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학제간 융합연구의 정책적 지원 방향* Policy Direction for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Grants
  • 비영리 CC BY-NC
ABSTRACT
학제간 융합연구의 정책적 지원 방향*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e policy direction for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top-down gra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all researchers and graduate students on enrollment DB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ithin the framework of national current issue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researcher unit size and research supporting period, research fund, and research project evaluation.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enlargement of humanities & social science-based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grants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system solving national current issues such as socioeconomic bipolarization and inequality & lowbirth and aging problems; the priority support of research projects contributing to sustainable development such as those focusing on the securement of future fundamental converging technology, the enhancement of growth potentiality & low-carbon green growth; the reinforcement of research support on medium and large size research projects through medium and long term; the composition of appraisal board including the appropriate experts and the experienced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research; the emphasis on the evaluation of research conducting capacity of research team and the construction of optimal evaluation stage obtaining procedural rationality.

KEYWORD
학제간 , 인문사회과학기반 , 이공학기반 , 융합연구 , 지속가능한 발전
  • Ⅰ. 서 론

    최근에 사회적·경제적·환경적 문제가 다양화하고 심화되면서 학제간 융합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국가적으로는 고령화 사회구조와 경제적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노인문제, 청소년 안전, 양극화 및 사회구조적 문제, 먹거리 안전사고 등 다양한 사회문제들이 증가하고, 환경적으로는 기후변화, 에너지 고갈, 전염성 질병의 변화 등 범공동체적 문제들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송위진 외, 2013). 이러한 문제들의 경우에는 단일 연구분야의 접근방법으로 해결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다양한 연구분야가 지식을 종합하여 새로운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학제간 융합연구를 요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연구패러다임의 변화 필요성에 따라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문화, 예술체육 등 모든 학문분야간의 융합이 강조되고 있다. 이제 자연과 사회가 지니고 있는 고유한 다양성과 복잡성에 기인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노과학, 생명공학, 인지과학 등을 넘어 학제간 융합연구를 통해 인간과 기계간의 인터페이스 기술들이 실용화 단계로 접어드는 등 국가차원에서 중장기적인 계획 하에 많은 예산투자와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양미경, 2009).

    그렇지만 국내에서는 IT, BT, NT 등의 융합기술을 중심으로 한 신산업 및 신성장 분야 등 단기적인 성과 중심으로 예산을 투자하면서 융합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중점을 두고 있다. 즉, 기술 확보를 통한 경제성장에 중점을 두고 있어 사회적 병폐 해결이나 정책의 국민적 수용 증진 등을 위한 사회문제 해결 분야에는 정책적 지원이 미흡한 실정에 있다.1)

    밀양지역의 송전탑 건설 반대운동이나 복지예산 확보를 위한 세제개편안에 대한 국민적 저항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국가차원에서 주요한 사회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해야 하는 정책들이 국민적 저항이나 반대로 적시에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노컷뉴스, 2014. 4. 7 ; 조선비즈, 2013.10.31). 아울러 환경변화에 의한 전염성 질병 확산 등의 공공보건문제나 노인인구 증가에 따르는 노동력 감소와 노동생산성 저하 및 노인 삶의 질 문제 등의 사회적 문제들에 대한 정부의 적시 해결능력이 감소하면서 정부차원의 사회적 지출비용은 증가하는 반면에 잠재성장률 하락 등 경제적 안정요인은 약화되고 있어 한국사회의 미래가 암담해지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뉴스1 2014. 2. 3; 경기일보, 2013. 8. 1).

    이러한 문제인식 하에서 본 연구는 학제간 융합연구의 의의와 정부정책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국가사회적 현안문제와 지속가능한 발전 영역, 연구수행에 필요한 연구지원 규모,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요구되는 연구비 규모, 우수 연구과제를 선정하기 위한 과제평가의 관점에서 한국연구재단의 연구자 등록 DB에 등록되어 있는 전체 연구자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경험적 분석을 실시하기로 한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국가차원의 문제해결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요구되는 Top-down 형태의 학제간 융합연구 지원을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1)양현모 외(2013)는 365억원을 투입하여 개발한 스마트케어(U-health) 사업이 의료계의 반발로 의료법 개정에 실패하여 국내에서 상용화가 불투명해지는 사례를 제시하면서 기술 중심의 연구개발사업의 문제지향성이 약화되어 정부의 투자효율성이 저하되기 시작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Ⅱ. 학제간 융합연구와 정책 변화

       1. 학제간 융합연구의 의의

    학제간 융합연구의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서는 먼저 개념적 정의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학제간 융합연구에 대한 개념적 정의는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아 학자들 마다 다소 상이한 용어와 개념을 제시하고 있으나, OECD는 공통된 생각을 갖는 연구자들 간에 지식과 기술을 공유하여 수행하는 연구를 단일 학제적 연구(single discipline research)라 하고, 서로 다른 분야의 여러 연구자들이 모여 각각의 연구자들이 서로 다른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를 학제간 연구(interdisciplinary research)라고 정의하고 있다(한승환 외, 2009: 25-26).

    OECD의 개념적 정의에도 불구하고 학자들에 따라 다양한 개념적 정의가 내려지는 이유는 학제간 융합연구가 이질적인 분야를 단순 통합하거나 종합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목적과 방법으로 다양한 학문분야와 과학기술들이 ‘함께 도약’(jumping together)하는 성격을 가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강남준, 2009). 따라서 학제간 융합연구는 연구의 목적, 주제, 방법 및 단계에 따라 다학문적(multidisciplinary) 연구에서 학제간(interdisciplinary) 연구로 발전되고, 다시 학제간 연구에서 다양한 현상에 대해 개념적 정립을 새롭게 하는 초학문적(transdisciplinary) 연구로 변화해 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강남준, 2009; 한승환·경정운, 2011).

    최근 학제간 융합연구는 대학교육과 연구분야, 산업분야, 국가전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뜨거운 감자로 이슈화되고 있다. 이는 융합기술이 유비쿼터스 정보화 사회, 에너지 고갈, 환경오염, 지구 온난화 등 미래사회에 심각하게 대두될 중대한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핵심기술로 받아들여지고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추세에 비추어 볼 때 궁극적으로는 모든 부문에서 학제간 융합연구가 주류를 형성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한승환 외, 2009; 지식경제부, 2009). 산업사회에서는 개별 학문의 분과적 접근이 효율적일 수 있었지만 창의성이 강조되는 지식기반사회에서는 단일 학문분야의 지식이 포화되는 현상을 보이면서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안으로 학문간 융합을 통한 학제간 조화 방안이 강조될 수밖에 없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권업 외, 2000).

    단일 학문분야의 한계성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모든 국가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되고 있다. 따라서 주요 선진국가들은 2000년대 진입 이후 항공·우주기술, 생명과학, 로봇기술 등 과학기술분야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자국의 특성에 맞는 독자적 융합기술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새로운 성장동력의 역할을 할 국가전략사업으로 채택하여 미래트렌드를 고려한 중장기 발전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미국의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은 학제간 융합연구 지원과 융합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목적으로 Cross-cutting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고, 유럽연합(EU)도 리스본 전략의 실패로 인한 미국과의 격차 해소를 위해 ‘성장과 고용’을 목표로 한 신리스본 전략을 채택하고 학제간 융합연구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추세에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동종기술 영역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종기술의 장점과 효율성을 살리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국가의 미래를 설계하고 당면과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다양한 분야의 산·학·연 전문가의 참여가 이루어지는 개방형 공동연구 및 학제간 융합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고 할 수 있다.

       2. 정부정책의 변화

    우리나라에서 학제간 융합연구에 관한 중요성이 부각되기 시작한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대체로 노무현정부 시절부터라고 볼 수 있다. 노무현정부는 2007년 4월 「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방침」(과학기술부 외, 2007)을 통해 급격하게 변화하는 국가사회의 환경적 불확실성과 가변성이 증대하고 국가발전의 장애가 되는 문제가 많이 발생할 것이라는 전망을 하면서 미래사회 이슈를 다학제분야의 융합연구를 통해 해결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조는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문화, 예술 등과의 학제간 융합연구의 본격적인 실시를 강조하였다고 볼 수 있는데, 그 주요 내용으로는 ① 범공동체 사회문제 아젠다 해결을 위한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 수행, ② 인문사회-과학기술 학제간 융합연구를 개척하는 신진 및 우수연구자 지원 등을 들 수 있다.

    2007년 7월에는 「기술기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종합대책」(국가과학기술위원회, 2007)을 발표하였는데, 이는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인문사회과학적으로 시급히 추진해야 할 사회구조, 인간관계, 공공서비스, 문화, 교육 등 5개 과제를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이 중에서 사회구조와 인간관계를 제외한 주거, 의료, 치안, 식품, 교통통신, 환경·자원, 재난·재해 등과 문화, 공공서비스, 교육 등의 일부가 기술기반 삶의 질과 관련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노무현정부의 기술기반 삶의 질 분야 5대 과제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그림 1>과 같다.

    이명박정부는 출범 이후 과학기술정책을 ‘신국가발전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추진하면서 「과학기술기본계획(577전략)」(교육과학기술부, 2008)를 발표한 바 있다. 새로운 패러다임의 핵심적 내용은 저탄소 녹색성장으로서 온실가스와 환경오염을 줄이면서 지속가능한 성장과 녹색기술 및 청정에너지로 신성장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중점을 둔 것이다.

    「과학기술기본계획(577전략)」은 범공동체 문제해결을 위한 사회기술연구개발체제 구축을 지향하였는 바, 우수연구센터 형태의 ‘과학기술과 사회 연구센터’를 운영하고, 공동체 문제해결을 위한 과학기술과 사회가 조화되는 연구시스템을 구축하며, 자연과학과 인문사회과학간 협력연구를 통해 자연재해, 식품, 의료교통사고, 기후변화 등에 대응하는 과학기술사회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2006년 GDP 대비 3.23%인 총연구개발투자(정부+민간)를 2012년 5% 수준으로 확대하고 투자 효율을 강화하는 한편, 7대 기술분야를 중점 육성하고, 7대 시스템을 선진화·효율화하여 2012년까지 과학기술 7대 강국을 달성하고자 50개 범부처 중점추진과제를 제시하였다.

    2009년 5월에는 과학기술기본계획을 구체화한 「신성장동력 종합 추진계획」(지식경제부, 2009)을 확정하여 발표하였는데, 이 계획에서는 <표 1>과 같이 3대 분야 17개 신성장동력으로 구분하고, 세부과제로 200개 과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5년간 약 24.5조원 규모의 정부예산을 투자한다는 방침을 정한 바 있다.

    [<표 1>] 「신성장동력 종합 추진계획」의 3대 분야 17개 신성장동력

    label

    「신성장동력 종합 추진계획」의 3대 분야 17개 신성장동력

    이명박정부는 지식기반사회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크게 통합과 융합이라는 커다란 틀에서 경제 및 산업 등 국가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부문간 경계 허물기라는 신파라다임으로의 전환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정부는 R&D 예산 중 기초연구비 비율을 2008년 25.6%(1.8조원)에서 2012년 35.0%(4.0조원) 규모로 확대하여 기초·원천 및 융합 연구를 육성한다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표하였다. 분야별로 전문화된 개별 지식만으로는 현대사회의 복잡하고 다층적인 문제를 해결하기가 어렵다는 인식 하에서 지식의 융합을 통한 기술과 산업간의 융합을 촉진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IT, BT, NT에서 FT로 변화하는 등 기술간의 융합과 더불어 IT와 디자인 그리고 엔터테인먼트가 융합하는 등 제조업과 서비스의 결합도 이루어지게 되었다.

       3. 선행연구 검토

    최근 학제간 융합연구에 대한 연구가 증가 추세에 있다. 그러나 대체로 대학의 교육과정에서 학제간 융합교육에 초점을 두고 있는 연구는 학술논문과 연구보고서 등의 형태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정부의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는 연구보고서가 주류를 이루고 있고 학술논문의 경우는 미미한 실정에 있다.

    국내 학술논문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먼저 한승환·경정운(2011)은 지식융합의 장애, 철학적 장애, 협력의 장애, 논문게재의 장애 등의 관점에서 학문분야간 인식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변수의 측정지표로서, 지식융합의 장애의 경우 학제간 융합연구의 주요 목표와 융합연구가 중요한 이유를, 철학적 장애의 경우 지식공유의 관점을, 협력의 장애의 경우 학제간 융합연구팀의 주요 장애요인과 연구자간 의사소통의 장애를, 그리고 논문게재의 장애의 경우에는 연구결과의 학술지 선정을 지표로 사용하였다.

    경정운 외(2011)는 학제간 융합연구 프로그램의 사업규모, 사업내용, 운영방식의 관점에서 국내외 학제간 융합연구 프로그램에 대해 사례분석을 하였다. 이 연구는 변수의 측정지표로서, 사업규모의 경우 정부기관간 협력, 사업예산의 구성 및 사업예산의 규모를, 사업내용의 경우 추진배경, 사업비전, 주요목적 및 사업구조를, 그리고 운영방식의 경우에는 기대효과, 연구지원방식, 과제당 지원기간, 과제당 지원예산 및 선정과제의 수를 지표로 활용하였다.

    경정운(2012)은 전략적 학제간 융합연구의 육성을 위한 정부의 역할을 사업계획, 연구비 편성, 과제평가, 성과관리로 구분하여 독립변수로 하고, 융합연구효과를 종속변수로 하여 분산분석과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독립변수 중 사업계획의 측정지표로는 사업계획의 체계성과 구체성을, 연구비 편성의 경우에는 경비 반영의 적절성, 연구비 배분의 적절성을, 과제평가의 경우에는 평가지표와 평가패널의 적절성을, 그리고 성과관리의 경우에는 성과관리의 체계성과 성과환류의 적절성을 지표로 사용하였다.

    강남준 외(2008)는 전문가 20여명을 인터뷰 조사하여 민·관·학 융합연구기관을 설립하고, 연구자들이 서로 대화를 통해 이해를 증진해야 하며, 이를 위해 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한승환 외(2009)는 연구자 3,573명의 인식도를 조사하여 고위험·고수익 학제간 융합연구에 대한 성실실패를 인정하고, 학문분야간 대화를 활성화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국외의 선행연구는 Bruun et al.(2005)의 연구가 있는데, 이 연구는 핀란드 4개 연구지원기관에서 1999년~2000년까지 4년간 지원한 연구과제들에 대한 학문분야간 융합수준을 분석하고, 평가지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앞에서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살펴본 바와 같이, 학제간 융합연구의 지원과 관련된 정부의 정책을 분석하거나 실질적인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분석한 변수들을 참조하여 연구모형을 정립한 후에, 국내 연구자들의 인식도를 조사하여 바람직한 학제간 융합연구의 정책적 지원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2)본 논문은 한국연구재단(2010)을 통해 조사한 자료와 보고서를 일부 활용하여 학술적· 논리적 체계를 갖춘 논문의 형태로 작성한 것이다.

    Ⅲ. 연구모형

       1. 변수의 선정 및 조작적 정의

    본 연구는 학제간 융합연구에 대한 정부차원의 정책적 지원 관점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앞에서 살펴본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학제간 융합연구의 주제영역, 연구지원 규모, 연구비 규모 및 과제평가 등 4개 변수를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먼저, 학제간 융합연구의 주제영역은 강남준(2009), 한승환·경정운(2011)의 연구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이 연구들은 최근 복잡·다양해지고 있는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해 각 분야에서 단일학문연구 차원을 넘어선 학제간 융합연구가 주류를 이루게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주제영역을 학제간 융합연구를 통해 시급히 해결해야 하는 국가사회적 당면 과제 및 지속가능한 발전 과제(곽병훈·오수길, 2012, 참조)와 관련된 영역으로 규정하기로 한다.

    연구지원 규모는 한승환·경정운(2011), 경정운 외(2011), 경정운(2012)의 연구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이러한 연구들에서 연구지원 규모는 대체로 학제간 융합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진 수 또는 규모와 존속기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지원 규모의 개념적 구성요소를 연구단위의 구성과 지원대상 연구기간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연구비 규모는 한승환 외(2009), 경정운 외(2011), 경정운(2012)의 연구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이 연구들은 학문분야간 균형적 발전을 위해 필요한 연구비의 배분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비 규모를 연구주제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문제에 따라 학제간 융합연구의 수행과정에서 소요되는 연구비 액수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과제평가는 Bruun et al.(2005), 한승환·경정운(2011), 경정운 외(2011), 경정운(2012)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이러한 연구들에서는 평가지표와 평가패널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와 차별화하여 본 연구에서는 평가위원 자격에 관한 항목을 추가하여 학제간 융합연구의 해당 연구주제에 전문적 자격을 갖춘 평가위원들이 신청과제를 합리적인 평가항목과 절차에 따라 과제평가를 수행해야 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춰 구성요소를 설정하기로 한다.

       2. 측정지표 및 연구모형

    앞서 선정된 변수들을 측정하여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선정한 측정지표와 질문의 구성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학제간 융합연구의 주제영역의 측정지표는 국가사회적 현안문제 영역과 지속가능한 발전 영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 9개의 선택항목으로 구성하여 8개의 선택항목은 연구주제를 제시하고, 1개 항목은 제시된 연구주제 이외에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주제항목을 기재하도록 하였다. 응답방식은 1순위~5순위까지 선택하여 순위를 기재하도록 질문을 구성하였다.

    연구지원 규모는 연구단위의 크기 및 범위와 지원기간의 장단기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단위 규모와 연구지원 기간으로 측정지표를 구성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단위 규모는 8개의 선택항목으로 구성하였는데, 7개 항목은 내용을 제시하여 선택하도록 하고, 1개 항목은 제시된 내용 이외의 기타 의견으로 기재하도록 하였다. 연구지원기간의 경우에는 1년~5년까지 1년 단위로 선택항목을 구성하였고, 1개 항목은 그 외의 적정 연구지원 기간을 기재하도록 하였다.

    연구비 규모를 측정하기 위한 지표의 구성은 기술개발이나 제품개발을 목표로 하는 이공학기반의 학제간 융합연구의 적정 연구비 규모와 장비구매가 상대적으로 적은 인문사회과학기반의 학제간 융합연구의 적정 연구비 규모를 구분하여 지표로 선정하였다. 질문의 선택항목은 모두 7개로 구성하였는데, 6개 항목은 서열척도로 선택지를 제시하고, 1개 항목은 기타 의견을 직접 기재하도록 하였다.

    과제평가의 측정지표로는 평가위원 자격과 평가항목 및 평가절차 등 3개의 지표를 구성하였다. 학제간 융합 연구과제 평가위원에 적합한 자격을 묻는 질문과 함께 연구계획서, 연구진의 연구실적 및 연구수행능력 중 어느 항목들을 평가하는 것이 적합한지를 묻는 질문의 선택항목은 각각 4개로 구성하였는데, 3개 항목은 명목척도로 선택지를 제시하고, 1개 항목은 기타 의견을 직접 기재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평가절차에 관한 질문으로서 요건심사, 온라인 전문가 심사, 패널집중심사, 면담심사, 종합심사 등의 평가방법을 고려하여 몇 단계 평가절차가 적합한가를 묻는 질문의 선택항목은 4개로 구성하였는데, 3개 항목은 명목척도로 선택지를 제시하고, 1개 항목은 기타 의견을 직접 기재하도록 하였다.

    이상을 종합하여 학제간 융합연구의 정책적 지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모형을 제시하면 <그림 2>와 같다.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연구자 등록 DB에 등록되어 있는 다양한 학문분야와 전문지식의 배경을 가지고 있는 전체 연구자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질문지조사방법을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0년 3월 17일부터 4월 2일까지 17일간 실시하였고, 조사방법은 모집단 전체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시스템을 통해 조사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총 1,247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전체 연구자들의 인식도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Ⅳ. 분석 결과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는 전체 응답자 1,247명의 일반적인 특성을 제시해 보면 <표 2>와 같다.

    [<표 2>]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label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먼저 학문분야별 분포는 공학분야(22.7%), 사회과학분야(22.2%), 인문·어문학분야(14.8%), 자연과학분야(12.5%) 등의 순으로 나타나 대체로 학문분야별 연구인력의 규모에 비례하여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다.

    지역별 분포는 서울·인천·경기(36.2%), 부산·대구·울산·경상권(23.9%), 대전·충청권(20.0%), 광주·전라권(14.5%) 등의 순으로 나타나 대체로 지역별 연구인력의 규모에 비례하는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다.

    성별 분포는 남성 81.1%, 여성 18.9%의 비율을 보여 모집단의 성별 분포에 대체로 비례하는 분포를 보이고 있고, 연령대별 분포도 40~50세 미만(44.4%), 50세~60세 미만(36.7%), 30세~40세 미만(13.7%) 등의 순으로 나타나 비교적 모집단의 연령대별 연구인력의 규모에 비례하는 고른 분포를 보이고 있다.

    직업별 분포는 대학교수(82.1%)와 연구소 연구원(15.8%)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소속기관 설립형태별로는 4년제 사립대학교(51.6%), 4년제 국공립대학교(29.1%), 정부출연연구소(9.2%), 2년~3년제 대학(5.9%) 등의 순으로 분포되어 대부분 대학과 연구소의 연구자들이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2. 학제간 융합연구의 주제영역에 관한 인식도 분석

    1) 국가사회적 현안문제 영역

    정부가 국가사회적 현안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점적으로 지원해야 할 학제간 융합 연구주제의 우선순위에 대한 응답분포를 제시하면 <표 3>과 같다.

    [<표 3>] 국가사회적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학제간 융합연구의 연구주제 우선순위

    label

    국가사회적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학제간 융합연구의 연구주제 우선순위

    국가사회적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학제간 융합연구 지원 우선순위 연구주제에 대해 1순위~5순위까지 응답한 결과를 종합점수로 환산한 결과, 1순위 ‘양극화와 불평등 문제 해결’ 16.9%, 2순위 ‘저출산 고령화 문제의 극복’ 15.9%, 3순위 ‘정신적 황폐화와 인간성 회복’ 15.8%, 4순위 ‘실업 문제와 일자리 창출’ 15.4%, 5순위 ‘환경오염과 생활환경의 질 개선’ 14.2%, 6순위 ‘가치 충돌과 생명윤리 확립’ 8.9%, 7순위 ‘재해 및 안전 문제와 국가위기관리’ 6.8%, 8순위 ‘질병 및 전염병과 인간안보’ 5.9% 등의 순으로 나타나 양극화와 불평등 문제를 해결을 위한 융합연구에 중점적으로 지원할 필요성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타 의견으로는 ‘공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육시스템 회복’, ‘식량안보와 식량자급률 제고’, ‘고학력 여성 유휴인력의 사회 진출’, ‘분단문제 해결’, ‘전통문화의 지원·육성’, ‘에너지 문제 해결’, ‘지역간 갈등 극복’ 등의 연구주제가 제시되었다.

    2) 지속가능한 발전 영역

    정부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중점적으로 지원해야 할 학제간 융합 연구주제의 우선순위에 관한 응답분포를 제시하면 <표 4>와 같다.

    [<표 4>] 지속가능한 발전 영역의 학제간 융합연구 우선순위

    label

    지속가능한 발전 영역의 학제간 융합연구 우선순위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학제간 융합연구 지원 우선순위 연구주제에 대해 1순위~5순위까지 응답한 결과를 종합점수로 환산한 결과, 1순위 ‘미래 원천융합기술 확보와 성장 잠재력 확충’ 16.8%, 2순위 ‘저탄소 녹색성장과 지속가능한 발전’ 16.0%, 3순위 ‘지역별·권역별 특성화와 국가 균형발전’ 15.1%, 4순위 ‘차세대 먹거리 창출과 국가적 미래전략산업 개발’ 13.8%, 5순위 ‘이념 및 가치의 조화와 새로운 삶의 체계 구축’ 13.3%, 6순위 ‘융합기술 기반 산업 고도화와 국가경쟁력 강화’ 13.2%, 7순위 ‘융합 거대과학 발전과 협력적 글로벌 거버넌스 구축’ 6.8%, 8순위 ‘정부간 관계 재정립과 발전 시너지 창출’ 4.9% 등의 순으로 나타나 미래 원천융합기술의 확보와 성장 잠재력 확충(최영출, 2007; 김시윤, 2013, 참조)과 관련된 융합연구에 중점적으로 지원할 필요성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타 의견으로는 ‘중산층 강화’, ‘도농간 격차 해소를 위한 서비스산업 육성’, ‘중앙정부의 권한 분화와 지방광역화 확산’, ‘중소기업의 경쟁력 확보’,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 ‘미래지향적 생태공동체 구성’, ‘로컬리티 역할 신장’, ‘지역 순환경제시스템 구축’, ‘공무원의 기본개념 정립’ 등의 연구주제가 제시되었다.

       3. 학제간 융합연구의 지원규모에 관한 인식도 분석

    1) 연구단위 규모

    학제간 융합연구의 정부의 전략적 지원에 바람직한 연구단위 규모에 대한 응답분포를 제시하면 <표 5>와 같다.

    [<표 5>] 학제간 융합연구 지원의 적정 연구단위 규모

    label

    학제간 융합연구 지원의 적정 연구단위 규모

    학제간 융합연구의 전략적 지원을 위한 연구단위 적정규모를 묻는 질문에 ‘연구팀 단위’가 27.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연구팀 + 대학 및 전문연구기관 사업단 + 대학 연구소 및 학과, 전문연구기관 부서 단위’ 17.7%, ‘연구팀 + 대학 연구소 및 학과, 전문연구기관 부서 단위’ 14.9%, ‘연구팀 + 대학 및 전문연구기관 사업단 단위’ 14.4%, ‘대학 및 전문연구기관 사업단 + 대학 연구소 및 학과, 전문연구기관 부서 단위’ 9.3% 등의 순으로 나타나 연구팀 단위에 가장 많은 응답분포를 보이고 있다.

    반면, ‘대학 및 전문연구기관 사업단 단위’와 ‘대학 연구소 및 학과, 전문연구기관 부서 단위’는 각각 8.2%와 7.2%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기타 의견으로 ‘연구팀 + 대학 및 전문연구기관 사업단 + 대학 연구소 및 학과, 전문연구기관 부서 단위 + 기업’ 등의 의견이 0.8%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낮은 응답분포를 보이고 있다.

    2) 연구지원 기간

    학제간 융합연구의 정부의 전략적 지원에 적정한 연구지원 기간의 응답분포를 제시하면 <표 6>과 같다.

    [<표 6>] 학제간 융합연구의 적정 연구지원 기간

    label

    학제간 융합연구의 적정 연구지원 기간

    학제간 융합연구의 전략적 지원을 위한 적정 지원기간으로는 3년 47.1%, 5년 37.3%, 2년 8.1%, 4년 4.0%, 1년 0.3% 등의 순으로 나타나 중기적 차원의 3년 연구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응답에서는 ‘5+5+5년’, ‘10년’, ‘5+5년’, ‘7년’, ‘2+2+3년’, ‘3+2년’, ‘2+3년’, ‘1+3년’, ‘최소 2-3년’, ‘연구주제별 3~5년’, ‘최소 5년 보장 후 성과기반 추가 지원’, ‘연구과제 특성에 따라 차등화’ 등 단계평가를 거쳐 중장기 기간 동안 연구를 지원하거나, 연구주제별로 연구기간을 차별화하는 방안 등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4. 학제간 융합연구의 연구비 규모에 관한 인식도 분석

    1) 인문사회과학기반 학제간 융합연구의 연간 연구비 규모

    정부의 전략적인 학제간 융합연구 지원 차원에서 인문사회과학기반 학제간 융합연구의 연간 연구비 적정규모에 관한 응답분포를 제시하면 <표 7>과 같다.

    [<표 7>] 인문사회과학기반 학제간 융합연구의 연간 연구비 적정규모

    label

    인문사회과학기반 학제간 융합연구의 연간 연구비 적정규모

    인문사회과학기반의 융합연구 과제당 연간 연구비 적정규모로는 ‘1억원 이내’ 36.8%, ‘2억원 이내’ 19.6%, ‘5,000만원 이내’ 16.2%, ‘1억5천만원 이내’ 12.4% 등의 순으로 나타나 인문사회과학기반 융합연구의 적정연구비 규모로 1억원 이내에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이고 있다. 이에 비해 ‘7,000만원 이내’와 ‘3,000만원 이내’는 각각 8.2%, 3.8%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기타 응답에서는 ‘1000만원 이내’, ‘직접비 규모 1억원 내외’, ‘2억원 이상’, ‘3억원’, ‘2억원 이상-10억원 이내’, ‘5억원 이내’, ‘5억원 이상’, ‘5억원 내외’, ‘연구단위 구성에 따라 조정(대학의 경우 한 연구팀당 2억원 이상)’, ‘연구과제 특성에 따라 차등화’ 등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2) 이공학기반 학제간 융합연구의 연간 연구비 규모

    정부의 전략적인 학제간 융합연구 지원 차원에서 이공학기반 학제간 융합연구의 연간 연구비 적정규모에 관한 응답분포를 제시하면 <표 8>와 같다.

    [<표 8>] 이공학기반 학제간 융합연구의 연간 연구비 적정규모

    label

    이공학기반 학제간 융합연구의 연간 연구비 적정규모

    이공학기반의 융합연구 과제당 연간 연구비 적정규모로는 ‘2억원 이내’ 55.2%, ‘1억원 이내’ 16.4%, ‘1억5천만원 이내’ 11.2% 등의 순으로 나타나 인문사회과학기반의 융합연구와는 달리 실험 및 실습을 위한 장비가 소요되는 이공학기반 융합연구의 적정 연구비로 ‘2억원 이내’에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이고 있다. 이에 비해 ‘7,000만원 이내’와 ‘5,000만원 이내’, ‘3,000만원 이내’는 각각 3.4%, 2.0%, 0.4%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기타 응답에서는 ‘기관당 최소 1억원’, ‘2억5천만원 이내’, ‘3억원 이내’, ‘직접비 규모로 3억~5억원 내외’, ‘4억원 이내’, ‘5억원 이내’, ‘5억원 이상’, ‘5억원 내외’, ‘5억~10억원 이내’, ‘10억원 이내’‘, ‘10~30억원 내외’, ‘20억원 이내’, ‘20억원 이상’, ‘50억원 이내’, ‘연구과제 특성에 따라 차등화’ 등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5. 학제간 융합연구의 과제평가 방법 및 절차에 관한 인식도 분석

    1) 평가위원 자격

    학제간 융합 연구과제의 선정에 바람직한 평가위원에 관한 응답분포를 제시하면 <표 9>와 같다.

    [<표 9>] 학제간 융합 연구과제에 적합한 평가위원

    label

    학제간 융합 연구과제에 적합한 평가위원

    학제간 융합 연구과제에 적합한 평가위원으로는 ‘제1전공(연구책임자) 및 제2전공(공동연구자) 전문가 + 학제간 연구경험자로 구성’ 45.3%, ‘다양한 학문분야를 포괄하는 전문가들로 별도의 전문심사위원회 구성’ 40.3%, ‘제1전공(연구책임자) 및 제2전공(공동연구자) 전문가 위주로 구성’ 14.1% 등의 순으로 나타나 가장 많은 응답자가 해당과제 분야의 전문가와 학제간 융합연구의 경험자를 모두 평가위원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제일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 외에 기타 응답에서는 ‘해당 전공과 전혀 무관한 전문가들로 별도위원회 구성’, ‘학연 및 지연을 타파한 완전한 블라인드식 외국 전문가 평가’,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세부 전문가들로 별도 구성’, ‘국외의 학제간 연구 경험자’ 등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2) 평가항목

    학제간 융합 연구과제의 선정에 바람직한 평가항목에 관한 응답분포를 제시하면 <표 10>과 같다.

    [<표 10>] 학제간 융합 연구과제에 적합한 평가항목

    label

    학제간 융합 연구과제에 적합한 평가항목

    학제간 융합 연구과제에 적합한 평가항목으로는 ‘연구계획서의 내용 + 참여연구자 연구실적 + 연구팀 등의 연구수행능력 심사평가’ 66.4%, ‘연구계획서의 내용 + 참여연구자 연구실적 심사평가’ 17.7%, ‘연구계획서의 내용만 심사평가’ 14.5% 등의 순으로 나타나 연구계획서와 연구자의 전문성, 연구수행능력을 모두 평가하는 것에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이고 있다. 그 외 기타 응답에서는 ‘연구계획서의 내용 + 연구팀 등의 연구수행능력 심사평가’, ‘연구계획서의 내용과 연구팀 등의 연구수행능력을 분리하여 지원하게 한 후 심사평가’ 등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3) 평가절차

    학제간 융합 연구과제 선정을 위해 바람직한 평가절차에 관한 응답분포를 제시하면 <표 11>과 같다.

    [<표 11>] 학제간 융합 연구과제에 적합한 평가절차

    label

    학제간 융합 연구과제에 적합한 평가절차

    학제간 융합 연구과제에 적합한 평가절차로는 ‘요건심사(1단계) + 온라인 전문가심사(2단계) + 패널집중심사(3단계) + 종합심의(4단계)’ 43.9%, ‘요건심사(1단계) + 온라인 전문가심사(2단계) + 패널집중심사(3단계) + 면담심사(4단계) + 종합심의(5단계)’ 27.7%, ‘요건심사(1단계) + 온라인 전문가심사(2단계) + 종합심의(3단계)’ 27.4% 등의 순으로 나타나 면담심사를 제외한 4단계 심사를 가장 선호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 외 기타 응답에서는 ‘요건심사(1단계) + 패널집중심사(2단계) + 면담심사(3단계)’와 ‘요건심사(1단계) + 패널집중심사(2단계) + 종합심의(3단계)’, ‘면담심사(1단계)+ 종합심의(2단계)’, ‘요건심사(1단계) + 패널집중심사(3단계) + 면담심사(4단계) + 종합심의(5단계)’, ‘요건심사(1단계) + 온라인 전문가심사(2단계) + 면담심사(3단계) + 종합심의(4단계)’, ‘온라인 전문가심사(1단계) + 패널집중심사(2단계) + 면담심사(3단계) + 종합심의(4단계)’, ‘연구과제 특성에 따라 다양화’ 등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Ⅴ. 결 론

    학제간 융합연구는 복잡·다양해지고 있는 국가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면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기하기 위한 차원에서 그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가차원에서 Top-down 형태로 지원해야 하는 학제간 융합연구의 주제영역과 연구지원 규모, 연구비 규모, 과제평가의 관점에서 조사·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학제간 융합연구 지원을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사회적 현안과제로서 양극화와 불평등 문제 및 저출산 고령화 문제 해결에 최우선 순위를 두고 이를 원만하게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수 있도록 인문사회과학기반의 학제간 융합연구 지원를 더욱 확대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정부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기하기 위해서는 미래원천융합기술 확보 및 성장 잠재력 확충과 더불어 저탄소 녹색성장에 초점을 맞춘 학제간 융합연구를 중점적으로 지원해야만 한다. 지금까지 학제간 융합연구의 정책적 방향은 IT, BT, NT 등 하드웨어를 중심으로 단기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었으나, 앞으로는 미래지향적이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연구주제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보다 강화해야만 한다.

    둘째, 중장기 중대형과제를 중심으로 학제간 융합연구에 대한 지원을 정책적으로 강화해야만 한다. 학제간 융합연구의 경우 다양한 연구분야의 연구자들이 모여 지식을 융합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새롭고 창의적인 지식을 창출할 수 있도록 보다 많은 시간과 비용, 노력을 투여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급변하는 미래사회의 환경변화를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에 걸쳐 더욱 많은 연구분야의 지식을 융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학제간 융합연구의 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3년~5년간 수행할 수 있는 연구팀 단위의 중장기 지원과제를 확대하고, 연구비 규모면에서는 1억원 이내의 인문사회과학기반 연구과제와 2억원 이내의 이공학기반 연구과제를 보다 확대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학제간 융합연구의 과제평가를 위한 평가위원의 경우에는 해당과제 분야의 전문가와 학제간 융합연구의 경험자를 모두 평가위원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연구과제 선정평가결과의 수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국내에서 수행하고 있는 학제간 융합연구는 대체로 학문간의 종합적인 융합이라기보다는 기술 중심의 단편적인 연구가 많으므로, 신청과제의 융합면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보다 전문성이 높거나 융합연구 경험이 많은 평가위원으로 평가패널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평가패널을 구성할 때 국내에 적합한 해당 융합연구분야 전문가 및 경험자가 없거나 평가위원으로 초빙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평가과정에서 융합수준이 높은 연구과제를 선정할 수 있도록 국제적 전문가나 경험자를 평가위원으로 구성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강구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제간 융합 연구계획서의 내용과 참여연구자의 연구실적과 더불어 연구팀의 연구수행능력을 보다 전문적으로 평가하고, 신청과제에 대한 평가단계를 더욱 강화해야만 한다. 특히, 선정평가결과에 대한 연구자들의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온라인 전문가심사와 패널집중심사, 종합심사 등 평가단계를 보다 강화하여 보다 많은 전문 평가위원들이 평가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 요구된다. 요컨대, 연구과제에 참여하는 개별연구자와 연구팀의 종합적인 연구수행능력을 평가하고, 평가절차면에서도 최소 4단계의 심사를 거쳐 학제간 융합 연구과제 심사평가의 절차적 합리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국가차원의 현안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중점을 두어야 할 연구과제를 제시하고, 이를 위해 인문사회과학기반과 이공학기반 학제간 융합연구 지원의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 1. 강 남준 (2009) 융합기술의 정의 및 융합연구의 미래. 교육자료. google
  • 2. 강 남준 (2008) 과학기술과 인문사회과학의 융합연구 활성화 방안. google
  • 3. (2013) [「경기일보」.]
  • 4. 경 정운 (2012) 「정부의 역할이 융합연구효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google
  • 5. 경 정운 (2011) 융합연구의 새로운 발전방향 모색: NSF의 환경 속의 생명복합성과 NRF의 학제간 융합연구지원사업 비교.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5 P.151-177 google
  • 6. (2007) 「국가융합기술 발전 기본방침」. google
  • 7. 곽 병훈, 오 수길 (2012) 영국의 지속가능발전 거버넌스 분석: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Vol.16 P.89-122 google
  • 8. (2008) 「과학기술기본계획(577전략)」. google
  • 9. (2007) 「기술기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종합대책」. google
  • 10. 권 업 (2000) 「지식기반사회의 새로운 산학협동 패러다임」. google
  • 11. 김 시윤 (2013) 혁신정책과 체제수단의 비교분석: 일본과 싱가포르의 바이오산업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Vol.17 P.93-117 google
  • 12. (2014) [「노컷뉴스」.]
  • 13. (2014) [「뉴스1」.]
  • 14. 송 위진 (2013)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 발전방안 연구」. google
  • 15. 양 미경 (2009) 학제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한 비판적 검토. [「열린교육연구」] Vol.17 P.51-72 google
  • 16. 양 현모 (2013) 「국민체감형 수요기술에 대한 R&D 로드맵 수립 연구」. google
  • 17. (2013) [「조선비즈」.]
  • 18. (2009) 「신성장동력 종합 추진계획」. google
  • 19. 최 영출 (2007) 정부경쟁력이 국가경쟁력에 미치는 인과관계분석. [「한국비교정부학보」] Vol.11 P.31-48 google
  • 20. (2010) 「학제간 융합 연구사업의 연구지원 아젠다 개발에 관한 연구」. google
  • 21. 한 승환, 경 정운 (2011) 학제간 융합연구의 촉진을 위한 실증분석. [「한국정책과학회보」] Vol.20 P.151-179 google
  • 22. 한 승환 (2009) 「학문간 융복합 연구지원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google
  • 23. Bruun H. (2005) Promoting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e Case of the Academy of Finland.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그림 1> ]  노무현 정부의 기술기반 삶의 질 분야 5대 과제
    노무현 정부의 기술기반 삶의 질 분야 5대 과제
  • [ <표 1> ]  「신성장동력 종합 추진계획」의 3대 분야 17개 신성장동력
    「신성장동력 종합 추진계획」의 3대 분야 17개 신성장동력
  • [ <그림 2> ]  연구모형
    연구모형
  • [ <표 2> ]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 [ <표 3> ]  국가사회적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학제간 융합연구의 연구주제 우선순위
    국가사회적 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학제간 융합연구의 연구주제 우선순위
  • [ <표 4> ]  지속가능한 발전 영역의 학제간 융합연구 우선순위
    지속가능한 발전 영역의 학제간 융합연구 우선순위
  • [ <표 5> ]  학제간 융합연구 지원의 적정 연구단위 규모
    학제간 융합연구 지원의 적정 연구단위 규모
  • [ <표 6> ]  학제간 융합연구의 적정 연구지원 기간
    학제간 융합연구의 적정 연구지원 기간
  • [ <표 7> ]  인문사회과학기반 학제간 융합연구의 연간 연구비 적정규모
    인문사회과학기반 학제간 융합연구의 연간 연구비 적정규모
  • [ <표 8> ]  이공학기반 학제간 융합연구의 연간 연구비 적정규모
    이공학기반 학제간 융합연구의 연간 연구비 적정규모
  • [ <표 9> ]  학제간 융합 연구과제에 적합한 평가위원
    학제간 융합 연구과제에 적합한 평가위원
  • [ <표 10> ]  학제간 융합 연구과제에 적합한 평가항목
    학제간 융합 연구과제에 적합한 평가항목
  • [ <표 11> ]  학제간 융합 연구과제에 적합한 평가절차
    학제간 융합 연구과제에 적합한 평가절차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