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와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teractive Behavior Scales for Parent(IBSP) and Interactive Behavior Scale for Child(IBSC)
  • 비영리 CC BY-NC
ABSTRACT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와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Much research on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effects of parent child interactions depends on culturally appropriate, comprehensive interactive scales. These must be constantly assessed, revised or recreated to keep up with societal cultural changes. For this reason, this study developed and validated the Interactive Behavior Scale for Parent and Child. A total of 1051 parents with young children from 1 to 6 years of a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itial items were developed and then reduced by conducting item content and factor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 that the IBSP (Interactive Behavior Scale for Parents) consists of 21 items and three factors, and that the IBSC (Interactive Behavior Scale for Child) consists of 25 items and four factor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a good model fit which suggests good construct validities. All factors in the IBSP and IBIC demonstrate proper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consistency and a clear pattern of convergent validity. Furthermore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otal and sub-dimension scores of the IBSP, IBSC and Korean 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 (K-MBRS) and the Korean Child Behavior Rating Scale (K-CBRS) total and subscale scores, all of which indicate good concurrent validity. In conclusion, the IBSP and IBSC have been validated as useful tools for assessing interactive behaviors of a parent and a young child between 1 and 6 years of age.

KEYWORD
부모-아동 상호작용 ,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 ,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
  • Ⅰ. 서 론

    아동은 주변의 환경과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성장하고 발달해 간다. 특히 생후 초기 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는 이후 인간관계 형성을 위한 토대가 되며, 부모와 자녀 간의 상호작용 경험은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과 학습 성취를 위한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이 영유아 시기는 누구보다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많이 일어나며 부모의 관심과 참여의 기회가 많기 때문에 부모는 영유아기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무엇보다 중요한 환경 변인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많은 연구들은 영유아 시기에 부모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가 이후 아동의 사회·정서 발달은 물론 인지, 언어·의사소통 발달 그리고 학업 성취와도 관련이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곽금주, 김민화, 한은주, 2004; 김정미, 2004; 김정미, 2009; 박성연, 서소정, Bornstein, 2005; Landry, Smith, Swank, & Miller-Loncar, 2000; Mahoney, Kim, & Lin, 2007; McCollum, Ree, & Chen, 2000). 주목할 것은 부모의 상호작용 유형에 따라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은 다를 수 있는데, 부모가 아동의 놀이에 참여하는 것만으로 무조건 긍정적 영향을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아동발달 능력과 상관이 있는 부모의 상호작용 유형에 관한 연구 결과들은 부모가 자녀와 매우 반응적, 온정적, 그리고 지지적으로 상호작용 할 때, 아동들이 능동적으로 부모와 상호작용하고 아동의 발달적 기능이 촉진되었고, 사회-정서면에서도 보다 안정적인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한편, 부모가 아동을 주도적으로 이끌려하고, 지시적, 권위적, 그리고 통제적인 상호작용을 할 때, 반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부모의 아동들보다 아동 발달 촉진이 용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은 생후 초기부터 부모와 파트너로서 주고받기식(give and take)의 상호작용을 통해 관계를 형성한다. 예컨대, 태어나는 순간부터 영아는 눈맞춤, 시선, 표정, 머리와 몸의 움직임, 만지기, 소리내기 등과 같은 상호작용 행동을 시도하면서 부모로부터 반응을 이끌어 낸다. 그리고 이러한 아동의 신호에 민감하게 반응해주고, 아동이 주도하는 활동에 따르며, 아동의 생각과 정서를 함께 공유하고 발전시키며 상호작용할 때, 아동은 일상에서 더 오랫동안 부모와 하는 놀이를 유지할 수 있으며 보다 확장해 나가게 된다. 더욱이 부모가 지속적으로 반응적인 행동이나 태도를 보일 때 아동은 부모의 요구에 즉각적으로 협력하고 부모의 신호나 시도에 주의를 집중하고 즉각적으로 반응하였으며, 이후에 다른 사람과 긍정적인 상호작용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게 되었다(고지민, 이승연, 2010; Brazelton & Cramer, 1990; Stern, 2009). 이와 같은 영유아기 부모와의 상호작용 경험은 학령기 아동의 지능발달과도 중요한 상관이 있는데, Luby 등(2012)의 종단연구에 의하면 3세에서 5세 사이 부모로부터 지지적 양육을 받은 아이들은 7∼13세 학령기에 기억능력을 담당하는 뇌의 해마부위의 부피가 더 크게 자랐으며, 심지어 부모가 반응적이지 않은 그룹은 학령기 때 해마가 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ewell과 Deutscher(2004)의 연구에 의하면, 영유아기 질적인 유치원교육프로그램은 아동의 인지능력에 영향을 미치지만 만 7세 이후까지 추적관찰 결과 부모의 반응성이 지속적으로 아동발달 수준과 지적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상호작용 유형과 아동발달 촉진간의 상관에 관한 연구(Fewell & Deutscher, 2004; Kim & Mahoney, 2004; Landry, Smith, Swank, & Miller-Loncar, 2000)에서 주목할 것은 반응적인 상호작용 행동을 나타내는 부모는 아동의 현재 흥미와 기능수준에 균형을 맞추며 아동 중심적(child-focused)인 상호작용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국내연구에서도 마찬가지로 부모의 반응성과 민감성은 아동의 공동주의(joint attention), 주도성(initiation), 및 자기-규제(self-regulation) 등 아동발달에 근본이 되는 중심축행동 촉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김정미, 2004; 박성연, 서소정, Bornstein, M, 2005; 채유선, 이소현, 2008). 요컨대, 부모의 상호작용 유형은 영유아기 발달에 있어서 가장 상관이 높은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반응성 상호작용 특성은 단기적, 장기적으로 아동발달 촉진에 영향이 있었다.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영향에 관하여 특히 Mahoney와 Perales(2002)는 자녀와 일상적인 상호작용 상황에서 부모가 아동의 발달에 적합한 방식으로 반응적인 상호작용 전략 (예: 아동의 행동과 의사소통 모방하기, 아동의 주도에 따르기 등)을 사용하도록 촉진함으로써 일상 중에 아동의 중심축행동사용 비율을 증가시키며 이는 궁극적으로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하고 있다. 여기서 중심축 행동(pivotal behavior)이란 아동의 인지, 언어·의사소통, 사회정서 발달 영역에서 기초가 되는 발달행동으로써 예컨대, 활동에 주도적인 참여, 사물을 다루거나 조작하는 탐색, 활동에 몰두하고 완수하기 위한 문제해결력, 관심기울이기, 자발적 발성과 의도적인 의사소통, 대화능력, 신뢰, 감정이입, 어른의 제안과 요구에 대한 협력, 감정에 대한 자기-규제, 자신감, 통제능력 등 아동의 능동적 학습과정을 통하여 촉진될 수 있는 행동들이다(김정미, 2008). Vygotsy(1978)는 근접발달 영역 이론을 통하여, 아동이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그것을 내면화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부모와의 상호작용 행동은 아동의 성공적인 학습경험에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아동이 어떤 목표를 완수하기 위해서는 자발적 수행 뿐 아니라 아동의 능력을 촉진해주는 어른의 지지가 매우 중요하다. 아동의 독립적인 수행과 아동의 관심에 초점을 두고 아동의 능력을 촉진하도록 부모의 상호작용 유형을 관찰하고 효과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로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자는 부모의 상호작용 유형 및 아동의 상호작용 유형을 구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영유아 발달 및 교육을 위해 시급하다고 보았다. Mahoney, Finger 및 Powell(1985)은 일찍이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아동발달 문헌에 보고된 평가 척도들을 종합하여 부모와 자녀 간의 상호작용 행동을 평가하기 위한 척도(MBRS & CBRS)를 개발하였다. 이 척도는 어머니 상호작용행동 평가(MBRS: Matenal Behavior Rating Scale)를 위해 민감성, 수용성, 즐거움, 온정성, 언어적 칭찬, 효율성, 표현성, 독창성, 보조, 성취지향성 그리고 지시성 등 12개 항목(4개요인) 그리고 아동 상호작용행동 평가(CBRS: Child Behavior Rating Scale)로서 주의집중, 문제해결, 흥미, 공동주의, 주도성, 협력, 애정 등 7개 항목(2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비디오 관찰방법으로 평가한다. 국내에서는 김정미와 Mahoney(2013)가 타당화 연구를 통해 K-MBRS는 12개 항목 3요인, K-CBRS는 7개 항목 2요인 구조를 확인하여 널리 활용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많은 연구에서 다양한 접근으로 부모와 자녀 간의 상호작용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송영혜, 김현희, 2002; 오지현, 2013; 이경숙, 박진아, 이미리, 신유림, 2013; 장은영, 오경자, 2004; 한지현, 이영환, 2005). 또한 부모와 아동 간 상호작용 평가를 위해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방법을 살펴보면 크게 부모보고에 의한 지필평가와 비디오 촬영에 의한 관찰평가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지필평가방법은 지필형태로 된 질문지를 부모가 스스로 평가하는 방식으로써 주로 부모의 개인적인 배경이나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기술내용에 대해 부모자신의 양육태도 및 양육행동을 측정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이는 부모의 주관적 판단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부모와 자녀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명확한 특성을 기술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비디오 관찰방법은 일정시간 부모와 자녀가 함께 상호작용하는 장면을 녹화한 뒤 훈련된 평가자가 객관적 준거에 따라 수치화하여 평가한다. 이는 부모와 자녀 간에 나타나는 관계측면을 보다 구체적으로 측정하기 때문에(김정미, Mahoney, 2013), 실제로 부모와 영유아 교사들에게 비디오 관찰방법은 주관적 관찰을 보다 객관적 점수로 평가한다는 면에서 매우 효용성이 높다. 그러나 평가자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야 하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상호작용 도구의 제한점을 감안하여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부모는 물론 아동의 상호작용 특성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실행방법을 절충한 상호작용 검사 도구의 개발은 매우 의미 있는 일로 여겨진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상호작용 행동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 타당화를 거쳐 널리 사용되고 있는 K-MBRS(한국판 어머니 상호작용행동평가 척도)의 12개 하위 문항(김정미, Mahoney, 2013)과 아동의 상호작용행동을 평가하기 위해 중심축행동 프로파일(Pivotal Behavior Profile)의 16개에 대한 중심축 행동 개념과 중심축행동마법사(Pivotal Behavior Wizard)의 72개 중심축행동에 관한 기술 문항(Mahoney & MacDonald, 2007)을 근거로 하여 비디오 촬영방법을 부모-자기보고식 지필형태의 부모 상호작용 행동검사(IBSP) 및 아동 상호작용 행동검사(IBSC)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의 K-MBRS는 비디오관찰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부모와 아동의 유형을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큰 장점이지만, 평가자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30시간 이상의 교육을 거쳐 평가자간 일치도 도달 훈련과정을 수행해야만 사용이 가능하며 평가는 훈련된 평가자에 의한 독립적 평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실상 다수의 집단을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디오 관찰 분석 내용을 지필형 문항으로 기술하여 4점 리커트식 척도로 평가하고 측정 점수를 정해진 규준에 따라 평가하도록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보다 적은 노력과 비용으로 비디오관찰의 효과를 최대 적용하고 표준화된 규준점수로 객관화된 결과를 산출함으로써 보다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여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 유형 평가를 보다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척도의 문항을 개발하고 구성된 문항들에 대한 적합한 요인구조를 확인하며 탐색된 요인구조모델의 적합도를 분석하고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부모 및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의 문항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부모 및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의 요인구조는 어떠한가?

    셋째, 부모 및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의 신뢰도는 어떠한가?

    넷째, 부모 및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의 타당도는 어떠한가?

    Ⅱ. 연구 방법

       1. 문항 개발

    1) 예비문항 추출

    (1)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

    부모 상호작용 행동유형 검사의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부모 상호작용 행동을 평가하는 김정미와 Mahoney(2013)의 어머니 상호작용행동 평가척도(Korean 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 K-MBRS)의 12개 항목의 5점 척도 진단 준거 내용을 근거로 총 43문항을 도출하였다. K-MBRS에서는 부모의 상호작용 유형으로써 민감성, 수용성, 즐거움, 온정성, 언어적 칭찬, 효율성, 표현성, 독창성, 보조, 성취지향성 그리고 지시성 특성을 기술하고 각 항목별로 1점 ‘매우 아니다’ 에서 5점 ‘매우 그렇다’의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객관적인 지필형 문항을 만들기 위해 K-MBRS의 항목별 기준을 문장으로 기술하는 방식으로 1차로 각 12개 항목 당 3∼4문항을 도출하여 총 46문항을 구성하였다. 예컨대, ‘반응성’에 대한 K-MBRS의 평가기준은 ‘부모가 얼굴표정, 언어화, 제스쳐, 불안감의 표시, 요청, 의도와 같은 형태로 아동의 행동에 반응해 주는 것이 즉각적이고 적합한지를 평가한다.’로 표현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평가기준에 따라 각각 1점에서 5점 평가 내용을 기술하고 있는데 3점의 평가기준은 ‘지속적인 반응-부모는 아동의 행동에 반응하지만 부적합하거나 느리며 비디오관찰 장면 중 아동의 행동에 지속적으로 반응해주는 유형으로 관찰되지만 반응형태가 아동의 행동에 대해 부적합하거나, 또는 시간적으로 즉각적이지 않고 느리거나 아동에 대해 적합하지 않을 경우’이다(김정미 & Mahoney, 2013, p. 89). 이러한 K-MBRS의 평가기준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반응성을 평가하기위한 문항으로써 다음과 같이 개발하였다, ‘1) 나는 아동과 상호작용 내내 아동의 행동에 대해 어떤 형태로든지(예: 얼굴표정, 언어표현, 제스쳐 등) 즉각적으로 반응해준다. 2) 아동과 상호작용할 때, 아동의 행동에 대해 내가 하는 반응에 대해 아동은 만족해하는 것 같다. 3) 아동과 상호작용할 때, 내가 하는 반응(예: 말, 요구 등)은 주로 아동이 현재 하고 있는 활동과 관련된 것들이다.’

    (2)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

    아동의 상호작용 행동유형 검사 문항을 개발하기 위하여 Mahoney와 MacDonald(2007)가 개발하고 김정미(2008)가 번안한 ‘중심축행동 프로파일’과 ‘중심축행동 마법사’를 근거로 하였다. 아동의 중심축행동 프로파일의 16개 목록은 인지영역 촉진을 위한 사회적 놀이, 주도성, 탐색, 문제해결력, 반복 실행, 의사소통 촉진을 위한 공동활동, 공동관심, 자발적 발성, 의도적인 의사소통, 대화, 그리고 사회정서 능력 촉진을 위한 신뢰, 감정이입, 협력, 자기-규제, 자신감, 통제능력으로 구성되었다. 중심축행동 마법사는 16개 중심축행동을 관찰하도록 총 73개 문항으로 기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필형 문항을 만들기 위해, 16개의 중심축행동에 대해 각 항목 당 4∼5개 문항을 도출하여 총 61문항을 구성하였다. 예컨대, 중심축행동 프로파일에서는 ‘주도성’에 대해 ‘아동은 스스로 활동을 시작하는가 아니면 항상 다른 사람의 주도에 따르는가? 아동은 활동의 종류나 방향을 선택하는데 능동적인가? 아동은 의사소통을 주도하고 새로운 게임을 시작하고 하나의 장난감을 가지고 다양한 활동으로 응용하는가? 상대방이 촉진하지 않아도 새로운 활동을 시도하는가?’로 기술하고, 각 항목별로 1점 매우 낮음, 5점 중간정도, 10점 매우 높음으로 설명하고 있다(김정미, 2008, p. 17). 또한 중심축행동마법사는 ‘주도성’에 대한 아동행동 기술로서 ‘어른과 상호작용을 지속할 수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무엇을 하며 놀 것인지 어떻게 놀 것인지 등에 대해 어른이 결정하기를 기다린다. 아동은 어른과 함께 놀이하는 동안 가지고 놀 장난감과 노는 방법을 선택하는 경우가 드물다(김정미, 2008, p. 172)’로 기술하고 있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주도성을 평가하기 위해 5문항을 개발하였고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상호작용 하는 동안 무엇을 하며 놀 것인지 어떻게 놀 것인지에 대해 어른이 결정해야 한다. 2) 놀이하는 동안, 놀이(또는 장난감)종류나 방법을 아동이 주도하는 방식으로 상대도 참여하며 이어간다. 3) 또래와 함께 있을 때, 또래의 놀이에 관여하지 않는다. 4) 아동은 무엇을 할 것인지에 대한 자기의견과 의사가 분명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그것에 따르도록 주장한다. 5) 놀이하는 동안, 아동이 선택한 놀이감을 가지고 놀지만 주로 혼자 논다.’

    2) 예비문항 검증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와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 도구개발을 위해 도출된 예비 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문항에 대해서는 1차로 본 연구자들이 검토하였고, 2차로 아동발달심리전공 박사 학위자 1명, 아동발달심리전공 및 교육학 전공 석사학위자 3명이 문항검토를 실시하여 중복되는 의미를 가진 문항들을 삭제하였다. 그리고 3차로 검사지를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 24명을 대상으로 확인하도록 하여 실제 작성자가 이해하기 쉬운 문장으로 수정하였다. 이와 같이 내용타당도를 고려하여 문항내용이 모호한 것과 이중적 표구가 포함되어 있거나 중복되는 문항을 수정·보완하여 최종적으로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는 43문항,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는 6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2. 연구대상

    본 연구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소속되어 있는 만 1∼6세 영유아 및 부모 1051명이었다. 설문은 자녀 양육을 주로 담당하는 주 양육자가 작성하도록 안내하였으며, 작성자는 어머니(95.1%), 아버지가 43명(4.1%), 기타 양육자가 8명(0.8%)으로 주 양육자는 대부분 어머니(95.1%)였다. 부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설문에 응답한 어머니의 평균연령은 34.9세(범위 24∼47세)이고, 학력은 대졸 540명(51.4%)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고졸 287명(27.3%), 초대졸 70명(6.7%), 대학원졸 이상 53명(5.0%), 중졸이하 5명(0.5%) 순으로 나타났다. 부가적으로 아버지의 연령은 평균 37.4세(범위 28∼59세)이고, 가족 월수입은 500만원 이상(25.2%)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200∼299만원(21.1%), 300∼399만원(19.7%), 400∼499(16.6%), 200만원 미만(8.0%)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구대상 아동의 성별 분포는 남아가 547명(52.0%)이고 여아가 504명(48.0%)으로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연구대상 아동의 연령과 성별 분포는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 아동의 연령과 성별 분포

    label

    연구대상 아동의 연령과 성별 분포

       3. 연구 절차

    본 연구는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 및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 개발을 위해 먼저, 현장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비디오 관찰 방법 및 주관적 관찰에 의해 상호작용을 평가하는 도구에 근거하여 부모-보고에 의한 지필 방법으로 검사도구의 문항을 추출하였다. 2단계에서는 구성된 예비문항을 이를 기초로 아동발달 및 교육학 전공자, 현장 교사 및 부모와의 논의과정을 통해 개발된 예비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3단계에서는 2단계에서 수정한 예비문항에 대해 문항 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문항을 확정하였다. 4단계에서는 확정된 최종문항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고, 마지막으로 영유아 및 부모 1051명을 대상으로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은 2013년 4월에서 2014년 2월 사이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 총 22개 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영유아 및 부모 1051명이었다. 대상자 수집 절차는 먼저 S대학에서 주최한 보육 및 유치원 교사 교육에 참여한 기관장(원장) 및 교사를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알리는 신청서를 배포하고 참여 신청서를 제출한 기관과 유선으로 전화 통화하여 참여의사를 재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참여의사를 확인한 기관으로 신청서를 우편으로 발송하였다. 각 기관에서는 신청서를 아동을 통해 각 가정으로 보내어 본 연구를 위한 설문 참여를 원하는 경우 신청서를 제출하도록 하였다. 이에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 대상자로 선정된 영유아 및 부모는 1764명이었다. 세 번째로 본 연구자는 각 기관으로 우편을 통해 질문지를 전달하였고 기관에서는 영유아를 통해 질문지를 가정의 부모에게 전달하여 2주 내 회신하고 최종적으로 1개월 내 완성된 질문지를 연구자에게 회신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에 따라, 전체 1764부의 질문지가 송부되었으며 그중 기관으로부터 1053부(60%의 회수율)가 회수되었고 이중에서 연구 대상의 연령에 적합하지 않거나 미흡하게 응답된 설문지 2부를 제외하고 최종 1051명의 질문지가 분석 자료로 선별되었다. 단계별 연구절차는 표 2와 같다.

    [<표 2>] 단계별 연구절차

    label

    단계별 연구절차

       4. 타당도 검증 도구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도구의 공인타당도 분석을 위해 사용한 도구는 아래와 같다.

    1) 한국판 어머니 상호작용행동 평가척도(Korean 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 K-MBRS)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도구의 공인타당도 분석을 위해 김정미와 Mahoney(2013)가 타당화한 한국판 어머니 상호작용행동 평가척도(Korean 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 K-MBRS)를 사용하였다. 한국판 어머니 상호작용행동 평가척도(K-MBRS)는 10분 동안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을 비디오 촬영한 자료를 가지고, 검사자가 어머니의 행동을 리커트식 5점 척도로 평가하는 평정 척도법에 의한 관찰평가 척도이다. 총 3개 요인 12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응성행동 요인에는 민감성, 수용성, 즐거움, 온정성, 언어적 칭찬 항목이 포함되고, 효율성행동 요인에는 효율성, 표현성, 독창성, 보조 항목으로 구성된다. 지시성행동 요인으로는 성취지향성과 지시성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수집된 자료는 30시간 이상 평가자 훈련을 받은 2명의 평가자에 의해 독립적으로 평가되었다. 척도의 전체 신뢰도 계수 Cronbach’s ɑ는 .86 이었다.

    2) 한국판 아동 상호작용행동 평가척도(Korean Child Behavior Rating Scale: K-CBRS)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도구의 공인타당도 분석을 위해 김정미와 Mahoney(2013)가 타당화한 한국판 아동 상호작용행동 평가척도(Korean Child Behavior Rating Scale; K-CBRS)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총 2개 요인 7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활동적 행동 요인으로는 4개 항목 즉, 주의집중, 문제해결, 흥미, 공동주의가 포함되고, 사회적 행동 요인으로는 3개 항목 주도성, 협력, 애정을 포함하고 있다. 자료수집 방법은 K-MBRS와 동일하다. 척도의 전체 신뢰도 계수 Cronbach’s ɑ는 .81 이었다.

       5.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요인구조를 탐색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확정된 요인구조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SEM)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신뢰도 검증을 위해 척도를 구성하는 문항 간의 내적 합치도 Cronbach’s ɑ와 검사-재검사 점수 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편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문항 구성

    개발된 문항에 대해 각 척도별 문항들이 동일한 개념을 측정하는지를 나타내는 내적합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뢰도계수 Cronbach’s ɑ 값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각 척도 별 문항과 전체 척도의 상관계수가 .30 이하인 문항 및 문항제거시의 내적합치도가 상승하는 문항을 삭제하였다. 이 과정에서 먼저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는 10개 문항이 삭제되었다. 2차로 요인분석에서 부하량 값이 매우 낮거나 요인들에 걸쳐 중복되는 문항 및 요인의 하위 문항이 2개 이하인 문항과 그 부하량을 고려하여 기술적인 통계치가 .30 이하인 문항 12개를 제거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에 따라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 총 43문항 중에 22문항이 제거되어 최종 21문항으로 확정하였다. 제거된 문항은 예컨대, “나는 아이와 함께할 때, 시종일관 화기애애한 분위기를 만들고, 자주 소리 내어 웃는다.”, “나는 아이와 상호작용할 때, 종종 과장된 목소리 톤(높은 톤)으로 표현하며 반응해준다.”, “나는 아이가 잘한 것에 대해서만 언어적 칭찬을 한다.”, “우리아이는 별로 칭찬할 만한 행동을 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등이다.

    한편 이와 동일한 절차로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의 내적합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뢰도계수 Cronbach’s ɑ 값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각 척도 별 문항과 전체 척도의 상관계수가 .30 이하인 문항 및 문항제거시의 내적합치도가 상승하는 문항을 삭제하였다. 이 과정에서 15개 문항이 삭제되었다. 2차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부하량 값이 매우 낮거나 요인들에 걸쳐 중복되는 문항과 요인의 하위 문항수가 2개 이하인 문항에 대해 그 부하량을 고려하여 기술적인 통계치가 .30 이하인 문항 22개를 제거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62문항 중에 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난 37개 문항이 제거되어 최종 25문항으로 확정하였다. 제거된 문항은 예컨대, “부모는 아이가 잘하지 못한 것에 대해 자주 표현한다.”, “아이는 두 단어 이상을 조합한 말을 만들어 낸다.”, “아이는 자신이 필요할 때에만(예: 먹을 것) 자발적으로 다른 사람과 접촉하거나 소리를 낸다.”, “아이는 양육자와 함께 있을 때, 자주 미소 짓고 신체적 접촉을 하며 편안해 한다.” 등이다. 문항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부모 상호작용행동 유형척도(IBSP)는 21문항, 아동 상호작용행동 척도(IBSC)는 25문항으로 확정하였다.

       2. 탐색적 요인분석

    최종 완성된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의 21개 문항과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의 25개 문항에 대해, 전체 표집 대상 중에 영유아 320명(남아 164명, 여아 156명)을 대상으로 Kaiser가 제안한 varimax 회전방식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는 각 열 내의 부하량의 제곱 값이 최대화하는 방식이어서 직각 회전을 통해 발생하는 문항 간 차이에서 간명도는 낮지만 요인 간 차이를 명확하게 하는 데 용이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분석을 통해 같은 요인으로 묶인 문항들 간의 Cronbach’s α 계수를 통해 문항의 신뢰도를 확인하였고, 요인을 산정하는 방식은 고유값을 1로 고정하여 회전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1)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nteractive Behavior Scale for Parent: IBSP)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1개의 문항의 전체 누적 설명비율은 43.67%였으며, KMO(Kaiser-Mayer- Olkin) 적합성 지수도 .837로 양호하게 나타났고, Bartlett 검정결과도 유의하게 확인되면서(1689.41, p<.01), 단위행렬이 아니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개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는데, 제1요인의 설명량은 17.50%였으며 신뢰도는 .84로 나타났고, 제2요인의 설명량은 13.17%였으며, 신뢰도는 .72로 나타났다. 그리고 제3요인의 설명량은 13.00%였고, 신뢰도는 .72로 나타났다. 제1요인은 ‘반응성’, 제2요인은 ‘효율성’, 제3요인은 ‘비지시성’ 으로 명명하였다. 문항들의 중복 부하되는 문항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탐색적 요인분석의 상관계수 행렬을 고려한 전제 조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의 탐색적 요인분석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label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2)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nteractive Behavior Scale for Child: IBSC)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5개의 문항의 전체 누적 설명비율은 45.36%였으며, 모형의 유의성을 보여주는 KMO(Kaiser-Mayer-Olkin)적합도 지수도 .789로 양호하게 나타났고, Bartlett 검정결과도 유의하게 확인되면서(2110.46, p<.01), 단위행렬이 아니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개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는데, 제 1요인의 설명량은 13.66%였으며 신뢰도는 .80으로 나타났고, 제2요인의 설명량은 11.48%였으며 신뢰도는 .76으로 나타났다. 제3요인의 설명량은 11.35%였으며 신뢰도는 .74로 나타났고, 제4요인의 설명량은 8.88%였으며 신뢰도는 .66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제1요인은 ‘사회적관계’, 제2요인은 ‘주도성’, 제3요인은 ‘표현성’, 제4요인은 ‘조절행동’으로 명명하였다.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의 탐색적 요인분석결과는 표 4와 같다.

    [<표 4>]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label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 신뢰도 검증

    1) 문항 내적일치도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문항 간 내적일치도 지수인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의 경우 전체 상관계수는 .83이었고, 하위요인별로 반응성 요인은 .85, 효율성 요인은 .74, 비지성 요인은 .70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의 경우 전체 상관계수는 .86이었고 하위요인별로 사회적관계 요인은 .77, 주도성 요인은 .82, 표현성 요인은 .74, 조절행동 요인은 .67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두 검사 도구는 모두 문항 간 내적일치도가 .80 이상으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2) 검사-재검사 신뢰도

    검사도구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자 중 서울시 소재 두 군데 어린이집에 소속된 117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일로부터 1개월 후에 재검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117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송부하였고 최종 113명의 질문지가 회수되었다(회수율 95%). 회수된 자료에 대해 검사-재검사 점수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의 척도 전체의 상관계수는 .60이었고, 하위요인으로써 반응성 요인은 .57, 효율성 요인은 .51, 비지성 요인은 .48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1). 한편,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는 전체의 상관계수는 .55이었고, 하위요인별로 사회적관계 요인은 .65, 주도성 요인은 .48, 표현성 요인은 .38, 조절행동 요인은 .54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1). 부모 및 아동 상호작용 행동검사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분석 결과는 표 5와 같다.

    [<표 5>] 검사-재검사 신뢰도분석 결과

    label

    검사-재검사 신뢰도분석 결과

       4. 타당도 검증

    1) 구성 타당도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와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의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를 검증하기 위해 무선으로 표집 된 731명(남아 383명, 여아 348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모형의 적합도 평기지수로 X2, RMSEA, CFI, AGFI, NFI 등을 살펴보았다. 분석에 활용하는 적합도 지수는 우선, RMSEA값은 .10보다 작은 값이 자료에 대한 적합도가 적절하다고 할 수 있고, .05 이하는 매우 좋은 자료이며, .01 이하는 뛰어난 자료라고 판단한다(Steiger, 1990). 그리고 GFI, AGFI, NFI의 적합도 지수는 표본 크기 200 이상에서 .90보다 높으면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권세혁, 2005; 양병화, 2006). NNFI와 CFI의 값 역시 .90 이상이면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Bentler, 1990).

    (1)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nteractive Behavior Scale for Parent: IBSP)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의 구성타당도 분석을 위해 전반적 적합도의 가장 기본이 되는 측정치인 X2검증결과, 모형이 자료와 합치된다는 영가설은 기각되었으며(X2 = 424.70, p<.01), 이는 모집단과 동질성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RMSEA는 .04로 GFI, AGFI, NFI, NNFI, CFI는 .90∼.95로 모든 적합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본 검사의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는 그림 1표 6에 제시하였다.

    [<표 6>]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의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지수 비교

    label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의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지수 비교

    (2)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nteractive Behavior Scale for Child: IBSC)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의 구성타당도 분석결과, 전반적 적합도의 가장 기본이 되는 측정치인 X2 검증결과는 모형이 자료와 합치된다는 영가설을 기각하였다(X2 = 541.49, p<.01). 이는 모집단과 동질성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RMSEA는 .04로 적합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고, GFI, AGFI, NFI, NNFI, CFI는 .90∼.94로 양호한 적합도 수준을 나타내었다. 본 검사의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는 그림 2표 7에 제시하였다.

    [<표 7>]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의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지수

    label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의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지수

    그러므로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와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의 확인적 요인분석 모형의 적합도 지수를 종합적으로 판단해 볼 때 본 연구의 설정모형은 적합성을 검증받은 타당한 모형임을 알 수 있었다.

    2) 수렴타당도

    검사도구의 수렴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대상 아동 1051명을 대상으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의 전체 및 하위요인 간 상관계수는 .20∼.77의 범위로 전반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의 전체 및 하위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는 상관관계 계수가 .19∼.77의 범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검사의 전체 및 하위요인은 각각 부모 및 아동 상호작용행동이라는 개념에 수렴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부모 및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의 하위요인 간 상관관계분석 결과는 표 8표 9에 제시하였다.

    [<표 8>]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의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label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의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표 9>]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의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label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의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3) 공인타당도

    검사도구의 공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대상 아동 중 50명에 대해 비디오관찰을 실시하여 김정미와 Mahoney(2013)의 어머니 상호작용행동 평가척도(K-MBRS) 및 아동 상호작용행동 평가척도(K-CBRS)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와 어머니 상호작용행동 평가척도(K-MBRS)의 전체 및 하위요인 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5). 이에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는 공인타당도를 갖춘 검사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와 아동 상호작용행동 평가척도(K-CBRS)의 전체 및 하위요인 간 점수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5). 자세히 살펴보면 K-MBRS의 활동성 요인은 주로 아동의 주의집중, 문제해결, 활동에 대한 관심, 그리고 부모의 구에 대한 협력을 나타내며 이와 같은 요인은 IBSC의 사회적 관계, 주도성, 표현성 조절행동과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1), K-MBRS의 사회성 요인은 아동의 주도성, 공동주의, 애정적인 감정을 나타내는 항목들로서 IBSC의 표현성, 조절행동과 매우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이에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SBC)의 공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IBSP 및 IBSC의 공인타당도 검증 결과는 표 10표 11에 제시하였다.

    [<표 10>] IBSP와 K-MBRS의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label

    IBSP와 K-MBRS의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표 11>] IBSC 와 K-CBRS의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label

    IBSC 와 K-CBRS의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Ⅳ. 논의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영유기 자녀를 둔 부모 및 아동의 상호작용 유형을 진단하기 위하여 부모-보고식 지필 방법으로 실시하는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와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를 개발하고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검사도구의 문항개발에 있어서 부모 및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 도구는 검사의 전체 상관계수가 .30이거나 내적 합치도를 낮추는 문항을 삭제하였다. 따라서 각 검사의 전체 상관관계 지수는 .80이상으로 양호한 수준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두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먼저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는 총 3개 요인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첫 번째 ‘반응성’ 요인은 일상에서 부모가 아동의 흥미와 관심, 행동을 민감하게 파악하고, 긍정적으로 수용하며, 적합하게 반응해주는 정도를 설명하며, 두 번째 ‘효율성’ 요인은 부모가 아동과의 상호작용에서 아동의 주의, 협력, 참여를 효과적으로 이끌어내고, 아동과 즐겁게 상호작용하는 정도를 설명하며, 마지막으로 ‘비지시성’ 요인은 일상에서 부모가 아동에게 많은 요구나 제안, 지시하기보다 아동의 자율성을 중시하고, 그것에 따라주는 정도를 설명하는 문항들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비디오 관찰 평가방법으로서 12문항 5점 척도로 이루어진 김정미와 Mahoney(2013)의 K-MBRS 어머니 상호작용행동 평가 척도의 요인구성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한편,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는 4개 요인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첫 번째 ‘사회적 관계’ 요인은 아동이 다른 사람과 함께 활동을 공유하며 즐겁게 상호작용하는 정도를 설명하며, 두 번째 ‘주도성’ 요인은 아동이 주변 사물을 탐색하면서 다양한 활동을 시도하며, 상대방의 주의를 끌어들이면서 능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정도를 설명하는 내용들로 구성되었다. 특히 아동의 주도성은 어머니의 바람직한 상호작용 유형과 관련된 아동의 행동 특성으로서 Mahoney와 Perales(2002)가 제안한 아동의 중심축 행동을 설명하는데 매우 중요한 항목이다(곽금주, 김민화, 한은주, 2004; Mahoney & MacDonald, 2007). 세 번째 ‘표현성’ 요인은 아동이 상대방을 인식하면서 자신의 감정, 생각, 의견을 언어나 비언어적인 행동으로 자발적으로 표현하는 정도를 설명하며, 마지막 네 번째 ‘조절행동’ 요인은 아동이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용인되는 수준으로 조절하여 나타내고, 빠르게 진정되어 안정을 찾는 정도를 설명하는 문항들로 구성되었다.

    셋째,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와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의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각 내적일치도는 .83, .86이고 각각의 하위요인별 내적일치도는 .70∼.83범위를 나타내었다. 이는 일반적으로 신뢰도 계수가 .80이상이면 높다고 제안한 선행연구에 근거하여(황해익, 송연숙, 최혜진, 손원경, 2011), 본 검사도구는 동질적인 문항들고 구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검사-재검사 신뢰도 분석결과, 두 검사 간 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었다(p<.01). 따라서 본 검사의 문항은 부모 및 아동의 상호작용행동을 평가하는데 안정적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공인 타당도 검증을 통해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의 3개 요인구조와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의 4개 요인구조는 적합도 지수가 .90∼.94범위로 나타나 .90 이상일 때 적합하다는 선행연구결과에 따라(권세혁, 2005; 양병호, 2006; Bentler, 1990), 본 검사를 구성하는 요인구조의 적합성을 증명하였다. 또한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한국에서 타당성을 입증하여 상용되고 있는 어머니 상호작용행동 평가척도(K-MBRS; 김정미, Mahoney, 2013)와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 그리고 아동 상호작용행동 평가척도(K-CBRS; 김정미, Mahoney, 2013)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IBSP 의 전체 및 하위요인은 K-MBRS의 하위요인 그리고 IBSC 는 K-CBRS의 하위요인 간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으로 나타나 공인타당도가 입증되었다(p<.05). 이와 같은 결과는 IBSP와 IBSC가 기존의 비디오 관찰방법으로 수행되는 K-MBRS가 훈련된 관찰자에 의한 평정으로서 가지는 제한점을 보완하고,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인 부모의 자기보고식 지필검사로 부모 및 아동의 상호작용 유형을 보다 용이하게 평가하고 마련된 준거에 따라 결과를 해석한다는 면에서 그 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비디오관찰방법에 의한 구체적 관찰기술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지필방법으로 사용절차를 용이하게 하고자한 본 연구 목적을 기대할 수 있는 결과이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제한점과 추후연구에 대해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대상과 관련하여 두 가지 제한점이 있다. 하나는 대상 수집 지역이 서울시와 경기지역 중심의 일반아동으로 한정되었으며, 또 하나는 자녀의 양육을 일차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주 양육자로서 전체 중에 95.1%가 어머니로 제한적이었다. 맞벌이 가정의 증가와 함께 자녀 양육에서의 아버지의 참여가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아버지 또는 다른 어른과 아동 간의 상호작용 행동을 평가해볼 필요가 있겠다.

    둘째, 질문지 회수율은 60%로 높지 않게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 대상자 선정 및 질문지 전달 및 회수 방법이 직접대면 방법이 아닌 서면 및 아동을 통한 간접 전달방법이었다. 이는 다수의 집단 연구 적용 시 경제적, 시간적 편의성이란 장점이 있으나 설문응답의 질적 보장은 어려울 수 있다는 제한이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설문응답내용의 질적 보장이 전제되어야 하는 연구에서는 직접 방문을 통한 설문지 배부 및 회수가 보다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상호작용 행동을 진단하도록 개발되었다. 그러나 영유아기 아동과 많은 시간을 함께하는 어른으로서 교사와의 상호작용은 아동발달에 매우 중요한 영향변인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추후연구에서 교실상황에서 교사와 아동 간의 상호작용을 진단하고 평가하기 위한 도구 개발 연구는 의미 있는 일로 여겨진다.

    아동의 발달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모와 자녀 간의 상호작용 유형에 대한 정확한 진단은 부모에게는 양육가이드를 제공하고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적절한 서비스 체계로 연결 할 수 있는 중요한 과정이다. 최근 부모와 아동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과 더불어 많은 연구에서 부모-자녀 간 상호작용 유형의 진단 평가를 실시해왔다. 그러나 대부분은 관찰평가방법으로서 평가자의 신뢰도 훈련과 관찰평가로 인한 점수화의 효율성에 대한 제한이 있었다(김정미, Mahoney, 2013; 장휘숙, 한건환, 2005; 황혜정, 문혁준, 안선희, 안효진, 이경옥, 정지나, 2011).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와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는 부모-보고식 지필검사 방법이라는 점에서 실효성 면에서 보다 장점이 있으며, 이미 마련된 규준을 통해 평가결과를 해석할 수 있으므로 검사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도구들이 부모와 아동 간의 구체적인 관계양상을 점검하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부모교육 및 부모 상담에 적용하고 더불어 아동발달 관련한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수행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 1. 고 지민, 이 승연 (2010) 만 2 세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상황에서의 반응성 분석. [유아교육연구] Vol.30 P.147-165 google
  • 2. 곽 금주, 김 민화, 한 은주 (2004) 영아-어머니의 상호작용 방식과 영아기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아동학회지] Vol.25 P.111-128 google
  • 3. 권 세혁 (2005) SPSS활용 다변량데이터분석. google
  • 4. 김 정미 (2004) 어머니의 반응성 상호작용 특성이 발달장애 아동의 포괄적 발달행동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7 P.25-41 google
  • 5. 김 정미 (2008) 부모와 교사를 위한 반응성 교수 교육과정. google
  • 6. 김 정미 (2009) 영유아 모-아 상호작용과 중심축 발달행동과의 관계분석. [유아특수교육연구] Vol.9 P.143-162 google
  • 7. 김 정미, Mahoney G. (2013) 부모-아동 상호작용행동 평가 K-MBRS & K-CBRS 지침서. google
  • 8. 박 성연, 서 소정, Bornstein M. (2005) 어머니-영아간의 상호작용방식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Vol.26 P.15-30 google
  • 9. 송 영혜, 김 현희 (2002) 부모-아동 자유놀이 상호작용 평가 모형.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Vol.5 P.29-44 google
  • 10. 양 병화 (2006) 다변량 데이터 분석법의 이해. google
  • 11. 오 지현 (2013) 아동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 척도 개발과 타당화. [한국아동학회지] Vol.34 P.97-122 google
  • 12. 이 경숙, 박 진아, 이 미리, 신 유림 (2013) 한국판 부모자녀관계척도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8 P.441-458 google
  • 13. 장 은영, 오 경자 (2004) 부모-자녀 상호 작용 평가 척도의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Vol.23 P.789-813 google
  • 14. 장 휘숙, 한 건환 (2005) 아동연구방법. google
  • 15. 채 유선, 이 소현 (2008) 가정에서 어머니가 실행한 중심축 반응훈련이 자폐 범주형 장애 영유아의 공동관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Vol.8 P.41-66 google
  • 16. 황 혜익, 송 연숙, 최 혜진, 손 원경 (2011) 영유아·아동연구에서의 SPSS자료분석. google
  • 17. 한 지현, 이 형환 (2005) 모-영아 상호작용 행동 평가 척도 개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Vol.41 P.291-312 google
  • 18. 황 혜정, 문 혁준, 안 선희, 안 효진, 이 경옥, 정 지나 (2011) 아동연구방법. google
  • 19. Bentler P. M. (1990) Comparative fit inde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7 P.238-246 google cross ref
  • 20. Bentler P. M., Bonett D. G. (1980) Significance tests and goo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hological Bulletin] Vol.88 P.588-606 google cross ref
  • 21. Brazelton T. B., Cramer B. G. (1990) The earliest relationships. Parents, Infants and the drama of early attachment. google
  • 22. Fewell R.R., Deutcher B. (2004) Contributions of early language and maternal facilitation variables to later language and reading abilities.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Vol.26 P.132-145 google cross ref
  • 23. Kim J., Mahoney G. (2004) The Effects of Mother’s Style of Interaction on Children’s Engagement.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Vol.24 P.31-38 google cross ref
  • 24. Landry S. H., Smith K. E., Swank P. R., Miller-Loncar C. L. (2000) Early maternal and child influences on children’s later independent cognitive and social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Vol.71 P.358-375 google cross ref
  • 25. Luby J. L., Barch D. M., Beldenn A., Gaffrey M. S., Tillman R., Babb C., Nishino T., Susuki H., Botteron K. N. (2012) Maternal support in early childhood predicts larger hippocampal volumes at school ag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109 P.2854-2859 google cross ref
  • 26. Mahoney G. J., Finger I., Powell A. (1985) Relationship of maternal behavior style to the development of organically impaired mentally retarded infants.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Vol.90 P.296-302 google
  • 27. Mahoney G., Kim J., Lin C (2007) The Pivotal Behavior Model of Developmental Learni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Vol.20 P.311-325 google cross ref
  • 28. Mahoney G., MacDonald J. (2007) Autism and developmental delays in young children: The Responsive Teaching curriculum for parents and professionals. google
  • 29. Mahoney G. J., Perales F. P. (2002) Pivotal developmental behaviors: Implications for early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n Research Innovations in Early Intervention] google
  • 30. McCollum J. A., Ree Y., Chen Y. (2000) Interpreting Parent-Infant Interactions: Cross- Cutural Lessons. [Infant and young children] Vol.12 P.22-33 google cross ref
  • 31. Rogoff B., Mistry J., Radziszewska B., Germond J. (1992) Infants’ Instrumental Social Interaction with Adults. [Social Referencing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in Infancy] Vol.4 P.323-348 google
  • 32. Steiger J. H. (1990) Structural model evaluation and modification: An interval estimation approach.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25 P.173-180 google cross ref
  • 33. Stern D. N. (2009) The first relationship: Infant and mother. google
  • 34.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mental process. M. Cole, V. John-Steiner, S. Scribner, & E. Souberman(Eds.).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연구대상 아동의 연령과 성별 분포
    연구대상 아동의 연령과 성별 분포
  • [ <표 2> ]  단계별 연구절차
    단계별 연구절차
  • [ <표 3> ]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 [ <표 4> ]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 [ <표 5> ]  검사-재검사 신뢰도분석 결과
    검사-재검사 신뢰도분석 결과
  • [ [그림 1] ]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 [ <표 6> ]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의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지수 비교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의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지수 비교
  • [ [그림 2] ]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 [ <표 7> ]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의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지수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의 확인적 요인분석 적합도 지수
  • [ <표 8> ]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의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부모 상호작용행동 검사(IBSP)의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 [ <표 9> ]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의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아동 상호작용행동 검사(IBSC)의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 [ <표 10> ]  IBSP와 K-MBRS의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IBSP와 K-MBRS의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 [ <표 11> ]  IBSC 와 K-CBRS의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IBSC 와 K-CBRS의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