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a re-education program for the professional qualification reinforcement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 비영리 CC BY-NC
ABSTRACT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The development of a re-education program for the professional qualifications of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acher re-education program that would enable teachers to carry 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ECE) based upon a Christian world view. For this purpose, a rigorous review of the literatures of both general or secular ECE and Christian ECE programs. Christian curriculum and general curriculum theories are analyzed. In addition, to raise the possibility of a Christian ECE program field appli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requests for training in Christian ECE made by 250 Christian early childhood (EC) teachers, and reflected that examination in the objectives of the developed Christian ECE program, in the composition of contents of education, methodology and operation. With regard to program development, the 1st draft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objectives and goals of program,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operation, evaluation and the selection process of these entities. The final program was developed after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through consultation with 6 professionals. Thus. The final goal of the program is to recognize the mission and identity of a Christian EC teacher, to establish a full understanding of a Christian ECE, to raise basic knowledge for Christian integration and the reorganization of general ECE, and to obtain viable methodology and technology for integrating Christian principles into the reorganization of general ECE. With regard to curriculum. Education topics were chosen according to the selected goal, with a total of 8 sessions for 20 hours, 150 minutes for each session, including 2 basic sessions of Christian ECE, 4 sessions dealing with content and practices of ECE, and 2 sessions on Christian ECE methods. Methodology includes workshops, small-group discussions, debates, and presentations of case studies featuring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s adult learners. For the evaluation method, self-reflection evaluation strategies were selected which and these embody reflecting on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through journal writing and discussion.

KEYWORD
기독교 유아교사 ,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 , 기독교 유아교사교육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1세기의 인류는 첨단과학의 발달로 인해 이전의 그 어떤 시대와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문명의 혜택을 크게 누리며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이와 함께 오늘날의 인류는 물질주의와 인간성 상실로 인한 삶의 목적과 의미의 상실, 내면의 목마름과 같은 많은 문제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 과학의 발달은 인간에게 삶의 편리성과 유익을 제공하였지만, 반면 산업화와 도시화, 자연환경의 파괴를 초래하고 인간을 점점 기능적이고 수단적인 존재로 변화하게 하였고 결국 현대사회의 다양한 문제점을 가져왔다.

    이러한 이 시대의 사조는 교육에도 영향을 미쳐, 지식편중의 주입식 교육과 물질주의에 만연된 현대의 교육에 대해 자성의 소리를 높이게 되었고 근래에 들어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인간의 자유와 영성을 중시하는 슈타이너의 발도르프 교육이 각광받기도 하였다(정희영, 2011). 또한 최근 들어 강조되고 있는 인성 및 성품교육 또한 우리 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인간성 파괴의 심각한 문제를 교육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움직임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인간성의 회복은 인간의 영적인 측면을 배제한 상태에서는 결코 이루어질 수 없다. 인간은 본래 영적인 존재로 인간의 영성은 인간의 한 측면이면서 동시에 인간의 모든 측면에 생명력을 부여하고 통합하는 성격을 가지기 때문이다(유재봉, 2013). 따라서 교육에서 영성을 배제하는 것은 인간의 여러 부분 중 한쪽 측면의 상실만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결국 인간성 전체의 상실로 이어지게 되고, 전인적인 인간의 형성을 불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인간성 회복과 전인적 인간발달을 통한 현대교육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영성을 바탕으로 한 교육이 필요하다. 오늘날 발도르프 교육의 근간을 이루는 인지학에서도 발견할 수 있듯이 영성의 개념이 종교적인 범주를 넘어 인간 내면의 어떤 것을 표현하는 모든 것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점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 참된 진리를 기초로 하지 않은 영성교육은 왜곡된 인간관 및 세계관을 형성하여 진정한 전인교육을 이룰 수 없기 때문에 올바른 종교를 바탕으로 한 영성 교육이 중요하다. 기독교는 세계 3대 종교 중 하나로 이 세계와 인류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쳐왔고, 객관적으로 신뢰할 만한 종교라고 할 수 있다. 이에 기독교 영성을 바탕으로 한 기독교 교육은 인간성 회복과 인간의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여 현대사회와 교육의 문제들을 극복하는 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이 세계를 향한 인격적 반응성과 책임성을 회복할 수 있는 기독교 영성에 의한 기독교 교육이 요청된다고 볼 수 있다(Palmer, 2000).

    교육은 교육 목적이나 과정을 결정하는 사람들이 가진 신념, 혹은 세계관, 종교적 관점에 의해 결정되므로(Edlin, 2004), 기독교 교육에 있어 기독교 교육의 실행적인 교육과정 자체가 되는 기독교사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많은 기독 교사들이 기독교 교육을 교회안의 교육, 주일학교 교육으로만 여겨 실제 교육현장에서는 기독교적 가르침을 실시해오지 못하고 있다(박상진, 2006). 이는 신앙과 삶을 분리하고자 하는 이분법적인 사고와 지식이나 교육을 가치중립적인 것으로 여기는 신념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교육 활동 역시 종교적인 활동이어서 교육을 행한다는 것은 창조주 혹은 피조물, 둘 중 하나를 경배하는 표현이 된다. 따라서 기독교 신앙을 가진 기독 교사는 신앙과 삶을 분리하고자 하는 이분법적인 사고와 교육의 종교적 중립성에 대한 신화를 떠나 교육현장에서 모든 교과를 통해 기독교적 가치를 구현하는 기독교적 가르침을 실시해야 할 의무가 있다. 또한 성경이 전 교과의 기초가 됨을 인식하고, 성경을 모든 교과를 해석하는 틀로 여기는 기독교 교육(Knight, 2000)을 실시해야 한다.

    이처럼 모든 기독교사의 사명이 기독교 교육을 행하는 것이라면, 기독교 유아교사도 기독교 유아교육을 마땅히 실시해야 한다. 기독교 유아교육이란 유아가 배워야 할 모든 것이 성경을 바탕으로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통합적으로 해석되어 가르쳐지는 것이다. 그러나 다수의 기독교 유아교사들은 이와 같은 개념을 바르게 확립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희영(1998), 이상욱(2003), 정대현·정옥경(2010)의 연구에 의하면 많은 기독교 유아 교사들이 기독교 유아교육을 일반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예배와 찬양을 드리는 것에 한정하여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독교 유아교육에 대한 바른 개념이 정립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기독교 유아교사의 기독교 유아교육 개념에 대한 바른 인식이 계속해서 잘 정립되지 않는 원인은 예비 기독교 유아교사 교육에서 찾을 수 있다. 정희영(2009)의 연구에 의하면 전국 기독교 대학과 신학대학 31개교의 135학과 중 19개의 학과(14%)만이 1개 이상의 기독교관련 과목을 개설하고 있었고, 김미경(2008)의 연구에서도 영유아 교사자격증을 받고 있는 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기독교대학 19개 4년제 22개 학과 중 전공과 관련한 기독교 유아교육 과목이 운영되고 있는 곳은 1개 대학 2개 학과 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현재의 예비 기독교 유아교사 양성과정이 기독교 유아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전문적 자질을 갖춘 기독교 유아교사를 양성하는데 부족함이 많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기독교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 강화를 위한 재교육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기독교사교육 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한 정희영(2009)의 연구에 의하면 현직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사교육 프로그램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기독교 유아교사가 높은 수준의 자질을 갖추기란 매우 어려운 현실임을 시사한다. 이에 다양한 연구에서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시급함을 제시하고 있다(정희영, 2009; 정대현․정옥경, 2010; 이상욱, 2003). 따라서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을 강화하기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요구된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기독교사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기독교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육프로그램 모형연구(박애규, 2004; 정유신, 2006; 박병주, 2008; 이문숙, 2008; 변우진, 2011; 안미선, 2013), 기독교사교육의 실태(전미라, 2003; 정희영, 2009), 교사 영성교육(황규식, 2001; 오일, 2007), 기독교사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분석연구(김미경, 2008)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리고 기독교 유아교육과 관련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과 관련된 연구는 1982년부터 현재까지 95편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정희정·김남임, 2013) 대부분 유아를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으로 기독교 유아교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기독교 유아교사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이문숙(2008), 안미선(2013)의 연구가 있으나 이 2편의 연구는 모두 기독교 유아교사의 교사교육 실태나 실제적인 요구도를 토대로 개발된 것이 아니므로 현장적용 및 실용화에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 유아교사 교육의 실태파악과 재교육에 대한 요구도룰 바탕으로 현장 적용성을 높인 기독교 유아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2. 용어정의

    1) 기독교 유아교사

    본 연구에서 기독교 유아교사는 교회학교 유아교사를 제외한, 기독교 단체에서 운영하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재직하고 있는 유아교사를 기독교 유아교사로 정의한다.

    2)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을 단기적으로 개발과 강화가 용이한 기독교 유아교육과 관련된 지식과 기독교 유아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기술로 한정하여 정의한다.

    Ⅱ. 기독교 유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 실태 및 요구조사

       1. 기독교 유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 실태 및 요구조사 대상

    기독교 유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 실태와 요구조사를 위해 서울 경기 및 D시, J시내에 위치한 교회부설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선교원의 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포하였다. 그 중 232부가 회수되었고, 오류가 있는 자료 16부를 제외하고 총 216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의 일반적인 배경은 다음 표 1과 같다.

    [<표 1>] 조사대상의 일반적 배경

    label

    조사대상의 일반적 배경

       2. 설문지 구성 및 타당도 검증

    기독교 유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 실태 및 요구조사 설문지 구성은 기독교사와 그 자질, 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정희영, 2008; 박상진, 2006; 김희자, 1998; Brummelen, 2006; Eavey, 1995; Harper, 1984; Byrne, 2005)과 기독교사 교육 프로그램 관련 문헌(이종우, 2013; 박애규, 2004; 이문숙, 2007) 유아교사 교육 및 연수 관련 문헌(최현정, 2011; 이진희, 2011; 박옥자, 2008)들을 고찰하여 기독교 유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의 실태와 교사교육에 대한 요구를 묻는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문헌고찰을 기초로 1차 설문지 시안 43문항을 크게 교육의 실태(일반적인 배경, 기독교 유아교사교육 실태)와 교육에 대한 요구도(교사교육 내용, 프로그램 실시방법) 두 영역으로 나누어 작성하였다. 작성된 1차 설문지는 10인의 전문가 집단(유아교육 박사학위 소지자 2인, 기독교 유아교육 전공 박사과정 학생 4인, 현장교사 4인)에게 내용 타당도 검증과 피드백을 받아 수정 및 보완하여 총 41문항의 2차 설문지 시안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2차 설문지 시안을 현장의 기독교 유아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의 문항 간 내적 일치도 검증을 위해 Cronbaha α 계수를 구한 결과 전체 .91로 높게 나타났다. 예비조사를 결과를 바탕으로 완성된 설문지는 교사의 일반적인 배경 6문항, 기독교 유아교사교육 실태 9문항, 기독교 유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 내용은 20문항, 기독교 유아교사 자질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실시방법은 6문항, 총 4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응답의 형태는 Likert 5점 척도(1점은 전혀 필요하지 않다, 2점은 필요하지 않다, 3점은 보통이다, 4점은 필요하다, 5점은 반드시 필요하다)와 선다형, 개방형으로 응답하도록 구성되었으며, 구체적인 설문지의 문항구성과 내용은 표 2와 같다.

    [<표 2>] 설문지 문항구성 및 내용

    label

    설문지 문항구성 및 내용

       3. 설문지 분석

    설문지는 기독교 유아교사 250명에게 우편 및 메일 발송, 현장 방문 등을 통해 배부되었으며, 회수된 232부 중 일부 문항이 누락되거나 잘못 표기된 자료 16부를 제외하고 총 216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교사의 일반적 배경과 기독교 유아교사교육 실태, 기독교 유아교사 자질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실시 방법의 문항은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기독교 유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의 내용과 관련된 문항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4. 기독교 유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 실태 및 요구조사 결과 및 적용점

    기독교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사교육 실태 및 요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적용과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유아교사교육 실태 조사결과 기독교 유아교사들이 기독교 유아교육과 관련된 교사교육을 경험한 경우는 1-3회가 가장 많았고(37%), 교사교육을 경험한 곳은 주로 학회나 세미나 참석을 통한 교육(33.9%)이었다. 이는 교사들이 기독교 유아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체계적으로 습득하는 데는 한계점이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도 조사결과, 기독교 유아교육의 모든 영역의 요구도가 높은 점(전체 항목 평균 4.22)을 고려할 때 기독교 유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은 기독교 유아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룰 필요가 있고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지금까지의 기독교 유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은 이론을 중심으로 많이 이루어 진 것으로 나타났고(소명과 영성 15.8%, 기독교세계관 15.6%, 기독교 유아교육의 이해 11.5%), 교사들의 요구도 기독교 유아교육의 실제에 대한 부분이 높게 나타났다(현장에 적용가능 한 기독교 유아교육 방법 및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37.8%, 누리과정의 기독교적 적용 26.5%). 그러나 기독교 유아교육의 실제는 교사의 확고한 기독교적 관점에서 출발하므로 기독교 세계관이나 기독교 철학적 기초가 먼저 확고하게 세워진 후 교육의 실제를 다룰 수 있음을 놓쳐서는 안 된다. 따라서, 기독교 세계관과 기독교 철학이 교육의 실제에 적용되는 원리를 잘 드러내도록 8실제를 다루어 이론과 실제 모두 균형 있게 다루어지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셋째, 교사교육의 시간과 실시간격에 대한 요구조사 결과 교사들은 한 학기(6개월)에 10시간 이하를 가장 선호하였고(42.6%) 다음이 20시간 이하(28.2%)였다. 또한 교육을 실시하는 시간의 간격에 대해서는 한 달에 한 번씩 실시하는 것(38.0%)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독교 유아교사들의 기독교 유아교사교육에 대한 요구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지만 실제로 교육을 받기 원하는 시간은 10시간 이하였고, 교육실시 간격도 한 달에 한 번씩만 교육 받기를 원하였다. 이는 업무량이 많은 유아교사들의 입장에서는 장시간의 교사교육은 부담이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강화를 위해서는 지속적이며 충분한 교육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두 번째로 요구도가 높았던 20시간을 총 교육이수 시간으로 채택하였다.

    넷째, 교수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도 조사결과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교사교육의 방법은 소그룹 형태의 워크샵(58.3%)으로 교사들은 참여 형식의 교사교육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점을 적용하여 교사교육의 교수방법을 강의 뿐 만 아니라 좀 더 교사가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토의와 워크샵 등의 다양한 교수방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이 같은 내용을 정리하면 그림 1과 같다.

    Ⅲ.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1. 프로그램 개발절차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기독교사교육, 유아교사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을 선정하고, 프로그램 개발 체계를 수립하였다. 프로그램의 개발체계는 일반적, 기독교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통합하여 마련하였는데 프로그램의 전제와 기초인 기독교 세계관 및 기독교 철학에서 시작하여 목표설정, 요구진단, 내용선정, 교수학습 및 운영방법의 선정, 평가의 단계로 수립하였다. 다음으로는 기독교 유아교사 재교육에 대한 요구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개발에 기독교 유아교사들의 요구도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후 유아교사의 자질, 교사교육 프로그램 관련 문헌 연구, 요구도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방법을 선정하여 프로그램 1차 시안이 마련되었으며 시안은 전문가 6인과의 협의과정을 통해 수정·보완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절차는 그림 2와 같다.

       2. 프로그램의 개발과정

    1)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기독교사 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기독교사를 위한 실제 프로그램의 사례를 통해 선정하였다. 먼저,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기독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기독교사로서의 자질과 전문성 갖추기(Eavey, 1995; 안미선, 2013), 기독교사로서의 성장(박애규, 2004), 기독교사로서 소명과 정체성 인식(김은지, 2005; 정유신, 2006; 이세웅, 2008), 기독교 세계관의 이해(박애규, 2004; 김은지, 2005; 이문숙, 2007; 이세웅, 2008; 안미선, 2013), 교과의 기독교적 통합 능력 기르기(박애규, 2004; 안미선, 2013), 기독교적 가르침에 대한 방법과 기술 습득(박애규,2004; 김은지, 2005; 정유신, 2006; 이문숙, 2007; 박병주, 2008), 헌신하는 교사되기(정유신, 2006; 이문숙, 2007), 공동체 의식의 함양(박병주, 2008; 안미선, 2013) 등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표적인 기독교사 교육 프로그램 사례인 두레학교와 샘물학교, 수원 중앙 기독 초등학교의 교사교육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요소로 나타났다. 첫째는 기독교사의 소명 및 사명의 성취를 위한 목적으로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교사로의 성장, 그리스도의 일꾼이 되는 것이다. 둘째는 기독교사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목적으로 예수의 가르침을 교육과정 및 수업의 내용 학교의 전 영역의 본질이 되도록 적용하는 것, 하나님의 시각으로 통합된 수업을 실시하는 것이었다. 이를 정리하면 선행연구와 기독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사례에서 나타난 기독교사교육의 목적은 기독교사로서의 소명과 사명을 인식하고, 기독교사로서의 전문성을 갖추어 기독교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자질을 높이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의 목적은 기독교 유아교사로서의 사명을 깨닫고 기독교 유아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전문적 자질을 강화하여 책임 있는 제자도를 실천하는 것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른 4가지 세부 목표는 기독교 유아교사로서의 소명과 정체성 바르게 인식하기, 기독교 유아교육에 대한 바른 이해 정립하기, 일반 유아교육의 기독교적 통합 및 재구성을 위한 기초지식 기르기, 일반 유아교육의 기독교적 통합 및 재구성을 위한 실제적 방법과 기술습득하기가 선정되었다.

    2) 프로그램의 내용선정

    프로그램의 내용선정은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 기독교사교육 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 교사들의 요구조사 내용에 근거하여 선정하되, 교육의 목적과 목표와의 일관성을 고려하여 그 내용을 선정하였다.

    우선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은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 강화를 위한 재교육의 기본내용이 되므로 기독교사의 자질에 대해 설명한 Eavey(1995)외 4인의 학자 (Brummelen, 1996; Harper, 1984; Byrne, 2004, 김희자, 1998)가 공통으로 제시한 기독교사의 자질과 강문희(2002) 외 5인의 학자 (이은화 외 2, 1995; 박은혜, 2013; Almy, 1975; Seefeldt, 1980; Essa, 2013)들이 공통으로 제시한 유아교사의 자질을 통합하여 교육내용 선정에 반영하였다. 그 결과 기독교사의 자질은 첫째 영적자질로 중생, 가르침에 대한 소명의식, 기도하는 자, 성령에 대한 전적인 의존이었고 둘째 지적 자질은 전문성과 인간 발달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였다.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은 일반 교양지식, 유치원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에 대한 지식, 교수방법 및 평가에 대한 지식, 유아에 대한 지식, 교육과정 구성 기술, 프로그램 실천 및 평가기술, 전문적 관계형성 및 협력 능력, 교육에 대한 소명감과 정체성, 직업윤리, 전문성 함양의 노력으로 나타났다. 이에 기독교사와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을 통합하여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은 영적자질 (중생, 가르침에 대한 소명의식, 정체성, 기도, 성령충만)과 지식과 관련된 자질(기독교 유아교육에 대한 지식, 유아와 발달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 유아교육 각 영역에 대한 지식과 기독교적 이해, 기독교 세계관과 일반교양 지식, 기독교적 교수 학습법에 대한 지식), 기술과 관련된 자질들(기독교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천 및 평가기술, 기독교 유아교육 실행에 필요한 기술, 공동체 관계 형성 및 협력, 전문성 함양을 위한 노력)이 선정되었다.

    다음으로 기독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관련 선행연구(박애규, 2004; 김은지, 2005; 정유신, 2006; 박병주, 2009; 이문숙, 2007; 안미선, 2013)들이 다루고 있는 주요 교육내용들을 분석한 결과 기독교 세계관, 교육내용의 기독교 세계관적 통합 및 재구성, 기독교사의 소명과 정체성, 기독교철학, 기독교교육과정, 기독교교육 방법, 기독교 교육의 개념 및 정의, 기독교적 교과이해, 기독교사의 역할과 자질을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기독교 유아교사를 위한 재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도는 모든 내용에서 높은 요구도를 보였지만 그 중 소명과 정체성, 기독교 유아교육에 대한 실제 부분과 관련된 내용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 본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 문헌연구에 나타난 주요 교사교육의 내용, 요구도조사의 내용들이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교사교육의 내용들을 중심으로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강화를 위한 교사교육의 주제와 내용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첫 번째 교육주제는 기독교 유아교사의 영적 자질로 선정하였으며 그 내용은 기독교 유아교의 소명과 정체성, 중생, 기도, 성령충만이다. 기독교 유아교사의 영적자질은 모든 교사교육 내용의 전제와 기초가 되는 내용으로, 다른 교육내용들과 분리하여 교육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내용에 통합되어 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다. 두 번째 주제는 기독교 유아교육의 기초로 선정되었으며 그 내용은 기독교 유아교육의 개념과 목적, 기독교 세계관과 유아교육과정이다. 세 번째 주제는 기독교 유아교육의 내용과 실제고 내용은 교육과정의 기독교적 통합원리, 기독교 유아교육 과정의 모형, 유아교육 각 영역의 기독교적 조명이다. 네 번째 교육주제는 기독교 유아교육 방법으로 그 내용은 교육과정의 기독교적 통합방법, 기독교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기독교적 평가방법이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그림 3과 같다.

    3) 교수방법 및 운영방법

    기독교사 교육을 위한 교수방법은 교사가 성인학습자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고, 기독교사를 위한 교육방법과 일반적인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주로 사용되는 교수방법 및 운영방법들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김한별(2010)Merrian․Caffarella․Baumgartner(2007)는 성인의 학습은 자기주도성, 경험의 활용, 공동체 학습을 통해 잘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기독교사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정정숙, 2000; 박애규, 2004; 정유신; 2006; 이문숙, 2007; 변우진, 2011; 안미선, 2013 등)에서 주로 제시된 교수방법들은 강의 및 세미나, 그룹토의, 워크숍 등이었다. 일반적인 교사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조운주, 2000; 박옥자, 2008; 박지영, 2009; 최현정, 2011)에서는 강의, 토의, 워크숍, 저널쓰기, 사례연구, 관찰, 동영상 감상 등의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교수방법에 대한 요구조사결과 기독교 유아교사들은 소그룹 중심의 워크숍, 세미나, 강의 순으로 선호하였다. 이에 본 프로그램에서는 교수방법으로 강의, 소그룹 토의 및 토론, 워크샵, 사례소개 등을 선정하였다. 운영방법은 관련문헌과 요구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총 교육시간은 20시간, 8회기 프로그램으로 한 회기는 150분이다. 교육은 1-2주일에 한 번씩 평일 저녁시간에 실시한다.

    4) 평가

    일반적인 유아교사 연수 및 교육프로그램들(박지영, 2009; 이진희, 2011; 최현정, 2011 등)은 교사의 효능감 도구를 활용한 객관적인 평가, 프로그램 중에 나타난 교사의 변화과정을 보여주는 자료의 수집(녹음자료, 저널쓰기, 사진, 활동 결과물 등)을 통한 평가, 프로그램의 참여자의 만족도 평가, 면담을 통한 평가 등의 방법을 통해 평가를 실시하고 있었다. 대부분 공통적으로 프로그램의 객관적인 효과검증을 위해 각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교수 효능감 도구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개발된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는 기독교 유아교사 효능감 도구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적용 전과 적용후의 변화를 평가한다. 그리고 교사들의 자기점검과 평가를 위해 평가저널쓰기를 활용하고, 프로그램 종료 시 교육만족도 검사를 통해 프로그램 전체에 대한 평가를 한다.

    5) 프로그램 시안의 수정 및 보완

    개발된 프로그램 시안의 목적 및 목표, 내용구성, 교수방법에 대한 검토는 이론전문가 집단(유아교육과 교수1인, 기독교 유아교육 박사과정 학생 3인)을 통해, 교육방법 및 운영에 대한 검토와 협의는 2인의 현장 전문가를 통해 이루어졌다. 두 전문가 집단의 검토와 의견에 따라 1차시안의 목표와 내용이 수정 보완되어 최종 프로그램 안이 확정되었다.

       3.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최종안

    1) 프로그램 구성체계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체계는 그림 4와 같다.

    2) 프로그램의 구성내용

    본 프로그램의 구성은 기독교 유아교육의 기초 2회기, 기독교 유아교육의 내용과 실제 4회기, 기독교 유아교육 방법 2회기 총 8회기로 구성하였다. 교육 주제에 따른 세부 교육내용은 기독교교육 및 기독교 유아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문헌(정희영, 2008; 박상진, 2006; Greene, 2000; Overman & Johson, 2007; Edlin, 2004; May, 1994; Palmer, 2000; Brummelen, 1996, 2006; 김정효, 2009; 이정미, 2011; Knight, 2000; Byrne, 2005)의 내용을 고찰하여 선정하였다. 전체 구성과 내용은 표 3과 같다.

    [<표 3>]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label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3) 수업 안 예시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활동내용에 기초한 구체적 수업 안의 예시는 표 4와 같다.

    [<표 4>] 수업 안 예시

    label

    수업 안 예시

    Ⅳ. 논의 및 제언

       1. 논의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적 관점은 기독교 세계관을 토대로 하고 있다. 기독교 유아교사는 교육을 통해 하나님을 향한 헌신적인 섬김의 자리로 나아가야 하며, 이는 본 프로그램의 근본적 지향점이 된다. 이러한 기본 전제를 바탕으로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문헌분석과 기독교 유아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기독교 유아교사를 위한 교사교육의 실태 및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는 프로그램의 목적, 교육내용의 구성, 교육방법 및 운영에 반영되었다. 프로그램의 개발절차는 목표선정, 내용선정, 교수방법 및 운영방법 선정, 평가의 절차를 따라 이루어졌다. 개발된 프로그램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강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목적은 기독교 유아교사가 교사로서의 사명을 깨닫고 기독교 유아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자질을 강화하여 책임 있는 제자도를 실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세부목표로는 ‘첫째, 기독교 유아교사로서의 소명과 정체성을 바르게 인식한다, 둘째, 기독교 세계관을 바탕으로 기독교 유아교육에 대한 바른 이해를 정립한다, 셋째, 일반 유아교육의 기독교적 통합 및 재구성을 위한 기초지식을 기른다, 넷째, 일반 유아교육의 기독교적 통합 및 재구성을 위한 실제적 방법과 기술을 습득한다‘ 이다. 이와 같은 목표는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 및 영적자질과 관련하여 진술된 목표들로, 기독교교사 교육 관련 연구들(Eavey, 1995; 김은지, 2005; 정유신, 2006; 박병주, 2008; 안미선, 2013)이 제시하고 있는 기독 교사를 위한 교육 목표들과 일치한다. 이는 기독교 유아교사 재교육과 관련된 프로그램의 목표는 기독교 유아교사가 하나님을 향한 헌신적인 섬김의 자리로 나아갈 수 있도록 기독교사의 영적자질을 바탕으로 전문적 자질 향상과 관련하여 수립되어야 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에서 제시된 교육목표들은 대부분 교사의 영성과 전문성에 관련해 포괄적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이라는 목적아래 그 목표가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영적 자질을 바탕으로 한 전문적 자질을 일반 유아교육의 기독교적 통합에 초점을 맞추고 그 목표를 보다 구체적으로 진술하여 기존 프로그램의 목표와 차별성을 두었다.

    둘째, 개발된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영적자질인 중생, 기도, 성령충만, 기독교 유아교사의 소명과 정체성을 바탕으로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선정되었다. 교육주제는 크게 기독교 유아교육의 기초, 기독교 유아교육의 내용과 실제, 기독교 유아교육방법 3가지로 선정하였다. 기독교 유아교육의 기초와 관련된 교육내용은 기독교 유아교육의 개념과 목적, 기독교 세계관과 유아교육과정이며 기독교 유아교육의 내용과 실제와 관련된 내용은 교육과정의 기독교적 통합원리, 기독교 유아교육 과정의 모형, 유아교육 각 영역의 기독교적 조명이다. 기독교 유아교육 방법과 관련된 내용은 교육과정의 기독교적 통합방법, 기독교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기독교적 평가방법으로 선정되었다. 선정된 모든 교육내용은 영적자질인 중생, 기도, 성령충만, 기독교 유아교사의 소명과 정체성과 통합되어 다루어짐으로서 영성과 전문성이 교육내용으로 함께 다루어진 것이다. 이는 대표적인 기독교사교육 프로그램인 두레학교, 샘물학교, 수원중앙 기독 초등학교의 교사교육 프로그램들도 기독교사 재교육의 내용은 주로 기독교사의 영성과 전문성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어 그 구성과 내용에 있어 개발된 프로그램과 그 맥락을 같이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기독교 유아교사를 위한 재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이문숙, 2007; 안미선, 2013)가 제시하는 교육내용과 많은 부분이 일치하고 있다. 이는 기독교 유아교사를 위한 재교육의 내용은 영성을 바탕으로 기독교 유아교사로서의 전문성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는 것이 타당함을 보여준다. 이에 기독교 유아교사 재교육의 내용은 영성을 바탕으로 기독교 유아교사로서의 전문성을 갖출 수 있는 내용, 즉 영성과 전문성이 분리되지 않고 통합된 내용으로 구성되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개발된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강의, 토의, 발표, 워크샵, 저널쓰기 등으로 선정하였다. 이는 다양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관련 연구들(마혜진·이정욱, 2014; 유구종·김민경, 2012; 박옥자, 2008; 이진희, 2011)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사 교육방법과 거의 일치한다. 이중 소그룹별 워크샵은 요구조사 결과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교육방법으로 나타나 본 프로그램의 주된 교수법으로 선정되었다. 이는 교사들의 요구도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본 프로그램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소그룹 워크샵은 성인학습자의 특성인 자기주도성 원리와 공동체 학습 원리가 반영된 교수방법으로 교사들은 수동적으로 교육을 받기보다 교육에 함께 적극적으로 참여할 때 더 좋은 교육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교사교육에 있어 소집단 중심의 워크샵이나 조별토의와 같은 활동은 더욱 활발히 활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의 운영방법에서 총 교육시간은 20시간 총 8회기 교육으로 구성하였다. 총 20시간의 교육시간을 기독 교사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들의 교육시간과 비교해보면 샘물학교가 약32시간, 수원 기독초등학교 약18시간, 두레학교 약15시간(안미선, 2013)으로 교사연수를 진행하고 있어 본 프로그램의 총 교육시간과 크게 차이가 없음을 볼 수 있다. 또한 기독교 유아교사들은 요구조사에서 20시간 이하의 교육시간을 선호하였는데, 이는 우리나라 유치원 현장 교사들의 과다한 업무와 시간 부족의 현실성(김은영, 2006; 이정화, 2007; 이혜진, 2011)이 반영된 요구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교육의 시간은 기독교 유아교사들의 현실적인 여건과 요구를 고려하여 프로그램의 실용화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아무리 좋은 프로그램도 현장의 요구가 반영되지 않는다면 실용화를 이루기란 어렵기 때문이다.

    넷째, 개발된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기독교 유아교사의 효능감 검사, 교사의 반성적인 저널쓰기, 교육만족도 검사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자기 점검적인 평가방식은 자신의 학습을 스스로 평가하기를 선호하는 성인학습자의 특성(Knowles, 2005)에 적합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부분의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관련 연구들에서도(신현경, 2012; 이진희, 2011; 최현정, 2011; 박옥자, 2008; 조운주, 2000) 자기 점검적, 반성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따라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방법은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교사가 스스로 자신을 점검, 반성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제 언

    본 연구의 논의와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은 현직의 기독교 유아교사만을 대상으로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을 강화하기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이다. 그러나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본적인 자질을 잘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즉 기독교 대학들은 예비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이 기독교 유아교사로서의 기본적인 자질을 충분히 갖출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예비 기독교 유아교사교육을 통해 기독교 유아교사의 기본적인 자질이 잘 갖추어지고, 재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전문적 자질을 더욱 강화시켜준다면 기독교 유아교육은 보다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이 현장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기독교 유아교육 기관의 설립주체인 교회 및 기관, 운영 책임자인 원장이 기독교 유아교육에 대한 바른 인식을 가지고 교사 재교육을 적극 지원할 필요가 있다. 근래 많은 교회와 기독단체들이 기독교 교육에 있어 기독교사의 중요성을 알고 기독교사를 위한 훈련과 지원을 제공하고 있으나 대부분 초·중·고등학교와 교사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기독교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훈련과 지원은 매우 미약하다. 이는 교회나 기독단체들이 여전히 기독교 유아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해 교회부설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을 설립하기만 할 뿐, 기독교 유아교육의 실제적인 실행을 위한 지원과 노력은 미미하여 기독교 유아교사 교육의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에 기독교 유아교육 기관의 설립 주체가 되는 교회나 기독단체들은 기독교 유아교육의 실행과 발전을 위해 기독교 유아교사를 위한 교육과 훈련을 지속적이며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나 그 효과에 대한 검증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한계점이 있다. 앞으로 개발된 기독교 유아교사의 전문적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타당성과 기존 프로그램과의 차별성 입증을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의 실행 및 그 효과검증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후속연구로서 본 교육과정 이후 기독교 유아교사를 위한 심화교육과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수준의 기독교 유아교사들을 위한 교육과정이 개발되고 제공될 때, 기독교 유아교사들을 위한 체계적인 재교육이 보다 전문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1. 강 문희 (2002) 21세기 유아교육. google
  • 2.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google
  • 3. 김 미경 (2008) 4년제 예비 기독교 영유아교사 양성대학의 교육과정분석. [유아교육학논집] Vol.12 P.259-280 google
  • 4. 김 은지 (2005) 기독교학교 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연구. google
  • 5. 김 정효 (2009) 세계관으로 본 교육. google
  • 6. 김 한별 (2010) 평생교육론. google
  • 7. 김 희자 (1998) 기독교 학교의 본질과 목적. [기독교교육연구.] Vol.9 P.7-31 google
  • 8. 마 혜진, 이 정욱 (2014) 영아교사의 정서역량 증진을 위한 현직교육프로그램 개발. [유아교육연구.] Vol.34 P.111-333 google
  • 9. 박 병주 (2008) 기독교학교의 교사 교육과정 연구: 두레학교, 샘물학교, 수원중앙기독초등학교를 중심으로. google
  • 10. 박 상진 (2006) 기독교 학교 교육론. google
  • 11. 박 옥자 (2008) 유아교사를 위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google
  • 12. 박 애규 (2004) 기독교학교 교사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google
  • 13. 박 은혜 (2013) 유아교사론 google
  • 14. 박 지영 (2009) 가정보육시설 영아보육을 위한 표준보육과정 적용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google
  • 15. 변 우진 (2011) 공교육 내 기독교사를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연구. google
  • 16. 신 현경 (2012) 유치원 초임교사 교직역량개발 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효과. google
  • 17. 안 미선 (2013)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기독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모형연구. google
  • 18. 오 경일 (2007) 기독교학교에서의 교사영성교육. google
  • 19. 유 구종, 김 민경 (2012)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과제중심 ICT Literacy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유아교육연구] Vol.32 P.365-401 google
  • 20. 유 재봉 (2013) 교육에서의 영성회복. [교육철학연구.] Vol.35 P.97-117 google
  • 21. 이 문숙 (2008)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google
  • 22. 이 상욱 (2003) 규범적 현실적 조명을 통한 기독교 유아교사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구. [진리논단] Vol.8 P.595-621 google
  • 23. 이 은화, 배 소연, 조 부경 (1995) 유아교사론. google
  • 24. 이 정미 (2011) 기독교적 교육과정 산책. google
  • 25. 이 종우 (2013) 한국기독교 대안학교의 교사교육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google
  • 26. 이 진희 (2011)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google
  • 27. 전 미라 (2003) 기독교인 유아교사의 기독교 유아교육에 관한 인식 및 교사재교육의 필요성 조사. google
  • 28. 정 대현, 정 옥경 (2010) 기독교인 유아교사의 기독교유아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 및 교육적 갈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신앙과 학문] Vol.15 P.293-326 google
  • 29. 정 유신 (2006) 중등학교의 기독 교사를 위한 교사 교육과정 연구. google
  • 30. 정 희영 (1998) 기독교 유아교육과정 개발 모색 [총신 유아교육 학술대회, 우리나라 기독교 유아교육기관의 진단과 발전방향] P.77-119 google
  • 31. 정 희영 (2008) 기독교 유아교육론. 개정판. google
  • 32. 정 희영 (2009) 기독교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분석. [신앙과 학문] Vol.14 P.197-223 google
  • 33. 정 희영 (2011) 기독교 세계관으로 본 근 현대 사조. google
  • 34. 정 희정, 김 남임 (2013) 기독교 유아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Vol.17 P.113-138 google
  • 35. 조 운주 (2000) 유아교육 실습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 모형개발. google
  • 36. 최 현정 (2011)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google
  • 37. 황 규식 (2001) 기독교교육교사의 회심과 영성훈련 방안연구. google
  • 38. Almy M. (1975) The early childhood at work. google
  • 39. Brummelen V. H. (1996) Walking with God in the classroom. google
  • 40. Brummelen V. H. (2006) Steppingstones to curriculum. google
  • 41. Byrne H. W. (2005) A Christian approach to education: Educational theory and application. google
  • 42. Cutrona C., Troutman B. (1986) Social support,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self efficacy. [Child Development.] Vol.57 P.1507-1518 google cross ref
  • 43. Edlin J. R. (2004) The cause of christian education. google
  • 44. Eavey C. B. (1995) Principles of teaching for christian teachers. google
  • 45. Essa E. L. (2013) 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google
  • 46. Greene A. E. (2000) Reclaiming the future of christian education. google
  • 47. Haper N. E. (1984) Making disciples; The challenge of Christian education at the end of the center. google
  • 48. Knight G. R. (2000) Philosophy and Education. google
  • 49. Knowles M. S. (2005) The adult learner : the definitive classic in adult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google
  • 50. May P. R. (1994) Which way to teach?. google
  • 51. Merrian S. B., Caffarella R. S., Baumgartner L. M. (2009) Learning in adulthood. google
  • 52. Overman C., Johson D. (2007) Making the connection. google
  • 53. Palmer P. (2000) To know as we are known. google
  • 54. Seefeldt C. (1980) A curriculum for preschools google
  • 55. Taba H. (1962) Curriculum development: Theory and Practice. google
  • 56. Tyler R. W. (1949)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조사대상의 일반적 배경
    조사대상의 일반적 배경
  • [ <표 2> ]  설문지 문항구성 및 내용
    설문지 문항구성 및 내용
  • [ [그림 1] ]  기독교 유아교사 교육의 실태와 요구도 결과 및 적용점
    기독교 유아교사 교육의 실태와 요구도 결과 및 적용점
  • [ [그림 2] ]  프로그램 개발 절차
    프로그램 개발 절차
  • [ [그림 3] ]  프로그램 내용의 선정
    프로그램 내용의 선정
  • [ [그림 4] ]  프로그램 구성체계
    프로그램 구성체계
  • [ <표 3> ]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기독교 유아교사의 자질강화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 [ <표 4> ]  수업 안 예시
    수업 안 예시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