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한국 해양경찰 관련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Analysis Related to Korean Maritime Police
  • 비영리 CC BY-NC
ABSTRACT
한국 해양경찰 관련 연구 동향 분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ways to improve future tasks through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Korean maritime police - focusing on journal articles. For this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25 articles related to Korean maritime police in 5 major electronic journals using keyword search, and a contents analysis was used based on the analysis standards (year·time series, journals, researchers, research fields, and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e contents analysi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articles related to Korean maritime police was increasing after 2009. For the journal, most of articles were published in social science- and agricultural‧fisheries‧oceans-related journals. For the number of researchers, the rate of single-author research i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multiple-author research, and the proportion of professor is the highest in the position of authors. For the research field, more than the half of the articles were written related to maritime police administration and maritime police practice field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literature review was more frequent than the empirical study.

From the above results, to develop the research related to Korean maritime police, the improvement of both the volume and the quality of the research and the continuity of the research activation are required.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e restriction of analysis object articles, the intervention of subjectivity concerning selection of articles and analysis process.

KEYWORD
해양경찰 , 연구동향 , 내용분석 , 연구영역 , 연구방법
  • I. 서론

    1953년 우리나라 해양주권선인 평화선 수호 및 어업자원 보호를 위해 내무부 치안국 소속으로 창설된 해양경찰은 1991년 경찰청 소속 해양경찰청으로 변경되었으며, 1996년에는 해양수산부 외청으로 독립하였으며, 2005년에는 차관급 조직으로 격상되는 등 지난 60여년간 성장과 발전을 지속해왔다(해양경찰청, 2013). 이는 갈수록 해양 영토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국내외적 환경변화에 따라 해양경찰의 중요성과 역할이 증대해 왔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해양경찰과 관련된 학문 분야에서도 학문적 연구 기반의 조성과 관심을 고취시키는 등 또 다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해양경찰과 관련된 연구 성과물들이 계속해서 축적되어 오고 있으며, 대학에서 해양경찰 관련 학과가 개설되고, 해양경찰 관련 학회가 설립되는 등 해양경찰학이라는 학문적 독립성과 정체성 형성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 오고 있다. 1994년 해양경찰 발전에 기여할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국해양대학교에 해양경찰학과가 설치된 이후1), 경상대, 군산대, 목포해양대, 부경대, 전남대, 제주대를 포함하여 4년제 대학 7개교와 강원도립대, 조선이공대 등 2개 전문대학에 학과 신설·명칭변경·통폐합 등 학과 개편을 통하여 해양경찰 관련 학과가 설치되어 해양경찰 관련 학문이 하나의 학문영역으로 자리매김 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2010년 12월 해양경찰학자와 해양경찰 관련 실무자들을 중심으로 해양경찰 전문 학회라 할 수 있는 한국해양경찰학회가 창립되어 매년 학술대회 개최 및 학회보 발간을 통하여 해양 경찰학의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2)

    앞으로 이러한 해양경찰과 관련된 학문적 관심과 노력이 점점 발전하여 하나의 학문 영역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해양경찰에 대한 학문성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해양경찰과 관련된 학문적 정체성이나 독립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에 있으며, 또한 상대적으로 학문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인접 학문 영역과 비교해서도 해양경찰과 관련된 학문적 정체성과 차별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해양경찰학이라는 학문적 정체성을 정립하고 고유한 학문적 영역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 해양경찰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은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양경찰 관련 연구들의 전반적 흐름을 파악해 봄으로써 향후 해양경찰학으로서 학문적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는데 있어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한국해양대학교 해양경찰학과 홈페이지, http://mp.kmou.ac.kr, 검색일 2014년 10월 31일.  2)한국해양경찰학회 홈페이지, http://www.maritimepolice.kr/?mid=intro01_03, 검색일 2014년 10월 31일.

    II. 선행연구의 검토

    학술 연구 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들은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활발히 이루어져 오고 있다. 하지만 해양경찰과 관련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한 선행 연구들은 전무한 실정에 있어 관련 선행연구들로는 인접 학문 분야라 할 수 있는 경찰을 포함한 형사사법 분야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 연구들을 들 수 있다.

    먼저 경찰학 분야의 연구 경향을 분석한 선행연구들로는 임재강(2002), 김상호(2007), 이상원·이승철(2007) 연구를 들 수 있다. 그리고 경찰학 분야 이외에도 공안행정 분야의 연구경향을 분석한 이윤호·김순석(2006)의 연구, 교정학의 연구영역과 연구동향을 분석한 윤옥경(2004)의 연구, 피해자학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김지선(2009)의 연구 등이 있다.

    임재강(2002)은 국회도서관과 경찰대학 도서관 등에서 해방이후부터 2000년까지 한국에서 발표된 경찰학 분야의 논문 1만 2천여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아 한국의 경찰학 연구경향을 파악하였다. 첫째, 경찰학 연구논문의 역사적 연구 추세를 고찰하여 우리나라 경찰학 연구의 흐름과 발전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경찰학 연구의 역사적 추세분석(석사논문의 역사적 추이, 박사논문의 역사적 추이, 학술지 논문의 역사적 추이, 용역연구보고서의 역사적 추이, 실무사례보고서의 역사적 추이)을 실시하였으며, 둘째, 주제별 연구경향 분석을 위해 분석 대상 논문을 대주제(11개)·소주제(258개)별로 분류하고 시대별, 저자별, 출처별로 일반논문과 학위논문으로 구분하여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외국논문과의 비교분석을 위하여 미국, 일본, 대만, 독일의 일부 학술지 논문과 비교도 시도하였다.

    김상호(2007)는 우리나라 경찰학 연구들의 경향을 고찰하기 위해 한국공안행정학회보와 한국경찰연구에 게재된 경찰학 논문 220편을 추출하였으며, 관련 학문분야와의 비교연구를 위해 형사정책연구(117편), 교정연구(92편), 한국행정학보(201편)의 논문들에 대한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기준과 분석단위로는 연구자 관련(직업, 연구자 수, 연구비 지원), 연구 내용 관련(연구 분야, 연구 목적), 그리고 연구 방법 관련(자료수집방법, 연구 방법, 자료분석방법)으로 세분화하였으며, 경찰학 연구 경향성을 파악을 위해 3개 년도를 묶어 5개 시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원·이승철(2007)은 1991∼2007년까지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창간호부터 제26호까지 게재된 334편의 논문 중 경찰학 분야 논문 179편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 연구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시기별로 경찰학의 발전단계를 1999년 이전을 태동기로 2000년 이후를 성장기로 분류하여, 주제별(대 분류, 중 분류), 연구자별(연구행태, 성별, 게재횟수), 연구방법론(계량적 연구, 개념·서술적 연구, 질적 연구, 복합연구)으로 구분하여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에 초점을 두고 연구경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윤호·김순석(2006)은 1991∼2005년까지의 한국공안행정학회보에 게재된 274편의 논문을 중심으로 크게 연구자의 특성별 경향, 연구영역별 연구경향, 연구방법별 연구경향을 구분하여 공안행정 연구 분야에 대한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자의 특성으로는 연구자의 성별, 연구자의 소속기관, 지역, 논문 편당 참여 연구자의 수, 연구자의 직업, 연구자의 학위 등으로 구분하였고, 연구영역별 연구경향으로 연구비 지원여부, 연구주제의 변화 추이, 연구의 목적 및 초점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고, 연구방법별 연구경향은 연구방법과 통계분석방법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윤옥경(2004)은 1991년부터 2003년까지 발간된 교정연구에 실린 논문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서 교정학의 연구영역과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총 207편의 논문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여 저자의 특성(성별, 직업별, 전공별 분포), 연구영역과 연구방법론적 특성과 경향을 분석하였다.

    김지선(2009)은 국회도서관, 각 대학 전자도서관, 한국학술정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지난 40년간의 국내 피해자관련 연구자료 검색하여 총 1,142건을 대상으로 시대별, 형태별, (연구)주제별로 동향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분류기준으로 시대별로는 10년 단위의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그리고 최근 10년 동향분석을 위해 1999년부터 2008년도까지 연도별로 분류하였으며, 형태별로는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으로 분류하였으며, 주제별로는 연구자 임의로 논문내용과 주제를 살펴 유사내용과 주제를 묶어 피해자지원연구(형사사법기관 및 민간기관), 가정폭력피해연구(노인, 아동, 여성), 학교폭력피해연구(소년관련), 피해자관련법연구, 피해자관련이론연구, 외국동향연구, 피해자치료연구(의료), 개별범죄피해연구, 사회·환경·재해피해연구로 총 9가지로 분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III.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해양경찰 분야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양경찰과 관련된 학위논문, 학술지 논문, 단행본 등 다양한 분석 자료가 존재하지만, 이 연구에서는 학술지 논문만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이는 해양경찰 분야의 연구 경향을 살펴보는데 있어 관련 분야 학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논문들이 해당 분야의 연구를 잘 대변할 수 있는 대표적인 학술자료 유형이며, 다양한 분석 자료로 연구의 범위가 확대되는 경우에는 연구 수행과 관련된 여러 가지 제한이 뒤따를 수 있기 때문이다.

    해양경찰 분야 학술지 논문 선정과 관련해서는 대표적인 국내 전자저널인 kiss(한국학술정보), DBpia(누리미디어), 교보문고 스콜라, 학지사 뉴논문, eArticle(학술교육원)에서 해양경찰과 해경이라는 키워드 검색을 통하여 수집된 관련 논문들을 그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전자저널을 통해서 검색된 자료 중 칼럼, 특집기사, 이슈진단, 인터뷰 기사, 제언, 동향소개, 기관 소식, 현장이야기, 발표문, 연구보고서 등은 제외하고 학술지 게재 논문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다음으로 해양경찰 연구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다고 판단되는 다른 학문분야의 부수적 연구로 이루어진 논문이나 특정 기술과 관련된 논문 등은 제외하였다.

       2. 분석 기준

    본 연구의 분석 기준은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연도‧시기별, 학술지별, 연구자별, 연구영역별, 연구방법별의 다섯 가지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연도‧시기별 분류 기준은 년단위 및 3개년 단위의 시기로 구분하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분석하였으며, 학술지별 분류 기준은 해양경찰 관련 논문이 게재된 학술지 연구 영역과 등재(후보) 학술지 여부를 분석단위로 설정하였다. 연구자별 분류 기준은 연구자 수(단독연구/공동연구)와 연구자 신분을 분석 단위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영역별 분류 기준과 관련해서는 아직 해양경찰학에 대한 학문적 분류체계가 갖추어지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기존 경찰학 분류체계에 해양경찰의 특수성을 반영한 분석단위를 추가하여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배타성과 망라성의 일반적 분류기준을 충족시키는 김상호(2007)의 연구에서 활용된 경찰학 분류기준을 바탕으로 해양경찰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분석단위를 추가하여 본 연구의 실정에 맞게 재구성해 분석하였다. 연구방법별 분류 기준은 윤옥경(2004)의 연구에서 활용된 연구 방법론을 바탕으로 분석단위를 설정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3. 분석 방법

    본 연구의 분석 방법은 분석 대상 학술지 논문 125편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기준에 따라 빈도분석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IV. 연구결과

       1. 연도·시기별 분석

    <표 1>은 분석 대상 논문 125편을 연도별‧시기별로 나누어 연구 동향을 분석한 결과이다. 시기 구분은 2000년을 시작으로 3개년을 하나의 단위로 설정하여 5개 단위로 구분하였다. 시기별로 살펴보면, 2000년∼2002년에는 4편(3.2%), 2003년∼2005년에는 5편(4.0%), 2006년∼2008년에는 8편(6.4%), 2009년∼2011년에는 39편(31.2%), 2012년∼2014년에는 69편(55.2%)으로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09년 이후 해양경찰 관련 연구들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표 1>] 연도별?시기별 현황

    label

    연도별?시기별 현황

       2. 학술지별 분석

    1) 학술지 연구 분야

    분석 대상 논문들을 한국연구재단 학술지인용색인 학술지 검색을 통하여 학술지 연구 분야를 살펴본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해양경찰 관련 연구들은 다양한 학술지 연구 영역에서 이루어져 왔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학술지 연구 영역 중 사회과학 영역과 농수해양 영역의 학술지에 각각 55편씩 게재되어 전체 분석 대상 논문들의 8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농수해양 연구 분야의 높은 비율은 해양경찰 관련 전문 학회지인 한국해양경찰학회보의 높은 게재 건수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해양경찰학회보는 타 경찰 관련 학회지(보)와 달리 농수해양 연구 분야로 분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학술지 연구 분야 현황

    label

    학술지 연구 분야 현황

    2) 등재 학술지 게재 현황

    <표 3>에서는 한국연구재단 학술지인용색인 학술지 검색을 통하여 분석 대상 논문들이 학술지에 게재될 당시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에 선정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분석 대상 125편의 논문들 중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이 75편(60%)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등재 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포함하면 88편으로 전체의 약 7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미 등재(후보) 학술지의 상당수는 아직 그 역사가 오래되지 않아 한국연구재단 학술지 평가의 준비 단계에 있는 한국해양경찰학회보에 게재된 논문 편수가 많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대다수 해양경찰 관련 연구들은 권위 있는 전문 학술지로 평가될 수 있는 등재(후보) 학술지와 해양경찰 전문 학술지에 게재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표 3>] 등재 학술지 논문 현황

    label

    등재 학술지 논문 현황

       3. 연구자별 분석

    1) 연구자 수(단독연구/공동연구)

    분석 대상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에 참여한 연구자 수를 살펴본 결과는 <표 4>와 같다. 분석 대상 논문 125편 중 단독연구가 68편(54.4%), 공동연구가 57편(45.6%)으로 단독연구가 공동연구 보다 다소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공동연구에 있어서는 2인 공동연구가 43편(34.4%), 3인 공동연구가 9편(7.2%), 4인 공동연구가 2편(1.6%), 5인 이상의 공동연구가 3편(2.4%)으로 나타나 3인 이상의 공동연구자는 많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2) 연구자 신분

    분석 대상 논문들에 수록된 연구자 신분을 교수, 강사, 대학원생, 연구원, 공무원, 실무자, 기타로 구분하여3) 살펴본 결과는 <표 5>와 같다. 분석 대상 논문에 한 연구자의 신분이 두 가지 이상 제시된 경우에는 중복 처리를 피하기 위하여 논문에 먼저 제시된 신분 한가지만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교수가 124명으로 전체 연구자의 5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무원이 38명(18.1%), 대학원생이 22명(10,5%), 연구원이 11명(5.2%), 강사 6명(2.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교수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무원의 경우 해양경찰청 소속 경찰공무원과 해양경찰청 소속 일반직 공무원을 포함한 해양경찰청 소속 공무원이 34명, 수산·어업분야 특별사법경찰이 2명으로 해양경찰 관련 실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의 참여가 적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표 5>] 연구자 신분

    label

    연구자 신분

       4. 연구 영역별 분석

    <표 6>은 해양경찰 관련 연구 영역을 해양경찰 역할‧임무, 해양경찰역사, 해양경찰법, 비교 해양경찰, 해양경찰행정론, 해양경찰실무, 해양경찰 발전방안·향후과제, 기타 의 8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이다.4) 하나의 논문에 두 가지 이상의 연구 영역이 포함된 경우 주된 연구영역이라고 판단되는 연구 영역 하나를 선정하여 분석에 포함하였다. <표 6>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해양경찰행정론 연구 영역이 51편(40.8%)으로 가장 많이 연구가 이루어진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해양경찰실무 연구 영역이 23편(18.4%), 해양경찰법 연구 영역이 16편(12.8%), 비교 해양경찰 연구 영역 13편(10.4%), 해양경찰 발전방안‧향후과제 영역이 6편(4.8%), 해양경찰역사 영역이 2편(1.6%), 해양경찰 역할‧임무 영역이 1편(.8%), 그리고 기타 영역으로 분류된 연구가 13편(10.4%)로 나타났다. 세부 영역과 관련해서 해양경찰행정론의 경우, 조직관리(33편), 인사관리(10편), 성과관리(4편), 재무관리(2편) 및 정책(2편)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해양경찰실무 영역의 경우, 해양재난‧안전관리(7편), 해양범죄예방‧수사(6편), 해양경비(5편), 해양오염예방‧방제(4편), 해양교통(1편)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해양경찰법의 경우, 해양경찰 조직법‧작용법 관련(8편), 국제법 관련(6편), 기타(2편)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비교 해양경찰의 경우, 외국 해양치안기관(미국‧일본‧중국) 관련(7편), 국내 치안기관(육상경찰) 관련(4편), 국내 해양치안기관(어업관리단, 수산어업분야 특별사법경찰) 관련(2편)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타의 경우에는 해양 관련 범죄(4편), 해양경찰 관련 과학기술(2편), 해양경찰 홍보 관련(1편), 해양경찰 관련 민간경비(2편), 해양경찰 복제(2편), 해양경찰서비스(1편), 치안 합리화 방안(1편)과 관련된 연구들이 포함되었다.

       5. 연구방법별 분석

    1) 연구방법

    분석 대상 논문들의 연구방법을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는 <표 7>과 같다. 전체 125편의 논문 중 문헌연구가 79편으로 63.2%를 차지하고 있으며, 실증연구는 46편으로 36.8%를 나타내고 있다.

    2) 자료 수집 방법

    <표 8>은 분석 대상 논문들 중 실증연구의 자료 수집 방법을 1차 자료와 2차 자료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이다. 자료 수집 방법 중 설문조사나 인터뷰와 같은 1차 자료 수집 방법이 전체의 87.0%를 차지하고 있으며, 기존 데이터를 이용한 2차 자료 수집 방법은 13.0%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1차 자료 수집 방법에 있어서는 대다수가 설문조사에 의해서 자료를 수집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8>] 자료 수집 방법

    label

    자료 수집 방법

    3) 표본

    자료 수집 방법 중 1차 자료를 대상으로 표집 대상, 표본 크기, 표본추출방법을 살펴본 결과는 <표 9>, <표 10>, <표 11>과 같다.

    [<표 11>] 표본추출방법

    label

    표본추출방법

    표집 대상과 관련해서는 단독 표집대상이 33편으로 전체의 82.5%를 나타내고 있으며, 주 표집 대상은 해양경찰공무원으로 표집에 해양경찰공무원을 포함하고 있는 연구들은 38편으로 전체의 95.0%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본 크기와 관련해서는 201∼300 이하가 15편(37.5%)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101∼200 이하가 7편(17.5%), 301∼400 이하 5편(12.5%)의 순으로 전체의 67.5%가 101∼400 이하의 표본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표본추출방법을 제시한 연구들은 6편으로 확률표본추출방법은 1편, 비확률표본추출방법은 5편으로 나타났다.

    4) 자료 분석 방법

    분석 대상 논문 중 실증연구를 대상으로 자료 분석 방법을 살펴본 결과는 <표 12>와 같다. 전반적으로 자료 분석 방법의 활용 정도에 있어서는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만 다양한 자료 분석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기술통계(빈도분석)가 포함된 연구가 41편(25.3%)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연구가 각각 26편(16.0%)과 24편(14.8%), 다중회귀분석이 포함된 연구가 24편(14.8%)으로 해양경찰 관련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자료 분석 방법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기타에는 평가순위차이값분석, 업무량‧업무성취도분석, 구조선 최적 배치 모델 등의 수리모델이 포함되어 있다.

    [<표 12>] 자료 분석 방법

    label

    자료 분석 방법

    3)연구원 신분의 분류 영역과 관련해서 연구원의 경우 연구원 전문위원을 포함하고 있으며, 공무원은 해양경찰직, 경찰직, 일반직, 특별사법경찰을 포함하고 있으며, 실무자에는 항해사와 선박 검사원을 포함하고 있으며, 기타에는 겸임교수, 연수원 교수, 조사관을 포함하고 있다.  4)해양경찰철학 영역은 연구 영역 분류 기준에는 포함되어 있었으나 관련 연구가 분석대상에 포함되지 않아 분류 기준에서 제외되었다.

    V.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대표적인 국내 전자저널 검색을 통하여 해양경찰과 관련된 125편의 학술지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해양경찰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해양경찰학으로서 학문적 위상과 정체성을 확립해 나갈 수 있도록 발전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의 분석 기준을 연도‧시기별, 학술지별, 연구자별, 연구영역별, 연구방법별의 다섯 가지로 구분하여 해양경찰 관련 연구들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도‧시기별에 따라 분석 대상 논문의 게재편수를 살펴본 결과, 2000년을 시작으로 해양경찰 관련 연구가 미미한 수준이었으나 2009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해양경찰의 학문적 관심의 증가 및 해양경찰 관련 전문학회의 설립과 함께 학회보 발간 등 관련 연구의 활성화가 이루어져 오고 있는 것이 주요한 원인이라 할 수 있겠다. 학술지별 분석 기준을 학술지 연구 영역과 등재(후보) 학술지 게재 여부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분석 대상 논문들이 게재된 학술지 연구 영역은 해양경찰의 해양과 경찰을 대표하는 농수해양 영역과 사회과학 영역이 대표적인 영역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분석 대상 논문들의 약 1/4를 차지하는 논문들이 게재된 한국해양경찰학회보가 타 경찰관련 학회지 연구 영역인 사회과학 영역과 달리 농수해양 연구 영역으로 분류되어 있어, 향후 해양경찰의 명확한 학문적 정체성 형성을 위해서 학술지 연구 영역에 대한 학회 차원의 충분한 논의와 검토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등재(후보) 학술지 게재 여부와 관련해서는 아직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지 평가 준비 단계에 있는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제외한다면 상당수 논문들이 관련 분야에서 전문 학술지로 평가될 수 있는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별 분석 기준을 연구자 수와 연구자 신분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연구자 수에 있어서는 단독연구가 전체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동연구에 있어서는 2인 이상의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연구자 신분과 관련해서는 교수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해양경찰 관련 공무원들의 비율로 나타났다. 연구 영역별 분석 기준에 따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해양경찰행정론과 해양경찰실무 등의 연구 영역에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해양경찰행정론의 세부 영역인 조직관리와 인사관리 분야에 대한 연구가 전체의 약 1/3 이상을 차지하는 등 특정 연구 영역에 다소 편중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구방법별 분석 기준에 따라 살펴보면, 연구방법에서는 실증적 연구보다는 문헌 연구가 더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증연구에 있어서 해양경찰공무원을 주된 연구 대상으로 표본 크기 101∼400 이하의 설문조사가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기술통계(빈도분석), 신뢰도‧타당도 검증, 다중회귀분석 등의 분석방법이 포함된 연구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해양경찰 분야의 학문적 발전을 위해서는 증가 추세에 있는 해양경찰 관련 연구들의 양적‧질적 향상 도모와 연구의 활성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첫째, 해양경찰 전문 학회의 학술지 연구 영역 분류에 대한 재검토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 학술지 선정 등을 통해 학회 발전과 위상을 제고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일부 연구자에게 집중된 연구에서 벗어나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의 참여와 관심 제고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한 분야에 소속된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연구 성과들은 연구 영역이나 연구 방법 등에 있어서 편중된 경향을 나타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다른 관련 분야 연구자들에 의한 연구 수행이나 공동 연구 등이 활성화 되어 이러한 한계를 극복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편중된 연구 영역에서 벗어나 다양한 연구 영역에서의 균형 있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연구 영역은 학문적 정체성 확립과 관련되는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이론적 토대의 구축과 관련되는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다양한 연구 방법의 활용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양적 연구 중심의 연구 방법에서 벗어나 질적 연구의 확대가 요구되며,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가 상호 보완적으로 활용되어 각각의 연구가 지니는 한계를 보완해 나갈 수 있는 연구 등도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표본의 대표성 확보와 정교한 표본추출방법의 활용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끝으로 해양경찰 분야의 학문성 및 학문적 분류 체계와 관련된 연구들도 활발히 진행되어 해양경찰 관련 분야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해 나갈 수 있는 기초를 다져 나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분석 대상 논문의 선정에 있어서 전자저널 검색을 통하여 학술지 논문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 검색을 위한 주제어 선정의 한계, 해양경찰 관련 논문 선정에 있어서 주관성 개입, 분석 과정에 있어서 한 논문이 두 개 이상의 분석 기준에 해당될 때 복수처리를 하지 않고 연구자 임의로 주된 영역으로 판단되는 하나의 영역으로 선정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는 점 등은 본 연구의 한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해양경찰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성과물들을 포함한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분석을 통하여 해양경찰 분야의 학문적 발전과정을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김 상호 (2007) “'경찰학' 학술논문 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6 P.71-101 google
  • 2. 김 지선 (2009) “우리나라 피해자학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향후 발전과제”, [「피해자학연구」] Vol.17 P.5-33 google
  • 3. 윤 옥경 (2004) “<교정연구> 게재논문 분석을 통해 본 교정학의 연구영역과 연구동향” [「교정연구」] Vol.22 P.65-89 google
  • 4. 이 상원, 이 승철 (2007) “한국경찰학 연구의 경향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보를 중심으로-” [「한국공한행정학회보」] Vol.28 P.198-228 google
  • 5. 이 윤호, 김 순석 (2006) “한국공안행정 분야의 연구경향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보」기고논문(1991-2005)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5 P.267-295 google
  • 6. 임 재강 (2002) “한국의 경찰학 연구 : 주제별 동향분석과 발전과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0 P.191-237 google
  • 7. (2013) 「해양경찰 60년사」. google
  • 8. DBpia(누리미디어) google
  • 9. eArticle(학술교육원) google
  • 10. kiss(한국학술정보) google
  • 11. 교보문고 스콜라 google
  • 12. 학지사 뉴논문 google
  • 13. 한국연구재단 학술지인용색인 google
  • 14. 한국해양경찰학회 홈페이지 google
  • 15. 한국해양대학교 해양경찰학과 홈페이지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연도별?시기별 현황
    연도별?시기별 현황
  • [ <표 2> ]  학술지 연구 분야 현황
    학술지 연구 분야 현황
  • [ <표 3> ]  등재 학술지 논문 현황
    등재 학술지 논문 현황
  • [ <표 4> ]  연구자 수
    연구자 수
  • [ <표 5> ]  연구자 신분
    연구자 신분
  • [ <표 6> ]  연구 영역
    연구 영역
  • [ <표 7> ]  연구방법
    연구방법
  • [ <표 8> ]  자료 수집 방법
    자료 수집 방법
  • [ <표 9> ]  표집 대상
    표집 대상
  • [ <표 10> ]  표본 크기
    표본 크기
  • [ <표 11> ]  표본추출방법
    표본추출방법
  • [ <표 12> ]  자료 분석 방법
    자료 분석 방법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