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장기실종아동 부모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Parents of Long-term Missing Children
ABSTRACT
장기실종아동 부모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ain of missing children’s parents and their experiences of suffering. From this, I expect to propose a supportive program to aid in their recovery. Six parents of long-term missing children joined this research and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was applied to interpret the results.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 and various written records, and they were analyzed using Van-Manen’s methodology.

I constructed 7 categories after analyzing and categorizing the line-by-line units of the data. Missing children’s parents have suffered from severe emotional distress, social isolation, and family disorganization since their child went missing. However, they selected strategies to make positive changes in their lives as the years went by. They had a strong belief that they would be reunited with their missing child someday. They tried to be good people so as to be reunited with their missing child and sublimated their grief and guilty conscience in noble humanity. Moreover, they did their best to find other missing children in addition to their own child. In this study, practical suggestions are mad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pecific counseling intervention to address the negative emotions experienced by missing children’s parents.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case management programs, financial support, and family healing programs for the families of missing children.

KEYWORD
장기실종아동 , 실종아동부모 , 현상학적 방법 , 경험
  • Ⅰ. 서론

    가족구성원 누군가가 실종되면 남겨진 가족들은 ‘모호한 상실감(Ambiguous loss)’을 경험한다[6]. 끊임없이 반복적으로 상기되지만 해결할 수 없는 고통으로 가장 극한 상실감이다[2, 3]. 이 세상 어딘가에 살아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안고 살지만 언제 돌아올지 모르는 상황에서 불안감을 안고 살아간다. 자녀가 사망했다고 간주하고 더 이상 찾지 않는 것은 실종자에 대한 인간적 도리를 저버리는 행위이기에 무거운 짐을 내려놓기 힘들다. 이 고통은 타인이 묘사하고 설명하기 힘든 존재의 깊이에서 경험되고 생성된 ‘사적인 언어(private language)’라고 볼 수 있다. 자녀의 실종으로 인한 심연의 경험이 여기에 해당될 것이다. 통상 시간이 지날수록 가족들은 경제적 위기를 경험하며 관계는 악화된다[17, 19, 21]. 아동을 안전하게 지켜주지 못한 책임을 서로에게 전가하기도 하고 보호해주지 못한 것에 대한 죄책감을 갖기도 한다[15].

    위와 같이 가족구성원의 실종은 가족에게는 비극을 초래하는 생애사건이지만 비단 당사자만의 문제로 끝나지 않는다. 실종사건은 사회안전망이 부실한 사회에 대한 불신감을 증폭시킨다. 실종사건을 경험하지 않은 미국 부모의 75%이상이 우리 자녀도 실종될지 모른다는 불안과 공포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4]. 따라서 실종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다는 인식하에 국가가 법체계의 구축과 사회안전망의 확보 등 적극적 역량을 갖추는 일이 무엇보다 필요하다[11, 12].

    우리나라에서 실종아동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킨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었다1). 2005년에 「실종아동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실종아동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사업의 활성화를 꾀해 오고 있다2). 이로 인해 실종아동에 대한 관리체계가 강화되어 가정복귀율은 높아졌지만 장기미아와 장애아동의 귀가는 아직까지 미미한 수준이다. 2006년부터 2011년까지 미복귀 아동수는 59명, 미복귀 장애인 339명까지 합치면 총 398명으로 나타났다[36]. 하지만 장기미아는 파악된 통계수치보다 훨씬 더 많은 것으로 추산된다.「실종아동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기 이전 경찰에 접수된 실종아동의 통계는 정확한 숫자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대다수는 실종자 통계에서 가정복귀율이 높아지는 데 관심을 기울일 뿐 몇 십년 째 자녀를 애타게 찾고 있는 부모들의 존재는 대부분 기억하지 못한다. 자녀를 잃은 채 고통 가운데 살아온 이들은 그동안 국가로부터 홀대를 받았고 관심의 대상에서 비껴갔다. 자녀를 실종했다는 것은 당사자 아동은 물론 부모에게도 동일한 비극적 생애사건라고 할 수 있다. 실종자녀가족 중 많은 수가 가족해체로 이어진다는 기존 연구결과[17, 19, 21, 25]는 이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시킬 필요성을 제기해 준다. 이혼이나 부부갈등의 위기가 심각하다는 것은 그만큼 이들이 받는 심리적, 정서적, 경제적 고통의 실상을 보여주는 예가 될 것이다. 이런 가족들의 고통은 당사자만의 문제로 끝나지 않고 결국 사회적 부담으로 이어진다. 이에 대한 대책을 위해서는 실종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조치를 취하는 것이며 실종아동의 조속한 가정복귀가 무엇보다 선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회가 실종자녀 가족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이들의 상실감을 다루어줄 수 있고 역량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다양한 심리, 정서지원서비스, 경제적 지원과 같은 실질적인 개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실종아동보호지원체계는 많은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지만 비교적 단시간에 법적 근거를 갖추고 다양한 지원체계를 마련하는 등 아동복지서비스로서의 위상을 높였다고 볼 수 있다. 법적지원 체계가 갖춰지면서 실종아동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시행되어져 왔고 사회복지적 개입방향을 위한 논의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어져 왔다. 하지만 그간의 연구는 주로 실태조사와 정책 및 제도 개선에만 주목했을 뿐 국내외적으로 실종아동 부모들이 겪는 구체적인 삶에 대한 총체적 분석과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 과정은 소홀히 다루었다. 실종아동의 부모나 가족에 대한 외국 연구[9, 12, 33]도 소수 있지만 경험세계를 탐색한 연구들은 많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아동복지제도 체계의 상이성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문화적 특성에 맞는 실천개입전략을 구상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실종아동 부모들의 경험을 다룬 일부 연구[24, 31]는 대부분 그들이 겪는 고통이나 적응의 문제를 파편적인 삽화로 소개하는 데 그치고 있으며 이들의 경험을 위기사건이라는 고정된 시점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묘사한다.

    이와 같이 실종아동과 관련된 국내외 연구는 그 주제의 다양성은 물론 제시된 연구결과 등에 있어 상당한 실천지식기반을 구축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종아동 부모에 대한 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이다. 실종아동 부모연구가 실종아동 체계나 제도에 대한 연구보다 미진한 것은 이들에 대한 접근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도 중요한 이유이지만 이들이 실종보호체계에서 서비스의 주체자로 인식되지 못한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장기실종부모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실종수색대상에서 제외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실종당시 가출인 가족3)으로 분류되어 국가로부터 체계적인 지원을 받지 못했다. 일부 부모들은 자녀의 가출을 방조하거나 자녀를 유기한 사람으로 오해받기도 했다. 생업을 전폐하고 자녀를 찾기 위해 백방으로 뛰어다니는 이들의 고통을 더 이상 사회가 외면해서는 안 될 것이다. 실종된 자녀가 범죄의 표적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지만 장기실종자로 일단 분류되면 수사과정에서도 배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종사건으로 야기된 모든 고통은 부모가 떠안게 된다. 실종아동지원체계의 궁극적 목표는 실종아동의 조속한 발견을 통해 가정복귀를 도와 가족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장기실종아동 부모를 위해서는 첫째, 실종아동관계기관과 실종아동부모와의 유기적 협조를 통해 이들을 위한 실질적인 정서적, 심리적 지원을 마련함으로써 이들이 상실경험을 극복하고 가족을 재건할 수 있는 실천개입 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장기실종아동 부모들을 위한 지원방안이 다각도로 마련되어 심리적 후유증에서 벗어나도록 해주고 자활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할 것이다. 셋째, 이들을 서비스 수혜자가 아니라 전문가로 인정하고 강점관점으로 접근할 수 있는 실천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과거 위기사건과 유착(癒着)되어진 채 상실감으로 고통스러워하는 가족유형으로 정형화시켜 보지 않고 실종자녀 부모 당사자의 관점에서 이들의 경험세계를 드러냄으로써 그러한 경험이 어떻게 의미화하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본 연구자는 내부자적 관점에서 이들의 경험에 주목하고 이들이 구성한 의미와 경험의 본질구조에 주목하고자 한다. 연구주제가 잘 알려지지 않은 실종자녀 부모의 경험의 내용을 파악하고 이해하기 위해 서는 질적 연구 접근방법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이들의 살아있는 경험의 이해와 의미를 도출하기 위해서 해석학적 현상학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해석학적 현상학은 연구참여자의 구체적인 경험세계의 의미와 구조를 드러내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an-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을 원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연구질문은 ‘장기실종아동 부모의 경험은 어떠한가’이다.

    1)최근에 실종아동을 소재로 다룬 영화가 제작되면서 세간에 주목을 받았다. 특히 이형호군 유괴살인사건을 다룬 ‘그놈 목소리’,와 1991년 대구 초등학생 5명의 실종사건을 다룬 ‘아이들’은 실종사건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다.  2)2011년 4월 개정된 「실종아동 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서는 한국판 ‘엠버경보제’를 도입하였다. 이 제도를 통해 12시간 이내 실종자를 발견할 수 있도록 초동조치를 강화하고 관계기관과의 정보연계, 위치추적 시스템 가동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3)「실종아동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 당시인 2005년을 기준으로 신고당시 14세 미만으로 정의되면서 그 이전에 실종돼 이미 14세를 넘은 아동은 모두 가출 처리되어 실종자녀의 가족은 가출인 가족으로 분류되기도 했지만 2011년 이후 개정된 실종법에서 ‘실종당시 14세’로 변경되어 실종아동수색이 가능토록 했다.

    Ⅱ. 선행연구 고찰

    ‘실종’의 사전적 개념은 ‘사람이 사라져서 종적을 알 수 없게 되는 일’이라고 간단하게 제시하고 있지만[35] 기존문헌에서 실종의 유형은 상당히 다양하게 정리되어져 있다. 실종의 유형을 가족의 유괴, 가출, 납치, 부모가 자녀에게 집을 나가라고 강요하는 행위(thrown away), 비자발적인 실종, 길을 잃어버림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하고 있다[14]. 우리나라「실종아동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서는 “실종아동등”이라 함은 약취, 유인, 사고 또는 가출을 하거나 길을 잃는 등의 사유로 인하여 보호자로부터 이탈된 아동들을 말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또한 실종과 관련된 기존문헌에서 아동의 실종은 낯선 사람 또는 가족이나 친지에 의한 유괴 및 납치, 가출을 포함하여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된다고 기술하고 있다[15]. 이중에서도 낯선 사람에 의한 유괴는 가장 위험한 상황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킨다[14]. 또한 아동의 실종은 부모 및 가족의 납치에 의해서도 자행되며 자발적인 가출도 발생하기 때문에 엄격하게 원인을 파악하는 일이 쉽지 않다[12]. 가령 우리나라의 경우도 이전에는 ‘실종자’와 ‘가출자’를 가르는 기준이 편의적인 경우가 많아 유괴 또는 납치되어 사라진 범죄 피해자도 가출자로 구분되어 수사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많았다4). 자녀가 일단 실종되면 아동의 양육책임을 소홀히 했다는 비판을 받거나 가족내 불화로 인해 자녀가 가출한 것으로 오해를 받기도 했다[14]. 이러한 문제점은 실종수사에 혼선을 야기했을 뿐만 아니라 실종사건이 장기화되는데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있었다.

    자녀와 오랫동안 분리된 채 살아가는 가족들은 심리적 외상과 가족갈등을 경험하게 된다[12]. 실종을 연구한 논문에서 가족구성원들은 비현실적인 감정을 공유하거나 혼란과 충격의 경험으로 인해 정신적 고통과 무력감을 경험했다고 보고한다[9]. Boss[3]는 ‘모호한 상실감(ambiguous loss)’의 개념을 사용하여 실종자녀가족과 같이 상실을 경험한 사람들의 경험세계를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여기서 ‘모호함’은 경계가 분명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상실감을 의미한다[1, 2]. 특히 실종자 가족들은 물리적으로 부재하더라도 여전히 살아있을 것이라고 강하게 믿기 때문에 풀 수 없는 숙제를 안고 지낸다. 특히 가족구성원의 실종이후 겪게 되는 상실감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세대를 거쳐 문제가 지속되는 경향이 높다고 했다[2, 3, 4].

    실종아동 가족을 다룬 많은 연구들은 주로 부정적 문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자녀실종 후 애도반응, 우울증상, 대인관계에서의 문제 등 다양한 가족의 위기를 다루고 있다[9, 12, 19, 31]. 대부분의 국내외 문헌들은 실종아동을 위한 국가 정책 도입을 위한 탐색적 논의 및 실종아동의 개념, 정책 및 법적 제도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다루고 있는데 주로 초기부터 비교적 최근에까지 이어져 온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기존 연구들을 주제별로 구분하여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종아동 제도 및 정책[9, 16]과 사업에 대한 평가 연구[18, 21]. 엠보시스템 평가[13], 실종아동 홍보전단지 개선방안[26]등 구체적인 정책발전을 제안한 연구 등 다수가 있다. 이 연구들은 주로 전반적인 실종제도를 고찰하면서 바람직한 실종대책 방안을 모색하는 주제를 담고 있는데 실종아동을 위한 정책적 개선을 도모하고 사회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Jeong 등[18]은 미복귀 장기실종아동의 경우 아동 1인 실종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비용을 5억 7천만원으로 추산하기도 했다.

    둘째는 국내외 실종아동관련 연구들은 실종아동의 실태조사 및 실종원인분석에 대한 주제가 많은데 [12, 20, 31] 실종자녀 부모들의 생활실태를 다루면서 경제적 상황이 자녀실종이전보다 악화되었으며 가정내 불화가 많이 발생했음을 언급하였다.

    셋째는 경찰수사와 관련된 연구[24, 28, 29]들로서 이 연구들은 실종아동 수사체계와 운영과정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는데 실종수사과정에서 경찰의 전문성 강화를 언급했다. 또한 실종수사제도의 개선점으로 각 행정기관과의 효율적인 업무분장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넷째는 실종아동의 부모에 대한 연구[22, 25, 27]들이 있다. 외국문헌에서조차도 실종자녀 부모의 구체적인 경험을 다룬 연구는 거의 찾기 어렵다[9]. 소수 연구가 있지만 특정 시점에서 수집된 양화된 자료를 기초로 실종아동 가족의 외현적 문제에만 초점을 맞추었다[32]. 일부 연구[22, 25]들은 질적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당사자들이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내적 세계를 탐색하기도 하였다. 위의 연구들은 주로 실종아동부모들의 자녀찾는 과정을 시간적 변화추이를 통해 분석해 봄으로써 이들을 돕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들을 언급하였다. 실종아동부모의 경험을 다룬 일부 연구[25]에서는 실종이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가족의 고통은 심화되기도 했지만 한편 새롭게 비상하고자 하는 가족의 희망도 함께 제시하고 있다. 외상사건이후 개인적 성장을 다룬 연구나 암으로 자녀를 사별한 부모들의 경험연구에서도 자녀와의 단절이 새로운 변화를 위한 에너지로 전환되는 동력이 되었다고 보고한다[8, 23]. 그러나 가족원의 상실을 다룬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상실이라는 의미를 구체적으로 탐색하거나 부모의 경험세계를 심층적으로 조명하지 못했다. 최근 외국문헌에서는 실종자가족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를 치료할 때 ‘모호한 상실’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 개입방법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5, 14]. 특히 상실감을 다룬 연구중에서는 개인심리적 특성을 조망하는 기존 관점에서 벗어나서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실종자 가족을 연구한 논문도 있다[4, 7]. 이러한 문헌에서는 실종되었다는 불확실함을 수용하는 문화일수록 가족들에게 역기능적 문제가 덜 발생한다는 사실을 밝혔다[3, 4, 5, 6]. 이는 실종자 가족의 상실감을 이해하는데 사회문화적 관점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구조적 맥락에서 실종아동 부모들의 경험의 의미를 다루어봄으로써 이들에 대한 논의의 지평을 확장시키고 구체적인 실천적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4)연구참여자 1과 연구참여자 5는 유아기에 해당되는 자녀가 실종되었을 당시 경찰에서 가출자로 처리하여 초동수사를 제대로 하지 못했다고 회고했다.

    Ⅲ. 연구방법

       1.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Van-Manen [34]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에 기초하여 실종아동 부모의 구체적인 경험의 본질구조를 파악하고자 한다.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는 개인의 주관적인 삶의 경험을 이해하고 그것의 본질적인 구조를 규명하려는 정향을 지닌 연구방법[34]으로서 경험의 본질을 밝히고 인간경험에 대한 이해를 돕는 방법이다. 따라서 실종자녀 부모들의 경험의 의미를 밝히고 본질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이 연구방법은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자는 실종자녀 부모의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 Van-Manen[34]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분석틀이 유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고 그가 제시한 일련의 단계에 따라 진행하였다. 먼저 본 연구자는 연구참여자들과의 심층면담을 진행하면서 주제와 관련된 현상이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특정한 주제에 집중하여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하는 현상을 드러낼 수 있는 본질적 주제를 찾는 것에 집중하였다. 이를 통해 실종아동부모의 생활세계에 대한 통찰력 있는 분석을 하고자 했다[32].

       2. 연구참여자 선정

    본 연구에서 실종자녀부모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기 위해 구체적인 준거를 마련하였다. 첫째, 실종자녀 부모를 누구로 한정할 것인가에 대해서 법적 기준을 우선 적용하였다.「실종아동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2조에 따르면, “실종아동등”이라 함은 약취, 유인, 사고 또는 가출하거나 길을 잃는 등의 사유로 인하여 보호자로부터 이탈된 아동등을 말한다. 2013년 개정된「실종아동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서는 실종아동의 연령을 만 18세 미만으로 확대적용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종아동은 실종당시 18세 미만으로 한정하였다. 또한 실종자녀 부모중 의도적으로 자녀를 유기한 후 사회적 이목이 두려워 미아로 신고하는 경우가 드물게 발생하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실종자녀를 찾는 데 충분한 시간을 할애한 부모로 한정시켜 참여자 선정을 하였다. 특히 장기실종이라 함은 적어도 부모가 자녀를 실종한 지 15년 이상의 시간이 흐르고 다각도로 실종자녀를 찾기 위해 노력중인 자로 한정하였다. 이들은 2005년 「실종아동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기 전에 자녀를 잃은 가족들은 그 당시 가출인 가족으로 분류되어 국가 및 사회로부터 법적 도움이나 지원을 거의 받을 수 없었다. 이런 상황에서 실종아동 부모들이 겪는 고통의 경험은 극심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자녀의 실종이후 십년 이상의 긴 시간은 참여자들에게 또다른 내적 재구성의 과정을 거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위의 기준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총 6명의 참여자를 선정했다.

       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눈덩이표집방법(snowball sampling)을 이용하여 연구참여자 6인을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실종아동부모들이 운영하는 협회를 통해 연구참여자를 소개받았고 소개받은 참여자들을 통해 자조모임에 참여하는 또 다른 참여자들을 만날 수 있었다. 장기실종과 그 가족에 대한 연구자의 관심은 부모들과 공유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주었고 그들의 마음을 열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해 주었다. 일부 참여자는 실종된 자녀의 이야기가 세상에 많이 소개될수록 자식을 찾을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질 거라는 믿음을 갖고 인터뷰에 기꺼이 협조하기도 하였다. 실종사건이라는 가슴 아픈 과거를 잘 드러내지 않을 것이라는 연구자의 판단과는 달리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쉽게 마음을 열고 기꺼이 이야기를 담담하게 풀어내었다. 실종아동부모들은 그동안 언론매체와 여러 번 인터뷰를 진행했고 협회를 직접 운영하면서 적극적으로 자신들의 목소리를 사회에 알리는 일을 하고 있었던 터라 면담과정에서 경험을 담담히 풀어내었다. 하지만 실종 당시를 회상할 때는 눈물을 흘리면서 말을 잇지 못하기도 했다.

    본 연구에서는 반구조화된 면담을 진행하였고 1회 면담은 연구에 대한 소개, 전반적인 삶의 과정에 주목하였다. 2회 이상 면담에서는 구체적인 주제에 관심을 두었고 연구참여자들의 실종경험의 의미과정에 초점을 맞추었다. 면담은 참여자별로 평균 1-3회 이상 진행하였으며 1회당 평균 100-130분정도 소요되었다.

    이 연구에서 수행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Van-Manen [34]의 연구방법은 글쓰기의 방법을 중시하기 때문에 먼저 전체적인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녹취한 자료를 여러 번 반복해서 읽었다.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담자료를 바탕으로 녹음자료를 필사하였으며 필사자료는 녹음자료와 비교분석하면서 지속적으로 읽었다. 이 필사자료를 읽으면서 줄단위 분석(line-by-line)을 통해 참여자들이 자주 언급한 언어표현에 집중하고 그들의 문장을 확인하면서 텍스트들을 의미가 구성될 수 있는 주제들로 구분하였다. 자료는 의미단위분석과정을 거쳤고 범주와 본질적 주제로 구분하여 범주화하면서 경험의 의미를 구조화시켜 나갔다. 의미단위(meaning units)는 연구하고자 하는 현상과 관련된 내용과 주제 등을 담고 있는 자료의 분절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의미단위와 범주과정을 추출하기 위해서 단위를 구분하였고 동료지지집단과 함께 숙의과정을 거쳤다. 또한 범주화는 의미단위의 유사점을 찾아 이를 개념화하는 작업으로 서로 관련성있는 의미단위를 묶는 상위범주로 발전시켰다. 마지막으로 본질적 주제는 연구참여자들의 필사자료에서 드러난 경험 등을 추상화된 개념으로 구성하였다. Van-Manen의 현상학적 연구에서 본질적 주제란 현상학적 해석과 성찰을 통해 관통하는 의미로 구성된 것을 말한다[35]. 총 21개의 범주를 분석한 결과 7개의 공통된 주제인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자는 참여자의 입장을 충분히 드러내고자 원자료를 훼손하지 않고 개념을 추출하고자 했으며 이를 근거로 해석학적 글쓰기를 하였다.

       4. 연구참여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본 연구참여자들은 자녀의 실종 사건 이후 정서적으로 고통을 경험하였기 때문에 세심한 준비과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실종사건 이후 심각한 부정적 정서를 경험했다는 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신중한 태도로 접근하였다. 특히 과거 사건을 반추하면서 겪게 될 정서적 고통을 충분히 고려하여 말하고 싶지 않을 때는 말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을 분명히 알렸다. 연구과정에서 본 연구자는 먼저 연구의 목적과 절차, 면담내용의 녹취 등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연구 목적 이외에는 자료를 활용하지 않을 것임을 고지하였다.

       5. 연구의 엄격성

    본 연구에서는 Padgett[30], Denzin과 Lincoln[10]이 언급한 일반적인 지침을 충분히 고려하여 연구의 엄격성을 지키도록 노력하였다.

    첫째, 연구참여자와 충분한 관계형성을 유지하면서 인터뷰자료를 녹취하였다. 둘째, 다원화(triangulation) 방법중 동료지지집단의 활용과 연구참여자에게 돌아가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복지전문가와 사회복지학 박사 2인을 동료지지집단으로 활용함으로써 연구의 방향제시 및 연구방법론 구성에 직간접으로 도움을 받았다. 특히 자료분석과정에서 분석이나 해석과정에서 모호한 점이나 불일치한 내용에 대해서는 연구참여자의 의견을 구하였다.

    Ⅳ. 연구결과

       1. 참여자의 특성

    본 연구에 참여한 참여자는 총 7명이며 이들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에 제시하였다.

    [

    ]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label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2)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는 19개의 하위범주와 7개의 본질적 주제를 추출하였고 이 결과는 Table 2에 제시하였다. 분석결과에서는 먼저 본질적 주제를 중심으로 참여자들의 경험세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한 이후 해석학적 글쓰기를 통해 이들의 경험세계에 대한 현상학적 해석과 성찰과정을 제시하였다.

    [

    ] Sub Categories and Essence of the Theme of Experience

    label

    Sub Categories and Essence of the Theme of Experience

    (1) 본질적 주제 분석

    ① 이타적 삶의 목표를 세움

    이들에게 자녀실종사건은 내적 변화를 경험하는 계기가 되었다.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자녀를 잃은 뒤 암흑에 갇혀 방향감각을 잃은 채 긴 세월을 보냈다. 심각한 우울증을 경험하기도 했고 목숨줄을 놓을 만큼 하루하루가 위기였다. 그러나 힘든 삶속에서 참여자들은 숨고를 시간을 갖고 새로운 돌파구를 찾고자 했다. 남들은 그들의 인생을 ‘박복한 인생’이라고 수근거렸지만 그들에게 실종사건은 오히려 새로운 돌파구를 찾는 계기가 되었다. 참여자 3은 “아이를 다시 찾기 위해서는 내가 더 열심히 하느님의 말씀안에서 살아야 겠다”라는 생각을 갖게 했고. “착한행동을 많이 하면서 봉사활동을 더 많이 했어요”라고 말했다. 참여자 5는 신장을 기증하기도 했다.

    이러한 타자와 자신과의 관계맺음은 자녀실종이라는 사건으로 인한 후유증에서 벗어나기 위한 실천 전략이기도 했다. 이와같이 실종사건이후 타자에 대한 사회적 외연이 확장된 근거는 실종자녀에 대한 존재의 부채를 갚기 위한 행위였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참여자들은 자식에게 죄를 지은 자로 자신을 받아들였다. “저는 (아이에게 큰 죄를 지어서) 이후 죽어서도 선산에 유골을 묻을 수가 없습니다(참여자 5).” “어디서든지 제가 이런 선한 행동을 하면 우리아이에게 좋은 일이 있을 거라고 생각해요(참여자2)”라는 이야기처럼 자신의 존재 전체를 육박하는 커다란 부채를 안고 살아가는 연구참여자들에게 베푸는 삶은 자녀에게 빚을 갚는 행위 자체였다. 이런 행위는 자신과 화해할 수 있는 통로이자 업을 씻는 과정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② 최후의 보루로서의 가족

    참여자들은 실종사건이후 남겨진 가족과 크고 작은 갈등이 많았다고 토로했다. 하지만 가족들은 기댈 유일한 안식처였다. 이들에게 남겨진 가족들은 ‘든든한 빽’이 되었다. 가족때문에 힘든 세월을 견딜 수 있었다고 회고했다. 자녀의 실종이후 남편의 가족폭력과 갑작스러운 이혼으로 인해 남다른 아픔을 간직했던 일부 참여자들조차도 남겨진 가족의 존재는 새로운 의미로 다가왔다.

    “마치 그 아이가 하늘에서 큰 아들에게 계시를 내린 것 같았어요 지금 여기에는 없지만 우리를 연결해 주는 것 같았어요”(참여자 6) 라는 말처럼 자녀가 현존하지는 않지만 참여자를 포함한 가족들을 존재의 끈으로 연결해주는 힘이 되었다고 믿고 있었다. 가족이란 시공간을 초월하여 하나로 연결시키는 강력한 신념을 부여했다.

    “이혼한다면 우리 아이를 찾을 이유가 없는 거지요. 자녀를 만난 이후 우리 부부가 이혼해 있으면 아이한테 얼마나 미안해요. 그리고 아무 의미가 없잖아요”라는 참여자 4의 진술과 같이 가족의 불화를 극복할 수 있는 것도 상봉이후 실종아동에게 가족의 존재를 인식시켜주기 위함이었다. 가족을 지키는 것은 부모로서 할 수 있는 자녀에 대한 도리라고 판단했다. 가족은 이와 같이 참여자들에게는 실존의 근거가 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③ 실존양식의 재구성

    이들에게 자녀의 잃어버림은 무엇인가를 채우기 위한 상실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부모이기 때문에 지닐 수 밖에 없는 원초적 모성본능은 모든 것이 파괴된 폐허의 잔해속에서도 모진 생명력을 부여했다. 고통스런 경험은 기억의 저편으로 멀리 묻어두고 싶었지만 참여자들은 이런 전략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자각을 했을 것이다. 어디있을지 모를 자식을 찾기 위한 집념은 강한 마력과 같이 강한 힘을 부여했다. 암과 사투를 벌이면서도 아이얼굴을 보고 죽어야 한다는 간절함이 죽음을 이길 수 있는 용기를 부여했고 생명의 시간을 연장케 했다.

    자녀실종이후 참여자들은 본래성을 회복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본래성은 불교적 의미에서는 자성(自性)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자성은 본래부터 갖고 있었던 심리적 상태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이들은 자녀가 실종되기 이전 본래의 자기(본래성)로 회귀하였고 오히려 이전보다 더 강한 내적 자아를 생성할 수 있었다. 벼랑끝으로 떨어질지 모르는 불안정한 삶속에서도 자신의 삶을 재기획할 수 있고 자기성을 회복할 수 있었던 근거는 바로 부모라는 정체성 때문이었을 것이다. 자녀의 생사를 확인할 수 없지만 원초적 핏줄의 끌림은 자녀를 위해 헌신하고자 하는 부모의 잠재적 지향으로 연결되었고 다른 아이를 돌보거나 관심을 갖는 일로 확장되기도 했다. 강한 모성본능의 힘은 이들에게 진지한 생애전략으로 작동하였다.

    ④ 익명의 존재로 살아가기

    연구참여자들은 자녀실종이후 마치 촛불처럼 사위어 버린 위태하고도 초라한 모습 그 자체라고 자신을 평가했다. 자녀가 실종된 뒤 번듯한 직장도 그만두고 전 재산을 쏟아부으면서 오로지 자녀찾는 일에 집중했다. 그러면서 모아놓은 재산도 다 잃었고 몸과 마음은 피폐되어갔고 마음의 안식처를 찾을 수 없었다. “친구들도 다 떠나갔어요. 동창모임에는 거의 나갈 수 없었어요.”라고 회고했다.

    연구참여자들은 아동이 실종된 후 사회적 적소를 상실한 채 살아갔다. 이들은 한동안 편견과 낙인으로 인해 고통을 당했다. “오죽 못났으면 자기 자식을 잃어버리냐”(참여자 3)는 주변사람들의 시선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죄책감으로 괴로워하던 마음은 이 말 한마디로 무너져버렸다. 시간이 흘러 주변에서 받는 낙인은 세인(世人)들의 바쁜 일상사에 묻혀 서서히 잊혀갔지만 여전히 이들은 이전의 사회적 위치를 회복하기가 쉽지 않았다. 우리 사회에서 자녀란 정상성을 확인하는 경계선이기도 했다. 정상성이란 한 개인을 공동체로 포섭하는 수용기제라기보다는 편 가르기 또는 밀어내기의 기제로 작동하기도 한다. 자녀를 잃었고 그로 인해 가족이 해체되었다는 경험은 세상에 귀를 막은 채 자신들을 은폐시키는 데 더 익숙해지게 했다. 이들에게 사회적 고립은 현실의 고단함을 적극적으로 망각하려는 행위정향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⑤ 고통의 반복추 체험

    고통기간이 긴만큼 후유증 또한 길었다. 일부 연구참여자들은 아이를 잃어버린 과거시간에 갇혀 있었다.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허탈함을 경험한 이후 짧게는 18년 길게는 40년 가까이 영혼이 고문당하는 듯한 고통속에서 지내고 있었다. 참여자 1은 오죽 부모가 못났으면 자식을 잃어버리냐는 주변의 비난을 감지했다고 회고했다. 이들은 자신이 한결같이 부모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못했다는 죄책감이 깔려 있었다.

    참여자들의 상실의 근저에는 죄책감이라는 공통정서가 깔려 있었다. 참여자 4는 치안에 취약했던 재개발 지역에 자녀와 함께 살았다는 것이 아이를 잃어버리게 한 결정적 요인이었다고 자책했다. 참여자 3은 생계를 위해 인적이 드문 외딴 곳에 개를 키우며 살았던 것이 한없는 죄책감으로 다가왔다. 가슴을 바위로 짓누르는 죄책감은 소소한 일상의 기쁨조차도 애써 외면했다. 자녀가 어디에서 어떤 일을 당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편안히 웃고 떠들 수 없었다. 자녀 실종사건의 이후 가족사진은 찍을 수 없었고 휴가 한번 편안하게 다녀올 수 없었다. 무엇보다 아이가 이 세상 어딘가에서 살면서 부모가 나를 버렸다고 원망하며 지낼거라고 생각하면 가슴이 미어진다고 했다. 참여자 5는 “나는 종산에 못들어 갑니다. 내가 죄인이기에 흐르는 물에 내 유골을 뿌려달라”고 했을만큼 강한 죄책감을 비췄다.

    ‘피붙이’라는 용어에서 말해주듯이 핏줄이란 인위적으로 단절할 수도 없고 어떠한 상황과 악조건에서도 부모와 자식을 이어주는 혈연의 힘 그 자체였다. 자녀라는 실체는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더라도 끝까지 부모자신과 연결된 것, 어쩌면 부모 안에 있는 또 다른 자신이었을 수도 있었다. 심리적 연결이 강할수록 죄책감이라는 정서는 깊이 드러났을 수 있었다.

    한편으로 죄책감은 자기징벌적 행위라고도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참여자들의 부적 정서는 내적 경험은 사회적 실존의 근거를 위협하며 변방에 고립된 채 삶의 의지를 상실케 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었다.

    ⑥ 죽을 수 없게 반쯤 목을 조인 채 살아온 인생

    가족구성원의 실종은 물리적으로 부재하더라도 심리적으로는 결별할 수 없는 실체가 있는 사건이다. 참여자 3은 “어떻게 해서든지 찾아야 해요,. 시체라도 발견되면 잊어버리는데 어디에 있는지 이게 정말 사람을 미치게 합니다”라고 토로했다. 참여자들은 아이의 사별보다 더 받아들이기 힘들다고 했다. 참여자 6에게 실종사건은 40년째 이어지고 있는 현재진행형이다. 참여자들에게는 신용불량자로의 전락(참여자1), 암의 발병(참여자6), 아내의 자살과 자살기도(참여자3) 등은 정도의 차이가 있었지만 연구참여자들에게 똑같은 무게로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

    실종사건이후 이들은 어두운 그림자를 달고 살았고 할 수 있다. 아이가 어떻게 되었을지 모른다는 불안과 공포는 늘 걷히지 않고 참여자들을 짓누르고 있었다. 참여자 3의 완전히 무너져 내렸다는 의미는 곧 운명론적 체념과도 맞닿아 있었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⑦ 없기 때문에 더 각인된 존재

    실종아동부모들에게 실종아동은 역설적이지만 없기 때문에 더 각인된 존재였다. 실종아동에게 아이 찾는 일은 인생 중에 이뤄야 할 무의식적인 각오였다. 이들은 지금도 실종부모보다는 ‘00’이 엄마라고 불리는 것을 더 원했다. 참여자 6은 아이를 잃은 지 40년이 흐른 뒤 아무도 00이를 기억하는 이들은 없지만 00이만큼은 내 아들, 내가 부모라는 자각을 늘 하면서 살았다.

    참여자 3은 “목숨 따위는 두렵지 않다고. 심장일부라도 팔아서 아니 다 떼어주더라도 00이를 꼭 찾고 싶다”고 했다. 이러한 믿음을 무조건적 낙관이라고 치부할 수도 있었지만 그들에게는 잃어버린 자녀는 삶의 존재근거가 된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늘 이들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었지만 심리적으로 하나였다. 지금 나와 함께 있는 자식보다 더 강하게 연결되었다. 모성은 여성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었다. 성을 떠나 부모로서의 양육과 보호본능은 성통합적 개념이었다. 아버지의 자녀를 향한 애끓는 행위는 내 살을 잘라서라도 해후하고 싶은 본능적 욕구 그 자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들은 자식과의 재결합을 갈망하는 삶과 자식이 없이 살아야 하는 삶을 동시에 살아내어야 하는 이들의 삶을 ‘마중물을 붓는 삶’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마중물은 깊은 곳에 있는 물을 끌어올리기 위해 붓는 물을 말하는데 이들에게 자녀는 깊은 곳에 있는 물이고 자녀를 빨리 만나기 원하는 참여자들의 애끓는 심정은 이를 끌어올리기 위한 물이라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2) 해석학적 글쓰기

    실종사건은 가족들에게는 큰 외상경험이기도 하지만 일부 참여자들에게는 자아 및 사회관계에서의 질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비극적 사건을 경험한 뒤 벼랑끝에서 인생을 위태위태하게 살아내고 있지만 혹독한 시련을 비관하지 않고 운명의 마중물을 붓는 것처럼 인격을 재구조화시키면서 존재론적 관점에서 실존적 자각을 하기도 하였다. 이들에게 잃어버린 자녀는 살아가는 근거이자 존재의 부채이기도 했다. 이들은 자신의 삶을 재기획하여 신장기증을 하였고 선행을 실천하고자 애썼다. 자녀를 잃은 이후 세상에 대한 원망을 품기도 했고 목숨줄을 놓을 생각까지 했지만 슬픔과 자책감이 오히려 고귀한 인간애로 승화되는 기폭제 역할이 되었다. 참여자들은 안타까운 가족의 불행사가 더 이상 반복되지 않기 위해 실종아동을 위한 법을 만드는 데 온 힘을 기울였다. 이제는 내 아이가 아니라 우리 아이를 위해 온힘을 쏟으면서 사회적 외연의 확대가 이뤄졌다. 또 다른 의미에서 이런 행위는 실종자녀에게 빚을 갚는 의미이자 자신과 화해할 수 있는 통로역할을 하였다고 해석된다.

    자녀의 생사를 확인할 수 없지만 여전히 원초적 핏줄의 끌림은 고단한 삶에서도 버팀목역할을 해주었다. ‘피붙이’라는 단어가 시사하는 바와 같이 우리문화에서 가족은 서로의 존재를 이어주고 확인하는 존재의 끈이라고 할 수 있다. 실종사건은 족쇄와 같이 이들을 과거에 가두고 삶을 파괴하는 고통 그 자체였고 심리적 후유증은 현재진행형이었다. 하지만 자녀라는 존재는 물리적으로 부재했지만 여전히 강하게 심리적으로는 연결되어져 있었다.

    이와 같이 실종자녀가족은 ‘없음으로서 현존한다’는 역설적인 특성을 갖고 있었다. Boss[18, 19, 20]는 이를 ‘모호한 상실감(ambiguous loss)’으로 표현했지만 본 연구에서 가족이란 ‘부존함으로서 공존하고 있음’으로 표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가족이 흩어지더라도 가족은 여전히 서로의 존재를 확인시켜 주는 근거요 삶을 지탱해 주는 중심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현존함으로써 함께 살아가는 가족과 부존함으로써의 가족’이라는 의미를 실종자녀 가족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찾아볼 수 있었다.

    가족은 상호간에 단합되어진 신념으로 공유되어지는 집단이기 때문에 구성원이 물리적으로 부재하더라도 이를 단순히 병리성을 갖고 있다고 판단할 수는 없을 것이다. 비록 자녀와 살을 부비면서 살지 못하지만 그런 삶속에서 여전히 부모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하면서 소임과 역할을 다해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들에게 자녀의 부존재는 불안을 야기할 수 있지만 세상으로 나아가게 하고 가족의 소망을 붙들게 하는 또 다른 상징물이 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Ⅴ.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장기실종아동 부모가 자녀를 실종한 후 겪었던 경험을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여 이들의 경험의 본질구조를 살펴보고 이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이들의 삶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이들에게 상실은 실존적 차원에서 보면 다른 것을 채우기 위한 잃어버림으로 회복과 동의어로 귀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자신의 생의 의미를 새롭게 구성하면서 산산이 조각난 생애 파편들을 재조합할 수 있고 인생을 새롭게 재구성할 수 있는 힘을 갖게 했다. 자녀의 실종사건이후 가족이 해체되었다는 기존연구[15, 25]와 같이 본 연구참여자들의 상당수도 가정폭력 및 이혼 등의 어려움을 경험했다. 그러나 외상후 성장(posttrauma growth)을 통해 새롭게 인생을 통찰하게 된 이들도 적지 않았다.

    둘째, 본 연구에서 실종사건으로 아동과 분리된 부모들이 경험하는 상실감을 Boss[2, 3]는 이것을 ‘애매모호한 상실감’이라고 정의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를 ‘부존함으로써 현존하는 가족’이라는 의미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기존연구에서는[2, 3, 4, 8] 아동을 실종한 가족뿐 아니라 재난 등의 사고로 시신을 찾을 수 없는 실종자 가족들의 상실감을 개입할 때는 사회문화적 관점을 면밀하게 파악하여 임상현장에 활용할 것을 언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참여자들의 상실의 의미에는 죄책감의 정서가 강하게 깔려 있었다. 내가 잘못해서 자녀가 실종되었다는 인식은 가족을 집합주의적 개념으로 이해하고 혈연성을 강조하는 우리 문화의 특성과 관련되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 사회에서 ‘피붙이’라는 용어가 말해주듯이 자녀는 더 이상 생활공간에 존재하지 않지만 여전히 나와 강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믿음이 강했다. 여전히 부모로서의 역할과 정체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또한 우리 사회에서는 자녀를 양육한다는 것을 정상적인 가족의 유형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높다. 우리 사회에서 정상성이란 한 개인을 공동체로 포섭하는 수용기제라기보다는 편 가르기 또는 밀어내기의 기제로 작동하기도 하기 때문에 자녀를 잃고 가족해체경험을 한 가족들은 사회의 부정적 시선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내적 상실감을 더 강하게 경험할 수도 있었다. 이러한 문화적 특수성 안에서 실종자녀를 둔 부모들이 정서적 고통의 깊이를 더 가중시킬 수 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실종자 가족들이 겪는 ‘모호한 상실’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거의 규명된 바가 없기 때문에 이들의 경험을 보다 사회 문화적 관점이라는 틀안에서 총체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실종아동부모의 삶의 회복을 돕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기실종아동 부모들의 부정적 정서를 다루어 줄 수 있는 구체적인 상담개입방법이 필요할 것이다. 실종사건을 부모의 소임을 다하지 못해 발생한 사건으로 받아들이려는 경향이 높았다. 이로 인해 강한 죄책감을 경험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의 죄책감을 다루어줄 수 있는 실천개입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우리 사회에서 가족을 고정된 실체로 파악하고 정상적인 가족신화를 고수하는 경향이 높을수록 자녀 없이 살아가는 부모들은 사회로부터 배제될 개연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들을 병리적인 시각에서 바라보지 않고 다양한 가족의 유형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사회인식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아울러 장기실종아동 부모를 위한 다각적인 실천프로그램이 마련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정신적 외상을 치유할 수 있는 전문상담 및 가족치유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이들은 대부분 생계유지가 어려운 빈곤계층이기 때문에 상담비를 지불하고 장기치료를 받을 수 있는 형편이 못된다. 그리고 상담을 받기 위한 시간을 내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저비용으로 상담프로그램을 진행하거나 아웃리치서비스(out- reach service)를 시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외국에서는 실종아동부모들을 위한 사례관리프로그램 뿐 아니라 자조모임, 옹호프로그램 등을 실시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실종아동이 부모와 상봉한 이후 회복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37]. 따라서 가족 및 부모들의 개별적 욕구를 고려한 다양한 개입방안이 강구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장기실종아동 부모들을 위한 강점 관점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실종아동부모들을 단지 피해자적인 시각에서 병리적으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실종사건이 비극적 사건을 넘어 개인의 성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강점관점으로 접근할 수 있는 개입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연구참여자들에게 의미치료가 필요할 것이다. 자신의 삶을 어떻게 의미화하고 해석하는가에 따라 사건을 다르게 규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개입방안에 도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실천 전문가들은 실종아동 부모를 가장 탁월한 전문가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 이들은 수십년 간 실종수색과정뿐 아니라 법안을 만들고 개정하는 과정에 직간접으로 참여하면서 다양한 전문지식을 축적하였다. 이들을 수혜자로만 간주하지 않고 아동의 보호 및 양육체계에서 큰 축을 차지하는 관계인으로 간주하여 사회복지서비스과정에 의견을 충분히 개진할 수 있는 준전문가 또는 전문가로 활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자신들에게 주어진 소여범주 안에서 적극적으로 실종사건의 의미를 실존차원에서 재구성하고 새롭게 해석했다. 이들에게 실종사건은 삶을 재기획할 수 있는 내적 힘을 부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종아동 부모의 경험의 본질을 규명하고 의미화시켰다는 점이 이 연구의 의의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의 한계점은 실종아동 부모들을 다양하게 참여시키지 못했다는 것이다. 주로 협회에 등록된 이들을 중심으로 인터뷰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실종아동 부모들의 경험을 다양한 스펙트럼으로 조형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1. Betz G., Thorngren J. M. (2006) Ambiguous loss and the family grieving process. [The Family of Journal: Counseling and Therapy for Couples and Families] Vol.14 P.359-365 google
    • 2. Boss P. (1999) Ambiguous loss: Learning to live with unresolved grief. google
    • 3. Boss P. (1999) Ambiguous loss: Living with frozen grief. [The Harvard Mental Health Letter] P.4-6 google
    • 4. Boss P. (2002) Ambiguous loss: Working with families of the missing. [Family Process] Vol.41 P.4-17 google cross ref
    • 5. Boss P., Beaulieu L., Turner W., Wieling E., LaCruz S. (2003) Healing loss, ambiguity, and trauma: A community-based intervention with families of union workers missing after the 9/11 attack in new york city.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Vol.29 P.455-467 google cross ref
    • 6. Boss P. (2006) Loss, trauma, and resilience: Therapeutic work with ambiguous loss. google
    • 7. Bowlby J. (1980) Loss, sadness and depression. google
    • 8. Calhounm L. G., Tedeschi R. G. (2006)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google
    • 9. Clark J., Warburton J., Tilse C. (2009) Missing siblings: Seeking mire adequate social responses. [Child & Family Social Work] Vol.14 P.267-277 google cross ref
    • 10. Denzin N. K., Lincoln Y. S. (1994)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google
    • 11. Finkelhor D., Hotaling G, T., Sedlak A. (1991) Children abducted by family members: A national household survey of incidence and episode characteristic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53 P.805-817 google cross ref
    • 12. Finkelhor D., Asdigian N., Hortaling G. (1996) New categories of missing children: Injured, lost, delinquent, and victims of caregiver mix-ups. [Child Welfare] Vol.76 P.291-310 google
    • 13. Griffin T. (2010) An empirical examination of AMBER Alert 'successes'. [Journal of Criminal Justice] Vol.38 P.1053-1062 google cross ref
    • 14. Howard B. J., Broughton D. D. (2004) The pediatrician's role in the prevention of missing children.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Vol.114 P.1100-1105 google
    • 15. Jasper M. C. (2006) Missing and exploited children: How to protect your child. google
    • 16. Jeon H. S. (2007) Legislation policy about missing children. [HUFS Law Review] Vol.28 P.369-394 google
    • 17. Jeong I. J. (2006) Missing children of Korea, current status of policy for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The First Anniversary Celebrations Sourcebook of National Center for Missing Children. google
    • 18. Jeong I. J., Kim S. C., Song J. S. (2009) Analysis of socioeconomic costs of child missing.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Vol.61 P.371-389 google
    • 19. Jeong K. U., Park E., Na H. M., Park J. Y. (2005) A study about care and support of missing children. google
    • 20. Kim S. S., Lee B. K., Kwon H. S. (1988) The report of missing children prevention and occurrence cause of missing children. google
    • 21. Kim S. C., Song J. S., Jeong I. J. (2007) Analysis of socioeconomic costs of child missing. The Second Anniversary Sourcebook of National Center for Missing Children. google
    • 22. Kim S. C., Lee E. J. (2011) A qualitative study for the time series changes of searching of long-term.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36 P.51-87 google
    • 23. Kim S J., Ida M., Shin K. R., Yang S. O. (1994) The lived suffering experiences of mothers who have lost a child: A study using human becoming research methodology. [Nursing Science] Vol.6 P.5-31 google
    • 24. Kim Y. H. (2009) The actuality of the missing cases and its countermeasure of the police. [Korean Association of Police Science] Vol.11 P.33-55 google
    • 25. Kim J. W. (2010) A study on the experiences parents with missing children. google
    • 26. Lampinen J. M., Arnal J., Hicks J. L. (2009) The effectiveness of supermarket posters in helping to find missing children.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Vol.24 P.406-423 google cross ref
    • 27. Lee E. J. (2009) A qualitative study on the search effort of long-term missing children’s parents. google
    • 28. Lee Y. H., Kim D. K. (2008) A study on the police’s measures to deal with child missing incidents. [Korean Police Studies Association] Vol.8 P.181-198 google
    • 29. Lim J. S. (2009) A study on the problems and desirable way of improvement in the police investigation of missing children cases. google
    • 30. Padgett D. K. (1998)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 and rewards. google
    • 31. Park E. S. (2008) The influences of resilience of the missing children’s family on the family stress. google
    • 32. Park J. Y. (2008) Experience of committing suicide of elderly suicide survivors: The fling from a quince knob. google
    • 33. Patterson G. T. (2007) Examining missing person police reports to identify the service needs of runaway youth and their families.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Vol.16 P.73-88 google cross ref
    • 34. Van-Manen. M. (1990)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Suny Series, Philosophy of Education. google
    • 35. http://ko.wikipedia.org google
    • 36. http://www.missingchild.or.kr google
    • 37. http://www.missingkids.com/support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Table 1> ]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 [ <Table 2> ]  Sub Categories and Essence of the Theme of Experience
      Sub Categories and Essence of the Theme of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