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The Effect of Professionalism on Case Management Role Performance Among Professional Domestic Violence Counselors 가정폭력전문상담원의 전문성이 사례관리 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 비영리 CC BY-NC
ABSTRACT
The Effect of Professionalism on Case Management Role Performance Among Professional Domestic Violence Counselors

본 연구는 가정폭력 방지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시설에서 종사하는 가정폭력전문상담원을 대상으로 전문성이 사례관리 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사례관리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16개 권역에 위치한 여성긴급전화1366센타, 경상남도, 부산, 울산 지역에 위치한 가정폭력상담소,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에서 근무하는 상담원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통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첫째, 가정폭력전문상담원의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후에, 전문성의 하위변인인 전문가적 태도와 전문적 능력은 사례관리 역할 수행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폭력전문상담의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후에 사례관리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절변수로 투입한 결과 전체 설명력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폭력전문상담원의 사례관리 역할 수행에 따른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논하였다.

KEYWORD
Domestic Violence , Professional Domestic Violence Counselors , Case Management-role Performance
  • Ⅰ. 서론

    가정폭력은 비록 1960년대 중반에 정신의학 문헌에서 처음 언급되기는 했으나(Snell et al, 1964), 여성운동이 있기까지는 사회적 주목을 받지 못했었고 1970년대 이르러서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는, 세계적으로 많은 여성들이 친밀한 파트너 폭력을 경험하고 있기(Gillioz et al., 1997; Hagemann-White, 2001; Heise, 1999; Jaspard et al., 2001; Kelleher et al., 1995; Lundgren & Westerstrand, 2002; Rӧmkens, 1997; Sharp & Compbell, 1999; Statistics Canada, 1993) 때문일 것이다. 매년 천오백만명 이상의 여성들이 친밀한 파트너 또는 이전 배우자에 의해 학대받고 있고(Miller & Wellford, 1997; Straus & Gelles, 1986), 학대를 당하는 많은 여성들이 친밀한 관계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를 하다가 행위자에 의해 죽음의 위협을 받아 왔다(Browne, 1987; Schutte et al., 1988). 가정폭력이 자신과 무관한 문제가 아니라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사회적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시각의 변화를 가져오게 된 것은 국제적으로 가정폭력이 만연하고 그 피해가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Reisenhofer & Seibold, 2007: 3).

    그러나 가정폭력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피해자가 폭력관계성을 단절하는 행동 선택을 하는 것은 쉽지 않다. 피해여성들은 원조를 요청하기 전에 평균 35차례의 폭력 사건을 경험함(Boyle et al., 2004)에도 불구하고 피해를 노출하기 꺼려하는데, 이는 행위자로부터의 위협, 재정적 어려움, 성역할에 대한 고수, 서비스 제공자들에 대한 불신 등이 이유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로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을 이용했던 여성의 41.7%가 결혼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가정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50%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여성가족부, 2005; 강호선, 2008b: 30-33에서 재인용).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이 지속적인 폭력 피해에도 불구하고 그 관계성을 떠나지 못하는 이유는, 지속적인 폭력 결과인 피해자 증후군, 사회적 지지체계의 부족, 자녀 양육에 대한 두려움, 가족 구성원에 대한 피해의 우려, 부정적 사회인식(신은주, 1995) 등이 상호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정폭력피해자에게는 포괄적이고 통합적 서비스가 요구되어진다(Biere & Scott, 2006; Foa et al., 2000; Ide & Paez, 2000; Kelly et la., 2010; Spinazzola et al., 2005). Kelly 등(2010)은 가정폭력 피해자로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를 경험하고 있는 대도시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대상자들이 포괄적인 정신건강서비스들(mental health services)에 접근하는 데 장벽을 가지고 있다고 했고, 이들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아웃리치와 사례관리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사례관리는 현재에 초점을 둔 대처 전략을 모색함으로써 주거․재정․의료적 욕구, 법률 집행과 관련한 원조 개입과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가 그들의 일상의 삶에서 항상성을 유지하고 안전을 획득하도록 원조(Kelly et al., 2010)하기에, 많은 연구자들은 가정폭력 피해자의 외상(trauma)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개입을 통해 안전을 확보함과 동시에 필요로 하는 서비스들과의 연결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사례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Bassuk, et al., 2001; Kilpatrick et al., 1997).

    사례관리는 비교적 장기적이고 복합적인 문제를 가진 클라이언트들을 대상으로 하여, 협력관계를 통해 수립한 개입계획을 바탕으로 욕구 충족과 기능 개선을 위해 연속적이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조정하는 활동이다. 가정폭력 피해자 스스로가 폭력관계성을 종결하고 안전한 삶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정 기간 동안 서비스가 계속적으로 진행되어지도록 하는 데 있어서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선행 연구들에서는 사회복지사와 상담원, 경찰, 의사 등의 가정폭력 관련 전문직들의 태도와 신념, 개입방법을 비판적으로 평가하면서, 가정폭력 서비스 전달주체들의 한계점으로 인해 피해여성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하였다(장희숙 외, 2001; 이인구 외, 2002; 허남순 외, 2003). 또한, 가정폭력 관련 시설들이 특정 지역에 편중되어 있고, 무분별한 확대 속에 상담소 내부 격차로 인해 실제 서비스를 이용하려던 여성이 제대로 도움을 받지 못하고 피해를 보는 일이 발생하는 등, 양적 확대가 실제적인 접근성 제고와 질적인 제공으로까지는 이어지지 못했다고 지적하고 있다(김승권 외, 2008). 이러한 연구 결과는 관련 전문직들의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에 따른 역할 수행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가정폭력을 예방하고 피해자 보호를 위한 서비스 전달체계로서의 직접적 관련 시설로는 여성긴급전화1366센타, 가정폭력 관련 상담소,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시설, 가정폭력 관련 상담원 교육훈련시설을 들 수 있는데, 이 중 가정폭력 상담원 교육훈련시설을 제외한 세 시설이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에 대한 서비스 전달의 실제적 담당기관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 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실천가는 일반적으로 가정폭력전문상담원으로 일컬어지는데, 이들에게는 가정폭력 피해자들이 폭력으로부터 안전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인간의 존엄과 기본권, 평등사상, 비폭력 등의 가치를 기반으로 하여 사례관리자 역할 수행이 요구되어진다. 그러나 지금까지 가정폭력피해자 사례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제시(강선경․임윤형, 2005; 강호선, 2008a; 문옥희, 2009; 박영란․황정임, 1999; 엄명용, 2001; 변화순 2009)되어져 왔으나 실증적인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사례관리 역할 수행이 가정폭력피해자를 위한 현장 실천가의 전문적 역할이라고 볼 때, 현재로서는 가정폭력피해자를 위한 사례관리자의 역할 수행력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성이 사례관리 역할 수행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례관리 필요성 인식이 이들 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를 검증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는 가정폭력피해자 사례관리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없는 현재의 상황에서 실천가들의 수행력을 향상시키는 데 따른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1. 이론적 배경

    1) 사례관리자의 일반적 특성

    가정폭력전문상담원들의 사례관리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구체적인 평가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이루어진 바가 드물어 탐색적으로 조사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과 관련한 요인으로는 주로 성별, 연령, 직위, 학력, 근무연수 등을 언급하고 있다.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를 통해 그들의 역할 수행 증진 방안을 연구한 선행연구들에서는 연령에 따라 사회복지사들의 임파워먼트 수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박선아, 1994; 이규선, 2003; 최승아, 2002). 박선아(1994)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임파워먼트의 정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은 여러 시행착오를 겪은 결과 행동 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이혜원(2008)의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타 사례관리자의 서비스 연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에서 연령이 서비스 연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의 연령인 경우 공동협의를 더욱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서도 임파워먼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박선아, 1994; 김혜진, 2007). 즉, 학력이 높을수록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 정도도 높다는 것이다. 그러나, 반대의 연구 결과도 있는데, 학력에 따라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는 차이가 없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윤민화, 1999; 최승아, 2002; 송지영, 2004). 현정애(2009)에 따르면, 근무연수는 사회복지사의 조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기관에서 근무연수가 오래될수록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익힘으로써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Caragonne(1980)의 연구나 Intagliata와 Barker(1983)의 연구에서 사례관리 직무경력이나 경험이 사례관리수행에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Moore(1990: 444), Fiorentine과 Grusky(1990: 79-30)는 사례관리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조직구조적인 요소들을 강조하고 있다. 즉, 조직은 사회복지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상담원의 연령, 학력, 근무연수, 그들이 속한 기관을 일반적 특성 변인으로 보았다.

    2) 사례관리자의 전문성

    선행연구에서는 사회복지사가 역할 수행을 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전문성을 들고 있다. 윤정혜(2002)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의 발휘, 전문적 가치와 윤리가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했고, 재가복지 사례관리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업무의 전문성이 높을수록 사례관리 집행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유미예, 2002).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책임행동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전문성이 중요한 변인으로(송유미, 2008: 206), 사례관리자의 전문성 부족은 역할 수행을 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을 겪게 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이준상․박정민, 2007). 여기서 전문성이라 함은 전문적 태도와 전문적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들 하위변인 모두가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폭력전문상담원들이 가정폭력 피해자 사례관리 역할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전문성은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으로 보았다.

    본 연구에서 전문성의 의미는, 사례관리자가 그들의 역할 수행을 위해서 가치와 윤리에 입각한 전문가로서의 태도를 유지하며, 보유하고 있는 지식과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한다. 이에 근거하여 전문성의 하위요인으로 전문가적 태도와 전문적 능력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전문가적 태도는 실천가가 가치와 윤리에 기반하여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임하는 자세라고 할 수 있다. 이상준(2000: 23)은 전문성 강화에 관한 연구에서 전문직의 태도적 속성은 실천가가 자신의 일을 보는 태도의 반영으로, 전문가의 역할 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가 갖는 전문가로서의 태도는 사회복지사로서의 정체성, 사회복지사가 가지고 있는 전문성, 사회복지사로서의 사명감 등과 깊은 관련을 갖는다(박종삼, 1984). 따라서, 가정폭력 피해자에 대한 개입을 하는 가정폭력전문상담원은 사회복지 가치와 윤리 체계 내에서 기능하는 전문가적 태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전문적 능력은 실천가가 가치와 윤리에 입각한 전문가적 태도를 유지하며 지식과 기술을 조화롭게 융합하는 역할 수행의 실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제시되었다(김경희, 2000; 이인재, 1993). 가정폭력전문상담원의 전문적 능력이라 함은, 가정폭력에 대한 정보 수집과 사정을 통해 개입계획을 수립하고, 수립한 계획에 따라 가정폭력 피해자 개인과 집단, 가족을 대상으로 실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

    3) 사례관리 필요성 인식의 조절효과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전문상담원의 전문성과 사례관리 역할 수행과의 관계에서 사례관리 필요성 인식이 조절 효과를 나타내는가를 연구가설로 정하고 그 검증을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는 가정폭력전문상담원의 사례관리 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해서는 특정 요인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요인들간의 상호작용 결과가 시사하는 바를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조절변수는 종속변수의 수준을 결정하는 데 있어 독립변수와의 상호작용을 시험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통계검증은 조절변수의 작용을 통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차별적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Baron et al., 1986; 안관영, 1999; 임진섭, 2007: 45에서 재인용).

    개인이 추구하는 가치와 조직이 추구하는 가치가 일치하는가의 여부는 조직몰입(박지연, 2004; 현희정, 2002; Lutrick & Moriaty, 2002; Sliva, Thomas, Mayoral, & Yoshihara, 2002)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조직 내 개인의 수행을 예측한다는 연구결과가 있으며(Cable & Judge, 1996), 조직시민행동(박지연, 2004; 현희정, 2002)과도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과 직무간의 상호 부합성은 개인과 특정 직무간의 일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개인의 능력과 직무 요구 특성간의 적합으로 정의되어지는데(Edward, 1991), 개인과 직무간 부합은 직무수행과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O'Reilly et al., 1991). 다양한 부합 유형이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개인-환경간 부합에 대한 이해를 더욱 풍요롭게 하여, 복잡한 환경들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연구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다양한 부합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다(Kristof-Brown et al., 2002; 최명옥, 2004에서 재인용).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 서비스 전달 기관으로서 사례관리 직무 수행이 필요하다(문옥희, 2009; 박영란․황정임, 1999; 변화순, 2009; 엄명용, 2001)라고 하는 직무환경이 요구하는 가치와 가정폭력전문상담원 개인의 전문성이 어떻게 상호작용 하여 사례관리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에 기반하여, 사례관리 필요성 인식은 전문성과 사례관리 역할 수행 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2. 연구 가설

    Ⅲ. 연구 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대상 및 자료집방법

    조사대상은 전국 여성긴급전화1366센타, 경남․부산․울산 지역에 위치한 가정폭력상담소,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 종사자 전원으로,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국의 여성긴급전화1366센타 16곳, 경남에 위치한 가정폭력상담소 19곳,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 7곳, 부산에 위치한 가정폭력상담소 11곳,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 3곳, 울산에 위치한 가정폭력상담소 7곳,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 2곳을 대상으로 총 291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회수율은 85%로 총 247부를 회수하였으나, 그 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무성의한 9부를 제외한 총 238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3. 측정 도구

    1) 통제변수 : 연령, 학력, 근무연수, 기관

    (1) 연령 : 연령은 25세 이상 30세 미만, 30세 이상 40세 미만, 40세 이상 50세 미만, 50세 이상 60세 미만, 60세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2) 학력 : 학력은 전문대졸 이하, 대학교 졸업, 석사졸업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3) 근무연수 : 근무연수는 1년 미만, 1년 이상 5년 미만, 5년 이상 10년 미만, 10년 이상 15년 미만, 15년 이상 20년 미만으로 구분하였다,

    (4) 기관 : 기관은 가정폭력상담소와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 여성긴급전화1366센타로 구분하였다. 가정폭력상담소와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의 개입 문제는 가정폭력에 한정되지만, 여성긴급전화1366센타의 개입 문제는 가정폭력, 성폭력, 성매매라는 여성 3대폭력을 포함한 위기 여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기에, 가정폭력에 한정하는 앞의 두 기관을 1로, 여성긴급전화1366센타를 0으로 하여 더미변수로 전환하였다.

    2) 독립변수 : 전문성

    본 연구에서의 전문성은 가정폭력전문상담원이 사례관리 역할 수행을 위한 전문가적 태도와 전문가로서의 능력을 갖추고 있는 상태로 정의하였다. 이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전문가적 태도 8문항과 전문적 능력 6문항을 합하여 총 1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전문가적 태도는 전문가 가치와 윤리에 기반하여 실천현장에 임하는 자세로 규정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실천가의 전문성을 측정한 이명신(2002)의 것에서 3문항, 전문가의 자세를 측정하기 위해 여금숙(2001)이 사용한 것에서 1문항, 본 연구자가 정한 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전문적 능력은 가정폭력 상담원이 그들의 역할 수행을 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갖추고 이를 행동으로 옮기는 것을 의미한다. 측정도구로는 가정폭력전문상담원 교육 내용을 기반으로 본 연구자가 구성한 6문항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문항들은 ‘전혀 그렇지 않다’ 에서 ‘아주 많이 그렇다’ 까지의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채점방식은 단순 누가식으로 총합을 사용하며, 총합의 점수가 높을수록 전문성 정도가 높은 것으로 측정된다. 전문성에 대한 신뢰도 분석 결과는 전문가적 태도의 Cronbach’ α 값은 .835, 전문적 능력의 Cronbach’ α 값은 .924로 나타났다.

    [표 1] 전문성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결과

    label

    전문성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결과

    3) 종속변수 : 사례관리 역할 수행

    가정폭력 사례관리 역할 수행이라 함은 가정폭력 피해자가 폭력으로부터 안전한 삶을 선택할 수 있도록 협력적 활동을 통해 욕구를 구체화 하여 이에 대한 실현을 원조하는 활동으로 정의하였다. 척도는 김명숙(1999), 김한양(2006), 유미예(2002)의 사례관리 역할에 관한 내용을 참고 하여 총 28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각각의 문항들은 ‘전혀 실시하지 않는다’ 에서 ‘항상 실시한다’ 까지의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채점방식은 단순 누가식으로 총합을 사용하며, 총합의 점수가 높을수록 사례관리 역할 정도는 높은 것으로 측정된다. 사례관리 역할 수행의 Cronbach’ α 값은 .924로 나타났다.

    [표 2] 사례관리 역할 수행 신뢰도 분석 결과

    label

    사례관리 역할 수행 신뢰도 분석 결과

    4) 조절변수 : 사례관리 필요성 인식

    본 연구에서의 사례관리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총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는, 정민숙(2003)과 윤수현(2000)의 것에서 비용절감에 대한 문항을, 윤수현(2000)의 것에서 서비스의 지속성, 서비스 중복 방지에 대한 문항을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구성하였다. 각각의 문항들은 ‘전혀 필요하지 않다’ 에서 ‘아주 많이 필요하다’ 까지의 4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채점방식은 단순 누가식으로 총합을 사용하며, 총합의 점수가 높을수록 사례관리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측정된다. 사례관리 필요성 인식의 Cronbach α 값은 .998로 나타났다.

    [표 3] 사례관리 필요성 인식 신뢰도 분석 결과

    label

    사례관리 필요성 인식 신뢰도 분석 결과

       4. 자료분석 방법

    분석은 통계프로그램인 SPSS for Windows 15.0을 사용하여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나타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독립변수와 조절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최종분석에 사용된 조사대상자의 수는 238명으로, 이들에 대한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표 4〉와 같다. 연령별 분포는 40세 이상 49세 미만이 49.2%(117명)로 가장 많았고, 50세 이상 59세 미만이 20.6%(49명), 30세 이상 39세 미만이 20.2%(48명), 25세 이상 30세 미만이 7.1%(17명), 60세 이상 65세 미만이 2.9%(7명)의 순서로 나타났다. 학력별 분포는 대학교 졸업이 57.1%(136명)로 가장 많았고, 석사졸업 이상 22.3%(53명), 전문대학 졸업 이하 18.5%(44명)의 순서로 나타났다. 근무연수는 1년 이상-5년 미만이 45.4%(108명)로 가장 많았고, 5년 이상-10년 미만이 29.4%(70명), 1년 미만이 18.1%(43명), 10년 이상 15년 미만이 6.3%(15명), 15년 이상 20년 미만이 0.8%(2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 유형은 여성긴급전화1366센타가 53.4%(127명)로 가장 많았고, 가정폭력상담소 30.3%(72명),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이 16.4%(39명)로 나타났다.

    [표 4]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label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변수들간의 상관관계 검증

    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의 문제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에 사용되는 주요변수 간의 단순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표 5〉와 같다. 아래의 변수들 중 기관은 더미변수이다. 일반적으로 변수들 간에 상관관계가 0.8이상일 때,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의심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변수들 간의 상관계수가 0.8에 미치지 않는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표 5] 변수간 상관관계 행렬표

    label

    변수간 상관관계 행렬표

       3. 가정폭력전문상담원의 전문성이 사례관리 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사례관리 필요성 인식의 조절효과

    가정폭력전문상담원의 전문성이 사례관리 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사례관리 필요성 인식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는〈표 6〉과 같다. 가정폭력전문상담원의 전문가적 태도와 전문적 능력이 높을수록 사례관리 역할 수행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항 투입 전 모델의 설명력은 37.8% (R2=.378)이고, 모델의 적합도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항 투입한 후의 모델에 대한 설명력은 43.0% (R2=.430)이고, 모델의 적합도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항 투입 전과 비교할 때, 설명력이 5.2% 증가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설명력이 유의미한 수준 하에서 증가를 보이기 때문에 사례관리 필요성이 조절하는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사례관리 필요성 인식이 높을수록 사례관리 역할 수행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항을 투입했을 때는, 전문적 능력과 사례관리 필요성 인식의 상호작용항이 사례관리 역할 수행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례관리 필요성 인식의 고․저 수준에 따라 전문적 능력과 사례관리 역할 수행 간의 회귀방정식은 다음〔그림 2〕와 같다. 사례관리 필요성 인식을 평균 이하는 ‘낮다’(기준선 0)와 평균 이상은 ‘높다’(기준선 1)로 구분하였는데, 직선의 기울기가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상호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사례관리 필요성 인식의 조절효과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기울기가 큰 사례관리 필요성 인식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전문적 능력이 사례관리 역할 수행에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6] 전문성과 사례관리 역할 수행간 관계에서 사례관리 필요성의 조절효과

    label

    전문성과 사례관리 역할 수행간 관계에서 사례관리 필요성의 조절효과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가정폭력전문상담원의 전문성이 사례관리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들 관계성에 사례관리 필요성 인식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에 대한 요약과 그에 따른 함의,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가정폭력전문상담원의 전문성은 사례관리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연구와 동일한 결과(강순영, 2000; 도광조, 2009; 유미예, 2002)라는 점에서는 새로운 것이 없으나, 사례관리 실천에 대한 구체적 논의조차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가정폭력 실천 현장에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점차 사회복지 영역이 확대되고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각 영역에서는 실천가의 보다 숙련된 전문적 역할과 활동이 요구되고 있다. 사회복지기관의 궁극적 목적은 클라이언트와 지역사회에 질 높은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은 조직구성원들이 담당하고 있는 각자의 역할 수행에 필요한 전문성을 갖추고 있을 때 가능한 것이다.

    가정폭력전문상담원은 가정폭력에 대한 전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폭력 피해자들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어진다(Macy et al., 2009).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욕구와 대응전략, 원조를 추구하는 과정에서의 행동선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Shannon et al., 2006) 피해자가 속한 상황과 사회문화적 환경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개별화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Lamphere et al., 1993). 어떤 경우에는 가정폭력 행위자의 병리적 상태가 원인일 수 있는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는 남성이 여성에 대한 통제의 책략에서 기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경우에 있어서는 사회 구조들과 사회적 과정들, 사회적 강제와 관련되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환경 내에서의 클라이언트의 삶과 상황들에 대한 반응, 상호작용 과정 등에 대한 통찰을 가능하게 하는 접근으로서의 사례관리 실천이 필요하다(Nancy, 2001).

    사례관리는 가정폭력에 대한 다양한 차원의 실제적 접근을 추구하므로 실천적이고 예방적 접근을 할 수 있는 보다 유용한 개념적 틀을 제공해 준다고 할 수 있다. 사례관리는 가정폭력 피해자와 협력하여 그들의 안녕을 도모하고 욕구 실현을 위한 단계적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는 점에서 가정폭력 피해자를 위한 실천상의 유용한 개입모델인 것이다. 그러나 우국희 등(2007: 290)에 따르면, 사례관리가 사회복지 현장에서 반드시 수행해야 하는 의무로 규정되기 시작했지만, 명확한 지침의 부재로 인해,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례관리는 대부분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노력과 전문적 역량에 의해 좌우된다고 하였다. 상황이 이렇고 보니, 사례관리 실천은 실천가와 기관의 역량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고 전문성에 있어서도 커다란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황성철, 1995; 우국희 외, 2007: 290에서 재인용). 사례관리에 대한 충분한 논의와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사례관리에 대한 업무지침이나 매뉴얼이 제공되지 않은 상황에서 필요성을 이유로 실천이 요구되는 현재의 상황은 상담원들에게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업무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기에 향후, 사례관리의 핵심적 특성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모델과 업무 지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가정폭력전문상담의 일반적 특성을 통제한 후에 사례관리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절변수로 투입한 결과 전체 설명력이 증가하였고 F변화량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결과, 전문적 능력과 사례관리 필요성 인식의 상호작용항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특정 변인에 대한 영향을 다른 유형의 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영향을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최명옥, 2004: 56), 가정폭력상담기관들이 가정폭력 사례관리 역할 수행을 증진하기 위한 조직 환경을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가정폭력전문상담원은 가정폭력 피해자가 폭력 피해를 노출하도록 조장하고 안전성을 제공하는 환경을 창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위치에 있는 만큼, 사례관리 역할 수행에 따른 역량을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기관에서는 가정폭력전문상담원들이 전문가로서의 사명과 자세를 확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대처와 실천 활동에 대한 평가를 통해 서비스의 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따른 적극적인 노력을 필요로 한다. 가정폭력 피해자 사례관리에 대한 체계적 교육과 훈련 과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갖는 한계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여성긴급전화1366센타만을 전수 조사하였고, 그 외에는 경상도, 부산, 울산 소재 가정폭력상담소,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에 종사하는 가정폭력전문상담원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조사대상으로 한 이유는, 여성긴급전화1366센타, 가정폭력상담소, 가정폭력피해자보호시설은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서 가정폭력 방지 업무를 명문화 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적으로 제한을 둔 것은 조사의 편의성과 시간의 제한성 때문이었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가정폭력 방지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들이 상당수 분포하고 있고, 이들 기관 이외에도 건강가정지원센타1), 지역사회복지관, 일선의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비롯한 가정폭력에 개입하는 다양한 실천 현장이 존재하지만 이들을 포함시키지 않았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지역적 환경과 실천 세팅에 따라 독특한 특성을 갖는다는 한계가 존재하기에 전국적 규모의 가정폭력 사례관리 실태조사 또는 지역별 비교조사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가정폭력전문상담원의 사례관리 역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상담원이 자기 기입한 설문지의 내용을 기반으로 했기에 주관성이 존재한다. 가정폭력 사례관리 역할에 대한 효과성 평가를 위해서는, 클라이언트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사회복지 분야에서 강조되고 있는 클라이언트 중심적 접근을 위해서는 향후, 사례관리 역할이 클라이언트에게 미치는 영향 또는, 사례관리 역할에 따른 클라이언트의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 분석 하는 연구가 필요하리라고 본다.

    1)건강가정기본법상의 시설로 동법 제21조(가정에 대한 지원) 2항 7호에서는 가정폭력으로부터의 보호를 규정하고 있다.

참고문헌
  • 1. 강 선경, 임 윤형 (2005) [노인복지연구] Vol.30 P.191-213
  • 2. 강 순영 (2000)
  • 3. 강 호선 (2008a) [한국가족복지학] Vol.13 P.45-68
  • 4. 강 호선 (2008b) [한국가족복지학] Vol.13 P.27-57
  • 5. 김 경희 (2000)
  • 6. 김 명숙 (1999)
  • 7. 김 승권, 김 유경, 조 애저, 김 성희, 이 건우, 곽 배희, 박 소현, 신 연희, 정 춘숙, 채 규만, 현 혜순, 김 은경, 전 영실, 강 은영 (2008)
  • 8. 김 한양 (2006)
  • 9. 김 혜진 (2004)
  • 10. 도 광조 (2009)
  • 11. 문 옥희 (2009)
  • 12. 박 선아 (1994)
  • 13. 박 영란, 황 정임 (1999)
  • 14. 박 종삼 (1984) [사회복지]
  • 15. 박 지연 (2004)
  • 16. 변 화순 (2009)
  • 17. 송 유미 (2008) [한국 지역사회복지학] Vol.27 P.195-210
  • 18. 송 지영
  • 19. 신 은주 (1995) [평택대학교 사회복지연구]
  • 20. 안 관영 (1999) [인사관리연구] Vol.23 P.115-144
  • 21. 엄 명용 (2001) [사회복지정책] Vol.12 P.9-35
  • 22. 여 금숙 (2001)
  • 23. (2005)
  • 24. 우 국희, 김 영숙, 임 효연 (2007) [사회복지정책] Vol.30 P.287-310
  • 25. 유 미예 (2002)
  • 26. 윤 민화 (1999)
  • 27. 윤 정혜 (2002)
  • 28. 이 규선 (2003)
  • 29. 이 명신 (2002)
  • 30. 이 상준 (2000)
  • 31. 이 용표 (2009) [재활복지] Vol.13 P.79-110
  • 32. 이 인구, 백 유진, 박 민수, 박 인선 (2002) [가정의학회] Vol.23 P.344-352
  • 33. 이 인재 (1993)
  • 34. 이 준상, 박 정민 (2007) [사회복지개발연구] Vol.13 P.77-96
  • 35. 이 혜원 (2008)
  • 36. 임 진섭 (2007)
  • 37. 장 희숙, 허 남순, 김 유순 (2001) [한국가족복지학] Vol.7 P.231-254
  • 38. 최 명옥 (2004)
  • 39. 최 승아 (2002)
  • 40. 허 남순, 장 희숙, 김 유순 (2003) [한국가족복지학] Vol.5 P.299-324
  • 41. 현 정애 (2009)
  • 42. 현 희정 (2002)
  • 43. 황 성철 (1995) [한국사회복지학] Vol.27 P.282-304
  • 44. Baron R. M.,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rinctionin socia- psychology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1173-1182 google cross ref
  • 45. Bassuk E. L., Dawson R., Perloff J., Weinreb L. (2001)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extremely poor women: Implications for health care clinician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Women's Association] Vol.56 P.79-85 google
  • 46. Briere J., Scott C. S. (2006) Principles of trauma therapy: A guide to symptoms, evaluation and treatment. google
  • 47. Browne A. (1987) When battered women kill. google
  • 48. Cable D. M., Judge T. A. (1996) Person-Organization fit, job choice decisions, and organizational entr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67 P.294-311 google cross ref
  • 49. Caragonne P. (1980) An analysis of the function of the case managers in four mental health social service settings. google
  • 50. Edwards J. R. (1991) Person-job fit: A conceptual integration, literature on review and methodological critique. [International Review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6 P.283-357 google cross ref
  • 51. Fiorentine R., Grusky O. (1990) When case managers manage the seriously mentally ill: A role contingency approach. [Social Service Review] Vol.63 P.79-93 google cross ref
  • 52. Foa E. B., Keane T. M., Friedman M. J. (2000) Effective treatments for PTSD: Practice guidelines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raumatic stress studies. google
  • 53. Gillioz L., de Puy J., Ducret V. (1997) Domination et violence envers la femme dans le couple google
  • 54. Hagemann-White C. (2001) European research on the prevalence of violence against women. [Violence Against Women] Vol.7 P.732-759 google cross ref
  • 55. Heise L., Ellsberg M., Gottemoeller M. (1999) Ending violence against women. google
  • 56. Ide N., Paez A. (2000) Complex PTSD; A review of current issues.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ency Mental Health] Vol.2 P.43-49 google
  • 57. Intagliata J., Barker F. (1983) Factors affecting case management services for the chronically ill. [Administration in Mental Health] Vol.11 P.75-91 google cross ref
  • 58. Jaspard M., Brown E., Condon S., Firdion J. M., Fougeyrollas-Schwebel D., Lhomond B., Maillochan F., Schittz M.-A. (2001) National survey on violence against women in France (ENVEFF). google
  • 59. Jewkes R. (2002) Intimate partner violence: cause and prevention. [The Lancet] Vol.359 P.1423-1429 google cross ref
  • 60. (1995) Making the Links: Toward an integrated strategy for the elimination of violence against women in intimate relationships with men. google
  • 61. Kelly V. G., Merrill G. S., Shumway M., Alvidrez J., Boccellari A. (2010) Outreach, Engagement, and Practical Assistance: Essential Aspects of PTSD Care for Urban Victims of Violent Crime. [Trauma Violence, & Abuse] Vol.Ⅱ P.144-156 google cross ref
  • 62. Kilpatrick D. G., Acierno R., Resnick H., Saunders B. D., Best C. (1997) A two-year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among violent assault and substance use in wome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65 P.834-847 google cross ref
  • 63. Kristof-Brown A. L., Jansen K. L., Colbert A. E. (2002) A Policy-capturing satudy of the simultaneous effects of fit with jobs, groups and organizations. [Journal of Aplied Psychology] Vol.87 P.985-993 google cross ref
  • 64. Lamphere L., Zavella P., Gonzales F. (1993) Sunbelt working mothers: Reconciling family and factory. google
  • 65. Lundgren F., Westerstrand J. (2002) The omnipresence of violence in equal Sweden: The first prevalence study on men’s violence against women in Sweden. [Paper invited for the 7th Interdisciplinary Conference of the European Research Network on Conflict] google
  • 66. Lutrick E. C., Moriarty K. O. (2002) Measuring received fit directly and indirectly: Does method matter? [Presented at the 17th annual conference of the Society for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google
  • 67. Macy R. J., Ferron J., Crosby C. (2009) Partner violence and survivors’ chronic health problems: informing social work practice. [Social Work] Vol.54 P.29-43 google cross ref
  • 68. Miller S. L., Wellford C. F. (1997) Patterns and correlates of interpersonal violence. In A. P. Cardarelli(Ed.), Violence between intimate partners: Patterns, causes, and effects(pp. 16-28). google
  • 69. Moore S. (1990) A social work practice model of case management: The case management grid. [Social Work] Vol.35 P.444-445 google
  • 70. Nancy S. (2001) Fundamentals of case management practice : exercises and readings. google
  • 71. O C. A., Chatman J., Caldwell D. F. (1991) People and organizational culture: A profile comparison approach to assessing person-organizational fi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4 P.487-516 google cross ref
  • 72. Reisenhofer S., Seibold C. (2007) Emergency department care of women experiencing initimate partner violence: are we doing all we can?. [a Journal for the Australian Nursing Profession] Vol.24 P.3-14 google cross ref
  • 73. R?mkens R. (1997) Prevalence of wife abuse in the Netherlands: Combin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in survey research.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Vol.23 P.99-125 google cross ref
  • 74. Schutte N. S., Malouff J. M., Doyle J. S. (1988)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the victim, persuasive techniques of the batterer, and returning to a battering relationship.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128 P.605-610 google cross ref
  • 75. Shannon L., Logan T., Cole J., Medley K. (2006) Help-Seeking and coping strategies for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rural and urban women. [Violence and Victims] Vol.21 P.167-181 google cross ref
  • 76. Sharp P. W., Campbell J. (1999) Health consequences for victims of violence in intimate relationships. In X. B. Arriaga & S. Oskamp(Eds.), Violence in intimate relationships P.16-180 google
  • 77. Silva N. D., Thoman A., Mayoral L., Yoshihara M. (2002) Organizational strategy and empolyee outcomes. [Presented at the 17th annual conference of the Society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google
  • 78. Snell J. E., Rosenwald R. J., Robey A. (1964) The wifebeater’s wife: A study of family interact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11 P.107-112 google cross ref
  • 79. Spinazzola J., Blaustein M., van der Kolk B. A. (2005)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treatment outcome research: The study of unrepresentative sample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18 P.425-436 google cross ref
  • 80. (1993) The violence against women survey. google
  • 81. Straus M. A., Gelles R. (1986) Societal change and change in family violence from 1975 to 1985 as revealed by two national survey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48 P.456-479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그림 1 ]  사례관리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례관리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 표 1 ]  전문성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결과
    전문성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결과
  • [ 표 2 ]  사례관리 역할 수행 신뢰도 분석 결과
    사례관리 역할 수행 신뢰도 분석 결과
  • [ 표 3 ]  사례관리 필요성 인식 신뢰도 분석 결과
    사례관리 필요성 인식 신뢰도 분석 결과
  • [ 표 4 ]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 표 5 ]  변수간 상관관계 행렬표
    변수간 상관관계 행렬표
  • [ 표 6 ]  전문성과 사례관리 역할 수행간 관계에서 사례관리 필요성의 조절효과
    전문성과 사례관리 역할 수행간 관계에서 사례관리 필요성의 조절효과
  • [ 그림 2 ]  전문적 능력이 사례관리 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관리 필요성 인식의 조절효과
    전문적 능력이 사례관리 역할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관리 필요성 인식의 조절효과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