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외로움, 대인 민감 및 페이스북 중독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Loneliness,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Facebook Addiction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외로움, 대인 민감 및 페이스북 중독 간의 관계*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understand Facebook addiction process on the basis of relationship-centered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Addition Syndrome Model. In doing so, with the knowledge that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use Facebook to satisfy their relationship needs, this study set loneliness as a psychosocial risk factor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as an underlying vulnerability that triggers Facebook addiction. It was hypothesized that loneliness would affect Facebook addiction through interpersonal sensitivit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ith a sample of 482 undergraduate students was utilized to test the fit of the hypothesized model and estimat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variables of interest. Results indicated that loneliness did not affect Facebook addiction directly. However, its effect on Facebook addiction was fully mediated by interpersonal sensitivity.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e.g., addressing interpersonal sensitivity within interpersonal psychotherapy) and future research on Facebook addiction are discussed.

KEYWORD
페이스북 중독 , 외로움 , 대인 민감 , 대학생
  • Shaffer 등의 중독증후군모델과 페이스북 중독 과정

    Shaffer 등(2004)은 다양한 행동중독이 전개되고 변하는 과정을 ‘중독증후군모델’로 설명한다. ‘중독 증후군모델’(Addiction Syndrome Model)은 중독의 범위를 행동 영역으로 확장시켰고, 여러 중독 현상들에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기저조건이 있음을 가정하는데(Shaffer et al., 2004), 기저에 있는 일반적인 특징과 과정을 설명한다(김교헌, 2006). 또한 중독 시 나타나는 신경생리적, 심리사회적 요소 및 각 요소의 상호작용을 밝힘으로써 종합적인 관점에서 중독과정을 이해하려고 한다(Shaffer et al., 2004).

    그림 1에서 볼 수 있듯이, 중독의 첫 번째 단계(distal antecedents)는 신경생리적 요소와 심리사회적 위험요소가 개인의 기저 취약성에 영향을 미치고, 심리적으로 취약한 상태에서 중독 대상을 접하는 단계이다. 이 때, 중독 대상을 통해 만족을 얻게 되면 이후에 중독대상을 추구할 가능성이 커진다. 두 번째 단계는 발병 전(premorbid) 중독 증후군 단계로, 첫 번째 단계에서 우연이나 호기심 때문에 얻었던 보상적 결과가 이제는 달성해야 할 목표가 되어 이를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도박을 통해 얻게 된 보상적 결과로 인해 계속해서 도박을 하게 되는데, 이 단계에서는 중독증상과 건강한 행동이 번갈아 나타나면서 균형을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중독 증후군의 표현, 발현 및 후유증의 단계에서는 본격적으로 개인에게 중독증후군과 후유증이 나타난다. 이 때 반복적으로 도박에 노출되면 도파민 보상 체계가 제대로 기능하지 않으면서 중독에 더욱 취약해지고 병적 도박에 이르게 된다. 중독에 취약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더욱 빠르고 큰 변화를 경험하는데, 중독 대상에 따라 고유한 증상(알코올이나 도박에 빠짐)과 후유증(알코올 중독의 경우 간경화, 도박 중독의 경우 도박채무) 뿐 아니라 여러 중독에서 공통적으로 관찰되는 증상 및 후유증(내성, 금단, 우울, 반사회적 행동 등)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중독증후군모델의 첫 번째 단계에 포함되어 있는 선행요인으로서의 심리사회적 위험요소와 기저취약성에 초점을 두었다. 이 때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페이스북 이용 동기가 주로 관계적인 측면에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외로움과 대인 민감을 각각 심리사회적 위험요소와 기저취약성 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아래에서는 외로움과 대인 민감이 이후 중독 단계에서 나타나는 행동(사용 증가, 강박적 사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관련 이론과 경험적 연구들을 토대로 설명하고자 한다.

    외로움: 페이스북 중독의 심리사회적 위험요소

    Shaffer 등(2004)은 중독에 대한 대표적인 심리사회적 위험요인으로 우울, 불안과 같은 임상적 증후군을 예로 들었다. 그러나 각각의 중독 행동 발현에 관여하는 심리사회적 위험요소가 다를 수 있음을 언급하면서, 특정 중독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증상 및 요인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중독의 심리사회적 위험요소로 외로움을 선정하고, 페이스북 중독 및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외로움(loneliness)은 사회적 관계가 부족할 때 발생하며, 객관적인 사회적 격리와는 다른 불쾌한 주관적 경험을 일컫는다(김옥수, 1997a). 사람들은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맺고 싶은 욕구를 계속해서 충족시키고 싶어 하는데(전주연, 2005), 만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거나 상실하게 되면 외로움을 느끼게 된다(Shearer & Davidhizer, 1994). 한편, 외로움을 많이 느끼는 사람일수록 지지적인 사회적 관계가 부족하고 부정적이며 내향적인 성향 때문에 중독 관련 현상에 더 취약하다(Sadava & Thompson, 1986). 실증적인 연구들에서도,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외로움을 많이 느끼는 사람들이 중독에 취약하고 중독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옥수, 1997b; Griffiths, 1997; Young, 1996). 구체적으로는, 외로움을 많이 느끼는 사람일수록 인터넷을 과다사용하고(김기범, 김미희, 최상진, 2001; 김종범, 한종철, 2001; Morahan-Marti & Schumacher, 2003a), 휴대전화 중독 가능성이 높으며(박웅기, 2003; 양심영, 박영선, 2005), 스마트폰 사용중독에도 쉽게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민석, 2011).

    외로움을 많이 느끼는 사람들은 오프라인 상의 면대면 의사소통을 통해 관계욕구를 충족시키는 것 보다 컴퓨터를 매개로 한 커뮤니케이션(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CMC), 특히 SNS를 더 선호하고, 이를 통해 상대방과의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이경탁 등, 2013; Kim, LaRose, & Peng, 2009). 외로움을 많이 또는 강하게 느낄수록 SNS를 더 많이 이용한다는 것은, SNS가 사회로부터 고립되어 있는 사람들에게 위안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이경탁 등, 2013; Kross et al., 2013). 이를 입증하듯, 가족 내에서 외로움을 많이 느낄수록 페이스북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yan & Xenos, 2011). 이는 페이스북 사용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소통함으로써 가족 안에서 느끼는 외로움을 보상받거나 충족하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성인뿐만 아니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외로움을 많이 느낄수록 외로움을 보상받기 위해 습관적으로 SNS를 사용하게 되고 결국 SNS 중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박웅기, 2013). 외로움과 개념적으로 유사한 소외감 역시 SNS 중독경향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조성현, 서경현, 2013). 이처럼 외로움을 보상받기 위해 페이스북을 시작하지만 페이스북의 지속된 사용은 오히려 실제적인 인간관계의 단절을 초래하고(강현욱, 2013; Pempek, Yermolayeva, & Calvert, 2009; Subrahmanyam, Reich, Waechter, & Espinoza, 2008), 이로 인해 발생하는 외로움을 경감시키기 위해 다시 페이스북에 몰두하는 악순환이 발생하게 된다. 요약하면, 외로움이 페이스북 중독을 초래하는 심리사회적 위험요소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아시아 지역에서는 타인과의 친밀함, 유대감, 상호의존을 중시하는 집단주의 문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Leung, 1997; Lim, 2009),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서로가 긴밀하게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우리’라는 의식이 중시된다(김의철, 박영신, 2006). 이러한 문화적 배경에서는 친밀한 관계를 맺지 못해서 경험하는 외로움(Shearer & Davidhizer, 1994)은 의지할 수 있는 관계의 약화를 의미하기 때문에 개인의 심리적 안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일례로, 대다수의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외로울 때가 가장 불행한 순간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한기혜, 박영신, 김의철, 2008) 외로움이 행복을 저해하는 매우 큰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사회적 지지를 얻고 소외되지 않으려는 강한 동기를 가지고 SNS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최지애, 2013; Kim, Sohn, & Choi, 2011). 이처럼 의지할 수 있는 집단에 소속되는 것을 강조하는 문화적 배경에서는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과도하게 페이스북에 집착함으로써 소속감을 유지하려 할 가능성이 크다.

    대인 민감: 페이스북 중독의 기저 취약성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중독을 유발하는 기저취약성 변인으로 대인 민감을 선정하였다. 대인 민감은 다른 사람의 기분과 행동에 예민하고 과도하게 지각하는 것을 의미한다(Boyce & Parker, 1989). 이런 성향이 강한 사람들은 타인으로부터 인정받으려는 욕구가 강한 동시에 사람들과 멀어지는 것을 두려워한다(Boyce & Parker, 1989). 특히, 대인관계에서 비난과 거부에 민감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을 개방하지 못하는 등(Boyce & Parker, 1989) 타인으로부터의 비난과 거부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행동한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Boyce, Parker, Barnett, Cooney, & Smith, 1991; Boyce et al., 1993).

    소통 욕구 및 동기와 관련이 있는 페이스북 중독의 특성 상, 타인과의 접촉을 원하면서도 동시에 타인으로부터의 비난과 거절을 두려워하는 대인 민감이 페이스북 중독의 주요 선행 변인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한국의 주된 문화적 특성으로 간주되는 집단주의 문화(Leung, 1997)에서는 타인과의 관계가 중요하고, 타인의 목표 및 요구가 개인의 목표 및 요구 이상으로 중시된다(Jordan, 1991; Surrey, 1991). 이런 사회문화적 맥락에서는 타인의 상태나 행동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상대방의 상태나 변화를 알기 위해 페이스북을 사용하고(피승정, 2013), 온라인상의 관계에서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상호, 2013; 최지애, 2013). 이는 다른 사람의 기분을 상하지 않게 노력하고 타인의 기대에 부합되는 행동을 중시하는 한국의 문화적 기준(조아라, 김혜영, 오경자, Khatri, 2011)이 대인 민감을 부추기고 결국 페이스북 사용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중독 관련 선행연구에서도 대인 민감과 중독의 관련성을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인 민감 수준이 높을수록 인터넷 중독 고위험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고(Seo, Kang, & Yom., 2009), 대인 민감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가정되는 특징, 즉 완벽을 추구하면서 과도하게 불안을 느끼고 타인에게 의존하는 성향이 휴대폰 중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우상우, 박기쁨, 정성훈, 장문선, 2010; 이경민, 장성숙, 2004). 타인과의 소통이 주목적인 페이스북의 경우에도, 이용자들은 자신에 관한 글과 사진을 올리기보다는 친구의 뉴스피드(페이스북 이용자가 글 또는 사진 등을 업로드하는 것)를 보고 자신과 비교하려는 경향이 강한데, 비교 성향이나 정도가 강할수록 열등감과 우울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채려분, 2012). 이러한 연구결과는, 자기개방은 꺼리면서 타인의 상태에 경계를 늦추지 않을수록(즉, 대인 민감도가 높을수록) 페이스북 상에서 다른 사람의 상태와 반응에 더욱 집착하고 결국 페이스북을 과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중독을 유발하는 기저취약성으로서 대인 민감을 설정하고, 외로움 및 페이스북 중독과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중독증후군모델에서는 심리사회적 위험요소가 기저취약성에 영향을 미치고, 기저취약성이 중독을 초래한다고 가정한다(Shaffer, LaPlante, & Nelson, 2012). Shaffer 등이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모델을 설정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변인이 심리사회적 위험요소이고 기저취약성에 해당하는지를 명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외로움과 대인 민감을 각각 심리사회적 위험요소와 기저취약성 변인으로 선정한 것이 타당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Shaffer와 직접 교신을 취하였고, 연구자들의 가정이 적합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외로움과 대인 민감의 관계는 다른 학자들의 주장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로움이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순환적 메커니즘 모델’을 제시한 Cacioppo와 Hawkly(2009)에 따르면, 사람들은 외로울수록 다른 사람과 접촉하고 연결되고 싶은 욕구가 커지는 동시에 타인의 말과 행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상대방의 의도를 의심하거나 눈치를 보게 된다. 즉, 외로울수록 타인에게 자신을 개방하고 적극적으로 다가가기보다 거부 당하지 않기 위해 타인의 눈치를 살피는 대인민감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연구 모형 및 연구 가설

    본 연구에서는 Shaffer 등(2004, 2012)의 중독증후군모델에 기초해서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페이스북 중독 현상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은 그림 2와 같고, 구체적인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1) 외로움은 페이스북 중독에 직접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외로움은 대인 민감을 매개하여 페이스북 중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즉, 관계중심적인 한국문화에서 외로움을 경험하게 되면 사람들은 외로움을 보상받기 위한 일환으로 페이스북을 사용할 가능성이 커질 뿐 아니라, 외로움의 특성 상 스스로를 보호하려 하고 자신과 타인을 비교하는 등 타인의 반응에 과도하게 민감해지면서 결국 강박적으로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방 법

      >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10개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50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18명의 자료를 제외한 482명의 설문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결측치는 계열평균값으로 대체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482명 중 남학생은 137명(28.4%), 여학생은 345명(71.6%)으로 여학생의 참여 비율이 높았다. 참여자들의 평균 연령은 21세(SD = 2.44)였으며, 1학년 135명(28%), 2학년 108명(22.4%), 3학년 128명(26.6%), 4학년 108명(22.4%), 초과 학기 3명(0.6%)으로 나타났다.

      >  측정도구

    페이스북 중독

    본 연구에서는 Andreassen 등(2012)이 노르웨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하고 타당화한 The Bergen Facebook Addiction Scale(BFAS)을 번안한 후, 평행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구조를 확인한 후 사용하였다. 척도 개발 시 Andreassen 등은 Brown(2006)Griffiths(1996)가 제시한 6가지 중독 지표(집착, 감정기복, 내성, 금단, 갈등, 재발) 별로 3문항씩 선정하여 총 18문항으로 척도를 구성하였다. 이후 각 지표에서 전체 문항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인 문항을 선별하여 최종 6문항 단일요인으로 척도를 구성하였다. 각 문항은 5점 리커트 척도(1 = 전혀 그렇지 않다, 5 = 매우 그렇다)로 평정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페이스북에 중독되었을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Andreassen 등(2012)의 연구에서 BFAS는 중독 경향성 척도(Wilson, Fornasier, & White, 2010), 페이스북 사용태도 척도(Ellison et al., 2007), 온라인 사회성 척도(Ross et al., 2009)와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특히 BFAS는 페이스북 사용태도 척도(r = .58, p < .01.)나 온라인 사회성 척도 점수(r = .37, p < .01.) 보다 중독 경향성 척도(r = .69, p < .01.)와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Andreassen 등(2012)의 연구에서 최종 6문항의 내적 일치도(Cronbach’s α)는 .83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Andreassen 등이 처음 구성한 18문항을 모두 사용하였다.

    척도 번안을 위해 우선 연구자들이 원문을 한국어로 번안하였고, 1명의 이중 언어 사용자(한국어와 영어를 모두 유창하게 구사하는 심리학 전공 대학원생)가 번안된 문항을 영어로 역번역하였다. 그런 다음, 2명의 이중 언어사용자(심리학 전공 대학원생, 언론정보학 졸업생)가 원척도(BFAS)와 역번역된 문항들을 비교하면서 6점 리커트 척도(1 = 전혀 동일하지 않다, 6 = 매우 동일하다)를 사용하여 의미의 유사성을 평정하였다. 2명의 평정자 모두 4점 이상으로 평정한 문항에 대해서는 번안된 문항을 그대로 사용하였고, 한 명의 평정자가 3점으로 평정한 문항에 대해서는 연구자들이 평정자의 피드백을 토대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외로움

    외로움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Russell, Peplau와 Ferguson(1978)이 제작하고 이후 Russell, Peplau와 Cutrona(1980)가 개정한 UCLA 고독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김교헌과 김지환(1989), 김옥수(1997c)가 우리문화에 맞게 번안하여 타당화였다. UCLA 고독감 척도는 고독의 만성적 특성 뿐 아니라 상태로서의 고독을 측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orahan-Marti & Schumacher, 2003b; Wiseman, 1997). 본 연구의 토대를 제공한 중독증후군모델에서는 심리사회적 요소와 기저취약성이 특성(trait) 변인인지 아니면 상태(state) 변인인지를 명확히 구분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태로서 뿐만 아니라 특성으로서의 외로움을 측정하는 UCLA 고독감 척도를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외로움을 단일 차원으로 간주하고, 자신이 느끼는 주관적인 외로움의 정도를 긍정 방향 10문항(“나는 내 주변의 사람들과 잘 어울린다.”), 부적 방향 10 문항(“나는 남들로부터 소외된 느낌이다.”)으로 총 20개의 문항을 사용하여 5점 리커트 척도(0 = 전혀 그렇지 않다, 4 = 자주 그렇다)로 평정한다. 김교헌과 김지환(1989)의 연구에서 UCLA 고독감 척도는 우울감, 신경증적 경향, 표출불안과 각각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전체 문항의 내적 일치도는 Russell 등(1980)의 연구에서 .84, 김옥수(1997c)의 연구에서 .88, 본 연구에서는 .90으로 각각 나타났다.

    대인 민감

    연구참여자의 대인 민감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Derogatis(1977)가 개발하고 김광일, 김재환과 원호택(1984)이 표준화한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 9개의 하위요인 중 대인예민성 9문항을 사용하였다. 간이정신진단검사는 상태로서의 증상뿐만 아니라 만성적 병력을 지닌 환자들에게 광범위하게 사용된다(Carscadden, 1990; Piersma, Boes, & Reaume, 1994). 즉, SCL-90-R에 포함된 대인 민감 문항들 역시 만성적 특성 뿐 아니라 상태로서의 대인 민감 정도를 측정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최근 일주일 동안 증상을 경험한 정도를 5점 리커트 척도(1 = 전혀 없다, 5 = 아주 심하다)로 평정하는데, 점수의 합이 클수록 대인 민감이 높은 것으로 해석한다. 실직자를 대상으로 한 이민규(2000)의 연구에서 대인 민감은 강인성과 사회적 지지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erogatis(1977)의 연구에서 대인 민감의 내적 일치도(Cronbach’s α)는 .86이었으며, 김광일 등(1984)에서는 .84, 본 연구에서는 .84로 나타났다.

      >  자료 분석

    우선, Andreassen 등(2012)이 제작한 BFAS가 국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요인구조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해 평행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때, 본 연구자들은 Andreassen 등(2012)이 문항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사회과학분야 연구자들이 일반적으로 따르는 문항선정의 통계적 기준(예, Worthington & Whittaker, 2006)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은 채 최종 6문항 단일요인으로 구성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초 개발된 18문항을 모두 사용하여 평행분석과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최종 문항을 확정하고자 하였다. 평행분석(parallel analysis)은 표본의 고유값과 무선으로 생성된 표본의 고유값을 비교하는 방법으로서(Horn, 1965; Humphreys & Montanelli, 1975), 고유값이 1보다 큰 요인을 기준으로 요인의 수를 정하거나 스크리도표로만 요인의 수를 정할 때 과대 추정하는 오류를 막을 수 있어, 요인 수를 정함에 있어 보다 엄격한 추정을 가능케 한다(Kaiser, 1960; Zwick & Velicer, 1986). 평행분석 결과에 따라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요인수를 지정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단일 차원으로 구성된 외로움 척도와 대인 민감 척도에 대해 각각 세 개의 문항 꾸러미(item parcel)를 제작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단일차원으로 구성된 척도에 대해 문항꾸러미를 제작할 경우, 개별문항을 모두 사용하거나 문항의 합(또는 평균)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할 때보다 자료의 비정규성 수준이 줄어들고 모형의 적합도가 향상된다(Bandalos, 2002; Bandalos, 2008; Russell, Kahn, Spoth, & Altmaier, 1998).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일차원으로 구성된 외로움 척도와 대인 민감 척도에 대해 문항꾸러미를 제작하였고, 각각의 잠재변인에 대해 최대우도법을 적용하여 단일 요인임을 가정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런 다음, 세 개 꾸러미의 평균 요인부하량이 유사해지도록 요인부하량에 순위를 매겨 요인부하량이 높은 문항과 낮은 문항을 짝지어 꾸러미에 할당하였다(Russell et al., 1998).

    모형의 적합도와 매개변인을 통한 간접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AMOS 18(Arbuckle, 2009)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가 정규분포 가정을 충족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각 변인의 왜도와 첨도의 절대값이 각각 2와 7을 넘지 않는지 확인하였다(West, Finch, & Curran, 1995). 다음으로, 측정변인들이 잠재변인인 외로움, 대인 민감, 페이스북 중독을 적절히 구인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측정모형 및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기 위해 Hu와 Bentler(1999)의 제안에 따라 x2 값뿐만 아니라 Tucker-Lewis index(TLI: .90이상일 경우 적합한 것으로 해석), comparative fit index(CFI: .90이상일 경우 적합한 것으로 해석),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RMSEA: .10 이하일 경우 적합한 것으로 해석)을 함께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간접효과의 유의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렙(bootstrap) 절차를 사용하였다.

    결 과

      >  평행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

    본 연구에서 번역-역번역을 거쳐 사용한 BFAS(Andreassen et al., 2012) 18문항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평행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BFAS의 KMO 값이 .93으로 나타나 요인분석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치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p < .01) 공통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평행분석결과, 그림 3과 같이 스크리 도표에서 3번째 요인 이후부터 기울기가 편평하고 무선 자료의 고유치가 실제 고유치보다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요인의 수를 2개로 지정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평행분석 결과를 토대로 요인의 수를 2개로 지정하고 주축분해요법과 Promax 사각회전방법을 적용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표 1과 같이 모든 문항의 요인부하량이 .45 이상, 교차 요인부하량은 .10 미만으로 나타나, 평행분석에서 확인되었던 2요인 구조가 안정적인 것으로 재차 확인되었다. 즉, 최종 6문항을 단일 요인으로 확정한 Andreassen 등(2012)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18문항에 대해 2개의 하위요인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 때, Andreassen 등(2012)의 6개 지표가 각각 3개씩 두 개의 하위요인에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첫 번째 요인에는 집착, 내성, 감정기복에 해당되는 문항들이, 두 번째 요인에는 재발, 금단, 갈등에 해당되는 문항들이 포함되었다. 첫 번째 요인(고유치 9.61, 전체변량의 53.39% 설명)은 페이스북에 대한 생각에 몰두하고 페이스북을 더 많이 사용하고자 하는 의향을 묻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어, ‘강박적 사용’이라고 명명하였다. 두 번째 요인(고유치 1.54, 전체 변량의 8.57% 설명)은 페이스북 사용으로 인한 부정적 정서경험 및 일상생활에서의 부적응과 관련된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어 ‘페이스북 사용의 부정적 결과’로 명명하였다.

    [표 1.] BFAS 문항과 요인부하량

    label

    BFAS 문항과 요인부하량

      >  기술통계 분석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에 앞서, 측정변인들의 왜도와 첨도, 평균과 표준편차, 변인 간 상관을 산출하였다(표 2 참조). 우선, 변인들의 왜도와 첨도의 절대값이 각각 2와 7을 넘지 않아 정규분포 가정을 충족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변인 간 상관은 대체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변인 간 상관, 측정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 왜도와 첨도

    label

    변인 간 상관, 측정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 왜도와 첨도

      >  측정모형 검증

    구조모형 검증에 앞서, 8개의 측정변인들이 잠재변인인 외로움, 대인 민감, 페이스북 중독을 적절히 구인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측정모형이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x2(df = 17, N = 482) = 73.30, p < .001; CFI = .98; TLI = .96; RMSEA = .083(90% CI = .070-.103). 또한 모든 잠재변인들이 해당 측정변인들에 유의하게 적재된 것으로 나타났다(p < .001).

      >  구조모형 검증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x2(df = 17, N = 482) = 73.30, p < .001; CFI = .98; TLI = .96; RMSEA = .083 (90% CI = .070-.103). 직접경로의 유의도를 확인한 결과, 외로움에서 페이스북 중독으로 가는 직접경로를 제외한 모든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Martens(2005)의 제안에 따라 유의하지 않은 경로를 제거한 수정모형을 경쟁모형으로 설정하고 x2차이검증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우선, 수정모형은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x2(df = 18, N = 482) = 75.35, p < .001; CFI = .97; TLI = .96; RMSEA = .081(90% CI = .063-.101). 연구모형과 수정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기 위해 x2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Δx2(1, N = 482) = -2.05, p > .05. 따라서 모형의 간명성을 고려하여 수정모형이 더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고, 그림 4와 같이 수정모형을 최종모형으로 채택하였다.

      >  매개효과 검증

    최종모형에서 외로움의 간접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hrout와 Bolger(2002)가 제안한 부트스트렙 절차를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원자료로부터 무선할당으로 형성된 1,000개의 표본에서 간접효과를 추정하였다. 이 때, 95% 신뢰구간에 0이 포함되지 않을 경우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검증 결과, 외로움은 대인 민감을 통해 페이스북 중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 = .34; 95% CI = .24-.47). 페이스북 중독에 대한 외로움의 직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음을 고려했을 때, 대인 민감이 외로움의 효과를 완전매개함을 의미한다. 표 3에 직접효과, 간접효과 및 총효과를 제시하였다.

    [표 3.] 대민 민감의 매개효과 검정

    label

    대민 민감의 매개효과 검정

    한편,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 482명 중 남학생은 137명(28.4%), 여학생은 345명(71.6%)으로, 상대적으로 여학생들이 많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 때 남녀참여자의 수적 불균형이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기 위한 추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여학생 345명 중에서 137명을 무선으로 선발하여 남학생 수와 동일하게 만든 후, 총 274명을 대상으로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연구모형은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x2(df = 18, N = 274) = 52.80, p < .001; CFI = .98; TLI = .96; RMSEA = .08 (90% CI = .06-.11). 또한, 외로움에서 페이스북 중독에 이르는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았고, 외로움의 간접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외로움이 대인 민감을 통해 페이스북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 결과는 남녀참여자의 수적 불균형에 영향 받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논 의

    본 연구에서는 외로움과 페이스북 중독의 관계를 대인 민감이 매개하는 인과적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대학생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들의 직간접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와 상담실제 및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연구는 Shaffer 등(2004, 2012)이 제안한 중독증후군모델과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페이스북 이용 패턴을 고려하여 페이스북 중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되는 변인들을 선정하고 변인 간 인과적 관련성을 모형으로 설정한 후 실제 자료를 바탕으로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특히, 중독증후군모델에서 중독의 발달기제로 가정하고 있는 심리사회적 위험요소와 기저취약성 변인에 대해,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결과를 토대로 외로움과 대인 민감을 해당 변인으로 선정하고 페이스북 중독에 대한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페이스북 중독이 기술의 급격한 진보와 함께 생겨난 새로운 현상이기 때문에, 이를 설명할 수 있는 관련 변수들에 대한 탐색은 이제 시작단계에 있다. 비록 Shaffer 등(2004, 2012)이 중독에 이르는 과정과 관련 변인들을 제안하였지만 그 내용이 모호하고 포괄적이기 때문에, 특정 행동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탐색은 해당 중독의 특성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구체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중독 단계 또는 과정에서 기능하는 구체적인 변인에 대한 명시적 언급이 부재하는 상황에서, 본 연구자들은 페이스북 중독을 설명하는 심리사회적 위험요소와 기저 취약성 변인을 선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였다. 첫째, 페이스북 이용 동기가 주로 타인과의 관계형성 및 유지에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대인관계 변인(외로움, 대인 민감)을 페이스북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중독증후군모델을 주창한 Shaffer와의 개인적 교신을 통해 외로움과 대인 민감을 각각 심리사회적 위험요소와 기저 취약성 변인으로 채택하는 것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외로움에 대한 진화론적 이론을 제시한 Cacioppo와의 교신을 통해, 외로움이 대인 민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는 중독증후군모델을 바탕으로 페이스북 중독에 이르는 기제(심리사회적 위험요소, 기저 취약성)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였고, 관계적 동기와 관련이 많은 페이스북 중독의 특성을 고려하여 대인관계 변인(외로움, 대인 민감)을 과정변인으로 설정하였는데, 이론적 논의와 실증적 연구결과를 토대로 설정한 변인 간 인과적 구조모형의 타당성이 경험적 자료를 통해 입증되었다.

    구체적으로, 외로움은 대인 민감을 매개로 페이스북 중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페이스북 중독에 대한 외로움의 영향을 대인 민감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외로움 또는 소외감이 다른 통신매체(인터넷, 휴대전화, 스마트폰) 중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는 선행연구(박웅기, 2003; 이민석, 2011; 조성현, 서경현, 2013; Morahan-Marti & Schumacher, 2003a)와 차이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외로움이 어떤 과정을 거쳐 페이스북 중독을 유발하는지에 대한 추론을 가능케 한다. 즉, 본 연구결과는 외로움이 대인 민감을 활성화시켜 결국 페이스북 중독을 초래함을 시사한다. 앞서 서론에서 추론했던 것처럼, 대인관계 욕구가 좌절되어 외로움을 느낄 경우 페이스북을 통해 좌절된 욕구를 보상받을 수는 있지만, 단순한 페이스북 사용이 강박적 중독으로 이르는 과정에서 대인 민감과 같은 기저 취약요인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처음에는 외로운 사람들이 페이스북을 통해 좌절된 대인관계 욕구를 보상받을 수 있지만, 스스로를 방어하려는 욕구 때문에 타인의 기분과 생각에 지나치게 신경 쓰게 되고 자신과 타인의 상황을 비교하는 등 매우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결국 페이스북 상에서도 관계의 단절이 재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외로움을 경감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페이스북에 몰두하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대인 민감이 페이스북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나타난 것은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의미 있는 결과이다. 서양에서는 대인 민감을 중독 관련 변인으로 간주하기 보다는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거나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데 필요한 성격특성으로 강조한다(Hall, Andrzejewski, & Yopchick, 2009; Hall & Bernieri, 2001). 반면,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경우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페이스북을 사용하는 경향이 강하고(Kim et al., 2011), 여기에 타인의 기분을 상하지 않게 하면서 타인의 기대에 부응하는 방식으로 행동하는 것을 강조하는 사회문화적 분위기가(조아라 등, 2011) 더해져 페이스북 중독에 대한 대인 민감의 역할이 부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대학생들이 단순한 재미와 대화를 위해 페이스북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기존에 관계를 맺는 사람들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얻기 위해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등 페이스북의 관계 유지 기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Kim et al., 2011). 결국, 페이스북 사용과 관련된 우리사회의 독특한 문화적 현상이 대인 민감의 영향력을 유의미하게 하는데 일조했을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이렇듯 본 연구결과는 같은 변인이라 하더라도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그 기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인데, 이는 중독 현상을 이해함에 있어 문화적 맥락을 고려할 것을 주장한 학자들의 견해(Levine, 1978; Raylu & Oei, 2004; Room, 2003)를 지지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가 상담실제와 후속연구에 갖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연구결과는 상담 개입 시 페이스북 중독의 주요 기제로 대인 민감에 초점을 두고 이를 완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대인관계에서 경험한 욕구 좌절로 인해 외로움을 느끼고 페이스북에 과도하게 집착하는 내담자의 경우, 심리내적 취약요인인 대인 민감의 역할과 영향을 인식하게 하고 이에 대처하도록 조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우선, 대인 민감의 발생 원인과 발현되는 관계적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원가족에서의 관계경험을 탐색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Otani. Suzuki, Ishii, Matsumoto, 및 Kamata(2008)의 연구에서 대인 민감이 동성부모의 과잉보호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디푸스 콤플렉스가 나타나는 성기기에 동성부모가 침범적인 양육태도를 보이거나 또는 이성부모가 잘 돌보지 않아 동성부모가 과잉보호할 경우, 아이는 부모의 반응에 과도하게 민감해지고 자아는 독립적이지 못하게 된다. 어린 시절의 이런 관계경험은 내면화되어 성인기에 이르러서도 타인을 인식하고 대하는 태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Piper, Ogrodniczuk, & Duncan, 2002). 상담장면에서 상담자는 내담자가 보이는 타인에 대한 불안과 민감성이 원가족에서의 애착경험에 기인한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도록 조력할 수 있을 것이다.

    대인 민감 수준이 높은 사람은 소심하고 타인에게 인정을 구하는 등 내적 자아가 취약하고 자아정체감 수준이 낮은 경향이 있다(Boyce & Parker, 1989). 이때 집단상담이 적절한 개입이 될 수 있다. 집단상담은 매순간 일어나는 생각과 정서에 집중하게 함으로써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취약한 자아정체감을 자각하고 타인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을 인식하도록 돕는다(권희경, 장재홍, 2011; Bates & Johnson, 1972; Ferencik, 1991; Ormont, 1993; Toth, 1994; Yalom, 1983, 1985). 특히, 비구조화된 참만남(encounter) 방식의 집단상담이 대인 민감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신수자, 2005). 대인 민감 수준이 높은 구성원의 경우 상담초기에는 다른 집단원의 피드백을 자신에 대한 평가나 비난으로 간주할 수 있지만, 집단이라는 안전기지 안에서 공감적이고 수용적인 관계경험을 하게 되면 상담이 진행될수록 타인의 생각과 느낌이 자신에 대한 평가나 지적이 아닌 발전적인 피드백임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대인 민감 완화를 위한 또 다른 개입으로 대인관계심리치료(Interpersonal Psychotherapy)를 고려해볼 수 있다. 이 치료에서는 내담자가 상담자를 포함한 주요 타인과 맺은 관계에 초점을 둔다(정남운, 1999; Klerman, Wissman, Rousaville, & Chevron, 1984). 대인 민감 수준이 높은 내담자를 상담할 때, 타인의 반응을 과도하게 지각하는 내담자의 행동이 내담자의 대인관계에서 어떤 방식으로 재연되고 반복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데, 대인관계심리치료에서는 이것을 인지적으로 평가하고 수정하기보다는 민감해질 수밖에 없었던 내담자의 대인관계적 욕구를 상담자가 수용해 주는 데 초점을 둘 수 있다. 내담자가 상담 장면에서 지지적이고 안정된 관계경험을 갖게 되면, 내담자의 대인 민감 수준, 즉 타인으로부터의 격리 및 거부에 대한 두려움이 완화되고, 내담자 스스로 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역량이 증진될 것으로 예상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특정 지역, 특정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우리나라 모든 대학생, 더 나아가 연령 등 인구통계학적 배경이 다른 모집단에 적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본 연구에서는 대인 민감이 외로움과 페이스북 중독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가 발달단계 상 친밀한 대인관계 형성이 중요한 대학생들(김성회, 박경희, 2008)로 구성되었기 때문일 수 있다. 즉, 친밀한 대인관계 형성에 대한 발달적 압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다른 연령대를 연구대상으로 한다면 대인 민감의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로움과 페이스북 중독의 관계를 매개하는 변인들 또한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에 거주하는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대인 민감 뿐 아니라 표본의 발달단계 및 심리적 특성에 맞는 매개변인을 선정하여 그 영향력을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비록 본 연구에서 Shaffer 등(2004, 2012)의 중독증후군모델을 토대로 변인 간 인과적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그 적합성을 검증하였지만, 동일 시점에서 수집한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모형을 검증하였기 때문에 실제로 변인들 간에 인과관계를 확인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본 연구에서는 외로움이 대인 민감을 통해 페이스북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페이스북 중독이 심할 경우 외로움을 느낀다는 주장 또한 존재한다(Marche, 2012). 또한 세 변인 간 관계가 성격변인(예, 신경증적 성향) 등 제 3의 변인 때문에 나타났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관련변인을 통제한 후 교차지연 패널 설계 등 종단설계를 사용하여 변인 간 인과적 관련성을 보다 명료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셋째, Shaffer 등(2004)의 중독증후군모델에서는 유전적 위험요인 등 신경생리적 요인이 심리적인 요인들과 함께 중독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신경생리적 요인(예, 도파민 보상 시스템)과 심리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대인 민감을 기저 취약성 변인으로 가정하고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는데, 페이스북 중독에 대한 연구가 시작단계에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변수 탐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추후 연구에서는 SNS 사용 및 중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자기노출(고아라, 2012), 자기애(Mehdizadeh, 2010), 자존감(Wilson et al., 2010), 자아정체성이나 소속감(Pelling & White, 2009), 사회불안(유현숙, 2010), 성격 5요인(Amichai-Hamburger & Vinitzky, 2010; Correa, Hinsley, & de Zuniga, 2010) 등의 영향력을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중독과정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중독을 완충시킬 수 있는 보호요인을 고려하지 않았다. 자기통제(이준기, 최웅용, 2011; Chark & Leung, 2004), 사회적 지지(Young, 1999), 자기효능감(남영옥, 이상준, 2005), 사회적 자기효능감(이현아, 2004) 등은 인터넷중독 관련 연구에서 보호요인으로 제안되어왔는데, 페이스북 중독 연구에서도 보호요인으로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페이스북 중독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외국에서 개발된 BFAS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비록 평행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구인타당도를 확보하였으나, 매개효과 검증에 사용한 동일 자료를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했다는 점에서 척도의 타당도가 제한적일수밖에 없다. 또한, 원척도의 문항만을 번안하여 사용했기 때문에 우리나라 대학생들에게 존재하는 페이스북 중독의 독특한 현상을 담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페이스북 중독 현상을 포괄적으로 반영하는 문항과 요인을 개발하여 그 타당성을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 1. 강 현욱 (2013) 대학생의 SNS중독성향과 사회적지지, 외로움, 건강지각, 대인관계의 관계와 신체활동을 통한 치료 레크리에이션 적용.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2 P.121-133 google
  • 2. 고 아라 (201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사용자의 몰입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Facebook 사용자를 중심으로. google
  • 3. 권 희경, 장 재홍 (2011) 집단상담에서의 정서인식, 정서표현 및 정서수용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P.811-831 google
  • 4. 금 희조 (2011) 소셜 미디어 시대, 우리는 행복한가?: 소셜 미디어 이용이 사회 자본과 정서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회] Vol.25 P.7-48 google
  • 5. 김 광일, 김 재환, 원 호택 (1984)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google
  • 6. 김 교헌 (2006) 중독과 자기조절: 인지신경과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1 P.63-105 google
  • 7. 김 교헌, 김 지환 (1989) 한국판UCLA 고독척도. [학생생활연구] Vol.16 P.13-30 google
  • 8. 김 기범, 김 미희, 최 상진 (2001) 정서적 고독감과 인터넷 효능감이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활동에 미치는 영향: 남녀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6 P.39-57 google
  • 9. 김 성회, 박 경희 (2010) 대학상담: 대학생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 개발. [상담학연구] Vol.11 P.375-393 google
  • 10. 김 옥수 (1997a) 외로움(Loneliness)의 개념 분석. [간호과학] Vol.9 P.28-37 google
  • 11. 김 옥수 (1997b) 일부 대학생들의 외로움이 음주, 흡연, 건강지각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Vol.29 P.107-116 google
  • 12. 김 옥수 (1997c) 한국어로 번역된 UCLA 외로움 사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조사. [대한간호학회지] Vol.27 P.871-879 google
  • 13. 김 의철, 박 영신 (2006) 한국인의 자기 인식에 나타난 토착문화심리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Vol.12 P.1-36 google
  • 14. 김 종범, 한 종철 (2001) 인터넷 중독 하위 집단의 특성 연구-자존감, 공격성, 외로움, 우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3 P.207-219 google
  • 15. 남 영옥, 이 상준 (2005)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유형에 따른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정신건강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 Vol.57 P.195-222 google
  • 16. 박 웅기 (2003) 대학생들의 이동전화 중독증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Vol.47 P.250-281 google
  • 17. 박 웅기 (2013) 청소년의 SNS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학연구] Vol.13 P.305-342 google
  • 18. 백 초롱 (2012) 페이스북 사용과 대인관계 건강, 외로움의 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 및 지각된 격려의 매개효과. google
  • 19. 서 거 (2013) 이용 중독이 대학생의 사회성 및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google
  • 20. 신 수자 (2005) Encounter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효과. [재활심리연구] Vol.12 P.23-46 google
  • 21. 양 심영, 박 영선 (2005)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성향의 예측모형. [대한가정학회지] Vol.43 P.1-16 google
  • 22. 오 윤경 (2012) SNS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지지의 관계. google
  • 23. 우 상우, 박 기쁨, 정 성훈, 장 문선 (2010) 행동중독의 예측인자로써 인지특성, 정서특성, 자아특성.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Vol.13 P.19-36 google
  • 24. 유 현숙 (2013) 사회불안 및 페이스북 이용동기가 SNS 중독과 페이스북 이용에 따른 심리적 문제에 미치는 영향. google
  • 25. 이 경민, 장 성숙 (2004) 인터넷 중독자의 자기개념과 자기도피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5 P.651-672 google
  • 26. 이 경탁, 노 미진, 권 미옥, 이 희욱 (2013) SNS사용자의 외로움, 자기노출, 사회적 지지 그리고 삶의 만족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Vol.13 P.19-39 google
  • 27. 이 민규 (2000) 실직자의 정신건강과 강인성 및 사회적 지지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Vol.19 P.549-561 google
  • 28. 이 민석 (2011)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google
  • 29. 이 상호 (2013)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중독에 관한 정책적 함의 연구: 한국형 SNS 중독지수(KSAI) 제안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Vol.11 P.255-265 google
  • 30. 이 준기, 최 웅용 (2011) 청소년 인터넷중독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대한 연구. [상담학연구] Vol.12 P.2085-2104 google
  • 31. 이 현아 (2004) 대학생의 인터넷중독유형에 따른 특성과 인터넷중독의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Vol.42 P.27-49 google
  • 32. 전 주연 (2005) 외로움과 인터넷사용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사회적 기술을 매개변인으로. google
  • 33. 정 남운 (1999) 대인관계적 심리치료 이론에서 본 내담자 문제와 상담자 전략: 개관. [심리과학] Vol.8 P.61-89 google
  • 34. (2013) 소셜 미디어 서비스 현황 및 활용: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정책] Vol.25 P.45-65 google
  • 35. 정 수주 (2012) SNS와 사회자본이론에 대한 탐색적 연구: 대학생의 페이스북 이용을 중심으로. google
  • 36. 조 성현, 서 경현 (2013) SNS 중독경향성 관련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 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8 P.239-250 google
  • 37. 조 아라, 김 혜영, 오 경자 (2011) 한국대학생의 사회지향성과 자율지향성의 구조 및 심리적 적응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Vol.30 P.337-347 google
  • 38. 채 려분 (2012) 사회관계형 SNS 이용에 따른 부정적 감정유발에 관한 연구. google
  • 39. 최 세경, 곽 규태, 이 봉규 (2012) 커뮤니케이션 성향과 모바일 SNS 애착이 SNS 상호작용과 이용 후 대인관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Vol.29 P.159-200 google
  • 40. 최 지애 (2013) SNS 담론과 현실: 대학생 수용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google
  • 41. 피 승정 (2013) SNS 사용행동에 따른 SNS 중독 가능성,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의 차이. google
  • 42. 한 기혜, 박 영신, 김 의철 (2008) 대학생의 행복과 불행에 대한 토착심리분석.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24-25 google
  • 43. (198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google
  • 44. Amichai-Hamburger Y., Vinitzky G. (2010) Social network use and personalit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6 P.1289-1295 google cross ref
  • 45. Andreassen C. S., Torshelm T., Brunborg G. S., Pallesen S. (2012) Development of a Facebook addiction scale. [Psychological Reports] Vol.110 P.510-517 google cross ref
  • 46. Arbuckle J. L. (2009) Amos 18 user’s guide. google
  • 47. Bandalos D. L. (2002) The effects of item parceling on goodness-of-fit and parameter estimate bia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9 P.78-102 google cross ref
  • 48. Bandalos D. L. (2008) Is parceling really necessary? A comparison of results from item parceling and categorical variable methodolog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15 P.211-240 google cross ref
  • 49. Bates M. M., Johnson C. D. (1972) Group leadership: A manual for group counseling leaders. google
  • 50. Boyce P., Hickie I., Parker G., Mitchell P., Wilhelm K., Brodaty H. (1993) Specificity of interpersonal sensitivity to nonmelancholic depress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 Vol.27 P.101-105 google cross ref
  • 51. Boyce P., Parker G. (1989)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interpersonal sensitivity.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Vol.23 P.341-351 google
  • 52. Boyce P., Parker G., Barnett B., Cooney M., Smith F. (1991) Personality as a vulnerability factor to depression.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Vol.159 P.106-114 google cross ref
  • 53. Brown T. A. (2006)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applied research. google
  • 54. Cacioppo J. T., Hawkley L. C. (2009) Perceived social isolation and cognition.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Vol.13 P.447-454 google cross ref
  • 55. Carscadden D. M. (1990) Predicting psychiatric symptom in rural community mental health clients. [Psychological Reports] Vol.66 P.561-562 google cross ref
  • 56. Chark K., Leung L. (2004) Shyness and locus of control as predictors of Internet addiction and Internet use.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7 P.559-570 google cross ref
  • 57. Correa T., Hinsley A. W., de Zuniga H. G. (2010) Who interacts on the web?: The intersection of users’ personality and social media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6 P.247-253 google cross ref
  • 58. Derogatis L. R. (1977) SCL-90-R Manual. google
  • 59. Dhaha I. S. Y. (2013) Predictors of Facebook addiction among You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Journal of Social Sciences] Vol.2 P.186-195 google
  • 60. Ellison N. B., Steinfield C., Lampe C. (2007) The benefits of Facebook “friends”: Social capital and college students’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2 P.1143-1168 google
  • 61. (2013) Facebook reports second quarter 2013 results. google
  • 62. Ferencik B. M. (1991) A typology of the here-and-now: Issues in group therapy. [International Journal of Group Psychotherapy] Vol.41 P.169-183 google
  • 63. Griffiths M. D. (1996) Nicotine, tobacco and addiction. [Nature] Vol.384 P.18-19 google cross ref
  • 64. Griffiths M. D. (1997) Psychology of computer use: XLIII. Some comments on ‘Addictive use of the Internet’ By Young. [Psychological Reports] Vol.80 P.81-82 google cross ref
  • 65. Griffiths M. D. (2012) Facebook addiction: Concerns, criticism, and recommendations-A response to Andreassen and colleagues. [Psychological Reports] Vol.110 P.518-520 google cross ref
  • 66. Hall J. A., Andrzejewski S. A., Yopchick J. E. (2009) Psychosocial correlates of interpersonal sensitivity: A meta analysis. [Journal of Nonverbal Behavior] Vol.33 P.149-180 google cross ref
  • 67. Hall J. A., Bernieri F. J. (2001) Interpersonal sensitivity: Theory and measurement. google
  • 68. Hong F. Y., Huang D. H., Lin H. Y., Chiu S. L. (2014)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traits, Facebook usage, and Facebook addiction model of Taiwanese university students.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31 P.597-606 google cross ref
  • 69. Horn J. L. (1965) A rationale and test for the number of factors in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Vol.30 P.179-185 google cross ref
  • 70. Hu L. T.,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6 P.1-55 google cross ref
  • 71. Humphreys L. G., Montanelli R. G. (1975) An investigation of the parallel analysis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ommon factor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10 P.193-205 google cross ref
  • 72. Johnson K. (2006) ‘Addiction Syndrome’ called key to recovery: For better treatment of the problem, a different way of assessing and treating it is needed. Clinical Psychiatry News. google
  • 73. Jordan J. V. (1991) The meaning of mutuality. In J. V. Jordan, A. G. Kaplan, J. B. Miller, I. P. Stivey, & J. L. Surrey. (Eds.) Women's growth in connection: Writings from Stone Center P.82-83 google
  • 74. Kaiser H. F. (1960) The application of electronic computers to factor analysi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20 P.141-151 google cross ref
  • 75. Kim J., LaRose R., Peng W. (2009) Loneliness as the cause and the effect of problematic Internet us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us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12 P.451-455 google cross ref
  • 76. Kim Y., Sohn D., Choi S. M. (2011) Cultural difference in motivations for using social network sites: A comparative study of American and Korean college stud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7 P.365-372 google cross ref
  • 77. Kirschner P. A., Karpinski A. C. (2010) Facebook and academic performanc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6 P.1237-1245 google cross ref
  • 78. Klerman G. L., Wissman M. M., Rousaville B. J., Chevron E. S. (1984) Interpersonal psychotherapy of depression: A brief, focused, specific strategy. google
  • 79. Kross E., Verduyn P., Demiralp E., Park J., Lee D. S., Lin N., Shablack H., Jonides J., Ybarra O. (2013) Facebook use predicts declines in subjective well-being in young adults. [PloS one] Vol.8 P.e69841 google cross ref
  • 80. Leung K. (1997) Negotiation and reward allocations across cultures. In P. C. Earley, & M. Erez. (Eds.), New perspective on international industrial-organizational psychology. google
  • 81. Levine H. G. (1978) The discovery of addiction: Changing conceptions of habitual drunkenness in America.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Vol.39 P.143-74 google cross ref
  • 82. Lim L. L. (2009) The influences of harmony motives and implicit beliefs on conflict styles of the collectivist.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Vol.44 P.401-409 google cross ref
  • 83. Marche S. (2012) Is Facebook making us lonely? [The Atlantic Monthly] Vol.309 P.60-69 google
  • 84. Martens M. P. (2005) The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33 P.269-298 google cross ref
  • 85. Mehdizadeh S. (2010) Self-presentation 2.0: Narcissism and self-esteem on Facebook.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Vol.13 P.357-364 google cross ref
  • 86. Morahan-Martin J., Schumacher P. (2003a) Incidence and correlates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among college stud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16 P.13-29 google cross ref
  • 87. Morahan-Martin J., Schumacher P. (2003b) Loneliness and social uses of the Interne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19 P.659-671 google cross ref
  • 88. Ormont L. R. (1993) Resolving resistances to immediacy in the group set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Group Psychotherapy] Vol.43 P.399-418 google
  • 89. Otani K., Suzuki A., Ishii G., Matsumoto Y., Kamata M. (2008) Relationship of interpersonal sensitivity with dimensions of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in healthy subjects. [Comprehensive Psychiatry] Vol.49 P.184-187 google cross ref
  • 90. Pelling E. L., White K. M. (2009)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pplied to young people's use of social networking web sites.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12 P.755-759 google cross ref
  • 91. Pempek T. A., Yermolayeva Y. A., Calvert S. L. (2009) College students' social networking experiences on Facebook.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0 P.227-238 google cross ref
  • 92. Piersma H. L., Boes L. J., Reaume W. M. (1994) Unidimensionality of the brief symptom inventory(BSI) in adult and adolescent inpatien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63 P.338-344 google cross ref
  • 93. Piper W. E., Ogrodniczuk J. S., Duncan S. C. (2002) Psychodynamically oriented group therapy. In F. W. Kaslow, & J. J. Magnavita. (Eds.) Comprehensive handbook of psychotherapy: Psychodynamic/object relations P.457-480 google
  • 94. Raylu N., Oei T. P. (2004) Role of culture in gambling and problem gambling. [Clinical psychology review] Vol.23 P.1087-1114 google cross ref
  • 95. Room R. (2003) The cultural framing of addiction1. [Janus Head] Vol.6 P.221-234 google
  • 96. Ross C., Orr E. S., Sisic M., Arseneault J. M., Simmering M. G., Orr R. R. (2009) Personality and motivations associated with Facebook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5 P.578-586 google cross ref
  • 97.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Vol.45 P.18-29 google cross ref
  • 98. Russell D., Peplau L. A., Ferguson M. L. (1978) Developing a measure of loneliness. [Journal of Prsonality Asessment] Vol.42 P.290-294 google cross ref
  • 99. Russell D., Peplau L. A., Cutrona C. E. (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39 P.472-480 google cross ref
  • 100. Ryan T., Xenos S. (2011) Who uses Facebook?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and Facebook usag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7 P.1658-1664 google cross ref
  • 101. Sadava S. W., Thompson M. M. (1986) Loneliness, social drinking, and vulnerability to alcohol problems. [Canadian Journal of Behavioural Science/Revue canadienne des sciences du comportement] Vol.18 P.133-139 google cross ref
  • 102. Seo M., Kang H. S., Yom Y. H. (2009) Internet addict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in Korean adolescents.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Vol.27 P.226-233 google cross ref
  • 103. Shaffer H. J., LaPlante D. A., LaBrie R. A., Kidman R. C., Donato A. N., Stanton M. V. (2004) Toward a Syndrome Model of Addiction: Multiple expressions, common etiology. [Harv Rev Psychiatry] Vol.12 P.367-374 google cross ref
  • 104. Shaffer H. J., LaPlante D. A., Nelson S. E. (2012) APA Addiction Syndrome Handbook: Vol. 1. Foundations, influences, and expressions of addiction. google
  • 105. Shearer R., Davidhizar R. (1994) It can never be the way it was helping elderly women adjust to change and loss. [Home Healthcare Nurse] Vol.12 P.60-65 google cross ref
  • 106. Shrout P. E.,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7 P.422-445 google cross ref
  • 107. (2010) 350 million people are suffering from Facebook Addiction Disorder(FAD). google
  • 108. Subrahmanyam K., Reich S. M., Waechter N., Espinoza G. (2008) Online and offline social networks: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by emerging adult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9 P.420-433 google cross ref
  • 109. Surrey J. L. (1991) The ‘self-in-relation’: A theory of women's development. In J. V. Jordan, A. G. Kaplan, J. B. Miller, I. P. Stivey, & J. L. Surrey. (Eds.) Women's growth in connection: Writings from Stone Center P.82-83 google
  • 110. Toth P. L. (1994) Teaching the ‘here and now’ intervention to masters level group counseling students using a microcounseling skill based approach: The effect on skill acquisition and the level of self-efficacy. google
  • 111. West S. G., Finch J. F.,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56-75 google
  • 112. Wilson K., Fornasier S., White K. M. (2010) Psychological predictors of young adults’: use of social networking site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Vol.13 P.173-177 google cross ref
  • 113. Wiseman H. (1997) Interpersonal relatedness and self-definition in the experience of loneliness during the transition to university. [Personal Relationships] Vol.4 P.285-299 google cross ref
  • 114. Worthington R. L., Whittaker T. A. (2006) Scale development research: A content analysis and recommendations for best practice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34 P.806-838 google cross ref
  • 115. Wu A. M. S., Cheung V. I., Ku L., Hung E. P. W. (2013) Psychological risk factors of addiction to social networking sites among Chinese smartphone users.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 Vol.2 P.160-166 google cross ref
  • 116. Yalom I. D. (1983) Inpatient group psychotherapy. google
  • 117. Yalom I. D. (1985)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google
  • 118. Young K. S. (1996) Psychology of computer use: XL. Addictive use of the Internet: A case that breaks the stereotype. [Psychological reports] Vol.79 P.899-902 google cross ref
  • 119. Young K. S. (1999) Internet addiction: Symptoms, evaluation and treatment. In L. Vande-Creek & T. Jackson. (Eds.), Innovations in clinical practice: A source book google
  • 120. Zwick W. R., Velicer W. F. (1986) Comparison of five rules for determining the components to retain. [Psychological Bulletin] Vol.3 P.432-442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그림 2. ]  연구 모형
    연구 모형
  • [ 그림 3. ]  BFAS 평행분석 결과
    BFAS 평행분석 결과
  • [ 표 1. ]  BFAS 문항과 요인부하량
    BFAS 문항과 요인부하량
  • [ 표 2. ]  변인 간 상관, 측정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 왜도와 첨도
    변인 간 상관, 측정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 왜도와 첨도
  • [ 그림 4. ]  최종 모형. 계수들은 비표준화 계수임.
    최종 모형. 계수들은 비표준화 계수임.
  • [ 표 3. ]  대민 민감의 매개효과 검정
    대민 민감의 매개효과 검정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