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전체 메뉴
PDF
맨 위로
OA 학술지
지방정부의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여가서비스성과 및 지역사회애착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Level of Satisfaction with Leisure Service Delivery by Local Government on Leisure Service Performance and Community Attachment
  • 비영리 CC BY-NC
ABSTRACT
지방정부의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여가서비스성과 및 지역사회애착에 미치는 영향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leisure service delivery by local governments, leisure service performance, and community attachment.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f 534 users of women’s leisure facility run by Gangwon Provincial government, and yielded the following outcomes. First, regarding the influence of satisfaction with leisure service delivery on service performance, the more satisfied the users were with service provider, the better the organizational and social performances were. Second, regarding the influence of the same on community attachment, the more satisfied the users were with service provider, the higher their level of identity and dependence was; and, the more satisfied the users were with service quality, the higher their level of dependence and affinity were. Third, regarding the influence of service performance on community attachment, the better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the higher the users’ level of identity, dependence and affinity were, while the social performance only affected their level of identity.

KEYWORD
Leisure Service Delivery , Local Government , Leisure Service Performance , Community Attachment , Level of Satisfaction
  •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는 2005년 주민들의 삶의 환경에 대한 책임과 주도적인 역할이 중앙정부에서 지방 정부로 이양되는 실질적인 분권화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지방정부의 자율적인 정책결정 역량에 대한 기대가 더욱 높아지면서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과 관련된 사회서비스 분야의 관심 또한 증대되었다. 이는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은 소득보장제도와 관련된 중앙 정부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주민들의 일상적인 생활과 관련을 맺고 있는 자치단체의 행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권용현, 2009; 이재원, 2011; 정준금, 김도희, 2008), 지방정부는 새로운 방안과 돌파구를 모색하고 대응하여야 할 시점이 되었음을 의미 한다고 할 수 있다.

    지역주민의 삶의 질이란 개인의 복지수준 및 생활의 건강도 등 생활환경을 밝히고, 지역의 생활수준을 나타내는 중요한 척도의 하나로, 개인적인 능력에 따라 일정부분 충족되기도 하지만 정부가 얼마나 풍요로운 생활환경을 제공 하느냐에 따라 그 수준이 달라지기도 한다. 특히 최근 들어 지역주민들의 관심은 단순한 기본적 욕구 충족에서 벗어나 여가, 문화, 복지, 환경 등 이른바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행정운영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자치단체가 제공하지 않는 서비스나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서비스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요구하고,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어(최근희, 이미숙, 2007), 각 지방정부는 지역주민들의 요구와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한 질적 발전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다양한 사회적 요구는 지역 여가정책과 여가서비스전달체계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과 요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비스전달체계는 정책 혹은 제도를 구체적인 서비스로 전환하여(박영숙, 2009), 지역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각종 서비스가 필요한 사람에게 전달되는 실천현장의 의미를 담고 있다. 특히 서비스 전달체계의 공급자에 대한 만족도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원들의 태도나 이용기관에 대한 인지적 평가에 가깝고, 전달체계의 이용 결과에 대한 만족도는 서비스가 이용자 자신에게 끼친 영향에 대해 느끼는 감성적 평가에 가까운 요소이다(이기정, 이희선, 2012). 즉 공공 서비스전달체계는 실제 서비스 전달체계의 전환과정이 고객가치 제고 및 업무성과 향상에 어떻게 기여 할 수 있는가를 검토하는 고객지향적인 서비스 전달체계의 적극적인 관리체계이며, 서비스 질 향상을 통한 고객만족(오영균, 2006)으로 정의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공서비스에 대한 만족은 지역주민들이 그 서비스가 자신의 기대에 얼마나 부합되고, 자신의 상황에 적절하며 만족스러운지를 검토함으로서 서비스 성과의 한 부분으로(박선영, 김윤주, 2007) 이해하기도 한다.

    서비스성과란 공공서비스가 얼마나 능률적이고 효과적으로 지역사회에 잘 공급되고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거나, 지역사회의 욕구에 공공서비스가 얼마나 적극적인가에 대한 체계적인 노력(송광태, 2004)으로, 공공 기관의 성과는 기관성과와 사회성과를 구성 할 수 있다. 기관성과에서는 고객만족도간에 긍정 적인 관계가 존재하므로 여가서비스 기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한 후 해당기관의 기능에 대한 신뢰와 지지, 이미지향상에 대한 고객만족도를 평가하며, 사회성과에서는 서비스가 삶의 질 향상, 국민행복에, 국가적 발전에 기여하는지에 대한 평가를 포함하고 있다(감기대(2011). 이처럼 이용자 만족도와 같이 주관적 성과 평가 기준을 주요한 성과평가 기준으로 적용하는 것은 클라이언트의 변화를 추구하는 서비스 영역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신창환, 2012).

    따라서 지방정부들이 지역사회를 발전시키고 활성화시키는데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역주민들이 지방정부에 대한 신뢰와, 관계에 만족을 느낄 때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사회 전반에 대해 강한 유대감을 느끼게 된다는 점에 주목 하여야 한다. 지역사회는 삶의 공간으로서 기능뿐만 아니라 사회적, 정서적, 문화적, 친근감을 구현하는 공동체 공간이며, 사회적 참여, 유대감, 정서와 같은 사회적 결속 수준으로 다양한 인간관계를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지역사회애착은 지역주민의 삶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로 고려되며, 지역사회의 유지와 발전에 토대를 제공하는(오미영, 2008; 조원섭, 최상수, 2011)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선행연구들은 다양한 여가 활동은 지역주민들이 서로 접촉, 교류, 협력 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주민들이 지역사회 내 집단에 적응하도록 하여 공동체의식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최성범, 2009). 지역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여가활동지원과 육성은 주민들이 지방정부에 대해 호의적인 인식과,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는데 기여(오미영, 2008)하기 때문이다. 즉 여가서비스 제공기관으로부터 참가자가 존중 받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은 긍정적이거나 호의적인 마음을 갖게 하며, 이는 지역사회가 지향하는 ‘좋은 사회’로 나가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필요 성이 제기되는 이유(박세혁, 박장근, 이승로, 2011; 이종수, 2011; 전계영, 2007; 조광식, 2007; Boezeman & Ellemers, 2007; Tyler & Blader, 2002)라고 보고 하였다.

    또한 이기정, 이희선(2012), 송건섭(2002), 송광태(2004)등은 정책을 구체적인 서비스로 전환하여 전달하는 과정인 공공서비스전달체계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서비스수요나 소망의 정확한 판단과, 서비스공급결과나 영향 등을 파악하는 것은 공공서비스성과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하였으며, 박영숙(2009)은 서비스전달체계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증대되면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전달하게 되고, 서비스를 효과적,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질 좋은 서비스를 지역주민들에게 제공 해야 한다고 보고 하였다. 이러한 노력들은 지역사회의 여가환경을 더 좋아지게 하고, 지역 주민의 연대감 및 공동체 의식을 강화시킨다. 이를 통해 지역주민들의 지역애착이 높아지면 지역사회 일에 자발적이며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다(김종길, 2010; 박동균, 이은석, 2007; 박세혁, 박장근, 이승로, 2011; 안동수, 2008; 최성범, 2009; 한권상, 2004)고 보고하고, 공공여가 시설의 참여요인이나 서비스 이용만족 등을 지역사회애착과의 관계에서 찾으려고 시도 하였다. 그러나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과 여가서비스성과, 지역사회애착 등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 내․외적인 환경변화와 도전에 대응하는 지방정부의 여가서비스 접근 방식은 주민이 원하는 서비스를 정확하게 진단 하고 계획하여 지역주민의 신뢰 위에서 펼쳐져야 그 정당성과 효과성을 발휘 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지방정부의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여가서비스성과와 지역사회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과적 관계가 실제 있는지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지방정부가 여가서비스 제공시 발생하는 문제나 도전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통해 주민들의 여가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2. 연구가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정부의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은 여가서비스성과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둘째, 지방정부의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은 지역사회애착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셋째, 지방정부의 여가서비스성과는 지역사회애착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본 연구는 지방정부가 여성들의 여가활동과 문화, 교육의 장소로 조례에 의해 규정한 방법에 의해 직접운영하고 있는 강원도 내 여성회관 2곳의 여가서비스이용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하였다. 여성회관은 지역 내 거주하고 있는 남성도 서비스이용이 가능한 곳으로, 먼저 관련기관의 협조를 받아 4명의 조사원이 조사 기관을 방문하여 일주일간 진행되는 모든 개설 프로그램의 여가서비스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총 567부의 자료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자료 중 불성실한 응답 본 33부를 제외한 총 534명의 자료가 본 연구의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으며,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표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label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2. 연구도구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도구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인구통 계학적 특성 6문항(성별, 연령, 교육정도, 혼인 관계, 월 소득, 거주기간),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 20문항, 여가서비스성과 6문항과 지역사회애착도 1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에 관한 문항은 김용석, 이은영, 고경희, 민은희(2007)가 개발한 한국어판 복지서비스전달체계 만족도 척도를, 심영미(2010), 이기정(2012), 이재만(2012)의 연구에서 사용하여 검증된바 있는 문항의 척도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서비스공급자에 대한 만족, 서비스결과에 대한 만족의 2개요인, 총 20문항으로 5점 리커트 척도방식으로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여가서비스성과는 Oliver(1997)의 연구에서 활용되고, 이유재, 라선아(2005), 감기대(2011)의 연구에서 검증된 바 있는 서비스성과 척도를 활용하였다. 여가서비스성과의 기관 성과는 서비스기관에 대하여 얼마나 신뢰하고, 지지하고, 인식하며 이용 후 이미지가 변화 되었는지 묻는 3개 문항과, 주민행복과 지역사회 발전의 변수로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여가서비스가 지역사회발전에 기여하는지를 묻는 사회 성과 3개 문항의 2개 요인으로 총 6문항을 5점 리커트 척도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지역사회애착을 묻는 질문은 Sampson(1988), McCool & Martin(1994)등의 연구에서 활용되고, 김선정(2005), 안동수(2008), 지민수(2009), 한권상(2005) 등이 사용하여 검증된 문항을 토대로 지역사회애착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척도는 지역사회에 대한 자부심과 의미를 느끼는 정체성, 어떤 목적 수행에 적합한 장소로 지역 사회에 애착을 갖는 의존성, 그리고 지역사회 구성원간의 친분과 유대감 등을 나타내는 친분성에 대한 3개요인 총 16문항으로 5점 리커드 척도 방식으로 측정 하였다.

       3. 타당도 및 신뢰도검증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설문문항을 채택하기 위하여 관련분야의 전문가들과 협의를 거쳐 내용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구성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 여가서비스성과, 지역사회애착을 측정 하기 위해 만들어진 42문항의 변수들을 상호독립성을 강조하는 Kaiser 정규화가 있는 배리멕스(Varimax) 반복계산에서 요인회전이 수렴되었다.

    그 결과 <표 2>의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 요인의 서비스공급자에 대한 만족, 서비스결과에 대한 만족 요인에 대한 직각회전 요인 분석으로 각 요인의 고유치는 10.008부터 2.337까지 나타났다. 2개요인의 전체 변수를 설명하는 비율은 61.725%이며, Cronbach's a 값에 의한 신뢰도 검증결과는 .885~.942로 나타나 본 연구의 측정도구에 있어서의 구성타당도 및 신뢰도는 지지를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표 2.]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 요인분석 결과

    label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 요인분석 결과

    <표 3>은 여가서비스성과의 기관성과, 사회 성과 요인에 대한 직각회전 요인분석으로, 각 요인의 고유치는 최고 4.624부터 .519까지 나타났다. 2개요인의 전체변수를 설명하는 비율은 85.722로 본 연구의 측정도구에 있어서의 구성타당도는 지지를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Cronbach's a 값에 의한 신뢰도 검증결과 .915~.916으로 나타나 비교적 안정된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표 3.] 여가서비스성과 요인분석 결과

    label

    여가서비스성과 요인분석 결과

    <표 4>의 지역사회애착의 정체성, 의존성, 친분성 요인에서는 정체성 7.751, 의존성 1.899, 친분성 1.006까지 고유치가 나타났다. 3개요인의 전체 변수를 설명하는 비율은 65.908%로 요인분석결과로 비추어 볼 때 본 연구의 측정도구에 있어서의 구성타당도는 지지를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Cronbach's a 값에 의한 신뢰도 검증결과 .804~.908로 나타나 비교적 안정된 수치를 보여주고 있다.

    [표 4.] 지역사회애착 요인분석 결과

    label

    지역사회애착 요인분석 결과

       4. 자료처리 방법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과 여가서비스성과, 지역사회애착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사도구의 요인분석, 구성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결과

       1.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 여가서비스성과 지역사회애착의 상관분석

    <표 5>는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과 여가 서비스성과, 지역사회애착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과 여가서비스성과의 상관을 살펴보면 여가서비스 전달체계 만족의 서비스공급자에 대한 만족은 여가서비스성과의 기관성과(r= .635), 사회성과(r= .553) 순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서비스결과에 대한 만족도 기관성과(r=.429), 사회성과(r=.376) 순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의 서비스공급자에 대한 만족과 지역사회애착의 상관에서는 정체성(r=.465), 의존성(r=.384), 친분성(r=.260) 순으로, 서비스결과에 대한 만족은 의존성(r=.439), 정체성(r=.431), 친분성(r=.364)의 순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여가서비스성과와 지역사회애착의 상관에서는 여가서비스성과의 기관성과는 지역사회애착의 정체성(r=.407), 의존성(r=.386), 친분성(r=.245)의 순으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여가서 비스성과의 사회성과와 지역사회애착 또한 정체성(r=.360), 의존성(r=.308), 친분성(r=.163)의 순으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표 5.]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label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2.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여가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

    <표 6>은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여가 서비스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결과이다. 분석결과 서비스공급자에 대한 만족이 기관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서비스공급자에 대한 만족의 영향은 .617로, 결정 계수 R²=.404로 40.4%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사회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도, 서비스공급자에 대한 만족이 사회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공급자에 대한 만족의 영향은 .534이며, 결정계수 R²=.306으로 30.6%의 설명력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표 6.]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여가서비스성과에 미치는 영향

    label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여가서비스성과에 미치는 영향

    따라서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의 서비스공급자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여가서비스성과의 기관성과, 사회성과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2.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지역사회 애착에 미치는 영향

    <표 7>은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지역 사회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이다. 분석결과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은 지역사회애착의 정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공급자에 대한 만족의 영향은 .320, 서비스결과에 대한 만족의 영향은 .223 이었으며, 결정계수 R²=.245로 24.5%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의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공급자에 대한 만족의 영향은 .171, 서비스결과에 대한 만족의 영향은 .328이었으며, 결정계수 R²=.209로 20.9%를 설명하고 있었다.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지역사회애착의 친분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분석결과에서는 서비스결과에 대한 만족만이 .371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결정계수 R²=.133으로 13.3%의 설명력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의 서비스공급자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지역 사회애착의 정체성, 의존성이 높아지며, 서비스 결과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정체성, 의존성, 친분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표 7.]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지역사회애착에 미치는 영향

    label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지역사회애착에 미치는 영향

       3. 여가서비스성과가 지역사회애착에 미치는 영향

    <표 8>은 여가서비스성과가 지역사회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결과이다. 분석결과 여가서비스성과는 지역사회애착의 정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기관성과의 영향력은 .334, 사회성과의 영향은 .091로 결정 계수 R²=.161로 16.1%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여가서비스성과가 지역사회애착의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기관성과만이 지역사회애착의 의존성에 .391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결정계수 R²=.149로 14.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8.] 여가서비스성과가 지역사회애착에 미치는 영향

    label

    여가서비스성과가 지역사회애착에 미치는 영향

    여가서비스성과가 지역사회애착의 친분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도 기관성과 만이 친분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기관성과에 대한 만족의 영향은 .321로, 결정계수 R²=.063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가서 비스성과의 기관성과가 높을수록 지역사회애착의 정체성, 의존성, 친분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성과가 높아지면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논의

    본 연구에서는 지방정부의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여가서비스성과와 지역사회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인과적관계가 실제 있는지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지방정부가 지역주민을 위한 여가서비스 제공시 발생하는 문제나 도전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효율적인 운영을 통해 주민들의 여가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으며, 검증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여가서비스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서비스공급자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기관성과, 사회성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가 서비스공급자에 대한 만족은 서비스제공기관이나, 직원들의 태도에 대한 인지적 평가로, 체계적 조직구조를 갖추고 서비스의 기획, 제공절차, 실천 등 상호조정 및 유기적인 관리 운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달체계를 구축할 때 행정은 서비스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고 보고한 이희선(2012)의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이용자만족도와 같은 주관적 기준을 주요한 성과평가기준으로 적용하는 것은 주민들의 변화를 추구하는 복지서비스영역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지방정부 서비스공급의 결과나 영향, 즉 성과에 대한 정확한 판단과 활동은 항시 필요하다고 보고한 신창환(2011), 송건섭(2002), 송광태(2004)의 연구결과를 이해 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서비스전달이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면 서비스기관이 신뢰와 지지를 받을 수 없다는 점에서, 지역주민들의 여가서비스 만족도를 높여주고 그들이 조직으로부터 존중 받는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즉 공공서비스시설은 주민들의 수요충족에 적극적으로 부응하여 운영되어야하며, 적극적인 서비스관리체계구축을 위한 지방정부의 서비스 질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과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지역사회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서비스공급자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정체성, 의존성이 높아지며, 서비스결과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정체성, 의존성, 친분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주민들의 지역사회에 대한 애착심 향상을 위한 지방정부의 개발목표는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이다. 이것은 지역사회 공동체의식 및 유대감을 강화함으로서 보다 윤택한 생활을 향유하도록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주민의 이해와 서비스행동체계를 마련하여 적극적인 관리체계가 나타날 수 있어야만 가능하다. 지역주민들이 개인적, 집단적으로 느끼는 심리적 유대감이 그들의 삶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라는 감기대(2011)의 연구결과와, 지역주민들의 지속적인 여가서비스이용은 서비스기관이나 프로그램 만족도를 높이고 자신의 지역에 대한 높은 관여 도와 심리적 애착을 갖도록 함으로서, 지역주민들이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보고한 박세혁, 박장근, 이승로(2011), 안동수(2011), 임남균(2011), 최성범(2009)의 연구결과들과 일정부분 일치하고 있다.

    즉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은 지역사회내의 사회적 교류와 공동체의식 및 유대감을 강화시키고 지역 내 애착심을 극대화 시킨다는 점에서, 여가서비스는 지역주민들의 신뢰위에서 만족을 극대화 하고, 주민의 기대에 맞는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지방정부는 여가서비스 제공시 발생하는 문제나 도전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효율적인 운영방법 모색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셋째, 여가서비스성과가 지역사회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관성과가 높을수록 정체성, 의존성, 친분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성과가 높을수록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비스성과는 서비스가 얼마나 능률적이며, 효과적으로 지역사회에 공급되고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확인하는 노력이다. 즉 조직이 우수한 서비스를 촉진하고 제공하면, 서비스성과에 영향을 끼쳐 궁극적으로는 주민 만족에 기여한다는 서창적, 김효정, 이호택, 장하다(2010)의 연구결과와, 서비스조직이 시민행동을 최대화시키고, 시민불량행동을 최소화 시킬 때 더 나은 성과를 달성 할 수 있다. 즉 서비스성과는 서비스충성도와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지역주민들이 지방정부에 대한 신뢰와, 관계에 만족을 느낄 때 지역사회 전반에 강한 유대감을 갖는다고 보고한 이유재, 공태식(2005)의 연구결과를 이해하게 한다.

    건전하고 다양한 여가활동은 국가경쟁력을 높여 개인과 사회를 통합하며, 상징과 규범을 형성하여 주체의식과 공동체 의식을 갖게 함으로써 건강하고 안전한 사회를 건설한다. 지역 주민들이 서로 접촉하고 교류, 협력 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지역공동체 의식형성과 지역 사회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구교준, 김성배, 윤종현, 2012; 이장영, 강효민, 2003; 유지곤, 2004; 최성범 2009)미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지방정부가 지역주민들의 여가서비스만족을 서비스성과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는 것은 지역사회의 여가환경을 더 좋아지게 할뿐만 아니라, 지역주민들의 연대감 및 공동체 의식을 강화시켜 지역사회애착이 높아지게 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이는 지역주민들은 다양한 여가활동을 지원하는 지방정부에 대해 호의적인 인식을 형성하게 됨으로서 지방정부에 대해 우호적 지지관계를 10형성하는데 기여 하게 될 것이다.

    Ⅴ. 결론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과 여가서비스성과, 지역사회애착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상의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강원지역에 위치한 공공 여가서비스이용자 534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여가서비스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서비스공급자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기관성과, 사회성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지역사회 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서비스공급자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정체성, 의존성이 높아지며, 서비스결과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의존성, 친분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서비스성과가 지역사회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기관성과가 높을수록 정체성, 의존성, 친분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성과는 정체성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 지방정부의 여가서비스 전달체계 만족과 여가서비스성과, 지역사회애착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유의성을 발견하였으나, 목적표집에 의한 표집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여가시설과 서비스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일반화하고 적용할 수 있는 폭넓은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1. 감 기대 (2011) 공공기관의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국립과 학수사연구원을 중심으로. google
  • 2. 권 용현 (2009) 삶의 질(QOL) 평가지표의 구성과 적용에 관한 연구. google
  • 3. 구 교준, 김 성배, 윤 종현 (2012) 용인 가능한 지역간 격차와 지역정책: 삶의 역량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Vol.2012 P.173-192 google
  • 4. 김 선정 (2005) 무용공연 관람자의 태도와 관람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19 P.131-144 google
  • 5. 김 용석, 이 은영, 고 경희, 민 은희 (2007) 한국어판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척도(Client Satisfaction Inventory)의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 :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Vol.59 P.83-109 google
  • 6. 김 종길 (2010) 공공체육시설 이용만족도가 지역 사회 애착도에 미치는 영향. google
  • 7. 박 동균, 이 은석 (2007) 지역사회 공공체육시설 이용자의 스포츠 소비행동과 지역 사회 애착도의 관계. [도시행정학보] Vol.20 P.57-74 google
  • 8. 박 선영, 김 윤주 (2007) 서비스 만족과 성과의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저소득층 여성가장에 대한 사례관리 서비스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Vol.23 P.123-146 google
  • 9. 박 세혁, 박 장근, 이 승로 (2011) 여가서비스 이용자들이 조직으로부터 존중받는다는 인식과 감정적 충성도가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51 P.67-75 google
  • 10. 박 영숙 (2009)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과 과제. [교정복지연구] Vol.15 P.47-63 google
  • 11. 서 창적, 김 효정, 이 호택, 장 하다 (2010) 고객지향성 및 자기효능감이 서비스 성과에 미치는 영향 -콜센터 서비스 종업원을 중심으로 [서비스경영학회지] Vol.11 P.285-308 google
  • 12. 송 광태 (2004) 지방자치단체 공공서비스의 운영성과 분석 : C시의 체육 및 문화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Vol.16 P.49-72 google
  • 13. 송 건섭 (2002) 지방정부의 공공서비스 평가시스템 구축-객관적, 주관적 평가기준의 통합시스템을 중심으로. [2002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 P.146-169 google
  • 14. 신 창환 (2012) 바우처 서비스 제공기관의 객관적 성과와 주관적 성과의 연계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기관운영의 효율성과 이용자 만족도 차원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Vol.43 P.5-29 google
  • 15. 심 영미 (2010) 지역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향상을 위한 서비스 공급자와 수요 자간의 인식비교 연구 : 의정부, 양주, 포천시 공무원과 노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Vol.36 P.257-286 google
  • 16. 안 동수 (2008) 공공체육시설 참여요인이 지역사회애착과 여가지속에 미치는 영향. google
  • 17. 안 동수 (2011) 생활체육시설이용자의 선택속성과 지역사회애착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5 P.67-77 google
  • 18. 오 미영 (2008) 지방자치단체-지역주민관계가 지역민의 지역사회 유대, 지역사회만족 그리고 거주의향에 미치는 영향. [정책분석평가학회보] Vol.18 P.327-350 google
  • 19. 오 영균 (2006) 공공고객관계관리(PCRM)의 개념과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0 P.257-276 google
  • 20. 유 지곤 (2004) 체육환경의 변화와 체육시설의 확충 방향. [스포츠과학] Vol.89 P.18-23 google
  • 21. 이 기정 (2012)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호서비스 전달체계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google
  • 22. 이 기정, 이 희선 (2012) 노인장기요양보호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이용자 만족도 연구. [사회복지연구] Vol.43 P.211-238 google
  • 23. 이 유재, 공 태식 (2005) 고객시민행동과 고객 불량행동이 서비스품질지각과 고객만족 및 재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저널] Vol.7 P.1-27 google
  • 24. 이 유재, 라 선아 (2005) 소비자행동론. google
  • 25. 이 장영, 강 효민 (2003) 지역사회 스포츠클럽 참가와 공동체 형성. [한국체육학회지] Vol.42 P.215-227 google
  • 26. 이 종수 (2011) 공정사회와 지방자치: 지역사회내의 공정성 제고와 지방정부의 역할. [한국지방행정연구원] Vol.25 P.15-34 google
  • 27. 이 재만 (2012) 영유아 보육서비스 전달체계의 평가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동구지역의 효과성과 만족도 평가를 중심으로. google
  • 28. 이 재원 (2011) 사회서비스 투자를 위한 지방재정의 역할 강화 방안: 중앙지방정부간 복지재정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재정논집] Vol.16 P.87-114 google
  • 29. 임 남균 (2011) 시립 수영장 사용자의 서비스품질지각, 고객만족, 재 구매행동, 구전의도, 지역애착도 간의 관계. [인하대학교스포츠과학논문집] Vol.23 P.133-152 google
  • 30. 전 계영 (2009) 지역주민의 지방정부 신뢰 영향 요인 연구. google
  • 31. 정 준금, 김 도희 (2008) 지방정부 “삶의 질 행정”의 실태와 과제: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Vol.12 P.153-180 google
  • 32. 조 광식 (2007) 지역문화 거버넌스 형성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서구, 안동시, 의성군을 중심으로. google
  • 33. 조 원섭, 최 상수 (2011) 천안시민의 지역사회 애착도가 지역축제 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Vol.11 P.449-459 google
  • 34. 지 민수 (2009) 한국의 행정감사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자체감사 실효성 제고 방안을 중심으로. google
  • 35. 최 근희, 이 미숙 (2007) 전문가 네트워크를 활용한 도시 관리 사례 연구. [도시행정학보] Vol.20 P.177-198 google
  • 36. 최 성범 (2009) 지역사회 스포츠 동호회 참가가 지역애착과 지역관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Vol.18 P.335-345 google
  • 37. 한 권상 (2005) 태권도이벤트에 대한 지역주민의 태도와 지역사회 애착도 및 형성에 관한 연구. google
  • 38. (2007) Volunteering for Charity: Pride, Respect, and the Commitment of Volunteer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2 P.771-785 google cross ref
  • 39. McCool S. F., Martin S R. (1994) Community attachment and attitudes toward tourism development.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33 P.29-34 google cross ref
  • 40. Tyler T. R., Blader S. L. (2002) Terems of Engagement: Why do people invest themselves in work?. [Research on Managing Groups and Teams] Vol.4 P.115-140 google
  • 41. Oliver R. L. (1997)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puences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7 P.460-469 google
  • 42. Sampson R. J. (1988) Local friendship ties and community attachment in mass society: a multi level systemic model.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53 P.766-769 google cross ref
OAK XML 통계
이미지 / 테이블
  • [ 표 1. ]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 [ 표 2. ]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 요인분석 결과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 요인분석 결과
  • [ 표 3. ]  여가서비스성과 요인분석 결과
    여가서비스성과 요인분석 결과
  • [ 표 4. ]  지역사회애착 요인분석 결과
    지역사회애착 요인분석 결과
  • [ 표 5. ]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요인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 [ 표 6. ]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여가서비스성과에 미치는 영향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여가서비스성과에 미치는 영향
  • [ 표 7. ]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지역사회애착에 미치는 영향
    여가서비스전달체계 만족이 지역사회애착에 미치는 영향
  • [ 표 8. ]  여가서비스성과가 지역사회애착에 미치는 영향
    여가서비스성과가 지역사회애착에 미치는 영향
(우)06579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Tel. 02-537-6389 | Fax. 02-590-0571 | 문의 : oak2014@korea.kr
Copyright(c) National Library of Korea. All rights reserved.