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에 관한 연구- 2012여수세계박람회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 The Study of Social Capital of Event Volunteer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A Case of Expo 2012 Yeosu Korea Volunteers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에 관한 연구- 2012여수세계박람회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

The object is that this research pays attention to importance of social capital formation and investigates the influence that the social capital of the event volunteers reaches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proposes the practical undertone related to the event managemen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the event volunteers, it tries to compare whether there is the difference which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ow is or not. For this, on the basis of the preceding research and theory, the volunteer's the social capital of the event volunteers comprises the survey through the adult confidence, trust of institution, norm, and network in the altruistic behavior, conscience and consideration, citizenship, and sportsmanship item and the causal sequence between variables is clearly made public and the first purpos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the event volunteers, it tries to compare whether there is the difference which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ow is or not. It confirmed positive that there is the influence that result of this research and event volunteers social capital is positive to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xperienc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the event volunte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the difference noted to the organized citizen's action. In the event volunteer organiza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pplies to the volunteer administration and draws the undertone which is practical and political and will become basic data.

KEYWORD
사회적 자본 , 조직시민행동 , 이벤트 자원봉사자 , 2012여수세계박람회
  • Ⅰ. 서 론

    1993년 대전세계박람회 이후 두 번째 공인 박람회인 2012여수세계박람회가 살아있는 바다, 숨쉬는 연안: 자원의 다양성과 지속가능한 활동이라는 주제로 2012년 5월 12일부터 8월 12일까지 3개월간 진행되었다. 이번 박람회는 93일간 104개국의 참가국가와 10개의 국제기구 13,296회의 문화행사 진행과 820만 명 이상의 국내외 관람객의 방문한 국제적인 행사로 기간과 규모상 국내 최대의 이벤트 중의 하나로 기록되어 진다. 또한 박람회 준비 기간부터 행사 기간을 포함하여 13,000명이 넘는 국내외 자원봉사자의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벤트의 경우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많은 인력이 필요한데 비해 예산과 자원의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무보수 자원봉사자의 역할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Getz, 1997; Yi, 2000; Lee, 2004; Kwak & Kim, 2009; Kwak & Park, 2011; 곽서연, 2013a).

    이벤트 자원봉사자는 보수를 기대하지 않고 본인의 자유로운 의지로 이벤트에 참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며(Getz, 1997), 그들의 노동력, 기술, 지식, 경험을 제공한다. 이벤트에서 자원봉사자는 행사장 안내 및 통역, 행사장 시설의 유지 및 관리, 행사운영 및 보조 등의 역할을 수행하여 자원은 극대화시키고 비용은 최소화시킨다. 또한 지역주민의 참여를 통하여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공동체 의식을 강화시키며 주변인들에게 입소문을 내어 이벤트 홍보와 인지도 향상에 이바지하고 지역전체의 축제분위기를 조성하는데 보탬이 된다. 최근 축제, 스포츠 행사, 공연, 전시 등 다양한 이벤트 분야에서의 자원봉사자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국내외에서 이벤트 자원봉사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전통적 자본과는 구별되는 개념인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은 사람들 간에 형성된 사회적 관계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형성된 신뢰와 규범과 같은 실제적이고 잠재적인 자원이라고 말할 수 있는데(Burt, 1992; Coleman, 1988; Portes, 1998; 박순미, 2000). 최근 사회적 자본에 대한 학술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학문영역에서 폭넓게 논의되고 있다.

    또한 오늘날 조직 연구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개념으로 조직시민행동이 있다.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에서 공식적으로 요구하는 역할 이외에 자발적으로 변화에 유연한 적응성을 보이며 조직의 성과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새로운 역할행동(extra-role behavior)을 말하는데, 국가와 지역을 대표하는 공익성을 가진 이벤트에 참여하는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행동을 설명하기에 매우 적합한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경우 현장에서 직접 관람객을 대응하고 유급 직원들을 보조하면서 업무분장표에 명시된 역할 이상의 서비스와 활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이벤트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조직시민행동은 절실히 요구된다. 조직시민행동의 선행요인은 크게 개인의 성격, 욕구, 가치관 등을 포함하는 개인요인(individual causes)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임파워먼트, 공정성 지각 등으로 구성되는 직무태도(job attitude), 그리고 조직문화, 리더십, 조직특성을 내용으로 하는 환경요인(environmental causes)이 있다(문형구·김경석, 2006). 본 연구에서는 개인요인에 해당하는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벤트 자원봉사자 본질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조사에는 참가동기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 되어 왔지만(Williams, Dossa & Tompkins, 1995; Ryan & Bates, 1995; Saleh & Wood, 1998; Johnston, Twynam & Farrell, 1999-2000; Elstad, 2003; Twynam, Farrell & Johnston, 2003; Monga, 2006; Kwak & Kim, 2009, Kwak & Park, 2011),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연구는 드문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자본이 그들의 행동 변수인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그것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사회적 자본 형성의 중요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또한 이벤트 운영과 관련된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둔다.

    Ⅱ. 선행연구 고찰

       1.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자본

    사회적 자본은 개인이나 조직이 특정한 사회구조 내에서 맺고 있는 사회적 관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자원의 집합을 의미하는데(Burt, 1992; Coleman, 1988; Nahapiet & Ghoshal, 1998; 박순미, 2000). 이는 개인이나 사회구조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의 공간 안에 존재하는 것이다(Bullen & Onyx, 1998). 사회적 자본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였던 Hanifan(1920)은 사회적 자본을 사람들의 일상적인 삶에서 중요시되는 선의, 동료애, 공감 그리고 사회적 단위를 구성하는 각 개인 또는 가족 간의 사회적 교류라고 말하였다.

    사회적 자본의 주요 연구자인 Putnam(1993)는 이탈리아의 북부지역과 남부지역의 사회적 자본이 경제적, 사회문화적으로 지역 간 주민의 삶의 질과 행정수준 차이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하였다. Fukuyama(1995)는 한국, 일본, 미국 등 6개 국가를 대상으로 신뢰와 경제적 번영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신뢰의 수준에 따라 국가별로 산업구조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 그는 사회적으로 신뢰가 높은 국가들은 타인을 신뢰하기 때문에 분업과 교환의 이익을 높일 수 있었으며 또한 전문 경영인이 운영하는 대규모 기업조직이 형성될 수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반면 사회적으로 신뢰가 낮은 국가들은 타인에 대한 신뢰도도 낮기 때문에 가족 중심의 소규모 기업 또는 국가에서 운영하는 국영 기업체가 많다는 것을 밝혔다. 여러 연구자들은 사회적 자본이 한 개인에 의해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닌 개인 상호간이나 집단의 신뢰와 규범, 네트워크 등 사회적 관계에서 이룰 수 있는 자원으로 바라보고 있다. 또한 사회적 자본은 개인의 이익추구 보다는 공동의 이익과 사회질서를 확립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정치, 경제, 사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고 여러 분야에서 적용가능한 유용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강철희(2007)의 연구에서는 사회복지, 모금단체, 교육기관, 종교단체 등에 대한 신뢰 정도와 자원봉사 노력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뢰의 수준이 자원봉사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동시에 자원봉사의 수준이 신뢰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즉, 신뢰의 수준과 자원봉사의 수준은 쌍방적 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Inouye(2007)는 미국에서 사회적 신뢰가 공식적·비공식적 자원봉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한 결과, 종교기관에 대한 신뢰는 비공식적 자원봉사활동 시간에 영향을 주며, 자선기관에 대한 신뢰는 공식적 자원봉사시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기관에 대한 신뢰의 차이는 자원봉사활동의 총시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성경(2009)의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 요인이 평균이상 자원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분석 결과 민간·자선기관 신뢰가 높을수록 자원봉사활동 시간이 많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조직시민행동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에서 규정된 역할이나 임금 또는 승진과 같은 직접적인 보상 또는 처벌 때문에 야기되는 행동이 아닌 구성원 개인의 자유의지를 가지고 자발적으로 하는 행동을 말한다(Organ, 1988). 오늘날과 같이 급속하게 변화하는 환경과 경쟁체제에서 구성원들의 규정된 역할에 대한 행동에만 의존하는 조직은 생존하기 어렵기 때문에(Katz, 1964; Smith, Organ & Near, 1983),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은 조직의 분열과 갈등을 줄이고, 조직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Organ, 1988; Bolino, Turnley & Bloodgood, 2002). 금전적 이익보다는 사회적 또는 지역적 관계에 의해 구성된 자원봉사자들의 행동을 설명하기에 조직시민행동은 매우 적합한 개념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시민행동의 하위차원으로 국내외 연구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Organ(1988)의 조직시민행동의 5가지 하위개념인 이타행동(altruism), 양심행동(conscientiousness), 예의바름(courtesy), 시민정신(civic virtue), 스포츠맨십(sportsmanship)을 사용한다(Podsakoff, MacKenzie, Moorman & Fetter, 1990; Moorman, 1991; Niehoff & Moorman, 1993; 김만국, 2008; 김용순, 2011; 이경훈, 2011; 곽서연, 2013). 이타행동은 과업이 과중하거나 문제에 직면한 다른 사람을 자발적으로 도와주는 행동으로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경우 다른 자원봉사자와 유급직원의 업무를 돕거나 신입 자원봉사자에게 업무 노하우를 자발적으로 전달하는 것 등을 말할 수 있다. 양심행동은 조직 구성원이 규정된 역할이외에 수행하는 행동을 뜻하는데 예를 들면 자원봉사 시간을 엄수하는 것이나 업무에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다른 자원봉사자와 교대로 식사 또는 휴식시간을 취하는 것 등을 뜻한다. 예의바름은 다른 구성원과의 관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들을 사전에 방지하고자 하는 행동으로 나의 행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유급직원이나 다른 자원봉사자와 상의하고 배려하는 행동을 말한다. 시민정신은 조직 활동에 책임감을 가지고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행동을 말하는데 참여하고 있는 이벤트에 대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긍정적으로 말한다던지, 자원봉사 관리자 또는 유급직원들이 전달하는 업무의 전달사항을 숙지하고 이행하려고 노력하는 행동 등을 말한다. 스포츠맨십은 조직 내에서 문제나 어려움이 있을 때 불평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행동을 말하는데 활동하고 있는 이벤트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하여 불편함을 감수하며 중간에 그만두거나 하지 않고 성실하게 업무를 수행하는 태도를 말할 수 있다.

       3. 여수세계박람회 자원봉사자

    여수세계박람회 자원봉사자 운영은 한국자원봉사협의회가 위탁 운영단체로 선정되어 2011년 7월부터 국내외 온·오프라인 홍보를 통해 자원봉사자 2만 2916명을 선발하였고 이들은 사이버교육, 리더 자원봉사자 집합교육, 일반자원봉사자 집합교육, 현장교육 등의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현장 활동을 시작하였다. 박람회 기간 실제로 활동한 자원봉사자 수는 9,199명(연인원은 11,553명)이었다. 국내외별로는 내국인 8,864명, 외국인이 335명이었고, 성별로는 남성 2,993명, 여성 6206명이었다. 연령대별로는 20대 미만 2,337명, 20대가 4,058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는 256명, 40대 659명, 50대 887명, 60대 735명, 70대 247명이었다. 지역별로는 광주·전남이 56.5%로 다수였고, 서울·경기 19.5%였다. 자원봉사자 주요 역할은 관람안내, 질서유지, 출입관리, 통역, 행정·전산 등 9개 분야 19개 직종으로 박람회장 내, 엑스포타운, 환승주차장에서 근무하였다. 자원봉사자들은 총 10기수로 나뉘어 활동을 하였고, 근무형태는 주중근무(월요일∼금요일)는 2주간(10일), 주말근무(토요일, 일요일)는 4주간(8일)로 1일 8시간 2교대 근무를 원칙으로 진행되었다(2012여수세계박람회 공식보고서).

       4. 사회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

    조직 내부 구성원들 사이의 관계, 신뢰, 규범 등을 포함하는 조직 사회적 자본이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이 민간기업, 공공기관 등 다양한 분야의 여러 연구자에 의해 밝혀졌다(Williams & Anderson, 1991; Moorman, Niehoff & Organ., 1993; Peng & Chiu, 2010; Pohl & Paillé, 2011; 우석봉, 2001; 이태섭, 2009).

    Bolino et al.(2002)은 조직시민행동, 사회적 자본, 조직성과의 관계 모형을 제시하고 사회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은 상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배병룡(2005)은 공공조직에서 규범이 개인성과와 부서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여러 연구자의 연구를 통하여 사회연결망이나 네트워크가 높을 때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은 높게 나타난다는 것이 밝혀졌다(설홍수, 2004; 정희정, 2008; 전기호·이병규·박헌준, 2010). 또한 곽서연(2013)은 국내 7개의 공연예술축제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조직 사회적 자본과 자원봉사자의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는데, 조직 사회적 자본의 하위차원인 신뢰, 규범, 네트워크 중에서 네트워크가 자원봉사자의 조직시민행동에 가장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Ⅲ. 연구방법

       1.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본 연구에서는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개인차원의 사회적 자본을 독립변수로, 그들의 조직내 자발적 활동인 조직시민행동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두 변수간의 인과적 관계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이전 이벤트 자원봉사 활동 경험유무에 따른 조직시민행동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설문문항 구성, 연구가설과 모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설문문항을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하였는데, 첫 부분은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자본으로 대인신뢰, 기관신뢰, 규범, 네트워크를 하위차원으로 15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두 번째는 자원봉사자의 조직시민행동으로 이타행동, 양심과 배려, 시민정신, 스포츠맨십을 하위차원으로 하여 18개 항목으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문항 6개를 추가하여 전체 39개의 문항을 조사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명목척도를 제외한 모든 변수의 설문항목들은 5점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를 활용하였다.

    [<표 1>] 설문문항의 구성

    label

    설문문항의 구성

       2. 연구대상 및 분석방법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12년이며, 공간적 범위는 2012 여수세계박람회 자원봉사자로 설문은 2012년 8월 9일 실행하였다. 10기 자원봉사자(7월 30일부터 8월 10일 근무) 기념품을 수령하기 위해서 본부를 찾은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기기입식으로 실시되었고, 441명이 응답하였으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436명의 설문지를 연구의 유효표본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조사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크게 네 부분으로 구성하였는데, 첫 부분은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자본으로 15개의 항목으로 구성하였고. 두 번째는 자원봉사자의 조직시민행동으로 이타행동, 양심과배려, 시민정신, 스포츠맨십을 하위차원으로 하여 18개 항목으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문항 6개를 추가하여 전체 39개의 문항을 조사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수의 명목척도를 제외한 모든 변수의 설문항목들은 5점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를 활용하였다. 분석 절차로는 기술통계 분석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분포와 특성을 알아보았다. 척도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서는 요인구조 탐색을 통해 잠재변인들의 구조를 알아보는 탐색적 요인분석(EFA : 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측정된 검사 문항들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문항 간 내적 합치도 계수인 Cronbach-α값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T-test을 실시하였다.

    Ⅳ. 결과분석

       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본 연구를 위해 수집한 총 436명 유효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표 2>과 같다. 여성이 340명(78.0%)으로 남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대에서는 10대∼20 대 397명(91.1%), 거주지별로는 이벤트 개최지 76명(17.4%)에 비해 기타 지역 360명, 78.0%)이 더 많았고, 학력별로는 대학교 재학 381명(87.4%)이 응답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표 2>]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label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직업별 구분에서는 대부분이 학생 379명(86.9%)이며, 이벤트자원봉사 경험유무는 처음인 경우 278명(63.8%), 1회 이상 경험이 있는 경우가 159명(36.2%)으로 조사되어 반수를 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연구모형 검증 결과

    1)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자본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결과는 <표 3>와 같다. 아이겐값이 1이상인 요인은 4개이고, 전체 설명력은 68.472%로 설명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통성은 0.5이상으로 안정적이다.

    [<표 3>] 이벤트 자원봉사자 사회적 자본의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결과

    label

    이벤트 자원봉사자 사회적 자본의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결과

    요인적재량이 0.4이상인 값이 두 개인 이중 적재된 문항들을 볼 수 있었는데 이러한 현상은 사회적 자본의 구성차원인 신뢰, 규범, 네트워크 간의 상관관계가 높고, 선행연구자들(Putnam, 1993; Fukuyama, 1995)이 주장한 바와 같이 사회적 자본에서 신뢰가 바탕이 되고 규범과 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형성되는 사회적 자본의 특성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중 적재된 항목의 경우 구성개념의 정의와 문항내용을 검토하고 그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여 요인구성을 수정하였다. KMO값은 0.840(>.6)로 양호하였고 Barlett 검정치가 3138.647(p<.000)로 나타나 모든 요인들의 타당성이 확보되었고 Cronbach's α는 모두 0.8이상으로 신뢰성이 높게 나타났다.

    2) 조직시민행동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결과는 <표 4>과 같다.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EFA의 결과 Kaiser가 제안한 아이겐값 1이상의 기준에 의해 4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구성된 조직시민행동의 4개의 차원에 대한 타당성과 신뢰성 검증 결과이다. 전체변량은 64.472%가 설명되었고, 공통성은 0.5이상으로 안정적이다. KMO값은 0.873(>.6)이고 Barlett 검정치가 3685.249(p<.000)로 나타나 모든 요인들의 타당성이 확보되었고 각각의 요인에 대한 Cronbach's α는 모두 0.7이상으로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표 4>] 이벤트 자원봉사자 조직시민행동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결과

    label

    이벤트 자원봉사자 조직시민행동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결과

       3. 가설의 검정

    1) 이벤트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자본인 대인신뢰, 기관신뢰, 규범, 네트워크를 독립변수로 하고 이타행동, 양심과 배려, 시민정신, 스포츠맨십을 각각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회귀식의 설명력을 평가해주는 R2은 양심과 배려 0.327, 이타행동 0.346, 스포츠맨십 0.275, 시민정신 0.317로 총 분산의 18.7%, 15.9%, 14.9%, 14.8%의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조직시민행동 4개 하위차원의 F값은 각각 12.889, 14.614, 8.806, 12.028 그리고 회귀분석의 유의확률 .000이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1의 경우 이벤트 자원봉사자 사회적 자본인 네트워크(β=.283), 규범(β=.216), 대인신뢰(β=.185)가 조직시민행동인 양심과 배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기관신뢰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분석되었다. 가설 1-2의 경우 이벤트 자원봉사자 사회적 자본인 네트워크(β=.258), 규범(β=.140), 기관신뢰(β=.139), 대인신뢰(β=.119)가 조직시민행동인 이타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설 1-3의 경우 이벤트 자원봉사자 사회적 자본인 대인신뢰(β=.166), 네트워크(β=.098), 규범(β=.083), 기관신뢰(β=-.178)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1-4의 경우 이벤트 자원봉사자 사회적 자본인 네트워크(β=.247), 기관신뢰(β=.137), 규범(β=.109), 대인신뢰(β=.093)가 조직시민행동인 이타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벤트 자원봉사자 사회적 자본(대인신뢰, 기관신뢰, 규범, 네트워크)가 조직시민행동(이타행동, 양심과 배려, 시민정신, 스포츠맨십)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있어서는 네트워크(β=.283)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5>] 이벤트 자원봉사자 사회적 자본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검증

    label

    이벤트 자원봉사자 사회적 자본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검증

    2)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경험유무에 따른 조직시민행동 차이검증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경험유무에 따른 조직시민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t-test을 실시한 결과는 <표 6>와 같다. 조직시민행동요인 양심과 배려 유의수준 (p<.01, p= 0.003), 스포츠맨십(p<.05, p=0.020)로 나타나 이벤트 자원봉사경험 유무에 따라서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 6>] 이벤트 자원봉사자 경험유무에 따라 조직시민행동 영향 차이분석

    label

    이벤트 자원봉사자 경험유무에 따라 조직시민행동 영향 차이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는 이벤트 자원봉사자 사회적 자본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써, 조직 내에서 개인의 능력인 인적 자본과 물리적 자본인 물적 자본과 구분되는 조직 구성원 간의 관계 속에 존재하는 무형의 자본인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체계적인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변수들을 도출하고 측정척도를 개발하였다. 사회적 자본의 구성요인으로 기관신뢰, 대인신뢰, 규범, 네트워크를, 조직시민행동의 구성요인으로 이타행동, 양심과 배려, 시민정신, 스포츠맨십을 구성하였고, 각 요인의 측정항목을 도출하였다.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인 주요 특성을 살펴보면 여성의 비율이 높았고, 연령은 대부분 10∼20대 학생들의 참여가 높았다. 거주지의 경우 이벤트 개최지보다는 기타 지역이 더 많았고, 이벤트 자원봉사 경험 횟수는 대부분 처음인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의 경우 여성 학생들이 이벤트 자원봉사 활동에 활발하다는 기존 연구 결과를 뒷받침해준다. 본 연구의 결과인 이벤트 자원봉사자 사회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자본의 대인신뢰, 기관신뢰, 규범, 네트워크가 조직시민행동인 이타행동, 양심과 배려, 시민정신, 스포츠맨십 유의확률 .000이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자본이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경험유무에 따라서 조직시민행동에 관한 차이분석결과 양심과 배려, 스포츠맨십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최근 여러 학문분야에서 부각되고 있는 사회적 자본이라는 개념을 조직 연구에 적용하여 조직의 사회적 자본과 조직성과를 측정하는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공익을 추구하는 이벤트 자원봉사자 사회적 자본과 조직시민행동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서 금전적인 이해관계가 아닌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조직에서의 구성원간의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한 자본인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밝히고 조직시민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실제 조직 발전에도 도움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벤트 자원봉사자 조직에서 자원봉사자 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살펴보면, 사회적 자본의 하위차원 중에서 자원봉사자의 기관신뢰, 대인신뢰, 네트워크, 규범 그리고 조직시민행동 하위 차원에 모두 영향력을 미치는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단기간 동안 일회성으로 활동하는 이벤트 자원봉사자의 특성상 조직에 대한 깊이 있는 신뢰나 규범을 형성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하지만 조직 내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시스템을 형성하고 함께 활동하는 이벤트 자원봉사자 조직의 관리자, 유급 직원, 동료 자원봉사자들과 유기적인 협력이 가능하도록 이벤트 개최준비 기간에 친분을 쌓을 수 있도록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조직 내 네트워크를 높이는 것이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자본을 높일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먼저 심층 분석을 위한 체계적인 조사도구 개발과 함께 설문지 의견조사와 FGI(Focus group interview) 병행을 통해 결과를 도출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도출된 요인만으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연구방법을 도입하여 자원봉사자의 속성 및 가치, 행동, 특성을 고려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참고문헌
  • 1. 강 순화 (2011) 축제 로컬거버넌스 형성을 위한 이해관계자간의 신뢰·네트워크·파트너십 구조관계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5 P.459-479 google
  • 2. 강 순화, 이 경모 (2010) 축제 품질이 관계 질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4 P.281-300 google
  • 3. 강 철희 (2007) 기부 및 자원봉사와 신뢰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Vol.59 P.5-32 google
  • 4. 곽 서연 (2013a) 축제 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벤트컨벤션연구」] Vol.9 P.35-58 google
  • 5. 곽 서연 (2013b) 「축제 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google
  • 6. 곽 서연, 박 순천 (2011)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festival volunteers: The case of Chuncheon Mime Festival. [「이벤트컨벤션연구」] Vol.7 P.19-32 google
  • 7. 김 만국 (2008) 「인적자본과 사회적 자본의 조직유효성 결정에 조직시민행동의 조절효과」. google
  • 8. 김 성경 (2009) 사회적 자본 요인 및 자원봉사활동 요인이 평균이상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11 P.317-337 google
  • 9. 김 영옥, 권 혜수 (2011) 자원봉사활동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중고령층의 자원봉사자를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18 P.102-129 google
  • 10. 김 왕배, 이 경용 (2002) 사회자본으로서의 신뢰와 조직몰입. [「한국사회학」] Vol.36 P.1-23 google
  • 11. 김 용순 (2011) 호텔기업에서 윤리적 풍토가 조직공정성 및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Vol.23 P.159-174 google
  • 12. 김 호정 (1999) 신뢰와 조직몰입. [「한국행정학보」] Vol.33 P.19-35 google
  • 13. 노 지영, 주 효진 (2012) SNS 이용목적이 온라인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험적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6 P.261-281 google
  • 14. 도 재욱 (2005) 「병원의 조직문화, 사회적 자본 및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google
  • 15. 문 형구, 김 경석 (2006) 조직시민행동(OCB)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에서의 연구를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Vol.35 P.609-643 google
  • 16. 박 순미 (2000) 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새로운 지적자본 창출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 P.171-203 google
  • 17. 배 병룡 (2005) 공공조직 사회자본의 영향요인과 효과.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15 P.49-74 google
  • 18. 설 홍수 (2004) 조직사회자본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사·조직연구」.] Vol.12 P.163-200 google
  • 19. 엄 운섭, 안 치순, 손 진아 (2013) 대학생의 자원봉사 참여동기와 참여만족도에 관한 연구: 자원봉사 관련 교육경험 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Vol.17 P.221-242 google
  • 20. 이 현수, 이 상엽 (2013) 로컬거버넌스의 사회적 파트너십을 위한 결정요인.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7 P.113-131 google
  • 21. 우 석봉 (2001) 호텔종사원의 조직시민행동과 선행요인 및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Vol.13 P.175-192 google
  • 22. 이 경훈 (2011) 「비영리민간단체(NPO)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관한 연구」. google
  • 23. 이 재훈, 최 익봉 (2004) 조직공정성, 신뢰, 조직유효성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인사조직연구」] Vol.12 P.93-132 google
  • 24. 이 태섭 (2009) 「M&A기업 구성원 인적 통합전략이 정서적 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은행산업을 중심으로」. google
  • 25. 전 기호, 이 병규, 박 헌준 (2010) 네트워크 중심성이 협조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 동일시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산업 및조직심리학회지」] Vol.23 P.635-666 google
  • 26. 정 희정 (2008) 「집단 내 연결망 간의 상호작용이 구성원의 조직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google
  • 27. 조 익준 (2010) 「호텔종사원의 조직내 신뢰가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형태를 중심으로」. google
  • 28. 주 상현, 조 현호 (2009) 지방공공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과 발전방안 : 드림스타트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3 P.287-308 google
  • 29. 2012여수세계박람회 공식보고서 google
  • 30. Bolino M. C., Turnley W. H., Bloodgood J. M. (2002)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Creation of Social Capital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7 P.505-522 google
  • 31. (1998)
  • 32. Burt R. S. (1992) Structural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google
  • 33.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4 P.S95 google cross ref
  • 34. Elstad B. (1996) Volunteer Perception of Learning and Satisfaction in a Mega-Event: the Case of the XVII Olympic Winter Games in Lillehammer. [Event Management] Vol.4 P.75-83 google cross ref
  • 35. Fukuyama F.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google
  • 36. Getz D. (1997) Event Management & Event Tourism. google
  • 37. Inouye J. E. (2007) Effect of Institutional Trust on Formal and Informal Volunteering. [Conference Paper-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P.1-21 google
  • 38. Johnston M. E., Twynam G. D., Farrell J. M. (1999-2000)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Event Volunteers for a Major Youth Organization [Leisure/Loisir] Vol.24 P.161-177 google cross ref
  • 39. Katz D. (1964) The Motivational Basis of Organizational Behavior. [Behavioral Science] Vol.9 P.131-146 google cross ref
  • 40. Kwak S., Kim Y. (2009) Volunteer Management of the Hi Seoul Festival.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5 P.98-106 google cross ref
  • 41. Lee K. M. (2004) Principles of Event Management. google
  • 42. Lin N. (2001) Social Capital: A Theory of Social Structure and Action. google
  • 43. Mishra J., Morrissey M (1990) Trust in Employee/Employer Relationships: A Survey of West Michigan Managers. [Public Personnel Management] Vol.19 P.443-485 google
  • 44. Monga M. (2006) Measuring Motivation to Volunteer for Special Events. [Event Management] Vol.10 P.47-61 google cross ref
  • 45. Moorman R. H. (1991)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Do Fairness Perceptions Influence Employee Citizenship.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6 P.845-855 google cross ref
  • 46. Moorman R. H., Niehoff B. P., Organ D. W. (1993) Treating Employees Fairly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orting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rocedural Justice. [Employee Responsibilities and Rights Journal] Vol.6 P.209-225 google cross ref
  • 47. Nahapiet J., Ghoshal S. (1998) Social Capital, Intellectual Capital, and The Organizational Advantag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3 P.242-266 google
  • 48. Niehoff B. P., Moorman R. H. (1993) Justice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thods of Monitor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 Behavio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6 P.527-556 google cross ref
  • 49. Organ D. W. (1988)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Good Soldier Syndrome. google
  • 50. Peng J., Chiu S. (2010) An Integrative Model Linking Feedback Environ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150 P.582-607 google cross ref
  • 51. Podsakoff P. M., MacKenzie S. B., Moorman R. H., Fetter R. (1990) Transformational Leader Behavior and their Effects on Follower's Trust in Lead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Leadership Quarterly] Vol.1 P.107-142 google cross ref
  • 52. Portes A. (1998) Social Capital: Its Origins and Applications in Modern Sociology. [Annual Review of Sociology] Vol.24 P.1-24 google cross ref
  • 53. Pohl S., Paille P. (2011) The Impa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Leader Commitmen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Organization Theory and Behavior] Vol.14 P.145-161 google
  • 54. Putnam R. D. (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Am. Prospect] Vol.13 P.35-42 google
  • 55. Ryan C., Bates C. (1995) A Rose by Any Other Name: The Motivations of Those Opening Their Gardens for a Festival. [Festival Management & Event Tourism] Vol.3 P.59-71 google
  • 56. Saleh F., Wood C. (1998) Motives of Volunteers in Multicultural Events: The Case of Saskatoon Folkfest. [Festival Management & Event Tourism] Vol.5 P.59-70 google cross ref
  • 57. Smith C. A., Organ D. W., Near J. P. (1983)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s Nature and Antecedent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8 P.653-663 google cross ref
  • 58. Twynam Farrell 2003
  • 59. Watson G., Papamarcos S. (2002)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Vol.16 P.537-552 google cross ref
  • 60. Wiener Y. (1982) Commitment in Organizations: A Normative View.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7 P.418-428 google
  • 61. Williams L. J., Anderson S. E. (1991)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In-Role Behaviors. [Journal of Management] Vol.17 P.601-617 google cross ref
  • 62. Williams P.W., Dossa K. A., Tompkins L. (1995) Volunteerism and Special Event Management: A Case Study of Whistler’s Men’s World Cup of Skiing. [Festival Management & Event Tourism] Vol.3 P.83-95 google
  • 63. Yi J. (2000) Developing an Effective Festival Volunteer Program: A Case Study of the Puppet Festival Chunchon Volunteer Program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설문문항의 구성
    설문문항의 구성
  • [ <그림 1> ]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 [ <표 2> ]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 <표 3> ]  이벤트 자원봉사자 사회적 자본의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결과
    이벤트 자원봉사자 사회적 자본의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결과
  • [ <표 4> ]  이벤트 자원봉사자 조직시민행동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결과
    이벤트 자원봉사자 조직시민행동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결과
  • [ <표 5> ]  이벤트 자원봉사자 사회적 자본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검증
    이벤트 자원봉사자 사회적 자본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검증
  • [ <표 6> ]  이벤트 자원봉사자 경험유무에 따라 조직시민행동 영향 차이분석
    이벤트 자원봉사자 경험유무에 따라 조직시민행동 영향 차이분석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