는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보도해야 한다(Haas, 2006). 언론은 시민을 방관자가 아닌 공적 문제에 대한 참여자로 인식해 공적 담론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보는 셈이다.

    선거에서 시민저널리즘은 시민이 관심 갖는 의제의 보도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데(Haas, 2006), 시민의 관심사항은 설문조사, 포커스그룹토론, 심층인터뷰, 시민의 질문에 대한 후보자의 답변 보도하기, 타운홀미팅을 통한 시민-후보자 간 실질적 상호작용 촉진하기, 이런 형태의 시민-후보자 간 만남의 결과 보도하기 등의 노력을 통해 발굴할 수 있다. 즉 시민언론은 공동체 포럼과라운드테이블과 같은 시민 숙의와 행동을 위한 공간을 조직해 시민들이 의견을 제시하고 토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문제와 관련해 시민들이 실행할 수 있는 사항을 구체화함은 물론 이들 문제를 지속적으로 보도해야 한다(Haas, 2003).

       2) 시민저널리즘의 위기와 가능성

    지난 1990년대 이후 시민저널리즘은 이론과 실행 측면에서 공격을 받는 등 한 때 위기를 맞기도 했다(Corrigan, 1999; Glasser, 1999 ;Witt, 2004). The Pew Center for Civic Journalism이 폐쇄됐음은 물론 관련기구와 시민저널리즘 프로젝트 및 워크샵을 후원하는 수백만 달러 규모의 기금이 폐지되기도 했다. 일부 연구자들은 시민저널리즘은 당초 목표했던 민주주의 이상을 성취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하기도 했다(Haas, 2007b). 특히 엑스터로위즈와 동료들(Eksterowicz, Roberts, & Clark, 1998)은 시민저널리즘의 목표가 달성됐는지 여부에 대한 실증적 증거는 단편적이고 막연한 것으로 지적했다. 또한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시민저널리즘을 평가한 연구에 따르면(Massey & Haas, 2002) 시민저널리즘과 전통저널리즘에 대한 언론인들의 인식과 태도는 그들의 마음 속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공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매시와 하스(Massey & Haas, 2002)는 시민저널리즘의 철학과 실행은 언론인은 물론 뉴스 이용자인 시민들의 태도와 신념, 행위에 제한적인 영향 밖에 미치지 못했다는 견해를 제시하기도 했다. 매시와 하스는 철학과 실행 차원에서 언론인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언론인들의 태도가 뉴스 이용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의 관점에서 보면 시민저널리즘과 전통저널리즘은 크게 다를 게 없다고 주장했다. 시민저널리즘을 실천한다고 하는 언론도 선거보도에서 엘리트 뉴스원을 종종 인용하는데 이는 언론사의 경제적 측면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기자는 취재보도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접근하기 쉬운 후보자나 정치인, 전문가를 인용하는 것이 시간과 노력을 덜 수 있으며 이는 회사의 비용과 연관된 문제라고 생각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시민저널리즘은 선거보도에서 하의상달(bottom-up)보다는 상의하달식(top-down) 의제설정 역할을 하는 전통적 관행에서 자유롭지 못한 셈이다. 매시와 하스는 또한 시민저널리즘은 언론인들이 사용하는 취재보도 활동을 위한 하나의 도구일 뿐이라는 견해를 제시했다. 즉 언론인들은 시민저널리즘과 전통저널리즘을 각기 다른 성격의 취재보도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도구적 수단으로 인식할 뿐이라는 것이다. 시민저널리즘이든 전통저널리즘이든 언론인들은 직업적 실용성의 측면에서 주어진 상황에서 가장 적합한 수단을 활용할 뿐이라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전통 저널리즘이 공공의 삶과 민주주의를 위협하고 시민저널리즘이 이를 개선할 수 있다’는 취지의 시민저널리즘 운동은 언론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 셈이다(Massey & Haas, 2002). 또한 학자들은 민주주의 과정에 시민을 더욱 적극적으로 의미있게 연루시키고자하는 시민저널리즘의 목표는 다양한 국가에서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지만 시민저널리즘과 관련된 구체적 실행은 특정 국가나 지역의 특성에 맞게 상당부분 수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Gunaratne, 1998; Pauly, 1999; Richards, 2000). 미국에서 의미있는 결과를 보인 시민저널리즘 실행방식이 세계의 다양한 국가에서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지는 의문인 셈이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학자와 언론인들은 시민저널리즘 운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레너드 위트(Leonard Witt)는 특히 “시민저널리즘은 여전히 존재 이유가 있고 언론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그 정신은 언론계에 여전히 유효하고 앞으로도 널리 전파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www.journalist.or.kr., 2007년 11월 21일). 위트는 특히 “현재의 시민저널리즘은 미완성 단계이며 앞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주류 언론에 대항하는 시민저널리즘의 입지를 강화함으로써 저널리즘 개혁운동에 활력을 불어넣는 차원에서도 시민저널리즘의 중요성에 대한 주장과 체계적인 연구가 다양하게 수행돼왔다. 시민저널리즘의 영향력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보인 연구자들도 시민저널리즘은 언론의 역할과 책임문제에 대한 토론을 점화시키는 등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보았다(Massey & Hass, 2002). 하스(2006)는 특히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유럽,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사례 연구를 통해 시민저널리즘의 실천은 이제 세계적 현상으로 확산되고 있다고 보았다. 그는 미국에서 실행된 시민저널리즘은 미국과 정치제도 및 언론 전통이 크게 다른 나라의 언론사에도 적용될 수 있을 정도로 유연성이 있다고 밝혔다. 하스는 이어 크리스찬스와 노르덴스트렝(Christians & Nordenstreng, 2004)을 인용하면서 뉴스 매체의 상업화가 지속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언론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이상(ideal)이 세계 각국에서 강력하게 성장하고 있는 시민저널리즘 운동을 통해 새로운 활력을 찾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증적 연구가 처음 수행된 1990년대 중반 이후 미국에서 시민저널리즘에 대해 80여 편의 연구가 수행됐으며 그 외 국가에서도 많은 연구가 수행됐다(Haas, 2007a). 시민저널리즘이 공중과 언론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긍정적 연구들이 존재한다(Witt, 2004). 예를 들어 시민저널리즘 신문인 데모크랫(Democrat, 미국 플로리다 주 탈라하시(Tallahassee) 소재)의 일반시민 인용정도를 시민저널리즘 도입 이전의 데모크랫 및 기존 전통신문과 비교한 연구에 따르면(Massey, 1998) 시민저널리즘을 채택한 후 데모크랫에서 인용된 일반 시민의 비중은 엘리트 취재원과 수적으로 거의 동등한 수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저널리즘을 도입한 이후 데모크랫에서 일반시민의 인용빈도가 증가하진 않았지만 엘리트층의 인용빈도가 줄어들어 균형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47건의 평가논문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Massey & Haas, 2002) 시민저널리즘을 채택한 언론은 선거보도에서 경마저널리즘식 여론조사를 덜 보도하고 정책이슈를 더 많이 보도하는 등 전반적으로 시민저널리즘의 목표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국 전역에서 시민참여 뉴스룸(participating newsrooms) 프로젝트를 채택한 신문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 의하면 시민저널리즘은 여러 측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몰고 온 것으로 밝혀졌다(Friedland & Nichols, 2004). 우선 시민저널리즘 프로젝트는 시민들에게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informing) 공적 사안에 대해 지각하게 하는(awareness) 효과가 있었다. 이외에도 공적 행사 소집 등 공동체 내의 숙의과정(public deliberative process)을 개선시키고 다른 신문사나 방송사의 시민저널리즘 참여를 증진시켰으며 학교를 포함한 교육기관은 교육적 차원에서 관심을 갖고 참여하기도 했다. 또한 긍정적인 독자 반응을 이끌어냄은 물론 시민들로 하여금 투표에 대한 정보를 더 많이 알게 하고 선거 후보자들의 토론에 더 많이 참여하고 선출직에 도전하는 등 공적 숙의과정에 연루되면서 공동체의 삶을 변화시키는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시민으로서의 능력(civic skills)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민저널리즘은 공동체에 영향을 미치는 공공정책을 변화시켰으며 저널리즘 활동을 향상시키고 공동체 삶의 문제를 해결하고 개선시키는데 필요한 새로운 공동체기구를 탄생시키고 자원봉사활동을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3) 시민저널리즘에 관한 국내 연구들

    우리나라 언론인들은 시민저널리즘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 언론보도에서는 시민저널리즘의 가치가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언론인들은 전반적으로 시민저널리즘이 언론의 독립성을 침해하지 않고 시민중심‧이슈중심의 보도로 사회의 다양한 목소리를 담아낼 수 있으므로 시민저널리즘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김흥규‧황온중, 2008). 또한 지역 언론인들은 시민저널리즘에 대해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으며 92.3%가 시민저널리즘의 도입이 지역 언론의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보는 등 시민저널리즘 기법을 도입하는 문제에 대해 상당히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정원영, 2006). 전북지역기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설문조사에 따르면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김은규, 2010). 김은규에 따르면 시민저널리즘은 시민 및 지역사회의제 설정, 다양한 의견수렴, 시민과의 상호 소통, 전문성 강화라는 장점을 제공한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민저널리즘의 접목이 지역신문의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김은규는 우리나라 시민저널리즘의 특징인 시민기자제도 중심의 시민저널리즘 실천을 뉴스룸 확장 모델로 보고, 지역신문 기자들은 시민저널리즘에 대해 시민 및 지역사회의 의제설정, 다양한 의견 수렴, 시민과의 소통, 전문성 강화의 장점이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자들은 이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시민저널리즘의 접목은 지역신문의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기자들의 긍정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실제 보도에서 시민저널리즘의 가치는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윤환‧최영, 2008). 지난 2007년 경기도 하남시에서 추진됐던 주민소환제에 대한 보도를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지역 언론은 이념적으로 밀접한 공통점을 가진 주민소환제에 대한 보도임에도 불구하고 시민저널리즘(civic journalism)이 지향하는 가치를 제대로 구현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은바 있다(김윤환‧최영, 2008). 해당 지역일간지들의 기사를 분석한 결과, 민주주의 가치의 고양과 구현, 정보의 공유와 참여의 확대, 현상 진단과 발전적 대안 모색 등의 측면에서 시민저널리즘의 가치 구현 정도는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두 연구자는 시민저널리즘과 밀접한 이념적 공통성을 가진 주민소환제에 대한 보도임에도 불구하고 시민저널리즘이 지향하는 가치가 제대로 구현되지 못한 것으로 보아 여타 일반적 사안에 대한 보도에서 시민저널리즘의 가치구현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측했다. 지난 1998년과 2002년의 지방선거 보도 분석을 통해 시민저널리즘에서 지향하는 하의상달식 의제설정이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시민 취재원보다는 엘리트 취재원 중심의 상의하달식 의제와 내용 위주로 선거보도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김정기, 2004).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1998년 선거보도에 비해 2002년 선거보도에서는 엘리트 취재원의 인용빈도, 정보인용, 정보활용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온라인 신문의 시민저널리즘 가치 구현 정도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엇갈리고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신문기사에 시민저널리즘의 일상적 실천에 초점을 맞춘 기사가 얼마나 내재해있는지를 고찰한 연구는 시민저널리즘의 실천은 그다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 인쇄신문과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최영, 2002). 또한 시민기자제를 도입하고 있는 인터넷 신문은 그렇지 않은 인터넷신문에 비해 시민저널리즘의 실천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긴 하지만 전반적인 시민저널리즘 실천 정도는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김병철‧최영, 2004). 반면 다른 연구자들은 온라인 시민저널리즘은 객관적 보도를 최고의 가치로 인정하지 않고 이슈에 대해 주관적인 보도와 분석을 한다는 점에서 전문적 저널리즘과 큰 차이를 보인다고 주장했다(정회경‧김사승, 2007). 또한 온라인 신문의 기획기사를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기존 신문에 비해 온라인 신문에서는 일반 시민의 목소리가 상대적으로 자주 다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윤태진‧강내원, 2001). 온라인 매체의 시민저널리즘 가치 구현 노력이 다소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지만 매스 미디어 시대의 지배적 관행이었던 객관보도 양식이 줄어들고, 세분화된 독자들의 니즈(needs)에 부합하는 개입적 보도 양식이 나타나는등 온라인 저널리즘 환경에서 기존 보도 스타일이 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윤영철, 2001).

       4) 주요변인과 연구문제

    (1) 취재원의 현저성

    취재원 현저성은 취재원의 인용빈도 및 위치와 관련 있다. 엘리트 취재원에 비해 일반시민 취재원이 기사 내에서 얼마나 자주 인용되는지, 얼마나 기사의 앞부분에 위치하는지를 분석했다. 특정 취재원이 상대적으로 기사의 앞부분에서 인용되거나 자주 인용된다는 것은 해당 기자가 그 취재원의 정보가 상대적으로 뉴스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Stempel & Culbertson, 1984; Hallin, Manoff, & Weddle, 1993). 따라서 특정 취재원이 기사 내에서 상대적으로 자주 인용되거나 앞부분에 위치할수록 현저성이 높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취재원의 인용 빈도는 언급된 취재원의 수를 합해서 계산했다. 동일한 취재원을 연속해서 인용하면 단일의 취재원으로 간주했으며, 한 문장에서 복수의 취재원이 등장하는 경우(예를 들어, 청주시와 청원군에 따르면∼) 해당 수만큼의 취재원으로 처리했다(김재영, 2006). 하지만 취재원이 집단으로 등장하는 경우(예를 들어, 시의원 00명이 공동기자회견을∼)는 단일의 취재원으로 간주했다. 직접 인용부호가 표기된 형태로 인용되거나 ∼에 따르면, ∼에 의하면 형태를 취하는 경우 취재원으로 간주됐다. 하지만 간접인용부호가 표기된 인용이나 인물에 대한 설명 혹은 주체의 행위에 대한 서술(새누리당은 ∼며 한목 소리를 냈다, 청주시의회는 ∼를 결정할 예정이다)의 경우 그 주체를 취재원으로 간주하지 않았다(김재영, 2006).

    취재원의 위치는 기사 전체를 구성하는 단락을 3개의 블록으로 나누어 구분했다(Massey, 1998). 예를 들어 9개의 단락으로 구성된 기사는 3개의 블록으로 나누었으며 10개의 단락으로 구성된 기사는 첫 블록 3개 단락, 두 번째 블록 3개 단락, 그리고 세번째 블록은 4개의 단락으로 구성했다. 8개 단락으로 구성된 기사는 첫 블록 3개 단락, 두 번째 블록 3개 단락, 세 번째 블록 2개의 단락으로 구성했다. 취재원이 처음 인용되는 블록을 기준으로 취재원의 위치를 판단했다.

    (2) 취재원의 지배성

    취재원의 기사 내 지배성은 해당 취재원으로부터 인용된 기사의 행수가 기사 내에서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는 지와 관련 있다(Hallin, Manoff, & Weddle, 1993; Massey, 1998). 특히 취재원의 의견을 직접 인용해 독자에게 그대로 전달한다는 것은 기자는 그 취재원의 정보가 뉴스 가치가 높기 때문에 해당 기사를 지배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의미한다(Massey, 1998). 직접 인용된 기사의 양은 직접 따옴표로 인용된 취재원의 발언을 의미하며 이는 기사 내 직접인용 기사의 행수를 합한 결과 이다. 인용의 끝부분에서 온전한 행(16센티미터)의 절반(8센티미터) 이상 이면 1행으로, 그렇지 못하면(8센티미터 미만) 절삭했다. 이와 관련,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가 제기됐다.

    (3) 필진유형

    시민저널리즘의 민주화 요소는 지역 기사가 지역기자와 언론사 내부 필진에 의해 작성되었는지 여부와도 관련된다. 즉 지역 뉴스는 통신이나 관급기사등 외부기사에 의존하지 않고 해당 지역 언론사의 내부 필진에 의해 작성되도록 함으로써 관련기사를 심도있게 다루어야 한다(최영‧김춘식‧바넷, 2004). 한편 국내지역신문의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인식과 실천 형태는 시민기자제에 집중돼있는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은규, 2010). 미국의 시민저널리즘이 시민회의, 공청회, 원탁토론, 타운홀 미팅 등 ‘숙의적 포럼’ 모델에 초점을 두고 있는 반면 시민기자제에 기초한 우리나라의 시민저널리즘은 ‘뉴스룸 확장 모델’인 셈이다. 따라서 시민기자는 내부필진에 포함시켰다.

    (4) 이슈관련 정보제공

    시민저널리즘은 시민취재원을 통해 그들의 욕구와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취재방식과 더불어 그들의 목소리를 기사에 반영하기 위한 설명형 기사프레임의 도입을 중요한 요소로 간주하고 있다. 지난 1990년 미국에서 실시된 시민저널리즘의 성과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시민저널리즘 프로젝트에 참여한 96%의 언론이 설명형(explanatory) 기사프레임을 채택한 것으로 나타났다(Freidland & Nichols, 2002). 이는 이슈에 대한 갈등적 구성보다는 이슈에 대해 심층적이고 복합적으로 탐색해 독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이 주를 이룬다. 이같은 설명형 기사프레임은 시민저널리즘의 핵심적 구성요소 중 하나인 이슈관련 정보제공 여부와 관련 있다(김윤환‧최영,2008; 최영, 2002). 이는 해당 이슈가 왜 그리고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알려주기 위한 맥락의 틀을 제공함으로써 특정 문제의 근저에 깔려 있는 원인과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하는 요소다. 이는 고립되고 파편화된 내용 이상의 것을 의미한다. 만약 보도가 개별적인 문제와 그것을 야기하는 사회적 원인을 규명하지 못하면 그것은 단지 공공담론의 주변화 정도의 가치 밖에 지니지 못한다(Iyengar, 1991; 최영 2006에서 재인용). 따라서 언론은 특정 문제의 근저에 깔려 있는 원인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해당 이슈와 관련된 구체적인 정보를 심도있게 제공해야 한다. 즉 기사는 이슈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왜’ 그리고 ‘어떻게’의 요소를 담아 맥락적 틀을 제공하는 심층적 이슈관련 정보(thematic information)를 제공해야 한다. 이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기사가 이슈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심층적 기사인지 일회성 기사인지를 분석했다.

    (5) 커뮤니케이션 기제

    시민저널리즘의 기본적인 목표는 공공 문제에 대한 시민의 참여를 활성화함으로써 공공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Coleman, 2000). 따라서 시민저널리즘은 핵심적 구성요소 중 하나인 체계적인 커뮤니케이션 기제를 제공해야 한다(김윤환‧최영, 2008; 최영, 2002). 언론은 독자와 신뢰할 수 있는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최영, 2002). 즉 독자들이 공공 문제와 관련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공간을 마련하는 것은 물론 그 공간에서 그들이 민주주의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커뮤니케이션 기제를 제공해야 한다. 일반적인 커뮤니케이션 기제는 이메일, 여론조사, 포커스그룹, 타운홀미팅, 공개포럼 등이 있다. 커뮤니케이션 기제에 대한 예비조사를 수행한 결과 분석대상 기사는 주로 이메일, 여론조사 등 일부 기제만을 채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따라서 본 연구는 이 항목과 관련, 이메일주소, 여론조사, 기제 없음 등으로 구분했다.

    3)시민저널리즘과 유사한 맥락의 다양한 용어가 존재하는데 니프(Nip, 2006)는 기존 전통저널리즘(traditional journalism)과 구분하기 위해 수용자의 참여형태나 참여정도 측면에서 공공저널리즘(public journalism), 상호작용저널리즘(interactive journalism), 참여저널리즘(participatory journalism), 시민개인저널리즘(citizen journalism)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하지만 Tanni Haas(Civic Mapping as a Public Journalism Tool, 2008)와 Leonard Witt(Is Public Journalism Morphing into the Pblic's Journalism?, 2004)은 public과 civic 이라는 용어를 동일하게 취급하고 있다. Massy & Haas(Does Making Journalism More Public Make a Difference?: A Critical Review of Evaluative Research on Public Journalism, 2002)도 미국의 언론개혁운동에 대해"public", "civic";, 또는 "citizen-based"로 표현함으로써 public과 civic 용어를 굳이 구분하지 않고 있다. 국내 문헌들도 전반적으로 공공저널리즘과 시민저널리즘을 동일시하고 있으며 참여저널리즘(participatory journalism)과 시민개인저널리즘(citizen journalism) 등을 넓은 의미에서 시민저널리즘에 포함시켜도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시민저널리즘이라는 용어를 채택했다.  4)하남시에서 행해진 주민소환제 관련 보도의 시민저널리즘 가치 구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한 김윤환과 최영 역시 광주/하남지역 언론이 채택한 커뮤니케이션 기제는 대부분 이메일 주소에 집중돼 있었으며(88.7%) 여론조사(2.8%)와 공공포럼(1.8%), 인터넷카페(0.3%)가 일부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혔다. 특히 커뮤니케이션 기제를 전혀 활용하지 않는 기사의 비중이 11%를 차지했다.

    3. 방법론

       1) 분석대상 및 신뢰도 분석

    청주‧청원 통합 결정을 위한 청원군 주민투표는 지난 2012년 6월 27일 실시됐다. 청주‧청원행정구역 통합 관련 기사를 검색하기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의 DB(www.mediagaon.or.kr)에 등재된 지역종합일간지 중 충북에서 발행되는 중부매일과 충북일보를 대상으로 ‘청주청원통합’이라는 키워드 검색을 통해 2012년 6월 6일에서 6월 28일까지 약 3주간의 기사를 검색했다. ‘청주청원통합’이라는 키워드 검색을 통해 추출된 총 151건(중부매일 57, 충북일보 94건)의 기사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단순 사진기사는 배제됐다.

    코딩은 본 연구자와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석사과정에 재학중인 학생이 담당했다. 대학원생 코더는 실제 코딩을 실시하기 전 본 연구의 취지와 특성을 충분히 숙지하는 교육을 받았다. 코더간 신뢰도 측정은 내용분석연구의 코더간 신뢰도 측정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홀스티(Holsti, 1969) 방식을 이용했다. 중부매일과 충북일보 전체 기사의 약 10%에 해당하는 15개의 기사를 대상으로 엘리트 취재원과 시민 취재원 구분 및 이슈관련 정보 구분 빈도의 신뢰도는 각각 87%와 80%였다. 엘리트 취재원과 시민취재원의 위치 변인, 엘리트 취재원과 시민취재원 기사행수, 엘리트와 시민 취재원의 직접인용 빈도, 필진유형, 커뮤니케이션 기제 유형에 대한 신뢰도 측정은 명백한 결과가 나올 것으로 간주돼 실행되지 않았다.

       2) 취재원의 정의 및 구분

    우선 기사 내에서 인용된 취재원의 유형이 일반시민인지 엘리트인지를 분석했다. 일반시민과 엘리트 취재원의 구분은 일반적으로 기관 소속 여부 혹은직위 유무의 기준에 따랐다(김정기, 2004; Hansen, Ward, Conners, & Neuzil, 1994). 일반시민 취재원은 주로 알려지지 않은 공무원, 알려지지 않은 교도관, 알려지지 않은 교육자, 비정부시민단체(원), 개인 사업가, 그리고 기관에 소속 되지 않은 시민 등이 해당된다(Lasora & Reese, 1990; Massey, 1998). 이같은 분류 기준과 함께 예비조사에서 거의 등장하지 않은 알려지지 않은 공무원, 알려지지 않은 교도관, 알려지지 않은 교육자는 취재원 유형에서 제외됐으며 찬성과 반대 단체 및 단체원을 일반시민 취재원의 유형에 포함시켰다. 최종적으로 일반시민 취재원 유형은 비정부시민단체(원), 개인사업가(자영업자), 기관에 소속 되지 않은 시민, 찬성단체(원), 그리고 반대단체(원) 등 5가지로 결정됐다(<표 1> 참고).

    [<표 1>] 일반시민 취재원과 엘리트 취재원

    label

    일반시민 취재원과 엘리트 취재원

    일반적으로 엘리트 취재원은 알려진 공무원, 알려진 교도관, 알려진 교육자, 개인기업가(간부), 전문직 종사자, 그리고 기관에 소속된 시민 등이 해당된다(Lasora & Reese, 1990; Massey, 1998). 예비조사를 통해 거의 인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 알려진 교도관과 교육자는 제외됐으며 알려진 공무원과 기관에 소속된 시민은 공공기관(원), 국회의원, 지역의원 등으로 재정의 됐다. 최종적으로 엘리트 취재원은 개인기업가(간부), 전문직 종사자 및 전문가, 공공기관(원), 국회의원, 지역의원 등 5가지로 결정됐다.

    4. 연구결과

       1) 취재원 구성 요소의 인용빈도

    (1) 일반시민 취재원

    우선 일반시민 취재원과 엘리트 취재원의 하위 구성요소의 인용빈도는 각각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시민취재원은 시민단체, 개인사업가, 기관 소속없는 시민, 찬성단체, 그리고 반대단체 등으로 구성됐다. 아래 <표2>에서 보듯이 행정구역통합에 대한 찬성단체와 반대단체의 인용빈도가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찬성단체의 경우 기사에서 최소 1회 이상 인용된 경우가 26건이었으며 반대단체는 16건 이었다. 반대단체보다는 찬성단체를 더 자주 인용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두 자치단체 통합에 찬성하는 지역의 전반적인 여론과 관련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시민단체가 기사 내에서 인용된 횟수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시민단체가 최소 1번 이상 인용한 기사는 12건에 불과했다. 개인사업가 역시 거의 존재감이 없었으며 기관에 소속되지 않은 시민이 기사에서 1회 인용된 경우가 5건, 2회와 4회 인용이 각각 1건이었다. 결론적으로 지역 언론은 시민단체나 기관에 소속되지 않은 일반시민, 개인사업가 등을 취재원으로 적극적으로 인용하지 못했으며, 일반시민 취재원중 찬성단체와 반대단체를 상대적으로 많이 인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일반시민취재원 구성요소의 인용 빈도

    label

    일반시민취재원 구성요소의 인용 빈도

    (2) 엘리트 취재원

    엘리트 취재원은 개인기업가, 전문직종사자, 공공기관, 국회의원, 그리고 지역의원 등으로 구성됐다. <표 3>에서 보듯이 공공기관의 인용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소 1회 이상 인용된 기사는 총 72건에 달했다. 2회 인용된 기사가 16건, 3회 인용된 기사가 7건, 심지어 4회와 5회가 각각 5건과 1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개인기업가와 전문직종사자, 국회의원, 지역의원이 인용된 기사는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기업가와 전문직종사자를 최소 1회 이상 인용한 기사는 각각 12건과 5건이었다. 국회의원과 지역 의원을 1회 이상 인용한 기사는 각각 6건과 3건이었다. 청주‧청원 행정구역 통합과 관련된 쟁점을 다루는 지역언론은 공공기관(원)을 엘리트 취재원으로 가장 빈번히 인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 엘리트취재원 구성요소의 인용빈도

    label

    엘리트취재원 구성요소의 인용빈도

       2) 연구문제 분석

    (1) 연구문제 1

    연구문제1은 엘리트 취재원과 일반시민 취재원이 기사 내에서 차지하는 현저성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관한 내용이었다. 이와 관련, 연구문제1-1은 엘리트 및 시민 취재원의 기사 내 인용 빈도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지, 신문사별 차이는 존재하는지에 관한 내용이었다. 연구문제 1-2는 엘리트 및 시민 취재원의 기사 내 위치는 어떻게 다른지, 신문사별 차이는 존재하는지에 관한 내용이었다.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신문의 전체 기사 151건 중 엘리트 취재원은 149회(기사 당 평균 0.99회), 일반시민 취재원은 79회(기사 당 평균 0.52회) 인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차이는 대응표본 t-검정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냈다(p=.001). 다시 말해 기사 내에서 엘리트 취재원의 인용 횟수는 일반 시민 취재원의 인용 횟수에 비해 거의 두 배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언론은 청주‧청원 행정구역 통합 및 이와 관련된 주민투표 문제를 보도함에 있어 일반시민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키지 못하는 등 그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겠다. 반면 엘리트 취재원을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시켜 그들의 목소리와 정보를 뉴스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생각됐다. 각 신문사 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충북일보의 엘리트 취재원의 기사 당 인용횟수(0.9회)가 시민 취재원의 기사 당 인용횟수(0.45회)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3). 중부매일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4>] 엘리트 v. 일반시민 취재원 수 비교

    label

    엘리트 v. 일반시민 취재원 수 비교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엘리트 취재원과 시민취재원의 기사 내 위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같은 결과는 지역 언론이 해당 쟁점을 다룸에 있어 엘리트 취재원이나 시민 취재원의 기사 내 위치를 그다지 중요하게 여기지 않거나 기사작성 관행에 따라 적절한 시점에 취재원을 위치시키는 것으로 생각됐다.

    [<표 5>] 엘리트 v. 일반시민 취재원 위치 비교

    label

    엘리트 v. 일반시민 취재원 위치 비교

    (2) 연구문제2

    연구문제2는 엘리트 취재원과 일반시민 취재원이 기사 내에서 차지하는 지배성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가였다. 즉, 엘리트 및 시민 취재원의 직접인용 기사행수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는가에 관한 내용이었다. <표 6>에서 보듯이 전체 151건의 기사 중 엘리트와 시민 취재원으로부터 직접 인용한 기사는 각각 483행과 289행으로 나타났다. 일반시민 취재원(기사당 평균 1.91행)에 비해 엘리트 취재원의 직접인용 기사 행수(기사당 평균 3.2행)가 많았다(p=.019). 이 같은 결과는 해당 쟁점을 보도한 지역언론은 일반시민 취재원보다는 엘리트 취재원의 의견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직접 인용해 보도함으로써 그들의 의견이 기사의 성향을 지배하도록 하는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생각된다. 충북일보의 보도 패턴 역시 유사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중부매일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표 6>] 엘리트 v. 일반시민 취재원의 직접인용 기사행수 비교

    label

    엘리트 v. 일반시민 취재원의 직접인용 기사행수 비교

    (3) 연구문제 3

    연구문제3은 외부필진(관급기사, 통신기사)과 내부필진(지역기자, 시민기자)에 의한 기사의 빈도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관한 내용이었다. <표7>에서 보듯이 151건의 기사 중 9건을 제외하고 대부분(94%) 내부필진에 의해 작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부매일은 전체 57건의 기사 모두 내부필진에 의해 작성됐으며 충북일보는 94건 중 85건의 기사를 내부필진이 작성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같은 맥락에서 보면 지역 쟁점이 해당지역 언론사의 내부필진에 의해 심도있게 다루어질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것으로 보였다.

    [<표 7>] 필진유형 비교

    label

    필진유형 비교

    (4) 연구문제 4

    연구문제4는 이슈관련 정보제공 여부(심층기사 v. 일회성기사)는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관한 내용이었다. <표8>에서 보듯이 이슈관련 정보제공 여부와 관련해서는 전체기사 151건 중 91건(60.3%)이 일회성 기사였으며 60건(39.7%)이 심층기사로 나타났다. 신문사별로 보면 중부매일은 57건 중 심층기사가 31건(54.4%)으로 일회성기사(26건, 45.6%) 보다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충북일보는 일회성 기사(69.1%)를 훨씬 많이 게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맥락에서 보면 지역언론은 청주‧청원 행정구역 통합 및 주민투표 문제와 관련, 주민들의 욕구와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거나 그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심층적인 설명형 기사를 충분히 제시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겠다. 다시 말해 지역 언론은 해당 쟁점의 근저에 깔려있는 원인과 진행과정에 대한 정보를 담은 심층기사 보다는 갈등적 구성이 주를 이루는 일회성 기사에 치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같은 결과는 연구문제3의 분석과 대조적이었다. 즉 쟁점과 관련된 대부분의 기사가 내부필진에 의해 작성됐지만 지역 쟁점이 심도있는 설명형 기사 형태로 구현되지는 못한 셈이다.

    [<표 8>] 이슈관련정보 제공 기사 수 비교

    label

    이슈관련정보 제공 기사 수 비교

    (5) 연구문제 5

    연구문제5는 어떤 커뮤니케이션 기제가 주로 채택됐는지에 관한 내용이었다. <표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독자와의 커뮤니케이션 기제로는 이메일이 29건(19.2%)의 기사에서, 여론조사는 4건의 기사에서 채택되는데 그쳤다. 전체 151건의 기사 중 118건의 기사에서는 독자와의 커뮤니케이션 기제가 전혀 제시되지 않고 있었다. 커뮤니케이션 기제와 관련, 중부매일과 충북일보 각각의 신문에서도 전반적으로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독자들이 행정구역통합 및 이와 관련된 주민투표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기제는 충분히 다양하게 제공되지 못하고 있었다. 언론은 다양한 공적문제와 관련해 독자 및 시민들과 소통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표 9>] 커뮤니케이션 기제 비교

    label

    커뮤니케이션 기제 비교

    5. 결론

    본 연구는 주민들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된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구역 통합 및 이와 관련된 주민투표 문제를 보도하는 지역 언론이 당사자인 주민들의 관점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해 시민저널리즘 맥락에서 고찰했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충북지역 언론(중부매일과 충북일보)은 청주‧청원 행정 구역 통합과 관련된 쟁점을 보도함에 있어 일반시민 취재원을 적극적으로 채택하지 못하는 등 시민저널리즘의 가치를 구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반시민 취재원 중에서 찬성단체와 반대단체에 편중된 모습을 보인 반면, 시민단체나 개인사업가, 기관에 소속되지 않은 시민 등을 취재원으로 다양하게 활용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엘리트 취재원 중에서는 공공기관이나 기관원의 인용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재원의 현저성과 관련, 기사 내에서 일반시민 취재원의 인용 빈도는 엘리트 취재원의 인용 빈도에 비해 절반 정도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은 청주‧청원 행정구역 통합 문제를 보도함에 있어 일반시민보다는 엘리트 취재원을 주로 활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또 다른 현저성 요인인 취재원의 기사 내 위치와 관련, 엘리트 취재원과 일반시민 취재원의 위치는 거의 대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재원의 지배성과 관련, 엘리트 취재원에 비해 일반시민 취재원의 직접인용 기사 행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은 행정구역 통합문제를 보도함에 있어 일반시민 취재원보다는 엘리트 취재원의 의견을 직접 인용하는 비중을 높여 그들의 목소리가 기사를 지배하도록 하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지역언론은 엘리트 취재원 중에서도 도지사나 시장, 군수 등 공공기관(원)을 가장 빈번히 인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행정구역 통합문제에 있어 시민의 다양한 목소리 보다는 기득권 층인 공공기관(원)의 목소리가 기사의 방향을 지배하도록 허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관련기사는 대부분 내부필진에 의해 작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슈관련 정보제공 여부와 관련해서는 심층기사 보다는 일회성 기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자와의 커뮤니케이션 기제로는 이메일이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문제를 외부필진에 의존하기 보다는 내부필진이 직접 다루었다는 점은 그나마 다행이었다. 하지만 이 역시 심층기사보다는 일회성 기사가 많았다는 점과 독자와의 커뮤니케이션기제가 이메일로 제한돼 있었다는 점을 주목 하면 시민저널리즘 가치구현의 관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보기 힘들었다.

    결론적으로 지난 2012년 주민투표로 결정된 청주시‧청원군의 행정구역 통합과 이에 따른 주민투표 문제와 관련된 지역 언론의 보도는 주민들의 관점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 등 시민저널리즘의 가치를 제대로 구현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지역민의 이해가 첨예하게 갈리는 쟁점에 대해 지역 언론 조차 엘리트 언론의 기존 보도관행을 반복하고 있다는 점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는 관공서 중심의 출입처 제도와 같은 제작관행과 기자들의 보도태도는 물론 지역 특유의 관공서 엘리트주의에서 연유하는 것이기도 하다. 언론은 행정구역 통합 문제와 같은 공적 문제를 다룸에 있어 주민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함으로써 그들의 숙의와 참여를 촉진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게 함으로써 공동체 내 주민의 공적 생활이 강화되고 궁극적으로 민주주의가 더욱 성숙되는 계기를 마련해야 한다. 이같은 언론의 사회적 책임 구현은 공동체와 민주주의 강화는 물론 위기를 맞고 있는 언론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기존 신문에 비해 온라인 매체에서 일반 시민의 목소리가 상대적으로 부각되는 등 시민저널리즘의 가치가 구현되는 것으로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평가되고 있다. 특히 온라인 신문에서는 매스 미디어 시대의 지배적 관행이었던 객관보도 양식이 줄어드는 등 기존 보도 스타일이 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처럼 시민 저널리즘은 시민의 접근이 용이한 온라인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특성이 있음을 감안해 향후연구에서는 온라인 신문의 해당지역 판이나 시민단체 홈페이지의 게시판, 포털의 토론방 등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이다. 이같은 점에 주목해 행정구역통합이나 지방선거, 여타 주요 쟁점과 관련, 온라인 매체와 기존 신문의 보도양상을 시민저널리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는 언론의 보도 관행 중 취재원 활용 양태만을 분석함으로써 시민저널리즘 가치의 실천 여부를 평가하는데 있어 한계점이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지역 쟁점에 대한 언론의 다양한 보도관행과 이에 따른 여론형성 및 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시민저널리즘 실천 여부에 대해 보다심도있는 연구가 수행될 필요성이 있다.

참고문헌
  • 1. 김 병철, 최 영 (2004) 시민기자제도 도입에 따른 인터넷 신문의 시민저널리즘 실천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P.45-82 google
  • 2. 김 윤환, 최 영 (2008) 주민소환제 관련 보도의 시민저널리즘 가치구현에 관한 연구: 하남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Vol.8 P.336-366 google
  • 3. 김 은규 (2010) 지역신문 기자들의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대한 연구: 전북지역 일간신문 기자들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Vol.10 P.122-156 google
  • 4. 김 재영 (2006) 취재원 활용 관행의 차이: 조선일보와 옥천신문의 경우. [『한국언론학보』] Vol.50 P.137-161 google
  • 5. 김 정기 (2004) 시민의제 위주의 하의상달식(bottom-up agenda setting) 선거보도 연구: 시민저널리즘의 이슈를 중심으로. [『방송학보』] Vol.18 P.174-216 google
  • 6. 김 흥규, 황 온중 (2008) 시민저널리즘에 대한 언론인 인식유형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P.359-384 google
  • 7. 윤 영철 (2001) 온라인 저널리즘과 뉴스 패러다임의 변화.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P.182-213 google
  • 8. 윤 영철 (1994) 지역이해와 언론: 사익과 공익 명확하게 밝혀야. [『신문과방송』] P.2-6 google
  • 9. 윤 태진, 강 내원 (2001) 온라인 신문에 나타난 공공 저널리즘적 특성에 관한 연구: 조인스닷컴, 인터넷한겨레, 오마이뉴스의 기획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Vol.5 P.59-74 google
  • 10. 이 종수, 김 정기 (1997) 『선거 TV토론과 시민저널리즘』. google
  • 11. 정 원영 (2006) 지방신문의 시민저널리즘 수용에 관한 연구. google
  • 12. 정 회경, 김 사승 (2007) 온라인 시민저널리즘의 뉴스생산양식 특성에 관한 분석. [『한국언론학보』] Vol.51 P.124-152 google
  • 13. 최 영 (2006) 저널리즘 관점에서 본 시민저널리즘. [『언론중재』] P.4-15 google
  • 14. 최 영 (2002) 온라인 신문에서의 시민저널리즘 가능성 연구: 일상적 실천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Vol.46 P.33-63 google
  • 15. 최 영, 김 춘식 (2004) 온라인 시민저널리즘 실천에 관한 한미간 비교연구. [『한국언론학보』] Vol.48 P.110-137 google
  • 16. Arant D., Meyer P. (1998) Public journalism and traditional journalism: A shift in values? [Journal of Mass Media Ethics] Vol.13 P.205-218 google cross ref
  • 17. Christians C., Nordenstreng K. (2004) Social responsibility worldwide. [Journal of Mass Media Ethics] Vol.19 P.3-28 google cross ref
  • 18. Coleman R. (2000) Use of visual communication in public journalism. [Newspaper Research Journal] Vol.21 P.17-37 google
  • 19. Corrigan D. H. (1999) The public journalism movement in America: Evangelists in the newsroom. google
  • 20. Dinges J. (2000) Public journalism and National public radio. In A. Eksterowicz and R. Roberts(Eds.), Public journalism and political knowledge P.91-118 google
  • 21. Eksterowicz A. J., Roberts R., Clark A. (1998) Public journalism and public knowledge. [Harvard International Journal of Press/Politics] Vol.3 P.87 google cross ref
  • 22. Friedland L. A., Nichols S. (2002) Measuring civic journalism's progress: A report across a decade of activity. google
  • 23. Glasser T. L. (1999) The idea of public journalism. google
  • 24. Gunaratne S. (1998) Old wine in a new bottle: Public journalism, developmental journalism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M. Roloff(Ed.) Communication Yearbook 21 P.277-321 google
  • 25. Haas T. (2007a) Public journalism: An agenda for future research. google
  • 26. Haas T. (2007b) The pursuit of public journalism: Theory, practice and criticism. google
  • 27. Haas T. (2006) The practice of public journalism Worldwide: A comprehensive over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Vol.16 P.5-20 google
  • 28. Haas T. (2003) Public journalism. Encyclopedia of International Media and Communications P.617-629 google
  • 29. Hallin D., Manoff R. K., Weddle J. K. (1993) Sourcing Patterns of National Security Reporters. [Journalism Quarterly] Vol.70 P.753-766 google cross ref
  • 30. Hansen K. A., Ward J., Conners J. L., Neuzil M. (1994) Local breaking news: Sources, technology, and news routines. [Journalism Quarterly] Vol.71 P.561-571 google cross ref
  • 31. Heikkila H., Kunelius R. (1996) Public journalism and its problems: A theoretical perspective. [The Public] Vol.3 P.81-95 google
  • 32. Holsti O. (1969) Conten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google
  • 33. Lasora D. L., Reese S. D. (1990) News source use in the crash of 1987: A study of four national media. [Journalism Quarterly] Vol.67 P.60-71 google cross ref
  • 34. Massey B. L. (1998) Civic journalism and nonelite sourcing: Making routine newswork of community connectedness.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75 P.394-407 google cross ref
  • 35. Massey B. L., Haas T. (2002) Does making journalism more public make a difference? A critical review of evaluative research on public journalism.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Vol.79 P.559-586 google cross ref
  • 36. Merrit D. (1995) Public journalism and public life: Why telling the news is not enough. google
  • 37. Nip J. Y. M. (2006) Exploring the second phase of public journalism. [Journalism Studies] Vol.7 P.212-236 google cross ref
  • 38. Pauly J. (1999) Public journalism in international perspective. [Communication Research Trends] Vol.19 P.4-17 google
  • 39. Potter D., Kurpius D. (2000) Public journalism and television news. In A. Eksterowicz and R. Roberts(Eds.), Public journalism and political knowledge P.771-90 google
  • 40. Richards I. (2000) Public journalism and ethics. [Media International Australia Incorporating Culture and Policy] Vol.95 P.171-182 google
  • 41. Rosen J. (1991) Making journalism more public. [Communication] Vol.12 P.267-284 google
  • 42. Rosen J., Merritt D., Austin L. (1997) Public journalism: Theory andpractice-Lessons from experience. google
  • 43. Shepard A. C. (1994) The death of a pioneer. [American Journalism Review] google
  • 44. Stempel G. H., Cullbertson H. M. (1984) The prominence and dominance of news sources in newspaper medical coverage. [Journalism Quarterly] Vol.61 P.671-676 google cross ref
  • 45. Witt L. (2004) Is public journalism morphing into the public's journalism? [National Civic Review] P.49-57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일반시민 취재원과 엘리트 취재원
    일반시민 취재원과 엘리트 취재원
  • [ <표 2> ]  일반시민취재원 구성요소의 인용 빈도
    일반시민취재원 구성요소의 인용 빈도
  • [ <표 3> ]  엘리트취재원 구성요소의 인용빈도
    엘리트취재원 구성요소의 인용빈도
  • [ <표 4> ]  엘리트 v. 일반시민 취재원 수 비교
    엘리트 v. 일반시민 취재원 수 비교
  • [ <표 5> ]  엘리트 v. 일반시민 취재원 위치 비교
    엘리트 v. 일반시민 취재원 위치 비교
  • [ <표 6> ]  엘리트 v. 일반시민 취재원의 직접인용 기사행수 비교
    엘리트 v. 일반시민 취재원의 직접인용 기사행수 비교
  • [ <표 7> ]  필진유형 비교
    필진유형 비교
  • [ <표 8> ]  이슈관련정보 제공 기사 수 비교
    이슈관련정보 제공 기사 수 비교
  • [ <표 9> ]  커뮤니케이션 기제 비교
    커뮤니케이션 기제 비교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