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여가활동으로서 승마의 참여 동기에 대한 탐색적 연구 A Study on the Motive for Participating in Horse-Riding as a Leisure Activity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여가활동으로서 승마의 참여 동기에 대한 탐색적 연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tivation of equestrian participants as a leisure activity.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rimary investigator interviewed 25 equestrian participants who visit in KRA CUP CSI(Concours Show Jumping International). For faithful result and analysis, the primary investigator used expert consultant and a variety of data as means of qualitative resear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otivations participated the horse-riding were recommendation, curiosity and preference for a horse, specialized health, the effect of media, differentiated leisure were extracted. While, curiosity and preference for a horse and the effect of media factors are specific factors which were not used in previous studies. From this study, the result is expected to provide prim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questrian.

KEYWORD
horse-riding , equestrian participants , motive for participating
  • Ⅰ. 서론

    17세기 이래로 세계의 말(馬)산업은 양적, 질적인 성장을 구가하고 있는데, 크게 경마와 승마산업으로 구분되며 마필 생산에서부터 관련 제품 유통, 다양한 체험서비스 상품 제공에 이르기까지 다수 영역을 아우르는 복합 산업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특히 승마는 일본을 비롯한 선진 외국에서 이미 여가 선용을 위한 독특한 스포츠 활동 경험을 제공하는 차별화된 산업 영역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말산업 연구소, 2013).

    국내의 경우에도 승마는 외형적인 측면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구체적으로는 전국에 산재한 승마장의 규모가 2010년 293개소에서 2012년 366개소로 증가하였고, 같은 기간 승마 인구는 약 2만 5천명에서 약 4만 5천명으로 급증하였다(농림축산식품부, 2012).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승마는 여전히 소수의 계층이 향유하는 스포츠라는 인식이 강하며, 보다 일상적이고 용이한 참여를 가능케 하는 레저스포츠로의 전환을 위해 고비용 구조나 인프라 낙후와 같은 현안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관련해서 2011년 시행된 한국의 말산업 육성법은 승마 산업이 향후 경제발전을 위한 기간사업으로 변모하기 위한 기본적인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의를 가진다. 현행 말산업 육성법은 우선 자유무역주의 편입 강화로 인해 농업 경쟁력 저하에 봉착한 국내 농가에게 마필 육성을 통한 새로운 수입원을 제공하고, 말을 사육·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관련 제품이나 종마 등을 공급·유통함은 물론, 경마와 승마와 같은 3차 산업의 성장 동력을 강화하기 위해 입안되었다. 특히 해당 법률은 과거 경마 위주의 성장 지향에서 탈피하여 승마 산업이 그 외연을 확대함에 있어 다면적인육성책 마련을 통한 제도적 지원의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승마는 인류 역사상 유일하게 인간이 살아있는 동물인 말을 매개로 신체 활동을 경험하는 특화된 형태의 스포츠이며 자연친화적인 공간을 배경으로 행해지는 종목이라는 특징을 내포하고 있다. 관련하여 현대사회에서 승마가 각광 받고 있는 주된 이유 가운데 하나는, 여가선용을 위한 개개인의 가치 지향이 자연이나 동물과의 교감을 전제로 휴식이나 치유 목적의 스포츠 활동을 영위하고자 하는 형태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참여 특성과 관련하여 승마는 생활수준 향상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지위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레저스포츠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소득 수준이 향상될수록 승마에 대한 관심과 참여 증대가 예견된다는 사실(유준호, 2008에서 재인용)은 활동 참여를 중심으로 마필 구입과 장비 구매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가치 파생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전술한 견지에서 레저스포츠로서 사회구성원들의 승마 활성화를 위한 실효성 있는 방안을 마련함은 물론, 레저스포츠로서 승마를 국가성장을 주도할 대표적인 미래창조형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종목 참여와 관련한 사회적 수요를 면밀히 파악하고 해당 수요를 실질적인 소비행동으로 적극 유인할 수 있는 실효적인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한 노력이 요구되며(한국마사회, 2014), 여기에 승마참가자를 대상으로한 참여 동기를 규명하는 연구가 가진 학문적이고 실용적인 의의가 존재한다고 하겠다. 뿐만 아니라 경마에 편중된 한국의 말산업이 건전하고 건강한 경험을 전제로 하는 승마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보다 활발한 참여를 통해 균형 있는 산업 성장을 도모하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하기 위해서도 승마 참여와 관련한 동기 요인을 규명하는 연구 접근이 가진 의미는 상당하다고 할 것이다.

    스포츠에서 동기는 개인이 스포츠 활동에 대한 필요성을 느낀 상태로부터 실질적인 참여까지를 유도하는 중요한 개입요소이며(Kleiber, Walker & Mannel, 2011), 또한 스포츠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활력을 제공하고 지속적인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매개가 된다(Ryan & Deci, 2000). 따라서 특정 스포츠 종목과 관련한 사회구성원의 관심과 꾸준한 활동 참여를 담보하기 위해서는 참가자들이 가진 동기 요인을 명확하게 이해하는 노력은 중요한 선행 조건이 된다. 물론 앞서 지적한 것처럼 레저스포츠로서 승마에 대한 참여가 다소 한정된 사람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까닭에 전체 시장 조망과 예측이라는 측면에서 다소 제약이 존재할 수 있다는 우려도 상존하지만, 현존하는 상품에 대한 시장 수요와 소비 확대는 우선 해당 시점에서 소비를 행하는 사람들이 가진 상품으로부터 발현된 구매 결정과 관련한 이유와 근거를 확인하는 것으로부터 문제 해결이 시작되어야 한다는 점은 반론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즉 해당 상품을 직접 경험하고 사용해 보지 않은 사람들을 포괄하는 형태로 상품을 둘러싼 시장 반응이나 소비 행위의 구체적인 시작점을 규명하기 보다는 현재 소비자를 중심으로 상품 구입의 이유와 배경 등에 대한 실질적인 응답들에 기초하여 현 상품의 소비자와의 교감과 이후 가치 지향을 구체화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접근 방식일 것이다.

    국내에서 승마와 관련한 선행연구가 본격적으로 수행된 것은 2000년대 중반 이후인데, 특히 사회과학분야에서 승마를 주제로 발간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승마 활성화나 여가로서 승마의 가치와 역할에 관한 연구들(김운영, 2008; 이미경, 2002; 이원일, 김지태, 김영준, 2006; 정호진, 2004; 한오교, 2004)과 승마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참가 동기와 만족도, 또는 참여 만족과 활동 지속과 같은 변인 간 관련성에 대한 검증을 시도한 연구들(김균섭, 2011; 남인수, 김명미, 2011; 박금란, 박창범, 2011; 박병훈, 임상용 2009; 안소연, 2009; 유준호, 2008; 한성희, 2013)로 구분할 수 있다.

    하지만 승마 참여와 관련한 동기 요인 규명을 시도한 선행연구들은 외국의 척도를 단순 번안하여 사용하거나, 승마와는 이질적인 스포츠 종목이나 여가활동 참여와 관련한 동기 척도를 차용하였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즉 종목에 내재한 독특한 특성과 여가로서 승마 향유와 관련한 국내의 사회·문화·경제적 현상을 포괄하는 형태로 참여 동기를 조망하고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대안을 제시한 연구는 상당히 제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적 현실에서 승마에 참여하고 있는 참가자의 동기 요인들은 어떤 속성과 내용들에 근거하여 범주화되는가를 실제 승마를 행하고 있는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면접조사를 통해 규명하고, 이를 선행 연구와 비교함으로써 추후 다수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양적 연구 접근의 이론적 기초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면접조사를 통해 확인된 참여 동기에 대한 주요 결과들을 중심으로, 향후 한국의 승마가 종목 자체의 발전은 물론 산업적 견지에서 역할과 기대를 강화할 수 있는 전략이나 방안들은 무엇인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요약하면, 실제 여가활동으로서 승마를 행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를 탐색적으로 추론한 연구가 미흡한 현실에서 다수 응답자들에 대한 면접을 통해 국내 여건을 반영한 보다 실효성 있는 승마 참여 동기를 구조화하고, 관련 산업종사자나 현장실무자를 위한 종목 성장과 발전의 기초자료와 지향점을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존재한다.

    Ⅱ. 연구 방법

       1. 조사대상

    본 연구는 현재 승마를 즐기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해당 종목 참여와 관련한 동기 요인들을 구체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 25명의 승마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는데, 말 산업 육성 전문기관인 한국마사회가 주관한 국제승마대회 KRA CUP CSI(Concours Show Jumping International)기간 동안 경기 장소를 방문하여 직·간접적으로 대회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다. 한편 면접에 응한 사람들은 모두 조사 시점 이전에 이미 승마 활동에 대한 경험을 가진 자이다.

    질적 연구를 실시함에 있어서 20명 이상의 승마 참여자를 면담조사와 관련한 실질적인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한 이유는, 20~30명을 대상으로 한 면접 관찰의 경우 귀납적으로 특정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노용구, 2006). 아울러 본 연구가 승마 참여자들의 해당 종목과 관련한 스포츠 활동 참여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친 동기를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까닭에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가급적 다수 사람들의 응답 내용에 기초하여 일반화 가능한 요인들을 추출하기 위해서이다. 면접조사에 참여한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은 <표 1>과 같으며 연구 참여자들의 성명은 연구 윤리성에 따라 가명으로 기재하였고 직업은 답변을 근거로 한국 고용직업분류표의 중분류에 의해 범주화하였다. 또한 이름 표기의 편의성을 위해 숫자와 남(a), 여(b)의 결합으로 보다 간결하게 표기하였다.

    [표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label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조사절차 및 방법

    국제승마대회 기간(2014년 4월 9일~4월 20일)동안 현장을 방문한 승마 참여자를 중심으로 대상을 표집하고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구성하여 개별 질문 사항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응답을 구하고자 시도하였다. 아울러 면접조사 수행 시 응답자들로부터 보다 솔직한 응답을 구하기 위해 사전에 승마에 대한 의견을 나누며 시합 관전을 함께 하는 등의 방법으로 친밀도(Rapport)를 형성한 연후에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격적인 자료수집 단계에서는 10년 경력의 인터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자연스러운 분위기에서 참여자들이 진실하게 응답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으며, 면접 조사 시에는 응답자들에게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였다.

    면접은 반 구조화된 인터뷰와 비 표준화 인터뷰를 통해 수행되었다. 참여 동기요인에 대한 연구대상자의 깊이 있는 답변을 위해 면담시간과 장소는 참여자가 편안하게 대화할 수 있는 시간과 장소에서 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면접과 관련한 구체적인 질문 내용은 문헌조사와 준비 단계에서 승마 참여자들과의 사전 응답에 기초하였다.

    실질적인 면접 수행과 관련해서는, 참여자들이 시종일관 당사자의 관점에서 질문과 관련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하였으며 추가적인 질문이나 응답 내용에 대한 부연설명 및 구체적인 사례 요청은 언급된 이야기를 바탕으로 실시하였다. 아울러 사전에 연구 의도를 충분히 설명하고 응답 내용 녹취에 대한 동의를 구하였다.

    또한 연구의 신빙성(credibility)을 확보하기 위해 삼각검증법(triangulation)을 사용하였는데, 단편적인 자료 해석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내용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복적인 관찰을 수행하였고 연구에 대한 모든 상황과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연구일지 작성(Creswell, 2012) 등을 병행하였다. 그 밖에 연구수행과 해석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연구자의 편견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수차례 숙독을 통하여 기초적인 범주화를 실시하였으며, 승마교관, 승마기획 전문가, 체육교수 등이 두 번째 해석자로 연구결과의 해석이 올바른 지에 대하여 검증하는 동료조언(peer debriefing)을 실시하여 결과 해석에 있어서 개입 가능한 편견을 배제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료수집 이후 인터뷰한 내용의 분석과 해석이 올바르게 되었는지를 검증 받는 참여자 확인을 실시하여 진실성 확보에 만전을 기하였다.

       3. 자료해석

    면접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그 내용을 전사하였고, 문서화된 자료를 기초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해석은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관련성을 갖는 내용들에 대한 주제별 분류, 의미 범주화, 의미 개념화의 단계를 거쳐 해석하였다(Spradley, 1980).

    아울러 다수의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면접조사가 수행된 관계로, 상당한 분량의 전사 자료를 선별하고 맥락에 맞는 내용만을 정교화 하는 작업도 병행하였다. 또한 참여자의 목소리를 직접 드러낼 수 있도록 1인칭 기술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개인특유의 표현법은 반복 시에 삭제, 참여자의 품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문법수정을 첨가하는 등 주목할 만한 내용을 명료하게 표현하려고 노력하였다.

    한편 면담 자료에서 발췌한 내용들에 기초하여 개별 내용 간 관련성을 추정하고 범주화 등과 관련하여 해석과 의미부여 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연구자의 선입견이나 편견이 개입될 수 있는 여지를 최소화하기 위해 만전을 기하였다. 뿐만 아니라 해석이 애매하거나 내용 범주화 등에 있어서 확신이 부족한 경우에는,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동료조언이나 오랜 동안 승마를 경험해 온 타 전문가의 의견을 참고하는 등의 방식으로 의미를 파악하고자 노력하였다.

    Ⅲ. 결과 및 논의

    승마에 참여하는 참여그룹의 참여 동기 요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고 할 수 있다. 총 25명의 참여자들에게서 추출된 동기 요인은 주변권유, 말에 대한 호기심과 선호, 특화된 형태의 건강추구, 대중매체의 영향, 차별화된 방식의 여가 향유의 5가지로 구분되었다. 특히 주변권유, 말에 대한 호기심과 선호, 특화된 형태의 건강추구 요인은 면접에 참여한 응답자들 다수로부터 공통적으로 언급된 내용인데, 이 가운데 말에 대한 호기심과 선호라는 동기 요인은 여가로서 승마 참여를 결정짓는 유인에 있어서 종목의 특수성이 선명하게 반영된 특징적인 결과라고 할 수 있으며, 승마 동기를 주제로 하여 연구를 수행한 기존의 문헌과는 차별화되는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유의 의미를 가진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가 승마 참여와 관련한 동기 요인으로 대중매체의 영향도 해당 동기를 구성하는 주요 인자가 되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는 사실 역시, 선행연구와는 차별화된 결과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을 통해 확인된 주요 결과와 논의 내용을 구체화하면 다음과 같다.

       1. 주변권유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주요한 승마 참여 동기 가운데 하나는 친구, 친인척, 학교 선후배 등과 같은 지인이나 주요 타자들의 권유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승마라고 하는 스포츠 활동에 대한 참여가 여전히 제한적이고 특정 계층이 향유하는 종목이라는 인식을 보이는 현실에서, 자의적인 의사에 따른 활동 참여보다는 특히 가까운 사람들이나 빈번한 대면 집단 등과 같은 주요 타자들을 통한 권유나 추천 등이 승마에 참여하게 하는 중요한 동기로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변 권유라는 응답은 면접에 참여한 다수로부터 확인되었고, 따라서 해당 종목에 대한 동기 부여나 제공에 있어서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된다.

    한편 주목해야 할 사실은 승마에 관심을 가진 개개인들은 이러한 관심으로부터 해당 종목에 참여를 즉각적이고 쉽게 결정하기 보다는 본인이 획득한 정보나 활동 참여에 따른 타인의 평가 등과 관련한 정보 검색을 선행하고 있다는 점이며, 인터넷이나 SNS의 발달에 따른 동호회를 통한 우회적인 방법으로의 활동 참여도 적극 시도하고 있다는 사실도 향후 종목 활성화를 위해 유념해야 할 부분이다.

    승마에 대한 관심 증대와 참여 증가는 종목성장과 발전에 있어서 긍정적인 변화라고 할 수 있으나, 아직은 제반 인프라나 전문 지도인력 등이 부족한 현실(전윤수, 2011)에서 대중적인 호기심을 직접 참여로 유인하고 전환할 수 있는 매개나 동인으로서 한국마사회와 같은 국내 말산업을 주도하는 기관이나 단체들이 주요 타자나 정보원으로 그 역할을 강화하고 상대적으로 활동이 왕성한 현존 동호회 등과의 유기적인 관계 구축과 협업을 통해 승마를 중심으로 한 산업 활성화를 적극 모색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말산업육성법’시행으로 인해 일선 학교에서 교과과정 가운데 하나로 승마와 관련한 수업을 개설 운영할 수 있는 여지가 마련되고 있으며, 한국마사회의 지원정책 등을 통해 승마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이원일, 2013)되고 있다. 이는 교육 현장과 연계한 방식으로 종목 참여자의 저변을 확대할 수 있다는 직접적이고 일차적인 효과 외에 학생 집단의 빈번하고 왕성한 SNS 이용을 통한 인터넷 구전에 기인한 주요 타자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승마 보급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면접조사를 통해 확인된 승마 참여 동기와 관련하여 주변권유에 대한 주요 응답 내용은 다음과 같다.

       2. 말에 대한 호기심과 선호

    인터뷰 결과 말이라는 요인은 승마참여자에게 큰 강점을 가진 콘텐츠이자 상품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운동파트너로서 살아있는 말은 승마 종목만이 가지고 있는 차별화된 요인이며 이러한 차별성은 참여자들에게 즐거움을 제공하고 참여 동기 유발요소 및 승마활성화를 위한 강점이자 기회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말에 대한 관심과 교감은 승마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매력요인으로서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살아있는 말과 함께 한다는 승마라는 종목의 희소적인 경험 가능성은 타 스포츠와의 차별화된 요소로서 참여를 진작하고 강화하는데 있어 중요한 동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할 사항 가운데 하나이다. 아울러 말에 대한 호기심이 해당 대상에 대한 선호만이 아니라 종목 참여에 대한 선호로 전이될 수 있는 노력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

       3. 특화된 형태의 건강추구

    건강요인은 많은 스포츠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활용되는 요인이지만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승마 참여 동기에서 건강 추구요인은 승마를 통해서만 얻을 수 있는 특화된 건강요인이라고 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마의 운동특성과 관련된 허리운동이나 신체발달, 몸매관리가 그 예이며 승마참여를 통해 향유할 수 있는 건강에 대한 기대 심리와 승마종목만의 건강추구요인은 승마활성화를 위한 주요 단서가 될 수 있다. 승마종목에서 특화된 형태의 건강요인은 승마를 관광과 연계하거나 레저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자연이나 건강 친화적 프로그램의 주제로 활용할 수 있으며(김현수, 김영갑, 김동규, 2005) 이러한 특징을 근거로 활성화를 위한 홍보 전략에 활용할 수 있다. 실지로 승마 참여자들이 참여하게 된 동기 중 건강에 대해선 6명의 참여자(1a,2a,5a,16a,22b,25b)가 참여동기로 언급하였고 대부분 40대 이상(1a,2a,5a,16a)이거나 여성(22b,25b)참여자였다. 또한 참여자들은 승마를 통해 허리운동(1a,25b)이나 신체발달(2a), 체력관리(5a,16a), 몸매관리(22b)에 도움이 되거나 다양한 효과를 보았다는 의견을 주었다.

    본 연구에서 추출된 승마 참여자의 건강 추구 요인은 경험적인 측면에서 참여 동기를 입증하고 양적연구로 진행된 선행연구들을 지지하고 있다. 양적연구를 살펴보면 남인수 등(2011)은 참여 동기로 외적동기(건강·체력)요인을 박금란 등(2011)안소연(2009)은 승마참여 동기 하위요인으로 건강지향을, 한성희 2013)는 건강/체력 요인을 추출하여 연구에 활용하였다. 질적 연구로는 이원일 등 (2006)의 연구에서 승마가 전신운동과 하체단련의 효과가 있다고 보고한 것과 일치하고 연구대상이 유소년이라는 차이가 있지만 이은형 등(2011)의 연구에서도 승마가 자세교정, 신장발달, 근육강화에 효과가 있다는 주장과도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면접조사를 통해 확인된 승마 참여동기와 관련한 특화된 형태의 건강추구 요인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와 같다.

       4. 대중매체의 영향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주요 승마 참여 동기 중 하나는 대중매체의 영향요인이다. 기존 유사 선행연구에 많이 활용되지 않은 요인으로 언급된 프로그램의 형태는 다양하지만 결국 대중매체가 참여하게 된 주요 동기요인이라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참여하게 된 동기로 영화나 드라마, 뉴스 등에서 표출되는 승마 이미지에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하였으며 이렇게 표출된 승마이미지는 고객들에게 중요 참여기제가 되며 승마 활성화에 필요한 전략요인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대중들의 승마 참여와 관련한 동기에 대중매체가 작용하기 위해서는 특정 계층만이 향유하는 스포츠 활동이라는 제한적 이미지의 소구에 집중하기 보다는 승마의 효용성과 즐거움, 건강과 힐링 등의 가능성 등을 주된 메시지로서 매체수용자들에게 다가가야 할 필요가 있다(정호권, 2013). 면접조사를 통해 확인된 승마 참여 동기와 관련한 대중매체에 대한 주요 응답 내용은 다음과 같다.

       5. 차별화된 방식의 여가 향유

    승마 참여와 관련한 동기 요인 가운데 차별화된 방식의 여가 향유와 관련해서 응답 내용을 확인한 결과, 크게 타 스포츠 종목에 대비한 승마 본연의 특화된 차별성에 대한 경험이나 가치 지향과 승마에 참여함을 통해 기대되는 타인이나 사회적 관계 속에서의 차별화된 자기확인이 주된 기제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응답대상자들이 승마에 참여하게 된 주된 이유 가운데 하나는 개방된 공간에서 자연과 더불어 해당 종목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나 즐거움, 말을 탐으로써 체득할 수 있는 독특한 경험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상대적으로 소수인 특정 대상들만이 향유하는 승마에 본인이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이 주는 고유한 자기 인식 역시 여가활동으로서 승마를 선택하게 된 동기라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었다. 전술한 내용과 관련한 주요 응답은 다음과 같다.

    한편 본 연구를 통해 사회구성원들의 승마참여를 결정하는 동기 가운데 하나로서 소수 의견이긴 하였지만 직업선택이나 상급학교로의 진학과 같은 현실적 이유가 작용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가벼운 여가활동이나 개인적인 취미로 승마 활동을 영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취업이나 입학 등의 개인적 목표 달성을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승마에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은 추후 참여 동기와 관련한 승마 연구에 있어서 참고해야 할 사안 가운데 하나라고 하겠다. 또한 상기 결과는 개인이 여가 활동으로 스포츠를 선택함에 있어서 그 기준이나 이유가 미래를 위한 준비나 투자와 같은 보다 진지한 방식으로 접근될 수 있음을 반증한다고 할 수 있을 뿐더러, 최초 일상적 여가로 향유된 스포츠 활동 참여가 이후 개인적 수용의 단계를 거쳐 사회적 지위나 관계 달성을 위한 행위로 전환될 개연성도 존재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Ⅳ. 결론 및 제언

    국내에서 승마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높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연구자가 승마를 직접 경험하고 참여하는 행동관찰자 입장(Kleiber et al, 2011)에서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여가활동으로서 해당 종목과 관련한 참가 유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속발전과 활성화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 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한국적 현실을 감안한 형태로 실제 승마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의 동기 요인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소비자 친화적인 견지에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조사시점 당시 승마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 총 25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고, 주변권유, 말에 대한 호기심과 선호, 특화된 형태의 건강추구, 대중매체의 영향, 차별화된 방식의 여가 향유라는 5가지의 주된 동기 요인을 추출하였다. 이 가운데 주변 권유나 건강추구, 여가 향유를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서의 선택과 같은 요인들은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보고한 내용과 일맥상통하는 결과인 것으로 판단되나, 승마 활동의 구체적인 대상이 되는 말에 대한 호기심과 선호, 대중매체상의 노출에 따른 승마 참여에의 영향은 과거의 연구에서는 적용되지 않던 특이한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결과 내용에 근거하여 국내 말 산업에 종사하는 현장실무자나 승마와 관련한 정책입안자들을 위한 시사점을 언급해 보면, 도출된 결과들이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한국적인 상황 인식이나 환경적 현상에 근거한 참여자의 솔직한 의견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이다. 서론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대중들의 스포츠 활동 참여와 관련하여 특정 종목에 대한 참가를 결정짓는 동기 요인에 대한 보다 면밀한 이해는, 참여 강화와 지속을 담보하는 중요한 전제가 된다. 아울러 스포츠가 단순히 해당 활동 영역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참여에만 한정되지 않고, 전후방 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막대한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주된 영역으로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에 대한 근거가 되는 종목 참여에 대한 동기 요인에 대한 실질적인 분석이 가진 학문적인 의의는 상당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레저스포츠로서 승마가 가진 현실적 제약을 극복하는 중요한 이론적 토대가 될 것이며, 보다 유기적이고 실효적인 참여자 유입과 성장을 위한 실용적인 근거로서 작용할 것이다.

    한편 본 연구는 승마 참여 경험에 내재한 다면적인 동기요인들을 이해하고 공통된 속성이나 특화된 현상에 심층 이해와 인식을 도모하고자 수행되었고, 이를 통해 동기 측면에 나타난 여가로서 한국 승마의 현안과 향후 지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고 하겠다. 하지만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결과들을 토대로 승마 참여와 관련한 동기 요인을 일반화하고 전체 참여자들에게 보편적 적용이 가능한 연구 접근이 요구된다. 즉 본 연구가 확인한 25명의 응답 내용들이 양적 연구를 위한 조사도구 구성에 있어서 주요 근거로서 작용됨은 물론, 해당 도구에 근거한 다차원적인 후속 연구들이 승마 활성화라는 견지에서 지속될 필요성이 존재한다.

참고문헌
  • 1. 김 균섭 (2011) 승마동호인들의 참여동기가 정서 양식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google
  • 2. 김 운영 (2008) 승마운동 참여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진지한 여가활동으로서 승마의 역할. google
  • 3. 김 현수, 김 영갑, 김 동규 (2005) 웰빙 문화의 확산에 따른 체육의 과제.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3 P.197-208 google
  • 4. 남 인수, 김 명미 (2011) 승마참여자의 여가제약이 참여동기 및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0 P.351-362 google
  • 5. 노 용구 (2006) 여가 연구에 있어 질적 연구의 타당성.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0 P.153-165 google
  • 6. (2012) 전국승마시설 실태조사결과. google
  • 7. (2013) 말산업 국내 학술연구동향. google
  • 8. 박 금란, 박 창범 (2011) 승마 동호인의 참여동기가 운동 몰입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0 P.349-358 google
  • 9. 박 병훈, 임 상용 (2009) 승마 참가자의 참여동기, 참여만족과 지속의도간의 관계모형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37 P.1549-1560 google
  • 10. 안 소연 (2009) 승마 참여자의 참여동기와 운동지속의지 및 여가만족의 관계. google
  • 11. 유 준호 (2008) 승마 참여동기와 여가만족 및 생활 만족관계 분석. google
  • 12. 이 미경 (2002) 승마활동 참여가 인지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google
  • 13. 이 은형, 이 철원, 김 민정 (2011) 초등학생의 여가활동으로 승마클럽 참가경험 분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5 P.139-150 google
  • 14. 이 원일, 김 지태, 김 영준 (2006) 승마 활성화를 위한 참여자들의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Vol.45 P.283-292 google
  • 15. 이 원일 (2013) 승마동호인의 진지한 여가 조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7 P.113-129 google
  • 16. 전 윤수 (2011) 생활체육으로서 승마운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 대안. [한국체육정책학회지] Vol.9 P.61-74 google
  • 17. 정 호권 (2013) 우리나라의 레저승마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동북아관광연구] Vol.9 P.99-117 google
  • 18. 정 호진 (2004) 여가활동으로서 승마의 역할: 대중화와 만족도조사 중심으로. google
  • 19. (2014) 말산업 육성본부 현황. google
  • 20. 한 성희 (2013) 승마참여자의 참여동기, 선택속성이 고객만족 및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 google
  • 21. 한 오교 (2004) 승마수업 참여자들이 지도자에 대한 인지된 인간관계와 참여만족의 관계. google
  • 22. Creswell J. W. (2012)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google
  • 23. Kleiber D. A, Walker G. J, Mannel R. C (2011) A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google
  • 24. Ryan R. M., Deci E. 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Vol.55 P.68-78 google cross ref
  • 25. Spradley J. P. (1980) Participant Observation. google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