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fter-school Self-care and School Adjustment:
ABSTRACT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KEYWORD
자기보호아동 , 방과 후 자기보호 , 학교생활적응 , 부모 양육방식 ,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 Ⅰ. 서론

    최근에 주변에서 방과 후에 홀로 지내는 아이들을 쉽게 볼 수 있으며, 이런 아이들이 학습, 정서, 사회성 발달에 저해를 받고[30] 각종 폭력에 노출되어있다는 기사를 자주 접할 수 있다[19]. 여성가족부[37]의 보고에 따르면, 초등학생 328만 명 중 29.6%인 97만 명이 방과 후 자기보호 아동(나홀로 아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사회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기혼여성의 취업률 증가이며, 2013년 여성경제활동인구는 약 1천8십만 명으로 추산되었고, 여성경제활동참가율은 50.2%를 차지하였다[44]. 이로 인해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면서 자녀의 안전한 돌봄과 교육의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등장하게 되었다. 맞벌이 가정이 전체 기혼자 가정의 37.93%[43]를 차지하고 있으나 아이들을 안전하게 돌봐주거나, 믿고 맡길 수 있는 곳은 부족한 실정이다.

    자기보호 아동을 위한 돌봄 서비스는 대표적으로 지역아동센터, 초등돌봄교실, 방과후 아카데미의 세 가지 형태로 제공 되고 있지만 이런 서비스의 주 대상은 일부 저소득층 아동들이므로, 일반 가정에서 방치되고 있는 아동을 포함한 나머지 아동들은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실정이다[47].

    자기보호 아동은 스스로 자신을 돌봄에 있어서 여러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방과 후 성인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자기보호 아동들은 사회성과 또래관계에서 문제를 보이고, 자아유능감 수준이 대체로 낮다고 보고되었다[20, 17, 12]. 또한 자기보호 아동은 성인보호 아동에 비해 주의력 부족과 공격성의 문제를 높게 보이고[28] 돌보아 줄 성인이 없는 것에 대해 외로움, 쓸쓸함, 불안과 같은 심리적 문제를 느낀다고 한다[39, 18].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 시간이 증가할수록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이 많아지며[23, 47, 8]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23]가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 시기의 방과 후 방치 정도는 훗날 중학교 기간의 아동의 낮은 학업성취도와 내재화문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기보호 아동은 성인보호 아동에 비해 사회적 능력과 학교생활 적응도가 낮으며, 문제행동을 보여 아동의 학교적응과 사회적응에 지장을 받는다고 보고된다[5].

    자기보호 아동일지라도 모두가 부정적인 감정수준을 보이는 것은 아니며, 환경을 받아들이는 사고에 개인차를 보일 수 있다[9]. 하지만 아직까지 자기보호 아동을 대상으로 이뤄진 연구는 아동의 문제행동, 부적응, 인터넷 중독, 낮은 학업 성취도 등과 같은 역기능적인 측면을 다룬 것이 더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호 아동의 문제를 확인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순기능적인 측면인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아동의 문제예방 및 보호적 자원들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학령기 중요한 발달과업인 학교생활적응에 대해 일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았으나, 자기보호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학교생활적응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더구나 자기보호 아동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자기보호 유무에 따른 종속변인의 영향력과 차이를 살펴본 연구가 많았으나[4, 18, 23, 39]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호 정도에 따른 세 집단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자기보호를 이분법적으로 분류하기보다 성인보호, 일시적 자기보호, 지속적 자기보호 아동으로 집단을 구분함으로써 집단에 따른 중재나 정책적 제언을 달리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서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 정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현재 자기보호 아동이 직면하고 있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게 하는 가족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봄으로써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아동의 가족적 특성 중에 부모의 양육방식은 아동의 발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부모 양육방식은 부모 또는 양육자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행동이나 태도를 의미하는데, 민주적인 부모를 둔 아동의 경우 그렇지 않은 아동들보다 학교생활에서 훨씬 더 잘 적응한다고 하였다[20]. 즉, 부모의 양육태도는 학교생활에 필요한 자발성, 협동성, 사회성, 독립성, 책임성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32] 학업적성취와도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따라서 부모의 양육방식이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 정도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자기보호 아동의 성장과 사회적 적응을 돕고, 문제행동 예방 및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필요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자기보호 아동을 둔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도 의의를 둔다.

    본 연구에서 제기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배경 변인에 따른 아동의 자기보호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 정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 정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부모 양육방식이 조절효과를 보이는가?

    Ⅱ. 선행연구 고찰

       1.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와 학교생활적응

    자기보호 아동(self-care child)이란, 방과 후에 부모나 성인보호자의 실제적인 감독이나 도움 없이 혼자서 또는 자신보다 어린 동생과 함께 지내는 아동을 뜻한다. Colwell 등[8]은 자기보호가 보호자의 고의적인 양육소홀을 의미하는 방임과는 엄격히 다른 개념이지만,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에서는 자기보호 역시 방임처럼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자기보호가 아동발달에 일방적이고 단일한 영향력을 줄 것이라는 섣부른 판단은 피해야 하지만[35] Long과 Long[33]은 자기보호 아동은 성인의 감독 및 관리가 부족한 채 많은 시간 홀로 보내기 때문에 공포, 외로움, 슬픔,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며 또래관계에서도 문제를 보인다고 하였다. 또한 보호해줄 성인 없이 홀로 지내는 아동은 기본적인 욕구의 충족이 어렵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욕구불만 때문에 공격적인 행동을 높게 보인다[5]는 연구결과가 있다.

    학교생활적응은 학교라는 환경 안에서 학생이라는 개인이 학교 규칙, 학습 활동, 교우 및 교사관계에 순응하면서 학교 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활동과 함께 있는 구성원들과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적극적이고 창조적인 적응 과정이다[2].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들 중 학교생활적응에 위험요인이 됨을 밝힌 연구들이 많다. Shumow 등[42]은 아동의 자기보호가 학교에서의 문제행동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기보호 정도가 심할수록 아동이 학교에서 문제행동을 많이 일으키고 학업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Lord와 Mahoney[34]는 자기보호 시간이 긴 정도에 따라 보호유형을 3단계로 구분하고 자기보호가 아동의 공격성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자기보호 시간이 짧은 1단계에 비해 2, 3단계의 아동이 공격성이 높고 학업성취도가 낮은 것을 보여주었다. 같은 맥락으로 방치정도가 심할수록 성인의 보호와 지도가 결여되어 학습 부족의 문제를 겪고 결과적으로 낮은 학업성취도가 나타나며, 혼자 보내는 시간이 많을수록 우울, 불안과 같은 정서적 문제를 겪게 된다는 보고가 있다[25].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종합하면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는 부모나 성인 보호자의 적절한 지도와 감독이 필요한 시기에 아동에게 그러한 환경을 제공하지 못함으로써 위험 행동을 증가시키고, 아동의 정서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학교생활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방과 후 아동의 자기보호 유형과 가족적 요인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해 학교생활적응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2. 부모 양육방식과 학교생활적응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는 내·외적 행동이나 태도가 얼마나 지지적인지 또는 엄격한지의 수준을 모두 총괄하는 것을 부모의 양육방식이라 한다. 이런 양육방식은 부모-자녀 간의 관계의 질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친다[7, 14].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Kim[22]은 부모의 수용적인 양육태도는 자녀의 사회성과 협동심을 발달시키고, 교우관계를 잘 맺어가는 기술을 습득하게 한다고 밝혔다. 부모의 양육방식이 애정적이고, 성취적일수록 사회관계성향과 역할성향이 높다고 하였고, 자율적이고 합리적일수록 사회관계성향이 높다고 하였다[29]. 부모의 양육방식이 수용적이고 자율적인 가정의 아동이 거부적이고 타율적인 태도를 취하는 부모 밑에서 자라는 아동보다 학교생활에 더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 4]. 부모의 애정적인 양육방식은 자녀에게 비언어적, 언어적으로 친밀감을 나타내고 자녀를 존중하며 자녀 중심적이면서 자녀의 요구에 민감한 태도로 정의된다[31].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으로 부모가 자율적이고 수용적일 때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결과들이 있다[26, 11]. 합리적 설명은 아동을 합리적이고 분명한 규준과 이유를 가지고 지도하며 일관적이되 애정적인 방식으로 주장하며, 이에 따르도록 하기위해 보상이나 훈육적인 처벌이 포함되는 것을 말한다. 합리적인 설명의 양육방식을 취한 부모의 아동들은 학교생활에 더 잘 적응하였고 합리적인 설명은 학습, 규칙, 친구, 교사와의 적응에 정적인 상관을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있다[21].

    반면에 부모가 훈육기준에 일관성 없는 태도를 취하여 자녀로 하여금 혼란을 경험하게 하면 자녀가 학교생활에 부적응하며 낮은 학업성적을 얻는다는 보고가 있다[10]. 더구나 자녀의 독립성이나 흥미를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적으로 맞추도록 요구하는 과잉관섭적인 태도는 자녀에게 우울, 불안, 위축과 같은 내재화 문제와 공격성, 일탈행동 등의 외현화 문제를 줄 가능성이 있다[41, 40].

    학령기가 되면 아동들은 가정이라는 사회집단에서 더 나아가 학교라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게 된다. 부모 양육방식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중요한 변수이지만 현재까지 자기보호 정도와 부모 양육방식이 학교생활적응을 조절하는지에 대해 규명하는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자기보호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살필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부모 양육 태도를 고찰할 수 있음으로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부모양육방식과 자기보호 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한다.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Korean Child-Youth Panel Survey)2010의 초4 패널 제1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는 초등학교 1, 4학년과 중학교 1학년의 중다 패널을 대상으로 아동·청소년 성장발달의 실태 및 변화를 2010년부터 2016년까지 7년간 반복적으로 추적 조사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 표본으로 선정된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 아동 및 보호자 각 2,378명이며 그 중 남학생은 1,242명, 여학생은 1,136명이다.

       2. 측정도구

    1) 인구사회학적 변인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에서의 부모용 설문과 육아정책연구소의 ‘유아의 교육 및 생활실태조사’, 한국종합사회조사(KGSS)의 가구특성 문항을 종합한 후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것을 채택하였다. 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 중 아동의 성별, 가족구조, 부모의 연령, 부모의 학력, 부모의 직업, 부모의 근무시간, 월평균가구소득을 측정변인으로 분석하였다.

    2)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

    자기보호 유형를 분류하기 위해 동일한 데이터를 사용한 Lee[27]의 연구 방식을 따랐다. Lee[27]는 Lord와 Mahoney[34]가 아동의 보호형태를 보호시간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누는 범주적 접근(categorical approach)법을 택하여 자기보호 집단을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분한 자기보호 유형은 아래 Table 1과 같다

    [〈Table 1〉] Division of Sample and Grouping according to Self-care Days and Self-care Time

    label

    Division of Sample and Grouping according to Self-care Days and Self-care Time

    Table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주일에 자기보호 하는 날이 거의 없거나 1시간 미만, 또는 1~2일인 성인보호에 해당하는 아동은 1,640(69%)명으로 나타났다. 그와 반대로 일주일동안 거의 매일 자기보호하며 하루에 3시간 이상 방치되는 지속적 자기보호에 해당하는 아동은 411(17.2%)명이었고, 그 외에 일시적 자기보호 아동은 327(13.8%)명으로 집계되었다.

    3) 학교생활적응

    아동·청소년패널조사에서 사용된 학교생활적응 척도는 Min[36]이 초등학생용으로 제작한 학교생활 적응 척도의 문항 중 학교행사 관련문항(5문항)을 제외하고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것이다. 학교생활적응 척도의 하위요인은 학습활동(5문항),학교규칙(5문항), 교우관계(5문항), 교사관계(5문항)로 총 20개 문항으로 구성된 4점 likert 척도이다. 기존 문항을 역산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을 의미하도록 하였다. 학교생활적응의 하위변인의 신뢰도는 각 .699, .752, .627, .841로 나타났으며 전체 문항의 신뢰도는 .844로 나타났다.

    4) 부모 양육방식

    아동·청소년패널조사에서 사용된 부모 양육방식 척도는 Huh[15]가 제작한 부모 양육방식 검사(총 43문항)의 부ㆍ모 각각에 대한 질문을 부모에 대한 질문으로 수정하여 사용한 것이다. 전체 문항은 21문항이며 각 하위요인은 감독(3문항), 애정(4문항), 합리적 설명(3문항), 과잉기대(4문항), 과잉간섭(4문항), 비일관성(3문항)으로 구성된 4점 likert 척도이다. 부모 양육방식의 하위변인의 신뢰도는 각 .689, .820, .732, .693, .678, .604로 나타났으며, 전체 문항의 신뢰도는 .818이다.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평균±표준편차(M±1SD)로 부모 양육방식 수준을 상, 중, 하로 구분하였다.

       3. 자료 분석

    본 연구의 자료는 SSP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배경 변인에 따른 자기보호 유형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과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사용한 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고,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 유형에 따른 학교생활적응간의 차이를 알기위해 다변량분석(MANOVA)을 하였다.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 유형과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부모 양육방식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한 후, 집단 간의 개별 비교를 위하여 Scheffé의 사후 검증법을 사용하였다.

    Ⅳ. 연구결과

       1.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 유형의 차이

    아동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가족구성, 부모연령, 부모의 학력수준, 부모의 직업과 근무시간, 월평균가구소득)에 따라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Table 2〉] Self-Care Typ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son(%)

    label

    Self-Care Typ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son(%)

    본 연구에서 사용한 카이검증은 기대빈도가 5가 되지 않는 경우가 20%미만임으로 결과가 유의미하였다[46]. 아동의 인적 변인 중 성별에 따른 아동의 자기보호 유형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가족구성에 따른 자기보호 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한부모+자녀’구성이 ‘부모+자녀’구성에 비해 아동의 지속적 자기보호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X2=88.456, p<.001). 부모구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친부모’구성일 때 성인보호 아동이 70.2%를 차지한 것에 비해 ‘한부모’구성일 때 성인보호 아동은 56.6%로 낮게 나타났다(X2=28.232, p<.001). 부와 모의 연령에 따라서도 자기보호 유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각, X2=10.509, p<.05, X2=13.646, p<.01) 부모의 연령이 ‘50세 이상’인 경우 지속적 자기보호 아동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각, 21.1%, 25.7%). 부모의 학력수준에 따라서는 부의 학력에 자기보호 유형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X2=24.989 p<.001) 모의 학력수준과는 상관이 없었다. 부모의 직업에 있어서도 아동의 자기보호 유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각, X2=29.980, p<.01, X2=314.278, p<.001) 부의 직업이 ‘단순노무직’이거나 ‘무직’인 경우 아동의 지속적 자기보호 비율이 비교적 높았다(각, 28.7%, 28.3%). 모가 ‘전업주부’일 경우 성인보호 아동의 비율(87.2%)이 다른 변인에 비해 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근무시간에 따른 자기보호 유형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의 근무시간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모의 근무시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X2=212.510, p<.001). 월 평균가구소득에 따른 아동의 자기보호 유형의 차이도 유의미하였다(X2=20.145, p<.01). 소득이 제일 낮은 ‘199만원 이하’ 가구에서 지속적 자기보호 아동의 비율이 제일 높게 나타났다(23.9%).

       2.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 유형에 따른 학교생활적응 수준의 차이

    자기보호 유형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Table 3과 같이 변인들의 차이를 설명하는데 유의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F=4.604, p<.001).

    [〈Table 4〉] The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Self-care Type

    label

    The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Self-care Type

    이에 종속변인별로 단변인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Table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학교생활적응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자기보호 유형별 집단 간의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보호 유형에 따라 학습활동(F=14.170, p<.001), 학교규칙(F=8.390, p<.001), 교우관계(F=8.900, p<.001), 교사관계(F=4.383, p<.05)에 대한 적응 전반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였고 전체 학교생활적응 역시 자기보호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F=12.020, p<.001). 이러한 차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Scheffé의 사후검증법을 적용하여 평균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네 가지 하위변인과 전체 학교생활적응 변인에서 성인보호와 지속적 자기보호 집단 간의 평균차이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시적 자기보호와 지속적 자기보호 집단 간의 차이는 모든 변인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3.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 유형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부모 양육방식의 조절효과

    부모의 양육방식(감독, 애정, 합리적 설명, 과잉기대, 과잉간섭, 비일관성)이 학교생활적응에 자기보호 유형과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이원변량분석을 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자기보호 유형과 부모의 감독(F=2.955, p<.001), 애정(F=1.890, p<.05), 합리적 설명(F=2.182, p<.01)의 상호작용 효과가 학교생활적응을 조절하는데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부모의 감독, 애정, 합리적 설명에 대한 단변인변량분석을 실시하였는데, 부모 감독에서는 종속변인인 학교생활적응의 학습활동(F=3.063, p<.05)과 교우관계(F=3.846, p<.01)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부모의 애정 변인에서는 학교생활적응의 모든 변인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모의 합리적 설명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의 교우관계(F=5.234, p<.001), 교사관계(F=2.867, p<.05)에서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이에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모의 감독과 합리적 설명 변인의 그래프를 산출하고 단순주효과분석과 사후검증을 통하여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1) 아동의 학습활동 적응에 대한 자기보호 유형과 부모 감독의 상호작용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아동의 학습활동에 대한 자기보호 유형과 부모 감독의 상호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도식화 하면 Figure 1과 같다.

    [〈Table 5〉] The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Self-care Type and Parental Monitoring

    label

    The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Self-care Type and Parental Monitoring

    Table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모의 감독 수준이 하인 경우 성인보호 아동(M=2.79)과 일시적 자기보호 아동(M=2.78)의 학습활동 적응차이는 없었다. 반면 지속적 자기보호 아동일 경우 부모 감독수준이하일 때 학습활동 적응 점수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M=2.56).

    자기보호 유형에 따른 부모 감독 수준의 상호작용을 살펴본 결과, 성인보호 아동과 지속적 자기보호아동일 경우 부모의 감독 상(F=114.218, p<.001), 중(F=13.040, p<.001), 하(F=46.908, p<.001) 수준에 따라 학습활동 적응점수 차가 확연히 나타났다.

    2) 아동의 학교규칙 적응에 대한 자기보호 유형과 부모 감독의 상호작용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아동의 학교규칙에 대한 자기보호 유형과 부모 감독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그래프를 Figure 2에 나타냈다.

    Table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모의 감독 수준이 하인 경우 성인보호 아동(M=2.92)과 일시적 자기보호 아동(M=2.81)의 학교규칙 적응차이는 없었지만 지속적 자기보호 아동(M=2.70)과 성인보호 아동의 학습활동 적응 점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보호 유형에 따른 부모 감독 수준의 상호작용을 살펴본 결과, 성인보호 아동(F=72.664, p<.001)과 지속적 자기보호 아동(F=31.887, p<.001)일 경우 부모 감독수준 상, 중, 하 순으로 학교규칙 적응 점수가 높았다. 일시적 자기보호 아동인 경우 학교규칙 적응에 있어 부모 감독이 상호작용 효과(F=11.966, p<.001)를 나타냈지만 감독 수준이 상(M=3.20)과 중(M=3.04)일 경우에는 집단 간의 차이가 없었다.

    3) 아동의 교우관계 적응에 대한 자기보호 유형과 부모 감독의 상호작용효과

    아동의 교우관계에 대한 자기보호 유형과 부모 감독의 상호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Figure 3과 같이 나타냈다.

    Table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모의 감독 수준이 상인 경우 일시적 자기보호 아동(M=3.18)과 지속적 자기보호 아동(M=3.14)의 학교규칙 적응차이는 없었지만 성인보호 아동(M=3.32)과 일시적, 지속적 자기보호 아동 간의 점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9.232, p.<001).

    자기보호 유형에 따른 부모 감독 수준의 상호작용을 살펴본 결과, 성인보호 아동(F=118.677, p<.001)과 일시적 자기보호 아동(F=18.459, p<.001), 지속적 자기보호 아동(F=28.629,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성인보호 아동일 경우 부모 감독 수준 상(M=3.32), 중(M=3.06), 하(M=2.81) 순으로 교우관계 적응 점수가 높았다.

    4) 아동의 교우관계 적응에 대한 자기보호 유형과 부모의 합리적 설명의 상호작용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아동의 교우관계에 대한 자기보호 유형과 부모의 합리적 설명의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그래프는 Figure 4와 같다.

    자기보호 유형에 따른 부모의 합리적 설명 수준의 상호작용을 살펴본 결과, 성인보호 아동(F=103.657, p<.001)과 일시적 자기보호 아동(F=12.160, p<.001), 지속적 자기보호 아동(F=6.473, p<.001)에서 교우관계 적응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지속적 자기보호 아동일 경우 부모의 합리적 설명 수준이 상(M=3.08), 중(M=3.02), 하(M=2.83)집단 순으로 교우관계 적응 점수가 높았다.

    5) 아동의 교사관계 적응에 대한 자기보호 유형과 부모의 합리적 설명의 상호작용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아동의 교사관계에 대한 자기보호 유형과 부모의 합리적 설명의 상호작용 효과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도식화하면 Figure 5와 같다.

    [

    ] The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Self-care Type and Parental Reasonable Explanation

    label

    The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Self-care Type and Parental Reasonable Explanation

    Table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모의 합리적 설명이 상인 자기보호 유형에 따른 교사관계 적응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고(F=7.201, p<.01), 성인보호 아동(M=3.46)과 지속적 자기보호 아동(M=3.18)의 집단 간의 적응점수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인보호 아동과 일시적 자기보호 아동(M=3.42)간의 집단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자기보호 유형에 따른 부모의 합리적 설명 수준의 상호작용을 살펴본 결과, 성인보호 아동(F=80.753, p<.001)과 일시적 자기보호 아동(F=9.525, p<.001), 지속적 자기보호 아동(F=6.657, p<.01)에서 교사관계 적응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성인보호 아동일 경우 부모의 합리적 설명 상(M=3.46), 중(M=3.14), 하(M=2.83) 순으로 교우관계 적응 점수가 높았다.

    Ⅴ.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의 경향성을 살피고, 방과 후 자기보호 정도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부모 양육방식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조절하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와 논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시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가족구성과 부모연령, 부의 학력수준, 부모의 직업, 부모의 근무시간, 월평균가구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먼저 가족구성에 따른 자기보호 유형을 살펴보면 양부모와 함께 사는 아동은 높은 비율의 성인보호형태를 띠었다. 그와 반면에 한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인 경우 전체가구대비 지속적 자기보호 아동의 비율이 높았다. 한부모의 양육으로 인해 생긴 보호의 공백을 대신할 가족구성원의 부재가 아동의 자기보호 유형 차이로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부모의 학력수준에 따른 아동의 자기보호 유형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의 학력수준만이 자기보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부의 학력이 높을수록 아동의 지속적 자기보호 비율이 낮았다. 같은 양상으로 부가 관리직 및 전문직, 사무직에 종사할 경우 성인보호의 비율이 부가 기능 및 기술직이나 단순 노무직에 종사하는 것보다 높았다. 부의 학력이 높을수록 지속적 자기보호 확률이 감소하는 인적자본에 따른 격차가 관찰되었다. 모의 경우에는 전업주부인 경우 성인보호 비율이 가장 높았는데, 생계전선에 뛰어든 취업모를 둔 아동들이 자기보호를 해야 할 확률이 높음을 시사한다. 부모의 근무시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의 근무시간에서만 자기보호유형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양부모의 취업은 불가피하게 아동을 자기보호 하게하는 문제로 이어지게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자기보호 아동들은 방과 후 상당시간 혼자 지내게 되고 자연스레 각종 범죄에 타깃이 되며, 위험에 노출되기 쉽다. 취업부와 취업모는 아동의 자기보호에 대한 기존 시각을 제고하고 더욱더 아동에게 관심과 주의를 기울이며 자기보호 아동이 당면할 위험요소를 배제시켜야 할 것이다.

    월평균가구소득에 따라서도 아동의 자기보호 유형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다수의 자기보호 아동들이 가난과 자기보호의 이중적 부담을 안고 있다는 Harris[13]의 연구와 유사하게 소득이 낮은 집단에서 지속적 자기보호 아동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나홀로 아동의 실태를 조사한 여성가족부[37] 보고에 의하면, 저소득층에 자기보호 아동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39.7%).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자기보호 아동이 될 확률이 높아지는 것을 본 연구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 유형에 따라 학교생활적응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학교생활적응의 네 가지 하위요인 모두에게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방과 후 방치가 학업성취도를 낮추고[1, 42, 34], 정서발달과 또래관계에 문제가 된다는 연구와 맥을 같이 한다[5]. 자기보호상황에 있는 아동들은 적절한 성인의 감독이 부재하여 위험 요소들에 노출될 확률이 높고, 문제발생시 아동이 스스로 해결할지 못할 때 스트레스 상황 속에 빠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 아동의 일과 중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교에서 자기공백을 메울 수 있는 체계적 시스템 구축 및 시행이 시급하다. 학교생활의 적응은 학령기에서 그치지 않으며 추후 대인관계 적응, 사회생활 적응 등 아동이 경험할 다양한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조화롭게 살게 하는 귀중한 자원이 된다. 아동이 이 발달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부모 및 주변 성인들의 도움과 관심이 절실히 요구된다.

    셋째, 아동의 방과 후 자기보호 유형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에서 부모의 양육방식이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부모 양육방식의 하위요인 중 감독 및 합리적 설명에서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먼저 부모의 감독은 학습활동과 학교규칙에 대한 학교생활적응을 조절하였다. 부모의 감독이 낮은 수준에 해당하는 지속적 자기보호 아동은 학습활동에 더욱더 부적응 하였다. 그런 반면에 지속적 자기보호 및 일시적 자기보호 아동일지라도 부모 감독수준이 높은 집단의 아동들은 학습활동에 대한 학교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도 마찬가지로 감독 수준이 낮음과 동시에 지속적 자기보호 유형에 속한 아동일 경우 학교규칙적응 점수가 매우 낮았다. 반면에 부모의 감독 수준이 높고 성인보호 아동일 경우에는 교우관계에 대한 학교생활적응 점수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양육방식이 감독, 애정과 같이 긍정적일수록 아동의 학교생활적응도가 높게 나타났다는 연구결과[24, 3]와 유사하다. 지속적 자기보호 상황에 있는 아동이라도 부모의 감독에 의해서 학교생활에 순적응 할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아동의 일상생활에 대해 부모가 관심을 기울이고 감독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통신매체의 발달로 원거리 감독이 가능함에 따라 부모는 이를 잘 활용하여 아동의 안전을 지키고 건강한 발달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부모를 대신할 대리감독자로서 이웃주민, 학원교사, 지역아동센터교사 등 주변의 인력체계를 활용하여 감독 수준을 높일 수 있다.

    합리적 설명의 양육방식에서도 교우관계와 교사관계에 대한 학교생활적응을 조절함을 확인하였다. 부모의 합리적 설명 수준이 높을수록 성인보호 아동의 교우관계 적응은 아주 높게 나타났다. 교사관계에 있어서도 성인보호 아동일 경우 합리적 설명이 높을수록 교사관계에 대한 적응을 잘하였지만 그와 동시에 성인보호 아동이라 할지라도 합리적 설명 수준이 낮을 경우 교사관계에 대한 적응이 낮았다. 부모의 합리적 설명은 권위적이거나 허용적인 양육태도보다 적응적 기능에 더욱더 효과가 있으며[45] 학교 생활적응을 더 잘할 수 있게 한다[21, 17]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Kim과 Lee[21]의 연구에서 합리적인 설명은 교사, 친구와의 적응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는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그러므로 성인의 보호를 받는 아동이라 할지라도 부모의 합리적 설명의 양육방식이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지속적 자기보호 아동의 경우 부모의 합리적 설명 수준이 높더라도 교우관계와 교사관계 적응에 있어 성인보호 아동과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정서발달과 대인관계 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기보호 아동들을 위해 부모의 합리적 설명의 양육방식이 꼭 필요할 뿐만 아니라, 방치되는 자기보호 아동을 성인의 보호와 감독을 바탕으로 양육해야함을 시사한다.

    방과후돌봄 서비스의 형태와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본 연구결과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에 의의가 있다. 그 밖에도 자기보호 아동의 문제점이 사회적으로 부각되고 있고 정책개발이 활발히 이뤄지는 이때에 증폭제 역할을 할 수 있는 관련 연구들이 많이 요구된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내리면서 후속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설문지 문항 중 연구변인들을 측정하는 문항들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이미 구성되어 있는 문항들을 해당영역에 부합하는 문제영역으로 정의하여 사용하였으므로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보다 타당화된 측정도구 사용 결과와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한 데이터를 활용하였기에 그 결과를 전체 아동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추후연구에서는 이점을 고려하여 좀 더 광범위한 연령대의 아동들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아동의 연령이 어릴수록 자기보호의 위험요인은 위협적으로 다가옴으로 현 사회문제에 대응하여 아동의 복지와 안녕을 위한 후속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 부모양육방식만을 조절변수로 살펴본 한계점이 있다. 패널자료 사용의 장점으로 광범위한 지역구에서 조사가 이루어졌지만, 변인 선택에 제한점이 있었으며, 사용된 척도가 구체적이지 않아 심도 있는 분석을 하지 못하였다. 자기보호 아동에게 중요한 다양한 연구변인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되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도울 수 있는 자료로 활용 될 수 있게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결과들이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는 아동의 자기보호 정도에 따라 집단을 세 분류로 나눠서 차이를 살펴 본 것에 의의가 있지만 아동의 자기보호 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을 통제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이런 요소들을 통제하고 자기보호 정도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얼마나 설명하는지 영향력을 살펴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1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패널 조사는 7년에 걸친 단기종단연구이므로 전체 데이터를 활용하면 자기보호 아동의 비율과 경향성을 알 수 있다. 또한 자기보호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양상이 어떤 변화를 보일지 지속적인 비교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Aizer A. (2004) Home Alone: Supervision After School and Child Behavior. [Journal of Public Economics] Vol.88 P.1835-1848 google cross ref
    • 2. Cha Y. R. (2001) A study on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google
    • 3. Chang S. J., Song S. W., Cho M. N. (2011) The Effects of Mobile Phone Dependency,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ttachment to Peer on School Life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18 P.431-451 google
    • 4. Choi H. I., Kim S. I. (2004) Relations of parental child-rearing styles with school adjustment for early adolescents. [Studies on Korean Youth] Vol.15 P.57-92 google
    • 5. Choi K. S., Jeong H. H. (1996) Social competence, peer contacts, and emotional development in children of lower SES employed moth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ol.17 P.107-119 google
    • 6. Chung U. S. (2001) Effects of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parent's care toward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google
    • 7. Coleman M, Ganong L., Fine M. (2000) Revisiting remarriage; Another decade of progres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23 P.1288-1315 google cross ref
    • 8. Colwell M. J., Pettit G. S., Meece D., Bates J. E., Dodge K. A. (2001) Cumulative risk and continuity in non-parental care from infancy to early adolescence. [Merrill-Palmer Quarterly] Vol.47 P.207-234 google cross ref
    • 9. Diamond J. M., Kataria S. K., Messer S. C. (1989) Latchkey children: A pilotstudy investigating behavior and academic achievement [Child & Youth Care Quarterly] Vol.18 P.131-140 google cross ref
    • 10. Dornbusch S. M., Ritter P. L., Leiderman P. H., Roberts D. F., Fraleigh M. J. (1987) The relation of parenting style to adolescent school performance. [Child Development] Vol.58 P.1244-1257 google cross ref
    • 11. Ha M. S., Lee S. B. (2009) The influence of the children-perceived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elf elasticity to adjust to school life.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Vol.18 P.247-258 google
    • 12. Halpern R. (1992) The role of after-school programs in the lives of inner city children: A study of the urban youth network. [Child Welfare] Vol.71 P.215-230 google
    • 13. Harris L. (1981) Families at work: strengths and strains, Minneapolis, MN: The general Mills american family report. google
    • 14. Hofferth S. I., Anderson K. G. (2003) Are all dads equal?; Biology versus marriage as a basis for paternal investme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65 P.213-233 google cross ref
    • 15. Huh M. Y. (2000) The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perceived by adolescent. google
    • 16. Ishak Z., Low S. F., Lau P. L. (2011) Parenting style as a moderator for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P.1-7 google
    • 17. Jang Y. A., Park J. H. (2008) The effect of parenting behavior,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he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Welfare] Vol.13 P.69-85 google
    • 18. Jang Y. E. (1998) Child'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working mother's burden of child rearing depending on the type of after school care. google
    • 19. Jo E. J. 2012 ‘Home alone’ children exposured to crime …. P.A4 google
    • 20. Kim J. A. (1999)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way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gnize of bringing up and their adaptation for school life. google
    • 21. Kim J. G., Lee K. H. (2008) Relationships between combinational pattern of parenting styles and middle school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9 P.1183-1200 google cross ref
    • 22. Kim M. S. (2003) The study on the change of ADHD children's behavior through etiquette educational program. google
    • 23. Kong Y. K. (2005)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and community environme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fter-school self-care and problem behaviors. google
    • 24. Kwak S. R. (2006)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Vol.16 P.1-26 google
    • 25. Lee B. J., Cho M. R. (2011) The effects of after-school self-care on children`s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Vol.36 P.7-33 google
    • 26. Lee E. Y., Kim K. H. 2005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their children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djustment in school lif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10 P.105-119 google
    • 27. Lee J. H. (2012) The effects of the self-care on the predictive factors of after-school self-care and negative self-concept of children. [The 2nd Korean Child Youth Panel Survey Conference] P.755-780 google
    • 28. Lee J. Y. (200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itude toward children of low-income class and children'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 : Comparison of self-care children and adult-care children. google
    • 29. Lee S. S. (2008)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rearing attitude children perceive andchildren's propensity for personal relations. google
    • 30. Lee T. S. (2005) A Study on the activity methods the role of the activation community child centers. [2005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google
    • 31. Lee Y. E. (2012)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s on schoo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A study of gender differences. google
    • 32. Lim J. H., Chun J. S. (2012) Effect of parenting behaviors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school adjustment among male and female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19 P.169-190 google
    • 33. Long T. J., Long L. (1982) Latchkey children: The child' view of self care. P.211-229 google
    • 34. Lord H., Mahoney J. L. (2007) Neighborhood crime and self-care: Risks for aggression and lower academic performance. [Developmental Psychology] Vol.43 P.1321-1333 google cross ref
    • 35. Lovko A. M., Ullman D. G. (1989) Research on the adjustment of latchkey children: Role of background/demographic and latchkey situation variable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Vol.18 P.16-24 google cross ref
    • 36. Min B. S. (1991) The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and self-concept on academic achievement. google
    • 37. (2011) Self-care children appeared about 29.6%. google
    • 38. Oh E. S. (2000) A study on the after program for prevention of latchkey children's wrong actions - mainly focused on Y public welfare center in Inchon -. google
    • 39. Oh S. Y. (2003) Psychological well being of children with working mother's depending on the type of after school care and parental attitude. google
    • 40. Perris C., Arrindell W. A., Eisemann M. (1994) Parenting and Psychopathology. google
    • 41. Rey J. M., Palpp J. M. (1990) Quality of perceived parenting in oppositional and conduct disordered adolescen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Vol.29 P.382-385 google cross ref
    • 42. Shumow L., Smith T. J., Smith M. C. (2009) Academic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young adolescents in self-care.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Vol.29 P.233-257 google cross ref
    • 43. (2013) 2011 Statistics of dual-earner household. google
    • 44. (2013) Economic activity census. google
    • 45. Steinberg L., Lamborn S. D., Darling N., Mounts N. S., Dornbusch S. M. (1994) Over-time changes in adjustment and competence among adolescents from authoritative, authoritarian, indulgent, and neglectful families. [Child Development] Vol.65 P.754-770 google cross ref
    • 46. Yates D., Moore, Moore D., McCabe G. (1999) The practice of statistics google
    • 47. Yoon S. K. (2011) The effects of the after-school self-care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s.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Division of Sample and Grouping according to Self-care Days and Self-care Time
      Division of Sample and Grouping according to Self-care Days and Self-care Time
    • [ 〈Table 2〉 ]  Self-Care Typ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son(%)
      Self-Care Typ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son(%)
    • [ 〈Table 3〉 ]  Multivariate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 [ 〈Table 4〉 ]  The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Self-care Type
      The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Self-care Type
    • [ [Figure 1] ]  The Interactional Effects of Monitoring and Self-care Type on Study Activity Adjustment
      The Interactional Effects of Monitoring and Self-care Type on Study Activity Adjustment
    • [ 〈Table 5〉 ]  The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Self-care Type and Parental Monitoring
      The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Self-care Type and Parental Monitoring
    • [ [Figure 2] ]  The Interactional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 and Self-care Type on School Regulations Adjustment
      The Interactional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 and Self-care Type on School Regulations Adjustment
    • [ [Figure 3] ]  The Interactional Effects of Monitoring and Self-care Type on Friend Relationship Adjustment
      The Interactional Effects of Monitoring and Self-care Type on Friend Relationship Adjustment
    • [ [Figure 4] ]  The Interactional Effects of Parental Reasonable Explanation and Self-care Type on Friend Relationship Adjustment
      The Interactional Effects of Parental Reasonable Explanation and Self-care Type on Friend Relationship Adjustment
    • [ [Figure 5] ]  The Interactional Effects of Reasonable Explanation and Self-care Type on Teacher Relationship Adjustment
      The Interactional Effects of Reasonable Explanation and Self-care Type on Teacher Relationship Adjustment
    • [ <Table 6> ]  The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Self-care Type and Parental Reasonable Explanation
      The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Self-care Type and Parental Reasonable Expla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