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young children and grandparentsintergenerational education program*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Intergenerational education programs have long been encouraged by UNESCO in various educational areas, including environmental concern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 basic rationale for the efficacy of such programs centers on the power inherent in the nature of the social communication process that ensues when different generations collaborate on a common project. In keeping with the international and national project of promoting intergenerational social understanding and respect through shared educational activities, this study, centering on relationship-oriented activities for grandparents and young children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tergeneration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nd grandparents. After a thorough review of international and national rationales and programs including research and evaluations, we developed an intergeneration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nd grandparents. The program consists of educational goals, objectives, teaching content,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Pre-tests and post-tests and independent sample T tests were used to ascertain the effects of the program which featured such activities as seniors teaching basic habits, senior and children playing and guiding traditional games, solving puzzles and, working together with them on art projects etc. The program lasted for 10 weeks with a total of 26 developmental program activities, two to three times a week. Findings reveal that the young children improved in their perceptions of seniors,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related social skills. In conclusion, the intergenerational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nd grandparents developed in this study prov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rough expanding and deepening, those cognitive/affective abilities upon which a healthy society thrives. We suggest that such an intergenerational program could be applied under personality education which stresses developing the skills required for collaborating with others.

KEYWORD
유아-조부모 , 관계지향적 활동 , 세대간 통합교육 프로그램
  • Ⅰ. 서 론

    다양한 가치, 지식, 문화가 공존하는 현대사회는 다변화되는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점차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서로 소통하고 상호 협력하는 관계의 질에 주목하게 되었다. 인간의 삶은 관계의 망을 형성하고 있는 대상들과의 소통이나 교류 속에서 이루어진다. 관계지향적인 교육활동은 이러한 관계를 발견하고 찾아가는 과정(이병래, 나성식, 박용석, 이대균, 2014)으로 유아가 자신의 잠재적 유능성을 마음껏 발휘하면서 살아가는 창조적인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나아가 서로 협동하고 공동체 의식을 형성하는 기초를 마련한다.

    유아교육현장에서는 또래관계 뿐만 아니라 교사-유아 관계의 질(권연희, 2012; 박화윤, 마지순, 안라리, 2011; 이연선, 2006; 최선희, 황혜정, 2011)에 주목하고 있으며 부모-자녀 관계(김선희, 김판희, 우채영, 2012; 김영희, 박지현, 이은주, 2008; 문연심, 2004; 민성혜, 김경은, 김리진, 2011; 신건호, 문연심, 2006; 최미숙, 문신혜, 김치곤, 이경희, 2008)에서 나아가 조부모-유아 관계(박희숙, 2012; 배지희, 노상경, 권경숙, 2008; 서현, 2009; 정정신, 이현경, 박희숙, 2005; Kornhaber & Woodward, 1981), 세대통합을 위한 노력(McClusky, 1990; Na, 2009; Short & Diamond, 1996) 등에 초점을 두어 관계지향적인 삶에 대한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특히, 조부모-유아 관계지향적 교육활동은 노인 연령이 급증하는 현대사회에서 노인들의 긍정적 에너지를 유아교육에 끌어들여 수직적 의사소통을 통해 유아가 편견없이 사람들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전통문화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며 인간관계를 학습할 수 있는 기재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유아-조부모 간의 관계를 다룬 연구들을 살펴보면, 손자녀의 인성발달과 조부모의 역할(김득주, 1996; 이광규, 1973; 권오정, 2005) 등을 조망한 연구들이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들에서 조부모가 손자녀의 발달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보고되었다. 김득주(1996)는 손자녀가 조부모와의 유대감을 통해 세상과 인생을 현실적으로 보는 눈을 갖게 되고, 일찍부터 세대 간의 갈등을 해소하는 방법을 알게 되며, 관용적인 태도와 인간관계 기술을 배워 올바른 인성을 기르게 된다고 하였다. 또한 조부모와 손자녀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강영자, 2001; 김은정, 2012; 임기순, 2005), 손자녀와 노인의 상호작용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김명선, 2000), 조부모가 제공하는 도움과 이에 따른 만족도(이영세, 한혜자, 류창희, 2001), 조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권미영, 2005), 조부모와 부모의 가정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와 세대 간 인식 일치정도가 유아의 정서 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최기영, 1991), 조부모와 손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갈등에 관한 연구(강영자, 2001), 조손가정 유아에 대한 역할수행도 연구(정정신, 이현경, 박희숙, 2005) 등이 보고된바 있다. 이와 같은 연구동향을 고려할 때, 유아-조부모 간의 관계를 다룬 연구들은 대체로 노인인식, 정신건강,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 등에 초점을 두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세대교류와 지원에 보다 관심을 가지고 적절한 활동이나 프로그램을 통한 현장적용을 다룬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유아-조부모 세대간 프로그램은 수직적 관계의 확장을 강조함으로써 보다 폭넓은 인간관계를 형성할 뿐 아니라 전통과 문화를 통한 삶의 지혜와 생활방식을 체감함으로써 다양한 의사소통양식을 통한 창의적 인간육성에 기여할 수 있다.

    세대통합이란 세대공동체 활동을 통하여 오랜 경험과 지식을 가진 노인세대가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유아세대와 지속적으로 만남으로 사회의 유지존속에 기여한다(허우정, 하은옥, 김은주, 조민영, 임부연, 황해익, 2006). 이러한 통합을 위한 노력이나 교육이 세대통합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세대간 통합교육 프로그램은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유아와 할머니·할아버지 세대가 함께 어우러져 교류 협력하고 서로 상호작용하며 활동하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세대통합 프로그램은 두 세대간의 협력, 상호작용 및 교환을 증가시키는 활동 또는 프로그램으로 1980년 이래로 외국 노년사회학 분야뿐만 아니라 아동관련 분야에서 점차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주제이다(박경란, 전예화, 김희년, 오찬옥, 2004). 각 세대들은 비록 그들이 살아가는 시간과 경험이 다르다 해도 전체 생애의 일부분으로서 서로 관련되어 있으며 공동체 사회에서 상호협력하여 인성교육이나 전통문화 계승에 대한 부분에 긍정적인 역할 한다는 측면에서 세대통합을 위한 이러한 노력은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세계 여러나라에서는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조부모의 참여활동을 높이고 유아-조부모간 유대감을 통해 유아가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방법을 익히며 올바른 인성을 기를 수 있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의 경우, 세대 간 교류는 지역, 주, 국가 단위에 다양한 조직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민간기구 등을 포함하여 3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세대 관련 지역 센터에서는 성인과 유아를 모두 돌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각각의 연령대에 대한 복지뿐만 아니라 두 연령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프로그램도 진행되고 있다. 프랑스는 노인들이 학업성취도가 낮은 초등학생들의 학습을 돕는 프로그램 등을 통해 학습보조자의 역할을 하고 있다. 영국은 세대 간 통합 센터사업을 운영하였는데, 노년층과 유‧청소년, 청년층의 여가를 위한 문화시설, 운동시설, 직업 훈련 및 컴퓨터 시설을 한 곳에 설치함으로써 세대와 지역 사회 간 분리‧분열 현상을 극복하고 지역사회 정신을 되살리고자 노력하였다. 일본의 경우, 보육소와 양로원의 연계 프로그램 등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유아들은 할머니, 할아버지로부터 전통예절과 옛 놀이, 노래 등을 배울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노인들은 채소밭을 가꿔 유아교육기관에 채소를 공급하고, 유아들은 노인들의 채소 가꾸기를 관찰하고 함께 참여함으로써 자연 관찰, 무공해 채소 먹고 튼튼해지기, 웃어른 공경하기 등의 다양한 학습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김영옥, 2007).

    이처럼 세대통합프로그램은 세계 각국에서 유아원과 노인시설 등의 여러 기관을 연계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며(Anderson-Hanly, 1999; Kaplan & Larkin, 2004; O’Hanlon & Brookover, 2002), 유아의 인성교육을 강조하는 측면에서도 세대 간 교류를 지원한 바 있다(김영옥, 2007). 세계 여러 나라는 세대 간 통합의 배경이나 형태가 유사하면서도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유아-조부모 세대간 교류를 통해 노인과 유아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도록 노력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우리나라의 세대간 통합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가족관계에서의 노인, 노인의 역할 모델, 노인의 이미지 및 태도, 건강과 정서를 다룬 연구, 세대간 통합 프로그램 관련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노인은 부모로서, 또는 조부모로서 다른 가족구성원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가족관계 속에서 노인의 진정한 삶의 의미 등을 면밀히 조망하는 일은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나타날 수 있는 사회문제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도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노인은 사회에서 활용 가능한 인력으로서 다양한 역할 모델이 될 수 있다. 먼저 가정에서의 노인은 학동기와 청소년기 손자녀의 역할 모델이 될 수 있다(나항진, 2013; 박계범, 1985; 신은정, 김훈화, 이화일, 이칭찬, 2012; 이미숙, 조병은, 강란혜, 2004; 이영숙, 2004; 이영숙, 박화윤, 2000). 특히, 이영숙과 박화윤(2000)의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유아를 대상으로 이들이 조부모에게 기대하는 활동과 역할을 알아보고 이러한 기대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유아는 조부모에게 다양한 활동과 양육자, 교육자, 보호자, 위안자 역할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가 기대하는 조부모역할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조부의 건강과 조부의 동거여부, 접촉빈도 등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볼 때, 가정과 사회에서 활용 가능한 노인의 역할을 심도있게 모색해봄으로써 사회 인적 자원을 적재적소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다양한 접근방법을 통한 노인교육은 노인 인력의 전문성을 고취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여 진다.

    노인의 이미지 및 태도에 관련된 논문으로는 노인이 지각하는 노인에 대한 태도(서상원, 2005)에 관한 연구, 아동의 노인에 대한 인식 연구(김문정, 2013; 이미정, 1996; 장영애, 2002; 정계숙, 이미정, 1995; Chitwood & Binger, 1980),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인식(김윤정, 정선아, 2001; 박의순, 조병은, 1990; 배현미, 2003; 이은미, 1990; 장윤옥, 2002) 등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연구들은 어린시기부터 노인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갖게 함으로써 긍정적인 이미지와 친밀한 유대관계를 확립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함을 보여 준다.

    최근 유아와 조부모의 상호작용 촉진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유아교육기관 연계 및 관련 연구들이 있다. 노인·아동 교육프로그램 개발, 적용 및 효과관련 연구들(김영숙, 2005; 문미옥, 1997; 신현종, 2004; 심재선, 2006; 임재택, 2001; 임재택, 김경호, 김윤옥, 1996; 정재분, 2003; 허우정 외, 2006), 노인·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 운영 실태 및 요구조사(김은정, 2012; 한미라, 서영희, 허우정·임재택, 2007) 등이 이루어져 우리나라의 세대간 통합프로그램 연구에 시사를 주고 있다.

    한편, 노인과 유아의 세대간 학습활동이 유아의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도 점점 증가하는 경향이다(허은주, 2004). 즉, 유아의 인성발달(권오정, 2005), 사회·정서·행동(김혜선, 2004; 김혜숙, 김은심, 김정희, 2013; 민하영, 유안진, 1996; 신은정, 2004; 임효진, 2007; 정남이, 2006)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정남이(2006)는 조모의 양육참여가 유아의 사회 정서적 발달에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연구하였는데 특히 학습지도, 여가지도, 생활지도참여에서 효과가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 학습지도참여는 다른 유아와의 상호작용, 성취동기, 여가지도참여는 성취동기, 교사에의 의존성, 생활지도참여는 내적통제 등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하였다. 허은주(2004)는 세대간 학습활동이 노인에 대한 유아의 인식, 사회정서발달, 기본생활습관, 언어표현력, 노인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밝히고 있다. 연구에서 동화, 음률, 게임, 요리, 견학 등으로 이루어진 세대간 학습활동을 경험한 유아는 노인에 대한 이미지, 신체적 특성, 지적 특성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했고, 사회정서발달의 하위요인인 내적통제, 다른 유아와의 상호작용, 어린이집에서의 안정감을 더 많이 증진시켰다. 또한 예절, 질서, 절제의 기본생활습관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언어표현력에서 단어수가 많이 증진되었다. 뿐만 아니라 세대간 학습활동을 경험한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우울감이 감소하였다. 어린이집 세대간 학습활동에 대해 교사는 어린이집의 인적 자원이 확장될 뿐만 아니라 노인으로부터 잊혀져 가는 전통놀이나 예절을 배울 수 있어 만족해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은 유아-조부모 세대간 연계활동이 유아의 전인적 발달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노인 자신들에게도 자아개념 향상, 우울증 감소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핵가족의 가족구조로 가족 형태가 변화함에 따라 세대 간의 교류가 단절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유아들에게 노인에 대한 인식은 늙고 병들었으며 다가가기 어려운 사람이라는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하여 유아와 노인 간의 소통이 어려운 실정이다(한현지, 2005). 노인들이 유아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유아들이 가지고 있는 부정적인 인식 때문에 다양한 문제점이 제기될 수 있으며 원활한 세대 간의 교류를 위한 노력이나 일련의 활동 또는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되어진다. 선행연구(박경란 외, 2004; 이순형, 김미정, 전가일, 김은영, 정지혜, 최고은, 송민정, 2011; 허우정 외, 2006) 결과, 현장에서 유아-조부모를 연계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과 효과들이 부분적으로 검증되었으며 각 활동도 기본생활습관에서부터 전통놀이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나 이를 통합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활동 프로그램으로 전개하는 노력은 여전히 미비하다. 따라서 유아를 둘러싼 다양한 연구결과들을 분석, 종합하며 이론적 근거와 분석을 기초로 연간 운영될 수 있는 우리나라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모델을 구안하는 일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영‧유아교육기관에서 부분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조부모 참여활동 등을 기초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조부모와 친밀감을 형성하고 상호협력하는 공동체 의식을 증진시킴으로써 영‧유아교육기관 및 지역사회기관에서 유아-조부모 세대간 교류와 지원을 강화할 수 있는 대안적 프로그램에 대한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의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Ⅱ. 연구방법

    본 연구는 유아-조부모간 세대간 통합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다.

       1. 프로그램 개발

    1) 이론적 근거 수립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로 우선 국내‧외 세대간 통합프로그램, 유아-조부모 상호작용, 세대간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들을 탐색하고 분석하였으며 기본방향과 목적 및 목표를 수립하였다.

    (1) 기본방향 설정

    세대간 통합프로그램, 유아-조부모 상호작용, 세대간 국내‧외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강영자, 2001; 권오정, 2005; 권중동, 2005; 김귀자, 2004; 김명선, 2010; 김문정, 2013; 김연옥, 2011; 김영옥, 2007; 김영옥, 이규림, 오순화, 김희선, 양시내, 2014; 박연실, 2010; 신은정, 김춘화, 이화일, 이칭찬, 2012; 심재선, 2006; 이성인, 2014; 이순형 외, 2011; 임재택, 2000; 정재분, 2003; 하정연, 조채영, 2008; 한미라 외, 2007)들을 살펴본 결과 유아기 인성교육의 중요성,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세대간 통합의 중요성, 유아-조부모 관계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의 기본방향은 유아기 인성교육과 조부모에 대한 긍정적 태도, 세대간 교류 및 공동체의식 함양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2) 목적 및 목표 설정

    프로그램의 목적은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을 통하여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세대간 이해를 확장함으로써 서로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발전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가 긍정적인 조부모의 모습을 인식한다.

    둘째, 유아가 조부모의 존재에 대해 신뢰감을 갖도록 한다.

    셋째, 유아와 조부모가 서로 친밀감을 형성하며 공동체의식을 증진한다.

    넷째, 유아의 조부모 이해를 통한 정서발달 및 학습증진을 도모한다.

    다섯째, 조부모는 손자녀에 대한 이해와 적응방법을 습득한다.

    2) 교육 내용 선정

    국외에서는 세대간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다양한 유형으로 활성화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각 기관별로 제한적인 프로그램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조부모간 세대간 통합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을 선정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의 주요교육활동을 분석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프로그램 내용요소를 선정하였다.

    (1) 국내외 세대간 통합교육 프로그램 분석 및 시사점

    본 프로그램의 하위교육내용 선정을 위해 국내외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을 표 1과 같이 조사 분석하여 유아-조부모에게 적절한 교육내용과 활동에 관련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표 1>] 국내?외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의 주요교육활동

    label

    국내?외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의 주요교육활동

    표 1에서 제시한 국내·외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의 주요교육활동은 일반적인 유아교육활동, 요리활동, 실외놀이, 전통문화교육 등 체험활동과 예절교육 및 놀이 등이 실시되었다. 특히, 국내·외 모두 전통문화활동과 실외에서 활동하는 자연체험 현장학습 및 기본생활습관과 예절교육이 실시되었으며 지역행사에 참여하는 운동회나 무용공연 등 세계시민교육도 이루어지고 있었다.

    (2) 세대간 통합교육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 분석 및 시사점

    본 프로그램 시안의 하위내용 선정을 위해 세대간 통합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기본생활습관, 자연친화교육, 전통문화교육, 가족과 함께하기, 지역사회와 함께하기의 측면에 반영되어질 수 있는 적용점을 도출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 내용은 표 2와 같다.

    [<표 2>] 프로그램 시안 하위내용 선정을 위한 분석

    label

    프로그램 시안 하위내용 선정을 위한 분석

    표 2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시안을 작성하기 위한 하위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기본생활습관, 자연친화교육, 가족과 함께하기, 전통문화교육, 지역사회와 함께하기 등을 주로 실시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본 연구의 하위내용 요소를 추출하였다.

    3) 프로그램의 내용 선정

    앞서 제시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주요 교육내용요소와 하위내용을 추출하였으며 현장교사 및 전문가 각 2인, 지역사회 노인관련 기관의 교육담당자 2인을 대상으로 피드백을 받아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야 할 교육내용을 5영역으로 구분하여 최종 선정하였다. 세대간 프로그램 교육내용요소와 하위내용은 표 3과 같다.

    [<표 3>] 세대간 통합 프로그램 내용요소와 하위내용

    label

    세대간 통합 프로그램 내용요소와 하위내용

    4)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 조직

    (1) 교수-학습과정

    본 프로그램 시안의 전체 교수학습과정은 유아사회교육이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제시한 연구(김영옥, 2014; 박찬옥, 서동미, 엄은나, 2010)의 통합성의 원리, 유의미학습의 원리, 흥미성의 원리를 기초로 하였다. 첫째, 유아가 경험하는 사건은 상황 중심적이고 사회문화적 배경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전의 지식과 관계가 있을 때 보다 쉽게 이해하고 학습하고 기억하게 되므로 연계적이고 통합적으로 구성하도록 하였다. 둘째, 유아가 자발적으로 여러 가지 방법으로 탐색하고 시도함으로써 관련된 지식, 기술, 태도를 형성하고 즐거운 마음이 들도록 하는 유의미한 학습이 되도록 하였다. 셋째, 유아는 흥미를 가질 때 비로소 학습이 이루어지므로,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은 유아가 자발적으로 활동에 참여할 수 있고, 자신의 마음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매력적이며 흥미로운 활동으로 구성하는데 주안을 두었다. 회기별 교육진행과정은 주 2-3회씩 총 26회의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2) 교수-학습방법

    본 프로그램 시안의 교수학습 방법은 누리과정(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수학습의 원리를 기초로 김영옥 외(2014)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형태의 구안 방법에 근거하여 유아와 노인의 흥미, 능력, 경험을 고려하고 유아와 조부모, 교사간의 상호작용 기회를 풍부하게 제공하는 방향으로 교수학습 방법을 전개하였다. 도입, 전개, 마무리의 3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도입단계에서는 유아와 조부모간의 친밀감을 형성하고, 활동의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동기유발 및 자료소개 등을 하였다. 전개 단계에서는 주제에 맞추어 놀이중심으로 활동을 진행하고 질적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무리 단계에서는 활동에 대한 회상 및 세대 간 내용요소를 내면화 할 수 있도록 토의과정을 포함하였으며 유아가 생활 경험을 소재로 지식, 기능, 태도 및 가치를 습득하였는지에 대해 활동의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활동 형태는 이야기나누기, 토의, 역할놀이, 체험활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교사 주도 활동, 조부모 주도 활동, 유아 주도 활동이 균형있게 포함될 수 있게 구성하였다. 교사 및 조부모의 역할은 동기유발자, 언어적, 비언어적 지원자 및 상호작용자, 교구와 환경준비 및 평가자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5) 프로그램의 활동 선정 및 구성

    선정된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프로그램 교육내용을 토대로 프로그램의 활동을 구안하였다. 최종 선정된 내용들을 토대로 구체적인 활동을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교육경력 5년 이상인 현장교사 5인과 유아교육전문가 2인, 현장에서 세대간 교육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조부모 5인과의 협의과정을 거쳤다. 프로그램의 활동은 프로그램의 목적, 하위요소영역, 활동명, 내용, 교수–학습방법의 타당성에 관한 내용타당도를 실시하였고, 활동내용에 대한 검토는 유아의 연령, 흥미, 발달수준 및 유아와 조부모 교류의 적합성, 교수-학습방법의 적절성을 중심으로 검토하여 최종 26개의 활동을 선정하였다. 유아-조부모 세대간 프로그램 활동은 표 4와 같다.

    [<표 4>] 유아-조부모 세대간 프로그램 활동

    label

    유아-조부모 세대간 프로그램 활동

    활동은 대상이 조부모와 유아라는 점을 고려하여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참여할 수 있는 내용으로 선정하고자 하였으며 조부모들에게 익숙하면서도 주요 교육내용이 포함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6) 프로그램의 평가방법 선정

    본 프로그램 시안의 평가방법은 교육과정 후 교수-학습 과정에서 적절히 적용되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교사는 유아들의 반응, 흥미, 이야기, 주의 집중도 등을 수집, 기록하도록 하였다. 활동이 유아의 흥미와 발달수준에 적합한 내용인지, 활동 전개의 흐름이 자연스러운지, 활동한 후 내용을 어떻게 기억하는지 등 매 차시 활동을 한 후 연구자에게 보내어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평가는 다음 활동의 교수 매체를 다양화하거나 상호작용 등을 보완하여 프로그램의 적용에 반영하였다.

       2. 효과 검증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G시에 소재한 S어린이집과 D어린이집 만 4세 유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 20명씩 총 40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의 평균 월령은 61.80개월이고, 통제집단의 평균 월령은 60.90개월이었다. 두 집단의 연령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으므로 두 집단은 동일 연령 집단으로 간주하였다(t=.908, p>.05). 연구대상 유아의 집단별 구성 및 평균 월령은 표 5와 같다.

    [<표 5>] 연구대상 유아의 집단별 구성 및 평균 월령

    label

    연구대상 유아의 집단별 구성 및 평균 월령

    2) 연구도구

    (1) 노인에 대한 인식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선자(1989)의 ‘노인에 대한 척도’와 김광숙(1987)의 ‘노인관 척도’에 의거하여 정미실(1996)이 제작하고 한현지(2005)가 수정·보완한 ‘노인에 대한 인식 검사’를 사용하였다. 도구의 내용은 크게 6개의 하위 요소로 즉, 노인의 이미지, 노인의 신체적 특성, 노인의 지적 특성, 노인의 성격적 특성, 노인의 사회적 관계, 노인의 가족관계로 총 27문항으로 이루어졌다. 각 문항별로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인식과 인식의 이유를 묻는 질문이 포함되어 있다. 노인에 대한 인식의 각 문항은 “그렇다”, “그렇지 않다”의 1점 척도로, “그렇다”는 1점 “그렇지 않다”는 0점으로 처리되며, 부정적인 문항(2, 4, 6, 8, 9, 11, 12, 15, 17, 20, 22)은 역점수로 처리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임을 의미한다. 하위 요소 별로 검사문항 수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문항 수로 나눈 평균점수를 산출할 것이다. 그러므로 하위요소별 점수 분표는 0점에서 1점까지이며, 6개 하위요소의 평균점수를 합산한 총점의 점수 분포는 0점에서 6점까지이다. 검사도구의 신뢰도는 노인의 이미지 .73, 노인의 신체적 특징 .71, 노인의 지적 특징 .80, 노인의 성격적 특징 .74, 노인의 사회적 관계 .77, 노인의 가족 관계 .76, 전체 .76이였다. 검사도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표 6과 같다.

    [<표 6>] 노인에 대한 인식 검사의 내용

    label

    노인에 대한 인식 검사의 내용

    (2) 정서지능

    유아들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경희(1998)가 제작한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자기의 6가지 하위요인으로 이루어졌으며 총 50문항이다. 교사평정용 척도로서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 평정할 수 있는 척도로서 구성요소별 각 요소별 각 문항의 내용은 문항의 의미를 분명히 하기 위해 서로 반대 의미를 가진 한 쌍의 진술문으로 되어 있다. 담임교사가 평소 유아의 행동을 관찰하여 각 유아의 정서지능을 직접 평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도구의 총 점수 범위는 50점~250점이며 검사도구의 신뢰도는 자기정서 인식 및 표현 .88, 감정조절 및 충동 억제 .86, 자기정서 이용 .92, 타인정서 인식 및 배려 .90, 교사와의 관계 .87, 또래와의 관계 .86, 전체 .89였다. 구체적인 검사도구의 내용은 표 7과 같다.

    [<표 7>]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의 하위영역 검사 내용

    label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의 하위영역 검사 내용

    (3)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

    유아들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의 습득을 살펴보기 위하여 McClelland(2002)가 사용한 LRSS척도를 번안하여 한국적 타당화를 연구한 곽아정(2006)의 한국판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K-LRSS)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숙달, 자기주장, 자기조절, 순응 능력의 4가지 하위요인으로 이루어졌으며 총 35문항이다. 교사평정용 척도로서 ‘전혀 하지 않는다’ 1점에서 ‘항상 한다’ 5점까지 평정할 수 있는 척도로서 점수가 높을수록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이 높은 것으로 해석되며 총 점수 범위는 35점~175점이다. 담임교사가 관찰을 토대로 각 유아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을 직접 평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검사도구의 신뢰도는 숙달 .92, 자기주장 .87, 자기조절 .87, 순응 .68, 전체 .94였다. 구체적인 검사도구의 내용은 표 8과 같다.

    [<표 8>] K-LRSS척도의 하위영역 검사 내용

    label

    K-LRSS척도의 하위영역 검사 내용

    3) 연구절차

    (1) 예비연구

    본 연구에서 구성한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적절성 및 활동 소요시간, 검사도구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예비연구는 S어린이집 인근에 위치한 다른 유아교육기관의 만 4세 유아 10명을 실험집단 5명과 통제집단 5명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교육 활동을, 통제집단에는 생활주제에 따른 일반적인 교육활동을 실시하고 유아의 노인인식 검사, 정서지능 검사,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연구 결과, 교사가 활동에 참여하는 조부모들이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교육의 의미를 충분히 인식하였을 때 보다 원활한 세대 간 통합교육이 이루어짐을 발견하고 실험처치가 이루어지기 전 뿐만 아니라 활동이 이루어진 10주간 매주 교사와 활동 전에 활동에 대하여 충분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졌다.

    또한 예비연구에서 활동 초기에 유아들이 조부모들을 대할 때 어색해 하는 점을 발견하고 실험처치가 이루어질 때 활동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신체적인 접촉이 되는 ‘악수 하며 인사하기.’, ‘안으며 인사하기.’ 등 친밀감이 형성될 수 있는 활동을 계획하였다. 활동 시간은 친밀감이 형성되기 전에는 유아들의 집중 시간이 적음을 발견하여 실험처치 초반에는 15분~20분 정도의 짧은 활동이 이루어지고 후반에는 30분~50분 정도로 길게 활동을 계획하였다.

    (2) 사전·사후검사

    본 연구를 위한 사전검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유아의 노인인식검사, 정서지능검사,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검사에 대한 동질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유아의 노인인식검사는 유아와 1:1 개별 면접 방식으로 실시하였으며, 정서지능과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검사는 유아의 행동을 관찰한 후 담임교사가 평정하도록 하였다. 사후검사는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노인인식, 정서지능 및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검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와 동일한 검사도구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3) 프로그램 적용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프로그램 적용은 2013년 10월 14일부터 12월 19일까지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은 매 1회당 50분씩 대그룹/소그룹/개별활동 형태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은 총 10회기로 주당 3회 과정으로 진행되었고 12월에는 한 주당 2회씩 진행되었다. 실험집단 유아는 교실에서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프로그램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활동 계획안은 다음 표 9와 같다.

    [<표 9>] 실험집단의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교육 활동 계획안의 예

    label

    실험집단의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교육 활동 계획안의 예

    통제집단 유아는 조부모의 참여가 배제된 담임교사와 유아들의 참여로만 진행되도록 하였으며 생활주제별 교육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활동은 주당 2-3회 과정으로 교실에서 진행되었고 매 1회당 40-50분 정도가 소요되도록 하였다.

    4) 자료분석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이 유아의 노인인식과 정서지능 및 학습관련 사회적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유아의 노인인식과 정서지능 및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고자 각 집단 간 사전, 사후 검사 점수의 평균에 대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노인인식에 미치는 영향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노인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점수를 t 검증하였고, 그 결과는 표 10과 같다.

    [<표 10>] 노인인식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label

    노인인식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표 10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체 노인인식’의 사전검사 결과, 실험집단(M=15.00, SD=2.71)과 통제집단(M=15.10, SD=2.94)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112, p>.05). 그러나 사후검사에서는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노인인식 평균점수(M=20.55, SD=1.64)가 통제집단(M=16.65, SD=2.58)의 노인인식 평균점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t = 5.706, p<.001). 이러한 결과는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긍정적인 노인인식에 효과가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특히 노인인식의 하위 영역인 ‘이미지(t=.000, p>.05)’, ‘신체특성(t=-.196, p>.05)’, ‘지적특성(t=.175, p>.05)’, ‘성격특성(t=.000, p>.05)’, ‘사회적 관계(t=.161, p>.05)’, ‘가족관계(t=-.447, p>.05)’에 대한 두 집단의 사전 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후검사에서는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이미지(t=3.310, p<.01)’, ‘신체특성(t=3.621, p<.01)’, ‘지적특성(t=3.847, p<.001)’, ‘성격특성(t=4.340, p<.001)’, ‘사회적 관계(t=3.157, p<.01)’, ‘가족관계(t=2.611, p<.01)’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유아 노인인식의 하위영역인 이미지, 신체특성, 지적특성, 성격특성, 사회적 관계-가족관계에 대한 긍정적인 노인인식에 효과가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2.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점수를 t 검증하였고, 그 결과는 표 11과 같다.

    [<표 11>] 정서지능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label

    정서지능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표 1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체 정서지능’의 사전검사 결과, 실험집단(M=169.35, SD=13.26)과 통제집단(M=169.25, SD=7.69)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029 p>.05). 그러나 사후검사에서는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정서지능 평균점수(M=193.25, SD=14.53)가 통제집단(M=173.60, SD=4.83)의 정서지능 평균점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5.738, p<.001). 이러한 결과는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효과가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특히 정서지능의 하위 영역인 ‘자기정서 인식 및 표현(t=.144, p>.05)’, ‘타인정서 인식 및 배려(t=-.136, p>.05)’, ‘자기정서 이용(t=.145, p>.05)’,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t=.208, p>.05)’, ‘교사와의 관계(t=-.222, p>.05)’, ‘또래와의 관계(t=-.319, p>.05)’에 대한 두 집단의 사전 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후검사에서는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자기정서 인식 및 표현(t=2.096, p<.05), ‘타인정서 인식 및 배려(t=2.251, p<.05)’, ‘자기정서 이용(t=3.014, p<.01)’,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t=6.648, p<.001)’, ‘교사와의 관계(t=3.506, p<.01)’, ‘또래와의 관계(t=2.441, p<.01)’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유아 정서지능의 하위영역인 자기정서 인식 및 표현, 타인정서 인식 및 배려, 자기정서 이용,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에 효과가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3.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점수를 t 검증하였고, 그 결과는 표 12와 같다.

    [<표 12>]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label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표 1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체 정서지능’의 사전검사 결과, 실험집단(M=105.10, SD=13.24)과 통제집단(M=105.15, SD=11.20)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013, p>.05). 그러나 사후검사에서는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 평균점수(M=129.15, SD=8.79)가 통제집단(M=117.00, SD=12.77)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 평균점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t=3.506, p<.01). 이러한 결과는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에 효과가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특히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의 하위 영역인 ‘숙달(t=.088 p>.05)’, ‘자기주장(t=.080, p>.05)’, ‘자기조정(t=-.165, p>.05)’, ‘순응(t=-.130, p>.05)’에 대한 두 집단의 사전 검사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후검사에서는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숙달(t=2.558, p<.01)’, ‘자기주장(t=2.564, p<.05)’, ‘자기조정(t=3.302, p<.01)’, ‘순응(t=2.381, p<.05)’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유아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의 하위영역인 숙달, 자기주장, 자기조정, 순응에 효과가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Ⅳ.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기관 및 지역사회기관에서 유아-조부모 세대간 교류 및 지원을 강화하고 다양한 사람들과 상호 협력하는 방법을 통하여 올바른 인성을 기를 수 있는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 프로그램을 개발, 현장에 적용하고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에서는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 프로그램의 목적은 유아와 노인이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을 통하여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세대간 이해를 확장함으로써 서로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발전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첫째, 유아가 긍정적인 조부모의 모습을 인식한다. 둘째, 유아가 조부모의 존재에 대해 신뢰감을 갖도록 한다. 셋째, 유아와 조부모가 서로 친밀감을 형성하며 공동체의식을 증진한다. 넷째, 유아의 조부모 이해를 통한 정서발달 및 학습증진을 도모한다. 다섯째, 조부모는 손자녀에 대한 이해와 적응방법을 습득한다로 선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유아-조부모간 세대간 통합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을 선정하기 위하여 국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기초로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의 주요교육활동을 분석하였으며 세대간 통합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를 탐색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프로그램 내용요소를 선정하였다.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 프로그램 교육내용은 기본생활습관, 자연친화교육, 전통문화교육, 가족과 함께하기, 지역사회와 함께하기로 구성하였다.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 프로그램 교수‧학습방법은 유아와 노인의 흥미, 능력, 경험을 고려하고 유아와 조부모, 교사간의 상호작용 기회를 풍부하게 제공하는 방향으로 전개하였다. 도입, 전개, 마무리의 3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도입단계에서는 유아와 조부모간의 친밀감을 형성하고, 활동의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동기유발 및 자료소개 등을 하였다. 전개 단계에서는 주제에 맞추어 놀이중심으로 활동이 진행되도록 하고 질적 상호작용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무리 단계에서는 활동에 대한 회상 및 세대간 내용요소를 내면화 할 수 있도록 토의과정을 포함하도록 하였으며 유아가 생활 속 경험을 소재로 지식, 기능, 태도 및 가치를 습득하였는지 활동의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활동 형태는 이야기나누기, 토의, 역할놀이, 체험활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교사 주도 활동, 조부모 주도 활동, 유아 주도 활동이 균형있게 포함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교사 및 조부모의 역할은 동기유발자, 언어적, 비언어적 지원자 및 상호작용자, 교구와 환경준비 및 평가자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발산적, 수렴적 질문을 통하여 유아의 현재 수준을 진단하고 파악하였다.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는 매 활동이 끝날 때마다 좋았던 점, 부족했던 점 등 활동을 반성할 수 있도록 평가를 실시하여 다음 활동계획에 반영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은 각 모형에 따라 개발 방법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론적 기초를 고려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프로그램의 적용대상, 시기, 환경에 따른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에 관한 논의가 요구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을 통해 공동체의식 함양과 세대간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관련내용요소를 선정하였으며 유아, 조부모, 교사간 상호작용 기회를 풍부하게 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전개하였다. 또한 참여자의 역할을 고려하여 교사 또는 조부모의 참여를 높이거나 낮추는 등의 적절한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다양한 상호작용을 이끌었다. 교수‧학습이란 현장성과 역동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므로 참여자 역할의 범위, 참여의 정도에 따라 보다 질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는 고민도 필요하다. 이러한 경향으로 최근에 유아교육기관에서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이 인성발달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권오정, 2004; 신은정 외, 2012; 허은주, 2003)와 유아교육현장에서 질적인 방향모색을 위한 연구(나항진, 염지혜, 2011; 나항진, 2013; 허우정 외, 2006) 등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례연구 및 긍정적인 결과에 기초한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이 다양한 형태로 유아교육기관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프로그램의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의 연계와 관련한 보다 심층적으로 고민이 필요하며 질 높은 세대간 프로그램이 적용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공통적인 요소와 기대효과를 분석하여 유아, 조부모,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가 활용할 수 있는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에 대한 추후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문제 2에서는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 프로그램이 유아의 노인인식, 정서지능,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봄으로써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첫째,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 프로그램은 유아의 노인인식 및 하위영역인 이미지, 신체특성, 지적특성, 성격특성, 사회적 관계, 가족관계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화, 음률, 게임, 요리 등으로 이루어진 세대간 학습활동을 경험한 유아가 노인에 대한 이미지, 신체적 특성, 지지적 특성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고 주장한 허은주(2004)의 연구 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또한 박경란 외(2004)는 레크레이션, 연만들기, 텃밭 가꾸기, 옛날이야기, 예절교육, 떡만들기 활동이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데 의미 있는 교수・학습 방법임을 확인한 바 있다.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 프로그램은 유아가 유아교육기관에서 조부모와 함께 생활하고 활동하는 과정에서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고 조부모에 대해 친숙하게 느끼게 됨으로써 노인에 대한 호감도나 청결함, 인자함 등에 대한 노인의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심귀복(2011)이성인(2014)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이다. 또한 핵가족 중심의 현대사회에서 노인에 대해 관찰하고 이해하는 경험이 부족한 유아들이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 프로그램을 통해 노인의 행동, 성격 등을 경험하고 관찰함으로써 노인들이 자주 아프고 느리게 행동하는 신체적 특성을 이해하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유아들은 노인들이 다양한 지식과 문제해결력, 융통적이고 인내심 있는 성격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고 이를 통해 서로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긍정적 사회적 관계 및 가족관계를 형성하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세대간 멘토링 프로그램이 참여한 아동들의 자아신뢰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아동들이 노인에게 다가가는 방법과 그 관계를 유지하는 법을 배울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고 보고한 Henkin, Perez- Randa와 Rogers (1993)의 연구와 맥을 같이 한다. 더불어 Newman, Morris와 Streetman (1999)의 연구에서도 아동과 노인이 서로 긍정적인 태도를 구축하게 되었다고 보고한 바 있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이미지, 신체특성, 지적특성, 성격특성, 사회적 관계, 가족관계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들은 노인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와 인식을 형성하였다는 연구들(김귀자, 2004; 심귀복, 2011; 양승규, 2003; 이성인, 2014; 임재택, 1996; 하정연, 조채영, 2008; 한정란, 한현지, 2005)과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따라서 노인의 이미지는 노인에 대한 태도와 고정관념이 유아-조부모 세대간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노인의 모습을 경험해 보고 그 속에서 긍정적인 이미지의 증진을 가져왔다고 생각되어진다.

    노인의 신체특성에 관한 인식에 있어서도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노인이 건강하게 움직이며 활동하는 모습을 보고 유아가 노인의 신체적 특성에 대해 긍정적이게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3세대 하모니 자원봉사자들이 그림책 활동을 통해 요리를 하거나 요가동작을 가르치는 모습을 통해 노인의 신체 특성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황미혜(2012)의 연구결과와도 유사한 결과이다.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의 하위영역중 노인의 지적특성에 관한 인식에 있어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노인이 세대간 통합활동을 진행하면서 지도력과 문제해결과정을 하는 모습을 보고 노인의 지적특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음을 나타내는 연구결과(임재택, 2001; 하정연 외, 2008; 박경란 외, 2004)와도 맥을 같이한다. 다만 이러한 유아가 인식하는 노인의 지적특성이 행동에 국한된 것인지 아니면 사용하는 언어에 의한 것인지는 추후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노인의 성격특성에 관한 인식에 있어서도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농촌지역 노인과 유아의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본 박연실(2010)의 연구와 노인‧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이 유아의 노인인식과의 관계를 알아본 하정연 외(2008)의 연구결과와는 일치하나 어린이집에서의 세대간 학습이 노인의 성격적 특성에 대해 인식차이가 없다는 허은주의 연구(2004)와 곽경란(2007)의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조부모들이 상황에 적절한 유머와 인내심 및 융통성을 발휘하여 유아들에게 눈높이를 맞추고 유아들의 의견을 수용하여 유아가 안정적인 상태에서 놀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조부모와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유아들이 노인에 대한 성격특성이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 프로그램은 유아의 노인에 대한 사회적 관계 인식요소에 있어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가 조부모와 함께 활동을 하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노인은 다가가기 어려운 상대가 아니라 접근이 용이한 편안한 대상이며 헌신적이고 친화적 성향을 가지고 있음을 이해하게 된 결과로 보여진다. 또한 다양한 세대간 통합활동을 통해 노인과 유아가 바람직한 관계 향상을 가져옴으로써 긍정적 사회적 관계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세대통합 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인식 중 사회적 관계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온 이지영(2009)의 연구와는 일치하지만 오나리(2010)황미혜(2012)의 연구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오나리(2010)의 연구에서는 사회적 관계인식 검사문항 중 유아주변의 노인들을 직접 만날 수 있는 활동 프로그램의 부재로 유아들이 문항에 답할 때 긍정적인 답변을 말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세대간 통합 활동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노인과 접촉할 수 있는 기회가 많고 보다 양질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졌기에 긍정적인 효과를 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8주간 진행된 황미혜(2012)의 연구에 비해 본 연구는 10주동안 노인들과의 지속적인 만남을 통해 상호작용 함으로써 사회적 관계인식에 다소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향후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노인과의 만남에 따른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을 개선‧보완하여 진행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그리고 노인의 가족관계 인식에 있어서도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는 농촌지역 노인과 유아의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본 박연실(2010)의 연구, 노인‧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과 유아의 노인인식의 관계를 알아본 하정연 외(2008) 연구 및 그림책 관련활동으로 노인에 대한 인식변화를 알아 본 김민정(2007)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세대간 통합활동을 통해 노인과 신체적인 접촉을 자주할 뿐만 아니라 조부모와 대화를 하면서 자신과 할머니, 할아버지와 관계를 연관지어보고 함께 생활하는 것이 즐겁고 행복함을 느끼게 됨으로써 노인과의 가족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은 유아의 정서지능 및 하위영역인 자기정서 인식 및 표현,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 자기정서 이용, 타인정서 인식 및 배려,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이 정서지능의 유의한 변인이라고 주장한 선행연구(김혜상, 2010; 심은보, 2011; 황미혜, 2012)의 결과와 세대간 통합이 정서, 친사회적 행동, 또래상호작용의 향상을 가져온다는 김연옥(2011)의 연구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은숙, 박현구, 김미옥, 박천호 (2010)의 연구에서는 세대간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와 노인의 정서와 자아존중감을 증진시켰다는 연구와도 일치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과 사전에 활동 경험이 있는 조부모들과 지속적으로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정서적으로 안정된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유아들이 자신이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할 줄 알며 충동을 억제하고 감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른 사람의 정서를 이해하고 배려하며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유아의 전반적인 정서지능이 긍정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자기정서 인식 및 표현,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 자기정서 이용, 타인정서 인식 및 배려,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 증진에서 실험집단의 유아가 통제집단의 유아보다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유아가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고 이를 상황에 맞게 적절히 나타내는 자기정서 인식 및 표현은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을 통해 유아가 노인들과 함께 활동하면서 유아가 자신의 정서를 보다 더 잘 인식하고 상황에 맞는 표현력의 증진을 가져왔다고 보여진다. 이는 그림책을 활용한 노인이해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영향을 주었다는 김혜숙 외 (2013)의 연구와 3세대 하모니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관련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영향을 주었다는 황미혜(2012)의 연구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을 통해 유아의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는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충동, 특히 분노를 억제하였음을 의미한다. 자신의 느낌을 표현하고 적절한 단어를 찾아 정확히 이야기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는 유아의 경우, 조부모가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주며 갈등상황에 발생하였을 때 유아가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유아의 부정적인 표현을 이해하고 감정 조절을 도울 수 있다. 이는 세대간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와 노인의 정서에 영향을 주었다는 이은숙(2010)의 연구결과와 어르신과 유아와의 통합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조절 및 충동억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김연옥(2011)의 연구결과와도 유사한 결과이다.

    유아의 자기정서 이용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조부모와의 다양한 세대간 통합활동 즉, 게임이나 이야기나누기 등을 통해 유아는 자율적인 성취감을 갖게 되고 내면화된 동기화 및 인내심의 향상을 가져온 것으로 보여진다. 이는 세대통합프로그램에 의한 미술교육이 유아의 정서에 긍정적 효과를 미쳤다고 주장한 심은보(2011)의 연구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하나 추후 다양한 형태의 교수 학습 방법에 따른 구체적인 효과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은 유아의 타인정서 인식 및 배려에 있어서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험집단 유아들이 실험기간 동안 조부모와 함께 다양한 세대간 통합활동을 하면서 정서적으로 더욱 안정감을 느끼게 되고, 따뜻하고 배려심있는 조부모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유아들이 다른 사람의 정서에 대해 이해하고 배려할 수 있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김혜숙(2013)의 연구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하며, 세대간 원예활동 프로그램에서 노인과 유아의 정서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주장한 이은숙 외(2010)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낸다.

    유아 정서지능의 하위영역인 대인관계기술 중 유아의 교사와의 관계 및 유아와 또래와의 관계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유아는 조부모를 할머니 선생님 또는 또래로 여기면서 여러 교수학습 활동을 통해 바람직한 관계 향상을 가져온 것으로 보여지며 이는 전통놀이를 통한 노인-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대인관계형성능력에 영향을 주었다는 김문정(2013)의 연구와 일치한다. 유아의 또래와의 관계에서도 긍정적 영향을 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또래와의 원만하고 바람직한 관계를 맺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 유아들이 조부모와 활동하면서 또래와 상호작용을 할 때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는 것에 보다 민감성을 가지게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 프로그램은 유아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 및 하위영역인 숙달, 자기주장, 자기조정, 순응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러 유아를 교육하고 돌보아야 하는 유아교육현장에서는 때때로 교사의 개별적 지도가 부족하게 되고 이로 인한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이 충분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 프로그램은 부족한 교사의 역할을 조부모가 채워줌으로써 유아가 끝까지 과제를 지속하려는 노력을 하게 되고 적절하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이러한 결과는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이 사회적 능력의 향상을 가져온다는 기본생활습관, 자아확립, 공동체의식, 신체발달, 사회성의 내용을 가진 너싱홈(Nursing Home)세대교류 프로그램의 연구결과(배윤진, 김현주, 2009)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세대간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이 자기관리기술, 학교과제에 대한 흥미의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 Newman 등(1999)의 연구를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 프로그램은 숙달, 자기주장, 자기조절, 순응에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숙달 능력은 과제수행과 관련하여 특별히 중요한 사회적 기술로서 유아의 일상생활 및 대인관계나 과제와 관련된 문제해결 과정에서 빈번히 요구된다는 점(곽아정, 2006)에 비추어볼 때 유아-조부모 통합프로그램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해결을 경험해 보고 그 속에서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고 과제를 끝까지 책임감 있게 완성해 나가는 지속적인 활동을 통해 숙달능력의 증진을 가져왔다고 보여진다.

    자기주장 및 자기조절에 있어서도 향상을 보였는데 자기주장이 유아가 타인의 권리와 요구를 인식하고 존중하면서 자신의 요구, 의견, 권리, 느낌 등을 나타내는 능력이며 자발성, 주도성 및 적극성의 개념에 기초한다고 보았을 때 세대통합 집단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연구(최은진, 2014)와도 맥을 같이 한다. 또한 노인과 아동간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삶의 질 및 아동의 사회심리적 행동특성에 영향을 미쳤다는 김혜상, 유용권(2011)의 연구와도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이는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에서 유아와 조부모간의 사회적 관계와 조부모와의 상황에 적절한 의사소통을 경험할 수 있는 세대간 통합활동을 통해 노인 및 타인의 감정을 생각해 보고 권리와 요구를 존중함과 동시에 자신의 의견, 요구, 느낌 등을 상황에 맞게 적절히 표현해 보는 경험을 통해 유아가 자신의 의견을 적절하게 주장하고 조절함으로써 바람직한 문제해결을 할 수 있도록 한 결과로 보여진다. 또한 게임이나 이야기나누기 등의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사회적 규칙이나 기준을 이해하고 타인과 조화롭게 지낼 수 있도록 노력함으로써 순응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유아-조부모 세대 간 통합 프로그램이 유아의 노인인식, 정서지능,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뿐 아니라 유아교육현장 및 지역사회에서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교육의 바람직한 방향과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여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과 외국사례를 기초로 프로그램의 내용요소들을 추출하여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이를 기초로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노인인식, 정서지능 및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의 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유아들이 일상생활에서 조부모와 함께한 통합교육을 통해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생겼고, 노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긍정적인 세대간 공동체를 경험함으로써 유아의 정서지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은 유아가 자신이 속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조부모와 함께 살아가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고 상호협력하는 능력을 키워줌으로써 자신의 권리와 요구를 적절하게 주장하고 조절하는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이 향상되었다고 보여진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본 프로그램은 대안적 모델과 현장 적용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를 토대로 세대간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 시키는 노력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10주 동안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향후 정기적이고 지속적인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을 운영, 적용하고 보다 많은 수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추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나아가 영아‧아동‧청소년 등 연령에 따른 혹은 혼합연령 및 통합학급과 같은 대상의 폭과 환경적,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조부모를 대상으로 효과를 검증하여 유아-조부모 모두에게 효과가 있는 프로그램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노인인식, 정서지능, 사회관련 사회적 기술 등 주로 사회‧인지‧정서적 측면과 관련된 연구를 실시하였다.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이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도모한다는 측면에서 유아의 언어, 창의성 등을 보다 다각도로 분석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얻음으로써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의 일반화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의 바람직한 방향과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방법을 다양하게 제시하여 유아교육기관 및 지역사회의 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넷째, 유아를 대상으로 조부모에 대한 인식과 정서 및 사회적 측면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의 개발이 필요하다. 유아의 노인세대에 대한 인식과 태도 등을 평가할 수 있는 행동관찰, 의사소통의 분석과 같은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하거나 보다 다양한 매개변인을 고려한 실험설계방법으로 세대통합프로그램에 관한 평가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강 영자 (2001) 조부모와 손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갈등에 관한 연구 google
  • 2. 곽 경란 (2007) 유치원과 노인복지시설 연계활동이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google
  • 3. 곽 아정 (2006)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 척도의 타당화 및 학습능력과의 관계. google
  • 4. (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2-16호. google
  • 5. 권 미영 (2005) 조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google
  • 6. 권 연희 (2012) 남녀 유아의 공격성에 대한 어머니양육행동과 교사-유아간 갈등적 관계의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7 P.1-19 google
  • 7. 권 오정 (2005) 노인과 유아간 연계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google
  • 8. 권 중돈 (2005) 노인에 의한 교육프로그램의 세대통합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Vol.25 P.15-33 google
  • 9. 김 경희 (1998)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google
  • 10. 김 광숙 (1987) 청소년의 노인관에 대한 조사연구: 서울시내 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google
  • 11. 김 귀자 (2004) 아동?노인간의 세대공동체교육 프로그램 연구. google
  • 12. 김 득주 (1996) 확대가족 자녀와 핵가족 자녀의 인성특성에 관한 연구. google
  • 13. 김 명선 (2000) 손자녀와 노인의 상호작용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탑골공원 노인의 사례를 중심으로. google
  • 14. 김 문정 (2013) 전통놀이를 통한 노인-아동 상호작용이 유아의 노인 인식 및 대인관계 형성능력에 미치는 효과. google
  • 15. 김 민정 (2007) 그림책 관련활동을 통한 할아버지 할머니에 대한 유아의 인식변화. google
  • 16. 김 선희, 김 판희, 우 채영 (2012) 가정통신망을 활용한 놀이프로그램이 유아가 지각하는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1 P.1-25 google
  • 17. 김 연옥 (2011) 어르신과 유아와의 통합프로그램이 유아정서에 미치는 영향. google
  • 18. 김 영숙 (2005) 경남지역 노인들의 전언을 통한 유아생활예절모델 개발 기초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P.1-25 google
  • 19. 김 영옥 (2007) 유아교육프로그램에 있어서 세대 간 통합교육의 방향과 과제. [교원교육] Vol.23 P.125-136 google
  • 20. 김 영옥 (2014) 유아사회교육. google
  • 21. 김 영옥, 이 규림, 오 순환, 김 희선, 양 시내 (2014) 유아 조부모 세대통합교육. google
  • 22. 김 영희, 박 지현, 이 은주 (2014) 보육시설 평가인증이 보육교사의 보육활동 자료활용 및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Vol.19 P.387-397 google
  • 23. 김 윤정, 정 선아 (2001) 청소년의 노인에 대한 태도: 노인에 대한 인식과 행동간의 관계 규명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ol.19 P.173-183 google
  • 24. 김 은정 (2012) 영유아 손자녀 양육 조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 관련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Vol.72 P.179-203 google
  • 25. 김 혜상 (2010) 세대통합 원예치료가 노인의 삶의 질 및 아동의 사회?심리?정서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google
  • 26. 김 혜상, 유 용권 (2011) 노인과 아동 간 세대통합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삶의 질 및 아동의 사회심리적 행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4 P.163-170 google
  • 27. 김 혜선 (2004)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손자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P.85-117 google
  • 28. 김 혜숙, 김 은심, 김 정희 (2013) 그림책을 활용한 노인이해활동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Vol.82 P.163-184 google
  • 29. 나 항진 (2013) 영유아교사가 경험하는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의미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P.305 google
  • 30. 나 항진, 염 지혜 (2011) 유아가 경험하는 세대통합 프로그램의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Vol.69 P.29-57 google
  • 31. 문 미옥 (1997) 유아기 자녀교육을 위한 조부모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여성연구논총] Vol.12 P.185-194 google
  • 32. 문 연심 (2004) 부모-자녀관계 유형이 유아의 공감과 조망수용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Vol.24 google
  • 33. 민 성혜, 김 경은, 김 리진 (2011)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부모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아동학회지] Vol.32 P.31 google
  • 34. 민 하영, 유 안진 (1996) 아동이 지각한 조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Vol.34 P.279-293 google
  • 35. 박 경란, 전 예화, 김 희년, 오 찬옥 (2004) 아동과 노인 간의 관계 향상을 위한 세대통합프로그램에 관한연구-세대간 상호작용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Vol.13 P.17-27 google
  • 36. 박 계범 (1985) 노인의 가정내역할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google
  • 37. 박 연실 (2010) 농촌지역 노인과 유아의 세대통합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google
  • 38. 박 의순, 조 병은 (1990) 청년기 손자녀가 지각한 각 조부모와의 유대감. [가족학논집] Vol.2 P.28-62 google
  • 39. 박 찬옥, 서 동미, 엄 은나 (2010) 유아사회교육. google
  • 40. 박 화윤, 마 지순, 안 라리 (2011) 교사가 지각한 교사-유아관계, 유아 자아개념 및 리더십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Vol.31 P.75 google
  • 41. 박 희숙 (2012) 조손가정 유아의 학습준비도 관련 변인 탐색. [유아교육연구] Vol.32 P.333 google
  • 42. 배 윤진, 김 현주 (2009) 너싱홈(Nursing Home) 세대교류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Vol.27 P.53-70 google
  • 43. 배 지희, 노 상경, 권 경숙 (2008) 조부모의 영유아기 손자녀 양육 현황 및 양육 지원에 대한 요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5 P.379 google
  • 44. 배 현미 (2003) 노인교육에 의한 중학생들의 노인이미지 변화에 관한 연구. google
  • 45. 서 상원 (2005) 노인이 지각하는 노인에 대한 태도. google
  • 46. 서 현 (2009) 조부모-손자녀 가정 유아의 생활에 관한 연구-농촌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Vol.56 P.1-30 google
  • 47. 신 건호, 문 연심 (2006) 인간지향적 부모자녀관계가 유아의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Vol.15 P.257 google
  • 48. 신 은정 (2004) 조부모손자녀세대의 가족기능과 손자녀의 심리적 특성과의 관계 : 자아존중감, 우울, 불안을 중심으로. google
  • 49. 신 은정, 김 춘화, 이 화일, 이 칭찬 (2012) 너싱홈(Nursing Home)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9 P.223 google
  • 50. 신 현종 (2004) 세대공동체를 위한 노인과 아동 통합 프로그램의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google
  • 51. 심 귀복 (2011) 노인자원봉사자의 전통놀이 지도가 유아의 노인인식 및 유아의 기본운동 기술에 미치는 영향. google
  • 52. 심 은보 (2011) 세대통합프로그램에 의한 미술교육 효과 : 유아의 정서적 효과 및 수업 만족도 분석. google
  • 53. 심 재선 (2006) 노인?아동 세대통합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google
  • 54. 양 승규 (2003) 세대공동체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발 연구: 1?3세대를 중심으로. google
  • 55. 오 나리 (2010) 노인관련 동화를 활용한 토의활동이 유아의 노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 google
  • 56. 이 광규 (1973) 가족구조와 인성에 관한 문제. [서울대학교 논문집] Vol.18 P.277-299 google
  • 57. 이 미숙, 조 병은, 강 란혜 (2004) 학동기 손자녀에 대한 조모의 역할수행 : 취업모가족과 비취업모가족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Vol.42 P.69-84 google
  • 58. 이 미정 (1996) 아동의 노인에 대한 인식 연구. google
  • 59. 이 병래, 나 성식, 박 용석, 이 대균 (2014) 2014. 4. 26 ‘행복한 삶’을 위한 관계지향 유아교육의 방향과 과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주제발표 1] google
  • 60. 이 선자 (1989) 연령단계별로 본 노인에 대한 태도. google
  • 61. 이 성인 (2014) 조부모와 함께 하는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노인인식에 미치는 영향. google
  • 62. 이 순형, 김 미정, 전 가일, 김 은영, 정 지혜, 최 고은, 송 민정 (2011) 유아 세대통합 프로그램. google
  • 63. 이 연선 (2006) 교사-유아간 교실 담론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P.23-45 google
  • 64. 이 영세, 한 혜자, 류 창희 (2001) 조부모가 제공하는 도움과 이에 따른 만족도. [노인복지연구] Vol.11 P.195-211 google
  • 65. 이 영숙 (2004) 청소년기 손자녀에 대한 조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학회지] Vol.13 P.673-681 google
  • 66. 이 영숙, 박 화윤 (2000) 유아기 손자녀가 기대하는 조부모의 역할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Vol.20 P.211-232 google
  • 67. 이 은미 (1990) 중학생들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이미지에 관한 연구 : 텔레비전의 드라마와 코메디물을 중심으로. google
  • 68. 이 은숙 (2010)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와 노인의 상호작용, 인식, 정서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google
  • 69. 이 은숙, 박 현구, 김 미옥, 박 천호 (2010) 세대간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노인과 유아의 정서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원예과학기술지] Vol.28 P.484-491 google
  • 70. 이 지영 (2009) 세대통합프로그램에 참여한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인식 및 노인참여자의 태도 분석. google
  • 71. 임 기순 (2005) 조부모와의 상호작용 경험에 따른 노인에 대한 인식 : 경기도 지역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google
  • 72. 임 재택 (1996) 보육시설 노인·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의 적용에 관한 연구. [영유아보육연구] Vol.1 P.1-33 google
  • 73. 임 재택 (2000) 유아교육기관의 노인, 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의 적용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Vol.5 P.67-101 google
  • 74. 임 재택, 김 경호, 김 윤옥 (1996) 보육시설 노인?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의 적용에 관한 연구. [영유아보육연구] Vol.1 P.1-33 google
  • 75. 임 효진 (2007) 빈곤 조손가정의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google
  • 76. 장 영애 (2002) 아동의 노인에 대한 인식과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 도시와 농촌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Vol.30 P.91-115 google
  • 77. 장 윤옥 (2002)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조부모 부양행동과 조부모와의 동거경험이 청소년의 노인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Vol.22 P.191-207 google
  • 78. 정 계숙, 이 미정 (1995) 도시와 농촌 아동의 노인에 대한 인식 연구. [유아교육논총] Vol.5 P.163-188 google
  • 79. 정 남이 (2006) 유아기 자녀양육에서 조모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google
  • 80. 정 미실 (1996) 아동, 부모, 조부모특성에 따른 아동의 노인에 대한 인식. google
  • 81. 정 재분 (2003) 조부모의 유아교육참여프로그램 모형연구. google
  • 82. 정 정신, 이 현경, 박 희숙 (2005) 저소득층 조손가정 유아에 대한 조부모의 역할수행도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P.317 google
  • 83. 최 기영 (1991) 조부모와 부모의 가정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와 세대간 인식 일치정도가 유아의 정서 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Vol.11 P.159-185 google
  • 84. 최 미숙, 문 신혜, 김 치곤, 이 경희 (2008) 부모자녀관계와 유아의 성, 또래인기도 및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Vol.54 P.99-118 google
  • 85. 최 선희, 황 혜정 (2011)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과 유아의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0 P.1-18 google
  • 86. 최 은진 (2014) 세대통합 집단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google
  • 87. 하 정연, 조 채영 (2008) 노인?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이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Vol.17 P.301-310 google
  • 88. 한 미라, 서 영희, 허 우정, 임 재택 (2007) 노인?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 운영 실태 및 요구 조사 : 부산시?울산시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P.67-92 google
  • 89. 한 정란, 김 귀자 (2004) 세대공동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아동과 청소년에 관한 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Vol.23 P.157-177 google
  • 90. 한 현지 (2005) 노인자원봉사자 유무에 따른 어린이집 유아, 부모, 교사의 노인에 대한 인식. google
  • 91. 허 우정, 하 은옥, 김 은주, 조 민영, 임 부연, 황 해익 (2006)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노인-아동 세대통합프로그램의 의미와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Vol.10 P.331 google
  • 92. 허 은주 (2003) 어린이집에서의 세대 간 학습활동의 효과. google
  • 93. 황 미혜 (2012) 3세대 하모니 자원봉사자를 활용한 그림책 관련활동이 유아의 노인에 대한 인식 및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google
  • 94. Anderson-Hanly C. (1999) Experiential activities teaching psychology of aging. [Educational Gerontology] Vol.25 P.449-456 google cross ref
  • 95. Chitwood D. G., Binger J. J. (1980) Young children’s perceptions of old people. [Home Economics Journal Research] Vol.8 P.369-374 google cross ref
  • 96. Henkin N., Perez-Randa C., Rogers A. (1993) Linking lifetimes: A national intergenerational mentoring initiative-program development manual. google
  • 97. Kaplan M., Larkin E. (2004) Launching intergenerational program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A comparison of explicit intervention with an emergent approach.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Vol.31 P.157-163 google cross ref
  • 98. Kornhaber A., Woodward K. L. (1981) Grandparents/Grandchildren: The vital connection. google
  • 99. McClelland M M. (2002) The emergence of work-related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google
  • 100. McClusky H. Y. (1990) The Community of Generations. in Sherron, R. H. & Lumsden, D. B.(Eds). Introduction to Educational Gerontology P.59-83 google
  • 101. Na. Hang-Jin (2009) An Inquiry of the Meaning of Leisure in the lives of Female Senior Citizens. [Asian Women] Vol.25 P.87-112 google
  • 102. Newman S., Morris G. A., Streetman H. (1999) Elder child interaction analysis: An observation instrument for classrooms involving older adults as mentors, tutor, or resource persons. [Child & Youth Services] Vol.20 P.129-145 google cross ref
  • 103. O’Hanlon A. M., Brookover B. C. (2002) Assessing changes in attitudes abut aging Personal reflections and standardized measure. [Educational Gerontology] Vol.28 P.711-725 google cross ref
  • 104. Short D., Diamond K. (1996) Intergenerational Program Effects Social Persons of Elderly Adults Day Care Members. [Educational Gerontology] Vol.22 P.467-482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국내?외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의 주요교육활동
    국내?외 세대간 통합프로그램의 주요교육활동
  • [ <표 2> ]  프로그램 시안 하위내용 선정을 위한 분석
    프로그램 시안 하위내용 선정을 위한 분석
  • [ <표 3> ]  세대간 통합 프로그램 내용요소와 하위내용
    세대간 통합 프로그램 내용요소와 하위내용
  • [ <표 4> ]  유아-조부모 세대간 프로그램 활동
    유아-조부모 세대간 프로그램 활동
  • [ <표 5> ]  연구대상 유아의 집단별 구성 및 평균 월령
    연구대상 유아의 집단별 구성 및 평균 월령
  • [ <표 6> ]  노인에 대한 인식 검사의 내용
    노인에 대한 인식 검사의 내용
  • [ <표 7> ]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의 하위영역 검사 내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의 하위영역 검사 내용
  • [ <표 8> ]  K-LRSS척도의 하위영역 검사 내용
    K-LRSS척도의 하위영역 검사 내용
  • [ <표 9> ]  실험집단의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교육 활동 계획안의 예
    실험집단의 유아-조부모 세대간 통합교육 활동 계획안의 예
  • [ <표 10> ]  노인인식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노인인식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 [ <표 11> ]  정서지능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정서지능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 [ <표 12> ]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