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Perceive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College Students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erceive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perfectionism, and the need for approval on psychological adjustment including anxiety and depression. A total of 500 (N=500) students from several universities in the greater Seoul area participated in the current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who either resided with their parents or whose mother was a housewife perceived a higher level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than others. A full mediational model where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influenced perfectionism, which increased the need for approval and subsequently raised the level of anxiety and depression, showed good fit.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maternal control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Perfectionism and the need for approval were significant in mediating the effect of maternal control on anxiety and depression. Implications of the current findings in terms of providing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KEYWORD
지각된 어머니의 심리통제 , 완벽주의 , 인정욕구 , 우울 , 불안 , 대학생 심리적 적응
  • 대학생의 심리적 적응과 부모 심리통제

    우울과 불안은 대학 상담 장면에서 내담자들이 가장 빈번히 호소하는 부정적 정서증상이다(김수현, 2002; 김화현, 2013). 주요우울장애와 불안장애는 성인기 초기에 가장 높은 유병률(보건복지부, 2006, 2011)을 보이며 평생 유병률과 일년 유병률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발병 환자 수 분포를 보면 20대 발병 환자 수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많은 것으로 확인된다(보건복지부, 2006, 2011). 경미한 우울감이나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는 그보다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우울과 불안의 원인요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조기 예방과 치료적 개입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관련 경험연구에서는 자녀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요인으로 부모의 심리통제를 주목하고 있다.

    심리통제란 자녀의 사고, 감정, 부모에 대한 애착 등에 영향력을 행사하여 조정하려는 훈육행동을 말한다(Barber, 1996). 구체적으로 자녀의 행동에 대한 통제수단으로 애정철회, 인신공격, 혹은 죄의식 심어주기 등과 같은 심리적 수단을 이용하는 양육태도(Barber, Olsen, & Shagle, 1994)로 개념화된다. 심리통제는 자녀의 행동을 일관된 규칙에 따라 통제하고 관리, 감독하는 부모의 양육행동인 행동통제와 구분되는데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이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이 그 이유다. 부모 심리통제는 본질적으로 자녀의 정서적, 심리적 요구에 순응적(Maccoby & Martin, 1983)이지 않아, 자녀의 독립적인 자기표현과 자율성 발달을 억압할 뿐만 아니라 부모와 자녀 간에 적절한 심리적 경계가 형성되는 것을 방해한다고 알려져 있다(Baumrind, 1965; Hauser, 1991). 부모 심리통제는 자녀의 정서적, 심리적 요구와 상관없이 가해지는 사회화 압력(Maccoby & Martin, 1983)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자녀가 건강한 대인관계 기술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Baumrind, 1965). 관련연구에서도 부모 심리통제가 높을수록 자녀의 건강한 자아 정체감의 형성이 저해(이미정, 2010; Bronstein, 1994; Conger, Conger, & Scaramella, 1997; Litovsky & Dusek, 1985; Shulman, Collins, & Dital, 1993)되고 우울, 불안과 같은 부정적 정서증상이 심화(김희영, 2008; 박성연, 이은경, 송주현, 2008; 양승윤, 2008; Barber et al., 1994; Comstock, 1994; Garber, Robinson, & Valentiner, 1997; Knowlton, 1998; Morris et al., 2002)된다는 일관적인 결과를 보고한다. 심리통제 환경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자녀의 부정적 정서 체험이 가중되는 이유로 안정된 정체감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탐색(Marcia, 1980)이 어렵고 건강한 자기(Self) 발달이 어렵기 때문이란 추측이 가능하다.

    완벽주의와 인정욕구

    자기 성취에 대한 비현실적이고 과도한 기대, 그리고 그 기준을 만족시켜야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 수용될 수 있다는 믿음이 두드러지는 완벽주의는 성장과정에서 부모와의 관계를 통해 내재화되고 지속되는 개인의 성격적 특성으로 정의된다(김혜인, 2010). 자녀의 완벽주의를 조장하는 요인으로 부모의 양육태도를 지목하는 경우(허재홍, 2006; Burns, 1980), 완벽주의 성향이 높은 자녀의 부모는 자녀가 우수한 수행을 했을 때는 애정과 수용으로 보상하지만 실수나 실패를 했을 때는 실망감과 불안감을 드러낸다고 본다. 자녀에게 성취도에 따른 가치조건화(condition of worth)와 정서적 거부(emotional rejection)의 경험을 빈번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자녀는 부모로부터 사랑받고, 수용받기 위해 늘 더 잘해야 하고 실수를 용납할 수 없다는 강박적 생각을 하게 된다. 부모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내가 더 잘하고, 열심히 하고, 완벽해지면 부모님이 나를 더 사랑하실 것이다.’라는 신념을 강화시킨다(Hollender, 1965). 반복적으로 부모의 심리통제에 노출되면 자녀는 부모의 기준을 내면화하여, 부모가 하는 것처럼 스스로 기준에 못 미치는 자기 자신을 탓하는 자기비난도 심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부모 심리통제를 받은 경우, 성장과정에서 부모로부터 평가적인 말을 많이 듣기 때문에 부모에게 더 사랑받고 인정받기 위해 완벽주의적 성향을 발달시키게 된다(Soenens et al., 2008).

    한편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거절의 두려움을 피하기 위해 대인관계에 몰두하게 되며, 타인의 인정을 추구하게 된다는 보고가 있다(Habke & Flynn, 2002). 완벽주의가 높은 자녀는 자신이 부모의 기준, 혹은 자신이 세워놓은 기준에 도달하지 못할지 모른다는 걱정이 많다. 중요한 타인이 부여한 과도한 기준을 통제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불안, 무기력, 분노와 같은 부정적 정서도 쉽게 느낀다. 이에 중요한 타인이 자신에게 과도한 기대를 하고 있으며 인정과 수용을 받기 위해서는 그 기준을 만족시켜야 한다고 믿는 경향인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높은 경우, 우울해지기 쉽다고 알려져 있다(서영숙, 김진숙, 2009; Hewitt & Flett, 1991). 최근 들어 평가염려 완벽주의라고 명명한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높은 대학생이 타인에게 인정받고 싶은 욕구도 높다는 보고가 있다(이정숙, 2010; Wu & Wei, 2008). 따라서 완벽주의적 성향이 높을수록 사회적 의존성(sociotropy)이나 사회적 인정에 대한 욕구가 높아질 것이라는 추론이 힘을 받고 있다(Lobel, Kashtan, & Winch, 1987).

    완벽주의는 자신의 가치나 능력을 다른 사람에게 인정, 수용을 받고 싶고, 비판이나 거부를 피하고자 하는 욕구로 정의되는 인정욕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측된다. 중요한 타인에게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받을 경우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상을 형성하고, 중요한 타인에게 인정받기 위해서는 완벽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는 주장(Wade, 1997) 역시 완벽주의와 인정욕구의 관련성을 제시한다. 인정욕구가 지나칠 경우 내면화 문제행동, 특히 우울이나 불안에 대한 취약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Ellis, 2002; Wei, Mallinckrodt, Larson, & Zakalik, 2005). 타인으로부터의 인정에 의존하는 사람은 불안감, 무기력감 혹은 우울감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경험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완벽주의가 증가할수록 인정욕구가 높아지고 이는 우울과 불안을 심화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하지만 완벽주의, 인정욕구, 그리고 우울과 불안과 같은 부정적 정서로 이어지는 경로를 구체적으로 검증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다. 국내에서는 타인에 의한 타당화(validation from others)로 측정한 대학생의 인정욕구가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우울, 불안 간의 관계를 각각 부분 매개한다는 보고(장애경, 이지연, 2011)가 있을 뿐이다.

    부모의 심리통제, 완벽주의, 인정욕구가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선행 연구결과, 부모 심리통제가 높을수록 완벽주의적 성향이 강해진다. 부모 심리통제와 완벽주의는 각각 우울과 불안을 심화시킨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 심리통제의 영향을 탐색한 3년간의 종단연구(Soenens et al., 2008)에서 1년 차에 부모의 심리통제를 받았다고 지각한 청소년에게서 2년 차에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한편 2년 차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증가는 2년 차의 청소년 우울의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즉 부모 심리통제는 완벽주의에 영향을 미치고, 완벽주의는 우울과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부모의 심리통제가 자녀의 완벽주의를 매개로 자녀의 내면화 문제(김희영, 2008; 양승윤, 2008; Soenens et al., 2008)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했다. 한편 자신의 가치와 능력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낮아 타인으로부터의 거부와 비난은 피하고자하고 수용과 인정에 대한 욕구가 강할수록 우울과 불안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인정욕구가 완벽주의와 내면화 문제(장애경, 이지연, 2011; Wu & Wei, 2008)를 매개한다는 보고도 있다. 하지만 관련 선행 연구들은 부모 심리통제, 완벽주의와 심리적 적응 혹은 완벽주의, 인정욕구, 그리고 심리적 적응 간의 관련성을 각각 개별적으로 탐색하였다. 부모 심리통제, 완벽주의, 그리고 인정욕구가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포괄적인 경로를 살펴본 경우는 없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부모와 생활하는 경우가 많아(김화현, 2013) 대학생 자녀에 대한 부모의 심리통제가 여전할 가능성이 높다. 초기 성인기인 대학생은 발달단계 상 부모로부터 독립하여 자율성을 가지고자 하는 욕구가 극대화되는 시기로, 부모의 여전한 간섭과 통제는 대학생에게 심각한 불편감과 반발심을 일으킬 수 있다. 한편 만성적인 심리통제로 부모에게 자신의 심리적 영역을 지속적으로 침해당하고 그 결과 부모와 건강한 심리적 분리를 이루지 못한 대학생은 그러한 불편감을 명확하게 표현하지 못하여 부모의 심리통제로 인한 영향이 심각한 정서적, 심리적 문제로 드러날 수 있다. 따라서 대학생의 상담과정에 부모 심리통제는 중요한 요인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한편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에 대한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은 치료적 환경을 조성하는데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지각된 부모 심리통제가 높고 완벽주의적 성향이 높은 내담자의 경우(장애경, 이지연, 2011) 인정욕구의 충족은 핵심적인 치유적 요인이 될 수 있다. 인정욕구가 충족되면 스스로 자신의 가치를 인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부모 심리통제가 우울과 불안으로 이어지는 경로에 완벽주의와 인정욕구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는 특히 대학생에 대한 적절한 상담적 개입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연구모형

    부모의 심리통제와 자녀의 심리적 적응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들은 자녀가 부모의 심리통제를 많이 받았다고 지각할수록 우울, 불안과 같은 내면화 문제가 증가한다는 일관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Barber et al., 1994). 부모의 심리통제는 완벽주의를 가중시키고, 완벽주의가 높아지면 부적응 정서가 높다는 보고도 있다. 하지만 부모 심리통제가 인정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한 경우는 없다. 또한 부모 심리통제, 완벽주의, 그리고 인정욕구가 부적응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심리통제를 대학생의 우울과 불안의 원인요인으로 지목하고 어머니의 심리통제가 우울과 불안으로 이어지는 과정에 자녀의 완벽주의와 인정욕구의 매개효과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부모의 심리통제가 자녀의 완벽주의를 매개로 자녀의 내면화 문제(김희영, 2008; 양승윤, 2008; Soenens et al., 2008)에 영향을 미치고 인정욕구가 완벽주의와 내면화 문제(장애경, 이지연, 2011; Wu & Wei, 2008)를 매개한다는 선행 연구결과를 근거로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통제가 완벽주의와 인정욕구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그림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은 지각된 어머니의 심리통제가 우울 및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완벽주의와 인정욕구가 매개하는 이중 완전매개모형이다. 심리통제와 인정욕구가 어떠한 양상으로 관련이 되는지에 대한 선행 연구는 없다. 하지만 심리통제를 많이 받을수록 비난과 질책을 받은 경험이 많을 것이므로 타인으로부터의 비판을 피하고 수용받고 싶은 인정욕구가 높아질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그림 2에 제시한 바와 같이 심리통제가 인정욕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추가한 대안모형을 설정하였다.

    방 법

      >  연구대상 및 절차

    본 연구는 2012년 10월 서울 지역에 소재하는 2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550명을 대상으로 5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50부를 제외한 총 500부(N= 500)를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성별 구성은 남학생이 212명(42.4%), 여학생이 288명(57.6%)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다소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현재 거주 가족 형태는 부모와 동거하고 있는 대학생이 301명(60.2%)으로 가장 많았고, 자취, 하숙하거나 기숙사에 살고 있는 대학생이 186명(37.2%)이었다. 어머니의 직업은 전업주부가 260명(52.0%)으로 반 이상을 차지했다.

      >  측정도구

    대학생용 어머니 심리통제 척도

    대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통제는 Barber(1996)의 청소년용 부모 심리통제척도(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Report; PCS-YSR)(Barber, 1996) 16문항에 Olsen 등(2002)의 2문항을 추가하여 안명희(2010)가 번안하고 완성한 청소년용 부모 심리적 통제 척도를 연구자가 대학생에 맞게 어휘를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본 척도는 언어표현제재-감정무시, 인신공격-변덕스러운 감정, 애정철회-죄의식 심어주기의 3개 하위요인으로 이루어져있다. 각 하위요인은 6문항으로 구성되어 총 18문항으로 이루어져있다. 각 문항은 Likert-type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하위변수의 문항 점수를 합산한 값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심리통제가 심하다는 것을 뜻한다. 안명희(2010)의 연구에서 청소년용 부모 심리적 통제 척도의 내적 일치도(Cronbach's α)는 .86이었다. 대학생 550명을 대상으로 어머니 심리통제 척도의 내적 일치도를 분석한 Baek, Hong, Kim, Kim, & Ahn(2013)의 최근 연구에서, 언어표현제재-감정무시 하위척도는 .81, 인신공격-변덕스러운 감정 하위척도는 .77, 애정철회-죄의식 심어주기 하위척도는 .70, 어머니 심리통제 척도 전체의 내적 일치도는 .90이었다. 본 연구에서의 내적 일치도는 .91이다.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대학생의 완벽주의는 Frost, Marten, Lahart와 Rosenblate(1990)가 개발한 Frost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FMPS)를 정승진(1999)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의 긍정적 측면을 반영하고 있어 좋은 행동 습관, 노력, 높은 성취와 정적인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개인적 기준 5문항과 조직화 하위척도의 7문항을 제외한 4개 하위척도, 즉 실수에 대한 염려, 수행에 대한 의심, 부모의 기대에 대한 부담감과 부모의 비판에 대한 인식을 포함한 23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측정변수는 부모의 기대와 부모의 비판에 대한 자기인식을 한 묶음으로, 실수에 대한 염려, 수행에 대한 의심 하위척도를 한 묶음으로 구성하였다. 각 문항은 Likert-type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항들의 점수를 합산한 값이 높을수록 대학생의 완벽주의 성향이 높다는 것이다. Frost 등(1990)의 연구에서 내적 일치도(Cronbach's α)는 .90이었고 본 연구에서의 내적 일치도(Cronbach's α) 계수는 .88이었다.

    인정욕구 척도

    인정욕구는 Martin-Larsen Approval Motivation scale(MLAM)을 1984년 Martin이 개정한 The Revised Martin-Larsen Approval Motivation scale (RMLAM)을 이정숙(2010)이 번안한 인정욕구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척도는 진짜 자신의 모습이 어떻든 상대방에게 수용받기 위해서라면 실제 모습을 숨기고서라도 상대방에 맞추는 경향을 평가한다. ‘나에 대해 나쁜 말을 하는 사람이 있으면, 다시 만날 때 좋은 인상을 심어주려고 최선을 다한다.’ ‘남한테 좋게 보이기 위해서라면 내 의견도 바꿀 수 있다.’와 같은 문항을 포함한다. 모든 문항의 점수를 합산한 점수가 높을수록 자신의 가치나 능력을 다른 사람에게 인정, 수용받고 싶고, 비판이나 거부는 피하고자 하는 욕구가 높다는 것이다. Likert-type 5점 척도로 구성된 본 척도는 총 20개의 문항 중 2, 12, 13, 16, 19번이 역채점 문항이다. Wu와 Wei(2008)의 연구에서 내적 일치도(Cronbach's α)가 .82였으며 본 연구에서의 내적 일치도(Cronbach's α)는 .79이었다.

    우울 및 불안 척도

    대학생의 우울 및 불안은 한국판 Behavior Assessment System for Children-Ⅱ(BASC-Ⅱ), Self-Report of Personality-College Form(SRP-COL)(안명희, 2013)의 우울 소척도 13문항, 불안 소척도 14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우울 소척도는 고독감, 슬픔, 삶을 즐기지 못하는 전형적인 우울증상을 평가한다. 각 문항의 합산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감이 많음을 뜻한다. 불안 소척도는 자기 자신에게도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는 일반화된 두려움, 초조함과 걱정을 평가한다. 불안 소척도의 문항 점수의 합이 클수록 막연한 두려움과 떨쳐버리기 어려운 걱정이 많은 상태임을 의미한다. 한국판 BASC-Ⅱ, SRP-COL의 우울 소척도는 Beck의 우울 척도(Beck's Depression Inventory Ⅱ: BDI-Ⅱ)와의 공인타당도 검증 결과 .90으로 p < .001 수준에서 유의했고, 불안 소척도는 Beck의 불안 척도(Beck's Anxiety Inventory: BAI)와의 공인타당도 검증에서 .72로 p < .001 수준에서 유의했다. 본 연구에서의 내적 일치도(Cronbach's α)는 우울의 경우 .94, 불안은 .92로 높았다.

      >  자료 분석

    연구대상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변인들의 평균 및 표준편차, 신뢰도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청소년용 어머니 심리통제 척도를 대학생에 맞게 일부 문항의 어휘를 수정하여 측정하였다. 이에 주 연구문제 분석에 앞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탐색한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대학생의 우울, 불안과의 관계에 미치는 완벽주의와 인정욕구의 영향은 AMOS 18.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판단하기 위해 χ2과 CFI, GFI와 RMSEA를 살펴보고, 요인부하량을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인정욕구, 우울과 불안은 단일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Russel, Kahn, Spoth와 Altmaier(1998)의 제안에 따라 2개의 문항꾸러미(Item parcel)로 나누어 잠재변수 구인에 각 꾸러미 값을 사용하였다(김민선, 서영석, 2009). Russel 등(1998)은 각각의 문항꾸러미들이 비슷한 수준에서 해당 잠재변수를 반영할 때 꾸러미 효과가 커진다고 하였다. 그에 따라 잠재변수 별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잠재변수에 대해 동일한 요인부하량을 갖도록 문항들의 공통성에 따라 꾸러미를 구성하였다.

    결 과

      >  기술통계

    표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어머니의 심리통제는 대학생의 완벽주의, 인정욕구, 우울 및 불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대학생의 완벽주의는 인정욕구, 우울 및 불안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인정욕구 역시 우울, 불안을 비롯한 다른 변수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모든 변수들의 신뢰도는 .79에서 .94로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였다.

    [표 1.] 측정변수에 대한 기초통계량 및 상관 분석 결과

    label

    측정변수에 대한 기초통계량 및 상관 분석 결과

      >  대학생용 어머니 심리통제 척도의 타당성 검증

    본 연구에서 사용한 대학생용 어머니 심리통제 척도의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학생용 어머니 심리통제 척도는 언어표현제재, 감정무시, 인신공격, 변덕스러운 감정, 애정철회, 죄의식 심어주기의 6개 하위요인으로 이루어져있다. 각 하위요인에는 3문항씩 포함되어 있다. 6개의 하위요인은 다시 언어표현제재-감정무시, 인신공격-변덕스러운 감정, 애정철회-죄의식 심어주기의 3개 상위요인으로 묶인다. 연구모형과 연구자료의 일치 정도는 우수한 수준으로 나왔다((120, N= 500)= 379.37, p < .001; CFI= .94; GFI= .92; RMSEA= .066). 표준화 계수와 요인 간 상관관계 수치를 살펴보면, 언어표현제재에 속하는 문항들의 요인계수는 .60~.84, 감정무시에 포함되는 문항들의 경우 .65~.69, 인신공격은 .66~.75, 변덕스러운 감정의 경우 .71~.87, 애정철회는 .60~.81, 죄의식 심어주기에 속하는 문항들은 .31~.67의 요인계수를 나타냈다. 언어표현제재, 감정무시, 인신공격, 변덕스러운 감정, 애정철회, 죄의식 심어주기의 6가지 요인의 상관관계 수치는 .71~.99로 서로 연관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6개 요인을 한 척도에서 측정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왔다.

      >  측정모형의 타당성 검증

    본 연구에서 사용된 어머니의 심리통제, 대학생의 완벽주의, 인정욕구, 우울과 불안은 잠재변수이다. 선택된 측정변수들이 각각의 잠재변수들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설정된 측정모형이 적합한지 알아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모형에서는 모든 잠재변수 간 상관을 가정하였다. 측정모형은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34, N= 500)= 127.27, p < .001; CFI= .97; GFI= .95; RMSEA= .07). 표 2에 제시한 바와 같이 심리통제에 대한 요인부하량은 .81~.91, 완벽주의는 .54~.83, 인정욕구는 .77~.79, 우울은 .93~.98, 불안은 .92~.93으로 모두 p < .001 수준에서 유의하였다. 즉, 11개의 측정변수로 5개의 잠재변수를 구인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2.] 측정모형의 요인부하량

    label

    측정모형의 요인부하량

      >  구조모형 검증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후,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모형에 대한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표 3에 제시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적 모형은 자료와 부합되는 것으로 나왔다(χ2(df = 36, N= 500) = 122.63, p = .00, GFI= .95, CFI= .97, RMSEA= .06). 그림 3에 제시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연구모형의 구조경로분석 결과 어머니의 심리통제(β = .60, t = 9.35, p < .001)는 대학생의 완벽주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대학생의 완벽주의가 높아질수록 대학생의 인정욕구(β = .79, t = 6.98, p < .001)가 증가하였다.

    [표 3.] 연구모형의 구조경로 값과 적합도

    label

    연구모형의 구조경로 값과 적합도

    한편 인정욕구(β = -.63, t = -3.95, p < .001)는 대학생의 우울(β = .82, t = 8.75, p < .001)과 불안(β = .97, t = 8.91, p < .001)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 가정한 변인들 간의 이론적 경로구조모형은 대학생의 완벽주의를 36%, 인정욕구를 63%, 우울을 68%, 그리고 불안의 변량의 94%를 설명했다. 한편, 표 4에 제시한 바와 같이 대안모형의 적합도 또한 수용할 수준(χ2(df = 35, N = 500) = 119.40, p = .000, GFI = .95, CFI = .97, RMSEA = .07)으로 나와 자료와 잘 부합하였다. χ2 차이 검증 결과, 연구모형과 대안모형의 χ2 차이 값은 3.233이며 자유도의 차이 값은 1로, 자유도 차이 1에 대한 χ2 차이의 임계값인 3.84보다 작아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χ2 (1)= 3.23). 연구모형과 대안모형이 적합도 면에서 큰 차이가 없어 대안모형에 비해 경로의 개수가 적어 간명한 구조를 지닌 연구모형을 최종 모형으로 선택하였다.

    [표 4.] 대안모형의 적합도

    label

    대안모형의 적합도

      >  지각된 어머니의 심리통제가 대학생 자녀의 완벽주의, 인정욕구를 매개로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분석

    어머니의 심리통제가 대학생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로 분해한 결과를 표 5에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최종 모형으로 선택된 연구모형에서 각각의 간접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Sobel 검증의 Z값은 절대값이 1.96보다 크면 영가설이 기각되어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갖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Baron & Kenny, 1986). 어머니의 심리통제는 완벽주의를 매개로 인정욕구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완벽주의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Z= 6.47, p < .001). 인정욕구는 완벽주의와 우울, 완벽주의와 불안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졌으며 각각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에 대한 Sobel 검증 결과 완벽주의와 우울 사이에서 Z= 5.99 (p < .001), 완벽주의와 불안 사이에서 Z= 5.97 (p < .001)로 유의하였다.

    [표 5.] 연구 변수들 간의 총효과,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

    label

    연구 변수들 간의 총효과,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

    Sobel 검증의 경우 매개변수가 2개 이상일 때는 시행할 수 없으므로 어머니의 심리통제가 완벽주의와 인정욕구를 차례로 거쳐 우울과 불안에 이르는 간접경로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Taylor, MacKinnon과 Tein(2007)의 Exact standard error 방법을 사용하였다. Exact standard error 방법은 95% 신뢰구간인 1)가 0을 포함하지 않으면 영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여기서 영가설은 매개효과가 없다는 것이다. Exact standard error 실시 결과, 어머니의 심리통제가 완벽주의에 영향을 미치고 완벽주의가 다시 인정욕구에 영향을 주며 인정욕구는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심리통제가 완벽주의, 인정욕구를 차례로 매개하여 불안에 영향을 주는 경로가 모두 p < .05에서 유의한 것으로 드러났다. Sobel 검증과 Exact standard error를 통해 확인한 연구 변수들 간 간접효과는 표 6에 제시하였다.

    [표 6.] 연구 변수들 간 간접효과 검증 결과

    label

    연구 변수들 간 간접효과 검증 결과

    1)a = 독립변수와 첫 번째 매개변수 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 Sa = a의 표준오차 b = 첫 번째 매개변수와 두 번째 매개변수 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 Sb = b의 표준오차 c = 두 번째 매개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비표준화 경로계수 Sc = c의 표준오차 Z.975 = 1.96

    논 의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에게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상담 장면에서 가장 빈번하게 호소되는 부정적 정서증상이기도 한 우울과 불안의 위험요인을 알아보고 그 영향력이 전수되는 구체적인 경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학 상담 장면에서의 임상관찰과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부모-자녀관계를 고려할 때 대학생 자녀의 정신건강, 특히 우울과 불안에 부모의 심리통제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에 남녀 대학생 500명(N=500)을 대상으로 지각된 어머니의 심리통제가 완벽주의와 인정욕구를 매개로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구조모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의 심리통제는 대학생의 완벽주의, 우울 및 불안과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이는 어머니의 심리통제를 높이 지각할수록 완벽주의가 높았다는 선행 연구들(변영주, 1994; Craddock, Church, & Sands, 2009)과 맥을 같이 하며, 어머니의 심리통제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녀의 우울 및 불안과 같은 내면화 문제가 높다는 연구결과들(양승윤, 2008; Chapell & Overton, 1998)과도 일치한다. 심리통제는 인정욕구와 유의미하기는 하였으나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심리통제는 인정욕구보다는 완벽주의, 불안, 우울과 상대적으로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한편 인정욕구는 완벽주의, 불안, 그리고 우울과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대학생의 정신건강의 관련성을 구체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어머니의 심리통제가 대학생의 완벽주의에 영향을 미치고, 대학생의 완벽주의는 인정욕구에 영향을 미치며, 인정욕구는 각각 우울 및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가설적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심리통제가 자녀의 인정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하지만 심리통제가 높으면 행동수행에 대한 비난과 질책의 경험이 많을 것으로 보아 인정욕구가 높아질 것으로 생각하였다. 건강한 자기상을 가지고 자기 자신에게 자신감과 확신이 있는 사람은 굳이 외부에서 인정해주는 말을 해주지 않더라도 견고한 자기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자기상이 부정적이고 자기의 가치에 대한 확신이 없는 사람은 외부에서 끊임없이 인정과 긍정적 수용을 갈구하게 될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이에 심리통제와 인정욕구의 관계 양상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심리통제가 완벽주의를 부분매개로 인정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대안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 심리통제가 완벽주의를 완전매개로 인정욕구에 영향을 미치고 완벽주의는 인정욕구를 완전매개로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한 연구모형이 가장 좋은 적합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최종모형에 따르면 어머니의 심리통제를 높게 지각할수록 완벽주의는 높아진다. 이는 부모의 심리통제가 자녀의 완벽주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결과(김혜인, 2010; 김희영, 2008; 양승윤, 2008; Soenens et al., 2008)와 일치한다. Hamachek(1978)는 완벽주의가 발달하게 되는 환경적 요인으로 비승인(nonapproval), 비일관적 승인(inconsistent approval), 조건적 승인(conditional approval)을 제시한 바 있다. 비승인과 비일관적인 승인을 지속적으로 경험한 자녀는 무엇이 좋은 행동이고 나쁜 행동인지의 기준을 알기 어려우며, 조건적 승인을 받은 자녀는 부모의 사랑과 수용을 받기 위해서 완벽하고 흠 없는 행동을 하여 부모의 수용을 받고 비난을 회피하려 한다고 설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 심리통제의 하위요인 중 언어표현제재, 감정무시와 인신공격은 자녀에게 비승인으로 경험되고, 어머니의 변덕스러운 감정은 비일관적 승인으로, 애정철회나 죄의식 심어주기의 경우 조건적 승인으로 경험되어 대학생 자녀의 완벽주의가 발달, 심화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부모 심리통제의 하위요인별 특성과 완벽주의, 인정욕구, 그리고 부정적 정서증상의 관계적 양상을 구체적으로 탐색해 보면 좋겠다. 한편 완벽주의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하는 대학생을 상담할 경우, 어머니의 심리통제 행동을 대학생의 완벽주의의 원인요인으로 탐색할 필요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대학생의 완벽주의는 인정욕구를 증가시켰다. 이는 대학생의 완벽주의가 타인에 의한 타당화 혹은 인정욕구를 증가시켰다는 연구결과(이정숙, 2010; 장애경, 이지연, 2011; Wu & Wei, 2008)와 일치한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완벽주의자들은 자신들의 기준으로 타인을 지각하는 경향이 있다(김윤희, 서수균, 2008). 즉 자신들과 마찬가지로 타인 또한 자신이 완벽한 수행을 보이지 않으면 만족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 이에 자신이 우수한 성과를 내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과 무기력감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경험한다(Flett, Hewitt, Blankstein, & Mosher, 1995). 이러한 두려움은 사회적으로 거리를 두거나 혹은 사회적 관계에 몰두하는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그 중 사회적 관계에 몰두하는 완벽주의자의 경우 타인에게 인정과 수용을 받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느끼며, 비교적 타인과 긍적적인 관계를 유지하지만 비난과 거절을 받을 경우 쉽게 우울해진다고 보고된다(Habke & Flynn, 2002). 뿐만 아니라 완벽주의가 높은 사람들은 생산성과 수행결과로 자신의 가치를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Burns, 1980). 완벽주의가 인정욕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자신의 수행에 대해 타인에게 긍정적 평가를 받고 부정적인 비판을 피하려는 경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인다. 과열된 학업경쟁에 오랫동안 노출되어온 국내 대학생의 현실을 감안할 때 후속연구에서는 완벽주의가 인정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 관여하는 다른 변인들에 대한 구체적인 탐색도 중요해 보인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인정욕구가 증가할수록 우울과 불안이 증가하였다. 이는 인정욕구가 높을수록 대학생의 우울(장애경, 이지연, 2011; Abela, Morrison, & Starrs, 2007; Beck, Robbins, Taylor, & Baker, 2001; Hartley, Hayes, Lickel, & MacLean, 2008) 혹은 불안(Wu & Wei, 2008)이 증가한다는 선행 연구결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자신에 대한 낮은 가치감으로 인해 부정적 정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타인이 자신의 가치와 능력을 인정해주는 말을 해주느냐의 여부에 따라 기분이 좌우될 수 있다(Wu & Wei, 2008)>. 하지만 현실적으로 언제나 다른 사람의 인정을 받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스스로의 가치와 존엄의 유지에 타인의 평가가 결정적일 경우 인정욕구의 결핍은 우울과 불안에 대한 취약성을 높일 수 있다고 보인다. 후속 연구에서는 인정욕구가 불안 혹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 타인의 평가에 좌우되는 경향이 높은 외적 통제소재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것도 유용할 수 있겠다.

    한편 연구모형의 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완벽주의는 심리통제와 인정욕구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심리통제를 많이 받았다고 지각할수록 완벽주의가 높아지며 높은 완벽주의는 다시 인정욕구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친 것이다. 이는 중요한 타인으로부터 부정적인 평가를 많이 받은 자녀는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중요한 타인에게 인정받기 위해서는 완벽해져야 한다고 생각하며, 부정적 평가를 피하려고 하고 다른 사람의 인정을 받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Wade(1997)의 주장과 일치한다. 또한 인정욕구는 완벽주의가 대학생의 우울 및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역할을 하여 완벽주의가 인정욕구를 거쳐 대학생의 우울과 불안에 영향을 미쳤다는 선행연구(장애경, 이지연, 2011; Wu & Wei, 2008)를 지지했다. 완벽주의가 높아 자신의 능력과 가치에 대해 확신을 가지지 못하여 수행을 끊임없이 의심하고, 스스로 만족하지 못하는 경향은 타인이 제공하는 인정의 말에 의존하게 한다. 이러한 타인의 인정은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므로 무기력감이 높아지고 불안감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심리통제가 완벽주의와 인정욕구를 이중매개하여 대학생의 우울 및 불안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경로구조모형의 적합도가 좋게 나왔다. 심리통제를 많이 받았다고 지각하는 대학생일수록 완벽주의 성향이 높아지며, 가중된 완벽주의 성향은 인정욕구를 증가시켰다. 인정욕구가 높을수록 우울 및 불안 수준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심리통제가 청소년의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역기능적 완벽주의의 매개역할을 확인한 3년간의 종단연구(Soenens et al., 2008)와 완벽주의가 인정욕구를 거쳐 우울 및 불안에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장애경, 이지연, 2011; Wu & Wei, 2008)를 부분적으로 재확인하였다. 어머니가 심리통제를 할 경우 자녀는 어떻게 해야 사랑받을 수 있는 것인지 혼란스러워진다. 따라서 심리통제를 받은 자녀는 자신이 모든 면에서 완벽할 경우 어머니의 사랑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된다. 심리통제는 또한 자녀가 심리적 자율성을 획득하는 것을 방해하고(Steinberg, 1990), 건강한 자기가치감(Garber, Robinson, & Valentiner, 1997)과 자기신뢰를 형성하는 것을 억제한다(Barber & Buehler, 1996). 그 결과 스스로 자신에 대한 긍정적 확신을 가지지 못하고 타인의 인정의 말과 행동에 의존하게 만든다. 따라서 심리통제로 인해 영향을 받은 자녀의 완벽주의가 인정욕구를 더욱 증가시키는 바탕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렇게 높아진 인정욕구는 자기 자신의 가치와 능력에 대한 의심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우울과 불안과 같은 내면화 문제를 가중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인정욕구는 심리통제보다는 완벽주의, 그리고 불안과 우울로 평가한 심리적 적응과 상대적으로 높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따라서 심리통제가 대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인정욕구보다는 완벽주의가 상대적으로 높은 설명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한 완벽주의가 불안과 우울을 포함한 부정적 정서로 이어지는 과정에 인정욕구가 관여하는 것은 확실해 보인다. 본 연구에서 인정욕구는 ‘타인의 비난은 피하려고 하고 인정받기를 원하는 정도’로 평가하였다. 타인에게 인정받고자 하는 것이 반드시 ‘자신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은 아니다. ‘나는 같은 상황에서라도 사람들에 따라 다르게 반응한다.’ ‘남한테 좋게 보이기 위해서라면 내 의견도 바꿀 수 있다.’와 같이 자신의 진짜 모습과 관계없이 상대방에게 수용받기 위해서라면 자신의 실제 모습을 숨기고서라도 상대방에 맞추고자하는 경향을 반영한다. 후속연구에서는 부모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영역(domain)을 구체화하고 자신의 가치와 존엄성을 인정받기를 바라는 욕구를 반영하는 문항을 추가해 심리통제와 인정욕구의 관련성을 확인해 보는 것도 좋겠다. 본 연구에서 인정욕구를 측정한 척도는 적정한 수준의 신뢰도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외국의 척도를 번역한 것에 그쳤다. 따라서 인정욕구 척도를 우리나라 부모-자녀 관계를 반영하여 타당화 하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결과는 성인이 된 대학생에게도 어머니의 심리통제가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여 어머니 심리통제 관련 연구를 대학생 연령으로 확장하였다. 과도한 완벽주의나 인정욕구와 같은 성격특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경험하거나 우울, 불안과 같은 내면화 증상을 호소하는 대학생의 경우 어머니의 심리통제가 중요한 원인요인이 될 수 있다. 대학생의 경우 아동, 청소년 대상자와 달리 부모교육을 통하여 부모의 심리통제 행동을 조절하기 어렵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상담 장면에서 어머니와 대학생 자녀의 관계 양상 및 상호작용 패턴을 탐색하고 긍정적 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대학생의 심리내적 요인인 완벽주의와 인정욕구에 개입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핵가족화가 된 오늘날에는 자녀를 적게 낳아 소수의 자녀에게 양육의 노력을 집중하기 때문에 어머니와 자녀의 관계가 상대적으로 더 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도 부모와 동거하는 대학생이, 그리고 전업주부인 어머니를 두고 있는 대학생이 심리통제를 더 높게 지각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어머니와 물리적으로 함께 있는 시간이 많아질수록 어머니의 심리통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는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부모와 동거하는 성인이 증가하는 최근의 사회 문화적 맥락을 감안할 때 대학생을 비롯한 성인을 대상으로 부모의 심리통제의 영향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부모 심리통제가 자녀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종단연구를 통해 알아보는 것 또한 유익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문화 비교연구를 통하여 성인 자녀에 대한 부모의 심리통제의 영향력이 서구사회와 한국사회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중요시되는 사회적 추세를 감안하여 부, 모의 심리통제 정도가 자, 녀의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달리 인식되는지 확인하는 것도 의미있는 비교가 될 수 있다.

참고문헌
  • 1. 김 민선, 서 영석 (2009)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사회불안과의 관계: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제시동기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8 P.525-545 google
  • 2. 김 수현 (2002) 한국 대학에서의 상담. [학생생활상담] Vol.20 P.5-28 google
  • 3. 김 윤희, 서 수균 (2008) 완벽주의에 대한 고찰: 평가와 치료.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P.581-613 google
  • 4. 김 화현 (2013) 2012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학생생활연구] Vol.17 P.11-143 google
  • 5. 김 혜인 (2010)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남녀 청소년의 역기능적 완벽주의 및 자의식 정서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탐색. google
  • 6. 김 희영 (2008)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심리적 통제가 남, 여 아동의 완벽주의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google
  • 7. 박 성연, 이 은경, 송 주현 (2008) 부모의 심리적 통제유형이 청소년의 의존심, 자아비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Vol.29 P.65-78 google
  • 8. 변 영주 (1994)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비합리적 신념 및 스트레스의 상호관계연구. google
  • 9. (2006) 정신질환실태조사. google
  • 10. (2011) 정신질환실태조사. google
  • 11. 서 영숙, 김 진숙 (2009) 부모의 양육태도, 부적응적 완벽주의 및 심리적 부적응과의 관계에서 수치심과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1 P.661-682 google
  • 12. 안 명희 (2010) 어머니의 불안정 성인 애착이 자녀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9 P.867-885 google
  • 13. 안 명희 (2013) 한국판 BASC-Ⅱ, SRP-COL. google
  • 14. 양 승윤 (2008) 어머니의 심리통제와 아동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google
  • 15. (2010) 가족실태조사. google
  • 16. 이 미정 (2009) 부모의 통제가 남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율성의 매개적 역할. google
  • 17. 이 정숙 (2010) 완벽주의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정욕구, 자기강화, 성공-실패경험의 매개역할. google
  • 18. 장애경 이지연 (2011) 대학생의 평가 염려 완벽주의와 우울, 불안 간의 관계에서 타인에 의한 타당화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Vol.12 P.881-896 google
  • 19. 정 승진 (1999) 완벽성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google
  • 20. 허 재홍 (2006) 부모양육태도, 완벽주의, 외상경험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8 P.593-611 google
  • 21. Abela J. R., Morrison E., Starrs C. (2007) Excessive reassurance seeking, self-esteem, and depressive symptoms in children of affectively Ill parents: An experience sampling analysi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Vol.2b P.849-869 google
  • 22. Baek S. E., Hong J. H., Kim C. W., Kim J. H., Ahn C. M. (2013) Maternal intrusiveness,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internalizing symptoms among a Korean college sample. [A poster presentation at the 121st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Annual Convention] google
  • 23. Barber B. K. (1996)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Revisiting a neglected construct. [Child Development] Vol.67 P.3296-3319 google
  • 24. Barber B. K., Buehler C. (1996) Family cohesion and enmeshment: Different constructs, different effect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Vol.58 P.433-441 google
  • 25. Barber B. K., Olsen J. E., Shagle S. C. (1994) Associations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ontrol and youth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behaviors. [Child Development] Vol.65 P.1120-1136 google
  • 26. Baron R. M.,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1173-1182 google
  • 27. Baumrind D. (1965) Parental control and parental love. [Children] Vol.12 P.230-234 google
  • 28. Beck R., Robbins M., Taylor C., Baker L. (2001) An examination of sociotropy and excessive reassurance seeking in the prediction of depression.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Vol.23 P.101-105 google
  • 29. Bronstein P. (1994) Patterns of parent-child interaction in Mexican families: A cross-cultural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Vol.17 P.423-446 google
  • 30. Burns D. D. (1980) The perfectionist's script for self-defeat. [Psychology Today] P.34-52 google
  • 31. Chapell M. S., Overton W. F. (1998) Development of logic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parental style and test anxiety. [Merrill-Palmer Quarterly] Vol.44 P.141-156 google
  • 32. Comstock D. C. (1994) Parental control and gender-specific etiology of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adolescent deviance. google
  • 33. Conger K. J., Conger R. D., Scaramella L. V. (1997) Parents, siblings,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 adjustment.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Vol.12 P.113-138 google
  • 34. Craddock A. E., Church W., Sands A. (2009) Family of origin characteristics as predictors of perfectionism.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Vol.61 P.136-144 google
  • 35. Ellis A. (2002) The role of irrational beliefs in perfectionism. In G. L. Flett & P. L. Hewitt (Eds.), Perfectionism: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pp.217-230). google
  • 36. Flett G. L., Hewitt P. L., Blankstein K. R., Mosher S. W. (1995) Perfectionism, life events, and depressive symptoms: A test of a diathesis-stress model. [Current Psychology] Vol.14 P.112-137 google
  • 37. Frost R. O., Marten P., Lahart C., Rosenblate R. (1990) The dimensions of perfectionism.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Vol.14 P.449-468 google
  • 38. Garber J., Robinson N. S., Valentiner D. (1997)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and adolescent depression: Self-worth as a mediator.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Vol.12 P.12-33 google
  • 39. Habke A. M., Flynn C. A. (2002) Interpersonal aspects of trait perfectionism. In G. L. Flett & P. L. Hewitt (Eds.), Perfectionism: Theory, research, and treatment P.151-180 google
  • 40. Hamachek D. E. (1978) Psychodynamics of normal and neurotic Perfectionism. [Psychology] Vol.15 P.34-52 google
  • 41. Hartley S. L., Hayes Lickel A., MacLean W. E. (2008) Reassurance seeking and depression in adul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Vol.52 P.917-929 google
  • 42. Hauser S. T. (1991) Families and their adolescents. google
  • 43. Hewitt P. L., Flett G. L. (1991) Dimensions of perfectionism in unipolar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0 P.98-101 google
  • 44. Hollender M. H. (1965) Perfectionism. [Comprehensive Psychiatry] Vol.6 P.94-103 google
  • 45. Knowlton S. S. (1998) Connection, regulation, and autonomy: A comparison of nonclinical adolescents and adolescents in residential treatment. google
  • 46. Litovsky V. G., Dusek J. B. (1985) Perceptions of child rearing and self-concept development during the early adolescent yea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Vol.14 P.373-387 google
  • 47. Lobel T. E., Kashtan O., Winch G. L. (1987) The relationship between defense mechanisms, trait anxiety and need for approval.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8 P.17-23 google
  • 48. Maccoby E. E., Martin J. A. (1983) Social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Parent-child interaction. In E. M. Hetherington (Ed.), P. H. Mussen (Series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4.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P.1-101 google
  • 49. Marcia J. E. (1980) Identity in adolescence. In J. Adelson (Ed.),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P.159-187 google
  • 50. Martin H, J. (1984) A revised measure of approval motivation and its relationship to social desirability.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8 P.508-519 google
  • 51. Morris A. S., Steinberg L., Sessa F. M., Avenevoil S., Silk J., Essex M. (2002) Measuring children's perceptions of psychological control: Developmental and conceptual consideration. In B. K. Barber(Ed.), Intrusive parenting: How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children and adolescents P.125-160 google
  • 52. Olsen S, F., Yang C., Craig H. H., Robinson C. C., Peixia C., Peixia W., Nelson W., Nelson J., Jin Shenghua, Wo J. (2002)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preschool children's behavioral outcomes in China,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in Barber, B, (Eds.) Intrusive parenting: How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children and adolescents. google
  • 53. Russel D. W., Kahn J. H., Spoth R. S.,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5 P.18-29 google
  • 54. Shulman S., Collins W. A., Dital M. (1993)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peer-perceived competence during middle childhood and preadolescence in Israel.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Vol.13 P.204-218 google
  • 55. Soenens B., Luyckx K., Vansteenkiste M., Luyten P., Duriez B., Goossens L. (2008) Maladaptive perfectionism as an intervening variable between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A three-wave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Vol.22 P.465-474 google
  • 56. Steinberg L. (1990) Autonomy, conflict, and harmony in the family relationship. In S. S. Feldman & G. R. Elliott (Eds.), At the threshold: The developing adolescent P.255-276 google
  • 57. Taylor A. B., MacKinnon D. P., Tein J. Y. (2007) Tests of the Three-Path Mediated Effect.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Vol.11 P.241-269 google
  • 58. Wade J. C. (1997) Perfectionism in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adult children from dysfunctional but non-alcoholic families, and adults from non-dysfunctional familie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Vol.58 P.7B google
  • 59. Wei M., Mallinckrodt B., Larson L. M., Zakalik R. A. (2005) Adult attachment, depressive symptoms, and validation from self versus other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2 P.368-377 google
  • 60. Wu T., Wei M. (2008) Perfectionism and negative mood: The mediating roles of validation from others versus self.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55 P.276-288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그림 1. ]  연구모형
    연구모형
  • [ 그림 2. ]  대안모형
    대안모형
  • [ 표 1. ]  측정변수에 대한 기초통계량 및 상관 분석 결과
    측정변수에 대한 기초통계량 및 상관 분석 결과
  • [ 표 2. ]  측정모형의 요인부하량
    측정모형의 요인부하량
  • [ 표 3. ]  연구모형의 구조경로 값과 적합도
    연구모형의 구조경로 값과 적합도
  • [ 그림 3. ]  어머니의 심리통제, 대학생의 완벽주의, 인정욕구, 우울, 불안 간의 표준화된 구조모형
    어머니의 심리통제, 대학생의 완벽주의, 인정욕구, 우울, 불안 간의 표준화된 구조모형
  • [ 표 4. ]  대안모형의 적합도
    대안모형의 적합도
  • [ 표 5. ]  연구 변수들 간의 총효과,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
    연구 변수들 간의 총효과,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
  • [ 표 6. ]  연구 변수들 간 간접효과 검증 결과
    연구 변수들 간 간접효과 검증 결과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