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아마추어 아이스하키 선수의 여가 유능감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eisure Competence of Amateur Ice Hockey Player on Life Satisfaction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아마추어 아이스하키 선수의 여가 유능감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is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effects the leisure competence on life satisfaction. The survey has done using the sampling method to extract 300 samples out of the members of amateur hockey club teams in Seoul and Gyeonggi-do with three or more years of experience. Excluding those that were inapt for usage, 286 surveys were used for the research.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Results have shown that the leisure competence of members of amateur hockey club teams has affected the life satisfaction. First, the cognitive competence of the leisure competence has statically affected the social satisfactions, which is a sub factor of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social competence of leisure competence has affected the emotional satisfactions, which is also a sub factor of life satisfaction. Third, the cognitive and social competence of leisure competence has affected the physical satisfactions, which is also a sub factor of life satisfaction. Fourth, cognitive competence of leisure competence has affected the educational satisfactions, which is also a sub factor of life satisfaction.

KEYWORD
Leisure Competence , Ice Hockey , Amateur Hockey Player , Life Satisfaction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는 소득 2만5천불 시대를 맞아 사회, 경제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집단 위주의 사고방식에서 개인을 중요시하는 사회분위기로 바뀌고 있다. 이에 다양한 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이것은 단순한 호기심이 아닌 또 다른 자아의 발견을 위한 활동으로 해석된다.

    김세곤(2003)에 따르면 최근 우리사회에서 사람들이 선호하는 직업의 선택 동기가 경제적 측면이나 사회적 측면보다도 개인의 자아실현 이나 많은 여가시간 향유에 대한 방향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감안할 때 삶의 질이나 생활만족에 대한 사회전반의 다각적인 배려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학문적 관심 또한 날로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여가참여의 증대로 인하여 인간의 생활중심 가치가 변화됨으로써 여가의 활용수단에 대한 인식이 향상 되고 있다는 것이다.

    여가는 일하지 않는 시간이라는 종래의 소극적 해석에서 탈피하여 미래의 창조적인 활동을 더욱 증대케 하는 생산적인 의미를 내포함과 동시에 생존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하여야만 할 필수적인 시간으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에는 여가 시간에 대항과 대처가 개인으로나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한이석, 2001).

    여가를 즐기고자 요구하는 것은 생활의 만족을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생활 만족이란 매일의 생활을 구성하는 활동으로부터 즐거움을 느끼며, 자신을 가치 있다고 여기고, 긍정적 자아상을 지니고, 낙천적인 태도와 감정을 유지하는 것으로, 자신의 생애를 의미 있게 받아 들이고 효율적으로 주위의 환경과 잘 대응해 나가 정서적, 사회적으로 어려움을 격지 않고도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도라고 정의할 수 있다(김지윤, 1998).

    정우진(2005)은 현대인의 삶의 질적 향상이나 행복의 추구를 위하여 참여하는 사회문화적 활동에는 여러 유형의 활동이 존재하지만, 최근에 이르러 가장 보편화된 활동으로 스포츠 활동을 들 수 있다고 하였다.

    남인수, 노미라, 여지은(2009)에 따르면 여가 스포츠에 참여하는 인구는 경제적 풍요로움과 여가시간의 증대로 인하여 급증되어지는 추세 이며, 이러한 현상은 여가스포츠를 통해 건전한 마음과 강인한 체력을 유지할 뿐 아니라 자기성취에 대한 즐거움이나 자기개발을 위한 활동을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긍정적인 결과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생활 만족도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근간을 이루는 Diener(1984)의 활동이론(activity theory)에 의하면 생활 만족도는 인간 활동의 과정에서 생겨나는 부산물로 간주되고 있으며, 능동적 여가활동이 수동적 여가활동보다 생활 만족도에 더 크게 기여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들(이종길, 1992; 이성철, 1996; 김경식, 1996; 정영린, 1997)을 통하여 입증되었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실시한 ‘2012 국민생활 체육참여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여가 활동 유형이 소극적이고 정적인 활동에서 운동 및 스포츠 활동과 같은 적극적이고 동적인 신체활동으로 전환되고 있다고 한다(문화체육부, 2012). 우리 국민들이 스포츠에 대한 가치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여가활동으로서 스포츠를 널리 선호하고 있는 사실을 알려주는 결과이다. 최근 스포츠 활동과 여가 및 생활 만족간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들(김경식, 박보현, 2014;이솔잎, 김유식, 심상신, 2013; 박세혁, 김미숙, 2013; 오세이, 곽호경, 2013; 오은택, 김성주, 윤영규, 2012; 이혁, 이재홍, 2013; 최혜련, 최장호, 2012)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 결과 다양한 스포츠 활동과 여가 및 생활만족 간에는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측면에서 스포츠 동호인들의 경우 아마추어 선수로서 가장 활발하고 자발적으로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사람이자 집단이라 할 수 있다. 대중적인 스포츠인 야구, 농구, 축구를 시작한 사람들은 다양함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욕구로 인해 다양한 종목의 운동으로 시선을 돌리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종목 중에 아이스하키를 선택하였다. 다른 여가 활동에 비해 아이스하키는 비교적 운동량이 많고 순발력을 요하는 경기이다. 따라서 일부 운동선수들의 제한된 활동 보다는 여가 스포츠로서 아이스하키는 자기표현의 기회를 가짐으로써 사회성과 소속감 그리고 만족을 느끼는 활동으로 승부와 결부된 격렬함 보다는 여가를 즐기며 활동을 할 수 있는 체력단련의 효과가 뛰어난 운동이다(김준호, 2007).

    동아일보(2009)에서는 현재 국내에 있는 아이스하키 클럽은 100여 개로 예측하고 있으며, 거의 대부분은 아마추어 동호인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것이다. 그동안 ‘엘리트 스포츠’로 인식되던 아이스하키가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스포츠’로 생각이 바뀌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인식의 변화로 아이스하키가 많은 사람들이 여가활동으로 즐길 수 있는 종목이 되었다. 따라서 아이스하키를 즐기는 사람들이 다른 종목에 비해 아이스하키가 주는 어떠한 여가 유능감 때문에 이 운동을 선택하게 되었는지, 생활 만족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오세이, 전태준, 박상일(2011)에 따르면 아이스하키의 동호회가 급증하고 있는 것에 비하여 관련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다양한 방면에서 연구가 필요하다 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마추어 아이스카키 선수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여가 요인으로 여가 유능감을 설정하였다.

    유능감은 단일 개념이 아닌 인지적, 사회적, 신체적 범주로 분류되는 다차원적 유능감으로 분류한다. 인지적 유능감은 학업적 측면과 관련이 있으며, 사회적 유능감은 사회적 관계, 신체적 유능감은 신체적 활동에서 지각된 유능감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여가 유능감은 모든 인간이 어떤 문제와 관련하여 자신이 문제를 수행해 나감으로써 자신의 능력을 확인하고 싶어 한다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욕구가 유능감이라는 것이다, 여가에 참여할 경우에도 이러한 유능감을 얻게 될 때 재미를 수반하게 되며, 활동 그 자체가 목적이 되는 것을 말한다. 여가 유능감은 학습과 수행 및 행동의 변화 등에 있어서 내적으로 동기화되었을 때가장 효율적이라는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Harter, 1978).

    Fisher(1978)에 따르면 여가 유능감은 경험을 토대로 숙달 능력을 시사하려는 개인의 지각으로 정의이며, 개인은 환경에 대한 유능성을 지니려 하고, 이러한 유능성이 충족되면 유능감과 내적 즐거움을 경험하게 되는 숙련적 행동에 참여하고자 한다고 한다. Feltz(1988)도 자신의 능력과 인식의 차이에 따라 내적 즐거움, 참여 형태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White(1995)는 이러한 성취행동을 중재하는 심리적 구조로서의 유능감 이용하였다. 문용(1996)에 따르면 인간이 근본으로 모든 성취 상황에서 유능감을 얻으려 한다는 전제가 있지만, White(1995)의 여가 유능감 이론은 조작적 정의의 부족과 실험적 증거의 부재 및 내용이 지나 치게 포괄적인 것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고 하였다. 여가 유능감과 안녕감에 관한 다른 선행연구들(Campbell, Converse & Rodgers, 1976; Diener, 1994)을 살펴보면 자기 자신의 만족감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여가 활동의 참여는 여가활동을 참여하는 정도, 여가 인지, 지각된 여가 유능감에 따라 사회지지와 주관적 안녕감의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것은 현대인의 과도한 스트레스를 완화시켜 심리적으로 건강하게 하여 신체적 건강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이재희, 2000).

    이렇듯 스포츠가 여가 유능감 및 생활 만족 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여가 활동을 통한 외적변화인 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와 여가 활동을 통해 개인이 느끼는 여가 유능감과 생활 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다양하고 세분화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이스하키 종목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활성화 되고 있는 아이스하키 동호인의 아마추어 선수들을 중심으로 여가 유능감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여 여가 스포츠로서 아이스 하키가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역할을 알리며, 대중적인 스포츠로 대중들의 인식 변화를 이끌어 나가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종류의 여가 활동 중활성화되지 않은 아이스하키라는 한 종목을 정하여 여가 유능감(신체적, 사회적, 인지적 유능 감)이 생활 만족도(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교육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파악하여 아이스하키가 가지고 있는 여가활동으로서 긍정적인 역할을 알리고 대중적 스포츠로 대중들의 인식변화를 이끌어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2. 연구 가설

    본 연구에서는 아마추어 아이스하키 선수의 여가 유능감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 하였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표 1.]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label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본 연구의 목적은 아마추어 아이스하키 선수의 여가 유능감이 생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를 논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서 3년 이상 꾸준히 활동하고 있는 아이스하키 동호인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300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중 응답내용이 편중되거나 부실한 응답이 발견된 자료를 제외하고 총 286명의 설명 자료를 본 연구의 최종자료로 채택하였다. 연령은 30세-39세가 127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40세-49세, 20세 이하, 50세 순으로 나타났다. 소득은 301만원-500만원이 134명으로 가자 많았으며, 501만원-700만원, 300만 원 이하, 700만 원 이상 순이었다. 직업은 관리직이 11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비스직이 80명, 전문직이 58명, 기타가 32명 순이었다.

       2.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 가설을 검증하고자 사용한 설문지는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여가 유능감 15문항, 생활만족 20문항, 인구통계학적 특성 3문항 총 3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1) 여가 유능감

    아마추어 아이스하키 선수의 여가 유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 Harter(1982)의 지각된 유능감 척도와 Witt와 Ellis(1989)의 여가진단도 구(The Leisure Diagnostic Battery, LDB)중 지각된 여가 유능감 척도를 김영호(1995)가 한국의 실정에 맞게 번안한 척도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설문지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예비조사 후 수정보안 작업을 거쳐 최종적으로 총 1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체적 여가 유능감, 인지적 여가 유능감, 사회적 여가 유능감의 3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하였다.

    2) 생활 만족도

    아마추어 아이스하키 선수들의 생활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는 Beard와 Ragheb(1980)이 개발하고, 김영재(2004)가 국내 실정에 맞도록 표준화한 한국형 여가만족척도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3. 타당도 및 신뢰도검증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스포츠 및 여가학 교수 3인에게 문항에 대한 내용 타당도(content validity)검증을 실시한 후 사용하였다. 회수된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행하였다. 요인추출모델은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이용하였으며, 회전방식은 Varimax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관람 결정요인을 측정하기 위한 항목에 대한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α방법을 이용하였다.

    아마추어 아이스하키 선수의 여가 유능감 요인분석 결과 신체적 여가 유능감, 인지적 여가 유능감, 사회적 여가 유능감 총 3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신뢰도 검증을 통한 Cronbach's a값은 신체적 여가 유능감 .945, 인지적 여가 유능감 .883, 사회적 여가 유능감 .916로 신뢰도가 확보된 것을 확인하였다. 자세한 결과는 <표 2>와 같다.

    [표 2.] 여가 유능감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label

    여가 유능감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아마추어 아이스하키 선수의 생활 만족도 요인분석 결과 사회적만족도, 정서적만족도, 신체 적만족도, 교육적만족도 총 4개 요인으로 분류 되었다. 신뢰도 검증을 통한 Cronbach's a값은 사회적만족도 .864, 정서적만족도 .898, 신체적 만족도 .855, 교육적만족도 .751로 신뢰도가 확보된 것을 확인하였다. 자세한 결과는 <표 3> 과 같다.

    [표 3.] 생활만족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label

    생활만족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 자료처리 방법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회수된 자료를 이용 하여 아마추어 아이스하키 선수의 여가 유능감과 생활 만족도와의 관계검증을 위하여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사도구의 구성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주요변인들 간의 관계 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 관계분석과 변인들간의 영향력 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Ⅲ. 결과

       1. 상관관계분석

    각 요인별 척도에 대해 서로 간에 어떠한 방향과 관계성을 갖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 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여가 유능감과 사회적 만족도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신체적 유능감(r=.125), 인지적 유능감(r=.219), 사회적 유능감(r=.136)이 사회적 만족도와 상관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여가 유능감과 정서적 만족도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신체적 유능감(r=.124), 인지적 유능감(r=.196), 사회적 유능감(r=.204)이 정서적 만족도와 상관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여가 유능감과 신체적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신체적 유능감(r=.167), 인지적 유능감(r=.361), 사회적 유능감(r=.280)이 신체적 만족도와 상관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여가 유능감과 교육적 만족도간의 상관관 계에서는 신체적 유능감(r=.037), 인지적 유능감(r=.173), 사회적 유능감(r=.053)이 교육적 만족도와 상관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변인의 상관관계수의 값이 .85를 초과하지 않았기 때문에 판별타당성이 확보되었으며, 독립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다중공선성의 기준치인 .80보다 모든 변인에서 작게 나타났기 때문에 다중공선성의 문제는 없다고 판단된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표 4>와 같다.

    [표 4.]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label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2. 여가 유능감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1) 여가 유능감과 사회적 만족

    아마추어 아이스하키 선수의 여가 유능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생활만족도 하위변인인 사회적만족과 여가 유능감 하위변인별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였다. 그 결과 인지적유능감(β=.200 p<.05)이 사회적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가 유능감이 사회적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은 채택되었다. 그 자세한 결과는 다음의 <표 5>와 같다.

    [표 5.] 여가 유능감과 사회적만족의 관계

    label

    여가 유능감과 사회적만족의 관계

    2) 여가 유능감과 정서적 만족

    아마추어 아이스하키 선수의 여가 유능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생활만족도 하위변인인 정서적만족과 여가 유능감 하위변인별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였다. 그 결과 사회적유능감(β=.144, p<.05)이 사회적만족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가 유능감이 정서적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는 채택되었다. 그 자세한 결과는 다음의 <표 6>과 같다.

    [표 6.] 여가 유능감과 정서적만족의 관계

    label

    여가 유능감과 정서적만족의 관계

    3) 여가 유능감과 신체적 만족

    아마추어 아이스하키 선수의 여가 유능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생활만족도 하위변인인 신체적만족과 여가 유능감 하위변인별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였다. 그 결과 인지적유능감(β=.331, p<.001)과 사회적유능감(β=.169, p<.05)이 신체적만족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가 유능감이 신체적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은 채택되었다. 그 자세한 결과는 다음의 <표 7>과 같다.

    [표 7.] 여가 유능감과 신체적만족의 관계

    label

    여가 유능감과 신체적만족의 관계

    4) 여가 유능감과 교육적만족

    아마추어 아이스하키 선수의 여가 유능감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생활 만족도 하위변인인 사회적 만족과 여가 유능감 하위변인별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였다. 그 결과 인지적유능감(β=.173, p<.01)이 사회적만족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가 유능감이 교육적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4는 채택되었 다. 그 자세한 결과는 다음의 <표 8>과 같다.

    [표 8.] 여가 유능감과 교육적만족의 관계

    label

    여가 유능감과 교육적만족의 관계

    Ⅳ. 논의

    본 논의에서는 결과로 도출된 검증 결과를 기초로 여가 유능감과 생활 만족도의 각 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여가 유능감과 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통하여 여가 유능감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여가 유능감의 인식차이를 비교한 결과 연령별로는 29세 이하가 인지적 유능감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김정식(2005)의 스포츠센터 이용자의 연령에 따른 여가 유능감의 차이는 신체적 유능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와 다소 일치하지 않은 결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아이스하키라는 특수성을 가진 운동종목 에서 신체적인 유능감은 지속적인 연습에도 불구하고 전문적인 트레이닝을 받지 않으면 쉽게 신체적인 유능감을 느낄 수 없다는 생각을 해볼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일반적으로 예상하는 신체적 유능감 뿐 아니라 인지적, 사회적 유능감 또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아마추어 아이스하키 선수의 여가 유능감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여가 유능감의 하위변인인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유능감이 생활 만족도의 하위 변인인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교육적 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만족에는 인지적 유능감이, 정서적 만족에는 사회적 유능감이, 신체적 만족에는 신체적 유능감과 인지적 유능감이, 교육적 만족에는 인지적 유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호회 활동을 즐기는 시간 동안 동료들과의 교류를 통해 사회적 만족과 정서적 만족을 느끼며 자연스럽게 학습활동이 이루어지며 재미와 즐거움을 동반한 복합적인 긍정적 정서를 체험함으로써 생활에 대한 기쁨과 낙천적인 태도와 감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인지적 유능감은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을 발현시키고 습득하고자 하는 욕구와 능력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스하키는 전문적인 트레이닝을 받으며 다양한 기술, 정보 등을 얻게 됨으로써 교육적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손진건과 지상민(2005)은 생활체육의 참여빈 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생활만족도가 높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으며, 이학래와 이진(1999)의 생활체육참가자의 여가 유능 감과 생활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도 여가 유능감과 생활만족도의 인과관계를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다. 문용(1996)의 연구에 서도 직장인의 지각된 여가 유능감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파악하였는데, 생활만족과 유사 개념으로 사용하는 주관적 안녕감 변인이 여가 유능감의 변인으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는 결과를 규명한다고 하였다.

    개인의 기준에 따라 내적이고 주관적으로 행복을 결정하는 각 개인의 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으로써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개인의 신체적 발달을 도모라는 기능 뿐 아니라 여가시간의 증대 소득증대로 인하여 여가 시간에 집에서 정적인 휴식을 취하는 것으로 머물지 않고 여러 구성원들과 함께 효과적으로 교류 할 수 있기에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Iso-Ahola(1980)의 연구에서도 나타난 개인의 생활만족도와 자기 실현성이 최대화하기 위해 그들의 여가 시간을 최대한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원인을 좀 더 구체적으로 규명할 필요성이 있고 본 연구의 결과에 잠재되어 설명되지 못하는 부분들의 의미를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밝혀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Ⅴ.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아이스하키라는 한 종목을 통하여 여가 유능감이 생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아이스하키가 가지고 있는 여가활동으로서 긍정적인 역할을 알리고 대중적 스포츠로 대중들의 인식변화를 이끌어 활성화 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으며, 본 연구의 수행과정에서 나타난 몇 가지 문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기술 하고자 한다.

    아이스하키 동호인 참가자의 여가 유능감이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여가 유능감의 하위변인인 인지적 유능감이 생활 만족도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만족 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 유능감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유능감이 생활 만족도의 하위변인인 정서적 만족 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 유능감의 하위변인인 신체적 유능감, 인지적 유능감이 생활 만족도의 하위 변인인 신체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가 유능감의 하위변인인 인지적 유능감이 생활 만족도의 하위변인인 교육적 만족 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아이스하키 동호인 참가자의 인지적 유능감이 사회적 만족도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적 유능감은 정서적 만족도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고, 인지적 유능감과 사회적 유능감은 신체적 만족도에 양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 및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와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할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아이스하키라는 한 종목을 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연구 결과에 대한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 다른 종목으로 확대시켜 비교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 클럽 아이스 하키 동호인으로 한정하여 연구를 하였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지역을 좀 더 세분화하고 연구 대상을 확대해서 다양한 연구가 추후에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아마추어 아이스하키 선수의 여가 유능감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모형을 계량 적인 연구방법에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하지만 연구모형 내 변수들 관계에 대한 보다 심층적 이고 총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변인 간 하위요인의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보안되어 아마추어 아이스하키 선수의 여가 유능감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개념적인 완성을 이루어 이를 통해 아이스 하키가 가지고 있는 여가활동으로서 긍정적인 역할을 알리고 대중적 스포츠로 대중들의 인식 변화를 이끌어 활성화 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김 경식 (1996) 대도시 노인의 생활체육 참여와 여가 만족 및 생활만족의 관계. google
  • 2. 김 경식, 박 보현 (2014) 한국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과 건강상태,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삶의 만족도의 관계 [체육과학연구] Vol.24 P.520-530 google
  • 3. 김 세곤 (2003) 축구운동참여가 성인남성의 여가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google
  • 4. 김 영재 (2004) 한국형 여가만족척도 개발과 타당화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Vol.43 P.291-299 google
  • 5. 김 영호 (1995) 한국형 레저 진단도구의 모형개발. google
  • 6. 김 준호 (2007) 클럽 아이스하키 동호인의 여가정 체성 현출성, 주관적 행복감, 생활만족 도에 관한 연구. google
  • 7. 김 지윤 (1998) 기혼 여성의 생활 만족에 관한 연구. google
  • 8. 남 인수, 노 미라, 여 지은 (2009) 남자 테니스 동호 인의 참여정도와 성취목표성향이 운동 몰입, 운동 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3 P.45-55 google
  • 9. 2009 직장인 스트레스? “퍽에 실어 날려요” google
  • 10. 문 용 (1996) 직장인의 지각된 여가 유능감 및 조절력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사회체육연구소 논총집] google
  • 11. (2012) 2012국민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google
  • 12. 박 세혁, 김 미숙 (2013) 북한산 둘레길 이용자들이 인지하는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54 P.735-741 google
  • 13. 오 세이, 곽 호경 (2013) 초등학교 스포츠클럽활동 참가자의 몰입경험과 학교생활만족 간에 여가조절감의 조절효과.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7 P.110-129 google
  • 14. 오 세이, 전 태준, 박 상일 (2013) 아이스하키 동호회 참여자의 여가동기가 여가만족 및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5 P.55-66 google
  • 15. 오 은택, 김 성주, 윤 영구 (2012)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자의 사회적지지, 생활만족 및 건강 증진행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Vol.51 P.179-188 google
  • 16. 이 성철 (1996) 노인의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과의 관계. google
  • 17. 이 솔잎, 김 유식, 심 상신 (2013) 여가스포츠 참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우울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7 P.57-72 google
  • 18. 이 재희 (2000) 생활체육 참여동기가 여가에만족도 미치는 영향. google
  • 19. 이 종길 (1992)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google
  • 20. 이 학래, 이 진 (1999) 생활체육 참가, 신체적 여가 유능감, 사회적 여가 유능감 및 인지적 여가 유능감과 생활만족 간의 인과관계. [한국체육학회지] Vol.38 P.155-169 google
  • 21. 이 혁, 이 제홍 (2013) 게이트볼 참여 노인의 여가 몰입과 심리적 행복감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54 P.575-584 google
  • 22. 정 영린 (1997) 생활체육 참가와 여가만족의 관계. google
  • 23. 정 우진 (2005) 대학생의 여가유형에 따른 여가권태 및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스포츠리서치] Vol.16 P.197-196 google
  • 24. 최 혜련, 최 장호 (2012) 에어로빅스 참가자들의 여가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50 P.621-628 google
  • 25. 한 이석 (2001) 현대 스포츠 사회학. google
  • 26. Beard J.G., Ragheb M.G. (1980)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12 P.20-33 google
  • 27. Campbell A., Converse P., Rodgers W.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google
  • 28.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95 P.542-575 google cross ref
  • 29. Diener E. (1994) Assessing subjective well-bing: Progress and opportunu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31 P.103-107 google cross ref
  • 30. Fisher C, D. (1978) Effects of personal control, competence and extrinsic reward system on intrinsic motivation. [Organizational Behavior & Human Performance] Vol.21 P.273-288 google cross ref
  • 31. Feltz D. L. (1988) Self-confidence &sports performance. In soccer skills among young soccer players. [Journal of Sport Psychology] Vol.6 P.385-394 google
  • 32. Harter S. (1978) Effectance motivation reconsidered : Toward a developmental model. [Human Development] Vol.21 P.34-64 google cross ref
  • 33. Harter S. (1982)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Child Development] Vol.53 P.87-97 google cross ref
  • 34. Iso-Ahola S, E (1980)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and recreation. google
  • 35. White R (1995) Social Class Difference in the uses of Leisur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61 P.50-145 google
  • 36. Witt P. A., Ellis G. D. (1989) The leisure Diagnostic Battery User's Manual. google
  • 37. Harter S. (1982) The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Child Development] Vol.53 P.87-97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 [ 표 2. ]  여가 유능감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여가 유능감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 [ 표 3. ]  생활만족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생활만족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 [ 표 4. ]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 [ 표 5. ]  여가 유능감과 사회적만족의 관계
    여가 유능감과 사회적만족의 관계
  • [ 표 6. ]  여가 유능감과 정서적만족의 관계
    여가 유능감과 정서적만족의 관계
  • [ 표 7. ]  여가 유능감과 신체적만족의 관계
    여가 유능감과 신체적만족의 관계
  • [ 표 8. ]  여가 유능감과 교육적만족의 관계
    여가 유능감과 교육적만족의 관계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