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중등 지리교과서 학습용어의 계열성과 영역별 특성* Sequence and Characteristics of Contents on Studying Term in Secondary Geography Textbook*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중등 지리교과서 학습용어의 계열성과 영역별 특성*

In this study, look at the sequence and characteristics of subject contents focus on studying term, selected the each one part of physical and human geography domain in Middle School(Social Studies), Korea Geography, World Geography textbook. In summary is as follows; First, comparison of the total number of the studying term that physical geography is more than human geography, and Korea Geography subject is the most and Social Studies is the least in it. Second, comparison of the average number of studying term that human geography domain has more difference than physical geography domain, and has more difference Social Studies than Korea geography especially in human geography domain. Third, compare the ratio of common studying term that physical geography domain is less difference than human geography, and the difference is more in Social Studies than Korea Geography. Four, compare the sequence of studying term that physical geography domain is concentrated learning in Social Studies and Korea Geography, but human geography domain is relatively evenly distributed. In other words, the physical geography domain appears clearly but the human geography domain is weak in content’s sequence. Fifth, analysis of the sequence with related subjects that seems to be overlap in the surface but difficult to compare the sequence each other because they have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 and approach about the same phenomena.

KEYWORD
학습용어 , 공통 학습용어 , 교육내용 계열성 , 교과서별 차이 , 영역별 차이 , 과목별 차이
  • I. 서 론

    교육과정 구성에서 계열성의 원리는 타일러(Tyler)의 교육과정 개발모형과 브루너(Bruner)의 나선형 교육과 정에서 제시되고 있다. 타일러의 계열성 원리는 학습경험들의 심화와 확장의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의미하고, 브루너의 나선형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의 인지발달 단계에 맞추어 상승적인 방향으로 심화, 확장되는 형태로 조직하는 것을 의미한다(진영은, 2002, 145).

    교육내용의 계열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초중고 교육내용 조직의 전체적인 총괄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각 학교급별로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독자적으로 개발 되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에, 계열성의 문제와 중복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초중고 교육내용의 계열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학교급별로 전체적인 교육내용의 조정 작업과 함께 실제 학습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학습용어의 계열성 확보를 위한 조정 작업이 필요하다. 특히 실제 학습에서 계열성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학습용어이기 때문에, 학습용어를 기준으로 한 학습내용의 계열성 조정이 필요하다.

    초중고의 학교급별 또는 과목 간 교육내용의 계열성 분석은 학습 내용의 중복성을 파악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교육과정 설계, 교과서 집필,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에게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학교급별 학습용어의 중복은 적절성의 정도에 따라서는 학습자들의 과목 학습과 과목 선택을 안정적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계열성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학교급별 학습의 전체적인 혼란을 가져올 수도 있다.

    그동안 지리교육에서 이루어진 지리 교육내용의 계 열성에 관한 연구로는 경제지리 교육내용의 초중등 계열성에 관한 연구(조성욱, 2000), 지형 및 기후 단원의 교육내용을 사실, 개념, 일반화된 지식으로 구분하여 계열 성을 분석한 연구(김진국, 2005) 등이 있다. 그리고 학습 용어에 대한 연구는, 지리용어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학생과 교사의 인식 차이를 비교한 연구(김현주, 1997), 지형 용어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고 지리 수업의 흥미 및 성취도와의 관련성을 지적한 연구(임준묵, 1999), 지리 학습 용어의 난이도를 분석한 연구(전수경, 1999), 지리용어의 출현 및 사용빈도, 공통사용 용어의 교과서별 차이를 비교 분석한 연구(박태화‧박주연, 2004), 학습 용어의 과목별‧교과서별‧단원별 차이를 밝힌 연구(조성욱, 2014)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용어1)를 지표로 사용하여 지리교육내용의 계열성과 영역별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중학교(사회)와 고등학교(한국지리, 세계지리)의 학교급별, 과목별 내용의 계열성과 영역별 특성을 살펴본다. 먼저 지리교육내용을 자연지리 영역과 인문지리 영역으로 구분하여, 자연지리 영역에서는 ‘해안지형’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중학교 사회, 한국지리, 세계지리 과목의 3개 과목에서 해당 내용 부분의 학습용어를 비교 분석하고, 이와 관련 내용이 있는 중학교 ‘과학’, ‘지구과학 I, II’ 과목에서 해안지형 관련 부분의 학습용어를 추출하여 관련과목과의 계열성을 살펴본다.

    그리고 인문지리 영역에서는 2차 산업인 ‘공업관련 경제활동’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지리과 과목 간의 계열 성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 내용이 있는 ‘경제’ 과목과 비교한다. 특히 과목별 학습용어의 수, 출판사에 따른 교과서 간의 공통 학습용어 비율, 계열적 이수에 따른 학습해야 할 학습용어 수의 변화 그리고 관련 과목과의 비교 등 4개 지표를 중심으로 인문지리 영역과 자연지리 영역의 내용 계열성과 영역별 특성을 비교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교과서는 2014년도(2011 교육과정 적용)에 새로 발행된 중학교 사회 1과 사회 2 교과서 (6종)의 지리영역과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5종) 및 세계지리 교과서(3종)이다. 그리고 관련 과목 분석에서 자연지리 영역은 중학교 과학 교과서, 지구과학 I, II 과목을 비교 대상으로 했으며, 인문지리 영역은 경제 과목과 비교하였다.

    1)학습용어는 교과서 기술에서 학습목표 달성을 위해 도입 되는 상위개념과 하위개념 및 용어 등의 개념적 구성물을 포함한다(조성욱, 2014, 46). 학습용어 선정은 다음 기준에 의함. ① 학습자의 이해를 위하여 부가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용어 ② 명사형태의 용어 ③ 중학교의 경우 중학교 1학년 학생 기준에서 새로운 용어 ④ 고교의 경우 고교 1학년 학생 기준에서 새로운 용어 ⑤ 본문 내용은 아니지만 내용 이해를 위해 도입되는 그림이나 도표, 지도, 사례의 이해에 필요한 용어 ⑥ 학습목표나 개념이해를 위해 도입되는 사례(지역명 등)는 포함하지 않음.

    II. 학습용어의 영역별 계열성

       1. 자연지리(‘해안지형’) 영역

    자연지리 영역 학습용어의 계열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자연지리 영역 중 ‘해안지형’ 관련 내용을 선정하여, 중학교(사회)와 고등학교(한국지리, 세계지리) 그리고 관련 과목인 중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I, II 과목과의 학습용어 계열성을 살펴본다(표 1).

    [표 1.] 학교급별 ‘해안지형’ 관련 내용

    label

    학교급별 ‘해안지형’ 관련 내용

    1) 중학교 사회

    중학교의 사회 지리 영역에서 ‘해안지형’이 소개되는 부분은 4단원(‘자연으로 떠나는 여행’)의 중단원인 ‘지형 경관’과 ‘우리나라 자연경관’ 부분이다. 쪽수로는 6개 교과서 평균 2.5쪽 분량이다.

    6종의 교과서에 등장하는 해안지형 관련 학습용어를 추출하여 보면, 교과서별 평균 12개의 학습용어가 등장 한다(표 2). 이 중 15개 학습용어는 6개 교과서 중 3개 이상에서 등장하는 공통 학습용어이다. 전체적으로 중학교 지리에서 해안지형의 설명에 사용되는 학습용어는 공통 학습용어 15개와 개별 학습용어 9개(중복 고려)로 총 24개이다(표 3). 즉, 중학교 과정에서 해안지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24개의 학습용어에 대한 이해가 있으면, 6종 중 어떤 교과서의 내용이든 이해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2.] 중학교 교과서 ‘해안지형’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label

    중학교 교과서 ‘해안지형’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표 3.] 중학교 ‘해안지형’ 설명에 도입되는 학습 용어(6종 교과서 종합)

    label

    중학교 ‘해안지형’ 설명에 도입되는 학습 용어(6종 교과서 종합)

    2) 한국지리

    한국지리 과목에서 ‘해안지형’이 소개되는 부분은 2 단원(‘지형 환경과 생태계’)의 중단원인 ‘해안 지형과 경관 특성’ 부분이다. 쪽수로는 5개 교과서 평균 8쪽 분량으로, 중학교의 2.5쪽보다 5.5쪽이 더 많다.

    5종의 교과서에 등장하는 학습용어를 추출하여 보면, 교과서별 평균 28개의 학습용어가 등장한다(표 4). 5개 교과서 중 3개 이상에서 등장하는 공통 학습용어는 28 개이다. 전체적으로 한국지리에서 해안지형의 설명에 사용되는 학습용어는 공통 학습용어가 28개, 교과서별로 개별 학습용어가 17개(중복 고려)로 총 45개이다. 중학교의 24개보다 21개가 더 많다.

    [표 4.] 한국지리 교과서 ‘해안지형’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label

    한국지리 교과서 ‘해안지형’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3) 세계지리

    세계지리 과목에서 ‘해안지형’이 소개되는 부분은 2 단원(‘세계의 다양한 자연환경’)의 중단원인 ‘세계의 하천 및 해안 지형’ 부분이다. 쪽수로는 3개 교과서 평균 3.7쪽 분량으로 한국지리(8쪽)보다 적고, 중학교(2.5쪽) 보다는 많다.

    3종의 교과서에 등장하는 학습용어를 추출하여 보면, 교과서별 평균 26개의 학습용어가 등장한다(표 5). 3개 교과서 중 2개 이상에서 등장하는 공통 학습용어는 25 개이다. 전체적으로 세계지리에서 해안지형의 설명에 사용되는 학습용어는 공통 학습용어가 25개, 교과서별로 개별 학습용어가 7개로 총 32개이다. 이것은 중학교 (24개) 보다는 많고, 한국지리(45개)보다는 적은 수이다.

    [표 5.] 세계지리 교과서 ‘해안지형’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label

    세계지리 교과서 ‘해안지형’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4) 관련 과목

    초등학교 과정에서 ‘해안지형’에 대해 언급이 이루어 지는 곳은, 사회 교과서(3-4학년)의 1단원(‘우리가 살아 가는 곳’)의 ‘(3) 우리 지역의 산, 강, 들, 바다의 모습을 살펴보고, 그와 같은 환경과 더불어 살아가는 사람들의 서로 다른 생활 모습을 이해할 수 있다’의 부분과 과학 교과서(3-4학년)의 6단원(‘지표의 변화’)의 ‘㈒ 바닷가 주변 지형의 특징을 바닷물의 작용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의 내용이다.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서는 2단원(‘지구계와 지권의 변화’)에서 ‘㈐ 지권은 다양한 암석과 광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권을 이루는 물질은 순환하고 있음을 이해한 다’가 설정되어 있고, 7단원(‘수권의 구성과 순환’)에서 해양에 대한 내용이 언급되고는 있으나, 지구의 물, 해수의 성질, 해수의 순환의 내용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해안지형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지는 않고 있다(표 6).

    [표 6.] 과학 과목의 ‘해안지형’ 관련 내용

    label

    과학 과목의 ‘해안지형’ 관련 내용

    고등학교의 ‘지구과학 I’에서는 1단원(‘소중한 지구’) 의 ‘3) 아름다운 한반도’의 내용에서 우리나라의 해안지형을 일부 소개하고 있다(표 7). 학습용어를 비교해 보면 해안지형 학습에서 지리과의 경우 해안지형의 형상과 생활과의 연결성 측면에 중점이 주어지는 반면, 과학과 에서는 해안지형의 형상과 형성원인에 중점이 주어진 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총 31개의 학습용어 중 지리 과와 중복되는 것은 19개, 과학과에서만 등장하는 학습 용어는 12개로 주로 지질관련 용어들이다.

    [표 7.] ‘지구과학 I’의 해안지형 관련 학습용어

    label

    ‘지구과학 I’의 해안지형 관련 학습용어

    ‘지구과학 II’에서는 3단원(‘대기와 해양의 운동과 상호작용’) 중 ‘3) 해파와 조석’ 내용에서 해안에서의 해파 에너지가 곶과 만에서 차이가 있다는 점을 설명할 뿐, 구체적인 해안지형에 대한 설명 내용은 없다.

       2. 인문지리(‘공업활동’) 영역

    인문지리 영역 학습용어의 계열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인문지리 영역 중 ‘공업관련 경제활동’ 내용을 선정하여 중학교 사회와 고등학교(한국지리, 세계지리), 그리고 관련과목인 경제 과목과의 학습용어 계열성을 살펴본다(표 8).

    [표 8.] 학교급별 ‘공업활동’ 관련 내용

    label

    학교급별 ‘공업활동’ 관련 내용

    1) 중학교 사회

    중학교의 사회 지리 영역에서 ‘공업 활동’이 소개되는 부분은 9단원(‘글로벌 경제와 지역 변화’)의 중단원인 ‘세계화와 다국적 기업’ 부분이다. 쪽수로는 6개 교과서 평균 4.7쪽 분량이다.

    6종의 교과서에 등장하는 공업활동 관련 학습용어를 추출하여 보면, 교과서별 평균 8.3개의 학습용어가 등장 한다(표 9). 이 중 6개 학습용어는 6개 교과서 중 3개 이상에서 등장하는 공통 학습용어이다. 전체적으로 중학교 지리에서 공업 활동의 설명에 사용되는 학습용어는 공통 학습용어 6개와 교과서별 개별 학습용어 14개(중복 고려)로 총 20개이다. 즉, 중학교 과정에서 공업 활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20개의 학습용어에 대해 이해가 이루어지면, 6종 중 어떤 교과서의 내용이든 이해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9.] 중학교 사회 교과서 ‘공업 활동’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label

    중학교 사회 교과서 ‘공업 활동’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2) 한국지리

    한국지리 과목에서 ‘공업 활동’이 소개되는 부분은 5 단원(‘생산과 소비 공간의 변화’)의 중단원인 ‘3) 공업의 발전과 변화’ 부분이다. 쪽수는 5개 교과서 평균 7.2쪽 분량으로, 중학교(4.7쪽)보다 많다.

    5종 교과서에 등장하는 학습용어를 추출하여 보면, 교과서별 평균 15.6개의 학습용어가 등장한다(표 10). 이중 15개 학습용어는 5개 교과서 중 3개 이상에서 등장하는 공통 학습용어이다. 전체적으로 한국지리에서 공업 활동의 설명에 사용되는 학습용어는 공통 학습용어가 15개, 교과서별 개별 학습용어가 10개(중복 고려)로 총 25개이다. 중학교의 20개보다 5개가 더 많다.

    [표 10.] 한국지리 교과서 ‘공업활동’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label

    한국지리 교과서 ‘공업활동’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3) 세계지리

    세계지리 과목에서 ‘공업 활동’이 소개되는 부분은 5 단원(‘경제활동의 세계화’)의 중단원인 ‘3) 세계의 공업 활동과 변화’와 ‘4) 기업 활동의 세계화’ 부분이다. 쪽수로는 3개 교과서의 평균 14.7쪽 분량으로 중학교(4.7쪽) 및 한국지리(7.2쪽)보다 많다.

    3종의 교과서에 등장하는 학습용어를 추출하여 보면, 교과서별 평균 13개의 학습용어가 등장한다(표 11). 이중 9개 학습용어는 3개 교과서 중 2개 이상에서 등장하는 공통 학습용어이다. 전체적으로 세계지리에서 공업 활동의 설명에 사용되는 학습용어는 공통 학습용어가 9개, 교과서별 개별 학습용어가 15개로 총 24개이다. 이것은 중학교(20개) 보다는 많고, 한국지리(25개) 보다는 적은 수이다.

    [표 11.] 세계지리 교과서 ‘공업 활동’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label

    세계지리 교과서 ‘공업 활동’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4) 관련 과목

    초등학교 과정에서 ‘공업활동’에 대해 언급이 이루어 지는 곳은, 사회교과서(3-4학년)의 1단원(‘1. 우리가 살아 가는 곳’)과 8단원(‘8. 경제생활과 바람직한 선택’), 그리고 5-6학년의 2단원(‘2. 우리 경제의 성장과 과제’) 부분 이다. 그러나 8단원(3-4학년)과 2단원(5-6학년)은 지리 영역이 아닌 경제 영역의 단원으로 설정되어 있다.

    고등학교 경제 과목에서 ‘공업활동’과 관련되는 단원은 2단원(‘경제주체의 역할과 의사결정’)의 중단원인 ‘기 업의 경제적 역할과 의사결정’ 부분과, 5단원(‘세계 시장과 한국 경제’)의 중단원인 ‘무역의 원리와 무역정책’과 ‘국제 경제 환경의 변화와 우리의 대응’의 2개 부분이다(표 12).

    [표 12.] 경제 과목의 ‘공업활동’ 관련 내용

    label

    경제 과목의 ‘공업활동’ 관련 내용

    공업관련 경제활동 학습에서 지리과의 경우 공업 관련 경제활동의 공간적 측면에 중점이 주어지는 반면, 경제과에서는 경제현상에 중점이 주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표 13). 총 28개의 학습용어 중 지리과와 중복 되는 것이 5개, 경제과목에만 등장하는 학습용어가 23 개로 주로 경제현상과 관련된 용어들이다.

    [표 13.] ‘경제’ 과목의 공업활동 관련 학습용어

    label

    ‘경제’ 과목의 공업활동 관련 학습용어

    III. 계열성의 영역별 특성 비교

       1. 학습용어 수의 비교

    자연지리 내용인 ‘해안지형’의 교육내용은 중학교에 서는 해안지형의 지형 특성 자체만을 기술하고 있는데 비하여, 한국지리와 세계지리는 해안지형의 지형 특성과 함께 해안침식의 문제점과 대응 방법까지를 포함하고 있어서, 학습내용의 범위에서 차이가 있다.

    인문지리 내용인 ‘공업활동’에 대한 내용에서는 세계적 지역 규모에서의 기업 활동에 초점을 두는 측면에서 중학교와 세계지리 과목 간의 공통성이 높고, 한국지리는 우리나라의 공업지역과 입지 측면에 중점을 두고 있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3개 과목을 비교해 보면(표 14), 먼저 ‘해안지형’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교과서의 평균 쪽수에서는 한국 지리(8.0쪽)가 가장 많으며, 중학교(2.5쪽)가 가장 적다. 그리고 총 학습용어 수에서도 한국지리(45개)가 가장 많고 중학교(24개)가 가장 적다.

    [표 14.] 영역별 비중 비교

    label

    영역별 비중 비교

    ‘공업활동’에 관한 내용에서는 세계지리(14.7쪽)가 가장 많으며, 중학교(4.7쪽)가 가장 적다. 그러나 총 학습용어 수에서는 한국지리(25개)가 가장 많고, 중학교(20개)가 가장 적다.

    이와 같이 교과서의 해당 내용 배정 분량에서 자연지리 영역은 한국지리(8.0쪽)가 가장 많고, 인문지리 영역은 세계지리 과목(14.7쪽)이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총 학습용어의 수에서는 자연지리 영역(해안지형)이 101개, 인문지리 영역(공업활동)이 69개로 자연지리 영역의 학습용어 수가 더 많다. 단순 비교에는 어려움이 있지만, 이것은 인문지리 영역보다 자연지리 영역 학습을 위해 더 많은 학습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또한 학습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분량면에서는 인문지리 영역이 많지만, 오히려 분량이 적은 자연지리 영역에서 더 많은 학습용어가 등장하고 있다.

    과목별로 살펴보면, 자연지리 및 인문지리 영역 모두 한국지리 과목의 학습용어 수가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세계지리, 중학교 사회 과목의 순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한국지리 과목에서 해당 내용의 학습이 가장 집중적으로 설정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 주며, 중학교 보다는 고등학교 과목에서 학습용어 수가 많다는 것은 학습용어 수의 측면에서는 학교급별 계열성이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이상과 같이 학습용어 수를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한국지리 과목이 영역과 관계없이 학습용어 수가 가장 많다. 그리고 영역별로는 인문지리 영역의 분량이 더 많지 만, 총 학습용어 수에서는 자연지리 영역이 더 많고, 학교급별 차이도 자연지리 영역이 더 크다.

       2. 교과서별 비교

    여기에서는 출판사별 교과서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영역별 평균 학습용어 수와 공통 학습용어 수를 비교해 본다. 먼저 교과서별 평균 학습용어 수를 비교해 보면(표 15), 영역에 관계없이 한국지리 과목의 평균 학습용어 수가 가장 많다. 총 학습용어 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해 보면, 자연지리 영역의 경우 세계지리 과목이 81.3%로 세계지리 3종의 교과서 간 학습용어 수에서 차이가 적게 나타난다. 이에 비하여 중학교 사회 과목은 50.0%로 낮게 나타나서 6종의 교과서 간 차이가 심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어느 1개의 교과서를 선택했을 때 나머지 5종의 교과서에 나오는 학습용어의 50% 밖에 학습용어를 접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15.] 교과서별 평균 학습용어 수 비교

    label

    교과서별 평균 학습용어 수 비교

    인문지리 영역의 경우 한국지리 과목은 62.4%로 높게 나타나고, 중학교 사회 과목은 41.5%로 낮게 나타난 다. 또한 자연지리 영역보다 전반적으로 비율이 낮게 나타나서 자연지리 영역보다 인문지리 영역의 교과서별 차이가 더 많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해안지형’의 설명에서 중학교 A교과서의 경우 학습용어가 18개인데 비하여, B와 F 교과서의 경우에는 9개로 교과서간 차이가 많다. 그리고 ‘공업활동’에서는 중학교 B 교과 서의 경우 학습용어가 13개인데 비하여, F 교과서는 5개로 차이가 더 심하게 나타난다.

    이와 같이 총 학습용어 수와 교과서별 평균 학습용어 수를 비교해 본 결과, 자연지리나 인문지리 영역 모두 중학교 사회 과목의 비율이 가장 적고, 자연지리 영역보다 인문지리 영역의 비율이 더 적게 나타난다. 특히 중학교 사회 과목의 경우 모든 영역에서 교과서 간 학습용어 수의 차이가 많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교과서 선정에 따른 차이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등학교의 경우 한국지리 과목은 두 영역 모두 교과서 간의 차이는 적은 편인데 비하여, 세계지리 과목은 자연지리 영역에서는 교과서 간의 차이가 별로 없지만, 인문지리 영역에서 교과서 간 차이가 많이 나타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학습용어 중 교과서 간에 공통으로 등장하는 공통 학습용어의 비율은 과목 내에서 출판사별 교과서 간의 공통성과 차이성의 정도를 보여주는데, 먼저 자연지리 영역인 ‘해안지형’에 대한 기술에서 과목별 총학습용어 중 공통학습 용어의 비율은 세계지리가 78.1% 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이 중학교 62.5%, 한국지리 62.2% 의 순으로 나타난다(표 16). 공통 학습용어의 비율이 높다는 것은 각 교과서에서 도입된 학습용어의 공통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공통 학습용어의 비율이 높은 세계지리 과목(3종)은 교과서 간의 차이가 적은데 비하여, 한국지리나 중학교는 상대적으로 교과서별 차이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16.] 교과서별 공통 학습용어 수 비교

    label

    교과서별 공통 학습용어 수 비교

    이와 같이 과목별 총 학습용어 중 공통학습 용어의 비율을 비교해 본 결과, 자연지리 영역이 인문지리 영역에 비해서 공통 학습용어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서 교과서 간의 차이가 적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에 비하여 인문지리 영역은 한국지리를 제외하고는 30%대로 낮게 나타나서 교과서별 차이가 많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자연 지리에 비해서 인문지리 영역의 교과서별 차이가 많이 나타나며, 과목별로는 한국지리 과목이 전반적으로 교과서별 차이가 적고, 중학교 사회와 세계지리 과목의 교과서 간 차이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이 두 가지 지표를 비교하여 교과서별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과목별로는 중학교 사회 과목의 교과서별 차이가 가장 많고, 한국지리 과목이 가장 적다. 영역별로는 인문지리 영역이 자연지리 영역에 비하여 차이가 많이 나타나는데, 특히 중학교 사회 과목과 세계지리 과목에서 심하게 나타난다.

       3. 과목별 계열성 비교

    자연지리 영역의 경우, 3개 과목 각각의 총 학습용어 수의 합인 101개 중에서 3개 과목의 공통 학습용어는 총 20개이다(표 17). 즉, 중학교 과정의 총 학습용어 수는 24개인데, 이 중 한국지리 및 세계지리 과목과의 공통 학습용어가 20개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중학교 과정에서 공통 학습용어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진다면, 한국 지리 과목에서는 25개(45개-20개=25), 세계지리 과목에 서는 12개(32개-20개=12)의 학습용어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다가 한국지리와 세계지리 과목 간의 공통 학습용어 9개가 중복되기 때문에, 한국지리를 이수하고 난 이후 세계지리를 이수할 경우 세계지리 과목에서는 3개(12개-9개=3)의 학습 용어만 더 이해하면 된다.

    [표 17.] 과목별 ‘해안지형’ 학습용어의 계열성

    label

    과목별 ‘해안지형’ 학습용어의 계열성

    결국 ‘해안지형’에 대한 학습은 중학교 과정에서 24개의 학습용어, 한국지리에서 25개, 그리고 세계지리에서 3개의 학습용어만 추가로 더 이해하면, 중등과정에 설정된 ‘해안지형’ 학습에 필요한 모든 학습용어를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인문지리 영역의 경우에는, 3개 과목 각각의 총 학습 용어 수의 합인 69개 중에서 공통 학습용어는 2개이다 (표 18). 그리고 중학교 사회와 한국지리 2과목 간에 중복되는 학습용어는 2개이고, 한국지리와 세계지리 2과목 간에 공통 학습용어는 6개이다.

    [표 18.] 과목별 ‘공업활동’ 학습용어의 계열성

    label

    과목별 ‘공업활동’ 학습용어의 계열성

    결국 ‘공업활동’에 대한 학습은 중학교 과정에서 20개의 학습용어, 한국지리에서 21개, 그리고 세계지리에서 16개의 학습용어를 이해하면, 중등과정에 설정된 ‘공업 활동’ 학습에 필요한 모든 학습용어를 이해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이수 방법인 중학교 사회 ⇒ 한국지리 ⇒ 세계지리 과목을 순서대로 이수할 경우, 자연지리 영역의 경우 중학교에서 24개의 학습용어, 한국지리에서 25개, 세계지리에서 3개의 학습용어만 이해하면 ‘해안지형’에 대한 학습이 완성된다. 그리고 인문지리 영역의 경우 중학교에서 20개의 학습용어, 한국지리에서 21개, 세계지리에서 16개의 학습용어를 이해하면 ‘공업활동’에 대한 학습이 완성된다(표 19).

    [표 19.] 과목 이수 순서에 따른 학습해야 할 학습용어 수

    label

    과목 이수 순서에 따른 학습해야 할 학습용어 수

    결국 3개 과목에서 ‘해안지형’을 이해하기 위한 총 학습용어 101개 중에서 공통되는 학습용어 20개와 한국지리와 세계지리 과목의 중복 학습용어 9개를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3개 과목을 통해서 ‘해안지형’ 학습의 이해를 위해 필요한 학습용어 수는 52개이다. 이 중 중학교 과정에서 24개(46.2%), 한국지리는 25개(48.1%), 세계지리는 3개(5.8%)에 해당한다.

    그리고 ‘공업활동’을 이해하기 위한 총 학습용어 69개 중에서 공통되는 학습용어 2개와 중학교 사회와 한국지리의 중복 학습용어 2개, 한국지리와 세계지리 과목의 중복 학습용어 6개를 고려하면, 실질적으로 3개 과목을 통해서 ‘공업활동’ 학습의 이해를 위해 필요한 학습용어 수는 57개이다. 이 중 중학교 과정에서 20개(35.1%), 한국지리는 21개(36.8%), 세계지리는 16개(28.1%)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3개 과목의 학교급별 공통 학습용어 수에서 자연지리 영역은 20개인데 비하여, 인문지리 영역은 2개로 자연지리 영역의 학교급별 공통 학습용어가 월등 하게 높아, 자연지리 내용의 초중고 학교급별 교육내용의 중첩성이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자연지리 영역은 세계지리 과목에서 필요한 학습용어 수가 급격하게 줄어드는데 비하여, 인문지리 영역은 고르게 배분되고 있다. 즉, 자연지리 영역은 중학 교와 한국지리 과목에서 기본적인 학습용어의 학습이 대부분 이루어지는데 비하여, 인문지리 영역은 학교급별과 과목에 따라 다양한 내용 서술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총 학습용어 수에서는 자연지리 영역이 많지만, 3개 과목을 모두 이수할 경우 중복되는 학습용 어를 고려하면 오히려 인문지리 영역의 학습용어 수가 많아진다.

       4. 관련 과목과의 계열성

    ‘해안지형’에 대한 내용은 관련과목(중학교 과학, 지구과학 I,II)에서 구체적으로 설정되지는 않고 부분적으로만 다루고 있어서, 해안지형에 관한 교육내용은 지리 과목에서 체계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초중고 교육과정 중 지리과 이외에 해안지형을 가장 자세하게 언급한 부분은 ‘지구과학 I’ 과목인데, 해안 지형을 집중적으로 다루기보다는 한반도의 지질과 지형을 학습하는 과정 중 일부로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지리과에서는 해안지형의 형상과 주민의 삶과의 관계를 기술하고 있는데 비하여, 과학과에서는 형성원인과 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등 접근방법에서 차이가 있다. 일부 학습용어의 중복은 있으나 계열성을 비교할 수는 없었다.

    ‘공업 활동’에 관한 내용 역시 관련 과목(경제)에서도 설정되어 있지만, 공간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이라는 다른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별도의 학습 내용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지리과에서는 경제활동의 공간적 측면에 초점을 두는데 비하여, 경제과목에서는 기업 활동과 무역 등의 경제적 측면에 초점을 두는 등 접근방법의 차이가 있어서, 두 과목 간의 학습용어 계열성을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이 지리 영역의 내용이 관련과목과 중복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 내용을 살펴보면 접근방법과 관점의 차이가 있어서 이들 과목과의 교육내용 계열성을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것은 이러한 교육내용을 지리과에서 계속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단원 제목의 유사성과 같이 표면적인 기준에 의하여 교육내용의 중첩을 논하는 데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IV. 결 론

    본 연구에서는 2011년 교육과정 변화에 의해서 2014 년에 새롭게 출간된 중학교 사회(6종), 한국지리(5종) 그리고 세계지리(3종) 교과서에서 기술하고 있는 지리교육내용 중에서 자연지리 영역(해안지형)과 인문지리 영역(공업활동)을 각각 선정하여, 학습용어를 지표로 교육 내용의 계열성과 영역별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관련 과목인 과학 과목 및 경제 과목과의 내용 계열성을 살펴봤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총 학습용어 수의 비교 결과, 영역별로는 자연 지리 영역의 학습용어가 더 많아서 인문지리 영역의 학습보다 학습시간이 더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과목별로는 한국지리의 학습용어 수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세계지리 과목, 그리고 중학교 사회 과목의 학습용어 수가 가장 적어 학교급별 계열성이 유지되고 있다.

    둘째, 교과서별 평균 학습용어 수의 비교 결과, 인문 지리 영역의 교과서별 차이가 많고, 상대적으로 자연지리 영역의 차이가 적다. 과목별로는 한국지리의 경우 영역별 차이가 비교적 적은데 비하여, 중학교 사회는 자연 지리보다 특히 인문지리 영역에서 교과서별 차이가 많으며, 세계지리의 경우 이러한 경향이 더 강하게 나타난 다. 결국 교과서 선택의 차이가 가장 많은 교과서는 중학교 사회과목이고, 교과서 선택에 의한 차이가 가장 적은 것은 한국지리 과목이다.

    셋째, 교과서 간 공통학습 용어의 비율을 비교해 본 결과, 영역별로는 자연지리 영역이 인문지리 영역에 비해서 공통 학습용어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서 교과서 간 차이가 적은데 비하여, 인문지리 영역은 교과서 간 서술 방법의 차이가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과목별로는 한국 지리 과목은 교과서 간 차이가 비교적 적은데 비하여, 중학교 사회과목의 교과서 간 차이는 상대적으로 많다.

    넷째, 학습용어의 과목별 계열성을 비교해 본 결과, 한국지리의 학습용어 수가 가장 많고 이후에 이수되는 세계지리 과목에서는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학교급별 공통 학습용어는 자연지리 영역이 많은데 비하여 인문지리 영역은 적게 나타나 영역별 차이가 크다. 자연지리 영역은 중학교와 한국지리 과목에서 기본적인 학습 용어의 학습이 대부분 이루어지는데 비하여, 인문지리 영역은 학교급별로 학습해야 할 학습용어가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고 있다. 즉, 자연지리 영역은 중학교 사회 ⇒ 한국지리 과목으로 계열성이 분명한데 비하여, 인문 지리 영역은 계열성이 약하다.

    다섯째, 관련 과목과의 계열성에서는 자연지리 영역인 ‘해안지형’의 경우 지리과목에서는 해안지형의 형상과 이와 관련된 주민의 생활에 초점이 주어지는데 비해서, 과학과에서는 형성원인과 과정에 중점이 주어지고 있다. 그리고 인문지리 영역인 ‘공업 활동’의 경우 지리 과목에서는 공간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데 비하여, 경제 과목은 경제적 측면으로 접근하는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표면적으로는 중복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관점과 접근방법에 차이가 있어서 계열성을 비교하기가 어렵고, 이것은 이러한 학습내용이 지리과목에 계속 설정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용어를 지표로 3개의 중고교 지리과목의 교육내용의 계열성과 영역별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전체 내용을 대상으로 하지 못하고, 자연 지리와 인문지리의 일부 내용을 분석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참고문헌
  • 1. 김 진국 2005 “초·중등학교 지형 및 기후 단원의 계열성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3 P.419-435 google
  • 2. 김 현주 1997 “학생과 교사의 지리용어인식에 관한 연구 -고등학교 「한국지리」 농업단원을 중심으로-” [지리교육논집] Vol.37 P.13-32 google
  • 3. 박 태화, 박 주연 2004 “초·중·고등학교 사회교과서 지리용어의 연계성” [국토지리학회지] Vol.38 P.365-375 google
  • 4. 임 준묵 1999 “사회(지리) 교과서 지형 용어의 이해도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7 P.165-211 google
  • 5. 전 수경 1999 고등학교 「한국지리」의 내용구성 특성과 용어난이도에 관한 연구 google
  • 6. 조 성욱 2000 “초·중등 지리교육내용의 계열성에 관한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Vol.4 P.69-88 google
  • 7. 조 성욱 2014 “중등 지리교과서의 학습용어 분석 -과목별, 교과서별, 단원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2 P.43-59 google
  • 8. 진 영은 2002 교육과정 -이론과 실제- google
  • 9. 중학교 사회 교과서 6종(미래엔, 두산동아, 비상교육, 좋은책 신사고, 지학사, 천재교과서). google
  • 10. 한국지리 교과서 5종(금성출판사, 미래엔, 비상교육, 지학사, 천재교육). google
  • 11. 세계지리 교과서 3종(교학사, 비상교육, 천재교육). google
  • 12. 중학교 과학 1(교학사). google
  • 13. 경제(비상교육). google
  • 14. 지구과학 I, II(교학사).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학교급별 ‘해안지형’ 관련 내용
    학교급별 ‘해안지형’ 관련 내용
  • [ 표 2. ]  중학교 교과서 ‘해안지형’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중학교 교과서 ‘해안지형’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 [ 표 3. ]  중학교 ‘해안지형’ 설명에 도입되는 학습 용어(6종 교과서 종합)
    중학교 ‘해안지형’ 설명에 도입되는 학습 용어(6종 교과서 종합)
  • [ 표 4. ]  한국지리 교과서 ‘해안지형’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한국지리 교과서 ‘해안지형’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 [ 표 5. ]  세계지리 교과서 ‘해안지형’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세계지리 교과서 ‘해안지형’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 [ 표 6. ]  과학 과목의 ‘해안지형’ 관련 내용
    과학 과목의 ‘해안지형’ 관련 내용
  • [ 표 7. ]  ‘지구과학 I’의 해안지형 관련 학습용어
    ‘지구과학 I’의 해안지형 관련 학습용어
  • [ 표 8. ]  학교급별 ‘공업활동’ 관련 내용
    학교급별 ‘공업활동’ 관련 내용
  • [ 표 9. ]  중학교 사회 교과서 ‘공업 활동’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중학교 사회 교과서 ‘공업 활동’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 [ 표 10. ]  한국지리 교과서 ‘공업활동’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한국지리 교과서 ‘공업활동’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 [ 표 11. ]  세계지리 교과서 ‘공업 활동’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세계지리 교과서 ‘공업 활동’에 도입되는 학습용어
  • [ 표 12. ]  경제 과목의 ‘공업활동’ 관련 내용
    경제 과목의 ‘공업활동’ 관련 내용
  • [ 표 13. ]  ‘경제’ 과목의 공업활동 관련 학습용어
    ‘경제’ 과목의 공업활동 관련 학습용어
  • [ 표 14. ]  영역별 비중 비교
    영역별 비중 비교
  • [ 표 15. ]  교과서별 평균 학습용어 수 비교
    교과서별 평균 학습용어 수 비교
  • [ 표 16. ]  교과서별 공통 학습용어 수 비교
    교과서별 공통 학습용어 수 비교
  • [ 표 17. ]  과목별 ‘해안지형’ 학습용어의 계열성
    과목별 ‘해안지형’ 학습용어의 계열성
  • [ 표 18. ]  과목별 ‘공업활동’ 학습용어의 계열성
    과목별 ‘공업활동’ 학습용어의 계열성
  • [ 표 19. ]  과목 이수 순서에 따른 학습해야 할 학습용어 수
    과목 이수 순서에 따른 학습해야 할 학습용어 수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